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37615A - 박피기 - Google Patents

박피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37615A
KR19990037615A KR1019980058881A KR19980058881A KR19990037615A KR 19990037615 A KR19990037615 A KR 19990037615A KR 1019980058881 A KR1019980058881 A KR 1019980058881A KR 19980058881 A KR19980058881 A KR 19980058881A KR 19990037615 A KR19990037615 A KR 199900376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roller
pressing
tension
pee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588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86062B1 (ko
Inventor
정석봉
Original Assignee
정석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석봉 filed Critical 정석봉
Priority to KR10199800588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86062B1/ko
Publication of KR199900376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76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860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86062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2BUTCHERING; MEAT TREATMENT; PROCESSING POULTRY OR FISH
    • A22CPROCESSING MEAT, POULTRY, OR FISH
    • A22C25/00Processing fish ; Curing of fish; Stunning of fish by electric current; Investigating fish by optical means
    • A22C25/17Skinning fish
    • AHUMAN NECESSITIES
    • A22BUTCHERING; MEAT TREATMENT; PROCESSING POULTRY OR FISH
    • A22CPROCESSING MEAT, POULTRY, OR FISH
    • A22C25/00Processing fish ; Curing of fish; Stunning of fish by electric current; Investigating fish by optical means
    • A22C25/08Holding, guiding, or conveying fish before, during or after its preparation ; Devices for sizing fish; Automatically adapting conveyors or processing machines to the measured size
    • AHUMAN NECESSITIES
    • A22BUTCHERING; MEAT TREATMENT; PROCESSING POULTRY OR FISH
    • A22CPROCESSING MEAT, POULTRY, OR FISH
    • A22C25/00Processing fish ; Curing of fish; Stunning of fish by electric current; Investigating fish by optical means
    • A22C25/12Arranging fish, e.g.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head and tail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rocessing Of Meat And F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계적인 장치를 이용하여 어육의 표면에 부착된 피막을 자동으로 벗기도록 하면서도 재료의 종류에 관계없이 호환성있게 사용가능토록 하고, 특히 본 출원인의 선출원 발명특허 제98-23967호를 개량 발명한 것으로, 이는 본체의 내부에 구비되고 박피칼날의 위치를 다단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브레이드 캐리어와 교체사용이 가능한 톱니로울러 및 스크레이퍼 또는 일자형 톱니로울러 및 헤리컬기어형 스크레이퍼를 갖춘 박피부와, 상기 기대의 양측면상에 구비되고 손잡이의 회전작동에 의해 스프링의 인장력으로 브레이드 캐리어의 장력을 조절토록 하는 장력조절부와, 상기 기대의 상면에 착탈가능토록 구비되고 탄성력을 가지는 누름벨트가 다수의 로울러에 의해 무한궤도식으로 체결되어 공급되는 재료를 균일하게 눌러주는 재료누름부와, 상기 기대의 양측면상에 구비되고 모터의 동력을 체인기어 및 체인으로서 박피부와 재료누름부측으로 전달토록하는 동력전달부로 구성된 것이다.

Description

박피기
본 발명은 어류와 같은 비교적 부드럽고 유연한 물체의 표면에 일체로 부착되어있는 껍질 등의 강한 피막을 벗기도록 하는 박피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히는 기계적인 장치를 이용하여 피막을 자동으로 벗기도록 하면서도 재료의 종류에 관계없이 호환성있게 사용가능토록 하고, 특히 본 출원인의 선출원 발명특허 제98-23967호를 개량 발명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어류의 껍질이나 또는 동물의 내장 표면에 일체로 부착된 피막 등을 자동으로 벗기도록 하는 박피기는 종래에도 이미 알려져 실제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박피기는 톱니가 붙어있는 톱니로울러에 의해 재료가 이송되면서 톱니로울러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근접되게 구비되는 박피용 칼에 의해 껍질이 벗겨지게 되는 것이고, 이때 공급되는 재료는 누름로울러에 의해 박피칼과 잇빨로울러에 눌려져 껍질이 용이하게 벗겨지게 된다.
따라서, 껍질이 벗겨진 재료는 송출가이드 또는 송출콘베이어에 의해 송출되어짐과 동시에 벗겨진 껍질은 배출가이드를 타고 저면으로 떨어져 제거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박피기는 누름로울러가 경질의 고무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어류를 누를 때 어육의 중앙부분 즉, 높이 올라간 부분에 누르는 힘이 집중되고, 누름로울러와의 접촉부분만 압력이 가해져서 주변의 두께가 얇은 육질부분은 충분한 힘으로 누를 수 없으므로, 살이 극단적으로 부드러운 연어의 필레(어포), 꽁치, 고등어 등 재료의 두꺼운 부분에 집중적인 압박으로 제품의 변형 또는 파손이 발생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재료의 곡선부를 따라 재료를 누를 수 없기 때문에 재료 전체를 균일하게 누를 수 없으므로, 살이 얇은 부분의 껍질은 칼에 잘 닿지 않게 되어 껍질이 쉽게 벗겨지지 않는 원인이 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으로 인하여 실제로 박피기를 사용하였을 경우에는 누름로울러를 사용하지 않은 상태로 작업을 하고 있기 때문에 작업자의 손이 말려 들어가는 등의 위험이 예상된다.
