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41671A - 용지정렬장치 - Google Patents

용지정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41671A
KR19990041671A KR1019970062292A KR19970062292A KR19990041671A KR 19990041671 A KR19990041671 A KR 19990041671A KR 1019970062292 A KR1019970062292 A KR 1019970062292A KR 19970062292 A KR19970062292 A KR 19970062292A KR 19990041671 A KR19990041671 A KR 199900416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per
support piece
feed
feed roller
c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622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38588B1 (ko
Inventor
박진호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700622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38588B1/ko
Priority to JP10327746A priority patent/JPH11222338A/ja
Priority to US09/198,403 priority patent/US6293537B1/en
Priority to DE69805938T priority patent/DE69805938T2/de
Priority to EP98309602A priority patent/EP0918029B1/en
Priority to CNB981251269A priority patent/CN1180940C/zh
Publication of KR199900416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416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385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38588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00Separating articles from piles
    • B65H3/02Separating articles from piles using friction forces between articles and separator
    • B65H3/06Rollers or like rotary separators
    • B65H3/0669Driving device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1/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eet or web form
    • B41J11/36Blanking or long feeds; Feeding to a particular line, e.g. by rotation of platen or feed roller
    • B41J11/42Controlling printing material conveyance for accurate alignment of the printing material with the printhead; Print registe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00Separating articles from piles
    • B65H3/02Separating articles from piles using friction forces between articles and separator
    • B65H3/06Rollers or like rotary separators
    • B65H3/0607Rollers or like rotary separators cooperating with means for automatically separating the pile from roller or rotary separator after a separation step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9/00Registering, e.g. orientating, articles; Devices therefor
    • B65H9/004Deskewing sheet by abutting against a stop, i.e. producing a buckling of the sheet
    • B65H9/008Deskewing sheet by abutting against a stop, i.e. producing a buckling of the sheet the stop being formed by reversing the forward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heets, Magazines, And Separation Thereof (AREA)
  • Registering Or Overturning Shee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용지 정렬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용지 급지 장치에서 급지되는 용지를 정렬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용지 급지 장치에 회전이 가능하도록 장착되어 용지를 급지하는 급지 로울러와, 상기 급지 로울러의 회전과 동일하게 회전되도록 일측에 장착되어 급지 정렬시 급지 로울러의 역회전을 방지하는 원웨이 클러치(Oneway clutch)부로 구성하여, 용지 급지 장치에서 추가적인 정렬 로울러의 사용 없이 반월형 로울러만을 사용하여 급지 정렬을 할 수 있도록 함에 있다.

Description

용지 정렬 장치 및 방법
본 발명은 용지 정렬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용지 급지시 무부하로 용지를 급지하기 위한 로울러가 적용된 용지 급지 장치에서 무부하로 급지되는 용지를 이송 로울러의 역회전으로 용지의 선단을 정렬하여 급지하기 위한 용지 정렬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쇄 장치 및 스캐너(Scanner), 복사장치 또는 이 장치들이 복합된 복합기에서 용지를 저장하기 위해 용지 급지 장치가 사용된다. 용지 급지 장치는, 인쇄되고자 또는 복사, 스캐닝(Scanner)하고자 하는 용지를 용지 급지 장치에 저장한 상태에서 급지 및 정렬시켜 작업하고자 하는 위치로 이송하게 된다. 용지를 급지하기 위해 용지 급지 장치에는 급지 로울러가 장착되며, 이 급지 로울러의 회전에 의해 발생된 마찰력으로 용지를 낱장씩 급지하여 작업 위치로 이송하게 된다.
용지를 낱장씩 급지하는 급지 로울러는, 종래에는 반월형 로울러가 사용되었다. 반월형 로울러는, 용지 급지 장치에 저장된 용지를 작업 위치로 용지를 급지하기 위한 1회전의 주기는, 용지와 접촉되는 반주기 회전과 접촉되지 않은 상태인 무부하로 회전하는 주기를 갖는다. 이는 용지가 급지되어 작업 위치로 이동된 후 이송 로울러에 의해 정확한 간격으로 이송시키기 위함이다.
