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63085A - 압축기의 오일 회수구조 - Google Patents

압축기의 오일 회수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63085A
KR19990063085A KR1019980055217A KR19980055217A KR19990063085A KR 19990063085 A KR19990063085 A KR 19990063085A KR 1019980055217 A KR1019980055217 A KR 1019980055217A KR 19980055217 A KR19980055217 A KR 19980055217A KR 19990063085 A KR19990063085 A KR 199900630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mber
muffler
discharge
passage
compres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552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사키 오타
겐타 니시무라
히로타카 구라카케
히사카즈 고바야시
Original Assignee
이소가이 지세이
가부시키가이샤 도요다지도숏키 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소가이 지세이, 가부시키가이샤 도요다지도숏키 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이소가이 지세이
Publication of KR199900630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63085A/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25/00 - F04B37/00
    • F04B39/04Measures to avoid lubricant contaminating the pumped flui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27/00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 F04B27/08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having cylinders coaxial with, or parallel or inclined to, main shaft axis
    • F04B27/10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having cylinders coaxial with, or parallel or inclined to, main shaft axis having stationary cylinders
    • F04B27/1036Component parts, details, e.g. sealings, lubrication
    • F04B27/109Lubric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27/00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 F04B27/08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having cylinders coaxial with, or parallel or inclined to, main shaft axis
    • F04B27/14Control
    • F04B27/16Control of pumps with stationary cylinders
    • F04B27/18Control of pumps with stationary cylinders by varying the relative positions of a swash plate and a cylinder block
    • F04B27/1804Controlled by crankcase press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25/00 - F04B37/00
    • F04B39/0027Pulsation and noise damping means
    • F04B39/0055Pulsation and noise damping means with a special shape of fluid passage, e.g. bends, throttles, diameter changes, pipes
    • F04B39/0061Pulsation and noise damping means with a special shape of fluid passage, e.g. bends, throttles, diameter changes, pipes using muffler volum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25/00 - F04B37/00
    • F04B39/0027Pulsation and noise damping means
    • F04B39/0055Pulsation and noise damping means with a special shape of fluid passage, e.g. bends, throttles, diameter changes, pipes
    • F04B39/0072Pulsation and noise damping means with a special shape of fluid passage, e.g. bends, throttles, diameter changes, pipes characterised by assembly or moun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27/00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 F04B27/08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having cylinders coaxial with, or parallel or inclined to, main shaft axis
    • F04B27/14Control
    • F04B27/16Control of pumps with stationary cylinders
    • F04B27/18Control of pumps with stationary cylinders by varying the relative positions of a swash plate and a cylinder block
    • F04B27/1804Controlled by crankcase pressure
    • F04B2027/1822Valve-controlled fluid connection
    • F04B2027/1827Valve-controlled fluid connection between crankcase and discharge chamb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10/00Working fluid
    • F05B2210/10Kind or type
    • F05B2210/14Refrigerants with particular properties, e.g. HFC-134a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60/00Function
    • F05B2260/96Preventing, counteracting or reducing vibration or noise
    • F05B2260/962Preventing, counteracting or reducing vibration or noise by means creating "anti-nois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17/00Pumps

Abstract

본 발명은 토출구의 위치가 변경되었어도 윤활유를 회수하기 위한 주요한 구조의 위치를 변경할 필요가 없는 압축기의 오일 회수구조를 제공하는 것으로서, 그 수단으로서는, 머플러실(43)은, 실린더 블록(12)의 외곽부의 머플러 형성부(41)와 머플러 커버(42)에 걸쳐 형성되어 있다. 가스켓(44)은 머플러실(43)을 제 1 및 제 2머플러실(43A, 43B)로 둘로 분할된다. 토출통로(47)는 토출실(28)과 제 1머플러실(43A)을 접속한다. 접속구멍(46a)은 양 머플러실(43A, 43B)을 접속한다. 토출구(48)는 머플러 커버(42)에 설치되어 있다. 원심분리기(49, 51)는, 제 1머플러실(43A)에 있어서 접속구멍(46a)에 대응하여 설치되어 있다. 회수통로(52)는 제 1머플러실(43A)과 크랭크실(15)을 접속하며, 제 1머플러실(43A)에 대하여서는 선회실 (49)에서 개구되어 있다.

Description

압축기의 오일 회수구조
본 발명은 예를들면, 차량공간 시스템에 적용되는 압축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토출실로부터 외부 냉매회로로 향하는 토출냉매가스중에 포함되는 윤활유를 분리하여 내부로 귀환 시키기 위한 오일 회수구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기술)
이러한 종류의 압축기로서는, 예를들면 일본 특개평 5-240158호 및 특개평8-35485호의 각 공보에 개시된 것이 존재한다. 즉, 토출실, 트랭크실 및 실린더 보어는 하우징에 형성되어 있다. 회전축은 크랭크실을 삽통하도록 하여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캠 플레이트는 크랭크실에 있어서 회전축에 일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피스톤은 실린더 보어에 수용되며, 캠 플레이트에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회전축이 외부 구동원으로서의 차량 엔진에 의해 회전 구동되면, 그 회전운동이 캠 플레이트를 통해 실린더 보어에서의 피스톤의 왕복 운동으로 변환된다. 따라서 냉매가스의 흡입, 압축 및 토출실로의 토출의 일련의 압축 사이클이 반복된다.
상기 압축기는, 토출실과 외부 냉매회로와의 사이에 머플러실을 구비하고 있다. 머플러실은 토출구를 통해 외부 냉매회로에 접속되어 있다.
따라서, 토출실에 토출된 토출 냉매가스는, 머를러실을 통해 토출구에서 외부 냉매회로로 배출된다. 그리고, 토출냉매가스의 압력맥동은 머플러실에 의한 팽창형의 머플러 작용에 의해 감쇄되며, 이 압력 맥동에 기인하여 외부 냉매회로에 발생하는 진동이나 소음을 방지할 수 있다.
