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83096A - 물품운반보관장치 및 그 장치에 의해 운반된 물품 - Google Patents

물품운반보관장치 및 그 장치에 의해 운반된 물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83096A
KR19990083096A KR1019990012559A KR19990012559A KR19990083096A KR 19990083096 A KR19990083096 A KR 19990083096A KR 1019990012559 A KR1019990012559 A KR 1019990012559A KR 19990012559 A KR19990012559 A KR 19990012559A KR 19990083096 A KR19990083096 A KR 199900830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llet
article
struts
posts
storage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125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93407B1 (ko
Inventor
아라이토모아키
이시카와사케
이시하라사토시
다나카이사무
Original Assignee
이토가 미찌야
가부시키가이샤 리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11059508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0255572A/ja
Priority claimed from JP06069799A external-priority patent/JP3948691B2/ja
Priority claimed from JP6244799A external-priority patent/JPH11348985A/ja
Priority claimed from JP11067645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0264335A/ja
Priority claimed from JP11071890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0264337A/ja
Application filed by 이토가 미찌야, 가부시키가이샤 리코 filed Critical 이토가 미찌야
Publication of KR199900830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830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934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93407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19/0004Rigid pallets without side walls
    • B65D19/0006Rigid pallets without side walls the load supporting surface being made of a single element
    • B65D19/0008Rigid pallets without side walls the load supporting surface being made of a single element forming a continuous plane contact surface
    • B65D19/002Rigid pallets without side walls the load supporting surface being made of a single element forming a continuous plane contact surface the base surface being made of more than one element
    • B65D19/0024Rigid pallets without side walls the load supporting surface being made of a single element forming a continuous plane contact surface the base surface being made of more than one element forming discontinuous or non-planar contact surfaces
    • B65D19/0026Rigid pallets without side walls the load supporting surface being made of a single element forming a continuous plane contact surface the base surface being made of more than one element forming discontinuous or non-planar contact surfaces and each contact surface having a stringer-like sha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19/02Rigid pallets with side walls, e.g. box pallets
    • B65D19/06Rigid pallets with side walls, e.g. box pallets with bodies formed by uniting or interconnecting two or more components
    • B65D19/08Rigid pallets with side walls, e.g. box pallets with bodies formed by uniting or interconnecting two or more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metal
    • B65D19/12Collapsible pall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19/38Details or accessories
    • B65D19/385Frames, corner posts or pallet converters, e.g. for facilitating stacking of charged pall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2519/00004Details relating to pallets
    • B65D2519/00009Materials
    • B65D2519/00014Materials for the load supporting surface
    • B65D2519/00024Met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2519/00004Details relating to pallets
    • B65D2519/00009Materials
    • B65D2519/00014Materials for the load supporting surface
    • B65D2519/00029Woo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2519/00004Details relating to pallets
    • B65D2519/00009Materials
    • B65D2519/00049Materials for the base surface
    • B65D2519/00059Met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2519/00004Details relating to pallets
    • B65D2519/00009Materials
    • B65D2519/00049Materials for the base surface
    • B65D2519/00064Woo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2519/00004Details relating to pallets
    • B65D2519/00009Materials
    • B65D2519/00084Materials for the non-integral separating spacer
    • B65D2519/00094Met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2519/00004Details relating to pallets
    • B65D2519/00009Materials
    • B65D2519/00084Materials for the non-integral separating spacer
    • B65D2519/00099Woo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2519/00004Details relating to pallets
    • B65D2519/00258Overall construction
    • B65D2519/00283Overall construction of the load supporting surface
    • B65D2519/00288Overall construction of the load supporting surface made of one pie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2519/00004Details relating to pallets
    • B65D2519/00258Overall construction
    • B65D2519/00283Overall construction of the load supporting surface
    • B65D2519/00293Overall construction of the load supporting surface made of more than one pie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2519/00004Details relating to pallets
    • B65D2519/00258Overall construction
    • B65D2519/00283Overall construction of the load supporting surface
    • B65D2519/00308Overall construction of the load supporting surface grid type, e.g. perforated pla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2519/00004Details relating to pallets
    • B65D2519/00258Overall construction
    • B65D2519/00313Overall construction of the base surface
    • B65D2519/00323Overall construction of the base surface made of more than one pie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2519/00004Details relating to pallets
    • B65D2519/00258Overall construction
    • B65D2519/00313Overall construction of the base surface
    • B65D2519/00328Overall construction of the base surface shape of the contact surface of the base
    • B65D2519/00333Overall construction of the base surface shape of the contact surface of the base contact surface having a stringer-like sha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2519/00004Details relating to pallets
    • B65D2519/00258Overall construction
    • B65D2519/00492Overall construction of the side walls
    • B65D2519/00512Overall construction of the side walls skeleton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2519/00004Details relating to pallets
    • B65D2519/00547Connections
    • B65D2519/00552Structures connecting the constitutive elements of the pallet to each other, i.e. load supporting surface, base surface and/or separate spacer
    • B65D2519/00557Structures connecting the constitutive elements of the pallet to each other, i.e. load supporting surface, base surface and/or separate spacer without separate auxiliary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2519/00004Details relating to pallets
    • B65D2519/00547Connections
    • B65D2519/00552Structures connecting the constitutive elements of the pallet to each other, i.e. load supporting surface, base surface and/or separate spacer
    • B65D2519/00557Structures connecting the constitutive elements of the pallet to each other, i.e. load supporting surface, base surface and/or separate spacer without separate auxiliary elements
    • B65D2519/00562Structures connecting the constitutive elements of the pallet to each other, i.e. load supporting surface, base surface and/or separate spacer without separate auxiliary elements chemical connection, e.g. glued, welded, seal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2519/00004Details relating to pallets
    • B65D2519/00547Connections
    • B65D2519/00552Structures connecting the constitutive elements of the pallet to each other, i.e. load supporting surface, base surface and/or separate spacer
    • B65D2519/00572Structures connecting the constitutive elements of the pallet to each other, i.e. load supporting surface, base surface and/or separate spacer with separate auxiliary element, e.g. screws, nails, bayonets

Abstract

물품을 놓는 파레트와, 이 파레트에 세워져 설치되는 4개의 지주를 구비하는 물품운반보관장치에 있어서, 어떠한 크기의 물품도 그 크기에 적합한 크기를 갖는 파레트 위에 놓여져 운반될 수 있도록 한다. 물품(1)가 놓여지는 파레트(2)의 네 모퉁이에 착탈가능하게 취부되어진 2개의 지주(6) 사이의 간격을 자유자재로 변화시킬 수 있도록 2개의 지주 사이의 제1 및 제 2 연결부재(14,15)를 설치한다.

Description

물품운반보관장치 및 그 장치에 의해 운반된 물품{AN APPARATUS FOR TRANSPORTING AND STORAGING PRODUCTS AND THE TRANSPORTED PRODUCTS THEREBY}
본 발명은, 전기제품등의 공업제품과, 그 부품, 건축재료, 가구 또는 그외의 각종 물품을 운반하고, 또는 그것을 보관하기 위하여 이용되는 물품운반보관장치 및 그 장치에 의해 운반되는 물품에 관한 것이다.
이런 종류의 물품운반보관장치로서는, 물품을 재치하는 파레트와, 이 파레트의 4개의 모서리에 그 물품재치면에 대해서 수직으로 서있는 상태로 취부된 4개의 지주와, 상호 이웃하는 지주간끼리를 고정연결하는 연결부재로 구성된 장치가 널리 이용되고 있다. 작동하는 물품운반보관장치에 의해서 물품을 운반하는데는 4개의 지주의 내측 공간에 물품을 수용하고 이것을 파레트상에 재치하여, 그 물품을 물품운반보관장치째 운반한다. 또한, 물품운반보관장치에 수용한 물품을 창고등에 보관할 때는 복수의 물품운반보관장치를 상하로 겹쳐쌓아서 두는 것이 가능하여, 창고내의 공간을 유효하게 활용할 수 있다.
그런데, 이런 종류의 물품운반보관장치에 의해서 운반하고, 또는 보관할 물품은 큰사이즈의 것으로부터 작은 사이즈의 것까지 있는데 반해서, 상술한 종래의 물품운반보관장치는, 물품을 수용하는 공간의 용적이 일정하다. 이 때문에, 어떤 특정한 크기의 물품운반보관장치에 의해서, 이것에 맞는 사이즈의 물품에 대해서는, 이것을 운반하고 또는 보관하는 것이 가능하지만, 그 물품운반보관장치의 물품수용공간보다도 큰 사이즈의 물품에 대해서는, 이것을 운반하거나 보관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또한, 물품보관 수용공간보다도 너무 작은 물품을 그 물품운반보관장치로 운반하거나 보관하려고 하면, 그 운반효율이 저하되고, 게다가 창고내의 공간을 쓸떼없이 사용하게 되버려 바람직하지 않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결점을 제거하기 위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물품을 효율적으로 운반하게, 또는 이것을 보관하여 두는 것이 가능한 물품운반보관장치와, 그 물품운반보관장치에 의해 운반되는 물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물품운반보관장치의 일예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1에 도시한 물품운반보관장치를 조립하여, 이것을 상하로 겹쳐 쌓았을 때의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1에 도시한 제1의 이음수단과 이것에 연결된 연결부재의 확대사시도이다.
도 4는 도1에 도시한 제2의 이음수단으로부터 지주를 분리하여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도1에 도시한 지주를 접은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도1에 도시한 파레트를 상하로 겹쳐쌓아서 넣은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도1과는 다른 물품운반보관장치의 실시형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도7에 도시한 지주를 접은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은 지주유니트를 파레트에 착탈할 때의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11은 파레트에 물건을 실었을 때의 일예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12는 물품운반보관장치을 상하로 겹쳤을 때의 사시도이다.
도 13은 상하의 이음수단를 이음수단고정부재로 연결할 때의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14는 이음수단고정부재의 다른 예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15는 도14에 보인 이음수단고정부재에 의해서 다른 이음수단를 연결한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16은 이음수단고정부재의 다른 예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17은 도16에 도시한 이음수단고정부재로 이음수단를 연결한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18은 이음수단고정부재의 또 다른 예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19는 도18에 보인 이음수단고정부재로 이음수단를 연결하였을 때의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20은 이음수단고정부재의 위에 상판(天板)을 취부한 예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21은 천판에 물품을 실은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22는 천판의 다른 예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23은 도22에 도시한 천판에 화물을 실었을 때의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4는 천판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5는 도24에 보인 천판에 지주유니트를 수납한 때의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26은 지주유니트를 상자로 덮었을 때의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27은 지주유니트를 스트레치필름으로 덮은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28은 지주유니트를 보호망으로 덮은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29는 도28의 부분확대도이다.
도 30은 보호망의 다른 예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31은 보호아암(arm)을 설치한 물품운반보관장치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32는 커버를 이중 주머니로 구성한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3은 커버를 상자로 구성한 예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34는 지주유니트를 접었을 때의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35는 접은 지주유니트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36은 도1에 도시한 지주를 제1 및 제2 이음수단로부터 분리하였을 때의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37은 겹친 상태의 주머니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38은 그 주머니를 물품에 씌웠을 때의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39는 지주유니트를 파레트에 착탈할때의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40은 지주유니트를 파레트에 착탈할때의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41은 물품을 이중의 주머니 커버로 덮은 예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42는 물품운반보관장치의 일예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43은 도1에 보인 물품운반보관장치를 조립하여, 이것을 상하로 접었을 때의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44는 도 42와 다른 물품운반보관장치의 일실시예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45는 지주유니트를 파레트에 착탈할때의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46은 다른 가교(架橋)부재의 예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47은 또 다른 가교부재의 예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48은 도47에 보인 가교부재를 지주의 상부에 취부하였을때의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49는 아래의 물품운반보관장치의 위에 다른 물품운반보관장치를 적재한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50은 다리부의 계합(係合)부를 가교부재에 감합(嵌合)할 때의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51은 계합(係合)부를 가교부재에 감합하였을 때의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52는 다리부와 가교부재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53은 스토퍼수단을 보인 단면도이다.
도 54는 다른 스토퍼수단을 보인 사시도이다.
도 55는 가교부재를 파레트에 수납할 때의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56은 가교부재를 파레트에 수납완료하였을 때의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57은 물품운반보관장치의 일예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58은 도57에 보인 물품운반보관장치를 조립하여, 이것을 상하로 겹쳐쌓았을 때의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59는 도57에 보인 파레트를 상하로 겹쳐서 수납한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60은 파레트에 단차이를 만들지 않은 때의 문제점을 보이는 설명도이다.
도 61은 파레트 개체의 사시도이다.
도 62는 로보트처크(chuck)장치에 의해서 물품을 파레트상에 넣을때의 상태를 보이는 보인 설명도이다.
도 63은 로보트처크장치에 의해서 물품을 파레트상에 놓을 때의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64는 로보트처크장치에 의해서 물품을 파레트상에 놓을때의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65는 파레트의 다른 예를 보이는 사시도이다.
도 66은 파레트의 또 다른 예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67은 도66에 보인 파레트에 지주유니트를 수납하였을 때의 상태를 보인사시도이다.
도 68은 파레트의 또 다른 예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69는 도20의 부분확대도이다.
도 70은 물품운반보관장치의 일에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71은 도70에 보인 물품운반보관장치를 조립하여, 이것을 상하로 겹쳐쌓았을때의 상태를 보이는 사시도이다.
도 72는 도1에 보인 파레트를 상하로 겹쳐서 넣은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73은 겹쳐쌓은 파레트의 내부에 지주유니트를 수납한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74는 도73의 부분확대도이다.
도 75는 다른 파레트의 예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76은 도75에 보인 파레트를 겹쳐쌓았을 때의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77은 다른 파레트의 예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78은 도77에 보인 파레트를 복수단으로 겹쳤을때의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79는 파레트의 또 다른 예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80은 지주유니트지지판을 지주유니트본체에 대해서 착탈가능하게 한 파레트의 예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81은 지주유니트지지판을 지주유니트본체에 대해서 착탈가능하게 한 파레트의 다른 예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82는 또 다른 형태의 파레트를 겹쳐놓았을때의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83은 파레트와 물품운반보관장치를 트럭에 재치하였을 때의 상태를 보인 설명도이다.
도 84는 도82에 보인 복수의 파레트를 2단으로 겹쳐놓았을때의 사시도이다.
도 85는 파레트의 내부에 지주유니트를 격납한 예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86은 도85에 보인 다리부에 지주유니트를 수납하였을때의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87은 복사기의 다리부를 파레트의 관통홀에 감합시킬때의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88은 위치결정핀과 나사구멍을 갖는 파레트의 사시도이다.
도 89는 도88에 보인 파레트에 복사기로 된 물품을 취부시켰을 때의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90은 위치결정핀을 취부부재에 고정한 예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91은 너트를 취부부재에 고정한 예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92는 볼트를 취부부재에 고정한 예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93은 취부부재에 위치결정용 핀을 구비한 예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94는 도93에 보인 취부부재를 파레트에 달았을 때의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95는 도88에 보인 파레트에 복사기를 취부하였을 때의 상태를 보이고, 그 복사기를 점선으로 나타낸 그림이다.
도 96은 받침(臺座)부재를 파레트본체에 위치조정가능하게 고정한 예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97은 도96의 부분확대도이다.
도 98은 대형 복사기와 파레트의 관계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99는 소형 복사기와 파레트의 관계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100은 복사기의 내측에 커버를 설치한 예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101은 도100에 보인 커버를 열었을때의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102는 컨베어상의 치구플레이트와 복사기의 밑판을 보인 사시도이다.
도 103은 치구플레이트상에 밑판을 세트하였을 때의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104는 복사기와 급지트레이장치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105는 도104에 보인 복사기와 급지트레이장치를 상하로 겹쳤을 때의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물품, 2:파레트, 3:데크 보드,
4:다리부, 5:물품재치면, 6:지주,
7:돌기부, 8,9,26:이음수단, 10 내지 13:파레트의 네 변,
14,15:연결부재, 18:결합편, 21,52:힌지핀,
22:결합공, 23:캡, 30:물품운반보관장치,
31:커버, 32:지주유니트, 33:포대,
34,235:가교부재, 35:이음수단고정부재, 36:유지부,
39,239:결합부, 41:상판, 42:결합부재,
44:벽, 45:수납공, 46:상자,
47:스트레치 필름, 48:보호망, 49:후크,
51:보호아암, 53:연결핀, 234:규제수단,
240:안내부, 246:스토퍼, 300:받침부재,
333:로보트처크장치의 처크, 434:지주유니트 지지판,
439:포크 리프트의 포크, 549:취부부재.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물품이 재치되는 파레트와, 상기 파레트상에 재치된 물품을 둘러싸도록 상기 파레트에 착탈가능하게 취부된 복수의 지주와, 상호 이웃하는 2개의 지주간의 간격을 조정가능하고, 해당 2개의 지주끼리를 각각 연결하는 연결수단을 구비하는 물품운반보관장치를 제안한다(청구항 1).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물품이 재치되는 파레트와, 상기 파레트의 물품재치면에 대해서 거의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이고, 더하여 착탈가능하게 취부되는 4개의 지주와, 상호 이웃에 위치하는 2개의 지주간의 간격을 조정가능하게 해당 2개의 지주를 각각 연결하는 연결수단을 구비하는 물품운반보관장치를 제안한다(청구항2).
이 때, 상기 청구항1 또는 청구항2에 기재된 물품운반보관장치에 있어서, 상기 연결수단은 상호 이웃하게 위치한 2개의 지주간 간격이, 전부 같은 비율로 변화하게, 해당 간격을 상호 연동하여 조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이 유리하다(청구항3).
또한, 상기 청구항1 또는 청구항2에 기재된 물품운반보관장치에 있어서, 상기 연결수단은, 상호 이웃하게 위치하는 2개의 지주간의 간격과, 그 2개의 지주에 대향하고, 더하여 상호 이웃한 다른 2개의 지주간의 간격과 같은 비율로 변화하게, 해당 간격을 상호연결하여 조정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유리하다(청구항4).
더하여,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물품이 재치되는 파레트와, 상기 파레트의 물품재치면에 대해서 거의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로 착탈가능하게 취부된 4개의 지주와, 상기 지주에 각각 그 길이방향에 따라서 취부된 제1 및 제2 이음수단와, 상호 이웃하게 위치하는 2개의 지주를 각각 상호 연결하는 제1 및 제2의 연결부재를 구비하고, 4개의 지주가 상기 파레트에 취부된 상태로, 상기 제2의 이음수단는 제1의 이음수단로부터 아랫쪽에 위치하고, 상기 4개의 지주가 상기 파레트에 취부된 상태이고, 상기 제1 및 제2의 연결부재는 각각 상호교차하게 위치함과 동시에, 각 제1연결부재는, 그 길이방향의 일단측이, 상호 이웃하게 위치한 2개의 지주 가운데 한 지주에 취부된 제1의 이음수단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더하여, 그 길이방향의 다른단측이, 상호이웃하게 위치하는 2개의 지주 가운데 다른 지주에 취부된 제2의 이음수단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각 제2의 연결부재는, 그 길이방향의 일단이 상기 다른 지주에 취부된 제1의 이음수단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더하여 그 길이방향의 다른 단측이 상기 한 지주에 취부된 제2의 이음수단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제1 및 제2 이음수단중 적어도 하나가, 이 취부된 각 지주에 대해서, 그 길이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조립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운반보관장치를 제안한다(청구항5).
유사하게,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물품이 재치되는 파레트와, 상기 파레트의 물품재치면에 대해서 거의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로 착탈가능하게 취부된 제1 내지 제4의 지주와, 제1 내지 제4의 지주에 각각 그 길이방향을 따라서 취부된 제1 내지 제3의 이음수단과, 상호이웃하게 위치한 제1 및 제2지주, 제2 및 제3지주, 제3 및 제4지주, 및 제4 및 제1지주의 각각을 상호 연결하는 제1 및 제2의 연결부재를 구비하고, 4개의 지주가 파레트에 취부된 상태이고, 상기 제2 및 제3의 이음수단는 제1이음수단보다도 아래에 위치하고, 더하여 제2이음수단는 제3이음수단보다도 아래에 위치하게 있고, 상기 제1 내지 제4지주가 상기 파레트에 취부된 상태이고, 상기 각 제1 내지 제2 연결부재는 각각 상호 교차한 상태로 위치함과 동시에, 서로 이웃하게 위치한 제1 및 제2 지주간에 설치된 제1 및 제2연결부재의 각 길이방향의 일단이 제1 및 제2지주에 각각 취부된 제1의 이음수단에 각각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더하여 그 각 길이방향의 다른단측이 제2 및 제1의 지주에 각각 취부된 제2이음수단에 각각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서로 이웃한 제2 및 제3 지주간에 설치된 제1 및 제2연결부재의 각 길이방향측 일단이 제2 및 제3지주에 각각 취부된 제1이음수단에 각각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더하여 그 길이방향측의 다른단이 제3 및 제2의 지주에 각각 취부된 제3이음수단에 각각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서로 이웃한 제3및 제4지주간에 설치된 제1및 제2의 연결부재의 각 길이방향측의 일단이 제3및 제4지주간에 각각 취부된 제1이음수단에 각각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더하여, 그 길이방향측 타단은 제4및 제3지주에 각각 취부된 제2의 이음수단에 각각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서로 이웃한 제4 및 제1 지주에 설치된 제1 및 제2이음수단의 연결부재의 각 길이방향측 일단이, 제4 및 제1지주에 각각 취부된 제1이음수단에 각각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더하여 그 길이방향측 타단이 제1및제4지주에 각각 취부된 제3이음수단에 각각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제1 내지 제3의 이음수단 가운데 적어도 제2 내지 제3의 이음수단가, 이렇게 취부된 각 지주에 대해서, 그 길이방향측으로 이동가능하게 조립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운반보관장치를 제안한다(청구항6).
또한, 상기 청구항5 또는 청구항6에 기재된 물품운반보관장치에 있어서, 서로 이웃한 2개의 지주간에 설치된 제1 및 제2연결부재를 한쌍의 연결부재로 할때, 4쌍의 연결부재중 적어도 한쌍의 연결부재를 구성하는 제1 및 제2연결부재의 길이방향쪽 일단과 타단의 적어도 한쪽을 상기 이음수단에 대해서 착탈가능하게 연결하는 것이 유리하다(청구항7).
더하여, 상기 청구항5 내지 청구항7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물품운반보관장치에 있어서, 지주를 파레트에 취부된 상태로, 1개의 지주에 대해서, 그 길이방향으로 이동가능한 적어도 2개의 이음수단를 서로 착탈가능하게 고정연결하는 이음수단고정부재를 구비하는 것이 유리하다(청구항8).
또한, 상기 청구항8에 기재된 물품운반보관장치에 있어서, 4개의 지주 각각에 취부된 복수의 이음수단끼리를 각각 착탈가능하게 고정연결하는 상기 이음수단고정부재가 동일한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면 유리하다(청구항9).
더하여, 상기 청구항8 또는 청구항9에 기재된 물품운반보관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음수단고정부재가 지주에 대해서 이탈하지않도록 해당 지주에 조립부착되어 있는 것이 유리하다(청구항10).
또한, 상기 청구항1 내지 청구항10의 어느 한항에 기재된 물품운반보관장치에 있어서, 상기 지주의 위에 착탈가능하게 재치되는 천판을 구비하는 것이 유리하다(청구항11).
더하여, 상기 청구항11에 기재된 물품운반보관장치에 있어서, 상기 천판은 그 위에 재치되는 물품의 낙하방지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것이 유리하다(청구항12).
또한, 상기 청구항11 또는 청구항12에 기재된 물품운반보관장치에 있어서, 상기 천판에는 파레트로부터 떨어진 지주와, 그 연결수단 내지 그 연결수단을 구성하는 상기 연결부재를 수납하는 수납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유리하다(청구항13.)
더하여, 상기 청구항1 내지 청구항13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물품운반보관장치에 있어서, 서로 이웃하는 2개의 지주간의 틈중 적어도 일부를 차폐하는 보호수단을 구비하는 것이 유리하다(청구항14).
또한, 청구항1 내지 청구항14 중 어느 한항에 기재된 물품운반보관장치에 있어서, 상기 파레트는 그 물품재치면과는 반대측에, 다른 물품운반보관장치의 상부가 착탈가능하게 연결되는 연결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이 유리하다(청구항15).
더하여, 상기 청구항1 내지 청구항15중 어느 한항에 기재된 물품운반보관장치에 있어서, 상기 각 지주와, 이것에 취부된 이음수단와를 분리가능하게 조립부착하는 것이 유리하다(청구항16).
또한, 상기 청구항5 내지 청구항16중 어느 한항에 기재된 물품운반보관장치에 있어서, 파레트에 착탈가능하게 치부된 지주와, 서로 이웃하는 2개의 지주끼리를 각각 연결하는 상기 연결부재가, 상기 지주를 파레트로부터 떼어낸 상태로 접어 자유자재로 지주유니트를 구성하고 있는 것이 유리하다(청구항17).
더하여, 상기 청구항17에 기재된 물품운반보관장치에 있어서, 상기 지주유니트를 접었을 때, 지주와 상기 지주에 이음수단를 통해서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연결부재와의 사이에 15mm이상의 틈이 생기도록, 지주, 이음수단 및 연결부재를 각각 조립부착하는 것이 유리하다(청구항18).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물품이 재치된 파레트와, 상기 파레트상에 재치된 물품을 둘러싸도록 상기 파레트에 착탈가능하게 취부된 복수의 지주와, 서로 이웃하는 2개의 지주사이의 간격을 조정가능하게 해당 2개의 지주끼리를 각각 연결하는 연결수단과, 상기 물품에 관한 정보가 표시되어 있고, 해당 물품의 적어도 일부를 덮는 커버를 구비하는 물품운반보관장치를 제안한다(청구항19).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물품이 재치되는 파레트와, 상기 파레트의 네 모서리에 해당 파레트의 물품재치면에 대해서 거의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로 착탈가능하게 취부된 4개의 지주와, 상기 파레트의 각 변에 있어서의 서로 이웃하게 취부된 2개의 지주간의 간격을 조정가능하게 2개의 해당 지주를 각각 연결하는 연결수단과, 상기 물품에 관한 정보가 표시되어 있고 해당 물품의 적어도 일부를 덮는 커버를 구비하는 물품운반보관장치를 제안한다(청구항20).
이 경우, 상기 청구항19 또는 청구항20에 기재된 물품운반보관장치에 있어서, 상기 연결수단은, 파레트의 각변에 서로 이웃하게 취부된 2개의 지주사이의 간격이 같은 비율로 변화하도록, 해당 간격을 서로 연동하여 조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이 유리하다(청구항21).
또한, 상기 청구항19 또는 청구항20에 기재된 물품운반보관장치에 있어서, 상기 연결수단은 파레트의 한 변과, 이것에 대향하는 한 변의 각각에 서로 이웃하도록 취부되는 2개의 지주사이의 간격이 같은 비율로 변화하도록, 해당 간격을 상호 연동하여 조정하고, 더하여 파레트가 서로 대향하는 다른 2변의 각각에 서로 이웃하게 취부되는 2개의 지주사이의 간격이 같은 비율로 변화하도록, 해당 간격을 상호 연동하여 조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이 유리하다(청구항22).
또한, 상기 청구항19 내지 청구항22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물품운반보관장치에 있어서, 파레트에 착탈가능하게 취부되는 지주와, 서로 이웃하는 2개의 지주끼리를 각각 연결하는 상기 연결수단이, 그 지주를 파레트로부터 떼어낸 상태로 접어 지주유니트를 구성하고 있는 것이 유리하다(청구항23).
더하여,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물품이 재치되는 파레트와, 그 물품에 관한 정보가 표시되어 있고 해당 물품의 적어도 일부를 덮는 커버와, 상기 파레트의 네 모서리에 해당 파레트의 물품재치면에 대해서 거의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로 착탈가능하게 취부된 4개의 지주와, 각 지주에 각각 그 길이방향을 따라서 취부된 제1 및 제2이음수단와, 상기 파레트의 각 변에 있어서의 서로 이웃하게 취부되는 2개의 지주를 각각 서로 연결하는 제1 및 제2연결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4개의 지주가 상기 파레트에 취부된 상태로, 상기 제2의 이음수단는 제1이음수단보다도 아래에 위치하고, 상기 4개의 지주가 상기 파레트에 취부된 상태로, 상기 제1및 제2연결부재는 각각 서로 교차하게 위치함과 동시에, 각 제1연결부재는, 그 길이방향의 일단이 상기 파레트의 각변에서의 서로 이웃한 2개의 지주 가운데 한 지주에 취부된 제1이음수단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더하여 그 길이방향쪽 타단이, 서로 이웃한 2개의 지주 가운데 다른 지주에 취부된 제2이음수단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각 제2의 연결부재는, 그 길이방향측 일단이, 상기 다른 지주에 취부된 제1이음수단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더하여 그 길이방향의 타단이 상기 한 지주에 취부된 제2의 이음수단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제1 및 제2 이음수단중 적어도 한쪽이, 이렇게 취부된 각 지주에 대해서, 그 길이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조립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운반보관장치를 제안한다(청구항24).
유사하게,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물품이 재치되는 파레트와, 그 물품에 관한 정보가 표시되어 있고, 해당 물품의 적어도 일부를 덮는 커버와, 상기 파레트의 네 모서리에 해당 파레트의 물품재치면에 대해서 거의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로 착탈가능하게 취부된 제1 내지 제4의 지주와, 제1 내지 제4의 각 지주에 각각 그 길이방향을 따라서 취부된 제1 내지 제3의 이음수단와, 상기 파레트의 각변에서 서로 이웃하게 취부된 제1 및 제2의 지주, 제2 및 제3의 지주, 제3 및 제4의 지주, 및 제4 및 제1의 지주의 각각을 서로 연결하는 제1 및 제2의 연결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4개의 지주가 파레트에 취부된 상태로 상기 제2 및 제3이음수단는 제1이음수단보다도 아래쪽에 위치하고, 더하여 제2이음수단는 제3이음수단보다도 아래쪽에 위치하여 있고, 상기 제1 내지 제4지주가 상기 파레트에 취부된 상태로 상기 각 제1 및 제2 연결부재는, 각각 서로 교차한 상태로 위치함과 동시에, 상기 파레트의 제1변에서 서로 이웃하게 취부된 제1 및 제2지주사이에 구비된 제1의 연결부재와, 그 길이방향측의 일단이, 제1지주에 취부된 제1이음수단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거기에 그 길이방향측 타단이, 제2지주에 취부된 제2이음수단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제1 및 제2지주간에 구비된 제2 연결부재는, 그 길이방향측의 일단이 제2지주에 취부된 제1이음수단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거기에 그 길이방향측이 타단이 제1지주에 취부된 제2이음수단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파레트의 상기 제1변에서 서로 이웃하게 취부된 제2 및 제3 지주간에 설치된 제1연결부재는, 그 길이방향측의 일단이, 제2지주에 취부된 제1이음수단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거기에 길이방향측의 타단이, 제3지주에 취부된 제3이음수단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제2 및 제3 지주간에 설치된 제2의 연결부재는, 그 길이방향측의 일단이 제3지주에 취부된 제1이음수단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더하여 그 길이방향측의 타단이 제2지주에 취부된 제3이음수단에 호동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파레트의 상기 제2변의 옆에 위치한 제3변에서 서로 이웃하게 취부된 제3 및 제4지주간에 설치된 제1연결부재는, 그 길이방향측의 일단이, 제3지주에 취부된 제1이음수단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더하여 그 길이방향측의 타단이, 제4지주에 취부된 제2이음수단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제3 및 제4지주사이에 설치된 제2의 연결부재는, 그 길이방향측의 일단이 제4지주에 취부된 제1이음수단에 호동가능하게 연결되고, 더하여 그 길이방향측의 타단이 제3지주에 취부된 제2이음수단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파레트의 상기 제3변에 이웃한 제4변에서 서로 이웃하게 취부된 제4 및 제1지주간에 구비된 제1연결부재는, 그 길이방향측의 일단이, 제4지주에 취부된 제1이음수단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더하여, 그 길이방향측의 타단이, 제1지주에 취부된 제3이음수단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제4 및 제1지주간에 구비된 제2의 연결부재는, 그 길이방향측의 일단이, 제1지주에 취부된 제1이음수단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덧붙여 그 길이방향측의 타단이 제4지주에 취부된 제3이음수단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제1 내지 제3 이음수단 중의 적어도 제2 및 제3이음수단가, 이렇게 취부된 각 지주에 대해서, 그 길이방향측으로 이동가능하게 조립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운반보관장치를 제안한다(청구항25).
또한, 상기 청구항19 내지 청구항25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물품운반보관장치에 있어서, 상기 커버가, 물품을 포장하는 가요(可撓)성의 주머니로 이루어지는 것이 유리하다(청구항26).
더하여, 상기 청구항19 내지 청구항25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물품운반보관장치에 있어서, 상기 커버가, 물품을 포장하는 적어도 2매의 가요성 주머니로 이루어지는 것이 유리하다(청구항27).
또한, 상기 청구항19 내지 청구항27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물품운반보관장치에 있어서, 상기 파레트는, 그 물품재치면과는 반대측에, 다른 물품운반보관장치의 상부가 착탈가능하게 연결되는 연결부재를 구비하고 있는 것이 유리하다(청구항28).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물품이 재치되는 파레트와, 그 파레트상에 재치된 물품을 둘러싸도록 상기 파레트에 착탈가능하게 취부되는 복수의 지주와, 서로 이웃하는 2개의 지주간의 간격을 조정가능하게, 해당 2개의 지주끼리 각각 연결하는 연결수단과, 상기 복수의 지주가 파레트에 취부된 상태에서 적어도 2개의 지주 상부를 연결하여 양 지주간의 간격을 제한하는 규제(規制)수단과를 구비하는 물품운반보관장치를 제안한다(청구항29).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물품이 재치되는 파레트와, 그 파레트의 물품재치면에 대해서 거의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에서, 착탈가능하게 취부되는 4개의 지주와, 서로 이웃하게 위치하는 2개의 지주간의 간격을 조정가능하게 해당 2개의 지주를 각각 연결하는 연결수단과, 상기 4개의 지주가 파레트에 취부된 상태에서 적어도 2개의 지주상부를 연결하여 양 지주간의 간격을 제한하는 규제수단을 구비하는 물품운반보관장치를 제안한다(청구항30).
이 경우, 상기 청구항29 또는 청구항30에 기재된 물품운반보관장치에 있어서, 상기 연결수단은, 서로 이웃하게 위치하는 두 지주간의 간격이, 모두 같은 비율로 변화하도록, 해당 간격을 상호연동하여 조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이 유리하다(청구항31).
또한, 상기 청구항29 또는 청구항30에 기재된 물품운반보관장치에 있어서, 상기 연결수단은, 서로 이웃하게 위치하는 두 지주간의 간격과, 그 두 지주와 마주보고 서로 이웃하게 위치한 다른 두개의 지주간의 간격이 같은 비율로 변화하도록 해당 간격을 상호 연동하여 조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이 유리하다(청구항32).
더하여,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물품이 재치되는 파레트와, 그 파레트의 물품재치면에 대해서 거의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로, 착탈가능하게 취부되는 4개의 지주와, 각 지주에 각각 그 길이방향을 따라서 치부되는 제1 및 제2이음수단와, 서로 이웃하게 위치하는 두 지주를 각각 서로 연결하는 제1 및 제2 연결부재와, 상기 4개의 지주가 파레트에 취부된 상태에서 적어도 2개의 지주 상부를 연결하여 양 지주간의 간격을 제한하는 규제수단을 구비하고, 4개의 지주가 상기 파레트에 취부된 상태로, 상기 제2이음수단는 제1이음수단보다도 아래쪽에 위치하고, 상기 4개의 지주가 상기 파레트에 취부된 상태에서, 상기 제1 및 제2 연결부재는, 각각 서로 교차하게 위치함과 동시에, 각 제1연결부재는, 그 길이 방향측의 일단이 서로 이웃하게 위치하는 2개의 지주중의 한 지주에 취부된 제1이음수단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거기에 그 길이방향측 타단이, 서로 이웃하게 위치하는 2개의 지주중 다른 쪽 지주에 취부되는 제2이음수단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각 제2의 연결부재는 그 길이방향측의 일단이, 상기 다른 지주에 취부된 제1의 이음수단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더하여 그 길이방향측 타단이, 상기 한 지주에 취부된 제2이음수단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제1 및 제2 이음수단중 적어도 한 쪽이, 이렇게 취부된 각 지주에 대해서, 그 길이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조립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운반보관장치를 제안한다(청구항33).