이로 인해 최초 용지 급지 장치에 용지를 정렬하기 위해서는 단지 용지를 안내하는 가이드(Guide)에 의한 정렬만 의존하게 된다. 즉, 용지 급지시 용지 급지 장치의 일정 측면을 기준으로 용지를 저장한 후 가이드(Guide)를 이용하여 장착함으로써 급지 로울러의 회전에 의한 용지의 틀어짐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급지 로울러에 용지와 접촉되어 마찰력을 발생하는 러버(Rubber)로 구성된 원주면이 두개로 구성된 경우에 이들사이에 회전 불균형이 발생하는 경우도 용지 틀어짐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용지 급지 후 무부하로 용지를 급지하는 급지 로울러가 적용된 용지 급지 장치에서 용지를 보다 정확하게 정렬시켜 급지할 수 있도록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용지 급지 후에 용지에 부하가 가해지지 않도록 하는 급지 로울러가 장착된 용지 급지 장치에서 용지 급지시 용지가 이송 로울러와 용지의 선단이 나란하게 정확히 정렬되도록 하는 용지 정렬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용지 급지 장치에서 급지되는 용지를 정렬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용지 급지 장치에 회전이 가능하도록 장착되어 용지를 급지하는 급지 로울러와, 상기 급지 로울러의 회전과 동일하게 회전되도록 일측에 장착되어 급지 정렬시 급지 로울러의 역회전을 방지하는 원웨이 클러치(Oneway clutch)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은, 용지 급지 장치에서 급지되는 용지를 정렬하는 장치에 있어서, 급지된 용지를 지지하여 급지 정렬이 되도록 형성된 용지 급지 장치와, 상기 용지 급지 장치에서 급지된 용지를 감지하여 감지신호를 출력하는 용지 감지 센서와, 상기 용지 감지신호에 따라 용지를 정렬하기 위해 급지 모터를 역회전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중앙처리장치로 구성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은, 용지 급지 장치에서 급지되는 용지를 정렬하는 방법에 있어서, 용지가 급지되면 용지 감지 센서가 온(On)되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에서 용지 감지 센서(131)가 온이되면 용지를 정렬하기 위해 급지 모터를 역회전시켜 용지를 정렬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에서 급지되는 용지가 정렬되면 급지 모터를 정회전시켜 용지를 이송하는 단계로 구성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용지 정렬 장치가 적용된 용지 급지 장치의 구성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원웨이 클러치(Oneway clutch)부 상세한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용지 정렬 장치가 적용된 복합기의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용지 정렬 장치가 적용된 복합기의 회로 구성을 상세히 나 타낸 블럭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용지 정렬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용지 정렬 동작 중 용지의 대기 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용지 정렬 동작 중 용지의 급지 상태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용지 정렬 동작 중 용지의 역회전 정렬 상태도,
도 9는 도 8에 도시된 용지의 역회전 정렬 상태의 상세도,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용지 정렬 동작 중 용지의 이송 상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10 ; 용지 급지 장치 111 : 급지 로울러
112 : 캠 113 : 레버
121 : 급지 모터 122 : 급지 로울러
130 : 메인회로기판 140 : 엔진부
141 : 스캐너 142 : 프린트헤드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이용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용지 정렬 장치는, 용지 급지 장치(110)의 지지하는 프레임(Frame)(116)과, 상기 프레임(116)의 좌·우측면에 회전이 가능하도록 장착되며 무부하로 용지를 급지하고 용지 급지시 용지와 마찰력이 발생되도록 북수의 반월형 러버(Rubber) 원주(111a)로 구성된 급지 로울러(111)와, 상기 급지 로울러(111)의 회전과 동일하게 회전되도록 일측에 장착되어 용지 내지는 급지 정렬시 급지 로울러(111)의 역회전을 방지하는 원웨이 클러치(Oneway clutch)부(110a)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용지 정렬 장치가 적용된 용지 급지 장치(110)를 첨부된 도 2를 이용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용지 급지 장치(110)의 프레임(116)의 좌·우측면에 급지 로울러(111)가 회전가능하도록 장착된다. 급지 로울러(111)에는 일정 거리 간격으로 반월형 러버(Rubber) 원주(111a)가 복수개로 구성되며, 일측면에는 급지 로울러(111)의 역회전을 방지하기 위한 원웨이 클러치(Oneway clutch)부(110a)가 장착된다. 원웨이 클러치부(110a)는, 급지 로울러(111)의 회전 중심축에 삽입되는 캠(112)과 상기 캠(112)에 맞물려 역회전을 방지하는 레버(Lever)(113)가 구성된다.
