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76505A - 하니스플러그 - Google Patents

하니스플러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76505A
KR19990076505A KR1019980039785A KR19980039785A KR19990076505A KR 19990076505 A KR19990076505 A KR 19990076505A KR 1019980039785 A KR1019980039785 A KR 1019980039785A KR 19980039785 A KR19980039785 A KR 19980039785A KR 19990076505 A KR19990076505 A KR 199900765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ug
cover
harness
housing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397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부유키 시부에
Original Assignee
이마이 기요스케
마츠시다 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마이 기요스케, 마츠시다 덴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이마이 기요스케
Publication of KR199900765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76505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465Identification means, e.g. labels, tags, mark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04Pins or blades for co-operation with socke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배선작업시의 작업성을 향상시킨 하니스플러그를 제공한다.
하니스플러그(11)의 하우징(13)은 보디(13a) 및 커버(13b)로 구성되며, 커버(13b)의 표면에는 하니스플러그(11)의 전기적 정격이나 용도를 표시한 표시부(50)가 배설되어 있다. 하우징(13)의 앞면에는 하니스커넥터의 삽착부가 삽착될 요부(14)가 형성된다. 이 요부(14)내에는 기단부(基端部)에 전선이 접속되는 플러그날(15, 15′)이 선단부를 요부(14)의 개구에 면하도록 배설된다. 전선삽입구가 되는 요부(19)에서 삽입된 전선의 심선은 플러그날(15, 15′)의 접촉편(15a)과 록스프링(20)의 사이에서 탄성협지된다. 해제버튼(21)의 조작핸들(21b)은 커버(13b)의 표면에 노출되어 있고, 조작핸들(21b)을 조작함으로써 해제부(21a)가 록스프링(20)을 접촉편(15a)에서 분리시켜, 심선의 탄성협지상태를 해제한다.

Description

하니스플러그
본 발명은 전원선을 커넥터 방식으로 접속하기 위하여 전원선의 선단에 장착되며, 일반적으로 받이측이 되는 하니스커넥터와 함께 이용되는 하니스플러그에 관한 것이다.
하니스플러그는 받이측이 되는 하니스커넥터가 감합되는 요부를 하우징의 앞면에 형성하고, 이 요부내에 전선의 복수심선이 각각 접속된 복수개의 플러그날(plug blade, 栓刃) 선단을 면하도록 하여 하니스커넥터의 내부에 배설된 암접점(female contact)에 각각 플러그날을 삽입 감합시켜 전기접속을 하는 것이다.
그러나, 종래의 이런 종류의 하니스플러그에서는 전선은 플러그날 기단부에 코킹하여 접속되는 구조로 되어 있었기 때문에 현장에서 전선의 길이가 맞지 않는 경우 등에 있어서의 전선의 교환작업이 번거로우며, 작업성이 나쁘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하니스플러그에는 전기적 특성이나 용도가 표시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배선작업시나 보수시에 배선도 등에서 하니스플러그의 전기적 특성이나 용도를 판독해야 하는 등 작업성이 나쁘다는 문제도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작업성을 향상시킨 하니스플러그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실시형태 1의 하니스플러그의 분해사시도.
도 2는 도 1의 하니스플러그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1의 하니스플러그의 단면도.
도 4는 도 1에 대응하는 하니스커넥터의 분해사시도.
도 5는 도 1의 하니스커넥터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6은 도 1의 하니스플러그가 사용되는 바닥배선시스템의 설명도.
도 7은 도 1의 오접속방지부를 나타내며, 도 7a는 하니스플러그의 정면도, 도 7b는 하니스커넥터의 정면도.
도 8은 도 1의 오접속방지부를 나타내며, 도 8a는 하니스플러그의 정면도, 도 8b는 하니스커넥터의 정면도.
도 9는 도 1의 오접속방지부를 나타내며, 도 9a는 하니스플러그의 정면도, 도 9b는 하니스커넥터의 정면도.
도 10은 도 1의 오접속방지부를 나타내며, 도 10a는 하니스플러그의 정면도, 도 10b는 하니스커넥터의 정면도.
도 11은 도 1의 오접속방지부를 나타내며, 도 11a는 하니스플러그의 정면도, 도 11b는 하니스커넥터의 정면도.
도 12는 도 1의 오접속방지부를 나타내며, 도 12a는 하니스플러그의 정면도, 도 12b는 하니스커넥터의 정면도.
도 13은 도 1의 하니스플러그의 플러그날 임시고정방법을 설명하는 도면.
도 14는 도 1의 하니스플러그의 요부단면도.
도 15a는 록체의 임시고정구조를 나타내는 요부단면도이며, 도 15b는 록체가 고정된 상태를 나타내는 요부단면도.
도 16은 실시형태 2의 하니스플러그의 분해사시도.
도 17은 실시형태 3의 하니스플러그를 나타내며, 도 17a는 정면도, 도 17b는 측면도, 도 17c는 일부 생략된 측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하니스플러그 13 : 하우징
13a : 보디 13b : 커버
14 : 요부 15, 15′ : 플러그날
15a : 접촉편 19 : 요부
20 : 록스프링 21 : 해제버튼
21a : 해제부 21b : 조작핸들
50 : 표시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받이측이 되는 하니스커넥터가 감합되는 요부가 하우징의 앞면에 형성되며, 이 요부내에 전선의 복수의 심선이 각각 기단부에 접속된 복수개의 플러그날 선단부를 면하도록 하는 동시에 하우징 측면에 전기배선에 필요한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배설하였으므로, 표시부에서 하니스플러그의 전기적 특성이나 용도 등의 전기배선에 필요한 정보를 판독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실시형태 1)
본 실시형태의 하니스플러그를 도 1 내지 도 1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하니스커넥터(10) 및 하니스플러그(11)는 각각 전원선의 선단에 장착되어 전원선을 커넥터방식으로 접속하기 위해 이용된다.
하니스플러그(11)는 받이측이 되는 하니스커넥터(10)와 감합하는 요부(14)가 하우징(13)의 앞면에 형성되고, 이 요부(14)내에는 전선의 복수의 심선이 각각 접속되는 복수개의 플러그날(15, 15′)이 선단을 요부(14)의 개구로 향하도록 배설되어 있다.