이어서, 상기 압축기에 있어서 가동부분의 윤활은, 주로 냉매가스중에 미스트(mist)형상으로서 포함되는 윤활유에 의해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윤활유가 압축기 내부를 냉매가스와 함께 유동하며, 이어서 토출냉매가스와 함께 외부 냉매회로로 유출되어 버리는 문제가 있다. 윤활유의 외부 냉매회로로의 유출량이 많으면, 가동부분의 윤활부족을 초래한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원통형상을 이루는 오일 세파레이터와 선회실로 이루어지는 원심 분리기가 머플러실에 있어서 토출구에 대응하여 설치되어 있다. 회수통로는 선회실과 크랭크실을 접속한다.
그리고, 머플러실로부터 외부 냉매회로로 향하는 토출냉매가스는, 선회실에 있어서 오일 세파레이터의 주위를 선회하는 오일 세파레이터의 원통내 공간 및 토출구를 통해 외부 냉매회로로 배출된다. 오일 세파레이터의 주위를 선회하는 토출냉매가스로부터는 원심 분리작용에 의해 윤활유가 분리된다. 분리된 윤활유는, 회수통로를 통해 크랭크실로 회수된다. 따라서, 가동부분의 양호한 윤활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그렇지만, 상기 압축기는 그것이 장착되는 차량의 종류에 따라서 토출구의 위치가 변경되는 것이 있다. 이것은, 예를들면 종류가 다른 차량사이에서는 엔진룸내의 기기 레이아웃이 다르며, 그것에 따라서 차량 엔진에 대한 압축기의 위치나 외부 냉매회로의 배관의 배치등이 변경되기 때문이다. 또한, 상술하였듯이 원심 분리기는 머플러실에 있어서 토출구에 대응하여 설치되어 있다. 즉, 상기 구성의 압축기를 다른 종류의 차량에 장착하기 위해서는 토출구의 위치만이 아닌, 원심 분리기 및 회수통로의 배치까지도 변경하지 않으면 않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 기술에 존재하는 문제점에 착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그 목적은, 토출구의 위치가 변경되었다고 하여도 윤활유를 회수하기 위한 주요한 구성의 배치까지도 변경할 필요가 없는 압축기의 오일회수 구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청구항 제 1의 발명에서는, 하우징 구성체의 외곽부에 설치된 머플러 형성부와, 머플러 형성부에 접합 고정된 머플러 커버와, 머플러 형성부와 머플러 커버에 걸쳐서 형성된 머플러실과, 머플러실을 머플러 형성부측의 제 1머플러실과 머플러 커버측의 제 2머플러실로 분할하는 칸막이 부재와, 토출실과 제 1머플러실을 접속하는 토출통로와, 칸막이부재에 관통설치되며, 제 1머플러실과 제 2머플러실을 접속하는 접속구멍과, 머플러 커버에 설치되며, 제 2머플러실을 외부 냉매회로에 접속하기 위한 토출구와, 제 1머플러실과 흡입압 영역혹은 중간압 영역을 접속하며, 제 1머플러실에 대하여서는 접속구멍 부근에서 개구된 회수통로를 구비한 오일 회수구조 이다.
청구항 제 2항의 발명에서는, 상기 제 1머플러실에 있어서 토출통로의 개구와 접속구멍과는 대향되어 있지 않다.
청구항 제 3항의 발명에서는, 상기 제 1머플러실에는 접속구멍이 개구하는 선회실이 형성되며, 회수통로는 선회실에서 개구되며, 선회실에는 그것으로서 원심 분리기를 구성하는 오일 세파레이터가 설치되어 있다.
청구항 제 4항의 발명에서는, 상기 오일 세파레이터는, 칸막이부재의 접속구멍주위를 제 1머플러실측으로 곡절하는 것으로서 원통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청구항 제 5항의 발명에서는, 상기 칸막이부재는, 머플러 형성부와 머플러 커버와의 접합단면을 밀폐하는 가스켓으로 맞게 설치되어 있다.
청구항 제 6항의 발명에서는, 상기 하우징에는 크랭크실 및 피스톤을 수용하는 실린더 보어가 형성되며, 하우징에는 크랭크실을 삽통하도록 하여 회전축기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며, 크랭크실에 있어서 회전축에는 캠 플레이트가 일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캠 플레이트에는 피스톤이 연결되어 있으며, 회전축의 회전운동이 캠 플레이트를 통해 피스톤의 실린더 보어에서의 왕복운동으로 변환되는 것으로서, 냉매가스 등의 흡입, 압축기 및 토출실로의 토출이 행해지는 구성이다.
청구항 제 7항의 발명에서는, 상기 캠 플레이트는 회전축에 경사운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크랭크실과 토출압 영역과는 급기통로에 의해 접속되며, 크랭크실과 흡입압 영역과는 추기통로에 의해 접속되며, 급기통로 및 추기통로의 적어도 한쪽에는 용량 제어밸브가 개재되며, 용량 제어밸브에 의해 급기통로 및 추기통로의 적어도 한쪽의 개방도를 조절하는 것으로서 크랭크실의 압력을 변경하여 토출용량을 제어하는 구성이다.
청구항 제 8항의 발명에서는, 상기 크랭크실이 중간압 영역을 이룬다.
청구항 제 9항의 발명에서는, 상기 제 1머플러실이 토출압 영역을 이루며, 회수통로가 급기통로를 이룬다.
(작용)
상기 구성의 청구항 제 1항, 제 6항 및 제 7항의 발명에 있어서는, 토출실에 토출된 토출 냉매가스는, 토출통로, 제 1머플러실, 접속구멍, 제 2머플러실, 토출구의 순서로 유동되며, 외부 냉매회로로 배출된다. 토출 냉매가스의 압력맥동은, 제 1머플러실 및 제 2머플러실이 각각 팽창형의 머플러로서 기능하는 것으로서 감쇄된다. 따라서, 이 압력맥동에 기인하여 외부 냉매회로에 발생하는 진동이나 소음이 저감된다.