캠(112)은 급지 로울러(111)의 회전 중심축에 삽입되도록 삽입홀(Hall)(112a)이 형성되며, 삽입홀(112a)은 캠(112)이 급지 로울러(111)의 회전에 따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삽입되어 장착된다. 삽입홀(112a)에 의해 캠(112)이 급지 로울러(111)의 일측에 장착되면 캠(111)에 돌출 형성된 제 1 지지편(112b) 및 제 2 지지편(112c)이 급지 로울러(111)의 회전에 따라 회전을 한다. 이 때, 용지를 급지하는 방향인 시계방향 회전을 정방향이라 하면, 그 반대 방향인 역방향으로 한다. 따라서 급지 로울러(111)가 정방향으로 회전하면 캠(112)에 형성된 제 1 지지편(112b) 및 제 2 지지편(112c)도 동일한 정방향으로 회전한다.
급지 로울러(111)를 따라 회전하는 캠(112)에 형성된 제 1 지지편(112b) 및 제 2 지지편(112c)은, 삽입홀(112a)을 중심으로 서로 반대로 방향으로 형성된다. 삽입홀(112a)에 형성된 높이는, 삽입홀(112a)을 기준으로 높이가 제 1 지지편(112b) 및 제 2 지지편(112c)이 일치되는 동일 높이로 형성한다. 또한, 제 1 지지편(112b)의 길이는, 용지 급지시에는 급지 로울러(111)가 용지와 이격되는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며, 제 2 지지편(112c)은 급지되는 용지의 선단을 정렬하기 위한 급지 정렬시 급지되는 용지를 반월형 러버(Rubber) 원주(111a)에 의해 지지되는 길이로 형성된다.
캠(112)에 형성된 제 1 지지편(112b) 및 제 2 지지편(112c)이 정방향으로 회전하면 레버(113)는, 레버 브라켓(Bracket)(114)에 지지된 상태로 제 1 지지편(112b) 및 제 2 지지편(112c)의 회전력에 의해 밀려 위·아래로 이동되도록 구성된다. 즉, 제 1 지지편(112b) 및 제 2 지지편(112c)의 회전 반경 거리차 정도 이동될 수 있도록 구성한다. 즉, 레버(113)는 제 2 지지편(112c)의 회전 반경에 밀착된 상태에서 제 1 지지편(112b)의 회전시 제 1 지지편(112b)의 회전 반경으로 밀릴 수 있도록 구성한다.
이로 인해 용지를 급지하기 위해 급지 로울러(111)가 정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캠(112)의 회전력에 의해 레버(113)를 위로 이동시킨 상태에서 급지 로울러(111)에 의해 용지를 급지할 수 있게 된다. 급지 로울러(111)가 용지를 급지시 반월형 러버(Rubber)(111a)가 용지와 밀착되어 마찰력을 발생한다. 발생된 마찰력에 의해 용지가 급지되면, 캠(112)에 형성된 제 1 지지편(112b)에 의해 프레임(116)의 일측면에 형성된 부재(115)를 밀게 된다. 제 1 지지편(112b)에 의해 부재(115)가 밀리게 되면 이 힘에 의해 스프링(117)이 압축되어 용지와 급지 로울러(111)가 이격되어 마찰력이 발생되지 않는 무부하 상태가 된다.
