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44968A - 데이터 송수신방법 및 장치, 데이터 수신장치 및 데이터 송신장치 - Google Patents

데이터 송수신방법 및 장치, 데이터 수신장치 및 데이터 송신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44968A
KR19990044968A KR1019980046918A KR19980046918A KR19990044968A KR 19990044968 A KR19990044968 A KR 19990044968A KR 1019980046918 A KR1019980046918 A KR 1019980046918A KR 19980046918 A KR19980046918 A KR 19980046918A KR 19990044968 A KR19990044968 A KR 199900449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user
unit
transmitting
stor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469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73032B1 (ko
Inventor
기쎄이 마츠모토
Original Assignee
이데이 노부유끼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데이 노부유끼,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이데이 노부유끼
Publication of KR199900449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449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730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73032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0Payment architectur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funds transfer [EFT]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ome banking systems
    • G06Q20/102Bill distribution or pay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6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applications with a direct linking to broadcast information or broadcast space-time; Broadcast-related systems
    • H04H60/25Arrangements for updating broadcast information or broadcast-related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1/00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 H04M11/08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optional reception of entertainment or informative matt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6Analogue secrecy systems; Analogue subscription systems
    • H04N7/173Analogue secrecy systems; Analogue subscription systems with two-way working, e.g. subscriber sending a programme selection signal
    • H04N7/17309Transmission or handling of upstream communications
    • H04N7/17318Direct or substantially direct transmission and handling of reques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6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applications with a direct linking to broadcast information or broadcast space-time; Broadcast-related systems
    • H04H60/09Arrangements for device control with a direct linkage to broadcast information or to broadcast space-time; Arrangements for control of broadcast-related services
    • H04H60/14Arrangements for conditional access to broadcast information or to broadcast-related services
    • H04H60/21Billing for the use of broadcast information or broadcast-related information
    • H04H60/22Billing for the use of broadcast information or broadcast-related information per us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6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applications with a direct linking to broadcast information or broadcast space-time; Broadcast-related systems
    • H04H60/35Arrangements for identifying or recognising characteristics with a direct linkage to broadcast information or to broadcast space-time, e.g. for identifying broadcast stations or for identifying users
    • H04H60/47Arrangements for identifying or recognising characteristics with a direct linkage to broadcast information or to broadcast space-time, e.g. for identifying broadcast stations or for identifying users for recognising genr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6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applications with a direct linking to broadcast information or broadcast space-time; Broadcast-related systems
    • H04H60/61Arrangements for services using the result of monitoring, identification or recognition covered by groups H04H60/29-H04H60/54
    • H04H60/66Arrangements for services using the result of monitoring, identification or recognition covered by groups H04H60/29-H04H60/54 for using the result on distributors' sid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6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applications with a direct linking to broadcast information or broadcast space-time; Broadcast-related systems
    • H04H60/68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ing specific information, e.g. geographical or meteorological information
    • H04H60/73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ing specific information, e.g. geographical or meteorological information using meta-information
    • H04H60/7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ing specific information, e.g. geographical or meteorological information using meta-information using programme related information, e.g. title, composer or interpreter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ina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Reverberation, Karaoke And Other Acoustics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Communication Control (AREA)
  • Computer And Data Communication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 1기억부에 저장되어 있는 다수의 데이터가 호스트측 장치로부터 공급된 리퀘스트정보에 기초해서 검색되어지는 음악데이터 등의 데이터 송수신방법에 관한 것이다. 검색된 데이터는 단말측 장치로 송신된다. 그 송신 데이터를 검출하게 되면, 송신 데이터가 제 1기억부에 새롭게 저장된 데이터인지 여부를 알 수 있게 된다. 만일 검출결과 송신데이터가 제 1기억부에 새롭게 저장되는 데이터일 경우, 송신 데이터는 단말측 장치의 제 2기억부에 저장된다.

Description

데이터 송수신방법 및 장치, 데이터 수신장치 및 데이터 송신장치(Data sending/receiving method and apparatus, data receiving apparatus and data sending apparatus)
본 발명은 데이터 송수신방법 및 장치, 데이터 수신장치와 데이터 송신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별히, 본 발명은 데이터를 송수신 하도록 구성된 데이터 송수신방법 및 장치와, 데이터 수신장치 및 데이터 송신장치에 관한 것이다.
영상신호나 음성신호의 압축기술이나 방송 또는 통신분야에서의 디지털 신호 처리기술이 향상됨으로써, 소위 VOD(video on demand)나 MOD(music on demand) 등과 같은 디지털 데이터의 배급 서비스를 실현할 수 있게 되었다.
현재까지는, 디지털데이터를 공급하는 서비스형태의 일례로써는, 소위 푸쉬(push)식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으며, 이러한 유형의 서비스에서는 수신측이 인터넷을 통해 특정 장르를 호스트측에 지정하고, 호스트측은 그 장르에 해당하는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검색한 후, 그 검색된 데이터를 수신측으로 차례로 전송한다.
그러나, 종래의 데이터 송수신 시스템의 경우에는, 예를 들어 발매하고 있거나 최근에 공개된 신정보의 데이터를 수신측에서 자동적으로 다운로드하는 시스템은 현재 부족한 상태이다. 예를 들어 종래의 MOD 시스템의 경우는, 새로운 악보(new music number)에 관한 데이터를 수신측에 다운로드하는 시스템이 부족하다. 종래의 MOD 시스템의 경우, 수신측에서 새로운 악보 데이터의 저품질 재생과 고품질 재생 사이에서 전환할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이 부족하다. 또한, 종래의 MOD 시스템은 사용자가 데이터 획득에 대해 획일적으로 비용을 납부하게 되는 시스템이다. 반면, 새로운 악보의 일부를 시험적으로 들어보고 사용자가 사용자의 기호에 적합한 새로운 악보에 대한 비용만을 납부하여 그 새로운 악보에 대한 데이터를 전체적으로 취득하게 되는 시스템은 알려져 있지 않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는 데이터 송수신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는 데이터 송수신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는 데이터 수신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는 데이터 송신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을 적용한 데이터 송수신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휴대 단말장치를 데이터 중계장치에 장착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데이터 송수신 시스템의 회로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는 데이터 송신장치에서 데이터 수신장치로 송신되는 데이터의 포맷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휴대단말장치에서 데이터 송신장치로 송신된 리퀘스트정보의 데이터 지정정보에 새로운 악보 데이터의 지정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 데이터 송신장치, 데이터 중계장치 및 휴대단말장치에 의한 처리를 설명하고, 데이터 송신장치에 의해 데이터 수신장치 측으로 전송되는 새로운 악보 데이터의 음질을 전환하는 일례를 설명하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6은 데이터 송신장치가 푸쉬식 서비스를 행하는 경우, 데이터 송신장치, 데이터 중계장치 및 휴대 단말장치의 처리내용을 나타낸 플로우차트이다.
도 7은 하드디스크 드라이브의 하드디스크에 저장되어 있는 음악데이터에 대해 과금플래그(accounting flag)를 세트하는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휴대단말장치 내의 하드디스크에 기록되어 있는 새로운 악보 데이터를 재생하는 경우를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도 9는 휴대단말장치에 있어서 하드디스크에 기록되어 있는 새로운 악보 데이터를 재생하는 경우의 처리내용을 나타낸 플로우차트이다.
도 10은 데이터 중계장치를 이용하지 않고, 데이터 송신장치와 액세스하는 휴대단말장치를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도 11은 데이터 중계장치의 다른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 데이터 송수신 시스템 2. 데이터 송신장치
3. 통신망 4. 데이터 수신장치
5. 데이터 중계장치 6. 휴대단말장치
7. 장착부 10. 과금통신망
11. 인터페이스부 12. 하드디스크 어레이
13. 검색처리부 14. 과금처리부
15. 제어기 22,32. 하드디스크 드라이브
25. 조작입력부 25a. 조작버튼
26. 표시부 27,31. 인터페이스부
30. 버스 35. 조작입력부
35a∼35d. 조작버튼 36. 표시부
38. 데이터 신장부 41. D/A제어기
43. 스피커 44. 헤드폰
본 발명에 의하면, 다수의 데이터를 메모리에 수용하고 있는 제 1기억부와, 제 1기억부에 기억되어 있는 데이터를 검색하기 위한 검색부와, 검색부에 의해 검색된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한 제 1송수신부와, 상기 제 1송수신부로부터 송신된 데이터를 수신하고 사용자로부터의 리퀘스트(request) 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제 2송수신부와를 포함하는 데이터 송수신장치가 제공된다. 제 1송수신부는 사용자로부터 송신된 리퀘스트정보를 수신하고, 그 수신된 리퀘스트정보를 검색부로 공급한다. 제 2송수신부는 제 1송수신부로부터 송신된 데이터가 제 1기억부에 새롭게 저장된 데이터인지 여부를 체크하기 위한 검출부와, 만일 검출부의 체크결과 그 데이터가 제 1기억부에 저장되는 데이터임을 나타낸 경우 제 1송수신부로부터 송신된 데이터를 저장하는 제 2기억부와를 갖추어 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호스트측 장치로부터 송신된 데이터를 수신하고 사용자로부터의 리퀘스트정보를 호스트측 장치로 송신하는 송수신부와, 상기 송수신부에 의해 송신된 수신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기억부와, 상기 송신데이터가 호스트측 장치에 새롭게 저장되는 데이터인지 여부를 체크하기 위한 제어기와를 갖추어 구성되는 데이터 수신장치가 제공되며, 상기 제어기는 만일 체크결과 송신데이터가 호스트측 장치에 새롭게 저장되는 데이터라고 판정하는 경우 상기 송신데이터를 기억부에 저장하도록 제어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호스트측 장치로 송신된 사용자로부터의 리퀘스트정보에 기초해서 제 1기억부에 기억되어 있는 다수의 데이터를 검색하는 단계와, 상기 검색된 데이터를 단말기측 장치로 송신하는 단계와, 상기 송신데이터가 제 1기억부에 새롭게 기억되는 데이터인지를 체크하는 단계와, 판별결과 상기 송신데이터가 제 1기억부에 새롭게 저장되는 데이터라고 판별되는 경우 상기 송신데이터를 단말기측 장치의 제 2기억부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송수신방법이 또한 제공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다수의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는 기억부와, 단말기측 장치로부터 송신되는 사용자의 비용납부 의사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포함하는 사용자로부터의 리퀘스트정보에 기초해서, 기억부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를 검색하는 검색부와, 상기 검색부에 의해 검색된 데이터를 송신하는 송수신부와를 포함하여 구성된 데이터 송신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송수신부는 사용자로부터 공급된 리퀘스트정보를 수신하여 그 수신정보를 검색부로 송신한다. 송수신부는 사용자로부터의 리퀘스트정보에 대한 사용자의 비용납부 의사를 나타내는 데이터에 기초해서, 상기 검색부에 의해 검색된 데이터의 단말기측 장치로의 송신모드를 전환한다.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송수신장치의 실시예에 대해서는 도면을 참고하여 이하에 상세히 설명한다.
