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10845A - 디스크 장치 - Google Patents

디스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10845A
KR20000010845A KR1019980708987A KR19980708987A KR20000010845A KR 20000010845 A KR20000010845 A KR 20000010845A KR 1019980708987 A KR1019980708987 A KR 1019980708987A KR 19980708987 A KR19980708987 A KR 19980708987A KR 20000010845 A KR20000010845 A KR 200000108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k
stocker
disc
stockers
st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7089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06354B1 (ko
Inventor
히데다카 와타나베
시게히로 이토
다카시 마쓰다
요시사다 이시모토
Original Assignee
가와무라 히로도시
미쓰비시덴키 엔지니어링 가부시키가이샤
기타오카 다카시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와무라 히로도시, 미쓰비시덴키 엔지니어링 가부시키가이샤, 기타오카 다카시,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가와무라 히로도시
Publication of KR200000108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08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063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06354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7/00Guid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 G11B17/02Details
    • G11B17/04Feeding or guiding single record carrier to or from transducer unit
    • G11B17/05Feeding or guiding single record carrier to or from transducer unit specially adapted for discs not contained within cartridges
    • G11B17/051Direct insertion, i.e. without external loading mea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7/00Guid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 G11B17/02Details
    • G11B17/021Selecting or spacing of record carriers for introducing the head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7/00Guid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 G11B17/02Details
    • G11B17/04Feeding or guiding single record carrier to or from transducer unit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7/00Guid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 G11B17/02Details
    • G11B17/04Feeding or guiding single record carrier to or from transducer unit
    • G11B17/0401Details
    • G11B17/0402Servo control
    • G11B17/0404Servo control with parallel drive roller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7/00Guid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 G11B17/22Guid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from random access magazine of disc records
    • G11B17/221Guid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from random access magazine of disc records with movable magazine
    • G11B17/223Guid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from random access magazine of disc records with movable magazine in a vertical direction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7/00Guid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 G11B17/22Guid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from random access magazine of disc records
    • G11B17/26Guid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from random access magazine of disc records the magazine having a cylindrical shape with vertical axi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7/00Guid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 G11B17/22Guid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from random access magazine of disc records
    • G11B17/30Guid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from random access magazine of disc records wherein the playing unit is moved according to the location of the selected record

Landscapes

  • Automatic Disk Changers (AREA)
  • Feeding And Guiding Record Carriers (AREA)
  • Holding Or Fastening Of Disk On Rotational Shaft (AREA)

Abstract

디스크가 배치되어 있는 장소를 공용할 수 있고, 장치 전체를 소형화할 수 있는 디스크 장치이다.
디스크(R)의 회전축선을 각각 대략 일치시켜서 디스크(R)를 수납하는 여러개의 스토커(501,502,503,504)와, 이들 스토커(501,502,503,504)를 소정위치까지 이동시키는 스토커 이동수단(510,520)과, 스토커(501,502,503,504)에 수납된 디스크(R)를 회전 구동하는 디스크 구동수단(400)을 구비하고 스토커 이동수단(510,520)은 지령에 따라 , 소망하는 스토커와 다른 스토커 사이에 간격(θ1)을 설치하도록 소망하는 스토커나 다른 스토커의 적어도 어느한쪽을 이동시키는 동시에 소망하는 스토커의 소정면에 대향하는 스토커와 소망하는 스토커 사이에 설치된 간격(θ2)만을 더욱 크게 설치하도록 소망하는 스토커나, 소망하는 스토커의 소정면에 대향하는 스토커의 적어도 어느한쪽을 이동시키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디스크 장치
도 106 은 종래의 일반적인 복수의 디스크를 선택적으로 동작가능케하는 디스크 장치의 요측단면도, 도 107 은 요부 단면도를 표시한다.
도 106, 도 107에서 1 은 교환용 디스크가 스납된 매거진 2 는 디스크 회전구동부이고, 디스크 회전구동부(2)는 디스크 회전용모터(3)와, 이 디스크 회전용 모터(3)의 축상에 설치된 디스크 크램프허브(13)와, 디스크 크램퍼(4)와 매거진(1)내에 설치되고, 구동수단(도시않음)에 의해 구동되는 구동레버(5)에 의해 송출된 디스크(8)를 디스크의 회전구동부(2)에 송출하는 디스크 롤러(6)와 디스크 회전구동부(2)를 지지하는 광체(7)에 고정된 구동축(9)와 구동수단에 의해 도면중 A 방향으로 동작하는 경사판 캠(10)과 상하 가이드판(11)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디스크 장치에서는 매거진(1)에 수납된 복수매의 디스크(8)를 호출할 때, 구동축(9), 경사판 캠(10), 상하가이드판(11)이 각각 연동하고, 디스크 회전구동부(2)를 도면중 B 방향으로 이동시켜, 매거진(1)내의 소망하는 디스크의 위치에서 위치결정하도록 되어 있다.
이와같이 종래의 디스크 장치는 매거진(1)내에 수납되어 있는 디스크와, 디스크 회전구동부(2)측에서 회전하는 디스크가 평면 영역내에서 완전히 독립된 상태에서 구성되기 때문에 디스크 장치의 길이, 즉 D치수가 커진다는 문제가 발생하였었다.
그래서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예를들어 일본국 특개소 63- 200354 호 공보에 기재된 것이 제안되고 있고, 도 108 은 요부의 측면에서 단면을 표시하는 요부측 단면도, 도 109 는 요부의 상면에서의 단면을 표시하는 요부단면도이다.
도 108, 도 109에서 19 는 교환용 디스크가 수납된 매거진, 21 은 디스크 회전용모터, 22 는 디스크 회전용 모터(21)의 축상에 설치된 디스크 크램프허브, 23 은 디스크 크램퍼이다.
26 은 구동수단(도시않음)에 의해 구동되는 구동레버(24)에 의해 송출된 디스크(25)를 디스크의 회전구동부로 송출하는 디스크롤러, 27 은 디스크 롤러(26)와 대향하는 종동롤러이다.
또, 32 는 매거진(19)내의 복수의 트레이(31)에 게합되고, 디스크 회전구동부(20)에 대해, 매거진 이동수단(도시않음)에 의해 선택된 디스크(25)의 회전축심 방향으로 적어도 디스크의 판두께 이상의 공간 E를 디스크의 면방향이동시에 설치되도록 작용하는 한쌍의 경사판 캠이다.
여기서 디스크 회전구동부(20)는 디스크 회전용 모터(21), 디스크 크램프허브(22), 디스크 크램퍼(23), 구동레버(24), 디스크(25), 디스크롤러(26), 종동롤러(27) 및 경사판 캠(32)로 구성되어 있다.
다음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매거진(19)내에 수납된 복수개의 디스크(25)의 어느것인가를 호출할때에는 구동수단에 의해 매거진(19)을 도면중 화살표 F 방향으로 이동시켜, 매거진(19)내의 소망하는 디스크위치에서 위치결정한다.
그리고 매거진(19)내의 구동레버(24)가 동작해서, 디스크(25)가 매거진내의 디스크 가이드부(35)를 미끄러져 움직여, 디스크 회전구동부(20)의 디스크롤러(26)과 종동롤러(27)사이에 디스크 (25)의 선단이 물려, 디스크 롤러(26)의 회동에 의해, 디스크 크램퍼(23) 및 디스크 회전용모터(21)의 축상에 설치된 디스크 크램프허브(22)의 위치로 보내진후 디스크 검출수단(도시않음)에 의해, 디스크(25)의 크램프 위치를 확인하고, 구동수단에 의해 디스크 크램퍼(23) 및 디스크롤러(26)종동축 롤러(27)가 디스크 크램프허브(22)방향으로 이동되고, 디스크(25)가 크램프된다.
또 종동축 롤러(27)가 디스크 크램프허브(22)방향으로 이동하는 동시에, 디스크 회전구동부(20)에 설치된 한쌍의 경사판캠(32)이 구동수단에 의해 매거진(19)측으로 이동하고, 트레이(31)를 도 108b 에 표시된바와같이 적당한 간극 E 가 형성되도록 경사시키도록 되어 있다.
종래의 디스크 장치는 이상과 같이 구성되어 있으므로 매거진 케이스를 필요로 함으로써, 한 장씩 선택적으로 삽탈할 수 없는 점이나, 디스크 장치가 대형화해버린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 종래의 디스크 장치는 가반형 매거진케이스를 사용하기 위해 디스크 장치내에서 디스크가 수납되어 있는 각각의 수납선반을 분해하는 것은 기술적으로 어렵고, 디스크 재생시에 재생하는 디스크와 대향하는 디스크와의 간격을 취할 때, 일단만 개구할 수밖에 없으므로, 간격을 크게 할 때, 그 크기만큼 장치내에 공간을 설치할 필요가 생겨 디스크 장치도 대형화된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 종래의 디스크 장치는, 가반형 매거진 케이스를 사용하기 때문에, 디스크 장치내에서 디스크가 수납되어 있는 각각의 수납선반을 각 수납선반마다에 경사지게 분할하는 것은 극히 어렵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 디스크 장치내의 공간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디스크 장치가 대형화한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된 것으로 복수개의 디스크를 제거 가능한 매거진 없이도 수납해서 각각 동작하는 즉, 각각의 디스크를 선택적으로 삽입,배출 또는 재생등의 동작을 하도록 구성해도, 소형화가 가능한 디스크 장치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또, 본 발명은 디스크 수납위치와 디스크 재생위치가 다르도록 구성해도, 스페이스절약의 디스크 장치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또 본 발명은 디스크를 삽입 또는 배출할때는 디스크를 협지하고, 디스크 재생하는 또는 디스크를 교환할때는 디스크를 협지하는 쌍방의 롤러부를 이동시킴으로써, 디스크에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장치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발명의 개시]
본 발명에 관한 디스크 장치는, 디스크의 회전축선을 각각 대략 일치시켜서 디스크를 수납하는 여러개의 스토커와 이 스토커를 소정위치까지 이동시키는 스토커 이동수단과, 스토커에 수납된 디스크를 회전 구동하는 디스크 구동수단을 구비하고, 스토커 이동수단은 지령에 따라, 희망하는 스토커와 다른 스토커 사이에 간극을 설치하도록 희망하는 스토커와 다른 스토커의 적어도 어느한쪽을 이동시키는 동시에 희망하는 스토커의 소정면에 대향하는 스토커와 희망하는 스토커 사이에 설치된 간극만을 더욱 크게 설치하도록 소망의 스토커이거나 소망하는 스토커의 소정면에 대향하는 스토커의 적어도 어느한쪽을 이동시키도록 한 것이다.
이로써, 디스크가 동작을 할 때 동작대상이 되는 디스크와 이 인접하는 디스크와의 간극에 디스크 구동수단을 이동시킬수가 있고, 그러므로 디스크가 배치되어 있는 장소를 공용할 수 있고, 디스크 장치를 소형화할 수 있다.
또 스토커 이동수단은 소망하는 스토커와 다른 스토커 사이에 간극을 두도록 소망하는 스토커이거나 다른 스토커의 적어도 어느 한쪽을 이동시키는 동시에 디스크 구동수단의 적어도 일부가 배치되도록 소망하는 스토커와 이 소망하는 스토커에 인접하는 스토커 사이의 간극만을 더욱 크게 설치하도록 소망하는 스토커이거나 소망하는 스토커에 인접된 스토커의 적어도 어느한쪽을 이동시킨다.
이로써, 디스크가 동작을 할 때, 동작대상이 되는 디스크와 이 인접하는 디스크의 간극에 디스크 구동수단을 이동시킬 수가 있고, 그러므로 디스크가 배치되어 있는 장소를 공용할 수 있고, 디스크 장치를 소형화할 수 있다.
또, 스토커 이동수단은, 스토커의 높이를 조절하는 제1의 조절수단과 스토커를 디스크의 반송로에 대해 대략 평행인 방향으로의 동작을 조절하는 제2의 조정수단을 설치한 것이다.
이로써, 스토커를 상하방향 및 전후방향으로 자유롭게 이동시킬 수가 있고, 디스크 장치의 신뢰성이 향상된다.
또, 본 발명은 스토커의 측부에 凸부를 설치하고, 제1의 조절수단은, 스토커에 설치된 철부와 계합하는 동시에, 스토커의 높이를 조절하는 여러개의 요부를 형성하고, 스토커의 높이를 조절할 때, 여러개의 요부로부터 희망하는 높이에 따른 요부를 선택하고, 이 선택된 요부에 상기 철부를 걸어맞추도록 한 것이다.
이로써, 스토커의 높이의 조절을 확실하게 할 수가 있고, 디스크 장치의 신뢰성을 손상하지 않고 기구의 간소화를 도모할 수가 있다.
또 본 발명은, 스토커의 측부에 철부를 설치하고, 제1의 조절수단은 스토커에 설치된 철부에 계합되는 요부와, 스토커중, 요부에 계합되지 않는 스토커만을 분리시키는 분리부를 형성하고, 스토커의 높이를 조절할 때, 소망하는 스토커에 설치된 철부를 요부에 계합시키는 동시에, 분리부가 요부에 계합하지 않는 다른 스토커를 소망하는 스토커로부터 분리하도록 한 것이다.
이로써, 간단한 기구에 의해 인접하고 있는 스토커의 간극을 확실하게 크게할 수 있는 다시말해 분리시킬 수 있는 디스크 장치의 신뢰성이 더욱 향상된다.
또, 본 발명은 스토커 이동수단과 디스크 구동수단을 연동시키는 연동제어수단 설치한 것이다. 이로써, 디스크 장치 전체의 동작을 동시에 하고, 오동작등이 방지되고 디스크 장치의 신뢰성이 향상된다.
또, 스토커 이동수단은, 디스크 미수납의 스토커가 존재하는 동시에 디스크 구동수단이 비구동상태일 때, 스토커를 디스크 삽입구 근방에 미리 배치해 두도록 한 것이다.
이로써, 디스크 장치내에 디스크를 수납할 때, 즉시 수납시킬 수가 있고, 디스크에의 소정동작의 개시를 빠르게 할 수 가 있다. 이로써 사용자의 편리성이 향상된다.
또, 스토커 이동수단은 지령에 따라 소망하는 스토커를 디스크 삽입구 근방에 미리 배치하도록 한 것이다.
이로써, 사용자가 디스크를 디스크 장치내에 수납하기 위해 여러개 존재하는 스토커로부터 공스토커를 선택하는 번거러움이 제거되고 사용자의 편리성이 향상된다.
또, 스토커 이동수단은 디스크의 반송을 할 때, 여러개의 스토커의 높이를 일체로 동작시키도록 한 것이다. 이로써, 스토커의 이동시간을 단독할 수 있고, 디스크 장치의 편리성이 향상된다.
또, 스토커 이동수단은, 디스크 구동수단이 동작할 때, 소망하는 스토커와 다른 스토커 사이에 간극을 설치하도록 소망하는 스토커이거나 다른 스토커의 적어도 어느 한쪽을 이동시키는 동시에 소망하는 스토커 소정면에 대향하는 스토커와 소망하는 스토커 사이에 설치된 간극만을 더욱 크게 설치하도록 소망하는 스토커 소망의 스토커의 소정면에 대향하는 스토커의 적어도 어느 한쪽을 이동시키도록 된 것이다.
이로써, 더욱 크게 설치한 간극에 디스크 구동수단이 침입되고, 디스크의 반송방향에서의 스페이스를 작게할 수가 있고, 디스크 장치를 소형화 할 수가 있다.
또, 본 발명은 디스크의 회전 축선을 각각 대략 일치시켜서 디스크를 수납하는 복수의 스토커와, 이들 스토커를 소정위치까지 이동시키는 스토커 이동수단과, 디스크를 회전구동시키는 동시에 디스크의 반송로에 대해 대략 평행하게 디스크 반송로의 한쪽에서 다른쪽까지 이동가능하게 설치한 디스크동작부와 디스크를 보존하는 동시에 디스크 반송로에 대해 대략 평행하게 디스크반송로의 한쪽에서 다른쪽까지 이동가능하게 설치한 디스크 크램퍼부와 디스크 반송로를 끼고 대치하도록 설치되고, 디스크 반송로내에 반송되는 디스크의 양면을 잡도록해서 반송하는 제1, 제2의 디스크롤러와 디스크동작부가 동작할 때, 제1의 디스크롤러와 대향하는 디스크의 면사이에 간극을 설치하도록 제1의 디스크롤러를 디스크면에 대해 대략 수직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1의 롤러이동수단과 디스크동작부가 동작할 때 제2의 디스크롤러와 대향하는 디스크의 면사이에 간극을 설치하도록 제2의 디스크롤러를 디스크면에 대해 대략 수직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2의 롤러이동수단을 구비한 것이다.
이로써, 디스크 동작부의 동작범위중 다른 부재의 동작범위와 공유시킬 수가 있고, 디스크 장치를 소형화 시킬 수가 있다.
또, 스토커 이동수단은 지령에 따라, 소망하는 스토커와 다른 스토커 사이에 간극을 두도록 소망하는 스토커나 다른 스토커의 적어도 어느 한쪽을 이동시킨다.
이로써 소망하는 스토커와 다른 스토커의 간격에 디스크 동작부의 적어도 한부분을 끼워넣을 수가 있으므로 디스크 장치를 소형화할 수 있는 동시에 디스크의 동작위치에의 이동거리를 짧게 할수가 있으므로, 디스크의 동작개시까지에 걸리는 시간을 짧게 할수가 있고 디스크 장치의 신뢰성이 향상된다.
또, 본 발명은 제1, 제2의 디스크롤러가 동작할 때, 스토커 이동수단과 디스크 크램퍼부와, 디스크 동작부가 연동한다.
이로써, 디스크에 대한 소망하는 동작을 원활하게 제어할 수가 있고, 디스크 장치의 신뢰성이 향상된다.
또, 스토커에 디스크를 계지시키는 계지수단을 설치하고 이 계지수단은 스토커의 위치에 따라 디스크를 계지시키는 힘의 크기를 조절하도록 하였다.
이로써, 디스크를 수납할 스토커를 이동시킬 때, 계지수단에 의해 디스크는 견고하게 계지되어 있으므로, 디스크가 스토커로 부터 탈락하는 일이 없고 디스크 장치의 신뢰성이 향상된다.
