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84568B1 - 테이블탭 - Google Patents

테이블탭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84568B1
KR100284568B1 KR1019980039788A KR19980039788A KR100284568B1 KR 100284568 B1 KR100284568 B1 KR 100284568B1 KR 1019980039788 A KR1019980039788 A KR 1019980039788A KR 19980039788 A KR19980039788 A KR 19980039788A KR 100284568 B1 KR100284568 B1 KR 1002845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gnet
table tab
plug
cable
cli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397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76508A (ko
Inventor
노부유키 시부에
Original Assignee
이마이 기요스케
마츠시다 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마이 기요스케, 마츠시다 덴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이마이 기요스케
Publication of KR199900765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765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845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84568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0Means for supporting coupling part when not engage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5/00Coupling parts adapted for simultaneous co-operation with two or more identical counterparts, e.g. for distributing energy to two or more circuits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Connection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Conductors (AREA)
  • Details Of Indoor Wiring (AREA)

Abstract

스틸제 데스크나 캐비닛에 고정하여 사용할 수 있고, 케이블의 교체작업이 용이하고, 사용하기에 편리한 테이블탭을 제공한다.
테이블탭 본체(1)의 배면부에 마그넷(2)이 장착되어 있으므로, 이 마그넷(2)에 의하여 스틸제 데스크에 테이블탭을 임시 고정할 수 있다. 또 하니스플러그(11)의 표면에 형성된 요부(凹部)(51)내에 투명한 커버(53)로 덮인 카드(52)가 수용되므로, 하니스플러그(11)의 표면에 테이블탭 본체(1)의 정격(定格) 등을 표시할 수 있다. 하니스플러그(11)의 조작핸들(21b)은 손조작이 가능한 크기로 형성되고, 이 조작핸들(21b)을 손조작으로 밀어내림으로써 해제부(解除部)(21a)가 회동하고, 록스프링(20)이 접촉편(15a)으로부터 이탈하는 방향으로 휘어져, 케이블(37)의 심선(芯線) 계지상태가 해제된다.

Description

테이블탭{TABLE TAP}
본 발명은 이른바 프리액세스플로어에 의하여 배선공간을 형성한 옥내배선 시스템에 사용되고, 주로 OA기기에 대응하여 사용되는 테이블탭에 관한 것이다.
오피스내에 있어서 OA기기에 전술한 바닥 면에 설치한 콘센트로부터 급전(給電)함에 있어서는, 콘센트에 테이블탭을 접속하고, 그리고 테이블탭에 각 OA기기의 플러그를 접속함으로써 행해지고 있다. 이 테이블탭은 데스크 위나 바닥 위에 놓고 사용되거나 또는 테이블탭에 배설한 나사를 거는 구멍을 이용하여 벽면에 임시 고정하여 사용되고 있다. 또 최근 오피스에서는 컴퓨터, 워드프로세서, 복사기 등 다수의 전기 기기가 사용되고 있어, 다수의 전선이 즐비하게 깔려있어 이른바 배선 홍수가 문제로 되어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바닥의 바탕재 위에 적당한 간격을 두고 바닥재를 부설(敷設)하고, 바닥의 바탕재와 바닥재 사이의 공간을 배선공간으로 하는 프리액세스플로어가 종래부터 사용되어 왔다. 프리액세스 플로어를 사용한 옥내배선시스템에서는 바닥의 바탕재와 바닥재 사이의 배선공간에 분전반(分電盤)에 내장한 분기 브레이커로부터의 전력용 간선(幹線)을 배선하고, 간선상의 적당한 곳에 설치한 분기접속장치의 분기접속부에 상기 테이블탭 등의 배선기구를 착탈 가능하게 접속하는 것이 고려되고 있다. 그래서 종래 분기접속장치의 분기접속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하니스플러그를 테이블탭의 케이블 선단에 배설한 것이 제공되고 있다. 이 하니스플러그는 분기접속장치의 분기접속부가 끼워지는 요부(凹部)를 하우징의 앞면에 형성하고, 이 요부 내에 케이블의 복수의 심선이 각각 접속된 복수 개의 플러그날(plug blade, 栓刃)의 선단을 면하게 하고, 분기접속장치의 내부에 배설된 암접점(female contact)에 각각 플러그날을 끼워 맞추어 전기접속을 하고 있다.
그러나, 테이블탭은 데스크 위나 바닥 위에 놓는 이외에도, 벽면에 임시로 고정할 수 있는 정도이고, OA기기를 설치한 데스크의 측면에 임시로 고정하거나, 오피스 내의 캐비닛 측면에 임시로 고정할 수는 없고, 사용하는데 문제가 있었다. 또 이런 종류의 하니스플러그에서는 케이블의 심선은 플러그날의 기단(基端)에 코킹하여 접속하는 구조로 되어 있었으므로, 현장에서 케이블 길이가 맞지 않는 경우에 케이블의 교체작업이 번거롭고, 작업성이 나쁘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하니스플러그에는 정격(定格)이나 용도 등이 표시되어 있지 않으므로, 배선시공을 할 때나 보수할 때에 하니스플러그를 가진 테이블탭의 정격이나 용도를 알기 어렵고, 작업성이 나쁘다는 문제를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스틸제 데스크나 캐비닛에 임시 고정하여 사용할 수 있고, 케이블의 교체작업이 용이하고, 배선시공을 할 때나 보수할 때에 정격(定格)이나 용도를 알기 쉽게 하여, 작업성이 양호하고 동시에 사용하기에 편리한 테이블탭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테이블탭 본체를 나타낸 것으로, 도 2a는 표면측에서 본 사시도, 도 2b는 마그넷을 분리한 상태의 배면측에서 본 사시도.
도 3은 도 1의 테이블탭 본체를 나타낸 것으로, 도 3a는 정면도, 도 3b는 측면도, 도 3c는 배면도.
도 4는 도 1의 테이블탭 본체를 고정한 상태의 일부를 생략한 사시도.