또한, 누름로울러를 재료에 직접 접촉시키고 있는 것이기 때문에, 이송 로울러의 톱니 틈이나 원반을 적층시킨 틈(2∼3mm)에 어육이나 체액 등의 찌꺼기가 끼이기 쉬워서, 청소를 하여도 잔재물이 남아 있을 수 있어 여름철 등에는 잡균이 번식하여 위생관리상 문제를 일으킬 우려가 있었다.
또한, 브레이드 캐리어의 결합구는 분해하기 쉽도록 되어 있지 않아 기계를 청소할 때 브레이드 캐리어를 분해하는 작업에 많은 시간과 기술이 필요하게 되는 것이었고, 이에 따라 브레이드 캐리어나 톱니 로울러를 청소할 때, 브레이드 캐리어를 빼는 것을 소홀히하게 되면, 브레이드 캐리어의 내부와 톱니 로울러에 세척수를 내뿜어 청소를 하더라도 세척수가 닿지않는 사각지역이 생김으로써 충분히 청소할 수가 없는 문제점이 있고, 남은 잔재물에 잡균이 생겨 위생관리상 문제를 일으킬 우려가 있었다.
또한, 재료를 박피부에 투입할 때 투입 각도가 일정하게 고정 설치되어 있으므로 재료의 크기ㆍ재료의 종류(어종) 등에 따라서 적절한 투입각도로 투입할 수가 없어서 사용 가능한 어종이 한정될 수 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본 출원인은 발명특허출원 제98-23967호를 선출원한 바 있다.
이는 어육의 껍질을 전면에 걸쳐 톱니로울러 및 박피용 칼에 균일하게 누를 수 있도록 하면서도 어육을 손상시키지 않은 상태로 피막을 효과적으로 벗기도록 하고, 또한 어육이나 체액이 남아있지 않도록 어육 누름수단을 청소하기 용이하도록 구성하며, 그리고 브레이드 캐리어의 결합구조를 조립 및 분해가 용이하도록 하면서도 브레이드 캐리어의 내부와 톱니로울러에 붙어있는 잔재물을 청소하기 쉽도록 구성한 것이었다.
그러나,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는 선출원 발명에서 요구되는 효과는 어느 정도 기대할 수가 있으나, 다음과 같은 여러 가지 문제점이 여전히 남게 되는 것이었다.
즉, 공급되는 재료의 껍질을 벗겨주는 박피칼이 브레이드 캐리어에 고정설치되어 있고, 또한 상기 브레이드 캐리어는 기대로부터 분해 및 조립이 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이긴 하지만 분해 및 조립에 따른 구조가 복잡할 뿐만 아니라, 재료를 이송하는 톱니로울러의 조립 및 분해에 따른 구조 역시 복잡함으로써 이들을 분해 및 조립하는데 따른 작업성이 좋지 못한 단점이 있다.
이러한 단점은 브레이드 캐리어와 톱니로울러의 교체사용에 따른 작업성이 좋지 못함으로써 재료의 종류, 즉 껍질의 두께나 강도 등에 따라 톱니로울러를 교환하여 사용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는 것이었다.
