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05574A - 풀페이스형헬멧 - Google Patents

풀페이스형헬멧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05574A
KR20000005574A KR1019990002659A KR19990002659A KR20000005574A KR 20000005574 A KR20000005574 A KR 20000005574A KR 1019990002659 A KR1019990002659 A KR 1019990002659A KR 19990002659 A KR19990002659 A KR 19990002659A KR 20000005574 A KR20000005574 A KR 200000055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member
ball
full
wearer
helm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026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23188B1 (ko
Inventor
아라이미치오
Original Assignee
아라이 미치오
가부시키가이샤 아라이 헬멧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라이 미치오, 가부시키가이샤 아라이 헬멧 filed Critical 아라이 미치오
Publication of KR200000055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55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231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23188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28Ventilating arrangements
    • A42B3/281Air ducting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10Linings
    • A42B3/12Cushioning devices
    • A42B3/125Cushioning devices with a padded structure, e.g. foam
    • A42B3/127Cushioning devices with a padded structure, e.g. foam with removable or adjustable pad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18Face protection devices
    • A42B3/22Visors
    • A42B3/24Visors with means for avoiding fogging or misting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28Ventilating arrangements

Landscapes

  • Helmets And Other Head Coverings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Abstract

헬멧의 본래의 기능에 크게 공헌하는 볼패드 본래의 유지기능을 저하시키지 않도록, 착용자와 본체 내면 사이에 대류하여 좌우의 볼패드 측으로 향하는 착용자의 호흡을 헬멧 하부에서 효율 좋게 비스듬히 후방으로 안내하여 헬멧의 외부로 배출하고, 호흡이 헬멧 내의 안면 전부(前部)의 공간에 대류하지 않는 풀페이스형 헬멧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체(1) 내측에 설치한 턱받침(2')에서 반사하여 착용자와 본체 내면 사이에 대류하는 착용자의 호흡을 본체의 하부에서 비스듬히 후방으로 배출하는 안내로(B)를, 협부내장체에 있어서의 볼과 맞닿는 면적 및 볼의 지지기능을 저하시키지 않도록, 그 내장체를 구성하는 완충부재(6)의 두께방향 중간부를 압궤변형 또는 완충부재(6)를 잘라내어 형성한다.

Description

풀페이스형 헬멧{FULL FACE TYPE HELMET}
본 발명은 오토바이, 사륜자동차 등 각종 이동차량 또는 이동기구에 탈 때에 두부(頭部) 및 안면을 보호하기 위해 쓰는 풀페이스형 헬멧에 관한 것이고, 상세하게는 이 풀페이스형 헬멧 본체의 내측에 설치하는 협부내장체(頰部內裝體, 볼패드부재)의 개량에 관한 것이다.
두부(頭部)를 완전히 덮는 풀페이스형 헬멧의 쓰는 느낌은, 본체의 내측에 끼워 맞춰 배치된 발포스트롤 등으로 구성된 충격흡수라이너와 착용자의 두부 혹은 귀에서 볼 및 턱에 대응하는 부위의 충격흡수라이너의 내측에 접착 고정된 우레탄재 등으로 이루어진 완충부재의 반발에 의해 지지되고 있다. 특히, 본체의 좌우양측에 배치된 볼부분에서 턱부분을 받치는 쿠션, 즉 볼패드가 풀페이스형 헬멧의 조정에 기여하고 있다.
그렇지만, 이 풀페이스형 헬멧은 본체의 하부 전방에 턱받침이 형성되고, 그 턱받침의 내측에 발포스티롤 등으로 구성된 라이너가 부착되어 있으므로, 착용자의 호흡에 의한 김(열기)은 상기 턱받침부에 배치된 라이너에 반사되어, 다시 좌우양측에 배치되어 있는 볼패드의 입에 가까운 앞쪽 단부로 되돌아오고, 진로가 막힌 열기는 턱받침과 착용자 안면 사이에 남겨진다.
또한, 헬멧 내에서 진로를 잃은 열기는 위쪽으로 이동하고, 실드의 내측을 흐리게 하는 경우도 있다.