도 5는 도 1의 테이블탭 본체에 장착될 자석을 나타낸 것으로, 도 5a는 확대한 사시도, 도 5b는 확대한 분해사시도.
도 6은 도 1의 테이블탭 본체에 장착될 자석을 나타낸 것으로, 도 6a는 확대한 평면도, 도 6b는 확대한 정면도, 도 6c는 확대한 측면도, 도 6d는 도 6b의 A - A선 부분을 더욱 확대한 단면도.
도 7은 도 1의 테이블탭 본체에 자석을 부착한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도 7a, 도 7b는 각각 확대한 단면도, 도 7c는 도 7b의 B의 부분을 나타낸 단면도.
도 8은 도 1의 테이블탭 본체의 일부를 나타낸 것으로, 도 8a, 도 8b는 각각 확대한 사시도.
도 9는 도 1의 하니스플러그의 단면도.
도 10은 도 1에 있어서의 하니스플러그를 조인트박스에 접속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11은 도 1에 있어서의 조인트박스에 하니스플러그를 착탈하는 것을 나타내는 설명도.
도 12는 실시형태를 이용한 옥내배선시스템의 구성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테이블탭 본체, 2 : 마그넷
3 : 수용요소(凹所), 4 : 자석 소체(素體)
5 : 요크, 6, 7 : 장착용 클릭
8 : 계합공, 9 : 계합클릭
10 : 조인트박스, 11 : 하니스플러그
15 : 플러그날, 20 : 록스프링
21 : 해제버튼블록, 23 : 록체
35 : 계지(係止)홈 , 37 : 케이블
43 : 조작용 요부, 44 : 탄성판편(彈性板片)
51 : 요부, 52 : 카드
53 : 커버
청구항 1의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바닥바탕재와 바닥바탕재 위에 적당히 간격을 두고 부설(敷設)한 바닥재와의 사이에 형성되는 배선공간에 전력용 간선(幹線)을 배선하고, 간선상의 적당한 곳에 설치한 분기접속장치의 분기(分岐)접속부에 배선기구를 착탈할 수 있게 접속함으로써 배선망을 형성한 옥내배선 시스템에 사용되고, 하나 내지 복수의 플러그날삽입구와 플러그날삽입구에 대응하는 플러그날받이철물을 구비하는 테이블탭 본체와, 테이블탭 본체 내에서 플러그날받이철물과 통전(通電)시킨 복수의 심선을 가진 케이블과, 이 케이블의 선단에 설치된 분기접속장치의 분기접속부에 결합되는 하니스플러그를 구비하여 이루어지고, 테이블탭 본체의 배면에 마그넷을 수용하는 수용요소(收容凹所)를 형성하고, 수용요소 내에 마그넷의 표면이 테이블탭 본체의 배면과 대략 면(面)이 같아지도록 자유로이 분리할 수 있게 마그넷을 장착하고, 하니스플러그는 분기접속장치의 분기접속부가 감합(嵌合)되는 요부(凹部)가 하우징의 앞면에 형성되고, 이 요부 내에 케이블의 복수의 심선이 각각 기단부(基端部)에 접속된 복수개의 플러그날의 선단부가 면하고, 하우징의 후단부(後端部)에 케이블의 심선을 각각 삽입하는 케이블삽입구를 형성하고, 이 케이블삽입구에서 삽입되는 케이블의 심선과 접촉하는 접촉편을 상기 각 플러그날의 기단부에 형성하고, 이들 접촉편과의 사이에 심선을 탄성협지(彈性挾持)하는 복수의 록스프링(lock spring)과, 이 록스프링을 접촉편에서 이탈시켜 심선의 탄성협지상태를 해제하는 해제버튼을 구비하고, 상기 해제버튼을 조작하기 위한 조작핸들을 하우징의 표면에 노출시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필요하지 않을 때에는 마그넷을 테이블탭 본체에서 분리시켜 둘 수 있고, 마그넷이 테이블탭 본체의 배면에서 돌출하지 않아 방해가 되는 일이 없는 동시에 마그넷을 스틸제 데스크나 캐비닛에 직접 자착(磁着)시켜 견고히 테이블탭 본체를 임시 고정할 수 있다. 또 케이블의 길이가 맞지 않아 교체가 필요한 경우, 조작핸들을 조작함으로써 하니스플러그에서 간단히 케이블을 분리시킬 수 있고, 더욱이 교체한 케이블의 심선을 전선삽입구에 삽입하는 것만으로 록스프링과 접촉편 사이에 심선이 탄성협지되어 하니스플러그에 케이블을 접속할 수 있고, 재접속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조작핸들에 의해 케이블을 용이하게 하니스플러그에서 분리시킬 수 있다.
또, 하니스플러그의 하우징의 측면에 전기적 특성이나 용도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배설한 것을 특징으로 하며, 필요하지 않을 때에는 마그넷을 테이블탭 본체에서 분리시켜 둘 수 있고, 마그넷이 테이블탭 본체의 배면에서 돌출하지 않아 방해가 되는 일이 없는 동시에 마그넷을 스틸제 데스크나 캐비닛에 직접 자착(磁着)시켜 견고히 테이블탭 본체를 임시 고정할 수 있다. 또 표시부에서 하니스플러그를 가진 테이블탭의 전기적 특성이나 용도 등 전기배선에 필요한 정보를 알게 할 수 있다.
이하, 도 1 ∼ 도 1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의 테이블탭은 테이블탭 본체(1)와, 케이블(37)과, 하니스플러그(11)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테이블탭 본체(1)는 도 2a, 도 2b나 도 3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합성수지 성형품의 보디(38)와 커버(39)를 접합함으로써 형성되는 것이며, 도 2a 및 도 3a와 같이, 보디(38)에는 복수 부분에 플러그날삽입구(40)가 형성되어 있다. 테이블탭 본체(1) 내에는 플러그날삽입구(40)에 대응하는 플러그날받이철물이나, 단자철물이 내장되어 있고, 선단에 하니스플러그(11)를 장착한 케이블(37)이 테이블탭 본체(1) 내에 한 쪽 단부(端部)에서 도입되어 단자철물에 접속되어 있다. 또 테이블탭 본체(1)의 한 쪽의 단부나 양쪽 단부에는 플랜지편(41)이 돌출되어 있고, 비스 등에 걸어 벽 같은 데에 테이블탭을 임시 고정하기 위한 구멍(42)이 플랜지편(41)에 형성되어 있다.