압축기의 가동부분을 윤활하기 위한 윤활유의 대다수는 냉매가스에 미스트형상으로서 포함되어 있으며, 따라서, 압축기 내부를 냉매가스와 함께 유동하며, 이윽고는 토출 냉매가스와 함께 외부 냉매회로에 배출되도록 한다. 그러나, 제 1머플러실에 유입된 토출냉매가스로 부터는, 관성이나 비중차등에 의해 윤활유가 분리된다. 분리된 윤활유는, 토출통로에서 접속구멍으로 향하는 토출 냉매가스의 스름에 의해 접속구멍 부근에 집적된다. 접속구멍 부근에 집적된 분리윤활유는, 토출압 영역인 제 1머플러실과의 사이에서의 압력차에서 회수 통로를 통해 중간압 영역 혹은 흡입압 영역으로 회수된다. 따라서, 가동부분의 윤활상태를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다.
여기에서, 예를들면, 압축기가 적용되는 차량의 종류가 다르며, 머플러 커버에서의 토출구의 위치가 변경되었다고 한다. 그러나, 회수통로는, 제 1머플러실에 대하여 접속구멍 부근에서 개구되어 있으며, 이 위치 관계는 토출구의 위치가 변경되었다고 하여도 변경되는 일은 없다. 즉, 윤활유를 회수하기 위한 주요한 구성의 배치를 변경하는 일 없이 다른 종류의 차량에 대응하는 것이 가능하다.
청구항 제 2항의 발명에 있어서는, 제 1머플러실에서의 토출통로의 개구에서 접속구멍으로 향하는 토출 냉매가스의 흐름이 직선적으로는 이루어지지 않는다. 따라서, 보다 많은 분리 윤활유를 토출 냉매가스의 흐름에 섞어서 접속구멍 부근으로 집적시킬 수 있다.
청구항 제 3항 및 제 4항의 발명에서는, 제 1머플러실에 있어서 선회실에 유입된 토출 냉매가스는, 오일세파레이터의 주위를 선회한다. 따라서, 토출 냉매가스로부터는 원심 분리 작용에 의해 효과적으로 윤활유가 분리된다.
청구항 제 5항의 발명에 있어서는, 칸막이부재를 별개로 구비할 필요가 없다.
청구항 제 8항의 발명에서는, 제 1머플러실에서 분리된 윤활유는, 회수통로를 통해 크랭크실로 회수된다.
청구항 제 9항의 발명에 있어서는, 제 1머플러실에서 분리된 윤활유는, 용량제어를 위한 크랭크실로 공급된다. 토출 냉매가스와 함께 크랭크실로 이동된다.
도 1은 가변용량형 압축기의 종단면도.
도 2는 도 1의 A-A선 단면도.
도 3은 제 2실시예의 가변 용량형 압축기의 종단면도.
도 4는 도 3의 B-B선 단면도.
도 5는 또다른 예를 나타내는 주요부 확대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2 : 하우징 구성체로서의 실린더 블록
15 : 중간압 영역으로서의 크랭크실 27 : 토출실
41 : 머플러 형성부 42 : 머플러 커버
43 : 머플러실 43A : 제 1머플러실
43B : 제 2머플러실 44 : 칸막이 부재로서의 가스켓
46a : 접속구멍 47 : 토출통로
48 : 토출구 52 : 회수통로
이하, 본 발명의 오일회수 구조를 편두 피스톤식의 가변 용량형 압축기에 있어서 구체화한 제 1 및 제 2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한다. 제 2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제 1실시예와의 상이점에 관하여서만 설명한다.
(제 1실시예)
도 1에 나타내듯이, 전면하우징(11)은, 실린더 블록(12)의 전면측의 단부에 접합고정되어 있다. 후면 하우징(13)은, 실린더 블록(12)의 후면측의 단부에 밸브형성체(14)를 통해 접합고정 되어 있다. 전면 하우징(11), 실린더 블록(12) 및 후면 하우징(13)이 각각 하우징 구성체를 이룬다.
크랭크실(15)은, 전면 하우징(11)과 실린더 블록(12)으로 둘러쌓여서 구획형성되어 있다. 회전축(16)은, 크랭크실(15)을 통하도록 전면 하우징(11)과 실린더 블록(12)과으 사이에서 회전 가능하게 가설 지지되어 있다. 도시 생략되었지만, 회전축(16)은, 외부 구동원으로서의 차량엔진에 전자 클러치 등의 클러치 기구를 통해 작동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회전축(16)은, 차량엔진의 기동시에 있어서 전자클러치의 접속에 의해 회전 구동된다.
회전 지지체(22)는, 크랭크실(15)에 있어서 회전축(16)에 고정 장착되어 있다. 캠 플레이트로서의 사판(23)은, 회전축(16)에 경사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힌지기구(24)는 회전 지지체(22)와 사판(23)과의 사이에 개재되어 있다. 사판(23)은, 회전 지지체(22)에 대한 힌지기구(24)를 통한 힌지 연결에 의해 회전축(16)에 대하여 경사 운동 가능하며 또한 회전축(16)과 일체적으로 회전 가능하다.
실린더 보어(12a)는, 실린더 블록(12)에 관통 형성되어 있다. 편두형의 피스톤(25)은 실린더 보어(12a)에 수용되어 있다. 피스톤(25)은, 슈(26)를 통해 사판(23)의 외주부에 계류되어 있다. 회전축(16)의 회전운동은, 사판(23) 및 슈(26)를 통해 실린더 보어(12a)에서의 피스톤(25)의 왕복운동으로 변환된다.
흡입실(27) 및 토출실(28)은, 후면 하우징(13)에 각각 구획 형성되어 있다. 흡입포트(29), 흡입포트(29)를 개폐하는 흡입밸브(30), 토출포트(31), 토출포트(31)를 개폐하는 토출밸브(32)는, 각각 밸브형성체(14)에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흡입실(27)의 냉매가스는, 피스톤(25)의 왕복운동 동작에 의해 흡입포트(29) 및 흡입밸브(30)를 통해 실린더 보어(12a)에 흡입된다. 실린더 보어(12a)에 흡입된 냉매가스는, 피스톤(25)의 왕복운동 동작에 의해 소정의 압력까지 압축되며, 토출포트(31) 및 토출밸브(32)를 통해 토출실(28)에 토출된다.