하니스플러그(11)의 하우징(13)은 합성수지제의 보디(13a)와 커버(13b)로 구성된다. 보디(13a)는 윗면 및 앞면이 개구된 대략 상자모양으로 형성되며 격벽(16)에 의해 내부가 전후의 공간으로 분리되고, 전방에 형성되는 요소(14a)에 의해 상기 하니스커넥터(10)의 삽착부(30)(도 4 및 도 5 참조)가 삽입되는 요부(14)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격벽(16)에는 3개의 플러그날(15, 15′)을 압입하여 고정하는 고정홈(17)이 형성되어 있고, 플러그날(15, 15′)을 고정홈(17)에 장착하면 요소(14a)내에 플러그날(15, 15′)의 선단부가 나란히 배설되게 된다. 그리고 보디(13a)의 후방 내부공간은 보디(13a)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2줄의 격벽(18)으로, 다시 3개의 수납실로 분리되며, 각각의 수납실내에 플러그날(15, 15′)이 수용된다. 이 보디(13a)의 후단부에는 커버(13b)와 결합된 상태로 전선삽입구가 되는 3개의 요부(19)가 형성되어 있다. 즉, 각 요부(19)는 전선삽입구의 내부의 지름이 가늘게 되어 있고, 전선삽입구에 삽입되는 심선이 플러그날(15, 15′)의 접촉편(15a)과 록스프링(lock spring)(20) 사이에 확실하게 위치결정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플러그날(15, 15′)은 도전재료로 판형상으로 형성되고, 기단부를 각 수납실의 한 내측면에 닿도록 절곡되고 이 기단부가 최소한 커버(13b)측에서 가로방향으로 하면에 심선이 접촉되는 접촉편(15a)을 형성하고 있다. 또한 플러그날(15, 15′)의 중앙부의 하면으로부터는 보디(13a)에 위치결정하여 임시고정하는 임시고정편(15b)이 한쌍 돌출형성되어 있다. 보디(13a)의 격벽(18)에 의해 분리된 각각의 수납실의 임시고정편(15b)에 대응하는 저면에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리브(55)를 돌출 형성하고 있고, 이 리브(55)를 각각의 임시고정편(15b)이 대향하는 내단(內端)에 형성된 클릭내에 압입하여 플러그날(15, 15′)이 보디(13a)에 임시고정된다. 이와 같이 플러그날고정부인 임시고정편(15b) 및 리브를 요철감합시킴으로써 플러그날(15, 15′)을 보디(13a)에 임시고정하여 플러그날(15, 15′)의 장착상태를 안정시킬 수 있으므로 보디(13a)와 커버(13b)의 조립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즉,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부 양단에 클릭이 형성된 돌기로 이루어진 임시고정편(15b)을 플러그날(15, 15′)에 형성하는 동시에 2줄의 돌조(55a)로 된 리브(55)를 보디(13a)의 내저면에 형성하여 리브(55') 사이에 임시고정편(15b')을 감합하도록 해도 된다.
그런데, 3개의 플러그날(15, 15′)중에서 전선의 접지선이 접속되는 플러그날(15′)은 다른 플러그날(15)보다 약간 앞쪽으로 돌출되도록 길게, 또는 앞쪽에 장착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것은 다른 플러그날(15)이 하니스커넥터(10)의 암접점에 접속될 때에 우선 처음 접지선이 접속된 플러그날(15′)이 하니스커넥터(10)의 암접점에 접속되고 또한 반대로 분리할 때에는 접지선이 접속된 플러그날 (15′)이 마지막으로 분리되도록 하여 안전성을 확보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각 플러그날(15, 15′)의 접촉편(15a)과 보디(13a)의 3분할된 각 수납실의 후단부와의 사이에는 전선의 심선을 접촉편(15a)에 탄성적으로 닿는 록스프링(20)을 배치한다.
커버(13b)는 내부 구조가 상기 보디(13a)와 대략 같은 구조의 하면과 앞면이 개구되는 대략 상자모양으로 되어 있어 상면의 2개소에는 고정리벳(26)을 삽통하는 삽통공(27)을 형성하고 있으며, 삽통공(27)과 이 삽통공(27)에 대응하는 보디(13a)에 형성된 삽통공(28)에는 고정리벳(26)을 삽통하여 선단을 코킹하고 보디(13a)에 커버(13b)를 씌워 장착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보디(13a)의 요소(凹所)(14a)와 함께 요부(14)를 형성하는 커버(b)의 요소(14b)의 내저면에는 후술하는 하니스커넥터(10)의 역삽입방지홈(34)(도 5참조)에 끼우는 하니스커넥터(10)의 삽착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오(誤)접속방지부로서의 돌조(22)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로써 역삽입 또는 정격이나 용도가 다른 하니스커넥터(10)가 잘못 접속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되어 있다.
여기에서 이런 종류의 하니스플러그(11)에는 하니스커넥터(10)와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하니스커넥터(10)에 형성된 계지홈(35)에 계지이탈이 가능하도록 계지하는 합성수지 등의 가요성을 가진 재료로 형성된 록체(23)를 갖추고 있으며, 이 록체(23)를 커버(13b)측에 구비한 구조로 되어 있다.
또한, 종래의 이런 종류의 하니스플러그(11)의 경우에는 보디(13a)측에도 상기 록체(23)와 같은 것을 설치했으나, 이렇게 하면 하니스플러그(11)의 형상이 커지므로 본 실시형태에서는 커버(3b)에만 록체(23)를 배설하여 하니스플러그(11)의 소형화를 도모하고 있다.
상기 록체(23)를 커버(13b)에 장착하기 위해서 상기 커버(13b)의 윗면 중앙부를 오목하게 형성하여 록체(23)의 장착부(24)를 형성하고 있다. 이 장착부(24)의 요소(14b)에 대응하는 부분에 개구(25)를 형성하여, 이 개구(25)에서 록체(23)의 계지클릭(23a)이 요부(14)내로 돌출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그리고 이 개구(25)의 후부에 록체(23)를 고정하는 고정부(24a)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록체(23)에는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중앙 하면에서 단면이 대략 "L"자 모양의 고정편(23b)이 하향 배설되고, 이 고정편(23b)의 하면에 커버(13b)에 탄성계지되는 2개의 고정클릭편(23c)이 하향 배설되어 있다. 그리고 계지클릭(23a)이 형성된 선단면의 상부에 커버(13b)에 탄성계지하는 계지편(23e)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록체(23)의 해제시에 손가락으로 조작되는 상면에는 가로방향으로 형성된 복수줄의 돌조로 이루어지는 미끄럼방지(23d)가 형성되어 있다.
록체(23)가 장착되는 커버(13b)의 장착부(24)에 있어서는 고정부(24a)에 고정클릭편(23c)을 삽입하는 삽입공(24b)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삽입공(24b)에 고정클릭편(23c)을 계지시킴으로써 록체(23)가 장착부(24)에 장착된다.