상기한 착용자의 호흡이 헬멧 내의 안면전부의 공간에 대류하는 것을 방지하는 수단으로서는, 턱받침에 반사하고, 착용자와 본체내면의 사이에 대류하여 좌우의 볼패드 측을 향하는 착용자의 호흡을 헬멧의 외부로 안내하면 좋고, 그 방법으로는 본체내의 좌우 측에 배치된 볼부분 및 턱부분을 받치는 협부내장체(볼패드)의 완충재의 앞쪽부분을 잘라내어 작게 하고, 반사한 호흡이 협부내장체(볼패드)에 닿지 않도록 하는 것이 고려된다. 즉, 완충재의 볼부분 및 턱부분과 맞닿는 면적을 작게 한다.
그렇지만, 볼패드에 있어서의 완충부재의 앞쪽을 잘라내어 볼부분 및 턱부분과 맞닿는 면적을 작게 한 경우는 턱부분을 받친다는 볼패드 본래의 기능이 상실되고, 헬멧 본래의 기능이 저하한다는 것도 고려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기술이 가지는 문제점을 감안하여 된 것으로, 그목적으로 하는 것은, 헬멧 본래의 기능에 크게 공헌하는 협부내장체(볼패드) 본래의 지지기능을 저하시키지 않도록 턱받침에 반사하고, 착용자와 본체내면 사이에 대류하며, 좌우의 볼패드 측을 향하는 착용자의 호흡을 헬멧하부에서 효율 좋게 후방으로 안내하여 헬멧의 외부로 배출하고, 호흡이 헬멧 내의 안면 전부(前部)의 공간에 대류하지 않는 풀페이스형 헬멧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이 강구한 기술적 수단은, 풀페이스형의 본체 내측에, 충격흡수라이너 및 착용자의 두부(頭部) 혹은 귀에서 볼부분에 이르는 부위에 대응하여 좌우양측에 협부내장체(볼패드)가 부착된 풀페이스형 헬멧에 있어서, 본체내측에 설치된 턱받침부에서 반사하여 착용자와 본체내면의 사이에 대류하는 착용자의 호흡을 본체의 하부에서 경사지게 후방으로 배출하는 안내로를, 상기 볼패드에 있어서의 볼과 맞닿는 면적 및 볼의 지지기능을 저하시키지 않도록, 상기 볼패드를 구성하는 완충부재의 두께방향 중간부를 압궤(壓潰)변형 또는 완충부재를 잘라내어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볼패드에 있어서의 안내로의 형성은, 그 볼패드를 구성하는 베이스부재 상에 적층 접착한 쿠션부재의 앞쪽하부를 상기 베이스부재에 대하여 접착하지 않고, 그 완충부재의 비접착 부분에 있어서, 베이스부재 및 완충부재를 덮는 외장커버를 완충부재에 대하여 장력을 건 상태로 덮고, 베이스부재에 고정시키는 것에 의해 형성된다.
이 외장커버에 장력을 거는 방법으로는, 외장커버를 포대형상으로 형성하고, 그 커버의 입구에 신축성이 좋은 고무바퀴 등을 부착하여, 그 수축력에 의해 장력을 주도록 한다. 이 경우, 외장커버에 있어서의 해당위치(앞쪽하부)에 대응하는 부분에는 베이스부재의 앞쪽하부의 각부(角部)가 끼워지는 입구가 형성되어 있다. 더욱이, 상기 외장커버의 당해부분에 장력을 효과적으로 걸기 때문에 베이스부재의 소정개소에 그 외장커버를 거는 후크를 설치하여도 좋고, 그 후크는 베이스부재에 동일체로 형성하여도, 별도성형품을 베이스부재에 접착 고정하여 형성하여도 좋다.
또, 외장커버에 있어서의 앞쪽하부에 장력을 걸어 안내로를 형성하는 경우, 안내로를 깔끔하게 형성하기 위한 완충부재의 당해부분을 선단에서 내측을 향하여 깎아내어도 좋고, 그 경우 완충부재의 잘라냄에 의해 볼패드 본래의 반발력이 저하할 때는 완충부재의 깎아낸 부분에 신축성이 적은 합성수지 등의 보강판을 접착하여 완충부재가 줄거나 닳는 것을 보충하여도 좋다.
상기 안내로는 베이스부재 및 완충부재를 덮는 외장커버에 장력을 걸어 형성하는 방법 외에, 볼패드에 있어서의 완충부재 앞쪽하부의 베이스부재와의 비접착 부위에, 완충부재를 압궤 변형시키고, 또한 착용자를 다치지 않게 하는 충분한 탄성을 가지는 연질의 만곡성형판을 설치하고, 그 일부를 베이스부재에 접착 고정하여 베이스부재와 만곡성형판의 사이에 안내로를 형성하여도 좋다.
