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96543B1 - 압축기의 오일 분리 구조 - Google Patents

압축기의 오일 분리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96543B1
KR100796543B1 KR1020060106354A KR20060106354A KR100796543B1 KR 100796543 B1 KR100796543 B1 KR 100796543B1 KR 1020060106354 A KR1020060106354 A KR 1020060106354A KR 20060106354 A KR20060106354 A KR 20060106354A KR 100796543 B1 KR100796543 B1 KR 1007965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mber
oil separation
muffler
oil
refrigera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063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77432A (ko
Inventor
요시노리 이노우에
나오키 고에다
마사야 사카모토
도모지 다루타니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도요다 지도숏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도요다 지도숏키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도요다 지도숏키
Publication of KR200700774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774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965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965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27/00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 F04B27/08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having cylinders coaxial with, or parallel or inclined to, main shaft axis
    • F04B27/10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having cylinders coaxial with, or parallel or inclined to, main shaft axis having stationary cylinders
    • F04B27/1036Component parts, details, e.g. sealings, lubrication
    • F04B27/109Lubric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27/00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 F04B27/08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having cylinders coaxial with, or parallel or inclined to, main shaft axis
    • F04B27/10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having cylinders coaxial with, or parallel or inclined to, main shaft axis having stationary cylinders
    • F04B27/1036Component parts, details, e.g. sealings, lubrication
    • F04B27/1081Casings, hous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25/00 - F04B37/00
    • F04B39/0027Pulsation and noise damping means
    • F04B39/0055Pulsation and noise damping means with a special shape of fluid passage, e.g. bends, throttles, diameter changes, pipes
    • F04B39/0061Pulsation and noise damping means with a special shape of fluid passage, e.g. bends, throttles, diameter changes, pipes using muffler volum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25/00 - F04B37/00
    • F04B39/0027Pulsation and noise damping means
    • F04B39/0055Pulsation and noise damping means with a special shape of fluid passage, e.g. bends, throttles, diameter changes, pipes
    • F04B39/0072Pulsation and noise damping means with a special shape of fluid passage, e.g. bends, throttles, diameter changes, pipes characterised by assembly or moun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25/00 - F04B37/00
    • F04B39/04Measures to avoid lubricant contaminating the pumped flui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25/00 - F04B37/00
    • F04B39/16Filtration; Moisture separ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3/00Arrangements for separating or purifying gases or liquids; Arrangements for vaporising the residuum of liquid refrigerant, e.g. by heat
    • F25B43/02Arrangements for separating or purifying gases or liquids; Arrangements for vaporising the residuum of liquid refrigerant, e.g. by heat for separating lubricants from the refrigera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10/00Working fluid
    • F05B2210/10Kind or type
    • F05B2210/12Kind or type gaseous, i.e. compressib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10/00Working fluid
    • F05B2210/10Kind or type
    • F05B2210/14Refrigerants with particular properties, e.g. HFC-134a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60/00Function
    • F05B2260/96Preventing, counteracting or reducing vibration or noise
    • F05B2260/962Preventing, counteracting or reducing vibration or noise by means creating "anti-nois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17/00Pum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ompressor (AREA)
  • Applications Or Details Of Rotary Compressors (AREA)

Abstract

(과제) 오일 분리실의 길이를 크게 하여 오일 분리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압축기의 오일 분리 구조를 제공한다.
(해결 수단) 실린더 (11) 에 형성된 대좌 (32; 臺座) 의 상단에는 머플러 형성 부재 (33) 가 평판형상의 밀봉용 가스켓 (34) 을 통하여 연결되어 있다. 대좌 (32) 와 머플러 형성 부재 (33) 에는 오일 분리실 (36) 이 대좌 (32) 로부터 머플러 형성 부재 (33) 에 걸쳐 이어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대좌 (32) 에는 오일 저류실 (37) 이 대좌 (32) 측의 하부 오일 분리실 (361) 에 연통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머플러 형성 부재 (33) 에는 머플러실 (42) 이 형성되어 있다. 머플러실 (42) 은 가스켓 (34) 에 의해 오일 저류실 (37) 로부터 구획되어 있다.

Description

압축기의 오일 분리 구조{OIL SEPARATING STRUCTURE OF A COMPRESSOR}
도 1 은 제 1 실시형태를 나타내고, (a) 는 압축기 전체의 측단면도, (b) 는 부분 확대 측단면도.
도 2 는 도 1(a) 의 A-A 선 단면도.
도 3 은 도 1(b) 의 B-B 선 단면도.
도 4 는 도 3 의 C-C 선 단면도.