이 상태로 용지가 급지되고 급지된 용지는 급지 정렬을 하게 된다. 급지 정렬은 급지 로울러(111)가 용지와 밀착된 상태에서 제 1 지지편(112b)을 레버(113)에 맞물린 상태에서 실시된다. 즉, 급지 로울러(111)에 의해 용지가 지지되고, 이송 로울러(도시 않음)가 순간적은 역회전으로 용지의 굽힘 현상(Curl)이 발생되어 급지 정렬이 실행된다. 이 때, 급지 로울러(111)의 역회전을 방지하기 위해 캠(112)의 제 1 지지편(112b)과 레버(113)와 맞물려 역회전을 방지한다. 즉, 제 1 지지편(112b) 및 제 2 지지편(112c)에는 각각 동일한 피치(Pitch)(L)를 갖도록 쐐기 모양의 나사를 형성하고, 이 나사에 맞물리는 레버(113)의 나사 피치의 길이를 동일하게 L로 형하여 제 1 지지편(112b) 및 제 2 지지편(112c)을 지지하여 역회전을 방지한다.
이러한 용지 정렬 장치가 적용된 용지 급지 장치(110)가 적용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이용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3에서와 같이 용지 정렬 장치가 적용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저장된 용지를 무부하로 급지하며 급지된 용지를 지지하여 급지 정렬이 되는 구조로 형성된 용지 급지 장치(110)와, 상기 용지 급지 장치(110)에 의해 급지 정렬된 용지를 작업 위치로 이송시키는 이송 로울러(122)와, 상기 용지 급지 장치(110)에 저장된 용지가 급지됨을 감지하고 용지가 감지되면 용지의 급지 정렬을 실행하기 위해 상기 이송 로울러(122)를 역회전시켜 용지가 정렬시켜 인쇄 내지는 스캐닝(Scanning) 작업 위치로 이송시키도록 제어하는 메인회로기판(130)과, 상기 메인회로기판(130)에 의해 제어되어 인쇄하거나 스캐닝 작업을 실행하는 엔진부(140)로 구성된다.
상기 구성 중에 메인회로기판(130)은 도 4에서와 같이, 저장된 용지를 무부하로 급지하며 급지된 용지를 지지하여 급지 정렬이 되는 구조로 형성된 용지 급지 장치(110)와, 상기 용지 급지 장치(110)에서 급지된 용지를 감지하여 감지신호를 출력하는 용지 감지 센서(131)와, 상기 용지 감지 센서(131)로부터 출력되는 용지 감지신호에 따라 용지를 정렬하기 위해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중앙처리장치(132)와, 중앙처리장치(132)에서 출력되는 제어신호를 인가받고 인가된 제어신호에 따라 용지를 급지 정렬하기 위한 모터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급지 드라이브(134)와, 상기 급지 드라이브(134)로부터 출력되는 모터 제어신호에 따라 무부하로 용지를 이송시키거나 급지 정렬시 용지가 지지되도록 급지 로울러(111)를 정/역회전시키는 급지 모터(121)로 구성된다.