데이터 송수신장치에 있어서, 이하의 실시예 설명에서는, 음악데이터가 호스트측 장치로써의 데이터 송신장치로부터 단말측 장치로써의 데이터 수신장치로 송신된다고 가정한다.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데이터 송수신 시스템(1)은, 소위 뮤직-온-디맨드(MOD)용 시스템이며, 서버측 단말장치로써의 데이터 송신장치(2)는 통신망(3)을 거쳐 데이터 수신장치(4)에 접속된다. 데이터 수신장치(4)는 데이터 중계장치(5)와, 데이터 중계장치(5)에 대해 분리가능하게 접속되는 사용자측 단말장치인 휴대단말장치(6)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휴대단말장치(6) 케이스의 각 측면은 데이터 중계장치(5)의 케이스에 오목부로 형성된 장착부(7)에 장착됨으로써, 데이터 중계장치(5)와 휴대단말장치(6)를 전기적, 기계적으로 상호접속한다. 즉, 데이터 송수신 시스템(1)에 있어서, 데이터 송신장치(2)는 통신망(3)을 거쳐 데이터 중계장치(5)에 접속되고, 데이터 중계장치(5)는 휴대단말장치(6)에 접속됨으로써, 데이터 송신장치와 휴대단말장치(6)를 상호접속시킨다.
데이터 송신장치(2)는 예를 들어 서버측의 데이터 관리센터에 설치되고, 사용자에 대해 소정의 과금처리를 행하기 위해 과금에 관한 데이터를 교환한다. 데이터 중계장치(5)는 이하에 설명되는 바와 같이, 휴대단말장치(6)로부터의 리퀘스트정보를 중계하여 그 중계정보를 데이터 송신장치(2)로 공급하는 한편, 데이터 송신장치(2)로부터 송신된 데이터를 중계하여 그 중계데이터를 휴대단말장치(6)로 공급한다. 데이터 중계장치(5)는 예를 들어 철도역의 매점, 편의점, 공중전화박스 또는 가정에 설치된다. 휴대단말장치(6)는 각 사용자가 소유하는 것이며, 운반하기 편리한 휴대용 장치이다.
도 6에는 설명 상의 편의를 위해서 1개의 데이터 중계장치(5)와 1개의 휴대단말장치(6)만을 도시하였지만, 다수의 데이터 중계장치(5)와 다수의 휴대단말장치(6)가 통신망(3)을 거쳐 서버측 데이터 송신장치(2)에 접속된다.
통신망(3)과 과금통신망(10)으로는, ISDN이나 전화회선이 이용된다. 본 실시예는 통신망(3)과 데이터 송신장치(2)가 통신 케이블이나 광섬유 등을 이용하여 유선접속으로 접속된 실시예이지만, 이러한 유선접속은 전파나 무선접속으로 대체될 수도 있다. 또한, 유사하게 통신망(3)과 데이터 중계장치(5)가 통신 케이블이나 광섬유 등을 이용하여 유선접속으로 접속되지만, 무선루틴 등의 무선접속이 이용될 수도 있다. 또한, 데이터 송수신 시스템(1)에 있어서, 데이터 송신장치(2)로부터 데이터 수신장치(4)로의 데이터전송은, 유선접속에 의한 통신망(3)을 이용하지 않고, 방송위성을 이용하여 통신매체를 거쳐 행해질 수도 있다. 만일, 방송위성이 이용될 경우, 통신망(3)은, 이하에 설명되는 바와 같이, 리퀘스트정보를 데이터 수신장치(4)로부터 데이터 송신장치(2)로 송신하는데 이용된다.
서버측 데이터 송신장치(2)는 이하에 설명되는 바와 같이, 데이터 중계장치(5)로부터 통신망(3)을 거쳐 공급된 리퀘스트정보를 수신하여, 그 수신된 리퀘스트정보에 기초해서 관련데이터를 검색한다. 또한, 데이터 송신장치(2)는 검색데이터를 소정의 방식으로 통신망(3)을 거쳐 데이터 중계장치(5) 및/또는 휴대단말장치(6)로 전송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데이터 송신장치(2)는, 데이터 송수신을 위해 통신망(3)을 거쳐 데이터 중계장치(5)에 접속되는 인터페이스부(11)와, 다수의 악보 등의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는 대용량의 하드디스크 어레이(12)와, 상기 하드디스크 어레이(12)로부터 해당 데이터를 검색하기 위한 데이터 검색처리부(13)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데이터 송신장치(2)는 상기 과금통신망(10)과 액세스하여 세금이 부과되어야할 사용자에 대해서 소정의 과금처리를 행하는 과금처리부(14)와, 데이터 송신장치(2)를 전체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제어기(15)와를 갖추어 구성된다.
인터페이스부(11)는 통신망(3)을 거쳐 데이터 중계장치(5)와 접속되어서, 데이터 지정정보나 사용자 ID정보 등과 같은 휴대단말장치(6)로부터의 리퀘스트정보를 수신한다. 인터페이스부(11)는, 이하에 설명되는 바와 같이, 데이터 검색처리부(13)에 의해 출력되는 음악데이터 등의 데이터를 통신망(3)을 거쳐 데이터 중계장치(5)로 공급한다. 상기 설명된 인터페이스부(11)의 작동은 제어기(15)로부터 공급된 제어신호에 기초해서 실행되는 것이다.
하드디스크 어레이(12)에는, 다양한 장르의 음악데이터, 음악 가이드의 데이터나 또는 다른 음성데이터 등이 압축데이터로써 저장된다. 하드디스크 어레이(12)에는, 이하에서 새로운 악보 데이터로써 호칭되는 새로운 악보에 관한 음악데이터가, 새로운 악보 데이터 식별자로써 호칭되는 부가 식별자와 함께 저장되어 있다. 새로운 악보 데이터라는 것은, 최근 발매되기 시작한 날로부터 소정기간 이내, 예를 들어 1개월 이내에 있는 음악데이터를 의미한다. 새로운 악보 데이터의 구체적인 정의는 호스트측에서 적절히 결정되거나 변경된다.
데이터 검색처리부(13)는, 휴대단말장치(6)로부터의 리퀘스트정보를 인터페이스부(11)에 의해 수신된 제어기(15)를 거쳐 수신하고, 그 리퀘스트정보에 기초해서, 하드디스크 어레이(12)에 저장되어 있는 다수의 음악 등의 다수의 데이터항목 중에서 해당하는 데이터를 검색하는 검색처리를 행한다. 데이터 검색처리부(13)는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를 갖추어 구성되며, 일시 저장을 위해서 검색데이터를 하드디스크 어레이(12)로부터 독출한다. 데이터 검색처리부(13)는, 메모리에 저장되어있는 데이터를 인터페이스부(11)에 공급한다.
데이터 검색처리부(13)는, 상기 새로운 악보 식별자를 검색함으로써, 하드디스크 어레이(12)로부터 새로운 악보 데이터만을 독출할 수도 있다. 데이터 검색처리부(13)의 상기 동작은 제어기(15)로부터의 제어신호에 기초해서 행해진다.
과금처리부(14)는, 휴대단말장치(6)로부터의 리퀘스트정보를 인터페이스부(11)에 의해 수신하고 제어기(15)를 거쳐 수신하고, 수신된 리퀘스트정보에 기초해서 과금징수 대상자를 특정하는 한편, 과금징수 대상자에 대한 소정의 과금처리를 행한다.
제어기(15)는, 데이터 중계장치(5) 및 통신망(3)을 거쳐서 휴대단말장치(6)로부터 송신된 리퀘스트정보에 기초해서, 수신된 리퀘스트정보와 관련된 음악데이터를 데이터 중계장치(5)로 송신하기 위한 송신제어 프로그램을 갖는다. 제어기(15)는 그 송신제어 프로그램에 기초해서 인터페이스부(11), 하드디스크 어레이(12), 데이터 검색처리부(13) 및 과금처리부(14)를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제어기(15)는, 휴대 단말장치(6)로부터 데이터 중계장치(5)와 통신망(3)을 거쳐 송신된 리퀘스트정보를 수신하여 그것을 제어기(15)로 송신하도록 인터페이스부(11)를 제어한다. 제어기(15)는 인터페이스부(11)로부터 공급된 리퀘스트정보를 일시적으로 저장하여, 그 리퀘스트정보를 데이터 검색처리부(13)와 과금처리부(14)에 공급한다.
제어기(15)는 수신된 리퀘스트정보 중 데이터 지정정보에 기초해서 상기 검색처리를 행한 후 그 검색데이터를 하드디스크 어레이(12)로부터 독출하여, 그 데이터를 데이터검색처리부(13)의 메모리에 일시 저장한다.
제어기(15)는 수신된 리퀘스트정보 중 사용자 ID정보를 참고하여, 데이터 검색처리부(13)의 메모리에 일시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를 인터페이스부(11)에 공급하고, 메모리로부터 독출된 데이터를 휴대 단말장치(6)에 접속되어 있는 데이터 중계장치(5)로 보내도록, 데이터 검색처리부(13) 및 인터페이스부(11)를 제어한다. 본 발명의 데이터 송수신 시스템(1)에서는 이러한 식으로, 음악데이터가 데이터 송신장치(2)로부터 휴대단말장치(6)로 전송된다.
제어기(15)의 송신제어 프로그램에는, 그 서브루틴으로써 소위 푸쉬식 서비스를 제공하는 프로그램이 조립되어 있다. 이 푸쉬식 서비스를 제공하는 프로그램은 휴대단말장치(6)로부터 송신된 특정장르 지정을 위해 이용되는 장르 지정정보에 기초해서 관련장르에 속한 음악데이터를 휴대단말장치(6)로 순차적으로 송신하기 위한 장르별 송신프로그램을 포함한다.
푸쉬식 서비스를 제공하는 프로그램에는, 새로운 악보 데이터만을 전송하도록 지시하는 휴대단말장치(6)로부터의 새로운 악보요구정보에 기초해서, 새로운 악보 데이터만을 순차적으로 휴대단말장치(6)로 송신하기 위한 새로운 악보 데이터 송신프로그램이 조립된다. 이들 푸쉬식 서비스를 제공하는 제어기(15)에 의해 행해지는 제어동작에 대해서는 이하에 상세히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데이터 송수신 시스템(1)은 패킷 교환방식을 이용하여, 데이터패킷 단위로 데이터를 송신한다. 데이터 송신장치(2)로부터 데이터 수신장치(4)로 송신되는 각 데이터패킷의 포맷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데이터로써의 음악데이터가 예를 들어, 일본 공개특허 H-3-139923 이나 일본공개 특허 H-3-139922 에 공개된 바와 같이, 변경된 DCT에 의해 압축되고, 새로운 악보 플래그나 곡 ID가 압축데이터에 부가되어 있는 포맷이다.
새로운 악보 플래그는, 압축데이터로써의 음악데이터가 새로운 악보인지 여부를 나타내는 플래그이며, 각 데이터 패킷의 헤더로써 부가된다. 곡 ID데이터는, 예를 들어, 음악장르, 연주하는 아티스트의 성명 또는 음악의 타이틀 등을 포함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데이터포맷을 이용함으로써, 데이터가 데이터 송신장치(2)로부터 방송위성을 거쳐서 데이터 수신장치(4)로 송신되는 경우나 데이터가 푸쉬방식에 따라 송신되는 경우에도, 데이터 송수신 시스템(1)에는 어떠한 불편함도 발생되지 않는다.
도 3을 참고하면, 데이터 중계장치(5)는, 인터페이스부(21)와, 하드디스크 드라이브(HDD)(22), 리드 오니 메모리(ROM)(23),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24), 조작입력부(25), 표시부(26), 인터페이스(I/F)부(27), 충전부(28)와, 마이크로 컴퓨터로 이루어진 제어기(29)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들 구성부품들은 버스(30)를 통해 상호접속된다.