또한, 상기 브레이드 캐리어는 별도의 탄성수단에 의해 톱니로울러와의 간격이 조절되어 지는 것이나, 이의 탄성수단은 본체의 브레이드 캐리어 하부에 가로질러 구비되면서도 레버의 작동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축에 캠이 구비되어 스프링을 인장하는 방식으로 조절되는 것임으로써 그 구조가 복잡할 뿐만 아니라 외부에 노출되어 있으므로 위생적이지 못하고 청소 등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공급되는 재료를 눌러주는 누름수단은 재료누름로울러 및 전,후의 로울러에 무단벨트를 체결하여 무한궤도식으로 구동되게 함으로써 상기 재료누름로울러와 무단벨트에 의해 재료를 누르도록 구성된 것이나, 이 역시 구성이 복잡하여 제조성 및 작동성이 좋지 못하고 쉽게 분해 및 조립이 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재료의 종류에 따라서는 톱니로울러 및 박피용 칼을 교체사용되어야 하는 것이나, 이 역시 고정된 구조를 갖추고 있기 때문에 쉽게 교체사용하기가 곤란한 문제점이 있는 것이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들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주된 목적은 어육의 껍질을 전면에 걸쳐 톱니로울러 및 박피용 칼에 균일하게 누를 수 있도록 하면서도 어육을 손상시키지 않은 상태로 피막을 효과적으로 벗기도록 하는 박피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박피기의 주요 관련부품들을 원터치식으로 간편하게 조립 및 해체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하나의 기기로써 재료의 종류에 따라 관련부품만을 간편히 교체하여 호환성있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박피기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박피기의 동력전달장치와 브레이드 캐리어의 장력조절장치 등을 박피기의 기대 양측면에 구비함으로써 박피기의 전체적인 구조를 간단히하여 제조를 용이하게 함은 물론 작동효율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것이고, 또한 관련부품들이 내부에 내장되므로 내구력이 뛰어날 뿐만 아니라 청소 등에 따른 문제점이 없는 박피기를 제공함에도 있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재료의 누름장치를 재료를 눌러주는 누름로울러와 동력의 전달받아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로울러 및 종동로울러를 탄성력이 좋은 무단벨트로서 체결토록 하고, 상기 재료누름장치는 박피기의 본체에 보울트 및 너트를 이용하여 간편히 원터치식으로 조립 및 분해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박피부를 구성하는 박피용 칼을 브레이드 캐리어에 결합하되 칼날의 마모율 및 어종에 따라 그 설치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고, 브레이드 캐리어는 박피기 기대의 상부에 체결되어 장력조절수단에 의해 박피용 칼이 톱니로울러와 적정한 탄성(장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장력조절수단은 기대의 양측면상에 설치되는 스프링의 인장력에 의해 조절되게 하면서도 스프링의 인장력은 기대의 일측에 구비되는 손잡이의 작동에 의해 간단히 조절되게 하는 것이다.
그리고, 재료를 이송토록 하는 톱니로울러와 스크래이퍼 대신에 톱니로울러 및 스크레이퍼로울러 또는 일자형 톱니로울러 및 헤리컬기어식 스크레이퍼로울러로 하고, 박피하고자 하는 재료의 종류에 따라 그 재료에 맞는 톱니로울러를 교체사용할 수 있도록 함을 그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련된 박피기의 전체적인 개략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관련된 박피기의 구성을 나타낸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관련된 탈피기의 측면판을 제거한 상태의 측면구성도
도 4는 본 발명 도3의 반대측 측면구성도
도 5는 본 발명 재료누름부의 구성을 보인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 도5의 단면구성도
도 7은 본 발명 브레이드 캐리어를 보인 분해사시도
도 8은 본 발명 도7에서 덮개판과 박피칼을 제거한 상태의 평면도
도 9는 본 발명 도7의 결합상태의 단면구성도
도10은 본 발명 박피기의 요부 구성을 나타낸 일부분해사시도.
도11은 본 발명의 톱니로울러와 스크레이퍼 로울러를 보인 정면구성도
도12는 본 발명 도11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정면구성도
도13은 본 발명의 스크레이퍼 로울러측으로 공급되는 동력전달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구성도
도14는 본 발명의 박피부를 자세히 보인 구성도
도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구성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설명 *
100:본체 101:바퀴 10:지대
11:모터 12,26a:지지봉 13,14:구동기어
20:박피부 21,80:톱니로울러 22:박피칼
23:브레이드 캐리어 24,90:스크레이퍼 로울러 25:슈트
26:안착부재 211:기어 212:호울더
213:체결구 221,81,91:돌기 231:지지대
232:체결홈 233:누름봉 234:지지판
235:덮개판 236:삽입홈 241:호울더
30:재료누름부 31:스프링 32:누름구
33:회전축 34:캠 35:작동축
36:헬리컬기어 37:피니언 38:손잡이
40:장력조절부 41:브라켓트 42:누름로울러
43:기어 44:구동로울러 45:종동로울러
46:누름로울러 48:조정구 49:연결구
50:동력전달부 51:구동축 52,54,243:체인기어
53,55,244:체인 60:재료공급부 61:공급가이드
62,72:콘베이어 70:제품송출부 71:배출가이드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에 관련된 박피기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은 본 발명 박피기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이고, 도2는 평면도이고, 도3 및 도4는 상기 박피기의 양측면판을 제거한 측면구성도이다.