상기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용지를 정렬하는 방법은 도 5에서와 같이, 용지 급지 장치(110)에 저장된 용지를 급지하는 단계(S131)와, 상기 용지를 급지하는 단계(S131)에서 용지가 급지되면 용지 감지 센서(131)가 온(On)되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S132)와, 상기 용지 감지 센서(131)가 온(On)되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S132)에서 용지 감지 센서(131)가 온이되면 용지를 정렬하기 위해 급지 모터(121)를 역회전시켜 용지를 정렬하는 단계(S133, S134)와, 상기 용지를 정렬하는 단계(S133, S134)에서 용지가 정렬되면 급지 모터(121)를 정회전시켜 용지를 이송하는 단계(S135, S136)로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이용하여 보다 상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용지 급지 장치(110)에 용지를 저장한다. 용지 급지 장치(110)에 용지가 저장되면, 복합기는 제어 데이터(CONTROL DATA)의 여부에 따라 용지를 급지한다. 용지를 급지하기 위해 복합기의 메인회로기판(130)의 중앙처리장치(132)는, 용지를 급지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발생하여 ECP(132)를 통해서 급지 드라이브(134)로 인가한다. 제어신호를 인가받은 급지 드라이브(134)는 인가된 제어신호에 따라 급지 모터(121)를 정방향으로 회전시킨다. 급지 모터(121)가 정방향 회전되면 급지 모터(121)의 회전축(121a)에 의해 회전력이 다수의 아이들(Idle) 기어(123a, 123b)를 통해 급지 로울러(111)로 전달된다.
급지 모터(121)에서 발생된 회전력을 전달받은 급지 로울러(111)는, 인가된 회전력에 따라 정방향으로 회전하여 용지 급지 장치(110)에 저장된 용지를 급지한다(S131). 용지를 급지하기 위해 회전하는 급지 로울러(111)는, 용지에 밀착되어 용지를 일정 길이 만큼 급지한 후 캠(112)에 형성된 제 1 지지편(112b)에 의해 용지를 밀착시켜 급지한 후 도 6과 같은 대기 상태로 동작한다. 다시 이 상태에서 다시 용지를 급지하기 위해 급지 로울러(111)는 용지에 밀착시켜 도 7과 같이 동작하여 용지를 급지한다.
이 과정을 반복해서 용지가 메인회로기판(130)에 장착된 용지 감지 센서(131)를 통과하면 중앙처리장치(132)는, 현재 용지가 이송 로울러(122)와 마찰 로울러(122a)까지 이송된 것으로 판단한다(S132). 이 때 이송 로울러(122)는 급지 모터(121)에서 발생된 회전력을 회전축(121a)을 통해서 로울러부(120)을 구성하는 다수의 아이들 기어(123c, 123d)를 통해 전달받는다. 또한, 용지 감지 센서(131)는, 용지가 통과되면 액추에이터(Actuator)(131a)가 용지 감지 센서(131)사이에서 빠져나오게 되면 이를 감지하여 감지신호를 중앙처리장치(132)로 인가한다.
용지 감지 센서(131)로부터 출력되는 감지신호가 중앙처리장치(132)는, 급지 모터(121)를 역회전시킨다(S133). 즉, 중앙처리장치(132)는, 급지 모터(121)를 역회전시키기 위한 제어신호를 ECP(132)를 통해서 급지 드라이브(134)로 인가하다. 제어신호를 인가받은 급지 드라이브(134)는, 인가된 제어신호에 따라 급지 모터(121)를 역회전시킨다. 급지 모터(121)가 역회전되면 이송 로울러(122) 및 급지 로울러(111)가 역회전된다.
이 때, 급지 로울러(111)는, 도 8에서와 같이 캠(112)에 형성된 제 1 지지편(112b)이 레버(113)에 맞물리게 되어 역회전이 방지된다. 이송 로울러(122)가 역회전되고 급지 로울러(111)에 의해 용지가 지지됨에 따라 용지는 홀더(Holder)(145)을 따라 용지의 굽힘 현상(Curl)이 발생된다. 즉 도 9에서와 같이 용지의 굽힘 현상이 발생함에 따라 용지는 화살표 방향으로 힘이 발생되어 이송 로울러(122) 및 마찰 로울러(122a)와 나란하게 선단이 정렬된다(S134).
