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78390A - 인쇄화상 작성방법 및 그 장치, 그 장치를 구비한 인쇄장치 - Google Patents

인쇄화상 작성방법 및 그 장치, 그 장치를 구비한 인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78390A
KR19990078390A KR1019990010935A KR19990010935A KR19990078390A KR 19990078390 A KR19990078390 A KR 19990078390A KR 1019990010935 A KR1019990010935 A KR 1019990010935A KR 19990010935 A KR19990010935 A KR 19990010935A KR 19990078390 A KR19990078390 A KR 199900783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size
print
variable size
reduction rati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109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도요사와요시야
와타나베겐지
스에타니다쿠야
오가와기요시
심무라도모유키
Original Assignee
야스카와 히데아키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미야모또 아끼라
가부시끼가이샤 킹 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야스카와 히데아키,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미야모또 아끼라, 가부시끼가이샤 킹 짐 filed Critical 야스카와 히데아키
Publication of KR199900783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78390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3/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or mark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which they are constructed
    • B41J3/407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or mark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which they are constructed for marking on special material
    • B41J3/4078Printing on texti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1/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eet or web form
    • B41J11/008Controlling printhead for accurately positioning print image on printing material, e.g. with the intention to control the width of margi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Record Information Processing For Printing (AREA)
  • Editing Of Facsimile Originals (AREA)
  • Printers Characterized By Their Purpose (AREA)
  • Dot-Matrix Printers And Others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Abstract

인쇄 대상물 상의 미리 설정된 인쇄영역 내에 인쇄하기 위한 인쇄화상을 작성하는 방법 및 장치 및 그 장치를 포함하는 인쇄장치가 제공된다. 적어도 1개의 고정 크기 요소화상 및 적어도 1개의 가변 크기 요소화상으로 이루어지는 복수의 요소화상을 갖는 기초화상을 작성한다. 상기 기초화상을 상기 인쇄화상으로서 상기 인쇄영역 내에 인쇄 불가능한 경우, 상기 기초화상의 상기 적어도 1개의 가변 크기 요소화상 중의 적어도 1개를 축소함으로써, 상기 기초화상의 축소화상을 상기 인쇄화상으로서 작성한다.

Description

인쇄화상 작성방법 및 그 장치, 그 장치를 구비한 인쇄장치{Print image-forming method and device and printing apparatus incorporating the device}
본 발명은, 예를 들면 일정 길이(定長) 인쇄가 가능한 테이프 인쇄장치 등의 인쇄장치에 사용되고, 인쇄대상물 상의 미리 설정된 인쇄영역 내에 인쇄하기 위한 인쇄화상을 작성하는 인쇄화상 작성방법과 그 장치, 및 그 장치를 구비한 예를 들면 테이프 인쇄장치 등의 인쇄장치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면, 상술한 일정 길이 인쇄가 가능한 테이프 인쇄장치 등에서는, 테이프의 인쇄영역의 길이(테이프 길이)나 전후 여백 등(앞 여백 길이 및 뒤 여백 길이)을 설정하고, 인쇄후에 소정의 절단위치에서 테이프를 절단함으로써, 소정 길이의 라벨 등을 제작할 수 있다.
즉, 설정된 길이 등에 의해 제한되는 인쇄영역 내에 소망하는 인쇄화상을 인쇄할 필요가 있다. 이 때문에, 이 종류의 테이프 인쇄장치에 사용되는 인쇄화상 작성장치에서는, 미리 설정된 인쇄영역에 인쇄가 가능하도록, 인쇄화상을 작성할 필요가 있다.
한편, 이 종류의 테이프 인쇄장치로는, 테이프의 세로방향에 복수의 단락을 차례로 인쇄할 수 있고, 각 단락에는 입력된 문자를 나열한 문자열을 1행 또는 복수 행에 걸쳐 인쇄할 수 있고, 각 행의 문자크기를 각 행마다 임의로 지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행수가 많은 단락 등에 대한 각 행의 크기 지정의 번거로움을 피하기 위해서, 도 17a 내지 17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단락마다 그 모든 행을 일괄해서 크기 지정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예를 들면, 소위 「문자 크기 균등 모드」에서는, 도 17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복수 행(도시에서는 3행)의 모든 각 행에 대하여, 동일 문자 크기를, 테이프 폭과 행수에 따라서, 자동적으로 설정한다.
또한, 「문자 크기 일임 모드」에서는, 도 17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행의 문자열의 문자수에 따라서, 문자수가 큰 행을 작은 문자 크기로서, 길이의 균형이 좋아지도록, 자동적으로 설정한다(일본국 공개특허공보 제(평)7-125376호 참조).
나아가, 도 17c의「문자 크기 메뉴 모드」에서는, 예를 들면, ??대중소」의 추상적이고 또한 상대적인 문자크기 설정을 선택하며, 1행 째가「대」, 2행 째가「중」, 및 3행 째가「소」인 문자크기가 되도록, 자동적으로 설정한다(일본국 공개특허공보 제(평)6-143690호 참조).
그러나, 예를 들면 상기한 바와 같이 단락마다 여러 가지의 크기설정 모드의 지정을 할 수 있는 종래의 테이프 인쇄장치에 있어서도, 인쇄화상의 근간이 되는 기초화상을 작성하여, 일정 길이 설정을 한 경우에, 작성한 기초화상이 설정된 일정 길이 범위(일정 길이영역)에 인쇄가 불가능할 때에는, 각 단락 등의 구별 없이, 그 설정된 일정 길이영역에 맞도록, 일률적으로 기초화상을 축소함으로써, 그 일정 길이영역에 인쇄 가능한 인쇄화상이 작성되고, 인쇄된다.
즉, 여러 가지의 크기설정 모드 등을 구사하여 기초화상을 작성하였음에도 불구하고, 그 기초화상 작성시의 사용자의 의도는, 작성한 기초화상이 설정된 일정 길이영역에 인쇄 불가능할 때에는, 무시되게 된다.
예를 들면, 이 종래의 테이프 인쇄장치에서는, 비디오 등의 타이틀 부분을 동일 크기로 정돈한 라벨을 제작하여, 그 라벨을 붙인 복수의 비디오 등을 모두 보관하고 싶은 경우라도, 그 중요한 타이틀 부분의 단락이 다른 중요하지 않은 단락과 마찬가지로 일률적으로 축소되므로, 그 결과, 제작되는 라벨의 타이틀 부분도 축소되어, 소망하는 당초의 목적, 즉, 타이틀 부분을 동일 크기로 정돈한 라벨을 제작하는 목적을 만족할 수 없다.
본 발명의 제 1 목적은, 근간이 되는 기초화상을 미리 설정된 인쇄영역 내에 인쇄가 가능하도록 축소하면서, 그 축소결과의 인쇄화상에 기초화상 작성시의 의도를 반영시킬 수 있는, 인쇄화상 작성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 2 목적은, 근간이 되는 기초화상을 미리 설정된 인쇄영역 내에 인쇄가 가능하도록 축소하면서, 그 축소결과의 인쇄화상에 기초화상 작성시의 의도를 반영시킬 수 있는 인쇄화상 작성장치를 구비한 인쇄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제 1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제 1 형태에 의하면,
인쇄대상물 상의 미리 설정된 인쇄영역 내에 인쇄하기 위한 인쇄화상을 작성하는 방법으로서,
적어도 1개의 고정 크기 요소화상 및 적어도 1개의 가변 크기 요소화상으로 이루어지는 복수의 요소화상을 갖는 기초화상을 작성하고;
상기 기초화상을 상기 인쇄화상으로서 상기 인쇄영역 내에 인쇄 불가능한 경우, 상기 기초화상의 상기 적어도 1개의 가변 크기 요소화상 중의 적어도 1개를 축소함으로써, 상기 기초화상의 축소화상을 상기 인쇄화상으로서 작성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제 1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제 2 형태에 의하면,
인쇄대상물 상의 미리 설정된 인쇄영역 내에 인쇄하기 위한 인쇄화상을 작성하는 인쇄화상 작성장치로서,
적어도 1개의 고정 크기 요소화상 및 적어도 1개의 가변 크기 요소화상으로 이루어지는 복수의 요소화상을 갖는 기초화상을 작성하는 기초화상 작성수단 및;
상기 기초화상을 상기 인쇄화상으로서 상기 인쇄영역 내에 인쇄 불가능한 경우, 상기 기초화상의 상기 적어도 1개의 가변 크기 요소화상 중의 적어도 1개를 축소함으로써, 상기 기초화상의 축소화상을 상기 인쇄화상으로서 작성하는 축소화상 작성수단을 구비하는 인쇄화상 작성장치가 제공된다.
이 인쇄화상 작성방법 및 그 장치에서는, 적어도 1개의 고정 크기 요소 화상 및 적어도 1개의 가변 크기 요소화상으로 이루어지는 복수의 요소화상을 갖는 기초화상을 작성하고, 축소 때에는, 가변 크기 요소 화상 중의 적어도 1개를 축소하기 때문에, 인쇄가 가능하도록 기초화상을 축소하여도, 고정 크기 요소화상의 크기는 변하지 않는다.
이 때문에, 예를 들면 중요한 요소화상을 고정 크기 요소 화상, 그렇지 않은 요소화상을 가변 크기 요소화상으로 하는 등, 각 요소화상의 특성에 의해서 그것들을 구별하여 기초화상을 작성하면, 기초화상 작성시의 의도가, 인쇄화상에도 반영된다.
따라서, 이 인쇄화상 작성방법 및 그 장치에서는, 근간이 되는 기초화상을 미리 설정된 인쇄영역 내에 인쇄가 가능하도록 축소하면서, 그 축소결과의 인쇄화상에 기초화상 작성시의 의도를 반영시킬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기초화상을 작성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요소화상을 작성하고, 그리고, 작성된 각 요소화상에 대하여, 그 요소화상이 상기 적어도 1개의 고정 크기 요소화상인지 또는 상기 적어도 1개의 가변 크기 요소화상의 1개인지에 관한 설정을 포함하는 크기특성을 설정하는 각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기초화상 작성수단은, 상기 복수의 요소화상을 작성하는 요소화상 작성수단, 및 작성된 각 요소화상에 대하여, 그 요소화상이 상기 적어도 1개의 고정 크기 요소화상인지 또는 상기 적어도 1개의 가변 크기 요소화상의 1개인지에 관한 설정을 포함하는 크기특성을 설정하는 크기특성 설정수단을 갖는다.
이것들의 바람직한 형태에 의하면, 작성된 각 요소화상에 대하여, 그 요소화상이 고정 크기 요소화상인지 가변 크기 요소화상인가를 설정하기 때문에, 예를 들면 중요한 요소화상을 고정 크기 요소화상으로 하고, 그렇지 않은 요소화상을 가변 크기 요소화상으로 하는 등, 각 요소화상의 요소화상 크기특성을 구별한 기초화상을 작성할 수 있다. 즉, 이것에 의해, 기초화상의 각 요소화상 작성시의 사용자 등의 의도를, 보다 명확히 인쇄화상에도 반영시킬 수 있다.
또한, 요소화상 크기특성을, 작성된 각 요소화상에 대하여 설정할 수 있기 때문에, 인쇄화상이 소망하는 배치가 되지 않거나, 인쇄영역에 인쇄 불가능한 것이 판명되었을 때에, 설정을 변경하는 것으로 대처할 수 있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축소화상을 작성하는 단계는, 상기 적어도 1개의 가변 크기 요소화상이 축소되는 복수의 축소율 중의 적어도 1개의 축소율을 선택하며, 그리고 당해 선택된 적어도 1개의 축소율로 상기 적어도 1개의 가변 크기 요소화상을 축소하는 각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축소화상 작성수단은, 상기 적어도 1개의 가변 크기 요소화상이 축소되는 복수의 축소율 중의 적어도 1개의 축소율을 선택하는 축소율 선택수단, 및 당해 선택된 적어도 1개의 축소율로 상기 적어도 1개의 가변 크기 요소화상을 축소하는 축소수단을 갖는다.
이것들의 바람직한 형태에 의하면, 상기 화상을 상기 복수의 축소율에서 적어도 1개의 소망하는 축소율을 선택함으로써, 상기 인쇄영역에 인쇄가 가능한 소망하는 크기의 인쇄화상으로 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적어도 1개의 축소율을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적어도 1개의 축소율을, 상기 축소화상이, 상기 기초화상을 상기 복수의 축소율을 사용하여 축소할 수 있는 가능한 크기 중 최대 크기를 갖도록 선택하는 것을 포함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축소율 선택수단은, 상기 적어도 1개의 축소율을, 상기 축소화상이, 상기 기초화상을 상기 복수의 축소율을 사용하여 축소할 수 있는 가능한 크기 중 최대 크기를 갖도록 선택한다.