상기 박피기(100)는 기대(10)의 내부에 구비되는 박피부(20)와, 재료를 눌러주는 재료누름부(40)와, 박피용칼의 장력을 조절토록 하는 장력조절부(30)와, 각 구성요소로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부(50)와, 기대(10)의 전,후면에 구비되는 재료공급부(60) 및 제품송출부(70)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기대(10)는 박피기(100)를 구성하는 상기 각 기능부를 지지 고정함과 동시에 저면에는 바퀴(101)가 부착되어 이동 가능하게 하였고, 기대(10)의 내부에는 박피기(100)의 각 구성요소를 구동시키기 위한 모터(11)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박피부(20)는 첨부된 도면의 도14에서 더욱 상세히 나타내고 있으며, 이는 재료를 박피칼(22)측으로 이송하는 톱니로울러(21)와, 기대(10)의 내측면에 구비되는 지지봉(12)에 체결되어 이를 지지점으로 회동작동됨과 동시에 쉽게 분해가 되는 브레이드 캐리어(23)와, 상기 브레이드 캐리어(23) 내부에 체결되고 톱니로울러(21)와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박피칼(22)과, 톱니로울러(21)에 부착된 벗겨진 껍질을 떨어뜨리는 스크레이퍼 로울러(24)와 벗겨진 껍질을 배출하는 슈트(25)로 구성된다.
상기 톱니로울러(21)는 원통형으로 구비되는 외주연에 톱니가 가공됨과 동시에 길이방향을 따라 요철로 가공되고, 그 일측에는 기어(211)가 구비되면서 양측면의 호울더(212)에 체결되어 회전가능토록 구성되며, 상기 호울더(212)의 하부에는 체결구(213)가 일체로 구비되어 기대(10)에 가로질러 구비되는 안착부재(26)에 삽입체결된다.
즉, 상기 톱니로울러(21)의 회전축은 호울더(212)의 내부에 구비되는 베어링에 지지됨으로써 기어(211)릍 통하여 전달되는 동력에 의해 호울더(212)에 지지된채로 원활하게 회전작동되는 것이다.
상기 안착부재(26)는 기대(10)의 내부를 가로질러 구비되는 지지봉(26a)의 양측 상부에 각각 일체로 구비되어 톱니로울러(21)의 양측 호울더(212)가 용이하게 안착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일측 안착부재(26)의 외측 기대(10)에는 모터(11)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구동되는 구동기어(13)가 구비됨으로써 톱니로울러(21)의 기어(211)와 이맞물림된다.
따라서, 상기 톱니로울러(21)는 안착부재(26)에 고정설치되고 모터(11)의 회전동력을 구동기어(13) 및 기어(211)를 통하여 전달받아 회전됨으로써 재료공급부(60)에서 보내어 온 재료를 박피칼(22)에 공급하게 되는 것이다.
브레이드 캐리어(23)에 고정된 박피칼(22)은, 톱니로울러(21)와 적당한 간격을 유지하여 설치되어 있고, 재료의 껍질과 살 사이에 위치해 껍질을 벗기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브레이드 캐리어(23)는 첨부된 도면의 도7 내지 도9에서 더욱 상세히 나타내고 있으며, 이는 양측에 지지대(231)를 갖고 있으며, 지지대(231)의 후면에는 체결홈(232)을 갖추어 기대(10)에 설치된 지지봉(12)에 체결되어 이를 지지점으로 회전가능토록 지지되고, 지지대(231)의 양측면에는 브레이드 캐리어(23)를 톱니로울러(21)측으로 눌러주는 장력조절부(30)와 결합되는 누름봉(233)이 구비되며, 지지대(231)의 사이에는 박피칼(22)이 체결되는 지지판(234)이 구비된다.
상기 지지판(234)의 상부에는 박피칼(22)이 체결되어 덮개판(235)에 의해 체결되는 것으로, 상기 덮개판(235)은 지지판(234)에 구비되는 너트공에 체결보울트로서 고정되고, 상기 지지판(234)의 상면에는 박피칼(22)의 후면을 받쳐주도록 하는 돌기(221)가 체결될 수 있는 삽입홈(236)이 다수개로 형성되며, 이의 삽입홈(236)은 박피칼(22)의 체결위치를 다단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다열로 형성된다.
즉, 재료의 종류에 따라서나 또는 박피칼(22)이 닳는 정도 등에 따라서 박피칼(22)의 체결위치를 조절하고자 할 경우에는 덮개판(235)을 제거하여 박피칼(22)의 돌기(221)를 다른 삽입홈(236)에 체결함으로써 박피칼(22)의 체결위치를 조절할 수가 있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지지판(234)과 톱니로울러(21)와의 접합면은 지지판(234)에 톱니로울러(21)의 톱니형상의 가공 또는 지지판(234)과 톱니로울러(21)의 접합면을 장시간 마모시켜 0.1-5mm정도 가공이 덜된 상태로 조립하여 톱니로울러(21)와 지지판(234)의 접촉면을 좋게 함으로써 박피시 수율을 향상시키고 원료를 박피칼(22)측으로 옮겨주는 힘을 높여주게 되는 것이다.
