KR100344800B1 - 영상표시기기의 시야각 조정장치 - Google Patents
영상표시기기의 시야각 조정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344800B1 KR100344800B1 KR1019990056505A KR19990056505A KR100344800B1 KR 100344800 B1 KR100344800 B1 KR 100344800B1 KR 1019990056505 A KR1019990056505 A KR 1019990056505A KR 19990056505 A KR19990056505 A KR 19990056505A KR 100344800 B1 KR100344800 B1 KR 10034480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image display
- rotation
- cover
- fixing
- hole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01—Constructional details related to the housing of computer displays, e.g. of CRT monitors, of flat display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4—Constructional details of receivers, e.g. cabinets or dust covers
- H04N5/655—Construction or mounting of chassis, e.g. for varying the elevation of the tub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영상표시기기의 시야각 조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텔레비젼 세트나 컴퓨터 등의 장치에서 영상을 출력하는 영상표시기기의 상하 및 좌우회전각과 높이의 조절이 더욱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영상을 출력하는 영상표시부를 지면상에서 지탱하는 받침대 상에서 상하로 미끄럼 이동가능하도록 수직하게 형성된 높이조정수단과, 상기 높이조정수단의 상단부에 고정되게 장착되는 회동조작부와, 일단이 상기 영상표시부의 후방면에 고정되게 장착되고 타단은 구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회동조작부 내에서 임의의 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장착되는 구형상의 회동부재과, 상기 회동조작부의 일측에 형성되어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상기 회동조작부에 장착된 회동부재을 고정하고 이 고정상태를 해제할 수 있도록 설치된 고정 및 해제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영상표시기기의 시야각 조정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영상표시기기의 시야각 조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텔레비젼 세트나 컴퓨터 등의 장치에서 영상을 출력하는 영상표시기기의 상하 및 좌우회전각과 높이를 조절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시야각을 제공할 수 있도록 된 영상표시기기의 시야각 조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텔레비젼 세트나 컴퓨터 등은 사용자가 출력물을 가시적으로 인지할 수 있도록 영상을 출력하는 영상표시기기를 구비하며, 이 영상표시기기는 사용자가 보기에 용이한 각도로 시야각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는 시야각 조정장치를 구비하는 지지체에 의해 지지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종래의 영상표시기기 조립체로서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은 것이 있는데, 이 영상표시기기 조립체의 영상표시부(1)는 그 후방면 중심부가 테이블 등의 지면에 안착되는 받침대(2) 상에 수직하게 형성된 지지대(3)의 끝부분에 설치된 힌지축(4)에 연결되어, 이 힌지축(4)을 중심으로 상하로 회동하여 시야각을 조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영상표시기기의 영상표시부(1)는 상하로는 시야각 조절이 가능하지만 좌우로 선회할 수 없기 때문에, 사용자가 좌우로 시야각을 조절하기 위해서는 영상표시기기 전체를 회동시켜야 했다.
