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56877B1 - 홀로그램을 구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홀로그램을 구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56877B1
KR102156877B1 KR1020180051886A KR20180051886A KR102156877B1 KR 102156877 B1 KR102156877 B1 KR 102156877B1 KR 1020180051886 A KR1020180051886 A KR 1020180051886A KR 20180051886 A KR20180051886 A KR 20180051886A KR 102156877 B1 KR102156877 B1 KR 1021568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image
lid
folded
support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18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27356A (ko
Inventor
윤재필
윤성욱
Original Assignee
윤성욱
윤재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성욱, 윤재필 filed Critical 윤성욱
Priority to KR10201800518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6877B1/ko
Publication of KR201901273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273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68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68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H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 G03H1/00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using light, infrared or ultraviolet waves for obtaining holograms or for obtaining an image from them; Details peculiar thereto
    • G03H1/04Processes or apparatus for producing hologram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홀로그램을 구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되고 상부와 전면과 후면에 개구부가 형성되며 휴대단말기에서 제공되는 영상 또는 이미지의 투영이 용이하도록 내측과 외측 또는 내측만 검정색으로 도색이 이루어진 본체와; 전면패널와 후면패널 및 측면패널가 절첩되어 본체를 구성한 상태에서 내측에 복수의 끼움홈을 가지며 'U'자 형상으로 설치되는 보조패널과; 본체 내측에 소정 각도로 경사지게 설치되어 휴대단말기로부터 제공되는 영상 또는 이미지를 투영하며 휴대단말기와 본체 바닥패널 쪽에 놓이는 휴대단말기의 영상 또는 이미지가 서로 다른 방향으로 투영되는 투명패널과;투명패널을 통해 홀로그램영상이 투영되게 휴대단말기가 위치될 수 있도록 보조패널에 결합되는 투영판과; 본체 내측에 암실이 형성되도록 본체 상부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뚜껑을 포함하여 구성하며, 휴대단말기나 태블릿 PC 등의 영상 또는 이미지를 암막으로 이루어진 본체 내부에 경사상으로 배치된 투영판에 투영되고, 그 투영된 영상의 관람이 가능하게 되는 등 투영판에 출력되는 영상이 스크린이 아닌 공간에 떠 있는 홀로그램 효과의 디스플레이가 가능하여 영상의 심비감 향상과 입체감이 부여되는 등의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홀로그램을 구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Display device implementing hologram}
본 발명은 홀로그램을 구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영상출력장치에서 출력되는 영상을 투명패널에 투영 및 그 투영된 영상의 관람이 가능하게 하되, 영상의 심비감과 홀로그램 영상의 디스플레이가 가능하게 하는 홀로그램을 구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홀로그램은 기록매질에 참조광과 정보를 기록하고자 하는 물체로부터 반사된 광, 즉 물체광을 입사시켜 참조광과 물체광의 간섭패턴을 기록함으로써 만들어진다.
데니스 게이버(Dennis Garbor)가 홀로그램을 처음 발명한 이후 현재까지 가장 보편적인 방법은 E, Leith 등이 개발한 투 빔 투과 홀로그램(Two beam transmission hologram) 과 Denisyuk 등이 개발한 원 빔 반사 홀로그램(One beam reflection hologram) 그리고 N Phillips 등이 발전시킨 에지릿홀로그램(Edge-lit hologram) 등이 있다.
상기 투과형 홀로그램은 기록시 참조광과 물체광을 기록매질에 대해 같은 방향으로 입사시키며, 재생시에는 참조광이 기록매질에 기록된 홀로그램을 투과하도록 하여 참조광과 반대방향에서 홀로그램이 재생되도록 한다.
상기 반사형 홀로그램은 기록시 참조광과 물체광을 기록매질에 대해 반대방향으로 입사시키며, 재생시에는 참조광이 홀로그램을 반사하도록 하여 참조광과 같은 방향에서 홀로그램이 재생되도록 한다.
종래의 홀로그램을 재생하기 위해서는 아직까지 기술적으로 많은 문제점들이 있어서, 최근에는 시청자가 홀로그램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반사막을 이용하여 영상을 반사합성하여 3차원으로 보이도록 하는 기술이 제공되는데, 이러한 방식을 플로팅방식 홀로그램이라 한다.
이와 같은 플로팅 방식의 홀로그램은 최근에 공연이나 광고등에 사용되고 있으며, 특히 등록특허공보 제10-1532327호(20150623)와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467259호(20141125)에 개시된 바와 같이, 스마트폰을 연결하여 제작된 영상을 3차원 영상으로 감상함과 동시에 음악을 들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실물 캐릭터 상품을 삽입하여 스마트폰 앱을 통하여 이를 구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특징이다.