그리고 이 고정부(24a)의 후부는 록체(23)의 누름조작부(23d)보다 크게 형성되어 누름조작부(23d)를 손가락으로 압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즉, 록체(23)의 누름조작부(23d)를 아래쪽으로 누르면 고정편(23b)을 지지점으로 하여 계지클릭(23a)쪽이 위쪽으로 회동하여 계지클릭(23a)이 하니스커넥터(10)의 삽착부(30)에 형성된 계지홈(35)에서 분리되고, 하니스플러그(11)를 하니스커넥터(10)에서 분리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것이다. 그리고, 누름조작부(23d)의 표면에는 미끄럼방지를 위한 홈이 폭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록체(23)의 장착부(24)에의 장착은 다음과 같이 한다. 우선, 록체(23)의 고정클릭편(23c)을 도 15a의 파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삽입공(24b)에 삽입하고 이어서 탄성편(23b)을 후단면이 고정부(24a)의 후방의 스텝부에 계지되도록 고정부(24a) 위에 재치하면 고정클릭편(23c)의 하부 앞면에 형성된 클릭이 삽입공(24b) 내측의 개구에지에 계지되됨으로써 커버(13b)에 고정된다. 여기서 본 실시형태의 경우에는 도 15중의 고정부(24a)의 후단 스텝부와 삽입공(24b)의 전방쪽의 개구에지와의 사이의 간격보다 고정편(23b)의 후단면에서 고정클릭편(23c)의 기부의 앞면까지의 간격을 약간 크게 형성하며, 고정편(23b)의 횡편(橫片)에 고정부(24a) 스텝부에 의해 전방으로의 탄성력을 부여하고 이에 따라 고정클릭편(23c)이 확실하게 계지되도록 하고 있다. 또한 보디(13a)의 격벽(16)의 후방에 돌출부(56)를 형성하고 록체(23)를 임시고정한 커버(13b)를 보디(13a)로 씌워 장착하면 보디(13a)의 격벽(16)에 대응하는 커버(13b)의 격벽(57)과 돌출부(56)와의 사이에 고정클릭편(23c)의 하부가 협지되어 록체(23)가 고정하도록 되어 있다.
즉, 본 실시형태에서는 고정편(23b)과 고정클릭편(23c)이 록체(23)의 고정부가 되는 동시에 고정부(24a) 및 삽입공(24b)이 록체(23)의 상기 고정부를 탄성적으로 요철감합하여 록체(23)를 임시고정하는 임시고정부가 되며, 격벽(57)과 돌출부(56)가 보디(13a)와 커버(13b)를 결합했을 때 록체(23)의 상기 고정부를 협지하는 협지부가 된다. 따라서 보디(13a)와 커버(13b)를 결합했을 때 록체는 임시고정부에 의해 하우징에 임시고정되므로 보디(13a)와 커버(13b)의 조립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보디(13a)와 커버(13b)를 결합했을 때에는 록체가 협지부에 의해 협지되며 록체를 고정할 수 있다.
여기서,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계지편(23e)은 개구(25)의 전방쪽의 개구에지에 계지되어, 계지클릭(23a)의 요부(14)내로의 돌출량을 규제하고 일정상태로 계지클릭(23a)을 요부(14) 안으로 향하게 할 수 있으며, 그래서 하니스커넥터(10)의 삽착부(30)의 앞면에 의해서 계지클릭(23a)이 아래쪽(보디(13a)쪽)으로 밀려서하니스커넥터(10)를 삽착할 수 있게 된다. 더욱이 계지편(23e)을 개구(25)의 개구에지에 탄성계지시키고 있으므로, 계지편(23e)과 개구(25)의 개구에지가 밀착하여 계지클릭(23a)과 하니스커넥터(10)의 계지홈(35)의 걸림량이 일정하게 되므로 확실하게 이탈방지를 할 수 있다.
여기서, 플러그날(15)의 접촉편(15a) 및 록스프링(20)으로 구성되는 속결식 (速結式)접속부에 대하여 도 1 및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록스프링(20)의 록피스(lock piece)(20a) 및 접촉편(20b)은 탄성을 가진 도전재료의 대판(帶板)의 양단부를 구부려 중앙편(20c)의 양단부에 형성된다. 록피스(20a)는 중앙편(20c)과의 연결부위에서 선단에지를 향하여 플러그날(15)의 접촉편(15a)의 하면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경사져 있으며 접촉편(20b)은 대략 S자형으로 구부러져 있고 록스프링(20)에 배설한 록피스(20a) 및 접촉편(20b)이 플러그날(15)의 접촉편(15a)의 하면에 대향한다. 또한, 플러그날(15)의 접촉편(15a)에는 절결(15c)이 형성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 커버(13b)를 보디(13a)에 씌워 장착할 때에는 록스프링(20) 및 접촉편(15a)으로 이루어지는 심선의 속결부(quick-conect part)에 대응하는 곳에 심선의 탄성협지상태를 해제하는 해제버튼(21)이 수용되어 있다. 요부(14)와 반대측 커버(13b) 부위에는 요소(29a)가 형성되고, 요소(29a)와 하우징(13)의 내부와는 개구(29)를 통하여 연통되고 있으며, 이 요소(29a)에 해제버튼(21)이 회동가능하도록 배설되어 있다. 해제버튼(21)은 손가락으로 누르기 가능한 크기의 조작면을 가진 조작부인 조작핸들(21a)과 각 플러그날(15)의 절결(15c)에서 노출되는 록피스(20a)의 부위와 각각 닿는 해제부(21b)와 커버(13b)의 내벽과 닿아서 해제버튼(21)의 지지점이 되는 지지점부(21c)를 가지고 있다. 여기서 해제버튼(21)은 커버(13b)의 표면에 노출되어 있으며, 조작핸들(21a)의 앞면인 조작면을 손가락으로 누르면 해제버튼(21)이 지지점부(21c)를 중심으로 회전하여 해제버튼(21)의 누름부(21b)가 각 록스프링(20)의 록피스(20a)를 접촉편(15a)의 하면에서 떨어지는 방향으로 누른다. 그 결과, 특별한 공구를 사용하지 않고 3개의 록피스(20a)와 접촉편(15a)과의 사이에 협지되는 전원선의 심선을 동시에 분리할 수 있으며 전선의 교체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니스플러그(11)에의 전선접속부를, 해제기능을 가진 속결구조로 하고, 해제버튼(21)을 조작하기 위한 조작핸들(21a)은 손조작이 가능한 크기로 형성되고 커버(13b)의 표면에 노출되어 있으므로 전선접속부에의 전선의 착탈을 용이하게 할 수 있고, 예를 들면 전선의 길이가 맞지 않아 교체가 필요한 경우 해제버튼(21)의 조작핸들(21a)을 조작함으로써 간단하게 전선을 분리할 수 있다. 더욱이, 교체한 전선의 심선을 전선삽입구에서 삽입하는 것만으로 록스프링(20)과 접촉편(15a)과의 사이에서 전선의 심선이 탄성협지되어 전선의 접속이 이루어지며, 재접속작업도 용이하게 되며, 전선의 교체작업을 매우 간단히 할 수 있다.