유사하게,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물품이 재치되는 파레트와, 그 파레트의 물품재치면에 대해서 거의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에서 착탈가능하게 취부되는 제1 내지 제4의 지주와, 제1 내지 제4의 각 지주에 각각 그 길이방향을 따라서 취부되는 제1 내지 제3의 이음수단와, 서로 이웃하게 위치하는 제1 및 제2지주, 제2 및 제3지주, 제3 및 제4지주, 및, 제4 및 제1지주의 각각을 서로 연결하는 제1 및 제2 연결부재와, 상기 4개의 지주가 파레트에 재치된 상태에서 적어도 2개의 지주의 상부를 연결하여 양 지주간의 간격을 제한하는 규제수단을 구비하고, 4개의 지주가 파레트에 취부된 상태에서, 상기 제2 및 제3 이음수단는, 제1이음수단보다도 아래쪽에 위치하고, 제2이음수단는 제3이음수단보다도 아래쪽에 위치하여 있고, 상기 제1 내지 제4 지주가 상기 파레트에 취부된 상태에서, 상기 각 제1 및 제2 연결부재는, 각각 서로 교차한 상태로 위치함과 동시에, 서로 이웃하게 위치한 제1 및 제2 지주간에 구비된 제1 및 제2 연결부재의 각 길이방향측 일단이, 제1 및 제2 지주에 각각 취부된 제1이음수단에 각각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그 길이방향측의 타단이, 제2 및 제1 지주에 각각 취부된 제2이음수단에 각각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서로 이웃하게 위치하는 제2 및 제3 지주간에 구비된 제1 및 제2 연결부재의 길이방향측 일단이, 제2 및 제3 지주에 각각 취부된 제1이음수단에 각각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면서, 그 길이방향측의 타단이 제3 및 제2 지주에 각각 취부된 제3 이음수단에 각각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서로 이웃하게 위치하는 제3 및 제4지주간에 구비된 제1 및 제2연결부재의 각 길이방향측 일단이, 제3 및 제4의 지주에 각각 취부된 제1이음수단에 각각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면서, 그 길이방향측의 타단이 제4 및 제3 지주에 각각 취부된 제2이음수단에 각각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서로 이웃하게 위치하는 제4 및 제1 지주 간에 구비되는 제1 및 제2의 연결부재의 각 길이방향측의 일단이, 제4 및 제1 지주에 각각 취부된 제1이음수단에 각각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면서, 그 길이방향측 타단이, 제1 및 제4 지주에 각각 취부된 제3이음수단에 각각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제1 내지 제3 이음수단중 적어도 제2 및 제3 이음수단가, 이렇게 취부된 각 지주에 대해서, 그 길이방향측으로 이동가능하게 조립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운반보관장치를 제안한다(청구항34).
또한, 상기 청구항29 내지 청구항34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물품운반보관장치에 있어서, 상기 규제수단은, 복수의 지주에 걸쳐놓여져 이들 지주의 상부를 연결하는 가교부재를 구비하고, 그 가교부재는, 그 위치 재치된 다른 물품운반보관장치의 파레트의 계합(係合)부가, 해당 가교부재의 길이 방향측으로 접을 수 있게 감합하는 안내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이 유리하다(청구항35).
더하여, 상기 청구항35에 기재된 물품운반보관장치에 있어서, 상기 파레트의 계합(係合)부와 상기 가교부재의 안내부 가운데한족의 횡단면형상이 산(山)형상으로 형성되고, 다른족의 횡단면형상이 상기 산(山)형상의 부분에 상대적으로 접을 수 있게 감합하는 홈(溝)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면 유리하다(청구항36).
또한, 상기 청구항35 또는 청구항36에 기재된 물품운반보관장치에 있어서, 상기 다른 물품운반보관장치가 그 아래의 물품운반보관장치에 대해서 소정의 위치를 차지하였을 때, 상기 파레트의 계합(係合)부를, 상기 안내부를 갖는 가교부재에 대해서 걸려 멈추게 하는 스토퍼수단을 구비하면 유리하다(청구항37).
더하여, 상기 청구항29 내지 청구항37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물품운반보관장치에 있어서, 상기 규제수단은 지주에 대해서 착탈가능하게 취부되면 유리하다(청구항(38).
또한, 상기 청구항38에 기재된 물품운반보관장치에 있어서, 상기 파레트는 상기 지주로부터 떨어진 규제수단을 수납하기 위한 수납부를 구비하고 있다면 유리하다(청구항39).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물품이 재치되는 물품재치면을 구비하는 파레트와, 상기 파레트의 물품재치면에 재치된 물품을 둘러싸도록 그 파레트에 착탈가능하게 취부되는 복수의 지주와, 서로 이웃하는 2개의 지주간의 간격을 조정가능하게 해당 두 지주끼리 각각 연결하는 연결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파레트의 물품재치면과 그 물품재치면이외의 적어도 일부 파레트부분과에 단차이가 형성되고, 상기 파레트를 수평면상에 두고, 그 물품재치면상에 물품을 넣었을 때, 상기 파레트부분과 그 윗방향의 물품과의 사이에, 물품승강장치의 물품지지부재가 투입되는 틈이 형성되도록, 상기 단차이의 크기가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운반보관장치를 제안한다(청구항40).
이 경우, 상기 복수의 지주와, 상기 연결수단을 구성하는 연결부재가, 그 지주를 파레트로부터 떼어낸 상태에서 마음대로 접을 수 있는 지주유니트를 구성하여 두고, 접혀진 지주유니트를, 상기 파레트부분에 수납가능하게 구성하는 것이 유리하다(청구항41).
또한, 상기 청구항41에 기재된 물품운반보관장치에 있어서, 상기 파레트를 수평면상에 놓은 상태로 상기 파레트부분에서 접힌 지주유니트를 수납하였을 때, 상기 지주유니트의 높이가, 물품재치면의 높이보다도 낮게 되도록 상기 단차이의 크기가 설정되어 있는 것이 유리하다(청구항42).
더하여, 상기 청구항40 내지 청구항42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물품운반보관장치에 있어서, 상기 물품재치면이, 파레트본체에 대한 위치를 조정가능하게, 그 파레트 본체에 고정된 받침부재에 형성되어 있는 것이 유리하다(청구항43).
또한, 상기 청구항40 내지 청구항43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물품운반보관장치에 있어서, 상기 파레트의 물품재치면에 대해서 거의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로 그 파레트에 착탈가능하게 취부되는 4개의 지주를 구비하고, 상기 연결수단은, 서로 이웃하게 위치하는 두개의 지주 사이의 간격이, 모두 같은 비율로 변화하도록, 해당 간격을 상호 연동하여 조정하게 구성되어 있는 것이 유리하다(청구항44).
또한, 상기 청구항40 내지 청구항43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물품운반보관장치에 있어서, 상기 파레트의 물품재치면에 대해서 거의 수직하게 세워진 상태이고, 그 파레트에 착탈가능하게 취부되는 4개의 지주를 구비하고, 상기 연결수단은, 서로 이웃하게 위치하는 두 지주간의 간격과, 그 두 지주에 대향하고 더하여 서로 이웃하게 위치하는 다른 두 지주간의 간격이 같은 비율로 변화하도록 해당 간격을 서로 상호연동하여 조정하게 구성되어 있는 것이 유리하다(청구항45).
더하여, 상기 청구항40 내지 청구항44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물품운반보관장치에 있어서, 상기 파레트의 물품재치면에 대해서 거의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로, 그 파레트에 착탈가능하게 취부되는 4개의 지주를 구비하고, 상기 연결수단이, 각 지주에 각각 그 길이방향을 따라서 취부된 제1 및 제2이음수단와, 서로 이웃하게 위치하는 두 지주를 각각 서로 연결하는 제1 및 제2 연결부재를 구비하고, 4개의 지주가 상기 파레트에 취부된 상태에서, 상기 제2이음수단는 제1이음수단보다도 아래쪽에 위치하고, 상기 4개의 지주가 그 파레트에 취부된 상태에서 상기 제1 및 제2 연결부재는, 각각 서로 교차하여 위치함과 동시에, 각 제1연결부재는, 그 길이방향의 일단이, 서로 이웃하게 위치하는 두 지주 가운데 한 지주에 취부된 제1이음수단에 호동가능하게 연결되고, 덧붙여 그 길이 방향쪽 타단이, 서로 이웃하게 위치하는 두 지주가운데 다른 쪽 지주에 취부된 제2이음수단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각 제2의 연결부재는, 그 길이방향쪽 일단이, 상기 다른쪽 지주에 취부된 제1이음수단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덧붙여 그 길이방향쪽 타단이, 상기 한 지주에 취부된 제2의 이음수단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제1 및 제2 이음수단의 적어도 한쪽이, 이들 취부된 각 지주에 대해서, 그 길이방향쪽으로 이동가능하게 조립부착 되어있다면 유리하다(청구항46).
또한, 상기 청구항40 내지 청구항43항 및 청구항45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물품운반보관장치에 있어서, 상기 파레트의 물품재치면에 대해서 거의 수직하게 세워진 상태로, 그 파레트에 착탈가능하게 취부된 제1 내지 제4의 지주를 구비하고, 상기 연결수단이, 제1 내지 제4이 각 지주에 각각 그 길이방향쪽을 따라서 취부된 제1 내지 제3의 이음수단와, 서로 이웃하게 위치하는 제1 및 제2의 지주, 제2 및 제3의 지주, 제3 및 제4의 지주, 제4 및 제1의 지주 각각을 서로 연결하는 제1 및 제2 연결부재를 구비하고, 4개의 지주가 파레트에 취부된 상태에서 상기 제2 및 제3의 이음수단는, 제1의 이음수단보다도 아래쪽에 위치하고, 덧붙여 제2이음수단는 제3의 이음수단보다도 아래쪽에 위치하여 있고, 상기 제1 내지 제4의 지주가 상기 파레트에 취부된 상태에서, 상기 각 제1 및 제2의 연결부재는, 각각 서로 교차한 상태로 위치함과 동시에, 서로 이웃하게 위치하는 제1 및 제2 지주간에 구비되는 제1 및 제2 연결부재의 각 길이방향쪽의 일단이, 제1 및 제2 지주에 각각 취부된 제1이음수단에 각각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덧붙여 그 각 길이방향쪽 타단이, 제2 및 제1지주에 각각 취부된 제2의 이음수단에 각각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서로 이웃하게 위치하는 제2 및 제3의 지주 사이에 구비된 제1 및 제2의 연결부재의 각 길이방향쪽 일단이 제2 및 제3의 지주에 각각 취부된 제1이음수단에 각각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덧붙여 그 각 길이방향의 타단이, 제3 및 제2 지주에 각각 취부된 제3의 이음수단에 각각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서로 이웃하게 위치하는 제3 및 제4의 지주 사이에 구비된 제1 및 제2 연결부재의 각 길이방향측 일단이, 제3 및 제4의 지주에 각각 취부된 제1의 이음수단에 각각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덧붙여 그 각 길이방향측의 타단이, 제4 및 제3의 지주에 각각 취부된 제2이음수단에 각각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서로 이웃한 제4 및 제1의 지주 사이에 구비된 제1 및 제2의 연결부재의 각 길이방향측의 일단이, 제4 및 제1의 지주에 각각 취부된 제1이음수단에 각각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덧붙여 그 길이방향측의 타단이, 제1 및 제4의 지주에 각각 취부된 제3이음수단에 각각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제1 내지 제3의 이음수단 가운데 적어도 제2 및 제3의 이음수단가, 이들 취부된 각 지주에 대해서, 그 길이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조립하여 부착되어 있는 것이 유리하다(청구항47).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첫머리에 기재한 형식의 물품운반보관장치에 있어서, 상기 지주유니트가 떼어진 복수의 파레트를 상하로 겹쳐 쌓았을 때, 그 내부에, 접힌 지주유니트를 수납하는 공간이 구획되어 형성되도록, 그 파레트에 개구(開口)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운반보관장치를 제안한다(청구항48).
이 경우, 상기 지주유니트가 떼어진 복수의 파레트를 상하로 겹쳐 쌓았을때, 파레트끼리의 위치를 결정하는 위치결정수단을 구비한다면 유리하다(청구항49).
또한, 상기 청구항48 또는 49에 기재된 물품운반보관장치에 있어서, 상기 개구는 여기에 투입된 지주유니트를 세운 상태로 보호하며 유지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되어 있다면 효과적이다(청구항50).
더하여, 상기 청구항48 내지 청구항50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물품운반보관장치에 있어서, 상기 지주유니트가 떼어진 복수의 파레트를 상하로 겹쳐 쌓았을 때, 각 파레트의 개구가 정리되어 대향되도록, 상기 파레트의 개구위치와, 개구면적과, 그 개구의 형태를 설정한다면 유리하다(청구항51).
또한, 상기 청구항48 내지 청구항51의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물품운반보관장치에 있어서, 상기 개구가, 파레트의 물품재치면이외의 부분에 형성되어 있으면 효과적이다(청구항52).
더하여, 상기 청구항48 내지 청구항52의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물품운반보관장치에 있어서, 상기 개구가, 파레트본체에 착탈가능하게 취부되는 지주유니트 지지판에 형성되어 있으면 유리하다(청구항53).
또한, 상기 청구항48 내지 청구항53의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물품운반보관장치에 있어서, 상기 지주유니트의 일부를, 상기 개구보다도 크게 형성하고, 그 크게 형성된 지주유니트 부분을 상기 개구의 가장자리에 계합(係合)가능하도록 하면 효과적이다(청구항54).
더하여, 상기 청구항48 내지 청구항54의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물품운반보관장치에 있어서, 상기 지주유니트의 일단을 상기 개구보다도 크게 형성하고, 그 크게 형성된 지주유니트 부분을 상기 개구의 가장자리에 계합(係合)가능하게 하고, 덧붙여 N을 2이상의 정수, T를 1개의 파레트 두께, L을 1개의 지주유니트의 전체길이로 할때,로 되도록, T 및 L의 값을 설정한다면 유리하다(청구항55).
또한, 상기의 청구항 55에 기재된 물품 운반 보관 장치에 있어서, 상기 파렛트에 형성되어진 개구의 수를 N으로 설정하면 특히 유리하다(청구항56).
그리고, 상기 청구항 55 또는 56에 기재된 물품운반보관 장치에 있어서, n을 1이상의 정수로 하는 경우 n×N×T의 값이 운송장치에 대한 물품수납공간의 물품 출입구의 높이에서 3cm을 뺀값이하이고, 상기 물품 출입구의 높이에서 10cm를 뺀값이상의 크기로 되도록 N 및 T의 값을 설정하는 것이 효과적이다(청구항57).
또한, 상기 청구항 48 내지 57의 어느 한항에 기재된 물품운반보관장치에 있어서, 1개의 파렛트에 열어서 펼쳐진 1개의 지주 유니트를 조립하여 부착된 물품운반보관장치를 조립하는 경우의 상기 파렛트와 지주유니판 높이합을 H, n을 1이상의 정수로 한 경우 H×n의 값이 운송장치에 대한 물품수납공간의 물품출입구 높이에서 3cm를 뺀값이하이고, 상기 물품출입구의 높이세어 10cm를 뺀값이상의 크기가 되도록 H값을 설정하는 것이 유리하다(청구항58).
그리고, 상기 청구항 48 내지 58의 어느 한항에 기재된 물품운반 보관장치에 있어서, 1개의 파렛트의 두께를 T,m을 2이상의 정수로 한 경우, m×T값을 운송장치에 대한 물품수납공간의 물품출입구 높이에서 3cm를 뺀값이하로 하고, 상기 물품출입구의 높이에서 10cm를 뺀값이상의 크기가 되도록 T의 값을 설정하는 것이 효과적이다(청구항59).
또한, 상기 처구항 48내지 59의 어느 한항에 기재된 물품운반보관장치에 있어서, 상기 개구는 파렛트의 중앙부보다도 상기 팔렛트의 측면 가장자리로 치우친 위치에 형성되는 것이 유리하다(청구항60).
그리고, 본 발명은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서두에 기재된 형식의 물품운반보관장치에 있어서, 상기 파렛트에 지주 유니트를 수납하기 위한 수납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운반보관장치를 제안한다(청구항61).
이러한 경우, 상기 수납부가 파렛트의 다리부에 형성되는 것이 유리하다(청구항62).
또한, 상기 청구항 48내지 62의 어느 한항에 기재된 물품운반보관장치에 있어서, 상기 파렛트의 물품 재치(載置)면에 대해서 거의 수직으로 세워진 형태로, 상기 파렛트에 착탈가능하게 취부되어진 4개의 지주를 구비하고, 상기 연결수단은 상호 서로 이웃하여 위치하는 2개의 지주간의 간격이 전부 동일한 비율로 변화되도록 상기 간격을 서로 연동시켜 조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이 유리하다(청구항63).
상기 청구항 48 내지 62에 기재된 어느 한항의 물품운반보관장치에 있어서, 상기 파렛트의 물품재치면에 대해서 거의 수직으로 세워진 형태로, 상기 파렛트에 착탈가능하게 취부되어진 4개의 지주를 구비하고, 상기 연결수단은 상호 서로 이웃하게 위치하는 다른 2개의 지주간의 간격과 동일한 비율로 변화되도록 상기 간격을 서로 연동시켜 조정하도록 구성된 것이 특히 유리하다(청구항64).
또한, 상기 청구항 48내지 63에 기재된 어느 한항의 물품 운반 보관장치에 있어서, 상기 파렛트의 물품 재치면에 대해 거의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로 상기 파렛트에 착탈가능하게 취부되어진 4개의 지주를 구비하고, 상기 연결수단이, 각 지주에 각각 그 길이방향을 따라서 취부되어진 제 1 및 제 2 이음수단과, 상호 서로 이웃하여 위치하는 2개의 지주를 각각 상호 연결하는 제 1 및 제 2 연결부재를 구비하고, 4개의 지주가 상기 파렛트에 취부되어진 상태로 상기 제 2 이음수단과 제 1 이음수단보다 하향으로 위치하고, 상기 4개의 지주가 상기 파렛트에 취부되어진 상태이고, 상기 제 1 및 제 2 연결부재는 각각 상호 교차(cross)되어 위치함과 동시에 각 제 1 연결부재는 그 길이방향 일단측이 상호 서로 이웃하여 위치하는 2개의 지주중 한 개의 지주에 취부되어진 제 1 이음수단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또 그 길이방향의 타단측이 서로 이웃하여 위치하는 2개의 지주중 다른하나의 지주에 취부되어진 제 2 이음수단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제 1 및 제 2 이음수단의 적어도 하나가 취부된 각 지주에 대해서 그 길이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끼워져 부착되어 있는 것이 유리하다(청구항65).
상기 청구항 48 내지 62에 기재된 어느 한 항의 물품운반보관장치에 있어서, 상기 파렛트의 물품 재치면에 대해서 거의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로, 상기 파렛트에 착탈가능하게 취부되어진 제 1 내지 제 4 지주를 구비하고, 상기 연결수단은 제 1 내지 제 4 지주 각각의 길이방향을 따라 취부된 제 1 내지 제3 이음수단과 상호 이웃하여 위치하는 제 1 및 제 2 지주, 제 2 지주 및 제 3 지주, 제 3 및 제 4 지주 그리고 제 4 지주 및 제 1 지주 각각을 서로 연결하는 제 1 및 제 2 연결부재를 구비하고, 4개의 지주가 파렛트에 취부되어진 상태로 상기 제 2 및 제 3 이음수단은 제 1 이음수단보다도 하향에 위치하고, 또한 제 2 이음수단은 제 3 이음수단보다도 하향에 위치하고 있고, 상기 제 1 내지 제 4 지주가 상기 파렛트에 취부되어진 상태에서 상기 각 제 1 및 제 2 연결부재는 각각 서로 교차된 상태로 위치함과 동시에 서로 이웃하여 위치하는 제 1 및 제 2 지주간에 설치되어진 제 1 및 제 2 연결부재의 각 길이방향 일단측이 제 1 및 제 2 지주에 각각 취부되어진 제 1 이음수단에 각각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며 또한 그 각 길이방향 타단측이 제 2 및 제 1 지주에 각각 취부되어진 제 2 이음수단에 각각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상호 이웃하여 위치하는 제 2 및 제 3 지주간에 설치된 제 1 및 제 2 연결부재의 각 길이방향 일단측이 제 2 및 제 3의 지주에 각각 취부된 제 1 이음수단에 각각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며 또한, 그 각 길이방향 타단측이 제 3 및 제 2 지주에 각각 취부되어진 제 3 이음수단에 각각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상호 이웃하여 위치하는 제 3 및 제 4 지주간에 설치된 제 1 및 제 2 연결부재의 각 길이방향 일단측이 제 3 및 제 4 지주에 각각 취부된 제 1 이음수단에 각각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며 또한 그 각 길이방향 타단측이 제 4 및 제 3 지주에 각각 취부되어진 제 2 이음수단에 각각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상호 이웃하여 위치하는 제 4 및 제 1 지주간에 설치된 제 1 및 제 2 연결부재의 각 길이방향 일단측이 제 4 및 제 1 지주에 각각 취부된 제 1 이음수단에 각각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또한 그 각 길이방향 타단측이 제 1 및 제 4 지주에 각각 취부되어진 제 3 이음수단에 각각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제 1 내지 제 3 이음수단 중 적어도 제 2 및 제 3 이음수단은 그들에 취부되어진 각 지주에 대해서 그 길이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끼워져 부착되어 있는 것이 특히 유리하다(청구항 66).
본 발명은 상기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물품이 재치되는 파렛트와, 상기 파렛트에 재치되어진 물품을 둘러싸도록 상기 파렛트에 착탈가능하게 취부되어진 복수개의 지주와, 상호 이웃하는 2개의 지주간의 간격을 조정가능하게 상기 2개의 지주 끼리 각각 연결하는 연결수단과, 상기 파렛트에 재치된 물품을 상기 파렛트에 대해서 위치결정하기 위한 위치결정수단을 구비한 물품운반보관장치를 제안한다(청구항 67).
마찬가지로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물품이 재치되는 파렛트와, 상기 파렛트에 재치되어진 물품을 둘러싸도록 상기 파렛트에 착탈가능하게 취부되어지는 복수개의 지주와, 상호 이웃하는 2개의 지주간의 간격을 조정가능하게 상기 2개의 지주끼리를 각각 연결하는 연결수단과, 상기 파렛트에 재치되어진 물품을 상기 파렛트에 대해서 분해시키는 것이 가능하도록 고정하기 위한 고정 수단을 구비하는 물품운반보관장치를 제안한다(청구항68).
마찬가지로,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물품이 재치되는 파렛트와, 상기 파렛트에 재치되어진 물품을 둘러싸도록 상기 파렛트에 착탈가능하게 취부되어진 복수개의 지주와, 상호 이웃하는 2개의 지주간의 간격을 조정가능하도록 상기 2개의 지주끼리를 각각 연결하는 연결수단과, 상기 파렛트에 재치되어진 물품을 상기 파렛트에 대해 위치결정하기 위한 위치결정수단과, 상기 파렛트에 재치되어진 물품을 상기 파렛트에 대해 분해시키는 것이 가능하도록 고정하기 위한 고정 수단을 구비하는 물품운반보관장치를 제안한다(청구항69).
또한, 상기 청구항 67 또는 69에 기재된 물품운반보관장치에 있어서, 상기 위치결정수단은, 파렛트에 재치된 물품을 상기 파렛트에 대해 위치결정하기 위한 위치결정핀을 구비하고, 상기 위치결정핀이 파렛트에 취부되어진 취부부재에 고정되어 있는 것이 유리하다(청구항 70).
상기 청구항 68 또는 69에 기재된 물품운반보관장치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이 파렛트에 재치된 물품을 파렛트에 대해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고정부재가 파렛트에 취부되어진 취부부재에 고정되어지는 것이 유리하다(청구항 71).
또한, 상기 청구항 70 또는 71에 기재된 물품운반보관장치에 있어서, 상기 취부부재가 파렛트에 대해 위치조정가능하게 취부되어진 것이 유리하다(청구항 72).
또한, 상기 청구항 67 내지 72에 기재된 어느 한 항의 물품운반보관장치에 있어서, 상기 파렛트에 대한 물품의 적재위치의 기준이 되는 마커(marker)를 파렛트에 구비한 것이 유리하다(청구항73).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물품을 재치하는 파렛트와, 상기 파렛트에 재치된 물품을 둘러싸도록 상기 파렛트에 착탈가능하게 취부되는 복수개의 지주와, 상호 이웃하는 2개의 지주간의 간격을 조정가능하게 2개의 해당 지주끼리를 각각 연결하는 연결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파렛트는 파렛트 본체와, 상기 파렛트 본체에 대해 위치조정이 가능하게 고정된 받침부재를 구비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운반보관장치를 제안한다(청구항 74).
이러한 경우, 상기 청구항 74에 기재된 물품운반보관장치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재를 파렛트 본체에 대해 고정시키는 경우 위치결정 기준이 되는 마커를 파렛트 본체에 설치하는 것이 유리하다(청구항 75).
또한, 상기 청구항 67 내지 75에 기재된 어느 한항의 물품 운반 보관 장치에 있어서, 상기 파렛트의 물품재치면에 대해 거의 수직으로 세운 상태에서 상기 파렛트에 착탈가능하게 취부되어진 4개의 지주를 구비하고, 상기 연결수단은 상호 이웃하여 위치하는 2개의 지주간의 간격을 모두 동일한 비율로 변화시키도록 해당 간격을 상호 연동시켜 조정하도록 구성된 것이 유리하다(청구항76).
상기 청구항 67 내지 75에 기재된 어느 한항의 물품운반보관장치에 있어서, 상기 파렛트의 물품재치면에 대해서 거의 수직으로 세운 상태에서 상기 파렛트에 착탈가능하게 취부되어진 4개의 지주를 구비하고, 상기 연결수단은 상호 이웃하여 위치하는 2개의 지주간의 간격과, 그 2개의 지주에 대향해서 상호 이웃하여 위치하는 다른 2개의 지주간의 간격이 동일 비율로 변화되도록 해당 간격을 상호 연동하여 조정할 수 잇도록 구성된 것이 유리하다(청구항 77).
또한, 상기 청구항 67 내지 76의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물품운반보관장치에 있어서, 상기 파렛트의 물품 재치면에 대해서 거의 수직으로 세운 상태로, 상기 파렛트에 착탈가능하게 취부되어진 4개의 지주를 구비하고, 상기 연결수단은 각 지주에 각각 그 길이방향을 따라 취부되어진 제 1 및 제 2 이음수단과, 상호 이웃하여 위치하는 2개의 지주를 각각 서로 연결하는 제 1 및 제 2 연결부재를 구비하고, 4개의 지주가 상기 파렛트에 취부되어진 상태에서 상기 제 2 이음수단은 제 1 이음수단보다 아래방향에 위치하고, 상기 4개의 지주가 상기 파렛트에 취부되어진 상태에서 상기 제 1 및 제 2 연결부재는 각각 서로 교차되어 위치함과 동시에 제 1 연결부재는 그 길이방향 일단측이 서로 이웃하여 위치하는 2개의 지주 중 일측의 지주에 취부되어진 제 1 이음수단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또한 그 길이방향 타단측이 서로 이웃하여 위치하는 2개의 지주 중 타측의 지주에 취부되어진 제 2 이음수단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제 2 연결부재는 그 길이방향 일단측이 상기 타측의 지주에 취부되어진 제 1 이음수단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또한 그 길이방향의 타단측이 상기 일측의 지주에 취부되어진 제 2 이음수단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제 1 및 제 2 이음수단의 적어도 이들에 취부된 각 지주에 대해서 그 길이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끼워져 부착되어 있는 것이 유리하다(청구항 78).
상기 청구항 67 내지 75 및 77의 어느 한항에 기재된 물품운반보관장치에 잇어서, 상기 파렛트의 물품재치면에 대해 거의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에서, 상기 파렛트에 착탈가능하게 취부되어진 제 1 내지 제 4 지주를 구비하고, 상기 연결수단은 제 1 내지 제 4 의 각 지주에 각각 그 길이방향을 따라 취부되어진 제 1 및 제 3 이음수단과 상호 이웃하여 위치하는 제 1 및 제 2 지주, 제 2 및 제 3 지주, 제 3 및 제 4 지주, 그리고 제 4 및 제 1 지주 각각을 서로 연결하는 제 1 및 제 2 연결수단을 구비하고, 4개의 지주가 파렛트에 취부되어진 상태에서 상기 제 2 및 제 3 이음수단은 제 1 이음수단보다도 아랫방향에 위치하고, 또한 제 2 이음수단은 제 3 이음수단보다도 아랫방향에 위치하고 있으며, 상기 제 1 내지 제 4 지주가 상기 파렛트에 취부되어진 상태에서 상기 각 제 1 및 제 2 연결수단은 각각 서로 교차된 상태로 위치함과 동시에 서로 이웃하여 위치하는 제 1 및 제 2 지주간에 설치되어진 제 1 및 제 2 연결부재와, 상기 제 1 및 제 2 지주에 대향해서 위치하는 제 3 및 제 4 지주간에 설치된 제 1 및 제 2 연결수단의 길이방향 각 일단측이 제 1 및 제 2 지주와 제 3 및 제 4 지주에 각각 취부되어진 제 1 이음수단에 각각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또한 그 각 길이방향의 타단측이 제 1 및 제 2 지주와 제 3 및 제 4 지주에 각각 취부되어진 제 2 이음수단에 각각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상호 이웃하여 위치하는 제 2 및 제 3 지주간에 설치된 제 1 및 제 2 연결부재와, 상기 제 2 및 제 3 지주에 대향해서 위치하는 제 4 내지 제 1 지주간에 설치된 제 1 및 제 2 연결부재의 각 길이방향 일단측이 제 2 및 제 3 지주와 제 4 및 제 1 지주에 각각 취부되어진 제 1 이음수단에 각각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또한 그 각 길이방향 타단측이 제 2 및 제 3 지주와 제 4 및 제 1 지주에 각각 취부되어진 제 3 이음수단에 각각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제 1 내지 제 3 이음수단중 적어도 제 2 및 제 3 이음수단이 이들에 취부되어진 각 지주에 대해서 그 길이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끼워져 부착되어 있는 것이 유리하다(청구항 79).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상기 위치결정수단과 협동해서 파렛트에 대한 물품의 위치결정을 수행하는 물품위치결정수단과, 상기 고정수단과 협동해서 파렛트에 대한 물품 고정을 수행하는 물품측고정수단 중 적어도 하나를 구비하는 청구항 67 내지 79의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물품운반보관장치에 따라 운반된 물품을 제안한다(청구항 80).
이러한 경우, 상기 청구항 80에 기재된 물품에 있어서, 상기 물품측위치결정수단이 상기 파렛트에 설치되어진 위치결정수단을 구성하는 체결부에 체결가능한 물품하부의 다리부로 이루어지는 것이 유리하다(청구항 81).
또한, 상기 청구항 81에 기재된 물품에 있어서, 그 물품이 공업제품이고, 서로 상이한 적어도 2기종의 공업제품에 대해 상호 대응하는 다리부간의 간격이 각각 거의 동등하게 되는 것이 유리하다(청구항 82).
상기 청구항 80에 기재된 물품에 있어서, 상기 물품측고정수단이 그 물품본체내에 있고, 상기 물품 본체의 개구에 개폐가능하게 취부되어진 커버 내측에 배치되어져 있는 것이 유리하다(청구항83).
또한, 상기 청구항 80에 기재된 물품에 있어서, 상기 물품측위치결정수단이 파렛트로의 물품의 위치결정이외의 용도에도 이용할 수 있는 구멍으로 이루어진것이 유리하다(청구항 84)
상기 청구항 80 또는 83에 기재된 물품에 있어서, 상기 물품측고정수단이 파렛트로의 물품의 고정이외의 용도에도 이용할 수 있는 구멍으로 이루어진 것이 유리하다(청구항 85).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에 따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련된 물품운반보관장치의 일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물품운반보관장치는 예를 들어 복사기로 구성된 물품(1)이 재치된 파렛트1를 구비한다. 도 1에 예시된 파렛트(2)는 사각형(方形)의 평판재로 구성된 덱 보드(deck board)(3)와,그 물품재치면(5)와 반대측의 하면에 고정된 각재로 구성된 2개의 다리부(4)로 구성되고, 이와같은 파렛트(2)는 예를들어 스틸이나 금속판등의 재료, 또는 경질의 수지등의 강성이 큰 재료에 의해 구성된다. 덱 보드(3)와 다리부(4)를 용접이나 용착제등으로 고착시켜도 좋지만, 이것을 용이하게 분해할 수 있도록 도시되지 않은 나사등에 의해 고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평면형태가 사각형인 파렛트이외의 각종 형태의 파렛트를 이용할 수 있다.
파렛트(2)위에 놓여진 물품(1)은 필요에 따라서 도시되지 않은 볼트나 너트등의 착탈수단에 의해서 파렛트(2)위에 착탈가능한 상태로 움직이지 않게 고정된다. 또한, 도1 에 도시된 예에서는 파렛트(2)상의 물품(1)이 커버(31)에 의해 덮혀지고, 이 카버(31)에 의해 물품(1)을 보호하도록 하였으나, 이와 같은 카버(31)을 생략하는 것도 가능하다.
커버(31)은 파렛트(2)위의 물품(1)의 적어도 일부를 덮고, 물품(1)에 대해서 어떠한 물건이 적합할 것 같은 경우, 그 물품(1)을 보호하고 또는 물품에 먼지나 티끌이 부착되는 것을 방지하는 보호카버용으로 사용된다. 도 1에 도시한 커버(31)은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등의 수지 시트 또는 수지 필름으로 구성된 가요성(可撓性)의 포대(33)로 구성되고, 파렛트(2)위의 물품(1)을 싸도록 덮여져 있다. 커버(31)에는 물품(1)에 대한 표시M이 되어져 있다. 예를 들어,도 1에 표시된 예에서 그 물품(1)의 제조 메이커명을 나타내는 [R], 그 물품(1)의 제조명을 나타내는 [FT5] 그외에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예를 들면 물품 1을 비에 노출시키는 것을 금지하는 표시등의 주의사항, 다시 말해 케어 마크(care mark)등이 표시된다. 이와 같은 표시를 커버(31) 자체에 기입하여도 좋지만 표시를 기입한 시트등을 커버(31)에 접착시켜도 좋다.
또한, 도 1에 도시한 물품운반보관장치는 4개의 지주(6)을 구비하고, 이러한 지주(6)는 도 2에 도시한 것과 같이, 파렛트(2)의 4개 모퉁이에 해당 파렛트(2)의 물품재치면(5)에 대해서 거의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로 또한 착탈가능하게 취부되어진다. 파렛트(2)위에 사각형을 가상한 경우, 그 사각형의 각 코너부에 각 지주(6)가 각각 착탈가능하게 입설(立設)된다. 지주(6)는 금속, 수지 또는 목재등으로 구성되지만, 도시되지 않은 예에서는 각 지주(6)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중공의 금속제 파이브로 이루어짐과 동시에 데크 보드(3)의 물품재치면(5)의 측면 사각 모퉁이에 돌기부(7)를 형성시키고, 그 각 돌기부(7)에 각 지주(6)의 하부가 감착(嵌着)된다. 이러한 본 예에서 각 지주(6)는 파렛트(2)에 대해 수조작으로 용이하게 착탈가능하도록 취부되어진다.
또한, 본 예에 따른 물품운반보관장치는 각 지주(6)에 각각 그 길이방향을 따라 취부되어진 제 1 및 제 2 이음수단(8,9)와, 서로 이웃하여 위치하는 2개의 지주(6)를 각각 서로 연결하는 제 1 및 제 2 연결부재(14,15)를 구비한다. 각 제 1 및 제 2 연결부재(14,15)는 파렛트(2)의 각 변, 다시말해 상호 직교하는 제 1 내지 제 4 변(邊)(10,11,12,13)에 의해 각각 상호 이웃하게 취부된 2개의 지주(6)를 각각 연결한다. 또한, 도 2에서 4개의 지주(6)가 파렛트(2)에 취부된 상태에서 제 2 이음수단(9)은 제 1 이음수단(8)보다도 아랫방향으로 위치하고, 마찬가지로 4개의 지주96)가 파렛트(2)에 취부된 상태에서 제 1 및 제 2 연결부재(14,15)는 각각 서로 교차(cross)되어 위치한다.
제 1 및 제 2 이음수단(8,9)는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것과 같이, 예를 들면 금속, 합성수지 또는 고무등으로 형성된 통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그 중심홀(27,127)에 각 지주(6)가 감합(嵌合)된다. 또한, 이러한 이음수단(8,9)에는 2개씩의 결합편(16,18)이 돌설되고, 이러한 각 결합편(16,18)에 제 1 및 제 2 연결부재(14,15)의 각 단자가 각각 핀(17,19)를 개재하여 회동가능하게 연결된다. 제 1 및 제 2 연결부재(14,15)는 예를 들면 목재, 경질수지 또는 금속등의 강체로 이루어지고 가는 판 형상으로 형성된다.
여기서, 전술한 4개의 지주(6)를 식별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들을 각각 제 1 지주(6A), 제 2 지주(6B),제 3 지주(6C) 및 제 4 지주(6D)로 하고, 동시에 이러한 각 지주(6A 내지 6D)에 취부되어진 각 제 1 및 제 2 이음수단(8,9)에 각각 8A,9A;8B,9B;8C,9C;8D,9D의 부호를 붙여 이들을 식별한다. 마찬가지로 제 1 및 제 2 지주 (6A,6B), 제 2 및 제 3 지주(6B,6C), 제 3 및 제 4 지주(6C,6D),제 4 및 제 1 지주(6D,6A)의 각각을 서로 연결하는 제 1 및 제 2 연결부재에 14A,15A;14B,15B;14C,15C;14D,15D의 부호를 각각 붙여 이들을 식별한다. 이는 후술하는 실시예에 있어서도 동일하다.