이를 위하여, 종래의 홀로그램장치는 스마트폰을 수납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고, 모터에 의하여 회전가능한 전후좌우측 패널을 구비하고, 자체 전원부 및 스피커등을 구비하여 수납된 스마트폰을 통하여 출력된 캐릭터를 3D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스마트폰에 저장된 캐릭터의 영상을 반사체를 이용하여 단순 출력하는 것으로서, 예를 들면, 서로 다른 객체를 표현하는 2개의 영상이 상호 개입되거나 간섭되어 객체가 상호 겹쳐지게 출력됨에 따라 입체감의 구현에 한계가 있어 보다 사실적인 영상의 구현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종래기술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78067호(2015.08.25.)의 "홀로그램을 구현할 수 있는 접이식 케이스"는 영상기기를 안착할 수 있는 삽입홈이 상면에 형성된 상판부; 상기 상판부의 하측에 조립되고, 외부에서 내부가 보이도록 개구부가 적어도 하나 형성된 측판부; 상기 측판부의 하측에 조립되는 하판부; 및 상기 측판부 내부에 상기 하판부의 상면을 기준으로 경사지게 설치되며 홀로그램 처리되어 영상이 입체적으로 보일 수 있도록 하는 스크린판을 포함하고, 상기 측판부는, 상기 개구부가 형성된 판형의 전면패널; 상기 전면패널의 일모서리와 연결되는 판형의 제1 측면패널; 상기 전면패널의 타모서리와 연결되는 판형의 제2 측면패널; 및 상기 전면패널에 대향되고, 상기 제1 측면패널 및 상기 제2 측면패널에 연결된 판형의 후면패널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측면패널 및 상기 제2 측면패널는 각각 적어도 하나의 접힘선을 구비하며, 상기 스크린판의 대향하는 양모서리에 각각 외향 돌출된 걸림부; 상기 제1 측면패널 및 상기 제2 측면패널의 각각 상부 모서리에 형성된 걸림홈; 및 상기 하판부의 상면에 일모서리와 평행하는 일직선의 지지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선행기술은 상부판에 영상기기가 안착된 상태에서 영상기기의 좌우폭에 대한 크기의 조절은 가능하나, 홀로그램 영상이 입체적으로 보이도록 스크린이 포함된 케이스의 각도를 조절할 수 없어 스크린을 통해 보여지는 영상이 항상 동일한 각도에서만 보여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또 다른 선행기술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655399호(2016.09.08)의 "이동단말기를 이용한 홀로그램 영상장치 및 그 방법"은 고유의 식별정보가 기록된 캐릭터 카드; 상기 캐릭터 카드에 기록된 고유 식별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고유 식별정보에 일치된 하나 이상의 영상 또는 이미지를 디스플레이의 분할 화면을 통하여 각각 출력하는 이동단말기; 및 상기 이동단말기의 분할 화면에서 출력되는 서로 다른 영상 또는 이미지가 포함된 하나 이상의 분할영상을 서로 다른 반사필름에 각각 반사시켜 하나의 입체 영상으로 출력하는 홀로그램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홀로그램 부재는 상기 이동단말기가 거치되는 상부패널; 바닥패널을 이루는 바닥패널에서 경사지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이동단말기의 분할 화면에서 각각 출력된 영상 중 어느 하나를 반사시키는 제1반사필름; 배면에서 직립된 배면패널의 내면에 고정되어 상기 이동단말기의 분할화면에서 각각 출력된 영상중 어느 하나를 반사시키는 제2반사필름; 및 상기 제1반사필름과 제2반사필름에서 각각 반사된 영상을 확대하도록 확대 렌즈가 구비된 전면패널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선행기술은 이동단말기의 영상을 단순하게 방향만을 바꿔 보여주는 것 이외에 별다른 기능이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홀로그램 부재의 내측 바닥패널에 부착되는 캐릭터이미지와 이동단말기를 통해 디스플레이 되는 영상의 이미지가 서로 겹치는 현상이 발생하므로 어떠한 영상을 보여주고자 하는지에 대한 의도를 파악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78067호(2015.08.25.)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655399호(2016.09.08)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휴대폰이나 태블릿 PC 등의 휴대단말기를 통해 출력되는 영상을 다양한 시각적인 효과를 주어 현실감이 있으면서도 심비감이 향상된 영상의 출력이 가능하게 하며, 특히 호기심이 많은 어린 아이들에게 교육용으로 적용시 호기심 및 흥미감의 유발로 학습 효과가 향상될 수 있도록 한 홀로그램을 구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되고 상부와 전면과 후면에 개구부가 형성되며 휴대단말기에서 제공되는 영상 또는 이미지의 투영이 용이하도록 내측과 외측 또는 내측만 검정색으로 도색이 이루어진 본체와; 전면패널과 후면패널 및 측면패널가 절첩되어 본체를 구성한 상태에서 내측에 복수의 결합홈을 가지며 'U'자 형상으로 설치되는 보조패널과; 투명패널을 통해 홀로그램영상이 투영되게 휴대단말기가 위치될 수 있도록 보조패널에 수평방향으로 결합되는 투명패널과; 본체 내측에 소정 각도로 경사지게 설치되어 휴대단말기로부터 제공되는 