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76509A - 브레이커부착콘센트 - Google Patents
브레이커부착콘센트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9990076509A KR19990076509A KR1019980039789A KR19980039789A KR19990076509A KR 19990076509 A KR19990076509 A KR 19990076509A KR 1019980039789 A KR1019980039789 A KR 1019980039789A KR 19980039789 A KR19980039789 A KR 19980039789A KR 19990076509 A KR19990076509 A KR 19990076509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ounting
- unit
- wiring
- breaker
- outlet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Breakers (AREA)
- Installation Of Indoor Wiring (AREA)
Abstract
분기(分岐)브레이커의 복귀조작을 현장에서 행할 수 있고, 또한 작업성을 향상시킨 하니스플러그를 가진 브레이커부착콘센트를 제공한다.
기체(器體)(1)에는 3개의 콘센트유닛(30)과 1개의 브레이커유닛(40)이 수납장착된다. 콘센트유닛(30)은 기체(1)에 3개 형성된 노출창(21a∼21c)을 통하여 플러그의 삽입구를 형성한 면을 노출시킨다. 또, 브레이커유닛(40)은 기체(1)에 있어서 노출창(21a∼21c)이 형성되어 있는 면에 핸들(42)을 노출시킨다. 브레이커유닛(40)은 분기브레이커로서 기능하고, 브레이커유닛(40)의 작동시에는 핸들(42)을 분전반(分電盤)의 설치장소까지 가지 않고 복귀조작을 할 수 있다. 하니스플러그(70)에 조작핸들(77b)을 설치하였으므로, 이 조작핸들(77b)을 조작하여 케이블(60)의 심선(芯線)을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어, 작업성이 향상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이른바 프리액세스플로어에 의해 배선공간을 형성한 옥내배선시스템에 사용되는 브레이커부착콘센트에 관한 것이다.
최근 오피스에서는 컴퓨터, 워드프로세서, 복사기 등의 다수의 전기기기가 사용되고 있어, 다수의 전선이 깔려 있는 이른바 배선홍수가 문제로 되어 있다. 이런 종류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바닥바탕재의 위에 적당한 간격을 두고 바닥재를 부설(敷設)하고, 바닥바탕재와 바닥재와의 사이의 공간을 배선공간으로 하는 프리액세스플로어가 종래부터 사용되고 있다. 프리액세스플로어를 사용한 옥내배선시스템에서는 바닥바탕재와 바닥재와의 사이의 배선공간에 분전반(分電盤)에 내장한 분기브레이커로부터의 전력용 간선(幹線)을 배선하고, 간선상의 적당한 곳에 설치한 분기접속장치의 분기접속부에 콘센트 등의 배선기구를 착탈 가능하게 접속하는 것이 고려되고 있다. 즉, 바닥재의 부설시에 간선을 배선하고, 배선기구를 설치한 장소에 가까운 곳의 분기접속장치에 대하여 배선기구를 접속하는 것이다. 이 구성에서는 이미 설치된 옥내배선시스템의 배선기구의 위치변경이나 배선기구의 추가, 삭제 등을 행할 때에 배선기구와 분기접속장치와의 사이의 바닥재만을 제거하면 되고, 용이하게 시공할 수 있다는 이점을 가지고 있다.
또, 분기접속장치의 분기접속부에 접속되는 종래의 하니스플러그는 분기접속장치의 분기접속부가 결합되는 요부(凹部)를 하우징의 앞면에 형성하고, 이 요부내에 케이블의 복수의 심선이 각각 접속된 복수개의 플러그날(plug blade, 栓刃)의 선단을 면하게 하고, 분기접속장치의 내부에 설치한 암접점(female contact)에 각각 플러그날을 끼워 맞춰 전기접속을 하는 것이다.
그러나, 전술한 옥내배선시스템에서는 바닥바탕재와 바닥재와의 사이의 배선공간에는 분기브레이커로부터의 간선이 배선되어 있는 것으로서, 일반적으로는 분기브레이커는 분전반내에 다수개 설치되어 있으므로, 분기브레이커가 작동하여 콘센트로의 급전(給電)이 차단된 경우에, 어느 분기브레이커를 복귀시키면 원하는 곳의 통전(通電)이 재개되는가를 알기 어렵고, 또 분기브레이커의 복귀조작을 위해서는 비교적 떨어져서 배치되어 있는 분전반을 배치하고 있는 장소까지 갈 필요가 있어, 복귀조작이 번거롭다는 문제를 가지고 있다. 또, 이런 종류의 하니스플러그에서는 케이블의 심선은 플러그날의 기단(基端)에 코킹하여 접속하는 구조로 되어 있었으므로, 현장에서 케이블의 길이가 맞지 않는 경우 등에 있어서의 케이블의 교체작업이 번거롭고, 또한 정격(定格) 등이 표시되어 있지 않으므로, 배선의 시공시나 보수시에 하니스플러그나 브레이커부착콘센트의 정격 등을 알기 어려워 작업성이 나쁘다는 문제도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그 목적으로 하는 바는, 차단된 곳에 대응하는 분기브레이커를 용이하게 알 수 있고, 분기브레이커의 복귀조작을 현장에서 행할 수 있고, 또한 작업성을 향상시킨 하니스플러그를 가진 브레이커부착콘센트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도 1은 실시형태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2는 실시형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3은 실시형태를 나타낸 보디를 분리한 배면도.
도 4는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부싱의 바닥에의 시공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실시형태의 배면측의 사시도.
도 6은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하니스플러그의 단면도.
도 7은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하니스플러그를 조인트박스에 접속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8은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조인트박스에의 하니스플러그의 착탈을 나타낸 설명도.
도 9는 실시형태를 이용한 옥내배선시스템의 구성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기체(器體), 5 : 장착면
6a, 6b : 장착나사, 14, 16 : 장착공
17 : 자석유지요소, 18 : 영구자석
21a, 21b, 21c : 노출창,
24a, 24b, 24c, 24d : 장착리브,
25a : 결합공, 30 : 콘센트유닛
31 : 케이스, 33 : 장착클릭
37 : 넉아웃부, 40 : 브레이커유닛
42 : 핸들, 55 : 카드
70 : 하니스플러그, 77b : 조작핸들
이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바닥바탕재와 바닥바탕재 위에 적당한 간격을 두고 부설한 바닥재와의 사이에 형성되는 배선공간에 전력용 간선을 배선하고, 간선상의 적당한 곳에 설치한 분기접속장치의 분기접속부에 배선기구를 착탈 가능하게 접속함으로써 배선망을 형성한 옥내배선시스템에 사용되고, 전기기기의 플러그가 착탈 가능하게 접속되는 콘센트유닛과, 분기접속부와 콘센트유닛과의 사이의 전로(電路)상에 삽입되어 이상검출시에 분기접속부와 콘센트유닛과의 사이의 전로를 차단하는 브레이커유닛과, 콘센트유닛과 브레이커유닛을 수납하여 장착면의 표면에 고정되는 기체와, 기체내에서 콘센트유닛에 접속되는 복수의 심선을 가진 케이블과, 이 케이블의 선단에 설치되어 분기접속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는 하니스플러그를 구비하고, 콘센트유닛에 있어서의 플러그의 삽입구와 브레이커유닛에 있어서의 조작용 핸들을 기체의 앞면측에 설치하여 이루어지고, 하니스플러그는 분기접속부가 감합되는 요부(凹部)가 하우징의 앞면에 형성되고, 이 요부내에 케이블의 복수의 심선이 각각 기단부(基端部)에 접속된 복수개의 플러그날의 선단부가 면하고, 하우징의 후단부에 케이블의 심선을 각각 삽입하는 케이블삽입구를 형성하고, 이 케이블삽입구에서 삽입되는 케이블의 심선과 접촉하는 접촉편(片)을 상기 각각의 플러그날의 기단부에 형성하고, 이들 접촉편과의 사이에 심선을 탄성협지(彈性挾持)하는 복수의 록스프링(lock spring)과, 이 록스프링을 접촉편에서 떼어내서 심선의 탄성협지상태를 해제하는 해제버튼을 구비하고, 상기 해제버튼을 조작하기 위한 조작핸들을 하우징의 표면에 노출시켜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브레이커유닛과 콘센트유닛과의 대응관계를 알기 쉽고, 브레이커유닛에 의한 차단상태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으며, 또한 차단시에는 분전반을 배치하고 있는 장소까지 가지 않아도 현장에서 복귀조작을 할 수 있다. 또, 케이블의 길이가 맞지 않아 교체가 필요한 경우, 조작핸들을 조작함으로써, 간단하게 케이블을 분리시킬 수 있고, 또한 교체한 케이블의 심선을 전선삽입구에서 삽입하는 것만으로, 록스프링과 접촉편과의 사이에 심선이 탄성협지되어 케이블의 접속을 할 수 있어, 재접속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고, 또한 조작핸들을 조작함으로써 케이블을 용이하게 하니스플러그에서 분리할 수 있다.