급기통로(33)는 토출실(28)과 크랭크실(15)을 접속한다. 추기통로(34)는 크랭크실(15)과 흡입실(27)을 접속한다. 용량 제어밸브(35)는 급기통로(34)위에 개재되어 있다. 감압통로(36)는 흡입실(27)과 용량 제어밸브(35)를 접속한다. 용량 제어밸브(35)는, 감압부재로서의 다이어그램(35a)과, 이 다이어그램(35a)에 작동연결 된 밸브체(35b)를 구비한다.
용량 제어밸브(35)는, 감압통로(36)를 통해 도입된 흡입압에 다이어그램(35a)이 감응하는 것으로서, 밸브체(35b)를 개폐동작시켜 급기통로(33)의 개방도를 변경한다. 급기통로(33)의 개방도가 변경되면, 크랭크실(15)로의 토출냉매가스의 도입량이 변경되며, 냉매가스의 추기통로(34)를 통한 흡입실(27)로의 회피량과의 관계로부터 크랭크실(15)의 압력이 변경된다. 따라서, 크랭크실(15)의 압력과 실린더 보어(12a)의 압력과의 피스톤(25)을 통한 차가 변경되며, 사판(23)의 경사각이 변경된다. 그 결과, 피스톤(25)의 스트로크량이 변경되며, 토출용량이 조절된다.
이어서, 본 실시예의 오일 회수구조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듯이, 머플러 형성부(41)는, 실린더 블록(12)의 외곽부에 일체 형성되어 있다. 머플러 커버(42)는 머플러 형성부(41)의 상부에 접합고정 되어 있다. 머플러실(43)은, 머플러 형성부(41)의 내부와 머플러 커버(42)의 내부에 걸쳐서 형성되어 있다.
가스켓(44)은, 평판형상을 이루는 금속제의 기판(44a)의 표면에 합성고무로 이루어지는 코팅(44b)을 이루는 것으로 구성되어 있다. 가스켓(44)은 머플러 형성부(41)와 커버(42)와의 사이에 개재되어 있다. 가스켓(44)은, 머플러 형성부(41)와 머플러 커버(42)와의 접합단면을 봉지(밀폐)하는 외부 테두리부(45)와, 이 외부 테두리부(45)에 연장설치된 칸막이 부재로서의 칸막이부(46)을 구비하고 있다. 코팅(44b)을 갖는 가스켓(44)(외부 테두리부(44a))는 밀착성에 우수하며, 머플러 형성부(41)와 머플러 커버(42)와의 접합단면을 보다 확실하에 봉지한다. 칸막이부(46)는 고리형상을 이루는 외부 테두리부(45)의 내측을 매설하도록 하여 설치되며, 머플러실(43)을 머플러 형성부(41)측의 제 1머플러실(43A)과 머플러 커버(42)측의 제 2머플러실(43B)로 분할 된다.
토출통로(47)는 토출실(28)과 제 1머플러실(43A)을 접속한다. 토출통로(47)는, 제 1머플러실(43A)에 대하여 머플러 형성부(41)의 내벽면에서 개구(47a)되어 있다. 접속구멍(46a)은 가스켓(44)에 있어서 칸막이부(46)에 관통 설치되며, 제 1머플러실(43A)과 제 2머플러실(43B)을 접속한다. 따라서 토출통로(47)의 개구(47a)와 접속구멍(46a)은, 제 1머플러실(43A)에 있어서 대향되어 있지 않다. 토출구(48)는 머플러 커버(42)의 윗면에 천설되어 있다. 도시생략된 외부 냉매회로는, 토출구(48)를 통해 압축기(제 2머플러실(43B))에 접속된다.
원 고리형상을 이루는 격벽(41a)은, 제 1머플러실(43A)의 저면에서 접속구멍(46a)을 둘러쌓도록하여 실린더 블록(12)에 일체 형성되어 있다. 선회실(49)은, 격벽(41a)과 가스켓(44)에 둘러쌓이는 것으로서 제 1머플러실(43A)로 구획 형성되어 있다. 도입통로(50)는 격벽(41a)에 천설되며, 제 1머플러실(43A)에 있어서 선회실(49)의 내외를 접속한다. 도입통로(50)는 선회실(49)에 대하여 그 원통내면의 접속위치에서 접속되어 있다. 오일 세파레이터(51)는 원통형상을 이루며, 선회실(49)에 설치되어 있다. 오일 세파레이터(51)는, 가스켓(44)에 있어서 접속구멍(46a)의 주위를 제 1머플러실(43A)측으로 절곡하는 것으로 형성되어 있다. 필터(53)는 선회실(49)의 저면에 설치되어 있다. 회수통로(52)는 실린더 블록(12)에 천설되며, 제 1머플러실(43A)과 크랭크실(15)을 접속한다. 회수통로(52)는, 제 1머플러실(43A)에 대하여 선회실(49)의 저면, 즉, 접속구멍(46a)의 근방에서 필터(53)을 통해 개구되어 있다. 회수통로(52)는, 그 통로 도중에 스로틀(52a)을 갖는다.
이어서, 상기 구성의 오일 회수구조의 작용에 관하여 설명한다.
상술한 압축 사이클에 의해 토출실(28)에 토출된 토출 냉매가스는, 토출통로(47), 제 1머플러실(43A), 도입통로(50), 선회실(49), 오일 세파레이터(51)의 원통내 공간, 접속구멍(46a), 제 2머플러실(43B), 토출구(48)의 순으로 유동되며, 외부 냉매 회로로 배출된다. 토출 냉매가스의 압력 맥동은, 제 1머플러실(43A) 및 제 2머플러실(43B)가 각각 팽창형의 머플러로서 기능하는 것으로서 감쇄된다. 따라서, 이 압력맥동에 기인하여 외부 냉매회로에 발생하는 진동이나 소음이 저감된다.
압축기의 가동부분(예를들면, 사판(23)과 슈(26)와의 슬라이드 접합부분)을 윤활하기 위한 윤활유의 다수는, 냉매가스중에 미스트형상으로서 포함되어 있으며, 따라서, 압축기내부를 냉매가스와 함께 유동하며, 이윽고는 토출 냉매가스와 함께 외부 냉매회로로 배출되도록 한다.