또한, 스크레이퍼 로울러(24)는 그 회전축(241)의 일측단에 기어(242)가 구비되어 모터(11)와 연결된 구동기어(13)와 이맞물림됨으로써 구동되고, 전술한 톱니로울러(21)와 대칭되는 형상을 가지면서 잇빨과 홈이 교호로 구비되어 이의 잇빨이 톱니로울러의 홈에 삽입된 상태로 회전됨으로써 톱니로울러(21)의 표면에 달라붙은 껍질의 찌꺼기를 제거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스크레이퍼 로울러(24)의 구동방식은 회전축(241)의 일측단에 기어(242)를 구비하여서 된 것이나, 이는 하나의 실시예에 지나지 않는 것으로 다른 실시예로서, 첨부된 도면의 도13에서 보는 바와 같이 회전축(241)을 기대(10)의 외측면으로 연장하여 체인기어(243)를 구비하고 이의 체인기어(243)를 동력전달부(50)와 체인(244)으로 연결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은 톱니로울러(21)와 스크레이퍼 로울러(24)가 한 조를 이루어 구성되는 것이나, 어종에 따라서는 이러한 구조를 달리 할 수도 있다.
즉, 첨부된 도면의 도12에서 보는 바와 같은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톱니로울러(80)를 길이방향을 따라 톱니(81)를 가지는 일자형 로울러로 구성함과 동시에 이와 대향되는 스크레이퍼 로울러(90)는 헤리컬형으로 톱니(91)를 갖도록 구성하여서 된 것이다.
이때, 상기 톱니로울러(80)와 스크레이퍼 로울러(90)는 외주연상에 길이방향을 따라 수개의 홈(대략 40-100개)이 구비되는 것이며, 구동방법은 전술한 스크레이퍼 로울러(24)와 동일함으로써 비교적 껍질이 얇은 어종에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톱니로울러(80) 및 헤리컬 기어형 스크레에퍼 로울러(90)의 회전속도는 톱니로울러(80)에 비하여 약1.5-3배정도 빠르게 함으로써 껍질의 제거효율을 향상시키게 될 것이다.
또한, 상기 박피부(20)의 브레이드 캐리어(23)는 장력조절부(30)에 의해 그 장력이 조절되는 것으로, 상기 장력조절부(30)는 첨부도면의 도2 내지 도4에서 상세히 나타낸 바와 같이 기대(10)의 양측 내면에 각각 스프링(31)의 인장력에 의해 회전작동되어 브레이드 캐리어(23)의 누름봉(233)을 눌러주는 누름구(32)가 구비되고, 이의 누름구(32)는 회전이 가능하도록 끼워맞춤과 동시에 핀으로서 고정된다.
상기 누름구(32)는 스프링(31)의 인장력에 의해 회전작동되어 브레이드 캐리어(23)의 전단을 눌러주게 됨으로써 상기 브레이드 캐리어(23)는 첨부된 도면의 도14에서 더욱 상세히 나타낸 바와 같이 기대(10)에 설치된 지지봉(12)을 지지점으로 회전작동되며, 상기 박피칼(22)과 톱니로울러(21)의 간격 조절은 지지대(231)의 전단에 구비되는 조절보울트(237)에 의하여 조절된다.
상기 조절보울트(237)는 지지대(231)의 선단에 상하로 관통되게 설치되어 이에 설치된 나사 구멍의 상부로부터 보울트를 돌려 조이거나 풀어줌에 의하여 그 간격이 조절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스프링(31)은 기대(10)를 가로질러 구비되는 회전축(33)의 캠(34)과 연결되고, 상기 회전축(33)은 기대(10)의 일측면에 전,후방향으로 구비되는 작동축(35)에 의해 회전구동된다.
즉, 상기 작동축(35)에는 헬리컬기어(36)가 구비됨과 동시에 상기 회전축(33)의 일측단에는 피니언(37)이 구비되어 이들이 이맞물림됨으로써 동력전달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고, 상기 작동축(35)의 전단에는 이를 작동시키기 위한 손잡이(38)가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손잡이(38)의 정.역회전 작동에 따라 브레이드 캐리어(23)의 장력이 조절이 된다. 이러한 조절은 재료의 종류에 따라 그 장력을 달리함으로써 호환성있게 사용할 수가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첨부된 도면의 도5 및 도6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재료누름부(40)를 상세히 나타내고 있다.
상기 재료누름부(40)는 공급되는 재료를 박피부(20)에서 박피가 용이하도록 안정되게 눌러주는 기능을 가지는 것으로, 기대(10)의 상면에 보울트 및 핀에 의해 착탈된다.
상기 재료누름부(40)는 양측면에 브라켓트(41)를 갖추어 구성되면서 이들 사이의 전단에는 재료를 누르는 누름로울러(42)가 구비됨과 동시에 후단에는 일측면에 기어(43)를 갖추어 모터(11)로 부터 전달되는 동력에 의해 회전구동되는 구동로울러(44)가 구비되고, 상기 브라켓트(41)의 상부 전단에는 종동로울러(45)가 구비되며, 이들 로울러들에는 누름벨트(46)가 무한궤도식으로 체결된다.