인터페이스부(21)는 통신망(3)을 거쳐 데이터 송신장치(2)에 접속되어, 데이터 송신장치(2)로부터 공급된 데이터를 수신한다. 수신된 데이터는 RAM(24)에 일시적으로 저장된다. 데이터 중계장치(5)에서는, 그 케이스 상부에 설치된 단자(21a)가 인터페이스(21)의 입출력단자로써 기능한다.
하드디스크 드라이브(22)는 도시 생략된 하드디스크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이 하드디스크에는, RAM(24)에 임시로 기억되어 있는 수신데이터가 제어기(29)의 제어 하에서 기록된다.
ROM(23)에는, 데이터 중계장치(5)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중계제어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다. 데이터 중계장치(5)에서는, 제어기(29)가 ROM(23)에 기억되어 있는 중계제어프로그램을 독출하여, 데이터 중계장치(5)의 구성성분을 제어한다.
RAM(24)는 데이터 송신장치(2)로부터 통신망(3)을 통해 공급된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기억하고 있다. RAM(24)은 휴대단말장치(6)로부터 I/F부(27)를 거쳐 공급된 리퀘스트정보를 일시적으로 기억한다.
조작입력부(25)는 조작입력신호를 제어기(29)에 공급하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조작버튼(25a)을 갖추어 구성된다.
표시부(26)는 액정표시장치를 갖추어 구성되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의 상단에 설치된다. 이 표시부(26)는 조작버튼(25a)으로부터의 조작입력신호나, 데이터 송신장치(2)로부터의 데이터 수신상태 또는 휴대단말장치(6)로부터의 리퀘스트정보를 표시한다.
I/F부(27)는 휴대단말장치(6)용 입출력 인터페이스이며, 휴대단말장치(6)의 I/F부(31)와 접속됨으로써, 그 I/F부(31)를 거쳐서 휴대단말장치(6)로부터 리퀘스트정보를 수신한다. I/F부(27)는 데이터 송신장치(2)로부터 공급된 음악데이터를 상기 I/F부(31)를 거쳐 휴대단말장치(6)에 공급한다. 데이터 중계장치(5)의 I/F부(27)와 휴대단말장치(6)의 I/F부(31)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 I/F부(27)와 I/F부(31)에 접속된 데이터 중계장치(5)의 단자(27a)와 휴대단말장치(6)의 단자(31a)를 거쳐 데이터 중계장치(5)와 휴대단말장치(6) 사이의 전기 접속을 제공한다.
충전부(28)는 휴대단말장치(6)의 배터리(39)를 충전하기 위해 이용된다. 구체적으로, 데이터 중계장치(5)가 휴대단말장치(6)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는 상태에서, 즉 휴대단말장치(6)가 데이터 중계장치(5)의 정위치에 장착된 상태에서,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충전부(28)의 출력단자(28a)가 배터리(39)의 입력단자(39a)와 접촉됨으로써, 제어기(29)의 제어 하에 충전부(28)로부터의 전류를 배터리(39)로 공급하게 된다.
제어기(29)는 ROM(23)에 기억되어 있는 중계제어 프로그램을 독출하여 실행함으로써, 상기 설명된 바와 같이 각 블록을 제어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단말장치(6)는, 인터페이스(I/F)(31)와, 하드디스크 드라이브(HDD)(32)와, 리드 오니 메모리(ROM)(33)와,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34)와, 조작입력부(35)와, 표시부(36)와, 인터페이스(I/F)(37)와, 데이터 신장부(38)와, 배터리(39)와, D/A제어기(41)와, 마이크로 컴퓨터로 이루어진 제어기(4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들 구성성분은 버스(40)를 거쳐 상호접속된다.
I/F부(31)는 데이터 중계장치(5)용 입출력 인터페이스이며, 데이터 중계장치(5)의 I/F부(27)에 접속됨으로써, 데이터 중계장치(5)에 대해 리퀘스트정보를 출력한다. I/F부(31)는 I/F부(27)를 거쳐서 데이터 중계장치(5)로부터 공급되는 데이터 송신장치(2)로부터의 음악 등의 데이터를 수신한다. 수신된 음악데이터는, RAM(34)에 일시적으로 기억된다.
하드디스크 드라이브(32)는, 도시 생략된 하드디스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RAM(34)에 일시 기억된 데이터 송신장치(2)로부터의 음악데이터는 이 하드디스크에 기록된다.
ROM(33)에는, 휴대단말장치(6)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다. 휴대단말장치(6)의 제어기(42)는 ROM(33)에 기억되어 있는 제어 프로그램을 독출함으로써, 휴대단말장치(6)의 구성성분을 제어하게 된다.
RAM(34)은 데이터 중계장치(5)로부터 공급된 데이터나 제어기(42)로부터 공급된 다양한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기억한다.
조작입력부(35)는 조작입력신호를 제어기(42)에 대해 공급하고,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양한 조작버튼(35a∼35d)을 갖추어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조작버튼(35a, 35b)은 표시부(36)에 표시된 커서를 이동시키거나 다양한 기능을 선택하기 위한 선택키인 반면, 조작키(35c)는 각종 기능에 대한 결정을 행하는 결정키이다. 다수의 조작키로 이루어진 조작버튼(35d)은, 하드디스크 드라이브(32)의 하드디스크에 기록되어 있는 데이터를 재생하기 위해, 재생, 정지, 일시정지, 큐(cue) 또는 리뷰 등과 같은 기본조작을 행하기 위한 각종 조작키로 이루어진다. 휴대단말장치(6)에서, 이들 조작버튼이 눌리게 되면, 누름조작에 대응하는 조작입력신호가 버스(40)를 거쳐 제어기(42)에 공급된다.
표시부(36)는 액정표시장치를 갖추어 구성되며,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 주면의 상측부에 설치된다. 표시부(36)는 조작버튼(35a∼35d)의 누름조작에 기초해서 조작입력부(25)로부터의 조작입력신호에 대응하여, 제어기(42)에 의해 발생되는 리퀘스트정보나, 데이터 송신장치(2)로부터의 수신상태나, 데이터 중계장치(5)와의 접속상태를 표시한다.
I/F부(37)는 키보드, 모뎀 또는 디스플레이 등의 외부 입출력장치용 입출력 인터페이스이다. 휴대단말장치(6) 케이스의 측면의 하측부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I/F부(37)를 외부 입출력장치와 상호접속시키기 위한 접속단자(37a)가 설치된다.
데이터 신장부(38)는, 음악데이터 즉, RAM(34)또는 하드디스크(32)로부터 독출되는 압축데이터를 신장하는 작업을 행한다.
배터리(39)는 휴대단말장치(6)의 각 구성부품에 전원을 공급하며, 예를 들어 니켈 카드뮴 전지, 니켈수소 전지, 리튬이온 전지 등과 같이 반복적으로 재충전이 가능한 2차전지이어도 좋다. 본 실시예에서, 배터리(39)는, 휴대단말장치(6)가 데이터 중계장치(5)에 접속되어 있을 때, 데이터 중계장치(5)의 충전부(28)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자동적으로 충전된다.
D/A제어기(41)는 데이터 신장부(38)에 의해 출력되는 디지털신호를 아날로그 재생신호로 변환한다. D/A제어기(41)에 의해 변환되어 생성된 재생신호는 단자(41a)에 공급되어, 단자(41a)와 접속되어 있는 외부 스피커(43)를 거쳐 음성 또는 음악으로써 출력된다.
제어기(42)는 ROM(33)에 저장되어 있는 제어프로그램을 독출하여 그 독출된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휴대단말장치(6)의 각 블록에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소정의 처리를 행한다. 구체적으로, 제어기(42)는 조작입력부(35)로부터의 조작입력신호에 기초해서 리퀘스트정보를 생성하여, 제어동작에 의해 그 리퀘스트정보를 데이터 중계장치(5)에로 송신한다. 제어기(42)는 RAM(34)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를 데이터신장부(38)와 D/A제어기(41)를 거쳐서 외부 스피커(43)로 출력하는 재생처리의 제어를 행한다. 제어기(42)는 하드디스크 드라이브 내에 내장되어 있는 하드디스크에 저장하기 위해, RAM(34)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를 하드디스크 드라이브(32)에 공급한다.
휴대단말장치(6)에 의해 데이터 송신장치(2)로 송신된 리퀘스트정보로는, 예를 들어, 사용자 ID정보, 취득하기 원하는 데이터를 지정하는 데이터 지정정보 및 사용자가 해당하는 비용지불을 원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과금지불정보(accounting information) 등이 있을 수 있다. 사용자 ID정보는, 사용자 ID 정보를 자동적으로 생성하기 위해, 미리 제어기(42) 내의 메모리에 기억되어 있다.
데이터 송신장치(2)가 상기 설명된 장르별 송신프로그램을 실행하기 위해서는, 리퀘스트정보 중 데이터 지정정보 대신에, 취득하고자 하는 음악데이터의 장르를 지정하기 위한 장르지정 정보를 데이터 송신장치(2)로 송신하기만 하면 충분하다. 데이터 송신장치(2)가 상기 설명된 새로운 악보 데이터송신 프로그램을 실행하기 위해서는, 데이터 지정정보 대신에, 송신될 새로운 악보 데이터만을 요구하는 새로운 악보정보를 데이터 송신장치(2)에 공급하기만 하면 된다. 이때, 특정장르의 새로운 악보 데이터만을 획득하기 위해서, 상기 설명된 장르지정 정보가 새로운 악보 리퀘스트정보와 동시에 공급되어도 좋다.
본 실시예의 데이터 송수신 시스템(1)에 있어서 소위 MOD 방식에 따라 사용자가 음악데이터를 취득하는 경우 각 장치에 있어서의 기본작동은 이하에 설명된다. 사용자는 조작입력부(35)의 조작버튼(35a∼35d)을 조작하여 원하는 데이터를 하나나 복수 개를 지정한다. 만일 새로운 악보 데이터가 그 지정된 데이터에 포함되어 있는 경우, 상기 설명된 과금지불정보가 입력됨으로써, 과금납부를 행할 것인지 여부를 판별한다. 그후, 휴대단말장치(6)는 제어기(42)에 의해 과금지불정보를 포함하는 리퀘스트정보를 생성한다. 이 리퀘스트정보는 RAM(34)에 저장된다.
데이터를 지정하기 위해서는, 데이터 송신장치(2)의 하드디스크 어레이(12)에 등록되어 있는 데이터의 개요 및 리스트를 ROM(33) 또는 RAM(34)내에 데이터 베이스 메뉴(data base menu)로써 기록하고, 조작버튼(35a∼35d)의 조작에 의해 그 데이터 베이스 메뉴로부터 원하는 데이터를 선택하면 충분하다. 이 시점에서는, 휴대단말장치(6)는 데이터 중계장치(5)와 접속될 필요가 없다.