제 1 및 제 2 연결부재(14,15)는 이음수단에 대해서 다음과 같이 자유자재로 회동가능하도록 연결되어진다.
다시말해, 도 1 및 도 2로 판단할 수 있듯이, 파렛트(2)의 제 1 변(10)에 대해 상호 이웃하여 취부되어진 제 1 및 제 2 지주(6A,6B) 간에 설치되어진 제 1 연결부재(14A)는 그 길이방향의 일측단이 제 1 지주(6A)에 취부되어진 제 1 이음수단(8A)에 전술한 핀을 개재하여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또한, 그 길이방향의 타측단에는 제 2 지주(6B)에 취부되어진 제 2 이음수단(9B)에 핀을 개재하여 회동가능하게 연결된다. 또한, 제 1 및 제 2 지주(6A,6B) 간에 설치되어진 제 2 연결부재(15A)는 그 길이방향의 일측단이 제 2 지주(6B)에 취부되어진 제 1 의 이음수단 (8B)에 핀을 개재하여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또한 그 길이방향 타측단이 제 1 지주(6A)에 취부되어진 제 2 이음수단(9A)에 핀을 개재하여 회동가능하게 연결되어진다.
또한, 파렛트(2)의 제 1 변(10) 옆의 제 1 변(11)에 대해 상호 이웃하여 취부되어진 제 2 지주(6B) 및 제 3 지주(6C) 간에 설치된 제 1 연결부재(14B)는, 그 길이방향의 일측단이 제 2 지주(6B)에 취부되어진 제 1 이음수단(8B)에 핀을 개재해서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또한 그 길이방향의 타측단이 제 3 지주(6C)에 취부되어진 제 2 이음수단(9C)에 핀을 개재해서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제 2 및 제 3 지주(6B,6C) 간에 설치된 제 2 연결부재 (15B)는, 그 길이방향의 일측단이 제 3 지주(6C)에 취부된 제 1 이음수단(8C)에 핀을 개재해서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또한 그 길이방향의 타측단이 제 2 지주(6B)에 취부되어진 제 2 이음수단(9B)에 핀을 개재해서 회동가능하게 연결된다.
나아가, 파렛트(2)의 제 2변(11)의 옆의 제 3 변(12)에 대해 상호 이웃하여 취부되어진 제 3 및 제 4 지주(6C,6D)간에 설치되어진 제 1 연결부재(14C)는, 그 길이방향의 일단측이 제 3지주(6C)에 취부되어진 제 1 이음수단(8C)에 핀을 개재해서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또한 그 길이방향의 타측단이 제 4 지주(6D)에 취부된 제 2이음수단(9D)에 핀을 개재하여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며, 제 3 및 제 4 지주(6C,6D)에 설치된 제 2 연결부재(15C)는 그 길이방향의 일측단이 제 4지주(6D)에 취부되어진 제 1이음수단(8D)에 핀을 개재하여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그 길이방향의 타측단이 제 3 지주(6C)에 취부된 제 2 이음수단(9C)에 핀을 개재해서 회동가능하게 연결되어있다.
동시에, 파렛트(2)의 상기 제 3변(12)의 옆의 제 4변(13)에 대해 상호 이웃하여 취부되어진 제 4 및 제 1 지주(6D,6A)간에 설치된 제 1 연결부재(14D)는 그 길이방향의 일측단이 제 4 지주(6D)에 취부되어진 제 1 이음수단(8D)에 핀을 개재해서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또한 그 길이방향의 타측단이 제 1 지주(6A)에 취부되어진 제 2 이음수단(9A)에 핀을 개재해서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제 4 및 제 1 지주(6D,6A) 간에 설치된 제 2 연결부재(15D)는 그 길이방향의 일측단이 제 1 지주(6A)에 취부된 제 1 이음수단(8A)에 핀을 개재하여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또한 그 길이방향의 타측단이 제 4 지주(6D)에 취부된 제 2 이음수단 (9D)에 핀을 개재하여 회동가능하게 연결된다.
전술한 것과 같이,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물품운반보관장치에 있어서는 각각의 제 1 연결부재(14)는 그 길이방향 일측단이 파렛트(2)의 각 변(10,11,12,13)에 대해 상호 이웃하여 위치하는 2개의 지주(6) 중 하나의 지주(6)에 취부된 제 1 이음수단(8)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또한 그 길이방향의 타측단이 상호 이웃하여 위치하는 2개의 지주(6) 중에서 다른 하나의 지주에 취부된 제 2 이음수단(9)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며, 각각의 제 2연결부재(15)는 그 길이방향의 일측단이 전술한 다른 하나의 지주(6)에 취부된 제 1 이음수단(8)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또한 그 길이방향의 타측단이 전술한 하나의 지주(6)에 취부된 제 2 이음수단(9)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어진다. 이와 같이, 각각의 지주(6)은 제 1 및 제 2 연결부재(14,15)를 지탱하는 지주로서의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제 1 및 제 2연결부재(14,15)의 각각에 전술한 것과 같이 연결된 제1및제2이음수단(8,9)는 적어도 어느 한쪽이 연결부재에 취부되어진 각각 지주(6)에 대해서 그 길이방향으로 자유자재로 이동될 수 있도록 이동가능하게 조립부착된다. 도시된 예에서는 각각의 제 2 이음수단(9)이 각 지주(6)의 하부에 위치하고 도 4에 도시한 것과 같이 나사(20) 또는 용접등에 의해 각 지주(6)에 각각 고정시키고, 나아가 각 제 1 이음수단(8)은 각 지주(6)에 고정하고 제 2 이음수단(9)을 지주(6)에 대해서 자유자재로 접혀움직이게 감합하고, 또는 제 1 및 제 2 이음수단(8,9)를 동시에 지주에 대해 자유자재로 접혀움직이게 감합하여도 좋다.
제 1 에 도시된 파레트(2)는 운반할 물품(1)의 크기에 대응하는 각종 사이즈의 것이 미리 준비된다. 물품(1)을 운반할 때는 그 물품(1)의 크기에 적합한 파레트(2)를 선택하고, 그 상면에 물품재치면5위에 물품(1)을 올려놓고, 필요에 따라서 그 물품(1)을 볼트등에 의해 파렛트에 고정시키고, 그 위에 필요에 따라서 그 물품(1)을 커버(31)로 덮는다. 이러한 경우 선택된 파레트(2)의 사이즈에 따라서 그 돌기부(7) 간의 간격 D1,D2가 다르지만, 그 간격 D1,D2에 일치하도록 파레트(2)에 취부한 앞의 지주(6)간의 간격을 다음과 같이 마음대로 조정할 수 있다.
다시말해, 파레트(2)에 취부한 앞의 지주(6) 중 서로 이웃하는 2개의 지주(6A,6B와 6C,6D)를 도 1에 화살표A로 표시한 것과 같이 서로 이간(離間)하는 방향으로 밀어서 누르면, 각 제 1 이음수단(8)이 지주(6)에 대해 아랫방향으로 접혀서 움직이고(이하 접동(摺動)), 제 1 및 제 2 지주(6A,6B)간의 간격과 제 3 및 제 4 지주(6C,6D)간의 간격이 넓어진다. 이때, 동시에 제 1 및 제 4지주(6A,6D)와 제 2 및 제 3지주(6B,6C)는 화살표 B로 표시된 것과 같이 상호 이간하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이들 지주간의 간격도 넓혀진다.
반대로, 각 지주(6)을 화살표B와 반대측으로 가압하면 각각의 제1이음수단(8)이 지주(6)을 따라서 상방향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상호 이웃하는 지주간의 간격이 좁아진다. 이와같이 도 1에 도시된 예에서는 파레트(2)의 각 변10,11,12,13에 상호 이웃하여 취부된 2개의 지주간의 간격이 동일한 비율로 변화되도록 그 각 간격이 연동하여 조정된다.
전술한 것에 있어 선택된 파레트(2)의 돌기부(7) 간의 간격D1,D2에 맞추어서 이웃하는 각각의 지주(6)간의 간격을 조정한 후에 물품(1)이 올려 놓아진 파레트(2)의 각 돌기부(7)에 각각의 지주(6)의 하부를 감착(嵌着)한다. 이때, 각각의 지주(6)의 하부에 고정된 각각의 제 2 이음수단(9)의 중심구멍을 각각의 돌기부(7)에 감착하도록 4개의 지주(6)을 파레트(2)의 네 모퉁이에 착탈가능하게 취부하도록 구성하여도 좋고 도는 도 7을 참조하여 이후에 설명하게 될 예에서와 같이 각 지주(6)를 파레트(2)에 착탈가능하게 취부하여도 좋다.
전술한 것과 같이, 돌기부(7)간의 간격D1,D2를 상이한 파레트(2)를 복수개 준비하여 두는 것에 의해 어떠한 파레트(2)에도 간격을 조정한 지주(6)을 취부할 수 있다.
또한, 제1및제2 연결부재(14,15)를 상호 연결하지않고 프리(FREE)한 상태로 두어도 좋지만, 도시되지 않은 예에서는 상호 쌍을 이루지 않은 제1및제2연결부재(14,15)의 중간부가 핀21에 의해 상호 자유자재로 회동할 수 있도록 연결되어 있고 그에 따라 각 지주(6)간의 간격을 조정하는 경우 제 1 및 제2연결부재(14,15)를 부드럽게 작동시키고, 각 지주간의 간격조정작업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다. 이는 후에 설명하는 실시예에 대해서도 동일하다.
제 1 및 제 2이음수단(8,9)를 동시에 각 지주(6)에 대해서 그 길이방향으로 접동가능하게 감합하여도 전술한 지주 사이의 간격 조정작업을 수행할 수 있지만, 그 어떤 쪽의 이음수단, 예를들면 도 1에 도시한 예에서와 같이 제2 이음수단(9)를 지주(6)에 대해 고정하고, 다른 이음수단(8)을 지주(6)에 대해 접동가능하게 조립하여 부착하면, 지주 사이의 간격 조정작업시에 제 1 및 제 2 연결부재(14,15)를 원활하게 작동시킬 수 있고, 용이하게 그 작업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상술한 것과 같이 지주(6)을 파레트(2)에 조립하여 부착하는 것에 의해서 도 2에 도시한 것과 같이 조립되어진 물품운반보관장치(30)를 구성할 수 있다. 이때, 4개의 지주(6)와, 제 1및제2연결부재(14,15)에 의해서 둘러싸인 수용공간에 물품재치면(5)의 위에 올려놓여진 물품(1)(도2에 도시되지않음)을 수용할수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예를들면 도시되지 않은 포크 리프트(fork lift)의 포크를 파레트(2)의 하측에 집어넣고, 포크를 상승시키는 것에 의해 물품운반보관장치(30)를 들어올려 물품(1)을 운반할수 있다. 또한, 물품(1)을 탑재한 상태의 물품운반보관장치를 트럭이나 선박 또는 철도차량에 이동시켜 이를 수송할 수 있다.또한, 물품운반보관장치(30)에 수용된 물품(1)을 창고등에 보관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물품(1)을 운반하고 또는 이를 보관하는 경우, 물품(1)은 그 사방을 제1및제2연결부재(14,15)에 의해서 둘어싸여져 있어 그 물품(1)을 보호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파레트(2)는 그 물품재치면5와는 반대측 표면에 다름 물품운반보관장치의 상부가 착탈가능하게 연결되어진 연결부를 구비하고 있고, 도 1에 도시한 예에서는 파레트(2)의 각 다리부4의 4개소에 체결공22으로 구성된 연결부가 형성되어져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도 2에 도시한 것과 같이 물품(도2에 도시되지 않음)을 탑재한 물품운반보관장치를 상하에 복수개 안정된 상태로 적재될 수 있다. 다시 말해, 도 1에 도시한 것과 같이 물품운반보관장치의 각 지주(6)의 상부에 선단이 뾰족한 캡(23)을 착탈가능하게 감합시켜 놓고, 그 물품운반보관장치(30)를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예를 들면 포크 리프트에 의해 들어 올서 실어 놓는다. 이때, 하향의 물품운반보관장치(30)의 4개의 지주(6)의 상부에 감착된 캡(23)(도1)을 상향의 물품운반보관장치(30A)의 파렛트에 형성되어진 체결공22(도1)에 각각 감착한다. 이에 의해 복수개의 물품운반보관장치(30,30A)를 상호 상하에 위치결정하여 적재할 수 있고, 창고내의 스페이스를 유효하게 이용하여 물품(1)을 보관하여 놓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복수개의 물품운반보관장치를 상하에 쌓아 올린 상태로 함께 운반할 수 있다.
각 지주(6)의 상부에 감착된 캡(23)은 각 지주(6)를 체결공22에 쉽게 체결시키는 것이고, 이와 같은 캡(23)을 이용하지 않고 바로 각 지주(6)의 선단을 캡(23)과 같이 앞부분이 가는 형태로 형성하는 것에 의해 상기 각 지주(6)를 용이하게 체결공(22)에 체결시킬 수 있다.
또한, 물품운반보관장치를 사용하지 않는 때에는 그 파레트(2)로부터 4개의 지주(6)를 분리하여 각 지주(6)를 서로 접근하는 방향으로 가까이 대면, 제 1및제2연결부재(14,15)가 접어져 그 전체를 도5에 도시한 것과 같이, 콤팩트(compact)하게 접혀질 수 있고,이를 극히 작은 공간에 격납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지주(6)과 연결부재(14,15)는 자유자재로 접혀지는 지주 유니트(32)를 구성한다.
한편, 지주(6)를 분리한 파레트(2)는 도6에 도시한 것과 같이 상하에 쌓아져 격납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파레트(2)의 물품재치면5에 돌설된 돌기부(7)를 그 상측의 파레트(2)의 체결공(22)(도1)에 각각 체결시키는 것에 의해 각 파레트(2)를 정확하게 상하 위치에 움직이지 않게 적층하여 두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지주 유니트(32)와 파레트(2)를 여러번 사용할 수 있고, 종래의 골판지등으로 이루어진 물품운반보관장치에 의해 운반도착지에서 폐기되지않으면 안되는 것을 방지하거나 또는 감소시킬 수 있다.
상술한 것과 같이, 도 1내지 도6에 도시한 물품운반보관장치에 따르면 운반시 또는 보관하고자 하는 물품(1)의 크기가 실질적으로 어떠한 경우라도 물품의 크기에 대응해서 파레트(2)를 선택하고 그 돌기(7)의 간격 D1,D2에 대응하여 지주(6)의 간격을 조정하는 것에 의해 그 물품을 용이하게 운반하고 내지는 보관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7내지 도10에 도시한 실시예의 물품보관장치도 예를 들면 복사기등의 물품(1)(도9 내지 도10참조)이 놓여진 파레트(2)와, 그 파레트(2)의 네변에 해당 파레트(2)의 물품재치면(5)에 대해 거의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에서 동시에 착탈가능하게 취부되어진 제 1내지제4지주(6A,6B,6C,6D)(도7)를 구비한다. 다시 말해, 파레트(2)상의 사각형을 가상한 경우, 그 사각형의 각 코너부에 각 지주(6)가 각각 착탈가능하게 세워진다. 이러한 경우에도 각 지주(6)의 하부를 도 1과 관련하여 설명한 방법으로 파레트(2)에 착탈가능하게 취부되어지는 것이 가능하고, 도7에 예시한 예에서는 파레트(2)의 물품재치면(5)의 네변에 취부홀(24)를 뚫고, 여기에 각 지주(6)의 하부를 직접 또는 그 하부에 감착한 캡(25)을 집어넣어서 각 지주(6)를 수조작으로 용이하게 파레트(2)에 취부하거나 또는 취외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도7에 도시한 파레트(2)는 데크 보드(3)의 하면에 3개의 다리부(4,4A,4B)가 고정된다. 파레트(2)의 다른 구성은 도 1에 도시한 파레트(2)와 실질적으로 바뀌지 않는다.
도 7에 도시한 예에서는 각 지주(6)에 제1내지제2이음수단(8,9)외에 제3이음수단(26)이 취부되어져 있다. 이 제3 이음수단(26)에 의해서도 그 개개의 이음수단에 대해서 부호 26A,26B,26C,26D를 붙여 그 각각을 식별한다.
상술한 것과 같이, 도 7에 도시된 물품운반보관장치는 제1내지제4 지주(6)A 내지 6D에 각각 그 길이방향을 따라서 취부되어진 제1내지 제3이음수단(8,9,26)을 구비하고, 덧붙여 도1의 물품운반보관장치와 같이 지주(6)이 파레트(2)에 취부되는 경우, 그 파레트(2)의 각 변10 내지 13에 대해 상호 이웃하여 위치하는 제 1 및 제2지주(6A,6B), 제2 및 제3지주(6B,6S),제3및제4지주(6C,6D), 제4 및 제1지주(6D,6A) 각각을 상호 이웃하는 제1 및제2연결부재(14,15)를 구비한다.
또한, 4개의 지주(6)이 파레트(2)에 취부되어진 상태에서 제2및제3이음수단(9,26)은 제1이음수단(8)보다 하향으로 위치하고, 동시에 제2 이음수단(9)는 제3이음수단(26)보다 하향에 위치하여 제1 내지 제4지주(6)A 내지 6D가 파레트(2)에 취부된 상태에서 각 제1및제2연결부재(14,15)는 각각 서로 교차된 상태로 위치한다.
나아가, 각 제1및제2연결부재(14,15)의 길이방향 각 단부는 도3 및도 4에 도시한 경우와 같이, 핀을 개재하여 각 이음수단에 다음과 같이 자유자재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된다.
제 1내지제4지주(6A 내지 6D)가 파레트(2)에 부착된 상태에서 파레트(2)의 제1 변(10)에 대해 상호 이웃하여 위치하는 제1및제2지주(6A,6B) 사이에 설치된 제1및제2연결부재(14A,15A)의 각 길이 방향의 일측단이 제1및제2지주(6A,6B)에 각각 취부된 제1이음수단(8A,8B)에 각각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동시에 각 길이방향의 타측단이 제2및제1지주(6B,6A)에 각각 부착된 제2이음수단(9B,9A)에 각각 회동가능하게 연결된다.
동시에 파레트(2)의 제1변10의 이웃하는 제2변11에 대해 상호 이웃하여 위치하는 제2및제3지주(6B.6C) 사이에 설치된 제1내지 제2연결부재(14B,15B)의 각 길이방향 일측단이 제2및제3지주(6B,6C)에 각가 취부되어진 제1이음수단(8B,8C)에 각각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동시에 그 길이방향의 타측단이 제3및제2지주(6B,6C)에 각각 부착된 제3이음수단(26C,26B)에 각각 회동가능하게 연결된다.
나아가, 파레트(2)의 제2변(11)의 이웃하는 제3변(12)에 대해 상호 이웃하여 위치하는 제3 및 제 4 지주(6C,6D) 사이에 설치된 제1및제2연결부재(14C,15C)의 각 길이방향 일측단이 제3및제4지주(6C,6D)에 각각 취부된 제1이음수단(8C,8D)에 각각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동시에 그 길이방향의 타측단이 제4및제3지주(6D,6C)에 각각 취뷔도니 제2이음수단(9D,9C)에 각각 회동가능하게 연결된다.
또한, 파레트(2)의 제3변(12)의 이웃하는 제4변(13)에 대해 상호 이웃하여 위치하는 제4 및 제1지주(6D,6A) 사이에 설치된 제1 및 제2연결부재(14D,15D)의 각 길이방향 일측단이 제4및제1지주(6D,6A)에 각각 취부된 제1이음수단(8D,8A)에 각각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동시에 그 길이방향 타측단이 제1및제4지주(6A,6D)에 각각 취부된 제3이음수단(26A,26D)에 각각 회동가능하게 연결된다.
상술한 것과 같이 제1및제2연결부재(14,15)의 각 단부측에는 한 개씩의 이음수단이 각각 연결되지만 제1및제2연결부재(14,15)의 각각에 연결된 제1내지제3이음수단(8,9,26)중 적어도 제2및제3이음수단(9,26)이 이들에 취부된 각 지주(6)에 대해 그 길이방향으로 자유자재로 이동할 수 있도록 이동가능하게 조립부착된다. 도시된 예에서는 각 지주(6)의 상부에 위치하는 제1이음수단(8)이 각 지주(6)에 예를들면 압입(壓入) 또는 나사 혹은 용접등에 의해 고정되고, 제2및제3이음수단(9,26)이 지주(6)에 대해 그 길이방향으로 접동자재하게 감합된다. 제1이음수단(8)도 여기에 취부된 각 지주(6)에 대해 그 길이방향으로 접동자재하게 취부되도록 구성되어도 양호하다.
도7에 도시된 물품운반보관장치에 있어서 물품울 운반하는 경우에도 그 물품의 크기에 맞는 파레트(2)를 선택하고, 도9 및 도 10에 도시한 것과 같이, 그 파레트(2)의 위에 물품을 올려놓고, 필요에 따라서 그 물품을 파레트(2)에 착탈가능하게 고정시키고 또는 필요에 따라서 그 물품을 커버(31)로 덮는다. 한편, 선택된 파레트(2)의 취부홀(24) 사이의 간격D1,D2에 적합하도록 파레트(2)에 취부된 상기 각 지주(6)사이의 간격을 조정한다.
다시말해, 파레트(2)의 제1변(10)과 여기에 대향하는 제3변(12) 각각에 서로 이웃하여 취부된 제1및제2의 2개 지주(6A,6B)와, 제3및제4의 2개의 지주(6C,6D)를 도7의 화살표 A로 표시한 방향 또는 이와 반대의 방향으로 밀어 누른다. 그러면 이들 지주에 취부된 제2이음수단(9)이 각 지주(6)을 따라 윗방향 또는 아랫방향으로 접혀서 움직인다. 이에 의해 제1 및 제 2의 2개의 지주(6A,6B)사이의 간격과 다른 제3 및 제 4의 2개의 지주(6C,6D)사이의 간격이 동일한 비율로 변화된다. 이러한 경우 본 예에서는 지주(6A,6B;6C,6D)사이의 간격이 조정될 뿐 제2지주(6B)와 제3지주(6C)의 간격 및 제4지주(6D)와 제1지주(6A)의 간격은 변화하지 않는다.
이들을 간격을 조정하는 경우에는 제2및제3지주(6B,6C)와, 제4및제1지주(6D,6A)를 도7의 화살표 B에 표시한 방향 또는 이와 반대의 방향으로 밀어 누르면 이에 의해서 각 지주에 감합된 제3 이음수단(26)이 그 각 지주(6)을 따라 윗쪽 또는 아래쪽으로 이동하여 제 2및제3지주(6B,6C)사이의 간격과 제4및제1의 지주(6C,6A)사이의 간격이 동일한 비율로 변화된다. 이와 같이, 본 예의 물품운반보관장치에 있어서는 파레트(2)의 한변과 이에 대향하는 한변의 각각에 이웃하여 취부된 2개의 지주사이의 간격이 동일한 비율로 변화되도록 그 간격이 상호 연동하여 조정된다. 아울러 파레트(2)의 상호 대향하는 다른 2변의 각각에 상호 이웃하여 취부된 2개의 지주사이의 간격이 동일한 비율로 변화되도록 그 간격이 상호 연동하여 조정된다.
이와 같이 간격이 조정된 지주(6)를 취부하는 것이 가능한 취부홀(24) 사이의 간격D1,D2를 갖는 파레트(2)를 미리 준비하여 놓는 것에 의해, 그 어떠한 파레트(2)에도 간격조정후의 지주(6)를 취부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술한 것과 같이, 앞서 설명한 실시예의 경우와 모두 동일한 방법으로 파레트(2)의 물품재치면(5)상에 올려놓여진 물품을 운반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도7에 도시한 파레트(2)에도 그 물품재치면(5)와 반대측의 표면에 다른 물품운반보관장치의 4개의 지주 상부가 착탈가능하게 연결되는 4개의 체결공(22)로 이루어진 연결부를 갖고, 이에 의해 도 2에 도시한 것과 같이 조립된 물품운반보관장치를 상하에 적재하고, 물품을 작은 공간에 보관하는 것이 가능하다(도12 참조).
아울러, 도 7에 도시한 지주(6)를 파레트(2)로부터 분리시키면, 그 지주(6)와 제1및제2연결부재(14,15)를 도8에 도시한 것과 같이 콤팩트하게 접고, 동시에 파레트(2)를 상하에 쌓아 올려서 격납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4개의 지주(6)과, 그 각각의 지주에 이음수단(8,9,26)을 개재하여 연결된 연결부재(14,15)가 그 지주(6)을 파렛트로부터 분리한 상태에서 자유자재로 접어 지주 유니트(32)A를 구성한다.
도9는 파레트(2)의 위에 물품(1)을 올려놓고 그 물품(1)을 파레트(2)에 착탈가능하게 고정함과 동시에 물품(1)을 커버(31)로 덮고 이후에 도7에 도시한 지주 유니트(32A)를 파레트(2)의 위쪽으로부터 내려 지주(6)을 파레트(2)에 취부하고, 또한 그 지주 유니트(32A)를 위쪽으로 들어올려 파레트(2)로부터 분리한 경우의 모양을 나타낸 것이고, 도 1 내지 도6에 도시한 물품운반보관장치도 이러한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상술한 사용방법에 따르면 지주 유니트(32,32A)를 하측으로 내리거나 또한 이를 상측으로 들어올릴 필요가 있는데 이 작업이 약간 번잡하다. 한편, 도 10은 도 7에 도시한 지주 유니트(32A)의 제 3 이음수단(26)을 상측으로 슬라이드시켜, 제1및제2연결부재(14B,15B)와, 이들에 대향하는 제1및제2연결부재(14D,15D)를 상측으로 들어올리고, 다른 제 1및제2연결부재(14A,15A와 14C,15C)의 각각을 접어 그 지주 유니트(32A)를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키고,상기 지주 유니트(32A)를 파레트(2)에 취부하거나 또는 취외하는 사용방법을 나타낸 것이다. 이 방법에 따르면 지주 유니트(32A)를 상하로 이동시킬 필요가 없기 때문에 그 작업을 매우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고, 아울러 지주(6)을 물품(1)로부터 간격을 많이 넓히고 그 지주 유니트(32A)를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키기 때문에 지주(6)과 제1및제2연결부재(14,15)를 물품에 접촉시키지 않고 파레트(2)에 대하여 지주 유니트(32A)를 부착하고 분리시키는 것이 가능하며, 물품(1)에 손상을 입히지 않고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도 11은 이전의 파레트(2)에 지주(6)를 부착하고, 지주 유니트(32)A를 파레트(2)에 세팅하고, 그 후에 물품(1)을 파레트(2)의 상측에 놓는 사용방법을 나타낸다. 도11에 나타난 제1및제2연결부재(14A,15A)의 각 길이방향의 타측단, 다시말해 그 하측단은 각각 제2 이음수단(9B,9A)에 각각 착탈가능하게 연결되고 또한 힌지핀(21)도 이탈가능하게 연결된다.
도 11에 도시된 지주 유니트(32A)를 파레트(2)에 세팅한 시점에서는 전체의 제 1 및 제 2연결부재(14,15)가 도 7에 도시한 것과 같이 각 이음수단에 각각 핀을 개재하여 연결되고, 이러한 경우 파레트(2) 위에 물품은 올려놓여져 있지 않다. 다음으로 파레트(2)의 밖에 있는 물품에 대향하는 연결부재(14A,15A)를 연결하고 있는 힌지핀(21)을 빼고, 동시에 그 길이방향 타측단 다시말해 하측단을 각 제 2 이음수단(9B,9A)로부터 떼어낸다. 각 연결부재의 하단과 이음수단을 연결하는 핀을 이탈시키고, 이들을 떼어낸다. 이에 따라 도 11에 파선으로 표시한 상태에 있는 도 1 및 도 2의 연결부재(14A,15A)는 그 각 길이방향 일단측 다시말 해 그 상단측을 중심으로 화살표 방향으로 회동하고, 이들 연결부재(14A,15A)는 실선으로 표시한 것처럼 아래로 내려간다. 이와 같이 하여 제 1 지주(6A)와 제2지주(6B) 사이가 개방되는데, 여기를 통해서 물품(1)을 파레트(2)의 상측으로 운반하고, 이를 도 11에 파선으로 표시한 것과 같이 파레트(2) 위에 적재한다. 다음으로 제 1 및 제 2연결부재(14A,15A)를 도 11에 파선으로 표시한 것과 같이 회동시키고, 이를 힌지핀(21)로 연결함과 동시에 그 각각의 길이방향 타측단을 제 2 이음수단(9B,9A)에 각각 핀에 의해 연결한다.
상기 방법에 따르면 지주 유니트(32A)를 들어올리지 않고, 물품(1)을 파레트(2)상에 올려놓고 또한 그것을 내리는 것이 가능하다.
도 11에 도시된 예에서는 제 1 및 제 2 연결부재(14A,15A)의 각 길이방향 타측단을 제 2이음수단(9B.9A)에 착탈가능하게 연결하지만 그 각 길이방향 일단측을 제 1 이으수단(8A,8B)에 각각 착탈가능하게 연결하여도 무방하다. 또는 제 1 및 제 2 연결부재(14A,15A)의 길이방향 일측단과 타측단을 동시에 이음수단(8A,8B,9B,9A)에 착탈가능하게 연결하여도 좋다. 먼저, 적어도 한 쌍의 제1및제2연결부재를 상술한 것과 같이 구성하면 상기 방법에 따라 물품(1)을 파렛트 위에 올려놓는 것이 가능하다. 다시말해 상호 이웃하여 위치하는 2개의 지주 사이에 설치된 제 1 및 제 2의 2개의 연결부재를 연결부재 쌍이라 하면 지주 유니트(32A)는 4개의 연결부재쌍을 갖고, 그 중 적어도 1개의 연결 부재쌍을 구성하는 제 1및제2 연결부재(14A,15A;14B,15B;14C,15C;14D,15D)의 길이방향 일측단과 길이방향 타단측의 적어도 한 쪽을 그 각각의 이음수단에 대해 착탈가능하게 연결한다. 이러한 구성은 도 1에 도시한 지주 유니트(32)를 갖는 물품운반보관장치에도 그대로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도 11에 도시한 지주 유니트(32A)의 제 1 지주(6A)와 제4지주(6D)의 상부와, 제2지주(6B)와 제3지주(6C)의 상부에 가교(架橋)부재(34)가 착탈가능하게 취부되어 있다. 이러한 가교부재(34)는 2개의 지주 상부를 서로 연결하여 각 지주(6)에 횡방향으로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에도 그 지주(6)가 비틀거리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고, 필요에 따라서 설치되어지는 부재이다. 전술한 것과 같이 각 지주사이의 간격을 조정하거나 지주 유니트(32A)를 접는 경우에는 가교부재34는 지주로부터 분리되어진다.
또한, 도 11에 도시한 파렛트의 구조는 도 7에 도시한 파렛트와 다소 상이하지만, 그 상이한 내용은 본질적인 것은 아니다. 다시말해, 도 12에 도시한 파레트(2)도 2개의 다리부(4)를 갖고, 그 위에 데크보드가 고정되고 그 상면의 물품재치면5에 물품이 놓여진다. 또한, 도 11에 도시한 각각의 다리부(4)의 하측면에는 역 V자 형상의 구조로 이루어지는 체결부(39)가 형성되어 있지만 이 체결부(39)는 물품운반보관장치를 상하에 적재하는 경우 하측에 위치하는 물품운반보관장치의 가교부재(34)에 체결된다. 도 12는 이러한 경우의 모양을 나타낸 것이다. 이와 같이 도 11및도12에 도시한 예에서는 체결부(39)가 그 물품운반보관장치의 아래측 물품운반보관장치의 상부를 착탈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부를 구성하고 있다.
그런데, 도 7에 도시한 물품운반보관장치의 제 2 및 제 3 이음수단(9,26)은 이들이 취부되어진 지주(6)에 대해 자유자재로 접혀져 움직일 수 있지만, 지주 유니트(32A)를 파레트(2)에 세팅한 후, 이들 이음수단(9,26)을 예를 들면 나사등에 의해서 지주(6)에 고정시키는 것도 좋다. 이는 도 1에 도시한 제 1 이음수단(8)에 대해서도 동일하다. 이와 같이 하면, 파레트(2)에 조립부착된 지주 유니트(32,32A)의 강성을 높일 수 있고, 물품(1)을 튼튼하고 단단하게 유지할 수 있다.
물품운반보관장치를 상하에 적재한 상태에서 그 물품운반보관장치를 트럭등에 수송하는 경우, 그 물품운반보관장치에는 외부 진동이 가해지지만 이때 지주(6)에 대해 접동가능한 제 2 및 제 3 이음수단(9,26)을 지주에 고정시키지 않고 더불어 그 제 2및제3이음수단(9,26)을 상호 고정연결하면, 물품운반보관장치의 진동을 효과적으로 흡수하여 하측의 물품운반보관장치의 진동이 상측의 물품운반보관장치에 전달되는 것을 막아 적재된 물품운반보관장치 전체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이는 실험에 의해 그 효과가 증명되게 된다.
이러한 관점으로부터 도 13 내지 도 15에 표시된 실시예에 있어서는 도 7에 도시된 지주 유니트(32A)의 지주 사이의 간격을 조정한 후 예를 들면 그 지주 유니트(32A)를 파레트(2)에 세팅한 후에 각 지주(6)에 취부되어진 제 2 이음수단(9)와 제 3 이음수단(26)에 이음수단 고정부재(35), 예를 들면 나사(38)에 의해 착탈가능하게 고정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제 2 및 제 3 이음수단(9,26)은 지주(6)에 대해서는 고정되지 않는다. 이음수단고정부재(35)는 예를들면 금속 또는 경질(硬質)수지등의 고 강성(剛性)재료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제 2 및 제 3 이음수단(9,26)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하고 이것을 지주(6)에는 고정시키지 않으면, 물품운반보관장치에 대해서 트럭의 짐받이에 흔들림이나 지진에 의한 흔들림등이 가해지더라도 그 진동을 제거할 수 있다. 특히 물품운반보관장치를 상하에 쌓아올린 경우, 상측에 위치하는 물품운반보관장치의 진동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고, 그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아울러 하측의 물품운반보관장치에 적재된 물품의 중량보다도 상측의 물품운반보관장치에 적재된 물품의 중량을 무겁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를 위해서 작업자는 부하의 중량을 특별히 고려하지 않고 효율적으로 각 물품운반보관장치를 상하에 쌓아올리는 것이 가능하다.
도 7에 도시한 제 1 이음수단(8)을 지주(6)에 대해 그 길이방향으로 접동자재하게 부착한 경우에는 그 제 1 이음수단(8)과 제 2 또는 제3이음수단(9,26) 또는 제 1내지 제 3 이음수단(8,9,26) 전체를 이음수단고정부재35에 의해 고정연결하여도 상술한 것과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도 1에 도시한 물품운반보관장치에 있어서, 제 2이음수단(9)와 지주(6)에 대해 그 길이방향으로 접동자재하게 조립하여 부착한 경우 제 1이음수단(8)과 제2이음수단(9)를 이음수단고정부재(35)에 의해 고정 연결하여도 상술한 작용효과를 얻을 수 있다. 지주 유니트(32,32A)를 접은 경우에는 그 전에 이음수단고정부재(35)를 이음수단으로부터 떼어내면 좋다.
상술한 것과 같이, 이음수단고정부재(35)는 지주(6)을 파레트(2)에 부착한 상태에서 1개의 지주(6)에 대해 그 길이방향으로 이동가능한 적어도 두 개의 이음수단을 상호 착탈가능하게 고정연결하는 목적으로 사용된다.
도 13에 도시한 이음수단고정부재(35)는 평평한 판형상으로 되고, 도 14 및 도 15에 도시한 이음수단고정부재(35)는 L자형의 횡단면형상을 갖는 재료로 구성된다. 어떠한 형태의 이음수단고정부재(35)도 그 본래의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지만 도 14 및 도 15에 도시한 이음수단고정부재(35)가 비틀림강성이 높고, 물품운반보관장치의 진동흡수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이때, 어떠한 형태의 이음수단고정부재를 사용하는 경우에도 4개의 지주에 각각 부착된 이음수단을 고정연결하기 위하여 동일형태의 이음수단고정부재(35)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하고, 그 부품 공통화를 도모하면 가격 절감을 달성할 수 있다. 도 13에 도시한 이음수단고정부재(35)는 평판을 이루어지고, 동일형태의 이음수단고정부재에 의해 각 지주(6)의 이음수단을 연결할 수 있지만, 각 이음수단에는 연결부재(14,15)를 연결하기 위한 결합편(18,18A)가 돌설되어 있으며, 도 14 및 도 15에 도시한 L자형의 이음수단고정부재(35)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그 부품을 공통화시킬 수 있도록 이음수단고정부재(35)의 나사공의 위치, 그 수 및 이러한 결합편(18,18A)의 위치에 대한 관계를 조정할 필요가 있다. 이와 같이, 4개의 지주(6)의 각각에 취부되어진 복수개의 이음수단끼리를 각각 착탈가능하게 고정하는 복수개의 이음수단고정부재(35)가 모두 동일한 형태로 형성되도록 이음수단고정부재(35)를 구성하는 것에 의해 가격 절감을 꾀할 수 있다.