또, 하니스플러그의 하우징의 측면에 전기적 특성이나 용도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브레이커유닛과 콘센트유닛과의 대응관계를 알기 쉽고, 브레이커유닛에 의한 차단상태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으며, 또한 차단시에는 분전반을 배치하고 있는 장소까지 가지 않고도 현장에서 복귀조작을 할 수 있다. 또, 표시부에서 하니스플러그를 가진 브레이커부착콘센트의 전기적 특성이나 용도 등의 전기배선에 필요한 정보를 알릴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를 설명한다.
기체(器體)(1)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앞면이 개방된 합성수지의 보디(10)와, 보디(10)의 앞면측에 결합되는 합성수지의 커버(20)로 이루어지고, 보디(10)를 통하여 태핑나사로 이루어진 조립나사(2)를 커버(20)에 나사결합시킴으로써 보디(10)와 커버(20)가 결합된다. 보디(10)의 주위부의 내면에는 각각 조립나사(2)가 삽통(揷通)되는 안내통(12)이 돌출 설치되고, 커버(20)의 주위부의 내면에는 안내통(12)에 대응하는 부위에서 조립나사(2)가 나사결합하는 지지통(22)(도 3참조)이 형성된다.
커버(20)에는 각각 2개씩의 플러그를 접속할 수 있는 삽입구를 앞면에 가진 3개의 콘센트유닛(30)과, 1개의 브레이커유닛(40)이 장착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접지극을 가지고 또한 플러그를 삽입구에 삽입한 후에 회전시키면 이탈방지 유지하는 형식의 콘센트유닛(30)을 사용하고 있다. 또, 브레이커유닛(40)은 2극의 주(主)접점을 구비하고 있다. 각 콘센트유닛(30)은 매입형(埋入型)의 배선기구용으로 규격화되어 있는 장착프레임에 3개까지 장착할 수 있는 단위치수의 배선기구의 3개분의 치수를 가진 케이스(31)를 구비한다. 케이스(31)는 앞면에 돌출대(32)가 돌출 설치된 형상으로 형성되고, 케이스(31)의 앞면의 양측 에지에는 장착프레임에 형성된 결합공에 계합가능한 각 1쌍의 장착클릭(33)이 돌출 설치된다. 또, 케이스(31)의 배면에는 전압측 전력선, 접지측 전력선, 접지선 3선의 전선을 각각 2개씩 삽입할 수 있는 합계 6개의 전선삽입공(34)(도 3참조)이 형성되고, 각 전선삽입공(34)에서 도입된 전선은 케이스(31)의 내부에 수납장착되어 있어 탄성력을 이용하여 전선을 지지하는 속결단자에 접속되도록 되어 있다.
한편, 커버(20)에는 각 콘센트유닛(30)의 돌출대(32)의 앞부분이 각각 삽입되는 3개의 노출창(21a∼21c)이 병설(竝設)되고, 커버(20)의 내면이고 각 노출창(21a∼21c)의 양측 에지에 대응하는 부위에는 돌출대(32)의 양측부에서 케이스(31)의 앞면에 닿는 위치규제리브가 각 노출창(21a∼21c)의 옆가장자리의 대략 전체 길이를 따라서 돌출 설치된다. 즉, 각 노출창(21a∼21c)마다 1쌍씩의 위치규제리브가 배설되어, 합계 3쌍의 위치규제리브가 배설되게 된다. 또한, 노출창(21a)의 양측부에는 장착리브(24a, 24b)가 노출창(21a)의 옆가장자리의 대략 전체 길이에 걸쳐 돌출 형성되고, 노출창(21c)의 양측부에는 각 1쌍의 장착리브(24c, 24d)가 노출창(21c)의 옆가장자리의 양단부에 대응하여 돌출 형성된다. 따라서, 노출창(21b)의 한쪽의 측부에는 장착리브(24b)가 형성되고, 다른 쪽의 측부에는 장착리브(24c)가 형성되게 된다. 여기서, 각 장착리브(24a∼24d)는 각 노출창(21a∼21c)과의 사이에 위치규제리브를 사이에 두고 형성되어 있으며, 따라서 장착리브(24b,24c)는 1쌍의 위치규제리브의 사이에 형성된다. 각 장착리브(24a∼24d)는 커버(20)의 내면에서의 돌출치수가 위치규제리브보다 크고, 각 장착리브(24a, 24b)에는 3쌍씩의 결합공이 형성되고, 4개의 장착리브(24c, 24d)에는 각각 1개씩의 결합공이 형성된다. 각 결합공은 사각형상이고, 커버(20)의 내면과 결합공의 뒤가장자리와의 사이의 거리는, 커버(20)의 내면으로부터의 위치규제리브의 돌출치수보다 장착클릭(33)의 두께치수만큼 크게 설정되어 있다. 또한, 장착리브(24b)의 양단에 형성된 결합공의 뒤가장자리에는 장착리브(24b)의 양면에서 두께방향으로 지지편이 돌출 형성되고, 장착리브(24c)에 형성된 결합공의 뒤가장자리에는 노출창(21c)측에 지지편이 돌출 형성되어 있다. 장착리브(24b)에 있어서 지지편이 돌출 형성되어 있지 않은 결합공에 대응하는 부위는, 장착리브(24b)의 양단부보다 장착리브(24a)에 근접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여기에, 지지편의 선단에서 장착리브(24a)까지 사이의 거리와, 장착리브(24b)의 중앙부에서 장착리브(24a)까지의 거리와는 대략 동등하게 설정되어 있다.
콘센트유닛(30)을 커버(20)에 장착하는데는, 케이스(31)의 한쪽 측면에 돌출 형성된 장착클릭(33)을 지지편에 걸어 맞춘 상태에서 케이스(31)의 앞면을 위치규제리브에 접촉시켜, 케이스(31)의 다른 쪽 측면에 돌출 형성된 장착클릭(33)을 결합공에 계합시키는 것이다. 여기서, 각 장착리브(24a∼24d)의 형상은 다르지만, 각 노출창(21a∼21c)을 사이에 두고 대향하는 각 1쌍의 장착리브(24a∼24d)의 한쪽에는 지지편이 돌출 형성되고, 다른 쪽에는 지지편이 돌출 형성되어 있지 않으므로, 모든 콘센트유닛(30)을 동일한 방법으로 커버(20)에 장착할 수 있다. 콘센트유닛(30)을 커버(20)로부터 분리할 때에는, 장착리브(24a∼24d)를 휘게 하여 장착클릭(33)과의 계합상태를 해제하면 된다.
