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4756Y1 - 영상표시기기의 경사회전 받침장치 - Google Patents

영상표시기기의 경사회전 받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4756Y1
KR0134756Y1 KR2019950019658U KR19950019658U KR0134756Y1 KR 0134756 Y1 KR0134756 Y1 KR 0134756Y1 KR 2019950019658 U KR2019950019658 U KR 2019950019658U KR 19950019658 U KR19950019658 U KR 19950019658U KR 0134756 Y1 KR0134756 Y1 KR 013475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ation
pressing plate
image display
display device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1965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07577U (ko
Inventor
김동룡
Original Assignee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자홍
Priority to KR2019950019658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34756Y1/ko
Publication of KR97000757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757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475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4756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02Heads
    • F16M11/04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 F16M11/06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llowing pivoting
    • F16M11/12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llowing pivoting in more than one direction
    • F16M11/125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llowing pivoting in more than one direction for tilting and rol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02Heads
    • F16M11/04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 F16M11/041Allowing quick release of the apparatu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2200/00Details of stands or supports
    • F16M2200/08Foot or support ba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고안은 영상표시기기 경사회전 받침장치에 관한 것으로 종래 영상표시기기의 경사회전 받침장치는, 영상표시기의 몸체(1)를 안치하는 상판(3)을 받침대(5)에 적층시키고, 다시 상판(3) 위에 탄성판(6)을 적층시킨후, 고정나사(7)를 받침대(5)의 중심에 체결되어 있는 축봉(4)에 고정결합시켜야 하므로 조립작업이 복잡하고, 고정체결부품이 필요하기 때문에 조립시간 및 제품의 원가가 상승되며, 고정나사(7)에 의해 조립된 받침장치를 몸체(1)에 결합하여 시청자가 몸체(1)를 빈번하게 일정각도 경사 및 회전조절하면 축봉(4)에 고정결합된 고정나사(7)가 이완되어 장시간 사용에 의한 몸체(1)의 회전경사운동이 균일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고안은 이와같은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고정나사를 사용하지 않고 별도의 누름판을 통해 경사회전 받침대의 조립 분해가 용이하도록 하면서 경사회전 받침대의 경사 및 회전각도를 균일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전자기기 제품의 받침대에 적용한다.

Description

영상표시기기의 경사회전 받침장치
본 고안은 영상표시기기의 경사회전 받침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나사를 이용하지 않고 별도의 누름판을 이용하여 경사회전 받침장치의 결합 또는 분해가 손쉽게 이루어지게 하면서 영상표시기기의 경사회전 각도조절을 균일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종래 영상표시기기의 경사회전 받침장치는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상표시기기의 몸체(1)가 안치되는 중심에 안내구멍(2)이 형성된 상판(3)과, 상기 상판(3)을 받쳐주는 축봉(4)이 중심에 체결된 받침대(5)와, 상기 받침대(5)에 얹혀진 상판(3)위에 얹혀져 상판(3)과 받침대(5)가 긴밀하게 밀착유지 되도록 탄성을 주는 탄성판(6)과, 상기 상판(3)과 탄성판(6)이 받침대(5)에 고정되게 받침대(5) 중심에 체결된 축봉(4)에 고정되는 고정나사(7)로 구성된 것으로,
미 설명부호 8은 고정와셔, 9는 스프링와셔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 경사회전 받침장치는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회전 받침장치를 영상표시기기에 체결되게 조립하기 위해서는 먼저, 중심에 축봉(4)이 체결된 받침대(5)에 영상표시기기의 몸체(1)가 안치되는 안내구멍(2)이 중심에 형성된 상판(3)을 위치시킨후, 상기 안내구멍(2)이 받침대(5)의 중심 축봉(4)에 체결되도록 상판(3)을 받침대(5)에 밀착시킨다.
이후, 밀착된 상판(3)과 받침대(5)의 곡면부위가 미끄럼운동으로 영상표시기기의 몸체(1)가 상판(3)에 안치되어 일정 경사각도 및 회전각도로 조절되게 상기 상판(3) 중심의 안내구멍(2)에 체결된 축봉(4) 둘레에 탄성판(6)을 위치시키고, 고정와셔(8)와 스프링와셔(9)를 차례로 적층시킨후 고정나사(7)를 축봉(4)에 체결하여 경사회전받침대의 조립을 완성시킨다.
