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63911A - 동위원소 표지된 우레아 정제 - Google Patents

동위원소 표지된 우레아 정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63911A
KR19990063911A KR1019980702384A KR19980702384A KR19990063911A KR 19990063911 A KR19990063911 A KR 19990063911A KR 1019980702384 A KR1019980702384 A KR 1019980702384A KR 19980702384 A KR19980702384 A KR 19980702384A KR 19990063911 A KR19990063911 A KR 199900639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blet
urea
tablets
kgf
hardn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7023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93534B1 (ko
Inventor
에이지 하야까와
시게미쓰 미우라
구니오 이또
구니아끼 사까또
Original Assignee
히라타 다다시
교와 핫꼬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16637715&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9990063911(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히라타 다다시, 교와 핫꼬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히라타 다다시
Publication of KR199900639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639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935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93534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9/00Preparations for testing in vivo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51/00Preparations containing radioactive substances for use in therapy or testing in vivo
    • A61K51/12Preparations containing radioactive substances for use in therapy or testing in vivo characterised by a special physical form, e.g. emulsion, microcapsules, liposomes, characterized by a special physical form, e.g. emulsions, dispersions, microcapsules
    • A61K51/1206Administration of radioactive gases, aerosols or breath tes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16Amides, e.g. hydroxamic acids
    • A61K31/17Amides, e.g. hydroxamic acids having the group >N—C(O)—N< or >N—C(S)—N<, e.g. urea, thiourea, carmust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51/00Preparations containing radioactive substances for use in therapy or testing in vivo
    • A61K51/12Preparations containing radioactive substances for use in therapy or testing in vivo characterised by a special physical form, e.g. emulsion, microcapsules, liposomes, characterized by a special physical form, e.g. emulsions, dispersions, microcapsules
    • A61K51/1258Pills, tablets, lozeng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Atmospheric Science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Medicines Containing Antibodies Or Antigens For Use As Internal Diagnostic Agents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Measuring Or Testing Involving Enzymes Or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동위원소 표지된 우레아와 무기화합물을 함유한 정제. 우레아와 한가지 또는 그이상의 무기화합물을 첨가하여 혼합한 정제는 우레아의 부착으로 인한 응집을 방지할 수 있으며 실용적인 붕괴시간과 충분한 경도를 가진다. 이 동위원소 표지된 우레아를 함유한 정제는 우레아제를 생산하는 미생물, 특별히 헬리코박터 필로리에 의한 감염을 진단하는데 유용하다.

Description

동위원소 표지된 우레아 정제
헬리코박터 필로리 (Helicobacter pylori)는 강력한 우레아제 생성 능력을 가지고 있으므로13C 또는14C로 표지된 우레아는 헬리코박터 필로리균에 감염된 위장을 진단하는데 사용된다.13C 또는14C로 표지된 우레아는 분말, 특히 우레아만 포함된 동결-건조 분말로서 조제되며 수용액으로 경구 투여된다.13C 또는14C로 표지된 우레아는 위내 헬리코박터 필로리균에서 생성된 우레아제에 의해13C 또는14C로 표지된 이산화탄소 가스로 분해되며, 이 가스는 호기 (expired air) 중에 방출된다.13C 또는14C로 표지된 이산화탄소의 농도를 측정함으로써 헬리코박터 필로리균 감염의 유무를 진단할 수 있다. 분말이 수용액으로 경구 투여될 때13C 또는14C로 표지된 우레아는 구강 내 세균상 (bacteria flora)에서 유래된 우레아제에 의하여 분해되며, 이것이 헬리코박터 필로리균 감염을 정확하게 진단하는데 어려움을 초래한다.
헬리코박터 필로리균 감염 진단용 우레아의 제제(formulation)에는14C-우레아의 캡슐 [The American Journal of Gastroenterology,91, 233 (1996)]과 동위원소로 표지된 우레아 (WO96/14091)를 함유하는 상당히 물에 잘 녹는 고체조성물의 의약제제가 알려져 있다.
그러나 우레아는 응집력이 강해 정제제조 (tableting) 과정에서 타정기 (tableting machine) 등에 부착되어 따라서 산업적 생산성이 나쁘다. 우레아를 포함한 정제는 경도가 약해서 품질 좋은 우레아 정제를 생산하는 것은 어렵다.
본 발명은 우레아제를 생성하는 박테리아, 특히 헬리코박터 필로리균을 진단하기위한 동위원소로 표지된 우레아를 포함한 정제 (tablet)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자들은 우레아를 각종 무기화합물의 첨가제 한 종류 또는 여러 종류와 혼합한 후 정제로 제제화시킴으로서, 우레아의 응집력에 의한 부착을 방지하고 실질적 붕괴 시간과 충분한 경도를 가진 우레아 정제가 제조될 수 있다는 사실을 발견하였다.
본 발명은 동위원소 표지된 우레아와 무기화합물을 함유하며, 더나아가 유기화합물이나 붕괴제를 함유한 정제에 관한 것이다.
표지 안된 우레아는 일반적으로 질량번호 12의 탄소원자, 질량번호 16의 산소원자, 질량번호 14의 질소원자 그리고 질량번호 1의 수소원자로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 "동위원소 표지된 우레아"란 용어는 탄소원자, 산소원자, 질소원자 그리고 수소원자 중 적어도 1개의 원자가 상기 언급된 원자들의 질량수와 다른 질량수를 가진 동위원소로 표지된 우레아를 의미하거나 또는 동위원소로 표지된 우레아와 표지되지 않는 우레아와의 혼합물을 의미한다. 표지된 우레아는 바람직하게13C,14C,또는18O를 함유하며13C 또는14C가 더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예를 들면,13C로 표지된 우레아는13C-우레아로 표기된다.