한편, 브레이커유닛(40)은 케이스(41)의 앞면측에 주접점을 개폐하기 위한 핸들(42)이 돌출하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케이스(41)의 양단부에 형성된 장착공을 통하여 커버(20)의 내면에 나사결합하는 태핑나사로 이루어지는 1쌍의 장착나사(3)에 의해 커버(20)에 고정된다. 또, 케이스(41)의 양측면에는 각각 2개씩의 전선삽입공(43)이 형성되어 있으며, 전선삽입공(43)에 삽입된 전선을 케이스(41)의 내부에 수납장착된 속결단자에 접속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커버(20)의 앞면에는 브레이커유닛(40)에 대응하는 부위에서 대략 원형으로 개구하는 요소(凹所)(26)가 형성되고, 요소(26)의 저면에는 사각형의 개구창(27)이 형성된다. 케이스(41)를 커버(20)에 장착한 상태에서는, 핸들(42)은 개구창(27)을 통하여 커버(20)의 앞면측에 노출된다. 여기서, 핸들(24)은 일반 분기브레이커의 핸들에 비교하면 3분의 1정도의 길이로 설정되고, 커버(20)의 앞면측에의 돌출량은 작게 설정되어 있다. 또, 요소(26)의 주위부에는 1쌍의 베어링돌기(28)가 돌출 형성되고, 도 2와 같이, 이 베어링돌기(28)의 사이에 삽통되는 축(29)에 의해 요소(26)를 개폐하는 덮개판(50)이 축지지되도록 되어 있다. 즉, 덮개판(50)은 대략 원형이며 합성수지의 투명판으로 스모크마무리처리를 하여 형성되고, 주위부의 요소에는 축(29)이 삽통되는 베어링통(51)이 형성되어 있다. 축(29)의 일단부에는 둘레방향에 있어서 다수의 요철을 가진 롤렛부(29a)가 형성되고, 이 롤렛부(29a)를 베어링돌기(28)에 압입함으로써 축(29)의 이탈방지가 이루어진다. 또한, 요소(26)의 주위부에는 덮개판(50)을 닫은 상태에서 덮개판(50)과 커버(20)와의 사이에 클릭 등을 걸 수 있을만큼의 작은 간극을 형성하기 위한 절결부(52)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핸들(42)을 조작할 때에는, 절결부(52)에 클릭이나 마이너스드라이버의 선단부 등을 삽입하여 덮개판(50)을 열면 되는 것이다.
콘센트유닛(30) 및 브레이커유닛(40)은, 다음과 같이 결선(結線)된다. 여기서, 콘센트유닛(30)이 허용된 전류용량은 3개 합계해서 15A 로 하고, 브레이커유닛(40)에는 20A 의 것을 사용하기로 한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체(1)에는 3심(芯)으로 각 심의 도전부의 단면적이 2mm2인 VCT 케이블(이하, 「케이블」이라고 함)(60)이 도입되고, 전압측 전력선(61)과 접지측 전력선(62)은 브레이커유닛(40)을 통하여 노출창(21c)에서 노출되는 콘센트유닛(30)에 접속되고, 접지선(63)은 동일 콘센트유닛(30)에 직접 접속된다. 각 콘센트유닛(30)의 사이에서는 전압측 전력선(61), 접지측 전력선(62), 접지선(63)이 각각 차례로 이송배선된다. 브레이커유닛(40)과 콘센트유닛(30)과의 사이 및 콘센트유닛(30)끼리의 사이는 직경 1.6mm 의 IV 선으로 이루어지는 접속선(65)에 의해 접속된다. 노출창(21a)에서 노출되는 콘센트유닛(30)에서는 이송배선은 없고, 이 콘센트유닛(30)에 접속된 단면적 2mm2인 VSF 선으로 이루어지는 접지선(66)은 접지단자(64)에 접속된다. 접지단자(64)는 커버(20)에 지지되는 단자판(64a)과 단자판(64a)에 나사결합하는 단자나사(64b)로 이루어지고, 단자판(64a) 및 단자나사(64b)는 기체(1)의 측면에 형성된 절결창(11a)을 통하여 노출된다. 여기에, 단자나사(64b)로서는 호칭경이 4∼7mm 인 짧은 것을 사용하도록 하고, 전선을 감아서 접속하거나, 환형 압착단자를 사용하여 접지단자(64)에 전선을 접속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런데, 케이블(60)은 기체(1)에 형성된 전선인출공(11b)을 통하여 기체(1)의 외부로 인출되는 것으로서, 기체(1)의 외부에서 작용하는 장력이 콘센트유닛(30)이나 브레이커유닛(40)과의 전기적 접속부에 미치지 않도록, 전선인출공(11b)의 근방에 장착된 장력방지구(13)와 커버(20)와의 사이에서 케이블(60)이 협지된다. 장력방지구(13)는 태핑나사로 이루어진 고정나사(4)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케이블(60)의 선단부에는 하니스플러그(70)가 접속되고, 케이블(60)의 중간부에는 부싱(67)이 배설되어 있다. 또, 부싱(67)은 케이블(60)의 외주에 감긴 형태로 케이블(60)에 고정되고, 훅(68)의 일부를 누름조작함으로써 케이블(60)에의 감기는 힘을 이완시켜 케이블(60)이 원하는 위치로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요컨대, 부싱(67)은 내경을 축소시키는 방향의 탄성력을 가지는 동시에 마찰력에 의해 케이블(60)에 지지되고, 상기 탄성력에 대항하여 훅(68)을 누름조작하면 내경이 확대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이다. 부싱(67)에 있어서 훅(68)보다 기체(1)로부터의 부위에는 전주(全周)에 걸쳐서 장착홈(69)이 형성되어 있다. 이 장착홈(69)은 후술하는 바닥재(90)(도 9 참조)의 두께정도의 폭을 가지고 있다.
이 하니스플러그(70)는 종래기술에서 설명한 옥내배선시스템에 사용되는 분기접속장치로서의 조인트박스(80)에 끼웠다 뺏다할 수 있게 접속된다. 하니스플러그(70)는,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조인트박스(80)의 분기접속부인 커넥터부(84)와 결합하는 요부(72)가 하우징(71)의 앞면에 형성되고, 이 요부(72)내에는 전선의 복수의 심선이 각각 접속되는 복수개의 플러그날(73)이 선단을 요부(72)의 개구에 면하게 하여 배설되어 있다.