도 5 는 도 3 의 D-D 선 단면도.
도 6 은 제 2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압축기
11 : 하우징으로서의 실린더
110 : 외주면
132 : 토출압 영역인 토출실
20 : 실린더 보어
21 : 피스톤
33 : 머플러 형성 부재
34 : 구획으로서의 가스켓
36 : 오일 분리실
361 : 하부 오일 분리실
362 : 상부 오일 분리실
37 : 오일 저류실
40 : 토출 통로
401 : 하부 토출 통로
402 : 상부 토출 통로
403 : 냉매 도입구로서의 출구
41 : 냉매 선회용 관
411 : 냉매 도출구로서의 관구
42 : 머플러실
특허 문헌 1 :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 11-182430 호
본 발명은, 압축기의 오일 분리 구조에 관한 것이다.
특허 문헌 1 에 개시된 압축기에서는, 압축기의 하우징의 일부가 되는 실린더의 외주에 머플러 형성부가 형성되어 있고, 머플러 형성부내에는 제 1 머플러실이 형성되어 있다. 머플러 형성부에는 머플러 커버 (머플러 형성 부재) 가 연 결되어 있고, 머플러 커버내에는 제 2 머플러실이 형성되어 있다. 제 1 머플러 실내에는 선회실이 구획 형성되어 있다. 선회실내에는 통형상의 오일 세퍼레이터가 아래로 늘어뜨려져 형성되어 있다. 피스톤의 왕복 동작에 의해 실린더 보어로부터 토출실로 토출된 냉매는, 토출 통로를 경유하여 제 1 머플러실에 유도된다. 제 1 머플러실에 도입된 냉매는 선회실에 유입되고, 선회실에 유입된 냉매는 선회실의 둘레벽을 따라 선회하면서 하방으로 향한다. 선회실에 유입된 냉매 중의 오일은, 선회실 내에 있어서의 냉매의 선회에 의해 분리되고, 선회실내를 선회한 냉매는, 통형상의 오일 세퍼레이터의 하단으로부터 관내를 통과하여 제 2 머플러실로 유출된다. 선회실내에서 분리된 오일은, 회수 통로를 경유하여 사판을 수용하는 크랭크실내에 공급된다. 크랭크실에 공급된 윤활유는 압축기내의 윤활 필요 부위를 윤활한다.
선회실에 있어서의 오일 분리의 능력을 높이기 위해서는, 선회실의 길이 (머플러 커버측으로부터 실린더측을 향한 길이) 를 크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선회실 (오일 분리실) 은 선회실의 길이를 너무 크게 하면, 실린더의 필요 강도를 확보하는 것이 어려워진다. 그 때문에, 선회실의 길이를 크게 하는 것이 어렵다.
본 발명은, 오일 분리실의 길이를 크게 하여 오일 분리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압축기의 오일 분리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피스톤을 수용하는 실린더 보어로부터 토출된 냉매에 대한 머플러실을 형성하는 머플러 형성 부재가 압축기의 하우징의 둘레면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실린더 보어로부터 토출된 냉매로부터 오일을 분리하는 오일 분리실을 토출압 영역내에 구비한 압축기의 오일 분리 구조를 대상으로 하고, 청구항 1 의 발명은, 상기 오일 분리실이 상기 머플러 형성 부재로부터 상기 하우징에 걸쳐 이어지도록 형성되어 있고, 상기 오일 분리실에 개구되는 냉매 도입구가 상기 머플러 형성 부재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오일 분리실이 하우징과 머플러 형성 부재에 걸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오일 분리실의 길이 (머플러 형성 부재측으로부터 하우징측을 향한 길이) 는, 하우징측에만 오일 분리실을 형성한 경우에 비해 길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오일 분리실에 있어서의 오일 분리 능력이 향상된다.
바람직한 예로는, 상기 오일 분리실의 상기 하우징측에 통하는 오일 저류실이 상기 하우징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오일 저류실은 상기 오일 분리실로부터 상기 하우징의 둘레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오일 저류실이 오일 분리실로부터 하우징의 둘레 방향으로 벗어난 위치에 있기 때문에, 오일 분리실에 있어서의 오일면 높이가 오일 분리실의 오일 분리 효율에 악영향을 미치는 것이 방지된다.
바람직한 예로는, 상기 하우징과 상기 머플러 형성 부재 사이에는 밀봉용 구획체가 개재되어 있고, 상기 오일 분리실은 상기 구획체를 관통하고 있고, 상기 오일 분리실에 개구되는 냉매 도출구가 상기 머플러 형성 부재측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머플러실은 상기 냉매 도출구에 통하고 있고, 상기 머플러실과 상기 오일 저류실은 상기 구획체에 의해 구획되어 있다.