용지의 선단이 정렬되면 중앙처리장치(123)는, 다시 급지 모터(121)를 정방향으로 회전시킨다(S135). 급지 모터(121)가 정방향으로 회전되면 다시 급지 정렬된 용지는 이송 로울러(122)에 의해 이송되어 작업 위치로 이송된다(S136). 작업 위치로 이송된 용지는 스캐너부(136) 내에 구성된 스캐너(141)에 의해 스캐닝(Scanning)되거나 프린트 드라이브(135c) 및 프린트 헤드(135d)에 의해 인쇄된다.
이 때, 엔진부(140)는, 안내봉(143)을 따라 캐리지 리턴(Carriage return) 드라이브(135a) 및 캐리지 리턴 모터(135b)에 의해 좌우로 이동된다. 즉, 캐리지 리턴 모터(135b)에서 발생된 회전력에 의해 회전되는 타임 벨트(Time belt)(144)에 의해 왕복운동하여 작업을 실행한다. 작업이 완료된 용지는 이송 로울러(122)에 의해 이송되어 풀리(124)에 의해 회전력을 전달받은 배출 로울러(125) 및 스타 휠(Star wheel)(125a)따라 배출된다. 그리고 라스터라이저(138) 및 시스템 메모리(139)는, 스캐닝된 데이터의 포멧(Format)을 변환시키고 복합기에서 필요로 하는 초기 설정 데이터 내지는 제어 프로그램을 저장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용지 급지 장치에서 추가적인 정렬 로울러의 사용 없이 반월형 로울러만을 사용하여 급지 정렬을 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지며, 또한, 용지 급지시 보다 정확하게 안내하여 용지를 급지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Claims (12)

  1. 용지 급지 장치에서 급지되는 용지를 정렬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용지 급지 장치에 회전이 가능하도록 장착되어 용지를 급지하는 급지 로울러와,
    상기 급지 로울러의 회전과 동일하게 회전되도록 일측에 장착되어 급지 정렬시 급지 로울러의 역회전을 방지하는 원웨이 클러치(Oneway clutch)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 정렬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원웨이 클러치부는,
    상기 급지 로울러의 회전 중심축에 연결되도록 삽입홀이 형성되고 상기 급지 로울러의 역회전을 방지하기 위한 제 1 지지편 및 제 2 지지편이 형성된 캠과,
    상기 캠의 역회전시 상기 제 1 지지편 및 제 2 지지편에 맞물려 역회전되지 못하도록 지지하는 레버(Lever)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 정렬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캠에 형성된 제 1 지지편 및 제 2 지지편은,
    상기 삽입홀을 중심으로 서로 반대로 방향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 정렬 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캠에 형성된 제 1 지지편 및 제 2 지지편은,
    상기 삽입홀을 기준으로 동일 높이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 정렬 장치.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캠에 형성된 제 1 지지편은,
    용지의 무부하 이송시 상기 급지 로울러가 용지와 이격되는 길이를 갖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 정렬 장치.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캠에 형성된 제 2 지지편은,
    급지 정렬시 상기 급지 로울러가 용지를 지지하는 길이를 갖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 정렬 장치.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캠에서 형성된 제 1 지지편 및 제 2 지지편은,
    각각 동일한 피치(Pitch)를 갖도록 나사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 정렬 장치.
  8.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는,
    상기 상기 캠에서 형성된 제 1 지지편 및 제 2 지지편에 각각 형성된 나사에 맞물리도록 제 1 지지편 및 제 2 지지편에 형성된 피치와 동일하게 나사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 정렬 장치.
  9. 용지 급지 장치에서 급지되는 용지를 정렬하는 장치에 있어서,
    급지된 용지를 지지하여 급지 정렬이 되도록 형성된 용지 급지 장치와,
    상기 용지 급지 장치에서 급지된 용지를 감지하여 감지신호를 출력하는 용지 감지 센서와,
    상기 용지 감지신호에 따라 용지를 정렬하기 위해 급지 모터를 역회전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중앙처리장치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 정렬 장치.