테이블탭 본체(1)의 배면에는 도 2b와 같이 그 한 쪽의 단부와 다른 쪽 단부 부근에 수용요부(3)가 형성되어 있다. 수용요소(3)는 장방형으로 개구되어 있고, 길이방향의 한 쪽 단부는 약간 폭이 넓은 조작용 요부(43)로서 형성되어 있다. 이 조작용 요부(43) 내에는 도 7,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저부에서 개구측을 향해서 탄성판편(44)이 일체로 돌출되어 있고, 탄성판편(44)의 선단부의 내측에 1쌍의 계합클릭(9)이 일체로 돌출 형성되어 있다. 계합클릭(9)의 외면은 경사면(9a)으로 형성되어 있다. 탄성판편(44)은 조작용 요부(43)의 내벽면과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고, 도 7c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 두께방향으로 탄성적으로 휘어 변형되어 선단부의 계합클릭(9)이 탄성적으로 변위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 탄성판편(44)의 기부(基部)의 내측에 있어서 조작용 요부(43)의 저면에는 도 8과 같은 지그삽입공(45)이 형성되어 있다. 또 수용요소(3)의 길이방향의 다른 쪽 단부에 있어서 그 저부 부근에는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계합공(8)이 형성되어 있고, 이 계합공(8)과 연속하도록 수용요소(3)의 저면(底面)에 안내홈(40)이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다.
마그넷(2)으로서는 자석만으로 형성한 것을 사용할 수 있으나, 도 5,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자석 그 자체인 마그넷소체(素體)(4)에 요크(5)를 포개어 고정시켜 블록모양으로 형성한 것을 사용하도록 되어 있다. 마그넷 소체(4)는 도 5b와 같이 편평한 직방체로 제작되어 있고, 강판(鋼板) 등의 자성 금속판으로 단면 ㄷ자형으로 제작한 요크(5)를 마그넷소체(4)에 씌우고, 마그넷소체(4)와 요크(5)의 중앙에 각각 형성한 관통공(47), (48)에 통형 리벳모양의 리벳(49)을 통하여 도 6d와 같이 코킹함으로써, 마그넷소체(4)에 요크(5)를 고정하여 도 5a, 도 6a, 도 6b, 도 6c와 같은 블록모양의 마그넷(2)을 형성할 수 있다. 리벳(49)의 코킹편(49a, 49b)은 각각 마그넷소체(4)나 요크(5)의 관통공(47), (48)의 주변의 요단부(凹段部)(47a), (48a)에 수용하게 되어 있다.
또, 도 5 및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마그넷(2)의 길이방향의 한 쪽 단부에 있어서 요크(5)의 중앙부에 장착용 클릭(6)이 일체로 연출(延出)되어 돌출 형성되어 있고, 마그넷(2)의 길이방향의 다른 쪽 단부에 있어서 요크(5)의 양측단부에 각각 장착용 클릭(7, 7)이 일체로 연출하여 돌출 형성되어 있다. 장착용 클릭(7)의 선단은 경사면(7a)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요크(5)를 사용함으로써 장착용 클릭(6), (7)을 마그넷(2)으로 형성하는 것이 가능해지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형성되는 마그넷(2)은 테이블탭 본체(1)의 수용요소(3) 내에 끼워 넣어 장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즉, 먼저 마그넷(2)의 한 쪽 단부를 수용요소(3) 내에 삽입하여 도 7b와 같이 계합공(8)에 장착용 클릭(6)을 삽입하여 계합시킨다. 이때 안내홈(46)에 안내되어 계합공(8)에의 장착용 클릭(6)의 삽입은 원활하게 이루어진다. 다음에 마그넷(2)의 다른 쪽 단부를 수용요소(3) 내에 밀어 넣으면 계합클릭(9)의 경사면(9a)이 장착용 클릭(7)의 경사면(7a)에 의해 눌려서, 도 7c와 같이 탄성판편(44)이 마그넷(2)과 반대방향으로 탄성적으로 휘어서 계합클릭(9)이 변위하여, 도 7a와 같이 장착용 클릭(7)이 계합클릭(9)에 계합된다. 이와 같이 하여 계합공(8)에 대한 장착용 클릭(6)의 삽입 계합과, 계합클릭(9)에 대한 장착용 클릭(7)을 걸어 계합함으로써, 도 1 및 도 3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용요소(3)에 끼워 넣어 마그넷(2)을 장착할 수 있는 것이다.
마그넷(2)은 마그넷(2)의 표면과 테이블탭 본체(1)의 배면이 대략 면이 같아지도록 수용요소(3) 내에 수용하여 장착되어 있고, 마그넷(2)의 자력(磁力)에 의하여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틸제 등 자석이 흡착하는 부재로 형성된 데스크(12)나 캐비닛의 측면에 테이블탭 본체(1)를 임시 고정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테이블탭 본체(1)를 OA기기가 설치되어 있는 데스크(12)나 캐비닛의 측면에 임시 고정하여 사용함으로써, OA기기의 코드 등을 말끔하게 배선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이와 같이 마그넷(2)에 의해 임시 고정을 하지 않을 경우나, 마그넷(2)의 자력(磁力)에 의한 악영향을 피할 필요가 있을 때에는 테이블탭 본체(1)의 수용요소(3) 내에서 마그넷(2)을 분리시킬 수 있다. 분리조작은 1쌍의 계합클릭(9), (9) 사이에 있어서 마그넷(2)의 단부와 탄성판편(44) 사이에 도 8a와 같이 드라이버 등의 지그(26)의 앞부분을 삽입하는 동시에 다시 지그(26)의 선단을 지그삽입공(45)에 삽입하고, 지그삽입공(45)에 삽입한 지그(26)의 선단을 지지점으로 하여 지그(26)를 화살표와 같이 회동시킴으로써 도 7c와 같이 탄성판편(44)을 마그넷(2)과 반대측에 탄성적으로 휘게 하여 계합클릭(9)을 변위시켜, 장착용 클릭(7)과 계합클릭(9)과의 계합을 해제시킴으로써 이루어진다. 장착용 클릭(7)과 계합클릭(9)과의 계합을 해제하면 계합공(8)에 대한 장착용 클릭(7)의 삽입계합이 자동적으로 해제되어 수용요소(3) 내에서 마그넷(2)을 꺼낼 수 있다. 이와 같이 드라이버 등 지그(26)를 사용하여 마그넷(2)의 분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한편, 하니스플러그(11)는 종래의 기술에서 설명한 옥내배선시스템에 사용되는 조인트박스(10)와 같은 분기접속장치에 뺏다 끼웠다 할 수 있게 접속된다.