또한, 도 16 및 도 17에 나타낸 것과 같이, 이음수단고정부재(35)에 역 ㄷ자 형상의 단면을 갖는 유지부(36)을 형성하고, 여기에 구멍(37)을 형성하고, 유지부(36)을 일측의 이음수단(9)에 감합시킴과 동시에 구멍(37)에 지주(6)를 관통시키면, 나사(38)을 떼어내도 이음수단고정부재(35)가 지주(6)에 유지된 상태가 되기 때문에 그 이음수단고정부재(35)의 분실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8 및 도 19에 도시한 예에서는 이음수단고정부재(35)의 유지부(36)에 형성된 절개부(40)가 지주(6)에 결합되도록 하여 나사(38)을 떼어낸 경우, 그 이음수단고정부재(35)를 지주(6)에 유지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상술한 것과 같이, 이음수단고정부재(35)를 지주(6)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그 지주(6)에 조립부착된 것에 의새 이음수단고정부재(35)의 손실을 방지하고, 또한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 이음수단 고정부재(35)가 파손되는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다.
그런데, 전술한 것과 같이, 물품을 적재한 물품운반보관장치는 상하에 쌓아 올려져 운반되거나 또는 보관하는 것이 가능한 것이지만, 물품을 적재한 물품운반보관장치를 단독으로 운반 또는 보관하는 것도 있다. 이러한 경우 그 물품운반보관장치의 상측의 공간이 쓸모없게 된다.
그런데, 도 20내지 도 25에 나타낸 실시예에 있어서는 물품운반보관장치가 그 지주(6)의 위에 착탈가능하게 놓여진 상판(41)을 구비한다. 이 상판에 관한 구성은 앞서 설명한 어떠한 실시예에도 적용할 수 있다.
도 20 내지 도 25에 나타낸 어떠한 상판(41)도, 그 하측면에 지주(6)의 상부에 부착되어진 전술한 가교부재(34)에 결합되는 체결부재(42)가 설치되어 상판41이 가교부재(34)를 개재하여 4개의 지주(6)의 상부에 놓여지도록 구성된다. 이와 달리 상판(41)을 바로 지주(6)의 상부에 놓도록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또한 상판(41)을 지주(6)에 대해 위치를 정하고, 또한 로크 시키기 위하여 도시되지 않은 고정수단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0은 상판(41)을 지주 유니트(32) 상부에 세팅한 때의 모양을 나타내고, 도 21은 그 상판의 상부에 짐등의 물품43을 올려놓았을 때의 모양을 나타낸 것이다. 이 상판(41)의 상면은 평편한 면이고, 이 면위에 안정된 상태로 물품(43)을 올려놓은 경우 물품운반보고나장치의 상측 공간을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도 22에 도시한 상판(41)에는 그 가장자리부에 세워진 벽(44)로 이루어진 물품 낙하방지수단이 형성되고, 도 23에 도시한 것과 같이, 그 상판(41)에 짐등의 물품(43)이 놓여진 경우, 그 물품(43)이 벽(44)에 의해 아래로 낙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판(41)의 중앙에 홈으로 이루어진 물품낙하방지수단을 형성하고, 여기에 물품을 수용하도록 하여도 그 물품의 낙하를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판(41)이 그 위에 놓여진 물품의 낙하방지수단을 구비하면 상판의 상면으로부터 삐죽이 밀려나오는 것과 같은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고, 안정된 상태로 물품(43)을 상판(41)위에 올려놓을 수 있다.
제 1 및 제2연결부재(14,15)는 이후에도 설명하는 것과 같이, 지주(6)끼리를 연결하는 연결수단의 한가지 예를 구성하는 것이지만, 도 24 및 도 25에 나타낸 상판(41)에는 파레트(2)로부터 떼어낸 지주(6)와, 그 연결수단 내지는 그 연결수단을 구성하는 연결부재(14,15)를 수납하는 다수의 수납홀(45)이 형성된다. 도시된 수납홀(45)에는 도 25에 도시한 것과 같이 지주 유니트(32A)를 수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물품(1)을 적재한 다수의 물품운반보관장치를 어떤 장소에서 다른 장소로 운송하여 그 운송 도착지에서 물품(1)을 내린 후 그 물품운반보관장치를 원래의 장소로 되돌려 놓는 경우 지주 유니트(32A)를 파레트(2)로부터 떼어내어 그 파레트(2)를 상하로 포개어 반송할 수 있다. 이때, 도 25에 도시한 것과 같이, 하나의 물품운반보관장치는 이를 조립한 상태로 상판(41)에 형성된 각각의 수납홀(45)에 접힌 지주 유니트(32A)를 각각 삽입하여 그 제 1 이음수단(8)을 수납홀(45)의 테두리에 걸쳐서 각 지주 유니트(32A)를 내리게 된다. 이와 같이 하면, 다수의 지주 유니트(32A)를 콤팩트하게 합쳐서 운반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런데, 도 12로부터도 알 수 있듯이, 물품운반보관장치에 물품(1)을 적재한 경우 상호 이웃하는 지주(6)의 사이에 제1 및 제 2 연결부재(14,15)가 존재하는 것과 같이 지주(6)과 연결부재(14,15)의 사이에는 큰 간격이 남는다. 이 때문에 예를 들면 물품(1)을 적재한 물품운반보관장치와 다른 짐을 동시에 트럭의 짐받이에 실어 이를 운반하도록 한 경우, 물품운반보관장치에 적재된 물품(1)에 전술한 큰 간격을 통해서 다른 물건이 들어갈 염려가 있다. 그래서, 도 26내지 도 31에 도시한 물품운반보관장치는 상호 이웃하여 위치하는 2개의 지주 사이의 간격에 대해 적어도 일부를 차폐하는 보호수단을 구비한다. 이러한 보호수단의 구성도 앞서 설명되지 않은 실시예에도 적용될 수 있다.
도 26에 도시된 예에서는 상기 보호수단이 예를 들면 폴리에칠렌등의 수지나 종이재질의 골판지등으로 이루어지고 하부에 구멍이 뚫린 포대 내지 상자(46)으로 구성되어 그 상자(46)를 물품(1)을 적재한 물품운반보관장치의 위로부터 덮어씌운다. 이에 의해서 지주사이의 틈새는 모두 외부로부터 차폐되고, 물품운반보관장치의 내부에 외부의 부하가 들어오거나 물품운반보관장치에 적재된 물품(1)에 외부의 물건이 접촉되는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다.
도 27에 도시한 예에서는 상기 보호수단이 자기 점착(粘着)성 필름으로 이루어진 스트레치(stretch)필름(47)로 구성된다. 이러한 스트레치 필름(47)은 물건운반보관장치의 지주(6) 외측으로부터 그 지주(6)에 감겨서 부착되어 그 자기 점착성에 의해 지주(6)에 접착된다. 이러한 스트레치 필름(47)에 의해 지주사이의 간격일부 또는 전체를 막을 수 있다.
도 28 및 도 29에 도시한 예에서는 상기 보호수단이 보호망(48)로 구성되어 이 보호망(48)을 물품운분보관장치의 지주 외측으로부터 씌워지고, 이 보호망(48)에 형성된 다수개의 후크(49)를 예를 들면 연결부재(15)에 형성된 체결공에 걸쳐지는 것으로 보호망(48)을 물품운반보관장치에 고정시킨다. 이에 의해서도 지주사이의 틈새 일부를 막아 그 내부에 다른 짐이 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 30에 도시한 예에서는 보호수단이 꼭대기부에도 네트가 형성된 보호망(50)로 이루어져서 이를 파레트(2)에 세팅시킨 지주 유니트의 지주 외측으로부터 씌워 그 내부의 물품을 보호한다.
아울러 도 31에 도시한 예에서는 보호수단이 복수개의 보호 아암(arm)(51)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보호 아암(51)은 힌지핀(52)에 의해 제 1 및제 2연결부재(14,15)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된다. 이러한 보호 아암(51)중 특히 부호 51A를 붙여 표시한 보호아암의 동작을 설명하면 이 보호아암(51A)는 사용하지 않을 때는 도 31에 파선으로 표시한 것처럼 연결부재(14)에 서로 접혀져서 수납된다. 지주 유니트(32A)를 파레트(2)에 세팅할 때, 격납된 보호아암(51A)를 화살표 C로 표시된 것처럼 힌지핀(52)둘레 회동시켜 실선으로 표시한 사용위치에 가져간다. 그리고, 이 보호아암(51)의 선단을 예를들면 연결핀(53) 또는 폴트나 너트등의 고정수단에 의해서 연결한다. 다른 보호아암(51)도 동일하게 사용위치에 가져간다. 이에 의해 각 지주(6)의 사이에 보호아암(51)이 위치하여 이들 보호아암(51)이 물품(1)이 수용된 물품운반보관장치의 내부에 외부의 물품들이 침입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도 1 또는 도 7에 도시한 것처럼 물품운반보관장치에 적재된 물품(1)자체를 커버(31)로 덮는 것에 의해 그 물품(1)의 운반중에 물품을 보호할 수 있다. 도 1에는 물품(1)의 적어도 일부를 덮는 커버(31)로, 물품(1)을 감싼 포대(33)을 나타내지만 물품(1)을 감싼 적어도 2매의 포대에 의해 커버(31)을 구성하여도 무방하다. 도 32는 두 매의 포대(33,33A)에 의해 커버(31)를 구성한 예를 나타낸다. 이와 같이 물품(1)에 포대를 2매 덮으면, 물품운반보관장치에 의해 물품(1)을 운반하거나 또는 보관하는 경우에 외측의 포대(33A)에 정전기에 의해 먼지나 티끌이 다량 달라붙어도 그 물품 1을 소비자에게 납품하는 때, 상측의 포대(33A)를 제거하는 것에 의해 먼지나 티끌없이 외관이 깨끗한 제품을 사용자에게 보낼 수 있다.
또한, 파레트(2)상의 물품의 적어도 일부를 덮어 필요에 따라서 그 물품(1)에 관련된 정보를 표시 M이 되어 있는 커버로써, 가요(可撓)성의 포대 대신에 예를들면 도 33에 도시한 것처럼 제품 형태에 대응하는 형태로 된 커버(31A)를 이용할 수 있다. 이 커버(31A)는 예를 들면 수지, 종이재질의 고판지등으로 구성되어 이 커버(31A)에도 물품(1)에 관한 정보가 표시되어져 있다. 이와 같은 커버(31A)는 반복사용할 수 있고, 폐기물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이때, 커버(31A)를 접을 수 있도록 구성하면, 사용자에게 제품을 납품한 후 그 커버(31A)를 접어서 효과적으로 가지고 돌아올 수 있다.
그런데, 앞에서도 설명하였듯이, 상술한 각각의 물품운반보관장치는 파레트(2)에 착탈가능하게 취부되어진 지주(6)와, 상호 이웃하는 2개의 지주(6)끼리를 각각 연결하는 연결부재(14,15)가 지주(6)을 파레트(2)로부터 떼어낸 상태에서 자유자재로 접히는 지주 유니트(32,32A)를 구성하여, 이에 의해서 파레트(2)로부터 분리된 지주 유니트를 작은 공간에 보관하거나 또는 이를 용이하게 운반할 수 있다. 이 지주 유니트를 접는 경우에는 도 34에 쇄선으로 표시한 것처럼 지주(6)를 손으로 쳐서 지주(6)를 가까이 대어 도 35에서와 같이 접지만, 이때, 지주(6)과 연결부재(14,15)사이의 간격 L이 너무 작으면 지주(6)을 친 손의 손가락이 그 사이에 끼어버린다.
그래서 도 34 및 도 35에 도시한 물품운반보관장치에 있어서는 지주 유니트 32A를 접는 경우 지주(6)와 상기 지주(6)에 이음수단(8)을 개재하여 회동가능하게 연결한 연결부재(14,15)사이에 15mm이하, 양호하게는 20mm이상의 간격 L이 되도록 지주, 이음수단 및 연결부재를 각각 조립한다. 구체적으로는 각 이음수단(8)에 돌설된 결합편(18A)의 돌출량을 크게 하는 것에 의해 간격 L을 상술한 것과 같은 값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이러한 간격 L을 크게 하는 것에 의해서 조작자의 손가락이 틈에 끼는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은 도 1내지 도 6에 도시한 물품운반보관장치에도 그대로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도 34 및 도 35에 도시된 지주 유니트(32A)에 있어서는 각 지주(6)에 고정된 제 1이음수단(8)의 상면에 오목부(54)가 형성되어 이 오목부(54)에 도 11에 도시한 가교부재(34)가 돌설된 계합핀(도시되지 않음)이 착탈가능하게 감합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도 34 및 도 35에 도시한 지주 유니트(32A)는 도 7에 도시한 지주 유니트(32A)와 다소 상이하지만 그 기본구성에 있어서 다른 점은 없다.
이상의 설명으로부터 이해되었듯이 상술한 각각의 물품운반보관장치는 물품(1)이 놓여진 파레트(2)와, 상기 파레트(2) 위에 놓여진 물품(1)을 둘러사도록 상기 파레트(2)에 착탈가능하게 취부되어진 복수개의 지주(6)와, 상호 이웃하는 2개의 지주(6) 사이의 간격을 조정가능하게 해당 2개의 지주끼를 각각 연결하는 연결수단을 구비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나타내면, 물품운반보관장치는 물품(1)이 놓여진 파레트(2)와, 파레트(2)의 물품재치면(5)에 대해 거의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로 착탈가능하게 취부되어진 4개의 지주(6)와, 상호 이웃하여 위치하는 2개의 지주(6)사이의 간격을 조정가능하게 해당 2개의 지주(6)를 각각 연결하는 연결수단을 구비한다. 도 1내지 도 6에 도시된 예에서는 제 1내지 제 2연결부재(14,15)와, 제 1 및 제 2 이음수단 (8,9)이 연결수단을 구성하고, 도 7이상의 도에 나타낸 예에서는 제 1내지 제 2연결부재(14,15)와 제 1내지 제 3이음수단(8,9,26)이 연결수단을 이룬다.
또한, 도 1내지 도 6에 도시한 예의 연결수단은 상호 이웃하여 위치하는 2개의 지주 사이의 간격이 모두 동일한 비율로 변화되도록 해당 간격을 서로 연동하여 조정하도록 구성된다. 이에 따라 각종크기의 제품을 적합한 크기의 물품운반보관장치에 의해 운반하고 또는 이것을 보관할 수 있다.
또한, 도 7이상의 도에 도시한 연결수단은 파레트(2)의 한변과, 이에 대향하는 한변의 각각에 상호 이웃하여 위치하는 2개의 지주(6)사이의 간격을 동일한 비율로 변화시키도록 해당 간격을 상호 연동시켜 조정하고 동시에 파레트(2)의 상호 대향하는 다른 2변의 각각에 서로 이웃하여 취부되어진 2개의 지주(6)사이의 간격이 동일한 비율로 변화되도록 해당 간격을 상호 연동시켜 조정하도록 구성된다. 연결수단이 상호 이웃하여 위치하는 2개의 지주 사이의 간격과, 그 2개의 지주에 대향하여 서로 이웃하게 위치하는 다른 2개의 지주 사이의 간격을 동일한 비율로 변화시키도록 해당 간격을 서로 연동하여 조정하게 된다. 이에 따라 지주 사이의 간격조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전술한 어떠한 물품운반보관장치에 있어서도, 파레트(2)와 그 물품재치면5와는 반대측에 다른 물품운반보관장치의 상부가 착탈가능하게 연결되는 연결부재를 갖기 때문에 복수개의 물품운반보관장치를 용이하게 상하에 적재하는 것이 가능하다.
더욱이 상술한 각 예에 대한 물품운반보관장치에 있어서 그 각 지주(6)와 여기에 취부되는 이음수단(8,9) 또는 이음수단(8,9,26)을 분리가능하게 조립하여 부착하는 것이 유리하다. 예를 들면 도 1에 도시한 물품운반보관장치의 경우에는 전술한 것과 같이, 제 2 이음수단(9)을 지주(6)로부터 떼어낼 수 있는 나사(20)(도4)에 의해 고정시켜 두어 그 나사(20)를 분리하는 것으로 도 36에 도시한 것과 같이 각 지주(6)를 제 1 및 제 2 이음수단(8,9)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도록 구성한다.
이처럼 구성하면, 물품운반보관장치의 어떠한 구성 요소, 예를 들면 1개의 지주(6)이 파손되어 이를 교환하고자 하는 경우, 이 지주(6)를 이음수단으로부터 떼어내고 새 것으로 용이하게 교환할 수 있다. 또한, 물품운반보관장치를 폐기처분하는 경우에도 각 지주와 이음수단을 분리하여 그 각각을 분리하여 처분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제 1 및 제 2 연결부재(14,15)를 각각의 이음수단으로부터 분리할 수 있도록 또는 각 연결부재(14,15)끼리도 분리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이상 설명된 각각의 구성을 새롭게 개선하여 구성할 수 있고 더욱이 복사기 이외의 각종 물품 예를 들면 전기제품, 자동차, 자동차 엔진등의 부품, 자동판매기, 프린터, 팩시밀리, 가구, 건축 재료등 실질적으로 어떠한 것에 대한 물품운반보관장치로도 적용할 수 있다.
이하에는 도 1에 도시한 물품운반보관장치의 파레트(2)에 놓여진 물품(1)을 덮는 커버(31)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예를 들면,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물품(1)의 제조 메이커명을 나타내는 [R], RM 물품(1)의 제품명을 나타내는 [FT5]외에 예를 들면 물품(1)을 비에 노출시키는 것을 금지하는 표시등의 주의사항, 다시 말해 관리 표시(CARE MARK)등을 표시한다. 이와 같은 표시를 커버(31) 자체에 기입하여도 좋지만, 표시를 기입한 시트등을 커버(31)에 접착시켜도 무방하다.
상술한 것과 같이, 커버(31)에 의해 물품(1)을 확실하게 보호할 수 있고, 더욱이 그 커버(31)에 물품에 관한 정보가 표시되기 때문에 그 표시를 한 특별한 부재라 필요가 없어 물품운반보관장치의 가격을 절감할 수 있다.
도 39는 파레트(2)에 놓여진 물품(1)을 커버(31)에로 덮은 다음, 지주 유니트(32A)를 파레트(2)의 윗방향으로부터 내려서 취부하거나 또는 그 지주 유니트 32A를 위쪽으로 들어 올려 파레트(2)로부터 분리하는 경우의 모양을 나타낸 것이다. 또한 도 40은 지주 유니트(32A)를 접어 이를 수평방향으로 이동시켜 지주 유니트 32A를 파레트(2)에 취부하거나 또는 분리하는 것을 나타낸다. 도 39 및 도 40에 도시한 예에서는 도 1의 경우와 같이 파레트(2)에 4개의 돌기부(7)가 돌설되어 여기에 각 지주(6)의 하부를 감착시켜 각각의 지주(6)를 파레트(2)에 부착한다. 파레트(2)에 지주 유니트(32A)를 착탈하는 경우의 조작은 앞서 설명으로부터 알 수있으므로 생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예에서는 물품(1)을 덮는 커버(31)이 물품을 싸는 가요성의 포대로 이루어지고, 이 포대의 개수는 1매이지만, 물품(1)을 싸는 적어도 2매의 포대로 커버(31)을 구성하여도 좋고 도 41은 2매의 포대(33,33A)에 의해서 커버(31)한 예를 나타낸다. 이와 같이 물품(1)에 포대를 2매 둘러씌우면 물품운반보관장치에 의해 물품(1)을 운반하거나 또는 보관하는 경우에 바깥측의 포대(33A)에 정전기에 의해 먼지나 티끌이 다량 부착되어도 그 물품(1)을 사용자에게 납품할 때 상측의 포대(33A)를 벗겨내는 것에 의해서 먼지나 티끌이 없이 외관이 양호한 제품을 사용자에게 보낼 수 있다.
즉, 도 41에 도시한 지주(6)상에는 역 V 자 형 단면의 연결부(가교부재)(34)가 착탈자재하게 부착되어있어 파레트(2)의 다리부(4) 밑면(135)이 상기 역 V 자형의 보완형태의 역 V자 형태를 형성하여(도 39내지 도 40에 도시한 파렛트와 동일), 물품운반보관장치를 상하로 포개어 쌓는 경우 아래에 위치하는 물품운반보관장치의 연결부(34) 위에 그 윗쪽에 위치하는 물품운반보관장치의 다리부의 역 V 자형 밑면(135)이 감합하도록 구성된다.
그런데, 도 1에 나타낸 구성만으로 되면, 지주(6)은 길게 연장된 가늘고 긴 부재이기 때문에 지주(6)을 파레트(2)에 취부하는 경우 지주(6)의 상부에 횡방향으로부터 외력이 가해지면 그 지주(6)의 상부가 흔들려 파레트(2)에 취부되어진 지주 유니트(32)가 불안정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상호 이웃하는 지주(6)의 상부사이의 간격을 보통 일정하게 유지하는 것이 어려워 그 간격이 소정의 간격보다도 크게 되거나 작아 지게 된다. 이 때문에 도 2에 도시한 것과 같이 물품운반보관장치(30)의 윗쪽에 다른 물품운반보관장치(30A)를 올려놓기 위해서는 상측의 물품운반보관장치(30A)의 파레트(2)의 체결공(도1)을 하측의 물품운반보관장치(30)의 지주(6)의 상단부에 취부되어진 캡(23)에 감합시키는 경우, 지주(6)의 상부의 간격을 손으로 강제적으로 교정하면서 결합공(22)과 캡(23)을 감합시키지 않으면 안되기 때문에 그 작업이 번잡해진다. 이는 캡(23)을 설치하지 않고 각 지주(6)의 상부와 결합공(22)를 직접 감합시키는 경우에도 동일하다.
그래서, 도 1에 나타낸 물품운반보관장치에는 도 42에 도시한 것과 같이 지주(6)의 상부를 연결하는 지주사이의 간격을 적정하게 유지하기 위한 규제수단(234)을 구성한다. 여기에 예시한 규제수단(234)는 금속, 경질 수지 또는 목재등으로 이루어지는 2개의 가교부재(235,235A)를 구비한다. 이러한 가교부재 (235,235A)는 길고 가늘게 연장된 봉형상 내지는 판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길이방향 각 단부에 취부홀(236)이 각각 형성된다. 각각의 가교부재(235,235A)의 양 취부홀(236)사이의 간격은 파레트(2)의 돌기부(7,7)사이의 간격 D2과 동일하게 설정된다.
도 1을 참조하여 앞서 설명한 것과 같이, 4개의 지주(6)의 각 하단부를 파레트(2)의 돌기부(7)에 감착시켜 지주 유니트(32)를 파레트(2)에 취부한 후 제 1 지주(6A)와 제 4 지주(6D)의 상부 캡(23)에 일측의 가교부재(235)의 취부홀(236)을 각각 감합한다. 캡(23)이 설치되어지지 않은 경우에는 각 취부홀(236)을 각 지주 (6A,6D)의 상부에 직접 감합한다. 동일하게, 타측의 가교부재(235A)의 각 취부홀(236)을 제 2 지주(6B)와 제 3 지주(6C)의 상부 캡(23)에 감합한다. 이에 의해 상호 이웃하는 지주(6A,6D;6B,6C)의 상부가 서로 일체로 연결된다. 그래서, 각 지주의 상부의 간격은 파레트(2)의 돌기부(7)사이의 간격 D2에 거의 동일하게 규제되어 각 지주(6)의 상부가 안정된다.
따라서, 도 43에 도시한 것과 같이, 물품운반보관장치(30)의 상부에 다른 물품운반보관장치(30A)를 놓는 경우, 하측의 물품운반보관장치(30)의 각 지주(6)에 감착된 캡(23) 또는 그 각 지주 자체의 상부와, 상측의 물품운반보관장치(30A)의 각 결합공(22)을 용이하게 감합할 수 있다. 더구나, 가교부재(235,235A)에 의해 각 지주(6)의 상부가 안정되기 때문에 물품운반보관장치(30)의 상부에 놓여진 물품운반보관장치(30A)의 안정성이 향상된다.
도 42에 쇄선으로 표시된 2매의 가교부재(235B,235C)의 각 취부홀(236)을 지주(6A,6B;6C,6D)의 상부에 직접 또는 상부에 감착된 캡(23)에 감합하여 이러한 지주(6A,6B;6C,6D)사이의 간격을 파레트(2)의 돌기부(7)사이의 간격 D1에 합치시키도록 하여도 양호하다. 또한, 도 42에 표시된 4개의 가교부재(235,235A,235B,235C) 중 적어도 하나의 가교부재를 이용하면, 2개의 지주(6)의 상부 간격을 정확하게 유지할 수 있고, 규제수단(234)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그리고, 도 42에 도시한 4매의 가교부재의 2이상 예를 들면 그 전체를 일체로 형성하여 사각형의 벗나무 모양의 규제수단을 구성할 수 있다.
또한, 가교부재를 지주(6)으로부터 분리하는 것에 의해서 지주 유니트(32)를 도 5에 도시한 것과 같이 지장없이 접을 수 있다. 이와 같이 규제수단(234)는 지주(6)에 대해서 착탈가능하게 된다.
상술한 것과 같이, 규제수단(234)는 복수의 지주, 제 42 및 제 43의 예에서는 4개의 지주(6)가 파레트(2)에 취부되어진 상태에서 적어도 2개의 지주(6)의 상부를 연결하여 양 지주 사이의 간격을 제어하는 용도로 사용된다.
도 44 및 도 45에 나타낸 실시예의 물품운반보관장치도 예를 들면 복사기 등의 물품(1)이 놓여진 파레트(2)와 그 파레트(2)의 네 모퉁이에 해당 파레트(2)의 물품재치면(5)에 대해서 거의 수직을 세워진 상태에서 착탈가능하게 취부되어진 제 1내지 제 4지주(6A,6B,6C,6D)를 구비한다. 다시말해, 파레트(2)상에 사각형을 가상한 경우 그 사각형의 각 코너부에 각 지주(6)가 각각 착탈가능하게 세워져 설치된다. 이러한 경우에도 그 각 지주(6)의 하부를 도 1에 관련하여 앞서 설명한 방법으로 파레트(2)에 착탈가능하게 취부시키는 것이 가능하지만 도 44에 도시된 예에서는 파레트(2)의 물품재치면(5)의 네 모퉁이에 취부홀(24)을 뚫어 여기에 각 지주(6)의 하부를 직접 또는 그 하부에 감착된 캡(25)를 집어 넣는 것에 의해서 각 지주(6)를 파레트(2)에 착탈가능하게 취부하도록 구성되어진다. 또한, 도 44에 나타낸 파레트(2)는 데크보드(3)의 하면에 3개의 다리부(4,4,4A)가 고정된다. 파레트(2)의 다른 구성은 도 1에 도시한 파레트(2)와 실질적으로 변함이 없다.
도 44에 도시한 예에서는 그 각 지주(6)에 제 1 및 제 2이음수단(8,9) 이외에 제 3 이음수단(26)이 취부되어진다. 이 제 3 이음수단(26)에 대해서도 그 각각의 이음수단에 대해 부호 26A,26B,26C,26D을 붙여 각각을 식별한다.
상술한 것과 같이, 도 44에 나타낸 물품운반보관장치는 제 1 내지 제 4의 각 지주(6A 내지 6D)에 각각 그 길이방향을 따라서 취부되어진 제 1내지 제 3 이음수단(8,9,26)을 구비하여 도 1의 물품운반보관장치와 같이 지주(6)가 파레트(2)에 취부되어진 경우 그 파레트(2)의 각 변(10내지13)에 대해 서로 이웃하여 위치하는 제 1내지 제2지주(6A,6B), 제 2 및 제 3 지주(6B,6C), 제 3 및 제 4 지주(6C,6D) 그리고 제 4 및 제 1지주(6D,6A)의 각각을 서로 연결하는 제 1 및 제 2 연결부재(14,15)를 구비한다.
또한, 4개의 지주(6)이 파레트(2)에 취부되어진 상태에서 제 2 및 제 3이음수단(9,26)은 제 1 이음수단(8)보다도 아래쪽에 위치하고 제 2이음수단(9)은 제 3이음수단보다도 아랫측에 위치하고, 제 1내지 제4지주(6A 내지 6D)가 파렛트(2)에 취부된 상태로 각 제 1 및 제 2 연결부재(14,15)는 각각 서로 교차된 상태로 위치한다.
도 44에 도시한 물품운반보관장치에 있어서 물품을 운반하는 경우에도 그 물품의 크기에 맞는 파레트(2)를 선택하여 도 45에 나타낸 것과 같이, 그 파레트 2의 위에 물품(1)을 올려놓아 필요에 따라 그 물품(1)을 파레트(2)에 착탈가능하게 고정하고 또한 필요에 따라서 그 물품을 커버(31)로 덮는다. 한편, 선택된 파레트(2)의 취부홀(24)사이의 간격D1,D2에 일치하도록 파레트(2)에 취부된 상기의 각각의 지주(6)사이의 간격을 조정한다.
상술한 것과 같이 앞서 설명한 실시예의 경우와 모두 동일한 방법에 의해 파레트(2)의 물품재치면(5) 위에 놓여진 물품을 운반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도 44에 도시된 파레트(2)에도 그 물품재치면(5)와 반대측의 표면에 다른 물품운반보관장치의 4개의 지주 상부를 착탈가능하게 연결하는 4개의 체결공(22)로 이루어진 연결부를 구비하여 이에 따라 도 43에 도시한 것과 동일하게 조립되어진 물품운반보관장치를 상하에 적재하여 물품을 적은 공간에 보관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45는 도 44에 나타낸 지주 유니트(32A)를 파레트(2)의 상측으로부터 아래로 내려 파레트(2)에 취부하거나 또는 지주 유니트(32A)를 상측으로 들어올려 파레트(2)로부터 분리하는 경우의 모양을 나타낸 것이다. 이 파레트(2)에 대한 지주 유니트(32A)의 착탈시의 조작은 앞서 설명으로부터 알 수 있다.
여기서 도 44 및 도 45에 나타낸 물품운반보관장치도 4개의 지주(6)가 파레트(2)에 취부되어진 상태에서 적어도 2개의 지주 상부를 연결하여 양 지주사이의 간격을 규제하는 규제수단(235)(도45)을 구비한다. 여기서 나타낸 규제수단(234)는 도 42에 도시한 규제수단과 변함이 없다. 다시말해, 도 45에 도시한 규제수단(234)도 2개의 가교부재(235,235A)를 갖고 그 각 길이방향의 각 단부에 취부홀(236)이 형성되어 4개의 지주(6)를 파레트(2)에 취부한 후, 가교부재(235,235A)의 각 취부홀(36)을 지주(6A,6D;6B,6C)의 상부에 감합한다.도 44 및 도 45에 나타낸 예에서는 각 지주(6)의 상부에 직접 가교부재(235,235A)의 취부홀(236)을 감함하도록 구성되지만, 도 42에 도시된 예와 같이, 각 지주(6)의 상부에 캡을 감착하여 그 캡에 취부홀을 감합하도록 구성하여도 무방하다. 도 45에 나타낸 규제수단(23)도 그 도면에 쇄선으로 다른 가교부재(235B,235C)를 나타낸 것처럼 도 42에 도시한 규제수단에 관련하여 앞서 설명한 것과 모두 똑같이 다양하게 변형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술한 것과 같이, 도 44 및 도 45에 나타낸 물품운반보관장치도 그 규제수단(234)에 의해 파레트(2)에 취부되어진 각 지주(6)의 상부를 안정시키고 동시에 그 지주사이의 간격을 정확하게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한 개의 물품운반보관장치 위에 다른 물품운반보관장치를 올려놓는 경우 하측의 물품운반보관장치의 각 지주(6)와 상측의 물품운반보관장치의 각 결합공22을 용이하고 정확하게 감합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도 46에 나타낸 물품운반보관장치의 지주(6)과 연결부재(14,15)를 갖는 지주 유니트(32B)의 기본구성은 도 44에 도시한 지주 유니트(32A)와 동일하다. 도 46에 도시한 지주 유니트(32B)에 있어서는 제 1 이음수단(8)이 각 지주(6)에 고정된 것과 동시에 그 이음수단(8)의 상부에 취부홀(37)이 형성되어 파레트(2)의 네 모퉁이에 돌설된 돌기부(7)에 각 지주(6)의 하부가 감합되는 것만이 도 44에 도시된 지주 유니트(32A)와 상이하다. 또한 도 46에 도시한 파레트(2)와 다리부(4)의 위에 두 개의 데크보드(3)이 고정되고 그 상면에 물품재치면(5) 위에 도시하지 않은 물품이 놓여져 필요에 따라서 그 물품이 파레트(2)에 착탈가능하게 고정된다.
도 46에 도시한 규제수단(235A)도 4개의 지주(6)이 파레트(2)에 취부되어진 상태에서 적어도 2개의 지주 상부를 연결하여 양 지주 사이의 간격을 규제하는 것이고, 이 규제수단(234)A는 2개의 가교부재(235D,235E)를 구비하여 그 길이방향의 각 단부에는 체결핀(238)이 각각 고정된다. 각 가교부재(235D,235E)를 지주에 취부하는 경우 그 각 체결핀(238)을 각 2개의 지주(6)의 상부 취부홀(237)에 감착한다. 이에 의해 전술한 각 실시예의 규제수단(234)와 동일한 작용을 수행할 수 있다.
도 47에 도시된 물품운반보관장치의 지주 유니트(32B)는 도 46에 도시한 지주 유니트와 동일하고, 또한 파레트(2)도 그 2개의 다리부(4)의 하측면에 상기 다리부(4)의 길이방향 전체 길이에 걸쳐 연장된 역 V자형의 구조로 형성된 체결부(239)가 형성된 점을 빼고는 도 46에 도시한 파렛트와 동일하다.
도 47에 도시한 규제수단(234B)도 4개의 지주(6)가 파레트(2)에 취부되어진 형태로 적어도 2개의 지주 상부를 연결하여 양 지주 사이의 간격을 규제하는 것이고 여기에 표시된 규제수단(234B)도 2개의 가교부재(235F,235G)를 구비한다. 이러한 점에서는 앞에서 설명한 규제수단(234,234A)와 상이한 것이 없다.
도 47에 도시한 규제수단(234B)가 앞의 예에서의 규제수단과 다른 것은 그 가교부재(235F,235G)의 종단면형상이 하나의 꼭대기를 위를 향해서 거의 삼각형상을 하고 있다는 점이다. 이 가교부재(235F,235G)에도 그 길이방향 각 단부에 체결핀(238)이 돌설되어 파레트(2)에 취부되어진 지주(6)의 상부 제 1 이음수단(8)에 형성된 취부홀(237)에 상기 체결핀(238)을 감합하는 것에 의해 각 가교부재 (235F,235G)를 도 48에 도시한 것처럼 지주(6)에 착탈가능하게 부착될 수 있다.
여기에서, 도 48에 도시된 물품운반보관장치(30) 위에 다른 물품운반보관장치(30A)를 올려 놓을 때, 위의 물품운반보관장치(30A)의 파레트(2) 하면에 형성된 역V자형 체결부(239)를 아래 물품운반보관장치(30)의 가교부재(235F,235G)의 역V자형 면으로 구성된 안내부(240)에 감합하고 이 상태에서 위의 물품운반보관장치(30A)를 화살표로 표시된 바와 같이 압압하면, 위의 물품운반보관장차(30A)를 자동적으로 아래의 물품운반보관장치(30)에 대하여 위치 결정하여 아래의 물품운반보관장치(30) 위의 소정의 위치에 탑재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의 상태가 도 49에 도시되어 있다. 또한, 체결부(239)와 안내부(240)의 감합전의 상태와 감합후의 상태를 도 50 및 도 51에 도시하였다.
도 50 및 도 51로부터 판단되듯이, 파레트(2)의 체결부(239)를 가교부재(234F,235G)의 안내부(240)에 감합할 때, 상하의 물품운반보관장치의 위치가 다소 벗어나 있어도 체결부(239)가 안내부에 체결되어 있으면 다음에 위의 물품운반보관장치의 자체 무게에 의해 그 체결부(239)가 안내부(240)에 자동적으로 정확하게 감합되고, 자동적으로 상하의 물품운반보관장치의 정확한 위치 결정이 가능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가교부재(235F,235G)를 가이드레일로서 이용하여 그 안내부(240)에 위의 물품운반보관장치(30A)의 파레트(2)의 체결부(239)를 슬라이드시키면서 위의 물품운반보관장치(30A)를 아래의 물품운반보관장치(30)에 적재시키는 것에 의해 용이하게 상기 적재작업을 실행할 수 있게 된다. 더욱이, 상기 적재후에는 위의 물품운반보관장치(30A)를 아래의 물품운반보관장치(30)에 대하여 가교부재(235F,235G)의 횡방향으로 정확하게 위치결정하여 유지할 수 있고 그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그런데, 체결부(239)는 가교부재(235F,235G)의 길이방향으로 접혀 움직일 수 있기 때문에, 물품운반보관장치의 운반시나 혹은 그 보관시에 위의 물품운반보관장치(30A)가 아래의 물품운반보관장치(30)에 대하여 가교부재(235F,235G)의 길이방향으로 벗어날 염려가 있다.