즉, 전원선의 심선을 접속할 때에는, 요부(19)로부터 전원선의 피복이 벗겨진 심선(도시하지 않음)을 삽입하면 록스프링(20)의 탄성력에 의해 록스프링(20)의 록피스(20a) 및 접촉편(20b)과 플러그날(15)의 접촉편(15a)과의 사이에 심선의 도체가 협지되어 록피스(20a)의 선단에지가 심선의 도체에 파고 들음으로써 심선의 탈락이 방지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요부(19)에 심선을 삽입하는 것만으로 심선이 유지됨과 동시에 플러그날(15)에의 전기적 접속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또한,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요소(14b)에 대응하는 커버(13b)의 표면에는 요부(51)가 형성되어 있으며, 하니스플러그(11)의 용도나 명칭을 표시하는 각 명칭표시부인 가이드(52)가 요부(51)내에 수납되고, 요부(51)의 양끝면에 형성된 계지홈(51a)과 계지이탈이 가능하도록 계지하는 계지편(53a)이 양단 에지에 형성된 투명한 커버(53)가 카드(52)를 덮도록 하여 요부(51)에 장착되어 있으므로 카드(52)에서 하니스플러그(11)의 전기적 정격이나 용도를 용이하게 판독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니스플러그(11)의 전기적 정격이나 용도를 표시한 표시부(50)가 하우징(13)의 표면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표시부(50)의 표시로부터 하니스플러그(11)의 전기적 정격이나 용도를 용이하게 판독할 수 있으며, 또한 하니스플러그(11)의 용도가 변경된 경우에는 카드(52)를 교환함으로써 용이하게 대응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용도나 명칭를 표시하는 카드(52)를 배설하고 있는데, 카드(52) 이외의 전기배선에 필요한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설치해도 된다.
이어서 하니스플러그(11)가 삽입되는 하니스커넥터(10)에 대해서 설명한다.
하니스커넥터(10)는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삽입측이 되는 하니스플러그(11)의 요부(14)에 삽착되는 삽착부(30)가 앞면에 형성되어, 이 삽착부(30)의 앞면에 형성된 플러그날삽입구(31)에서 삽입되는 하니스플러그(11)의 플러그날(15)을 각각 받는 복수의 암접점(32)을 내부에 갖추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 하니스커넥터(10)의 하우징(33)은 도 4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합성수지제의 보디(33a) 및 커버(33b)로 구성되며, 커버(33b)의 상면 2개소에 고정리벳(40)을 통과시키는 삽통공(41)이 형성되어 있다. 이 삽통공(41)에 대응하여 보디(33a)에도 고정리벳(40)을 삽통하는 삽통공(42)이 형성되어 있으며, 삽통공(41) 및 삽통공(42)에 삽통된 고정리벳(40)의 선단을 코킹하여 보디(33a)에 커버(33b)를 씌워 장착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보디(33a)는 상면이 개구된 대략 상자모양으로 형성되어 있고, 커버(33b)와 결합시킨 상태로 삽착부(30)가 되는 전방수납부(30a)는 보디(33a)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2줄의 격벽(36)에 의해 3개의 수납실로 나누어져 있고 각각의 수납실내에 암접점(32)이 수납되어 있다. 즉, 이 격벽(36)은 전방수납부(30a)에서 후방에 걸쳐 대략 암접점(32)의 전체 길이에 걸쳐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각각의 수납실에 대응하는 앞면부에는 삽입구(31)가 되는 요부(31a)를 형성하고 있다.
암접점(32)은 도전재료로 형성되어 플러그날(15)을 양측에서 협지하듯이 대향하는 한쌍의 협지편(32a)을 갖추고, 이 협지편(32a)을 중앙부에서 연결하고, 다시 이 중앙부에서 후방으로 뻗는 연설편(延設片)의 선단부를 각 수납실의 한 내측면에 닿도록 절곡하며, 다시 이 선단부의 최소한 커버(33b)측에서 가로방향으로 하면에 심선이 접촉하는 접촉편(32b)을 형성하고 이러한 접촉편(32b)의 밑에 록스프링(43)을 각각 배치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또한, 협지편(32a)의 중앙부는 서로 〈형상으로 절곡되어 있고, 하니스플러그의 플러그날(15)의 유지력을 강화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또한, 이 하니스커넥터(10)의 경우에도 보디(33a)의 후단부에 록스프링(43)과 접촉편(32b)의 사이에 심선을 삽입시키는 전원삽입구가 되는 요부(45)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각 요부(45)는 전원삽입구의 내부의 지름이 가늘게 되어 있으며, 전선삽입구에 삽입되는 심선이 접촉편(32b)과 록스프링(43) 사이에 확실하게 위치결정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커버(33b)의 내부 구조는 보디(33a)와 대략 같은 구조로 형성되어 있고, 보디(33a)의 전방수납부(30a)와 함께 삽착부(30)를 형성하는 전방수납부(30b)의 상면에는, 상기 하니스플러그(11)의 돌조(22)가 끼이는 역삽입방지홈(34)과 록체(23)의 계지클릭(23a)이 계지되는 계지홈(35)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커버(33b)를 보디(33a)에 씌워 장착할 때에는 록스프링(20)과 접촉편(15a)으로 이루어지는 전선의 속결부에 대응하는 곳에 해제버튼(44)이 수용된다. 해제버튼(44)은 각 록스프링(43)을 대응하는 접촉편(32b)에서 동시에 분리되어 심선의 탄성협지상태를 해제하는 해제부(44a)와 해제부(44a)의 일단 에지에서 연장 설치되어 커버(33b)의 후단부에 형성된 개구(46)에서 커버(33b)의 표면에 노출되는 조작핸들(44b)로 구성되며, 조작핸들(44b)은 손조작이 가능한 크기로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조작핸들(44b)을 누르면 해제버튼(44)은 지지점부(44c)를 지지점으로 하여 회동하고, 해제부(44a)가 록스프링(43)의 록피스(43a)를 접촉편(32b)으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 휘게 하여 심선의 탄성계지상태를 해제한다.