하니스플러그(11)는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후술하는 조인트박스(10)의 커넥터부(30)와 감합하는 요부(14)가 하우징(13)의 앞면에 형성되고, 이 요부(14) 내에는 전선의 복수의 심선이 각각 접속되는 복수개의 플러그날(15)이 선단을 요부(凹部)(14)의 개구에 면하게 하여 배설되어 있다.
하니스플러그(11)의 하우징(13)은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보디(13a)와 커버(13b)로 구성된다.
보디(13a)는 상면 및 앞면이 개구된 대략 상자모양으로 형성되고, 격벽에 의해 내부가 전후의 공간으로 분리되어, 전방에 형성되는 요소에 의해 상기 조인트박스(10)의 커넥터부(30)가 삽입되는 요소(14)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격벽에는 3개의 플러그날(15)을 밀어 넣어 고정하는 고정부가 형성되어 있고, 플러그날(15)을 고정부에 장착하면 요소(14) 내에 플러그날(15)의 선단이 나란히 배설된다. 그리고, 보디(13a)의 후방의 내부공간은 보디(13a)의 길이방향을 따라 2줄의 격벽으로 다시 3개의 구획으로 분리되고, 각 구획 내에 플러그날(15)이 수용된다. 이 보디(13a)의 후단부에는 커버(13b)와 합쳐진 상태로 전선삽입구(19)가 될 3개의 요부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각 요부는 전선삽입구(19)의 내부가 세경(細徑)으로 되어 있고, 전선삽입구(19)에 삽입되는 케이블(37)의 심선의 위치결정을 확실하게 할 수 있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플러그날(15)은 도전재료로 판상(板狀)으로 형성되고, 기부(基部)를 각 구획의 한 내측면에 닿도록 절곡하고, 이 기부의 최소한 커버(13b)측에서 옆을 향한 상태로 하면에 케이블(37)의 심선이 접촉하는 접촉편(15a)이 형성되어 있다. 또 플러그날(15)의 중앙부 하면에서는 보디(13a)에 위치를 정하여 임시 고정하기 위한 임시 고정부인 임시 고정편(15b)이 1쌍 돌출 형성되어 있다. 보디(13a)의 격벽에 의해 분리된 각 구획의 임시 고정편(15b)에 대응하는 저면(底面)에는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리브(55)가 돌출 형성되어 있고, 이 리브(55)를 각 임시 고정편(15b)이 대향하는 내단(內端)에 형성된 클릭 내에 밀어 넣어, 플러그날(15)이 보디(13a)에 임시 고정된다. 또, 하부 양단에 클릭이 형성된 돌기로 이루어지는 임시 고정편을 플러그날(15)에 형성하는 동시에, 2줄의 돌조로 이루어지는 리브를 보디(13a)의 내저면(內底面)에 형성하여, 리브 사이에 임시 고정편을 감합(嵌合)하도록 해도 된다.
그런데, 3개의 플러그날(15) 중에서 케이블(37)의 접지용 심선이 접속되는 플러그날은 다른 플러그날보다 약간 전방으로 돌출하도록 길게, 또는 앞쪽에 장착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는 다른 플러그날이 조인트박스(10)의 암접점에 접속될 때에, 우선 먼저 접지선이 접속된 플러그날이 조인트박스(10)의 암접점에 접속되고, 또 역으로 떼어낼 때는 접지선이 접속된 플러그날이 마지막으로 빠지도록 하여, 안전성을 확보하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상기 각 플러그날(15)의 접촉편(15a)과 보디(13a)의 3구획으로 분할된 각 구획의 후단부와의 사이에는 케이블(37)의 심선을 접촉편(15a)에 탄성적으로 강하게 누르는 록스프링(20)을 배치한다.
커버(13b)는 내부구조가 상기 보디(13a)와 대략 같은 구조의 하면과 앞면이 개구하는 대략 상자모양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면의 2곳에는 고정리벳을 삽통하는 삽통공이 형성되어 있고, 삽통공과, 이 삽통공에 대응하여 보디(13a)에 형성된 삽통공에는 고정리벳(27)을 삽통시켜 선단을 코킹하여, 보디(13a)에 커버(13b)를 씌워 장착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보디(13a)의 요소(凹所)와 함께 요부(凹部)(14)를 형성하는 커버(13b)의 요소의 내저면에는 후술하는 조인트박스(10)의 역(逆)삽입방지홈에 끼워지는 커넥터부(30)의 삽착(揷着)방향을 따라 형성된 오(誤)접속방지부로서의 돌조(22)가 형성되어 있고, 이로써 역삽입 또는 정격이나 용도가 다른 조인트박스(10)가 잘못 접속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이런 종류의 하니스플러그(11)에는 조인트박스(10)와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조인트박스(10)에 형성된 계지홈(35)에 계지·이탈이 가능한 합성수지 등의 가요성을 가진 재료로 형성된 록체(23)를 구비하고 있으며, 이 록체(23)를 커버(13b)측에 구비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또, 종래의 이 종류의 조인트박스나 하니스플러그의 경우에는 보디측에도 상기 록체(23)와 같은 것을 설치하고 있었으나, 이것으로는 하니스플러그의 형상이 커지므로, 본 실시형태에서는 커버(13b)측에만 록체(23)를 설치하여 하니스플러그(10)의 소형화를 도모하고 있다.