이것들의 바람직한 형태에 의하면, 인쇄영역에 인쇄가 가능해지는 축소화상 중의 최대 크기의 축소화상을 인쇄화상으로서 선택하기 때문에, 인쇄화상은, 인쇄영역에 인쇄가 가능한 가장 큰 크기가 된다. 즉, 크고 돋보이는 인쇄화상을 작성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적어도 1개의 축소율을 선택하는 단계는, 내림차순으로, 상기 복수의 축소율 중의 하나를 임시로 선택하고, 적어도 당해 임시로 선택된 축소율을 사용하여, 상기 축소화상의 크기를 산출하고, 그리고 그 산출된 크기가, 상기 인쇄영역의 크기 이하일 때에, 당해 임시로 선택된 축소율을 실제로 선택하는 각 단계를 포함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축소율 선택수단은, 내림차순으로, 상기 복수의 축소율 중의 하나를 임시로 선택하는 임시 선택수단, 적어도 당해 임시로 선택된 축소율을 사용하여, 상기 축소화상의 크기를 산출하는 크기 산출수단, 및 그 산출된 크기가, 상기 인쇄영역의 크기 이하일 때에, 당해 임시로 선택된 축소율을 실제로 선택하는 실(實)선택수단을 갖는다.
이것들의 바람직한 형태에 의하면, 상기 복수의 축소율 중의 선택된 적어도 1개의 축소율을 사용하여, 상기 기초화상으로부터 상기 인쇄영역에 인쇄가 가능한 최대 크기의 축소화상을 확실히 얻을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방법은, 상기 적어도 1개의 가변 크기 요소화상의 모든 것에 상기 복수의 축소율 중 최소 축소율을 적용하여 산출된 상기 축소화상의 크기가, 상기 인쇄영역의 크기보다 클 때, 에러 메시지를 출력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인쇄화상 작성장치는, 상기 적어도 1개의 가변 크기 요소화상의 모든 것에 상기 복수의 축소율 중 최소 축소율을 적용하여 산출된 상기 축소화상의 크기가, 상기 인쇄영역의 크기보다 클 때, 에러 메시지를 출력하는 알림 수단을 추가로 포함한다.
이것들의 바람직한 형태에 의하면, 복수 단계의 축소에 있어서 단계적으로 축소한 축소화상 중의 최소 크기의 축소화상이 인쇄영역에 인쇄 불가능할 때에, 그 취지를 알리기 때문에, 사용자는, 최소 크기의 축소화상이라도 인쇄영역에 인쇄 불가능한 것을 알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사용자는, 다른 기초화상이나 다른 설정으로 변경하는 등, 보다 빨리 대처하기 쉽게 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적어도 1개의 가변 크기 요소화상은, 복수의 가변 크기 요소화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적어도 1개의 축소율을 선택하는 단계는, 내림차순으로, 상기 복수의 축소율 중의 하나를 임시로 선택하여, 상기 복수의 가변 크기 요소화상 중의, 상기 임시로 선택된 축소율이 적용되도록 상기 가변 크기 요소화상 중의 선택된 것의 수를 순차적으로 1개씩 늘려, 당해 선택된 가변 크기 요소화상의 수가 늘어날 때마다, 적어도 당해 임시로 선택된 축소율을 사용하여 상기 축소화상의 크기를 산출하고, 그리고 그 산출된 크기가, 상기 인쇄영역의 크기 이하일 때에, 적어도 당해 임시로 선택된 축소율을 실제로 선택하는 각 단계를 포함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적어도 1개의 가변 크기 요소화상은, 복수의 가변 크기 요소화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축소율 선택수단은, 내림차순으로, 상기 복수의 축소율 중의 하나를 임시로 선택하는 임시 선택수단, 상기 복수의 가변 크기 요소화상 중의, 상기 임시로 선택된 축소율이 적용되도록 상기 가변 크기 요소화상 중의 선택된 것의 수를 순차적으로 1개씩 늘리는 적용 가변 크기 요소화상 수 증가수단, 당해 선택된 가변 크기 요소화상의 수가 늘어날 때마다, 적어도 당해 임시로 선택된 축소율을 사용하여 상기 축소화상의 크기를 산출하는 크기 산출수단, 및 그 산출된 크기가, 상기 인쇄영역의 크기 이하일 때에, 적어도 당해 임시로 선택된 축소율을 실제로 선택하는 실선택수단을 갖는다.
이것들의 바람직한 형태에 의하면, 동일한 축소율을 사용하는 경우에도, 그 가변 크기 요소화상의 수만큼의 축소단계를 거칠 수 있어, 그 만큼의 수의 축소화상을 인쇄화상의 후보로 할 수 있으므로, 섬세하고 치밀한 축소처리를 할 수 있고, 이에 의해, 인쇄영역에 의하여 알맞은 인쇄화상을 작성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적어도 1개의 가변 크기 요소화상은, 복수의 가변 크기 요소화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적어도 1개의 축소율을 선택하는 단계는, 내림차순으로, 상기 복수의 축소율 중의 하나를 임시로 선택하여, 상기 임시로 선택된 1개의 축소율을 상기 복수의 가변 크기 요소화상의 모든 것에 적용하여 상기 축소화상의 크기를 산출하고, 그리고 그 산출된 크기가, 상기 인쇄영역의 크기 이하일 때에, 당해 임시로 선택된 축소율을 실제로 선택하는 각 단계를 포함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적어도 1개의 가변 크기 요소화상은, 복수의 가변 크기 요소화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축소율 선택수단은, 내림차순으로, 상기 복수의 축소율 중의 하나를 임시로 선택하는 임시 선택수단, 상기 임시로 선택된 1개의 축소율을 상기 복수의 가변 크기 요소화상의 모든 것에 적용하여 상기 축소화상의 크기를 산출하는 크기 산출수단, 및 그 산출된 크기가, 상기 인쇄영역의 크기 이하일 때에, 당해 임시로 선택된 축소율을 실제로 선택하는 실선택수단을 갖는다.
이것들의 바람직한 형태에 의하면, 1개의 축소율을 사용하여 복수의 가변 크기 요소화상을 1단계씩 축소하기 때문에, 1축소단계에서의 축소 크기를 크게 할 수 있어, 예를 들면 기초화상의 크기와 인쇄가 가능한 크기가 멀리 떨어져 있는 것과 같은 경우에, 축소처리의 고속화를 도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적어도 1개의 가변 크기 요소화상은, 적어도 1개의 문자화상을 갖는 가변 크기 요소화상을 포함함과 동시에, 당해 적어도 1개의 문자화상은 설정가능한 복수의 문자크기를 갖고 있고, 상기 축소화상을 작성하는 단계는, 상기 각 적어도 1개의 문자화상의 원래의 문자크기를, 상기 복수의 크기 중 적합한 1개를 선택함으로써 당해 원래의 문자크기보다 작은 크기로 변경하는 것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적어도 1개의 가변 크기 요소화상은, 적어도 1개의 문자화상을 갖는 가변 크기 요소화상을 포함함과 동시에, 당해 적어도 1개의 문자화상은 설정가능한 복수의 문자크기를 갖고 있고, 상기 축소화상 작성수단은, 상기 각 적어도 1개의 문자화상의 원래의 문자크기를, 상기 복수의 크기 중 적합한 1개를 선택함으로써 당해 원래의 문자크기보다 작은 크기로 변경하는 문자크기 변경수단을 포함한다.
이것들의 바람직한 형태에 의하면, 적어도 1개의 가변 크기 요소화상에는, 적어도 1개의 문자화상을 갖는 것을 포함함과 동시에, 문자화상은 설정가능한 복수의 크기를 갖고 있기 때문에, 이 적어도 1개의 문자화상을 갖는 가변 크기 요소화상의 축소에 있어서는, 각 문자화상의 크기를 축소함으로써, 가변 크기 요소화상의 축소를 할 수 있다. 통상, 인쇄장치 등에서는, 복수의 문자화상의 크기를 갖기 때문에, 이 경우, 그 크기를 변경하는 것만으로, 용이하게 축소처리를 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적어도 1개의 문자화상을 갖는 가변 크기 요소화상은, 복수 행의 문자화상을 갖는 것을 포함하며, 상기 축소화상을 작성하는 단계는, 상기 각 문자화상이 동일한 축소비율로 축소되도록, 상기 복수의 문자크기를 선택적으로 상기 각 행에 설정하는 것을 포함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적어도 1개의 문자화상을 갖는 가변 크기 요소화상은, 복수 행의 문자화상을 갖는 것을 포함하며, 상기 축소화상 작성수단은, 상기 각 문자화상이 동일한 축소비율로 축소되도록, 상기 복수의 문자크기를 선택적으로 상기 각 행에 설정하는 문자크기 설정수단을 포함한다.
이것들의 바람직한 형태에 의하면, 적어도 1개의 문자화상을 갖는 가변 크기 요소화상에는, 복수 행을 갖는 것을 포함하며, 그 복수 행을 갖는 가변 크기 요소화상의 축소는, 각 행의 문자화상이 동일한 축소비율로 되도록 행하여지기 때문에, 그 가변 크기 요소화상에 관해서는, 상대적인 외관이 동일한 축소를 할 수 있어, 그 상대적인 관계를 설정(기대)한 사용자의 의도를, 인쇄화상에 반영시킬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적어도 1개의 가변 크기 요소화상에는, 복수의 문자화상과 상기 문자화상이 인접하는 것의 사이에 있는 문자화상 이외의 공백화상을 갖는 것을 포함하며, 상기 축소화상을 작성하는 단계는, 상기 공백화상의 크기를 축소하는 것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적어도 1개의 가변 크기 요소화상은, 복수의 문자화상과 상기 문자화상이 인접하는 것과의 사이에 있는 문자화상 이외의 공백화상을 갖는 것을 포함하며, 상기 축소화상 작성수단은, 상기 공백화상의 크기를 축소하는 수단을 포함한다.
이것들의 바람직한 형태에 의하면, 각 문자화상간의 공백화상을 갖는 가변 크기 요소화상을 포함하기 때문에, 그 가변 크기 요소화상에 관해서는, 그 공백화상을 축소하는 것만으로, 용이하게 축소처리를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적어도 1개의 가변 크기 요소화상은, 적어도 1개의 문자화상과 그 전후의 여백화상을 갖는 것을 포함하며, 상기 축소화상을 축소하는 단계는, 상기 여백화상의 크기를 축소하는 것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적어도 1개의 가변 크기 요소화상은, 적어도 1개의 문자화상과 그 전후의 여백화상을 갖는 것을 포함하며, 상기 축소화상을 축소하는 단계는, 상기 여백화상의 크기를 축소하는 수단을 포함한다.
이것들의 바람직한 형태에 의하면, 문자화상의 전후에 여백화상을 갖는 가변 크기 요소화상을 포함하기 때문에, 그 가변 크기 요소화상에 관해서는, 그 여백화상을 축소하는 것만으로, 용이하게 축소처리를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인쇄대상물이 테이프이다.
이것들의 바람직한 형태에 의하면, 인쇄대상물이 테이프이기 때문에 테이프 인쇄장치의 인쇄화상 작성방법 및 그 장치로서 적용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기초화상은, 상기 복수의 요소화상을, 상기 테이프의 세로방향에 상당하는 방향으로 나열하여 구성된다.
이것들의 바람직한 형태에 의하면, 기초화상이 각 요소화상을 테이프의 세로방향에 상당하는 방향으로 나열하여 구성되어 있으므로, 일정 길이 설정 가능한 테이프 인쇄장치 등에 있어서, 일정 길이 범위에 인쇄가 가능한 인쇄화상을 작성하는 경우 등에 알맞은 것이 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복수의 요소화상은, 각각 테이프 상에 인쇄되는 복수의 단락에 대응한다.
일반적으로, 테이프 인쇄장치에서는, 문장 등의 1 통합 등을 1단락으로서 통합하므로, 각 단락의 화상이 표현하는 내용(취지)이나 그 중요도 등은 각각 서로 다르다. 이것들의 바람직한 형태에 의하면, 상기 복수의 요소화상의 각 요소화상이, 각각 테이프 상에 인쇄되는 복수 단락 중의 1에 대응하기 때문에, 각 단락의 화상을 중요도 등에 의해 구별하여 기초화상을 작성하면, 그 축소 때에도, 각 단락의 취지나 중요도 등이 인쇄화상에 반영되어, 그것을 작성하였을 때의 의도를 명확히 반영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예를 들면 이 인쇄화상 작성방법 및 그 장치를 적용한 테이프 인쇄장치에서는, 비디오 등의 타이틀 부분을 동일 크기로 정돈한 라벨을 제작하여, 그 라벨을 붙인 복수의 비디오 등을 순서대로 보관하고 싶은 경우에, 중요한 타이틀 등의 단락은 고정 크기로 가지런히 하고, 날짜 등의 메모 쓰기 정도인 정보의 단락은 가변 크기로 함으로써, 그 의도를 반영시킨 인쇄화상을 작성할 수 있고, 그것을 인쇄함으로써, 소망하는(예를 들면 타이틀 부분을 동일 크기로 정돈한) 라벨을 제작할 수 있다.
상기 제 2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제 3의 형태에 의하면,
인쇄대상물 상의 미리 설정된 인쇄영역 내에 인쇄하기 위한 인쇄화상을 작성하는 인쇄화상 작성장치로서,
적어도 1개의 고정 크기 요소화상 및 적어도 1개의 가변 크기 요소화상으로 이루어지는 복수의 요소화상을 갖는 기초화상을 작성하는 기초화상 작성수단 및;
상기 기초화상을 상기 인쇄화상으로서 상기 인쇄영역 내에 인쇄 불가능한 경우, 상기 기초화상의 상기 적어도 1개의 가변 크기 요소화상 중의 적어도 1개를 축소함으로써, 상기 기초화상의 축소화상을 상기 인쇄화상으로서 작성하는 축소화상 작성수단을 구비하는 인쇄화상 작성장치 및;
상기 인쇄화상 작성장치에 의해 작성된 인쇄화상을 상기 인쇄영역 내에 인쇄하는 인쇄수단으로 이루어지는 인쇄장치가 제공된다.