본 발명은 디스크 장치에 관해 특히 제거 가능한 매거진을 사용하지 않고 여러개의 디스크를 선택적으로 동작가능하게 하는 디스크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1은 실시의 형태 1을 표시하는 디스크 장치의 개략구성을 표시하는 사시도
도2는 도 1에 표시한 디스크 장치의 디스크 로딩기구 요부를 표시하는 사시도
도3은 도 1에 표시한 디스크 장치의 디스크 로딩기구 요부를 표시하는 사시도
도4는 도 1에 표시하는 디스크 장치의 디스크 로딩기구 요부와 디스크 삽입시의 관계를 설명하는 설명도
도5는 도 1에 표시하는 디스크 장치의 디스크 로딩기구 요부와 디스크 삽입시의 관계를 설명하는 설명도
도6은 도 1에 표시하는 디스크 장치의 디스크 로딩기구 요부의 정면구성 및 동작상태를 표시하는 상태도
도7은 도 1에 표시하는 디스크 장치의 디스크 로딩기구 요부의 상면구성 및 동작상태를 표시하는 상태도
도8은 도 1에 표시하는 디스크 장치의 디스크 로딩기구 요부의 측면 상부구성 및 동작상태를 표시하는 상태도
도9는 도 1에 표시하는 디스크 장치의 디스크 로딩기구 요부의 측면 하부구성 및 동작상태를 표시하는 상태도
도10은 도 1에 표시하는 디스크 장치의 디스크 크램퍼부의 구성을 표시하는 상면도 및 정면 단면도
도11은 도 10에 표시하는 디스크 장치의 디스크 크램퍼부 요부의 측면 동작상태를 표시하는 상태도
도12는 도 10에 표시하는 디스크 장치의 디스크 크램퍼부의 동작상태를 표시하는 상태도 및 디스크 크램퍼부 요부의 측면의 동작상태를 표시하는 상태도
도13은 도 10에 표시하는 디스크 장치의 디스크 크램퍼부의 동작상태를 표시하는 상태도 및 디스크 크램퍼부 요부의 측면의 동작상태를 표시하는 상태도
도14는 도 10에 표시하는 디스크 장치의 디스크 크램퍼부의 동작상태를 표시하는 상태도 및 디스크 크램퍼부 요부의 측면의 동작상태를 표시하는 상태도
도15는 도 10에 표시하는 디스크 장치의 디스크 크램퍼부의 동작상태를 표시하는 상태도 및 디스크 크램퍼부 요부의 측면의 동작상태를 표시하는 상태도
도16은 도 10에 표시하는 디스크 장치의 디스크 크램퍼부 요부의 동작상태를 표시하는 상태도
도17은 도 1에 표시하는 디스크 장치의 디스크 재생부 요부의 구성을 표시하는 상면도 및 측면 단면도
도18은 도 17에 표시하는 디스크 재생부 요부를 이동시키는 기구의 구성을 표시하는 상면도 및 정면 단면도
도19는 도 17에 표시하는 디스크 재생부 요부를 도 18에 표시하는 기구에 부착한 상태를 표시하는 상면도 및 정면 단면도
도20은 도 19에 표시하는 디스크 장치 요부의 동작상태를 표시하는 측면 상태도이다.
도21은 도 17에 표시하는 디스크 재생부 요부를 이동시키는 기구의 동작상태를 표시하는 상면도 및 정면 단면도
도22는 도 17에 표시하는 디스크 재생부 요부를 도 21에 표시하는 동작상태의 기구에 부착한 상태를 표시하는 상면도 및 정면 단면도
도23은 도 17에 표시하는 디스크 재생부 요부를 이동시키는 기구의 동작상태를 표시하는 상면도 및 정면 단면도
도24는 도 17에 표시하는 디스크 재생부 요부를 표시하는 동작상태의 기구에 부착한 상태를 표시하는 상면도 및 정면 단면도
도25는 도 19에 표시하는 디스크 장치 요부의 동작상태를 표시하는 측면 상태도
도26은 도 19에 표시하는 디스크 장치 요부의 동작상태를 표시하는 측면 상태도
도27은 도 19에 표시하는 디스크 장치 요부의 동작상태를 표시하는 측면 상태도
도28은 도 19에 표시하는 디스크 장치 요부의 동작상태를 표시하는 측면 상태도
도29는 도 1에 표시하는 디스크 장치의 디스크 수납기구 요부의 구성을 표시하는 구성 분해도
도30은 도 29에 표시하는 디스크 수납기구 요부를 조립상태를 표시하는 사시도
도31은 도 30에 표시하는 디스크 수납기구 요부의 동작을 표시하는 설명도
도32는 도 30에 표시하는 디스크 수납기구 요부의 동작을 표시하는 설명도
도33은 도 1에 표시하는 디스크 장치 요부의 동작개요를 설명하는 설명도
도34는 도 1에 표시하는 디스크 장치 요부의 동작개요를 설명하는 설명도
도35는 도 1에 표시하는 디스크 장치 요부의 동작개요를 설명하는 설명도
도36은 도 1에 표시하는 디스크 장치의 디스크 수납기구 요부의 구성을 표시하는 상면도
도37은 도 1에 표시하는 디스크 장치의 디스크 수납기구 요부의 구성을 표시하는 상면도 및 분해도
도38은 도 37에 표시하는 디스크 수납기구 요부의 분해도
도39는 도 38에 표시하는 디스크 수납기구 요부의 동작을 설명하는 설명도
도40은 도 36∼ 도 38에 표시하는 디스크 수납기구 요부의 동작상태를 설명하는 설명도
도41은 도 36∼ 도 38에 표시하는 디스크 수납기구 요부의 동작상태를 설명하는 설명도
도42(a),(b),(c),(d),(e)는 도 36∼ 도 38에 표시하는 디스크 수납기구 요부의 동작상태를 표시하는 상태도
도43(a),(b),(c),(d),(e)는 도 36∼ 도 38에 표시하는 디스크 수납기구 요부의 동작상태를 표시하는 상태도
도44(a),(b),(c),(d),(e)는 도 36∼ 도 38에 표시하는 디스크 수납기구 요부의 동작상태를 표시하는 상태도
도45(a),(b),(c),(d),(e)는 도 36∼ 도 38에 표시하는 디스크 수납기구 요부의 동작상태를 표시하는 상태도
도46(a),(b),(c),(d),(e)는 도 36∼ 도 38에 표시하는 디스크 수납기구 요부의 동작상태를 표시하는 상태도
도47(a),(b),(c),(d),(e)는 도 36∼ 도 38에 표시하는 디스크 수납기구 요부의 동작상태를 표시하는 상태도
도48(a),(b),(c),(d),(e)는 도 36∼ 도 38에 표시하는 디스크 수납기구 요부의 동작상태를 표시하는 상태도
도49(a),(b),(c),(d),(e)는 도 36∼ 도 38에 표시하는 디스크 수납기구 요부의 동작상태를 표시하는 상태도
도50(a),(b),(c),(d),(e)는 도 36∼ 도 38에 표시하는 디스크 수납기구 요부의 동작상태를 표시하는 상태도
도51(a),(b),(c),(d),(e)는 도 36∼ 도 38에 표시하는 디스크 수납기구 요부의 동작상태를 표시하는 상태도
도52(a),(b),(c),(d),(e)는 도 36∼ 도 38에 표시하는 디스크 수납기구 요부의 동작상태를 표시하는 상태도
도53(a),(b),(c),(d),(e)는 도 36∼ 도 38에 표시하는 디스크 수납기구 요부의 동작상태를 표시하는 상태도
도54(a),(b),(c),(d),(e)는 도 36∼ 도 38에 표시하는 디스크 수납기구 요부의 동작상태를 표시하는 상태도
도55(a),(b),(c),(d),(e)는 도 36∼ 도 38에 표시하는 디스크 수납기구 요부의 동작상태를 표시하는 상태도
도56(a),(b),(c),(d),(e)는 도 36∼ 도 38에 표시하는 디스크 수납기구 요부의 동작상태를 표시하는 상태도
도57(a),(b),(c),(d),(e)는 도 36∼ 도 38에 표시하는 디스크 수납기구 요부의 동작상태를 표시하는 상태도
도58(a),(b),(c),(d),(e)는 도 36∼ 도 38에 표시하는 디스크 수납기구 요부의 동작상태를 표시하는 상태도
도59(a),(b),(c),(d),(e)는 도 36∼ 도 38에 표시하는 디스크 수납기구 요부의 동작상태를 표시하는 상태도
도60(a),(b),(c),(d),(e)는 도 36∼ 도 38에 표시하는 디스크 수납기구 요부의 동작상태를 표시하는 상태도
도61(a),(b),(c),(d),(e)는 도 36∼ 도 38에 표시하는 디스크 수납기구 요부의 동작상태를 표시하는 상태도
도62(a),(b),(c),(d),(e)는 도 36∼ 도 38에 표시하는 디스크 수납기구 요부의 동작상태를 표시하는 상태도
도63(a),(b),(c),(d),(e)는 도 36∼ 도 38에 표시하는 디스크 수납기구 요부의 동작상태를 표시하는 상태도
도64는 도 36∼ 도 38에 표시하는 디스크 수납기구 요부의 동작상태를 표시하는 상태도
도65는 도 36∼ 도 38에 표시하는 디스크 수납기구 요부의 동작상태를 표시하는 상태도
도66은 도 36∼ 도 38에 표시하는 디스크 수납기구 요부의 동작상태를 표시하는 상태도
도67은 도 1에 표시한 디스크 장치 전체의 기본동작을 설명하는 상면도 및 측면 단면도
도68은 도 1에 표시한 디스크 장치 전체의 기본동작을 설명하는 상면도 및 측면 단면도
도69는 도 1에 표시한 디스크 장치 전체의 기본동작을 설명하는 상면도 및 측면 단면도
도70은 도 1에 표시한 디스크 장치 전체의 기본동작을 설명하는 상면도 및 측면 단면도
도71는 도 1에 표시한 디스크 장치 전체의 기본동작을 설명하는 상면도 및 측면 단면도
도72는 도 1에 표시한 디스크 장치 전체의 기본동작을 설명하는 상면도 및 측면 단면도
도73은 도 1에 표시한 디스크 장치 전체의 기본동작을 설명하는 상면도 및 측면 단면도
도74는 도 1에 표시한 디스크 장치 전체의 기본동작을 설명하는 상면도 및 측면 단면도
도75는 도 1에 표시한 디스크 장치 전체의 기본동작을 설명하는 상면도 및 측면 단면도
도76은 도 1에 표시한 디스크 장치 전체의 기본동작을 설명하는 상면도 및 측면 단면도
도77은 도 1에 표시한 디스크 장치 전체의 기본동작을 설명하는 상면도 및 측면 단면도
도78은 도 1에 표시한 디스크 장치 전체의 기본동작을 설명하는 상면도 및 측면 단면도
도79는 도 1에 표시한 디스크 장치 전체의 기본동작을 설명하는 상면도 및 측면 단면도
도80은 도 1에 표시한 디스크 장치 전체의 기본동작을 설명하는 상면도 및 측면 단면도
도81은 도 1에 표시한 디스크 장치 전체의 기본동작을 설명하는 상면도 및 측면 단면도
도82는 도 1에 표시한 디스크 장치 전체의 기본동작을 설명하는 상면도 및 측면 단면도
도83은 도 1에 표시한 디스크 장치 전체의 기본동작을 설명하는 상면도 및 측면 단면도
도84는 도 1에 표시한 디스크 장치 전체의 기본동작을 설명하는 상면도 및 측면 단면도
도85는 도 1에 표시한 디스크 장치 전체의 기본동작을 설명하는 상면도 및 측면 단면도
도86은 도 1에 표시한 디스크 장치 전체의 기본동작을 설명하는 상면도 및 측면 단면도
도87은 도 1에 표시한 디스크 장치 전체의 기본동작을 설명하는 상면도 및 측면 단면도
도88은 도 1에 표시한 디스크 장치 전체의 기본동작을 설명하는 상면도 및 측면 단면도
도89는 도 1에 표시한 디스크 장치 전체의 기본동작을 설명하는 상면도 및 측면 단면도
도90은 도 1에 표시한 디스크 장치 전체의 기본동작을 설명하는 상면도 및 측면 단면도
도91은 도 1에 표시한 디스크 장치 전체의 기본동작을 설명하는 상면도 및 측면 단면도
도92는 도 1에 표시한 디스크 장치 전체의 기본동작을 설명하는 상면도 및 측면 단면도
도93은 도 1에 표시한 디스크 장치 전체의 기본동작을 설명하는 상면도 및 측면 단면도
도94는 도 1에 표시한 디스크 장치 전체의 기본동작을 설명하는 상면도 및 측면 단면도
도95는 도 1에 표시한 디스크 장치 전체의 기본동작을 설명하는 상면도 및 측면 단면도
도96은 도 1에 표시한 디스크 장치 전체의 기본동작을 설명하는 상면도 및 측면 단면도
도97은 실시의 형태 2를 표시하는 디스크 장치의 디스크 로딩기구 요부의 정면구성 및 동작상태를 표시하는 상태도
도98은 도 97에 표시하는 디스크 장치의 디스크 로딩기구 요부의 상면구성 및 동작상태를 표시하는 상태도
도99는 도 97에 표시한 디스크 장치의 디스크 로딩기구 요부의 측면 상부구성 및 동작상태를 표시하는 상태도
도100은 실시의 형태 2를 표시하는 디스크 장치의 디스크 로딩기구 요부의 정면구성 및 동작상태를 표시하는 상태도
도101은 도 100에 표시하는 디스크 장치의 디스크 로딩기구 요부의 상면구성 및 동작상태를 표시하는 상태도
도102는 도 100에 표시하는 디스크 장치의 디스크 로딩기구 요부의 측면 하부구성 및 동작상태를 표시하는 상태도
도103은 실시의 형태 3을 표시하는 디스크 장치의 디스크 로딩기구 요부의 정면구성 및 동작상태를 표시하는 상태도
도104는 도 103에 표시하는 디스크 장치의 디스크 로딩기구 요부의 측면 하부구성 및 동작상태를 표시하는 상태도
도105는 도 103에 표시하는 디스크 장치의 디스크 로딩기구 요부의 측면구성 및 동작상태를 표시하는 상태도
도106은 종래의 디스크 장치를 표시하는 개략구성도
도107은 종래의 디스크 장치의 측면을 표시하는 측면단면도
도108은 종래의 디스크 장치의 상부를 표시하는 상부단면도
도109는 종래의 디스크 장치의 측면을 표시하는 측면단면도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
실시의 형태 1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상술하기 위해, 첨부한 도면에 따라 이를 설명한다.
도 1은 실시의 형태 1에 관한 디스크 장치 내부의 개략구성을 표시하는 사시도이다. 이 디스크 장치는, 각각의 기구로부터 크게 3개 부분으로 나눌수가 있다.
제1은 디스크를 삽입할 때, 소정위치까지 반입 또는 반출하는 디스크 반입출기구, 제2는 디스크를 수납하는 여러개의 수납부를 설치하고, 디스크 재생시에는 각 수납부간에 소정의 간극을 두고, 각 수납부를 소정의 위치에 배치하는 디스크 수납기구, 제3은 디스크를 재생시킬 때, 소정위치에서 보존하고, 재생하는 디스크 보존 재생기구이다.
여기서, 이 디스크 장치의 기본적인 동작을 설명한다.
우선 디스크 반입출기구가 장치내에 디스크를 반입할 때, 디스크 수납기구가 작동하고, 지정 또는 자동적으로 디스크 수납부를 디스크 반입출기구에 인접하도록 이동시켜서 배치한후, 디스크를 디스크 수납부에 수납한다.
이때 디스크 수납부와 디스크 반입출기구는 인접해 있으므로 디스크 반입출기구의 동작만의 힘으로 디스크 수납부에 수납되도록 되어있다.
다음, 디스크 수납기구에 디스크를 수납한후, 디스크 수납부가 원래 배치되어 있던 위치까지 이동하고, 재생등의 동작지령이 주어질때까지 대기한다. 또는 자동적으로 다음 동작으로 이행한다.
또, 재생등의 동작지령을 받으면 디스크 보존기구 및 디스크 수납기구가 서로 동작함으로써, 디스크 수납기구의 디스크 수납부가 디스크를 보존하면서 소정의 동작위치, 즉 재생등의 디스크 동작위치까지 디스크를 이동시켜서 동작이 개시된다.
다음, 디스크를 동작하고 있을 때, 디스크의 동작을 종료시키면 디스크보존 재생기구 및 디스크수납기구는 디스크 동작위치에서 디스크를 보존하면서 디스크 수납기구에 수납시켜, 재생등의 동작지령이 주어질 때 까지 대기한다.
또는 자동적으로 다음의 동작으로 이행한다.
또, 디스크의 배출지령을 받으면 디스크 수납기구는, 자동선택적으로 또는 지정한 디스크 수납부를 디스크 반입출기구에 인접하는 위치까지 이동하고 디스크 수납부에서 수취한 디스크를 디스크 장치외로 배출한다.
이 디스크 장치의 기본적인 동작은 이상과 같으나, 이하 우선 디스크 장치 전체의 구성을 설명하고, 계속해서 상술한 각각의 3개의 기구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1. 디스크 장치의 전체구성〕
도 1에서, 100은 디스크 장치의 광체, 101은 디스크를 디스크 장치내, 즉 광체(100)내에 삽입 또는 배출하는 디스크 삽입구, 102는 디스크 삽입구(101)와 스토커 501∼504(후술한다)사이에서 디스크를 반송시키는 디스크 반송로이다.
또, 200은 광체(100)내에 디스크를 삽입 또는 배출하는 디스크 로딩부이고, 이 디스크 로딩부(200)는 디스크의 라벨면에 대면하는 위치에 설치된 상부 디스크 롤러(201)와 디스크를 끼고 상부 디스크롤러(201)와 대향하는 위치에 설치된 하부 디스크롤러(202)등으로 구성되어있다.
300은 디스크 로딩부(200)가 디스크를 끌어들여, 일단 디스크 수납기구(후술한다)에 디스크를 수납한후, 조작부(도시않음)로 부터의 재생지령에 의해 재생동작 위치에 배치한 디스크 R의 상방에서 디스크 재생부(400)(후술한다)를 행해 압압해서 보존하는 디스크 크램퍼부이다.
이 디스크 크램퍼부(300)는 디스크를 압압 보존하는 크램퍼(301)와, 디스크의 재생동작위치까지 이동시키기 위해 C 또는 D방향으로 회동해서 크램퍼(301)를 디스크에 맞닿이게 하는 크램퍼암(302)과 크램퍼(301)의 손잡이부(3012)를 잡고 위로 들어올리는 리프트암(303)으로 구성되어있다.
400은 디스크를 회전구동시키고, 디스크에 기억되어 있는 정보를 판독하는 디스크 재생부이고, 키 디스크 재생부(400)는 디스크를 재치하는 장소가 설치된 디스크 턴테이블(401)과, 이 디스크 턴테이블(401)에 재치된 디스크를 회전구동하는 디스크 구동모터(402)와 디스크에 기록되어있는 정보를 판독하는 픽업부(403)로 구성되어있다.
500은 디스크 롤러부(200)가 삽입한 디스크를 수납하는 디스크 수납기구이고, 이 디스크 수납기구(500)는 삽입구(101)에서 삽입되는 디스크면에 대략 평행하게 복수 즉 이 실시의 형태 1에서는 4장의 디스크가 수납되도록 4개의 스토커(501∼504)(이하, 제1의 스토커 501, 제2의 스토커 502, 제3의 스토커 503, 제4의 스토커 504라고 칭한다)등으로 구성되어있다.