만일 리퀘스트정보가 상기 설명된 바와 같이 생성되어 있는 휴대단말장치(6)가 데이터 중계장치(5)의 장착부(7) 상에 장전되고, 데이터 중계장치(5)의 제어기(29)가 휴대단말장치(6)가 원하는 위치에 장착되었다고 판단할 경우, 데이터 중계장치(5)의 제어기(29)는 ROM(23)으로부터 중계제어 프로그램을 독출하여 그 독출 프로그램을 실행한다. 이는 휴대단말장치(6)를 데이터 중계장치(5)와 통신망(3)을 거쳐 데이터 송신장치(2)에 접속시킨다. 데이터 송수신 시스템(1)에 있어서, RAM(34)에 저장되어 있는 리퀘스트정보는 제어기(42)의 제어에 의해 I/F부(31)로부터 데이터 중계장치(5)로 공급된다. 휴대단말장치(6)로부터의 리퀘스트정보를 수신한 데이터 중계장치(5)는 그 리퀘스트정보를 제어기(29)에 의한 제어에 의해 통신망(3)을 거쳐 데이터 송신장치(2)로 공급한다.
데이터 송신장치(2)에서는, 데이터 중계장치(5)로부터 공급된 리퀘스트정보가 인터페이스부(11)에 입력되고, 그후 인터페이스부(11)내로 입력된 리퀘스트정보는 제어기(15) 및 데이터 검색처리부(13)로 공급된다. 데이터 검색처리부(13)는 리퀘스트정보 중 데이터 지정정보를 참고하여, 해당하는 데이터를 하드디스크 어레이(12)로부터 검출하여 독출한다. 제어기(15)는 리퀘스트정보에 기초해서, 하드디스크 어레이(12)로부터 독출된 데이터를 통신망(3)을 거쳐 데이터 중계장치(5)로 송신하도록 인터페이스부(11)를 제어한다. 하드디스크 어레이(12)로부터 독출된 음성데이터, 즉 사용자에 의해 지정된 음악데이터는 데이터 중계장치(5)에 의해 수신된다. 제어기(15)는, 리퀘스트정보 중 사용자 ID정보에 기초해서, 휴대단말장치(6)의 사용자가 데이터 송수신 시스템(1)을 이용할 수 있는 사용자인지 여부를 판별한 후, 데이터 송수신 시스템(1)을 사용할 수 있는 사용자에 대해서만 도 5의 플로우차트에 설명된 작동을 행하도록 허용한다.
데이터를 수신한 데이터 중계장치(5)의 제어기(29)는, 수신 데이터가 휴대단말장치(6)로전송되도록 각 블록을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제어기(29)는 모뎀(21)으로 입력된 데이터를 I/F부(27)를 거쳐 휴대단말장치(6)로 공급하는 한편, 그 데이터를 하드디스크 드라이브(22)의 하드디스크에 기억시키는 처리를 행한다. 이렇게 되면, 데이터 전송 도중 데이터 중계장치(5)가 휴대단말장치(6)와 접속이 단절되는 경우에도 데이터가 하드디스크 드라이브(22)에 의해 백업될 수 있다.
데이터 송수신 시스템(1)에서 사용자가 새로운 악보 데이터를 취득하는 경우의 각 장치의 기본작동은 플로우차트를 참고하여 이하에 설명한다.
도 5는 휴대단말장치(6)로부터 데이터 송신장치(2)로 송신되는 리퀘스트정보의 데이터 지정정보에 복수의 데이터가 지정되어 있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도 5는 새로운 악보 데이터의 지정이 이 데이터지정정보에 포함되는 경우에 데이터 송신장치(2)와, 데이터 중계장치(5) 및 휴대단말장치(6)의 처리내용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즉, 이 플로우차트는 새로운 악보 데이터에 대한 과금의 유무에 의해서 데이터 송신장치(2)가 데이터를 데이터 수신장치(4)측으로 송신할 때, 송신모드를 전환하는 전형적인 처리를 나타낸다.
리퀘스트정보를 수신한 데이터 송신장치(2)의 제어기(15)는 스텝(S1)에서 리퀘스트정보 중 데이터 지정정보를 참고하여 데이터 검색처리부(13)를 제어함으로써, 사용자에 의해 지정된 데이터를 하드디스크 어레이(12)로부터 검색하여 독출한다.
다음 스텝(S2)에서, 제어기(15)는 새로운 악보 데이터에 기초해서, 하드디스크 어레이(12)로부터 독출된 데이터가 도 4를 참고하여 설명된 새로운 악보 플래그인지 여부를 확인한다. 만일 스텝(S2)에서의 판별결과가 "예"라면, 즉 그 데이터가 새로운 악보 데이터라면, 흐름은 스텝(S3)으로 진행된다. 만일 그 결과가 "아니오"라면, 즉, 그 데이터가 새로운 악보 데이터가 아니라고 판단되면, 흐름은 스텝(S5)으로 진행된다.
스텝(S3)에서, 제어기(15)는 리퀘스트정보 중 과금지불정보를 참고하여, 사용자가 새로운 악보 데이터에 대해 기꺼이 비용을 납부하고자 하는지 여부를 체크한다. 만일 스텝(S3)에서의 체크 결과가 "예"일 경우, 즉 사용자가 새로운 악보 데이터에 대해 비용납부를 기꺼이 하고자 한다고 판명되는 경우, 흐름은 스텝(S4)으로 진행한다. 스텝(S3)의 체크결과가 "아니오"일 경우, 즉 사용자가 새로운 악보 데이터에 대해 비용납부를 하지 않고자 한다고 판명되는 경우, 흐름은 스텝(S6)으로 진행한다.
스텝(S4)에서, 제어기(15)는 새로운 악보 데이터에 대한 소정의 과금처리를 행하도록 과금처리부(14)를 제어한 후, 스텝(S5)으로 진행한다.
스텝(S5)에서, 제어기(15)는 과금처리를 행한 새로운 악보 데이터 또는 다른 음악데이터를 동일한 음질, 즉 고음질로 데이터 수신장치(4)측으로 송신하는 처리를 행하는 송신모드로 전환하고, 그 모드에 해당하는 데이터처리를 행한 후, 처리를 스텝(S7)으로 진행한다. 반면, 제어기(15)는 스텝(S6)에서 사용자가 비용납부를 하지 않기 원하는 새로운 악보 데이터를 다른 음악데이터보다 낮은 음질로 송신하도록 하는 송신모드로 전환하고, 그 모드에 해당하는 데이터 처리를 행한 후, 처리를 스텝(S7)으로 진행한다. 만일 스텝(S5) 및 스텝(S6)에서 새로운 악보 데이터를 전송하는 경우, 각 데이터패킷의 헤더(header)에 새로운 악보 플래그를 세운 후, 그 데이터 패킷을 전송한다.
스텝(S5) 및 스텝(S6)의 처리에 있어서, 하드디스크 어레이(12)로부터 독출된 새로운 악보 데이터 또는 다른 데이터를 스텝(S5)에서는 직접 송신하는 반면, 스텝(S6)의 처리에서는 새로운 악보 데이터를 직접 송신하는 오디오 데이터로 변환하거나 또는 새로운 악보 데이터의 S/N비나 주파수의 범위를 제한한 후 송신한다. 또한, 새로운 악보 데이터의 음질을 저하시키지 않으면서 1개 코러스 분의 새로운 악보 데이터만을 송신하는 것도 가능하다.
스텝(S6)에서의 처리를 행함으로써, 데이터 송신장치(2)는, 비용을 지불하는데 실패했거나 납부하기를 원치 않는 사용자에 대해서는 새로운 악보 데이터를 소위 샘플데이터로써 송신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방식으로 데이터 송신장치(2)로부터 송신된 데이터는, 스텝(S7)에서 데이터 중계장치(5)에 의해 수신되고, 데이터 중계장치(5)의 제어기(29)에 의한 제어에 의해 휴대단말장치(6)에로 송신된다.
스텝(S8)에서 데이터 중계장치(5)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한 휴대단말장치(6)는, 제어기(42)에 의해 도 4에 도시된 각 데이터 패킷의 헤더의 새로운 악보 플래그를 검출함으로써, 스텝(S9)에서 그 데이터가 새로운 악보 데이터인지를 검출한다. 만일 스텝(S9)에서의 판정결과가 "예"일 경우, 즉 그 데이터가 새로운 악보 데이터라고 판명되는 경우, 흐름은 스텝(S10)으로 진행하며, 그렇지 않을 경우, 흐름은 스텝(S11)으로 진행한다.
스텝(S10)에서 제어기(42)는 새로운 악보 데이터가 하드디스크 드라이브(32)로 공급되도록 허용함으로써, 그 데이터가 하드디스크 드라이브(32) 내의 하드디스크 내에 기억되도록 제어한다.
다음 스텝(S11)에서 제어기(42)는 새로운 악보 데이터 또는 다른 데이터를 데이터 신장을 위한 데이터 신장부(38)로 공급하여, 각 데이터를 순차적으로 재생하도록 제어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휴대단말장치(6)는 사용자에 의해 요구되는 데이터를 순차적으로 재생하게 되며, 새로운 악보 데이터만을 자동적으로 하드디스크에 기록한다. 휴대단말장치(6)에서는, 비용납부가 행해진 새로운 악보 데이터는 다른 음악데이터와 동일한 음질로 들리지만, 비용납부가 행해지지 않는 새로운 악보 데이터는 스텝(S6)에서 처리된 데이터로써, 즉 소위 샘플데이터로써 들리게 된다.
도 6은 데이터 송신장치(2)가 방송과 유사하게 소위 푸쉬식 서비스를 행하는 경우에, 데이터 송신장치(2), 데이터 중계장치(5) 및 휴대단말장치(6)의 처리내용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이 플로우차트에서, 휴대단말장치(6)는 특정의 음악 장르를 지정함으로써, 데이터 송신장치(2)가 상기 장르별 송신 프로그램을 시작하여, 상기 특정장르의 음악데이터를 차례로 데이터 수신장치(4)측으로 송신하도록 하는 것이다.
스텝(S2)에서, 데이터 송신장치(2)의 제어기(15)가 장르지정정보를 수신하게 되면 리퀘스트정보 중 장르지정정보를 참고하여, 하드디스크 어레이(12)로부터 특정 장르의 음악데이터를 검색하여 독출하도록 데이터 검색부(13)를 제어한다. 이 경우, 독출된 음악데이터는 새로운 악보 데이터 뿐만 아니라 다른 음악데이터도 포함한다.
다음 스텝(S22)에서, 제어기(15)는 독출된 음악데이터를 차례로 데이터 수신장치(4)로 송신하도록 제어를 행한다. 새로운 악보 데이터를 송신할 경우, 새로운 악보 플래그가 각 데이터 패킷의 헤더에 세워진 후 데이터를 송신하게 됨은 물론이다.
데이터 송신장치(2)로부터 송신된 음악데이터는 스텝(S23)에서 데이터 중계장치(5)에 의해 수신되고, 그후 데이터 중계장치(5)의 제어기(29)에 의한 제어에 의해 휴대단말장치(6)로 송신된다.
휴대단말장치(6)가 스텝(S24)에서 데이터 중계장치(5)로부터의 음악데이터를 수신하게 되면, 도 4에 도시된 각 데이터 패킷의 헤더의 새로운 악보 플래그를 검출하여 그 데이터가 새로운 악보 데이터인지 여부를 판별한다(스텝(S25)). 스텝(S25)에서의 판별결과가 "예"일 경우, 즉 그 데이터가 새로운 악보 데이터라고 판명되는 경우, 흐름은 스텝(S26)으로 진행하게 되며, 그렇지 않을 경우, 흐름은 스텝(S27)으로 진행한다.