영상 또는 이미지를 투영하며 휴대단말기와 본체 바닥패널 쪽에 놓이는 휴대단말기의 영상 또는 이미지가 서로 다른 방향으로 투영되는 투영판과; 본체 내측에 암실이 형성되도록 본체 상부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뚜껑;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로그램을 구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본체는, 개구부가 형성된 전면패널과 개구부가 형성된 후면패널 및 전면패널과 후면패널 사이 및 후면패널 일측에 각각 형성되는 측면패널로 이루어져 전면패널와 후면패널 및 측면패널를 절첩할 수 있도록 구성되되, 상기 전면패널은 개구절첩편이 절첩 가능하게 개구부 및 개구부 하방향에 형성되는 끼움홈을 갖는 전면패널이 구성되고, 전면패널의 상방향과 측방향에 절첩되는 전면절첩패널이 형성되며, 본체의 바닥을 형성할 수 있도록 전면패널에 절첩가능하게 전면바닥패널이 형성되며, 모서리를 절첩할 수 있도록 전면바닥패널에 형성되는 모서리절첩패널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후면패널은 개구절첩편이 절첩 가능하게 개구부를 갖는 후면패널이 구성되고, 후면패널의 상방향과 하방향에 절첩되는 후면절첩패널이 형성되며, 본체의 바닥을 형성할 수 있도록 후면패널에 절첩 가능하게 후면바닥패널이 형성되며, 모서리를 절첩할 수 있도록 후면바닥패널에 형성되는 모서리절첩패널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측면패널은 전면패널과 후면패널 사이와 후면패널 일측에 측면끼움홈을 가지며 형성되는 측면패널이 구성되고, 상기 측면패널은 전면패널과 후면패널 사이와 후면패널 일측에 측면끼움홈을 가지며 형성되는 측면패널이 구성되고, 상기 측면패널의 상부에서 2단으로 절첩되게 형성되는 측면절첩패널이 형성되며, 전면바닥패널과 결합하여 본체 바닥을 형성할 수 있도록 측면패널에 형성되는 측면바닥패널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측면절첩패널은, 상부가 2단으로 절첩되어 보조패널의 결합홈에 절첩된 상태로 결합되어 절첩된 상태의 측면절첩패널이 펼쳐지는 것을 방지하는 것은 물론 보조패널의 결합홈에 결합된 투명패널을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뚜껑은, 직사각형 또는 삼각형 형태로 형상을 변형시켜 본체 상부에 결합되어 본체의 내측에 암실이 형성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뚜껑은, 뚜껑의 지붕을 형성할 수 있도록 제1뚜껑패널과 제2뚜껑패널이 구성되고, 제1뚜껑패널과 제2뚜껑패널 사이 및 제1뚜껑패널의 일측에 뚜껑의 측면을 구성하는 측면삼각패널로 구성되되, 상기 제1뚜껑패널은 상부가 절첩되게 구성되고 하부가 다단으로 절첩 가능하게 이루어지는 제1뚜껑패널본체를 구성하고, 제1뚜껑패널본체의 상단에는 제1끼움돌기가 형성되며, 제1끼움돌기가 형성된 위치에서 소정 거리가 이격된 위치에 제1뚜껑패널끼움홈이 형성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제2뚜껑패널은 상부가 절첩되게 구성되고 하부가 다단으로 절첩 가능하게 이루어지는 제2뚜껑패널본체를 구성하고, 제2뚜껑패널본체의 상단에는 제2끼움돌기가 형성되며, 제1끼움돌기가 결합되는 제2뚜껑끼움홈이 제2뚜껑패널본체에 형성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측면삼각패널은 상부가 소정 각도로 절첩되어 측면삼각패널이 삼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지게 삼각절첩패널이 복수로 형성되고, 하부가 다단으로 절첩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본체는, 하부에 받침판이 결합되어 휴대단말기에서 제공되는 영상 또는 이미지를 투영판에 의해 투영될 때 각도가 어느 한 각도로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받침판은, 본체 하부에 형성된 전면끼움홈, 후면끼움홈 및 측면끼움홈에 결합될 수 있도록 세방향에 받침판끼움돌기와 받침판고정홀에 결합되는 받침판고정돌기가 형성되는 받침판상부패널과; 받침판상부패널의 크기 및 형상이 동일하게 형성되어 받침판고정돌기가 결합되는 받침판고정홀이 형성되는 받침판하부패널과; 받침판상부패널과 받침판하부패널 사이 및 받침판상부패널 측면과 받침판하부패널 측면에 각각 형성되는 받침판측면패널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나 태블릿 PC 등의 영상 또는 이미지를 암막으로 이루어진 본체 내부에 경사상으로 배치된 투영판에 투영되고, 그 투영된 영상의 관람이 가능하게 되는 등 투영판에 출력되는 영상이 스크린이 아닌 공간에 떠 있는 홀로그램 효과의 디스플레이가 가능하여 영상의 심비감 향상과 입체감이 부여되는 등의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다양한 영상효과로 어린 아이들에게 교육용으로 적용시 호기심 및 흥미감이 유발되며, 이에 따른 학습능력이 현격히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각종 캐릭터와 같은 콘텐츠도 홀로그램 영상으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기 때문에 유희적인 기능을 갖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홀로그램을 구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분리사시도.