이 인쇄장치에서는, 상술한 인쇄화상 제작장치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이것들로 상술한 각종 이점을 갖추고, 기초화상 작성시의 의도를 반영시키면서, 작성된 인쇄화상을 미리 설정된 인쇄영역 내에 인쇄가 가능한 인쇄장치가 된다.
본 발명의 상술한 및 그 밖의 목적, 특징, 및 이점은, 첨부한 도면에 근거하는 하기의 상세한 설명에 의해, 한층 더 분명해 질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1 실시예에 관련되는 테이프 인쇄장치의 외관 사시도.
도 2는 도 1의 테이프 인쇄장치의 덮개를 열고 테이프 카트리지를 꺼낸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사시도.
도 3은 테이프 카트리지의 내부 구성도.
도 4는 도 1의 테이프 인쇄장치의 제어계를 나타내는 블록도.
도 5는 도 1의 테이프 인쇄장치의 제어 전체의 개념적 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차트.
도 6은 문자크기의 선택·설정방법을, 액정표시기의 표시화면의 이미지로 나타내는 전반의 도면.
도 7은 문자크기 지정의 선택 구분의 계층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도 6에 계속되는 후반의 도면.
도 9는 임의 길이에 있어서의 할당 스타일의 선택·설정방법을 나타내는, 도 6과 같은 이미지 도면.
도 10은 일정길이에 있어서의 할당 스타일의 선택·설정방법을 나타내는, 도 6과 같은 이미지 도면.
도 11은 일정 길이 처리의 일례를 나타내는 플로차트.
도 12는 도 11의 일정 길이 처리의 개요를 나타내는 개념적인 이미지 도면으로서, (a)는 기초화상(인쇄화상 데이터)을 나타내는 이미지 도면이고, (b), (c)는 각각 (a)의 기초화상(인쇄화상 데이터)의 축소화상을 나타내는 이미지 도면.
도 13은 문자크기의 축소 단계마다의 크기를 나타내는 표.
도 14는 일정 길이 처리의 구체적인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 15는 별도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 14의 (a) 내지 (h)와 같은 도면.
도 16은 별도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 12의 (a) 내지 (c)와 같은 도면.
도 17a 내지 17c는 종래의 테이프 인쇄장치에 의한 문자크기 설정 및 그 배치 이미지를 나타내는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테이프 인쇄 장치 3 : 키보드
4 : 디스플레이 5 : 테이프 카트리지
11 : 조작부 12 : 인쇄부
13 : 절단부 14 : 검출부
41 : 표시화면 200 : 제어부
이하, 본 발명의 1 실시예에 관련되는 인쇄화상 작성방법과 그 장치 및 그 장치를 구비한 인쇄장치를 적용한 테이프 인쇄장치에 관해서,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한다.
이 테이프 인쇄장치(1)는, 테이프 카트리지(5)를 개재시켜 장치 내에 장착한 인쇄 테이프(테이프)(T)에, 소망하는 문자나 도형 등을 인쇄(인자)함과 동시에, 테이프(T)의 인쇄가 끝난 부분을 소정의 길이로 절단하여, 라벨을 제작하는 것이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테이프 인쇄장치(1)는, 상하 2분할의 장치 케이스(2)에 의해 외각이 형성되고, 장치 케이스(2)의 앞부분 상면에는 각종 입력키로 이루어지는 키보드(3)가 설치됨과 동시에, 뒷부분 상면의 좌우에는 각각 개폐 덮개(21)와 디스플레이(4)가 설치되어 있다.
개폐 덮개(21)의 안쪽에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테이프 카트리지(5)를 장착하기 위한 포켓(6)이 설치되어 있고, 테이프 카트리지(5)는 이 개폐 덮개(21)를 개방한 상태로 포켓(6)에 대하여 부착 이탈된다.
테이프 카트리지(5)에는, 일정한 폭(테이프의 종류에 따라서 4.5 mm 내지 48 mm 정도)의 테이프(T)가 내장되어 있으며, 상이한 폭 등의 테이프(T)의 종별을 식별할 수 있도록, 이면에 작은 복수의 구멍이 설치되고, 포켓(6)에는, 이 구멍의 유무를 검출하는 마이크로 스위치 등의 테이프 식별 센서(142)(도 4참조)가 설치되어 있어, 이것에 의해, 테이프(T)의 종별을 검출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포켓(6)에는, 환경(주위)온도를 검출하고 보고하는 서미스터 등의 주위온도 센서(143)(도 4참조)가 설치되어 있어, 주위온도를 검출하고 후술하는 제어부(200)에 보고한다. 또한, 장치 케이스(2)의 좌측부에는, 포켓(6)과 장치 외부를 연결 통과하는 테이프 배출구(22)가 형성되며, 테이프 배출구(22)에는, 내보낸 테이프(T)를 절단하는 테이프 커터(132)가 위치하고 있다(도 4참조).
테이프 인쇄장치(1)는,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본적인 구성으로서, 키보드(3)나 디스플레이(4)를 가지고 사용자와의 인터페이스를 하는 조작부(11), 서멀 헤드(7)나 테이프 송출부(120를 갖고 포켓(6)내에 장착한 테이프 카트리지(5)의 테이프(T)에 인쇄를 하는 인쇄부(12, 인쇄후의 테이프(T) 절단을 하는 절단부(13), 각종 센서를 갖고 각종 검출을 하는 검출부(14), 각종 드라이버를 갖고 각 부분 회로를 구동하는 구동회로부(270), 및, 테이프 인쇄장치(1)내의 각 부분을 제어하는 제어부(200)를 구비하고 있다.
장치 케이스(2)의 내부에, 인쇄부(12), 절단부(13), 검출부(14) 등 외에, 도면 외의 회로기판(23)이 수납되어 있다. 이 회로기판에는, 전원 유닛 외에, 후술하는 구동회로부(270)나 제어부(200)의 각 회로 등이 탑재되고, 외부에서 부착 이탈 가능한 니켈 카드뮴 전지 등의 전지나 AC 어댑터 접속구(24)에 접속되어 있다.
테이프 인쇄장치(1)에서는, 사용자는, 포켓(6)에 테이프 카트리지(5)를 장착한 후, 키보드(3)에 의해 소망하는 문자(문자, 숫자, 기호, 도형 등) 등의 인쇄화상의 정보를 입력하고, 동시에 디스플레이(4)에 의해 입력결과를 확인함과 동시에 편집을 한다.
그 후, 키보드(3)를 개재시켜 인쇄를 지시하면, 테이프 송출부(120)가 구동하여, 테이프 카트리지(5)에서 테이프(T)를 풀어내는 것과 동시에, 서멀 헤드(7)가 구동하여, 테이프(T)에 소망하는 인쇄를 한다.
그리고, 테이프 T의 인쇄 종료 부분은, 인쇄동작에 병행하여 테이프 배출구(22)로부터 수시 외부로 송출된다. 이렇게 하여, 소망하는 도장별이 완료하면, 테이프 송출부(120)는, 여백 부분을 포함하는 테이프 길이의 위치까지 테이프(T) 보냄을 한 후, 그 보냄을 정지한다.
절단부(13)는, 테이프 커터(132)와, 임의 길이 인쇄 등의 경우에 수동에 의해 테이프 커터(132)를 절단 동작시키는 커트 버튼(133)과, 일정 길이 인쇄 등의 경우에 자동적으로 테이프 커터(132)를 절단 동작시키는 커터 모터(131)를 구비하고 있다(도 4참조). 또한, 이것에 의해, 테이프 인쇄장치(1)에서는, 모드설정에 의해서, 자동/수동을 전환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 때문에, 수동 커트의 경우, 인쇄가 완료한 시점에서, 사용자가, 장치 케이스(2)의 좌후부에 설치된 커트 버튼(133)(도 1,도 2 참조)을 누르는 것으로, 테이프 커터(132)가 작동하여 테이프(T)가 소망하는 길이로 절단된다. 또한, 자동 커트의 경우, 인쇄가 종료하여 여백 부분만 테이프에 보내지고, 그것이 정지함과 동시에, 커트 모터(131)가 구동되어, 테이프(T)의 절단이 행하여진다.
다음에, 인쇄부(12)에 관해서 설명한다. 도 2 및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테이프 카트리지(5)는, 카트리지 케이스(51)의 내부에 테이프(T)와 잉크 리본(R)을 수용하여, 구성되어 있고, 그 좌하부에는, 포켓(6)에 설치된 헤드 유닛(61)에 꼽아 넣기 위한 관통공(55)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테이프(T)와 잉크 리본(R)이 겹치는 부분에는, 헤드 유닛(61)에 내장된 서멀 헤드(7)에 대응하여, 플래턴 롤러(56)가 수납되어 있다.
한편, 테이프 카트리지(5)에 대응하여 포켓(6)에는, 플래턴 롤러(56)에 걸어 맞추어 이것을 회전시키는 플래턴 구동축(62)과, 리본 권취 릴(54)에 걸어 맞추어 이것을 회전시키는 권취 구동축(63)과, 위치 결정 핀(64)이, 각각 설치되어 있다.
테이프 카트리지(5)가 포켓(6)에 장착되면 헤드 유닛(61)에 테이프 키트리지(5)의 관통 구멍(55)이 위치 결정 핀(64)에 테이프 릴(52)(의 중심 구멍(52a))이 플래턴 구동축(62)에 플래턴 롤러(56)(의 중심 구멍(56a))가 권취 구동축(63)에 리본 권취릴(54)(의 중심 구멍(54a))이 각각 삽입되어 테이프(T) 및 잉크 리본(R)의 이송이 가능해진다. 또한, 이 상태에서 개폐 덮개(21)를 폐색하면 테이프(T) 및 잉크 리본을 끼워 넣어 서멀 헤드가 플래턴 롤러(56)에 맞닿아 인쇄가 가능해진다.
테이프(T)는 테이프 릴(52)로부터 풀어내지고, 잉크 리본(R)은 리본 릴(53)로부터 풀어내어져 테이프(T)와 겹쳐 병주(倂走)한 후, 리본 권취 릴(54)에 권취된다. 즉, 플래턴 롤러(56)와 리본 권취 릴(54)이 동기하여 회전함으로써 테이프(T)와 잉크 리본(R)이 동시에 보내지고 또한 이들에 동기하여 서멀 헤드(7)가 구동함으로 인쇄가 행해진다.
또한, 인쇄 완료후, 플래턴 롤러(56)의 회전(리본 권취 릴(54)도 동기 회전한다)이 소정 시간 속행함으로, 테이프(T)의 이송이 속행되어 그 소정의 절단 위치가 테이프 컷(132) 위치까지 보내진다.
또, 서멀 헤드(7) 표면에 밀착하여 서미스터 등의 헤드 표면 습도 센서(144)(도 4 참조)가 설치되어 있어 서멀 헤드(7)의 표면 습도를 검출하여 후술의 제어부(200)에 보고한다.
테이프 보냄부(120)는 포켓(6) 측방에 설치한 DC 모터(121)(도 4 참조)를 동력(구동)원으로서 상기의 플래턴 구동축(62) 및 권취 구동축(63)을 회전시키는 것이고, 포켓(6) 측방으로부터 아래쪽에 걸친 공간에 설치되어 있다.
테이프 이송부(120)는 이 DC 모터(121), 플래턴 구동축(62), 권취 구동축(63), DC 모터(121)의 회전수를 검출하기 위한 인코더(122)(도 4 참조)와, DC 모터(121)의 동력을 각 구동축으로 전달하는 도시되지 않은 감속 기어열과, 이들을 지지하는 샤시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인코더(122)는 원반형 주방향의 4개소에 검출 개구가 형성되어, DC 모터(121)의 주축 선단에 고착되어 있다(여기서는 편의상, 하기의 회전 속도 센서(141)를 제외한 원반 부분만을「인코더」라고 한다).
검출부(14)는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술의 테이프 식별 센서(142),주위 온도 센서(143), 헤드 표면 온도 센서(144)외, DC 모터(121)의 회전 속도를 검출하는 회전 속도 센서(141)를 구비하고 있다. 또, 후술과 같이, 실상에 맞추어 이들을 생략한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이 회전 속도 센서(141)는 상술의 인코더(122)의 검출 개구에 인접하는 도 외의 포토 센서와 포토 센서를 지지함과 함께, 그 사이에서 광전 변환을 하는 센서회로 기판을 구비하고 있다. 포토 센서에는 도 외의 발광 소자와 수광 소자가 대향 배치되고, 발광 소자의 광이 회전하는 인코더(122)(의 원반주 방향)의 검출 개구을 통과하여 수광 소자에 수광됨으로써, DC 모터(121)의 회전수(펄스수)가 검출된다. 즉, 수광 소자에서 수광된 광의 명멸이, 센서 회로 기판에 의해 광전 변환되어, 펄스 신호로서 후술의 제어부(200)에 출력된다.
