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75814A - 해도형 극세부직포를 이용한 인조피혁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해도형 극세부직포를 이용한 인조피혁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75814A
KR19990075814A KR1019980010242A KR19980010242A KR19990075814A KR 19990075814 A KR19990075814 A KR 19990075814A KR 1019980010242 A KR1019980010242 A KR 1019980010242A KR 19980010242 A KR19980010242 A KR 19980010242A KR 19990075814 A KR19990075814 A KR 199900758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yeing
dye
elution
water
artificial leath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102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52519B1 (ko
Inventor
이동호
고영배
Original Assignee
장병주, 이일쇄
주식회사 대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병주, 이일쇄, 주식회사 대우 filed Critical 장병주, 이일쇄
Priority to KR10199800102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52519B1/ko
Publication of KR199900758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758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525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52519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NWALL, FLOOR, OR LIKE COVERING MATERIALS, e.g. LINOLEUM, OILCLOTH, ARTIFICIAL LEATHER, ROOFING FELT, CONSISTING OF A FIBROUS WEB COATED WITH A LAYER OF MACROMOLECULAR MATERIAL; FLEXIBLE SHEET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N3/00Artificial leather, oilcloth or other material obtained by covering fibrous webs with macromolecular material, e.g. resins, rubber or derivatives thereof
    • D06N3/12Artificial leather, oilcloth or other material obtained by covering fibrous webs with macromolecular material, e.g. resins, rubber or derivatives thereof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gelatine proteins
    • D06N3/14Artificial leather, oilcloth or other material obtained by covering fibrous webs with macromolecular material, e.g. resins, rubber or derivatives thereof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gelatine proteins with polyurethan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NWALL, FLOOR, OR LIKE COVERING MATERIALS, e.g. LINOLEUM, OILCLOTH, ARTIFICIAL LEATHER, ROOFING FELT, CONSISTING OF A FIBROUS WEB COATED WITH A LAYER OF MACROMOLECULAR MATERIAL; FLEXIBLE SHEET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N3/00Artificial leather, oilcloth or other material obtained by covering fibrous webs with macromolecular material, e.g. resins, rubber or derivatives thereof
    • D06N3/0002Artificial leather, oilcloth or other material obtained by covering fibrous webs with macromolecular material, e.g. resins, rubber or derivative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substrate
    • D06N3/0011Artificial leather, oilcloth or other material obtained by covering fibrous webs with macromolecular material, e.g. resins, rubber or derivative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substrate using non-woven fabric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NWALL, FLOOR, OR LIKE COVERING MATERIALS, e.g. LINOLEUM, OILCLOTH, ARTIFICIAL LEATHER, ROOFING FELT, CONSISTING OF A FIBROUS WEB COATED WITH A LAYER OF MACROMOLECULAR MATERIAL; FLEXIBLE SHEET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N3/00Artificial leather, oilcloth or other material obtained by covering fibrous webs with macromolecular material, e.g. resins, rubber or derivatives thereof
    • D06N3/0086Artificial leather, oilcloth or other material obtained by covering fibrous webs with macromolecular material, e.g. resins, rubber or derivative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application technique
    • D06N3/0088Artificial leather, oilcloth or other material obtained by covering fibrous webs with macromolecular material, e.g. resins, rubber or derivative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application technique by directly applying the resin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NWALL, FLOOR, OR LIKE COVERING MATERIALS, e.g. LINOLEUM, OILCLOTH, ARTIFICIAL LEATHER, ROOFING FELT, CONSISTING OF A FIBROUS WEB COATED WITH A LAYER OF MACROMOLECULAR MATERIAL; FLEXIBLE SHEET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N2211/00Specially adapted uses
    • D06N2211/12Decorative or sun protection articles
    • D06N2211/28Artificial leath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S428/904Artificial leath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Synthetic Leather, Interior Materials Or Flexible Sheet Materials (AREA)
  • Chemical Or Physical Treatment Of Fibers (AREA)
  • Treatments For Attaching Organic Compounds To Fibrous Goo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해도형 극세부직포를 이용한 인조피혁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종래 용출공정후 염색공정을 용출공정과 염색공정이, 물에 수산화나트륨과 비수용성 염료 및 킬레이트제와 분산제를 투입하고 이를 이용하여 폴리우레탄 수지가 함침된 부직포의 용출과 염착을 동욕에서 수행케하는 염착 및 감량공정(S1);과 산화제를 이용하여 염착된 염료를 불용성으로 변화시키는 산화공정(S2); 및 계면활성제를 이용하여 염료의 분자구조를 안정화시키는 소핑(soaping)공정(S3);으로 이루어진 용출 및 염색공정으로 진행되게 하여 공정단축을 통한 원가절감을 할 수 있고 습윤 및 마찰견뢰도가 우수한 인조피혁을 제조할 수 있게 된 것이다.

