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02968B1 - 박피기 - Google Patents

박피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02968B1
KR100402968B1 KR10-2001-0053586A KR20010053586A KR100402968B1 KR 100402968 B1 KR100402968 B1 KR 100402968B1 KR 20010053586 A KR20010053586 A KR 20010053586A KR 100402968 B1 KR100402968 B1 KR 1004029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eling
cutter
roller
conveyor belt
pee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535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18964A (ko
Inventor
정석봉
김주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청하기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청하기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청하기계
Priority to KR10-2001-00535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02968B1/ko
Publication of KR200300189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189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029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02968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2BUTCHERING; MEAT TREATMENT; PROCESSING POULTRY OR FISH
    • A22CPROCESSING MEAT, POULTRY, OR FISH
    • A22C25/00Processing fish ; Curing of fish; Stunning of fish by electric current; Investigating fish by optical means
    • A22C25/17Skinning fish
    • AHUMAN NECESSITIES
    • A22BUTCHERING; MEAT TREATMENT; PROCESSING POULTRY OR FISH
    • A22CPROCESSING MEAT, POULTRY, OR FISH
    • A22C25/00Processing fish ; Curing of fish; Stunning of fish by electric current; Investigating fish by optical means
    • A22C25/08Holding, guiding, or conveying fish before, during or after its preparation ; Devices for sizing fish; Automatically adapting conveyors or processing machines to the measured siz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1/00Mechanical throwing machines for articles or solid materials
    • B65G31/02Mechanical throwing machines for articles or solid materials comprising bel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rocessing Of Meat And F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각종 어류와 같은 비교적 부드럽고 유연한 물체의 표면에 일체로 부착되어 있는 껍질 등의 강한 피막을 벗길 수 있는 박피기를 보다 개선하여 이동의 용이성 및 작업의 다양성, 장치의 조립분해성 등을 향상하며, 나아가 다양한 어종에 호환성있게 사용할 수 있는 새로운 개념의 박피기를 제공코자 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은 박피코자 하는 재료의 투입에서부터 박피된 껍질과 박피된 재료를 자동으로 공급 및 배출할 수 있으며, 박피되는 재료의 좌우 두께가 상이해도 그에 따른 좌우 균일한 가압력으로 재료를 박피부(2)상으로 가압하여 박피를 좌우 균일하게 수행할 수 있어 박피작업의 정도를 높일 수 있고, 박피재료에 따른 부분적인 장치의 조절이 극히 용이하고 이송 및 보관 등을 행할 시에는 최소부피로 축소할 수 있어 이동상의 용이성 및 공간점유률을 최소화할 수 있는 등 다수의 효과를 제공받을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박피기{Fish skin removing device}
본 발명은 박피기(剝皮機)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어류와 같은 비교적 부드럽고 유연한 물체의 표면에 일체로 부착되어 있는 껍질 등의 강한 피막을 벗길 수 있는 박피기를 보다 개선하여 이동의 용이성 및 작업의 다양성, 장치의 조립분해성 등을 향상하며, 나아가 다양한 어종에 호환성있게 사용할 수 있는 새로운 개념의 박피기를 제공코자 하는 것이다.
통상 박피기는 어류 등의 껍질을 벗기기 위하여 산형 톱니 등이 형성된 박피로울러에 의해 이송된 재료를 상기 박피로울러와 소정의 간격을 두고 근접되게 설치된 박피커터에 의해 껍질이 박피되며, 이때 공급되는 재료는 가압로울러에 의해 박피커터와 박피로울러에 눌려져 껍질이 용이하게 박피가 이루어지게 된다.
껍질이 벗겨진 재료는 배출슈트 또는 배출컨베이어 등으로 이루어진 배출안내수단에 의해 배출이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다.
상기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박피기에 있어서 종래에는 다음과 같은 다수의 문제점을 안고 있었는 바,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 보면;
우선, 종래의 박피기의 경우 톱니가 붙어있는 박피로울러에 의해 재료가 이송되면서 박피로울러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근접되게 구비되는 박피커터에 의해 껍질이 벗겨지게 되는 것이고, 이때 공급되는 재료는 가압로울러에 의해 박피커터와 박피로울러에 눌려져 껍질이 용이하게 벗겨지게 된다.