이와 같이 하니스커넥터(10) 및 하니스플러그(11)에의 전선접속부를 해제기능을 가진 속결구조로 하면 전선의 길이가 맞지 않아 교체할 경우 해제버튼(21), (44)을 조작함으로써 간단히 전선을 분리할 수 있으며, 더욱이 교체한 전선의 심선을 전선삽입구에서 삽입하는 것만으로 록스프링(20), (43)과 접촉편(15a), (32b)과의 사이에 심선이 탄성협지되어 전선의 접속이 이루어지고, 재접속작업도 용이하게 되며, 전선의 교체작업을 매우 간단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조작핸들(21b), (44b)은 손조작이 가능한 크기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특별한 공구를 이용하지 않고 손조작으로 전선의 교체작업을 할 수 있다.
하니스커넥터(10)에의 하니스플러그(11)의 접속은 돌조(22)가 역삽입방지홈(34)에 끼워지도록 하니스플러그(11)의 요부(14)와 하니스커넥터(10)의 삽착부(30)와의 방향을 맞추어 하니스플러그(11)를 하니스커넥터(10)에 삽입하면 플러그날(15, 15′)이 플러그날 삽입구(31)에 삽입되어 각각의 플러그날(15, 15′)이 암접점(32)에 접속된다. 이때 록체(23)의 계지클릭(23a)이 계지홈(35)에 계지되어 이탈방지가 이루어진다.
그리고, 하니스커넥터(10)에서 하니스플러그(11)를 뺄 때는 록체(23)의 누름조작부(23d)를 끼워서 록체(23)의 계지클릭(23a)과 삽착부(30)의 계지홈(35)과의 계지상태를 해제하고, 하니스플러그(11)를 후방으로 빼내면 된다.
또한, 오접속접속부는 하니스커넥터(10) 및 하니스플러그(11)의 정격이나 용도에 따라 여러가지 형상의 것이 장착되어 있으며, 분기케이블 방식의 것을 도 7 내지 도 10에 나타내며, 간선 케이블방식의 것을 도 11 및 도 12에 나타낸다. 또한, 분기케이블방식의 것과 간선케이블방식의 것에서는 플러그날(15)의 간격(L1)이나 돌조(22)의 간격(L2, L3)이 다르며, 전자에 비해 후자의 것이 간격이 넓다. 또한 100V 계열의 것과 200V 계열의 것에서도 플러그날(15)의 간격(L1)이나 돌조(22)의 간격(L2, L3)이 다르며 전자에 비해 후자의 것은 간격이 넓다.
분기케이블방식의 정격 20A 의 2핀의 것에서는, 도 7a, 도 7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니스플러그(11)의 요부(14)내에 2개의 플러그날(15)이 앞면측에서 보아 좌측으로 치우쳐 배선되어 있고, 커버(13b)의 요소(14b) 내저면에는 2줄의 돌조(22)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하니스커넥터(10)의 하우징(33)의 앞면에는 2개의 플러그날(15)이 각각 삽입되는 2개의 플러그날 삽입구(31)가 형성되고, 커버(33b)의 상면에는 2줄의 돌조(22)가 각각 끼이는 2개의 역삽입방지홈(34)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분기케이블방식의 정격 20A 의 접지 2핀의 것에서는, 도 8a, 도 8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니스플러그(11)의 요부(14)내에 3개의 플러그날(15)이 배설되어 있으며, 커버(13b)의 요소(14b) 내저면에는 2줄의 돌조(22)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하니스커넥터(10)의 하우징(33)의 앞면에는 3개의 플러그날(15)이 각각 삽입되는 3개의 플러그날 삽입구(31)가 형성되고 커버(33b)의 상면에는 2줄의 돌조(22)가 각각 끼워지는 2개의 역삽입방지홈(34)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분기케이블방식의 정격 20A 의 단극스위치(single pole switch)용의 것으로는, 도 9a, 도 9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니스플러그(11)의 요부(14)내에 2개의 플러그날(15)이 한쪽으로 치우쳐 배설되고 플러그날(15)이 배설되어 있지 않은 쪽의 요소(14b) 내저면에 돌조(22)가 1줄 형성되어 있고, 또한 커버(13b)의 코너부에 모떼기부(54)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하니스커넥터(10)의 하우징(33)의 앞면에는 2개의 플러그날(15)이 각각 삽입되는 2개의 플러그날 삽입구(31)가 형성되고, 커버(33b)의 상면에는 돌조(22)가 끼워지는 역삽입방지홈(34)이 형성되어 있으며, 또한 커버(33b)의 코너부에는 상기 모떼기부(54)에 끼이는 모떼기부(55)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분기케이블방식의 정격 20A 의 3로(路) 스위치(three way switch)용으로는, 도 10a, 도 10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니스플러그(11)의 요부(14)내에 3개의 플러그날(15)이 배설되어 있고, 커버(13b)의 코너부에 모떼기부(54)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하니스커넥터(10)의 하우징(33)의 앞면에는 3개의 플러그날(15)이 각각 삽입되는 3개의 플러그날 삽입구(31)가 형성되고, 커버(33b)의 코너부에는 상기 모떼기부(54)에 끼워지는 모떼기부(55)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간선케이블방식의 정격 20A 의 단상 3선(접지 2핀)의 것으로는, 도 11a, 도 11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분기케이블방식의 정격 20A 의 접지 2핀의 것과 대략 같은 형상을 하고 있으며, 플러그날(15)의 간격(L1)이나 돌조(22)의 간격(L2)이 분기케이블방식의 것과 비교해서 폭이 넓게 되어 있다.
또한, 간선케이블방식의 정격 20A 의 3상 3선의 것으로는, 도 12a, 도 12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분기케이블방식의 3로 스위치용의 것과 대략 같은 형상을 하고 있으며 하니스플러그(11)에서는 커버(13b)의 요소(14b) 내저면에 돌조(22)가 1줄 형성되어 있고, 하니스커넥터(10)에서는 커버(33b)의 상면에 돌조(22)가 끼워지는 역삽입방지홈(34)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플러그날(15)의 간격(L1)이나 돌조(22)의 간격(L2)이 분기케이블방식의 것에 비해 넓게 되어 있다.