Description

해도형 극세부직포를 이용한 인조피혁의 제조방법(Manufacturing Method of Synthetic Leather Using a Fabric)
본 발명은 해도형 극세부직포를 이용한 인조피혁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용출공정과 염색공정을 동시에 처리하여 공정단축을 통한 원가절감을 할 수 있고 습윤 및 마찰견뢰도가 우수한 인조피혁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해도형 극세부직포를 이용한 인조피혁의 제조방법은, 우선 서로 융합되지 않는 두 종류의 중합체 원료, 예를 들어 나일론-폴리스티렌,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폴리스티렌 등으로 된 혼합섬유를 사용하여 부직포를 만들고, 폴리우레탄 수지를 부직포에 함침하여 교락된 섬유를 고정시킨다. 이와 같은 혼합섬유를 사용하였을 때 해성분(매트릭스)은 폴리스티렌이고 도성분(피브릴)은 나일론이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로, 폴리우레탄 수지로 고정된 혼합섬유에서 해성분인 폴리스티렌을 용제로 용해 제거한다. 이를 솔빙(solving, 이하 "용출"이라 함)이라 한다. 이후 도성분을 염색하여 인조피혁을 제조한다.
그외 표면상태 개선 및 후도조정을 위한 버핑(buffing)공정 및 발수/유연효과 등을 부여하는 가공공정이 인조피혁 제조방법에 포함된다.
오늘날 해성분을 폴리에스테르로 하고 도성분을 폴리아미드로 한 혼합섬유로 부직포를 제조하여 인조피혁을 만드는 공정을 많이 사용하고 있으며, 이때 용출공정에 사용되는 용제는 강알카리인 수산화나트륨(NaOH)을 사용한다.
그런데, 이와 같은 해도형 극세부직포를 이용한 인조피혁 제조방법에서 용출은 강알카리 조건에서 하고, 염색은 폴리아미드의 분자구조상 산성염료가 주로 쓰이므로, 중성과 산성사이의 조건에서 이루어지기 때문에 염색하기전 상당히 많은 양의 물(500kg 염색기 기준으로 5톤이상)과 시간(약 3시간)을 투입하여 알카리성분을 제거해야 된다.
또한 용출된 후 남은 도성분인 폴리아미드의 굵기가 0.06D 정도로 아주 가는 원사이기 때문에 일반 원사(1.0D 이상)를 염색하는데 소요되는 염료량보다 3-4배 많이 투입해야 동일 농도의 색상을 얻을 수 있다.
이로 인해 습윤견뢰도가 극히 나쁘며, 또한 폴리아미드를 염색하는데 사용되는 산성메탈염료는 폴리우레탄 수지와 결합력이 없기 때문에 더욱 견뢰도에 악영향을 미치는데, 흑색(black color)를 기준으로 세탁견뢰도(KS) 2급, 마찰견뢰도(KS) 2-3급 정도로 소재적용의 한계 및 소비자 불만대상 등의 문제점을 안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알카리 조건에서 염색이 이루어지는 비수용성염료를 염색공정에 적용할 수 있게 하여 해성분의 용출공정과 도성분의 염색공정을 하나로 한 해도형 극세부직포를 이용한 인조피혁의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해도형 극세부직포를 이용한 인조피혁의 제조방법은,
폴리에스테르-폴리아미드 혼합섬유로 부직포를 만들고 이 부직포에 폴리우레탄 수지를 함침하는 함침공정; 이를 용제로 처리하여 상기 혼합섬유를 극세섬유로 해섬하는 용출공정; 이를 염색하는 염색공정; 및 이후 마무리하여 완제품을 만드는 마무리공정;으로 이루어진 해도형 극세부직포를 이용한 인조피혁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용출공정과 염색공정이, 물에 수산화나트륨과 비수용성 염료 및 킬레이트제와 분산제를 투입하고 이를 이용하여 폴리우레탄 수지가 함침된 부직포의 용출과 염착을 동욕에서 수행케하는 염착 및 감량공정;과 산화제를 이용하여 염착된 염료를 불용성으로 변화시키는 산화공정; 및 계면활성제를 이용하여 염료의 분자구조를 안정화시키는 소핑(soaping)공정;으로 이루어진 용출 및 염색공정으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용출 및 염색공정의 세부공정도,
도 2a는 염료 농도 및 욕비에 따른 하이드로설파이트 투입량 그래프,
도 2b는 염료 농도 및 욕비에 따른 수산화나트륨 투입량 그래프이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용출 및 염색공정을 세분화한 공정도로서, 염착 및 감량공정(S1)과 산화공정(S2) 및 소핑공정(S3)으로 이루어져 있음을 나타내고 있다.