스텝(S26)에서 제어기(42)는 새로운 악보 데이터를 하드디스크 드라이브(32)에 공급하여, 하드디스크 다리이브(32)를 제어하여 그 데이터를 하드디스크 드라이브(32) 내의 하드디스크 상에 기록하도록 한다.
제어기(42)는, 스텝(S27)에서, 새로운 악보 데이터나 다른 음악데이터를 데이터 신장부(38)에 공급함으로써, 데이터를 신장하여 그 데이터를 순차적으로 재생하도록 하는 제어를 행한다. 따라서, 휴대단말장치(6)에 있어서, 사용자에 의해 지정된 장르의 음악데이터가 차례로 재생되는 한편, 새로운 악보 데이터만이 하드디스크 상에 자동적으로 기록된다.
다음 스텝(S28)에서, 제어기(42)는 하드디스크 드라이브(32)의 하드디스크 상에 기록된 각 새로운 악보 데이터에 대해 비용납부가 행해졌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입력을 기다리는 대기상태에 놓이게 된다. 만일 스텝(S28)에서의 체크결과가 "예"일 경우, 즉 그 입력이 비용납부가 행해졌음을 나타내는 경우, 재생상태는, 해당 새로운 악보 데이터가 다른 음악데이터와 동일한 고품질로 재생되도록 전환되어서 스텝(S29)의 처리를 행한다. 만일 스텝(S28)에서의 체크결과가 "아니오"일 경우, 즉 그 입력이 비용납부가 행해지지 않음을 나타낼 경우, 사용자가 데이터를 고음질로 재생할 의사가 없는 것으로 가정하고, 재생상태를 종료한다.
이 리퀘스트정보를 수신한 데이터 송신장치(2)의 제어기(15)는, 스텝(S30)에서, 특정 새로운 악보 데이터에 대하여 소정의 과금처리를 행하도록 과금처리부(14)를 제어한다.
리퀘스트정보의 송신을 완료한 후, 휴대단말장치(6)의 제어기(42)는, 스텝(S31)에서, 하드디스크 드라이브(32)의 하드디스크에 저장된 음악데이터에 대해서 과금처리가 종료되었음을 나타내는 과금플래그를 세트하도록 하는 제어를 행한다. 이 처리는, 예를 들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데이터의 선두부분에 플래그를 부가하고 하드디스크의 파일 할당 테이블(FAT)데이터나 디렉토리 데이터를 바꿔쓰기 하거나, 또는 하드디스크에 저장된 음악데이터의 데이터명에 대응하는 테이블을 제어기(42)에 제공하고, 이 테이블에 포인터를 설정하는 것에 의해 행해진다.
스텝(S30)과 스텝(S31)과의 사이에 새로운 스텝을 설정하여, 스텝(S30)에서의 과금처리가 종료될 경우에 데이터 송신장치(2)로부터 휴대단말장치(6)로의 과금처리가 완료되었음을 나타내는 데이터를 전송함으로써, 이 데이터를 휴대단말장치(6)가 검출하는 것에 의해 스텝(S31)의 처리를 실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처리에 의하면, 하드디스크 드라이브(32)의 하드디스크에 기록되어 있는 새로운 악보 데이터 중, 비용납부가 행해진 새로운 악보 데이터에만 과금플래그가 세트된다.
상기 설명의 경우에는, 휴대단말장치(6)가 장르별 지정정보를 송신하는 것에 의해, 데이터 송신장치(2)가 장르별 송신 프로그램을 시작한다고 가정하였다 그러나, 휴대단말장치(6)가 상기 설명된 새로운 악보 리퀘스트정보를 송신하는 것에 의해 데이터 송신장치(2)가 새로운 악보 데이터 송신프로그램을 시작하는 경우에도 유사한 처리과정을 이용할 수 있다. 이 경우, 새로운 악보 리퀘스트정보를 수신한 데이터 송신장치(2)의 제어기(15)가 새로운 악보 식별자를 검색함으로써, 하드디스크 어레이(12)로부터 새로운 악보 데이터를 차례로 검색하여 독출하기만 하면 된다.
제어기(15)가 새로운 악보 리퀘스트정보와 함께 장르 지정정보를 수신하는 경우에도, 스텝(S21)에서 사용자에 의해 지정된 장르의 새로운 악보 데이터를 순차적으로 검색하여 독출하도록 데이터 검색처리부(13)를 제어하면 된다. 만일 데이터 송신장치(2)가 이러한 새로운 악보 데이터 송신프로그램을 실행할 경우, 그 데이터가 새로운 악보 플래그에 기초한 새로운 악보 데이터라면 휴대단말장치(6) 측에 대한 체크를 행하는 스텝(S25) 처리는 필요치 않다.
본 발명의 휴대단말장치(6)에 있어서의 하드디스크 드라이브(32)의 하드디스크에 기록된 새로운 악보 데이터를 재생하는 경우에 취득된 새로운 악보 데이터를 재생하는 재생처리는, 도 8의 플로우차트를 참고하여 설명한다. 이 경우, 휴대단말장치(6)는 데이터 중계장치(5)로부터 분리된 것이며, 헤드폰(44)이 단자(41a)와 접속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휴대단말장치(6)를 휴대하여 운반하면서 취득한 새로운 악보 데이터에 대응하는 새로운 악보 데이터의 음악을 들을 수 있게 된다. 휴대단말장치(6)에 의한 새로운 악보 데이터의 재생처리에 대해 도 9의 플로우차트를 참고하여 설명한다.
스텝(S41)에서, 새로운 악보 데이터 재생모드로 전환할 때, 휴대단말장치(6)의 제어기(42)는 새로운 악보 데이터에 대한 재생요구를 기다리는 대기상태에 있다. 재생요구를 나타내는 조작입력신호가 조작입력부(35)로부터 공급될 때까지, 재생요구를 나타내는 조작입력신호는 스텝(S41)에서 그대로 유지되며, 재생요구가 발생될 때 조작입력신호는 스텝(S42)으로 전달한다. 구체적으로, 스텝(S41)에서는, 하드디스크에 저장된 새로운 악보 데이터의 모든 데이터명이 표시부(36)에 표시되며, 사용자가 조작입력부(35)의 조작버튼(35a∼35d)중 하나를 조작함으로써 사용자가 재생하기 원하는 새로운 악보 데이터 중 하나나 그 이상을 선택하여 결정한다.
스텝(S42)에서, 제어기(42)는, 재생요구되는 새로운 악보 데이터에 도 7에 도시된 과금플래그가 세트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스텝(S42)에서 과금플래그가 "예"라고 설정되어 있는 새로운 악보 데이터를 스텝(S43)에서 처리된 후에, 흐름은 스텝(S45)으로 진행한다. 스텝(S42)에서 과금플래그가 "아니오"라고 설정된 새로운 악보 데이터는 스텝(S44)에서 처리된 후, 그 흐름은 스텝(S45)으로 진행한다.
스텝(S43)에서, 제어기(42)는 휴대단말장치(6)의 재생상태를 고품질 재생모드로 전환한다. 반면, 스텝(S44)에서, 제어기(42)는 휴대단말장치(6)의 재생상태를 저품질 재생모드로 전환한다. 저품질 재생모드의 재생처리의 예로는, 고품질 재생모드의 신장처리에 이용되는 것 보다 낮은 데이터 신장률로 데이터신장을 행하거나, 새로운 악보 데이터가 스테레오 음악데이터일 경우 모노 재생을 행하거나, 또는 새로운 악보 데이터의 코러스 중 하나만을 재생하는 등 재생시간을 제한하는 것이 있을 수 있다.
스텝(S45)에서, 제어기(42)는, 설정된 재생모드나 재생상태에 따라서 새로운 악보 데이터를 재생하도록 데이터 신장부(38)를 제어한다. 그후, 데이터 송수신 시스템(1)은, 만일 과금플래그가 세트되어 있는 새로운 악보 데이터인 음악데이터가 재생되는 경우에는 다른 음악데이터와 같이 고품질의 재생이 행해지도록 하는 반면, 만일 과금플래그가 세트되어 있지 않은 새로운 악보 데이터인 음악데이터가 재생되는 경우에는 스텝(S44)에서 다른 음악데이터를 재생하는 것 보다 낮은 음질로의 재생이 샘플적인 재생으로써 행해지도록, 하드디스크 드라이브(32)의 하드디스크 상에 기록된 새로운 악보 데이터를 재생한다.
다음 단계에서는, 재생동작의 종료를 기다리는 종료 대기상태가 설정된다. 따라서, 지정된 모든 새로운 악보 데이터에 대한 재생처리가 종료될 때까지 제어는 상기 스텝(S46)에서 계속 유지되며, 만일 데이터 재생동작이 종료되면, 제어는 스텝(S41)으로 되돌아가서, 스텝(S41)∼스텝(S46)까지의 처리를 반복한다.
즉, 만일 하드디스크 드라이브(32)의 하드디스크에 저장된 새로운 악보 데이터가 본 발명의 데이터 송수신 시스템(1)에 의해 재생될 경우, 또한 재생될 새로운 악보 데이터가 과금플래그가 세트되어 있는 새로운 악보 데이터일 경우, 다른 음악데이터의 경우와 동일하게 고품질의 재생이 실행된다. 만일 재생될 새로운 악보 데이터가 과금플래그가 세트되지 않은 새로운 악보 데이터일 경우, 다른 음악데이터를 재생할 경우보다 낮은 음질을 가진 샘플적인 재생이 행해진다. 따라서, 비용납부가 행해지지 않는 새로운 악보 데이터를 시범적으로 반복해서 들을 수 있다. 만일 시험적으로 청취한 결과 사용자의 기호에 적합한 음악데이터가 존재할 경우, 다른 음악데이터와 동일하게 고음질로 재생될 수 있는 해당 새로운 악보 데이터를, 도 5를 참고하여 설명된 처리에 의해 취득할 수 있다.
상기 설명된 실시예에서는, 휴대단말장치(6)와 데이터 송신장치(2)가 데이터 중계장치(5)를 거쳐서 서로 접속되어 있다. 그러나,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신망(3)에 액세스 가능한 모뎀(46)을 휴대단말장치(6)의 접속단자(37a)를 거쳐 도 3에 도시된 I/F부(37)에 상호접속하게 되면, 데이터 중계장치(5)를 거치지 않고도 휴대단말장치(6)와 데이터 송신장치(2)를 상호접속시킬 수 있게 된다. 이 경우, 입력 또는 표시동작을 편리하게 하기 위해서 키보드(45)나 디스플레이(47)를 접속단자(37a)에 상호접속시킬 수도 있다.