상기 록체(23)를 커버(13b)에 장착하기 위해서, 상기 커버(13b)의 상면 중앙부를 오목하게 만들어, 록체(23)의 장착부(24)가 형성되어 있다. 이 장착부(24)의 요소에 대응하는 부분에 개구를 형성하고, 이 개구에서 록체(23)의 계지클릭(23a)이 요부(14) 내에 돌출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그리고, 이 개구의 후부에 록체(23)를 고정하는 고정부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록체(23)에는 중앙 하면에서 단면이 대략 L자형의 고정편이 하향 형성되고, 이 고정편의 하면에 커버(13b)에 탄성계지되는 2개의 고정클릭편(23c)이 하향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계지클릭(23a)이 형성된 선단면의 상부에 커버(13b)에 탄성계지하는 계지편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록체(23)를 해제할 때에 손가락으로 조작되는 상면에는 횡방향으로 뻗은 복수 줄의 돌조로 이루어진 미끄럼방지(23d)가 형성되어 있다.
록체(23)가 장착되는 커버(13b)의 장착부(24)에 있어서는, 고정부에 고정클릭편(23c)을 삽입하는 삽입공이 형성되어 있고, 이 삽입공에 고정 클릭편(23c)을 계지시킴으로써 록체(23)가 장착부(24)에 장착된다. 그리고, 이 고정부의 후부는 록체(23)의 누름조작부(23d)보다 크게 형성하여, 누름조작부(23d)를 손가락으로 누를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즉, 록체(23)의 누름조작부(23d)를 아래쪽으로 밀어 내리면 고정편(23b)을 지지점으로 하여 계지클릭(23a)측이 윗쪽으로 회동하여, 계지클릭(23a)이 조인트박스(10)의 커넥터부(30)의 계지홈(35)에서 빠지고, 하니스플러그(11)를 조인트박스(10)에서 분리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상기 록체(23)를 장착부(24)에 장착하는 것은 다음과 같이 한다. 먼저 록체(23)의 고정클릭편(23c)을 삽입공에 삽입하고, 이어서 탄성편(23b)을 후단면이 고정부의 후방의 스텝부(段部)에 계지되도록 고정부상에 재치(載置)하면, 고정클릭편(23c)의 하부의 앞면에 형성된 클릭이 삽입공의 내측 개구에지에 계지됨으로써 커버(13b)에 고정된다. 여기서, 본 실시형태의 경우에는 고정부의 후단(後端)의 스텝부와 삽입공의 전방측의 개구 에지와의 사이의 간격보다 고정편(23b)의 후단면에서 고정클릭편(23c)의 기부의 앞면까지의 간격을 약간 크게 형성하고, 고정편(23b)의 횡편(橫片)에 고정부의 스텝부에 의해 전방으로 탄성력을 부여하여. 이것에 의해 고정클릭편(23c)이 확실하게 계지되도록 하고 있다. 또 보디(13a)의 격벽의 후방에 돌출부를 형성하고, 록체(23)를 임시 고정한 커버(13b)를 보디(13a)에 씌워 장착하면, 보디(13a)의 격벽에 대응하는 커버(13b)의 격벽과 돌출부 사이에 고정클릭편(23c)의 하부가 협지되어 록체(23)가 고정되도록 되어 있다. 즉, 본 실시형태에서는 고정편(23b)과 고정클릭편(23c)이 록체(23)의 고정부가 되는 동시에, 고정부와 삽입공이 록체(23)의 상기 고정부를 탄성적으로 요철감합(凹凸嵌合)하여 록체(23)를 임시 고정하는 임시 고정부가 되고, 격벽과 돌출부가 보디(13a)와 커버(13b)를 결합하였을 때에 록체(23)의 상기 고정부를 협지하는 협지부가 된다.
그런데, 이 커버(13b)를 보디(13a)에 씌워 장착할 때에는 록스프링(20)과 접촉편(15a)으로 이루어지는 전선(케이블(37)의 심선)의 속결부(quick-conect part)에 대응하는 곳에 해제버튼블록(21)을 수용한다. 해제버튼블록(21)은 각 록스프링(20)을 대응하는 접촉편(15a)에서 동시에 밀어 벌어지게 하여 심선의 탄성협지상태를 해제하는 해제부(21a)와, 해제부(21a)의 한 끝에지에서 뻗어 형성되어 커버(13b)의 후단부(後端部)에 형성된 개구에서 커버(13b)의 표면에 노출되는 조작핸들(21b)로 구성되고, 조작핸들(21b)은 손조작이 가능한 크기로 형성되어 있다. 조작핸들(21b)을 밀어 내리면, 조작핸들(21b)의 미는 조작에 의해 해제부(21a)가 회동하고, 록스프링(20)이 접촉편(15a)에서 떨어지는 방향으로 휘어져 심선의 탄성계지상태가 해제된다.
또, 도 9 및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요소에 대응하는 커버(13b)의 표면에는 요부(51)가 형성되어 있고, 조인트박스(10)의 정격이나 용도 등을 기재한 카드(52)가 요부(51) 내에 수용되고, 요부(51)의 양 끝면에 형성된 계지홈과 계지·이탈이 가능한 계지편이 양끝에지에 형성된 투명한 커버(53)가 카드(52)를 덮어 요부(51)에 장착되어 있으므로, 카드(52)로부터 조인트박스(10)의 정격이나 용도를 용이하게 판별할 수 있다. 또한, 하니스플러그(11)에서는 보디(13a) 및 커버(13b)는 2개의 고정리벳으로 고정되어 있고, 커버(13b)의 후단부는 평탄면으로 형성되어 있다.