상기 염착 및 감량공정(S1)은 해성분인 폴리에스테르를 용출하고 도성분인 폴리아미드에 염료를 염착하는 공정으로, 사용되는 화학약품으로는 염색용수중 함유된 금속이온을 봉쇄키 위한 킬레이트제, 배트염료나 황화염료, 황화배트 염료 등의 비수용성염료, 이 비수용성염료의 분산성을 향상시키고 내알카리성이 있는 분산제, 해성분인 폴리에스테르를 용출시키고 비수용성염료를 류코(Leuco)화하여 가용화시키는 수산화나트륨, 환원제인 하이드로설파이트가 사용된다.
색상의 재현성을 위해 염색이 진행되는 동안 염색조내의 환원전위, 즉 환원력이 일정하게 유지되어야 하는데, 이를 위해서 염색조가 밀폐된 상태에서 공정을 진행시켜 공기의 유입이나 유출로 인해 환원력의 변화가 없어야 한다.
이때 사용되는 수산화나트륨의 양이나 하이드로설파이트의 양은 염료농도 및 욕비에 따라 다르게 투입되는 바, 염료농도 및 욕비에 따른 하이드로설파이트의 양은 도 2a의 그래프에 따르고, 수산화나트륨의 양은 도 2b의 그래프에 따라 투입된다. 상기 욕비는 투입되는 원단과 물의 중량비로서 도 2a와 도 2b의 1사분면상의 각각의 직선 우측에 기재되어 있으며, X축은 염료의 농도로 부직포 중량을 기준으로 염료 농도를 기재한 것이다.
특히 해성분인 폴리에스테르를 용출하는데 소요되는 수산화나트륨은 다음의 수학식 1에 의해 투입량이 결정된다.
상기 수학식 1에서 수산화나트륨 사용량에 따른 감량율은 100%로 하여 수산화나트륨 사용량을 계산한다.
이와 같은 염착 및 감량공정(S1)은 염색장치에 필요한 하이드로설파이트를 제외한 상기 화학약품을 염색조내에 투입하고 폴리우레탄 수지가 함침된 극세부직포를 넣고 염색조를 밀폐시킨다. 이후 약 70℃정도로 가온한 상태로 용출반응이 일어나게 한 후 하이드로설파이트를 투입하고 100℃로 온도를 올려 적정시간 동안 이 온도를 유지하여 염착과 용출반응을 끝낸후 다시 70℃로 온도를 낮추고 반응물은 배수하며 염색 및 감량된 원단을 수세하는 방법으로 진행시킨다.
이어서 산화공정(S2)이 진행되게 하는데, 산화공정(S2)은 상기 염착 및 감량공정(S1)으로 비수용성 염료가 가용화된 상태로 섬유에 염착시킨 후 이를 다시 원래의 불용성 염료로 바꾸어 주는 공정으로서, 산화제를 투입하여 산화시킨다. 이때 사용되는 산화제중 바람직한 것은 과산화수소(H2O2)를 들 수 있으며, 과산화수소수는 pH10 이상에서는 산화력을 상실할 수 있으므로 감량 및 염색공정후 충분히 수세를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수세시 급격한 급수나 배수를 하면 원단의 위치별로 산화정도의 차가 발생되어 색상이 고르지 않게 되므로 오버플로우 수세방법을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산화공정(S2)은 과산화수소수에 감량 및 염색공정을 거친 원단을 투입하고 약 50℃로 가온하고 반응에 필요한 일정시간동안 처리하여 수세하는 방법으로 진행시킨다.