또한, 상기 누름로울러(42) 및 종동로울러(45)의 사이에는 누름벨트(46)의 장력을 조절하도록 하는 조절로울러(47)가 브라켓트(41)에 지지된채로 구비되어 있고, 상기 조절로울러(47)의 회전축은 브라켓트(41)의 장공에 체결되면서 너트 및 보울트에 의해 그 간격이 조절되는 조정구(48)에 체결된다.
상기 누름로울러(42)는 신축성이 뛰어난 합성수지 재질로 구성되거나 또는 이러한 재질을 외주연상에 일정두께만큼 도포하여 이루어지면서도 다른 로울러들에 비하여 그 외경이 다소 크게 구성되어 있고, 상기 누름벨트(46)도 역시 신축성이 뛰어난 재질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할 것이다.
또한, 상기 재료누름부(40)는 브라켓트(41)에 구비되는 연결구(49)를 통하여 기대(10)에 핀으로서 체결되는 것이고, 상기 구동로울러(44)의 일측단에 구비되는 기어(43)는 기대(10)에 체결되어 모터(11)의 동력으로 회전구동되는 구동기어(14)와 이맞물림됨으로써 회전구동되어 지는 것이다.
동력전달부(50)는 첨부된 도면의 도3 및 도4에서 상세히 나타내고 있으며, 이는 기대(10)의 양측면을 가로질러 구동축(51)이 구비되고, 이의 구동축(51)은 기대(10)내에 구비되는 모터(11)와 연결되어 회전구동되며, 상기 구동축(51)의 일측단에는 체인기어(52) 및 체인(53)이 구비되어 전술한 톱니로울러(21)와 연결되는 구동기어(14)와 연결된다.
또한, 상기 구동축(51)의 타측단에는 체인기어(54)가 연결됨과 동시에 이의 체인기어(54)는 기대(10)의 측면상에 구비되어 체인(55)으로써 재료누름부(40)의 구동로울러(44)측으로 회전동력을 전달하는 구동기어(14)와 연결되는 것이다.
그리고, 기대(10)의 전방에는 수평방향으로 재료를 공급토록 하는 재료공급부(60)의 공급가이드(61)가 구비됨과 동시에 그 후방의 브레이드 캐리어(23)에는 박피부에서 박피된 재료를 배출시키도록 하는 제품송출부(70)의 배출가이드(71)가 구비되고, 미도시된 제어부는 박피부(20)와 재료누름부(40) 등 각종 해당부품들의 운전을 제어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첨부된 도면의 도15에서 보는 바와 같이 공급가이드(61) 및 배출가이드(71)를 재료의 공급과 송출을 자동으로 할 수 있도록 콘베이어(62)(72)로 구성할 수도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박피기(100)는 각 구성요소를 간편하고도 손쉽게 분해 및 조립할 수가 있다.
즉, 기대(10)의 상면에 구비되는 재료누름부(40)는 그 양측 브라켓트(41)에 구비되는 연결구(49)를 이용하여 기대(10)의 상면에 너트로 조여주거나 풀어줌으로써 간편히 착탈할 수가 있게 된다.
이의 재료누름부(40)가 체결된 경우에는 일측에 구비되는 기어(43)가 기대(10)에 구비되는 구동기어(14)의 상부에 안착되어 이맞물림됨으로써 모터(11)의 동력에 의해 구동되어 진다.
이러한 동력의 전달로 구동로울러(44)가 구동되면 누름벨트(46)는 누름로울러(42) 및 종동로울러(45)에 의해 무한궤도식으로 구동되어지게 됨으로써 공급되는 재료를 박피부로 안정되게 눌러서 공급 및 배출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재료가 박피부(20)로 공급되면 톱니로울러(21)의 회전력에 의해 재료가 박피칼(22)측으로 공급됨으로써 껍질이 벗겨지게 되고, 이의 껍질은 하방향으로 낙하되어 슈트(25)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어짐과 동시에 껍질이 박피된 어육은 그 후방의 안내판으로 안내되어져 미도시된 콘베이어벨트를 타고 다음공정으로 배출되어 지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재료누름부(40)를 기대(10)에 아주 쉽게 결합 또는 떼어낼 수가 있으며, 또한, 재료와 직접 접촉하는 재료 누름벨트(46)도 물의 흡수성이 전혀 없고 쉽게 떼어낼 수가 있으므로 청소시에 떼어내 소독수에 침지시켜 소독할 수 있어 위생관리상 아주 뛰어나다.