다음에, 하니스플러그(11)가 삽입되는 조인트박스(10)에 대하여 설명한다. 조인트박스(10)는 삽입측이 되는 하니스플러그(11)의 요부(14)에 삽착되는 커넥터부(30)가 앞면에 형성되고, 이 커넥터부(30)의 앞면에 형성된 플러그날삽입구(31)에서 삽입되는 하니스플러그(11)의 플러그날(15)을 각각 받는 복수의 암접점을 내부에 구비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 조인트박스(10)의 하우징(33)은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보디(33a) 및 커버(33b)로 구성되고, 커버(33b) 상면의 4곳에 고정리벳을 삽통하는 삽통공이 형성되어 있다. 이 삽통공에 대응하여 보디(33a)에도 고정리벳을 삽통하는 삽통공이 형성되어 있고, 삽통공에 삽통한 고정리벳의 선단을 코킹하여 보디(33a)에 커버(33b)를 씌워 장착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보디(33a)는 상면이 개구된 대략 상자모양으로 형성되어 있고, 커버(33b)와 합쳐진 상태에서 커넥터부(30)가 되는 전방수납부는 보디(33a)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2줄의 격벽에 의해 3개의 구획으로 나누어져 있고, 각 구획 내에 암접점이 수용되어 있다. 또, 이 격벽은 전방수납부에서 후방에 걸쳐 대략 암접점의 전장(全長)에 걸쳐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각 구획에 대응하는 앞면부에는 플러그날 삽입구가 될 요부가 형성되어 있다. 또, 이 조인트박스(10)의 경우에도 보디(33a)의 후단부에는 록스프링과 접촉편 사이에 케이블(83)의 심선(83a), (83b), (83c)를 삽입시키는 전선삽입구가 되는 요부가 형성되어 있다. 또, 각 요부는 전선삽입구의 내부가 세경(細徑)으로 되어 있고, 전선삽입구에 삽입되는 심선의 위치결정을 확실하게 행할 수 있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커버(33b)의 내부구조는 보디(33a)와 대략 같은 구조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커버(33b)를 보디(33a)에 씌워 장착할 때는 록스프링과 접촉편으로 이루어지는 전선의 속결부에 대응하는 곳에 해제버튼블록이 수용되어 있다. 해제버튼블록은 각 록스프링을 대응하는 접촉편에서 동시에 분리되어 심선의 탄성협지상태를 해제하는 해제부와, 해제부의 한 끝에지에서 뻗어 형성되어 커버(33b)의 후단부에 형성된 개구에서 커버(33b)의 표면으로 노출하는 조작핸들(57)로 구성되고, 조작핸들(57)은 손조작이 가능한 크기로 형성되어 있다. 조작핸들(57)을 내리밀면, 조자핸들(57)을 미는 조작에 의해 해제부가 회동하고, 록스프링이 접촉편에서 이탈하는 방향으로 휘어져 심선의 탄성계지상태가 해제된다.
이와 같이 조인트박스(10) 및 하니스플러그(11)에의 전선접속부를 해제기능을 가진 속결구조로 하면, 케이블의 길이가 맞지 않아 교체가 필요한 경우, 해제버튼블록을 조작함으로써, 간단히 케이블을 떼어낼 수 있고, 더욱이 교체한 케이블의 심선을 전선삽입구에 삽입하는 것만으로, 록스프링과 접촉편 사이에 심선이 탄성협지되어서 케이블접속을 행할 수 있어서, 재접속작업도 용이해지며, 케이블의 교체작업을 매우 간단히 할 수 있다.
조인트박스(10)에의 하니스플러그(11)의 접속은 돌조(22)가 역삽입방지홈에 끼워지도록 하니스플러그(11)의 요부(14)와 조인트박스(10)의 커넥터부(30)와의 방향을 맞추어 하니스플러그(11)를 조인트박스(10)에 밀어 넣으면, 플러그날(15)이 플러그날 삽입구(31)에 삽입되어 각 플러그날(15)이 암접점에 접속된다. 이때, 록체(23)의 계지클릭(23a)이 계지홈(35)에 계지되어 이탈이 방지된다.
그리고, 조인트박스(10)에서 하니스플러그(11)를 떼어낼 때는 록체(23)의 누름조작부(23d)를 밀어 넣어, 록체(23)의 계지클릭(23a)과 커넥터부(30)의 계지홈(35)과의 계지상태를 해제하고, 하니스플러그(11)를 후방으로 뽑아내면 된다.
상기 구성의 테이블탭을 사용하여 배선시공을 할 때에는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바닥바탕재(91)에 세워 설치한 지지각(支持脚)(92) 위에 대략 정방형의 단위 치수의 바닥재(90)를 다수 재치함으로써 프리 액세스 플로어를 구성하고, 바닥바탕재(91)와 바닥재(90) 사이의 공간을 배선공간으로서 사용한다. 이 배선공간에는 분전반(81)에 수납된 주간(主幹) 브레이커(82)에 접속된 간선(幹線)(83)이 배선된다. 또, 간선(83)에는 적당한 간격으로 조인트박스(10)가 접속된다. 지금,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테이블탭은 테이블탭 본체(1)가 스틸제 등 자석이 흡착하는 부재로 형성된 데스크(12)의 측면에 고정되고, 케이블(37)의 선단에 배설된 하니스플러그(11)가 바닥 아래를 통과하여 조인트박스(10)에 접속되어 있다. 그 결과, 테이블탭을 간선(83)에 접속할 수 있어, 배선홍수의 문제를 해결하는 동시에, 테이블탭 본체(1)는 배면의 마그넷(2)에 의해 스틸제 데스크(12)나 캐비닛에 직접 자착(磁着)시켜서 견고히 테이블탭 본체(1)를 임시 고정할 수 있고, 또한 하니스플러그(11)의 하우징 측면에 표시부(카드(52))가 배설되어 있으므로, 이 카드(52)에 정격이나 용도 등을 기재해둠으로써 액세스플로어 내에서의 하니스플러그(11)의 케이블의 장착, 분리작업이 용이해진다.