따라서, 껍질이 벗겨진 재료는 송출가이드 또는 송출컨베이어에 의해 송출되어짐과 동시에 벗겨진 껍질은 배출가이드를 타고 저면으로 떨어져 제거되도록 되어 있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박피기는 가압로울러가 경질의 고무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어류를 누를 때 어육의 중앙부분 즉, 높이 올라간 부분에 누르는 힘이 집중되고, 가압로울러와의 접촉부분만 압력이 가해져서 주변의 두께가 얇은 육질부분은 충분한 힘으로 누를 수 없으므로, 살이 극단적으로 부드러운 연어의 필레(어포), 꽁치, 고등어 등 재료의 두꺼운 부분에 집중적인 압박으로 제품의 변형 또는 파손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또한, 재료의 곡선부를 따라 재료를 가압해 줄 수 없기 때문에 재료 전체를 균일하게 누를 수 없어 살이 얇은 부분의 껍질은 박피커터에 잘 닿지 않게 되어 껍질이 쉽게 벗겨지지 않는 원인이 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으로 인하여 실제로 박피기를 사용하였을 경우에는 가압로울러를 사용하지 않은 상태로 작업을 하고 있기 때문에 작업자의 손이 박피부 상으로 말려 들어가는 등의 위험이 종종 발생되어 안전사고 위험이 항상 문제시되었던 것이다.
그리고 가압로울러를 재료에 직접 접촉시키고 있는 것이기 때문에, 이송로울러의 톱니 틈이나 원반을 적층시킨 틈(2∼3mm)에 어육이나 체액 등의 찌꺼기가 끼이기 쉬워서, 청소를 하여도 잔재물이 남아 있을 수 있어 여름철 등에는 잡균이 다량 번식하게 되어 위생관리상의 문제를 일소할 수 없었던 것이다.
또한, 블레이드캐리어(=커터고정대)의 결합구는 분해가 용이치 않아 기계를 청소할 때 블레이드캐리어를 분해하는 작업에 많은 시간과 기술이 필요하게 되는 것이었고, 이에 따라 블레이드캐리어나 박피로울러를 청소할 때, 블레이드캐리어를 빼는 것을 소홀히 하게 되면, 블레이드캐리어의 내부와 박피로울러에 세척수를 내뿜어 청소를 하더라도 세척수가 닿지 않는 사각지역이 생김으로써 충분히 청소할 수가 없는 문제점이 있고, 남은 잔재물에 잡균이 생겨 위생관리상 문제를 일으킬 우려가 있었다.
또한, 재료를 박피부에 투입할 때 투입 각도가 일정하게 고정 설치되어 있으므로 재료의 크기나 재료의 종류(어종) 등에 따라서 적절한 투입각도로 투입할 수가 없어서 사용 가능한 어종이 한정될 수 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본 발명자는 기히 선특허를 출원하여 특허 제 289068 호로 권리를 받은 바 있다.
상기한 선행 특허는 어육의 껍질을 전면에 걸쳐 박피로울러 및 박피커터에 균일하게 누를 수 있도록 하면서도 어육을 손상시키지 않은 상태로 껍질을 효과적으로 박피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어육이나 체액이 남아있지 않도록 어육 가압수단을 청소하기 용이하도록 구성하였으며, 그리고 블레이드캐리어의 결합구조를 조립 및 분해가 용이토록 하면서도 블레이드캐리어의 내부와 박피로울러에 붙어있는 잔재물을 청소하기 쉽도록 구성한 기술이었다.
그러나, 이러한 구성상의 특징을 갖는 선행특허에서는 필요로 했던 효과는 어느 정도 기대할 수가 있으나, 다음과 같은 여러 가지 다수의 문제점이 여전히 남게 되는 것이었다.
즉, 공급되는 재료의 껍질을 벗겨주는 박피커터가 블레이드캐리어에 고정설치되어 있고, 또한 상기 블레이드캐리어는 기대로부터 분해 및 조립이 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이긴 하지만 분해 및 조립에 따른 구조가 복잡할 뿐만 아니라, 재료를 이송하는 박피로울러의 조립 및 분해에 따른 구조 역시 복잡함으로써 이들을 분해 및 조립하는데 따른 작업성이 좋지 못한 단점이 있었다.