또, 이들 제1의 스토커(501)∼제4의 스토커(504)는 각각 한 장의 디스크가 수납되는 동시에 각 디스크의 회전축선을 대략 일치시켜서 디스크를 수납하도록 되어있다.
전체의 개략구성은 이상과 같고, 이하 각 기구마다에 상세하게 설명한다.
〔2. 디스크 반입출기구〕
도 1, 도 2에서, 디스크 로딩부(200)를 포함하는 디스크 반입출기구는, 디스크 R를 삽입구(101)에서 삽입했을 때, 상부 디스크롤러(201)는 A방향, 즉 반시계 방향으로 하부 디스크롤러(202)는 B방향,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디스크롤러부(200)에 인접하는 소정의 스토커, 예를들면 제1의 스토커(501)에 디스크 R를 수납시키는 것이다.
또, 상기한 도 1, 도 2에 표시한 바와 같이 상부 디스크롤러(201)와 하부 디스크롤러(202)가 함께 회동하도록 설명하였으나, 한쪽만 회동하고, 다른쪽은 디스크 R쪽에 맞닿여서 움직이는 것만으로 해, 회동하지 않도록 해도 되는 것은 말할 필요가 없다.
도 2는 도 1에 표시하는 디스크 장치의 상부 디스크롤러(201)와 하부 디스크롤러(202)가 디스크를 꼭 잡은 상태를 표시하는 설명도, 도 3은 도 1에 표시한 디스크 장치의 상부 디스크롤러(201)와 하부 디스크롤러(202)가 디스크를 잡은 상태에서 개방시킨 상태를 표시하는 설명도이다.
이들 도 2, 도 3을 사용해서 디스크 반입출기구에 대해 설명한다.
도 2는 디스크를 반송할 때의 상부 디스크롤러(201)와 하부 디스크롤러(202)의 위치관계를 표시하고 있고, 양롤러의 간극을 D1 이라고 하면 디스크 R를 잡고있을 때의 D1은 디스크의 두께인 1.2mm가 된다.
이때 실제로 디스크 R과의 위치관계는, 도 4에 디스크 R 협지시의 상태를 도 5에 디스크 R 개방상태를 표시한다.
다음, 도 6∼ 도 9를 사용해서 디스크롤러부(200)의 동작기구에 관한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하고, 또 상부 디스크롤러(201)의 동작 및 하부 디스크롤러(202)의 동작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여기서, 도 6은 디스크롤러부(200)의 정면부의 구성 및 동작상태를 표시하는 요부 정면도, 도 7은 디스크롤러부(200)의 상면의 구성 및 동작상태를 표시하는 요부 상면도, 도 8은 상부 디스크롤러(201)의 측면의 구성 및 동작상태를 표시하는 상부 디스크롤러 측면도, 도 9는 하부 디스크롤러(202)의 측면의 구성 및 동작상태를 표시하는 디스크롤러 측면도이고, 도 8, 도 9는 이 실시의 형태 1에서는 좌측면을 표시하고 있다.
또, 도 6∼도 9는 각각(a)∼(d)의 4도를 표시하고 있고, (a)는 디스크 R 미삽입상태, (b)는 디스크 R의 삽입반송 동작상태, 즉 디스크 R 협지상태, (c)는 예를들면 디스크 R를 재생위치로 이동시킬 때에, 상부 디스크롤러(201)와 하부 디스크롤러(202)의 간극을 크게하고, 디스크 R를 그 간격내에 배치하는 양롤러의 간격이 최대가 되는 도중의 상태, (d)는 양롤러가 최대의 간격이 되는 디스크 R의 재생동작을 하고 있는 상태를 표시하고 있고 양롤러의 간격이 최소에서 최대가 되는 과정 및 디스크 R 삽입에서 재생할 때까지의 과정을 표시하고 있고, (a)→(b)→(c)→(d)의 순으로 동작이 진행된다.
203은 상부 디스크롤러(201)와 하부 디스크롤러(202)와의 간격의 크기를 조절하는 롤러오픈 캠플레이트이고, 이 롤러오픈 캠플레이트(203)는 본체(2031)와 캠부(2032)로 형성되어있다.
여기서, 롤러오픈 캠플레이트(203)의 본체(2031)에는 상부 또는 하부디스크롤러(201),(202)측의 일단에 광체(100)내에 설치된 베이스핀(도시않음)을 접동축으로해서 A또는 B방향으로 접동시키는 접동공(20311)을 설치하고, 타단에 링크부(209)의 핀(2092)(각각 후술한다)를 C 또는 D 방향으로 접동시키는 접동공(20312)이 설치되어있다.
또, 롤러오픈 캠플레이트(203)의 캠부(2032)에는, 상부 롤러암(204)의 일부에 설치된 핀(2041)(각각 후술한다)를 접동시키는 명사를 갖고 접동공(20321)과 캠부(2032)의 주연부의 일부에 하부 디스크롤러(202)의 선단에 형성된 핀(2022)이 맞닿도록 경사부(20322)를 형성하고 있다.
다음, 204는 상부 디스크롤러(201)의 일단(2011)를 잡고있는 동시에, 롤러오픈 캠플레이트(203)의 캠부(2032)의 접동공(20321)내를 접동시키는 핀(2041)과 광체(100)내에 설치된 베이스핀(도시않음)이 감합되는 지지공(204)을 형성한 롤러암이다.
또, 이 경우 상부 디스크롤러(201)의 일단(2011)과 핀(2041)은 별체로 형성하고 있으나, 핀(2041)을 일단(2011)으로 대용해도 된다.
또, 205는 일단에는 하부 디스크롤러(202)의 선단에 축부재가 형성된 연설부(2022)의 일부를 잡고있는 하부 롤러지지부(2051)와 타단에는 광체(100)내에 설치된 베이스핀(도시않음)이 감합되는 지축공(2052)을 형성한 하부롤러 암이다.
또, 206은 일단에는 접동공(20312)에 감합하는 핀(2061)과 광체(100)내에 설치된 베이스핀(도시않음)이 감합되는 지축공(2062)과 타단의 주연부에는 슬라이더(304)(후술한다)가 당접하는 슬라이더 당접부(2063)을 형성한 오픈링크이다.
다음, 상기한 디스크 반입출기구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우선, 도 6∼ 도 9의 (a)도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디스크 R가 삽입되어있지 않을 때는 슬라이더(304)는 삽입구(101)측, 즉 B측에 오픈링크(206)의 핀(2061)은 D측에 위치된다.
이때, 상부롤러암(204)의 핀(2041)은 접동공(20321)에 대해 도 8에 표시한 바와 같이 좌단에 위치하므로 상부 디스크롤러(201)의 위치는 변화하지 않고, 상부롤러암(204)의 위치는 변화하지 않는다.
또, 하부 롤러보조부(2051)가 지지하는 하부 디스크롤러(202)의 연설부(2022)는, 롤러오픈 캠플레이트(203)의 위치가 변화되지 않으므로, 탄성부재(도시않음)에 의해 항시 상부 디스크롤러(201)측에 작동되고있고, 이 때문에 경사부(20322)의 상부 디스크롤러에 가장 근접한 장소에 당접하고 이 위치가 하부 디스크롤러(202)의 위치가 된다.
또, 이때의 상부 디스크롤러(201)와 하부 디스크암(202)의 가장 근접하는 간격은, 디스크 R의 일반적인 두께(예를 들어 1.2mm)보다 약간 얇고(예를들면 0.5mm)로 하고, 디스크의 두께의 흐트러짐을 흡수하는 동시에 디스크를 잡고있을 때의 협지압력을 충분히 발휘하고, 롤러로부터 디스크의 탈락을 방지하도록 되어있다.
다음, 상기한 동작상태에서 디스크 R를 삽입구(101)로부터 삽입했을 때는, 도 6∼도 9(b)에 표시한 대로의 동작상태가 되고 상부 디스크롤러(201)와 하부 디스크롤러(202)가 가장 근접하는 간격이 상술한 바와 같이 디스크의 두께보다 얇게 되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롤러의 회전등에 의해 디스크를 끌어들이면, 간격이 디스크의 두께까지 열린다.
이 동작이외는 (a)와 같으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또, 도 6∼도 9(b)에 표시한 동작후, 일단 삽입한 디스크 R를 스토커에 수납하고, 조작부(도시않음)에서 디스크 R의 재생지령을 조작하면 도 6∼도 9(c)에 표시한 바와 같은 동작을 한다.
이 도 6∼도 9(c)에 표시하는 도면은, 디스크 재생부(400)가 디스크 재생위치까지 이동할 때의 롤러의 개방동작 도중상태를 표시한 도면이고, 디스크 재생부(400)를 이동시키도록 연결한 슬라이더(304)가 A방향으로 이동하는 도중상태이다.
슬라이더(304)에는 오픈링크(206)에 설치된 당접부(2063)에 당접하는 당접부(3041),(3042)가 형성되어있고, 도 7(c)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슬라이더(304)의 A방향에서 이동에 따라 링크부(206)가 지축공(2062)에 감합된 지축(도시않음)을 중심으로 C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위해 링크부(206)의 핀(2061)이 롤러오픈 캠플레이트(203)의 접동공(20312)내를 C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접동한다.
또, 롤러오픈 캠플레이트(203)는, A 또는 B방향으로만 이동하기 때문에, 오픈링크(206)의 C방향에의 회전이동중, A방향으로의 이동성분에만 의해 롤러오픈 캠플레이트(203)에 전달되어 A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또, 상술한대로, 롤러오픈 캠플레이트(203)가 A방향으로 이동한다.
즉, 도 8(c)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E방향으로 이동함으로, 상부 롤러암(204)은, 핀(2041)이 롤러오픈 캠플레이트(203)의 접동부(20321)내를 F방향으로 접동하고 이 접동부(20321)은 F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부 롤러암(204)를 G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형성되어있으므로 해서, 상부 롤러암(204), 즉 이 상부롤러암(204)이 지지하는 상부 디스크롤러(201)를 G방향으로 이동시킨다.
또, 상술한 대로, 롤러오픈 캠플레이트(203)가 A방향으로 이동한다.
즉, 도 9(c)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I 방향으로 이동함으로, 하부 롤러암(205)은, 하부 디스크롤러(202)의 연설부(2022)의 주연부에 K방향으로 압압하게 되어, 다시 말하면 지축공(2052)에 감합된 지축(도시않음)을 중심으로 K방향으로 회전하기 때문에, 롤러오픈 캠플레이트(203)의 경사부(20322)에 따라 K방향으로 회전하고 하부 롤러암(205)이 지지하는 하부 디스크롤러(202)와 K방향으로 이동한다.
따라서, 슬라이더(304)의 동작에 따라 도 6(c)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d3의 간격을 취할 수가 있다.
최후로, 상술한 도 6∼도 9(c)로 부터 슬라이더(304)가 도 7에 표시하는 A방향으로 이동하면, 디스크 R 재생시의 동작상태는 도 6∼ 도9(d)에 표시하는 바와 같게되고, 도 7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슬라이더(304)는 A방향으로 또 이동하기 때문에 오픈링크(206)은 (C)의 상태로 부터 다시 C방향으로 회전하고, 롤러오픈 캠플레이트(203)를 다시 A방향으로 이동시킨다.
또,도면에 표시한 대로 오픈링크(206)의 슬라이더 당접부(2063)와 슬라이더(304)의 당접부가 평행하게 위치한 상태에서 슬라이더(304)만 A방향으로 이동도중 일때는, 오픈링크(206)를 d방향으로 되돌리려는 힘이 작용해도 슬라이더(304)는 B방향으로 되돌리는 힘이 작용하지 않는다.
따라서, 롤러오픈 캠플레이트(203)는 A방향으로 끝까지 간 위치에서 지지되어있다.
이때, 도 8에 표시한 바와 같이, 상부 롤러암(204)의 핀(2041)은 롤러오픈 캠플레이트(203)의 접동공(20321)의 F측 종단근방까지 접송하고 상부 디스크롤러(201)가 다시 G방향으로 이동해서 지지된다.
또, 도 7에 표시한 바와 같이 슬라이더(304)는 A방향으로 다시 이동해서 도 9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롤러오픈 캠플레이트(203)의 경사부(20322)가 J방향의 종단부까지 K방향으로 하부 디스크롤러(202)의 연설부(2022)를 이동하도록 압압함으로써, 하부 디스크롤러(202)는 다시 K방향으로 이동해 여기서 지지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디스크 반입출기구는 구성되어 있으므로 도 6에 표시하는 바와 같은 일련의 동작을 할 수 있다.
즉, 도 6(a)에 표시하는 디스크 미삽입의 경우 상부 디스크롤러(201)와 하부 디스크롤러(202)의 간격을 d1으로 하면, 도 6(b)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디스크 삽입시에는 디스크이 두께만큼(두께: d2 라고 한다)이 간격 d2가 되고, 도 6(c)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디스크를 재생하는 준비를 개시할때에 롤러오픈 캠플레이트(203)가 디스크 R의 반입방향으로 이동함으로, 간격을 크게 하도록 상부 디스크롤러(201)는 위쪽으로, 하부 디스크롤러(202)는 아래쪽으로 이동시켜(간극: d3), 도 6(c)의 재생준비로부터 재생동작을 시작할 때는, 동작도 6(d)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간격 d4가 취해지도록 구성되어있다.
이때의 간격의 크기는 d1 <d2 <d3 <d4로 되어있다.
또, 디스크 R의 재생을 중지하고, 디스크를 배출할 때, 즉 상술한 동작의 역을 실시할때는 도 6∼도 9(d)→(c)→(b)→(a)의 순으로 동작한다.
〔3. 디스크지지 재생기구〕
디스크지지 재생기구에는, 크게 나누어 디스크를 위에서 압압해서 지지하는 디스크 크램퍼부(300)와, 디스크의 재생동작을 할 때에 디스크를 재치해서 회전시켜 재생하는 디스크 재생부(400)와 디스크 크램퍼부(300)와 디스크 재생부(400)와의 쌍방을 이동시키는 이동기구부의 3개로 구성되어있고, 디스크 구동수단은 주로 디스크 재생부(400)가 구성하고 있다.
이하, 우선 디스크 크램퍼부(300)의 상세한 설명을 하고 다음, 디스크재생부(400)의 상세한 설명을 한다.
〔3-1. 디스크 크램퍼부〕
도 10, 도 11을 사용해서 디스크 크램퍼부(300)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여기서, 도 10은 디스크 크램퍼부(300)와 그 주변부재의 구성을 표시하는 구성도이고, (a)는 상면도, (b)는 (a)의 정면 단면도이다.
또, 도 11은 도 10의 요부 상세도이고, (a)는 우측면 단면도, (b)는 슬라이퍼의 좌측면 방향의 형상을 표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10, 도 11에서, 301은 크램퍼이고, 이 크램퍼(301)는 디스크면에 대향하는 장소에 설치된 디스크와 당접하는 당접부(3011)와 리프트암(303)의 잡는부(3031)(후술한다)에 걸어서 들어올리는 잡는부(3012)를 형성하고 있다.
302는 크램퍼(301)를 지지하는 크램퍼암이고, 이 크램퍼암(302)은 베이스부(306)에 설치된 축부(3061)(후술한다)가 삽입되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지축공(3021)과, 리프트암(303)에 형성된 접동공(3034)(후술한다)에 삽입되어 접동하는 핀(3022)과, 링크부(305)에 형성된 핀(3051)(후술한다)이 삽입되어 접동하는 접동공(3023)을 형성하고 있다.
또, 303은 크램퍼부(301)를 지지하는 동시에 스프링(307)(후술한다)에 의해 상시 위쪽에 작동되어있는 리프트암이고, 이 리프트암(303)은 크램퍼(301)에 설치된 잡는부(3012)을 잡아올리는 잡는부(3031)와, 크램퍼암(302)에 대해 이 개소를 축으로 해서 리프트암(303)을 회동시키는 지축부(3032)와, 베이스부(306)에 설치된 축부(3061)(후술한다)가 삽입되고 회동가능하게 지지되는 접동공(3033)과, 크램퍼암(302)에 설치된 핀(3022)을 접동시키는 접동공(3034)과, 링크부(305)에 형성된 핀(3051)(후술한다)이 삽입되어 접동하는 접동공(3035)을 형성하고 있다.
다음, 304는 슬라이더이고, 이 슬라이더(304)는 A 또는 B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일단(3041)이 베이스부(306)(후술한다)에 연결되고, 또 타단에는 핀(3042)이 설치되고, 이 핀(3042)이 링크부(305)의 접동공(3053)(후술한다)에 삽입되어 접동하도록 구성되어있다.
또, 305는 링크부이고, 이 링크부(305)는, 크램퍼암(302)의 접동공(3023)과 리프트암(303)의 접동공(3035)에 삽입해서 접동하는 핀(3051)과 베이스부(306)(후술한다)에 대해, 이 개소를 축으로 해서 링크부(305)를 회동(3042)이 삽입되어 접동하는 접동공(3053)으로 구성되어있다.
또, 306은 디스크 미수납시의 스토커(501)에 대해 대략 평행하게 디스크 롤러부(200) 근방에 설치된 베이스부이고, 이 베이스부(306)는 크램퍼암(302)의 지축공(3021)과 리프트암(303)의 접동공(3035)에 삽입되는 지축(3061)과, 슬라이더(304)가 이동할 때, 슬라이더(304)의 일단(3041)을 당접시켜서 이동시키는 당접부(3062)가 형성되어있다.
또, 307은 스프링으로 형성된 작동부이고, 이 작동부(307)는 일단이 크램퍼암(302)에 타단이 리프트암(303)에 연결되어있다.
다음 도10∼도16을 사용해서 설명한다.
도 10 및 도 11은 재생동작의 지령을 아직 받지않은 상태를 표시하는 상태도, 도 12는 재생동작의 지령을 받음으로써, 디스크재치부(400)가 A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디스크 크램퍼부(300)도 A 방향으로 이동하기 시작한 상태를 표시하는 상태도, 도 13은 도 12의 상태에서 디스크 크램퍼부(300)가 디스크의 재생동작위치 근방까지 이동한 상태를 표시한 상태도, 도 14는 디스크 크램퍼부(300)가 디스크 R에 당접한 상태를 표시하는 상태도, 도 15는 디스크의 재생이 가능한 상태를 표시하는 상태도이다.
또, 도 10의 (a)는 구성을 표시하는 상면도, (b)는 (a)의 정면도, 도 11의 (a)는 도 10이 표시하는 측면도, (b)는 도 10의 요부상세도이다.
또, 도 12∼도 15의 (a)는 동작상태를 표시하는 상면도, (b)는 (a)각각이 표시하는 측면도이다.