또한, 상기 볼패드에 있어서의 안내로는, 본체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게 장착된 볼패드의 앞쪽하부에서의 완충부재와 베이스부재의 비접착 부위의 베이스부재에, 완충부재의 비접착 부분에 맞닿아 이것을 베이스부재에서 분리하는 방향으로 힘을 가하는 성형판을 일체로 구비한 캡을 덮도록 형성하여도 좋다. 이 경우, 성형판을 구비한 캡은 외장커버의 위에서 덮어 커버와 함께 찌부러트려도 좋지만, 외장커버를 덮기 전에 베이스부재에 덮여 완충부재를 찌부러트리고, 그 위로부터 외장커버를 덮어도 좋다. 단지, 그런 경우에는 외장커버의 당해 위치에 캡이 통하는 구멍을 형성한다.
상기한 안내로를 형성하는 수단은 볼패드가 본체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게 구성된 시스템패드에 효과적으로 있지만, 본 발명에서의 안내로는 볼부분에서 턱부분을 받치는 완충부재가 발포스티롤 등으로 된 좌우 일체형의 충격흡수라이너에 대하여 접착 고정된 고정형으로도 이용할 수도 있다.
그 고정형에 효과적인 안내로의 형성수단은, 협부내장체에서의 완충부재와 그 완충부재가 적층 접착된 충격흡수라이너를 덮는 커버에, 신축성이 적은 연질의 판재를 봉합하고, 이 커버로 덮는 것으로 협부내장체의 앞쪽하부의 완충부재를 상기 성형판으로 뭉개어 안내로를 구획 형성한다.
상기의 수단에 의하면, 본체내의 좌우에 배치되는 착탈 가능한 볼패드 또는 본체내의 충격흡수라이너의 내측에 적층 고정된 협부내장체에서의 쿠션부재의 두께방향 중간부를 압궤형상 또는 완충부재를 잘라내어 볼패드 또는 협부내장체의 앞쪽 하부에, 비스듬하게 후방으로 안내하는 안내로를 형성한 것으로, 턱받침부에서 반사하고, 착용자와 본체내면과의 사이에 대류하여 볼패드 또는 협부내장체 측을 향하는 착용자의 호흡은 상기 안내로에 의해 헬멧의 하부에서 비스듬히 후방으로 안내 배출된다. 따라서, 착용자의 호흡이 헬멧내의 안면 앞쪽의 공간에 대류하는 것은 없어진다.
게다가, 상기 안내로는 완충부재의 두께방향의 중간부를 압궤변형 또는 깎아내어 형성되므로, 착용자의 볼에서 턱부분(입근처)에 이르는 완충부재의 맞닿는 면적 및 볼의 지지기능은 종래와 변함없고, 따라서 헬멧의 본래 기능은 손상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풀페이스형 헬멧의 실시예의 일 예를 나타내는, 일부를 잘라낸 측면도이다.
도 2는, 동저면도이다.
도 3은, 청구항 1에 관한 실시 예를 나타내는, 일부를 잘라낸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서 나타낸 볼패드를 반사 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5는, 청구항 1에 관한 실시예의 변형 예를 나타내는 동사시도이다.
도 6은, 청구항 1에 관한 실시예의 또 다른 변형 예를 나타내는, 일부를 잘라낸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주요부에 있어서의 확대단면도이다.
도 8은, 청구항 3에 관한 실시 예를 나타내는, 일부를 잘라낸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의 볼패드를 완성하기 전의 베이스부재, 완충부재 및 만곡성형판의 관계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10은, 청구항 4에 관한 실시 예를 나타내는, 일부를 잘라낸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0에서의 캡을 덮기 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동 사시도이다.
도 12는, 청구항 2에 관한 실시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3은, 동실시예의 일부를 잘라낸 저면도이다.
(용어의 설명)
A …풀페이스형 헬멧,B,B' …안내로,
1 …본체,2 …충격흡수라이너,
2' …턱받침,4,4' …볼패드,
5 …베이스부재,6 …완충부재,
7 …외장커버,12 …만곡성형판,
13 …성형판을 구비한 캡,17 …성형판,
18,18' …협부내장체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도면에 근거하여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는 본체내의 좌우양측에 배치된 협부내장체가 본체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게 구성된 볼패드를 장착한 풀페이스형 헬멧(A)을 나타내고, 도면 중, 1은 섬유강화수지재로서 머리가 완전히 들어가도록 형성된 오늘날 주지의 형상으로 형성된 본체이고, 그 본체(1)의 내측에 발포스티롤 또는 이것과 동등 이상의 충격흡수성능을 가진 재료를 사용하여 머리꼭대기부분을 포함한 본체내부를 따라 형성된 충격흡수라이너(2)와, 본체(1)의 하부에서의 턱부분에서 좌우의 볼부분에 이르는 부분에 턱받침(2')이 끼워 맞추어져 정착됨과 아울러, 상기 충격흡수라이너(2)의 내면에는 장착체(3)가 부착되어 있다.