그러나, 제 1머플러실(43A)에 유입된 토출 냉매가스로부터는 관성이나 비중차등에 의해 윤활유가 분리된다. 분리된 윤활유는 제 1머플러실(43A)의 내면에 부착됨과 동시에 그 다수는 토출통로(47)의 개구(47a)로부터 접속구멍(46a)으로 향하는 토출 냉매가스의 흐름에 따라서 도입통로(50)를 통해 선회실(49)에 유입된다.
전술한 관성이나 비중차 등을 이용하여도 분리되지 않았던 윤활유는, 원심 분리기(49, 51)에 의해 분리된다. 즉, 제 1머플러실(43A)에 있어서, 도입통로(50)를 통해 선회실(49)로 유입된 토출 냉매가스는, 오일 세파레이터(51)의 주위를 선회한다. 선회실(49)에 대하여 그 원통내면의 접속위치에서 접속된 도입통로(50)는, 선회실(49)에 유입된 토출 냉매가스를 부드럽게 오일 세파레이터(51)의 주위에서 선회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오일 세파레이터(51)의 주위를 선회하는 토출 냉매가스로부터는 원심분리 작용에 의해 윤활유가 분리된다.
선회실(49)에 집적. 저류된 분리 윤활유는, 토출압 영역인 선회실(49)과 중간압 영역인 크랭크실(15)과의 사이의 압력차로부터 회수통로(52)를 통해 크랭크실(15)에 회수된다. 이와같이, 토출실(28)로부터 외부 냉매회로로 향하는 토출 냉매가스중에 포함되는 윤활유를 분리하여 내부로 귀환시키는 것이 가능하며, 가동부분의 윤활상태를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제 1머플러실(43A)의 토출 냉매가스가 회수통로(52)를 통해 다량으로 크랭크실(15)로 유입되면, 크랭크실(15)의 압력, 즉 용량 제어에 영향을 부여하게된다. 그러나, 회수통로(52)가 갖는 스로틀(52a)이 제 1머플러실(43A)로부터의 토출 냉매가스를 조이기 때문에, 제 1머플러실(43A)의 고압력이 용량 제어에 형향을 부여하는 것은 거의 없다. 스로틀(52a)을 갖는 회수통로(52)는 윤활유에 포함되는 이물질이 막히기 쉽지만, 선회실(49)에 설치된 필터(53)가 이물질을 제거하기 때문에 회수통로(52)가 이물질에 의해 폐쇄되어 버리는 일은 없다.
상기 구성의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이룬다.
(1) 머플러실(43)은 가스켓(44)에 의해 제 1머플러실(43A)과 제 2머플러실(43B)로 2분할 되어 있다. 원심 분리기(49, 51)는, 제 1머플러실(43A)에 있어서 가스켓(44)의 접속구멍(46a)에 대응하여 설치되어 있다. 회수 통로(52)는 원심 분리기(49, 51)의 선회실(49)에 개구되어 있다. 토출구(48)는, 제 2머플러실(43B)에 대응하여 머플러 커버(42)에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토출구(48)를 머플러 커버(42)의 어떠한 위치에 형성하였다고 하여도 오일 회수구조의 주요부인 원심 분리기(49, 51) 및 회수통로(52)의 배치를 변경할 필요가 없다. 그 결과, 예를들면, 토출구(48)의 천설위치가 다른 머플러 커버(42)를 복수 준비하여 두는 것만으로서, 다른 차종에 대하여 간단하게 대응할 수 있으며, 그 밖의 구성의 배치를 공통화한 압축기의 단가는 저감된다.
(2) 2개로 분할된 머플러실(43)은, 토출실(28)에서 외부 냉매회로로 향하는 토출 냉매가스의 통로 단면적을 복잡하게 변화시킨다. 따라서, 머플러설(43)에 의한 머플러 효과가 높아지며, 토출 냉매가스의 압력맥동을 효과적으로 저감할 수 있다.
(3) 칸막이부(46)는, 가스켓(44)본래의 기능부분인 외부 테두리부(45)에 연설되어 있다. 따라서, 오일 회수구조의 부품점수를 저감할 수 있어서 구성의 간소화를 도모할 수 있다.
(4) 토출통로(47)의 개구(47a)와 접속구멍(46a)과는, 제 1머플러실(43A)에 있어서 대향하고 있지 않다. 따라서, 개구(47a)로부터 접속구멍(46a)(선회실(49))으로 향하는 토출 냉매가스의 흐름이 직선적으로 되지 않고, 제 1머플러실(43A)의 내면의 넓은 범위를 이 토출 냉매가스의 흐름에 노출시킬수 있다. 그 결과 보다 많은 분리 윤활유를 토출 냉매가스의 흐름에 편승시켜 접속구멍(46a)부근(선회실(49))으로 집적할 수 있어서 회수 효율이 높아진다.
(5) 원심 분리기(49, 51)가 제 1머플러실(43A)에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관성이나 비중차등에 의해 토출 냉매가스로부터 윤활유를 분리하는 것만으로의 구성과 비교하여 윤활유의 분리효과를 높게할 수 있다.
또한, 도입통로(50), 선회실(49) 및 오일 세파레이터(51)는, 제 1머플러실(43A)에 있어서의 토출 냉매가스의 통로 단면적을 더욱 복잡하게 변화시킨다. 따라서, 머플러실(43)에 의한 머플러 효과가 더욱 높아진다.
(6) 오일 세파레이터(51)는, 가스켓(44)의 접속구멍(46a)의 주위를 제 1머플러실(43A)측으로 절곡하는 것으로서 원통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와같이, 오일 세파레이터(51)를 가스켓(44)과 일체로 하는 것으로서, 오일 회수구조의 부품점수를 저감할 수 있어서 구성의 간소화를 도모할 수 있다.