도 2는 도 1의 구성을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도 2의 결합된 상태의 구성을 나타낸 A-A선 단면도.
도 4는 도 2의 결합된 상태의 구성을 나타낸 B-B선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홀로그램을 구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본체 구성을 펼친 상태로 나타낸 전개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홀로그램을 구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뚜껑 구성을 펼친 상태로 나타낸 전개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홀로그램을 구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받침판 구성을 펼친 상태로 나타낸 전개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홀로그램을 구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휴대전자기기가 설치된 상태를 나탄내 사용상태도.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홀로그램을 구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휴대단말기가 고정된 상태를 나타낸 사용상태도.
도 10 및 11은 본 발명에 의한 홀로그램을 구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하부에 받침판을 설치하여 본체의 각도를 조절한 상태를 나타낸 사용상태도.
이하, 본 발명에 의한 홀로그램을 구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홀로그램을 구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분리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구성을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결합된 상태의 구성을 나타낸 A-A선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2의 결합된 상태의 구성을 나타낸 B-B선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홀로그램을 구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본체 구성을 펼친 상태로 나타낸 전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홀로그램을 구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뚜껑 구성을 펼친 상태로 나타낸 전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홀로그램을 구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받침판 구성을 펼친 상태로 나타낸 전개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홀로그램을 구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휴대전자기기가 설치된 상태를 나탄내 사용상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홀로그램을 구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휴대단말기가 고정된 상태를 나타낸 사용상태도이며, 도 10 및 11은 본 발명에 의한 홀로그램을 구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하부에 받침판을 설치하여 본체의 각도를 조절한 상태를 나타낸 사용상태도이다.
도 1 내지 1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에 의한 홀로그램을 구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는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되고 상부와 전면과 후면에 개구부(111, 131)가 형성되며 휴대단말기(800)에서 제공되는 영상 또는 이미지의 투영이 용이하도록 내측과 외측 또는 내측만 검정색으로 도색이 이루어진 본체(100)와, 전면패널(110)과 후면패널(130) 및 측면패널(150)과 절첩되어 본체(100)를 구성한 상태에서 내측에 복수의 결합홈(310)을 가지며 'U'자 형상으로 설치되는 보조패널(300)과, 홀로그램영상이 투영되게 휴대단말기(800)가 위치될 수 있도록 보조패널(300)에 수평방향으로 결합되는 투명패널(400)과, 본체(100) 내측에 소정 각도로 경사지게 설치되어 휴대단말기(800)로부터 제공되는 영상 또는 이미지를 투영하며 본체(100)의 상부쪽과 바닥 쪽에 놓이는 휴대단말기(800)의 영상 또는 이미지가 서로 다른 방향으로 투영되는 투영판(500)과, 본체 내측에 암실이 형성되도록 본체(100)의 상부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뚜껑(2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특징으로 이루어지는 본체(100), 뚜껑(200), 고정부재(600) 및 받침판(700)은 종이, 코팅종이, 필름지, 합성수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재질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은 형태로 본 발명의 홀로그램을 구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성할 수 있다면 재질을 한정하지 않고 다양한 재질을 이용하여 제작할 수 있다.
상기 휴대단말기는 스마트폰(smart phone), 타블렛 PC(Tablet PC),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등을 포함하고, 상기 스마트폰, 셀룰러폰, 태블릿 PC 등은 영상 또는 이미지를 구현할 수 있는 기능이 포함된 화면이 구성된다. 또한, 휴대단말기는 터치(touch), 터치 앤 드래그(touch and drag) 또는 음성인식 등에 의해 동작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체가 전개된 상태에서는 도 5와 같이 이루어진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본체(100)는 개구부(111)가 형성된 전면패널(110)과 개구부(111)가 형성된 후면패널(130) 및 전면패널(110)과 후면패널(130) 사이 및 후면패널(130) 일측에 각각 형성되는 측면패널(150)으로 이루어져 전면패널(110)과 후면패널(130) 및 측면패널(150)를 절첩되게 구성된다.