또한, 상기 영상표시기기는 높이 조절이 불가능하므로, 사용자가 수직방향의 시야각을 조절하기 위해서는 영상표시부(1)를 지지하는 받침대(2) 아래에 높이를 보정하는 보정물을 추가하거나, 영상표시부(1)의 상하각 조정만을 수행하여 수직방향의 시야각을 조절해야 했으나, 이는 사용자가 원하는 시야각을 형성하는데에 있어서 한계를 갖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영상표시기기 조립체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도 2에 도시된 영상표시기기 조립체가 있는데, 이 영상표시기기 조립체는, 영상표시부(10)를 바닥면상에서 지탱하는 받침대(20)와, 이 받침대(20)에 수직하게 형성된 중공의 지지대(30), 이 지지대(30) 상단에서 상기 지지대 내측면을 따라 상하로 미끄럼이동하며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된 슬라이딩부(41), 이 슬라이딩부(41)의 중심부에 형성된 수직힌지축(42), 이 수직힌지축(42)에 연결된 고정브라켓(50) 및, 이 고정브라켓(50)의 타단에 연결된 수평힌지축(43)을 구비하고, 이 수평힌지축(43)은 양단이 영상표시부(10)의 후방면 중심부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영상표시부(10)는 그 후방면에 연결된 수평힌지축(43)에 의해 상하로 회동가능함과 더불어, 상기 수직힌지축(42)에 의해 좌우방향으로의 회동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영상표시부(10)는 상기 지지대(30) 내측벽을 따라 상하로 미끄럼 이동가능하도록 된 슬라이딩부(41)에 의해 높이조절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영상표시부(10)는 상하 및 좌우로의 회동각 조절이 가능함과 더불어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으나, 상기 회동각 조절을 위한 각각의 힌지축들의 작용점이 상이하도록 되어 있으므로, 시야각 조절을 수행함에 있어 불편이 수반될 뿐만 아니라, 조립된 제품을 출하시 상기 각 힌지축들이 고정된 상태로 출하되므로 사용자가 최초로 사용할 때 조작에 많은 힘이 들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종래의 영상표시기기 조립체의 영상표시부(10)는 상하 및 좌우 방향으로만 회동하고 그 이외의 방향으로의 복합적인 회동이 불가능하므로, 사용자의 시야에 맞는 최적의 조건으로 시야각을 조절할 수가 없는 문제점도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영상표시기기의 상하 및 좌우 회동각을 조절하기 위한 힌지축들의 작용점들이 일치되도록 구성하여 회동각 조절이 용이하게 이루어짐과 더불어, 상하 및 좌우 방향 뿐만 아니라 그 이외의 임의의 방향으로도 회동각 조절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되어, 시야각의 조절이 용이하게 이루어짐과 더불어 사용자에게 최적의 시야각을 제공할 수 있도록 된 영상표시기기기의 시야각 조정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상하회전만이 가능하도록 된 시야각 조정장치를 구비한 종래의 영상표시기기의 후방에서 본 사시도
도 2는 상하 좌우 및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된 시야각 조정장치를 구비한 종래의 영상표시기기의 후방에서 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시야각 조정장치가 장착된 영상표시기기의 후방에서 본 사시도
도 4는 도 3의 영상표시기기의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시야각 조정장치중 회동부재인 회동로드의 사시도
도 6은 도 4의 I-I선 단면도 및 A부분 확대도
도 7은 도 3의 영상표시기기를 분해하여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설명
100 - 영상표시부 200 - 받침대
300 - 회동로드 310 - 구형상부
320 - 로드부 311 - 정점설절용 홈
312 - 상하방향 안내홈 313 - 좌우방향 안내홈
400 - 회동조작부 410 - 전방덮개
411 - 통공 420 - 후방덮개
421 - 중공부 430 - 고정/해제부재
431 - 수용부 432 - 몸체부
440 - 체결력 조절용 손잡이부 450 - 코일스프링
461, 471, 481 - 설정나사 462, 472, 482 - 스프링
463, 473, 483 - 볼 500 - 수직지지부
510 - 전방안내덮개 520 - 후방덮개부
521 - 피니언기어부 522 - 회전축
530 - 슬라이딩판 531 - 래크기어부
540 - 판스프링 541 - 고정축
550 - 높이조정용 손잡이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영상을 출력하는 영상표시부를 지면상에서 지탱하는 받침대 상면에 상하로 수직하게 이동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영상표시부의 높이를 조정하는 높이조정수단과; 상기 높이조정수단의 상단부에 고정되게 장착되며, 중앙에 통공이 형성되고 하단부가 상기 높이조정수단 상단에 고정되는 전방덮개와, 상기 전방덮개의 후방에 결합되며, 결합시 상기 전방덮개의 통공과 동일한 축을 공유하도록 중심부에 원통형의 통공이 형성된 후방덮개를 구비한 회동조작부와; 상기 영상표시부의 후방면에 고정되게 장착되는 장착부와, 이 장착부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회동조작부의 전방덮개의 통공 및 후방덮개의 통공이 이루는 공간 내에 임의의 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장착되는 구형상부로 이루어진 회동부재와; 상기 회동조작부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상기 회동조작부에 장착된 회동부재의 구형상부를 가압하여 고정하고 이 고정상태를 해제하기 위한 고정 및 해제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영상표시기기의 시야각 조정장치를 제공한다.