이후 색상의 재현성을 위해 반드시 필요한 소핑공정(S3)을 거치게 하는 바, 이는 염료의 분자구조가 안정화시키고, 미염착 염료를 제거하여 견뢰도를 향상시키는 공정이다.
이 공정에 필요한 화학약품은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와 소다회 등이며, 이를 적량 투입하여 약 60℃정도로 가온하여 적정시간동안 처리하고 수세하는 방법으로 진행시킨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를 통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는데,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음을 밝혀둔다.
실시예
폴리우레탄 수지가 함침된 폴리에스테르-폴리아미드 혼합섬유로 된 부직포를 염색조에 투입하고 물을 공급하는 한편 킬레이트제, 분산제, 수산화나트륨, 황화염료를 투입한 후, 70℃에서 5분간 처리하고 하이드로설파이트를 투입한 다음, 100℃로 가온하여 40분간 처리하고 다시 70℃로 온도를 낮춘 후 배수 및 수세작업을 하였다.
수세작업이 끝난 원단에 물을 공급하고 과산화수소를 투입한 후, 50℃로 가온하여 약 10분간 산화처리한 후 배수 및 수세작업을 하였다.
이어서 물을 다시 공급하고 계면활성제를 투입하여 60℃로 가온하여 약 10분간 소핑처리한 후 배수 및 수세작업을 하였다.
이때 사용한 화학약품의 양은 다음과 같이 하였다.
분산제 2g/L
킬레이트제 1g/L
과산화수소 0.5g/L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0.5g/L
이외의 황화염료는 블랙을 12%의 농도로 되게 하고, 그린을 0.4%로 되게끔 투입하였고, 수산화나트륨과 하이드로설파이트는 도 2a 및 도 2b에 따라 투입량을 결정하여 사용하였다.
상기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인조피혁을 세탁견뢰도와 마찰견뢰도의 두가지 항목에 대하여 기존 인조피혁을 비교예로 채택하고 이것과 비교 시험하였다.
세탁견뢰도는 KSK0430 A-1 방법을 채택하여 시험하였고, 마찰견뢰도는 AATCC 8 방법을 채택하여 시험하였다.
이 시험 결과를 다음 표 1에 나타내었다.
시험항목 비교예 실시예
세탁견뢰도 2 3-4
마찰견뢰도 2-3/2 4/3-4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해도형 극세부직포를 이용한 인조피혁 제조방법은, 종래 별개로 수행되던 용출공정과 염색공정을 하나의 공정으로 수행하게 함으로써 소요되는 물의 양을 현저히 줄일 수 있고, 공정에 필요한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인조피혁의 세탁견뢰도 및 마찰견뢰도가 현저히 개선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폴리에스테르-폴리아미드 혼합섬유로 부직포를 만들고 이 부직포에 폴리우레탄 수지를 함침하는 함침공정; 이를 용제로 처리하여 상기 혼합섬유를 극세섬유로 해섬하는 용출공정; 이를 염색하는 염색공정; 및 이후 마무리하여 완제품을 만드는 마무리공정;으로 이루어진 해도형 극세부직포를 이용한 인조피혁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용출공정과 염색공정이, 물에 수산화나트륨과 비수용성 염료 및 킬레이트제와 분산제를 투입하고 이를 이용하여 폴리우레탄 수지가 함침된 부직포의 용출과 염착을 동욕에서 수행케하는 염착 및 감량공정(S1);과 산화제를 이용하여 염착된 염료를 불용성으로 변화시키는 산화공정(S2); 및 계면활성제를 이용하여 염료의 분자구조를 안정화시키는 소핑(soaping)공정(S3);으로 이루어진 용출 및 염색공정으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도형 극세부직포를 이용한 인조피혁 제조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비수용성 염료는 배트염료, 황화염료 또는 황화배트염료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채택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도형 극세부직포를 이용한 인조피혁 제조방법.