또, 도 16은 디스크 크램퍼부(300)의 요부의 동작상태를 표시한 도면이고, (a)는 디스크 미장착 상태, (b)는 디스크 크램퍼부(300)가 디스크를 당접시킨 상태, (c)는 디스크 크램퍼부(300)와 디스크재치부(400)로 디스크를 잡고있는 상태를 각각 표시한 것이다.
우선, 조작부(도시않음)에서 재생개시의 지령이 없으므로, 디스크 재생부(400)(이 동작에 대해서는 후술한다)가 동작하지 않고, 이 때문에 디스크 재생부(400)의 동작에 따라 슬라이더(304)와 링크부(305)를 통해서 크램퍼암(302)도 동작하지 않고, 도 10, 도 11에 표시하는 상태를 유지한다.
다음, 도 12에 표시한 바와 같이 조작부로 부터 재생지령을 받으면, 우선 디스크 재생부가 A방향으로 이동하기 시작해 이 디스크 재시부의 일부에 연결되어있는(상세는 후술한다)슬라이더(304)도 A방향으로 동작한다.
이때, 슬라이더(304)의 일단에 설치된 핀(3042)도 마찬가지로 A방향으로 동작하기 때문에 링크부(305)의 접동공(3053)내를 A방향으로 한다.
이 때문에, 링크부(305)의 지축부(3052)를 축으로 해서, B방향으로 링크부(305)가 회전한 링크부(305)의 핀(3051)에 의해 지축부(3061)을 축으로 해서 크램퍼암(302)과 리프트암(303)을 C방향으로 회전된다.
도 12의 동작후, 디스크 R를 수납하고 있던 스토커(501)를 도 13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D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스토커(503)가 디스크 R의 재생동작위치에서 대기한다.
또, 스토커의 구성이나 동작등의 설명은 후술한다.
다음 도 14에 표시한 바와 같이, 다시 디스크 재생부(400)가 A방향으로 동작하고, 이에 따라 베이스부(306)에 형성된 당접부(3062)의 A측의 종단부까지 슬라이더(304)도 이동한다.
이 때문에, 슬라이더(304)로부터 상술한 동작연쇄를 거쳐서 크램퍼암(302)와 리프트암(303)이 디스크 R의 재생동작위치에 배치된다.
그후, 도 14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크램퍼암(302)에 지지되어있는 손잡이부(3012)로부터 리프트암(303)의 잡아올리는 부(3031)가 탈락되어, 크램퍼(301)의 당접부(3011)가 디스크 표면중심에 당접하고, 디스크 이면에서 지지하는 디스크 재생부(400)의 턴테이블(401)로 디스크를 잡고 있다.
또, 도 14의 동작종료후, 디스크 R를 재생동작시키기 위해, 도 15에 표시한 바와 같이 스토커(501)를 A방향으로 이동시켜서 원래의 위치로 되돌리고 디스크 R를 재생하기 시작한다.
여기서, 도 16을 사용해서 크램퍼(301)와 디스크 재생부(400)의 턴테이블(401)에 의해 디스크 R를 잡고있는 상태를 간단하게 설명한다.
우선, 도 16(a)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디스크 R가 재생동작위치에 배치되어있지 않을때는, 크램퍼암(302)을 디스크 R의 재생동작위치까지 이동시키는 동시에, 리프트암(303)이 크램퍼암(302)을 E방향으로 올려놓고 디스크 R가 크램퍼(301)와 턴테이블(401)의 간격 d1에 삽입되기 쉽게해 둔다.
다음, 도 16(b)에 표시한 바와 같이 크램퍼암(302)이 디스크 R의 재생동작위치에 배치되고, 디스크 R도 재생동작위치에 배치되면, 리프트암(303)이 F방향으로 이동해서 크램퍼(301)의 손잡이부(3012)를 이탈시킴으로 G방향으로 작동하고 있던 크램퍼(301)의 당접부(3011)가 디스크 R의 표면에 당접한다.
간격은 도 16(a)의 d1보다 작아진다(d2).
또, 도 16(c)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크램퍼(301)의 당접부(3011)에 설치딘 피착자면(30111)과, 턴테이블(401)의 디스크배치부(4011)에 설치된 자석(40111)에 의해 흡인력이 생기기 때문에, 크램퍼(301)와 턴테이블(401)이 흡인되고, 결과적으로 디스크 R이 협지되고, 이때의 간격은 d3가 되고, 디스크 R의 두께를 D라고 하면 d3 = D가 된다.
또, 재생을 종료하고, 디스크 R을 디스크 수납기구(500)에 수납할때는 상술한 동작의 역방향, 즉 도 15→도14→도13→도12→도10, 11이 되도록 동작한다.
〔3-2. 디스크 재생부〕
도 17을 사용해서 디스크재생부(400)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 17은 디스크재생부(400)의 구성을 표시하는 구성도이고, (a)는 상면도, (b)는 XVII-XVII선의 정면단면도이다.
도 17에서, 401은 디스크를 회전동작시키는 턴테이블이고, 이 턴테이블(401)에는, 디스크를 재치하는 재치부(4011)와, 디스크의 협지시에 디스크의 중심공에 삽입하는 돌출부(4012)가 형성되어있고, 재치부(4011)에는 자석(40111)이 설치되어있다.
또, 402는 디스크에 기록되어있는 정보를 판독하는 픽업부(403)를 A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광픽업 구동부 404는 광픽업부(403)를 A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안내하는 광픽업가이드부, 405는 광픽업 구동부(402)의 구동력에 따라 C방향 D방향으로 회동하는 나사상태로 형성된 광픽업 이송 나사부이다.
여기서, 광픽업부(403)는 디스크에 대해 광원을 발해서 디스크에 기록되어있는 정보를 판독하는 픽업(4031)과 광픽업부(403)를 A방향 또는 B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광픽업가이드부(404)에 지지하는 지지부(4032), (4033)와, 광픽업 이송나사부(405)의 나사부에 끼워 맞도록 형성한 나사부(4034)로 구성되어있다.
또, 광픽업 구동부(402)의 회전구동력이 전달되어 광픽업이송부(405)가 C방향 또는 D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나사부(4034)가 광픽업 이송나사부(405)의 회전력을 A방향 또는 D방향으로 이동시켜 광픽업부(403)가 A방향 또는 B방향으로 이동한다.
다음, 도 18을 사용해서 상술한 디스크재생부(400)를 디스크 장치내에서 동작시키는 동작기구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도 18은 디스크 재생부(400)를 A방향 또는 B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동기구부(450)를 표시하는 구성도이고, 이 도 18은 디스크 R를 스토커(501)에 수납한 상태를 표시하고 있다.
또, 도 18(a)은 상면도, (b)는 정면단면도이다.
도 18에서, 450은 상술한 바와 같이, 도 17에서 표시한 디스크재생부(400)를 이동시키는 이동기구부이고, 이동기구부(450)는, 베이스부(451), 베이스구동부(452), 모터(453), 기어부(454), 플레이트가이드(455), 슬라이더(456), 제1링크부(457), 제2링크부(458) 및 지축부(459)로 구성되어있다.
또, 상술한 슬라이더(304)와 슬라이더(456)은 연결되어 일체로 되어있다.
다음, 이들의 구성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451은 베이스부(306)에 고착되고, 디스크재생부(400)를지지 연결해서 E방향 또는 F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형성한 베이스부, 452는 슬라이더(456)(후술한다)를 E방향 또는 F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베이스구동부, 453은 디스크 롤러부(200), 디스크 크램퍼부(300) 및 디스크 재생부(400)의 동작을 실시하는 모터와, 454는 모터(453)의 동작을 슬라이더(456)(후술한다)에 전달하는 기어부이다.
455는 베이스(451)에 고정되고, 슬라이더(456)과 디스크재생부(400)를 안내하는 홈을 갖는 플레이트 가이드, 456은 기어부(454)에 돌려서 맞추어지고, 기어부(454)의 회동에 따라 E방향 또는 F방향으로 이동하는 슬라이더이고, 슬라이더(456)는 플레이트가이드(455) 및 베이스(451)에 접동가능하게 부착된 슬라이더(456)의 일부이다.
또, 457은 일단에 슬라이더(456)의 일부에 설치된 접동공(456)내를 접동가능하게 하는 핀(4571)이 설치되고, 타단에 베이스부(451)에 회동가능하게 고정되는 지축부(4572)를 형성한 제1링크부, 458은 일단이 슬라이더(456)에 회동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축부(4581)과 타단이 베이스부(451)의 일부에 형성된 접동공(4511)내를 접동가능하게 하는 핀(4582)을 형성한 제2링크부, 459는 제1링크부(457)와 제2링크부(458)을 연결시키는 동시에, 제1링크부(457)와 제2링크부(458)을 회동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축부이다.
다음에, 도 18∼도 28을 사용해서, 이동기구부(450)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우선 도 18은 재생지령을 받고있지 않으므로, 디스크재생부(400)가 동작하고 있지 않은 상태를 표시한 상태도이고, 도 18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슬라이더(456), 제1링크부(457) 및 제2링크부(458)는 삽입구(101)에 최근접하는 위치에 배치된다.
여기서, 도 19는, 도 18에서 표시하는 동작기구에 도 17에서 표시하는 디스크재생부(400)를 부착한 상태를 표시하고 있고, 디스크 재생부(400)와 스토커(501)에 수납된 디스크 R과는 겹치지 않도록 되어있다.
또, 도 20은 도 18, 도 19의 좌측면을 표시하는 상태도이고, (a)는 측면도, (b)는 측면 설명도이다.
다음에, 디스크 장치가 재생동작의 지령을 받으면, 모터(453)가 구동하기 시작하고, 이 구동력이 기어를 통해서 슬라이더(456)에 전달되어, F 방향으로 이동하고, 이 때문에 슬라이더(456)에 연결된 디스크 재생부(400)도 F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되어 있고, 이 상태를 표시하는 도면이 도 21이다.
이 상태일 때, 상술한 기구에 의해 디스크롤러기구(200)는 도 12(b)와 같이 상하로 열고, 디스크 R의 진입을 가능하게 한다.
또, 스토커(501)가 E방향으로 이동해서 디스크 R가 R1에서 재생동작위치 2로 이동한다.
또, 도 21에 표시하는 상태에 디스크 재생부(400)를 부착하면 도 22에 표시하는 상태가 된다.
또, 디스크 재생부(400)의 이동이 디스크의 재생동작위치 까지 진행하고 각각의 이동이 완료되면, 디스크 크램퍼부(300)와 디스크 재생부(400)로 디스크를 협지해서 디스크 R의 재생동작을 개시한다.
이 상태를 표시하는 도면이 도 23이고, 디스크 재생부(400)를 부착한 상태를 표시하는 도면이 도 24이다.
도 23, 도 24에서도, 모터(453)는 또 구동하기 때문에 기어부(454)를 통해서 슬라이더(456)을 E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 때문에, 슬라이더(456)가 다시 E 방향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제1링크부(457)의 핀(4571)은, 다시 슬라이더(456)의 접동공(4562)내를 G방향으로 접동이동하나, 접동공(4562)의 슬라이더(304)측의 단부에 도달하면, 이 이상의 G방향으로의 이동은 저지된다.
또, 제2링크부(458)도 제1링크부(457)와 같이 핀(4582)은 다시 베이스부(451)의 접동공(4511)내를 G방향으로 접동이동하나, 접동공(4511)의 슬라이더(304)측의 단부에 도달하면, 이이상의 G방향으로의 이동은 저지된다.
따라서, 제1 링크부(457)과 제2링크부(458)의 이동이 저지되고, 이동이 중지되는 장소를 디스크 R의 재생동작위치와 설정되어있기 때문에, 디스크 재생동작위치에의 설정도 쉽게하고 있다.
상술한 동작의 과정은, 요부의 우측 좌측 각각의 측면 단면도를 표시하면, 도 25∼도 28과 같이 된다.
도 25는, 우측 단면도를 표시하고 있고, (a)는 도 10과 도 19를 조합한 상태, (b)는 도 12와 도 22를 조합한 상태, (c)는 도 13과 도 24를 조합한 상태를 표시하고 있다.
도 26은 우측 측면도를 표시하고 있고, 도 25와 같이 (a)는 도 10과 도 19를 조합한 상태, (b)는 도 12와 도 22를 조합한 상태, (c)는 도 13과 도 24를 조합한 상태를 표시하고 있다.
또, 도 27은 우측 단면도를 표시하고 있고, (a)는 도 10과 도 19를 조합한 상태, (b)는 도 12와 도 22를 조합한 상태, (c)는 도 13과 도 24를 조합한 상태를 표시하고 있다.
또, 도 28은 우측 측면도를 표시하고 있고, 도 27과 같이, (a)는 도 10과 도 19를 조합한 상태, (b)는 도 12와 도 22를 조합한 상태, (c)는 도 13과 도 24를 조합한 상태를 표시하고 있다.
〔4. 디스크 수납기구〕
다음, 디스크 수납기구에 대해 설명한다.
디스크 수납기구(500)는 크게 나누어, 스토커부(501∼504)와 이 스토커부(501∼504)를 이동 동작시키기 위해 구동하는 구동기구부(510)와, 이 구동기구부(510)의 구동력에 의해 스토커(501∼504)를 소정단계 마다에 소정의 이동을 하게하는 이동기구부(520)와의 3개로 나눌수가 있다.
또, 스토커 이동수단은 구동기구부(510)와 이동기구부(520)로 구성되어있다.
그래서, 우선 도 29 및 도 30을 사용해서 첫 번째의 스토커부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도 29는 디스크 수납기구(500)의 요부구성을 분해한 요부분해도, 도 30은 조립한 상태를 표시하고 있다.
또, 이하 요부로서의 스토커부의 설명때에는, 최상단에 있는 스토커를 제1 스토커(501)로 하고, 이 스토커(501)를 대표해서 설명한다.
도 29, 도 30에서 제1스토커(501)는, 디스크를 재치해서 수납하는 수납부(5011)과 디스크를 수납부(5011)에 수납했을 때, A방향으로 동작하는 것을 저지하는 스토퍼(5012)와, 수납부(5011)에 수납된 디스크의 주연부를 게지함으로써, 디스크가 B방향으로 동작하는 것을 저지하는 계지부(5013)과, 이 계지부(5013)에 형성된 감합구멍(50131)에 감합해서 이 장소를 축으로해서 회동가능하게 하는 스토커(501)에 형성한 돌출부(5014)와 계지부(5013)의 계합부(50134)와 계합해서, 계지부(5013)을 항상 C방향으로 작동하는 작동부(5015)와, 스토커(501)에 설치된 감합구멍(5017)에 감합해서 작동부(501)의 주연부의 일부에는 레일접동부(5018)가 형성되고, 도 31에 표시된 바와 같이, 레일접동부(5018)이 레일부(5019)내에 삽입되어 접동가능하게 되어있다.
다음에 도 31, 도 32를 사용해서 상술한 제1 스토커(501)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여기서, 도 31은 제1 스토커(501)가 수납된 상태, 즉 디스크 R를 삽입해서 제1 스토커(501)에 수납하고, 제1 스토커(501)를 소정위치에 이동시킨 상태를 표시하는 상태도, 도 32는 제1 스토커(501)를 B방향으로 이동시킨 상태, 즉 디스크 R를 제1스토커(501)의 수납부(5011)에 수납하는 경우, 디스크 R를 배출하는 경우의 어느 경우 표시하는 상태도이다.
우선, 도 31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디스크 R를 수납하고 스토커(501)가 소정위치에 수납하고 잇을때는, 어떤 외란요인으로 디스크 R가 B방향으로 이동하고, 수납위치로부터 배출하고저 할 때 디스크 R에 의해 계지부(5013)는 E방향으로 회전력이 부여되나, 레일부(5019)에 계지부(5013)에 설치된 레일당접부(50133)가 당접하기 위해, 계지부(5013)의 회전이 저지되므로, 계지부(5013)이 디스크 R를 유지하게 되어 디스크 R의 이동이 저지된다.
다음에, 디스크 R를 반송 또는 재생 동작등일 때, 즉 디스크를 디스크 로딩부(100)에 수수할 때나, 디스크 재치부(400)에 수수해서, 디스크 R의 재생동작을 할 때에는, 도 31에 표시하는 디스크 R의 이동저지를 해제할 필요가 있다.
이 때문에, 도 32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제1스토커(501)가 B방향으로 이동하면, 레일부(5019)가 계지부(5013)에 설치된 레일당접부(50133)에서 이탈하기 위해, 계지부(5013)의 E방향으로의 회전을 저지하는 것이 없어지고 계지부(5013)에 의한 디스크 R의 지지의 해제가 가능해진다.
여기서 도 33∼도 35를 사용해서, 디스크 반입출기구(100)와 디스크 재치부(400)과 디스크 수납기구(500)과의 동작의 관계를 간단하게 설명한다.
도 33은, 디스크 R를 삽입해서 제1 스토커(501)에 수납하거나 또는 디스크 R를 제1스토커(501)에서 배출할 때의 상태를 표시하는 상태도, 도 34는 제1스토커(501)가 수납하고 있는 디스크 R를 디스크재생동작위치로 이동하고 디스크 재치부(400)가 디스크재생동작위치로 이동하는 상태를 표시하는 상태도, 도 35는 제1스토커(501)가 수납위치로 되돌아가고 디스크 R가 재생동작하는 상태를 표시하는 상태도이다.
우선, 도 33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디스크 R를 삽입구(도시않음)로 부터 삽입하면 제1스토커(501)는 광체(100)에 지지된 레일부(5019)에 대해 레일접동부(5018)이 접동해서 A방향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제1스토커(501)로 A방향으로 돌출한다.
이때, 계지부(5013)는, 레일당접부(50133)에 레일부(5019)가 당접해 있지 않으므로, B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되어있다.
이 때문에, 디스크 R는 상부 디스크롤러(201)의 회전구동력에 의해 작동부(5015)의 작동력에 반해서 B방향으로 계지부(5013)을 회전시켜 제1스토커(501)의 수납부(5011)에 스므즈하게 수납되어 간다.
다음에, 도 34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조작부(도시않음)로부터 디스크 R의 재생동작의 지령을 받으면 디스크 재치부(400)가 B방향으로 이동하고 파선으로 표시하는 400B의 위치에 설정된다. 이 설정이 완료된 상태는 도 35에 표시하는 대로이다.
다음에, 도 36을 사용해서 구동기구부(510)에 대해 설명한다.
도 36은 구동기구부 및 그 주변의 구성을 표시하는 상면도이다.
구동기구부(510)는 각종 암부를 동작시킴으로써, 스토커(501)∼스토커(504)를 상하방향 및 C 또는 D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기구이고, 베이스부(451)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기구이기도 하다.
또, 제 1스토커 (501)∼제4 스토커(504)를 C 또는 D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기구는 베이스부(306),(451)에 설치해도 된다.