하우징과 머플러 형성 부재 사이에 개재되는 밀봉용 구획체에 의해 머플러실과 오일 저류실을 구획하는 구성은, 머플러실과 오일 저류실을 구획하기 위한 전용 부재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바람직한 예로는, 상기 실린더 보어로부터 토출된 냉매의 토출 통로는, 상기 하우징내로부터 상기 구획체를 관통하여 상기 냉매 도입구에 이른다.
구획체는, 토출 통로내의 냉매가 하우징과 머플러 형성 부재 사이에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한다.
바람직한 예로는, 상기 머플러 형성 부재에는 냉매 선회용 관이 상기 머플러 형성 부재측으로부터 상기 하우징측을 향하여 상기 오일 분리실내에 돌입하도록 형성되어 있고, 상기 냉매 도출구는 상기 냉매 선회용 관의 상기 하우징측을 향한 관구이다.
오일 분리실에 도입된 냉매는, 냉매 선회용 관의 하우징측을 향한 관구로부터 냉매 선회용 관의 관내를 경유하여 머플러실에 유출된다. 오일 분리실에 도입된 냉매를 오일 분리실내에서 선회시키면 오일 분리 능력이 향상된다. 냉매 선회용 관은 오일 분리실내에서의 냉매의 선회를 용이하게 하는데, 냉매 선회용 관이 길수록 오일 분리 능력이 향상된다. 하우징측에만 형성된 오일 분리실보다 길게 할 수 있는 본 발명의 오일 분리실은, 냉매 선회용 관을 길게 하는데 있어서 유리하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이하, 고정 용량형의 피스톤식 압축기에 본 발명을 구체화한 제 1 실시형태를 도 1∼도 5 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1(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린더 (11) 에는 전방 하우징 (12) 및 후방 하우징 (13) 이 연결되어 있다. 후방 하우징 (13) 에는 흡입실 (131) 및 토출실 (132) 이 형성되어 있다. 실린더 (11), 전방 하우징 (12) 및 후방 하우징 (13) 은 압축기 (10) 의 전체 하우징을 구성한다.
실린더 (11) 와 전방 하우징 (12) 에는 회전축 (14) 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회전축 (14) 은, 실린더 (11) 와 전방 하우징 (12) 에 관통되어 형성된 축 구멍 (111, 121) 에 삽입 통과되어 있다. 회전축 (14) 은, 축 구멍 (111, 121) 에 형성된 레이디얼 베어링 (18, 19) 을 통하여 실린더 (11) 와 전방 하우징 (12) 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회전축 (14) 에는 사판 (16) 이 고착되어 있다. 캠체인 사판 (16) 은 캠실 (17) 에 수용되어 있다. 사판 (16) 은, 압축 스프링 (43) 의 스프링력에 의해 전방 하우징 (12) 과 사판 (16) 사이의 스러스트 베어링 (44) 에 압접되어 있다. 압축 스프링 (43) 의 스프링력은 회전축 (14) 의 축방향으로의 덜컥거림을 억제한다.
전방 하우징 (12) 과 회전축 (14) 사이에는 립시일(lip seal)형의 축밀봉 장치 (15) 가 개재되어 있다. 축밀봉 장치 (15) 를 수용하는 수용실 (45) 은 캠실 (17) 에 연통하고 있다. 축밀봉 장치 (15) 는, 회전축 (14) 의 둘레면과 전 방 하우징 (12) 사이에서의 냉매 누설을 방지한다.
캠실 (17) 은, 전방 하우징 (12) 에 형성된 흡입 구멍 (122) 을 통하여 외부 냉매 회로 (28) 에 통해 있다. 외부 냉매 회로 (28) 상에는, 냉매로부터 열을 빼앗기 위한 열교환기 (29), 팽창 밸브 (30) 및 주위의 열을 냉매로 옮기기 위한 열교환기 (31) 가 개재되어 있다.
실린더 (11) 에는 복수의 실린더 보어 (20;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5 개) 가 회전축 (14) 의 주위에 배열 형성되어 있다. 실린더 보어 (20) 에는 피스톤 (21) 이 수용되어 있다.