  10. 용지 급지 장치에서 급지되는 용지를 정렬하는 방법에 있어서,
    용지가 급지되면 용지 감지 센서가 온(On)되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에서 용지 감지 센서(131)가 온이되면 용지를 정렬하기 위해 급지 모터를 역회전시켜 용지를 정렬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에서 급지되는 용지가 정렬되면 급지 모터를 정회전시켜 용지를 이송하는 단계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 정렬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용지를 정렬하는 단계는,
    상기 용지 감지 센서가 온(On)되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에서 용지 감지 센서가 온이 중앙처리장치는 용지가 이송 로울러로 급지된 것으로 확인하여 급지 모터를 역회전시키는 단계와,
    상기 단계에서 급지 모터가 역회전되면 급지 로울러에 의해 용지를 지지한 상태에서 이송 로울러와 나란하게 용지가 정렬되는 단계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 정렬 방법.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용지를 이송하는 단계는,
    상기 용지를 정렬하는 단계에서 용지가 정렬되면 정렬된 용지를 이송하기 위해 급지 모터를 정회전시키는 단계와,
    상기 단계에서 급지 모터가 정회전되면 정렬된 용지를 이송시키는 단계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 정렬 방법.
KR1019970062292A 1997-11-24 1997-11-24 용지 정렬 장치 KR1002385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62292A KR100238588B1 (ko) 1997-11-24 1997-11-24 용지 정렬 장치
JP10327746A JPH11222338A (ja) 1997-11-24 1998-11-18 給紙装置
US09/198,403 US6293537B1 (en) 1997-11-24 1998-11-24 Paper aligning apparatus
DE69805938T DE69805938T2 (de) 1997-11-24 1998-11-24 Vorrichtung zum Ausrichten von Papierbögen
EP98309602A EP0918029B1 (en) 1997-11-24 1998-11-24 A paper aligning apparatus
CNB981251269A CN1180940C (zh) 1997-11-24 1998-11-24 供应和对正纸张的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62292A KR100238588B1 (ko) 1997-11-24 1997-11-24 용지 정렬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41671A true KR19990041671A (ko) 1999-06-15
KR100238588B1 KR100238588B1 (ko) 2000-01-15

Family

ID=195254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62292A KR100238588B1 (ko) 1997-11-24 1997-11-24 용지 정렬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6293537B1 (ko)
EP (1) EP0918029B1 (ko)
JP (1) JPH11222338A (ko)
KR (1) KR100238588B1 (ko)
CN (1) CN1180940C (ko)
DE (1) DE69805938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999057B2 (ja) * 2002-06-13 2007-10-31 シャープ株式会社 整合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た画像形成システム
JP4145083B2 (ja) 2002-07-11 2008-09-03 ミネベア株式会社 モータおよび計器
KR100449023B1 (ko) * 2002-08-28 2004-09-18 삼성전자주식회사 화상형성기기의 급지 장치
US7377508B2 (en) * 2003-05-12 2008-05-27 Lexmark International, Inc. Pick mechanism and algorithm for an image forming apparatus
US7182192B2 (en) * 2004-11-08 2007-02-27 Lexmark International, Inc. Clutch mechanism and method for moving media within an image forming apparatus
TWI253391B (en) * 2005-05-13 2006-04-21 Benq Corp A paper pick-up module of a printer of the like
US7699305B2 (en) 2007-03-29 2010-04-20 Lexmark International, Inc. Smart pick control algorithm for an image forming device
JP4618315B2 (ja) * 2008-04-08 2011-01-26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シート搬送装置、及び画像記録装置
KR20150026597A (ko) * 2013-09-03 2015-03-11 삼성전자주식회사 인쇄매체공급장치 및 이를 갖는 화상형성장치
CN103660618B (zh) * 2013-11-21 2015-10-21 浙江大学 便捷取纸装置
KR101766150B1 (ko) 2016-07-08 2017-08-07 조웅현 집라인용 브레이크 장치