(제 2실시예)
도 3 및 도 4에 있어서는 제 2실시예를 나타낸다. 본 실시예의 오일 회수구조는, 원심 분리기(49, 51)를 갖지않는 점이 상기 제 1실시예와는 크게 다르다. 용량 제어밸브(35)는 머플러 형성부(41)에 내장되어 있다. 오일 고임부(55)는, 제 1머플러실(43A)의 저면에서 가스켓(44)의 접속구멍(46a)의 바로 아래위치에 오목하게 설치되어 있다. 회수통로(52)는, 제 1머플러실(43A)에 대하여 오일 고임부(55)를 통해 개구되어 있다. 상기 용량 제어밸브(35)는, 회수통로(52)위에 개재되어 있으며, 회수통로(52)가 급기통로(33)를 겸하고 있다. 급기통로(33)를 겸하는 회수통로(52)는 스로틀(52a)을 가지고 있지 않다.
이어서, 제 1머플러실(43A)에 유입된 토출 냉매가스로부터는, 관성이나 비중차등에 의해 윤활유가 분리된다. 분리된 윤활유는, 토출통로(47)의 개구(47a)로부터 접속구멍(46a)으로 향하는 토출 냉매가스의 흐름에 편승하여 접속구멍(46a)부근에 집적되며, 접속구멍(46a)바로아래의 오일 고임부(55)에 집적된다. 오일 고임부(55)의 윤활유는, 크랭크실(15)의 압력을 조절하기 위한 토출 냉매가스와 동시에 크랭크실(15)로 이동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도, 상기 제 1실시예의 (1) 내지 (4)와 동일한 효과를 이루는 것이외에 다음과 같은 효과도 이룬다.
(1) 토출 용량이 작은때, 압축기 내부에서의 냉매가스의 유동량은 적으며, 가동부분이 윤활부족으로 되기 쉽다. 그러나, 용량 제어밸브(35)는, 토출용량을 작게하기 위해 회수통로(52)의 개방도를 크게 조절한다. 따라서, 단시간에 많은 윤활유를 크랭크실(15)로 회수할 수 있으며, 냉매가스의 유동량의 적음을 윤활유의 함유량의 많음으로 보충하여 가동부분의 윤활부족을 해소할 수 있다.
(2) 회수통로(52)가 급기통로(33)를 겸하기 때문에, 각각 전용의 통로를 천설하는 것보다도 제작이 용이하게 된다. 또한, 급기통로(33)를 겸하는 회수통로(52)는 그 지름을 크게 설정할 수있으며, 이물질의 막힘을 회피할 수 있다. 따라서, 이물 제거을 위한 필터(53)를 장착하지 않아도 좋으며, 부품점수를 저감할 수 있다.
(3) 전술하였듯이, 접속구멍(46a)부근에는 많은 분리 윤활유가 집적된다. 제 1머플러실(43A)에 있어서 회수통로(51)는, 그 일부를 이루는 오일 고임부(55)를 통해 접속구멍(46a)의 바로 아래에서 개구되어 있다. 따라서, 많은 윤활유를 크랭크실(15)로 회수할 수 있다.
(4) 용량 제어밸브(35)가 실린더 블록(12)의 외곽부에 있는 머플러 형성부(41)에 내장되어 있으며, 압축기를 회전축(16)의 축선 방향으로 소형화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취지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하의 형태도 실시할 수 있다.
· 상기 제 1실시예의 오일 세파레이터(51)를 변경하며, 도 5에 나타내듯이 접속구멍(46a)과 대향하는 선회실(49)의 저면에 원주형상의 오일 세파레이터(61)를 일체로 돌출 설치하며, 이 오일 세파레이터(61)와 선회실(49)에서 원심 분리기를 구성한다.
· 상기 제 1실시예를 변경하며, 회수통로(52)를 흡입압 영역으로서의 흡입실(27)에 접속하는 것. 이와같이 하면, 머플러실(43)과 흡입실(27)과의 차이압이 크게되며, 분리한 윤활유를 빠르게 가동부분으로 귀환시키는 것이 가능하게된다.
· 오일 세파레이터(51, 61)를 가스켓(44)혹은 실린더 블록(12)과 별체의 원통체 혹은 원주체에 의해 구성하여도 좋다.
· 머플러 형성부(41)를 전면 하우징(11)측 혹은 후면 하우징(13)측으로 개구시킨다. 머플러 커버(42)를 전면 하우징(11)혹은 후면 하우징(13)의 외곽부에 일체 형성하며, 실린더 블록(12)측에 개구 시킨다. 그리고, 하우징 구성체(11-13)의 접합과 동시에 머플러 공간(43)이 형성되도록 구성한다. 이와같이 하면, 전용의 머플러 커버를 필요로 하지 않고, 부품점수를 저감할 수 있다. 이 경우, 머플러 공간(43)을 2분할 하는 칸막이 부재는, 실린더 블록(12)과 전면 하우징(11)혹은 후면 하우징(13)과의 접합 단면을 봉지하는 가스켓으로부터 연설되어도 좋다. 이와같이 하면, 전용의 칸막이 부재를 필요로 하지 않으며, 부품점수를 저감 할 수 있다.
상기 실시예로부터 파악할 수 있는 기술적 사상에 관하여 기재한다.
(1) 상기 회수통로(52)는 접속구멍(46a)에 대향하여 개구되어 있는 청구항 제 1항에 기재된 오일 회수구조.
이와같이 하면, 많은 윤활유를 회수할 수 있다.
(2)상기 가스켓(44)은, 금속제의 기판(44a)의 적어도 외부 테두리부(45)에 고무 코팅(44b)이 설치되어 이루어지는 청구항 제 5항 기재의 오일 회수구조.
이와같이 하면, 머플러 형성부(41)와 머플러 커버(42)와의 접합단면의 봉지(밀폐)가 확실하게 된다.
(3) 상기 오일 세파레이터(61)는 원 기둥형상을 이루며, 접속구멍(46a)와 대향하는 선회실(49)의 저면에 세워 설치되어 있는 청구항 제 3항에 기재된 오일 회수구조.
이와같이 하면, 윤활유의 분리효과가 높게된다.
(4) 상기 회수통로(52)는 필터(53)를 통해 제 1머플러실(43A)에 개구되어 있는 청구항 제 1항 내지 제 9항중 어느 한항에 기재된 오일 회수구조.