상기 전면패널(110)은 개구절첩편(112)이 절첩 가능하게 개구부(111) 및 개구부(111) 하방향에 형성되는 전면끼움홈(113)을 갖는 전면패널(110)이 구성되고, 전면패널(110)의 상방향과 측방향에 절첩되는 전면절첩패널(114)이 형성되며, 본체(100)의 바닥을 형성할 수 있도록 전면패널(110)에 절첩 가능하게 전면바닥패널(115)이 형성되며, 모서리를 절첩할 수 있도록 전면바닥패널(115)에 형성되는 모서리절첩패널(116)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전면끼움홈(113)에는 받침판(700)에 형성된 받침판끼움돌기(711)가 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후면패널(130)는 개구절첩편(132)이 절첩 가능하게 개구부(131)를 갖는 후면패널(130)이 구성되고, 후면패널(130)의 상방향과 하방향에 절첩되는 후면절첩패널(134)이 형성되며, 본체(100)의 바닥을 형성할 수 있도록 후면패널(130)에 절첩 가능하게 후면바닥패널(135)이 형성되며, 모서리를 절첩할 수 있도록 후면바닥패널(135)에 형성되는 모서리절첩패널(136)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후면패널(130)에는 후면끼움홈(133)이 형성되어 받침판(700)에 형성된 받침판끼움돌기(711)가 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측면패널(150)은 전면패널(110)과 후면패널(130) 사이와 후면패널(130) 일측에 측면끼움홈(151)을 가지며 형성된다. 상기 측면패널(150)의 상부에서 2단으로 절첩되어 보조패널(300)의 결합홈(310)에 결합되는 측면절첩패널(152)이 형성되며, 전면바닥패널(115)과 결합하여 본체(100)의 바닥을 형성하는 측면바닥패널(153)로 이루어진다.
상기 측면절첩패널(152)은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낚시바늘의 코 모양양과 같이 걸린상태가 빠지지 않도록 접혀진 상태와 같은 형태로 이루어져 보조패널(300)의 결함홈(310)에 인입된 상태에 쉽게 분리되지 못하도록 함은 물론 결합홈에 결합된 투명패널(400)의 결합된 상태가 빠지 않도록 한다.
상기 본체(100)의 바닥은 전면바닥패널(115)과 후면바닥패널(135)이 서로 교차되게 결합되면서 동시에 측면바닥패널(153)이 그 사이로 교차되게 결합이 이루어진다.
이때 전면바닥패널(115)에 형성된 모서리절첩패널(116)과 후면바닥패널(135)의 모서리절첩패널(136)은 측면바닥패널(153)과 함께 교차되도록 절첩하여 결합이 용이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본체(100)에는 복수의 고정부재(600)가 더 구성되고, 상기 고정부재(600)는 투명패널(400)에 위치되는 휴대단말기(800)의 크기에 따라 본체(100) 내측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복수의 고정부재(600)는 그 폭이 서로 다르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뚜껑(200)은 사용자에 따라 직사각형, 삼각형으로 이루어져 본체(100)의 상부에 결합되어 내측에 암실이 형성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뚜껑(200)을 전개도 상태로 도시하면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다.
상기 뚜껑(200)은 본체 상부에 결합되어 지붕을 형성할 수 있도록 제1뚜껑패널(210)과 제2뚜껑패널(230)이 구성되고, 제1뚜껑패널(210)과 제2뚜껑패널(230) 사이 및 제1뚜껑패널(210)의 일측에 뚜껑(200)의 측면을 구성하는 측면삼각패널(250)이 구성된다.
상기 제1뚜껑패널(210)은 상부가 절첩되게 구성되고 하부가 다단으로 절첩 가능하게 이루어지는 제1뚜껑패널본체(211)를 구성하고, 제1뚜껑패널본체(211)의 상단에는 제1끼움돌기(212)가 형성되며, 제1끼움돌기(212)가 형성된 위치에서 소정 거리가 이격된 위치에 제1뚜껑패널끼움홈(213)이 형성되는 것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2뚜껑패널(230)은 상부가 절첩되게 구성되고 하부가 다단으로 절첩 가능하게 이루어지는 제2뚜껑패널본체(231)를 구성하고, 제2뚜껑패널본체(231)의 상단은 제2끼움돌기(232)가 형성되며, 제1끼움돌기(212)가 결합되는 제2뚜껑끼움홈(233)이 제2뚜껑패널본체(231)에 형성된다.
상기 측면삼각패널(250)은 상부가 소정 각도로 절첩되어 삼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삼각절첩패널(251)이 복수로 형성되고, 하부가 다단으로 절첩되게 형성되는 측면절첩패널(252)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본체(100)의 하부에 받침판(700)이 결합되어 휴대단말기(800)에서 제공되는 영상 또는 이미지를 투영판(500)에 의해 투영될 때 각도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각삼각형 형태로 이루어져 사용자가 원하는 방향으로 기울어 질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받침판(700)이 전개된 상태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받침판(700)은 본체(100) 하부에 형성된 전면끼움홈(113), 후면끼움홈(133) 및 측면끼움홈(151)에 결합될 수 있도록 세방향에 받침판끼움돌기(711)와 받침판고정홀(731)에 결합되는 받침판고정돌기(712)가 형성되는 받침판상부패널(710)과, 받침판상부패널(710)의 크기 및 형상과 동일하게 형성되어 받침판고정돌기(712)가 결합되는 받침판고정홀(731)이 형성되는 받침판하부패널(730)과, 받침판상부패널(710)과 받침판하부패널(730) 사이 및 받침판상부패널(710) 측면과 받침판하부패널(730) 측면에 각각 형성되는 받침판측면패널(750)로 구성된다.