따라서, 상기 영상표시기기는 구형상으로 된 회동부재에 의해 하나의 힌지점에서 상하 좌우를 포함한 임의의 방향으로 회동조절이 가능하게 되고, 상기 높이조절수단에 의해 높낮이의 조절도 가능하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영상표시기기 방향조절장치의 일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도 3과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시야각 조정장치가 장착된 영상표시기기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도 3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상표시기기 조립체를 지면상에서 지탱하는 받침대(200) 상에는 수직지지부(500)가 형성되고, 이 수직지지부(500) 상에는 영상을 출력하는 모니터 또는 스크린 등의 영상표시부(100)가 회동될 수 있도록 조작 및 지지하게 되는 회동조작부(400)가 고정되게 설치되는데, 상기 영상표시부(100)는 그 후방에 고정되게 설치되는 회동로드(300)의 타단이 상기 회동조작부(400)에 회동가능하게 삽입되어 장착됨으로써 상기 회동로드(300)를 매개로 상기 회동조작부(400)에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회동조작부(400)의 후방면에는 이 회동조작부(400) 내측에 장착된 회동로드(300)의 회동을 정지시켜 고정하거나 해제하기 위한 체결력 조절용 손잡이부(440)가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수직지지부(500) 측면부에도 상기 체결력 조절용 손잡이부(440)와 유사한 형상의 높이조정용 손잡이부(550)가 설치되어 수직지지부(500)내에 설치된 슬라이딩판(530)의 상하이동을 조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한편, 상기 회동로드(300)는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영상표시부(100) 후방면에 고정브라켓(110; 도 3참조)을 매개로 장착되는 원통형상의 로드부(320)와, 이 로드부(320)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회동조작부(400)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되는 구형상부(310)로 이루어지고, 상기 구형상부(310)에는 끝부분의 정점부위에 정점설정용 홈(311)이 형성되고, 외주면 일측(설치시 상부측)에 회동로드(3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하방향 안내홈(312)이 형성되고, 이 상하방향 안내홈(312)과 90°이격된 위치에 좌우방향 안내홈(313)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영상표시부(100)의 시야각을 조절하게 되는 회동조작부(400)와 수직지지부(500)는 다음과 같은 구조를 갖는다.
도 6과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동조작부(400)는 중심부에 통공(411)이 형성된 전방덮개(410)와, 이 전방덮개(410)의 후방에서 결합되는 대략 직육면체 형상의 후방덮개(420)를 구비하며, 상기 후방덮개(420)는 상기 전방덮개(410)와 결합시 전방덮개(410)의 통공(411)과 동일한 축을 공유하도록 그 중심부에 중공부(421)가 형성되고, 이 중공부(421) 내에는 상기 회동로드(300)의 구형상부(310)가 장착되었을 때 이 구형상부(310)와 접촉하여 구형상부(310)를 고정하거나 회동가능하도록 해제하는 중공의 원통형 고정/해제부재(430)가 앞뒤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고정/해제부재(430)는 상기 구형상부(310)의 일부를 수용하게 되는 수용부(431)와, 이 수용부(431) 후방에 단차가 형성되도록 상기 수용부(431)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몸체부(432)로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전방덮개(410)의 통공(411) 내측면은 상기 회동로드(300)의 구형상부(310)의 일부가 안착되도록 대략 반구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고정/해제부재(430)의 수용부(431) 전방면 또한 상기 회동로드(300)의 구형상부(310)의 나머지 일부분이 안착되도록 반구형으로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는바, 상기 통공(411)의 내측면과 고정/해제부재(430)의 전방면 사이에 회동로드(300)의 구형상부(310)가 위치하여 회동가능하게 안착된다. 이 때, 회동로드(300)의 로드부(320)는 상기 통공(411)을 통해 전방덮개(410) 외부로 돌출되어 영상표시부(100) 후방면에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후방덮개(420)의 중공부(421) 후단에는 나사부(422)가 형성되고, 이 나사부(422)에는 외주부에 나사산이 형성된 중공의 체결력 조절용 손잡이부(440)가 후방덮개(420) 외측에서부터 나사결합된다.