이와 같이 조립 완성된 경사회전 받침대의 상판(3)에 영상표시기기의 몸체(1)를 안치시켜 나사등을 이용해 고정시키므로서 시청자는 영상표시기기의 위치를 시정위치에 맞게 몸체(1)의 경사각도 및 회전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종래 영상표시기기의 경사회전 받침장치는, 영상표시기기의 몸체(1)를 안치하는 상판(3)을 받침대(5)에 적층시키고, 다시 상판(3)에 탄성판(6)을 적층시킨후, 고정나사(7)를 받침대(5)의 중심에 체결되어 있는 축봉(4)에 고정결합시켜야 하므로 조립작업이 복잡하고, 고정체결부품이 필요하기 때문에 조립시간 및 제품의 원가가 상승되며, 고정나사(7)에 의해 조립된 받침장치를 몸체(1)에 결합하여 시청자가 몸체(1)를 빈번하게 일정각도 경사 및 회전조절하면 축봉(4)에 고정결합된 고정나사(7)가 이완되어 장시간 사용에 의한 몸체(1)의 회전경사운동이 균일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고정나사를 사용하지 않고 별도의 누름판을 통해 경사회전 받침대의 조립 분해가 용이하도록 하면서 경사회전 받침대의 경사 및 회전각도를 균일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고안의 구성 및 작용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종래 경사회전 받침장치의 구조를 보인 분해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 경사회전 받침장치의 구조를 보인 분해사시도.
제3도는 본 고안 경사회전 받침장치의 결합상태를 보인 사시도.
제4도의 (a)는 본 고안의 A-A선 단면도.
(b)는 본 고안의 B-B선 단면도.
제5도는 본 고안의 경사회전 받침장치의 결합상태를 보인 단면도.
제6도의 (a)내지 (c)는 본 고안 경사회전 받침장치의 작동상테를 보인 배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상측받침대 12 : 하측받침대
13 : 미끄럼용부싱 14 : 누름판
15 : 안내구멍 16 : 누름판 고정홈
17 : 체결돌기 18 : 높이 고정용봉
19 : 회동방지용 턱 20 : 회동방지용 리브
21 : 체결홈
먼저, 본 고안 경사회전 받침장치는 제2도 내지 제6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측받침대(11)가 안착되는 하측받침대(12)와, 상측받침대(11)와 하측받침대(12)사이에 체결되는 상측받침대(11)의 전후, 좌우 유동을 방지하기 위한 미끄럼용 부싱(13)과 상기 상측받침대(11)가 하측받침대(12)에 용이하게 결합 또는 분리시키기 위한 누름판(14)과, 상기 상측받침대(11)의 중심에 형성된 안내구멍(15)을 통하여 하측받침대(12)의 중심에 형성된 누름판고정홈(16)에 체결되게 누름판(14) 하측에 일체로 형성된 체결돌기(17)와, 상기 누름판(14)의 체결높이를 고정시키기 위한 누름판(14)과 체결돌기(17) 사이에 일체로 형성된 높이고정용봉(18)과, 누름판(14)의 하측에 형성된 체결돌기(17)를 고정시키기 위한 하측받침대(12)의 중심에 형성된 누름판고정홈(16)과, 상기 누름판고정홈(16)에 결합되는 체결돌기(17)의 탈거를 방지하며, 누름판(14)에 의해 회동시 일정각도이상 회동이 방지되도록 하측받침대(12)의 중심 일측에 일정 각도를 갖는 경사면을 갖는 돌기로 형성되며, 외부로 부터 가해지는 힘에 대하여 일정 탄성력을 갖는 회동방지용턱(19)과, 회동방지용턱(19)과 대향되게 반대측에 위치하여 체결돌기(17)의 회동을 방지하는 하측받침대(12)의 저면 일측에 형성된 회동방지용리브(20)와, 상기 상측받침대(11)가 용이하게 회전되도록 미끄럼용부싱(13)이 체결되게 하측받침대(12)의 상면에 체결홈(21)이 형성되어 구성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효과는 제2도 내지 제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청자가 경상회전 받침장치를 조립하기 위해서는 먼저, 하측받침대(12)의 상면에 형성된 체결홈(21)에 미끄럼용부싱(13)을 체결시킨후 상측받침대(11)를 하측받침대(12)에 안착시킨다.