턱받침(2')은, 발포스티롤 또는 이것과 동등 이상의 충격흡수성능을 가진 재료를 사용하여 본체(1)내에서의 턱부분에서 좌우의 볼부분에 이르는 부분을 커버하는 것과 같이 형성되고, 턱부분과 접촉하는 면접촉 부분에는 피혁, 합성피혁 등의 표면재료가 접착되어 있다.
상기 충격흡수라이너(2)와 턱받침(2')은 본체(1) 내측에 끼워 맞추어 지고, 접착제를 거쳐 일체적으로 접합 고정되어 있고, 이것에 의해 충격흡수라이너(2)와 턱받침(2')의 사이에 볼패드(4),(4')가 끼워져 장착되는 오목부가 구획 형성된다.
턱받침(4),(4')은 발포스티롤 등의 충격흡수성능을 가진 베이스부재(5:충격흡수라이너와 동일한 재료로 된다)와, 그 베이스부재(5)의 내측에 적층 접착되는 우레탄 등으로 이루어진 완충부재(6)와, 상기 베이스부재(5)와 완충부재(6)를 덮는 외장커버(7)로 구성되고, 그렇게 한 볼패드(4),(4')의 앞쪽 단부에는 그 볼패드를 충격흡수라이너(2)와 턱받침(2')의 사이에 착탈 가능하게 걸어 맞추어 지지하는 지지수단(도시 생략)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볼패드(4),(4')를 구성하는 완충부재(6)는, 입 근처의 앞쪽하부(하측단부를 포함한 대략 삼각형의 코너부분)를 베이스부재(5)에 대하여 비접착으로 하고, 그 다른 부분은 접착 고정하여 베이스부재(5)와 완충부재(6)를 일체화하면서, 외장커버(7)에서의 앞쪽하부를 덮는 위치에 베이스부재(5)의 당해 각부를 끼워 넣는 통공(8)을 형성하고, 외장커버(7)를 베이스부재(5)의 중심방향으로 장력을 걸어 덮는 것에 의해, 상기 통공(8)은 결과적으로 그것의 대략 수선방향으로 장력이 작용하고, 완충부재(6)의 비접착 부분이 압궤 변형되며, 그 완충부재(6)의 볼부분 및 턱부분과 맞닿는 내측표면과 베이스부재(5)의 사이에 대략 삼각추형상의 안내로(B)가 형성된다.
즉, 안내로(B)는 볼패드(4),(4')의 앞쪽하부에서 뒤쪽하부로 구획 형성된다.
상기 외장커버(7)에 장력을 거는 방법으로는,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포대형상으로 형성한 외장커버(7)의 입구부에 신축성이 풍부한 고무바퀴(9)를 부착하고, 이 고무바퀴(9)의 수축력에 의해 장력을 건다.
또한, 상기 외장커버(7)의 당해 개소에 효과적으로 장력을 거는 경우는, 도5에 나타내듯이 베이스부재(5)의 소정 위치에 외장커버(7)를 거는 후크(10)를 설치하고, 그것에 의해 상기 방향의 장력이 크게 되도록 한다.
또한, 외장커버(7)에 있어서의 앞쪽하부에 장력을 걸어 안내로(B)를 형성하는 경우, 그 안내로(B)를 2개의 평탄면으로 구성된 대략 V자형으로 형성할 때는 그 완충부재(6)의 당해 부분을 선단에서 내측을 향하여 깎아내어도 좋고, 그 경우 완충부재(6)의 두께방향이 깎이는 것에 의해, 볼패드 본래의 반발력이 저하할 때는, 도 6 및 도 7에 나타내듯이 완충부재(6)의 깎여진 부분에 신축성이 적은 합성수지 등의 보강판(11)을 접착 고정하여 완충부재(6)가 오그라들거나, 닿는 것을 보강하고, 이것에 의해 볼패드 본래의 볼, 턱부분을 지지하는 기능이 유지되도록 한다.