이 때, 상기 체결력 조절용 손잡이부(440)는 그 중공부에 상기 고정/해제부재(430) 후방의 작은 직경을 갖는 몸체부(432)가 삽입 결합되어, 상기 체결력 조절용 손잡이부(440)가 회전하면서 상기 몸체부(432) 외주면을 따라 앞뒤로 이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체결력 조절용 손잡이부(440)의 선단부와 상기 고정/해제부재(430) 전방의 수용부(431) 후단부 사이에는 코일스프링(450)이 장착되어, 상기 체결력 조절용 손잡이부(440)의 전,후진 이동에 따라 상기 고정/해제부재(430)에 탄성력을 전달하여 고정/해제부재가 앞뒤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전방덮개(410)의 상부면과 측면에는 상기 통공(411)의 내측면까지 이어진 수직관통구멍(412)과 수평관통구멍(413)이 형성되는데, 이들 각 관통구멍(412, 413)들의 내벽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전방덮개(410) 외측에서 상하방향 설정나사(471)와 좌우방향 설정나사(481)가 각각 결합되고, 각 설정나사(471, 481)의 끝단부에는 스프링(472, 482)이 위치되며, 이 스프링(472, 482)의 타단에는 볼(473, 483)이 위치되며, 이 볼(473, 483)들은 각각 상기 회동로드(300)의 상하방향 안내홈(312)과 좌우방향 안내홈(313) 상에 안착된다.
또한, 상기 고정/해제부재(430) 몸체부(432)의 중심부에 형성된 중공부에도 상기와 마찬가지로 정점 설정나사(461)와 스프링(462) 및 볼(463)이 장착되고, 상기 볼(463)은 상기 회동로드(300) 끝단에 형성된 정점설정용 홈(311)에 안착되도록 되어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이 구성된 회동조작부(400)가 안착되는 수직지지부(500)는, 하단부가 받침대(200)에 고정되고 상단부는 개방되도록 형성된 전방안내덮개(510)와, 이 전방안내덮개(510) 내벽을 따라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형성된 대략 직육면체 형상의 슬라이딩판(530) 및, 이 슬라이딩판(530) 후방에 위치하도록 상기 받침대(200) 상에 고정되는 후방덮개부(520)로 구성된다.
상기 전방안내덮개(510)는 상기 슬라이딩판(530)이 수직이동할 때 이 슬라이딩판(530)의 이동을 안내하는 역할을 하도록 상기 슬라이딩판(530)의 전면부와 상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슬라이딩판(530)의 후방면에는 수직방향으로 래크기어부(531)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후방덮개부(520) 내측면 상부에는 상기 래크기어부(531)와 맞물려 래크기어부(531)를 연동시키는 피니언기어부(521)가 회전축(522)을 매개로 장착되어 있는데, 이 회전축(522)의 일단은 상기 후방덮개부(520)의 측면을 관통하여 높이조정용 손잡이부(550)에 고정되고, 이로써 상기 피니언기어부(521) 및 래크기어부(531)는 상기 높이조정용 손잡이부(550)의 조작에 의해 작동하게 된다.
또한, 상기 슬라이딩판(530)의 후방에는 판스프링(540)이 장착되는데, 이 판스프링(540)의 일단은 슬라이딩판(530)의 하단부에 연결되고, 판스프링(540)의 타단은 고정축(541)을 매개로 후방덮개 양측면부에 고정되어, 상기 판스프링(540)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슬라이딩판(530)의 상승 이동시 이 슬라이딩판(530)이 자중에 의해 하강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슬라이딩판(530)의 상단면에는 상기 회동조작부(400)의 전방덮개(410) 하단면이 안착되어 고정됨으로써, 상기 회동조작부(400)가 상기 슬라이딩판(530)의 상하 이동에 따라 함께 상하로 이동하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회동조작부(400)에 연결된 영상표시부(100)의 높이 조절이 가능하게 된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영상표시기기 시야각 조정장치의 작동에 대해 설명한다.