무기화합물은 예를 들면 무수규산, 규산 그리고 규산염과 같은 실리카를 함유한 무기화합물, 칼슘을 함유하는 무기화합물, 그리고 알루미늄을 함유한 무기화합물을 들 수 있다. 규산은 예를 들면 오르토 규산, 메타 규산, 메조 이규산, 메조 삼규산 그리고 메조 사규산을 들 수 있다. 규산염은 예를 들면 규산금속염을 들 수 있다. 규산염을 형성하는 금속은 예를 들면 알루미늄, 아연, 칼륨, 칼슘 그리고 나트륨을 들 수 있다. 칼슘을 함유한 무기화합물은 예를 들어 칼슘염을 들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는, 예컨데 탄산칼슘, 인산 수소칼슘, 수산화칼슘, 염화칼슘, 황산칼슘, 그리고 질산칼슘을 들 수 있다. 알루미늄을 함유하는 무기화합물은 예를 들어 알루미늄염, 구체적으로 수산화알루미늄과 염화알루미늄을 들 수 있다.
이 무기화합물들 중에서 실리카를 함유한 무기화합물과 알루미늄을 함유한 무기화합물이 바람직하며 실리카를 포함한 무기화합물이 더 바람직하다. 실리카를 함유한 무기화합물로서 바람직한 것은 무수규산이며 더 바람직한 것은 경질 무수규산이다.
유기화합물은 예를 들면 당, 아미노산, 단백질, 핵산 그리고 유기산을 들 수 있다. 당은 예를 들면 전분, 셀룰로오스, 키틴, 키토산 같은 다당류, 락토스와 수크로스 같은 올리고당, 만니톨과 글루코우스 같은 단당류를 들 수 있다. 셀룰로오스로는 결정셀룰로오스가 더 바람직하다. 아미노산은 글리신, 글루타민산, 글루타민, 리진, 아스파라긴산, 그리고 아스파라긴 같은 천연의 α-아미노산을 들 수 있다. 단백질은 예를 들면 글로불린과 알부민을 들 수 있다. 핵산은 예를 들면 이노신산, 아데닐산, 티미딘산, 구아닌산 그리고 시티딘산을 들 수 있다. 유기산은 예를 들면 락토산, 아세트산, 그리고 시트르산을 들 수 있다. 유기화합물로는 만니톨, 락토스 그리고 결정셀룰로오스 같은 당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정제의 한 형태는 예를 들면 동위원소 표지된 우레아와 무기화합물을 함유하는 것이다. 동위원소 표지된 우레아의 함량은 한 정제당 2 내지 2,000 mg,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350 mg이다. 무기화합물의 함량은 동위원소로 표지된 우레아 100 중량부에 대하여 0.1 내지 20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100 중량부, 더욱 바람직하게는 1 내지 50 중량부이다.
본 발명의 정제는 유기화합물을 선택적으로 함유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정제는 동위원소 표지된 우레아, 무기화합물 그리고 유기화합물을 함유한다. 유기화합물의 함량은 정제에서 동위원소 표지된 우레아 100 중량부에 대하여 0 내지 1000 중량부이고, 바람직하게 10 내지 500 중량부, 더욱 바람직하게 100 내지 300 중량부이다.
본 발명의 정제는 붕괴제를 선택적으로 함유할 수 있다. 정제를 투여한 후 붕괴시간이 단축되는 점을 고려하면, 정제가 동위원소 표지된 우레아, 무기화합물 및 붕괴제, 또는 동위원소 표지된 우레아, 무기화합물, 유기화합물 및 붕괴제를 함유한 것이 바람직하다. 첨가된 붕괴제의 양에 따라 붕괴제를 함유한 정제의 붕괴시간은 조절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정제가 위장에서 붕괴되는 시간은 5초내지 10분, 바람직하게 10초에서 2분, 특히 바람직하게는 15초내지 60초이다. 붕괴시간은 일본약물붕괴검사 (Disintegration Test of the Japanese Pharmacopoeia)에 의해 측정될 수 있다.
제제에 사용되는 붕괴제는 어떠한 것도 제한 없이 사용될 수 있으며, 예로 폴리플라스돈, 저치환도 수산화프로필 셀룰로오스 (low-substituted hydroxyprophyl cellulose), 크로스카멜로스 나트륨,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및 그의 칼슘염, 수산화프로필 전분 등이 있다. 바람직한 예로는 폴리플라스돈과 저치환도 수산화프로필 셀룰로오스이다.
정제중의 붕괴제의 양은 동위원소 표지된 우레아 100중량부에 대하여, 0 내지 500중량부, 바람직하게 1 내지 100중량부, 그리고 더욱 바람직하게 3 내지 20중량부이다.
부가적으로 본 발명의 정제는 다른 정제를 제제화하는데 자주 사용되는 다른 첨가제, 예를 들면 윤활제, 착색제, 감미제, 항산화제, 그리고 결합제 등을 임의로 함유할 수 있다.
윤활제는 예컨대 스테아르산 마그네슘, 스테아르산 칼슘, 스테아르산 아연, 스테아르산, 탈크, 수소첨가식물유, 탈크 등을 들 수 있다.
착색제는 예컨대 황색 삼이산화철, 삼이산화철, 각종 식용색소, 그리고 구리염화나트륨 등을 들 수 있다.
감미제는 예컨대 수크로스, 사카린, 아스파탐, 만니톨, 덱스트란, 레몬향, 멘톨, 그리고 시트르산 등을 들 수 있다.
항산화제는 예컨대 아스코빅산과 환원형 글루타티온을 들 수 있다.