구동 회로부(270)는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드라이버(271), 헤드 드라이버(272), 모터 드라이버(273)를 구비하고 있다.
디스플레이 드라이버(271)는 제어부(200)로부터 출력되는 제어 신호에 근거하여 그 지시에 따라, 조작부(11)의 디스플레이(4)를 구동한다. 동일하게, 헤드 드라이버(272)는 제어부(200)의 지시에 따라 인쇄부(12)의 서멀 헤드(7)를 구동한다.
또한, 모터 드라이버(273)는 인쇄부(12)의 DC 모터(121)를 구동하는 DC 모터 드라이버(273d), 절단부(13)의 컷 모터(131)를 구동하는 컷 모터 드라이버(273c)를 갖고, 동일하게 제어부(200)의 지시에 따라 각 모터를 구동한다.
조작부(11)는 키보드(3)와 디스플레이(4)를 구비하고 있다. 디스플레이(4)는 가로 방향(X 방향) 약 6cm×세로 방향(Y 방향) 4cm의 장방형 형상의 안쪽에, 96 도트×64도트의 표시 화상 데이터를 표시가능한 표시 화면(41)을 갖고, 사용자가 키보드(3)로부터 데이터를 입력하여, 문자열 화상 데이터 등의 인쇄 화상 데이터를 작성·편집하거나 그 결과 등을 시인하거나 키보드(3)로부터 각종 지령·선택 지시 등을 입력하기도 할 때 사용된다.
키보드(3)에는 도 외의 알파벳 키군(311), 기호 키군(312), 숫자 키군(313) 및 외자를 불러내어 선택하기 위한 외자 키군(315) 등을 포함하는 문자 키군(31) 외, 각종 동작 모드 등을 지정하기 위한 기능 키군(32) 등이 배열되어 있다. 또, 일본어를 입력가능한 장치의 경우는 히라가나나 카타카나 등의 가나 키군(314)도 설치되어 있다.
기능 키군(32)에는 도 외의 전원 키(321), 인쇄 동작을 지시하기 위한 인쇄 키(322), 텍스트 입력때의 데이터 확정이나 개행 및 선택 화면에 있어서의 각종 모드의 선택 지시를 위한 선택 키(323), 인쇄 화상 데이터의 인쇄색이나 그 중간색(혼색)을 지정하기 위한 색 지정 키(324), 문자색이나 배경색을 설정하기 위한 색설정 키(325) 및 각각 위(「↑」), 아래(「↓」), 좌(「←」), 우(「→」)방향에 의 커서 이동이나 표시 화면(41)의 표시 범위를 이동시키기 위한 4개의 커서 키(330)(위 화살표 키(330U), 아래 화살표 키(330D), 좌 화살표 키(330L), 우 화살표 키(330R))가 포함된다.
기능 키군(32)에는 또한 각종 지시를 취소하기 위한 취소 키(326),각 키의 역할을 변경하거나 묘화 등록 화상 데이터의 수정 등에 사용되는 시프트 키(327), 텍스트 입력 화면이나 선택 화면과 인쇄 화상 데이터의 표시 화면(이미지 화면)을 서로 바꾸기 위한 이미지 키(328), 인쇄 화상 데이터와 이미지 화면에 표시하는 표시 화상 데이터와의 크기 비율을 변경하기 위한 비율 변경(줌) 키(329) 및 제작하는 라벨의 각종 서식이나 스타일을 설정하기 위한 스타일 키(341)가 포함된다.
또, 당연하지만 일반적인 키보드와 같이, 이들의 키 입력은 각 키 입력마다 개별로 키를 설치하여 입력할 수 있고, 시프트 키(327) 등과 조합하여 보다 적은 수의 키를 사용하여 입력할 수 도 있다. 여기서는 이해를 쉽게 하기 위해서 상기 분만큼 키가 있는 것으로 한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키보드(3)는 상술과 같은 여러 가지의 지령 및 데이터를 제어부(200)에 입력한다.
제어부(200)는 CPU(210), ROM(220), 문자 제너레이터 ROM(CG-ROM)(230), RAM(240),주변 제어 회로(P-CON)(250)를 구비하고, 서로 내부 버스(260)에 의해 접속되어 있다.
ROM(220)은 CPU(210)에서 처리하는 제어 프로그램을 기억하는 제어 프로그램영역(221) 외, 문자 크기 테이블이나 문자 수식 테이블 등을 포함하는 제어 데이터를 기억하는 제어 데이터 영역(222)을 갖고 있다.
CG-ROM(230)은 테이프 인쇄 장치(1)에 준비되어 있는 문자, 기호, 도형 등의 폰트 데이터를 기억하고 있어, 문자 등을 특정하는 코드 데이터가 주어졌을 때에 대응하는 폰트 데이터를 출력한다.
RAM(240)은 전원 키(321)의 조작에 의해 전원이 오프로 되더라도, 기억한 데이터를 유지해 두도록 도 외의 백업 회로에 의해서 전원의 공급을 받고 있고, 각종 레지스터군(241)이나 사용자가 키보드(3)로부터 입력한 문자 등의 텍스트 데이터를 기억하는 텍스트 데이터 영역(242), 표시 화면(41)의 표시 화상 데이터를 기억하는 표시 화상 데이터 영역(243), 인쇄 화상 데이터를 기억하는 인쇄 화상 데이터 영역(244), 묘화 등록 화상 데이터를 기억하는 묘화 등록 화상 데이터 영역(245) 외, 인쇄 이력 데이터 영역(246)이나 그 밖의 색변환 버퍼 등의 각종 변환 버퍼영역(247) 등의 영역을 갖고, 제어 처리를 위한 작업 영역으로서 사용된다.
P-CON(250)에는 CPU(21)의 기능을 보충함과 동시에 주변 회로와의 인터페이스 신호를 취급하기 위한 논리 회로가 게이트 어레이나 커스텀(LSI) 등에 의해 구성되어 내장되어 있다. 예를 들면 여러 가지의 계시를 하는 타이머(251) 등도 P -CON(250)내의 기능으로서 내장되어 있다. ·
이 때문에, P-CON(250)은 검출부(14)의 각종 센서나 키보드(3)와 접속되어, 검출부(14)로부터의 상술한 각종 검출 신호 및 키보드(3)로부터의 각종 지령이나 입력 데이터 등을 그대로 또는 가공하여 내부 버스(260)에 입력함과 함께, CPU(210)와 연동하여 CPU(210) 등으로부터 내부 버스(260)에 출력된 데이터나 제어신호를 그대로 또는 가공하여 구동 회로부(270)에 출력한다.
그리고, CPU(210)는 상기의 구성에 의해 ROM(220)내의 제어 프로그램에 따라서, P-CON(250)을 거쳐 각종 검출 신호, 각종 지령, 각종 데이터 등을 입력하여 CG -ROM(230)으로부터의 폰트 데이터, RAM(240)내의 각종 데이터 등을 처리하여, P-CON(250)를 거쳐 구동 회로부(270)에 제어 신호를 출력함으로써, 인쇄의 위치 제어나 표시 화면(41)의 표시 제어 등을 함과 동시에, 서멀 헤드(7)를 제어하여 소정의 인쇄 조건에서 테이프(T)에 인쇄하는 등, 테이프 인쇄 장치(1) 전체를 제어하고 있다.
다음에, 테이프 인쇄 장치(1)의 제어 전체의 처리 흐름에 관해서, 도 5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전원 온 등에 의해 처리가 개시하면,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우선, 테이프 인쇄 장치(1)를 전회의 전원 오프때의 상태로 되돌리기 위해서, 퇴피하고 있는 각 제어 플래그를 복구하는 등의 초기 설정을 하고(S1),다음에, 전회의 표시 화면을 초기 화면으로서 표시한다(S2).
도 5의 그 후의 처리, 즉 키입력인가 아닌가의 판단 분기(S3) 및 각종 인터럽트 처리(S4)는 개념적으로 도시한 처리이다. 실제로는 테이프 인쇄 장치(l)에서는 초기 화면 표시(S2)가 종료하면 키입력 인터럽트를 허가하고, 키입력 인터럽트가 발생할 때까지는 그 대로의 상태를 유지하고(S3:No), 어떠한 키입력 인터럽트가 발생하면(32:Yes)각각의 인터럽트 처리에 이행하고(S4),그 인터럽트 처리가 종료하면 재차 그 상태를 유지한다(S3:No).
상술과 같이, 테이프 인쇄 장치(1)에서는 주된 처리를 인터럽트 처리에 의해 하기 때문에, 인쇄 대상이 되는 인쇄 화상 데이터가 되어 있으면, 사용자가 임의의 시점에서 인쇄 키(322)를 누름으로써 인쇄 처리 인터럽트가 발생하여 인쇄 처리가 기동되고, 그 인쇄 화상 데이터에 의한 인쇄를 할 수 있다. 즉, 인쇄에 달하기까지의 조작 순서는 사용자가 임의로 선택할 수 있다.
우선,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문자 크기의 선택·설정 방법에 관해서 설명한다.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텍스트 입력 화면 표시(화면 T10:이하, 표시 화면(41)의 표시 상태를 화면 T××으로 표현하고, 참조 번호로서는 T××만으로 나타낸다) 때에, 스타일 키(341)를 누르면 인쇄할 때의 소정의 서식·스타일 관계의 선택·설정이 가능해진다(T11).
즉, ①「문자 크기」, ②「할당」, ⑧「외테두리·표 조판」의 3개 중 어느 1개를, 아래 화살표 키(330D)(혹은 우 화살표 키(330R)) 또는 위 화살표 키(330U)( 또는 좌 화살표 키(330L))의 조작에 의해 반전 표시 (도시에서는 점에 의한 망걸이로 나타낸다)시켜, 선택 키(323)를 누름으로써 반전 표시된 것을 선택·지정할 수가 있다.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타일(341)을 누른 직후는 디폴트의 ①「문자 크기」가 반전 표시되어 있기 때문에, 이 상태(T11)에서 선택 키(323)를 누르면 「문자 크기」가 선택되어, 문자 크기의 각 설정 방법이 선택가능하게 된다 (T12).
문자 크기의 설정 방법으로서는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계층의 선택가지의 ①「문자 크기」의 하위 계층으로서 제 2계층에는 도 17a 내지 17c의 종래 기술로 상술의「문자 크기 균등 모드」에 상당하는 ①「균등」,「문자 크기 일임 모드」에 상당하는 ②「자동 용이」,「문자 크기 메뉴 모드」및 그것을 개량한 「문자 사이즈 프리 모드」를 위해 지정하는 ⑧「행수」의 선택가지가 있고, ⑧「행수」의 하위 계층으로서 제 3계층에는 「문자 크기 메뉴 모드」의 ① 각 메뉴와「문자 사이즈 메뉴 모드」에 상당하는 ②「자유 신장」의 선택가지가 있다.
예를 들면, 도 6의 문자 크기의 선택가지를 표시한 상태(T12)에서 아래화살표 키(330D)(혹은 우 화살표 키(330R))또는 위 화살표 키(330U)(혹은 좌 화살표 키(330L))에 의해 제 2계층의 ③「행수」의「2행」을 반전 표시시키고(T13), 선택 키(323)를 누르면 제 3계층이 표시되므로(T14), 동일하게, ②「자유 신장」을 반전표시시켜(T15) 선택 키(323)를 누르면 ②「자유 신장」의 입력 화면 표시가 된다(이하, 생략). 한편, 화면(T14)의 상태로부터, 취소 키(326)를 누르면 상위 계층의 제 2계층으로 되돌릴 수 있다 (T16).
각 행의 메뉴나「자유 신장」에 의한 각 행의 문자 크기 설정이 종료하여 선택 키(323)를 누르면 제 1 계층으로 되돌아간다 (T17). 또한, 상술의 ② 자동 용이를 반전 표시시킨 상태(T12)에서 선택 키(323)를 누르면「자동 용이」가 설정되어, 동일하게 제 1 계층으로 되돌아간다〈T17).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상태(T17: 도 7과 공통)에서 아래 화살표 키(330D) 또는 우 화살표 키(330R)를 누르면「외테두리·표 조판」이 반전 표시되고(T18), 또한 같은 조작을 하면「종료?」가 반전 표시된다(Tl9).
이 상태(T19)에서 선택 키(323)를 누르면 유효 범위의 입력이 재촉되기 때문에(T20 내지 T21), 예를 들면, 「이 단락」을 반전 표시(지정)하여 선택 키 (323)를 누르면 문자 크기를 포함하는 서식·스타일 관계의 설정이 종료하여, 텍스트 입력 화면으로 되돌아간다(T22:도 7의 T10과 같음).
이 경우, 커서(K)가 위치하는 단락에 문자 크기(의 모드)가 설정되게 되고, 내부(제어부(200))에서는 텍스트 입력 화면에 되돌아감과 동시에, 설정된 모드에 따라서 문자 크기를 산출하여 대응하는 인쇄 화상을 작성한다.
다음에, 일정 길이/임의 길이의 선택·설정 및 그것들에 있어서의 문자열 화상 등으로 이루어지는 인쇄 화상의 할당 스타일의 선택·설정 방법에 관해서 설명한다.