이 도 36에서, 511은 광체(100)에 설치된 구동부(도시않음)의 구동에 따라, 호전축(5111)을 중심으로 A 또는 B방향으로 회전하는 캠부이고, 이 캠부(511)의 표면에 외주측과 내주측의 각각에 외주 접동공(5112)와 내주 접동공(5113)이 형성되어있다.
512는 제1암부이고, 이 제1암부(512)는 상방에 위치하는 광체(100)의 일부(도시않음)에 회동가능하게 지지되는 지축부(5121)와 제2 캠플레이트(후술한다)의 일단과 연결시키는 핀(5122)과, 제2 캠플레이트의 타단과 연락시키는 핀(5123)과 캠부(511)의 외주접동공(5112)에 접동가능하게 삽입하는 핀(5124)이 형성되어있다.
이 디스크 재생부(400)는 내장 연결하는 베이스부(451)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기구이기도 하다.
또, 제1스토커(501)∼제4스토커(504)를 C 또는 D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기구는 베이스부(306),(451)에 설치해도 된다.
또, 513은 지축부(5131)를 중심으로 회동가능한 제2 암부이고, 이 제2암부(513)는 한쪽이 캠암(5132)과 플레이트암(5133)으로 분기되어있고, 캠암과, 플레이트암(5133)으로 분기되어있고, 캠암(5132)의 일단에는 캠부(511)의 내주접동공(5113)에 접동가능하게 삽입하는 핀(51321)이 형성되고 플레이트암(5133)의 일단에는 제1캠플레이트(후술한다)의 일단과 연락시키는 핀(5133)과 플레이트암(5133)의 일부에 형성되고, 제3암부(514)의 접동공(5143)(후술한다)을 접동하는 핀(51332)이 형성되어있다.
또, 제 2 암부(513)에는 다른쪽에 제1 캠플레이트의 타단과 연락시키는 핀(5134)과, 제4암부(515)의 접동공(5153)(후술한다)를 접동하는 핀(5135)과 제4암부(515)의 회동축(5151)(후술한다)와의 접촉을 방지하는 공(5136)이 형성되어있다.
다음에, 도 514는 제3 암부이고, 이 제3 암부(514)는 회동록(5141)을 중심으로 회동가능하게 형성되고, 일단에는 제3 캠플레이트(후술한다)의 일단과 연락시키는 핀(5142)이 형성되고, 또, 제2 암부(512)의 핀(51332)이 접동하는 접동공(5143)이 형성되어있다.
또, 515는 제4 암부이고, 이 제4의 암부(515)는 회동축(5151)을 중심으로 회동가능하게 형성되고 일단에는 제3 캠플레이트(후술한다)의 일단과 연락시키는 핀(5152)가 형성되고, 또 제2 암부(512)의 핀(5135)가 접동하는 접동공(5153)이 형성되어 있다.
상술한 이들 캠부(511), 제1암부(512), 제2암부(513), 제3암부(514) 및 제4암부(515)에서 구동기구부(510)가 구성되어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동기구부(510)를 구성함으로써 캠부(511)의 회동력에 따라 제1암부(512)∼제4암부(515)가 C 또는 D방향으로 이동하므로, 캠부(511)의 회전각도에 의해 제1암부(512)∼제4암부(515)를 소망하는 위치에 설정할 수가 있다.
다음에, 도 37, 도 38를 사용해서 이동기구(520)에 대해 설명한다.
도 37(a)는 이동기구부(520)의 요부를 표시하는 상면단면도, 도 37(b) 및 도 38은 도 37(a)에 표시하는 A방향에서 본 측면도이고, 구성된 부재의 전부를 표시한다.
이 이동기구부(520)는 구동기구부(510)에서 전달되는 구동력에 따라, 제1스토커∼제4스토커의 높이나 각 스토커간의 간격을 조절하는 기구이다.
도 37∼도 39에서, 521은 광체(100)내에 설치되고, 제1스토커(501)∼제4스토커(504)가 디스크반송로에 대해 평행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된 레일부이고, 이 레일부(521)에는 돌출부(505),(506)이 형성되어있다.
또, 레일부(521)는 레일부(5019)와 같은 것이다.
522는 스토커 베이스이고, 이 스토커 베이스(522)는 제1 레일부∼ 제4 레일부의 돌출부(505)를 B 또는 C 방향, 즉 스토커의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가이드하는 가이드부(5221)와, 제1스토커∼제4스토커의 돌출부(506)을 가이드부(5221)와 같이 B 또는 C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가이드하는 가이드부(5222)와 제3 캠플레이트(523)의 핀(5234)(후술한다)가 D 또는 E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가이드하는 가이드부(5223)과, 제3 캠플레이트(523)의 핀(5235)(후술한다)이 D 또는 E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가이드하는 가이드부(5224)가 형성되어있다.
523은 제3캠플레이트이고, 이 제3캠플레이트(523)는, 도 36에 표시하는 제3 암(514)의 핀(5142)과 연결하는 연결부(5231)와, 제1 레일부∼제4 레일부의 돌출부(505)를 삽입하고 이 돌출부(505)의 높이를 조절하는 경사가이드부(5232)와, 경사부가 형성되고 제1스토커∼제4스토커의 돌출부(506)를 삽입해서 가이드하는 경사가이드부(523)와 스토커베이스(522)의 가이드부(5223)에 삽입해서 접동시키는 핀(5234)와 스토커베이스(522)의 가이드부(5224)에 삽입해서 접동시키는 핀(5235)가 형성되어있다.
또, 524는 스토커 분할부이고, 이 스토커 분할부(524)는 2개의 스토커 분할부(5241)와 스토커 분할부(5242)로 구성되고 스토커 분할부(5241)는 제2 캠플레이트(525)의 수납부(5254)(후술한다)에 수납되어 제2 캠플레이트(%25)의 이동에 의해 소망하는 스토커 하나를 분할시켜, 스토커 분할부(5242)도 스토커 분할부(5241)과 같이 제2 캠플레이트(525)의 수납부(5255)에 수납되어 제2 캠플레이트(525)의 이동에 의해 소망하는 스토커 하나를 분할시킨다.
525는 제2 캠플레이트이고, 제1 레일부∼ 제4 레일부의 돌출부(505)가 삽입되고, 일부를 빗상태(52521)로 형성하고, 돌출부(505)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조절부(5253)와, 스토커분할부(524)가 수납되는 수납부(5255)가 형성되어있다.
526는 베이스부이고, 이 베이스부(526)는 베이스부(451)의 측벽을 형성하고 있으므로, 스토커분할부(5241)의 접동부(5245)를 삽입하고, D 또는 E방향으로 접동이동시키는 접동공(5261)과, 스토커 분할부(5242)의 접동부(5246)를 삽입하고, D 또는 E방향으로 접동이동시키는 접동공(5262)과, 도 18에 표시하는 동작기구부(450)에 형성된 돌출부(도시않음)을 삽입하고, 동작기구부(450)를 D 또는 E 방향으로 접동이동시키는 접동공(5263),(5264)와, 제1 캠플레이트(527)의 접동공(5272)과 사이드베이스(528)에 설치된 접동공(5281)(각각 후술한다)에 삽입되고, F 또는 G방향으로 접동이동하는 핀(5265)과, 제1 캠플레이트(528)의 접동공(5282)(각각 후술한다)에 삽입되고, F 또는 G 방향으로 접동이동하는 핀(5266)이 형성되어있다.
527는 제1캠플레이트이고, 이 제1캠플레이트(527)은 도 36에 표시하는 플레이트암(5133)에 형성된 핀(51331)과 연결되고 플레이트암(5133)의 동작에 따라, 제1 캠플레이트(527)을 D 또는 E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연결부(5271)와, 베이스부(526)에 형성된 핀(5265)(후술한다)을 삽입하고 F, G방향으로 접동이동시키는(5272)과, 베이스부(526)에 형성된 핀(5266)(후술한다)을 삽입하고, F, G방향으로 접동이동시키는(5273)과, 사이드베이스부(528)에 형성된 접동공(5283)(후술한다)에 삽입되고, D 또는 E방향으로 접동이동하는 핀(5274)과 사이드베이스부(528)에 형성된 접동공(5284)(후술한다)에 삽입되고, D 또는 E 방향으로 접동이동하는 핀(5275)가 형성되어있다.
528은 광체(100)의 측벽을 이루는 사이드베이스부이고, 이 사이드베이스부(528)는, 베이스부(526)에 형성된 핀(5265)을 삽입하고, F 또는 G방향으로 접동이동시키는 접동공(5281)과 베이스부(526)에 형성된 핀(5266)을 삽입하고, F 또는 G방향으로 접동이동시키는 접동공(5282)와, 제1캠플레이트(527)에 형성된 핀(5274)를 삽입하고, D 또는 E방향으로 접동이동시키는 접동공(5283)과 제1 캠플레이트(527)에 형성된 핀(5275)를 삽입하고, D 또는 E방향으로 접동이동시키는 접동공(5284)가 형성되어있다.
또, 이 사이드베이스부(528)는 광체(100)에 부착되어있다.
상술한, 레일부(521)∼사이드베이스(528)는, 디스크 장치 내측에서 외측을 향해, 레일부(521), 스토커베이스(522), 스토커 분할부(524)를 포함하는 제3 캠플레이트(523), 제2 캠플레이트(525), 베이스부(526), 제1 캠플레이트(527), 사이드베이스(528)의 순번으로 부착되어있다.
이들, 레일부(521), 스토커베이스(522), 제3 캠플레이트(523), 스토커분할부(524), 제2 캠플레이트(525), 베이스부(526), 제1 캠플레이트(527) 및 사이드베이스부(528)에서 이동기구부(520)가 구성되어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이동기구부(520)를 구성함으로써, 구동기구부(510)의 동작에 의해 복수의 캠플레이트로 스토커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동시에 소망하는 스토커 한장을 확실하게 분할할 수가 있다.
다음에, 도 39∼ 도 63을 사용해서, 제1 캠플레이트(527), 제2 캠플레이트(525) 및 제3 캠플레이트(523)에 형성된 각각의 접동공과 레일부에 형성된 돌출부와의 위치에 의한 이동기구부(520)의 동작모드를 설명한다.
도 39(a)는 제1 캠플레이트(527)의 상세 설명도, 도 39(b)는 스토커 분할부(524)를 설치한 제2 캠플레이트(525)의 상세 설명도, 도 39(c)는 제3 캠플레이트(523)의 상세 설명도이다.
도 40은 구동기구부(510)의 캠부(511)의 동작에 따라 제1 캠플레이트(527), 제2 캠플레이트(525) 및 제3 캠플레이트(523)의 동작상태를 표시하는 동작상태 일람도, 도 41은 도 40의 동작마다의 제1 캠플레이트(527), 제2 캠플레이트(525) 및 제3 캠플레이트(523)에서의 레일부(521)의 돌출부의 위치를 표시하는 위치 일람도이다.
또, 도 42∼도 63은 도 41에 표시하는 제1 캠플레이트(527), 제2 캠플레이트(525) 및 제3 캠플레이트(523)과 레일부의 돌출부와의 위치관계를 표시하는 상태도이다.
이 도 42∼ 도 63은, (a)의 구동기구부(510)의 일부와 각 연결부의 위치상태를 표시하는 상태도이다.
(b)의 가이드부(521), 스토커베이스(522) 및 레일부에 형성된 돌출부와의 위치상태를 표시하는 상태도, (c)의 스토커 분할부(524)가 설치된 제2 캠플레이트(525)와 스토커에 형성된 돌출부와의 위치상태를 표시하는 상태도, (d)의 베이스부(526), 제1 캠플레이트(527) 및 스토커에 형성된 돌출부와의 위치상태를 표시하는 상태도(f)의 제1캠 플레이트(527), 사이드 베이스부(528) 및 레일부(521)에 형성된 돌출부와의 위치상태를 표시하는 상태도를 표시하고 있다.
이들 도 39 ~ 도 63 을 사용해서 이동 기구부(520)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우선 도 39(a)는 구동기구부(510)의 캠부(511)의 동작에 따라 제1캠 플레이트(527)의 접동공(5272)이 베이스부(526)에 설치된 핀(5265)를 접동시켜서 디스크 장치가 소정의 동작을 하는 설정위치를 표시하고 있고 이 도면에 표시하는 ①~⑧의 8개의 설정위치가 존재한다.
다음에 도 39(b)는 구동기구부(510)의 캠부(511)의 동작에 따라 제2캠플레이트(525)의 높이 조절부(525)가 레일부(521)의 돌출부(505)의 설정위치를 접동시켜서 디스크 장치가 소정의 동작을 하는 설정위치를 표시하고 있고 빗상태로 형성된 일부(52521)에 설정하는 (a)거나, 스토커 분할부의 분할공(52411)에 설정하는 d 인가 높이조절부(525)내에 설정하는 (b),(c)의 어느하나로 한 상태를 표시한다.
또 도 39(c)는 구동기구부(510)의 캠부(511)의 동작에 따라, 제 3 캠플레이트(523)의 경사가이드부(523)가 레일부(521)의 돌출부(505)를 접동시켜서 디스크 소정의 동작을 하는 설정위치를 표시하고 있고, 5개의 설정위치가 존재한다.
도 40 은 구동기구부(510)에 형성된 외주 접동공(5112)의 일단(51121)에서 타단(51122)을 향해서 스토커의 돌출부가 접동하고 또 내주접동공(5113)의 일단(51131)에서 타단(51132)를 향해 스토커의 돌출부가 접동해 가는 과정을 22 분할하고, 이 22분할한 각각의 과정에서의 제1캠 플레이트(527), 제2캠 플레이트(525) 및 제3캠 플레이트(523)와 스토커의 돌출부와의 위치관계 및 디스크 장치의 동작모드를 표시하고 있다.
또 도 41 은 도 40 에 표시하는 22분할의 동작과정에서의 제1캠 플레이트(527), 제 2 캠 플레이트(525) 및 제3 캠플레이트(523)에 대해 스토커의 돌출부의 위치를 표시하고 있다.
또 도 42 ~ 도 63 은 도 40 , 도 41 에 표시하는 제 1 과정(이하, NO 1 이라 칭한다) ~ 제 22 과정(이하 NO 22 라 칭한다)를 표시하는 도면이고 도 42 는 도 40 , 도 41 의 NO 1 에, 도 63 은 NO 22 에 대응해 있고, 도 43 ~ 도 62 는 NO 2~ NO 21 의 각각에 대응하고 있다.
이들 도 39 ~ 도 41 에 따라, 이하 이동기구부(520)의 동작을 1과정마다 순서대로 설명한다.
우선 NO 1 은, 제 1 스토커(501)에 디스크 R1을 반송하는 동작모드를 표시하고 있고, 도 40 에 표시하는바와같이 제1캠 플레이트(527)는 ①의 장소에 설치되고, 제2 캠플레이트(525)는 (a)의 장소에 설치되고 제3캠플레이트(523)는 A 의 개소에 설정된다.
따라서 도 42(c)에 표시하는바와같이 레일부(521)의 돌출부(505)는 제3캠플레이트(527)의 빗상태로 형성된 일부에 맞물려 있고 스토커의 높이는 록되어 있다.
또 구동기구부(510)의 캠부(511)가 도 36 에 표시하는 B 방향에 1과정분 회전하고 NO2 의 동작상태가 되고 NO1에서 실시하고 있던 스토커의 록을 해제한다.
이 NO2를 표시하는 상태도는 도 43 이고, 제1캠 플레이트(527)는 ① 제 3 캠 플레이트(523)는 A 의 장소대로 설정장소는 변화하지 않고, 제 2 의 캠 플레이트(525)는 b 의 장소에 설정된다.
또, NO 2 의 동작상태에서 구동기구부(510)의 캠부(511)가 도 36 에 표시하는 B방향에 1과정분 회전하고, NO3 의 동작상태가 되고, 제1스토커~제4스토커를 원래의 설정위치에서 1단 상승시킨다.
이 NO3를 표시하는 상태도는 도 44 이고, 제 2캠플레이트(525)는 b 의 장소대로 설정장소는 변화하지 않고 제1캠 플레이트(527)는 ② 의 장소에 설치되고 제3캠 플레이트(523)는 B의 개소에 설정된다.
다음에, NO3 의 동작상태로부터 구동기구부(501)의 캠부(511)가 도 36 에 표시하는 B 방향에 1과정분 회전하고, NO4 의 동작상태가 되고, 제1스토커~제4스토커가 록되고, 제2스토커(502)에 디스크 R2를 반송하는 동작모드가 된다.
이 NO4를 표시하는 상태도는 도 45 이고, 제1캠 플레이트(527)은 ②, 제3캠 플레이트(523)은 B 의 장소대로 설정장소는 변화하지 않고, 제2캠 플레이트(525)는 a 의 장소에 설정된다.
또 NO4 의 동작상태로부터 구동기구부(510)의 캠부(511)가 도 36 에 표시하는 B 방향으로 1 과정분 회전하고, NO5 의 동작상태가 된다.
이 NO5를 표시하는 상태도는 도 46 이고, NO4에서 하고있던 록을 해제하고 제1캠 플레이트(527)는 ②, 제3캠 플레이트(523)는 B 의 장소대로여서 설정개소를 변화하지 않고, 제2캠 플레이트(525)는 b 의 장소에 설정된다.
또, NO5 의 동작상태에서 구동기구부(510)의 캠부(511)가 도 36 에 표시한 B 방향으로 1과정분 회전하고, NO 6 의 동작상태가 된다.
이 NO6를 표시하는 상태도는 도 47 이고, 제1스토커~제4스토커를 원래의 설정위치에서 1단 상승시킨다.
제2캠플레이트(525)는 b 의 장소대로 설정장소는 변화하지 않고, 제1캠 플레이트(527)는 ③ 의 장소에 설정되고, 제3캠 플레이트(523)는 C 의 장소에 설정된다.
다음, NO6의 동작상태에서 구동기구부(510)의 캠부(511)가 도 36 에 표시하는 B 방향으로 1과정분 회전해서, NO7 의 동작상태가 되고, 제1스토커~제4스토커가 록되고, 제3스토커(503)에 디스크 R3를 반송하는 동작모드가 된다.
이 NO7을 표시하는 상태도는 도 48 이고 제1캠 플레이트(527)는 ③, 제3캠 플레이트(523)은 C 의 장소대로 설정장소는 변화하지 않고 제2캠 플레이트(525)는 a 의 장소에 설정된다.
또, NO 7 의 동작상태에서 구동기구부(510)의 캠부(511)가 도 36 에 표시하는 B 방향으로 1과정분 회전하고, NO 8 의 동작상태가 된다.
이 NO8를 표시하는 상태도는 도 49 이고, NO 에서한 록을 해제하고, 제1캠 플레이트(527)는 ③, 제3캠 플레이트(523)는 C의 장소대로 설정장소는 변화하지 않고 제2캠 플레이트(525)는 b 의 장소에 설정된다.