이 하니스플러그(11)는 예를 들면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은 바닥배선시스템에서 사용된다. 이 바닥배선시스템은 건물의 슬래브 위에 일정간격을 두고 바닥면을 형성하며 이 슬래브와 바닥면 사이의 공간을 이용하여 바닥배선을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바닥배선시스템을 프리액세스플로어라고 한다). 이 바닥배선시스템에서는 복수의 콘센트(C)를 바닥에 매설하는 동시에 바닥 위에 복수의 콘센트 등의 배선기구(H), (I)를 배치한다. 여기서 상기 배선기구(H), (I)의 전원코드는 분계박스(D)에서 바닥 밑으로 인입된다. 상기 콘센트(C)와 배선기구(H), (I)의 전원코드의 선단에는 하니스플러그(11)가 장착되어 있으며, 간선(L0)을 분기하는 조인트박스(B′)나 조인트박스(J)에 의해 분기된 분기회로(L′)를 다시 분기하는 조인트박스(B′)에 상기 하니스플러그(11)를 접속하여 바닥배선을 자유롭게 실시한다. 그리고 간선(L0)이나 분기회로(L′)를 분기하는 조인트박스(B′)는 전원의 간선(L0) 이나 분기회로(L′) 등이 속결식으로 접속되는 접속부를 갖추는 동시에, 하니스커넥터(10)와 같은 구조로 된 복수의 삽착부를 구비하는 것이다. 또한, 단순히 전원선을 배선기구(H), (I) 등에 접속하거나 또는 전원라인을 연장하는 경우에는 전원공급측에 하니스커넥터(10)를 장착하는 동시에 다른 쪽의 하니스플러그(11)를 장착하면 된다.
(실시형태 2)
전술한 하니스플러그(11)의 하우징은 2개의 고정리벳(26)으로 보디(13a)와 커버(13b)를 코킹 고정하고 있으나, 본 실시형태의 하니스플러그(11)에서는, 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커버(13b)의 상면 4개소에 고정리벳(26)을 삽통하는 삽통공(27)을 형성하고 있으며, 삽통공(27)과 이 삽통공(27)에 대응하여 보디(13a)에 형성한 삽통공(28)에 고정리벳(26)을 삽통하여 선단을 코킹하고 4개의 고정리벳(26)으로 보디(13a)에 커버(13b)를 씌워 장착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또한, 삽통공(27), (28) 이외의 구조는 실시형태 1과 같으므로, 동일한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서 설명을 생략한다.
(실시형태 3)
전술한 하니스플러그(11)의 하우징(13)을 구성하는 보디(13a) 및 커버(13b)는 내(耐)트래킹성 등을 고려하여 우레아수지 등의 열경화성수지로 형성되어 있으나, 본 실시형태의 하니스플러그에서는 도 17a ∼ 도 17c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플러그날(15) 주위를 덮는 앞커버(13c)와 앞커버(13c) 이외의 부위를 덮는 뒤커버(13d)로 커버(13b)를 구성하고, 앞커버(13c)를 탄성을 가진 나일론 등의 합성수지로 형성하고 뒤커버(13d)를 내트래킹을 가진 우레아수지 등의 합성수지로 형성하고 있다. 또한, 커버(13) 이외의 기본적인 구성은 실시형태 1의 하니스플러그와 같으므로, 동일한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은 생략한다.
여기서, 앞커버(13c)는 탄성을 가지고 있으므로 하니스커넥터(10)의 삽착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의 하중이 하우징(13)에 걸려도 하니스커넥터(10)가 삽착되는 요소(14)에 대응하는 앞커버(13c)의 부위가 파손되지 않는다.
또한, 보디(13a) 및 뒤커버(13d)는 내트래킹성을 가진 우레아수지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트래킹에 의한 하우징(13)의 손상이나 화재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그런데 보디(13a)에는 앞커버(13c) 및 뒤커버(13d)를 고정하기 위한 4개의 나사(59)가 각각 삽통되는 4개의 삽통공(57a)이 뚫려 있고, 보디(13a)의 삽통공(57a)에 대응하는 뒤커버(13b)의 부위에는 삽통공(57a)과 연통하는 연통공(57b)이 뚫려 있다. 한편, 앞커버(13a)에는 요부(14)측의 보디(13a) 및 뒤커버(13b)의 삽통공(57a), (57b)과 각각 연통하는 삽통공(57c)이 뚫려 있고, 앞커버(13c) 뒷면에는 삽통공(57c)의 구멍에지에서 계지편(57)이 늘어져 형성되어 있고 계지편(58)의 단부에는 밖을 향해 계지클릭(58a)이 돌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하우징(13)을 조립할 때는 플러그날(15)을 보디(13a)에 장착한 상태로 앞커버(13c)의 계지편(58)을 보디(13a)가 대응하는 삽통공(57a)에 삽통하여 계지편(58)의 계지클릭(58a)을 삽통공(57a)에 연통하는 스폿페이싱(spot facing)구멍끝면과 계지시키고, 이 스폿페이싱구멍에 너트(60)를 압입하여 앞커버(13c)를 보디(13a)에 고정한다. 또한, 보디(13a)의 다른 삽통공(57a)에도 스폿페이싱구멍이 형성되어 있으며, 스폿페이싱구멍에 너트(60)가 압입되어 있다. 그리고, 뒤커버(13d)를 보디(13a)의 상면에 씌워 4개의 나사(59)를 뒤커버(13d)의 삽통공(57)에 삽통하여, 너트(60)에 틀어 넣음으로써 앞커버(13c) 및 뒤커버(13d)가 보디(13a)에 고정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뒤커버(13d)는 보디(13a)에 계지된 앞커버(13c)의 단부를 보디(13a)와의 사이에서 협지하는 동시에, 보디(13a)에 착탈가능하도록 장착되어 있으므로 뒤커버(13d)를 분리한 상태라도, 앞커버(13c)는 보디(13a)에 장착되어 있어서 플러그날(15)의 주위를 보호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보디(13a) 및 뒤커버(13d)를 우레아수지로 형성하고 있으나, 양자의 성형재료를 우레아수지로 한정하는 취지는 아니며 내트래킹성을 갖는 합성수지로 형성하면 된다. 또한, 앞커버(13a)를 나일론으로 형성하고 있으나, 앞커버(13a)의 성형재료를 나일론으로 한정하는 취지는 아니며 탄성을 갖는 합성수지로 형성하면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청구항 1의 발명은, 하우징의 측면에 전기배선에 필요한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설치하였으므로, 표시부에서 하니스플러그의 전기적 특성이나 용도 등 전기배선에 필요한 정보를 판독할 수 있으며, 하니스플러그의 전기적 특성이나 용도를 배선도 등에서 조사하는 수고를 덜 수 있어서 배선시나 보수시의 작업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청구항 2의 발명은, 명칭표시부에서 하니스플러그의 용도나 명칭을 용이하게 판별할 수 있으며, 배선작업을 하기 쉽게 하는 효과가 있다.