예를 들면, 도 6에서 상술의 상태(T10)로, 즉, 텍스트 입력 화면의 표시 상태에서 동일하게 스타일 키(341)를 누르고 서식, 스타일의 선택 화면의 표시 상태(T11)로 도 9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할당 처리를 하기 위한 ②「할당」을 반전 표시시키고 (T30: 도 6이나 도 8의 Tl7과 같은 표시), 선택 키(323)를 누르면 할당 처리 때의 일정 길이/임의 길이 및 변경의 선택 화면이 표시된다 (T31).
또, 일정 길이에 관해서는 후술하기 때문에, 이하에서는 우선, 임의 길이에 관해서 설명한다.
이 상태(T30)에서 「임의 길이」를 반전 표시시키고(T31), 선택 키(323)를 누르면 임의 길이에 있어서의 할당 스타일의 선택 화면이 표시된다(T32),
이 상태(T32)에서는 할당 스타일로서, ① 문자열 화상의 각 문자 화상사이를 등간격으로 하는 균등 할당 처리를 지정하는 「균등」, ② 소정 범위의 좌단에 문자열 화상의 좌단을 정돈하는 좌단 정돈 처리를 지정하는 「좌단」, ③ 소정 범위의 우단에 문자열 화상의 우단을 정돈하는 우단 정돈 처리를 지정하는 「우단」, ④ 소정 범위의 중심에 문자열 화상의 중심을 정돈하는 문자 정돈 처리를 지정하는 「센터」, ⑥ 문자열 화상의 길이가 소정 범위에 맞도록 각 문자 화상을 확대하는 확대 처리 또는 축소하는 축소 처리를 지정하는 「확대/축소」,… 등의 선택가지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여기서는 일례로서 ②「좌단」을 반전 표시시켜 (T32), 선택 키(323)를 누르면 상술의 서식·스타일의 선택 화면에 되돌아간다(T33: 도 8의 T18과 동일). 이 상태(T33)에서 상술과 같이, 「종료?」을 반전 표시시켜 (T34:T19과 동일), 선택 키(323)를 누르면 유효 범위가 재촉되기 때문에(T35=T20와 동일), 여기서는 예를 들면「이 문서」를 반전 표시시켜 (T35), 선택 키(323)를 누르면 서식·스타일의 선택·설정이 종료하여 텍스트 입력 화면으로 되돌아간다(도 8의 T22와 동일).
이 경우, 텍스트 입력 화면에 되돌아감과 동시에 커서(K)가 위치하는 단락이 아니라, 문장 전체, 즉 인쇄 화상 전체를 임의 길이으로 설정하기 때문에, 상술의 문자 크기의 설정 모드 등에 따른 인쇄 화상은 그대로 살려진다.
다음에 일정 길이의 선택·설정 방법에 관해서 설명한다.
도 6에서 상술하는 바와 같이 스타일 키(341)를 누른 직후는 디폴트의 ①「문자 크기」가 반전 표시되어 있으므로 (도 6의 Tll), 그것을 ②「할당」의 반전 표시(도 9의 T30), 선택 키(323)를 누르면 할당 처리 때의 일정 길이/임의 길이 및 변경의 선택 화면이 표시된다(도 9의 T31).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 상태(T40:도 9의 131와 동일)로부터, 위 화살표 키(330U)를 조작하여「일정 길이」를 반전 표시시키고(T41), 선택 키(323)를 누르면 상술의「임의 길이」를 선택한 경우와 알리 일정 길이 설정의 선택 화면이 표시된다(T42).
이 상태(T42)에서는 ① 일정 길이 설정을 중지하는「하지 않는다」, ② 규정형 길이로서, A4 파일 용의 라벨의 폭(여기서는 20cm을 상정)을 지정하는 「A4 파일」, ③ 동시에 B5 파일 용(15cm)을 지정하는 「B5 파일」, ④ 5.25 FD용(8.5cm)을 지정하는 「5.25 FD」, ⑤ 3.5 FD용(6.5cm)을 지정하는 「3.5 FD」, ⑥ VHS/β 용(14cm)을 지정하는 「VHS/β」, ⑦ 8mm 비디오용(7cm)을 지정하는 「8mm 비디오」, ⑧ 음악 테이프 용(9.5cm)을 지정하는 「음악 테이프 」,…… 등의 선택가지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T42 내지 T44).
여기서는 일례로서 ②「8mm 비디오」를 반전 표시시켜 (T44), 선택 키(323)를 누르면 일정 길이에 있어서의 할당 스타일의 선택 화면이 표시된다(T45).
또, 테이프 인쇄 장치(1)에서는 상기와 같은 규정형의 길이뿐만 아니라, 예를 들면 상술의 일정 길이 설정의 선택 화면이 표시된 상태(T42 내지 T44)로 키보드(3)로 상술의 수치 키군(313)의 어느 하나를(예를 들면「7」 키) 누르면 그 수치(「7」)에 의해「7cm」이 일정 길이로서 설정된다(T46).
할당 스타일 설정 이후(T47 이후: 도 8의 T18 이후나 도 9의 T33 이후와 동일)에 관해서는 상술과 같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지만, 테이프 인쇄 장치(1)에서는 일정 길이를 설정한 경우, 텍스트 입력 화면에 되돌아감과(도 8의 T22와 동일) 동시에, 일정 길이 설정 인터럽트가 발생하여,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일정 길이 처리가 기동되어, 각각 문자 화상 등으로 이루어지는 단락(요소 화상)을 갖는 인쇄 화상의 길이(인쇄 장치)가 그 일정 길이 범위(인쇄 영역)의 길이(일정 길이 설정치)가 되도록, 인쇄 화상의 각 단락(각 요소 화상)의 크기를 조정(축소)하여 할당한다.
이하, 일정 길이 처리에 관해서, 그 처리의 개요나 구체예를 도 12a 내지 도 15G을 참조하여 보충하면서,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하, 인쇄 화상 데이터를 G××로, 그것을 인쇄하였을 때의 인쇄 이미지를 M××로, 그것을 컷하여 라벨로 하였을 때의 라벨 이미지를 R××로 표현하고, 그것들의 참조 번호로 도시하지만, 그것들이 동등한 경우 G××(MX×, R××) 등으로 약술한다.
우선, 도 12의 a 내지 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예를 들면 1,3,5 단락 째(도시의 ①, ②, ③ 단락)를 도 17b에서 상술의「문자 크기 일임 모드」에 상당하는 「자동 용이」로 설정된 단락(도시에서는「용이 단락」으로 표시), 다른 2,4 단락 째를 그 밖의 문자 사이즈의 모드로 설정된 단락(도시에서는「비용이 단락」으로 표시)로 하는 5단락 구성의 인쇄 화상 데이터(G10)를, 일정 길이 설정치에 맞추어 축소하는 경우, 여기서는 「자동 용이」로 설정된 단락(용이 단락)을 가변 크기 단락(가변 사이즈 요소 화상), 그 밖의 단락을 고정 크기 단락(고정 크기 요소 화상)으로서 취급한다.
상기의「자동 용이」의 모드는 소위「문자 크기 일임 모드」에 상당하기 때문에, 「용이 단락」은 그 단락 자체의 체제만 갖추어지면 되는 단락, 즉 다른 모드로 설정된 단락과 비교하여, 그 문자 등의 배치에 사용자의 의도가 가장 반영되어 있지 않은 단락이라고 볼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이 테이프 인쇄 길이치(1)를 사용하여, 비디오 등의 타이틀 부분을 동일 크기로 정리된 라벨을 제작하여, 이 라벨을 붙인 복수의 비디오 등을 나열하여 보관하고 싶은 경우, 그 타이틀 부분의 단락에 문자 크기를 테이프 인쇄 길이치(1)에 일임하는 「자동 용이」의 모드를 설정하는 것은 쉽지 않다고 생각된다.
다시 말하면, 중요한 타이틀 부분의 단락에는 다른 모드를 설정하여, 인쇄 후에 판독 입력되는 것만으로 하면 되도록 한 날짜 등의 메모 기록 정도의 정보의 단락에는 그 문자 크기의 설정이 번거롭기 때문에 가변 크기 단락의 설정으로 되는 「자동 용이」의 모드를 설정하는 등의 이용 방법이 상정된다.
물론, 다른 모드를 상기의「자동 용이」과 같이, 가변 크기 단락의 설정으로 할 수도 있지만, 이하의 설명에서는 「자동 용이」로 설정된 단락(용이 단락)을 가변 크기 단락(가변 크기 요소 화상), 그 밖의 모드로 설정된 단락(비용이 단락)을 고정 크기 단락(고정 크기 요소 화상)으로서 설명한다.
일정 길이가 설정되어, 텍스트 입력 화면에 되돌아가면 동시에, 일정 길이 설정 비율이 발생하여, 일정 길이 처리가 기동되면,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선, 사용자가 작성한 기초 화상을 인쇄하는 경우의 길이(인쇄 길이치), 즉 일정 길이가 설정되어 있지 않은(임의 길이) 경우나 기초 화상의 일정 길이 범위 내에 들어가는 경우에 그대로 인쇄했을 때의 길이(이하「임의 길이인 인쇄 길이」)를 산출하고(S11), 일정 길이 설정치와 비교한다(S12).
예를 들면, 도 14a는 임의 길이인 인쇄 길이가 13.1cm, 단락수 N=4의 인쇄 화상의 일례, 도 15a는 임의 길이인 인쇄 길이가 16.8cm, 단락수 N=5의 인쇄 화상의 일례를 도시하고, 도 14a 내지 14h나 도 15a 내지 15g는 여러 가지의 일정 길이 설정을 한 경우의 인쇄 화상의 예를 도시하고 있다. 이들의 경우, 상기의 인쇄 길이치산출(S11)에서는 각각 13.1〔cm〕,16.8〔cm〕이 산출되어진다.
임의 길이일 때의, 즉 기초 화상 작성 직후의 당초의 인쇄 길이치와 일정 길이 설정치와 비교하여(S12), 그 인쇄 길이치가 일정 길이 설정치 이하이면(S12:No), 기초 화상을 그대로 인쇄하여도, 소정의 인쇄 영역에 들어가기 때문에, 그 대로 일정 길이 처리를 종료한다(S24). 다음에는 사용자가 임의의 시점에서 인쇄 키(322)를 누름으로써, 기초 화상(예를 들면, 도 14a의 인쇄 화상 데이터(G20)(M20, R20), 도 15a의 인쇄 화상 데이터(G30)(M30, R30))를 인쇄 화상으로서 그대로 인쇄할 수 있다.
한편, 기초 화상의 인쇄 길이치가 일정 길이 설정치를 초과하고 있을 때(S12:Yes)에는 다음에, 변수(i 및 N)을 초기화(i=1, N= 단락수)한다(S13). 예를 들면, 도 12a의 기초 화상(인쇄 화상 데이터(G10))이 일정 길이 설정치를 초과하고 있을 때(S12:Ye s)에는 다음에, 변수(i 및 N)를 초기화(i=1, N=5)한다(S13).
변수(i, N)의 초기화를 종료하면(S13), 다음에, 소정의 단계수(여기서는 5로 규정하고 있다)까지 축소를 종료했는지의 여부를 판별한다(S14).
여기서, 소정의 단계까지 종료하고 있을 때, 즉, 소정의 단계수인 5단계째(도 13 참조)까지 축소하여도, 아직, 일정 길이 설정치 이하로 되지 않을 때(S14:Yes)에는 설정한 일정 길이 범위(즉 원하는 인쇄 영역)에는 인쇄할 수 없는(인쇄 불가능하다)것을 사용자에게 알리기 위해서, 디스플레이(4)의 표시 화면(41)에 「일정 길이 글자 나머지」의 에러를 표시하여(S23), 처리를 종료한다 (S24).
한편, 소정의 5단계째의 축소까지 종료하지 않고 있을 때(S14:No)에는 변수 (n)에 단락수(N)(예를 들면 도 12a 내지 12c의 예에서는 N= 5)을 대입하고(Sl5), 다음에, n단락째(5단락째)가「용이 단락」인지의 여부를 판별한다(S16).
도 12의 a 내지 c의 예에서는 상기와 같이, 5단락째가「용이 단락」이기 때문에 (G10의 ③), 이와 같이 했을 때(S16:Yes)에는 다음에, 그 단락을 i단계째(최초는 i=1)의 문자 크기로 변경한다(S17).
테이프 인쇄 길이치(1)에서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초 화상의 문자 크기를 기본 크기로 하였을 때에, i(= 1 내지 5)단계째의 축소에서는 어떤 크기로 할것인가를 규정하고 있다.
또한, 만약을 위해, 이 경우의 문자 크기의 문자는 문자, 숫자, 기호, 간이도형 등인 것 외에, 외자 등록 등이나 묘화 등록 등으로 등록한 조금 복잡한 도형 등도 포함하는 개념이고, 문자 화상은 이들 문자를 도트 매트릭스 등으로 구성한 화상이다.
즉, 이 축소 처리(S17)에서는 각 문자 화상의 크기를 축소함으로써, 가변 크기 단락(가변 크기 요소 화상)인 「용이 단락」의 축소를 행할 수 있다.