상기 설명된 실시예에서는, 하나의 휴대단말장치(6)를 데이터 송신장치(2)에 상호접속시키는 데이터 중계장치가 도시되었다. 그러나, 본 발명은 그러한 특정 구성에만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데이터 중계장치(50)는 다수의 휴대단말장치(6)를 상호접속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데이터 중계장치(50)는 베이스블럭 상에 다수의 휴대단말장치(6)를 접속하기 위한 다수의 장착부(7)와, 대응하는 개수의 조작버튼(25a)과 표시부(26)를 갖추어 구성된다. 즉, 이러한 데이터 중계장치(50)에 있어서는, 데이터 중계장치(5)를 구성하는 다수의 블록(22∼30)이 일체로 설치되어 구성됨으로써, 다수의 사용자가 동시에 새로운 악보 데이터 또는 음악데이터를 취득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설명된 실시예의 경우, 최초로 발매된 이래 소정시간 내, 예를 들어 1개월 이내에 있는 새로운 악보에 대한 음악데이터를 새로운 악보 데이터로써 정의하였다. 하지만, 본 발명은 그에 한정되지 않으며, 사용자에 의해서 아직 수신되지 않은 음악데이터, 즉 사용자에게 새로운 악보인 음악데이터를 새로운 악보 데이터로서 정의 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현재 휴대단말장치(6)의 하드디스크 드라이브(32)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의 인덱스정보를 상기의 리퀘스트데이터와 함께 데이터 송신장치(2)측으로 송신하여, 데이터 송신장치(2)에서 그 정보가 신정보인지 여부를 판별함으로써, 휴대단말장치(6)의 하드디스크 드라이브(32)에 축적되어 있지 않은 음악데이터만을 휴대단말장치(6)로 전송하기만 하면 충분하다. 또한, 사용자가 요구한 데이터가 데이터 송신장치(2)로부터 휴대단말장치(6)로 전송된 후, 휴대단말장치(6)에서 하드디스크 드라이브(32)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를 데이터 송신장치(2)로부터 송신된 데이터와 비교함으로써, 하드디스크 드라이브(32)에 저장되어 있지 않은 음악데이터만을 기록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관계되는 데이터 송수신 시스템에 의하면, 데이터 송수신장치의 신정보 검출수단이, 수신한 데이터에 대하여 신정보인지 여부를 검출하고, 신정보라고 검출된 경우에 기록수단이 당해 데이터를 기록매체에 기록하므로, 신정보에 대하여 수신측에서 자동적으로 다운로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관계되는 다른 데이터 송수신 시스템에 의하면, 데이터 수신장치의 데이터 송수신수단이 신정보의 데이터만의 전송을 요구하는 신정보요구정보를 송신하고, 이 신정보 요구정보에 의거해서, 데이터 송신장치의 데이터 검색처리수단이 신정보에 대한 데이터만을 데이터 기억수단에 저장된 복수의 데이터로부터 순차적으로 검색하여 출력하므로, 신정보에 대하여 수신측에서 자동적으로 다운로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본 발명에 관계되는 데이터 송수신방법에 의하면, 수신한 데이터에 대하여 신정보인지 여부를 검출하고, 신정보로 검출된 경우에 해당 데이터가 기록매체에 기록되므로, 신정보에 대하여, 수신측에서 자동적으로 다운로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관계되는 데이터 수신장치에 의하면, 신정보 검출수단이 수신한 데이터에 대하여 신정보인지 여부를 검출하고, 신정보로 검출된 경우에 기록수단이 해당 데이터를 기록매체에 기록하는 것으로 하였으므로, 신정보를 자동적으로 다운로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또 본 발명에 관계되는 데이터 수신방법에 의하면, 수신한 데이터에 대하여 신정보인지 여부를 검출하고, 신정보로 검출된 경우에 해당 데이터를 기록매체에 기록하는 것으로 하였으므로, 신정보를 자동적으로 다운로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Claims (49)

  1. 데이터 송수신장치에 있어서,
    다수의 데이터를 메모리에 수용하고 있는 제 1기억부와,
    상기 제 1기억부에 저장된 데이터를 검색하는 검색부와,
    상기 검색부에 의해 검색된 데이터를 송신하고, 사용자로부터 공급된 리퀘스트정보를 수신하여, 그 수신된 리퀘스트정보를 상기 검색부로 공급하는 제 1송수신부와,
    상기 제 1송수신부로부터 송신된 데이터를 수신하고 사용자로부터의 리퀘스트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수단이며, 상기 제 1송수신부로부터 송신된 데이터가 상기 제 1기억부에 새롭게 저장되는 데이터인지를 검출하기 위한 검출부와, 상기 검출부에 의한 검출결과 그 데이터가 상기 제 1기억부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일 경우 상기 제 1송수신부로부터 송신된 데이터를 저장하는 제 2기억부를 갖추는 제 2송수신부와,를 갖추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송수신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송수신부는 재생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며, 만일 상기 검출부에 의한 검출결과 상기 제 1기억부에 새롭게 저장되는 데이터가 아닌 다른 데이터임을 나타낼 경우, 상기 제 2송수신부는 상기 재생부에 의해 제 1송수신부로부터 공급된 데이터를 재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송수신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송수신부는 상기 검색부에 의해 검색된 데이터를 송신할 때, 그 송신된 데이터가 상기 제 1기억부에 새롭게 저장된 데이터일 경우, 그 데이터가 상기 제 1기억부에 새롭게 저장된 데이터라는 것을 표시하는 부데이터(supplementary data)를 부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송수신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부는 상기 제 1기억부로부터 송신된 데이터가 상기 제 1기억부에 새롭게 저장된 데이터인지 여부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송수신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송수신부는, 사용자의 비용납부에 대한 의사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포함하는 사용자로부터의 리퀘스트정보를 생성하고, 그 생성된 정보를 상기 제 1송수신부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송수신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송수신부는, 상기 제 2송수신부로부터 공급된 사용자의 비용납부에 대한 의사를 나타내는 데이터에 기초해서, 상기 검색부에 의해 검색된 데이터의 상기 제 2송수신부로의 송신모드를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송수신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송수신부는, 상기 검색부에 의해 검색된 데이터가 상기 제 1송수신부에 새롭게 저장된 데이터일 경우, 상기 제 2송수신부로부터 공급된 사용자의 비용납부에 대한 의사를 나타내는 데이터에 기초해서, 제 2송수신부로의 송신모드를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송수신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송수신부는, 상기 제 2송수신부로부터 공급된 사용자로부터의 리퀘스트정보 중 사용자의 비용납부 의사를 나타내는 데이터가 사용자의 비용납부의사가 있음을 나타내는 경우, 상기 제 1기억부에 저장되어 있는 다른 데이터를 송신하는 때와 동일한 데이터품질로, 상기 제 1송수신부에 새롭게 저장된 데이터를 상기 제 2송수신부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송수신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송수신부는, 상기 제 2송수신부로부터 공급된 사용자로부터의 리퀘스트정보 중 사용자의 비용납부 의사를 나타내는 데이터가 사용자의 비용납부의사가 없음을 나타내는 경우, 상기 제 1기억부에 저장되어 있는 다른 데이터를 송신할 때보다 낮은 데이터품질로, 상기 제 1송수신부에 새롭게 저장된 데이터를 상기 제 2송수신부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송수신장치.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송수신부는, 장르지정정보를 포함하는 사용자로부터의 리퀘스트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정보를 상기 제 1송수신부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송수신장치.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제 2송수신부는, 상기 제 2기억부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를 재생할 경우, 만일 사용자가 기꺼이 비용납부를 하고자 한다면, 상기 제 1기억부에 새롭게 저장된 데이터 이외의 다른 데이터를 재생하는 것과 동일한 재생상태로 상기 데이터를 재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송수신장치.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송수신부는, 상기 제 2기억부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를 재생할 경우, 만일 사용자가 기꺼이 비용납부를 하고자 한다면, 과금지불에 대한 정보를 상기 제 1송수신부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송수신장치.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송수신부는 상기 제 2송수신부로부터 공급된 과금지불정보에 기초해서 과금처리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송수신장치.
  14.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송수신부는 과금처리가 종료되었음을 나타내는 데이터를 상기 제 2송수신부로 송신하고, 과금처리가 종료되었음을 나타내는 데이터에 기초해서, 그 효과를 나타내는 과금지불데이터를 제 2기억부에 저장된 재생용 데이터에 부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송수신장치.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제 2송수신부는 상기 과금지불데이터에 기초해서 상기 제 2기억부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의 재생상태를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송수신장치.
  16.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송수신부는, 만일 상기 제 2기억부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를 재생할 경우, 사용자가 비용 납부할 의사를 가지고 있지 않다면, 재생상태를 중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송수신장치.
  17.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송수신부는 제 2송수신부로부터 공급된 장르지정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사용자로부터의 리퀘스트정보를 검색부로 송신하며, 상기 검색부는 장르지정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사용자로부터의 리퀘스트정보에 기초해서 상기 제 1기억부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를 검색한 후, 그 검색된 데이터를 제 2송수신부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송수신장치.
  18. 데이터 수신장치에 있어서,
    호스트측 장치에서 송신된 데이터를 수신하고, 사용자로부터의 리퀘스트정보를 상기 호스트측 장치로 송신하는 송수신부와,
    상기 송수신부에 의해 송신되어진 수신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기억부와,
    상기 송신 데이터가 상기 호스트측 장치에 새롭게 저장된 데이터인지 여부를 검출하고, 만일 검출결과 송신 데이터가 상기 호스트측 장치에 새롭게 저장된 데이터일 경우, 상기 송신 데이터를 상기 기억부 내에 기억시키도록 제어하는 제어기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수신장치.
  19. 제 18항에 있어서,
    재생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어기는, 검출결과 상기 송신 데이터가 상기 호스트측 장치에 새롭게 저장된 데이터가 아닌 다른 데이터일 경우, 상기 재생부에 의해 상기 송신 데이터를 재생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수신장치.
  20.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송신 데이터가 상기 호스트측 장치 내에 새롭게 저장된 데이터인지 여부를 검출하기 위한 검출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수신장치.
  21.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데이터가 호스트측 장치에 새롭게 저장된 데이터임을 나타내는 송신 데이터에 부가된 부데이터에 기초해서, 상기 송신 데이터가 호스트측 장치에 새롭게 저장된 데이터인지 여부를 판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수신장치.
  22.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송수신부는 사용자의 비용납부 의사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포함하는 사용자로부터의 리퀘스트정보를 생성하고, 그 생성된 데이터를 상기 호스트측 장치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수신장치.
  23.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송수신부는 장르지정정보를 포함하는 사용자로부터의 리퀘스트정보를 생성하여, 그 생성된 정보를 상기 호스트측 장치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수신장치.
  24. 제 23항에 있어서,
    상기 기억부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를 재생하고자 할 때, 만일 사용자가 비용 납부할 의사를 가지고 있는 경우, 상기 호스트측 장치에 새롭게 저장된 상기 데이터 이외의 다른 데이터를 재생하는 때와 유사한 재생상태로 데이터가 재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수신장치.
  25. 제 24항에 있어서,
    상기 기억부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를 재생하고자 할 때, 만일 사용자가 비용납부의사를 가지고 있는 경우, 과금지불정보가 상기 송수신부에서 상기 호스트측 장치로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수신장치.
  26. 제 25항에 있어서,
    상기 과금지불정보에 기초해서 과금처리가 종료된 후에는, 과금처리가 종료되었음을 나타내는 과금지불데이터가 상기 기억부에 저장되어 있는 재생용 데이터에 부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수신장치.
  27. 제 26항에 있어서,
    상기 기억부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의 재생상태는 상기 과금지불데이터에 기초해서 전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수신장치.
  28. 제 24항에 있어서,
    상기 기억부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를 재생할 때, 만일 사용자가 비용납부의사를 가지고 있지 않을 경우에는, 재생상태가 중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수신장치.