또한, 상기 구성의 브레이드 캐리어(23)도 기대(10)로 부터 아주 쉽게 결합 또는 떼어낼 수 있으므로 브레이드 캐리어(23)를 확실히 청소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재료의 종류에 따라 톱니로울러(21) 및 스크레이퍼 로울러(24)를 다른 종류로 선택사용할 수가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박피기는 재료누름부 및 브레이드 캐리어, 톱니로울러 및 스크래이퍼 로울러 등을 간단한 공구만을 사용하여 아주 짧은 시간에 손쉽게 분해 및 결합할 수가 있음으로써 재료의 종류에 따라 관련부품만을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
즉, 재료가 갖는 육질의 강도는 물론 껍질의 두께 등에 따라 관련되는 해당부품만을 간단히 교체사용할 수가 있음으로써 하나의 기기로도 다양한 종류의 재료들을 박피할 수 있는 호환성을 가지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박피기는 생선 잔재가 부착되는 브레이드 캐리어 및 스크래이퍼 로울러등 박피부의 관련부품을 간단히 청소할 수 있어 언제나 청결을 유지할 수 있고, 할복 오징어나 각종의 필레(FILLET)를 상부로부터 눌러 껍질을 벗기는 경우에 효과적이다.
또한, 재료누름부를 제거한 상태에서도 박피작업을 행할 수 있으며, 이 경우는 표피가 얇고 살이 연한 어종에 적합하다.
그리고, 본 발명은 재료누름부가 부착되어 있어 안전하게 작업할 수 있고, 작업 종료시에 분리해낸 재료누름벨트를 소독수에 침지하면 완전히 소독되므로 위생관리상 아주 뛰어날 뿐만 아니라 뛰어난 탄력을 가지고 있음으로써 고기의 크기 또는 어떤 어종의 형태라도 적용할 수 있다.
즉, 살이 극단적으로 연한 연어의 필레, 꽁치, 고등어 등의 작업에 대해서도 전혀 손상을 입히지 않는 한편, 전체적인 면을 균일하게 누르게 되므로 박피효율을 향상시키게 되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장력조절부나 동력전달부를 본체의 기대 양측면에 위치하도록 구성하므로써 전체적인 박피기의 구성을 간단히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부품수를 절감할 수 있어 제조성 및 생산성의 향상과 더불어 원활한 작동성을 기대할 수가 있게 되는 것이다.

Claims (4)

  1. 톱니가 붙어있는 로울러와 껍질을 벗기는 박피칼을 구비하여 재료의 껍질을 벗기도록 하는 박피기에 있어서,
    기대의 내부에 구비되고 박피칼날의 위치를 다단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브레이드 캐리어와 교체사용이 가능한 톱니로울러 및 스크레이퍼 로울러를 갖춘 박피부와,
    상기 기대의 양측면상에 구비되고 손잡이의 회전작동에 의해 스프링의 인장력으로 브레이드 캐리어의 장력을 조절토록 하는 장력조절부와,
    상기 기대의 상면에 착탈가능토록 구비되고 탄성력을 가지는 누름벨트가 다수의 로울러에 의해 무한궤도식으로 체결되어 공급되는 재료를 균일하게 눌러주는 재료누름부와,
    상기 기대의 양측면상에 구비되고 모터의 동력을 체인기어 및 체인으로서 박피부와 재료누름부측으로 전달토록하는 동력전달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박피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박피부(20)의 톱니로울러(21)는 원통형으로 구비되는 외주연에 톱니가 가공됨과 동시에 길이방향을 따라 요철로 가공되고, 일측단에는 모터(11)와 연결된 구동기어(13)와 이맞물림되는 기어(211)가 구비되면서 양측면의 호울더(212)에 체결되어 회전가능토록 구성되며, 상기 호울더(212)의 하부에는 기대(10)에 가로질러 구비된 안착부재(26)에 삽입체결되는 체결구(213)를 구비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박피기.
  3. 제 1항에 있어서, 장력조절부(30)는 기대(10)의 양측 내면에 구비되고 각각 스프링(31)의 인장력에 의해 회전작동되어 브레이드 캐리어(23)의 누름봉(233)을 눌러주는 누름구(32)와, 상기 기대(10)를 가로질러 구비되는 회전축(33)의 캠(34)에 그 일측단이 연결됨과 동시에 타측단은 누름구(32)에 연결되는 스프링(31)과, 상기 기대(10)의 일측면에 전.후방향으로 구비됨과 동시에 그 전단의 손잡이(38)에 의해 회전구동되고 회전축(33)의 끝단에 체결되는 피니언(37)과 이맞물림되는 헬리컬기어(36)를 갖춘 작동축(35)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박피기.