하니스플러그(70)의 하우징(71)은,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보디(71a)와 커버(71b)로 구성된다. 보디(71a)는 상면 및 앞면이 개구된 대략 상자형으로 형성되고, 격벽에 의해 내부가 전후의 공간으로 분리되며, 전방에 형성되는 요소에 의해 조인트박스(80)의 커넥터부(84)가 삽입되는 요소(72)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격벽에는 3개의 플러그날(73)을 압입하여 고정하는 고정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플러그날(73)을 고정부에 장착하면, 요소(72)내에 플러그날(73)의 선단이 나란히 배설되게 된다. 그리고, 보디(71a)의 후방의 내부공간은, 보디(71a)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형성된 2 줄의 격벽으로 다시 3개의 구획으로 분리되고, 각각의 구획내에 플러그날(73)이 수납된다. 이 보디(71a)의 후단부에는 커버(71b)와 결합시킨 상태에서 전선삽입구(75)로 되는 3개의 요부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각 요부는 전선삽입구(75)의 내부가 가는 직경으로 되어 있으며, 전선삽입구(75)에 삽입되는 케이블(60)의 심선의 위치결정을 확실하게 할 수 있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플러그날(73)은 도전재료로 판형상으로 형성되고, 기부(基部)를 각 구획의 한 내측면에 닿도록 절곡하고, 이 기부의 최소한 커버(71b)측에서 가로방향으로 하면에 케이블(60)의 심선이 접촉하는 접촉편(73a)을 형성하고 있다. 또, 플러그날(73)의 중앙부의 하면에서는 보디(71a)에 위치결정하여 임시고정하기 위한 임시고정부인 임시고정편(73b)을 1쌍 돌출 형성하고 있다. 보디(71a)의 격벽에 의해 분리된 각각의 구획의 임시고정편(73b)에 대응하는 저면에는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리브(58)를 돌출 형성하고 있으며, 이 리브(58)를 각각의 임시고정편(73b)이 대향하는 내단(內端)에 형성된 클릭내에 압입하여, 플러그날(73)이 보디(71a)에 임시고정된다. 하부 양단에 클릭이 형성된 돌기로 이루어지는 임시고정편을 플러그날(73)에 형성하는 동시에, 2 줄의 돌조로 이루어지는 리브를 보디(71a)의 내저면에 형성하여, 리브 사이에 임시고정편을 결합하도록 해도 된다.
그런데, 3개의 플러그날(73)중에서 케이블(60)의 접지용 심선이 접속되는 플러그날은 다른 플러그날보다 약간 앞쪽으로 돌출하도록 길게, 또는 앞쪽에 장착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것은 다른 플러그날이 조인트박스(80)의 암접점에 접속될 때에, 우선 먼저 접지선이 접속된 플러그날이 조인트박스(80)의 암접점에 접속되고, 또 역으로 분리시에는 접지선이 접속된 플러그날이 마지막으로 분리되도록 하여, 안전성을 확보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각각의 플러그날(73)의 접촉편(73a)과, 보디(71a)의 3구획으로 분할된 각각의 구획의 후단부와의 사이에는 케이블(60)의 심선을 접촉편(73a)에 탄성적으로 누르는 록스프링(76)을 배치한다.
커버(71b)는 내부의 구조가 상기 보디(71a)와 대략 동일한 구조의 하면과 앞면이 개구하는 대략 상자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면의 2곳에는 고정리벳(47)을 삽통하는 삽통공(48)이 형성되어 있으며, 삽통공(48)과 이 삽통공(48)에 대응하여 보디(71a)에 형성된 삽통공에는 고정리벳(47)을 삽통하여 선단을 코킹하여, 보디(71a)에 커버(71b)를 장착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보디(71a)의 요소와 함께 요부(72)를 형성하는 커버(71b)의 요소 내저면에 는, 조인트박스(80)의 커넥터부(84)의 역삽입방지홈에 끼워지는 하니스플러그(70)의 삽착방향을 따라서 형성된 오(誤)접속방지부로서의 돌조(78)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로써 역삽입 또는 정격이나 용도가 다른 조인트박스(80)가 잘못 접속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이런 종류의 하니스플러그(70)에는 조인트박스(80)와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조인트박스(80)에 형성된 계지홈(85)에 계지와 이탈이 가능하게 걸어 맞추는 합성수지 등의 가요성(可撓性)을 가진 재료로 형성된 록체(74)를 구비하고 있으며, 이 록체(74)를 커버(71b)측에 구비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그리고, 종래의 이런 종류의 하니스플러그의 경우에는 보디측에도 상기 록체(74)와 동일한 것을 형성하고 있었으나, 이것으로는 하니스플러그의 형상이 커지므로, 본 실시형태에서는 커버(71b)측에만 록체(74)를 배설하여 하니스플러그(70)의 소형화를 도모하고 있다.
상기 록체(74)를 커버(71b)에 장착하기 위해, 상기 커버(71b)의 상면 중앙부를 오목하게 형성하여, 록체(74)의 장착부(79)를 형성하고 있다. 이 장착부(79)의 요소에 대응하는 부분에 개구를 형성하고, 이 개구에서 록체(74)의 계지클릭(74a)이 요부(72)내에 돌출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그리고, 이 개구의 후부에 록체(74)를 고정하는 고정부를 형성하고 있다. 여기서, 록체(74)에는 중앙 하면에서 단면이 대략 L자형의 고정편이 하향 배설되고, 이 고정편의 하면에 커버(71b)에 탄성계지되는 2개의 고정클릭편(74c)이 하향 배설되어 있다. 또한, 계지클릭(74a)이 형성된 선단면의 상면에 커버(71b)에 탄성계지하는 계지편을 형성하고 있다. 또한, 록체(74)의 해제시에 손가락으로 조작되는 상면에는, 가로방향으로 형성된 복수개의 돌조로 이루어지는 미끄럼방지(74d)를 형성하고 있다.
록체(74)가 장착되는 커버(71b)의 장착부(79)에 있어서는, 고정부에 고정클릭편(74c)을 삽입하는 삽입공을 형성하고 있으며, 이 삽입공에 고정클릭편(74c)을 걸어 맞춤으로써 록체(74)가 장착부(79)에 장착된다. 그리고, 이 고정부의 후부는 록체(74)의 누름조작부(74d)보다 크게 형성하여 누름조작부(74d)를 손가락으로 누를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즉, 록체(74)의 누름조작부(74d)를 아래쪽으로 밀면, 고정편(74b)을 지지점으로 하여 계지클릭(74a)측이 위쪽으로 회동하여, 계지클릭(74a)이 조인트박스(80)의 커넥터부(84)의 계지홈(85)으로부터 분리되어, 하니스플러그(70)를 조인트박스(80)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 록체(74)의 장착부(79)에의 장착은 다음과 같이 행한다. 먼저 록체(74)의 고정클릭편(74c)을 삽입공에 삽입하고, 이어서 탄성편(74b)을 후단면이 고정부의 후방 스텝부에 걸어 맞추어지도록 고정부위에 재치(載置)하면, 고정클릭편(74c)의 하부의 앞면에 형성된 클릭이 삽입공의 내측의 개구에지에 걸어 맞추어짐으로써 커버(71b)에 고정된다. 여기서, 본 실시형태의 경우에는 고정부의 후단의 스텝부와 삽입공의 앞쪽의 개구에지와의 사이의 간격보다 고정편(74b)의 후단면에서 고정클릭편(74c)의 기부의 앞면까지의 간격을 약간 크게 하여 형성하고, 고정편(74b)의 횡편(橫片)에 고정부의 스텝부에 의해 앞쪽으로 탄성력을 부여하고, 이로써 고정클릭편(74c)이 확실하게 걸어 맞추어지도록 하고 있다. 또, 보디(71a)의 격벽의 후방에 돌출부를 형성하고, 록체(74)를 임시고정한 커버(71b)를 보디(71a)에 씌우면, 보디(71a)의 격벽에 대응하는 커버(71b)의 격벽과 돌출부와의 사이에 고정클릭편(74c)의 하부가 협지되어 록체(74)가 본고정(本固定)되도록 하고 있다. 즉, 본 실시형태에서는 고정편(74b)과 고정클릭편(74c)이 록체(74)의 고정부가 되는 동시에, 고정부 및 삽입공이 록체(74)의 상기 고정부를 탄성적으로 요철결합하여 록체(74)를 임시고정하는 임시고정부가 되고, 격벽과 돌출부가 보디 (71a)와 커버(71b)를 결합시켰을 때에 록체(74)의 상기 고정부를 협지하는 협지부가 된다.