결합제는 예컨대 폴리비닐알코올, 폴리비닐피롤리돈, 메틸셀룰로오스, 수산화프로필셀룰로오스, 수산화메틸셀룰로오스, 전분, 덱스트린, α-전분, 풀루란 (pullulan), 아라비아고무, 아가, 젤라틴, 그리고 정제설탕을 들 수 있으며 수산화프로필셀룰로오스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정제는 로터리 타정기 (rotary tableting machine: 코렉트 12HUK,키쿠슈 세이사쿠쇼)를 사용하여 렌즈형태 (직경 8.5 mm Φ)로 제조하고, 일본약물붕괴검사의 시험액 1 (인공 위액, pH 1.2)에서 붕괴검사를 하여 붕괴시간이 120초가 되는 정제를 정제파괴강도측정기 (TH-203CP, 토야마산업)로 측정한다. 본 발명의 정제는 경도가 바람직하게 5 kgf 이상, 더 바람직하게 10 kgf 이상이다. 붕괴시간이 60초인 정제는 경도가 4 kgf 이상이 바람직하며, 8 kgf 이상이 더 바람직하다. 붕괴 시간이 30초인 정제는 경도가 3 kgf 이상이 바람직하며, 6 kgf 이상이 더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정제제조방법은 하기에 서술된다.
우레아와 무기화합물, 필요하다면 유기화합물을 혼합하고, 그리고 필요하다면 수득한 혼합물을 분쇄함으로써 우레아의 부착성 (stickiness)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을 특성으로 하는 본 발명의 정제가 제조된다. 혼합은 일반적 혼합방법을 쓰며, 혼합기의 예로 V형 혼합기를 들 수 있다. 분쇄는 일반적인 분쇄방법을 쓰며, 분쇄기의 예로 샘플밀 분쇄기를 들 수 있다.
분쇄물의 평균입자직경은 100 ㎛ 이하가 바람직하며, 50 ㎛ 이하가 더 바람직하다.
우레아와 무기화합물, 필요하다면 유기화합물을 혼합하고, 그리고 필요하다면 이 혼합물을 분쇄함으로써 혼합물 또는 분쇄 혼합물을 특별한 정제가공법을 필요로 하지않는 일반적 공업정제가공법으로 정제를 제조할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우레아와 무기화합물을 혼합함으로써, 우레아가 가지고 있는 응집성 및 그에 기인한 타정기 같은 제제기에 대한 부착성을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공업적 생산성이 향상된다.
정제는 혼합기에 동위원소 표지된 우레아와 무기화합물, 그리고 필요하다면 유기화합물, 붕괴제 및 윤활제를 함유한 첨가제를 혼합시킨 후, 필요하다면 수득 혼합물을 분쇄기로 분말형태로 분쇄하여 타정기 등으로 직접 정제화하는 방법과 유압프레스기로 압축시키는 방법 등으로 얻을 수 있다. 유기화합물 또는 붕괴제를 함유한 정제는 건식 또는 습식 공정에 의해 결합제와 미리 혼합하고, 필요하다면 혼합물을 분쇄한 후 혼합물을 정제화하는 방법에 의해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정제는 동위원소 표지된 우레아, 무기화합물, 그리고 유기화합물 또는 붕괴제를 함께 혼합기에 혼합시키고, 필요하다면 수득 혼합물을 분쇄한 후 수용액 또는 과립화를 위한 에탄올 용액 중의 결합제를 첨가하고, 건조시킨 후 필요하다면 거기에 윤활제 등을 첨가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에탄올 용액 속의 결합제의 농도는 20% (w/w) 미만이 바람직하다.
수득한 정제는 필요하다면 각종 피막과 당피막으로 도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정제를 사용해 헬리코박터 필로리균에 의한 감염을 진단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정제를 경구 투여하여 대사물질로 방출된 동위원소 표지된 물질은 예를 들어 호기중에서 측정된다. 일반적으로 호기중의13CO214CO2는 적외선분석기 또는 질량분석기로 측정된다. 만약14CO2같은 동위원소 표지된 물질이 방사성이 있다면 방사능계수기가 사용된다.
본 발명의 효과는 하기 시험예에서 설명된다.
시험예 1
표 1에 있는 화합물들과 함께 우레아를 분쇄하고 모르타르에 혼합시켜 우레아 응집의 유무를 관찰하였고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화합물 우레아에 대비 중량비 응집의 유무
없음 -
결정 셀룰로오스 1.0
경질 무수규산 1.0
경질 무수규산 0.5
경질 무수규산 0.1
탄산칼슘 1.0
인산수소알루미늄산마그네슘 1.0
수산화알루미늄 1.0
이들 유기화합물 또는 무기화합물을 우레아와 혼합시킴으로써 우레아의 부착에 의한 우레아의 응집을 방지할 수 있다.
시험예 2
표 2에 나타낸 대로, 우레아 100 g을 각종 무기화합물 또는 유기화합물과 혼합시키고 분쇄기 (KEWG-1F형 샘플밀 분쇄기, 후지파우달)로 분쇄하여 응집정도를 관찰하였다. 결과는 표 2에 나타냈다.
조성 (g) 평가
우레아 만니톨 결정셀룰로오스 경질무수규산
100 - - - ×
100 300 - -
100 - 100 -
100 - 150 -
100 - - 5
100 - - 8
100 - - 10
100 - 50 3
100 - 100 3
비고× : 분쇄 후 고화된 분말이 강하게 응집하는 것이 관찰되었다.○ : 분쇄 후 고화된 분말이 약하게 응집하는 것이 관찰되었다.◎ : 분쇄 후 고화된 분말이 응집하는 것이 관찰되지 않았다.