영상표시기기의 영상표시부(100)의 방향이 변화되지 않은 초기 상태에서는 상기 회동조작부(400)가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은 상태로 되어 있는바, 상기 회동조작부(400) 내의 회동로드(300)의 구형상부(310)는 고정/해제부재(430)에 의해 압박되어 전방덮개(410)의 통공(411) 부위의 내측면에 밀착된 상태로 회동하지 못하도록 되어 있다. 이 때, 상기 고정/해제부재(430)는 후방덮개(420)의 후방면 외측에 형성된 체결력 조절용 손잡이부(440)가 조여져 그 선단부의 스프링(450)을 압축시키고, 이 스프링(450)의 압축력에 의해 고정/해제부재(430)가 전방으로 밀리게 됨으로써 회동로드(300)의 구형상부(310)를 압박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구형상부(310)의 상하방향안내홈(312) 상에는 상하방향 설정나사(471)의 선단부에 설치된 볼(473)이 위치하고, 정점설정용 홈(311) 상에는 정점 설정나사(461) 선단부에 설치된 볼(463)이 위치하게 되며,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좌우방향 안내홈(313) 상에는 좌우방향 설정나사(481)의 선단부에 설치된 볼(483)이 위치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영상표시기기가 고정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영상표시부(100)를 상하로 회동시켜 상하방향의 회동각을 조절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먼저 상하방향 설정나사(471)를 조임방향으로 회전시켜 볼(473)을 상하방향 안내홈(312) 상에 밀착시킨다.
그런 다음, 체결력 조절용 손잡이부(440)를 해제방향으로 회전시켜 후방으로 이동시키면 스프링(450)의 압축력이 약해지게 되고, 이로써 고정/해제부재(430)가 후방으로 이동하면서 회동로드(300)의 구형상부(310)를 압박하던 힘이 제거되어 구형상부(310)가 자유롭게 회동할 수 있는 상태로 된다.
이어서, 사용자는 영상표시부(100)를 상단 또는 하단을 손으로 잡고서 상하방향으로 회동시키면서 시야각을 조절하게 되는데, 이 때 상기 영상표시부(100)는 상기 구형상부(310)의 상하방향 안내홈(312) 상에 위치한 볼(473)에 의해 좌우방향으로 꺽이지 않고 정확하게 상하방향으로 회동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영상표시부(100)와 연결된 회동로드(300)의 회동시 구형상부(310)의 정점설정용 홈(311)과 좌우방향 안내홈(313) 상에 위치한 볼(463, 483)들은 구형상부(310)의 회동에 의해 각각 상기 홈(311)과 안내홈(313)에서 빠져 나와 구면을 따라 자전할 수 있게 되는데, 이는 상기 볼(463, 483)들이 각각의 설정나사(461, 481) 하부에서 스프링(462, 482)을 매개로 힘을 전달받음으로 인해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영상표시부(100)를 원하는 각도로 회동시킨 다음에는, 상기 회동조작부(400) 후방덮개(420)의 체결력 조절용 손잡이부(440)를 조임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고정/해제부재(430)가 구형상부(310)를 다시 압박하도록 하여 구형상부(310)를 고정시키면 된다.
한편, 상기 영상표시부(100)를 좌우방향으로 회동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는, 앞에서 설명한 것과 마찬가지로, 상기 좌우방향 설정나사(481)를 조임방향으로 회전시켜 볼(483)이 구형상부(310)의 좌우방향 안내홈(313) 상에 밀착되도록 한 다음, 상기 체결력 조절용 손잡이부(440)를 해제방향으로 회전하여 고정/해제부재(430)와 회동로드(300)의 구형상부(310) 간의 체결력을 약하게 하여 구형상부(310)가 회동할 수 있도록 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영상표시부(100)의 측면부를 잡고서 원하는 각도로 회동시켜 주면 된다.