그런데, 이 커버(71b)를 보디(71a)에 씌울 때에는, 록스프링(76)과 접촉편(73a)으로 이루어지는 전선(케이블(60)의 심선)의 속결부(quick-conect part)에 대응하는 곳에 해제버튼블록(77)을 수납한다. 해제버튼블록(77)은 각 록스프링(76)을 대응하는 접촉편(73a)으로부터 동시에 떼어내서 심선의 탄성협지상태를 해제하는 해제부(77a)와, 해제부(77a)의 한 쪽 끝에지로부터 연장설치되어 커버(71b)의 후단부에 형성된 개구에서 커버(71b)의 표면에 노출되는 조작핸들(77b)로 구성되고, 조작핸들(77b)은 수동조작이 가능한 크기로 형성되어 있다. 조작핸들(77b)을 누르면, 조작핸들(77b)의 누름조작에 의해 해제부(77a)가 회동하고, 록스프링(76)이 접촉편(73a)에서 이탈하는 방향으로 휘어져서 심선의 탄성계지상태가 해제된다.
또, 도 6 및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요소에 대응하는 커버(71b)의 표면에 는 요부(54)가 형성되어 있고, 브레이커부착콘센트의 정격 등을 기재한 카드(55)가 요부(54)내에 수납되고, 요부(54)의 양 끝면에 형성된 계지홈과 계지와 이탈이 가능하게 걸어 맞추는 계지편이 양단 에지에 형성된 투명한 커버(56)가 카드(55)를 덮도록 하여 요부(54)에 부착되어 있으므로, 카드(55)로부터 하니스플러그(70)를 가진 브레이커부착콘센트의 정격 등을 용이하게 판독할 수 있다. 또한, 하니스플러그(70)에서는, 보디(71a) 및 커버(71b)는 2개의 고정리벳(47)으로 고정되어 있고, 커버(71b)의 후단부는 평탄면으로 형성되어 있다.
다음에, 하니스플러그(70)가 삽입되는 조인트박스(80)에 대하여 설명한다. 조인트박스(80)는, 도 7 및 도 8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삽입측이 되는 하니스플러그(70)의 요부(72)에 삽착되는 커넥터부(84)가 앞면에 형성되고, 이 커넥터부(84)의 앞면에 형성된 플러그날삽입구(86)로부터 삽입되는 하니스플러그(70)의 플러그날(73)을 각각 받는 복수의 암접점을 내부에 구비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 조인트박스(80)의 하우징(87)은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보디(87a) 및 커버(87b)로 구성되고, 커버(87b)의 상면의 4곳에 고정리벳을 통과시키는 삽통공을 형성하고 있다. 이 삽통공에 대응하여 보디(87a)에도 고정리벳을 삽통하는 삽통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삽통공에 삽통된 고정리벳의 선단을 코킹하여, 보디(87a)에 커버(87b)를 씌워진 구조로 되어 있다.
보디(87a)는 상면에 개구된 대략 상자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커버(87b)와 결합된 상태에서 삽착부가 되는 전방 수납부는, 보디(87a)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형성된 2 줄의 격벽에 의해 3개의 구획으로 나뉘어져 있으며, 각각의 구획내에 암접점이 수납되어 있다. 그리고, 이 격벽은 앞쪽 수납부에서 뒤쪽으로 걸쳐 대략 암접점의 전체길이에 걸쳐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각각의 구획에 대응하는 앞면부에는 플러그날삽입구가 되는 요부가 형성되어 있다. 또, 이 조인트박스(80)의 경우에도 보디(87a)의 후단부에 록스프링과 접촉편과의 사이에 케이블(83)의 심선(83a, 83b, 83c)을 삽입시키는 전선삽입구가 되는 요부를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각 요부는 전선삽입구의 내부의 직경이 가늘게 되어 있으며, 전선삽입구에 삽입되는 심선의 위치결정을 확실하게 행할 수 있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커버(87b)의 내부구조는 보디(87a)와 대략 동일한 구조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커버(87b)를 보디(87a)에 씌울 때에는, 록스프링과 접촉편으로 이루어지는 전선의 속결부에 대응하는 곳에 해제버튼블록이 수납되어 있다. 해제버튼블록은 각 록스프링을 대응하는 접촉편으로부터 동시에 떼어내서 심선의 탄성협지상태를 해제하는 해제부와, 해제부의 한 쪽 끝에지로부터 연장설치되어 커버(87b)의 후단부에 형성된 개구로부터 커버(87b)의 표면에 노출되는 조작핸들(88)로 구성되고, 조작핸들(88)은 손조작이 가능한 크기로 형성되어 있다. 조작핸들(88)을 누르면, 조작핸들(88)의 누름조작에 의해 해제부가 회동하여, 록스프링을 접촉편으로부터 이탈하는 방향으로 휘어지게 하여 심선의 탄성계지상태가 해제된다.
이와 같이 조인트박스(80) 및 하니스플러그(70)에의 전선접속부를 해제기능을 가진 속결구조로 하면, 케이블의 길이가 맞지 않아 교체가 필요한 경우, 해제버튼블록을 조작함으로써 간단하게 케이블을 분리할 수 있고, 또한 교체된 케이블의 심선을 전선삽입구로부터 삽입하는 것만으로, 록스프링과 접촉편과의 사이에 심선이 탄성협지되어 케이블의 접속을 행할 수 있고, 재접속작업도 용이하게 되어, 케이블의 교체작업도 매우 간단하게 할 수 있다.
조인트박스(80)에의 하니스플러그(70)의 접속은 돌조(78)가 역삽입방지홈에 끼워지도록 하니스플러그(70)의 요부(72)와 조인트박스(80)의 커넥터부(84)와의 방향을 맞추어, 하니스플러그(70)를 조인트박스(80)에 압입하면, 플러그날(73)이 플러그날삽입구(86)에 삽입되어, 각각의 플러그날(73)이 암접점에 접속된다. 이 때, 록체(74)의 계지클릭(74a)이 계지홈(85)에 걸어 맞추어져서 이탈 방지가 된다.
그리고, 조인트박스(80)로부터 하니스플러그(70)를 떼어낼 때에는, 록체(74)의 누름조작부(74d)를 누르고, 록체(74)의 계지클릭(74a)과 커넥터부(84)의 계지홈(85)과의 계지상태를 해제하고, 하니스플러그(70)를 뒤쪽으로 뽑으면 된다.
상기 구성의 브레이커부착콘센트를 사용하여 배선시공을 할 때에는,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바닥바탕재(91)에 세워 설치한 지지다리(92)상에 대략 정방형의 단위치수의 바닥재(90)를 다수매 재치함으로써 프리액세스플로어를 구성하고, 바닥바탕재(91)와 바닥재(90)와의 사이의 공간을 배선공간으로서 사용한다. 이 배선공간에는 분전반(81)에 수납된 50∼60A의 주간(主幹)브레이커(82)에 접속된 간선(83)이 배선된다. 또, 간선(83)에는 적당한 간격으로 조인트박스(80)가 접속된다.