청구항 3의 발명은, 정격이나 용도가 다른 하니스커넥터가 접속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청구항 4의 발명 또는 청구항 5의 발명은, 플러그날을 임시고정하여 장착상태를 안정시킬 수 있으며, 보디와 커버와의 조립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청구항 6의 발명은, 계지클릭의 요부내에의 돌출상태가 일정하게 되며 록체의 계지클릭이 삽착부의 앞면과 삽착부의 삽착방향의 요부의 내면 사이에 협지되어 하니스플러그를 하니스커넥터에 접속할 수 있으며 접속을 양호하게 실시할 수 있고, 더욱이 계지편을 하우징에 형성된 개구의 개구에지에 탄성계지시키므로, 계지편과 개구의 개구에지가 밀착하여 계지클릭이 일정상태로 삽착부의 계지홈에 탄성계지되므로 확실하게 이탈방지를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청구항 7의 발명은, 록체는 임시고정부에 의해 하우징에 임시고정되므로 보디와 커버의 조립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보디와 커버를 조립할 때 록체가고정되어 록체의 고정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청구항 8의 발명은, 하니스커넥터가 삽착된 상태에서 하니스플러그에 상하 방향 또는 좌우방향의 외력이 걸렸다해도 앞커버는 탄성을 갖고 있으므로, 앞커버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또한 보디 및 뒤커버는 내트래킹성의 합성수지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트래킹에 의한 하우징의 손상이나 화재의 발생을 방지할수 있는 효과가 있다.
청구항 9의 발명은, 배선작업시나 보수시에 뒤커버를 분리한 상태에서도 앞커버가 보디에 장착되어 있고, 플러그날 주위를 보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청구항 10의 발명은, 해제버튼을 조작하기 위한 조작부를 하우징의 표면에 노출시키고 있으므로, 전선의 길이가 맞지 않아 교체가 필요한 경우 해제버튼의 조작부를 조작함으로써 간단하게 전선을 제거할 수 있고, 또한 교체한 전선의 심선을 전선삽입구에서 삽입하는 것만으로 록스프링과 접촉편과의 사이에 심선이 탄성협지되어, 전선의 접속이 이루어지며 재접속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청구항 11의 발명은, 특별한 공구를 사용하지 않고 손조작으로 조작부를 조작할 수 있으며, 전선을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청구항 12의 발명은, 정격이나 용도가 다른 하니스커넥터가 접속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청구항 13의 발명 또는 청구항 14의 발명은, 플러그날을 임시고정하여 장착상태를 안정시킬 수 있으며, 보디와 커버의 조립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청구항 15의 발명은, 계지클릭의 요부에의 돌출상태가 일정하게 되며, 록체 의 계지클릭이 삽착부의 앞면과, 삽착부의 삽착방향의 요부의 내면 사이에 협지되어 하니스플러그를 하니스커넥터에 접속할 수 있으며 접속을 양호하게 하고, 또한 계지편을 하우징에 형성된 개구의 개구에지에 탄성계지시키므로 계지편과 개구의 개구에지가 밀착하여 계지클릭이 일정상태로 삽착부의 계지홈에 탄성계지되므로 확실하게 이탈방지를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청구항 16의 발명은, 록체는 임시고정부에 의해 하우징에 임시고정되므로 보디와 커버의 조립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보디와 커버를 결합했을 때 록체가 고정되어 록체의 고정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청구항 17의 발명은, 하니스커넥터가 삽착된 상태에서 하니스플러그에 상하방향 또는 좌우방향의 외력이 걸려도 앞커버는 탄성을 가지고 있으므로 앞커버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더욱이 보디 및 뒤커버는 내트래킹성의 합성수지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트래킹에 의한 하우징의 손상이나 화재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청구항 18의 발명은, 배선작업시나 보수시에 뒤커버를 분리한 상태라도 앞커버가 보디에 장착되어 있고, 플러그날의 주위를 보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8)

  1. 받이측이 되는 하니스커넥터가 감합되는 요부가 하우징의 앞면에 형성되고, 이 요부내에 전선의 복수의 심선이 각각 기단부에 접속된 복수개의 플러그날의 선단부를 향하게 하는 동시에 하우징 측면에 전기배선에 필요한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니스플러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용도나 명칭을 표시하는 명칭표시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니스플러그.
  3. 제1항에 있어서, 요부의 내면에 역삽입 또는 정격이나 용도가 다른 하니스 커넥터가 접속되는 것을 방지하는 오(誤)접속방지부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니스플러그.
  4. 제1항에 있어서, 하우징은 보디와 커버로 구성되며, 상기 요부의 하니스커넥터의 감합방향으로 향한 보디 및 커버의 내벽에 플러그날의 중앙부를 고정하는 복수의 고정홈을 형성하고, 플러그날의 기단부를 수용하는 수납실을 하우징내에 형성하고, 이 수납실의 저면 및 플러그날에 플러그날을 임시고정하는 플러그날 고정부를 설치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니스플러그.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날 고정부는 요철감합에 의해 플러그날을 임시고정하는 임시고정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니스플러그.
  6. 제1항에 있어서, 하니스커넥터에 접속했을 때 빠지는 것을 방지하는 가요성을 가진 재질로 형성된 록체를 하우징에 배설하여, 록체의 선단에는 하우징에 형성된 개구를 통해서 상기 요부내로 돌출되어 하니스커넥터의 삽착부 외면에 형성된 계지홈에 계지되는 계지클릭이 형성되는 동시에, 상기 개구의 개구에지에 탄성계지되어 계지클릭의 요부내로의 돌출상태를 일정상태로 유지하는 계지편을 배설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니스플러그.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을 구성하는 보디 및 커버의 어느 한 쪽에 록체에 형성된 고정부를 탄성적으로 요철감합하여 록체를 임시고정하는 임시고정부를 형성하며, 커버와 보디를 결합하였을때 록체의 임시고정부를 협지하는 협지부를 보디와 커버에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니스플러그.
  8. 제1항에 있어서, 하우징은 보디와 커버로 구성되며, 커버는 플러그날의 주위를 덮는 앞커버와, 상기 이외의 보디 부위를 덮는 뒤커버로 이루어지고, 보디 및 뒷커버는 내(耐)트래킹성의 합성수지로 형성되는 동시에, 앞커버는 탄성을 가진 합성수지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니스플러그.