또, NO8 의 동작상태에서 구동기계부(510)의 캠부(511)가 도 36 에 표시하는 B 방향으로 1과정분 회전하고, NO9 의 동작상태가 된다.
이 NO9를 표시하는 상태도는 도 50 이고, 제1스토커~제4스토커를 원래의 설정위치로부터 1단 상승시킨다.
이때, 제2캠 플레이트(525)는 b의 장소대로 설정장소는 변화하지 않고 제1캠 플레이트(527)는 ④의 장소에 설정되고, 제3캠 플레이트(523)은 D 의 장소에 설정된다.
다음 NO9 의 동작상태로부터 구동기구부(510)의 캠부(511)가 도 36 에 표시하는 B 방향으로 1과 정분회전하고, NO10 의 동작상태가 되고 제1스토커~제4스토커가 록되고 제4스토커(504)에 디스크 R4를 반송하는 동작모드가 된다.
이 NO10을 표시하는 상태도는 도51 이고, 제1캠 플레이트(527)는 ④, 제3캠 플레이트(523)은 D 의 장소대로 설정장소는 변화하지 않고, 제2캠 플레이트(525)는 a 의 장소에 설정된다.
또 NO10 의 동작상태로부터 구동기구부(510)의 캠부(511)가 도 36 에 표시하는 B 방향으로 1과정분 회전하고 NO11 의 동작상태가 된다.
이 NO11을 표시하는 상태도는 도 52 이고, NO 10에서 실시한 록을 해제하고, 제1캠 플레이트(527)은 ④, 제3캠 플레이트(523)는 D의 장소대로 설정장소는 변화하지 않고 제2캠 플레이트(525)는 b의 장소에 설정된다.
또 NO11 의 동작상태로부터 구동기구부(510)의 캠부(511)가 도 36 에 표시하는 B 방향으로 1과정분 회전해서 NO 12 의 동작상태가 된다.
이 NO12를 표시하는 상태도는 도 53 이고, 제1캠플레이트(527)는 ⑤의 장소에 설정되고, 제2캠 플레이트(525)는 C 의 장소에 설정되고, 제3캠 플레이트(523)은 E 에 설정되므로써, 제4스토커(504)를 다른 스토커(501~503)에서 분할하기 위한 대기위치에 설정하고 있다.
다음에, NO12 의 동작상태로부터 구동기구부(510)의 캠부(511)이 도 36 에 표시하는 B방향으로 1과정분 회전해서 NO13 의 동작상태가 되고 제4스토커에 수납하고 있던 디스크 R4를 재생하는 동작모드가 되고, 다른 제1스토커~제3스토커를 제4스토커와 분할한다.
이 NO13를 표시하는 도면은 도 54 이고, 제1캠 플레이트(527)은 ⑤, 제3 캠플레이트(523)은 E 의 장소대로설정 장소는 변화되지 않고, 제2캠 플레이트(525)는 d 장소에 설정된다.
여기서 도 54(b)의 표시한바와같이 스토커 분할때에는 스토커간의 간격에 소정의 각도 θ를 갖도록 하고 있다.
또 각 스토커간의 간격1의 각도는, 분할시키는 스토커 위치에 불구하고 같게해도 또는 다르게해도 된다.
즉 제2의 스토커를 분할할 때, 제1스토커(501)과 제2스토커(502)의 각격의 각도가, 제2스토커(502)와 제3,4스토커(503)(504)와의 간격의 각도를 같은 각도로 해주거나, 다르게 해도 같다는 이야기이다.
또, NO13 의 동작상태에서 2동기구부(510)의 캠부(511)가 도 36 에 표시하는 B방향으로 1과정분 회전하고 NO14 의 동작상태가 된다.
이 NO14를 표시하는 상태도는 도 55 이고 제1캠 플레이트(527)는 ⑤, 제3캠플레이트(523)는 E 의 장소대로 설정장소는 변화하지 않고, 제2캠 플레이트(525)는 C 의 장소에 설정됨으로써, 다시 스토커의 출출부는 각각의 간격이 좁아진다.
또, NO14 의 동작상태에서 구동기구부(510)의 캠부(511)가 도 36 에 표시하는 B방향으로 1과정분 회전하고, NO15 의 동작상태가 된다.
이 NO15를 표시하는 상태도는 도 56 이고, 제2캠 플레이트(525)는 C, 제3캠 플레이트(523)은 E의 장소대로 설정장소는 변화하지 않고, 제1캠 플레이트(527)는 ⑥의 장소에 설정됨으로써, 베이스부(5~6)가 상승한다.
다음에 NO15의 동작상태에서 구동기구부(510)의 캠부(511)가 도 36 에 표시하는 B방향이고 1과정분 회전하고, NO16 의 동작상태가 되고, 제3스토커에 수납하고 있던 디스크 R3를 재생하는 동작모드가 되고, 다른 제1스토커 제2스토커 및 제4스토커를 제3스토커와 분할한다.
이 NO16을 표시하는 상태도는 도 57 이고, 제1캠 플레이트(527)는 ⑥, 제3캠 플레이트(523)는 E의 장소대로 설정장소는 변화하지 않고 제2캠 플레이트(525)는 d 의 장소에 설정된다.
또 NO16 의 동작상태에서 구동기구부(510)의 캠부(511)이 도 36 에 표시하는 B방향으로 1과정분 회전하고, NO 17 의 동작상태가 된다.
이 NO17을 표시하는 상태도는 도 58 이고, 제1캠 플레이트(527)은 ⑥, 제3캠 플레이트(523)은 E의 장소대로 설정장소는 변화하지 않고, 제2캠 플레이트(525)는 그의 장소에 설정된다.
이와같이 설정함으로써 다시 제1스토커 501~제4스토커(504)의 돌출부는 각각의 간격이 좁아진다.
또, NO17 의 동작상태로부터 구동기구부(510)의 캠부(511)가 도 36 에 표시하는 B방향으로 1과정분 회전하고 NO18 의 동작상태가 된다.
이 NO18을 표시하는 상태도는 도 59 이고, 제2캠플레이트(525)는 C, 제3캠 플레이트(523)은 E의 장소대로 설정장소는 변화하지 않고, 제1캠 플레이트(527)는 ⑦의 장소에 설정됨으로써, 베이스부(526)가 상승한다.
다음 NO18의 동작상태에서 구동기구부(510)의 캠부(511)가 도 36 에 표시하는 B방향으로 1과정분 회전하고, NO19 의 동작상태가 되고 제2스토커에 수납하고 있던 디스크 R2를 재생하는 동작모드가 되고 다른 제1스토커, 제3스토커 및 제4스토커를 제2스토커와 분할한다.
이 NO19를 표시하는 상태도이고, 제1캠 플레이트(527)는 ⑦, 제3캠 플레이트(523)은 E의 장소대로 설정장소는 변화하지 않고, 제2캠 플레이트(525)는 d 의 장소에 설정된다.
또 NO19의 동작상태로부터 구동기구부(510)의 캠부(511)가 도 36 에 표시하는 B방향으로 1과정분 회전하고 NO20 의 동작상태가 된다.
이 NO20을 표시하는 상태도는 도 61 이고, 제1캠 플레이트(527)은 ⑦, 제3캠 플레이트(523)는 E의 장소대로, 설정장소는 변화하지 않고, 제2캠 플레이트(525)는 C의 장소에 설정된다.
이렇게 설정함으로써 다시 제1스토커(501)~제4스토커(504)의 돌출부는 각각 간격이 좁아진다.
또, NO20 의 동작상태로부터 구동기구부(510)의 캠부(511)가 도 36 에 표시하는 B방향에 1과정분 회전하고 NO21 의 동작상태가 된다.
이 NO21을 표시하는 상태도는 도 62이고 제2캠 플레이트(525)는 C, 제3캠 플레이트(523)은 E의 장소대로 설정장소는 변화하지 않고, 제1캠 플레이트(527)은 ⑧의 장소에 설정됨으로써 베이스부(526)가 상승한다.
최후로 NO21 의 동작상태에서 구동기구부(510)의 캠부(511)가 도 36 에 표시하는 B방향으로 1과정분 회전하고, 즉 도 36 에 표시하는 제1암(512)의 핀(5124)는 캠부(511)의 외주 접동공(5112)의 타단(51122)에 설정되고, 캠암(5132)의 핀(51321)은 캠부(511)의 내주접동공(5113)의 타단(51132)에 설정되고, NO22 의 동작상태가 된다.
이 NO22 에 표시하는 상태도는 도 63 이고, 제1캠 플레이트(527)은 ⑧, 제3캠 플레이트(523)은 E의 장소대로 설정장소는 변화하지 않고, 제2캠 플레이트(525)는 d 의 장소에 설정된다.
또 NO22 의 동작이 완료되면, 다음 동작과정은 상술한 역방향, 즉 NO22→NO21→NO22 ‥‥‥ NO1 의 순으로 동작한다.
여기서, 도 64 는 제1캠 플레이트(527), 도 65 는 제2캠 플레이트(525), 도 66 은 제3캠 플레이트(523)을 각각 표시하고 있고, 도 64(a)는 레일부(521)의 돌출부가 도 39(a)에 표시하는 위치 ⑦ 의 위치에 설정된 상태, (b)는 레일부(521)의 돌출부가 도 39(a)에 표시된 ①의 위치에 설정된 상태를 표시하고 있다.
또, 도 65(a)는 레일부(521)의 돌출부가 도 39(b)에 표시하는 d 의 위치에 설정된 상태, 도 65(b)는 레일부(521)의 돌출부가 도 39(b)에 표시하는 C 의 위치에 설정된 상태, 도 65(c)는 레일부(521)의 돌출부가 도 39(b)에 표시하는 b의 위치에 설정된 상태, 도 65(d)는 레일부(521)의 돌출부가 도 39(b)에 표시하는 a 의 위치에 설정된 상태를 표시하고 있다.
또 도 66(a)는 레일부(521)의 돌출부가 도 39(c)에 표시한 Edml 위치에 설정된 상태, 도 66(b)는 레일부(521)의 돌출부가 도 39(c)에 표시한 C 의 위치에 설정된 상태, 도 66(c)는 레일부(521)의 돌출부가 도 39(c)에 표시하는 A의 위치로 설정된 상태를 표시하고 있다.
상술한바와같이 이동기구부(520)를 구성하였으므로, 구동기구부(510)의 캠부(511)의 회전각을 제어함으로써 정확하게 각 스토커의 동작제어가 된다.
스토커의 동작에 대해서는 상술한바와같이 소망하는 설정위치로 하는 경우에는 순서대로 동작과정을 거치도록 되어 있고, 예를들면 NO19 에 설정되어 있을 때, NO10 의 동작을 할 때, NO19→NO18→NO17 ‥‥‥ NO10 과 같이 순서대로 동작과정을 거치게 된다.
[5. 디스크 장치 전체의 동작설명]
다음으로 도 67~도 95를 사용해서 상술한 실시의 형태1 에 표시하는 디스크 장치전체의 기본적인 3동작, 즉 ① 디스크 미수납상태로부터 모든 스토커를 디스크를 수납시키고, 소정의 디스크를 재생시키는 동작, ② 소정의 디스큰 재생중에 다른 디스크의 재생으로 전환하는 동작, ③소정의 디스크 재생을 정지하고 소정의 디스크를 배출하는 동작의 3동작에 대해 아래의 설명해간다.
우선 도 67~ 도 82를 사용해서 ①의 동작, 즉 디스크 장치내에 디스크가 미수납된 상태에서 제1스토커(501)로부터 순서대로 제4스토커에 디스크 수납하고, 제2스토커에 수납한 디스크 R2를 재생할때까지의 디스크 장치전체의 동작과정을 과정을 설명한다.
도 67 은 디스크가 아무것도 수납되어 있지 않는 상태를 표시한 상태도, 도 68 은 조작부(도시않음)에서 제1스토커(501)에 디스크 R1을 삽입하라는 지령을 받고, 제1스토커가 삽입구 방향으로 이동했을때의 상태를 표시한 상태도, 도 69 는 디스크 삽입구(101)로부터 디스크 R1을 삽입했을때의 상태를 표시한 상태도, 도 70 은 제1스토커(501)의 디스크 수납부에 디스크 R1을 수납한 상태를 표시한 상태도, 도 71 은 디스크 R1을 수납한 제1스토커(501)가 원래위치, 즉 도 67 에 표시하는 위치까지 이동한 상태를 표시한 상태도이다.
또, 도 72 는 스토커 전체가 스토커 1단분 상승한 상태를 표시하는 상태도, 도 73 은 조작부(도시않음)에서 제2스토커(502)에 디스크 R2를 삽입하라는 지령을 받고, 제2스토커가 삽입구방향으로 이동했을때의 상태를 표시한 상태도, 도 74 는 삽입구(101)에서 디스크 R2를 삽입했을때의 상태를 표시하는 상태도, 도 75 는 제2스토커(502)의 디스크 수납부에 디스크 R2를 수납한 상태를 표시한 상태도, 도 76 은 디스크 R2를 수납한 상태를 표시한 상태도, 도 76 은 디스크 R2를 수납한 제2스토커(502)가 원래의 위치 즉 도 67 에 표시하는 위치까지 이동한 상태를 표시한 상태도이다.
도 77 은 제3스토커(503)에 디스크 R3 가 수납되고 제3스토커(503)가 원래의 위치, 즉 도 67 에 표시하는 위치까지 이동한 상태를 표시한 상태도, 도 78 은 제4스토커(504)에 디스크 R4 가 수납되고 제4스토커(504)가 원래의 위치 즉 도 67 에 표시하는 위치까지 이동한 상태를 표시한 상태도이다.
도 79 는 조작부(도시않음)에서 디스크 R2 의 재생동작의 지령을 받고 디스크 R2 가 수납된 제2스토커(502)와, 이 제2스토커(502)이외의 제1스토커(501), 제3스토커(503) 및 제4스토커(504)를 분할시킨 상태도, 도 80 은 디스크 R2를 재생하기 위해 디스크 크램퍼부(300)와 디스크 재생부(400)가 이동하는 상태를 표시하는 상태도이다.
또 도 81 은 제2스토커(502)가 삽입구 방향으로 이동하는 상태를 표시하는 상태도, 도 82 는 디스크 R2 와 디스크크램퍼부(300)와 디스크재생부(400)에 협지되어, 제2스토커(502)가 원래의 위치까지 되돌아가고 재생동작의 상태를 표시하는 상태도이다.
또 도 67~도 82 의 각각의(a)는 상부단면도, (b)는 a-atjs의 측면 단면도를 표시하고 있다.
우선 도 67 에 표시하는 바와같이 디스크 장치내에 디스크가 아무것도 수납되어 있지 않은 상태, 즉 초기상태에서는 제1스토커(501)~제4스토커(504)가 삽입구(101)와 반대측의 광체(100)의 주연부에 근접배치하는 동시에, 각 스토커간의 상하간격은 거의 두지 않도록 하고 있다.
또 디스크 재생부(400) 및 디스크 크램퍼부(300)는 삽입구(101)근방에 배치된 상부 디스크롤러(201)와 하부 디스크롤러(202)에 근접하도록 배치하고, 쌍방의 디스크 롤러의 간격은 최소로 유지된 상태에서 조작부(도시않음)로부터 디스크 삽입의 지령대기로 되어 있다.
그리고 조작부에서 소정의 지령으로서 제1스토커(501)에 디스크 R1을 수납시키는 지령이 출력된다.
다음, 제1스토커(501)은 도 67 에 표시하는 위치에서 상술한 각 스토커를 이동시키는 이동기구부(520)가 제1스토커(501)를 B방향으로 이동시켜서 도 68 에 표시한 소정의 위치 즉 디스크 R 의 수납이 가능한 위치에 세트해서 디스크가 삽입되는 것을 대기한다.
다음, 도 69 에 표시하는바와같은 디스크 R1 의 삽입구(101)로부터 삽입되면, 디스크 로딩기구(200)에 의해, 제1스토커(501)에 디스크 R1 이 수납되어(도 70), 제 1스토커(501)를 A방향으로 이동시켜도 도 67 에 표시하는 원래의 위치로 되돌린다(도 71).
그리고 다음 디스크 R2를 삽입하기전에 다음에 디스크 R2를 수납하는 스토커(502)를 삽입구(101)의 높이와 맞추기 위해, 스토커 한 장두께의 스토커 전체를 상술한 이동기구부(520)가 상승시켜(도 72), 디스크 R2를 수납하는 제2스토커 B방향으로 이동시켜서 소정의 위치에 세트하고(도 73)삽입구(101)에서 삽입된 디스크 R2를 디스크 로딩부(200)가 디스크 장치내에 반송되어(도 74), 디스크 R2를 제2스토커(502)에 수납 보전시켜(도 75), 도 76 에 표시하는바와같이 제2스토커(502)를 A방향으로 이동시켜서 원래의 위치로 되돌린다.
마찬가지로 해서, 도 78에 표시하는바와같이 디스크 R3 는 제3스토커(503)에 수납되고 도 79 에 표시하는 바와같이 디스크 R4 는 제4스토커(504)에 수납된다.
이때, 도 79(b)에 표시한바와같이 스토커는 분할되나, 상세하게 설명하면 제1스토커(501)과 스토커(502)와의 간격을 제1의 각도 θ1 설치하고 제2스토커(502)와 제3,4스토커(503),(504)의 간격을 제2의 각도 θ2 설치하도록 해서 제2스토커(502)와, 제1스토커(501), 제3스토커(503) 및 제4스토커(504)를 분할하고 있다.
다음, 조작부(도시않음)로부터 디스크 R2 의 재생동작을 지령하는 지령을 받으면 우선 상술한 이동기구부(520)가 도 79에 표시하는 바와같이 재생대상의 디스크 R2 가 수납된 제2의 스토커(502)를 디스크 R2 가 재생가능한 소정의 높이에 설치하고, 기타의 스토커를 경사가 얻어지도록 분할한다.
그리고 디스크 R1 과 디스크 R2 의 간격에 디스크 크램퍼부(300)가 들어가고 디스크 R2 와 디스크 R3 의 간격에 디스크 재생부(400)가 A방향으로 이동해서 들어가고, 상부 디스크롤러(201)과 하부디스크롤러(202)의 간격이 크게된다(도 80).
또 도 81 에 표시하는바와같이 디스크 R2를 재생하기 위해 디스크 R2를 수록한 제2스토커 (502)를 소정의 위치까지 B방향으로 이동시킨다.
다음에 도 82 에 표시한바와같이 디스크 크램퍼부(300)는 다시 A방향으로 이동하고, 제1스토커(501)과 제2스토커(502)의 간격에 들어가고, 마찬가지로 디스크 재생부(400)도 다시 A방향으로 이동하고, 제2스토커(502)와 제3스토커(503)의 간격에 들어가고 상부 디스크 롤러(201)와 하부 디스크롤러(202)의 간격은 최대가 되고 디스크 크램퍼부(300)와 디스크 재생부(400)으로 디스크 R2를 협지하고 그후 제2스토커(502)가 원래의 위치까지 이동하고 디스크 R2 의 보존을 해제해서 재생동작을 하도록 되어 있다.