여기서, 하니스플러그(70)를 상기 조인트박스(80)의 커넥터부(84)에 접속함으로써, 본 실시형태의 브레이커부착콘센트를 간선(83)에 접속할 수 있는 것이다. 케이블(60)을 바닥재(90)에 통과시키는 부위에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인접하는 바닥재(90)에 걸치는 원형의 관통공(93)을 형성하고, 관통공(93)에 대응하는 부위에서 바닥재(90)의 사이에 부싱(67)을 끼워 넣도록 한다. 부싱(67)에 있어서 바닥재(90)에서는 끼워 넣는 부위는 장착홈(69)에 대응하는 부위로서, 바닥재(90)의 일부가 장착홈(69)에 삽입됨으로써, 바닥재(90)의 두께방향에서의 부싱(67)의 이동이 금지된다. 여기서, 바닥재(90)위에 대한 케이블(60)의 노출량은, 케이블(60)상에서의 부싱(67)의 장착위치에 따라서 조절된다. 브레이커부착콘센트의 기체(1)는, 테이블이나 파티션 등의 적당한 장착면(5)에 장착되는 것으로서, 브레이커유닛(40)을 내장하고 있음으로써 각 기체(1)마다 전로를 개폐할 수 있는 것이다.
보디(10)에는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단부의 직경이 커지고 상단부의 직경이 작아진 이른바 오뚜기 구멍형상의 2개의 장착공(14)이 형성되고, 또 보디(10)의 하단에는 후면이 보디(10)의 후면과 균일하게 된 장착편(15)이 돌출 형성되고 장착편(15)에는 2개의 고정구멍(16)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보디(10)의 배면의 4코너에는 자석유지요소(17)가 형성되고, 이 자석유지요소(17)내에는 각각 영구자석(18)을 수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각 영구자석(18)은 양면 접착테이프(19)를 사용하여 자석유지요소(17)내에 유지되도록 되어 있다.
그런데, 목제(木製) 파티션 등에 브레이커부착콘센트를 장착하는 경우와 같이 장착면(5)에 나사를 나사결합시키는 것이 가능한 경우에는, 장착공(14)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장착면(5)에 장착나사를 느슨하게 나사결합시켜 장착나사의 머리부를 장착면(5)으로부터 뜨게 하여, 장착나사의 머리부에 장착공(14)이 걸리도록 하면, 기체(1)는 장착면(5)에 임시로 지지된다. 그 후, 장착나사를 장착편(15)의 장착공(16)을 통해서 장착면(5)에 나사결합시키면, 기체(1)를 장착면(15)에 고정시킬 수 있는 것이다. 또, 스틸데스크 등에 브레이커부착콘센트를 장착하는 경우와 같이 장착면(5)에 나사를 나사결합시킬 수 없는 경우로서, 장착면(5)이 자성체로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자석유지요소(17)내에 영구자석(18)을 수납장착하고, 영구자석(18)의 자력에 의해 기체(1)를 장착면(5)에 고정하면 된다.
조인트박스(80)로서는,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은 2개의 커넥터부(84)를 설치한 것 외에, 4개의 커넥터부(84)를 설치한 것을 사용할 수도 있다. 이 조인트박스(80)는 간선(83)을 접속하는 전선삽입공과 하니스플러그(70)가 접속되는 커넥터부(84)가 동일한 면에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조인트박스(80)에서도 하니스플러그(70)와의 결합관계는 전술한 바와 동일하다.
그런데, 본 실시형태에서는 기체(1)내에 단위치수의 3배 크기의 콘센트유닛(30)을 3개 수납장착한 예를 나타냈으나, 전술한 기체(1)에는 단위치수의 배선기구도 장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즉, 콘센트유닛(30)의 길이치수(A)는 단위치수의 배선기구의 3개분에 상당하는 크기로 형성되고, 장착리브(24a, 24b)에는 각각 6개씩의 결합공이 형성되어 있어서, 양 장착리브(24a, 24b)의 사이에는 단위치수의 배선기구(3)를 3개까지 장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것이다. 단위치수의 배선기구로서는, 예를 들면 전화용 모듈러 쟉크가 제공되고 있으므로, 콘센트와 모듈러 쟉크를 1개의 기체(1)에 설치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양 장착리브(24a, 24b)의 사이에 필요한 개수의 모듈러 쟉크를 장착하면 된다. 예를 들면, 2개의 모듈러 쟉크를 장착하는 경우라면, 2개의 모듈러 쟉크 사이에 단위치수를 가진 케이스만을 구비한 블랭크 모듈을 배치하면, 노출창(21a)에 간극을 형성하지 않도록 모듈러 쟉크를 배치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모듈러 쟉크를 기체(1)에 수납장착한 경우에, 모듈러 쟉크에 접속한 접속선을 기체(1)로부터 외부로 인출하기 위해서는, 커버(20)의 주위벽에 형성되어 다른 부위보다 얇은 넉아웃부(37)를 절제(切除)하고, 절제하여 형성된 개구에 접속선을 통과하도록 한다. 이와 같은 넉아웃부(37)를 형성함으로써, 콘센트유닛(30)만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불필요한 개구부가 형성되지 않도록 하고, 다른 배선기구를 병용하는 경우에만 넉아웃부(37)를 절제하여 배선기구에의 접속선을 통과하는 개구를 형성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배선기구로서는 모듈러 쟉크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방송수신용 콘센트나 표시등 등의 배선기구도 사용할 수 있다.