이 때, 상기 영상표시부(100)는 상기 구형상부(310)의 좌우방향 안내홈(313) 상에 밀착된 볼(483)에 의해 상하로 꺽이지 않고 정확하게 좌우방향으로 회동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이 상하방향 또는 좌우방향의 회동조작시, 원하는 방향으로의 회동방향 설정을 위한 설정나사 이외의 설정나사들은 느슨하게 풀어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시 말해서, 상하방향의 회동조작시에는 상하방향 설정나사(471)는 조여주고, 나머지 좌우방향 설정나사(481)와 정점 설정나사(461)는 느슨하게 풀어줌으로써 원하는 방향으로의 회동이 더욱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물론 좌우방향의 회동조작도 이와 마찬가지로 이루어질 수 있음은 이해 가능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영상표시부는 상하 또는 좌우의 방향의 이동 뿐만 아니라 상하 좌우 방향의 복합적인 방향으로의 이동도 가능하도록 되어 있는데, 다시 말해서 영상표시부(100)를 상하로 이동시킴과 동시에 좌우방향으로도 이동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회동조작부(400)의 상하방향 설정나사(471)와 좌우방향 설정나사(481) 및 정점 설정나사(461) 모두를 느슨하게 해제시킨 상태에서, 체결력 조절용 손잡이부(440)를 해제방향으로 회전시킨 다음 영상표시부(100)를 원하는 방향으로 회동시키면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영상표시부(100)는 상기 회동로드(300)의 축을 중심으로 360°회전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데, 이 경우 역시 상기와 마찬가지로 모든 설정나사(461, 471, 481)들을 느슨하게 한 상태에서 영상표시부(100)를 회전시키면 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시야각 조정장치의 높이조절은 다음과 같이 이루어진다.
사용자가 영상표시부(100)의 높이를 상하로 이동하여 조절하고자 하는 경우, 수직지지부(500)의 후방덮개부(520) 측면에 설치되어 있는 높이조정용 손잡이부(550)를 회전시키면 이 손잡이부(550)에 연결되어 있는 회전축(522)에 의해 피니언기어부(521)가 회전하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피니언기어부(521)와 맞물려 있는 래크기어부(531)가 연동하면서 슬라이딩판(530)이 상승하게 되고, 상기 슬라이딩판(530) 상단에 고정된 회동조작부(400)가 상승하면서 영상표시부(100)가 함께 상승하게 된다.
이 때, 상기 슬라이딩판(530)은 그 하단부에 연결된 판스프링(540)의 탄성력에 의해 상승작동이 용이하게 이루어지고, 상승된 상태에서 그 자중에 의해 다시 하강하는 것이 방지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영상표시부(100)를 하강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기 높이조정용 손잡이부(550)를 반대로 회전시키면 된다.
한편, 상기 영상표시부(100)의 상하 또는 좌우방향의 회동범위는 전방덮개(410)의 통공(411)의 크기에 좌우되는바, 영상표시부(100)의 회동각을 크게 하기 위해서는 상기 통공(411)의 직경을 더 크게 하여 회동로드(300)의 회동범위를 증가시키면 된다.
또한, 상기 각 손잡이부(440, 550)와 각 설정나사(461, 471, 481)의 헤드부는 원형으로 형성되고, 손으로 회전시킬 때 미끄러지지 않도록 그 외주면에 돌기들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 발명은 앞에서 설명한 실시예에 국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실시가 가능하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영상표시기기의 회동각 조절이 구형상의회동로드에서 모두 이루어지므로, 영상표시기기를 사용자가 원하는 임의의 각도로 용이하게 회동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수직방향의 높이 조절도 가능하도록 되어 사용자에게 최적의 시야각을 제공할 수가 있다.
Claims (14)
- 영상을 출력하는 영상표시부를 지면상에서 지탱하는 받침대 상면에 상하로 수직하게 미끄럼 이동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영상표시부의 높이를 조정하는 높이조정수단과;상기 높이조정수단의 상단부에 고정되게 장착되며, 중앙에 통공이 형성되고 하단부가 상기 높이조정수단 상단에 고정되는 전방덮개와, 상기 전방덮개의 후방에 결합되며, 결합시 상기 전방덮개의 통공과 동일한 축을 공유하도록 중심부에 원통형의 통공이 형성된 후방덮개를 구비한 회동조작부와;상기 영상표시부의 후방면에 고정되게 장착되는 장착부와, 이 장착부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회동조작부의 전방덮개의 통공 및 후방덮개의 통공이 이루는 공간 내에 임의의 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장착되는 구형상부로 이루어진 회동부재와;상기 회동조작부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상기 회동조작부에 장착된 회동부재의 구형상부를 가압하여 고정하고 이 고정상태를 해제하기 위한 고정 및 해제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영상표시기기의 시야각 조정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조정수단은,하단부가 상기 받침대 상에 고정되고 상단부는 개방되도록 형성된 전방안내덮개와,상기 전방안내덮개 후방에 결합되는 후방덮개부와,상기 전방안내덮개와 후방덮개부가 이루는 공간 내에 상기 전방안내덮개 내측벽을 따라서 상하로 수직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상단부에 상기 회동조작부가 고정되게 결합되고, 후방면에는 종동기어부가 고정되게 형성된 슬라이딩부와,상기 슬라이딩부 후방의 종동기어부와 치합하여 상기 종동기어부를 연동시킴으로써 슬라이딩부를 상하 이동시키도록 후방덮개부에 설치되는 주동기어부 및,일단이 상기 슬라이딩부 하단부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후방덮개부에 결합되어 상기 슬라이딩부에 상측으로 탄성력을 가하며 지지하는 판스프링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기기의 시야각 조정장치.