도 12의 a 내지 c의 예에서는 상기와 같이, 5단락째가「용이 단락」이기 때문에 (G10의 ③), 이 축소 처리에 의해, 우선, 5단락째를 i단계째, 즉 최초는 도 13의 1단계째(i=1)의 문자 크기로 변경한다(S17).
또한, 테이프 인쇄 길이치(1) 이외의 인쇄 길이치 등도, 통상, 복수의 문자 화상의 크기를 갖기 때문에, 이들의 경우, 그 문자 크기를 변경하는 것만으로, 용이하게 축소 처리를 행할 수 있다.
또한, 테이프 인쇄 길이치(1)에서는 가변 크기 단락(가변 크기 요소 화상)의「용이 단락」이 복수 행을 갖는 경우,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행의 크기가 상대적으로 동일한 비율로 되도록 축소한다.
예를 들면 1행째가 M 크기, 2행째가 S 크기의 2행을 갖는 경우(도면 중의 M+ S의 란), 1행째가 축 M 크기, 2행째가 축 S 크기(도면 중의 축 M+ 축S)로 하고, 원래의 비율 M/S와 같은(즉 M/S= 축 M/축 S) 비율로 축소한다.
즉, 테이프 인쇄 길이치(1)에서는 복수 행을 갖는 가변 크기 단락(가변 크기 요소 화상)의 축소를 각 행의 문자 화상의 크기가 상대적으로 동일한 비율로 되도록 하기 때문에, 그 가변 크기 단락(가변 크기 요소 화상)에 관해서는 상대적인 외관이 동일한 축소를 행할 수 있어, 기초 화상 작성시에 그 상대적인 관계를 설정(기대)한 사용자의 의도를 인쇄 화상에 반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의 설명에서는 문자 화상의 크기에 관해서만 설명하였지만, 각 문자 화상간에 여백(여백 화상)이 있는 경우, 그 가변 크기 단락(가변 크기 요소 화상)에 관해서는 그 여백 화상만을 축소하도록 하여 용이하게 축소 처리를 행할 수있다. 또한, 문자 화상의 크기와 동시에 축소할 수 있다.
또한, 문자 화상의 전후에 여백 화상을 갖는 경우도 마찬가지로, 그 가변 크기 단락(가변 크기 요소 화상)에 관해서는 그 여백 화상을 축소하는 것만으로, 용이하게 축소 처리를 행할 수 있다. 물론, 상기의 문자 화상의 크기나 각 문자 화상간의 여백 화상과 동시에 축소할 수 있다.
상기의 축소 처리가 종료하면(S17), 다음에, 그 시점에서의 인쇄 길이치를 산출한다(S18). 이 시점에서는 예를 들면, 상기의 도 12a 내지 12c의 예에서는 5단락째의「용이 단락」(G10의 ③)이 1단계째의 문자 크기로 변경되고(S17), 축소되어 있다(G11의 ③).
다음에, 그 인쇄 길이치와 일정 길이 설정치와 비교하여(S19), 그 인쇄 길이치가 일정 길이 설정치 이하이면(S19:No), 그 시점에서의 축소 화상(예를 들면 도 12b의 인쇄 화상 데이터(G11))를 인쇄 화상으로서 인쇄하면, 소정의 인쇄 영역에 들어가기 때문에, 일정 길이 처리를 종료한다(S24).
이후에는 상기와 같이, 사용자가 임의의 시점에서 인쇄 키(322)를 누름으로써, 그 축소 화상을 인쇄 화상으로서 인쇄 영역 내에 인쇄할 수 있다.
한편, 그 시점에서 인쇄 길이치가 일정 길이 설정치를 초과하고 있을 때(S19:Yes)에는 다음에, 변수(N)을 갱신(디크리먼트: n← n-1)하고(S20), 그 변수(N)가 0으로 되었는지의 여부, 즉 모든 단락에 대하여 축소 처리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별하여 (S21), 종료하지 않고 있을 때(S21:No)에는 새로운 n단락째가「용이 단락」인지의 여부, 즉 가변 크기 단락(가변 크기 요소 화상)인지의 여부를 판별한다(S16).
이 시점에서는 예를 들면 상기의 도 12a 내지 12c의 예에서는 변수(N)의 갱신(n= 5-1=4)에 의해, 4단락째가 새롭게 n단락째로 되고(S20), 이 4단락째는「비용이 단락」(G11의 ②와 ③의 간의 단락)이기 때문에, 이와 같은 때(S16:No)에는 축소를 하지 않고, 다음에, 다시, 변수(N)의 갱신(n= 4-1:3)을 하고(S20), 모든 단락에 관해서 종료했는지의 여부를(n≤0)를 판별하고(S2l), 종료하지 않고 있을 때(S21:No)에는 새로운 n 단락째(3단락째)가「용이 단락」의 가변 크기 단락(가변 크기 요소 화상)인지의 여부를 판별한다(S16).
그리고, 이 시점에서 대상이 되는 도 12b의 3단락째는「용이 단락」(G11의②)이기 때문에, 상술의 5단락째와 마찬가지로, 1단계째(도 13참조)의 문자 크기로 변경하는 축소 처리를 행하고(S17), 그 시점에서의 축소 화상(도 12c의 G12)의 인쇄 길이치를 산출하여(S18), 그 인쇄 길이치가 일정 길이 설정치 이하이면(S19:No), 그 축소 화상(G12)을 인쇄 화상으로서 인쇄하면, 소정의 인쇄 영역에 들어가기 때문에, 일정 길이 처리를 종료한다(S24).
한편, 그 시점에서 인쇄 길이치가 일정 길이 설정치를 초과하고 있을 때(S19:Yes)에는 변수(N)의 갱신(n= 3-1=2)을 행하고(S20), 모든 단락에 관해서 종료했는지의 여부를(n≤ 0)를 판별한다(S21).
이상의 루프 처리에 의한 축소 처리를 행하고(S16 내지 S21), 변수(N)의 갱신(n=5, 4, 3, 2, 1)의 모든 단락에 관해서 종료(n≤0)되기(S21:Yes)까지의 동안에, 그 사이에 작성한 축소 화상의 인쇄 길이치가 일정 길이 설정치 이하가 되면(S19:No), 그 축소 화상을 인쇄 화상으로서 인쇄하면, 소정의 인쇄 영역에 들어가기 때문에, 일정 길이 처리를 종료한다(S24).
그리고, 그 후에는 상기와 같이, 사용자가 임의의 시점에서 인쇄 키(322)를 누름으로써, 그 축소 화상을 인쇄 화상으로서 인쇄 영역 내에 인쇄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테이프 인쇄 길이치에서는 문장 등(숫자, 기호, 간이도형 등인 것 외에, 외자 등록되는 등 조금 복잡한 도형 등을 포함한다)의 1개의 종합 등을 1개의 단락으로서 정리하기 때문에, 각 단락의 화상이 표현하는 내용(취지)이나 그 중요도 등은 각각 서로 다르다.
상기와 같이, 이 테이프 인쇄 길이치(1)에서는 사용자가 작성한 원래의 기초 화상(예를 들면 인쇄 화상 데이터(G10)을 구성하는 복수의 각 요소 화상이 각각 테이프(T) 상에 인쇄되는 복수의 단락 중의 1개에 대응하기 때문에, 각 단락의 화상을 중요도 등에 따라 구별하여 기초 화상을 작성하고, 또한, 각 단락에 그 중요도에 따른 설정을 하면, 그 축소시에도, 각 단락의 취지나 중요도 등이 인쇄 화상에 반영되어, 그것을 작성하였을 때의 의도를 명확히 반영할 수 있다.
이로써, 예를 들면 비디오 등의 타이틀 부분을 동일 크기로 정돈한 라벨을 제작하여, 그 라벨을 붙인 복수의 비디오 등을 모두 보관하고 싶은 경우에, 중요한 타이틀 등의 단락에는 다른 모드를 설정하여 고정 크기로 가지런히 하여, 날짜 등의 메모 기록 정도의 정보의 단락에는「자동 용이」 모드를 설정하여 가변 크기로 함으로써, 그 의도를 반영시킨 인쇄 화상을 작성할 수 있고, 그것을 인쇄함으로써, 원하는(예를 들면 타이틀 부분을 동일 크기로 가지런히 하였다) 라벨을 제작할 수 있다.
그런데, 상술의 루프 처리에 의한 축소 처리(S16 내지 S21)에 의해서, 변수(N)의 갱신(n=5, 4, 3, 2, 1)의 모든 단락에 관해서 종료(n≤0)가 되기(S21:Yes)까지의 동안에, 그 사이에 작성된 축소 화상의 인쇄 길이치가 일정 길이 설정치 이하로 되었을 때(S19:Yes)에는 모든 단락에 관해서 종료(n≤0)로 판별되고 (S21:Yes), 다음에, 변수(i)를 갱신(인크리멘트: i←i-1)하고(S22), 다시, 5단계째 (소정의 단계수)까지 축소를 종료했는지의 여부를 판별한다(S14).
여기서, 소정의 5단계째의 축소까지 종료하지 않고 있을 때(S14:No)에는 변수(N)에 단락수(N)(예를 들면 도 12a 내지 12c의 예로서는 N=5)을 대입하고(S15),다음 n 단락째(5단락째)가「용이 단락」인지의 여부의 판별로부터의 루프 처리에 의한 축소 처리를 행한다(S16 내지 S21).
이 경우, 도 13에서 참조하는 크기는 2(=i=1+1)단계째의 크기로 되며, 여기서도, 그 사이에 작성한 축소 화상의 인쇄 길이치가 일정 길이 설정치 이하로 되었을 때(S19:Yes)에는 변수(i)를 또한 갱신(i=2+1=3)하고(S22), 같은 루프 처리(S14 내지 S22)를 행한다.
그리고, 변수(i)를 갱신하여(i=1, 2, 3, 4, 5), 상기의 l루프 처리(S14 내지 S22)를 행하고, 소정의 5단계째(도 13참조)까지 축소(S14:Yes)하기 까지의 동안에, 그 사이에 작성한 축소 화상의 인쇄 길이치가 일정 길이 설정치 이하가 되면 (S19:No), 그 축소 화상을 인쇄 화상으로서 인쇄하면, 소정의 인쇄 영역에 들어가기 때문에, 일정 길이 처리를 종료한다(S24).
그리고, 그 후에는 상기와 같이, 사용자가 임의의 시점에서 인쇄 키(322)를 누름으로써, 그 축소 화상을 인쇄 화상으로서 인쇄 영역 내에 인쇄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이 테이프 인쇄 길이치(1)에서는 각 가변 크기 단락(각 가변 크기 요소 화상)의 축소가 소정의 복수 단계의 축소를 포함하기 때문에, 각 가변 크기 단락(각 가변 크기 요소 화상)을 서서히 축소할 수 있으며, 이로써, 단계적으로 축소한 복수의 축소 화상을 얻을 수 있다.
또한, 테이프 인쇄 길이치(1)에서는 서서히 축소(복수단계에서 단계적으로 축소)한 축소 화상이 인쇄 길이치가 일정 길이 설정치 이하로 되었을 때에(S19:No), 일정 길이 처리를 종료한다(S24). 즉, 복수단계에서 단계적으로 축소하면 복수의 축소 화상이 얻어지지만, 인쇄 영역에 인쇄가 가능해지는 축소 화상 중의 최대 크기의 축소 화상을 인쇄 화상으로서 선택하게 된다. 그리고, 이로써, 선택된 인쇄 화상은 인쇄 영역에 인쇄가 가능한 가장 큰 크기로 된다. 즉, 크고 돋보이는 인쇄 화상을 작성할 수 있다.
한편, 변수(i)를 갱신하여(i=1, 2, 3, 4, 5), 소정의 5단계째까지 축소하더라도(도 13 참조), 아직, 일정 길이 설정치 이하로 되지 않을 때(S14:Yes)에는 상기와 같이, 설정한 일정 길이 범위(즉 원하는 인쇄 영역)에는 인쇄할 수 없는(인쇄 불가능하다) 것을 사용자에게 알리기 위해서, 「일정 길이 글자 나머지」의 에러를 표시하고(S23), 일정 길이 처리를 종료한다(S24).