상술한 실시 예는 볼패드를 구성하는 외장커버에 장력을 거는 것으로 볼패드의 앞쪽하부에 안내로(B)를 형성한 예이지만, 도 8 및 도 9는 외장커버에 장력을 걸지 않고 안내로(B)를 형성하는 일 예를 나타낸다.
이러한 구성은, 볼패드(4),(4')에서의 완충부재(6)의 앞쪽하부의 베이스부재(5)의 비접착 부위에 연질의 만곡형성판(12)을 설치하고, 그 일부면(12b)을 베이스부재(5)에 접착 고정하여 그 만곡형성판(12)의 튀어 오르는 부분에서 완충부재(6)의 비접착 부분을 베이스부재(5)로부터 분리하는 방향으로 힘을 가하는 안내로(B)를 형성한다.
또한, 도 10 및 도 11은 외장커버(7)의 장력에 구속되지 않게 안내로(B)를 형성하는 다른 예를 나타내고, 그 구성은 볼패드에서의 완충부재(6)와 베이스부재(5)의 비접착 부위의 베이스부재(5)에, 완충부재(6)의 비접착 부분에 맞닿게 하여 그 완충부재의 비접착 부분을 베이스부재(5)로부터 분리하는 방향으로 강제적으로 힘을 가하는 성형판(14)을 일체로 구비한 합성수지제의 성형판을 구비한 캡(13)을 덮어 형성한다. 이 경우, 성형판(14)을 구비한 성형판을 구비한 캡(13)은 외장커버(7)의 위에서 베이스부재(5)의 앞쪽하부의 각부로 덮어 커버와 함께 뭉개도 좋지만, 외장커버(7)를 덮기 전에 베이스부재에 덮여 완충부재(6)의 당해 부분을 성형판으로 강제적으로 베이스부재로부터 분리하는 방향으로 힘을 가하고, 그 위에서 외장커버(7)를 덮어도 좋고, 그 경우는 외장커버(7)의 당해 개소에 성형판을 구비한 캡(13)이 덮인 베이스부재(5)의 앞쪽하부의 각부가 끼워 넣어지는 통공을 형성한다. 이 경우의 성형판을 구비한 캡(13)은, 완충부재(6)를 누르고, 또한 착용자를 다치지 않도록 하기에 충분한 탄성을 가지는 연질의 합성수지제의 성형품으로 한다.
상술한 각 실시 예는 협부내장체가 본체에 대하여 착탈 가능한 시스템패드에 대하여 설명하지만, 본 발명에 있어서의 협부내장체에 형성하는 안내로는 턱부분을 받치는 완충부재가 발포스티롤 등으로 이루어진 좌우 일체형의 턱받침(2')에 대하여 접착 고정된 고정형으로도 채용할 수 있다.
이하, 그 실시 예를 도 12 및 도 13에 근거하여 설명하면, 협부내장체(18),(18')는 발포스티롤 등에 의해 평면이 대략 U자형으로 형성한 턱받침(2')의 좌우양측의 소정개소에 완충부재(15)가 적층 접착되지만, 상기 완충부재(15)에서의 앞쪽하부는 턱받침(2')에 대하여 비접착으로 하고, 그 완충부재(15)의 비접착부와 대응하는 커버(16)의 내면에 연질의 성형판(17)을 봉합하고,이 커버(16)로 덮어 협부내장체(18),(18')의 완충부재(15)에 있어서의 앞쪽하부는 상기 성형판(17)으로 뭉개지고, 대략 V자형의 안내로(B')가 구획 형성된다.
이상의 구성에 의해, 볼패드(4),(4')(또는 협부내장체(18),(18'))에는 앞쪽하부에 기울어져 뒤쪽하부로 향하여 안내로(B),(B')가 형성되기 때문에, 턱받침의 뒤쪽 좌우양측에 배치된 볼패드(4),(4')(또는 협부내장체(18),(18'))방향을 향하는 착용자의 호흡은 상기 안내로(B),(B')를 통하여 헬멧의 하부에서 헬멧의 외부로 배출된다. 따라서, 착용자의 호흡이 헬멧 내의 안면 전부의 공간에 대류하지 않게 되고, 그 결과 헬멧의 전면에 배치된 실드의 내면이 흐려지는 것이 방지된다.