이후, 별도로 구비된 누름판(14)을 상측 받침대(11)의 중심에 형성된 안내구멍(15)을 통해 하측받침대(12)에 고정결합시키므로서 조립 완성한다.
즉, 누름판(14)의 하측에 형성된 체결돌기(17)를 일정 경사각도로 상기 상측받침대(11)의 중심에 형성된 안내구멍(15)을 통하여 하측받침대(12)의 중심에 형성된 누름판고정홈(16)에 체결시킨후 상기 누름판(14)을 일정각동(90°)회전시키면, 상기 체결돌기(17)는 하측받침대(12)의 중심 일측에 형성된 회동방지용턱(19)의 경사면을 지나 일정방향(P) 이동한 후 체결된다.
따라서, 시청자는 상기와 같이 체결완료된 경사회전 받침장치를 제6도의 (a)내지 (c)에서와 같이, 하측받침대(12)의 상면에 형성된 회동방지용턱(19)과 저면에 형성된 회동방지용리브(20)에 의해 누름판(14)을 좌우로 일정각도(약 90°)회동시켜 시청자가 원하는 위치로 영상표시기기의 시청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이때, 시정각도의 조절범위는 회종방지용턱(19)과 회동방지용리브(20)의 사이간격에 의해 설정되며,
회동방지용리브(20)는 회동방지용턱(19)과 회동방지용리브(20)와 접촉하여 상기 조절범위 구간내에서 회동하는 누름판(14)의 체결돌기(17)의 그 타측부가 회동시 그리게 되는 원주보다 체결돌기의 회전중심으로 부터 멀리 형성된다.
그리고, 영상표시기기의 경사각도 조절은 일정 경사각도로 상측받침대(11)상에 얹혀진 영상표시기기를 당기거나 밀게되면, 안내구멍(15)내에 위치하는 누름판(14)의 높이고정용봉(18)을 중심축으로 하여 안내구멍(15)에 의해 상측받침대(11)가 하측받침대(12)의 체결홈(21) 상에서 슬라이딩되면서 경사각도가 조절된다.
이때, 경사각도 조절범위는 상기 안내구멍(15)의 길이에 따라 결정되는 것이다.
한편, 시청자가 누름판(14)에 의해 조립완료된 받침대를 분리하고자 할 경우에는 하측받침대(12)에 형성된 제4도의 (b)에서와 같은 구조를 갖는 회동방지용턱(19)을 압압하면, 상기 누름판(14)의 하측에 형성된 체결돌기(17)가 회동방지용턱(19)에 걸리지 않고 분리되어질 수 있으므로, 상기 체결돌기(17)가 하측받침대(12)의 주심에 형성된 누름판고정홈(16)에서 쉽게 분리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고정나사를 사용하지 않고 별도의 누름판을 통해 경사회전 받침대의 조립 및 분해가 용이하도록 하면서 경사회전 받침대의 경사 및 회전각도를 균일하게 조절할 수 있어 제품의 신뢰도가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영상표기시기가 안착되어지면, 하측으로 일정 구면을 갖는 상측받침대와, 상측받침대가 안착되어 전후좌우로 슬라이딩 회전가능하도록 상기 형성된 구면과 대향되는 형상으로 받침대결합홈을 갖는영상표시기기의 경사 회전 받침 장치에 있어서, 상기 상측받침대(11)와 하측받침대(12)의 결합수단으로서, 상측받침대(11)의 회전시 함께 회전하면서 영상표시기기의 회전각도 조절을 위한 누름판(14)과, 상기 누름판(14)과 일체로 형성되어, 상측의 누름판(14)의 높이를 고정시키며, 영상표시기기의 경사각도를 제한하기 위한 높이고정용봉(18)과, 상기 누름판(14)과 일체로 형성되며, 높이고정용봉(18)의 하측으로 형성되어 상기 상측받침대(11)와 하측받침대(12)의 결합 및 영상표시기기의 회전각도를 제한하기 위한 체결돌기(17)와, 상측으로 얹혀지는 영상표시기기가 회전하게 됨에 따라 상기 누름판(14)이 함께 회동되어질 수 있도록 상기 상측받침대(11)에 형성되는 누름판(14)과의 결합부내측으로 형성되어 영상표시기기의 경사각도 제한 범위의 설정을 위한 안내구멍(15)과, 상기 안내구멍(15)을 통해 체결되는 누름판(14)의 하측으로 형성되는 체결돌기(17)가 결합되도록 하측받침대(12)의 받침대결합홈내에 형성되는 누름판고정홈(16)과, 누름판고정홈(16)내측에 결합되는 상기 체결돌기(17)의 고정 및 탈거를 용이하도록 하기 위하여 하측받침대(12)의 중심 일측에 형성되며, 체결돌기(17)가 초기결합되는 방향으로 일정경사면을 갖는 돌기로 형성되고, 외부로 부터 가해지는 힘에 대하여 일정 탄성력을 갖는 구조의 회종방지용턱(19)과, 회동방지용턱(19)과 대향되게 반대측에 위치하여 상기 체결돌기(17)의 회동을 방지하는 회동방지용리브(20)로 구성되며, 영상표시기기의 회전각도 조절 제한 범위의 설정은 체결돌기(17)가 회동방지용턱(19)과 회동방지용리브(20) 사이에서 회전하면서, 회동방지용턱(19)과 회동방지용리브(20)에 의해 결정되어지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기기의 경상회전 받침장치.