상기 받침판(700)의 전면과 후면에 위치되는 받침판측면패널(750)은 전면과 후면의 높이가 서로 다르게 형성되고, 또한, 받침판(700)의 측면에 위치되는 측면패널(150)은 삼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져 받침판(700)이 일측으로 기울어지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받침판상부패널(710)에 형성되는 받침판측면패널(750)에는 받침판하부패널(730)에 형성된 받침판고정홀(731)에 결합될 수 있도록 받침판결합돌기(751)가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의한 홀로그램을 구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는 본체(100) 상부에 설치된 투명패널(400)에 휴대단말기(800)를 올려 놓아 동영상 또는 이미지 가 투영판(500)으로 투영되도록 한다.
상기 휴대단말기(800)가 투명패널(400)에 올려진 상태에서 안정적으로 거치되는데, 이는 보조패널(300)에 형성된 결합홈(310)에 측면절첩패널(152)의 끝단이 낚시바늘의 코 모양으로 형성된 상태에서 끼워져 있기 때문에 접혀진 끝단이 보조패널(300)의 결합홈(310)의 내측 면에 걸려 인위적인 힘을 가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빠지지 않는다.
또한, 상기 측면절첩패널(152)의 낚시바늘의 코 모양으로 절첩된 부분이 보조패널(300)의 결합홈(310)의 내면에 밀착된 상태에서 펼쳐지려는 힘에 의해 결합홈(310)에 끼워진 투명패널(400)을 누르는 작용이 일어나면서 견고하게 고정하므로 휴대단말기(800)를 안정적으로 거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투명패널(400)에 올려 놓은 휴대단말기(800)가 움직이지 못하도록 고정부재(600)를 이용하여 고정할 수 있다.
상기 휴대단말기(800)를 고정한 상태에서 본체(100) 내측이 암실화 될 수 있도록 뚜껑(200)을 덮어 본체(100) 내부로 외부의 불빛이 유입되지 못하도록 한다.
상기 휴대단말기(800)를 통해 디스플레이되는 영상 또는 이미지를 본체(100)에 경사지게 형성된 투영판(500)으로 투영되어 본체(100)의 전면패널(110)에 형성된 개구부(111)를 통해 영상 또는 이미지를 관람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본체(100)의 바닥에 다른 휴대단말기(800)를 놓으면, 휴대단말기(800)에 디스플레이된 영상은 투영판(500)에 투영되는데, 본체(100) 상부에 놓은 휴대단말기(800)에서 디스플레이되는 영상 또는 이미지가 투영판에서 레이어되는 현상이 없기 때문에 서로 다른 영상 또는 이미지를 관람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투영판(500)으로 투영되는 영상 또는 이미지를 관람하기 위한 각도를 조정하기 위해서는 본체(100) 하부에 받침판(700)을 부착하는데, 이때 본체(100)의 바닥에 형성된 전면끼움홈(113)과 후면끼움홈(133) 및 측면끼움홈(151)에 받침판(700)의 받침판끼움돌기(711)를 결합하여 본체(100)의 각도를 조절한다.