- 삭제
-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부의 종동기어부는 래크기어부로 형성되고, 상기 주동기어부는 회전축을 매개로 후방덮개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피니언기어부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기기의 시야각 조정장치.
-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피니언기어부의 회전축의 일단은 후방덮개부의 내면 일측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며, 회전축의 타단은 후방덮개부의 타측면을 관통하여 외부에서 원형의 손잡이부에 고정되게 연결되어, 상기 손잡이부의 회전조작에 의해 피니언기어부가 회전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기기의 시야각 조정장치.
- 삭제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부재의 구형상부에는 외주면 끝단에 정점설정용 홈이 형성되고, 외주면 일측에는 회동부재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하방향 안내홈이 형성되며, 이 상하방향 안내홈과 90°이격된 위치에 좌우방향 안내홈이 형성되며;상기 고정 및 해제수단에는 상기 회동부재의 구형상부의 정점설정용 홈에 탄성적으로 결합하며 구형상부의 초기 기준위치를 설정하는 정점 설정수단이 설치되고;상기 회동조작부의 전방덮개의 상부면 중심부와 일 측면 중심부에는 그의 통공까지 이어진 관통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각 관통구멍 내에는 상기 회동부재의 구형상부의 상하방향 안내홈 및 좌우방향 안내홈에 각각 탄성적으로 결합되어 회동부재의 회동방향을 안내하는 안내수단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기기의 시야각 조정장치.
- 삭제
- 삭제
-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수단은,상기 각 관통구멍의 외측에서부터 나사결합하여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관통구멍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된 조절나사와,상기 조절나사의 하단부에 장착되는 탄성부재와,상기 탄성부재 하단에 위치하여 조절나사에 의해 가압되는 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상하방향 안내홈 및 좌우방향 안내홈 상에 각각 안착되는 볼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기기의 시야각 조정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및 해제수단은,상기 회동조작부의 후방덮개의 통공 내에서 앞뒤로 이동가능하게 장착되고, 그 전방면은 회동부재의 구형상부의 일부분을 수용할 수 있도록 반구형의 홈이 형성된 원통형의 수용부를 이루고, 이 수용부의 후방에 단차가 형성되도록 상기 수용부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원통형의 몸체부가 형성된 고정/해제부재와;외주면에 나사부가 형성되어 상기 후방덮개의 외측에서 통공 후방에 나사결합함과 동시에, 상기 고정/해제부재의 몸체부 외주면을 따라 앞뒤로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몸체부가 삽입되는 중공이 형성된 체결력 조절용 손잡이부와,상기 체결력 조절용 손잡이부의 선단부와 상기 고정/해제부재의 수용부 후단부 사이에 위치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체결력 조절용 손잡이부에 대해 고정/해제부재를 탄발지지하도록 된 탄성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기기의 시야각 조정장치.
-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고정/해제부재의 몸체부가 관통하여 삽입되는 압축 코일스프링으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기기의 시야각 조정장치.
-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해제부재의 수용부에 수용되는 회동부재의 구형상부 끝단에 정점 설정용 홈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해제부재의 몸체부의 중심부에는 나사산이 형성된 통공이 형성되며, 이 통공 내에는 상기 구형상부의 정점 설정용 홈에 탄성적으로 결합하며 구형상부의 초기 위치를 설정하기 위한 수단이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기기의 시야각 조정장치.