청구항 1의 발명은, 브레이커유닛과 콘센트유닛과의 대응관계가 알기 쉽고, 브레이커유닛에 의한 차단상태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고, 또한 차단시에는 분전반(分電盤)을 배치하고 있는 장소까지 가지 않아도 현장에서 복귀조작을 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 케이블의 길이가 맞지 않아 교체가 필요한 경우, 조작핸들을 조작함으로써, 간단하게 케이블을 분리할 수 있고, 또한 교체한 케이블의 심선을 전선삽입구에서 삽입하는 것만으로, 록스프링과 접촉편과의 사이에 심선이 탄성협지되어 케이블의 접속을 할 수 있으며, 재접속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고, 또한 조작핸들을 조작함으로써 케이블을 용이하게 하니스플러그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청구항 2의 발명은, 조작핸들을 손으로 조작할 수 있으므로 특별한 공구를 사용하지 않고 케이블을 용이하게 하니스플러그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청구항 3의 발명은, 목제(木製)의 장착면 등에서는 장착나사를 사용하여 기체를 고정할 수 있고, 스틸데스크와 같이 자성체의 장착면을 가지고 있는 경우에는 영구자석을 사용하여 기체를 고정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청구항 4의 발명은, 1개의 콘센트유닛과 3개까지의 배선기구중 하나를 노출창에 대응시켜서 장착이 가능하다. 즉, 기체의 설치장소에 따라서 콘센트유닛 이외의 배선기구도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청구항 5의 발명은, 1개의 콘센트유닛과 3개까지의 배선기구중 하나를 노출창에 대응시켜서 장착이 가능하다. 즉, 기체의 설치장소에 따라서 콘센트유닛 이외의 배선기구도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모듈러 쟉크와 같은 정보용 배선기구를 기체에 배설한 경우에는 넉아웃부를 절제(切除)하면, 배선기구에 접속하기 위한 접속선을 통과시키기 위한 개구를 형성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 콘센트유닛만을 기체에 수납장착하는 경우에는 넉아웃부를 절제하지 않으면 불필요한 개구가 형성되지 않으므로, 미려한 외관을 얻을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청구항 6의 발명은, 브레이커유닛과 콘센트유닛과의 대응관계를 알기 쉽고, 브레이커유닛에 의한 차단상태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고, 또한 차단시에는 분전반을 배치하고 있는 장소까지 가지 않아도 현장에서 복귀조작을 행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 표시부에서 하니스플러그를 가진 브레이커부착콘센트의 전기적 특성이나 용도 등의 전기배선에 필요한 정보를 알릴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청구항 7의 발명은, 목제의 장착면 등에서는 장착나사를 사용하여 기체를 고정할 수 있고, 스틸데스크와 같이 자성체의 장착면을 가지고 있는 경우에는 영구자석을 사용하여 기체를 고정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청구항 8의 발명은, 1개의 콘센트유닛과 3개까지의 배선기구중 하나를 노출창에 대응시켜서 장착이 가능하다. 즉, 기체의 설치장소에 따라서 콘센트유닛 이외의 배선기구도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청구항 9의 발명은, 1개의 콘센트유닛과 3개까지의 배선기구중 하나를 노출창에 대응시켜서 장착이 가능하다. 즉, 기체의 설치장소에 따라서 콘센트유닛 이외의 배선기구도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모듈러 쟉크와 같은 정보용 배선기구를 기체에 설치한 경우에는 넉아웃부를 절제하면, 배선기구에 접속하기 위한 접속선을 통과시키기 위한 개구를 형성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 콘센트유닛만을 기체에 수납장착하는 경우에는 넉아웃부를 절제하지 않으면 불필요한 개구가 형성되지 않으므로, 미려한 외관을 얻을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Claims (9)
- 바닥바탕재와 바닥바탕재와의 위에 적당한 간격을 두고 부설(敷設)한 바닥재와의 사이에 형성되는 배선공간에 전력용 간선(幹線)을 배선하고, 간선상의 적당한곳에 설치한 분기접속장치의 분기접속부에 배선기구를 착탈 가능하게 접속함으로써 배선망을 형성한 옥내배선시스템에 사용되고, 전기기기의 플러그가 착탈 가능하게 접속되는 콘센트유닛과, 분기접속부와 콘센트유닛과의 사이의 전로(電路)상에 삽입되어 이상검출시에 분기접속부와 콘센트유닛과의 사이의 전로를 차단하는 브레이커유닛과, 콘센트유닛과 브레이커유닛을 수납하여 장착면의 표면에 고정되는 기체와, 기체내에서 콘센트유닛에 접속되는 복수의 심선(芯線)을 가진 케이블과, 이 케이블의 선단에 설치되어 분기접속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는 하니스플러그를 구비하고, 콘센트유닛에 있어서의 플러그의 삽입구와 브레이커유닛에 있어서의 조작용 핸들을 기체의 앞면측에 설치하여 이루어지고, 하니스플러그는 분기접속부가 감합되는 요부(凹部)가 하우징의 앞면에 형성되고, 이 요부내에 케이블의 복수의 심선이 각각 기단부(基端部)에 접속된 복수개의 플러그날의 선단부가 면하고, 하우징의 후단부에 케이블의 심선을 각각 삽입하는 케이블삽입구를 형성하고, 이 케이블삽입구에서 삽입되는 케이블의 심선과 접촉하는 접촉편(片)을 상기 각각의 플러그날의 기단부에 형성하여, 이들 접촉편과의 사이에 심선을 탄성협지(彈性挾持)하는 복수의 록스프링과, 이 록스프링을 접촉편에서 떼어내서 심선의 탄성협지상태를 해제하는 해제버튼을 구비하고, 상기 해제버튼을 조작하기 위한 조작핸들을 하우징의 표면에 노출시켜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커부착콘센트.
- 제1항에 있어서, 하니스플러그의 조작핸들은 손조작이 가능한 크기로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커부착콘센트.
- 제1항에 있어서, 기체는 장착면에 나사결합하는 장착나사가 삽통되는 장착공을 가지고, 기체의 배면의 주위부에는 자성체로 이루어지는 장착면에 자착(磁着)가능한 영구자석을 유지하는 자석유지요소(凹所)가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커부착콘센트.
- 제1항에 있어서, 기체의 앞면에는 규격화된 단위치수의 매입형 배선기구를 3개까지 노출시킬 수 있는 치수의 노출창이 복수개 형성되고, 최소한 1개의 노출창의 양측부의 배면측에는 장착리브가 돌출 형성되고, 장착리브에는 배선기구의 양옆가장자리에 돌출 형성된 장착클릭에 걸어 맞추어져 배선기구를 지지하는 결합공이 단위치수의 배선기구를 3개까지 지지가능하도록 형성되고, 콘센트유닛의 케이스는 단위치수의 배선기구의 3개분의 치수로 형성되는 동시에, 상기 결합공에 걸어 맞추어지는 장착클릭이 케이스의 측면에 돌출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커부착콘센트.
- 제1항에 있어서, 기체의 앞면에는 규격화된 단위치수의 매입형 배선기구를 3개까지 노출시킬 수 있는 크기의 노출창이 복수개 형성되고, 최소한 1개의 노출창의 양측부의 배면측에는 장착리브가 돌출 형성되고, 장착리브에는 배선기구의 양옆가장자리에 돌출 형성된 장착클릭에 걸어 맞추어져서 배선기구를 지지하는 결합공이 단위치수의 배선기구를 3개까지 지지가능하도록 형성되고, 콘센트유닛의 케이스는 단위치수의 배선기구의 3개분의 치수로 형성되는 동시에, 상기 결합공에 걸어 맞추어지는 장착클릭이 케이스의 측면에 돌출 형성되어 이루어지고, 또한 상기 장착리브가 돌출 형성된 노출창의 근방에서 기체의 주위벽에는 다른 부위보다 얇아서 절제(切除)하면 상기 장착리브를 사용하여 기체에 부착되는 정보용 배선기구에 접속된 케이블을 통과시킬 수 있을 정도의 개구를 형성하는 넉아웃부가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커부착콘센트.
- 바닥바탕재와 바닥바탕재 위에 적당한 간격을 두고 부설한 바닥재와의 사이에 형성되는 배선공간에 전력용 간선을 배선하고, 간선상의 적당한 곳에 설치한 분기접속장치의 분기접속부에 배선기구를 착탈 가능하게 접속함으로써 배선망을 형성한 옥내배선시스템에 사용되고, 전기기기의 플러그가 착탈 가능하게 접속되는 콘센트유닛과, 분기접속부와 콘센트유닛과의 사이의 전로상에 삽입되어 이상검출시에 분기접속부와 콘센트유닛과의 사이의 전로를 차단하는 브레이커유닛과, 콘센트유닛과 브레이커유닛을 수납하여 장착면의 표면에 고정되는 기체와, 기체내에서 콘센트유닛에 접속되는 복수의 심선을 가진 케이블과, 이 케이블의 선단에 설치되어 분기접속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는 하니스플러그를 구비하고, 콘센트유닛에 있어서의 플러그의 삽입구와 브레이커유닛에 있어서의 조작용 핸들을 기체의 앞면측에 설치하여 이루어지고, 하니스플러그는 분기접속부가 감합되는 요부가 하우징의 앞면에 형성되고, 이 요부내에 케이블의 복수의 심선이 각각 기단부에 접속된 복수개의 플러그날의 선단부가 면하고, 하우징의 후단부에 케이블의 심선을 각각 삽입하는 케이블삽입구를 형성하고, 이 케이블삽입구에서 삽입되는 케이블의 심선과 접촉하는 접촉편을 상기 각각의 플러그날의 기단부에 형성하여, 이들 접촉편과의 사이에 심선을 탄성협지하는 복수의 록스프링과, 이 록스프링을 접촉편에서 떼어내서 심선의 탄성협지상태를 해제하는 해제버튼을 구비하고, 하니스플러그의 하우징의 측면에 전기적 특성이나 용도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커부착콘센트.