CN106986203B (zh) * 2017-05-05 2018-06-12 浙江工业大学 会议纸质资料发料机
EP3681832A4 (en) * 2017-09-15 2021-06-16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ORIENTATIONS OF PRINT MEDIA
CN111098603A (zh) * 2018-10-25 2020-05-05 陪里你色株式会社 一体型墨盒及利用该墨盒的打印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226424A (ja) * 1985-03-29 1986-10-08 Canon Inc 給送装置
JPH07115765B2 (ja) * 1990-04-11 1995-12-13 ダイワ精工株式会社 自動給紙装置のクラッチ装置
DE69116122T2 (de) * 1990-08-08 1996-05-15 Seiko Epson Corp Papierfoerderer
US5358230A (en) * 1992-04-24 1994-10-25 Canon Kabushiki Kaisha Sheet supplying apparatus
JP3197960B2 (ja) * 1992-09-30 2001-08-13 キヤノン株式会社 自動給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US5228671A (en) * 1992-11-20 1993-07-20 Xerox Corporation Sheet feeder with single sheet bypass
JP3530543B2 (ja) * 1993-02-25 2004-05-24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単票紙のスキュー取り方法とその装置
US5867196A (en) * 1994-07-29 1999-02-02 Canon Kabushiki Kaisha Sheet supply apparatus for controlling sheet feeding with reversing of conveyance direction
CH690853A5 (fr) * 1995-07-10 2001-02-15 Olivetti Lexikon Spa Dispositif d'introduction de matériaux plats.
US5863036A (en) * 1995-10-20 1999-01-26 Ricoh Company, Ltd. Sheet feed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KR0135429Y1 (ko) * 1995-11-24 1999-05-15 김광호 인쇄 장치의 자동 낱장 공급 장치
US6142467A (en) * 1997-01-14 2000-11-07 Nec Corporation Sheet feeder having an intermittent coupling member
JP3381832B2 (ja) * 1997-08-28 2003-03-04 富士通株式会社 用紙分離機構
KR100238585B1 (ko) * 1997-10-29 2000-01-15 윤종용 잉크젯 프린터의 픽업로울러 절환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80940C (zh) 2004-12-22
EP0918029A1 (en) 1999-05-26
KR100238588B1 (ko) 2000-01-15
US6293537B1 (en) 2001-09-25
DE69805938T2 (de) 2003-01-23
EP0918029B1 (en) 2002-06-12
DE69805938D1 (de) 2002-07-18
CN1217982A (zh) 1999-06-02
JPH11222338A (ja) 1999-08-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53854A (en) Sheet feeding apparatus
KR19990041671A (ko) 용지정렬장치
JP2603358B2 (ja) 印字装置
US5401012A (en) Automatic document feeder with side by side document feeding capability
US5921545A (en) Automatic sheet feeding apparatus
JP2007084302A (ja) 用紙処理装置
KR100415608B1 (ko) 프린터의페이퍼잼방지방법및그에따른장치
JPH06100208A (ja) 用紙斜め送り補正制御装置
JPH11349191A (ja) シート搬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EP1968296A1 (en) Method of duplex printing on sheet media
US6011945A (en) Electrophotographic printer for printing duplex images
US5892594A (en) Multipage document copying technique for facsimile machine
JPH023458Y2 (ko)
JP2002010033A (ja) 原稿読取装置
JPH05186068A (ja) 帳票供給装置
JPH05208755A (ja) 枚葉用紙用給紙装置
JPH11199087A (ja) 用紙搬送用従動ローラの支持構造及び該支持構造を具備する用紙搬送装置
JPH05278885A (ja) 摩擦分離給紙装置及び摩擦分離給紙方法
JPH0745098Y2 (ja) 複写機の用紙収容装置
JP3347054B2 (ja) 給紙装置
JP3284870B2 (ja) 給紙装置
JPH11295824A (ja) 原稿搬送装置
JPH11165915A (ja) 給紙搬送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H1111708A (ja) シート給送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2002205838A (ja) 給紙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929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