-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구형상부의 초기 위치를 설정하기 위한 수단은,상기 고정/해제부재의 몸체부 후방 외측에서부터 상기 통공의 후방부에 나사결합하여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통공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된 조절나사와,상기 조절나사의 선단부에 장착되는 스프링과,상기 스프링 선단에 위치하여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구형상부의 정점 설정용 홈 상에 탄성적으로 결합되는 볼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기기의 시야각 조정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990056505A KR100344800B1 (ko) | 1999-12-10 | 1999-12-10 | 영상표시기기의 시야각 조정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990056505A KR100344800B1 (ko) | 1999-12-10 | 1999-12-10 | 영상표시기기의 시야각 조정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10055318A KR20010055318A (ko) | 2001-07-04 |
KR100344800B1 true KR100344800B1 (ko) | 2002-07-20 |
Family
ID=196248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990056505A KR100344800B1 (ko) | 1999-12-10 | 1999-12-10 | 영상표시기기의 시야각 조정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344800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6091063A (ja) * | 2004-09-21 | 2006-04-06 | Casio Comput Co Ltd | 液晶表示素子 |
KR100845597B1 (ko) * | 2006-04-27 | 2008-07-10 | 시엘오 시스템즈, 엘엘씨 | 평판 모니터를 지지할 수 있는 스탠드 시스템 |
KR100869552B1 (ko) * | 2007-08-21 | 2008-11-19 | 이장균 | 영상 디스플레이의 벽걸이 힌지 장치 |
KR100948402B1 (ko) * | 2008-08-27 | 2010-03-19 | 주식회사 디엔피시스템 | 모니터 높이조절장치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8223512A (ja) * | 1995-02-10 | 1996-08-30 | Sony Corp | 表示装置用支持装置及び表示装置 |
KR100208985B1 (ko) * | 1995-10-19 | 1999-07-15 | 전주범 |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페널의 스탠드형 설치 장치 |
-
1999
- 1999-12-10 KR KR1019990056505A patent/KR100344800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8223512A (ja) * | 1995-02-10 | 1996-08-30 | Sony Corp | 表示装置用支持装置及び表示装置 |
KR100208985B1 (ko) * | 1995-10-19 | 1999-07-15 | 전주범 |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페널의 스탠드형 설치 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10055318A (ko) | 2001-07-0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6737623B2 (ja) | ディスプレイ支持装置 | |
US7780131B2 (en) | Mounting system capable of repositioning an apparatus relative to a reference plane | |
US5588625A (en) | Monitor stand assembly | |
KR960014142B1 (ko) | 영상표시기의 각도조절장치 | |
US5318257A (en) | Mechanism for supporting camera in image transmission apparatus | |
US20110290950A1 (en) | Stand apparatus | |
KR100469766B1 (ko) | 팬헤드 | |
KR100344800B1 (ko) | 영상표시기기의 시야각 조정장치 | |
KR100236031B1 (ko) |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설치용 구조물 | |
CA2578606A1 (en) | Stand apparatus | |
KR20180115479A (ko) | 앞받침대와 낚시대받침구가 일체로 구비된 관절형 낚시받침대 | |
JP2004304736A (ja) | 電子機器の角度調整機構 | |
US3937099A (en) | Device for the fine adjustment of an instrument table supporting an optical equipment | |
KR0163133B1 (ko) | 디스플레이의 각도조절장치 | |
KR200364211Y1 (ko) | 강의용 디스플레이장치의 힌지기구 | |
KR19990012655U (ko) | 평판 영상표시기기의 경사 조절장치 | |
JPH078032B2 (ja) | テレビジヨン受像機の回動装置 | |
KR0134756Y1 (ko) | 영상표시기기의 경사회전 받침장치 | |
KR100805368B1 (ko) | 영상표시기 조정장치 | |
KR940001690Y1 (ko) | 영상표시 기기의 수평회전 조절장치 | |
KR20000021596A (ko) | Pdp 텔레비전 화면부의 각도조절장치 | |
KR100366410B1 (ko) | 모니터 각도조절장치 | |
KR100803887B1 (ko) | 디스플레이 장치 각도 조절장치 | |
KR200284959Y1 (ko) | Lcd 모니터 조절 장치 | |
JP3349986B2 (ja) | 脚高さ調節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80618 Year of fee payment: 7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