- 제6항에 있어서, 기체는 장착면에 나사결합하는 장착나사가 삽통되는 장착공을 가지고, 기체의 배면의 주위부에는 자성체로 이루어지는 장착면에 자착가능한 영구자석을 유지하는 자석유지요소가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커부착콘센트.
- 제6항에 있어서, 기체의 앞면에는 규격화된 단위치수의 매입형 배선기구를 3개까지 노출시킬 수 있는 치수의 노출창이 복수개 형성되고, 최소한 1개의 노출창의 양측부의 배면측에는 장착리브가 돌출 형성되고, 장착리브에는 배선기구의 양옆가장자리에 돌출 형성된 장착클릭에 걸어 맞추어 배선기구를 지지하는 결합공이 단위치수의 배선기구를 3개까지 지지가능하도록 형성되고, 콘센트유닛의 케이스는 단위치수의 배선기구의 3개분의 치수로 형성되는 동시에, 상기 결합공에 걸어 맞추어지는 장착클릭이 케이스의 측면에 돌출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커부착콘센트.
- 제6항에 있어서, 기체의 앞면에는 규격화된 단위치수의 매입형 배선기구를 3개까지 노출시킬 수 있는 치수의 노출창이 복수개 형성되고, 최소한 1개의 노출창의 양측부의 배면측에는 장착리브가 돌출 형성되고, 장착리브에는 배선기구의 양옆가장자리에 돌출 형성된 장착클릭에 걸어 맞추어져 배선기구를 지지하는 결합공이 단위치수의 배선기구를 3개까지 지지가능하도록 형성되고, 콘센트유닛의 케이스는 단위치수의 배선기구의 3개분의 치수로 형성되는 동시에, 상기 결합공에 걸어 맞추어지는 장착클릭이 케이스의 측면에 돌출 형성되어 이루어지고, 또한 상기 장착리브가 돌출 형성된 노출창의 근방에서 기체의 주위벽에는 다른 부위보다 얇아 절제하면 상기 장착리브를 사용하여 기체에 부착되는 정보용 배선기구에 접속한 케이블을 통과시킬 정도의 개구를 형성하는 넉아웃부가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커부착콘센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80011 | 1998-03-26 | ||
JP10080011A JPH11273792A (ja) | 1998-03-26 | 1998-03-26 | ブレーカ付きコンセント |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10028844A Division KR100318017B1 (ko) | 1998-03-26 | 2001-05-25 | 브레이커부착콘센트용 하니스플러그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9990076509A true KR19990076509A (ko) | 1999-10-15 |
KR100318016B1 KR100318016B1 (ko) | 2002-02-19 |
Family
ID=13706392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980039789A KR100318016B1 (ko) | 1998-03-26 | 1998-09-24 | 브레이커부착콘센트 |
KR1020010028844A KR100318017B1 (ko) | 1998-03-26 | 2001-05-25 | 브레이커부착콘센트용 하니스플러그 |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10028844A KR100318017B1 (ko) | 1998-03-26 | 2001-05-25 | 브레이커부착콘센트용 하니스플러그 |
Country Status (5)
Country | Link |
---|---|
JP (1) | JPH11273792A (ko) |
KR (2) | KR100318016B1 (ko) |
CN (1) | CN1230812A (ko) |
ID (1) | ID22306A (ko) |
TW (1) | TW503608B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238836B1 (ko) * | 2020-08-28 | 2021-04-08 | 장두호 | 분전반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7042407A (ja) * | 2005-08-03 | 2007-02-15 | Kawamura Electric Inc | コンセント |
JP2007042408A (ja) * | 2005-08-03 | 2007-02-15 | Kawamura Electric Inc | コンセント |
JP2007053060A (ja) * | 2005-08-19 | 2007-03-01 | Kawamura Electric Inc | コンセント |
JP2008288860A (ja) * | 2007-05-17 | 2008-11-27 | Nec Access Technica Ltd | 通信装置及び通信方法 |
JP6195189B2 (ja) * | 2013-06-26 | 2017-09-13 |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 遮断器ユニットおよび配線器具 |
JP2017182964A (ja) * | 2016-03-29 | 2017-10-05 |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 接続装置、及び接続装置を備える接続システム |
TWI710180B (zh) * | 2016-03-09 | 2020-11-11 | 日商松下知識產權經營股份有限公司 | 連接器裝置與具有該連接器裝置的連接器系統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930004537Y1 (ko) * | 1991-02-13 | 1993-07-21 | 박성대 | 분전함 |
US5456373A (en) * | 1993-08-23 | 1995-10-10 | Ds Inc. | Cover plate assembly |
-
1998
- 1998-03-26 JP JP10080011A patent/JPH11273792A/ja active Pending
- 1998-08-25 CN CN98117376A patent/CN1230812A/zh active Pending
- 1998-09-15 TW TW087115303A patent/TW503608B/zh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1998-09-24 KR KR1019980039789A patent/KR100318016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1998-10-30 ID IDP981430A patent/ID22306A/id unknown
-
2001
- 2001-05-25 KR KR1020010028844A patent/KR100318017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238836B1 (ko) * | 2020-08-28 | 2021-04-08 | 장두호 | 분전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ID22306A (id) | 1999-09-30 |
KR100318016B1 (ko) | 2002-02-19 |
CN1230812A (zh) | 1999-10-06 |
JPH11273792A (ja) | 1999-10-08 |
TW503608B (en) | 2002-09-21 |
KR20010070930A (ko) | 2001-07-27 |
KR100318017B1 (ko) | 2001-12-2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7285721B1 (en) | Modular terminal device | |
US6623296B2 (en) | Plug socket | |
US6945815B1 (en) | Quick connect electrical outlet | |
JP2567857B2 (ja) | ケ−ブルワイヤ用のコネクタバンク | |
TWI379627B (en) | An assembly kit for wall-mounting at least one piece of electrical equipment | |
KR19990076509A (ko) | 브레이커부착콘센트 | |
JP2001157329A (ja) | 住宅用分電盤 | |
KR100284568B1 (ko) | 테이블탭 | |
KR100327896B1 (ko) | 조인트박스 | |
JP2000208176A (ja) | 盤用コンセント | |
JP5351697B2 (ja) | 配線装置 | |
JP3105951B2 (ja) | ハーネスプラグ | |
CN212485708U (zh) | 一种开关控制插座 | |
EP1698028B1 (en) | Improvements in and relating to electrical power, communication and data cable management systems | |
JPH05174656A (ja) | 電話用切り分け器 | |
JP3261237B2 (ja) | ブレーカ付コンセント | |
JPH0529027A (ja) | ハーネスコネクタ | |
JP3291094B2 (ja) | 器具端子台 | |
JPH0652933A (ja) | ハーネスプラグ | |
JP2002291117A (ja) | 住宅用分電盤 | |
JPH05304712A (ja) | 配線装置 | |
JP3482848B2 (ja) | 分岐配線用接続器 | |
GB2475537A (en) | Adaptor to mount telecommunications socket | |
JPH0652934A (ja) | ハーネスコネクタ | |
JPH11113133A (ja) | ブレーカー付コンセント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A107 |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