강한 응집력은 우레아만 있는 생성물을 분쇄하였을 경우에 관찰되었는데 이 생성물은 고화된 상태이므로 생성물을 강하게 밀어도 분해될 수 없었다. 그러나, 이 생성물을 무기화합물 또는 유기화합물과 혼합시키면 우레아응집이 억제되었다. 만약 우레아생성물만 장시간 분쇄시키면 분쇄기는 우레아의 응집으로 과부하되었다. 따라서 우레아를 함유한 정제를 산업적으로 생산할 때 우레아의 부착성은 방지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시험예 3
실시예 4 내지 실시예 8로부터 얻은 정제를 일본약물붕괴검사의 시험액 1 (인공위액: pH 1.2)에서 붕괴시험을 하였다. 정제의 경도는 정제파괴측정기 (TH-203CP, 토야마산업)로 측정하였다. 정제직경과 두께는 다이얼 게이지 (SM-528, 테클록)로 측정하였다. 결과를 표 3에 나타냈다.
항목 실시예 4 실시예 5 실시예 6 실시예 7 실시예 8
정제직경(mm Φ) 8.5 8.5 8.5 8.5 9.0
정제두께(mm) 4.6 4.5 4.6 4.4 5.2
정제경도(mm) 7.4 4.2 6.5 7.5 8.7
붕괴시간(초) 40 58 55 22 45
수득한 정제경도가 4 kgf 이상일 때 붕괴시간은 1분 이내를 보여, 정제는 뛰어난 성질을 보였다.
각 실시예와 같은 혼합분말 250 mg을 유압프레스기 [P-1B, 리켄기기]로 정제경도와 붕괴시간을 결정하기 위해 타정압력을 10 kgf, 15 kgf, 그리고 20 kgf로 바꿔가며 준비하였다.
정제조성 정제두께(mm) 경도(kgf) 붕괴시간(초)
실시예 4 3.84 11.6 96
실시예 4 3.79 12.3 120
실시예 4 3.65 18.5 186
실시예 5 3.84 9.6 58
실시예 5 3.68 15.6 122
실시예 5 3.67 17.8 178
실시예 6 4.20 4.3 46
실시예 6 4.12 8.3 98
실시예 6 4.09 9.1 114
실시예 7 4.07 7.1 33
실시예 7 3.92 9.3 80
실시예 7 3.89 10.2 88
실시예 8 3.69 4.3 19
실시예 8 3.55 6.0 31
실시예 8 3.50 5.9 39
상기 데이터는 통계적으로 처리되었고, 각 정제의 붕괴 시간을 30초로 설정하면 실시예 4의 조성의 정제경도는 5.5 kgf, 실시예 5의 조성의 정제경도는 7.8 kgf, 실시예 6의 조성의 정제경도는 3.2 kgf, 실시예 7의 조성의 정제경도는 6.9 kgf, 실시예 8의 조성의 정제경도는 5.4 kgf로 따라서 강한 경도를 가진 정제를 얻을 수 있다. 만약 각 정제의 붕괴시간을 60초로 설정하면, 실시예 4, 5, 6, 7 및 8 조성의 정제는 각각 8 kgf, 10.0 kgf, 5.3 kgf, 8.5 kgf 및 8.6 kgf로 따라서 매우 단단한 경도를 가진 정제를 얻을 수 있다. 만약 각 정제의 붕괴시간을 120초로 설정하면, 실시예 4, 5, 6, 7 및 8 조성의 정제는 각각 13.0 kgf, 14.4 kgf, 9.7 kgf, 11.7 kgf 및 15.0 kgf로 따라서 매우 단단한 경도를 가진 정제를 얻을 수 있다.
시험예 4
실시예 7에서 얻은 정제와 같은 조성 [13C-우레아 75 mg, 결정셀룰로오스 75 mg, 경질무수규산 2.5 mg, D-만니톨 81.25 mg, 폴리플라스돈 12.5 mg, 수산화프로필 셀룰로오스 2.5 mg, 스테아르산 마그네슘 1.25 mg]의 대조수용액을 사람에게 투여하였다. 헬리코박터 필로리균 양성 또는 음성자를 미리 내시경으로 검사하였다. 정제를 투여할 때 앞서 언급한 수용액과 같은 부피의 물을 함께 투여하였다. 투여 후 즉각 호기중의13CO2양을 시간별로 측정하였다. 호기중의13CO2양은13C-우레아호기시험전용질량분석장치 [VG이소크롬-μG, 피손기기]로 측정하였다. 결과는 표 5에 나와있다.
진단약 형태 감염 투여 후 시간 (분)
0 5 10 15 20 25 30 45 60
수용액 0 9.5 3.5 1.5 - - 0.5 0.5 0.5
수용액 0 15.0 14.5 12.0 13.5 11.0 12.8 11.3 10.8
정제 0 1.0 0.5 0.9 0.1 1.6 1.8 1.0 1.9
정제 0 6.0 10.5 11.0 12.5 13.0 13.8 14.3 13.8
표의 숫자는 호기중의 모든 이산화탄소 속에 있는13CO2(‰)의 양을 표시한다. 표 5의 호기중의13CO2양의 시간에 따른 변화가 보여주듯이,13CO2-우레아 수용액을 투여 후 헬리코박터 필로리균 양성과 음성자 모두로부터 호기중13CO2의 양은 5∼10분의 초기에 상승하였지만, 헬리코박터 필로리균 음성자는13CO2-우레아 정제를 투여 후 호기중13CO2양이 초기에 상승하지 않았다. 그러므로13CO2-우레아 정제가 받는 구강내 세균상의 영향은 억제될 수 있었고 따라서 정확하고 신속한 진단이 가능하다.
시험예 5
실시예 9와 10 그리고 참고예 1에서 제조된 정제를 시험예 3과 같은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결과를 표 6에 나타내었다.