회전축 (14) 과 일체적으로 회전하는 사판 (16) 의 회전 운동은, 도 1(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사판 (16) 에 슬라이딩하여 접하는 슈 (22) 를 통하여 피스톤 (21) 에 전달되고, 피스톤 (21) 이 실린더 보어 (20) 내를 전후로 왕복동한다. 즉, 피스톤 (21) 은 회전축 (14) 에 일체적으로 연결된 사판 (16) 을 통하여 회전축 (14) 의 회전에 연동되어 있다. 피스톤 (21) 은 실린더 보어 (20) 내에 압축실 (201) 을 구획한다.
실린더 (11) 와 후방 하우징 (13) 사이에는 밸브 플레이트 (23), 밸브 형성 플레이트 (24, 25) 및 리테이너 형성 플레이트 (26) 가 개재되어 있다. 밸브 플레이트 (23), 밸브 형성 플레이트 (25) 및 리테이너 형성 플레이트 (26) 에는 흡입 포트 (231) 가 형성되어 있다. 밸브 플레이트 (23) 및 밸브 형성 플레이트 (24) 에는 토출 포트 (232) 가 형성되어 있다. 밸브 형성 플레이트 (24) 에는 휨 변형되는 흡입 밸브 (241) 가 형성되어 있고, 밸브 형성 플레이트 (25) 에는 휨 변형되는 토출 밸브 (251) 가 형성되어 있다. 흡입 밸브 (241) 는 흡입 포트 (231) 를 개폐하고, 토출 밸브 (251) 는 토출 포트 (232) 를 개폐한다. 리테이너 형성 플레이트 (26) 에는 리테이너 (261) 가 형성되어 있다. 리테이너 (261) 는 토출 밸브 (251) 의 개방도를 규제한다.
회전축 (14) 내에는 축내 통로 (142) 가 형성되어 있다. 축내 통로 (142) 는, 밸브 플레이트 (23) 를 관통하는 통과구 (46) 를 통하여 흡입실 (131) 에 연통하고 있다.
회전축 (14) 에는 도입 구멍 (27) 이 축내 통로 (142) 에 연통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도입 구멍 (27) 의 입구는 사판 (16) 과 실린더 (11) 사이에 있다. 캠실 (17) 내의 가스상 냉매는 도입 구멍 (27) 을 경유하여 축내 통로 (142) 에 유입된다. 축내 통로 (142) 내의 냉매는 흡입실 (131) 에 유입된다.
실린더 보어 (20) 가 흡입 행정의 상태 (즉, 피스톤 (21) 이 도 1(a) 의 우측에서 좌측으로 이동하는 행정) 에 있을 때에는, 흡입실 (131) 내의 냉매가 흡입 밸브 (241) 를 밀어내고 흡입 포트 (231) 로부터 실린더 보어 (20; 압축실 (201)) 로 흡입된다. 실린더 보어 (20) 가 토출 행정의 상태 (즉, 피스톤 (21) 이 도 1(a) 의 좌측에서 우측으로 이동하는 행정) 에 있을 때에는, 실린더 보어 (20; 압축실 (201)) 내의 가스상 냉매가 토출 포트 (232) 로부터 토출 밸브 (251) 를 밀어내고 토출실 (132) 에 토출된다. 스러스트 베어링 (44) 은, 실린더 보어 (20) 로부터 피스톤 (21) 및 슈 (22) 를 통하여 사판 (16) 에 작용하는 토출 반력을 흡수한다.
압축기 (10) 의 전체 하우징의 일부인 실린더 (11) 의 상부측의 외주면 (110) 에는 대좌 (32) 가 일체적으로 상승하여 형성되어 있다. 도 1(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대좌 (32) 의 상단은 평평하게 되어 있고, 대좌 (32) 의 상단에는 머플러 형성 부재 (33) 가 평판형상의 밀봉용 가스켓 (34) 을 통하여 연결되어 있다.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머플러 형성 부재 (33) 및 가스켓 (34) 은, 나사 (35) 에 의해 대좌 (32) 에 함께 조여져 고정되어 있다.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대좌 (32) 측 (실린더 (11) 측) 에는 하부 오일 분리실 (361) 이 형성되어 있고, 머플러 형성 부재 (33) 측에는 상부 오일 분리실 (362) 이 하부 오일 분리실 (361) 에 이어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즉, 대좌 (32) 와 머플러 형성 부재 (33) 에는 하부 오일 분리실 (361) 및 상부 오일 분리실 (362) 로 이루어지는 오일 분리실 (36) 이 대좌 (32) 로부터 머플러 형성 부재 (33) 에 걸쳐서 이어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오일 분리실 (36) 은, 원주면 형상의 둘레벽면 (363) 을 가지는 원통내 형상을 하고 있고, 둘레벽면 (363) 의 축선 방향은 가스켓 (34) 에 대해 수직인 방향이다.