KR2019950019658U 1995-07-31 1995-07-31 영상표시기기의 경사회전 받침장치 KR013475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19658U KR0134756Y1 (ko) 1995-07-31 1995-07-31 영상표시기기의 경사회전 받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19658U KR0134756Y1 (ko) 1995-07-31 1995-07-31 영상표시기기의 경사회전 받침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7577U KR970007577U (ko) 1997-02-21
KR0134756Y1 true KR0134756Y1 (ko) 1999-03-20

Family

ID=194198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19658U KR0134756Y1 (ko) 1995-07-31 1995-07-31 영상표시기기의 경사회전 받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34756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6877B1 (ko) * 2018-05-04 2020-09-16 윤성욱 홀로그램을 구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7577U (ko) 1997-0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570892A (en) Tiltable rotating display monitor mount
US6601810B2 (en) Apparatus for positioning screen of monitor
US7014324B2 (en) Device for controlling projection lens shift in a projector
US6532628B2 (en) Hinge assembly for LCD monitor
US5374971A (en) Two-view video camera stand and support method
US5588625A (en) Monitor stand assembly
EP0221132A1 (en) PIVOTING AND TILTING DEVICE FOR SUPPORTING A STRUCTURE.
JP2002031469A (ja) 冷蔵庫のディスプレー装置の設置構造
JPS5814887A (ja) 傾斜、回転可能な支持台
KR20050037101A (ko) 디스플레이 장치
KR100236031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설치용 구조물
US5052262A (en) Cymbal tilt adjustment mechanism
KR0134756Y1 (ko) 영상표시기기의 경사회전 받침장치
EP0105076A1 (en) Ergonomic equipment arm
EP0722064B1 (en) A mounting apparatus
KR200364211Y1 (ko) 강의용 디스플레이장치의 힌지기구
JPH028193B2 (ko)
KR100344800B1 (ko) 영상표시기기의 시야각 조정장치
EP0795716A1 (en) Improved support particularly for viewers, microscopes, monitors, television sets or the like
KR940001690Y1 (ko) 영상표시 기기의 수평회전 조절장치
KR100275041B1 (ko) 영상표시기기의 회전 및 경사 조절장치
KR20040078328A (ko) 평면 디스플레이장치의 거치 구조
KR100451581B1 (ko)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
KR960014140B1 (ko) 액정표시부 각도조절장치
KR200315286Y1 (ko) 평판디스플레이기기의 경사조절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