그래서, 도 50과 도 51 및 다리부(4)의 일부를 절결하여 표시한 도 5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교부재(235F,235G)에는 적당한 수의 오목부(241)가 형성되고 다리부(4)의 체결부(239)에는 상기 오목부(241)가 체결되는 체결돌기(242)가 형성되어 있다. 도 53(a)는 체결부(239)가 안내부(240)에 감합되기 직전의 상태를 표시한다. 도 53(b)에 되시된 바와 같이, 체결부(239)가 안내부(240)에 감합되고 위의 물품운반보관장치(30A)가 아래의 물품운반보관장치(30)에 대하여 정확하게 위치결정된 경우 다리부(4)의 체결부(239)에 돌설된 체결돌기(242)가 가교부재(235F,235G)에 형성된 오목부(241)에 체결된다. 이것에 의해, 위의 물품운반보관장치(30A)의 파레트(2)가 아래의 물품운반보관장치(30)의 가교부재(235F,235G)에 대하여 그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드되는 것이 금지되고 위의 물품운반보관장치(30A)가 아래의 물품운반보관장치(30)에 대하여 벗어나 움직이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오목부(241)와 체결돌기(242)는 파레트(2)의 체결부(239)를 가교부재(235F,235G)에 대하여 계지시키는 스토퍼수단을 구성하지만, 이와 같은 스토퍼수단으로는 상기한 구성 이외의 각종 형태의 스토퍼수단을 채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가교부재(235F,235G)쪽으로 체결돌기를 설치하고 다리부(4)의 체결부(239)에 상기 체결돌기가 체결되는 오목부를 설치할 수도 있다. 또한, 도 54 (a) 및 도 5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리부(4)의 체결부(239)에 계지공(245)을 형성하는 동시에 가교부재(235F,235G)에 형성된 오목홈에 체결핀(243)을 매설하고 상기 체결핀(243)을 압축나사(244)로 위쪽에서 압력을 가하는 스토퍼수단을 채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위의 물품운반보관장치의 다리부(4)에 형성된 체결부(239)가 아래의 물품운반보관장치의 가교부재(235F,235G)의 안내부(240)에 감합되지만, 위의 물품운반보관장치가 아래의 물품운반보관장치에 대하여 정확한 위치결정이 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도 5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축나사(244)는 체결부(239)에 의해 가압되어 압축되고 체결핀(243)은 오목홈내로 들어가게 된다. 위의 물품운반보관장치가 아래의 물품운반보관장치에 대하여 정확한 위치결정이 되는 경우에도 도 5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핀(243)과 계지공(245)이 합쳐져서 체결핀(243)이 압축나사(244)의 작용에 의해 계지공(245)에 들어가 체결된다. 이것에 의해 위의 물품운반보관장치가 아래의 물품운반보관장치에 대하여 벗어나 움직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도 47∼도 54에 도시된 물품운반보관장치의 규제수단(234B)은 복수(도면의 예에서는 2개)의 지주(6)에 걸치도록 설치되어 이들 지주(6)의 상부를 연결하는 가교부재(235F,235G)를 구비하고 상기 가교부재(235F,235G)는 그 위에 놓여지는 다른 물품운반보관장치(30A)의 파레트(2)의 체결부(239)가 상기 가교부재(235F,235G)의 길이방향으로 접혀서 움직일 수 있도록 감합되는 안내부(240)를 보유한다.
이때, 도 47∼도 54에 도시된 예와 같이, 체결부(239)와 안내부(240)를 역V자형으로 형성하지만 이러한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파레트(2)의 체결부(239)와 가교부재(235F,235G)의 안내부(240) 내부의 한쪽 방향의 횡단면형상이 산형상으로 형성되고 동시에 다른 방향의 횡단면형상이 상기한 산형상 부분에 상대적으로 접혀서 움직일 수 있도록 감합되는 홈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면 그 본래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47∼도 54에 도시된 물품운반보관장치는 위에 놓여지는 다른 물품운반보관장치(30A)가 그 아래의 물품운반보관장치(30)에 대하여 소정의 위치를 차지하는 경우에는, 위의 물품운반보관장치(30A)의 파레트의 체결부(239)를 아래의 물품운반보관장치(30)에 대하여 상기 안내부(240)을 보유하는 가교부재(235F,235G)에 대하여 계지시키는 스토퍼수단을 보유하고 있고, 이것에 의해 물품운반보관장치(30A)를 정확하게 움직이지 않도록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각 구성은 도 46 및 도 47에 도시된 형상의 지주유니트(34B)를 보유하는 물품운반보관장치에 한정되지만 도 42∼도 45에 도시된 지주유니트(34,34A)를 보유하는 물품운반보관장치에도 넓게 적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설명된 규제수단(234,234A,234B)은 그 가교부재(235,235A,235B,235C,235D,235E,235F,235G)가 지주(6)에 대하여 착탈가능하게 부착되고 그 가교부재를 지주(6)로부터 분리하는 것에 의해 지주유니트를 상기한 바와 같이 접는 것도 가능하지만, 이와 같이 지주(6)로부터 가교부재를 분리하고 그 가교부재와 지주유니트를 분리한 파레트(2) 및 접힌 지주유니트를 운반할 때 가교부재가 장해를 일으킬 염려가 있다.
그래서, 도 55 및 도 56에 예시한 바와 같이, 파레트(2) 다리부(4)의 내부를 빈 공간으로 형성하고 그 중공부(SS)에 지주(6)로부터 분리된 가교부재(235F,235G)를 수납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도 5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리부(4)에 가교부재를 수납할 때 다리부(4)의 중공부 개구에 다리부(4)를 구부려 가공한 가교부재용 스토퍼(246)를 설치하고, 중공부(SS)에 수납된 가교부재를 파레트와 함께 운반할 때 가교부재가 중공부(SS)로부터 빠져 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잇점이 있다.
다른 가교부재(235∼235E)에 있어서도, 도 55 및 도 56에 도시된 것과 전체적으로 동일한 형상으로 하여 가교부재(235∼235E)를 파레트(2)에 수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파레트(2)가 지주(6)로부터 분리된 규제수단을 받아들이는 수납부를 보유하고 있으면, 규제수단의 운반시에 이것이 장애가 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는 동시에, 1개의 파레트에 대해서 이것이 사용되는 소정의 수, 도의 예에서는 2개의 규제수단을 수납할 수 있기 때문에 파레트와 규제수단의 운반시에 그 갯수를 정확하게 관리할 수 있는 잇점이 있다.
이상의 설명으로부터 이해되듯이, 도 42∼도 56에 도시된 각 물품운반보관장치는 물품(1)이 재치된 파레트(2)와, 상기 파레트(2) 위에 재치된 물품(1)을 부착하여 둘러 싸도록 상기 파레트(2)에 착탈가능하게 부착되는 복수의 지주(6)와, 서로 인접하는 2개의 지주(6) 사이의 간격이 조정가능하고 상기 2개의 지주 끼리를 각각 연결하는 연결수단과, 복수의 지주가 파레트에 부착된 상태로 적어도 2개의 지주 상부를 연결하여 양지주 사이의 간격을 규제하는 규제수단을 구비한다.
더욱 구체적으로 나타내면, 물품운반보관장치는 물품(1)이 재치된 파레트(2)와, 상기 파레트(2)의 물품재치면(5)에 대해 거의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로, 또한 착탈가능하게 부착된 4개의 지주(6)와, 서로 인접하게 위치하는 2개의 지주(6) 사이의 간격을 조정가능하도록 상기 2개의 지주(6)를 각각 연결하는 연결수단과, 4개의 지주(6)가 파레트(2)에 부착된 상태에서 적어도 2개의 지주의 상부를 연결하여 양지주 사이의 간격을 규제하는 규제수단을 구비한다. 도 42 및 도 43에 도시된 예에서는, 제1 및 제2연결부재(14,15)와, 제1 및 제2이음수단(8,9)가 상기 연결수단을 구성하고, 도 44∼도 56에 도시된 예에서는 제1 및 제2연결부재(14,15)와 제1∼제3이음수단(8,9,26)가 연결수단을 구성한다.
또한, 도 42 및 도 43에 도시된 예의 연결수단은 서로 인접하게 위치하는 2개의 지주(6) 사이의 간격이 전체적으로 동일한 비율로 변화도록 상기 간격을 서로 연동하여 조정가능하도록 구성한다. 이것에 의해 각종 크기의 물품을 이것에 적당한 크기의 물품운반보관장치로 운반하거나 이것을 보관할 수 있다.
또한, 도 44∼도 56에 도시된 연결수단은 파레트(2)의 한변과 이것에 대향하는 한변의 각각에 서로 인접하게 위치하는 2개의 지주(6) 사이의 간격이 동일한 비율로 변화도록 상기 간격을 서로 연동하여 조정하고, 또한 파레트(2)의 서로 대향하는 다른 2개의 변의 각각에 서로 인접하게 부착되는 2개의 지주(6) 사이의 간격이 동일한 비율로 변화되도록 상기 간격을 서로 연동하여 조정되게 구성한다. 연결수단이 서로 인접하게 위치하는 2개의 지주 사이의 간격과, 그 2개의 지주에 대향하고 또한 서로 인접하게 위치하는 다른 2개의 지주 사이의 간격을 동일한 비율로 변하도록 상기 간격을 서로 연동시켜 조정한다.
또한, 전술한 어떠한 물품운반보관장치에 있어서도 파레트(2)에 착탈가능하게 부착되는 지주(6)와 서로 인접하는 2개의 지주(6)를 각각 연결시키는 연결수단이 상기 지주를 파레트(2)로부터 분리한 상태로 자유자재로 접히는 지주유니트(32,32A)를 구성하고 있으며, 이것에 의해 파레트(2)로부터 분리된 지주유니트(32)를 작은 공간에 보관할 수 있거나 또는 용이하게 운반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전술한 어떠한 물품운반보관장치에 있어서도, 파레트(2)는 물품재치면(5)과는 반대측에 다른 물품운반보관장치의 상부가 착탈가능하게 연결되는 연결부(도 47∼도 56에 도시된 예에서는 다리부의 체결부(239))를 보유하고 있기 때문에, 복수의 물품운반보관장치를 용이하게 상하에 쌓을 수 있게 된다.
더욱이, 상술한 각예의 물품운반보관장치에 있어서, 각 지주(6)와 이것에 부착된 이음수단(8,9 혹은 9,9,26)을 분리가능하게 맞붙이는 것이 유리하다. 예를 들면, 도 42에 도시된 물품운반보관장치의 경우에는 제2이음수단(9)를 지주(6)에 대하여 분리 가능한 나사에 의해 고정시키고 상기 나사를 분리하는 것에 의해 도 5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지주(6)를 제1 및 제2이음수단(8)로부터 분리하도록 구성한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물품운반보관장치의 어떠한 구성요소, 예를 들면 1개의 지주(6)이 손상을 받아도 이것을 교환하는 경우 그 지주(6)를 이음수단로부터 분리하여 새로운 것으로 용이하게 교환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물품운반보관장치를 폐기처분하는 경우에도 각 지주와 이음수단를 분해해서 각각을 분별하여 처분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제1 및 제2연결부재(14,15)를 각 이음수단로부터 분리가능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연결부재(14,15) 끼리도 분리가능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도 57은 본 발명에 따른 물품운반보관장치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경우 도시된 물품운반보관장치는 기본적으로 도 1에 도시된 물품운반보관장치와 동일한 형상으로 구성되지만, 도 1에 도시된 데크보드(3) 대신에 파레트(2)의 양다리부(4)에 설치되어 연결된 상태로 각 다리부(4)에 고정된 복수의, 도면의 예에서는 2개의 받침부재(300)와 동일하게 양다리부(4)에 고정된 2개의 보강부재(3A)를 보유하게 되고 상기 받침부재(300)의 상면이 물품재치면(5)으로 된다. 단, 여기서 커버(31)는 도시되어 있지 않다.
관계된 파레트(2)는 스틸등의 금속판으로 구성되지만, 목재 혹은 경질의 수지 등과 같이 강성이 큰 재료로 파레트를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받침부재(300)와 보강부재(3A) 및 다리부(4)를 용접이나 접착제 등에 의해 고착시키는 것도 좋지만, 이것을 용이하게 분해하기 위해서는 도면에 도시하지 않은 나사 등에 의해 고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더욱이, 후술하는 것에 의해 1 또는 복수의 받침부재(300)를 다리부(4)를 포함하는 파레트본체에 대해서 위치조정가능하게 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사각형상 평판재의 하면에 적당한 수의 다리부를 고정시켜 형성한 파레트나 그 외 형태의 파레트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더욱이, 평면형태가 사각형인 파레트 이외의 각종 형태의 파레트를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물품운반보관장치는 복수의 지주, 도 57에 도시된 예에서는 4개의 지주를 보유하고, 이들 지주(6)는 도 5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레트(2)의 4모서리에 상기 파레트(2)의 물품재치면(5)에 대해서 거의 수직으로 서있는 상태에서 상기 파레트(2)에 착탈가능하게 부착된다. 파레트(2) 위에 사각형상을 가정하는 경우 그 사각형의 각 모서리의 파레트부분에 각 지주(6)가 각각 착탈가능하게 입설된다.
도 57에 도시된 물품운반보관장치에 있어서도, 도 5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레트(2)를 상하로 포개어 수납할 수 있다. 이때, 파레트(2)에 돌설된 돌기부(7)를 그 위쪽 파레트(2)의 체결공(22)(도 57)에 각각 체결하는 것에 의해 각 파레트(2)를 정확하게 상하에 위치시켜 쌓을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지주유니트(32)와 파레트(2)를 여러번 사용할 수 있고, 종래의 골판지 등으로 형성된 물품운반보관장치와 같이 운반도착지에서 폐기될 필요가 없거나 적어도 그 양을 줄일 수 있게 된다.
그런데, 물품운반보관장치에서 운반되는 복사기 등의 물품(1)은 통상 포크리프트나 공장내 등에 설치된 로보트처크(chuck)장치 등에 의해 파레트(2)의 물품재치면(5) 위에 올려 놓거나 내려 놓을 수 있다. 도 60(a) 및 도 60(b)는 로보트척장치의 척(333), 다시 말해서 물품지지부재로 복사기로 이루어진 물품(1)을 지지하고 그 척(333)을 하강시켜서 파레트(2)의 물품재치면(5) 위에 상기 물품(1)을 재치시키는 형상을 나타낸다. 상기 도면에 예의 경우, 도 6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척(333)이 파레트(2) 상면에 접할 때, 물품(1)의 최하부, 이예에서는 복사기의 다리부의 족부(334)가 파레트(2)의 상면 보다도 위쪽으로 떠오르게 된다. 이때문에, 이상태에서 척(333)을 화살표방향으로 억지로 빼어 내면 물품(1)이 팔레이트(2)의 상면으로 낙하하여 상기 물품(1)이 크게 충격을 받을 우려가 있다.
도 61은 도 57에 도시된 파레트(2)의 단체의 사시도인데, 이 파레트(2)는 상술한 문제점이 발생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다. 파레트(2)는 전술한 바와 같이 2개의 다리부(4)와 그 위에 고정된 받침부재(300)을 갖고 이 받침부재(300)의 상면이 물품재치면(5)으로 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해 파레트(2)의 물품재치면(5)과 그 물품재치면 이외의 적어도 일부의 파레트부분, 도의 예에서는 양받침부재(300) 사이의 양다리부(4)의 상면(335)에 단차(H)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그 단차(H)가 로보트척(333)(도 62) 및 포크리프트의 포크 두께 보다도 크게 설정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도 57 및 도 62(b)에 나타난 바와 같이 파레트(2)를 수평면상에 놓고 또한 그 물품재치면(5)의 위에 물품(1)을 적치시킬 때 상기 파레트 부분의 일예인 다리부(4)의 상면(335)과 그 위쪽의 물품(1)과의 사이에 로보트척장치 및 포크리프트 등의 물품상승장치의 물품지지부재, 즉 그 척(333) 및 포크가 삽입되는 극간(G)이 형성된다. 이러한 극간(G)이 형성되도록 상술한 단차(H)의 크기가 설정되어 있는 것이다.
도 6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장내에 설계된 로보트척장치의 한쌍의 척(333)에 의해 물품(1)의 하층면을 지지하고, 이것을 하강시켜 파레트(2)의 물품재치면(5) 위에 물품(1)을 재치시킬 때, 도 6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품(1)의 다리부의 족부(334)가 물품재치면(5) 위에 재치된 상태에서 처크(333)은 물품(1)과 다리부(4) 상면(335)과의 사이의 극간(G)내에 위치한다. 이 때문에, 처크(333)을 화살표방향으로 이동시키면, 물품(1)에 큰 충격을 부여함이 없이 처크(333)을 극간(G)로부터 뽑아낼 수 있다. 역조작에 의하여, 물품에 큰 충격을 부여함이 없이 척(333)을 극간(G)에 삽입하고 물품(1)을 파레트(2)의 물품재치면(5)으로부터 상승시킬 수 있다. 도 63 및 도 64는 상술한 바와 같이 물품(1)을 파레트(2)에 적하할 때의 모양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포크리프트에 의해서도 완전히 동일하게 물품(1)을 파레트(2)에 원활하게 적하할 수 있다.
도 65∼도 69에는 도 57 및 도 61에 도시된 파레트(2)와는 다른 구성의 파레트(2)의 예를 나타내고 있는데, 그 기본구성은 도 57에 도시된 파레트(2)와 차이는 없다. 즉, 도 65∼도 69에 도시된 파레트(2)도 이것에 설계된 돌기부(7)에 전술한 지주유니트(32,32A)의 각 지주(6)의 하부가 착탈가능하게 감착되어 물품운반보관장치가 구성되고 그 물품운반보관장치가 앞서 설명한 바와 완전히 동일하게 사용된다. 또한, 도 65∼도 69에 도시된 파레트(2)의 경우도 그 파레트(2)에서 지주유니트(32,32A)를 분리시킨 후, 상기 파레트(2)를 상하로 포개고 하측의 파레트(2)에 돌설된 돌기부(7)를 상측의 파레트(2)의 체결공(22)에 체결하여 이들 파레트(2)를 위치결정할 수가 있다.
도 65에 도시된 예에서는 파레트(2)가 한쌍의 다리부(4)와, 이것들에 고정된 평판상의 보드(336)와, 그 상면에 고정된 한쌍의 받침부재(300)에 의해 구성되고, 그 받침부재(300)의 상면이 물품재치면(5)으로 되어 있다. 또한, 도 66에 도시된 예에서는 한쌍의 다리부(4)에 고정된 한쌍의 받침부재(300)의 상면이 물품을 재치하는 물품재치면(5)을 구성하고, 그 각각의 받침부재(300)의 양물품재치면(5) 사이의 받침부재부분(337)이 물품재치면(5) 보다도 낮게 되어 있다. 이들의 예에 있어서도 물품재치면(5)과, 그 물품재치면 이외의 적어도 일부의 파레트부분(도 65의 예에서는 양 받침부재(300) 사이의 보드 상면(336A), 도 66의 예에서는 받침부재(337))에 단차(H)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파레트(2)를 수평면 위에 놓고, 또한 그 물품재치면(5) 위에 물품을 재치시킬 때, 상기 파레트부분(336A,337)과 그 상방향의 물품과의 사이에 물품승강장치의 물품지지부재가 삽입된 극간이 형성되도록 상기 단차(H)의 크기가 설정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해, 도 61∼도 64에 도시된 파레트(2)와 완전히 동일한 작용, 효과를 나타낼 수가 있다.
도 6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레트(2) 상면의 전체가 보드(336)에 의해서 막혀지는 경우에도 받침부재(300)를 설치함으로써 물품재치면(5)에 재치시킨 물품과 보드상면(336A)과의 사이에 척 및 포크를 끼워 넣는 극간을 형성 가능하게 하여 도 60에 나타난 문제점을 극복할 수 있다.
또한, 도 66에 도시된 파레트(2)에 있어서는 접힌 지주유니트(32,32A)를 상술한 파레트부분, 즉 받침부재부분(337)에 수납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 경우, 도 66(a)에 도시된 파레트(2)를 수평면상에 놓은 상태에서 상기 파레트부분, 즉 각각의 다리부재(300)의 양 물품재치면(5) 사이의 다리부재부분(337)에 도 6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접힌 지주유니트(32A)를 횡으로 수납할 때, 수평면으로부터의 지주유니트(33A) 높이(h1)가 동일하게 수평면으로부터의 물품재치면(5)의 높이(h2) 보다도 낮게 되도록 단차(H)의 크기가 설정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해, 물품운반보관장치의 격납시 및 물품(1)을 납입처에 납품한 후에 물품운반보관장치를 반송하도록 한 때, 지주유니트(32A)와 파레트(2)를 분리하고 접힌 지주유니트(33A)를 받침부재부분(337)에 수납하면 컴팩트하게 물품운반장치를 보관하고 또한 이것을 반송할 수가 있다. 더욱이, 이 상태에서 다수의 파레트(2)를 도 5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하로 포개서 쌓아 올릴 때에도 수납된 지주유니트(32A)에 의하여 그 파레트(2)의 적층상태가 저해될 우려도 없다. 이와 같이, 파레트(2)에 지주유니트(32A)를 수납가능하게 하면, 파레트(2)와 지주유니트(32A)의 관리를 용이하게 하고, 또한 지주유니트(32A)의 분실도 방지할 수 있다.
도 66∼도 67에는 도 8에 도시된 지주유니트(32A)를 도시하였지만, 도 5에 도시된 지주유니트(32)도 상술한 바와 완전히 동일하게 받침부재부분(337)에 수납할 수가 있다. 또한, 도 66 및 도 67에는 지주유니트(32A)의 연결부재를 도시하지 않고 있다.
도 68 및 도 69에 도시된 파레트(2)도 2개의 다리부(4)와 이것들에 놓여진 한쌍의 받침부재(300)와, 양 다리부(4)에 고정된 보강부재(3A)를 보유하고 받침부재(300)의 상면 위에 구성된 물품재치면(5)와, 그 물품재치면(5) 위 일부의 적어도 일부분의 파레트부분, 즉 다리부(4)의 상면(335)에 단차(H)가 형성되고 그 단차(H)가 도 61∼도 65 또는 도 66 및 도 67에 도시된 단차(H)와 동일하게 설정된다.
도 68 및 도 69에 도시된 파레트(2)는 다음 점에서 앞서 설명한 예의 파레트(2)와 차이가 있다. 즉, 받침부재(300) 이외의 파레트부분을 파레트본체(338)라고 칭하면, 물품재치면(5)이 그 파레트본체(338)에 대한 위치를 조정가능하게 상기 파레트본체(338)에 고정된 받침부재(300)에 형성되어 있다. 이예에서는 각 다리부(4)의 상벽에 그 길이방향으로 신장된 장공(339)이 각각 형성되고, 도 6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받침부재(300)의 프렌지부(340) 4개소에 형성된 관통홀에 장공(339)의 길이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삽통된 볼트(341)가 삽입되고 그 각 볼트(341)에 너트(342)가 나착되어 있다. 각각의 볼트(341)는 그 머리부(341A)가 다리부재(4)의 내부에 위치하고, 또한 상기 머리부(341A)가 장공(339)의 폭 보다도 크게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술한 각 너트(342)를 풀면 받침부재(300)를 파레트본체(338)에 대하여 도 68에 화살표로 표시된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가 있다. 받침부재(300)를 원하는 위치, 예를 들면, 도 68에 파선으로 표시된 위치로 가져간 후 너트(342)를 체결하면 그 받침부재(300)를 그 위치에서 파레트본체(338)에 대하여 고정할 수가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물품재치면(5) 위에 재치된 물품의 크기에 합치시켜 파레트본체(338)에 대한 받침부재(300)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고 각종 크기의 물품을 효과적으로 그 물품재치면(5) 위에 재치할 수가 있다.
또한, 물품(1)의 크기에 합치하여 용이하고 정확하게 받침부재(300)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도록, 그 위치를 표시하는 마크(MM)를, 예를 들면 다리부재(4)에 형성하고 마크(MM)가 기입된 실(seal)을 다리부재에 점착하여 둘 수도 있다.
이하, 도 70∼도 86을 참조하여 접힌 지주유니트(32,32A)를 파레트(2)와 조합시켜 수납가능하도록 구성된 다른 예에 대하여 그 구체적인 구성예를 명확히 한다.
도 70∼도 72는 각각 도 57∼도 59와 동일한 구성을 나타낸다. 단, 여기서는 파레트(2)의 중앙부에 2개의 다리부재(4)와 2개의 받침부재(300)에 의하여 개구(433)이 구획되어 있다. 이와 같은 파레트(2)를 도 7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로 적층하면 그 내부에는 상기 개구(433)에 의해 상하로 관통하는 공간(S)이 형성된다.
도 73이나 도 72와 동일하게 지주유니트(32,32A)를 분리한 복수의 파레트(2)를 상하로 적층한 때의 모양을 나타내고 있지만, 이때 도 7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파레트(2) 내부에 구획된 공간(S)에, 파레트(2)로부터 분리된 지주유니트(32A)가 수납된다. 도 73에는 복수의 파레트(2)의 개구(433)에 의해 구획된 공간(S)의 윤곽을 파선으로 나타나 있고, 이러한 공간(S)에 지주유니트(32A)를 세운 상태에서 수납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공간(S)에 지주유니트(32A)를 수납하면 다수의 지주유니트(32A)와 다수의 파레트(2)를 개개로 운반하고 또는 보관하는 경우에 비하여 이것들이 차지하는 공간을 효과적으로 작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도 70∼도 72에서는 도 57∼도 59에 도시된 상기한 구성에 더하여 지주유니트(32,32A)가 분리된 복수의 파레트(2)를 상하로 적층한 때, 그 내부에 접힌 지주유니트(32,32A)를 수납하는 공간(S)이 구획 형성되도록 상기 파레트(2)에 개구(433)가 형성되어 있다. 이것을 제1의 구성이라고 칭한다.
그런데, 다수의 파레트(2)를 도72 및 도73에 보인 바와같이 상하로 여러겹으로 쌓을 때, 각 파레트(2)가 상호 수평방향으로 큰 오차로 움직이게 되면, 상술한 공간(S)을 확보할 수 없게 되어, 접힌 지주유니트(32A)를 공간(S)에 올바르게 수납할 수 없게 된다.
그래서, 도72 및 도73에 보인 바와같이 파레트(2)를 상하로 여러겹으로 쌓을 때, 도74에 보인 바와같이, 파레트(2)에 돌설된 전술의 돌기부(7)를, 상측의 파레트(2)의 체결공(22)에 각각 체결하는 것에 의해, 각 파레트(2)를 상하로 올바르게 위치결정하여 여러겹으로 쌓고, 각 파레트(2)가 수평방향으로 큰 오차로 움직이는 것을 방지한다. 돌기부(7)와 체결공(22)은, 상하로 여러겹으로 쌓인 파레트 끼리 위치결정하는 위치결정수단의 일예를 구성하고 있다.
그때, 파레트(2)에 돌설하는 각 돌기부(7)의 돌출높이를, 물품재치면(5)의 높이보다도, 도74에 참조부호C로 보인 바와같이 높게 하여, 파레트(2)를 상하로 쌓을 때, 각 돌기부(7)이, 상측의 파레트(2)의 체결공(22)에 확실히 감합할 수 있도록하고, 각 파레트(2)를 올바르게 위치결정하도록 한다.
상술한 바와같이, 본 예의 물품운반보관장치에 있어서는, 전술의 제1 구성에 더하여, 지주유니트(32,32A)가 취외된 복수의 파레트(2)를 상하로 여러겹으로 쌓을 때, 파레트끼리 위치결정하는 위치결정수단을 갖을 때, 이와같이 상하로 여러겹으로 쌓인 파레트(2)의 내부에, 접힌 지주유니트(32,32A)를 수납하는 공간(S)을 확실히 보호할 수 있다. 이들을 제2 구성으로 한다.
다음으로, 도75이하의 도면에는, 도70 내지 도74에 보인 예의 파레트는 다른 구성의 파레트(2)를 보이고 있지만, 그 기본구성은, 도70 내지 도74에 보인 예와 변함이 없다. 즉, 도75이하의 도면에 보인 파레트(2)도, 이들에 돌설된 돌기부(7)에 지주유니트(32,32A)의 각 지주(6)의 하부가 착탈가능하도록 감합된 물품운반보관장치가 구성되어, 그 물품운반보관장치가 먼저 설명한 것과 완전히 동일하게 사용된다. 또한 도75이하의 도면에 보인 파레트(2)의 경우도, 그 파레트(2)에서 지주유니트(32,32A)를 떼어낸후, 해당 파레트(2)를 상하로 포개고, 하측 파레트(2)에 돌설된 돌기부(7)를, 상측 파레트(2)에 형성된 체결공(22)에 체결하여 이들의 파레트(2)를 위치결정한다.
도75 내지 도76에 보인 파레트(2)는, 한 쌍의 다리부(4)에, 1개의 받침부재(3)에, 복수의 개구(433)가 형성되고, 해당 받침부재(3)의 상면이 물품재치면(5)으로 된다. 다른 기본 구성은, 도73 및 도74에 보인 파레트(2)와 변함없다. 지주유니트를 취외한 복수의 파레트(2)를 도76에 보인 바와같이 상하로 쌓을 때, 그 내부에, 상술한 복수의 개구(433)에 의해 복수의 공간(S)이 형성되며, 그 각 공간에 지주유니트(32A)를 삽입하여 수납할 수 있다.
도73에 보인 파레트(2)는, 큰 개구(433)가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여기에 지주유니트(32A)를 수납할 때, 그 지주유니트(32A)가 세워진 상태에서 쓰려질 염려가 있고, 수송중에 지주유니트(32A)가 심하게 유동하는 염려가 있다. 이들에 대하여, 도75 및 도76에 보인 파레트(2)에서는 이들에 형성된 개구(33)의 크기가 적게 되는 것으로, 여기에 수납된 지주유니트(32A)를 세운 상태로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수단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개구(433)에 의해 지주유니트(32A)를 그 주위에서 유지하고, 그 지주유니트(32A)를, 파레트(2)를 재치한 바닥면이나 지면에 대하여, 수직 내지 수직에 가깝게 세워진 상태에 보유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같이, 도75 및 도76에 예시한 파레트(2)를 이용하는 물품운반보관장치에 있어서는, 전술한 제1 또는 제2의 각 구성에 더하여, 전기 개구(433)가, 여기에 삽입된 지주유니트(32,32A)를 세운 상태로 유지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되어 있다. 이들을 제3구성으로 한다.
또한, 도75 및 도76에 보인 예에서는, 복수의 파레트(2)를 상하로 쌓일 때, 그 각각 개구(433)가 상호 정합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같이, 지주유니트(32A)를 수납하는 적정한 형태의 공간(S)을 구획형성될 때, 지주유니트(32A)를 올바르게 세운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도77 및 도78에 보인 파레트(2)는, 개구(33)의 수가, 도75 및 도76에 보인 예의 개구(433)보다도 많게 이루어져 있는 외에는, 도75 및 도76에 보인 파레트(2)와 변함은 없고, 도77 및 도78에 보인 예의 방향이, 지주유니트(32A)를 보다 확실히 유지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같이, 도75 내지 도78에 보인 파레트(2)를 이용하여 물품운반보관장치에 있어서는, 전술한 제1 내지 제3의 각 구성에, 지주유니트(32,32A)가 취외된 복수의 파레트(2)를 상하로 여러겹으로 쌓을 때, 각 파레트(2)의 개구(433)가 정합하여 대향하도록, 상기 파레트(2)의 개구(433)의 위치와, 개구면적과, 그 개구의 형태를 설정한 구성이 부가되어 있다. 이들을 제4의 구성으로 한다.
그런데, 도75내지 도78에 보인 파레트(2)에 있어서는, 지주유니트(32A)를 수납하기 위한 개구(433)가 물품재치면(5)에 형성되어 있다. 이와같이, 이 파레트(2)를, 도70내지 도72에 관련하여 먼저 설명한 바와같이 사용하면, 그 물품재치면(5)상에 물품(1)을 재치할 때, 그 물품의 하부의 일부가 개구(433)에 쑥 들어가, 해당 물품이 기우려질 염려가 있다. 예를들면, 물품(1)이 도70에 보인 바와같이 복사기로 되는 경우, 그 복사기를 도75내지 도78에 보인 물품재치면(5)상에 실을 때, 주의 깊게 그 작업을 행하지 않으면, 복사기의 하부의 각 다리가 개구(433)에 걸리거나, 그 개구(433)에 쑥 들어가게 된다.
그래서, 도79에 보인 파레트(2)에 있어서는, 상호 이간하는 한쌍의 다리부(4)에 가설되어 고정된 한쌍의 받침부재(300)의 사이에 지주유니트 유지판(434)이 배치되고, 그 지주유니트 유지판(434)의 각단부가 각 다리부(4)에 각각 고정되며, 그 지주유니트 유지판(434)에, 접힌 지주유니트를 수납하기 위한 개구(433)가 형성되어 있다. 그때, 지주유니트 유지판(434)은, 물품재치면(5)의 면보다도 적게 되어 있다. 다른 구성은 먼저 설명한 파레트와 변함이 없고, 도79에 보인 파레트(2)의 경우도, 이들을 상하로 여러겹으로 쌓고, 개구(433)에 의해 구획형성된 공간에 지주유니트를 수납할 수 있다.
도79에 보인 파레트(2)를 이용하여, 도70내지 도72에 보인 바와같이 물품운반보관장치를 구성하고, 그 파레트(2)의 물품재치면(5)상에 물품(1)을 재치할 때, 그 물품은 지주유니트 유지판(434)에 접촉함이 없다. 이와같이, 그 물품의 하부의 일부가 개구(433)에 걸리거나, 또는 그 개구(433)에 쑥 들어가서 물품이 기우려지지 않는다.
이와같이, 도79에 보인 파레트(2)를 사용하여 물품운반보관장치에 있어서는, 전술한 제1 내지 제4의 각 구성에, 개구(433)가, 파레트(2)의 물품재치면(5)이외의 부분에 형성되어 있는 구성이 부가되어 있다. 이들을 제5 구성으로 한다.
상술한 지주유니트 유지판(434)을 다리부(4)에 용접함에 의해 분리 불가능하게 고착할 수 있지만, 지주유니트 유지판(434)을 다리부(4)에 착탈가능하게 취부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도80내지 도81에 보인 바와같이, 지주유니트 유지판(434)이외의 파레트부분을 파레트본체(435)라고 칭하면, 그 파레트본체(435)에, 지주유니트(434)를 착탈가능하게 취부한 것으로 된다. 그때, 도80에 보인 바와같이, 지주유니트 유지판(434)을, 나사(438)나 볼트등의 착탈수단에 의해, 파레트(435)에 착탈가능하게 고정할 수 있다. 도81에 보인 바와같이, 지주유니트 유지판(434)에 계지돌기(436)를 형성하고, 파레트 본체(435)의 다리부(4)의 상벽에 계지공(437)을 형성하며, 그 계지돌기(436)를 계지공(437)에 계지시켜, 지주유니트 유지판(434)을 파레트본체(435)에 착탈 가능하게 취부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같이, 도80 및 도81에 예시한 파레트(2)를 갖는 물품운반보관장치에 있어서는, 전술한 제1 내지 제5의 각 구성에, 개구(433)가, 파레트본체(435)에 착탈가능하게 취부하는 지주유니트 유지판(434)에 형성되어 있는 구성이 부가되어 있다. 이들을 제6 구성으로 한다.
상술한 제6의 구성에 의하면, 필요한 파레트(2)에만 지주유니트 유지판(434)을 취부하는 것이 가능한 것으로, 개개의 파레트(2)에 지주유니트 유지판(434)을 설치하는 경우에 비해, 비용의 저감을 꾀 할 수 있다. 예를들면, 복수의 물품운반보관장치의 각각에 물품을 탑재하여, 이들을 어떤 장소에서 다른 장소로 수송하고, 그 물품을 수납한후, 그 각 물품운반보관장치의 파레트에서 지주유니트를 취외하고, 상기 파레트를 상하로 여러겹으로 쌓고, 접힌 지주유니트를 그 파레트의 내부공간에 수납하여, 이들을 본래의 장소에 반송하는 경우, 1개의 물품운반보관장치의 파레트에만 지주유니트 유지판(434)가 취부되어 있고, 파레트 지주유니트를 반송할 때, 지주유니트 유지판(434)에 붙은 파레트를 한번에 버리고, 그 지주유니트 유지판(434)의 개구(433)에 지주유니트를 삽입하여 수납하는 것으로 된다. 이와같이 하면, 복수의 파레트 지주유니트를 반송할 때, 1개의 지주유니트 유지판(434)을 이용하는 것만으로, 완전한 파레트 지주유니트를 컴팩트하게 하나로 정리하여 본래의 장소로 되돌릴 수 있다.