대좌 (32) 측 (실린더 (11) 측) 의 하부 오일 분리실 (361) 은, 최상위의 실린더 보어 (20) 와 이웃하는 실린더 보어 (20; 도 3 에 있어서 왼쪽옆) 사이의 좁은 틈 상방에 형성되어 있다. 대좌 (32) 에는 오일 저류실 (37) 이 대좌 (32) 측 (실린더 (11) 측) 의 하부 오일 분리실 (361) 에 연통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오일 저류실 (37) 의 바닥부는, 최상위의 실린더 보어 (20) 와 이웃하는 실린더 보어 (20; 도 3 에 있어서 오른쪽옆) 사이의 좁은 틈 상방에 형성되어 있다. 즉, 오일 저류실 (37) 은, 오일 분리실 (36) 로부터 실린더 (11) 의 둘레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도 1(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오일 저류실 (37) 은 오일 공급 통로 (112) 를 통하여 캠실 (17) 에 연통하고 있다. 오일 공급 통로 (112) 의 입구는 오일 저류실 (37) 의 바닥에 형성되어 있다.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오일 저류실 (37) 은 대좌 (32) 에 일체 형성된 원호형상의 격벽 (38) 에 의해 하부 오일 분리실 (361) 로부터 구획되어 있다. 오일 저류실 (37) 은, 원호형상의 격벽 (38) 의 종단측 연락구 (39) 를 통하여 하부 오일 분리실 (361) 에 연통하고 있다.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연락구 (39) 는 하부 오일 분리실 (361) 의 바닥보다 높은 위치에 있다.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대좌 (32) 에는 하부 토출 통로 (401) 가 형성되어 있다. 하부 토출 통로 (401) 는 토출실 (132) 에 연통하고 있다. 머플러 형성 부재 (33) 에는 상부 토출 통로 (402) 가 하부 토출 통로 (401) 에 연통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즉, 가스켓 (34) 을 관통하는 상부 토출 통로 (402) 및 하부 토출 통로 (401) 로 이루어지는 토출 통로 (40) 가 대좌 (32) 로부터 머플러 형성 부재 (33) 에 걸쳐 이어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부 토출 통로 (402) 의 출구 (403) 는, 머플러 형성 부재 (33) 측의 상부 오일 분리실 (362) 의 둘레벽면에서 상부 오일 분리실 (362) 을 향해 개구되어 있다.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출구 (403) 는 압축기 (10) 의 위에서 볼 때 (오일 분리실 (36) 의 길이 방향에서 볼 때) 화살표 R 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 부 오일 분리실 (362) 의 둘레벽면 (363) 을 지향하고 있다. 토출실 (132) 의 가스상 냉매는 토출 통로 (40) 를 경유하여 상부 오일 분리실 (362) 에 도입된다. 상부 토출 통로 (402) 로부터 냉매 도입구로서의 출구 (403) 를 경유하여 오일 분리실 (36) 에 도입되는 냉매는, 압축기 (10) 의 위에서 볼 때 왼쪽 둘레에 오일 분리실 (36) 내를 선회한다.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머플러 형성 부재 (33) 에는 냉매 선회용 관 (41) 이 머플러 형성 부재 (33) 측으로부터 대좌 (32) 측을 향하여 상부 오일 분리실 (362) 내에 돌출되도록 일체 형성되어 있다. 냉매 선회용 관 (41) 의 하단의 관구 (411) 는, 토출 통로 (40) 의 출구 (403) 보다 낮은 위치에서 상부 오일 분리실 (362) 을 향해 개구되어 있다.
머플러 형성 부재 (33) 에는 머플러실 (42) 이 냉매 선회용 관 (41) 의 관내 통로 (412) 에 연통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머플러실 (42) 은, 구획체로서의 가스켓 (34) 에 의해 오일 저류실 (37) 로부터 구획되어 있다.
토출압 영역인 토출실 (132) 에 토출된 냉매는, 토출압 영역인 토출 통로 (40), 냉매 도입구로서의 출구 (403), 토출압 영역인 오일 분리실 (36), 냉매 도출구로서의 관구 (411), 냉매 선회용 관 (41) 의 관내 통로 (412), 및 토출압 영역인 머플러실 (42) 를 경유하여 외부 냉매 회로 (28) 에 유출된다. 외부 냉매 회로 (28) 에 유출된 냉매는 흡입압 영역인 캠실 (17) 로 환류된다.