즉, 테이프 인쇄 길이치(1)에서는 복수단계의 축소에 있어서 단계적으로 축소한 축소 화상 중의 최소 크기의 축소 화상이 인쇄 영역에 인쇄 불가능할 때에, 그 취지를 알리기 때문에, 사용자는 최소 크기의 축소 화상이라도 인쇄 영역에 인쇄 불가능한 것을 알 수 있다. 이로써, 사용자는 다른 기초 화상이나 다른 설정으로 변경하는 등, 보다 빠른 시기에 쉽게 대처하게 된다. 즉, 인쇄 화상이 원하는 배치가 되거나, 인쇄 영역에 인쇄 불가능한 것으로 판명하였을 때에, 설정을 변경함으로써 대처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테이프 인쇄장치(1)로서는, 각 가변 크기단락(각 가변 크기 요소화상)의 크기의 축소단계가 1이라도, (예를 들면 도 12a 내지 12c의 G10→ G11→ G12→… 와 같이,) 그 가변 크기단락(가변 크기 요소화상)의 수(도 12a 내지 12c의 예에서는 ③ 내지 ①의 3개)의 축소단계를 거칠 수 있으며, 그 몫의 수의 축소화상을 인쇄화상의 후보로 할 수 있기 때문에, 섬세하고 치밀한 축소처리를 하고, 이로써, 인쇄영역에 의해 알맞은 인쇄화상을 작성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 같은 기초화상(예를 들면 도 12a의 Gl0)에 대하여, 예를 들면 도 16a 내지 16c의 G40(Gl0과 같은)→G41→G42→ …와 같이, 한번의 축소단계에서 복수의 가변 크기단락(가변 크기 요소화상)을 각 1단계씩 축소할 수 있다. 이 경우, 1축소단계에 있어서의 축소 크기를 크게 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기초화상의 크기와 인쇄가 가능한 크기가 멀리 떨어져 있을 경우에, 축소처리의 고속화를 꾀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각 가변 크기단락(각 가변 크기 요소화상)에 관해서, 순차 축소하는 방법(도 12a 내지 12c와 같은 축소방법)과, 한번에 각 1단계씩 축소하는 방법(도 16a 내지 16c와 같은 축소방법)을, 모드설정 등에 의해 선택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테이프 인쇄장치(1)에서는, 1이상의 고정 크기 요소화상(고정 크기단락의 「비용이 단락」의 화상) 및 1이상의 가변 크기 요소화상(가변 크기 단락의 「용이 단락」의 화상)으로부터 이루어지는 복수의 요소화상을 갖는 기초화상을 작성하고, 축소 때에는, 가변 크기 요소화상 중의 적어도 1을 축소하기 때문에, 인쇄가 가능하도록 기초화상을 축소하여도, 고정 크기 요소화상의 크기는 변하지 않는다.
이 때문에, 예를 들면 중요한 요소화상을 고정 크기 요소화상, 그렇지 않은 요소화상을 가변 크기 요소화상으로 하는 등, 각 요소화상의 특성에 의해 그들을 구별하고 기초화상을 작성하면, 기초화상 작성시의 의도가, 인쇄화상에도 반영된다.
따라서, 이 테이프 인쇄장치(1)로서는, 근본이 되는 기초화상을 미리 설정된 인쇄영역 내에 인쇄가 가능하도록 축소하면서, 그 축소결과의 인쇄화상에 기초화상 작성시의 의도를 반영시킬 수 있다.
또한, 테이프 인쇄장치(1)로서는, 작성된 각 요소화상(각 단락)에 대하여, 그 요소화상이 고정 크기 요소화상이 가변 크기 요소화상인지를, 예를 들면 문자 크기의 모드설정 등에 의해서 설정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예를 들면 중요한 요소화상을 고정 크기 요소화상으로 하고, 그렇지 않은 요소화상을 가변 크기 요소화상으로 하는 등, 각 요소화상의 요소화상 크기 특성을 구별한 기초화상을 작성할 수 있다. 즉, 이로써, 기초화상의 각 요소화상 작성시의 사용자 등의 의도를, 보다 명확히 인쇄화상에 반영시킬 수 있다.
또한, 요소화상 크기 특성을, 작성된 각 요소화상에 대하여 설정할 수 있기 때문에, 인쇄화상이 원하는 배치가 되거나, 인쇄영역에 인쇄 불가능한 것이 판명하였을 때에, 설정을 변경하는 것으로 대처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술한 실시 예로서는, 테이프의 길이 방향으로 배열된 가변 크기단락(가변 크기 요소화상)의 길이 방향을 축소하였지만, 폭방향으로 복수의 단락(요소화상)이 배열되는 경우에, 그 폭방향을 축소하고 폭방향으로 제한이 있는 인쇄영역에 인쇄할 수 있도록 할 수 있으며, 길이 방향과 폭방향을 양쪽 병용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도 5에서는, 키 입력에 의한 다양한 삽입처리를 하는 것을 전제로 하여 설명하였지만, 각 처리마다 독립된 프로그램을 멀티태스크 처리 등에 의해 관리하는 등의, 다른 수법을 사용하여도 동일하게 할 수 있다.
또한, 테이프 카트리지로부터 공급하는 테이프로서, 박리지가 붙은 테이프뿐만아니라, 동일하게 시판되고 있는 전사 테이프, 아이론 전사 테이프 등의 박리지가 없는 것이라도 좋다.
나아가, 테이프 인쇄장치 이외에도, 예를 들면, 인장의 인쇄면에 형성하는 인장화상을 작성하기 위한 마스크 데이터를 리본 테이프에 인쇄하는 인장 작성장치에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인쇄 대상물은 테이프가 아니라도 되며, 인쇄 대상물상의 미리 설정된 인쇄영역 내에 인쇄화상을 인쇄하는 것이라면, 다른 장치의 인쇄방법 및 그 장치로서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 예로서는, 인쇄 대상물인 테이프를 이동시키었지만, 인쇄 헤드(서멀 헤드 등)측을 예를 들면 캐리지 등에 탑재하여 부동의 인쇄 대상물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이동시키는 타입의 인쇄에도 적용할 수 있으며, 상호(쌍방모두)에 이동시키는 타입이라도 된다.
또한, 인쇄 헤드가 서멀 헤드의 경우, 서멀·헤드의 발열체에 의해서 인쇄하는 것이면, 잉크를 승화시키는 승화형 열 전사 방식이나 용융형 열 전사 방식 등의 방식에 구애되지 않고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인쇄 대상물이 감열지 등의 경우에도, 그 인쇄 부분을 적절히 변색시키기 위한 소정 범위의 열량을 서멀 헤드에 발생시켜, 그 열량을 직접, 인쇄 대상물에 부여함으로써 인쇄를 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 예로서는, 인쇄 헤드로서 서멀 헤드를 사용하였지만, 예를 들면 잉크 제트 방식 등의 다른 타입의 인쇄 헤드의 경우에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인쇄 대상물이 커트지라도 연속지라도 적용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인쇄화상 작성방법 및 그 장치 및 그 장치를 구비한 인쇄장치에 의하면, 근본이 되는 기초화상을 미리 설정된 인쇄영역 내에 인쇄가 가능하도록 축소하면서, 그 축소 결과의 인쇄화상에 기초화상 작성시의 의도를 반영시킬 수 있다, 등의 효과가 있다.
이상은 본 발명이 바람직한 실시 예의 설명이며,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한 변경이 가능한 것은, 당업자에게는 이해될 것이다.

Claims (31)

  1. 인쇄 대상물 상의 미리 설정된 인쇄영역 내에 인쇄하기 위한 인쇄화상을 작성하는 방법으로서,
    적어도 1개의 고정 크기 요소화상 및 적어도 1개의 가변 크기 요소화상으로 이루어지는 복수의 요소화상을 갖는 기초화상을 작성하는 단계와;
    상기 기초화상을 상기 인쇄화상으로서 상기 인쇄영역 내에 인쇄 불가능한 경우, 상기 기초화상의 상기 적어도 1개의 가변 크기 요소화상 중의 적어도 1개를 축소함으로써, 상기 기초화상의 축소화상을 상기 인쇄화상으로서 작성하는 인쇄 화상 작성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초화상을 작성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요소화상을 작성하는 단계와;
    작성된 각 요소화상에 대하여, 그 요소화상이 상기 적어도 1개의 고정 크기 요소화상인지 또는 상기 적어도 1개의 가변 크기 요소화상 중 1개인지에 관한 설정을 포함하는 크기 특성을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인쇄 화상 작성 방법.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축소화상을 작성하는 단계는,
    상기 적어도 1개의 가변 크기 요소화상이 축소되는 복수의 축소율 중의 적어도 1개의 축소율을 선택하는 단계와;
    해당 선택된 적어도 1개의 축소율로 상기 적어도 1개의 가변 크기 요소화상을 축소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인쇄 화상 작성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1개의 축소율을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적어도 1개의 축소율을, 상기 축소화상이, 상기 기초화상을 상기 복수의 축소율을 사용하여 축소할 수 있는 가능한 크기 중 최대 크기를 갖도록 선택하는 것을 포함하는 인쇄 화상 작성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1개의 축소율을 선택하는 단계는,
    내림차순으로, 상기 복수의 축소율 중의 하나를 임시로 선발하는 단계와;
    적어도 해당 임시로 선택된 축소율을 사용하여, 상기 축소화상의 크기를 산출하는 단계와;
    그 산출된 크기가, 상기 인쇄영역의 크기 이하일 때에, 해당 임시로 선택된 축소율을 실제로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인쇄 화상 작성 방법.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1개의 가변 크기 요소화상의 모든 것에 상기 복수의 축소율 중의 최소 축소율을 적용하여 산출된 상기 축소화상의 크기가, 상기 인쇄영역의 크기보다 클 때, 에러 메시지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인쇄 화상 작성 방법.
  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1개의 가변 크기 요소화상은, 복수의 가변 크기 요소화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적어도 1개의 축소율을 선택하는 단계는,
    내림차순으로, 상기 복수의 축소율 중의 하나를 임시로 선택하는 단계와;
    상기 복수의 가변 크기 요소화상 중의, 상기 임시로 선택된 축소율이 적용되어야 하는 상기 가변 크기 요소화상 중 선택된 것의 수를 순차 1개씩 늘리는 단계와;
    해당 선택된 가변 크기 요소화상의 수가 늘어날 때마다, 적어도 해당 임시로 선택된 축소율을 사용하여 상기 축소화상의 크기를 산출하는 단계와;
    그 산출된 크기가, 상기 인쇄영역의 크기 이하일 때에, 적어도 해당 임시로 선택된 축소율을 실제로 선택하는 각 단계를 포함하는 인쇄 화상 작성 방법.
  8.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1개의 가변 크기 요소화상은, 복수의 가변 크기 요소화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적어도 1개의 축소율을 선택하는 단계는,
    내림차순으로, 상기 복수의 축소율 중의 하나를 임시로 선택하는 단계와;
    상기 임시로 선택된 1개의 축소율을 상기 복수의 가변 크기 요소화상의 모든 것에 적용하여 상기 축소화상의 크기를 산출하는 단계와;
    그 산출된 크기가, 상기 인쇄영역의 크기 이하일 때에, 해당 임시로 선택된 축소율을 실제로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인쇄 화상 작성 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1개의 가변 크기 요소화상은, 적어도 1개의 문자화상을 갖는 가변 크기 요소화상을 포함함과 동시에, 해당 적어도 1개의 문자화상은 설정 가능한 복수의 문자 크기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 축소화상을 작성하는 단계는, 상기 각 적어도 1개의 문자화상의 원래의 문자 크기를, 상기 복수의 크기가 적합한 1개를 선택함으로써 해당 원래의 문자 크기보다 작은 크기로 변경하는 것을 포함하는 인쇄 화상 작성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1개의 문자화상을 갖는 가변 크기 요소화상은, 복수 행의 문자화상을 갖는 것을 포함하며,
    상기 축소화상을 작성하는 단계는, 상기 각 문자화상이 동일한 축소비율로 축소되도록, 상기 복수의 문자 크기를 선택적으로 상기 각 행에 설정하는 것을 포함하는 인쇄 화상 작성 방법.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1개의 가변 크기 요소화상에는, 복수의 문자화상과 상기 문자화상의 인접하는 것의 사이에 있는 문자화상 이외의 공백화상을 갖는 것을 포함하며,
    상기 축소화상을 작성하는 단계는, 상기 공백화상의 크기를 축소하는 것을 포함하는 인쇄 화상 작성 방법.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1개의 가변 크기 요소화상은, 적어도 1개의 문자화상과 그 전후의 여백화상을 갖는 것을 포함하며,
    상기 축소화상을 축소하는 단계는, 상기 여백화상의 크기를 축소하는 것을 포함하는 인쇄 화상 작성 방법.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 대상물이 테이프인 인쇄 화상 작성 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기초화상은, 상기 복수의 요소화상을, 상기 테이프의 긴쪽방향에 상당하는 방향으로 배열하여 구성되는 인쇄 화상 작성 방법.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요소화상은, 각각 테이프 상에 인쇄되는 복수의 단락에 대응하는 인쇄 화상 작성 방법.
  16. 인쇄 대상물 상의 미리 설정된 인쇄영역 내에 인쇄하기 위한 인쇄화상을 작성하는 인쇄 화상 작성 장치로서,
    적어도 1개의 고정 크기 요소화상 및 적어도 1개의 가변 크기 요소화상으로 이루어지는 복수의 요소화상을 갖는 기초화상을 작성하는 기초화상 작성수단 및;
    상기 기초화상을 상기 인쇄화상으로서 상기 인쇄영역 내에 인쇄 불가능한 경우, 상기 기초화상의 상기 적어도 1개의 가변 크기 요소화상 중의 적어도 1개를 축소함으로써, 상기 기초화상의 축소화상을 상기 인쇄화상으로서 작성하는 축소 화상 작성 수단을 포함하는 인쇄 화상 작성 장치.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기초화상 작성수단은,
    상기 복수의 요소화상을 작성하는 요소화상 작성수단 및;
    작성된 각 요소화상에 대하여, 그 요소화상이 상기 적어도 1개의 고정 크기 요소화상인지 또는 상기 적어도 1개의 가변 크기 요소화상 중 l개인지에 관한 설정을 포함하는 크기특성을 설정하는 크기특성 설정수단을 갖는 인쇄 화상 작성 장치.