  4. 제 1항 및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박피부(20)는 외주연상에 길이방향을 따라 일자형 톱니(81)를 가지는 톱니로울러(80)와, 외주연상에 길이방향을 따라 헬리컬형으로 톱니(91)을 가지면서 동력전달부(50)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톱니로울러(80)와 맞물려 회전구동되는 스크레이퍼 로울러(90)를 한조로 구성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박피기.
KR1019980058881A 1998-12-26 1998-12-26 박피기 KR1002860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58881A KR100286062B1 (ko) 1998-12-26 1998-12-26 박피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58881A KR100286062B1 (ko) 1998-12-26 1998-12-26 박피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7615A true KR19990037615A (ko) 1999-05-25
KR100286062B1 KR100286062B1 (ko) 2001-04-16

Family

ID=375146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58881A KR100286062B1 (ko) 1998-12-26 1998-12-26 박피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86062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028202A (zh) * 2016-10-24 2017-08-11 周杰 一种果子剥皮分离处理装置
CN110693047A (zh) * 2019-10-31 2020-01-17 罗秀美 一种柿子去皮装置
CN112318588A (zh) * 2020-09-23 2021-02-05 黄永康 一种剑麻加工用自动传输削皮装置
KR20220028762A (ko) * 2020-08-31 2022-03-08 주식회사 엔케이 명태의 외형을 검출하여 명태의 껍질을 추출하는 컷팅장치
CN116871154A (zh) * 2023-09-06 2023-10-13 山东中大华天新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砂石原材料的砂石分离机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8925B1 (ko) 2014-12-19 2016-08-17 (주)그랜드벨 커터 교체가 용이한 박피기
CN104534046A (zh) * 2014-12-31 2015-04-22 彭德权 自动去皮机的传动装置
KR101728788B1 (ko) * 2016-06-07 2017-04-20 김호연 알로에 박피장치
KR102022422B1 (ko) * 2017-06-23 2019-09-18 지엠아이 주식회사 생강껍질 탈피장치
KR102107241B1 (ko) * 2018-07-09 2020-05-07 박동재 탈피기
KR102107243B1 (ko) * 2018-07-09 2020-05-07 박동재 탈피기
KR102107242B1 (ko) * 2018-07-09 2020-05-07 박동재 탈피기
KR102138637B1 (ko) * 2018-08-09 2020-07-28 박동재 탈피기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028202A (zh) * 2016-10-24 2017-08-11 周杰 一种果子剥皮分离处理装置
CN107028202B (zh) * 2016-10-24 2023-09-29 周杰 一种果子剥皮分离处理装置
CN110693047A (zh) * 2019-10-31 2020-01-17 罗秀美 一种柿子去皮装置
CN110693047B (zh) * 2019-10-31 2022-08-30 罗秀美 一种柿子去皮装置
KR20220028762A (ko) * 2020-08-31 2022-03-08 주식회사 엔케이 명태의 외형을 검출하여 명태의 껍질을 추출하는 컷팅장치
CN112318588A (zh) * 2020-09-23 2021-02-05 黄永康 一种剑麻加工用自动传输削皮装置
CN112318588B (zh) * 2020-09-23 2022-09-30 山东常美机械制造有限公司 一种剑麻加工用自动传输削皮装置
CN116871154A (zh) * 2023-09-06 2023-10-13 山东中大华天新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砂石原材料的砂石分离机
CN116871154B (zh) * 2023-09-06 2023-12-05 山东中大华天新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砂石原材料的砂石分离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86062B1 (ko) 2001-04-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86062B1 (ko) 박피기
CN110973219A (zh) 一种自动杀鱼机
JP5819057B2 (ja) 食肉スライサ
KR101904650B1 (ko) 패각류 자동 세척장치
KR100781078B1 (ko) 육류 칼집 자동 세절기
KR102034874B1 (ko) 생선비늘제거장치
KR100402968B1 (ko) 박피기
KR101640396B1 (ko) 새우껍질 박리장치
KR101628745B1 (ko) 생육 세절 또는 연육 가공기
KR200316203Y1 (ko) 닭고기 절단기
KR20170004368U (ko) 계란 세척 장치
KR100289068B1 (ko) 박피기
KR100585969B1 (ko) 편육기
US5026319A (en) Fish processing machine
JPH1175742A (ja) 巻き寿司切り分け装置
JP2010098952A (ja) 魚のぬめり取り装置
JP3002410B2 (ja) 棒状野菜の皮むき装置
CN214483040U (zh) 开背去鳞机及水产品生产线
JP3457625B2 (ja) 皮剥機
KR200365645Y1 (ko) 편육기
JP3992540B2 (ja) ロータリーカッター
WO2024113070A1 (zh) 一种柔性去鳞剖切机
CN213095848U (zh) 一种杀鱼机
JP2001190214A (ja) 魚のウロコ取り装置
JP2003024879A (ja) 擦り装置及び洗浄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1213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