상기와 같이 본체(100)의 각도를 받침판(700)을 이용하여 조절하므로 휴대단말기(800)로부터 투영되는 각도를 사용자의 눈높이에 맞게 조절하므로 투영되는 영상 또는 이미지의 관람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투명패널(400)을 이용한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는, 영상을 관람함에 있어, 단순히 휴대단말기(800)를 통해 디스플레이되는 영상의 관람이 아닌 투영판(500)에 투영되어 디스플레이 되는 영상의 관람이 가능한 것인바, 심비감과 입체감이 한층 더해진 영상의 관람이 가능하게 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다양한 영상효과로 어린 아이들에게 교육용으로 적용시 호기심 및 흥미감이 유발되어 이에 따른 학습 능력이 현격히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해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본체 110: 전면패널
111: 개구부 112: 개구절첩편
113: 전면끼움홈 114: 전면절첩패널
115: 전면바닥패널 116: 모서리절첩패널
130: 후면패널 131: 개구부
132: 개구절첩편 133: 후면끼움홈
134: 후면절첩패널 135: 후면바닥패널
136: 모서리절첩패널 150: 측면패널
151: 측면끼움홈 152: 측면절첩패널
153: 측면바닥패널 200: 뚜껑
210: 제1뚜껑패널 211: 제1뚜껑패널본체
212: 제1끼움돌기 213: 제1뚜껑패널끼움홈
230: 제2뚜껑패널 231: 제2뚜껑패널본체
232: 제2끼움돌기 233: 제2뚜껑끼움홈
250: 측면삼각패널 251: 삼각절첩패널
252: 측면절첩패널 300: 보조패널
310: 결함홈 400: 투명패널
500: 투영판 600: 고정부재
700: 받침판 710: 받침판상부패널
711: 받침판고정돌기 712: 받침판고정돌기
730: 받침판하부패널 731: 받침판고정홀
750: 받침판측면패널 751: 받침판결합돌기
800: 휴대단말기

Claims (7)

  1.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되고 상부와 전면과 후면에 개구부(111, 131)가 형성되며 휴대단말기(800)에서 제공되는 영상 또는 이미지의 투영이 용이하도록 내측과 외측 또는 내측만 검정색으로 도색이 이루어진 본체(100)와;
    전면패널(110)과 후면패널(130) 및 측면패널(150)이 절첩되어 본체(100)를 구성한 상태에서 내측에 복수의 결합홈(310)을 가지며 'U'자 형상으로 설치되는 보조패널(300)과;
    본체(100) 내측에 소정 각도로 경사지게 설치되어 휴대단말기(800)로부터 제공되는 영상 또는 이미지를 투영하며 본체(100)의 상부쪽과 바닥 쪽에 놓이는 휴대단말기(800)의 영상 또는 이미지가 서로 다른 방향으로 투영되는 투명패널(400)과;
    투명패널(400)을 통해 홀로그램영상이 투영되게 휴대단말기(800)가 위치될 수 있도록 보조패널(300)에 결합되는 투영판(500)과;
    본체 내측에 암실이 형성되도록 본체(100)의 상부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뚜껑(200);을 포함하며,
    상기 본체(100)는,
    개구부(111)가 형성된 전면패널(110)과 개구부(131)가 형성된 후면패널(130) 및 전면패널(110)과 후면패널(130) 사이 및 후면패널(130) 일측에 각각 형성되는 측면패널(150)으로 이루어져 전면패널(110)과 후면패널(130) 및 측면패널(150)을 절첩할 수 있도록 구성되되,
    상기 전면패널(110)은 개구절첩편(112)이 절첩 가능하게 개구부(111) 및 개구부(111) 하방향에 형성되는 전면끼움홈(113)을 갖는 전면패널(110)이 구성되고, 전면패널(110)의 상방향과 측방향에 절첩되는 전면절첩패널(114)이 형성되며, 본체(100)의 바닥을 형성할 수 있도록 전면패널(110)에 절첩가능하게 전면바닥패널(115)이 형성되며, 모서리를 절첩할 수 있도록 전면바닥패널(115)에 형성되는 모서리절첩패널(116)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후면패널(130)는 개구절첩편(132)이 절첩 가능하게 개구부(131)를 갖는 후면패널(130)이 구성되고, 후면패널(130)의 상방향과 하방향에 절첩되는 후면절첩패널(134)이 형성되며, 본체(100)의 바닥을 형성할 수 있도록 후면패널(130)에 절첩 가능하게 후면바닥패널(135)이 형성되며, 모서리를 절첩할 수 있도록 후면바닥패널(135)에 형성되는 모서리절첩패널(136)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측면패널(150)은 전면패널(110)과 후면패널(130) 사이와 후면패널(130) 일측에 측면끼움홈(151)을 가지며 형성되는 측면패널(150)이 구성되고, 상기 측면패널(150)에서 낚시바늘의 코 모양과 같이 절첩된 상태로 결합홈(310)에 결합되어 내면에 밀착된 상태에서 펼쳐지려는 힘에 의해 보조패널(300)과 투명패널(400)을 견고하게 고정하는 측면절첩패널(152)이 형성되며, 전면바닥패널(115)과 결합하여 본체(100) 바닥을 형성할 수 있도록 측면패널(150)에 형성되는 측면바닥패널(153)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로그램을 구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200)은,
    직사각형 또는 삼각형 형태로 형상을 변형시켜 본체(100)의 상부에 결합되어 본체(100)의 내측에 암실이 형성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로그램을 구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5.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200)은,
    뚜껑(200)의 지붕을 형성할 수 있도록 제1뚜껑패널(210)과 제2뚜껑패널(230)이 구성되고,
    제1뚜껑패널(210)과 제2뚜껑패널(230) 사이 및 제1뚜껑패널(210)의 일측에 뚜껑의 측면을 구성하는 측면삼각패널(250)로 구성되되,
    상기 제1뚜껑패널(210)은 상부가 절첩되게 구성되고 하부가 다단으로 절첩 가능하게 이루어지는 제1뚜껑패널본체(211)를 구성하고, 제1뚜껑패널본체(211)의 상단에는 제1끼움돌기(212)가 형성되며, 제1끼움돌기(212)가 형성된 위치에서 소정 거리가 이격된 위치에 제1뚜껑패널끼움홈(213)이 형성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제2뚜껑패널(230)은 상부가 절첩되게 구성되고 하부가 다단으로 절첩 가능하게 이루어지는 제2뚜껑패널본체(231)를 구성하고, 제2뚜껑패널본체(231)의 상단에는 제2끼움돌기(232)가 형성되며, 제1끼움돌기(212)가 결합되는 제2뚜껑끼움홈(233)이 제2뚜껑패널본체(231)에 형성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측면삼각패널(250)은 상부가 소정 각도로 절첩되어 삼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삼각절첩패널(251)이 복수로 형성되고, 하부가 다단으로 절첩되게 형성되는 측면절첩패널(252)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로그램을 구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00)는,