KR1019980010242A 1998-03-25 1998-03-25 해도형 극세부직포를 이용한 인조피혁의 제조방법 KR1002525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10242A KR100252519B1 (ko) 1998-03-25 1998-03-25 해도형 극세부직포를 이용한 인조피혁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10242A KR100252519B1 (ko) 1998-03-25 1998-03-25 해도형 극세부직포를 이용한 인조피혁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75814A true KR19990075814A (ko) 1999-10-15
KR100252519B1 KR100252519B1 (ko) 2000-04-15

Family

ID=195353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10242A KR100252519B1 (ko) 1998-03-25 1998-03-25 해도형 극세부직포를 이용한 인조피혁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52519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6603B1 (ko) * 2002-01-22 2007-11-15 주식회사 코오롱 폴리아마이드 인공피혁의 나염방법
KR101308009B1 (ko) * 2013-02-01 2013-09-12 (주)충암산업 설파염료로 염색한 나일론 편직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60037539A (ko) * 2014-09-29 2016-04-06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멜란지 외관을 가지는 인공피혁의 염색방법
CN109385912A (zh) * 2017-08-07 2019-02-26 现代自动车株式会社 人造皮革及其制造方法
KR101983709B1 (ko) * 2018-04-03 2019-06-04 (주)앤디아이 다단 용출법을 이용한 c형 중공섬유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c형 중공섬유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2294B1 (ko) 2004-06-08 2010-12-20 주식회사 코오롱 폴리아미드 인공피혁의 연속염색방법
KR101166453B1 (ko) 2008-08-21 2012-07-19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내필링성이 우수한 인공피혁 및 그의 제조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6603B1 (ko) * 2002-01-22 2007-11-15 주식회사 코오롱 폴리아마이드 인공피혁의 나염방법
KR101308009B1 (ko) * 2013-02-01 2013-09-12 (주)충암산업 설파염료로 염색한 나일론 편직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60037539A (ko) * 2014-09-29 2016-04-06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멜란지 외관을 가지는 인공피혁의 염색방법
CN109385912A (zh) * 2017-08-07 2019-02-26 现代自动车株式会社 人造皮革及其制造方法
KR101983709B1 (ko) * 2018-04-03 2019-06-04 (주)앤디아이 다단 용출법을 이용한 c형 중공섬유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c형 중공섬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52519B1 (ko) 2000-04-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371721A (zh) 全棉针织物染色生产工艺
KR101918944B1 (ko) 항균 타월의 제조 방법과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된 항균 타월
CN110004738B (zh) Pla/phbv共混丝/粘胶交织物一浴法染色工艺
KR100252519B1 (ko) 해도형 극세부직포를 이용한 인조피혁의 제조방법
CN110904668A (zh) 持久耐黄变高白棉型面料连续加工方法
CN111058316A (zh) 一种锦纶56与纤维素纤维混纺织物碱性轧染染色方法
GB1574630A (en) Dyeing and/or finishing of textiles
KR101844917B1 (ko) 인공피혁의 염색방법
JP4062371B2 (ja) カチオン性水性顔料分散組成物を用いた吸尽染色法
DE19940068A1 (de) Verfahren zum Aufhellen von gefärbtem Textilmaterial
KR100641821B1 (ko) 나이론/면 혼합 직물의 일욕 연속 염색 방법
CN111270533A (zh) 一种锦纶56纤维及织物的碱性轧染染色方法
KR100822283B1 (ko) 해도형 복합섬유를 포함하는 직편물의 해성분 용출방법
JPH1025670A (ja) 割繊型複合繊維を含む構造物の染色方法
KR100740300B1 (ko) 폴리아미드 인공피혁의 염색방법
JP6968358B2 (ja) 化学繊維の染色方法及び染色された非変性ポリオレフィン繊維
JP2001336074A (ja) 繊維製品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466049B1 (ko) 스웨드조 부직포 인공피혁의 염색방법
WO1991002117A1 (en) Treatment of wool and woollen goods
JPS6136118B2 (ko)
KR970043574A (ko) 극세사 부직포 인공피혁의 염색방법
KR100569684B1 (ko) 폴리아마이드 인공피혁의 염색방법
KR100635862B1 (ko) 심색을 갖는 폴리에스테르 염색원단의 제조방법
JP3296956B2 (ja) スエード調人工皮革の染色方法
Janas Dyeing of Celon (Nylon 6) Woven Fabrics on Jig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1213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