게다가, 상기 안내로는 볼패드 또는 협부내장체의 완충부재의 두께방향의 중간부를 압궤변형 또는 잘라내어 형성하고, 볼부분 및 턱부분과 맞닿는 표면면적은 그대로 확보되어 있으므로, 볼패드 또는 협부내장체가 가지는 본래의 기능인 볼부분 및 턱부분의 지지기능은 완전히 손상되지 않고, 헬멧 본래의 기능을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협부내장체(볼패드)에 안내로를 형성하는 수단 중, 성형판을 구비한 캡을 베이스부재에 덮어 형성하는 수단이외는 협부내장체(볼패드)가 본체에 대하여 착탈 가능한 시스템패드, 및 본체에 대하여 고정되는 형의 양방으로 채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풀페이스형 헬멧은 청구항 1, 2, 3, 4에 기재된 구성에 의해, 턱받침의 뒤쪽 좌우양측에 배치된 볼패드 또는 협부내장체 방향을 향하는 착용자의호흡을, 안내로를 거쳐, 헬멧의 하부에서 헬멧의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따라서, 착용자의 호흡이 헬멧 내의 안면 전부(前部)의 공간에 대류하지 않게 되고, 그 결과 헬멧의 전면에 배치된 실드의 내면이 착용자의 호흡으로 흐려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게다가, 상기 안내로는 패드 또는 협부내장체의 완충부재의 두께방향의 중간부를 압궤 변형하여 형성하고, 볼부분 및 턱부분과 맞닿는 표면적은 그대로 확보되어 있으므로, 볼패드 또는 협부내장체가 가진 본래의 기능인 볼부분 및 턱부분의 유지기능은 완전히 손상되지 않고, 헬멧 본래 기능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청구항 1의 구성에 의해, 상기한 효과를 극히 간단한 구조로 달성할 수 있다.
더욱이, 청구항 2, 3, 4에 기재된 구성에 의해, 완충부재의 압궤변형, 누르기를 효과적으로 할 수 있고, 이것에 의해 안내로를 2개의 평탄면으로 구성되는 대략 V자형으로 형성할 수 있다.

Claims (4)

  1. 풀페이스형의 본체의 내측에, 충격흡수라이너 및 착용자의 두부(頭部) 혹은 귀에서 볼부분에 이르는 부위에 대응하여 좌우양측에 볼패드가 부착된 풀페이스형 헬멧에 있어서, 그 볼패드를 구성하는 베이스부재 상에 적층 접착되는 완충부재의 앞쪽하부를 상기 베이스부재에 대하여 비접착으로 하고, 그 완충부재의 비접착 부분을, 베이스부재 및 완충부재를 덮는 외장커버를 베이스부재에 대하여 장력을 건 상태로 덮어서 상기 완충부재의 위쪽하부를 베이스부재에 대하여 분리시키는 것에 의해, 본체내측에 배치된 턱받침부에서 반사하여 착용자와 본체내면 사이에 대류하는 착용자의 호흡을 본체의 하부에서 비스듬히 후방으로 배출하는 안내로를, 상기 볼패드에서의 볼과 맞닿는 면적 및 볼의 지지기능을 저하시키지 않도록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풀페이스형 헬멧.
  2. 풀페이스형의 본체의 내측에, 충격흡수라이너 및 착용자의 두부 혹은 귀에서 볼부분에 이르는 부위에 대응하여 좌우 양측에 협부내장체가 부착된 풀페이스형 헬멧에 있어서, 상기 협부재장체를 구성하는 베이스부재 상에 적층 접착되는 완충부재의 앞쪽 하부를 상기 베이스부재에 대하여 비접착으로 하고, 그 완충부재의 비접착 부분에 대응하는 외장커버의 내측에 신축성이 적은 연질의 판재를 부착하고, 그 외장커버로 베이스부재 및 완충부재를 덮는 것과 아울러 상기 판재로 완충부재의 비접착 부분을 압궤 변형시킨 상태로 외장커버를 베이스부재로 한정 피복하여 상기완충부재의 앞쪽하부를 베이스부재에 대하여 본체내면과의 사이에 대류하는 착용자의 호흡을 본체의 하부에서 비스듬히 후방으로 배출하는 안내로를, 상기 볼패드에서의 볼과 맞닿는 면적 및 볼의 유지기능을 저하시키지 않도록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풀페이스형 헬멧.