  9. 제8항에 있어서, 뒤커버는 보디에 계지된 앞커버의 단부를 보디와의 사이에서 협지하는 동시에, 보디에 착탈가능하도록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니스플러그
  10. 받이측이 되는 하니스커넥터가 감합되는 요부가 하우징의 앞면에 형성되고, 이 요부내에 전선의 복수의 심선이 각각 기단부에 접속된 복수개의 플러그날 선단부를 향하게 하는 동시에, 하우징의 후단부에 전선의 심선을 각각 삽입하는 전선삽입구를 형성하며, 이 전선삽입구에서 삽입되는 전선의 심선과 접촉하는 접촉편을 상기 각각의 플러그날의 기단부에 형성하고, 이들 접촉편과의 사이에 심선을 탄성협지하는 복수의 록스프링과 이 록스프링을 접촉편에서 떼어서 탄성협지상태를 해제하는 해제버튼을 갖추고, 상기 해제버튼을 조작하기 위한 조작부를 하우징의 표면에 노출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니스플러그.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는 손조작이 가능한 크기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니스플러그.
  12. 제10항에 있어서, 요부의 내면에 역삽입 또는 정격이나 용도가 다른 하니스커넥터가 접속되는 것을 방지하는 오접속방지부를 장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니스플러그.
  13. 제10항에 있어서, 하우징은 보디와 커버로 구성되며, 상기 요부의 하니스커넥터의 감합방향으로 면하는 보디 및 커버의 내벽에 플러그날이 중앙부를 고정하는 복수의 고정홈을 형성하며, 플러그날의 기단부를 수용하는 수납실을 하우징내에 형성하고, 이 수납실의 저면 및 플러그날에 플러그날을 임시고정하는 플러그날 고정부를 배설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니스플러그.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날 고정부는 요철감합에 의해 플러그날을 임시고정하는 임시고정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니스플러그.
  15. 제10항에 있어서, 하니스커넥터에 접속했을 때 빠짐을 방지하는 가요성을 가진 재질로 형성된 록체를 하우징에 배설하고, 록체의 선단에는 하우징에 형성된 개구를 통하여 상기 요부내에 돌출하여 하니스커넥터의 삽착부의 외면에 형성된 계지홈에 계지되는 계지클릭이 형성되는 동시에, 상기 개구의 개구에지에 탄성계지되어 계지클릭의 요부내로의 돌출상태를 일정상태로 유지하는 계지편을 배설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니스플러그.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을 구성하는 보디 및 커버의 어느 한 쪽에 록체에 형성된 고정부를 탄성적으로 요철감합하여 록체를 임시고정하는 임시고정부를 형성하여 커버와 보디를 조립하였을 때 록체의 임시고정부를 협지하는 협지부를 보디와 커버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니스플러그.
  17. 제10항에 있어서, 하우징은 보디와 커버로 구성되며, 커버는 플러그날의 주위를 덮는 앞커버와 상기 이외의 보디 부위를 덮는 뒤커버로 이루어지며, 보디 및 뒤커버는 내트래킹성의 합성수지로 형성되는 동시에, 앞커버는 탄성을 가진 합성수지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니스플러그.
  18. 제17항에 있어서, 뒤커버는 보디에 계지된 앞커버의 단부를 보디와의 사이에서 협지하는 동시에, 보디에 착탈가능하도록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니스플러그.
KR1019980039785A 1998-03-26 1998-09-24 하니스플러그 KR1999007650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79381 1998-03-26
JP10079381A JPH11273777A (ja) 1998-03-26 1998-03-26 ハーネスプラ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76505A true KR19990076505A (ko) 1999-10-15

Family

ID=136883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39785A KR19990076505A (ko) 1998-03-26 1998-09-24 하니스플러그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H11273777A (ko)
KR (1) KR19990076505A (ko)
CN (1) CN1140018C (ko)
HK (1) HK1021447A1 (ko)
TW (1) TW464096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2546B1 (ko) * 2008-07-04 2010-09-15 (주)원영이엔지 천장 배선용 분배기
KR101500577B1 (ko) * 2013-07-29 2015-03-10 (주)씨엘 케이블 접속용 전기커넥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044373B2 (ja) * 2007-11-26 2012-10-10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プラグ
JP4877414B2 (ja) * 2009-10-30 2012-02-15 パナソニック電工株式会社 コンセント、接続装置
JP6074831B2 (ja) * 2010-02-23 2017-02-08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差込プラグと抜止形プラグ受けとの接続構造
DE102010014143B4 (de) * 2010-04-07 2016-07-07 Wago Verwaltungsgesellschaft Mbh Betätigungseinrichtung für eine elektrische Anschlussklemme
KR101420393B1 (ko) * 2013-07-12 2014-07-16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전기적 연결장치
CN113471778A (zh) * 2021-06-25 2021-10-01 国网山东省电力公司曲阜市供电公司 一种安全供电插接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2546B1 (ko) * 2008-07-04 2010-09-15 (주)원영이엔지 천장 배선용 분배기
KR101500577B1 (ko) * 2013-07-29 2015-03-10 (주)씨엘 케이블 접속용 전기커넥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464096U (en) 2001-11-11
CN1140018C (zh) 2004-02-25
HK1021447A1 (en) 2000-06-09
JPH11273777A (ja) 1999-10-08
CN1230811A (zh) 1999-10-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27895B1 (ko) 하니스커넥터
US6146207A (en) Coupling element for two plugs, adapted male and female elements and coupling device obtained
US5083939A (en) Male electrical contact member and complementary electrical connector shell
EP0963009B1 (en) A construction for preventing an error assembling of a connector housing and a cover and a connector comprising the same
US5817976A (en) Electrical junction box
US8087945B2 (en) Electric connector with a dust cover
KR19990076505A (ko) 하니스플러그
JPH10144424A (ja) コンセント
KR100318017B1 (ko) 브레이커부착콘센트용 하니스플러그
US6186821B1 (en) Hermaphroditic cable connector
JP2002305828A (ja) 電気接続箱とコネクタハウジングとの固定構造
KR100327896B1 (ko) 조인트박스
JP3314956B2 (ja) ハーネスプラグ
JP3419233B2 (ja) 分岐配線用接続器
JP3112313B2 (ja) ハーネスコネクタ
JP3291094B2 (ja) 器具端子台
JP3105951B2 (ja) ハーネスプラグ
JPH0355776A (ja) コンセント
JP4326350B2 (ja) 屋内配線用接続器
JP4663671B2 (ja) 分電盤
JPH0452943Y2 (ko)
JP4576167B2 (ja) 配線接続器
JP3478157B2 (ja) ジョイントボックス
JP3463485B2 (ja) コンセント
JP3002266B2 (ja) ハーネスプラ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10719

Effective date: 200211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