  29. 데이터 송수신방법에 있어서,
    호스트측 장치로 공급된 사용자로부터의 리퀘스트정보에 기초해서, 제 1기억부에 저장되어 있는 다수의 데이터를 검색하는 단계와,
    검색된 데이터를 단말측 장치로 송신하는 단계와,
    상기 송신된 데이터가 상기 제 1기억부에 새롭게 저장되는 데이터인지 여부를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판별결과 상기 송신 데이터가 상기 제 1기억부에 새롭게 저장된 데이터일 경우, 상기 단말측 장치의 제 2기억부에 상기 송신 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송수신방법.
  30. 제 29항에 있어서,
    상기 판별경과 상기 송신 데이터가 상기 제 1기억부에 새롭게 저장된 데이터 이외의 다른 데이터라고 판단될 경우, 상기 송신된 데이터는 상기 단말측 장치에 의해 재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송수신방법.
  31. 제 29항에 있어서,
    상기 검색데이터가 송신될 때, 상기 송신 데이터가 상기 제 1기억부에 새롭게 저장된 데이터일 경우, 송신 데이터가 상기 제 1기억부에 새롭게 저장된 데이터임을 나타내는 부데이터가 송신 데이터에 부가되고, 그 결과의 데이터가 송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송수신방법.
  32. 제 31항에 있어서,
    송신데이터는, 상기 부데이터에 기초해서, 상기 송신 데이터가 상기 제 1기억부에 새롭게 저장되는 데이터인지 여부에 대해 검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송수신방법.
  33. 제 29항에 있어서,
    사용자의 비용납부 의사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포함하는 사용자로부터의 리퀘스트정보가 생성되고, 상기 단말측 장치로부터 상기 호스트측 장치로 송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송수신방법.
  34. 제 33항에 있어서,
    상기 검색 데이터의 송신모드는, 휴대단말장치로부터 송신된 리퀘스트정보 중 사용자의 비용납부 의사를 나타내는 데이터에 기초해서, 전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송수신방법.
  35. 제 33항에 있어서,
    상기 검색 데이터의 송신모드는, 검색데이터가 상기 제 1기억부에 새롭게 저장되는 데이터일 경우 리퀘스트정보 중 사용자의 비용납부 의사를 나타내는 데이터에 기초해서 전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송수신방법.
  36. 제 35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측 장치로부터 송신된 리퀘스트정보 중 사용자의 비용납부 의사를 나타내는 단말측 장치로부터의 송신 데이터가, 사용자가 비용납부 의사를 가지고 있음을 나타내는 경우, 상기 제 1기억부에 새롭게 저장되는 데이터는 상기 제 1기억부에 저장되어 송신되는 다른 데이터와 동일한 데이터품질로 상기 단말측 장치 측으로 송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송수신방법.
  37. 제 36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측 장치로부터 송신된 리퀘스트정보 중 사용자의 비용납부 의사를 나타내는 단말측 장치로부터의 송신 데이터가, 사용자가 비용납부의사를 가지고 있지 않음을 나타내는 경우, 상기 제 1기억부에 새롭게 저장되는 데이터는 상기 제 1기억부에 저장되어 송신되는 다른 데이터의 품질 보다 낮은 데이터품질로 상기 단말측 장치 측으로 송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송수신방법.
  38. 제 29항에 있어서,
    장르지정정보를 포함하는 사용자로부터의 리퀘스트정보가 생성되고, 상기 호스트측 장치로 송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송수신방법.
  39. 제 38항에 있어서,
    상기 기억부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를 재생하고자 할 때, 사용자가 비용납부의사를 가지고 있는 경우에는, 그 데이터는 상기 호스트측 장치에 새롭게 저장되는 상기 데이터 이외의 다른 데이터를 재생하는 경우와 유사한 재생상태에서 재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송수신방법.
  40. 제 39항에 있어서,
    상기 기억부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를 재생하고자 할 때, 사용자가 비용납부에 대한 의사를 가지고 있을 경우, 과금지불정보가 상기 호스트측 장치로 송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송수신방법.
  41. 제 40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측 장치로부터 송신된 상기 과금지불정보에 기초해서 과금처리가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송수신방법.
  42. 제 41항에 있어서,
    상기 과금처리가 종료되었음을 나타내는 데이터가 상기 단말측 장치로 송신되며, 상기 단말측 장치는 과금처리가 종료되었음을 나타내는 데이터에 기초해서, 과금처리가 종료되었음을 나타내는 과금지불데이터를 상기 제 2기억부에 저장된 재생용 데이터에 부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송수신방법.
  43. 제 42항에 있어서,
    상기 제 2기억부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의 재생상태는 상기 과금지불데이터에 기초해서 전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송수신방법.
  44. 제 39항에 있어서,
    상기 제 2기억부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를 재생할 경우, 만일 사용자가 비용지불 의사를 가지고 있지 않다면, 재생상태가 중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송수신방법.
  45. 제 38항에 있어서,
    상기 제 1기억부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는 상기 단말측 장치로부터 송신된 장르지정정보를 포함하는 사용자로부터의 리퀘스트정보에 기초해서 검색되며, 상기 검색된 데이터는 상기 단말측 장치로 송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송수신방법.
  46. 데이터 송신장치에 있어서,
    다수의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는 기억부와,
    단말측 장치로부터 송신된 사용자의 비용납부 의사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포함하는 사용자로부터의 리퀘스트정보에 기초해서, 상기 기억부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를 검색하는 검색부와,
    상기 검색부에 의해 검색된 데이터를 송신하고, 사용자로부터 송신된 리퀘스트정보를 수신하여 그 수신된 정보를 상기 검색부로 송신하며, 사용자로부터의 리퀘스트정보 중 사용자의 비용납부 의사를 나타내는 데이터에 기초해서, 상기 검색부에 의해 검색된 데이터의 상기 단말측 장치로의 송신모드를 전환하는 송수신부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송신장치.
  47. 제 46항에 있어서,
    상기 송수신부는, 만일 상기 검색부에 의해 검색된 데이터가 상기 기억부에 새롭게 저장되는 데이터일 경우, 단말측 장치로부터 송신된 사용자로부터의 리퀘스트정보 중 사용자의 비용납부 의사를 나타내는 데이터에 기초해서, 상기 단말측 장치로의 송신모드를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송신장치.
  48. 제 47항에 있어서,
    만일 단말측 장치로부터 송신된 리퀘스트정보 중 사용자의 비용납부 의사를 나타내는 단말측 장치로부터의 송신 데이터가, 사용자가 비용납부 의사가 있음을 나타내는 경우에는, 상기 기억부에 새롭게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는 상기 기억부에 저장되어 있어 송신되는 다른 데이터와 동일한 품질로 상기 단말측 장치로 송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송신장치.
  49. 제 48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측 장치로부터 송신된 리퀘스트정보 중 사용자의 비용납부 의사를 나타내는 단말측 장치로부터의 송신 데이터가, 사용자가 비용납부 의사를 가지고 있지 않음을 나타내는 경우에는, 상기 기억부에 새롭게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는 상기 기억부에 저장되어 있어 송신되는 다른 데이터의 데이터 품질보다 낮은 데이터 품질로 상기 단말측 장치로 송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송신장치.
KR1019980046918A 1997-11-05 1998-11-03 데이터 송수신방법 및 장치, 데이터 수신장치 및 데이터 송신장치 KR10057303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30312697A JP4196419B2 (ja) 1997-11-05 1997-11-05 データ送受信システム、データ受信装置及びデータ送受信方法
JP97-303126 1997-11-0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44968A true KR19990044968A (ko) 1999-06-25
KR100573032B1 KR100573032B1 (ko) 2006-11-30

Family

ID=179172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46918A KR100573032B1 (ko) 1997-11-05 1998-11-03 데이터 송수신방법 및 장치, 데이터 수신장치 및 데이터 송신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4) US8577800B1 (ko)
EP (1) EP0918408B1 (ko)
JP (1) JP4196419B2 (ko)
KR (1) KR100573032B1 (ko)
CN (4) CN1213564C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9620B1 (ko) * 2000-09-12 2008-04-04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서버 장치, 신호분배 시스템, 신호분배 방법 및 단말 장치
KR100888903B1 (ko) * 2001-02-02 2009-03-16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무선 네트워크에서의 애플리케이션 분배 및 과금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280682B2 (en) 2000-12-15 2012-10-02 Tvipr, Llc Device for monitoring movement of shipped goods
JP4196419B2 (ja) 1997-11-05 2008-12-17 ソニー株式会社 データ送受信システム、データ受信装置及びデータ送受信方法
JP3925586B2 (ja) 1998-07-17 2007-06-06 ソニー株式会社 データ受信装置および方法ならびにデータ送受信システムおよび方法
AUPQ439299A0 (en) * 1999-12-01 1999-12-23 Silverbrook Research Pty Ltd Interface system
US7085377B1 (en) * 1999-07-30 2006-08-01 Lucent Technologies Inc. Information delivery in a multi-stream digital broadcasting system
JP2001053907A (ja) * 1999-08-10 2001-02-23 Sharp Corp 情報サービスシステム
JP2001282689A (ja) * 2000-01-25 2001-10-12 Shinano Kenshi Co Ltd コンテンツ配信システム
US7187947B1 (en) 2000-03-28 2007-03-06 Affinity Labs, Llc System and method for communicating selected information to an electronic device
AU2000234589A1 (en) * 2000-03-31 2001-10-15 Video System Co., Ltd. Portable downloader
US20020154558A1 (en) * 2000-09-05 2002-10-24 Yasuhiro Urata Pay information distribution system
US7533816B2 (en) * 2000-11-25 2009-05-19 Silverbrook Research Pty Ltd Method of associating audio with a position on a surface
JP4081980B2 (ja) * 2000-12-26 2008-04-30 ヤマハ株式会社 コンテンツ提供サービスシステム、およびサーバ装置、クライアント装置
EP2432190A3 (en) 2001-06-27 2014-02-19 SKKY Incorporated Improved media delivery platform
JP3835679B2 (ja) * 2001-10-26 2006-10-18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システムおよび情報処理方法、情報処理装置および情報処理方法、記録媒体、並びにプログラム
ATE503246T1 (de) * 2003-06-17 2011-04-15 Panasonic Corp Empfangsvorrichtung, sendevorrichtung und übertragungssystem
JP2006060284A (ja) * 2004-08-17 2006-03-0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情報配信システムおよび携帯端末装置、情報提供装置
US8128409B2 (en) * 2005-09-20 2012-03-06 Richard Feller Method and system for improving interpersonal communication
MX2008010644A (es) 2006-02-20 2008-10-28 Astellas Pharma Inc Derivado de pirrol o sal del mismo.