다음에 도 83~ 도 90을 사용해서, ②의 동작, 즉 디스크 R2 의 재생을 정지하고, 제2스토커(502)에 다시 디스크 R2를 수납하고, 제3스토커(503)에 수납된 디스크 R3를 재생할때까지의 디스크 장치 전체의 동작과정을 설명한다.
도 83 은 제 3스토커(503)에 디스크 R3 가 수납되고, 디스크 R2 가 재생하고 있는 상태를 표시하는 상태도, 도 84 는 제2스토커(502)가 디스크 R2를 수납가능한 위치까지 유지하면서 이동시켜, 디스크 재생부(400)가 도 67 에 표시하는 현재의 위치를 향해 약간 되돌아간 상태를 표시하는 상태도, 도 85 는 제2스토커(502)가 디스크 R2를 수납해서 원래의 위치로 되돌아가는 상태를 표시하는 상태도, 도 86 은 디스크 크램퍼부(300)와 디스크 재생부(400)가 원래의 위치로의 이동이 완료된 상태도이다.
또 도 87 은 스토커 전체가 각 스토커를 분할하면서 상승한 상태를 표시하는 상태도 도 88 은 디스크 크램퍼부(300)와 디스크 재생부(400)가 제3스토커9503)측으로 이동하고 있는 상태를 표시하는 상태도, 도 89 는 제3스토커(503)가 삽입구(101)측으로 이동한 상태를 표시하는 상태도, 도 90 은 디스크 크램퍼부(300)와 디스크 재생부(400)가 디스크 R3를 협지해서 제3스토커(503)가 원래의 위치까지 이동하고 디스크 R3 의 지지를 해제해서 재생동작한 상태를 표시하는 상태도이다.
또 도 83~ 도 90 의 각각의 (a)는 상부단면도, (b)는 a-a 선의 측면단면도를 표시하고 있다.
우선 디스크 R2를 재생동작하기 위해 도 83 에 표시한바와같이 디스크 크램퍼부(300)와 디스크 재생부(400)가 디스크 R2를 협지하고 있는 상태때에 조작부(도시않음)에 의해, 디스크 R3를 재생하라는 지령을 받으면 우선 제2스토커(502)가 B방향으로 이동하고 재생위치에 있는 디스크 R2를 보존 수납한다.
다음에 디스크 재생부(400)가 디스크 R2 로부터 이탈해서, A방향으로 약간 되돌아온다(도 84).
또 디스크 크램퍼부(300)와 디스크 재생부(400)에 의한 협지가 해제된 디스크 R2를 수납하는 제2스토커(502)를 A방향으로 이동시켜서 원래의 위치로 되돌리고(도 85), 도 86 에 표시한바와같이 디스크 재생부(400)만이 아니고 디스크 크램퍼부(300)도 원래의 위치로 되돌리고, 상부 디스크 롤러(201)와 하부 디스크를 (202)사이의 간격을 최소로 한다.
다음에, 제3스토커(503)와 삽입구(101)의 높이를 맞추기 위해, 제2스토커(502~제4스토커(504)의 높이를 분할하면서 상승시켜(도 87), 디스크 크램퍼부(300)와 디스크 재생부(400)를 A방향으로 이동시켜 상부 디스크 롤러(201)와 하부디스크롤러(202)의 간격을 크게하는 동시에 디스크 크램퍼부(300)를 디스크 R2 와 디스크 R3 의 간격에 넣어 디스크 재생부(400)는 디스크 R3 의 대략 아래쪽에 배치시킨다(도 88).
또 B방향으로 디스크 R3를 수납하고 있는 제3스토커(503)를 재생가능위치까지 이동배치시켜(도 89), 도 90 에 표시한바와같이 디스크 재생부(400)를 다시 A방향으로 이송하고, 디스크 크램퍼부(300)와 디스크 재생부(400)가 디스크 R3을 협지한다.
그리고 디스크 R3을 협지한후 상부 디스크롤러(201)와 하부 디스크롤러(20)의 간격을 최대로 크게해서, 제3스토커(503)가 A방향으로 이동하고 원래의 위치로 돌아가고 디스크 R3 의 보존을 개방해서 디스크 R3 의 재생동작이 개시된다.
마지막으로 도 90~도 96을 사용해서 ③ 의 동작, 즉 디스크 R3 재생동작중에 디스크 R2를 배출하는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도 91 은 도 90 의 상태에서 디스크 재생부(400)가 원래의 위치로 되돌아가는 도중의 상태를 표시하는 상태도, 도 92 는 제3스토커(503) 및 디스크 R3 가 원래의 위치로 이동한 상태를 표시하는 상태, 도 93 은 디스크 크램퍼부(300)와 디스크 재생부(400)가 원래의 위치로 이동완료한 상태를 표시하는 상태도, 도 94 는 스토커 전체를 하강시킨 상태를 표시하는 상태도, 도 95 는 제2스토커(502)를 삽입구(101)측으로 이동시키고, 디스크 R2 가 디스크 로딩기구(200)에 의해 협지되어 있는 상태를 표시하는 상태도, 도 96 은 디스크 R2 가 배출된 상태를 표시하는 상태도이다.
또 도 90~도 96 의 각각의 (a)는 상부 단면도, (b)는 a-a선의 측면 단며도를 표시하고 있다.
우선 디스크 R2를 배출하기 위해 도 90 에 표시하는바와같이 디스크 크램퍼부(300)와 디스크 재생부(400)가 디스크 R3를 협지하고 있을 때 조작부(도시않음)에서 디스크 R2를 배출하라는 지령을 받으면 제3스토커(503)이 디스크 R3를 수납가능한 위치까지 이동하고 디스크 R3를 보존해서 수납한다.
그리고 디스크 크램퍼부(300)와 디스크 재생부(400)가 B방향으로 이동해서 상부 디스크 롤러(201)와 하부 디스크 롤러(202)의 간격을 크게한다(도 91).
또 도91 의 동작상태후 도 92 에 표시한바와같이 제3스토커(503)가 디스크 R3를 수납한 상태에서 A방향으로 이동해 원래의 위치에 설정된다.
다음에 도 93 에 표시하도록 디스크 크램퍼부(300)를 B방향에 다시 이동해서 원래의 위치로 돌아가고 상부 디스크 롤러(201)와 하부 디스크롤러(202)와의 간격을 최소로 하는 동시에 제2스토커(502)의 높이와 삽입구(101)의 높이를 맞추기 위해 스토커 전체를 밀착시켜 이동시킨다(도 94).
그리고 도 96 에 표시한바와같이 디스크 R2를 수납하고 있는 제2스토커(502)를 B방향으로 이동하고, 디스크 R2를 디스크 로딩부(200)가 디스크를 배출시킨다.
따라서 상기한바와같이 구성함으로써 제1스토커보다 상방의 1부 및 제4스토커보다 하방의 일부의 광체내에 디스크 수납기구(500)의 구동기구부(510)의 기판등을 설치하는 것이 가능한 스페이스를 확보할 수가 있으므로 여분의 스페이스를 필요치 않고 상방에서 본 디스크 반송방향의 길이를 최소로 할수 있으므로, 디스크 장치가 소형화된다.
또 각각의 디스크 한 장씩 단독의 삽입이나 배출이 자유로히 할수 있으므로 조작자의 편리성이 향상된다.
상부 디스크 롤러와 하부 디스크롤러를 각각 상방하방으로 이동시킬수가 있으므로 디스크를 재생할때에 필요한 디스크 스페이스를 상부디스크 롤러와 하부디스크 롤러의 간격이 확보되고, 디스크 스페이스만의 스페이스를 감소시킬수가 있는 디스크 장치를 소형화할 수 있다.
또 상기한 실시의 형태 1 에서는, 디스크의 동작은 재생동작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이외의 디스크에 대해 실시하는 동작이면 아무것이나 되고 예를들면 기록동작이나 기록부분을 소거하는 소거동작등에서도 같은 효과가 얻어진다.
실시의 형태 2
다음, 본 발명의 다른 실시의 형태2 에 관한 디스크 장치에 대해 도 97~도 102를 사용해서 설명한다.
상기한 실시의 형태 1 에서는, 디스크 로딩기구(200)는 도 6~도 9 에 표시한바와같이 구성했었으나 도 97~도 102 와 같이 구성해도 되고 같은 효과가 얻어진다.
도 97~도 102에서 도 97~도 99 는 상부 디스크롤러(201)측의 디스크 바송기구(200)의 요부를 표시하고 있고 도 97 은 요부의 정면도, 도 98 은 상부도,도 99 는 요부의 측면단면도이고, (a)는 디스크 R를 협지하고 있는 상태, (b)는 디스크 R를 개방하고 있는 상태를 표시한다.
또 도 100~도102 는 하부 디스크롤러(202)측의 디스크 반송기구(200)의 요부를 표시하고 있고 도 100 은 요부의 평면도, 도 101 은 요부의 상부도, 도 102 는 요부의 측면단면도이고, (a)는 디스크 R를 협지하고 있는 상태, (b)는 디스크 R을 개방하고 있는 상태를 표시한다.
우선, 상부디스크 롤러부의 구성 및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도 97~도 99에서 601 은 일단으로 상부 디스크 롤러(201)를 지지하고, 일부에 핀(6011)을 설치한 상부 롤러암, 602 는 일부에 핀(6021)이 설치된 도면에 표시한 슬라이더(304)의 단부, 603 은 슬라이더(304)의 단부(602)에 형성된 핀(6021)에 당접하는 당접부(6031)를 일단에 형성한 오픈링크이다.
슬라이더(304)의 단부(602)에는 도 99 에 표시한바와같이 측면에 돌출부(6022~6024)가 형성되어 있다.
또, 604 는 상부롤러암(601)에 형성된 핀(6011)을 접동시키는 접동공(6041)를 형성한 롤러 오픈 캠플레이트 604 는 일단(6051)을 광체(100)의 일부(102)에 계합하고 타단(6052)를 롤러오픈 캠 플레이트(604)에 계합하고, 일단(6051)과 타단(6052)가 끌어당기도록 작동하는 스프링이다.
다음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우선, 디스크 R를 재생하는 이외에, 즉 상부 디스크 롤러(201)와 하부 디스크 롤러(202)로 디스크 R을 협지하고 있을 때, 슬라이더(304)의 단부(602)가 핀(6021)에 의해 롤러 오픈 캠 플레이트(604)를 도 98 에 표시하는 B방향으로 압압하고 있다.
이 때문에 스프링(605)는 통상상태의 길이보다 늘고, 원래의 길이로 되돌아가는 작동력에 의해 오픈 링크(603)와 핀(6021)이 당접되어 있다.
다음에 디스크 R를 재생할 때 슬라이더(304)가 도 98 에 표시하는 A방향으로 이동하므로 슬라이더(304)의 단부(602)도 A방향으로 이동한다.
이 때문에 단부(602)에 형성된 핀(6021)에 당접계지되어 있던 오픈링크(603)이 C방향으로 회전가능해지고, 이 오픈링크(603)와 연결되고, 계지되었던 롤러 오픈 캠 플레이트(604)는 원래 스프링(605)에 의해 B방향으로 작동되고 있기 때문에 B방향으로 끌어당길수가 있다.
이 끌어당김으로 롤러 오픈캠 플레이트(604)에 형성된 접동공(6041)내를 상부롤러 암(601)에 형성된 핀(6011)이 도 99(b)에 표시한 위치까지 접동함으로써, d 분 상승하고, 이에 따라 상부 디스크 롤러(201)도 약 d 만큼 상승한다.
또 하부디스크 롤러의 구성 및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도 100~도 102에서 611 은 일부에 슬라이더(304)의 단부(602)에 형성된 돌출부(6022~6024)의 일부가 당접하는 당접부(6111)를 형성한 하부롤러 암이다.
다음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우선 디스크 R을 재생하는 이외, 즉 상부 디스크 롤러(201)와 하부 디스크 롤러(202)로 디스크 R를 협지하고 있는 경우 슬라이더(304)가 D방향으로 이동하고 있으므로 하부롤러 암(611)의 당접부(6111)는 슬라이더(304)의 단부(602)에 형성된 돌출부(6022~6024)에 당접하지 않고, 하부 롤러 암(611)은 항시 F방향으로 작동하는 작동부(도시않음)의 작동력에 의해 F방향으로 작동되고 있다.
다음 디스크 R를 재생하는 경우 슬라이더(304)가 도 102 에 표시하는 E방향으로 이동하므로 슬라이더(304)의 단부(602)도 E방향으로 이동한다.
이 때문에 슬라이더(304)의 단부(602)에 형성된 돌촐부(6022)~(6024)가하부롤러 암(611)의 당접부(6111)에 당접함으로써, 당접부(6111)가 회동축(6112)를 중심으로 해서 H방향으로 회전한다.
따라서, 하부롤러 암에 접속된 하부디스크 롤러가 G방향으로 이동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간단한 구성으로 정확하게 디스크 롤러의 동작이 되므로, 디스크 장치의 신뢰성이 더욱 향상된다.
상기한 실시의 형태 2 의 디스크 롤러부(200)에서는 도 97~도 99를 상부 디스크 롤러, 도 100~도 102를 하부 디스크 롤러로 하고 있었으나, 양자를 조합해서 상부디스크 롤러(201)와 하부디스크 롤러(202)의 좌우에 배치시키면 도 103~도 105 에 표시한바와같이 된다.
여기서 도 103 은 요부정면도이고, (a)는 삽입구측에서 보아 우측부, (b)는 좌측부를 표시하고 있다.
또 도 (104)는 요부의 상면도이고, (a)는 삽입구측에서 보아 좌측부, (b)는 우측부를 표시하고 있다.
또, 도 105 는 요부의 측면 단면도이고, 도 104 와 같이 (a)는 삽입구측에서 보아 좌측부, (b)는 우측부를 나타내고 있다.
실시의 형태 3
다음에 본 발명의 다른 실시의 형태 3 에 관한 디스크 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한 실시의 형태 2 에서는 도 97~도 99 에 표시한바와같이 상부 디스크롤러를 구성하고, 도 100~도 102 에 표시한바와같이 하부 디스크 롤러를 구성하였으나, 각각 역으로 구성, 즉 도 97~도 99 에 표시하는 구성을 하부 디스크 롤러의 구성으로 하고 도 100~도 102 에 표시하는 구성을 상부 디스크 롤러의 구성으로 해도 되고, 같은 효과도 얻어진다.
실시의 형태 4
다음에 본 발명의 다른 실시의 형태 4 에 관한 디스크 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한 실시의 형태 1 의 디스크 로딩기구(200)는 좌우 측부 중 어느한에 구성하고, 상기한 실시의 형태 2 의 디스크 로딩기구(200)를 다른쪽에 구성해도 되며 같은 효과도 얻어진다.
실시의 형태 5
다음 본 발명의 다른 실시의 형태 5 에 관한 디스크 장치에 대해 설명하다.
상기한 실시의 형태 1 에서는 스토커 이동수단, 즉 구동기구부(510)와 이동기구부(520)는 지령에 따라 소망하는 스토커와 다른 스토커 사이에 간격(θ1)을 두도록 소망하는 스토커나 다른 스토커의 적어도 어느한쪽을 이동시킴으로써 다른 스토커를 이동시켜 소망하는 스토커의 소정면에 대향하는 스토커와 소망하는 스토커 사이에 설치된 간격(θ2)만을 다시 크게 설치하도록 소망하는 스토커의 소정면에 대향하는 스토커의 적어도 어느한쪽을 이동시킴으로써 스토커의 소정면에 대향하는 스토커를 이동시키도록 구성하였으나, θ1 의 간격을 설치할때는 소망하는 스토커를 이동시켜, θ2 의 간격을 설치할때도, 소망하는 스토커를 이동시키도록 해도 되고, 같은 효과도 얻어진다.
실시의 형태 6
다음 본 발명의 다른 실시의 형태 6 에 관한 디스크 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한 실시의 형태 1 에서는 스토커 이동수단, 즉 구동기구부(510)와 이동기구부(520)와 디스크 구동수단 즉 디스크 재생부(400)를 연동시키는 것에 대해서는 언급하고 있지 않으나, 양자를 연동시키는 연동제어수단(도시않음)을 설치해도 되고, 같은 효과도 얻어진다.
실시의 형태 7
다음 본 발명의 다른 실시의 형태 7 에 관한 디스크 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한 실시의 형태 1 에서는 언급하지않았으나, 스토커 이동수단, 즉 구동기구부(510)와 이동기구부(520)는 디스크 미수납의 스토커가 존재하는 동시에, 디스크 구동수단 즉 디스크 재생부(400)가 비구동상태일 때, 스토커를 디스크 삽입구 근방에 미리 배치해두어도 좋고 같은 효과도 얻어진다.
실시의 형태 8
다음 본 발명의 다른 실시의 형태 8 에 관한 디스크 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한 실시의 형태 1 에서는 언급하지 않았으나 스토커 이동수단, 즉 구동기구부(510)와 이동기구부(520)는 지령에 따라 소망하는 스토커를 디스크 삽입구 근방에 미리 배치하도록 해도 되고 효과도 같다.
실시의 형태 9
다음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9 에 관한 디스크 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한 실시의 형태 1 에서는 언급하지 않았으나 스토커 이동수단, 즉 구동기구부(510)과 이동기구부(520)은 디스크 R 의 반송을 할 때, 여러개의 스토커(501),(502),(503),(504)의 높이를 일체로 동작시키도록 해도 되고, 효과도 같게 나타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관한 디스크 장치는 여러개의 디스크를 이탈 가능한 매거진 없이 수납해서 각각 동작한다.
즉 각각의 디스크를 선택적으로 삽입, 배출 또는 재생등의 동작을 하도록 구성한 소형화할 수 있는 디스크 장치로서 설치장소의 스페이스가 작은곳에 설치하는 디스크 장치에서 사용하는데 적합하다.

Claims (15)

  1. 디스크 (R)의 회전축선을 각각 대략 일치시켜서 디스크 (R)를 수납하는 여러개의 스토커(501,502,503,504), 이들 스토커(501,502,503,504)를 소정의 위치까지 이동시키는 스토커 이동수단(510,520), 상기 스토커(501,502,503,504)에 수납된 디스크(R)를 회전구동하는 디스크 구동수단(400)를 구비하고, 상기 스토커 이동수단(510,520)은 지령에 따라, 소망하는 스토커와 다른 스토커 사이에 간격(θ1)을 설치하도록 상기 소망하는 스토커나 상기 다른 스토커의 적어도 어느한쪽을 이동시키는 동시에, 상기 소망하는 스토커의 소정면에 대향하는 스토커와 상기 소망하는 스토커 사이에 설치된 상기 간격(θ2)만을 더욱 크게 하도록 상기 소망하는 스토커나 상기 소망하는 스토커의 소정면에 대향하는 스토커의 적어도 어느한쪽을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장치.