    하부에 받침판(700)이 결합되어 휴대단말기(800)에서 제공되는 영상 또는 이미지를 투영판(500)에 의해 투영될 때 각도가 어느 한 각도로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로그램을 구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판(700)은,
    본체(100) 하부에 형성된 전면끼움홈(113), 후면끼움홈(133) 및 측면끼움홈(151)에 결합될 수 있도록 세방향에 받침판끼움돌기(711)와 받침판고정홀(731)에 결합되는 받침판고정돌기(712)가 형성되는 받침판상부패널(710)과;
    받침판상부패널(710)의 크기 및 형상과 동일하게 형성되어 받침판고정돌기(712)가 결합되는 받침판고정홀(731)이 형성되는 받침판하부패널(730)과;
    받침판상부패널(710)과 받침판하부패널(730) 사이 및 받침판상부패널(710) 측면과 받침판하부패널(730) 측면에 각각 형성되는 받침판측면패널(750);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로그램을 구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180051886A 2018-05-04 2018-05-04 홀로그램을 구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1568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1886A KR102156877B1 (ko) 2018-05-04 2018-05-04 홀로그램을 구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1886A KR102156877B1 (ko) 2018-05-04 2018-05-04 홀로그램을 구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7356A KR20190127356A (ko) 2019-11-13
KR102156877B1 true KR102156877B1 (ko) 2020-09-16

Family

ID=685350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1886A KR102156877B1 (ko) 2018-05-04 2018-05-04 홀로그램을 구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5687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28753B1 (ko) * 2022-11-25 2024-01-24 마케톤 주식회사 모바일 홀로그램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8501499A (ja) * 2014-09-22 2018-01-18 ディルション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Dilussion Inc. ホログラムを実現可能な折畳式ケース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34756Y1 (ko) * 1995-07-31 1999-03-20 구자홍 영상표시기기의 경사회전 받침장치
KR101655399B1 (ko) 2016-01-28 2016-09-08 (주)에스엠에이 이동단말기를 이용한 홀로그램 영상장치 및 그 방법
KR200486243Y1 (ko) * 2016-08-31 2018-04-19 주식회사딜루션 홀로그램 영상 표시용 접이식 박스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8501499A (ja) * 2014-09-22 2018-01-18 ディルション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Dilussion Inc. ホログラムを実現可能な折畳式ケース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7356A (ko) 2019-1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98849B2 (en) Portable information device case and video picture display device case
JP6143161B2 (ja) 表示装置
CN104797972B (zh) 显示装置
KR200486243Y1 (ko) 홀로그램 영상 표시용 접이식 박스
KR102156877B1 (ko) 홀로그램을 구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US9910409B2 (en) Exhibition device and video picture exhibition method
KR101848353B1 (ko) 홀로그램 영상 구현을 위한 스마트폰용 홀로그램 투사장치
KR20160000214U (ko) 입체 홀로그램 감상이 가능한 접이식 티켓 구조
JP6583954B2 (ja) 展示装置および映像展示方法
KR20210127866A (ko) 홀로그램 영상표시장치
JP5997605B2 (ja) 表示装置
US6125564A (en) Shadow box type transparency display device
KR101805442B1 (ko) 교육용 모듈식 사이언스 큐브 키트
KR20210014840A (ko) 교육용 홀로그램 영상 모듈형 키트
KR102180023B1 (ko) 사운드 반응형 홀로그램 영상장치
KR20160080901A (ko) 영상 제공 장치 및 시스템
US6046850A (en) Stereoscope apparatus
JP3203294U (ja) 映像表示装置組立キット
CN211264518U (zh) 基于伪全息投影技术的幼儿教具
KR200438172Y1 (ko) 반사판을 구비한 광고용 장식품
JP3215743U (ja) 箱型空間映像結像装置
CN214083581U (zh) 一种沉浸式剧场展示的立体书
NL2012541B1 (en) Presentation device for providing a three dimensional viewing experience.
Sostek et al. Promoting IMGD Through Play
NL2009561C2 (en) Presentation device for providing a three dimensional viewing experien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