압축기 (10) 및 외부 냉매 회로 (28) 로 이루어지는 회로내에는 오일이 들어 있고, 이 오일은 냉매와 함께 유동한다. 토출 통로 (40) 의 출구 (403) 로부터 오일 분리실 (36) 에 유입된 냉매는, 오일 분리실 (36) 의 둘레벽면 (363) 을 따라 화살표 R 방향으로 선회하면서 오일 분리실 (36) 의 바닥을 향해 냉매와 함께 유동하는 미스트상 오일이 분리된다. 냉매로부터 분리된 오일은 연락구 (39) 를 통과하여 오일 저류실 (37) 로 옮겨진다. 냉매로부터 분리된 오일은, 오일 저류실 (37) 에 저류되고, 오일 저류실 (37) 에 저류된 오일은 오일 공급 통로 (112) 를 경유하여 캠실 (17) 에 공급된다. 캠실 (17) 에 공급된 오일은, 캠실 (17) 내의 윤활 필요 부위 (사판 (16) 과 슈 (22) 의 슬라이딩 접촉부, 축밀봉 장치 (15), 레이디얼 베어링 (18, 19), 스러스트 베어링 (44) 등) 를 윤활한다.
제 1 실시형태에서는 이하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1) 오일 분리실 (36) 의 길이 (머플러 형성 부재 (33) 측으로부터 실린더 (11) 측을 향한 길이) 가 길수록, 오일 분리실 (36) 내에서 냉매가 선회했을 때의 선회 거리가 길어지고, 오일 분리실 (36) 에 있어서의 오일 분리 능력이 향상된다. 오일 분리실 (36) 이 압축기 (10) 의 전체 하우징의 일부인 실린더 (11) 와 머플러 형성 부재 (33) 에 걸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오일 분리실 (36) 의 길이는 대좌 (32) 측 (실린더 (11) 측) 에만 오일 분리실을 형성한 경우에 비해 길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오일 분리실 (36) 에 있어서의 오일 분리 능력이 향상된다.
(2) 오일 저류실이 오일 분리실 (36) 의 하측에 있다고 가정하면, 분리된 오일이 오일 분리실 (36) 에도 많이 저류되게 되어, 오일 분리실 (36) 에 있어서의 용적이 저류 오일에 의해 크게 감소되어 버린다. 그러면, 오일 분리실 (36) 의 실질적인 길이 (머플러 형성 부재 (33) 측으로부터 실린더 (11) 측을 향한 길이) 가 짧아져 버려, 오일 분리실 (36) 에 있어서의 오일 분리 능력이 크게 저하된다.
오일 저류실 (37) 은, 오일 분리실 (36) 로부터 실린더 (11) 의 둘레 방향으로 벗어난 위치에 있기 때문에, 오일 분리실 (36) 의 용적이 저류 오일에 의해 크게 감소되는 것이 방지된다.
(3) 가스켓 (34) 이외의 부재로 오일 저류실 (37) 과 머플러실 (42) 을 구획하고자 하면, 부품 점수가 증가하여 압축기의 비용이 증가한다. 가스켓 (34) 은, 실린더 (11; 대좌 (32)) 와 머플러 형성 부재 (33) 의 접합부로부터의 냉매 누설을 방지하는데 있어서 필요한 부재이며, 냉매 누설 방지에 필요한 부재로서 사용되는 가스켓 (34) 에 의해 머플러실 (42) 과 오일 저류실 (37) 을 구획하는 구성은 부품 점수의 저감을 가져온다.
(4) 토출 통로 (40) 는, 가스켓 (34) 을 관통하여 오일 분리실 (36) 에 이어져 있다. 가스켓 (34) 을 관통하도록 토출 통로 (40) 을 형성한 구성은, 토출 통로 (40) 내의 냉매가 실린더 (11; 대좌 (32)) 와 머플러 형성 부재 (33) 의 접합부로부터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는데 있어 간편한 구성이다.
(5) 오일 분리실 (36) 에 도입된 냉매가 오일 분리실 (36) 내에서 선회하는 거리가 길수록 오일 분리 능력이 높아진다. 냉매 선회용 관 (41) 은, 오일 분리실 (36) 내에서의 냉매의 선회를 용이하게 하여 선회 거리를 길게 하는데, 냉매 선회용 관 (41) 이 길수록 냉매가 오일 분리실 (36) 내에서 선회하는 거리가 길어진다. 실린더 (11) 에만 형성된 오일 분리실보다 길게 할 수 있는 오일 분리실 (36) 은, 냉매 선회용 관 (41) 을 길게 하는데 있어서 유리하다.
본 발명에서는 이하와 같은 실시형태도 가능하다.