이와같이 하면, 윤활유에 포함되는 이물질에 의해 회수통로(52)가 폐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구성의 본 발명에 의하면, 토출구의 위치가 변경되었다고 하여도, 윤활유를 회수하기 위한 주요한 구성의 배치까지도 변경할 필요가 없게된다. 또한, 토출 냉매가스로부터 효과적으로 윤활유를 분리할 수 있다. 또한, 부품점수를 저감할 수 있어서 구성의 간소화를 도모할 수 있다.

Claims (9)

  1. 복수의 하우징 구성체를 접합하여 이루어지는 하우징에는, 압축기구가 수용됨과 동시에 토출실이 구획 형성되며, 압축기구의 동작에 의해 냉매가스 등의 흡입, 압축 및 토출실로의 토출을 행하는 압축기의 오일 회수구조에 있어서,
    하우징 구성체의 외곽부에 설치된 머플러 형성부와,
    머플러 형성부에 접합 고정된 머플러 커버와,
    머플러 형성부와 머플러 커버에 걸쳐서 형성된 머플러실과,
    머플러실을 머플러 형성부측의 제 1머플러실과 머플러 커버측의 제 2머플러실로 분할하는 칸막이 부재와,
    토출실과 제 1머플러실을 접속하는 토출통로와,
    칸막이 부재에 관통설치되며, 제 1머플러실과 제 2머플러실을 접속하는 접속구멍과,
    머플러 커버에 설치되며, 제 2머플러실을 외부 냉매회로에 접속하기 위한 토출구와,
    제 1머플러실과 흡입압 영역 혹은 중간압 영역을 접속하며, 제 1머플러실에 대하여서는 접속구멍 부근에서 개구된 회수통로를 구비한 압축기의 오일 회수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머플러실에서 토출통로의 개구와 접속구멍과는 대향되어 있지 않은 압축기의 오일 회수구조.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머플러실에는 접속구멍이 개구하는 선회실이 형성되며, 회수통로는 선회실에서 개구되며, 선회실에는 그것으로서 원심 분리기를 구성하는 오일 세파레이터가 설치되어 있는 압축기의 오일 회수구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오일 세파레이터는, 칸막이 부재의 접속구멍 주위를 제 1머플러실측으로 곡절하는 것으로서 원통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압축기의 오일 회수구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칸막이부재는, 머플러 형성부와 머플러 커버와의 접합단면을 밀폐(봉지)하는 가스켓으로 연설되어 있는 압축기의 오일 회수구조.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는 크랭크실 및 피스톤을 수용하는 실린더 보어가 형성되며, 하우징에는 크랭크실을 삽통하도록 하여 회전축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며, 크랭크실에서 회전축으로는 캠 플레이트가 일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캠 플레이트에는 피스톤이 연결되어 있고, 회전축의 회전운동이 캠 플레이트를 통해 피스톤의 실린더 보어에서의 왕복운동으로 변환되는 것으로서, 냉매가스 등의 흡입, 압축기 및 토출실로의 토출이 행해지는 구성인 압축기의 오일 회수구조.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캠 플레이트는 회전축에 경사운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크랭크실과 토출압 영역과는 급기통로에 의해 접속되며, 크랭크실과 흡입압 영역과는 추기통로에 의해 접속되며, 급기통로 및 추기통로의 적어도 한쪽에는 용량 제어밸브가 개재되며, 용량 제어밸브에 의해 급기통로 및 추기통로의 적어도 한쪽의 개방도를 조절하는 것으로서 크랭크실의 압력을 변경하여 토출용량을 제어하는 구성인 압축기의 오일 회수구조.
  8. 제 6항 또는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크랭크실이 중간압 영역을 이루는 압축기의 오일 회수구조.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 1머플러실이 토출압 영역을 이루며, 회수통로가 급기통로를 이루는 압축기의 오일 회수구조.
KR1019980055217A 1997-12-24 1998-12-16 압축기의 오일 회수구조 KR1999006308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7-355555 1997-12-24
JP35555597A JP3731329B2 (ja) 1997-12-24 1997-12-24 圧縮機の油回収構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63085A true KR19990063085A (ko) 1999-07-26

Family

ID=184445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55217A KR19990063085A (ko) 1997-12-24 1998-12-16 압축기의 오일 회수구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6174140B1 (ko)
EP (1) EP0926341A3 (ko)
JP (1) JP3731329B2 (ko)
KR (1) KR19990063085A (ko)
CN (1) CN1221073A (ko)
BR (1) BR9805862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1108B1 (ko) * 2005-11-16 2007-11-30 가부시키가이샤 도요다 지도숏키 차량용 냉동회로의 제어장치, 용량가변형 압축기 및용량가변형 압축기용 제어 밸브
KR100796543B1 (ko) * 2006-01-23 2008-01-21 가부시키가이샤 도요다 지도숏키 압축기의 오일 분리 구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40606B1 (ko) * 1999-09-10 2002-06-15 이시카와 타다시 용량 가변형 압축기의 제어밸브
JP3616988B2 (ja) 1999-11-08 2005-02-02 日東工器株式会社 電磁ダイアフラム式ポンプ
GB2362686B (en) * 1999-11-08 2002-05-29 Nitto Kohki Co Electromagnetic diaphragm pump
JP2001289164A (ja) * 2000-04-07 2001-10-19 Toyota Autom Loom Works Ltd 可変容量圧縮機及びそれへの潤滑油供給方法
US6481979B2 (en) * 2000-12-26 2002-11-19 Visteon Global Technologies, Inc. Lubrication passage and nozzle for swash plate type compressor
JP2002256804A (ja) * 2001-03-06 2002-09-11 Honda Motor Co Ltd 回転式流体機械
US6767524B2 (en) * 2001-11-15 2004-07-27 Bernard Zimmern Process to produce nearly oil free compressed ammonia and system to implement it
US7014428B2 (en) 2002-12-23 2006-03-21 Visteon Global Technologies, Inc. Controls for variable displacement compressor
KR100565012B1 (ko) * 2004-07-01 2006-03-30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밀폐형 압축기
JP2006177187A (ja) * 2004-12-21 2006-07-06 Valeo Thermal Systems Japan Corp 可変斜板式圧縮機
US7181926B2 (en) 2005-05-23 2007-02-27 Visteon Global Technologies, Inc. Oil separator and muffler structure
JP4616090B2 (ja) * 2005-06-29 2011-01-19 株式会社ケーヒン 圧縮機
KR101123743B1 (ko) 2005-08-01 2012-03-15 한라공조주식회사 압축기
CN101321951B (zh) * 2006-01-25 2011-06-08 株式会社丰田自动织机 电动压缩机
JP2007315304A (ja) * 2006-05-26 2007-12-06 Sanden Corp 圧縮機
DE102006038726B4 (de) * 2006-08-11 2011-06-09 Visteon Global Technologies Inc., Van Buren Kältemittelverdichter für Klimaanlagen und Verfahren zur Ölabscheidung und Druckpulsationsdämpfung hierzu
JP2008045523A (ja) * 2006-08-21 2008-02-28 Toyota Industries Corp 可変容量型圧縮機における容量制御構造
JP4973066B2 (ja) * 2006-08-25 2012-07-11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圧縮機及び圧縮機の作動方法
US7520210B2 (en) 2006-09-27 2009-04-21 Visteon Global Technologies, Inc. Oil separator for a fluid displacement apparatus
JP4858409B2 (ja) * 2007-11-05 2012-01-18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可変容量圧縮機
FR2945479B1 (fr) * 2009-05-13 2011-04-29 Renault Sas Boucle de climatisation d'un vehicule automobile comportant une chambre d'expansion de volume.