청구항 1의 발명은, 필요치 않을 때에는 마그넷을 테이블탭 본체에서 떼어 내 둘 수 있고, 마그넷이 테이블탭 본체의 배면에서 돌출하지 않아 방해되는 일이 없는 동시에, 마그넷을 스틸제 데스크나 캐비닛에 직접 자착(磁着)시켜 견고히 테이블탭 본체를 임시 고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 케이블의 길이가 맞지 않아 교체가 필요한 경우, 조작핸들을 조작함으로써 하니스플러그에서 간단히 케이블을떼어낼 수 있고, 더욱이 교체한 케이블의 심선을 전선삽입구에 삽입하는 것만으로,록스프링과 접촉편 사이에 심선이 탄성협지되어 하니스플러그에 케이블을 접속할 수 있고, 재접속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조작핸들에 의해 케이블을 용이하게 하니스플러그에서 떼어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청구항 2의 발명은, 조작핸들을 손으로 조작할 수 있으므로 특별한 공구 등을 사용하지 않고 케이블을 용이하게 하니스플러그에서 떼어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청구항 3의 발명은, 요크에 배설한 장착용 클릭에 의한 계합수단으로 테이블탭 본체에 마그넷을 장착할 수 있고, 마그넷의 장착이나 분리가 용이하다는 효과가 있다.
청구항 4의 발명은, 계합클릭을 탄성적으로 변위시킴으로써 계합클릭과 장착용 클릭과의 계합이나 계합의 해제를 용이하게 할 수 있고, 마그넷의 장착이나 분리조작이 간단해지는 효과가 있다.
청구항 5의 발명은, 필요하지 않을 때에는 마그넷을 테이블탭 본체에서 분리해 둘 수 있고, 마그넷이 테이블탭 본체의 배면에서 돌출하지 않아 방해가 되는 일이 없는 동시에, 마그넷을 스틸제 데스크나 캐비닛에 직접 자착(磁着)시켜 견고히테이블탭 본체를 임시 고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 표시부에서 하니스플러그를 가진 테이블탭의 전기적 특성이나 용도 등의 전기배선에 필요한 정보를 알릴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청구항 6의 발명은, 요크에 배설한 장착용 클릭에 의한 계합수단으로 테이블탭 본체에 마그넷을 장착할 수 있고, 마그넷의 장착이나 분리가 용이하다는 효과가 있다.
청구항 7의 발명은, 계합클릭을 탄성적으로 변위시킴으로써 계합클릭과 장착용 클릭과의 계합이나 계합의 해제를 용이하게 할 수 있고, 마그넷의 장착이나 분리조작이 간단해지는 효과가 있다.

Claims (7)

  1. 바닥바탕재와 바닥바탕재 위에 적당히 간격을 두고 부설(敷設)한 바닥재와의 사이에 형성되는 배선공간에 전력용 간선(幹線)을 배선하고, 간선상의 적당한 곳에 설치한 분기접속장치의 분기접속부에 배선기구를 착탈할 수 있게 접속함으로써 배선망을 형성한 옥내배선시스템에 사용되고, 하나 내지 복수의 플러그날 삽입구와 플러그날 삽입구에 대응하는 플러그날받이철물을 구비한 테이블탭 본체와, 테이블탭 본체 내에서 플러그날받이철물과 통전(通電)시킨 복수의 심선을 가진 케이블과, 이 케이블의 선단에 설치된 분기접속장치의 분기접속부에 결합되는 하니스플러그를 구비하여 이루어지고, 테이블탭 본체의 배면에 자석을 수용하는 수용요소(收容凹所)를 형성하고, 수용요소 내에 마그넷의 표면이 테이블탭 본체의 배면과 대략 면(面)이 같아지도록 분리할 수 있게 마그넷을 장착하고, 하니스플러그는 분기접속장치의 분기접속부가 감합(嵌合)되는 요부(凹部)가 하우징의 앞면에 형성되고, 이 요부 내에 케이블의 복수의 심선이 각각 기단부(基端部)에 접속된 복수개의 플러그날의 선단부가 면하고, 하우징의 후단부(後端部)에 케이블의 심선을 각각 삽입하는 케이블삽입구를 형성하고, 이 케이블삽입구에서 삽입되는 케이블의 심선과 접촉하는 접촉편을 상기 각 플러그날의 기단부에 형성하고, 이들 접촉편과의 사이에 심선을 탄성협지(彈性挾持)하는 복수의 록스프링과, 이 록스프링을 접촉편에서 분리시켜 심선의 탄성협지상태를 해제하는 해제버튼을 구비하고, 상기 해제버튼을 조작하기 위한 조작핸들을 하우징의 표면에 노출시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블탭.
  2. 제1항에 있어서, 하니스플러그의 조작핸들은 손조작이 가능한 크기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블탭.
  3. 제1항에 있어서, 마그넷 소체(素體)에 요크를 포개어 고정함으로써 마그넷을 형성하고, 요크에 장착용 클릭을 돌출 형성하는 동시에 테이블탭 본체에 장착용 클릭을 계합시킴으로써 마그넷을 테이블탭 본체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블탭.
  4. 제1항에 있어서, 마그넷의 한 쪽 측단부(側端部)와 다른 쪽 측단부에 각각 장착용 클릭을 돌출시켜 형성하고, 테이블탭 본체의 수용요소의 한 쪽 측단부 내에 계합공(係合孔)을 형성하는 동시에 수용요소의 다른 쪽 측단부 내에 탄성변위 가능한 계합클릭을 형성하고, 마그넷을 수용요소 내에 수용하여 마그넷의 한 쪽 측단부의 장착용 클릭을 계합공에 삽입하여 계합시키는 동시에, 마그넷의 다른 쪽 측단부의 장착용 클릭을 계합클릭에 계합·이탈할 수 있게 계합시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블탭.