그래서, 도73, 도76 및 도78로부터 이해하는 바와같이, 이들 파레트(2)의 개구(433)에 삽입된 지주유니트(32A)는, 그 하부가 바닥면에 접지되어 있다. 따라서, 이 상태에서 상하로 여러겹으로 쌓은 다수의 파레트(2)를 포크리프트등에 의해 상방으로 들어올리면, 지지유니트(32A)는 바닥면상에 남아있는 채로 된다. 이와같이, 파레트(2)와 지주유니트(32A)를 한꺼번에 들어올리는 것이 불가능하고, 또는 현저히 곤란하게 된다.
그래서, 도82에 보인 파레트(2)에 있어서는, 개구(433)에 삽입된 지주유니트(32A)를 개구(433)의 가장자리에 체결하여, 지주유니트(32A)를 수하되는 것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82의 파레트(2)는, 도70 및 도72에 보인 파레트(2)와 같이, 한쌍의 다리부(4)와, 이들에 고정된 받침부재(3)와, 다리부(4)에 고정된 판재로 이루어진 2개의 보강부재(3A)를 가지고 있으며, 그 각 보강부재(3A)에 개구(433)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접힌 개구(433)에 삽입된 지주유니트(32A)의 일부, 이 예로는 지주유니트(32A)의 길이방향 일단측의 4개의 제1 이음수단(8)가, 상기 개구(433)의 면적보다도 크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각 지주유니트(32A)를 개구(433)에 삽입하면, 그 지주유니트(32A)의 4개의 제1 이음수단(8)의 부분이, 개구(433)의 가장자리에 걸리고, 각 지주유니트(32A)가 복수의 파레트(2)의 내부에서 하방으로 내린 상태로 유진된다. 이와같이, 상하로 쌓은 파레트(2)를 상방으로 들어올리면, 지주유니트(32A)도 한번에 상방으로 들어올려질 수 있고, 효율적으로 파레트(2)와 지주유니트(32A)를 운반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같이, 도82에 보인 파레트(2)를 갖는 물품운반보관장치에 있어서는, 상술한 제1 내지 제6의 각 구성에, 접힌 지주유니트(32,32A)의 일부를, 개구(433)보다도 크게 형성하고, 그 크게 형성한 지주유니트 부분을 상기 개구(433)의 가장자리에 체결가능하도록한 구성이 부가되어 있다. 이 구성을 제7 구성으로 한다.
그런데, 도82에 보인 바와같이, 다수의 파레트(2)를 상하에 여러겹으로 쌓고, 이들 전체를 들어올려서 운반할 때, 최하단 파레트의 하측에, 하역장치, 예를들면, 포크리프트의 포크(439)를 화살표로 보인 바와같은 꽂고, 이 포크(439)를 들어올려 파레트(2)를 상승시키는 것으로 되지만, 이때, 파레트(2)의 개구(433)에 삽입된 지주유니트(32A)의 하부가, 최하단의 파레트(2)의 양 다리부(4)의 사이까지 돌출되어 있으면, 여기에 삽입된 포크(439)가, 그 지주유니트(32A)의 하부에 끼고, 포크(439)가 꽂히지 않게 된다. 따라서, 최하단의 파레트(2)의 부분에는, 지주유니트(32A)의 하부가 존재하지 않도록, 그 지주유니트(32A)를 파레트(2)의 내부에 수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때, 최하단 파레트(2)뿐만 아니라, 예를들면 아래에서 1번째, 혹은 아래에서 3번째까지의 파레트에도 지주유니트(32A)의 하단이 존재하지 않도록, 지주유니트(32A)의 길이를 정하고, 혹은 파레트(2)의 쌓아올릴 매수를 설정하면, 파레트(2)로의 지주유니트(32A)의 수납효율이 저하된다.
그래서, 도82에 예시한 파레트(2)를 갖는 물품운반보관장치에 있어서는, 상술한 제1 내지 제7의 각 구성에 더하여, 지주유니트(32,32A)의 일단측, 도82의 예로는 4개의 제1의 이음수단(8)의 부분을, 개구(433)보다도 크게 형성하고, 그 크게 형성한 지주유니트부분을, 상하에 여러겹으로 쌓은 복수의 파레트(2)위 최상단의 파레트(2)에 형성된 개구(433)의 가장자리에 체결가능토록 하고, 또한 N을 2이상의 정수, T를 1개의 파레트의 두께, L을 1개의 지주유니트(32,32A)의 전체길이로 할 때, (N-1)×T=L로 되도록, T 및 L의 값을 설정하는 구성이 부가되어 있다. 이들을 제8 구성으로 한다.
도82에 보인 예로는, 파레트(2)가 상하에 8단으로 쌓여져 있는 것으로, N=8로 되어, 이에따라 N-1=7로 되고, 이 값에 개개의 파레트(2)의 두께(T)를 내린 값 7×N로, 지주유니트(32A)의 길이방향의 길이(L)가 일치되어 있다.
이에 의하면, 최하단의 파레트(2)에, 수납된 지주유니트(32A)의 하부가 존재하고, 게다가, 아래에서2단째 이상 파레트(2)에는, 파레트32A가 존재하는 것으로 된다. 파레트32A의 수납효율을 최대한으로 높이고, 게다가 최하단의 파레트(2)에 포크(439)를 지장없이 꽂을 수 있다.
도82의 예로는, 파레트(2)를 8단으로 쌓아올린 것으로서, 그 각 개구(433)에 지주유니트(32A)를 꽂음에 의해 상술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지만, 작업자가 파레트(2)를 몇단 쌓아올리면 좋을지를 고려하여 판단하는 것이 어렵다.
그래서, 도82에 보인 파레트(2)를 갖는 물품운반보관장치에 있어서는, 전술한 제8 구성에 부가하여, 개개의 파레트(2)에 형성된 개구(33)의 개수가 전술한 N에 설정되어 있다. 도82의 예로는 8개의 개구(33)이 개개의 파레트(2)에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하면, 작업자는, 각 파레트(2)에 형성된 개구(433)의 개수만, 파레트(2)를 상하로 쌓아올리면, 그 최상단의 파레트(2)의 개구(433)에서 각 지주유니트(32A)를 삽입하면, 자동적으로 전술한 (N-1)×T=L의 요구를 만족하는 상태로, 파레트(2)를 쌓아올리면, 지주유니트(32A)의 수납을 완료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때, 쌓아올린 파레트(2)의 개수와 동일한 개수의 지주유니트(32A)를 그 파레트(2)에 수납하는 것으로, 파레트(2)와 지주유니트(32A)의 관리를 용이하게 하는 잇점도 얻을 수 있다.
상하에 적재된 복수의 파레트(2)나, 도71에 보인 바와같은 조립된 물품운반보관장치는, 예를들면 트럭이나 콘테이너등의 수송장치에 실어 수송하는 것이 있다. 이 경우, 도83에 보인 바와같이, 트럭의 하실, 즉 그 물품수납공간(R)에, 적재된 파레트(2) 또는 조립된 물품운반보관장치(30,30A)를 수납할때, 그 물품수납공간(R)의 상부에 크게한 틈(G)가 생기면, 물품의 수송효율이 저하된다. 반대로 쌓아올린 파레트(2)의 전체 높이, 또는 조립된 물품운반보관장치의 전체 높이가, 물품수납공간(R)의 물품출구E의 높이와 같도록 되면, 그 파레트(2)나 물품운반보관장치를 물품수납공간(R)에 출입할때의 작업성이 저하된다. 이들은, 파레트 또는 물품운반보관장치를 콘테이너에 출입할때도 동일하게 된다.
그래서, 전술한 제8 또는 제9의 각 구성의 파레트를 갖는 물품운반보관장치에 있어서, n을 1이상의 정수로할 때, n×N×T의 수치가, 수송장치에 관한 물품수납공간(R)의 물품출입구(E)의 높이(H1)에서 3cm를 연장한 수치이상 크게 되도록, N 및 T의 수치를 설정하는 것이 유리하다. 이들을 제10 구성으로 한다. 트럭이나 콘테이너의 물품출입구의 높이(H1), 즉 물품수납공간(R)의 바닥면에서의 출입구(E)의 높이(H1)은 규격에 따라 정하고, 그 규격에 대응하여, 물품출입구의 높이(H1)에서 3cm를 연장한 수치이하로 하고, 그 물품출입구의 높이(H1)에서 10cm를 연장한 수치이상의 크기를 최적높이로 하면, n×N×T의 수치를 그 최적높이에 설정한다.
예를들면, 도82에 보인 바와같이 파레트(2)를 쌓아올릴 때, 그 전체 높이는 실질적으로 N×T로 되고, 이들을 트럭에 수납하는 경우에는, 그 N×T의 수치가, 상술한 최적높이로 되도록 한다. 또한, 도82에 보인 복수의 파레트(2)를, 특히 2단 적재된 도84에 보인 바와같은 파레트(2)를 쌓고, 이들을 트럭에 수납하도록 파레트(2)를 구성하는 경우에는, 그 파레트(2)의 전체 높이는, 2×N×T(n=2)로 되며, 그 수치가 상술한 최적높이로 되도록 된다.
상술한 구성에 의하면, 쌓아올린 파레트(2)를 트럭에 수납하고, 그 파레트(2)를 물품출입구(E)에 통과할 때, 최상단의 파레트(2)와 물품출입구(E)의 상부의 사이에는, 3cm보다도 크고, 10cm보다는 작은 틈이 생겨, 용이하게 파레트(2)를 트럭의 물품수납공간(R)에 쌓아올리는 것이 가능하다. 이들을 그 공간(R)에서 아래에서도 동일하게 된다. 게다가, 물품수납공간(R)에 수납되 파레트(2)의 상방에는, 적은 틈(G)가 생겨, 파레트의 수납효율을 높일 수 있다. 이들은 파레트(2)를 콘테이너에 수납할때도 동일하게 된다.
상술한 바를 고려하면, 1단 또는 상하에 복수단으로 적재한 물품운반보관장치(30,30A)를 트럭이나 콘테이너에 수납할때도 동일하게 된다. 즉, 상술한 제1 내지 제10 구성의 파레트를 갖는 물품운반보관장치에 있어서, 1개의 파레트(2)에, 개확(開擴)한 1개의 지주유니트(32,32A)를 조립하여 붙힌 물품운반보관장치를 조립할 때, 해당 파레트(2)와 지주유니트(32,32A)의 합계의 높이를 H, n을 1이상의 정수로 할 때, H×n의 수치가, 수송장치에 관한 물품수납공간(R)의 물품출입구(E)의 높이(H1)에서 3cm을 연장한 수치이하로 되며, 해당 물품출입구(E)의 높이(H1)에서 10cm를 연장한 수치이상 크게 되도록, H의 수치를 설정하게 된다. 이들을 제11의 구성으로 하면, 이 구성에에 의하면, 1단(n=1)의 물품운반보관장치, 또는 도71에 보인 바와같이 상하에 복수단(n≥2)쌍아올린 물품운반보관장치를 트럭이나 콘테이너에 출입할 때, 용이하게 그 작업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고, 그리고 그 물품수납공간을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으며, 물품의 수송효율을 높일 수 있다.
파레트(2)를 예로는 도82 또는 도84에 보인 바와같이 쌓아올리고, 이들을 트럭 또는 콘테이너에 출입될때도, 상술한 것과 동일한 효과로 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유리하다. 즉, 전술한 제1 내지 제11의 각 구성의 물품운반보관장치에 있어서, 1개의 파레트의 두께를 T, m을 2이상의 정수로 하면, m×T수치가, 수송장치에 관한 물품수납공간(R)의 물품출입구(E)의 높이(H1)에서 3cm를 연장한 수치이하로 되며, 해당 물품출입구(E)의 높이(H1)에서 10cm를 연장한 수치이상으로 크게 되도록, T의 수치를 설정할 수 있다. 이들을 제12의 구성으로 하면, 이 구성으로 하면, 이 구성에 있어서도, 상하에 적재한 파레트(2)를, 능률적으로 물품수납공간(R)에 출입가능하고, 그리고 그 물품수납공간(R)을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다.
그래서, 예로는 도84에 보인 바와같이 파레트(2)를 쌓아올리고, 포크리프트에 의해, 그 파레트(2)를 2회로 나누어 다른 장소로 운반하도록 할 때는, 지주유니트(32A)의 하부의 존재하지 않는 상부에서 8단째의 파레트(도84에는 이 파레트에 있어서 첨부부호2A로 도시된다)의 하측으로 포크를 꽂아서, 위의 8개 파레트(2)를 포크로 들어올리는 것으로 되지만, 이때, 쌓아올린 파레트(2)의 외부에서, 지주유니트(34A)의 하부가 존재하지 않는 파레트(2A)를 육안으로 용이하게 확인할 수 없으면, 그 작업능률이 저하된다. 그래서, 도82 및 도84에 보인 파레트(2)에 있어서는, 개구(433)가, 포크를 꽂고, 즉 파레트(2)를 위에서 볼때의 중앙부보다도 그 측연부에 가깝게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하면, 작업자는, 상하에 쌓인 일 파레트(2)를 훑어보는 것만으로도 지주유니트(32A)의 하부가 존재하지 않은 파레트(2A)를 확인할 있고, 그 파레트(2A)의 하측에 포크를 꽂을 수 있으며, 능률적으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같이, 전술한 제2 내지 제12의 구성에 있어서, 개구(433)를, 파레트(2)의 중앙부보다도 해당 파레트(2)의 측연에 접근한 위치로 형성하는 구성을 채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들을 제13 구성으로 한다.
도73내지 도84에 보인 각 예에 있어서는, 상하에 적재된 파레트의 내부에 지주유니트를 수납하도록 구성하지만, 개개의 파레트(2)에 지주유니트를 수납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85 및 도86은 그 일예를 보이고 있으며, 여기에 보이는 파레트(2)는, 도70 및 도73에 보인 파레트의 구성에, 지주유니트수납부를 겹용하는 공중의 제3 다리부(444A)를 갖고, 이 다리부(444A)는, 보강부재(3A)의 하면에 고착되어 있다. 이 파레트(2)에서 취외한 지주유니트(32A)를 도85에 화살표로 보이도록, 제3 다리부(444A)안에 삽입되고, 도86에 보이도록 그 내부에 수납할 수 있다. 이와같이 제3 다리부(444A)가 지주유니트의 수납부를 구성한다.
상술한 바와같이, 도85 및 도86에 예시한 파레트(2)를 갖는 물품운반보관장치는, 도70내지 도77에 보인 각 구성의 물품운반보관장치에 있어서, 파레트(2)에, 지주유니트(32,32A)를 수납하도록한 수납부가 설치되어 있다. 이들을 제14 구성이라 하면, 도85 및 도86에 예시하는 물품운반보관장치는, 제14 구성의 물품운반보관장치에 있어서, 수납부가 파레트(2)의 다리부(444A)에 설치되어 있다. 이들을 제15 구성이라 한다.
상술한 제14 및 제15의 구성에 의하면, 파레트의 갯수가 다수가 아니고, 파레트1개로 될 때도, 그 파레트(2)에 지주유니트(32,32A)을 지장없이 수납가능하다. 그리고, 1개의 파레트에 1개의 지주유니트를 수납하도록 구성하면, 그 지주유니트와 파레트의 보관시 또는 운반시의 개수관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이상, 물품운반보관장치에 의하면 여러가지 실시 형태예를 설명하였지만, 이러한 물품운반보관장치의 파레트(2)상에 물품을 실어 운반하고, 또는 이들을 보관할 때, 그 물품 1이 파레트(2)에 대하여 크게 움직이게 되면, 물품(1)을 안전상태로 운반하고, 또는 보관하는 것이 불가능하게 된다.
그래서, 도1 내지 도86에 관한 먼저 설명한 물품보관장치는, 파레트(2)에 재치된 물품을, 해당 파레트(2)에 대하여 위치결정하기 위한 위치결정수단과, 동시에 파레트(2)에 재치된 물품과, 상기 파레트(2)에 대하여 취외가능하게 고정되도록한 고정수단중 적어도 일측을 구비하고 있다. 여기서, 상기 위치결정수단에 있어서, 물품(1)을 파레트(2)에 대하여 위치결정하는 것은, 파레트(2)를 수평면상으로 놓고, 그 파레트(2)에 물품(2)에 물품(1)을 재치할 때, 해당 물품(1)이 파레트(2)에 대하여 수평방향으로 실질적으로 움직이는 것이 아니지만, 물품(1)을 상방으로 들어올리면, 그 물품(1)을 파레트(2)에서 떼어내도록, 물품(1)을 파레트(2)에 대하여 위치결정하여 계지하는 것을 의미하고, 상기 고정수단에 의해, 물품(1)을 파레트(2)에 대하여 고정하는 것은, 파레트(2)상으로 재치한 물품이, 파레트(2)에 대하여, 수평방향으로도 또한 상방으로도 실질적으로 움직이지 않도록, 물품(1)을 파레트(2)에 고정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에, 이 위치결정수단과 고정수단의 구체적 구성을 설명한다.
도87은 상술한 위치결정수단의 일예를 보이고 있으며, 여기에 예시한 위치결정수단 파레트(2)의 받침부재(300)에 형성한 관통공(533)으로 형성한 4개의 체결부에 의해서 구성되어 있다. 한편, 물품(1)의 일예로 되는 복사기의 저판(534)에는, 복사기를 바닥면으로 재치할 때, 그 바닥면에 접촉하는 4개의 족부(543)가 설치되어 있다. 물품(1)을 파레트(2)의 물품재치면(5)상에 놓을 때, 각 족부(543)를, 파레트(2)에 형성된 4개의 관통공(533)의 각각에 감합한다. 이와같이, 물품(1)은 파레트(2)에 대하여 바루게 위치결정하고, 물품의 운반중에, 그 물품(1)이 파레트(2)에 대하여 수평방향으로 큰 오차로 움직이는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다. 관통공(533)의 대신에 요홈으로 성형한 체결부를 파레트(2)에 형성하고, 이들에 물품(1)의 족부(543)를 각각 감합하여, 물품(1)을 파레트(2)에 대하여 위치결정하여도 좋고, 또한 다리부(543)이외의 물품(1)의 돌기를 파레트(2)의 체결부에 감합하도록 구성하여도 좋다.
물품(1)의 다리부(543)을 파레트(2)의 체결부에 체결되어, 물품(1)을 위치결정할 수 있도록 구성하면, 그 물품(1)을 사용자의 아래에 운반하고, 사용자가 그것까지 사용하고 있던 오랜된 물품을 인수하여 가져가는 경우에 특히 유효하다. 예를들면, 복사기를 물품운반보관장치에 의해 사용자의 장소에 운반하고, 이들을 물품운반보관장치에서 아래로 내린후, 오래된 복사기를 파레트(2)상에 실으면, 이때, 그 오래된 복사기의 족부를 파레트(2)의 체결부에 체결되어 복사기를 파레트(2)에 대하여 위치결정할 수 있다.
도88 및 도89에 보인 위치결정수단은, 파레트(2)의 받침부재(300)에 일체에 돌설된 복수의 위치결정핀(544)로 형성하여, 파레트(2)상에 재치된 물품(1)의 아래부분, 도면의 예로는 복사기의 저판(534)에 형성된 공(545)가 위치결정핀(544)에 각각 감합하고, 이와같이 물품파레트(2)에 대하여 올바르게 위치결정된다.
또한 도88 및 도89에 보인 파레트(2)의 받침부재2의 받침부재(300)에는, 암나사가 잘려 복수의 나사공(546)이 형성되며, 한편, 파레트(2)상에 실린 물품(1)의 아래부분, 이 예로는 저판(534)에 복수의 공(545A)이 형성되어 있다. 파레트(2)상에 물품(1)을 실을 때, 이들의 공(545A)가 상기 나사공(546)에 각각 정합하고, 그 공(545A)에 볼트(547)을 삽입하여, 그 볼트(547)을 각 나사공(546)에 나착한다. 이와같이 볼트(547)을 체결하도록 함에 의해, 물품(1)은 파레트(2)에 대하여 고정된다. 볼트(547)을 분리함에 의해, 파레트(2)에 대한 물품(1)의 고정을 해제할 수 있다. 이와같이, 나사공(546)과 볼트(547)은, 물품(1)을 파레트(2)에 대하여 취외가능으로 고정하도록한 고정수단을 구성하고, 이러한 고정수단을 설치하는 것에 의해, 물품(1)을 물품운반보관장치에 탑재하여 운반할 때, 물품운반보관장치가 유동하거나, 이들에 충격을 가하여도, 물품(1)을 파레트(2)에 대하여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할 수 있다.
예를들면, 물품(1)의 일예로 되는 복사기가, 그 전방에 인출가능한 급지카세트를 갖고 있는 경우, 그 급지카세트를 빼내어, 도89에 보인 바와같이 공(545A)을 외부로 노출시켜, 그 공(545A)에 볼트(547)를 삽입한다.
도88 및 도89에 보인 위치결정핀(544)을 설치하는 대신에, 그 파레트 부분에 나사공(546)과 동일한 나사공을 형성하여, 모두 4개의 나사공을 형성하고, 이들 볼트를 돌려넣고, 물품(1)을 파레트(2)에 대하여 위치결정하고, 또한 고정하도록 구성하여도 좋지만, 이에 의하면, 물품(1)을 파레트(2)에 재치할 때, 다수의 볼트를 나사공에 나착할 필요가 있고, 그 작업이 번잡한 것도 아니다. 이들에 대하여, 도88 및 도89에 보인 예와같이, 위치결정핀(544)에 의해 물품(1)을 위치결정하고, 나사공(546) 및 볼트(547)에 의해 물품(1)을 파레트(2)에 고정하도록 구성하면, 볼트(547)의 개수를 적게 할 수 있고, 그 돌려넣는 작업과, 그 취외작업을 간소화할 수 있다. 이와같이, 파레트(2)에 재치된 물품(1)을, 해당 파레트(2)에 대하여 위치결정하도록한 위치결정수단과, 파레트(2)에 재치된 물품(1)을, 파레트(2)에 대하여 취외가능하게 고정하도록한 고정수단을 동시에 물품운반보관장치에 설치하면, 파레트(2)로의 물품(1)의 취부 및 취외작업을 간소화할 수 있다.
또한, 도88 및 도89에 보인 예로는, 2개의 위치결정핀(544)을 설치하고, 또한 2개의 볼트(547)를 나사로 고정하도록 구성하지만, 위치결정핀(544)의 개수보다도 볼트(547)의 개수를 적게 하여, 예로는 3개의 위치결정핀(544)과, 1개의 볼트(547)를 이용하도록 하면, 파레트(2)로의 물품(1)의 취부 및 취외작업을 보다 간소화할 수 있다. 위치결정수단에 위해 파레트(2)에 대하여 물품(1)을 위치결정하는 개소의 개수보다도, 고정수단에 의해 파레트(2)에 대하여 물품(1)을 고정하는 개소의 개수를 적게 할 수 있다.
또한, 파레트(2)에 다수의 나사구멍(546)을 형성하여 두고, 물품(1)의 중량에 따라서, 사용할 나사구멍(546)의 수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해도 좋다. 예를 들면, 물품(1)의 중량이 커질때는, 모든 나사구멍(546)에 볼트(547)를 각각 삽입하여 그 물품(1)을 파레트(2)에 견고하게 고정하고, 역으로 물품(1)이 경량인 것일때는, 일부의 나사구멍(546)에만, 볼트(547)를 삽입하여 물품(1)을 볼트(2)로 고정하는 것이다. 이 경우, 각 나사구멍(546)의 직경을 다르게 하여 두고, 중량이 큰 물품(1)을 운반하는 때에는 큰 직경의 나사구멍(546)에, 이것에 적합한 직경의 볼트(547)를 삽입하며, 반대로, 경량인 물품(1)의 경우에는 작은 직경의 나사구멍(546)에, 이것에 맞는 직경의 볼트(547)를 삽입하도록 하는 것도 좋다. 이것에 의해서 물품(1)을 파레트에 대해서 적절한 결합력으로 고정할 수 있고, 가벼운 물품(1)을 파레트(2)에 고정하거나, 그 고정을 해제할 때의 작을 간소화할 수 있다.
도88 및 도89에 도시한 예에서는, 위치결정핀(544)이 파레트(2)의 받침부재(300)에 수직으로 고정되어 있다. 이것에 대해서, 도90에 도시한 예에서는, 상술한 위치결정수단을 구성하는 한 벌의 위치결정핀(544A)가 취부부재(549)에 고정되고, 그 취부부재(549)가 나사(550)에 의해서 파레트(2)의 받침부재(300)에 고정되어 있다. 각 위치결정핀(544A)는, 도89에 도시한 위치결정핀(544)와 전부 같은 방식으로 하여 물품(1)의 구멍(545)에 감합하고, 물품(1)을 파레트(2)에 대해서 위치결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술한 위치결정수단이, 파레트(2)에 재치된 물품(1)을 상기 파레트(2)에 대해서 위치결정하기 위한 위치결정핀(544A)을 구비하고, 그 위치결정핀(544A)이, 파레트(2)에 취부되는 취부부재(549)에 고정되어 있다. 이 구성에서는, 위치결정핀(544A)을 취부부재(549)를 통해서 파레트(2)에 고정하기 때문에, 물품(1)을 물품운반보관장치에 탑재하여 운반할 때, 물품운반보관장치와 물품(1)에 큰 외력이 가해지더라도, 위치결정핀(544A)과, 취부부재(549)에는 응력이 발생하지만, 파레트(2)에는 큰 응력은 발생하지 않는다. 이 때문에, 취부부재(549)의 쪽이 파손되거나, 영구변형되어도, 파레트자체가 파손하거나 영구변형하거나 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취부부재(549)의 변형에 의해 에너지를 흡수하기 때문에, 파레트(2)의 영구변형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파레트자체가 파손 또는 영구변형하여 그 파레트자체를 폐기처분하려면, 경제적으로 큰 손실이 생기지만, 취부부재(549)가 파손하거나 영구변형하여, 이것을 해로운 것으로 교체하는데에는, 취부부재(549)가 파레트(2)에 비해서 작고, 싸게 제조할 수 있기 때문에, 경제적인 손실을 최소한으로 줄일 수 있다.
도91에 보인 물품운반보관장치에 있어서는, 그 고정수단이 너트(551)로 이루어진 고정부재와, 이것에 부착되는 볼트(554)를 구비하고, 이 너트(551)도, 취부부재(549A)의 부분에는 관통홀이 형성되고, 파레트(2)의 받침부재(300)에도 도시하지 않은 구멍이 형성되어, 그 파레트(2)에 재치된 물품(1)에 형성된 구멍(545A)이 파레트(2)에 형성된 상기 구멍에 맞춰진다. 이 상태에서, 취부부재(549A)를 대좌부재(300)의 아래쪽으로부터 그 하면에 맞추고(도94참조). 너트(551)의 중심홀과, 상술한 파레트(2)의 구멍 및 물품(1)의 구멍(545A)을 맞춰서, 이들 구멍에 볼트(554)를 투입하고, 더하여 이것을 너트(551)에 돌려끼워서, 볼트(554)를 연결한다.
도9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취부부재(549A)에 볼트(552)로 이루어진 고정부재를 고정하여 부착하고, 그 볼트(552)를, 파레트(2)의 구멍과 이것에 맞춰진 물품(1)의 구멍(545A)에 파레트(2)의 아래로부터 투입하고, 그 볼트(552)에 너트(553)를 돌려끼워 연결하여도 좋다.
상술한 바와 같이, 도91 및 도92에 도시한 물품운반보관장치에 있어서는, 상술한 고정수단이, 파레트(2)에 재치된 물품(1)을 파레트(2)에 대해서 고정하기 때문에 고정부재, 즉, 너트(551) 또는 볼트(552)를 구비하고, 그 고정부재가, 파레트(2)에 취부된 취부부재(549A)에 고정되어 있다. 관계된 구성에 의해, 도90에 도시한 예의 경우와 같은 형태로, 물품운반보관장치(1)에 큰 외력이 가해졌을 때, 파레트(2)가 아닌 취부부재(549A)를 영구변형하거나 파손시키는 것으로 되고, 이것에 의해서 경제적인 손실을 최소한으로 줄일 수 있다.
또한 도93 및 도94에 도시한 바와같이, 취부부재(549A)에 복수의 위치결정용 핀(549B)를 나오게 설치하고, 취부부재(549)를 받침부재(300)의 하면에 맞출때, 그 핀(549B)을 받침부재(300)에 형성된 위치결정용 구먼(555)에 감합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면에는 나타나 있지 않지만, 파레트(2)의 옆에 위치결정용 핀을 나오게 설치하고, 이 핀에, 취부부재(549A)에 형성한 위치결정용의 구멍을 감합하여 취부부재(549A)의 위치를 정하여도 좋다. 이와 같이, 파레트(2)에 대한 취부부재(549A)의 위치결정수단을 구비하는 것에 의해서, 취부부재(549)를 용이하게 파레트(2)에 대해서 바른 위치를 정할 수 있다.
상기 구성은, 너트(551)의 대신에, 도91에 보인 볼트(552)를 이용한 때에도 적용될 수 있고, 더하여는 도90에 보인 취부부재(549)에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도90 내지 도94에 도시한 취부부재(549,549A)를 파레트(20에 대해서 위치조정가능하게 취부하도록 하면, 파레트(2)에 대한 위치결정핀(544A)와, 너트(551) 또는 볼트(552)의 상대위치를 바꿀 수 있고, 구멍(545,545A)의 위치가 서로 다른 각종 물품(1)을 파레트(2)에 대해서 위치를 정하고, 또한 고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도90에 도시한 바와같이, 받침부재(300)에 다수의 나사구멍(556)을 형성하여 두고, 물품(1)의 구멍(545)(도89)의 위치에 맞춰서 적절한 나사구멍(556)을 선택하고, 그 나사구멍(556)에 나사(550)을 돌려부착하여 취부부재(549)를 파레트(2)에 고정하는 것이다. 도91 내지 도94에 도시한 취부부재(549A)도 같은 방식으로 하여, 파레트(2)에 대한 취부위치를 선택하여 취부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95는, 도88에 보인 파레트(2)상에 재치한 물품(1)을 점선으로 보인 사시도이지만, 물품(1)을 파레트(2) 상에 놓았을 때, 보통은 위치결정핀(544)와 나사구멍(546)은, 물품(1)의 아래에 오기 때문에, 작업자는 이것들을 볼 수 없어, 물품의 재치작업이 곤란할 염려가 있다.
그래서, 파레트(2)에 대한 물품(1)의 재치위치의 기준으로 될 마크(M1)를 파레트(2)에 설치하면, 물품의 재치작업을 극히 용이하게 하는 것이 가능하ㄷ. 예를 들면, 도95에 보인 바와 같이, 파레트(2)의 받침부재(300)상에, 각 물품(1)의 크기에 맞춘 실선과 점선의 마크(M1)을 각각 형성하여 두고, 물품(1)을 파레트(2)상에 재치할 때, 그 물품(1)의 사이즈에 맞춘 마크(M1)에 그 물품(1)의 가장자리를 맞춘다. 도95에서는 실선의 마크에 물품(1)의 가장자리를 맞춘 상태를 보인다. 이와 같이 하면, 간단하게 무품(1)을 파레트(2)상에 바르게 실고, 위치결정핀(544)를 물품(1)의 구멍(545)에 자동적으로 감합시키고, 더하여 파레트(2)의 나사구멍(546)과 물품(1)의 구멍(545A)를 자동적으로 정합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마커M1을 파레트(2)에 바로 형성하는 대신에, 도 9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레이트, 시트 혹은 필름 등의 마커 부재(557)에 마커 M1을 형성하고, 이것을 파레트(2)에 붙이는 등으로 하여 고정하도록 해도 좋다.
또한, 물품(1)을 파레트(2) 위에 수작업으로 하지 않고, 로봇에 의해서 자동적으로 적치하는 경우에는 상술한 마커 M1을 미도시된 센서에 의해 검지하고, 그 검지 정보에 기초하여 로봇을 작동시켜 물품(1)을 정확하게 파레트(2)위에 적치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상술한 마커 M1에 관련된 구성은, 앞에 설명한 전체 구성에 적용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파레트(2)의 받침부재(300)을 양쪽 다리부(4)의 일정한 각 위치에 움직이지 않게 고정할 수도 있지만, 받침부재(300)을 다리부(4)에 대해서 위치 조정이 가능하게 고정하면, 받침부재(300)위에 각종 크기의 물품(1)을 적치함이 가능해 진다.
도96 및 도97은 그 구체적인 예를 나타내고 있고, 여기서 도시된 파레트(2)의 기본 구성은 도 57에 나타난 파레트(2)와 변함은 없지만, 다음의 점에서 서로 다르다.
도96 및 도97에 도시된 파레트(2)의 받침부재(300) 이외의 파레트 부분을 파레트 본체(538)라 칭하기로 하면, 파레트(2)가, 그 파레트 본체(538)과 그 파레트 본체 (538)에 대해 조정 가능하도록 고정되는 받침부재(300)을 갖고 있다. 이 예에서는 각 다리부(4)의 상벽(535)에, 그 길이방향으로 뻣어있는 긴 구멍(539)이 각각 형성되고, 도97에 명시된 바와 같이, 각 받침부재(300)의 플랜지부(540)의 4개소에 형성된 관통홀에, 긴 구멍(539)의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연결된 볼트(541)가 삽입되고, 그 각 볼트(541)에 너트(542)가 연결되어 있다. 각 볼트(541)은, 그 머리부(541A)가 다리부(4)의 내부에 위치하고, 또한 상기 머리부(541A)가 긴 구멍(539)의 폭보다도 크게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술한 각 너트(542)를 느슨하게 하면, 받침부재(300)을 파레트 본체 (538)에 대하여 도96의 화살표로 나타난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받침부재(300)을 원하는 위치, 예를 들면 도96에 파선으로 나타난 위치에 가져온 후, 너트(542)를 체결하면, 그 받침부재(300)을 그 위치에서 파레트 본체(538)에 대하여 고정할 수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물품 적재면(5) 위에 실은 물품의 크기에 맞추어, 파레트 본체(538)에 대한 받침부재(300)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고, 각종 크기의 물품을 효율적으로 그 물품 적재면(5) 위에 실을 수 있다.
또한, 물품(1)의 크기에 맞추어, 쉽고 정확히 받침부재(300)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도록, 그 위치를 나타내는 마커 M2를, 예를 들면 다리부(4)에 형성해 둘 수도 있다. 도시된 예에서는, 파선과 1점쇄선과 실선의 마커 M2가 다리부(4)에 형성되고, 물품 1의 크기가 클 때는, 받침부재(300)을, 예를들면 실선의 위치에 맞추어서 위치를 결정하고, 이것을 다리부(4)에 고정한다. 역으로 물품(1)이 소형인 것일 때는, 받침부재(300)을 예를 들어, 파선의 위치에 맞추어 위치를 결정하면 좋다. 이 경우도, 도 95에 나타난 예와 동일하고, 마커 부재에 마커 M2를 형성하고, 이것을 파레트(2)에 고정해도 좋다.
상술한 바와 같이, 파레트 본체(538)에 대해서 위치조정이 가능하게 고정되는 받침부재(300)을 파레트 본체(538)에 대해서 고정할 때의 위치 결정 기준이 되는 마커 M2를 파레트 본체(538)에 설치하므로써, 파레트 본체(538)에 대해서 받침부재 (300)을 쉽게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도96 및 도97에 예시한 위치 조정이 가능한 받침부재(300)과 마커 M2의 구성도, 앞서 설명한 어느 것의 구성에도 적용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런데, 앞서 물품운반보관장치의 위치결정수단과 고정수단의 구체 예를 다수 설명하였지만, 그 위치결정수단은, 물품(1) 옆에 설치된 다리부(543)나 구멍(545)등의 물품측 위치결정수단과 협동해서 물품(1)을 파레트(2)에 대해서 위치 결정하는 것이다. 같은 식으로, 고정수단도 구멍(545A)등의 물품측 고정수단과 협동해서 물품 (1)을 파레트(2)에 고정하는 용도를 이룬다. 즉, 앞서 예시한 각 물품운반보관장치에 의해 운반되는 물품(1)은 전술한 위치결정수단과 협동해서 파레트(2)에 대한 물품(1)의 위치 결정을 행하는 물품측 위치결정수단과, 전술한 고정수단과 협동해서 파레트(2)에 대한 물품(1)을 고정하는 물품측 고정수단중 적어도 한 쪽을 갖는 것이다.
여기서, 도87에 예시한 물품 1에 있어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물품측 위치결정수단이 파레트(2)에 설치된 위치 결정수단을 구성하는 체결부(도 87에 있어서는 관통홀 533)에 체결 가능한 물품 하부의 다리부(543)으로 된다. 이와 같은 다리부 (543)은, 복사기 등의 공업제품에 원래 설치되는 것이며, 관련된 다리부(543)을 물품측 위치결정수단으로서 이용하면, 그 물품을 파레트(2)에 대해서 위치결정하기 위한 전용 물품측 위치결정수단을 설치하지 않고 끝내 제품의 비용 상승을 억제할 수 있다.