US7643895B2 (en) 2006-05-22 2010-01-05 Apple Inc. Portable media device with workout support
US8073984B2 (en) 2006-05-22 2011-12-06 Apple Inc. Communication protocol for use with portable electronic devices
US20070271116A1 (en) 2006-05-22 2007-11-22 Apple Computer, Inc. Integrated media jukebox and physiologic data handling application
JP5132949B2 (ja) * 2007-02-15 2013-01-30 ソニー株式会社 データ転送装置、外部端末装置、データ転送システム、データ転送方法、及び転送制御プログラム
JP5136170B2 (ja) * 2007-04-20 2013-02-06 ソニー株式会社 データ通信システム、携帯電子機器、サーバ装置、およびデータ通信方法
US8452228B2 (en) 2008-09-24 2013-05-28 Apple Inc. Systems, methods, and devices for associating a contact identifier with a broadcast source
US8886112B2 (en) 2008-09-24 2014-11-11 Apple Inc. Media device with enhanced data retrieval feature
US8140570B2 (en) 2010-03-11 2012-03-20 Apple Inc. Automatic discovery of metadata
US9107040B2 (en) 2010-09-29 2015-08-11 Apple Inc. Systems, methods, and computer readable media for sharing awareness information
KR101427756B1 (ko) * 2013-04-26 2014-08-08 주식회사 코아로직 멀티 채널의 오디오 신호 전송 방법 및 장치
JP2016025490A (ja) * 2014-07-22 2016-02-08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携帯端末装置及び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6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89863A (en) 1985-10-02 1988-12-06 Bush Thomas A Pay per view entertainment system
AU647086B2 (en) * 1990-01-30 1994-03-17 Johnson Service Company Networked facilities management system
US5241663A (en) * 1990-05-31 1993-08-31 Sony Corporation Hierarchically pairing memory blocks based upon relative storage capacities and simultaneously accessing each memory block within the paired memory blocks
US5355302A (en) * 1990-06-15 1994-10-11 Arachnid, Inc. System for managing a plurality of computer jukeboxes
US5930765A (en) * 1990-06-15 1999-07-27 Martin; John R. Downloading method for songs and advertisements
US5963916A (en) * 1990-09-13 1999-10-05 Intouch Group, Inc. Network apparatus and method for preview of music products and compilation of market data
JP2686856B2 (ja) * 1991-03-07 1997-12-08 株式会社リコス 自動ダウンロード装置
JPH04280342A (ja) 1991-03-08 1992-10-06 Toshiba Corp ワークステーション計算機のプログラム管理方法
US5488409A (en) 1991-08-19 1996-01-30 Yuen; Henry C. Apparatus and method for tracking the playing of VCR programs
JP3958355B2 (ja) * 1992-12-09 2007-08-15 セドナ・パテント・サービシズ・エルエルシー ケーブルテレビ配送システムのためのネットワーク・コントローラ
JP3049461B2 (ja) * 1993-04-20 2000-06-05 日立電子株式会社 無線中継方法およびその装置
JPH0766763A (ja) 1993-06-30 1995-03-10 Casio Comput Co Ltd 無線通信システム
JPH0738878A (ja) * 1993-07-16 1995-02-07 Brother Ind Ltd データ伝送装置
JP2820236B2 (ja) * 1993-08-31 1998-11-05 ヤマハ株式会社 カラオケシステムおよびカラオケ装置
US5808224A (en) * 1993-09-03 1998-09-15 Yamaha Corporation Portable downloader connectable to karaoke player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channel
NO933204D0 (no) * 1993-09-08 1993-09-08 Symre As Databehandlingsinnretning og bruk av samme
US5583763A (en) 1993-09-09 1996-12-10 Mni Interactive Method and apparatus for recommending selections based on preferences in a multi-user system
JPH07129373A (ja) 1993-10-29 1995-05-1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アプリケーションバージョン管理装置
WO1995014286A1 (en) * 1993-11-17 1995-05-26 Microsoft Corporation Wireless pen computer input system
JPH07182837A (ja) 1993-12-22 1995-07-21 Hitachi Ltd 記録媒体商品の試用サービスシステム
JPH07250316A (ja) 1994-03-14 1995-09-26 Brother Ind Ltd データ伝送装置
US5684843A (en) * 1994-03-28 1997-11-04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Data transmission system for transmitting information from a central control unit to a plurality of terminals
JP3239620B2 (ja) * 1994-07-19 2001-12-17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情報提供システムとこれに用いる情報提供装置と情報受信装置
US5557541A (en) * 1994-07-21 1996-09-17 Information Highway Media Corporation Apparatus for distributing subscription and on-demand audio programming
US5572442A (en) * 1994-07-21 1996-11-05 Information Highway Media Corporation System for distributing subscription and on-demand audio programming
US6249771B1 (en) 1994-07-26 2001-06-19 Sony Corporation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JPH08110840A (ja) 1994-10-12 1996-04-30 Nec Telecom Syst Ltd 2重化冗長構成磁気ディスク装置の復旧方式
US5614940A (en) 1994-10-21 1997-03-25 Intel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broadcast information with indexing
US5661787A (en) 1994-10-27 1997-08-26 Pocock; Michael H. System for on-demand remote access to a self-generating audio recording, storage, indexing and transaction system
US5628004A (en) * 1994-11-04 1997-05-06 Optima Direct, Inc. System for managing database of communication of recipients
EP0807894A1 (en) * 1995-01-31 1997-11-19 Hitachi, Ltd. Terminal for distributing electronic information
JP2719761B2 (ja) * 1995-02-24 1998-02-25 パイオニア株式会社 データ蓄積装置
JPH08242437A (ja) 1995-03-02 1996-09-17 Ekushingu:Kk 情報料課金システム及びそこに使用される情報提供端末
JPH08286681A (ja) 1995-04-11 1996-11-01 Yamaha Corp 通信カラオケネットワークの楽曲データ配信方法
US5625608A (en) * 1995-05-22 1997-04-29 Lucent Technologies Inc. Remote control device capable of downloading content information from an audio system
US5841979A (en) * 1995-05-25 1998-11-24 Information Highway Media Corp. Enhanced delivery of audio data
US5914941A (en) * 1995-05-25 1999-06-22 Information Highway Media Corporation Portable information storage/playback apparatus having a data interface
US6181867B1 (en) * 1995-06-07 2001-01-30 Intervu, Inc. Video storage and retrieval system
JPH08339193A (ja) * 1995-06-13 1996-12-24 Yamaha Corp カラオケ装置
US5790423A (en) * 1995-06-14 1998-08-04 Audible, Inc. Interactive audio transmission receiving and playback system
JPH0983967A (ja) 1995-09-14 1997-03-28 Sony Corp 文字放送送信方法、文字放送送信装置、文字放送受信装置
US5701152A (en) * 1995-09-28 1997-12-23 Lucent Technologies Inc. Arrangement for billing interactive communication services
US5649283A (en) * 1995-09-28 1997-07-15 Lucent Technologies Inc. Program verification for cable television at a consumer location
WO1997014244A1 (fr) * 1995-10-11 1997-04-17 Sony Corporation Systeme de transmission d'information et terminal portable
JP2985750B2 (ja) * 1995-10-19 1999-12-06 ヤマハ株式会社 通信カラオケ装置の情報ファイル管理方法および通信カラオケ装置
US5778395A (en) * 1995-10-23 1998-07-07 Stac, Inc. System for backing up files from disk volumes on multiple nodes of a computer network
GB2306869B (en) 1995-11-03 2000-09-20 Patrik Garten Listener operated radio programme selection and entertainment system
JPH09128452A (ja) * 1995-11-06 1997-05-16 Yamaha Corp 通信カラオケ装置のホスト装置およびそのダウンロードファイル編集方法
JP3463778B2 (ja) 1995-11-06 2003-11-05 ヤマハ株式会社 通信カラオケ装置のダウンロード管理方法および通信カラオケシステム
JP3087638B2 (ja) * 1995-11-30 2000-09-11 ヤマハ株式会社 音楽情報処理システム
JPH09186664A (ja) 1995-12-27 1997-07-15 Ekushingu:Kk 情報配信システム及び情報提供装置
JP3344889B2 (ja) 1996-01-17 2002-11-18 シャープ株式会社 情報通信方法
JP3884789B2 (ja) 1996-01-31 2007-02-21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カラオケ用情報提供システム及びカラオケ用端末装置
US5926624A (en) * 1996-09-12 1999-07-20 Audible, Inc. Digital information library and delivery system with logic for generating files targeted to the playback device
US6128012A (en) * 1996-09-19 2000-10-03 Microsoft Corporation User interface for a portable data management device with limited size and processing capability
US5959945A (en) * 1997-04-04 1999-09-28 Advanced Technology Research Sa Cv System for selectively distributing music to a plurality of jukeboxes
RU2370832C2 (ru) * 1997-07-09 2009-10-20 ЭДВАНСД ОДИО ДИВАЙСИЗ ЭлЭлСи Музыкальный проигрыватель и способ хранения звуковых дорожек в музыкальном проигрывателе
US6032197A (en) * 1997-09-25 2000-02-29 Microsoft Corporation Data packet header compression for unidirectional transmission
JP4196419B2 (ja) 1997-11-05 2008-12-17 ソニー株式会社 データ送受信システム、データ受信装置及びデータ送受信方法
JP4011243B2 (ja) * 1999-10-15 2007-11-21 富士通株式会社 電子原本管理装置および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9620B1 (ko) * 2000-09-12 2008-04-04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서버 장치, 신호분배 시스템, 신호분배 방법 및 단말 장치
KR100888903B1 (ko) * 2001-02-02 2009-03-16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무선 네트워크에서의 애플리케이션 분배 및 과금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73032B1 (ko) 2006-11-30
CN100473014C (zh) 2009-03-25
EP0918408A2 (en) 1999-05-26
CN1691721B (zh) 2015-11-25
US20040093352A1 (en) 2004-05-13
CN1691722A (zh) 2005-11-02
EP0918408B1 (en) 2015-07-15
US8577800B1 (en) 2013-11-05
US20060085510A1 (en) 2006-04-20
CN1691721A (zh) 2005-11-02
JP4196419B2 (ja) 2008-12-17
CN1226770A (zh) 1999-08-25
US8108305B2 (en) 2012-01-31
JPH11143791A (ja) 1999-05-28
CN1213564C (zh) 2005-08-03
US20060085511A1 (en) 2006-04-20
CN1691559A (zh) 2005-11-02
EP0918408A3 (en) 2008-08-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73032B1 (ko) 데이터 송수신방법 및 장치, 데이터 수신장치 및 데이터 송신장치
EP0935248B1 (en)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and method
US6845398B1 (en) Wireless multimedia player
JPH1185785A (ja) 情報処理方法、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配信システム
US8159766B2 (en) Data processing system having data reproduction independent of data processing
JP3861413B2 (ja) 情報配信システム、情報処理端末装置、携帯端末装置
JP3873405B2 (ja) データ配信システム及びデータ配信装置
WO2005020484A1 (ja) 楽曲情報の更新システム、楽曲情報の放送装置、楽曲情報の更新機能を有する端末装置、並びに楽曲情報の更新方法、楽曲情報の放送方法、端末装置の楽曲情報更新方法
JP2000066688A (ja) 移動通信網を用いたカラオケサービス方法及びそのシステム
JP2003051798A (ja) 放送配信装置、その方法、その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その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放送受信装置およびそれらを接続した放送配信システム
JPH1168994A (ja) 情報伝送装置、情報配信システム、及び充電装置
JP5132949B2 (ja) データ転送装置、外部端末装置、データ転送システム、データ転送方法、及び転送制御プログラム
JP4217416B2 (ja) 通信カラオケ用アダプタ装置
JP4297131B2 (ja) 情報処理装置、携帯端末装置、及び情報処理方法
JP4114344B2 (ja) カラオケデータ再生装置
JPH0997090A (ja) 情報提供システム及び情報センタ
JP3610117B2 (ja) カラオケ装置
JPH08234770A (ja) 通信式カラオケシステム及びカラオケ端末
JP2006138922A (ja) コンテンツ受信装置、コンテンツ受信システム、ネットワーク接続装置、コンテンツ送信装置
JPH08205122A (ja) 通信式カラオケシステム及びカラオケ端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409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