  3. 풀페이스형의 본체의 내측에, 충격흡수라이너 및 착용자의 두부 혹은 귀에서 불부분에 이르는 부위에 대응하여 좌우양측에 볼패드가 부착된 풀페이스형 헬멧에 있어서, 그 볼패드를 구성하는 베이스부재 상에 적층 접착된 완충부재의 앞쪽하부를 상기 베이스부재에 대하여 비접착으로 하고, 그 완충부재의 앞쪽하부의 베이스부재와의 비접착 부위에 연질의 만곡성형판을 배치하고, 그 일부를 베이스부재에 접착 고정하여 상기 완충부재의 앞쪽하부를 베이스부재에 대하여 분리시키는 것에 의해, 본체 매측에 배치한 턱받침부에서 반사하여 착용자와 본체 내면 사이에 대류하는 착용자의 호흡을 본체의 하부에서 비스듬히 후방으로 배출하는 안내로를, 상기 볼패드에 있어서의 볼과의 맞닿는 면적 및 볼의 지지기능을 저하시키지 않도록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풀페이스형 헬멧.
  4. 풀페이스형의 본체 내측에, 충격흡수라이너 및 착용자의 두부 혹은 귀에서 볼부분에 이르는 부위에 대응하여 좌우양측에 볼패드가 착탈 가능하게 부착된 풀페이스형 헬멧에 있어서, 그 볼패드를 구성하는 베이스부재 상에 적층 접착되는 완충부재의 앞쪽하부를 상기 베이스부재에 대하여 비접착으로 하고, 그 부위의 베이스부재에, 완충부재의 비접착 부분에 맞닿게 하여 이것을 베이스부재로부터 분리하는 방향으로 힘을 가하는 성형판을 일체로 구비한 캡을 덮어 상기 완충부재의 위쪽하부를 베이스부재에 대하여 분리시키는 것에 의해, 본체 내측에 배치한 턱받침부에서 반사하여 착용자와 본체내면 사이에 대류하는 착용자의 호흡을 본체의 하부에서 비스듬히 후방으로 배출하는 안내로를, 상기 볼패드에 있어서의 볼과의 맞닿는 면적 및 볼의 지지기능을 저하시키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풀페이스형 헬멧.
KR1019990002659A 1998-06-23 1999-01-28 풀페이스형 헬멧 KR10032318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8-176091 1998-06-23
JP10176091A JP2904416B1 (ja) 1998-06-23 1998-06-23 フルフェース型ヘルメッ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5574A true KR20000005574A (ko) 2000-01-25
KR100323188B1 KR100323188B1 (ko) 2002-02-19

Family

ID=160075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02659A KR100323188B1 (ko) 1998-06-23 1999-01-28 풀페이스형 헬멧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6185753B1 (ko)
EP (1) EP0966893B1 (ko)
JP (1) JP2904416B1 (ko)
KR (1) KR100323188B1 (ko)
DE (1) DE69908491T2 (ko)
TW (1) TW420601B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9389B1 (ko) * 2000-02-07 2007-03-08 삼성전자주식회사 브이5.2 프로토콜 변환 장치
WO2017094974A1 (ko) * 2015-11-30 2017-06-08 주식회사 기도스포츠 헬멧의 탈착식 패드 체결 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헬멧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592870B2 (ja) * 2000-05-01 2010-12-08 株式会社Shoei ヘルメット
US6370699B1 (en) * 2001-02-08 2002-04-16 Southern Impact Research Center, Llc Jaw pad for helmet
US6438762B1 (en) * 2001-06-14 2002-08-27 David L. Jenkins Cover for helmet padding
JP4608141B2 (ja) * 2001-07-03 2011-01-05 株式会社Shoei 乗車用フルフェイス型ヘルメット
KR100594733B1 (ko) 2004-10-13 2006-06-30 김당기 오토바이 헬멧용 턱 보호부재 및 그 제조방법
US7841025B1 (en) * 2005-06-01 2010-11-30 Fink Joshua M Jaw pad cover
JP4895544B2 (ja) * 2005-07-15 2012-03-14 株式会社Shoei フルフェイス型ヘルメット
JP4948893B2 (ja) * 2006-05-09 2012-06-06 株式会社Shoei ヘルメットおよびその脱着方法
US8069499B2 (en) * 2006-05-15 2011-12-06 Shoei Co., Ltd. Helmet shield attaching mechanism, and helmet attached with the same
JP4976153B2 (ja) * 2007-02-06 2012-07-18 株式会社Shoei ヘルメットサイズの調整方法
WO2008115932A2 (en) * 2007-03-19 2008-09-25 Lineweight Llc Face armor
JP5041906B2 (ja) * 2007-08-07 2012-10-03 株式会社Shoei ヘルメット