이때, 물품(1)이 복사기, 프린터, 팩시밀리, 텔레비전, 세탁기, 냉장고 등의 전기제품이나, 기타의 공업제품인 경우 서로 다른 적어도 2기종의 공업제품에 있어서의 서로 대응하는 다리부 간의 간격이 각각 거의 같게 설정되어 있으면 그 다른 기종의 공업제품 각각을 동일 형태의 파레트(2)에 위치결정하여 운반할 수 있는 이점을 얻을 수 있다.
도98 및 도99는, 이 구성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98에 나타난 복사기로 이루어진 물품(1)은, 도99에 나타난 복사기보다도 대형으로 하고, 양쪽 복사기의 기종은 서로 다른 것으로 한다. 이들 복사기의 밑판(534)에는, 각각 4개씩 다리부(543)가 설치되어 있다. 이때, 도98에 나타난 대형 복사기의 서로 인접한 족부 사이의 각 간격 L, W는 도99에 나타낸 소형 복사기의 서로 인접한 족부 사이의 각 간격 L1, W1과 각각 동등하게 되어 있다(L=L1, W=W1). 이와 같이, 서로 다른 기종의 복사기에 있어서의 서로 대응하는 족부 간의 간격 L, L1과 W, W1이 각각 동등하게 설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어느 복사기도 관통홀(533) 사이의 간격이 일정한 파레트(2)에 위치결정하여 적치하고, 이것을 안정상태로 운반할 수 있다. 기종이 다를 때마다 관통홀(533)의 사이의 간격을 그 기종에 맞추어 설치한 파레트를 준비할 필요는 없고, 파레트의 제조 비용을 저감할 수 있으며, 게다가 복사기 등의 공업제품의 비용도 낮게 할 수 있게 된다.
도100에 보이는 복사기에도, 도89에 나타낸 복사기와 같은 형태로 복사기 본체 내부의 밑판에 구멍(545A)가 형성되고, 그 구멍(545)에 볼트(547)을 통해 그 볼트를 파레트(2)에 형성된 나사 구멍(도100에는 미도시)에 끼워 넣고 복사기로 된 물품 (1)을 파레트(20에 고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구멍(545A)는, 물품측 고정수단의 일례를 구성하고 있다. 이때, 도89에 나타난 예에서는, 구멍(545A)가 복사기 측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전술한 바와 같이, 공급 용지 카세트(미도시됨)를 꺼내므로써, 복사기 측 방향으로부터 여기에 손을 넣어 구멍(545A)에 볼트(547)을 쉽게 넣고, 이것을 나사 구멍(546)에 나사를 넣는 작업을 할 수 있다. 그런데, 도100에 나타낸 구멍(545A)는 복사기 본체 내부의 안쪽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복사기 측으로부터 손을 넣어 그 구멍(545A)에 볼트(547)을 삽입하고, 이것을 나사 구멍에 연결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복사기의 뒷쪽 외장 커버(65)를 벗겨 내면, 볼트(547)을 넣을 수는 있지만 복사기를 운반할 때마다, 뒤쪽 외장 커버(65)를 벗겨 내는 것은 매우 번거롭다.
그래서, 도100 및 도101에 나타난 예에서는, 복사기의 뒤쪽 외장 커버(65)에 개구(66)이 형성되고, 이 개구(66)에 커버(67)가 개폐 가능하게 취부되며, 그 커버 (67)의 내측에 물품측 고정수단을 구성하는 구멍(545A)가 배치되고 있다. 통상은 커버 (65)는 도10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닫는 위치를 차지하고, 개구(66)은 닫혀져 있다. 복사기를 파레트(2)에 고정할 때, 그 커버(67)을 도101에 보는 바와 같이, 복사기 본체로부터 벗겨내고, 개구(66)을 개방한다. 이와 같이 하면, 그 개구(66) 근처에 구멍 (545A)가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그 구멍(545A)에 볼트(547)을 통해 이것을 파레트(2)의 나사 구멍에 끼울 수 있다. 이 작업을 마친 후, 다시 커버(67)을 닫고, 개구(66)을 폐쇄한다. 동일한 작업에 의해 볼트(547)을 빼어낼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은 물품이 복사기 이외로 이루질 때 적용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도100 및 도101에 나타낸 예에서는 물품측 고정수단의 일례인 구멍(545A)가, 그 물품 본체 내부에 있어, 그 물품 본체의 개구(66)에 개폐 가능하게 취부된 커버(67)의 내측에 배치되어 있다. 관련된 구성에 따라 커버(65)를 열므로써, 그 구멍(545A)의 개소에 쉽게 손을 근접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런데, 상술한 바로부터 알 수 있듯이, 도89, 도91, 도92, 도100 및 도101에 나타난 구멍(545, 545A)는, 물품측 위치결정수단과 물품측 고정수단의 일례를 각각 구성하고 있지만, 관련된 구멍(545, 545A)를 한결같이 물품을 파레트(2)에 대해서 위치결정하고, 또한 고정하기 위한 구멍으로서 물품(1)에 형성해도 좋다. 이에 대하여, 이러한 구멍(545, 545A)로서 파레트(2)에 물품(1)을 고정하는 것이외의 용도에도 사용되는 구멍을 이용하면, 그 물품의 제조 비용을 저감할 수 있다.
도102 및 도103은, 복사기를 제조할 때의 모양을 보여주는 설명도이며, 그 제조라인의 컨베이어(558) 위에 치구 플레이트(559)가 적재되고, 그 치구 플레이트 (559)에는 2개의 위치결정용 핀(60)이 돌출하여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이 치구 플레이트(559) 위에 복사기 밑판(534)가 실리고, 이때 밑판(534)에 형성된 위치결정구멍 (68)에 치구 플레이트(559)의 핀(60)이 결합하여 밑판(534)가 치구 플레이트(559)에 대해서 위치 결정된다. 이 밑판(534)에 대해 복사기의 다른 구성요소가 더해진다.
상기와 같이, 복사기의 제조시에 사용되는 위치 결정 구멍(68)을 도89, 도91, 도92, 도100 및 도101등에 나타낸 위치 결정용 구멍(545) 또는 고정용 구멍(545A)로서 이용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하면, 파레트(2)에 대한 물품(1)의 위치결정, 또는 고정을 위한 전용 구멍을 물품(1)에 형성하지 않아도 되고, 그 제조 비용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도104 및 도105는 복사기로 되는 물품(1)과 그 하부에 접속되어 사용되는 용지 공급 트레이 장치(61)를 보여주고 있으며, 이 용지 공급 트레이 장치(61)에는 나사 구멍(62)가 형성되며, 복사기의 쪽에는 취부홀(63)이 형성되어 있다. 관련된 복사기와 용지 공급 트레이 장치(61)을 사용자가 사용할 때는 이들을 도104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하로 포개어 취부홀(63)에 나사(64)를 끼워 넣음과 동시에 이 나사(64)를 나사 구멍(62)에 넣어서 복사기와 용지 공급 트레이 장치(61)을 결합한다.
상술한 것과 같은 복사기로 되는 물품(1)을 파레트(2)에 대해 위치 결정할 때, 상술한 취부홀(63)을, 예를 들어, 도89에 나타난 구멍(545)로서 이용하고, 여기에 위치결정 핀(544)를 결합시킨다. 또한, 도104에 나타난 복사기로 된 물품(1)을 파레트(2)에 고정할 때, 그 취부홀(63)을 예를 들어, 도89에 나타난 구멍(545A)로서 이용하고, 여기에 볼트(547)을 끼워 넣고, 그 볼트(547)을 파레트(2)의 나사 구멍(546)에 나사를 넣어 고정하는 것이다. 이때, 도105에 나타낸 나사(64)를, 복사기를 파레트(2)에 고정하기 위한 볼트(547)로서 이용하면, 그 나사의 이용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복사기로 된 물품(1)을 파레트(2)에 고정할 때의 고정강도를 높일 필요가 있을 때는 나사(64)와 이것이 끼워진 취부홀(63) 및 나사 구멍(62)의 지름을, 물품(1)을 파레트(2)에 고정함에 필요한 고정강도를 얻을 수 있도록 크게 형성해 두면 좋다.
상술한 바와 같이, 물품측 위치결정수단이, 파레트(2)에 물품이 위치 결정되는 이외의 용도에도 이용되는 구멍(63)으로 되며, 동일한 물품측 고정수단이, 파레트(2)에 물품이 고정되는 이외의 용도에도 사용되는 구멍(63)으로 되면, 물품의 제조 비용의 상승을 억제할 수 있는 이점을 얻을 수 있다. 이 구성도, 전술한 각 구성, 특히 도100 및 도101에 나타난 커버(67)에 관련된 구성에 적용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 본발명의 다수개 실시형태예를 설명했지만, 그 각 예의 구성을 적절히 조합하여 물품운반보관장치 또는 이것에 의해 운반되는 물품을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앞서 예시한 물품 이외의 각종 물품, 예를 들면 자동차, 그 엔진 등의 부품, 가구, 건축재료 등, 실질적으로 어떠한 것의 물품운반보관장치에도 적용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청구항 1 내지 18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각 지주사이의 간격을 조정할 수 있으므로, 어떤 크기의 물품도 더 효율적으로 운반하고, 또는 이것을 보관할 수 있다.
특히, 청구항 4 및 6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지주 사이 간격의 조정 자유도를 높일 수 있다.
청구항 7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제1 및 제2 연결부재를 이음수단으로부터 꺼내어 쉽게 물품을 파레트 위에 실거나 또는 이것을 내릴 수 있다.
청구항 8 내지 10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물품운반보관장치에 대해 외진력이 가해진 때, 그 물품운반보관장치가 급격하게 진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청구항 9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이음수단고정부재의 비용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청구항 10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이음수단고정부재의 분실을 방지할 수 있다.
청구항 11내지 13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물품운반보관장치의 상방 공간을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다.
특히 청구항 12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상판 위의 물품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청구항 13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파레트에서 분리한 지주를 컴팩트하게 정렬하여 격납할 수 있다.
청구항 14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파레트 위의 물품이 외부의 물과 접촉되는 불합리를 억제할 수 있다.
청구항 15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물품운반보관장치를 확실히 상하로 포개어 적재할 수 있다.
청구항 16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물품운반보관장치의 부품 교환이나 그 처분을 쉽게 할 수 있다.
청구항 17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파레트로부터 떼어낸 지주유니트를 컴팩트화하여 격납하고 또한 운반할 수 있다.
청구항 18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지주유니트를 접을 때, 작업자가 손을 다치는 불합리를 저지할 수 있다.
청구항 19 내지 22, 24 및 25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각 지주사이의 간격을 조정할 수 있으므로, 어떤 크기의 물품도 더 효율적으로 운반하고, 또한 이것을 보관할 수 있다. 게다가, 파레트 위의 물품을 커버에 의해서 보호할 수 있고, 더욱이 그 커버에는, 물품에 관련한 정보가 표시되어 있기 때문에 그 표시를 한 특별한 부재는 불필요하다.
특히 청구항 22내지 25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지주간 간격의 조정 자유도를 높일 수 있다.
청구항 23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파레트로부터 떼어낸 지주를 컴팩트하게 접어 격납할 수 있다.
청구항 26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간단한 커버에 의해서 물품을 보호할 수 있다.
청구항 27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상측의 포대가 오염될 때, 이것을 벗겨내어 물품을 납품할 수 있다.
청구항 28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복수의 물품운반보관장치를 확실히 상하로 포개어 적재하여 보관 또는 운반할 수 있다.
청구항 29 내지 39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각 지주 사이의 간격을 조정할 수 있으므로, 어떠한 크기의 물품도 효율적으로 운반하고, 또한 이것을 보관할 수 있다. 게다가, 지주가 파레트에 취부된 상태로 지주의 상부를 연결하여 지주 사이의 간격을 규제할 수 있기 때문에 지주를 안정시키고, 더욱이 쉽게 그 물품운반보관장치 위에 기타 물품운반보관장치를 적재할 수 있다.
또한, 특히 청구항 32 내지 34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지주간 간격 조정 자유도를 높일 수 있다.
더욱이 청구항 35 내지 36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아래의 물품운반보관장치 위에 위의 물품운반보관장치를 특히 손쉽게 적재할 수 있다.
또한, 청구항 37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아래의 물품운반보관장치에 대해서 위의 물품운반보관장치가 함께 움직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청구항 38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규제수단을 지주로부터 벗겨냄으로써, 지주를 확실히 접을 수 있다.
청구항 39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지주로부터 떼어낸 규제수단이 방해되지 않고, 지주를 떼어낸 파레트와 함께 그 규제수단을 쉽게 운반할 수 있다.
청구항 40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각 지주 사이의 간격을 조정할 수 있으므로, 어떠한 크기의 물품도 더 효율적으로 운반하고, 또한 이것을 보관할 수 있다. 더욱이, 물품에 큰 충격을 가하지 않고, 물품승강장치의 물품지지부재에 의해서, 부드럽게 물품을 파레트 아래에 적재할 수 있다.
청구항 41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포갠 지주유니트를 파레트에 수납할 수 있고, 물품운반보관장치를 사용하지 않을 때, 지주유니트와 파레트를 컴팩트하게 보관하고, 또한 이것을 수송할 수 있다.
청구항 42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지주유니트를 파레트에 격납하고, 더욱이 그 파레트를 상하로 포개어 보관하고, 또한 이것을 수송할 수 있다.
청구항 43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각종 크기의 물품을 효율적으로 물품 적재면 위에 적치할 수 있다.
청구항 44 내지 47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간단한 구성에 의하여, 지주 사이의 간격을 조정할 수 있는 물품운반보관장치를 구성할 수 있다.
특히 청구항 45 또는 47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지주간 간격의 조정자유도를 높일 수 있다.
청구항 48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각 지주 사이의 간격을 조정할 수 있으므로, 어떠한 크기의 물품도 효율적으로 운반하고, 또한 이것을 보관할 수 있음은 물론, 상하로 포개어 적치한 파레트 내부에 지주유니트를 수납할 수 있기 때문에 이들 전체를 컴팩트하게 정렬하여 운반하고, 혹은 보관할 수 있다.
청구항 49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포개어 실은 파레트의 내부에 확실히 지주유니트를 수납하는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청구항 50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지주유니트를 확실히 세운 상태로 보관할 수 있고, 파레트의 운반 중에 지주유니트가 쓰러져 버리는 불합리를 저지할 수 있다.
청구항 51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포개어 실은 파레트 내부에 소정형태의 공간을 정확하게 구획 형성할 수 있고, 지주유니트를 그 공간에 확실히 수납할 수 있다.
청구항 52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파레트의 물품 적재면 위에 물품을 실을 때, 그 물품이 한쪽으로 기울어지는 상태를 방지할 수 있다.
청구항 53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지주유니트가 삽입되는 개구가 필요한 파레트에만 지주유니트 지지판을 취부할 수 있고, 파레트의 비용 저감과 그 중량의 저감을 달성할 수 있다.
청구항 54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포개어 실은 파레트를 들어 올릴 때, 여기에 수납된 지주유니트도 들어 올릴 수 있고, 이들의 운반을 쉽게 행할 수 있다.
청구항 55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포개어 실은 파레트의 최하단 파레트에 지주유니트의 하부가 존재하지 않는 상태로 할 수 있고, 그 파레트를 하역장치에 의해서 쉽게 운반할 수 있고, 더욱이 포개어 실은 파레트 내부에 효율적으로 지주유니트를 수납할 수 있다.
청구항 56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파레트에 형성된 개구의 수만큼 파레트를 실어 올림으로써, 그 수를 가장 알맞은 수로 할 수 있다.
청구항 57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포개어 실은 파레트를 능률적으로 물품 수납 공간에 꺼내거나 넣을 수 있고, 더욱이 그 물품수납공간을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다.
청구항 58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물품운반보관장치를 능률적인 물품수납공간에 꺼내거나 넣을 수 있고, 더욱이 그 물품수납공간을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다.
청구항 59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포개어 실은 파레트를 능률적인 물품수납공간에 꺼내거나 넣을 있고, 더욱이 그 물품 수납공간을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다.
청구항 60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포개어 실은 파레트의 외부로부터, 그 파레트 내부의 지주유니트 상태를 살펴 볼 수 있다.
청구항 61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파레트가 1개일 때도, 그 파레트에 지주유니트를 수납할 수 있다.
청구항 62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지주유니트의 수납부와, 파레트의 다리부를 겸용시킬 수 있다.
청구항 63 내지 66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간단한 구성에 의해서, 지주 사이의 간격을 조정할 수 있는 물품운반보관장치를 구성할 수 있다.
특히, 청구항 64 또는 66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지주간 간격의 조정 자유도를 높일 수 있다.
청구항 67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각 지주 사이의 간격를 조정할 수 있으므로, 어떠한 크기의 물품도 효율적으로 운반하고, 또한 이것을 보관할 수 있다. 게다가, 파레트에 실은 물품을 그 파레트에 대해서 위치결정이 가능하므로, 안정한 상태로 물품을 운반하고, 또한 이것을 보관할 수 있다.
청구항 68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각 지주 사이의 간격을 조정할 수 있으므로, 어떠한 크기의 물품도 효율적으로 운반하고, 또한 이것을 보관할 수 있다. 더욱이, 파레트에 실은 물품을 그 파레트에 대해서 고정할 수 있기 때문에 보다 한층 안정한 상태로 물품을 운반하고, 또한 이것을 보관할 수 있다.
청구항 69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각 지주 사이의 간격을 조정할 수 있으므로, 어떠한 크기의 물품도 효율적으로 운반하고, 또한 이것을 보관할 수 있다. 게다가, 파레트에 실은 물품을 그 파레트에 대해서 위치 결정함과 함께 고정할 수 있기 때문에 보다 한층 안정한 상태로 물품을 운반하고, 또한 이것을 보관할 수 있다. 게다가 물품을 파레트에 고정하는 작업을 간소화할 수 있다.
청구항 70 및 71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물품운반보관장치나 물품에 큰 외력이 작용했을 때, 파레트 자체의 파손이나 영구변형을 방지하고, 그 경제적인 손실을 최소한으로 억제할 수 있다.
청구항 72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각종 물품을 동일한 형태의 파레트에 위치결정하고, 또한 고정할 수 있다.
청구항 73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물품을 파레트에 대해서 쉽게 바른 위치에 적재하여 위치시킬 수 있다.
청구항 74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물품을 적재하여 위치한 받침부재를 파레트 본체에 대해서 위치 조정할 수 있으므로 각종 크기의 물품을 같은 형태의 파레트 본체에 적재 위치할 수 있다.
청구항 75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받침부재를 쉽게 파레트 본체에 대해서 바르게 취부할 수 있다.
청구항 76 내지 79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간단한 구성에 의해 지주 사이의 간격을 조정할 수 있는 물품운반보관장치를 구성할 수 있다.
특히, 청구항 77 또는 79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지주간 간격의 조정자유도를 높게 할 수 있다.
청구항 80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물품을 파레트에 대해서 쉽고 확실하게 위치 결정하고, 또한 고정할 수 있다.
청구항 81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물품의 족부가 물품측 위치결정수단을 겸용하고 있기 때문에 물품의 구조가 복잡화하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청구항 82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기종이 다른 공업제품을 공통의 파레트에 탑재하여 운반할 수 있다.
청구항 83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물품측 고정수단에 쉽게 손을 펼쳐 파레트에 대한 물품의 고정 작업을 행할 수 있다.
청구항 84 및 85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물품의 구조가 복잡화하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Claims (85)

  1. 물품이 재치되는 파레트와, 상기 파레트상에 재치된 물품을 둘러싸도록 상기 파레트에 착탈가능하게 취부되는 복수의 지주와, 상호 이웃하는 2개의 지주간의 간격을 조정가능하고, 해당 2개의 지주끼리를 각각 연결하는 연결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운반보관장치.
  2. 물품이 재치되는 파레트와, 상기 파레트의 물품재치면에 대해서 거의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로, 착탈가능하게 취부되는 4개의 지주와, 서로 이웃하게 위치하는 두 지주간의 간격을 조정가능하게 해당 두 지주를 각각 연결하는 연결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운반보관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수단은 상호 이웃하게 위치한 2개의 지주사이의 간격이, 모두 같은 비율로 변화하도록, 해당 간격을 상호 연동하여 조정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운반보관장치.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수단은, 서로 이웃하게 위치하는 두 지주간의 간격과, 그 두 지주에 대향하고, 더하여 서로 이웃하게 위치한 다른 두 지주간의 간격과 같은 비율로 변화하도록, 해당 간격을 상호연동하여 조정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운반보관장치.
  5. 물품이 재치되는 파레트와, 상기 파레트의 물품재치면에 대해서 거의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로 착탈가능하게 취부된 4개의 지주와, 상기 지주에 각각 그 길이방향을 따라서 취부되는 제1 및 제2 이음새와, 서로 이웃하게 위치하는 두 지주를 각각 상호 연결하는 제1 및 제2의 연결부재를 구비하고,
    4개의 지주가 상기 파레트에 취부된 상태에서, 상기 제2의 이음새는 제1의 이음새보다도 아랫쪽에 위치하고, 상기 4개의 지주가 상기 파레트에 취부된 상태에서, 상기 제1 및 제2의 연결부재는 각각 상호교차하여 위치함과 동시에, 각 제1연결부재는, 그 길이방향의 일단측이, 상호 이웃하게 위치한 두 지주 가운데 한 지주에 취부된 제1의 이음새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더하여, 그 길이방향의 타단이, 상호이웃하게 위치하는 두 지주 가운데 다른 지주에 취부된 제2의 이음새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각 제2의 연결부재는, 그 길이방향의 일단이 상기 다른 지주에 취부된 제1의 이음새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더하여 그 길이방향의 타단이 상기 한 지주에 취부된 제2의 이음새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제1 및 제2 이음새중 적어도 하나가, 이 취부된 각 지주에 대해서, 그 길이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조립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운반보관장치.
  6. 물품이 재치되는 파레트와, 상기 파레트의 물품재치면에 대해서 거의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로 착탈가능하게 취부된 제1 내지 제4의 지주와, 제1 내지 제4의 지주에 각각 그 길이방향을 따라서 취부된 제1 내지 제3의 이음새와, 상호이웃하게 위치한 제1 및 제2지주, 제2 및 제3지주, 제3 및 제4지주, 및 제4 및 제1지주의 각각을 상호 연결하는 제1 및 제2의 연결부재를 구비하고,
    4개의 지주가 파레트에 취부된 상태에서, 상기 제2 및 제3의 이음새는 제1이음새보다도 아래에 위치하고, 더하여 제2이음새는 제3이음새보다도 아래에 위치하게 있고, 상기 제1 내지 제4지주가 상기 파레트에 취부된 상태에서, 상기 각 제1 내지 제2 연결부재는 각각 상호 교차한 상태로 위치함과 동시에, 서로 이웃하게 위치한 제1 및 제2 지주간에 설치된 제1 및 제2연결부재의 각 길이방향의 일단이 제1 및 제2지주에 각각 취부된 제1의 이음새에 각각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더하여 그 각 길이방향의 다른단측이 제2 및 제1의 지주에 각각 취부된 제2이음새에 각각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서로 이웃한 제2 및 제3 지주간에 설치된 제1 및 제2연결부재의 각 길이방향측 일단이 제2 및 제3지주에 각각 취부된 제1이음새에 각각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더하여 그 길이방향측의 다른단이 제3 및 제2의 지주에 각각 취부된 제3이음새에 각각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서로 이웃한 제3및 제4지주간에 설치된 제1및 제2의 연결부재의 각 길이방향측의 일단이 제3및 제4지주간에 각각 취부된 제1이음새에 각각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더하여, 그 길이방향측 타단은 제4및 제3지주에 각각 취부된 제2의 이음새에 각각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서로 이웃한 제4 및 제1 지주에 설치된 제1 및 제2이음새의 연결부재의 각 길이방향측 일단이, 제4 및 제1지주에 각각 취부된 제1이음새에 각각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더하여 그 길이방향측 타단이 제1및제4지주에 각각 취부된 제3이음새에 각각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제1 내지 제3의 이음새 가운데 적어도 제2 내지 제3의 이음새가, 이렇게 취부된 각 지주에 대해서, 그 길이방향측으로 이동가능하게 조립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운반보관장치.
  7.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서로 이웃한 두 지주간에 설치된 제1 및 제2연결부재를 한쌍의 연결부재로 할때, 4쌍의 연결부재중 적어도 한쌍의 연결부재를 구성하는 제1 및 제2연결부재의 길이방향쪽 일단과 타단의 적어도 한쪽을 상기 이음새에 대해서 착탈가능하게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운반보관장치.
  8. 제5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물품운반보관장치는 지주를 파레트에 취부한 상태에서, 1개의 지주에 대해서, 그 길이방향으로 이동가능한 적어도 2개의 이음새를 서로 착탈가능하게 고정 연결하는 이음새고정부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운반보관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물품운반보관장치는 4개의 지주 각각에 취부된 복수의 이음새끼리를 각각 착탈가능하게 고정연결하는 상기 이음새고정부재가 동일한 형태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운반보관장치.
  10.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이음새고정부재가 지주에 대해서 이탈하지않도록 해당 지주에 조립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운반보관장치.
  11. 제1항 내지 제10항의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물품운반보관장치는 상기 지주의 위에 착탈가능하게 재치되는 천판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운반보관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천판은 그 위에 재치되는 물품의 낙하방지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운반보관장치.
  13. 제11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천판에는 파레트로부터 떼어진 지주와, 그 연결수단 내지는 그 연결수단을 구성하는 상기 연결부재를 수납하는 수납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운반보관장치.
  14.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물품운반보관장치는 서로 이웃하는 두 지주간의 틈중 적어도 일부를 차폐하는 보호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운반보관장치.
  15.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파레트는 그 물품재치면과는 반대측에, 다른 물품운반보관장치의 상부가 착탈가능하게 연결되는 연결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운반보관장치.
  16. 제1항 내지 제15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각 지주와, 이것에 취부된 이음새와를 분리가능하게 조립부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운반보관장치.
  17. 제5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파레트에 착탈가능하게 취부된 지주와, 서로 이웃하는 두 지주끼리를 각각 연결하는 상기 연결부재가, 상기 지주를 파레트로부터 떼어낸 상태로 접을 수 있는 지주유니트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운반보관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지주유니트를 접었을 때, 지주와 상기 지주에 이음새를 통해서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연결부재와의 사이에 15mm이상의 틈이 생기도록, 지주, 이음새 및 연결부재를 각각 조립부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운반보관장치.
  19. 물품이 재치된 파레트와, 상기 파레트상에 재치된 물품을 둘러싸도록 상기 파레트에 착탈가능하게 취부된 복수의 지주와, 서로 이웃하는 두 지주사이의 간격을 조정가능하게, 해당 두 지주끼리를 각각 연결하는 연결수단과, 상기 물품에 관한 정보가 표시되어 있고, 해당 물품의 적어도 일부를 덮는 커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운반보관장치.
  20. 물품이 재치되는 파레트와, 상기 파레트의 네 구석에 해당 파레트의 물품재치면에 대해서 거의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로 착탈가능하게 취부된 4개의 지주와, 상기 파레트의 각 변에서 서로 이웃하게 취부되는 2개의 지주간의 간격을 조정가능하게 해당 두 지주를 각각 연결하는 연결수단과, 상기 물품에 관한 정보가 표시되어 있고 해당 물품의 적어도 일부를 덮는 커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운반보관장치.
  21. 제19항 또는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수단은, 파레트의 각 변에 서로 이웃하게 취부되는 두 지주사이의 간격이 같은 비율로 변화하도록, 해당 간격을 서로 연동하여 조정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운반보관장치.
  22. 제19항 또는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수단은, 파레트의 한 변과 이것에 대향하는 다른 변의 각각에 서로 이웃하도록 취부되는 두 지주사이의 간격이 같은 비율로 변화하도록, 해당 간격을 상호 연동하여 조정하고, 파레트의 서로 대향하는 다른 2변의 각각에 서로 이웃하게 취부되는 두 지주사이의 간격이 같은 비율로 변화하도록, 해당 간격을 상호 연동하여 조정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운반보관장치.
  23. 제19항 내지 제2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파레트에 착탈가능하게 취부되는 지주와, 서로 이웃하는 두 지주끼리를 각각 연결하는 상기 연결수단이, 그 지주를 파레트로부터 떼어낸 상태로 접을 수 있는 지주유니트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운반보관장치.
  24. 물품이 재치되는 파레트와, 그 물품에 관한 정보가 표시되어 있고 적어도 해당 물품의 일부를 덮는 커버와, 상기 파레트의 네 모서리에 해당 파레트의 물품재치면에 대해서 거의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로 착탈가능하게 취부된 4개의 지주와, 각 지주에 각각 그 길이방향을 따라서 취부된 제1 및 제2이음새와, 상기 파레트의 각 변에 있어서의 서로 이웃하게 취부되는 2개의 지주를 각각 서로 연결하는 제1 및 제2연결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4개의 지주가 상기 파레트에 취부된 상태로, 상기 제2의 이음새는 제1이음새보다도 아래에 위치하고, 상기 4개의 지주가 상기 파레트에 취부된 상태로, 상기 제1및 제2연결부재는 각각 서로 교차하게 위치함과 동시에, 각 제1연결부재는, 그 길이방향의 일단이 상기 파레트의 각변에서의 서로 이웃한 2개의 지주 가운데 한 지주에 취부된 제1이음새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더하여 그 길이방향쪽 타단이, 서로 이웃한 2개의 지주 가운데 다른 지주에 취부된 제2이음새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각 제2의 연결부재는, 그 길이방향측 일단이, 상기 다른 지주에 취부된 제1이음새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더하여 그 길이방향의 타단이 상기 한 지주에 취부된 제2의 이음새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제1 및 제2 이음새 중 적어도 한쪽이, 이들 취부된 각 지주에 대해서, 그 길이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조립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운반보관장치.
  25. 물품이 재치되는 파레트와, 그 물품에 관한 정보가 표시되어 있고 해당 물품의 적어도 일부를 덮는 커버와, 상기 파레트의 네 구석에 해당 파레트의 물품재치면에 대해서 거의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로 착탈가능하게 취부되는 제1 내지 제4의 지주와, 제1 내지 제4의 각 지주에 각각 그 길이방향을 따라서 취부된 제1 내지 제3의 이음새와, 상기 파레트의 각변에서 서로 이웃하게 취부된 제1 및 제2의 지주, 제2 및 제3의 지주, 제3 및 제4의 지주, 및 제4 및 제1의 지주의 각각을 서로 연결하는 제1 및 제2의 연결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4개의 지주가 파레트에 취부된 상태로 상기 제2 및 제3이음새는 제1이음새보다도 아래쪽에 위치하고, 더하여 제2이음새는 제3이음새보다도 아래쪽에 위치하여 있고, 상기 제1 내지 제4지주가 상기 파레트에 취부된 상태로 상기 각 제1 및 제2 연결부재는, 각각 서로 교차한 상태로 위치함과 동시에, 상기 파레트의 제1변에서 서로 이웃하게 취부된 제1 및 제2지주사이에 구비된 제1의 연결부재와, 그 길이방향측의 일단이, 제1지주에 취부된 제1이음새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거기에 그 길이방향측 타단이, 제2지주에 취부된 제2이음새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제1 및 제2지주간에 구비된 제2 연결부재는, 그 길이방향측의 일단이 제2지주에 취부된 제1이음새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거기에 그 길이방향측이 타단이 제1지주에 취부된 제2이음새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파레트의 상기 제1변에서 서로 이웃하게 취부된 제2 및 제3 지주간에 설치된 제1연결부재는, 그 길이방향측의 일단이, 제2지주에 취부된 제1이음새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거기에 길이방향측의 타단이, 제3지주에 취부된 제3이음새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제2 및 제3 지주간에 설치된 제2의 연결부재는, 그 길이방향측의 일단이 제3지주에 취부된 제1이음새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더하여 그 길이방향측의 타단이 제2지주에 취부된 제3이음새에 호동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파레트의 상기 제2변의 옆에 위치한 제3변에서 서로 이웃하게 취부된 제3 및 제4지주간에 설치된 제1연결부재는, 그 길이방향측의 일단이, 제3지주에 취부된 제1이음새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더하여 그 길이방향측의 타단이, 제4지주에 취부된 제2이음새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제3 및 제4지주사이에 설치된 제2의 연결부재는, 그 길이방향측의 일단이 제4지주에 취부된 제1이음새에 호동가능하게 연결되고, 더하여 그 길이방향측의 타단이 제3지주에 취부된 제2이음새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파레트의 상기 제3변에 이웃한 제4변에서 서로 이웃하게 취부된 제4 및 제1지주간에 구비된 제1연결부재는, 그 길이방향측의 일단이, 제4지주에 취부된 제1이음새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더하여, 그 길이방향측의 타단이, 제1지주에 취부된 제3이음새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제4 및 제1지주간에 구비된 제2의 연결부재는, 그 길이방향측의 일단이, 제1지주에 취부된 제1이음새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덧붙여 그 길이방향측의 타단이 제4지주에 취부된 제3이음새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제1 내지 제3 이음새 중의 적어도 제2 및 제3이음새가, 이렇게 취부된 각 지주에 대해서, 그 길이방향측으로 이동가능하게 조립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운반보관장치.
  26. 제19항 내지 제2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가 물품을 포장하는 가요(可撓)성의 주머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운반보관장치.
  27. 제19항 내지 제2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가, 물품을 포장하는 적어도 2매의 가요성 주머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운반보관장치.
  28. 제19항 내지 제2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파레트는, 그 물품재치면과는 반대측에, 다른 물품운반보관장치의 상부가 착탈가능하게 연결되는 연결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운반보관장치.
  29. 물품이 재치되는 파레트와, 그 파레트상에 재치된 물품을 둘러싸도록 상기 파레트에 착탈가능하게 취부되는 복수의 지주와, 서로 이웃하는 2개의 지주간의 간격을 조정가능하게, 해당 2개의 지주끼리 각각 연결하는 연결수단과, 상기 복수의 지주가 파레트에 취부된 상태에서 적어도 2개의 지주 상부를 연결하여 양 지주간의 간격을 제한하는 규제(規制)수단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운반보관장치.
  30. 물품이 재치되는 파레트와, 그 파레트의 물품재치면에 대해서 거의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에서, 착탈가능하게 취부되는 4개의 지주와, 서로 이웃하게 위치하는 2개의 지주간의 간격을 조정가능하게 해당 2개의 지주를 각각 연결하는 연결수단과, 상기 4개의 지주가 파레트에 취부된 상태에서 적어도 2개의 지주 상부를 연결하여 양 지주간의 간격을 제한하는 규제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운반보관장치.
  31. 제29항 또는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수단은, 서로 이웃하게 위치하는 두 지주간의 간격이, 모두 같은 비율로 변화하도록, 해당 간격을 상호연동하여 조정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운반보관장치.
  32. 제29항 또는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수단은, 서로 이웃하게 위치하는 두 지주간의 간격과, 그 두 지주와 마주보고 서로 이웃하게 위치한 다른 두개의 지주간의 간격이 같은 비율로 변화하도록 해당 간격을 상호 연동하여 조정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운반보관장치.
  33. 물품이 재치되는 파레트와, 그 파레트의 물품재치면에 대해서 거의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로 착탈가능하게 취부되는 4개의 지주와, 각 지주에 각각 그 길이방향을 따라서 치부되는 제1 및 제2이음새와, 서로 이웃하게 위치하는 두 지주를 각각 서로 연결하는 제1 및 제2 연결부재와, 상기 4개의 지주가 파레트에 취부된 상태에서 적어도 2개의 지주 상부를 연결하여 양 지주간의 간격을 제한하는 규제수단을 구비하고,
    4개의 지주가 상기 파레트에 취부된 상태로, 상기 제2이음새는 제1이음새보다도 아래쪽에 위치하고, 상기 4개의 지주가 상기 파레트에 취부된 상태에서, 상기 제1 및 제2 연결부재는, 각각 서로 교차하게 위치함과 동시에, 각 제1연결부재는, 그 길이 방향측의 일단이 서로 이웃하게 위치하는 2개의 지주중의 한 지주에 취부된 제1이음새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거기에 그 길이방향측 타단이, 서로 이웃하게 위치하는 2개의 지주중 다른 쪽 지주에 취부되는 제2이음새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각 제2의 연결부재는 그 길이방향측의 일단이, 상기 다른 지주에 취부된 제1의 이음새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더하여 그 길이방향측 타단이, 상기 한 지주에 취부된 제2이음새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제1 및 제2 이음새중 적어도 한 쪽이, 이렇게 취부된 각 지주에 대해서, 그 길이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조립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운반보관장치.