정제조성 타정압력(kgf) 정제직경(mm Φ) 정제두께(mm) 경도(kgf) 붕괴시간(초)
실시예 9 10 8.0 3.3 22.2 82
실시예 9 15 8.0 3.0 31.1 93
실시예 9 20 8.0 2.9 32.2 166
실시예 10 10 8.0 3.0 20.0 222
실시예 10 15 8.0 3.0 23.5 341
실시예 10 20 8.0 2.9 26.6 358
참고예 1 10 8.1 3.0 6.8 246
참고예 1 15 8.1 3.0 7.0 299
참고예 1 20 8.1 2.9 7.7 310
상기 데이터는 통계적으로 처리되었다. 각 정제의 붕괴시간을 30초로 설정하면, 실시예 9의 조성의 정제경도는 13.6 kgf, 실시예 10의 조성의 정제경도는 10.1 kgf로 강한 경도의 정제를, 그러나 참고예 1의 정제경도는 2.7 kgf로 약한 경도의 정제임을 나타낸다. 만약 각 정제의 붕괴시간을 60초로 설정하면, 실시예 9와 10의 정제경도는 각각 19.0 kgf, 11.6 kgf로 정제의 경도가 더 강한 것을 나타내지만, 참고예 1의 정제 경도는 3.2 kgf로 약한 경도를 나타낸다. 만약 각 정제의 붕괴시간을 120초로 설정하면, 실시예 9와 10의 정제경도는 각각 29.6 kgf, 14.4 kgf로 정제의 경도가 더 강한 것을 나타내지만, 참고예 1의 정제 경도는 4.3 kgf로 약한 경도를 나타낸다.
시험예 6
실시예 11과 12, 그리고 참고예 2에서 제조된 정제들을 시험예 3과 같은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결과는 표 7에 있다.
정제조성 정제두께(mm) 경도(kgf) 붕괴시간(초)
실시예 11 3.35 21.2 238
실시예 11 3.40 16.8 223
실시예 11 3.45 15.0 122
실시예 11 3.50 12.9 42
실시예 12 3.35 17.5 679
실시예 12 3.40 13.9 635
실시예 12 3.45 12.4 348
실시예 12 3.50 10.7 121
참고예 2 3.25 3.0 210
참고예 2 3.30 3.1 208
참고예 2 3.35 2.9 187
상기 데이터는 통계적으로 처리되었다. 각 정제의 붕괴시간을 30초로 설정하면, 실시예 11과 실시예 12 조성의 정제는 각각 11.0 kgf 그리고 8.5 kgf의 매우 단단한 경도를 보이지만 참고예 2 조성의 정제는 1.4 kgf로 부드러운 정제경도는 나타낸다. 만약 각 정제의 붕괴시간을 60초로 설정하면, 실시예 11과 12 조성의 정제는 각각 12.3 kgf와 8.8 kgf의 매우 단단한 경도를 보이지만, 참고예 2 조성의 정제는 1.7 kgf로 부드러운 정제경도를 나타낸다. 만약 각 정제의 붕괴시간을 120초로 설정하면 실시예 11과 12 조성의 정제는 각각 14.9 kgf와 9.6 kgf의 매우 단단한 경도를 보이지만, 참고예 2 조성의 정제는 2.2 kgf로 부드러운 정제경도를 나타낸다.
참고예 1
13C-우레아 50 g, 결정셀룰로오스 60 g, 무수시트르산 63 g, 크로스카멜로스 나트륨 24 g 과 스테아르산 마그네슘 3 g을 혼합시킨 후 분쇄기 (KEWG-1F형 샘플밀 분쇄기, 후지파우달사제작)로 평균입자직경 100 ㎛ 이하로 분쇄하였다. 그리고 혼합분말 200 ㎎을 유압프레스기 [P-1B, 리켄기기사제작]로 각각 10, 15, 20 kgf로 압축하여 정제를 얻었다.
참고예 2
13C-우레아 500 g, 결정셀룰로오스 600 g, 무수시트르산 630 g, 크로스카멜로스 나트륨 240 g 과 스테아르산 마그네슘 30 g을 V형 혼합기에서 5분간 혼합시킨 후 혼합물을 분쇄기 (KEWG-1F형 샘플밀 분쇄기, 후지파우달사제작)로 평균입자직경 100 ㎛ 이하로 분쇄하였다. 그리고 로터리타정기 (코렉트 12HUK, 키쿠슈 세이사쿠쇼사제작)에서 8.5 mm의 금형을 사용해서 1 정제당 200 mg 중량의 정제를 얻었다. 만약 혼합물을 정제공정하지 않고 방치하면, 우레아가 응집하는 것이 관찰되었다. 타정 공정 중 약간의 응집이 관찰되었다.
실시예들이 하기에 설명되었다.
실시예 1
13C-우레아 1100 g과 경질무수규산 100 g을 혼합해 분쇄기 (KEWG-1F형 샘플밀 분쇄기, 후지파우달사제작)에서 평균입자 직경이 100 ㎛ 이하가 되도록 분쇄하고, 이 혼합분말 300 ㎎을 유압프레스기 [P-1B, 리켄사제작]에서 압축시켜 정제당 300 ㎎ 중량 (13C-우레아 275 ㎎함유)인 정제를 얻었다.
실시예 2
13C-우레아 1000 g과 경질무수규산 200 g을 혼합해 분쇄기 (KEWG-1F형 샘플밀 분쇄기, 후지파우달사제작)에서 평균입자 직경이 100 ㎛ 이하가 되도록 분쇄하고, 이 혼합분말 300 ㎎을 유압프레스기 [P-1B, 리켄사제작]에서 압축시켜 정제당 300 ㎎ 중량 (13C-우레아 250 ㎎함유)인 정제를 얻었다.
실시예 3
13C-우레아 1000 g, 결정셀룰로오스 900 g, 경질무수규산 100 g을 혼합해 분쇄기 (KEWF-1F형 샘플밀 분쇄기, 후지파우달사제작)에서 평균입자 직경이 100 ㎛ 이하가 되도록 분쇄하고, 이 혼합분말 300 ㎎을 유압프레스기 [P-1B, 리켄사제작]에서 압축시켜 정제당 300 ㎎ 중량 (13C-우레아 150 ㎎함유)인 정제를 얻었다.