JP4939586B2 (ja) * 2009-10-19 2012-05-30 株式会社アライヘルメット オープンフェースヘルメット
JP5214672B2 (ja) * 2010-07-23 2013-06-19 株式会社アライヘルメット ヘルメットの頬パッド
US8549671B2 (en) 2011-01-06 2013-10-08 Bell Sports, Inc. Helmet having magnetically coupled cheek pads
JP5848774B2 (ja) * 2011-11-04 2016-01-27 株式会社オージーケーカブト ヘルメット
USD795500S1 (en) 2013-08-13 2017-08-22 Smith Optics, Inc. Helmet
USD752814S1 (en) 2013-08-13 2016-03-29 Smith Optics, Inc. Helmet
USD752294S1 (en) 2013-08-13 2016-03-22 Smith Optics, Inc. Helmet
US10736373B2 (en) 2013-08-13 2020-08-11 Smith Optics, Inc. Helmet with shock absorbing inserts
USD773120S1 (en) 2014-07-25 2016-11-29 Smith Optics, Inc. Helmet
JP6296611B2 (ja) * 2014-08-05 2018-03-20 株式会社Shoei ヘルメット
USD822905S1 (en) 2016-10-31 2018-07-10 Smith Optics, Inc. Helmet
USD817553S1 (en) 2016-10-31 2018-05-08 Smith Optics, Inc. Helmet
GB201817960D0 (en) * 2018-11-02 2018-12-19 Mips Ab Helmet
JP7288889B2 (ja) * 2020-10-19 2023-06-08 株式会社Shoei ヘルメット及びチークパッド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82610A (en) * 1978-01-16 1981-08-11 The Kendall Company Protective headgear
JPH026606A (ja) * 1988-06-14 1990-01-10 Michio Arai フルフェース型ヘルメット
WO1990005464A1 (en) * 1988-11-15 1990-05-31 Rodney Dean Cooter Crash helmet
JPH0623527Y2 (ja) * 1990-08-20 1994-06-22 昭栄化工株式会社 ヘルメット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9389B1 (ko) * 2000-02-07 2007-03-08 삼성전자주식회사 브이5.2 프로토콜 변환 장치
WO2017094974A1 (ko) * 2015-11-30 2017-06-08 주식회사 기도스포츠 헬멧의 탈착식 패드 체결 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헬멧
US11612206B2 (en) 2015-11-30 2023-03-28 Kido Sports Co., Ltd. Detachable pad fastening structure of helmet and helmet including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0017514A (ja) 2000-01-18
EP0966893B1 (en) 2003-06-04
KR100323188B1 (ko) 2002-02-19
US6185753B1 (en) 2001-02-13
DE69908491D1 (de) 2003-07-10
TW420601B (en) 2001-02-01
DE69908491T2 (de) 2004-05-19
EP0966893A1 (en) 1999-12-29
JP2904416B1 (ja) 1999-06-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23188B1 (ko) 풀페이스형 헬멧
KR100323186B1 (ko) 헬멧
KR101547176B1 (ko) 헬멧의 뺨패드
JP4059729B2 (ja) 安全用ヘルメットのための頭部保護体
EP0346608B1 (en) Full face type helmet
JP2853850B2 (ja) ヘルメットの内装体用パッド及びその内装体
TWI488589B (zh) Half-hooded helmet
EP0423711B1 (en) A helmet
JP2001020121A (ja) ヘルメット
KR102197046B1 (ko) 재난 보호용 헬멧
US3213463A (en) Safety helmet and headband therefor
GB2119229A (en) A protective helmet
JP7244960B2 (ja) ヘルメット用フィッティングシステム
US20190307200A1 (en) Helmet with floating brow band
JP3136096B2 (ja) 乗車用安全ヘルメット
WO2022085234A1 (ja) ヘルメット及びチークパッド
US11918069B2 (en) Motorcycle helmet
JPH0711085B2 (ja) ヘルメットの内部構造
JP2000178820A (ja) ヘルメット
JP2579979Y2 (ja) 格闘競技用顔面保護具
JP2587505Y2 (ja) 眼 鏡
JP2006037271A (ja) ヘルメット
JPH0478726B2 (ko)
JP2000080513A (ja) ジェット型ヘルメ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