○ 도 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린더 (11) 측의 하부 오일 분리실 (361) 과 오일 저류실 (37) 을 실린더 (11) 내에서 구획하고, 실린더 (11) 의 밸브 형성 플레이트 (24; 도 1(a) 참조) 및 밸브 플레이트 (23; 도 1(a) 참조) 에 형성된 연통로 (233) 를 통하여 하부 오일 분리실 (361) 의 바닥부와 오일 저류실 (37) 을 연통하도록 해도 된다.
○ 도 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냉매 선회용 관 (41) 의 관끝이 하부 오일 분리실 (361) 내까지 들어가도록 해도 된다.
○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오일 저류실 (37) 을 없애고, 하부 오일 분리실 (361) 의 바닥부를 오일 저류실로 해도 된다.
○ 오일 저류실 (37) 과 머플러실 (42) 을 가스켓 (34) 이외의 부재로 구획해도 된다.
○ 냉매 선회용 관 (41) 을 머플러 형성 부재 (33) 와는 별체로 형성해도 된다.
○ 전방 하우징 (12) 의 외주에 머플러 형성 부재를 연결하고, 머플러 형성 부재로부터 전방 하우징 (12) 에 걸친 오일 분리실을 형성해도 된다.
○ 실린더 (11) 와 전방 하우징 (12) 에 걸치도록 머플러 형성 부재를 형성해도 된다.
○ 실린더 (11) 와 후방 하우징 (13) 에 걸치도록 머플러 형성 부재를 형성해도 된다.
○ 오일 저류실 (37) 의 오일을 흡입실 (131) 에 직접 공급하도록 해도 된다.
○ 머플러실 (42) 을 토출 통로 (40) 와 오일 분리실 (36) 사이에 형성하고, 오일 분리실 (36) 로부터 머플러실을 경유하지 않고 외부 냉매 회로 (28) 에 냉매를 유출시키도록 해도 된다.
○ 외부 냉매 회로 (28) 로부터 흡입실 (131) 에 직접 냉매를 도입하는 압축기에 본 발명을 적용해도 된다.
○ 사판 형상의 캠체를 구비한 피스톤식 압축기에 본 발명을 적용해도 된다.
○ 특허 문헌 1 에 개시된 가변 용량형 피스톤식 압축기에 본 발명을 적용해도 된다.
상기 실시형태에서 파악할 수 있는 기술적 사상에 대해 이하에 기재한다.
〔1〕상기 하우징측의 오일 분리실의 바닥부는, 상기 하우징의 상부측에 있어서 그 하우징의 둘레 방향으로 서로 이웃하는 한쌍의 실린더 보어의 좁은 틈 상방에 있고, 상기 오일 저류실의 바닥부는 상기 좁은 틈과 서로 이웃하는 다른 좁은 틈 상방에 있는 제 2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압축기의 오일 분리 구조.
오일 분리실에 있어서의 오일면 높이가 오일 저류실의 존재에 의해 높아져 버리는 경우는 없다.
본 발명은, 오일 분리실의 길이를 크게 하여 오일 분리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우수한 효과를 나타낸다.

Claims (5)

  1. 피스톤을 수용하는 실린더 보어로부터 토출된 냉매에 대한 머플러실을 형성하는 머플러 형성 부재가 압축기의 하우징의 외주면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실린더 보어로부터 토출된 냉매로부터 오일을 분리하는 오일 분리실을 토출압 영역내에 구비한 압축기의 오일 분리 구조에 있어서,
    상기 오일 분리실이 상기 머플러 형성 부재로부터 상기 하우징에 걸쳐 이어지도록 형성되어 있고, 상기 오일 분리실에 개구되는 냉매 도입구가 상기 머플러 형성 부재에 형성되어 있는 압축기의 오일 분리 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측의 상기 오일 분리실에 통하는 오일 저류실이 상기 하우징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오일 저류실은, 상기 오일 분리실로부터 상기 하우징의 둘레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압축기의 오일 분리 구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과 상기 머플러 형성 부재 사이에는 밀봉용의 구획체가 개재되어 있고, 상기 오일 분리실은 상기 구획체를 관통해 있고, 상기 오일 분리실에 개구되는 냉매 도출구가 상기 머플러 형성 부재측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머플러실은 상기 냉매 도출구에 통해 있고, 상기 머플러실과 상기 오일 저류실은 상기 구획체에 의해 구획되어 있는 압축기의 오일 분리 구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 보어로부터 토출된 냉매의 토출 통로는, 상기 하우징내로부터 상기 구획체를 관통하여 상기 냉매 도입구에 이르는 압축기의 오일 분리 구조.