실시예 4
13C-우레아 1000 g, 결정셀룰로오스 1000 g, 경질무수규산 30 g을 혼합해 V형 혼합기 (VI-20형, 토쿠쥬코사쿠쇼사제작)로 5분간 혼합 후 분쇄기 (KWG-1F형 샘플밀 분쇄기, 후지파우달)로 평균입자 직경이 100 ㎛ 이하가 되도록 분쇄하였다. 이 분쇄물을 고속교반조립기 (high-speed agitation tableting machine: FM-VG-25P형, 후지산업사제작)에 넣어 옥수수 전분 307.5 g과 폴리플라스돈 125 g을 첨가하고 5% (w/w) 수산화프로필셀룰로오스 에탄올용액 500 g을 주입시켜 조립 (granulation) 시켰다. 이 조립물을 유동층조립건조기 (fluidized-bed granulation dryer: WSG-5형, 글라트사제작)를 사용해 흡기온도 60℃에서 30분간 건조시켰다. 건조분말을 No. 24 금속망으로 정립 (uniform granule)하고, 스테아르산 마그네슘 12.5 g을 첨가해, V형 혼합기에서 3분간 혼합시켰다. 이 혼합분말을 로터리타정기 (코렉트 12HUK, 키쿠슈이 세이사쿠쇼사제작)에서 8.5 mm의 금형을 사용하여 타정해 1 정제당 250 ㎎ 중량 (13C-우레아 100 ㎎함유)의 정제를 얻었다.
실시예 5
13C-우레아 1000 g, 경질무수규산 80 g을 V형 혼합기 (VI-5형, 토쿠쥬코사쿠쇼사제작)로 5분간 혼합 후 분쇄기 (KWG-1F형 샘플밀 분쇄기, 후지파우달)로 평균입자 직경이 100 ㎛ 이하가 되도록 분쇄하였다. 이 분쇄물을 고속교반조립기 (FM- VG- 25P형, 후지산업사제작)에 넣은 후 락토스 835 g, 결정셀룰로오스 535 g, 그리고 수산화프로필 셀룰로오스 25 g을 첨가하고 에탄올용액 500 g을 주입시켜 조립시켰다. 이 조립물을 유동층조립건조기 (WSG-5형, 글라트사제작)를 사용해 흡기온도 60℃에서 30분간 건조시켰다. 건조분말을 No. 24 금속망으로 정립하고, 스테아르산 마그네슘 25 g을 첨가해, V형 혼합기에서 3분간 혼합시켰다. 이 혼합분말을 로터리타정기 (코렉트 12HUK, 키쿠슈이 세이사쿠쇼사제작)에서 8.5 mm의 금형을 사용하여 타정해 1 정제당 250 ㎎ 중량 (13C-우레아 100 ㎎함유)의 정제를 얻었다.
실시예 6
실시예 4와 같이 혼합, 분쇄시킨 분말 2030 g, 옥수수 전분 307.5 g, 그리고 폴리플라스돈 125 g을 유동층조립건조기 (WSG-5형, 글라트사제작)에 투입하고, 5% (w/w) 수산화프로필 셀룰로오스 수용액 500 g을 분무시켜 조립물을 얻었다. 조립물을 No. 24 금속망으로 정립시키고 스테아르산 마그네슘 12.5 g을 가하여 V형 혼합기 (VI-20형, 토쿠쥬코사쿠쇼)에서 3분간 혼합시켰다. 이 혼합물분말을 로터리타정기 (코렉트 12HUK, 키쿠슈이 세이사쿠쇼사제작)에서 8.5 mm의 금형을 사용하여 타정해 1 정제당 250 ㎎ 중량 (13C-우레아 100 ㎎함유)의 정제를 얻었다.
실시예 7
13C-우레아 750 g, 결정셀룰로오스 750 g, 그리고 경질무수규산 25 g을 V형 혼합기 (VI-5형, 토쿠쥬코사쿠쇼사제작)로 5분간 혼합 후 분쇄기 (KWG-1F형 샘플밀 분쇄기, 후지파우달사제작)로 평균입자 직경이 100 ㎛ 이하가 되도록 분쇄하였다. 이 분쇄물을 고속교반조립기 (FM-VG-25P형, 후지산업사제작)에 넣어 D-만니톨 812.5 g과 폴리플라스돈 125g을 첨가하고 5% (w/w) 수산화프로필 셀룰로오스 에탄올용액 500 g을 주입시켜 조립시켰다. 이 조립물을 유동층조립건조기 (WSG-5형, 글라트)를 사용해 흡기온도 60℃에서 30분간 건조시켰다. 건조분말을 No. 24 금속망으로 정립하고, 스테아르산 마그네슘 12.5 g을 첨가해, V형 혼합기에서 3분간 혼합시켰다. 이 혼합분말을 로터리타정기 (코렉트 12HUK, 키쿠슈이 세이사쿠쇼사제작)에서 8.5 mm의 금형을 사용하여 타정해 1 정제당 250 ㎎ 중량 (13C-우레아 75 ㎎함유)의 정제를 얻었다.
실시예 8
13C-우레아 1000 g과 수산화알루미늄 1000 g을 V형 혼합기로 5분간 혼합 후 분쇄기 (KWG-1F형 샘플밀 분쇄기, 후지파우달사제작)로 평균입자 직경이 100 ㎛ 이하가 되도록 분쇄하였다. 이 분쇄물을 고속교반조립기 (FM-VG-25P형, 후지산업사제작)에 넣어 결정셀룰로오스 805 g과 폴리플라스돈 150g을 첨가하고 5% (w/w) 수산화프로필 셀룰로오스 에탄올용액 600 g을 주입시켜 조립시켰다. 이 조립물을 유동층조립건조기를 사용해 흡기온도 60℃에서 30분간 건조시켰다. 건조분말을 No. 24 금속망으로 정립하고, 스테아르산 마그네슘 15 g을 첨가해, V형 혼합기에서 3분간 혼합시켰다. 이 혼합분말을 로터리타정기에서 9 mm의 금형을 사용하여 타정해 1 정제당 300 ㎎ 중량 (13C-우레아 100 ㎎함유)의 정제를 얻었다.