  2. 스토커 이동수단(510,520)은 소망하는 스토커와 다른 스토커 사이에 간극(θ1)을 설치하도록 상기 소망하는 스토커나 상기 다른 스토커의 적어도 어느한쪽을 이동시키는 동시에 디스크 구동수단(400)의 적어도 일부가 배치되도록 상기 소망하는 스토커와 이 소망하는 스토커에 인접하는 스토커 사이의 간격(θ2)만을 더욱 크게 설치하도록 상기 소망하는 스토커나 상기 소망하는 스토커에 인접하는 스토커의 적어도 어느한쪽을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 기재의 디스크 장치.
  3. 스토커 이동수단(510,520)은 스토커(501,502,503,504)의 높이를 조절하는 제1의 조절수단(524,525)과 상기 스토커(501,502,503,504)를 디스크(R)의 반송로(102)에 대해 대략 평행인 방향으로의 동작을 조절하는 제2의 조절수단(521)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 에 기재한 디스크 장치.
  4. 스토커(501,502,503,504)의 측부에 철부(506)을 설치하고, 제1의 조절수단(524,525)은 상기 스토커(501,502,503,504)에 설치된 철부(506)와 계합하는 동시에 상기 스토커(501,502,503,504)의 높이를 조절하는 복수의 요부(52521)를 형성하고 상기 스토커(501,502,503,504)높이를 조절할 때 상기 복수의 요부(52521)로부터 소망하는 높이에 따른 요부를 선택하고, 이 선택된 요부에 상기 철부(506)를 계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3 에 기재한 디스크 장치.
  5. 스토커(501,502,503,504)의 측부에 철부(506)를 설치하고, 제1의 조절수단(524,525)은, 스토커(501,502,503,504)에 설치된 철부(526)에 계합하는 요부(52521)와 상기 스토커(501,502,503,504)중 상기 요부(52521)에 계합하지 않는 스토커만을 분리시키는 분리부(524)를 형성하고, 상기 스토커(501,502,503,504)의 높이를 조절할 때, 소망하는 스토커에 설치된 철부를 상기 요부에 계합시키는 동시에, 상기 분리부(524)가 상기 요부에 계합하지 않는 다른 스토커를 상기 소망하는 스토커로부터 분리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3 기재의 디스크 장치.
  6. 스토커 이동수단(510,520)과 디스크 구동수단(400)을 연동시키는 연동제어수단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 에 기재한 디스크 장치.
  7. 스토커 이동수단(510,520)은 디스크 미수납의 스토커가 존재하는 동시에 디스크 구동수단이 비구동상태때, 상기 스토커를 디스크 삽입구(101)근방에 미리 배치해두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 에 기재한 디스크 장치.
  8. 스토커 이동수단(510,520)은 지령에 따라 소망하는 스토커를 디스크 삽입구(101)근방에 미리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 에 기재한 디스크 장치.
  9. 스토커 이동수단(510,520)은 디스크 (R)의 반송을 할 때 복수의 스토커 (501,502,503,504)의 높이를 일체로 동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 에 기재한 디스크 장치.
  10. 스토커 이동수단(510,520)은 디스크 구동수단(400)이 동작할 때, 소망의 스토커와 다른 스토커 사이에 간격(θ1)을 설치하도록 소망하는 스토커나 다른 스토커의 적어도 어느한쪽을 이동시키는 동시에 소망하는 스토커가 소정면에 대향하는 스토커와 소망하는 스토커 사이에 설치된 간격(θ2)만을 다시 크게 설치하도록 소망하는 스토커나 소망하는 스토커의 소정면에 대향하는 스토커와의 적어도 한쪽을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 에 기재한 디스크 장치.
  11. 디스크 (R)의 회전축선을 각각 대략 일치시켜서 디스크(R)를 수납하는 복수의 스토커(501,502,503,504), 이들 스토커(501,502,503,504)를 소정위치까지 이동시키는 스토커 이동수단(510,520), 상기 디스크(R)를 회전구동시키는 동시에 상기 디스크(R)의 반송로(102)에 대해 대략 평행하게 상기 디스크 반송로(102)의 한쪽에서 다른쪽까지 이동가능하게 설치한 디스크 동작부(400), 상기 디스크(R)를 지지하는 동시에, 상기 디스크 반송로(102)에 대해 대략 평행하게 상기 디스크 반송로(102)의 한쪽에서 다른쪽까지 이동가능하게 설치한 디스크 크램퍼부(300), 상기 디스크 반송로(102)를 잡고 대치하듯이 설치되고, 상기 디스크 반송로(102)내로 반송되는 상기 디스크(R)의 양면을 협지해서 반송하는 제1,제2의 디스크 롤러(201,202)상기 디스크 동작부(400)가 동작할 때, 상기 제1의 디스크 롤러(201)과 대향하는 상기 디스크(R)의 면과의 사이에 간격(d2,d3,d4)을 설치하도록 상기 제1의 디스크 롤러(201)를 상기 디스크면에 대해 수직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1의 롤러 이동수단(203,204,304), 상기 디스크 동작부(400)가 동작할 때, 상기 제2의 디스크 롤러(202)와 대향하는 상기 디스크(R)의 면사이에 간격(d2,d3,d4)을 설치하도록 상기 제2의 디스크 롤러(202)를 상기 디스크면에 대해 대략 수직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2의 롤러이동수단(203,205,304)를 구비한 디스크 장치.
  12. 스토커 이동수단(510,520)은 지령에 따라 소망하는 스토커와 다른 스토커 사이에 간격을 두도록 상기 소망하는 스토커나 상기 다른 스토커의 적어도 어느한쪽을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 기재의 디스크 장치.
  13. 제 1, 제2의 디스크 롤러(201,202)가 동작할 때 스토커 이동수단(510,520)과 디스크 크램퍼부(300)와 디스크 동작부(400)가 연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1 에 기재한 디스크 장치.
  14. 스토커(501,502,503,504)는 디스크(R)를 계지시키는 계지수단(5013)을 설치하고, 이 계지수단(5013)은 상기 스토커(501,502,503,504)의 위치에 따라 상기 디스크(R)를 계지시키는 힘의 크기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 에 기재한 디스크 장치.
  15. 스토커(501,502,503,504)는 디스크(R)를 계지시키는 계지수단(5013)을 설치하고, 이 계지수단(5013)은 상기 스토커(501,502,503,504)의 위치에 따라 상기 디스크(R)를 계지시키는 힘의 크기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1 에 기재한 디스크 장치.
KR1019980708987A 1997-03-10 1998-02-27 디스크장치 KR10030635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5515697 1997-03-10
JP97-55156 1997-03-10
PCT/JP1998/000807 WO1998040888A1 (fr) 1997-03-10 1998-02-27 Dispositif pour disqu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0845A true KR20000010845A (ko) 2000-02-25
KR100306354B1 KR100306354B1 (ko) 2001-11-30

Family

ID=12990897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708987A KR100306354B1 (ko) 1997-03-10 1998-02-27 디스크장치
KR1019980709058A KR100308352B1 (ko) 1997-03-10 1998-02-27 디스크장치
KR1019980709057A KR100323905B1 (ko) 1997-03-10 1998-02-27 디스크 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709058A KR100308352B1 (ko) 1997-03-10 1998-02-27 디스크장치
KR1019980709057A KR100323905B1 (ko) 1997-03-10 1998-02-27 디스크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3) US6392981B2 (ko)
EP (3) EP0915463B1 (ko)
JP (3) JP3369191B2 (ko)
KR (3) KR100306354B1 (ko)
CN (3) CN1159714C (ko)
DE (3) DE69815036T2 (ko)
WO (3) WO199804088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69942779D1 (de) * 1998-07-30 2010-10-28 Fujitsu Ten Ltd Speichervorrichtung für Aufzeichnungsträger
JP3822989B2 (ja) * 1998-12-28 2006-09-20 クラリオン株式会社 ディスク再生装置
JP3856604B2 (ja) * 1999-09-02 2006-12-13 アルパイン株式会社 ディスク収納装置
KR100714957B1 (ko) * 1999-09-28 2007-05-09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디스크의 기록 및/또는 재생 장치
US6594651B2 (en) 1999-12-22 2003-07-15 Ncr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parallel execution of SQL-from within user defined functions
DE60129984T2 (de) * 2000-05-19 2008-05-08 Clarion Co., Ltd. Plattenhaltevorrichtung
JP2001357587A (ja) * 2000-06-16 2001-12-26 Clarion Co Ltd ディスクドライブ装置
US7243357B1 (en) 2000-09-20 2007-07-10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Disk device
JP4125116B2 (ja) * 2000-09-20 2008-07-30 三菱電機株式会社 ディスク装置
JP4130776B2 (ja) 2001-04-16 2008-08-06 ソニー株式会社 ディスク保持部材、記録及び/又は再生装置及びディスクチェンジャー装置
WO2004088653A1 (ja) * 2003-03-31 2004-10-14 Clarion Co., Ltd. ディスク装置、ディスク搬送装置及びディスクローディング機構
KR20050010335A (ko) 2003-07-19 2005-01-27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크 카트리지 및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
TWM255986U (en) * 2004-02-20 2005-01-21 Lite On It Corp A roller used in a slot-in optical recording and/or reproducing apparatus
JP4253267B2 (ja) * 2004-03-25 2009-04-08 パイオニア株式会社 記録媒体再生装置
JPWO2005093743A1 (ja) * 2004-03-25 2008-07-31 パイオニア株式会社 記録媒体再生装置
JP4563712B2 (ja) * 2004-03-31 2010-10-13 クラリオン株式会社 ディスク装置
WO2005096292A1 (ja) * 2004-03-31 2005-10-13 Clarion Co., Ltd. ディスククランプ装置
JP2005293738A (ja) * 2004-03-31 2005-10-20 Clarion Co Ltd ディスククランプ装置
JP4532153B2 (ja) * 2004-03-31 2010-08-25 クラリオン株式会社 ディスククランプ装置
WO2005096296A1 (ja) * 2004-03-31 2005-10-13 Clarion Co., Ltd. ディスク装置
JPWO2005098849A1 (ja) * 2004-03-31 2008-03-06 パイオニア株式会社 記録媒体再生装置
JP2005310206A (ja) * 2004-04-16 2005-11-04 Mitsubishi Electric Corp ディスク装置
JP2005310208A (ja) * 2004-04-16 2005-11-04 Mitsubishi Electric Corp ディスク装置
US20080025184A1 (en) * 2004-07-23 2008-01-31 Pioneer Corporation Information Recording Medium Playback Apparatus
JP4494230B2 (ja) 2005-01-19 2010-06-30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ディスク装置
JP2008016136A (ja) * 2006-07-06 2008-01-24 Sony Corp ディスクトレイ、ディスクドライブ装置及びディスクチェンジャー装置
CN107644652B (zh) * 2017-11-10 2023-06-16 深圳市爱思拓信息存储技术有限公司 自动收发光盘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60349A (en) 1925-07-29 1926-10-29 George William Beldam Improvements in packings for making fluid tight joints between parts of engines or machines having relative movement
US4337533A (en) * 1979-09-07 1982-06-29 Kabushiki Kaisha Aiwa Front loading type record player
JPS56137560A (en) * 1980-03-31 1981-10-27 Victor Co Of Japan Ltd Clamp device for disc shape information recording medium in disc shape information recording medium playback device
US4541086A (en) * 1983-08-08 1985-09-10 Pioneer Electronic Corporation Disc clamping mechanism
JPS6098140U (ja) * 1983-12-07 1985-07-04 日本マランツ株式会社 コンパクトデイスクプレ−ヤのデイスククランプ装置
JPS60175350U (ja) * 1984-04-30 1985-11-20 パイオニア株式会社 情報記録デイスクのクランパ保持機構
JPS60254450A (ja) 1984-05-31 1985-12-16 Sony Corp デイスクチエンジヤ用デイスクパツク
JPS6247893A (ja) * 1985-08-28 1987-03-02 Hitachi Ltd 光デイスクカ−トリツジ
JPS63200354A (ja) 1987-02-16 1988-08-1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デイスク装置
KR910003937B1 (ko) * 1987-03-04 1991-06-17 상요덴기 가부시기가이샤 디스크플레이어
DE3715942A1 (de) * 1987-05-13 1988-11-24 Philips Patentverwaltung Lesevorrichtung fuer auf einer vielzahl von informationsplatten gespeicherte informationen
DE68910911T2 (de) * 1988-03-07 1994-03-17 Sony Corp Plattenmagazin und plattenladevorrichtung.
JPH01237952A (ja) * 1988-03-18 1989-09-22 Nkk Corp ディスク自動交換方法及び装置
US5053903A (en) * 1989-03-28 1991-10-01 Literal Corporation Disk clamp positioning apparatus for information storage disk drive system
US5119354A (en) * 1989-04-06 1992-06-02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Disk reproducing apparatus
US5166918A (en) * 1989-05-15 1992-11-24 Seiko Epson Corporation Loading mechanism for disk cartridges with vibration reducing mechanism
JP2534922B2 (ja) 1990-02-09 1996-09-18 パイオニア株式会社 複数ディスク収納プレ―ヤ
JPH0787001B2 (ja) 1990-02-09 1995-09-20 パイオニア株式会社 複数ディスク収納プレーヤ
JPH0786999B2 (ja) 1990-02-09 1995-09-20 パイオニア株式会社 複数ディスク収納プレーヤ
JPH05342741A (ja) * 1992-06-08 1993-12-24 Clarion Co Ltd ディスク演奏装置
US5481512A (en) * 1992-06-30 1996-01-02 Victor Company Of Japan, Ltd. Separable magazine for accommodating discs and a disc player
JPH06259864A (ja) * 1993-03-05 1994-09-16 Nakamichi Corp ディスク再生装置
JPH06259865A (ja) * 1993-03-05 1994-09-16 Nakamichi Corp ディスク再生装置
JP2596255Y2 (ja) * 1993-03-23 1999-06-07 ナカミチ株式会社 ディスク再生装置
JP3345120B2 (ja) 1993-08-10 2002-11-18 タナシン電機株式会社 ディスク駆動装置
JPH07254207A (ja) * 1994-01-25 1995-10-03 Sony Corp ディスクチェンジャ
US5561658A (en) * 1994-02-06 1996-10-01 Nakamichi Corporation Friction drive for a disc player
JP3551482B2 (ja) * 1994-08-26 2004-08-04 ソニー株式会社 ディスクプレーヤ装置
EP0708441B1 (en) * 1994-08-26 2001-11-07 Nakamichi Corporation Disk playback device
KR0122763B1 (ko) * 1994-12-29 1997-11-20 배순훈 광 디스크 플레이어
JP3001810B2 (ja) * 1996-06-13 2000-01-24 富士通テン株式会社 記録担体の再生/記録装置
US6052356A (en) 1996-06-13 2000-04-18 Fujitsu Ten Limited Reproduction/recording apparatus having a divisible housing for disc-shaped recording carriers and a reproduction/recording head mounting rack
JP3625578B2 (ja) * 1996-07-04 2005-03-02 パイオニア株式会社 ディスク再生装置
JP3534542B2 (ja) * 1996-07-04 2004-06-07 パイオニア株式会社 ディスク再生装置
JP3557794B2 (ja) * 1996-07-15 2004-08-25 ソニー株式会社 ディスクチェンジャ装置
JP3308454B2 (ja) * 1996-09-25 2002-07-29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ディスクパッケージ
JPH10199093A (ja) * 1996-12-27 1998-07-31 Nakamichi Corp チェンジャ−型ディスク再生装置
JP3522504B2 (ja) * 1997-09-08 2004-04-26 アルパイン株式会社 ディスク選択機能を有するディスク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1998040888A1 (fr) 1998-09-17
CN1159714C (zh) 2004-07-28
DE69819847T2 (de) 2004-09-02
CN1219268A (zh) 1999-06-09
KR100323905B1 (ko) 2002-04-22
DE69815036T2 (de) 2004-04-08
JP3366335B2 (ja) 2003-01-14
US20010040856A1 (en) 2001-11-15
US6941566B2 (en) 2005-09-06
CN1219270A (zh) 1999-06-09
DE69815036D1 (de) 2003-07-03
DE69819847D1 (de) 2003-12-24
EP0921523B1 (en) 2003-12-17
KR20000010910A (ko) 2000-02-25
EP0923075A4 (en) 1999-11-10
EP0915463A4 (en) 1999-11-10
EP0923075A1 (en) 1999-06-16
EP0915463B1 (en) 2003-11-19
JP3369191B2 (ja) 2003-01-20
US6256279B1 (en) 2001-07-03
WO1998040886A1 (fr) 1998-09-17
US20010043519A1 (en) 2001-11-22
CN1159715C (zh) 2004-07-28
KR100306354B1 (ko) 2001-11-30
DE69820576T2 (de) 2004-09-30
DE69820576D1 (de) 2004-01-29
EP0921523A1 (en) 1999-06-09
EP0921523A4 (en) 1999-11-10
CN1219269A (zh) 1999-06-09
WO1998040887A1 (fr) 1998-09-17
CN1129902C (zh) 2003-12-03
US6392981B2 (en) 2002-05-21
JP3366336B2 (ja) 2003-01-14
KR100308352B1 (ko) 2001-11-30
EP0915463A1 (en) 1999-05-12
EP0923075B1 (en) 2003-05-28
KR20000010911A (ko) 2000-02-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08352B1 (ko) 디스크장치
JP3565248B2 (ja) ディスク再生装置
US5715229A (en) Disk recording/reproducing apparatus having two trays so that a disk in a magazine can be replaced by one tray when a disk in the other tray is being recorded/reproduced
JP3624687B2 (ja) ディスク再生装置
US5867470A (en) Disk recording/reproducing apparatus having two trays so that a disk in a magazine can be replaced by one tray when a disk in the other tray is being recorded/reproduced
WO2000079529A1 (fr) Dispositif a disques
WO2000079530A1 (fr) Dispositif a disque
US7954117B2 (en) Disk selecting device and disk device with a drum cam to separate disks
JP2845792B2 (ja) ディスク移送装置
JP3078218B2 (ja) ディスク移送装置
US7774805B2 (en) Disk clamping device
JP3078219B2 (ja) ディスク移送装置
US8014237B2 (en) Disk device
KR0183863B1 (ko) 디스크 재생장치
JP2942493B2 (ja) ディスク移送装置
JP2942492B2 (ja) ディスク移送装置
JP3594370B2 (ja) 情報記録ディスクの記録再生装置
JPH0793867A (ja) ディスク支持体および該ディスク支持体を有するディスク再生装置
JPH08255404A (ja) ディスク移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24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19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1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16

Year of fee payment: 1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