  18. 제 16 항 또는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축소 화상 작성 수단은,
    상기 적어도 1개의 가변 크기 요소화상이 축소되는 복수의 축소율 중의 적어도 1개의 축소율을 선택하는 축소율 선택수단 및;
    해당 선택된 적어도 1개의 축소율로 상기 적어도 1개의 가변 크기 요소화상을 축소하는 축소수단을 갖는 인쇄 화상 작성 장치.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축소율 선택수단은, 상기 적어도 1개의 축소율을, 상기 축소화상이, 상기 기초화상을 상기 복수의 축소율을 사용하여 축소할 수 있는 가능한 크기 중의 최대 크기를 갖도록 선택하는 인쇄 화상 작성 장치.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축소율 선택수단은,
    내림차순으로, 상기 복수의 축소율 중의 하나를 임시로 선택하는 임시 선택수단;
    적어도 해당 임시로 선택된 축소율을 사용하여, 상기 축소화상의 크기를 산출하는 크기 산출수단 및;
    그 산출된 크기가, 상기 인쇄영역의 크기 이하일 때에, 해당 임시로 선택된 축소율을 실제로 선택하는 실선택수단을 갖는 인쇄 화상 작성 장치.
  21.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1개의 가변 크기 요소화상의 모든 것에 상기 복수의 축소율 중의 최소 축소율을 적용하여 산출된 상기 축소화상의 크기가, 상기 인쇄영역의 크기보다 클 때, 에러 메시지를 출력하는 알림수단을 더 포함하는 인쇄 화상 작성 장치.
  22.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1개의 가변 크기 요소화상은, 복수의 가변 크기 요소화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축소율 선택수단은,
    내림차순으로, 상기 복수의 축소율 중의 하나를 임시로 선택하는 임시 선택수단;
    상기 복수의 가변 크기 요소화상 중의, 상기 임시로 선택된 축소율이 적용되어야 하는 상기 가변 크기 요소화상 중 선택된 것의 수를 순차 l개씩 늘리는 적용가변 크기 요소화상수 증가수단;
    해당 선택된 가변 크기 요소화상의 수가 늘어날 때마다, 적어도 해당 임시로 선택된 축소율을 사용하여 상기 축소화상의 크기를 산출하는 크기 산출수단 및;
    그 산출된 크기가, 상기 인쇄영역의 크기 이하일 때에, 적어도 해당 임시로 선택된 축소율을 실제로 선택하는 실선택수단을 갖는 인쇄 화상 작성 장치.
  23.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1개의 가변 크기 요소화상은, 복수의 가변 크기 요소화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축소율 선택수단은,
    내림차순으로, 상기 복수의 축소율 중의 하나를 임시로 선택하는 임시 선택수단;
    상기 임시로 선택된 1개의 축소율을 상기 복수의 가변 크기 요소화상의 모든 것에 적용하여 상기 축소화상의 크기를 산출하는 크기 산출수단 및;
    그 산출된 크기가, 상기 인쇄영역의 크기 이하일 때에, 해당 임시로 선택된 축소율을 실제로 선택하는 실선택수단을 갖는 인쇄 화상 작성 장치.
  24.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1개의 가변 크기 요소화상은, 적어도 1개의 문자화상을 갖는 가변 크기 요소화상을 포함함과 동시에, 해당 적어도 1개의 문자화상은 설정가능한 복수의 문자 크기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 축소화상 작성수단은, 상기 각 적어도 1개의 문자화상의 원래의 문자 크기를, 상기 복수의 크기가 적합한 1개를 선택함으로써 해당 원래의 문자 크기보다 작은 크기로 변경하는 문자 크기 변경수단을 포함하는 인쇄 화상 작성 장치.
  25. 상기 제 24 항에 있어서, 적어도 1개의 문자화상을 갖는 가변 크기 요소화상은, 복수 행의 문자화상을 갖는 것을 포함하며,
    상기 축소화상 작성수단은, 상기 각 문자화상이 동일한 축소비율로 축소되도록, 상기 복수의 문자 크기를 선택적으로 상기 각 행에 설정하는 문자 크기 설정수단을 포함하는 인쇄 화상 작성 장치.
  26.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1개의 가변 크기 요소화상은, 복수의 문자화상과 상기 문자화상의 인접하는 것의 사이에 있는 문자화상 이외의 공백화상을 갖는 것을 포함하며,
    상기 축소화상 작성수단은, 상기 공백화상의 크기를 축소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인쇄 화상 작성 장치.
  2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1개의 가변 크기 요소화상은, 적어도 1개의 문자화상과 그 전후의 여백화상을 갖는 것을 포함하며,
    상기 축소화상을 축소하는 단계는, 상기 여백화상의 크기를 축소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인쇄 화상 작성 장치.
  28.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 대상물이 테이프 인쇄 화상 작성 장치.
  29.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기초화상은, 상기 복수의 요소화상을, 상기 테이프의 긴쪽방향에 상당하는 방향으로 배열하여 구성되는 인쇄 화상 작성 장치.
  30.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요소화상은, 각각 테이프상에 인쇄되는 복수의 단락에 대응하는 인쇄 화상 작성 장치.
  31. 인쇄 대상물 상의 미리 설정된 인쇄영역 내에 인쇄하기 위한 인쇄화상을 작성하는 인쇄화상 작성장치로서,
    적어도 1개의 고정 크기 요소화상 및 적어도 1개의 가변 크기 요소화상으로 이루어지는 복수의 요소화상을 갖는 기초화상을 작성하는 기초화상 작성수단 및;
    상기 기초화상을 상기 인쇄화상으로서 상기 인쇄영역 내에 인쇄 불가능한 경우, 상기 기초화상의 상기 적어도 1개의 가변 크기 요소화상 중의 적어도 1개를 축소함으로써, 상기 기초화상의 축소화상을 상기 인쇄화상으로서 작성하는 축소화상 작성수단
    을 구비하는 인쇄화상 작성장치; 및
    상기 인쇄화상 작성장치에 의해 작성된 인쇄화상을 상기 인쇄영역 내에 인쇄하는 인쇄수단을 구비하는 인쇄 장치.
KR1019990010935A 1998-03-30 1999-03-30 인쇄화상 작성방법 및 그 장치, 그 장치를 구비한 인쇄장치 KR1999007839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8-139257 1998-03-30
JP13925798A JP3660127B2 (ja) 1998-03-30 1998-03-30 印刷画像作成方法およびその装置並びにその装置を備えた印刷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78390A true KR19990078390A (ko) 1999-10-25

Family

ID=152410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10935A KR19990078390A (ko) 1998-03-30 1999-03-30 인쇄화상 작성방법 및 그 장치, 그 장치를 구비한 인쇄장치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6129467A (ko)
EP (1) EP0947338B1 (ko)
JP (1) JP3660127B2 (ko)
KR (1) KR19990078390A (ko)
CN (1) CN1168610C (ko)
DE (1) DE69920091T2 (ko)
HK (1) HK1023751A1 (ko)
TW (1) TW492415U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62957B2 (ja) * 1998-05-11 2004-09-08 株式会社キングジム 印章作成装置
JP3591385B2 (ja) * 1999-08-26 2004-11-17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テープ印刷装置およびテープ印刷方法
GB0001913D0 (en) * 2000-01-27 2000-03-22 Esselte Nv Printing device
JP3943829B2 (ja) * 2000-12-11 2007-07-11 株式会社リコー 印刷条件設定装置、印刷装置、印刷システム、及び、印刷条件設定用記録媒体
WO2004034278A1 (ja) * 2002-09-27 2004-04-22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テキスト編集装置及びプログラム
CN101060986B (zh) * 2004-09-24 2010-05-05 兄弟工业株式会社 带式打印机和带盒
JP4706272B2 (ja) * 2005-02-02 2011-06-22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文字情報処理装置、文字情報処理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記憶媒体
JP2006224451A (ja) * 2005-02-17 2006-08-31 Seiko Epson Corp アイロン転写テープ、これを収容したテープカートリッジおよびテープ印刷装置
JP4862271B2 (ja) * 2005-03-31 2012-01-25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ラベル作成装置
JP2007253546A (ja) * 2006-03-24 2007-10-04 Casio Comput Co Ltd 印字装置
GB2440728A (en) * 2006-07-26 2008-02-13 Dymo B V B A Printing on multilayered tape
US9731849B1 (en) * 2011-08-24 2017-08-15 Glory Ltd. Paper sheet bundling apparatus with controlled printing
EP3420444B1 (en) * 2016-02-23 2022-06-29 Esko Software BV Process for layout and printing of images in multiple lanes with different repeat lengths
JP6763184B2 (ja) * 2016-04-06 2020-09-30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テープ印刷装置、編集方法、プログラム
JP6256638B2 (ja) * 2017-01-25 2018-01-10 株式会社寺岡精工 ラベル発行装置
JP6852490B2 (ja) * 2017-03-21 2021-03-31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印刷データ生成装置、印刷データ生成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印刷装置
JP7087434B2 (ja) * 2018-02-16 2022-06-21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印刷システム、印刷装置、画像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7314505B2 (ja) * 2018-12-18 2023-07-26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プログラム、印刷データ生成装置、及び、印刷データ生成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574657B1 (en) * 1992-03-11 2000-11-15 Chinon Industries Inc. Label printing apparatus and wordprocessor
JP2556238B2 (ja) * 1992-04-30 1996-11-20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テープ印字装置
GB9212439D0 (en) * 1992-06-11 1992-07-22 Esselte Dymo Nv Label printing apparatus
JPH061000A (ja) * 1992-06-17 1994-01-11 Brother Ind Ltd 印字装置
JP3098636B2 (ja) 1992-11-04 2000-10-16 株式会社キングジム テープ印刷装置及び方法
CA2107759A1 (en) * 1992-10-06 1994-04-07 Masahiko Nunokawa Tape printing device
JPH07114547A (ja) * 1993-10-19 1995-05-02 Brother Ind Ltd ラベル作成装置
JP3603316B2 (ja) * 1993-10-19 2004-12-22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ラベル作成装置及びラベル作成方法
JPH07125374A (ja) * 1993-11-02 1995-05-16 King Jim Co Ltd レイアウト表示装置
US5562353A (en) * 1993-11-02 1996-10-08 Casio Computer Co., Ltd. Tape printing apparatus that calculates character sizes and line lengths
JPH07125338A (ja) * 1993-11-04 1995-05-16 Brother Ind Ltd テープ印刷装置
JP3130194B2 (ja) 1993-11-09 2001-01-31 株式会社キングジム テープ印刷装置及び方法
US5772340A (en) * 1993-12-22 1998-06-30 Seiko Epson Corporation Tape printing apparatus
EP0695643B1 (en) * 1993-12-22 1999-10-27 Seiko Epson Corporation Tape printer
JPH07276715A (ja) * 1994-11-17 1995-10-24 Brother Ind Ltd 任意行数のブロックを複数印字可能なテープ印字装置
JP3397995B2 (ja) * 1996-11-07 2003-04-21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テープ印刷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235091A (zh) 1999-11-17
DE69920091D1 (de) 2004-10-21
JPH11277837A (ja) 1999-10-12
US6129467A (en) 2000-10-10
TW492415U (en) 2002-06-21
EP0947338A2 (en) 1999-10-06
CN1168610C (zh) 2004-09-29
DE69920091T2 (de) 2005-12-01
EP0947338B1 (en) 2004-09-15
JP3660127B2 (ja) 2005-06-15
EP0947338A3 (en) 2000-05-03
HK1023751A1 (en) 2000-09-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9990078390A (ko) 인쇄화상 작성방법 및 그 장치, 그 장치를 구비한 인쇄장치
US5496119A (en) Tape printer having a display
US6247860B1 (en) Image-printing method and device
AU707912B2 (en) Tape printers
US6793422B2 (en) Printing apparatus for printing characters on a tape in a size determined by tape use
KR100348921B1 (ko) 테이프 인쇄 장치 및 테이프 길이 설정 방법
KR100466056B1 (ko) 테이프 인쇄장치의 수신처 인쇄 방법 및 장치 및 수신처라벨 작성 방법 및 장치
JP3591385B2 (ja) テープ印刷装置およびテープ印刷方法
JP3603539B2 (ja) 画像表示装置
US6498659B1 (en) Character image layout method and device
US7474421B2 (en) Printing apparatus and method of displaying explanations of printing apparatus
US6338583B1 (en) Printing apparatus
JP4490009B2 (ja) ラベル作成方法およびラベル作成装置
US6587216B1 (en) Image-forming method and device
JPH0966632A (ja) テーププリンタ
JP4506230B2 (ja) テープ印刷装置
JPH11157136A (ja) テープ印刷装置における分割画像作成方法および分割画像印刷方法並びにそれらの装置
EP0679985A1 (en) Word processor
KR100469216B1 (ko) 문서 표시 방법 및 장치
JP3547407B2 (ja) テープ印刷装置
JP2003103864A (ja) ラベル作成装置およびラベル作成方法並びに記憶媒体
AU714858B2 (en) Tape printers
JPH0830613A (ja) ラベル作成装置
JPH06199011A (ja) テープ印字装置
JPH05341947A (ja) 電子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70104

Effective date: 20080229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07101000136;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70104

Effective date: 200802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