  5. 제 3 항 또는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머플러 형성 부재에는 냉매 선회용 관이 상기 머플러 형성 부재측으로부터 상기 하우징측을 향하여 상기 오일 분리실내에 돌입하도록 형성되어 있고, 상기 냉매 도출구는, 상기 냉매 선회용 관의 상기 하우징측을 향한 관구인 압축기의 오일 분리 구조.
KR1020060106354A 2006-01-23 2006-10-31 압축기의 오일 분리 구조 KR10079654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6-00013690 2006-01-23
JP2006013690A JP4730107B2 (ja) 2006-01-23 2006-01-23 圧縮機における油分離構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77432A KR20070077432A (ko) 2007-07-26
KR100796543B1 true KR100796543B1 (ko) 2008-01-21

Family

ID=379461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06354A KR100796543B1 (ko) 2006-01-23 2006-10-31 압축기의 오일 분리 구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070177991A1 (ko)
EP (1) EP1811174A3 (ko)
JP (1) JP4730107B2 (ko)
KR (1) KR100796543B1 (ko)
CN (1) CN100585179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858409B2 (ja) * 2007-11-05 2012-01-18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可変容量圧縮機
JP5324893B2 (ja) * 2008-11-18 2013-10-23 サンデン株式会社 圧縮機の弁板装置
DE102011108372A1 (de) 2011-07-22 2013-01-24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Schalldämpfung in einem Kältemittelkreislauf
KR102012372B1 (ko) * 2014-09-12 2019-08-20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스크롤 압축기의 오일 분리장치
KR20200086068A (ko) * 2019-01-08 2020-07-16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압축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63085A (ko) * 1997-12-24 1999-07-26 이소가이 지세이 압축기의 오일 회수구조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02786B1 (ko) * 1994-04-07 1999-06-15 이소가이 지세이 클러치레스 압축기의 방열구조체
JP3085514B2 (ja) * 1995-06-08 2000-09-11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製作所 圧縮機
JPH09324758A (ja) * 1996-06-06 1997-12-16 Toyota Autom Loom Works Ltd カムプレート式圧縮機
JP3608299B2 (ja) * 1996-07-09 2005-01-05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両頭ピストン式圧縮機
JPH10196540A (ja) * 1997-01-10 1998-07-31 Toyota Autom Loom Works Ltd 圧縮機
JPH10213070A (ja) * 1997-01-28 1998-08-11 Zexel Corp 冷媒圧縮機
JP2004036583A (ja) * 2002-07-05 2004-02-05 Denso Corp 圧縮機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63085A (ko) * 1997-12-24 1999-07-26 이소가이 지세이 압축기의 오일 회수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811174A2 (en) 2007-07-25
US20070177991A1 (en) 2007-08-02
JP2007192200A (ja) 2007-08-02
CN101092951A (zh) 2007-12-26
CN100585179C (zh) 2010-01-27
EP1811174A3 (en) 2011-02-02
KR20070077432A (ko) 2007-07-26
JP4730107B2 (ja) 2011-07-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12292B1 (ko) 압축기
JP2006083835A (ja) ピストン式圧縮機
KR20010066749A (ko) 압축기 내장형 오일분리기
KR100675547B1 (ko) 피스톤식 압축기
KR100796543B1 (ko) 압축기의 오일 분리 구조
KR20040071579A (ko) 압축기에 있어서의 윤활구조
WO2007077856A1 (ja) 圧縮機
US7811066B2 (en) Double-headed piston type compressor
KR101730830B1 (ko) 압축기
EP1508695B1 (en) Reciprocating compressor
US6862975B2 (en) Apparatus for lubricating piston type compressor
US8197229B2 (en) Double-headed piston type compressor
KR20070111967A (ko) 압축기
KR100594334B1 (ko) 고정용량형 피스톤식 압축기에 있어서의 윤활구조
KR100235511B1 (ko) 양두 피스톤식 압축기
KR100818574B1 (ko) 압축기에서의 오일 회수 구조
US20030146053A1 (en) Lubricating structure in piston type compressor
EP1772627B1 (en) A sealing system for a compressor
JP2006291750A (ja) ピストン式圧縮機
JP2009108750A (ja) ピストン型圧縮機
JP2000027756A (ja) 圧縮機
KR20080107612A (ko) 압축기
JP2000045938A (ja) 圧縮機
JPH09209928A (ja) 斜板式圧縮機
KR20030052969A (ko) 피스톤식 압축기의 윤활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22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