실시예 9
13C-우레아 167 g, 경질무수규산 33 g을 혼합해 분쇄기 (KEWG-1F형 샘플밀 분쇄기, 후지파우달사제작)에서 평균입자 직경이 100 ㎛ 이하가 되도록 분쇄하고, 이 혼합분말 200 ㎎을 유압프레스기 [P-1B, 리켄사제작]에서 각각 10, 15, 그리고 20 kgf의 타정압력으로 압축시켜 정제를 얻었다.
실시예 10
13C-우레아 100 g, 결정셀룰로오스 90 g, 경질무수규산 10 g을 혼합해 분쇄기 (KEWG-1F형 샘플밀 분쇄기, 후지파우달사제작)에서 평균입자 직경이 100 ㎛ 이하가 되도록 분쇄하고, 이 혼합분말 200 ㎎을 유압프레스기 [P-1B, 리켄사제작]에서 각각 10, 15, 그리고 20 kgf의 타정압력으로 압축시켜 정제를 얻었다.
실시예 11
13C-우레아 1000 g과 경질무수규산 200 g을 V형 혼합기로 5분간 혼합 후, 혼합물을 분쇄기 (KEWG-1F형 샘플밀 분쇄기, 후지파우달사제작)로 평균입자 직경이 100 ㎛ 이하가 되도록 분쇄한 후 로터리타정기 (코렉트 12HUK, 키쿠슈이 세이사쿠쇼사제작)에서 8.5 mm의 금형을 사용하여 타정해 1 정제당 200 ㎎ 중량의 정제를 얻었다.
실시예 12
13C-우레아 1000 g, 결정셀룰로오스 900 g, 그리고 경질무수규산 100 g을 V형 혼합기로 5분간 혼합 후, 혼합물을 분쇄기 (KEWG-1F형 샘플밀 분쇄기, 후지파우달사제작)로 평균입자 직경이 100 ㎛ 이하가 되도록 분쇄한 후 로터리타정기 (코렉트 12HUK, 키쿠슈이 세이사쿠쇼사제작)에서 8.5 mm의 금형을 사용하여 타정해 1 정제당 200 ㎎ 중량의 정제를 얻었다.
본 발명의 동위원소 표지된 우레아 정제는 우레아제를 생산하는 미생물, 특별히 헬리코박터 필로리균에 의한 감염을 진단하는 약으로 유용하다. 본 발명의 방법으로 우레아에 있는 부착성이 방지될 수 있으므로, 공업적으로 우레아를 정제로 제제화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정제는 적당한 경도를 가져서 제조 또는 수송시 등의 충격에 의한 정제의 마모나 파손이 발생되지 않으며, 구강내 세균상에 유래한 우레아제에 대해 영향을 받지 않는다.

Claims (7)

  1. 동위원소 표지된 우레아와 무기화합물을 함유한 정제.
  2. 제 1 항에 있어서, 추가로 유기화합물을 함유한 정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추가로 붕괴제를 함유한 정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추가로 유기화합물과 붕괴제를 함유한 정제.
  5. 제 1 항내지 제 4 항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무기화합물이 실리카를 함유한 무기화합물과 알루미늄을 함유한 무기화합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정제.
  6. 제 2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유기화합물이 당류인 정제
  7.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붕괴제가 폴리플라스돈, 저치환도 수산화프로필 셀룰로오스, 크로스카멜로오스 나트륨,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또는 그의 칼슘염, 그리고 수산화프로필 전분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정제.
KR10-1998-0702384A 1996-08-13 1997-08-12 동위원소표지된우레아정제 KR10049353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6-213350 1996-08-13
JP21335096 1996-08-13
PCT/JP1997/002809 WO1998006442A1 (fr) 1996-08-13 1997-08-12 Comprimes a base d'uree isotopiqu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63911A true KR19990063911A (ko) 1999-07-26
KR100493534B1 KR100493534B1 (ko) 2005-09-09

Family

ID=166377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702384A KR100493534B1 (ko) 1996-08-13 1997-08-12 동위원소표지된우레아정제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US (1) US6294151B1 (ko)
EP (1) EP0860170B1 (ko)
JP (2) JP3152664B2 (ko)
KR (1) KR100493534B1 (ko)
CN (1) CN1087178C (ko)
AT (1) ATE190848T1 (ko)
AU (1) AU3785797A (ko)
CA (1) CA2234245A1 (ko)
DE (1) DE69701506T2 (ko)
EA (1) EA000913B1 (ko)
ES (1) ES2145624T3 (ko)
PT (1) PT860170E (ko)
WO (1) WO1998006442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7364B1 (ko) * 2002-07-03 2005-03-22 주식회사 메디켐스 신규한 헬리코박터 파이로리 균 진단용 13c-요소 캅셀 제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MX9703918A (es) 1997-05-28 1998-11-30 J Marshall M D Barry Procedimiento para preparar un producto farmaceutico reactivo para deteccion de desorden gastrointestinal causado por bacteria en el tracto gastrointestinal superior.