  5. 바닥바탕재와 바닥바탕재 위에 적당한 간격을 두고 부설(敷設)한 바닥재와의 사이에 형성되는 배선공간에 전력용 간선(幹線)을 배선하고, 간선상의 적당한 곳에 배설한 분기접속장치의 분기접속부에 배선기구를 착탈할 수 있게 접속함으로써 배선망을 형성한 옥내배선 시스템에 사용되고, 하나 내지 복수의 플러그날 삽입구와 플러그날 삽입구에 대응하는 플러그날받이철물을 구비한 테이블탭 본체와, 테이블탭 본체 내에서 플러그날받이철물과 통전시킨 복수의 심선을 가진 케이블과, 이 케이블의 선단에 배설된 분기접속장치의 분기접속부에 결합되는 하니스플러그를 구비하여 이루어지고, 테이블탭 본체의 배면에 자석을 수용하는 수용요소(收容凹所)를 형성하고, 수용요소 내에 마그넷의 표면이 테이블탭 본체의 배면과 대략 면(面)이 같아지도록 분리할 수 있게 마그넷을 장착하고, 하니스플러그는 분기접속장치의 분기접속부가 끼워지는 요부(凹部)가 하우징의 앞면에 형성되고, 이 요부 내에 케이블의 복수의 심선이 각각 기단부(基端部)에 접속된 복수개의 플러그날의 선단부가 면하고, 하우징의 후단부(後端部)에 케이블의 심선을 각각 삽입하는 케이블삽입구를 형성하고, 이 케이블삽입구에서 삽입되는 케이블의 심선과 접촉하는 접촉편을 상기 각 플러그날의 기단부에 형성하고, 이들 접촉편과의 사이에 심선을 탄성협지(彈性挾持)하는 복수의 록스프링과, 이 록스프링을 접촉편에서 분리시켜 심선의 탄성협지상태를 해제하는 해제버튼을 구비하고, 하니스플러그의 하우징의 측면에 전기적 특성이나 용도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배설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블탭.
  6. 제5항에 있어서, 마그넷 소체에 요크를 포개어 고정함으로써 마그넷을 형성하고, 요크에 장착용 클릭을 돌출 형성하는 동시에 테이블탭 본체에 장착용 클릭을 계합시킴으로써 마그넷을 테이블탭 본체에 분리시킬 수 있게 장착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블탭.
  7. 제5항에 있어서, 마그넷의 한 쪽 측단부(側端部)와 다른 쪽 측단부에 각각 장착용 클릭을 돌출시켜 형성하고, 테이블탭 본체의 수용요소의 한 쪽 측단부 내에 계합공(係合孔)을 형성하는 동시에 수용요소의 다른 쪽 측단부 내에 탄성변위 가능한 계합클릭을 형성하고, 마그넷을 수용요소 내에 수용하여 마그넷의 한 쪽 측단부의 장착용 클릭을 계합공에 삽입하여 계합시키는 동시에, 마그넷의 다른 쪽 측단부의 장착용 클릭을 계합클릭에 계합·분리할 수 있게 계합시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블탭.
KR1019980039788A 1998-03-26 1998-09-24 테이블탭 KR10028456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0080010A JPH11273812A (ja) 1998-03-26 1998-03-26 テーブルタップ
JP80010 1998-03-2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76508A KR19990076508A (ko) 1999-10-15
KR100284568B1 true KR100284568B1 (ko) 2001-03-15

Family

ID=137063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39788A KR100284568B1 (ko) 1998-03-26 1998-09-24 테이블탭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JP (1) JPH11273812A (ko)
KR (1) KR100284568B1 (ko)
CN (1) CN1130806C (ko)
HK (1) HK1021449A1 (ko)
ID (1) ID22310A (ko)
TW (1) TW435861U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87893A (ja) * 2005-09-26 2007-04-05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テーブルタップ
JP2008071600A (ja) * 2006-09-13 2008-03-27 Sumitomo Wiring Syst Ltd 電線カバー
JP4891714B2 (ja) * 2006-09-13 2012-03-07 住友電装株式会社 電線カバーのロック構造
CN105095648B (zh) * 2015-06-29 2017-10-31 浙江大学 一种门诊排队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11273812A (ja) 1999-10-08
TW435861U (en) 2001-05-16
CN1130806C (zh) 2003-12-10
ID22310A (id) 1999-09-30
CN1230814A (zh) 1999-10-06
HK1021449A1 (en) 2000-06-09
KR19990076508A (ko) 1999-10-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36097A (en) Modular power distribution system
US7285723B2 (en) Receptacle with shaped surface
US7732710B2 (en) Multifunction clips and ground/mounting strap for wiring device
US7265308B2 (en) Rocker paddle switch with semi-rigid cam driver
US7132913B2 (en) Universal terminal assembly for electric power switch
KR100327895B1 (ko) 하니스커넥터
WO2005117224A1 (en) Alignment plate for wiring device
JPS62262379A (ja) ケ−ブルワイヤ用のコネクタバンク
US4593960A (en) Power entry connector
JP2001057266A (ja) モジュール式壁板用コネクタ取付装置
US7247792B2 (en) Wall plate with one opening for one or more wiring devices
KR100284568B1 (ko) 테이블탭
KR100318017B1 (ko) 브레이커부착콘센트용 하니스플러그
USRE43156E1 (en) Receptacle with shaped surface
CN113328269B (zh) 连接组件、线缆插头以及线缆组件
KR19990076507A (ko) 조인트박스
US5470254A (en) Terminal block for small appliances
KR19990076505A (ko) 하니스플러그
CN108615983B (zh) 按压开关接线装置
JP3419233B2 (ja) 分岐配線用接続器
JP4001128B2 (ja) コンセント
CN216436235U (zh) 一种漏电保护插头及其防护结构
JPH0652933A (ja) ハーネスプラグ
JPH05174656A (ja) 電話用切り分け器
JP4576167B2 (ja) 配線接続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1218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