JP3153200U (ja) * 2009-06-15 2009-08-27 株式会社ヴァレオサーマルシステムズ ピストン型圧縮機
JP5341827B2 (ja) * 2010-06-21 2013-11-13 サンデン株式会社 可変容量圧縮機
JP6127994B2 (ja) * 2014-01-30 2017-05-17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可変容量型斜板式圧縮機
CN104481836A (zh) * 2014-09-26 2015-04-01 付家全 高效率旋转往复柱塞真空泵
DE102015121594A1 (de) * 2015-12-11 2017-06-29 Hanon Systems Vorrichtung zum Abscheiden von Öl eines Kältemittel-Öl-Gemisches in einem Kältemittelkreislauf sowie Anordnung mit der Vorrichtung und einem Wärmeübertrager zum Abkühlen des Öls
CN105863989A (zh) * 2016-05-27 2016-08-17 李晓峰 单向斜盘式压缩机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20537B2 (ja) 1992-02-28 2000-12-25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製作所 往復動型圧縮機
JPH07269485A (ja) 1994-03-31 1995-10-17 Mitsubishi Heavy Ind Ltd 圧縮機
KR100202786B1 (ko) * 1994-04-07 1999-06-15 이소가이 지세이 클러치레스 압축기의 방열구조체
JPH0835485A (ja) 1994-07-25 1996-02-06 Toyota Autom Loom Works Ltd 圧縮機における油回収構造
JP3417067B2 (ja) 1994-07-29 2003-06-16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可変容量型圧縮機
JP3433849B2 (ja) 1994-10-19 2003-08-04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往復動型圧縮機
JPH08284819A (ja) 1995-04-18 1996-10-29 Zexel Corp 揺動板式圧縮機
JP3085514B2 (ja) * 1995-06-08 2000-09-11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製作所 圧縮機
KR0136612Y1 (ko) * 1995-08-17 1999-03-20 구자홍 밀폐형 전동압축기의 흡입소음기
JPH09324758A (ja) * 1996-06-06 1997-12-16 Toyota Autom Loom Works Ltd カムプレート式圧縮機
JPH10213070A (ja) 1997-01-28 1998-08-11 Zexel Corp 冷媒圧縮機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1108B1 (ko) * 2005-11-16 2007-11-30 가부시키가이샤 도요다 지도숏키 차량용 냉동회로의 제어장치, 용량가변형 압축기 및용량가변형 압축기용 제어 밸브
KR100796543B1 (ko) * 2006-01-23 2008-01-21 가부시키가이샤 도요다 지도숏키 압축기의 오일 분리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6174140B1 (en) 2001-01-16
BR9805862A (pt) 1999-12-21
EP0926341A2 (en) 1999-06-30
JP3731329B2 (ja) 2006-01-05
EP0926341A3 (en) 2000-05-03
JPH11182430A (ja) 1999-07-06
CN1221073A (zh) 1999-06-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9990063085A (ko) 압축기의 오일 회수구조
AU730353B1 (en) Internal oil separator for compressors of refrigeration system
EP1347173B1 (en) Lubrication system for swash plate compressor
US5370505A (en) Axial multi-piston compressor with internal lubricating arrangement for shaft seal unit
JPH07332239A (ja) 往復動型圧縮機
KR20070062906A (ko) 냉매 압축기
KR100675547B1 (ko) 피스톤식 압축기
KR100912846B1 (ko) 압축기
CA2174404C (en) Lubricating mechanism for piston type compressor
JP3697782B2 (ja) 圧縮機のマフラ構造
EP0926346A2 (en) Compressor
KR20030040063A (ko) 사판형 압축기
EP1508695B1 (en) Reciprocating compressor
JPH10311277A (ja) 冷媒圧縮機
US5782316A (en) Reciprocating piston variable displacement type compressor improved to distribute lubricating oil sufficiently
US20070177991A1 (en) Oil separation structure in compressor
JP2015148202A (ja) 可変容量型圧縮機
US5380163A (en) Gas guiding mechanism in a piston type compressor
JP2001027177A (ja) 可変容量型斜板式圧縮機
KR101386381B1 (ko) 피스톤형 압축기
JPS59213956A (ja) 圧縮機
JP2007198250A (ja) 往復動型流体機械
JPH08114182A (ja) 往復動型圧縮機
KR101059063B1 (ko) 압축기의 오일분리구조
JP2943181B2 (ja) 圧縮機のオイル分離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