WO2000074553A2 (en) 1999-06-08 2000-12-14 Oridion Medical (1987) Ltd. Gas analyzer calibration checking device
US6656127B1 (en) 1999-06-08 2003-12-02 Oridion Breathid Ltd. Breath test apparatus and methods
BR0110512A (pt) * 2000-05-02 2004-03-09 Otsuka Pharma Co Ltd Preparação para medir a taxa de esvaziamento gástrico
CA2408992C (en) * 2000-05-19 2010-03-23 Otsuka Pharmaceutical Co., Ltd. Pharmaceutical preparation for the diagnosis of helicobacter pylori infection
US7201891B1 (en) 2000-05-19 2007-04-10 Otsuka Pharmaceutical Co., Ltd. Pharmaceutical preparation for the diagnosis of helicobacter pylori infection
AU7458501A (en) * 2000-06-21 2002-01-02 Otsuka Pharma Co Ltd Preparations for measruing gastric ph value and method of measuring gastric ph value by using the same
US7008777B2 (en) 2001-10-15 2006-03-07 Barry J. Marshall System for the detection of urease and method for using same
US6929926B2 (en) * 2001-10-15 2005-08-16 Barry J. Marshall Composition for the detection of gastrointestinal disorders
US6998250B2 (en) 2001-10-15 2006-02-14 Donald J. McMichael Method for detecting Helicobacter pylori
JP5178195B2 (ja) 2005-07-25 2013-04-10 大塚製薬株式会社 ピリジン代謝能の測定に有用な経口製剤
SG170823A1 (en) * 2006-04-13 2011-05-30 Otsuka Pharma Co Ltd Test agent for diagnosing dyspepsia
CN101881763A (zh) * 2009-10-27 2010-11-10 天津赛德生物制药有限公司 用于胃幽门螺旋杆菌检测的尿素呼气检测试剂盒
CN104737016B (zh) 2012-08-20 2017-09-29 大塚制药株式会社 测定糖代谢能力的方法及用于该方法的组合物
JP6305392B2 (ja) 2013-03-15 2018-04-04 大塚製薬株式会社 脂肪酸燃焼によるインスリン抵抗性の測定方法、並びにそれに使用する組成物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94634C (ko) *
DE2246013A1 (de) 1972-09-20 1974-03-28 Boehringer Mannheim Gmbh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poroesen tabletten
US4181621A (en) 1975-07-08 1980-01-01 Blendax-Werke R. Schneider & Co. Cleaning agents for dentures
US4830010A (en) * 1986-04-04 1989-05-16 Marshall Barry J Methods for the diagnosis of gastrointestinal disorders
FR2667243B1 (fr) 1990-09-27 1994-11-04 Adir Utilisation de s derives de la triazine et de la pyrimidine pour l'obtention de medicaments reversant la resistance aux agents anticancereux et antimalariques.
WO1992012633A1 (en) * 1991-01-16 1992-08-06 Fmc Corporation Carrier for active agents, and solid dosage forms prepared therewith
US5643591A (en) * 1991-01-16 1997-07-01 Fmc Corporation Solid dosage forms
JPH06135847A (ja) 1992-07-13 1994-05-17 Tsumura & Co 胆石形成抑制剤
SE504902C2 (sv) 1994-11-02 1997-05-26 Diabact Ab Beredning för påvisande av Helicobacter pylori i magsäcken
US6067989A (en) * 1997-02-26 2000-05-30 Oridion Medical, Ltd. Breath test for the diagnosis of Helicobacter pylori infection in the gastrointestinal tract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7364B1 (ko) * 2002-07-03 2005-03-22 주식회사 메디켐스 신규한 헬리코박터 파이로리 균 진단용 13c-요소 캅셀 제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6294151B1 (en) 2001-09-25
CA2234245A1 (en) 1998-02-19
KR100493534B1 (ko) 2005-09-09
CN1198677A (zh) 1998-11-11
ES2145624T3 (es) 2000-07-01
EP0860170A1 (en) 1998-08-26
EA000913B1 (ru) 2000-06-26
DE69701506T2 (de) 2000-08-03
EP0860170B1 (en) 2000-03-22
PT860170E (pt) 2000-06-30
DE69701506D1 (de) 2000-04-27
JP2001039895A (ja) 2001-02-13
CN1087178C (zh) 2002-07-10
EA199800367A1 (ru) 1998-10-29
JP3152664B2 (ja) 2001-04-03
WO1998006442A1 (fr) 1998-02-19
ATE190848T1 (de) 2000-04-15
EP0860170A4 (en) 1999-01-20
AU3785797A (en) 1998-03-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93534B1 (ko) 동위원소표지된우레아정제
JP7216055B2 (ja) 医薬組成物
CA2301185C (en) Pharmaceutical preparation comprising clodronate as active ingredient and silicified microcrystalline cellulose as excipient
EP1886678B1 (en) Stable tablet containing droxidopa
KR20030081472A (ko) 구강내 속붕괴성 제제
JP5004236B2 (ja) 口腔内崩壊錠
ES2820737T3 (es) Composición farmacéutica que comprende partículas de quelante de fosfato
US4601895A (en) Delayed-action acetylsalicylic acid formulations for oral administration
RU2201215C2 (ru) Дезинтегрирующий агент
US3764668A (en) Compositions of salts of salicylamide
KR101343405B1 (ko) 피리딘 대사능의 측정에 유용한 경구 제제
KR100741937B1 (ko) 제제의 안정화 방법
CA2014926A1 (en) Oral preparation
JPS59193815A (ja) 錠剤の製法
EP4061328B1 (en) Zonisamide orodispersible tablets
JP2702325B2 (ja) 顆粒状カルシウム組成物及びそれからなる錠剤
WO1999020277A1 (fr) Composition medicamenteuse a dissolution rapide
JP2012236823A (ja) 耐湿安定性に優れた錠剤
US20050152973A1 (en) Disintegrant
CN116440298A (zh) 一种用于诊断幽门螺杆菌的药物及其制备方法
JP2000273038A (ja) 口腔内溶解性錠剤
JP2000072691A (ja) 製剤用添加剤
JPH09157169A (ja) ランペリゾン製剤
JP2003012565A (ja) 診断用錠剤及びその製法
JP2003012564A (ja) 診断用錠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508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