  34. 물품이 재치되는 파레트와, 그 파레트의 물품재치면에 대해서 거의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에서 착탈가능하게 취부되는 제1 내지 제4의 지주와, 제1 내지 제4의 각 지주에 각각 그 길이방향을 따라서 취부되는 제1 내지 제3의 이음새와, 서로 이웃하게 위치하는 제1 및 제2지주, 제2 및 제3지주, 제3 및 제4지주, 및, 제4 및 제1지주의 각각을 서로 연결하는 제1 및 제2 연결부재와, 상기 4개의 지주가 파레트에 재치된 상태에서 적어도 2개의 지주의 상부를 연결하여 양 지주간의 간격을 제한하는 규제수단을 구비하고,
    4개의 지주가 파레트에 취부된 상태에서, 상기 제2 및 제3 이음새는, 제1이음새보다도 아래쪽에 위치하고, 제2이음새는 제3이음새보다도 아래쪽에 위치하여 있고, 상기 제1 내지 제4 지주가 상기 파레트에 취부된 상태에서, 상기 각 제1 및 제2 연결부재는, 각각 서로 교차한 상태로 위치함과 동시에, 서로 이웃하게 위치한 제1 및 제2 지주간에 구비된 제1 및 제2 연결부재의 각 길이방향측 일단이, 제1 및 제2 지주에 각각 취부된 제1이음새에 각각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그 길이방향측의 타단이, 제2 및 제1 지주에 각각 취부된 제2이음새에 각각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서로 이웃하게 위치하는 제2 및 제3 지주간에 구비된 제1 및 제2 연결부재의 길이방향측 일단이, 제2 및 제3 지주에 각각 취부된 제1이음새에 각각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면서, 그 길이방향측의 타단이 제3 및 제2 지주에 각각 취부된 제3 이음새에 각각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서로 이웃하게 위치하는 제3 및 제4지주간에 구비된 제1 및 제2연결부재의 각 길이방향측 일단이, 제3 및 제4의 지주에 각각 취부된 제1이음새에 각각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면서, 그 길이방향측의 타단이 제4 및 제3 지주에 각각 취부된 제2이음새에 각각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서로 이웃하게 위치하는 제4 및 제1 지주 간에 구비되는 제1 및 제2의 연결부재의 각 길이방향측의 일단이, 제4 및 제1 지주에 각각 취부된 제1이음새에 각각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면서, 그 길이방향측 타단이, 제1 및 제4 지주에 각각 취부된 제3이음새에 각각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제1 내지 제3 이음새중 적어도 제2 및 제3 이음새가, 이렇게 취부된 각 지주에 대해서, 그 길이방향측으로 이동가능하게 조립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운반보관장치.
  35. 제29항 내지 제3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규제수단은 복수의 지주에 걸쳐놓여져 이들 지주의 상부를 연결하는 가교부재를 구비하고, 그 가교부재는, 그 위에 재치된 다른 물품운반보관장치의 파레트의 계합(係合)부가, 해당 가교부재의 길이 방향측으로 접을 수 있게 감합하는 안내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운반보관장치.
  36.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파레트의 계합(係合)부와 상기 가교부재의 안내부 가운데 한쪽의 횡단면형상이 산(山)형상으로 형성되고, 다른 쪽의 횡단면형상이 상기 산(山)형상의 부분에 상대적으로 접을 수 있게 감합하는 홈(溝)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운반보관장치.
  37. 제35항 또는 제36항에 있어서, 상기 다른 물품운반보관장치가 그 아래의 물품운반보관장치에 대해서 소정의 위치를 차지하였을 때, 상기 파레트의 계합(係合)부를, 상기 안내부를 갖는 가교부재에 대해서 걸려 멈추게 하는 스토퍼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운반보관장치.
  38. 제29항 내지 제3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규제수단은 지주에 대해서 착탈가능하게 취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운반보관장치.
  39. 제38항에 있어서, 상기 파레트는 상기 지주로부터 떨어진 규제수단을 수납하기 위한 수납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운반보관장치.
  40. 물품이 재치되는 물품재치면을 구비하는 파레트와, 상기 파레트의 물품재치면에 재치된 물품을 둘러싸도록 그 파레트에 착탈가능하게 취부되는 복수의 지주와, 서로 이웃하는 2개의 지주간의 간격을 조정가능하게 해당 두 지주끼리 각각 연결하는 연결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파레트의 물품재치면과 그 물품재치면이외의 적어도 일부 파레트부분과에 단차이가 형성되고, 상기 파레트를 수평면상에 두고, 그 물품재치면상에 물품을 넣었을 때, 상기 파레트부분과 그 윗방향의 물품과의 사이에, 물품승강장치의 물품지지부재가 투입되는 틈이 형성되도록, 상기 단차이의 크기가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운반보관장치.
  41. 제40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지주와, 상기 연결수단을 구성하는 연결부재가, 그 지주를 파레트로부터 떼어낸 상태에서 마음대로 접을 수 있는 지주유니트를 구성하여 두고, 접혀진 지주유니트를, 상기 파레트부분에 수납가능하게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운반보관장치.
  42. 제41항에 있어서, 상기 파레트를 수평면상에 놓은 상태로 상기 파레트부분에서 접힌 지주유니트를 수납하였을 때, 상기 지주유니트의 높이가, 물품재치면의 높이보다도 낮게 되도록 상기 단차이의 크기가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운반보관장치.
  43. 제40항 내지 제4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물품재치면이, 파레트본체에 대한 위치를 조정가능하게, 그 파레트 본체에 고정된 받침부재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운반보관장치.
  44. 제40항 내지 제4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파레트의 물품재치면에 대해서 거의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로 그 파레트에 착탈가능하게 취부되는 4개의 지주를 구비하고, 상기 연결수단은, 서로 이웃하게 위치하는 두개의 지주 사이의 간격이, 모두 같은 비율로 변화하도록, 해당 간격을 상호 연동하여 조정하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운반보관장치.
  45. 제40항 내지 제4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파레트의 물품재치면에 대해서 거의 수직하게 세워진 상태이고, 그 파레트에 착탈가능하게 취부되는 4개의 지주를 구비하고, 상기 연결수단은, 서로 이웃하게 위치하는 두 지주간의 간격과, 그 두 지주에 대향하고 더하여 서로 이웃하게 위치하는 다른 두 지주간의 간격이 같은 비율로 변화하도록 해당 간격을 서로 상호연동하여 조정하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운반보관장치.
  46. 제40항 내지 제4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파레트의 물품재치면에 대해서 거의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로, 그 파레트에 착탈가능하게 취부되는 4개의 지주를 구비하고, 상기 연결수단이, 각 지주에 각각 그 길이방향을 따라서 취부된 제1 및 제2이음새와, 서로 이웃하게 위치하는 두 지주를 각각 서로 연결하는 제1 및 제2 연결부재를 구비하고,
    4개의 지주가 상기 파레트에 취부된 상태에서, 상기 제2이음새는 제1이음새보다도 아래쪽에 위치하고, 상기 4개의 지주가 그 파레트에 취부된 상태에서 상기 제1 및 제2 연결부재는, 각각 서로 교차하여 위치함과 동시에, 각 제1연결부재는, 그 길이방향의 일단이, 서로 이웃하게 위치하는 두 지주 가운데 한 지주에 취부된 제1이음새에 호동가능하게 연결되고, 덧붙여 그 길이 방향쪽 타단이, 서로 이웃하게 위치하는 두 지주가운데 다른 쪽 지주에 취부된 제2이음새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각 제2의 연결부재는, 그 길이방향쪽 일단이, 상기 다른쪽 지주에 취부된 제1이음새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덧붙여 그 길이방향쪽 타단이, 상기 한 지주에 취부된 제2의 이음새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제1 및 제2 이음새의 적어도 한쪽이, 이들 취부된 각 지주에 대해서, 그 길이방향쪽으로 이동가능하게 조립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운반보관장치.
  47. 제1항 내지 제4항 및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파레트의 물품재치면에 대해서 거의 수직하게 세워진 상태로, 그 파레트에 착탈가능하게 취부된 제1 내지 제4의 지주를 구비하고, 상기 연결수단이, 제1 내지 제4이 각 지주에 각각 그 길이방향쪽을 따라서 취부된 제1 내지 제3의 이음새와, 서로 이웃하게 위치하는 제1 및 제2의 지주, 제2 및 제3의 지주, 제3 및 제4의 지주, 제4 및 제1의 지주 각각을 서로 연결하는 제1 및 제2 연결부재를 구비하고,
    4개의 지주가 파레트에 취부된 상태에서 상기 제2 및 제3의 이음새는, 제1의 이음새보다도 아래쪽에 위치하고, 덧붙여 제2이음새는 제3의 이음새보다도 아래쪽에 위치하여 있고, 상기 제1 내지 제4의 지주가 상기 파레트에 취부된 상태에서, 상기 각 제1 및 제2의 연결부재는, 각각 서로 교차한 상태로 위치함과 동시에, 서로 이웃하게 위치하는 제1 및 제2 지주간에 구비되는 제1 및 제2 연결부재의 각 길이방향쪽의 일단이, 제1 및 제2 지주에 각각 취부된 제1이음새에 각각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덧붙여 그 각 길이방향쪽 타단이, 제2 및 제1지주에 각각 취부된 제2의 이음새에 각각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서로 이웃하게 위치하는 제2 및 제3의 지주 사이에 구비된 제1 및 제2의 연결부재의 각 길이방향쪽 일단이 제2 및 제3의 지주에 각각 취부된 제1이음새에 각각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덧붙여 그 각 길이방향의 타단이, 제3 및 제2 지주에 각각 취부된 제3의 이음새에 각각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서로 이웃하게 위치하는 제3 및 제4의 지주 사이에 구비된 제1 및 제2 연결부재의 각 길이방향측 일단이, 제3 및 제4의 지주에 각각 취부된 제1의 이음새에 각각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덧붙여 그 각 길이방향측의 타단이, 제4 및 제3의 지주에 각각 취부된 제2이음새에 각각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서로 이웃한 제4 및 제1의 지주 사이에 구비된 제1 및 제2의 연결부재의 각 길이방향측의 일단이, 제4 및 제1의 지주에 각각 취부된 제1이음새에 각각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덧붙여 그 길이방향측의 타단이, 제1 및 제4의 지주에 각각 취부된 제3이음새에 각각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제1 내지 제3의 이음새 가운데 적어도 제2 및 제3의 이음새가, 이들 취부된 각 지주에 대해서, 그 길이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조립하여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운반보관장치.
  48. 물품이 재치되는 파레트와, 상기 파레트에 재치된 물품을 둘러사도록 그 파레트에 착탈가능하게 취부되는 북수의 지주와, 서로 이웃하는 두 지주간의 간격을 조정가능하게, 해당 두 지주끼리를 각각 연결하는 연결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지주와 연결수단이, 그 지주를 파레트로부터 떼어낸 상태에서 접을 수 있는 지주유니트를 구비하고 있는 물품운반보관장치에 있어서,
    상기 지주유니트가 떼어진 복수의 파레트를 상하로 겹쳐 쌓았을 때, 그 내부에, 접힌 지주유니트를 수납하는 공간이 구획되어 형성되도록, 그 파레트에 개구(開口)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운반보관장치.
  49. 제48항에 있어서, 상기 지주유니트가 떼어진 복수의 파레트를 상하로 겹쳐 쌓았을때, 파레트끼리의 위치를 결정하는 위치결정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운반보관장치.
  50. 제48항 또는 제49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는 여기에 투입된 지주유니트를 세운 상태로 보호하며 유지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운반보관장치.
  51. 제48항 내지 제5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주유니트가 떼어진 복수의 파레트를 상하로 겹쳐 쌓았을 때, 각 파레트의 개구가 정리되어 대향되도록, 상기 파레트의 개구위치와, 개구면적과, 그 개구의 형태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운반보관장치.
  52. 제48항 내지 제51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가, 파레트의 물품재치면이외의 부분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운반보관장치.
  53. 제48항 내지 제52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가, 파레트본체에 착탈가능하게 취부되는 지주유니트 지지판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운반보관장치.
  54. 제48항 내지 제53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주유니트의 일부를, 상기 개구보다도 크게 형성하고, 그 크게 형성된 지주유니트 부분을 상기 개구의 가장자리에 계합(係合)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운반보관장치.
  55. 제48항 내지 제54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주유니트의 일단을 상기 개구보다도 크게 형성하고, 그 크게 형성된 지주유니트 부분을 상기 개구의 가장자리에 계합(係合)가능하게 하고, 덧붙여 N을 2이상의 정수, T를 1개의 파레트 두께, L을 1개의 지주유니트의 전체길이로 할때,로 되도록, T 및 L의 값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운반보관장치.
  56. 제 55항에 기재된 물품 운반 보관 장치에 있어서, 상기 파렛트에 형성되어진 개구의 수를 N으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을 하는 물품운반보관장치.
  57. 제 55항 또는 제 56항에 기재된 물품운반보관 장치에 있어서, n을 1이상의 정수로 하는 경우 n×N×T의 값이 운송장치에 대한 물품수납공간의 물품 출입구의 높이에서 3cm을 뺀값이하이고, 상기 물품 출입구의 높이에서 10cm를 뺀값이상의 크기로 되도록 N 및 T의 값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운반보관장치.
  58. 제 48항 내지 제 57항의 어느 한항에 기재된 물품운반보관장치에 있어서, 1개의 파렛트에 열어서 펼쳐진 1개의 지주 유니트를 조립하여 부착된 물품운반보관장치를 조립하는 경우의 상기 파렛트와 지주유니판 높이합을 H, n을 1이상의 정수로 한 경우 H×n의 값이 운송장치에 대한 물품수납공간의 물품출입구 높이에서 3cm를 뺀값이하이고, 상기 물품출입구의 높이세어 10cm를 뺀값이상의 크기가 되도록 H값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운반보관장치.
  59. 제 48항 내지 제 58항의 어느 한항에 기재된 물품운반 보관장치에 있어서, 1개의 파렛트의 두께를 T,m을 2이상의 정수로 한 경우, m×T값을 운송장치에 대한 물품수납공간의 물품출입구 높이에서 3cm를 뺀값이하로 하고, 상기 물품출입구의 높이에서 10cm를 뺀값이상의 크기가 되도록 T의 값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운반보관장치.
  60. 제48항 내지 제 59항의 어느 한항에 기재된 물품운반보관장치에 있어서, 상기 개구는 파렛트의 중앙부보다도 상기 팔렛트의 측면 가장자리로 치우친 위치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운반보관장치.
  61. 물품이 놓이는 파레트와, 상기 파렛트에 놓여진 물품을 둘러싸도록 상기 파레트에 착탈가능하게 부착된 복수개의 지주와, 상호 이웃하는 2개의 지주사이의 간격을 조정가능하게 해당 2개의 지주끼를 각각 연결하는 연결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복수개의 지주와 연결수단이 상기 지주를 파레트로부터 분리하는 상태로 접히는 것이 가능한 지주 유니트를 구성한 물품운반보관장치에 있어서,
    상기 파렛트에 지주 유니트를 수납하기 위한 수납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운반보관장치.
  62. 제 61항에 기재된 물품운반보관장치에 있어서, 상기 수납부가 파렛트의 다리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운반보관장치.
  63. 제48항 내지 제 62항의 어느 한항에 기재된 물품운반보관장치에 있어서, 상기 파렛트의 물품 재치(載置)면에 대해서 거의 수직으로 세워진 형태로, 상기 파렛트에 착탈가능하게 취부되어진 4개의 지주를 구비하고, 상기 연결수단은 상호 서로 이웃하여 위치하는 2개의 지주간의 간격이 전부 동일한 비율로 변화되도록 상기 간격을 서로 연동시켜 조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운반보관장치.
  64. 제 48 내지 제62항에 기재된 어느 한항의 물품운반보관장치에 있어서, 상기 파렛트의 물품재치면에 대해서 거의 수직으로 세워진 형태로, 상기 파렛트에 착탈가능하게 취부되어진 4개의 지주를 구비하고, 상기 연결수단은 상호 서로 이웃하게 위치하는 다른 2개의 지주간의 간격과 동일한 비율로 변화되도록 상기 간격을 서로 연동시켜 조정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운반보관장치.
  65. 제48항 내지 제 63항에 기재된 어느 한항의 물품 운반 보관장치에 있어서, 상기 파렛트의 물품 재치면에 대해 거의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로 상기 파렛트에 착탈가능하게 취부되어진 4개의 지주를 구비하고, 상기 연결수단이, 각 지주에 각각 그 길이방향을 따라서 취부되어진 제 1 및 제 2 이음수단과, 상호 서로 이웃하여 위치하는 2개의 지주를 각각 상호 연결하는 제 1 및 제 2 연결부재를 구비하고, 4개의 지주가 상기 파렛트에 취부되어진 상태로 상기 제 2 이음수단과 제 1 이음수단보다 하향으로 위치하고, 상기 4개의 지주가 상기 파렛트에 취부되어진 상태이고, 상기 제 1 및 제 2 연결부재는 각각 상호 교차(cross)되어 위치함과 동시에 각 제 1 연결부재는 그 길이방향 일단측이 상호 서로 이웃하여 위치하는 2개의 지주중 한 개의 지주에 취부되어진 제 1 이음수단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또 그 길이방향의 타단측이 서로 이웃하여 위치하는 2개의 지주중 다른하나의 지주에 취부되어진 제 2 이음수단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제 1 및 제 2 이음수단의 적어도 하나가 취부된 각 지주에 대해서 그 길이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끼워져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운반보관장치.
  66. 제 48항 내지 제 62항에 기재된 어느 한 항의 물품운반보관장치에 있어서, 상기 파렛트의 물품 재치면에 대해서 거의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로, 상기 파렛트에 착탈가능하게 취부되어진 제 1 내지 제 4 지주를 구비하고, 상기 연결수단은 제 1 내지 제 4 지주 각각의 길이방향을 따라 취부된 제 1 내지 제3 이음수단과 상호 이웃하여 위치하는 제 1 및 제 2 지주, 제 2 지주 및 제 3 지주, 제 3 및 제 4 지주 그리고 제 4 지주 및 제 1 지주 각각을 서로 연결하는 제 1 및 제 2 연결부재를 구비하고, 4개의 지주가 파렛트에 취부되어진 상태로 상기 제 2 및 제 3 이음수단은 제 1 이음수단보다도 하향에 위치하고, 또한 제 2 이음수단은 제 3 이음수단보다도 하향에 위치하고 있고, 상기 제 1 내지 제 4 지주가 상기 파렛트에 취부되어진 상태에서 상기 각 제 1 및 제 2 연결부재는 각각 서로 교차된 상태로 위치함과 동시에 서로 이웃하여 위치하는 제 1 및 제 2 지주간에 설치되어진 제 1 및 제 2 연결부재의 각 길이방향 일단측이 제 1 및 제 2 지주에 각각 취부되어진 제 1 이음수단에 각각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며 또한 그 각 길이방향 타단측이 제 2 및 제 1 지주에 각각 취부되어진 제 2 이음수단에 각각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상호 이웃하여 위치하는 제 2 및 제 3 지주간에 설치된 제 1 및 제 2 연결부재의 각 길이방향 일단측이 제 2 및 제 3의 지주에 각각 취부된 제 1 이음수단에 각각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며 또한, 그 각 길이방향 타단측이 제 3 및 제 2 지주에 각각 취부되어진 제 3 이음수단에 각각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상호 이웃하여 위치하는 제 3 및 제 4 지주간에 설치된 제 1 및 제 2 연결부재의 각 길이방향 일단측이 제 3 및 제 4 지주에 각각 취부된 제 1 이음수단에 각각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며 또한 그 각 길이방향 타단측이 제 4 및 제 3 지주에 각각 취부되어진 제 2 이음수단에 각각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상호 이웃하여 위치하는 제 4 및 제 1 지주간에 설치된 제 1 및 제 2 연결부재의 각 길이방향 일단측이 제 4 및 제 1 지주에 각각 취부된 제 1 이음수단에 각각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또한 그 각 길이방향 타단측이 제 1 및 제 4 지주에 각각 취부되어진 제 3 이음수단에 각각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제 1 내지 제 3 이음수단 중 적어도 제 2 및 제 3 이음수단은 그들에 취부되어진 각 지주에 대해서 그 길이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끼워져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운반보관장치.
  67. 물품이 재치되는 파렛트와, 상기 파렛트에 재치되어진 물품을 둘러싸도록 상기 파렛트에 착탈가능하게 취부되어진 복수개의 지주와, 상호 이웃하는 2개의 지주간의 간격을 조정가능하게 상기 2개의 지주 끼리 각각 연결하는 연결수단과, 상기 파렛트에 재치된 물품을 상기 파렛트에 대해서 위치결정하기 위한 위치결정수단을 구비한 물품운반보관장치.
  68. 물품이 재치되는 파렛트와, 상기 파렛트에 재치되어진 물품을 둘러싸도록 상기 파렛트에 착탈가능하게 취부되어지는 복수개의 지주와, 상호 이웃하는 2개의 지주간의 간격을 조정가능하게 상기 2개의 지주끼리를 각각 연결하는 연결수단과, 상기 파렛트에 재치되어진 물품을 상기 파렛트에 대해서 분해시키는 것이 가능하도록 고정하기 위한 고정 수단을 구비하는 물품운반보관장치
  69. 물품이 재치되는 파렛트와, 상기 파렛트에 재치되어진 물품을 둘러싸도록 상기 파렛트에 착탈가능하게 취부되어진 복수개의 지주와, 상호 이웃하는 2개의 지주간의 간격을 조정가능하도록 상기 2개의 지주끼리를 각각 연결하는 연결수단과, 상기 파렛트에 재치되어진 물품을 상기 파렛트에 대해 위치결정하기 위한 위치결정수단과, 상기 파렛트에 재치되어진 물품을 상기 파렛트에 대해 분해시키는 것이 가능하도록 고정하기 위한 고정 수단을 구비하는 물품운반보관장치.
  70. 제 67 항 또는 제 69항에 기재된 물품운반보관장치에 있어서, 상기 위치결정수단은, 파렛트에 재치된 물품을 상기 파렛트에 대해 위치결정하기 위한 위치결정핀을 구비하고, 상기 위치결정핀이 파렛트에 취부되어진 취부부재에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운반보관장치.
  71. 제 68 항 또는 제 69항에 기재된 물품운반보관장치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이 파렛트에 재치된 물품을 파렛트에 대해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고정부재가 파렛트에 취부되어진 취부부재에 고정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운반보관장치.
  72. 제 70항 또는 제 71항에 기재된 물품운반보관장치에 있어서, 상기 취부부재가 파렛트에 대해 위치조정가능하게 취부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운반보관장치.
  73. 제 67 항 내지 제 72항에 기재된 어느 한 항의 물품운반보관장치에 있어서, 상기 파렛트에 대한 물품의 적재위치의 기준이 되는 마커(marker)를 파렛트에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운반보관장치.
  74. 물품을 재치하는 파렛트와, 상기 파렛트에 재치된 물품을 둘러싸도록 상기 파렛트에 착탈가능하게 취부되는 복수개의 지주와, 상호 이웃하는 2개의 지주간의 간격을 조정가능하게 2개의 해당 지주끼리를 각각 연결하는 연결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파렛트는 파렛트 본체와, 상기 파렛트 본체에 대해 위치조정이 가능하게 고정된 받침부재를 구비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운반보관장치.
  75. 제 74항에 기재된 물품운반보관장치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재를 파렛트 본체에 대해 고정시키는 경우 위치결정 기준이 되는 마커를 파렛트 본체에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운반보관장치.
  76. 제 67 항 내지 제 75항에 기재된 어느 한항의 물품 운반 보관 장치에 있어서, 상기 파렛트의 물품재치면에 대해 거의 수직으로 세운 상태에서 상기 파렛트에 착탈가능하게 취부되어진 4개의 지주를 구비하고, 상기 연결수단은 상호 이웃하여 위치하는 2개의 지주간의 간격을 모두 동일한 비율로 변화시키도록 해당 간격을 상호 연동시켜 조정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운반보관장치.
  77. 제 67항 내지 제 75항에 기재된 어느 한항의 물품운반보관장치에 있어서, 상기 파렛트의 물품재치면에 대해서 거의 수직으로 세운 상태에서 상기 파렛트에 착탈가능하게 취부되어진 4개의 지주를 구비하고, 상기 연결수단은 상호 이웃하여 위치하는 2개의 지주간의 간격과, 그 2개의 지주에 대향해서 상호 이웃하여 위치하는 다른 2개의 지주간의 간격이 동일 비율로 변화되도록 해당 간격을 상호 연동하여 조정할 수 잇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운반보관장치.
  78. 제 67 항 내지 제 76항의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물품운반보관장치에 있어서, 상기 파렛트의 물품 재치면에 대해서 거의 수직으로 세운 상태로, 상기 파렛트에 착탈가능하게 취부되어진 4개의 지주를 구비하고, 상기 연결수단은 각 지주에 각각 그 길이방향을 따라 취부되어진 제 1 및 제 2 이음수단과, 상호 이웃하여 위치하는 2개의 지주를 각각 서로 연결하는 제 1 및 제 2 연결부재를 구비하고, 4개의 지주가 상기 파렛트에 취부되어진 상태에서 상기 제 2 이음수단은 제 1 이음수단보다 아래방향에 위치하고, 상기 4개의 지주가 상기 파렛트에 취부되어진 상태에서 상기 제 1 및 제 2 연결부재는 각각 서로 교차되어 위치함과 동시에 제 1 연결부재는 그 길이방향 일단측이 서로 이웃하여 위치하는 2개의 지주 중 일측의 지주에 취부되어진 제 1 이음수단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또한 그 길이방향 타단측이 서로 이웃하여 위치하는 2개의 지주 중 타측의 지주에 취부되어진 제 2 이음수단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제 2 연결부재는 그 길이방향 일단측이 상기 타측의 지주에 취부되어진 제 1 이음수단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또한 그 길이방향의 타단측이 상기 일측의 지주에 취부되어진 제 2 이음수단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제 1 및 제 2 이음수단의 적어도 이들에 취부된 각 지주에 대해서 그 길이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끼워져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운반보관장치.
  79. 제 67 항 내지 제 75 항 및 제 77항의 어느 한항에 기재된 물품운반보관장치에 잇어서, 상기 파렛트의 물품재치면에 대해 거의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에서, 상기 파렛트에 착탈가능하게 취부되어진 제 1 내지 제 4 지주를 구비하고, 상기 연결수단은 제 1 내지 제 4 의 각 지주에 각각 그 길이방향을 따라 취부되어진 제 1 및 제 3 이음수단과 상호 이웃하여 위치하는 제 1 및 제 2 지주, 제 2 및 제 3 지주, 제 3 및 제 4 지주, 그리고 제 4 및 제 1 지주 각각을 서로 연결하는 제 1 및 제 2 연결수단을 구비하고, 4개의 지주가 파렛트에 취부되어진 상태에서 상기 제 2 및 제 3 이음수단은 제 1 이음수단보다도 아랫방향에 위치하고, 또한 제 2 이음수단은 제 3 이음수단보다도 아랫방향에 위치하고 있으며, 상기 제 1 내지 제 4 지주가 상기 파렛트에 취부되어진 상태에서 상기 각 제 1 및 제 2 연결수단은 각각 서로 교차된 상태로 위치함과 동시에 서로 이웃하여 위치하는 제 1 및 제 2 지주간에 설치되어진 제 1 및 제 2 연결부재와, 상기 제 1 및 제 2 지주에 대향해서 위치하는 제 3 및 제 4 지주간에 설치된 제 1 및 제 2 연결수단의 길이방향 각 일단측이 제 1 및 제 2 지주와 제 3 및 제 4 지주에 각각 취부되어진 제 1 이음수단에 각각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또한 그 각 길이방향의 타단측이 제 1 및 제 2 지주와 제 3 및 제 4 지주에 각각 취부되어진 제 2 이음수단에 각각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상호 이웃하여 위치하는 제 2 및 제 3 지주간에 설치된 제 1 및 제 2 연결부재와, 상기 제 2 및 제 3 지주에 대향해서 위치하는 제 4 내지 제 1 지주간에 설치된 제 1 및 제 2 연결부재의 각 길이방향 일단측이 제 2 및 제 3 지주와 제 4 및 제 1 지주에 각각 취부되어진 제 1 이음수단에 각각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또한 그 각 길이방향 타단측이 제 2 및 제 3 지주와 제 4 및 제 1 지주에 각각 취부되어진 제 3 이음수단에 각각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제 1 내지 제 3 이음수단중 적어도 제 2 및 제 3 이음수단이 이들에 취부되어진 각 지주에 대해서 그 길이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끼워져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운반보관장치.
  80. 제 67 항 내지 제 79항의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물품운반보관장치에 있어서, 위치결정수단과 협동해서 파렛트에 대한 물품의 위치결정을 수행하는 물품위치결정수단과, 상기 고정수단과 협동해서 파렛트에 대한 물품 고정을 수행하는 물품측고정수단 중 적어도 하나를 구비하는 물품운반보관장치에 따라 운반된 물품,
  81. 제 80항에 기재된 물품에 있어서, 상기 물품측위치결정수단이 상기 파렛트에 설치되어진 위치결정수단을 구성하는 체결부에 체결가능한 물품하부의 다리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
  82. 제 81항에 기재된 물품에 있어서, 그 물품이 공업제품이고, 서로 상이한 적어도 2기종의 공업제품에 대해 상호 대응하는 다리부간의 간격이 각각 거의 동등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
  83. 제 80항에 기재된 물품에 있어서, 상기 물품측고정수단이 그 물품본체내에 있고, 상기 물품 본체의 개구에 개폐가능하게 취부되어진 커버 내측에 배치되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
  84. 제 80항에 기재된 물품에 있어서, 상기 물품측위치결정수단이 파렛트로의 물품의 위치결정이외의 용도에도 이용할 수 있는 구멍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
  85. 제 80 항 또는 제 83항에 기재된 물품에 있어서, 상기 물품측고정수단이 파렛트로의 물품의 고정이외의 용도에도 이용할 수 있는 구멍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
KR10-1999-0012559A 1998-04-10 1999-04-09 물품운반보관장치 및 그 장치에 의해 운반된 물품 KR10039340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0-116178 1998-04-10
JP11617898 1998-04-10
JP11-059508 1999-03-05
JP11059508A JP2000255572A (ja) 1999-03-05 1999-03-05 物品運搬保管装置
JP06069799A JP3948691B2 (ja) 1999-03-08 1999-03-08 物品運搬保管装置
JP11-060697 1999-03-08
JP11-062447 1999-03-09
JP6244799A JPH11348985A (ja) 1998-04-10 1999-03-09 物品運搬保管装置
JP6785899 1999-03-15
JP11-067645 1999-03-15
JP11067645A JP2000264335A (ja) 1999-03-15 1999-03-15 物品運搬保管装置
JP11-067858 1999-03-15
JP11-071890 1999-03-17
JP11071890A JP2000264337A (ja) 1999-03-17 1999-03-17 物品運搬保管装置及びその装置により運搬される物品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83096A true KR19990083096A (ko) 1999-11-25
KR100393407B1 KR100393407B1 (ko) 2003-08-02

Family

ID=275649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12559A KR100393407B1 (ko) 1998-04-10 1999-04-09 물품운반보관장치 및 그 장치에 의해 운반된 물품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6293400B1 (ko)
KR (1) KR100393407B1 (ko)
CN (1) CN1173862C (ko)
DE (1) DE1991605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463863B1 (en) * 1999-07-07 2002-10-15 Ricoh Company, Ltd. Commodity carrying and storing apparatus
JP3888809B2 (ja) * 1999-09-03 2007-03-07 株式会社リコー 物品運搬保管装置
US20020008048A1 (en) * 2000-05-08 2002-01-24 Ricoh Company, Ltd. Method of and system for managing rack operation, method of and system for managing multistage rack, article conveyance and storage device, and computer product
DE10205681C2 (de) * 2002-02-12 2003-12-11 Zeiss Carl Meßgerät
JP3979638B2 (ja) * 2002-07-05 2007-09-19 株式会社リコー 物品運搬保管装置
JP4050145B2 (ja) * 2002-12-26 2008-02-20 株式会社リコー 梱包方法およびこれに用いる梱包具
US7798352B2 (en) * 2005-02-07 2010-09-21 Ricoh Company, Ltd. Packaging device and buffer
US8157093B2 (en) * 2007-07-17 2012-04-17 Ricoh Company, Ltd. Packing unit
JP4512122B2 (ja) * 2007-08-08 2010-07-28 芳満 浅野 パレット
EP2163486A3 (en) * 2008-09-16 2012-11-28 Philip John Fox Harris Transport pallet
CN103053045B (zh) * 2010-08-24 2016-03-30 日本碍子株式会社 组合电池用支架
DE202013000624U1 (de) * 2012-09-21 2013-03-07 Mauser-Werke Gmbh Palettencontainer
CN106005739B (zh) * 2016-07-25 2018-06-26 安徽三联学院 包裹包装架
JP6341578B2 (ja) * 2016-12-06 2018-06-13 株式会社不二宮製作所 形状可変枠体および形状可変立体構造物
CN108163319A (zh) * 2017-12-29 2018-06-15 惠州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折叠式架子
KR200489257Y1 (ko) * 2019-01-11 2019-08-28 이승옥 파레트 조립체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700521A (en) * 1947-11-10 1955-01-25 Sidney D Lapham Pallet separator
GB806054A (en) 1955-12-30 1958-12-17 Bibby & Baron Ltd Improvements in collapsible containers
GB1137244A (en) 1967-09-11 1968-12-18 Erik Nobel A framework for use with a load-bearing plate
FR2265624A1 (en) 1974-04-02 1975-10-24 Perurena Palettes Support frame for the stacking of pallets - has two U-shaped frames pivotally joined at their centres
JPS5149880A (en) 1974-10-28 1976-04-30 Iwao Ikegami Fukurojokontenano wakutaito paretsutotono kumiawasekozobutsu
US4002126A (en) * 1974-11-11 1977-01-11 Said Thomas N. Depew, By Said Ferris Andrew Bell Pallet construction
JPS5531622A (en) 1978-08-25 1980-03-06 Shin Meiwa Ind Co Ltd Transport truck
CH636817A5 (de) 1979-06-12 1983-06-30 Ferdinand Rigo Transportbehaelter.
JPS57105230A (en) 1980-12-22 1982-06-30 Babcock Hitachi Kk Carbon monoxide absorbing liquid
KR880002260A (ko) 1986-07-09 1988-04-30 로버트 에스. 헐스 열적으로 향상된 대규모 집적회로 패키지 및 집적회로 다이의 장착방법
JPS63152460A (ja) 1986-12-15 1988-06-24 カネボウ株式会社 ソフト布帛の製造方法
JPH01176060A (ja) 1987-12-28 1989-07-12 Sumitomo Metal Ind Ltd アルミ化合物被覆鋼材とその製造方法
FR2660910A1 (fr) 1990-04-11 1991-10-18 Neri Daniel Structure support de charges, notamment porte-palettes, repliable.
DE4116171A1 (de) 1991-05-17 1992-11-19 Manfred Eder Vorrichtung fuer den transport und die aufstellung von insbesondere im block gestapelten wareneinzel- und -mehrfachverpackungen
US5429236A (en) * 1992-05-01 1995-07-04 Wangaratta Industries Pty. Ltd. Container support
JPH06286752A (ja) 1993-03-29 1994-10-11 Showa Alum Corp 通箱兼用折畳み式運搬台車
FR2711112B1 (fr) 1993-10-13 1995-12-15 Rhone Poulenc Films Dispositif de positionnement de bobine et procédé d'emballage utilisant ce dispositif.
US5694638A (en) 1995-07-13 1997-12-02 Ricoh Company, Ltd. Image generating device
GB2307220A (en) 1995-11-15 1997-05-21 Graham Andrew Varney Folding Pallet Support Frame
SK279898B6 (sk) 1997-07-18 1999-05-07 Putre Zariadenie na udržanie tyčového tovaru na plochých
JPH1162447A (ja) 1997-08-26 1999-03-05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門 柱
US6079560A (en) * 1997-11-07 2000-06-27 Champion; Robert D. Pallet and bin wrap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238286A (zh) 1999-12-15
DE19916050A1 (de) 1999-11-18
KR100393407B1 (ko) 2003-08-02
US6293400B1 (en) 2001-09-25
CN1173862C (zh) 2004-1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93407B1 (ko) 물품운반보관장치 및 그 장치에 의해 운반된 물품
KR101343533B1 (ko) 운반 유닛 및 운반 유닛 제조 방법
JP4912345B2 (ja) 物品運搬保管装置
US7896159B2 (en) Packaging container and method
US8905254B2 (en) Transport of goods
US20050150194A1 (en) Carrier apparatus
US5494167A (en) Returnable case
US20080083821A1 (en) Integrated appliance container for support during assembly transport and display
EP2266884A1 (en) An apparatus for transportation
JP4329064B2 (ja) 板状物の梱包体及びその梱包方法
KR102150318B1 (ko) 골판지에 종이 보강대를 이용한 포장박스의 보강구조
KR101666632B1 (ko) 운송 유닛 및 운송 유닛을 제조하는 방법
US5275289A (en) Frame container support and stackable container system using same
JP3225848U (ja) 折り畳み式ラック
JPH11348985A (ja) 物品運搬保管装置
JP4596482B2 (ja) 物品運搬保管装置
JP5134910B2 (ja) 輸送用ラック
JP2014237482A (ja) 板材搬送用架台およびその梱包体
JP4192050B2 (ja) ケーブル輸送用梱包装置
CA2404245A1 (en) Collapsible transport container
CN217199189U (zh) 一种用于运输发动机的物流架
WO2023042653A1 (ja) ガラス板梱包体
GB2349135A (en) Article transporting/storing apparatus
WO1996017784A2 (en) Cardboard pallet
JP2007015864A (ja) フィルムロール包装体搬送用架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708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