이러한 단점은 블레이드캐리어와 박피로울러의 교체사용에 따른 작업성이 좋지 못함으로써 재료의 종류, 즉 껍질의 두께나 강도 등에 따라 박피로울러를 교환하여 사용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는 것이었다.
또한, 상기 블레이드캐리어는 별도의 탄성수단에 의해 박피로울러와의 간격이 조절되어 지는 것이나, 이의 탄성수단은 본체의 블레이드캐리어 하부에 가로질러 구비되면서도 레버의 작동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축에 캠이 구비되어 스프링을 인장하는 방식으로 조절토록 한 것이므로 그 구조가 복잡할 뿐만 아니라 외부에 노출되어 있으므로 위생적이지 못하고 청소 등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공급되는 재료를 눌러주는 가압수단은 재료 가압로울러 및 전후의 로울러에 무단벨트를 체결하여 무한궤도식으로 구동되게 함으로써 상기 재료 가압로울러와 무단벨트에 의해 재료를 누르도록 구성된 것이나, 이 역시 구성이 복잡하여 제조성 및 작동성이 좋지 못하고 쉽게 분해 및 조립이 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재료의 종류에 따라서는 박피로울러 및 박피커터를 교체사용되어야 하는 것이나, 이 역시 고정된 구조를 갖추고있기 때문에 쉽게 교체사용하기가 곤란한 문제점이 있는 것이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자는 개량된 특허를 다시 출원하여 특허 제 286062 호를 권리받은바 있다.
즉, 이는 본체의 내부에 구비되고 박피커터의 위치를 다단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블레이드캐리어와 교체사용이 가능한 박피로울러 및 스크레이퍼 또는 일자형 박피로울러 및 헬리컬기어형 스크레이퍼를 갖춘 박피부와, 상기 기대의 양측면상에 구비되고 손잡이의 회전작동에 의해 스프링의 인장력으로 블레이드캐리어의 장력을 조절토록 하는 장력조절부와, 상기 기대의 상면에 착탈가능토록 구비되고 탄성력을 가지는 누름벨트가 다수의 로울러에 의해 무한궤도식으로 체결되어 공급되는 재료를 균일하게 눌러주는 재료누름부와, 상기 기대의 양측면상에 구비되고 모터의 동력을 체인기어 및 체인으로서 박피부와 재료누름부측으로 전달토록하는 동력전달부로 구성한 것이었다.
그러나 상기한 선 특허 역시 많은 기술의 발전을 가져왔지만, 일부 개선할 사항 등이 있었던 것이다.
즉, 선특허의 경우는 장치의 이송이나 보관 시에 부피축소가 불가능하여 이송상의 어려움 및 공간점유률이 높다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없었고, 두께가 좌우 상이한 두개의 재료를 동시에 투입하였을 경우에 균일하게 박피하기에 어려움이 있었으며, 살이 연약한 고등어, 전갱이, 광어 등은 가압컨베이어에 눌려 살이 변형되거나 파손되는 등의 문제점, 일부 장치의 조립성 및 재료에 따른 임의 교환 및 조절상의 어려움이 있어 이를 해결할 수 있는 보다 진보된 박피기를 요구하였던 것이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은 기존의 박피기가 갖는 제반 문제점을 일소할 수 있는 새로운 개념의 박피기를 제공코자 하는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는 특히 어류의 육질이 약하여 파손되기 쉽고, 껍질이 얇아 박피가 어려운 어류의 껍질을 어육에 손상없이 벗기고, 박피기를 이동이나 보관 등을 할 시에는 최소부피로 콤팩트하게 한 상태에서 이동 및 보관할 수 있으며, 작업의 편의성 및 호환성 제공, 어류 등의 가공작업에 있어서 자동화, 성력화에 크게 기여할 수 있고, 더불어세척의 편의성, 유지보수상의 제반 편익 등을 동시에 제공할 수 있는 박피기를 제공함에 발명의 기술적 과제를 두고 본 발명을 완성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보인 박피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박피부를 발췌한 사시도 및 일요부 확대 정면도
도 3a는 본 발명의 박피부를 발췌한 확대 단면도
도 3b는 본 발명의 박피부 다른 실시예를 보인 확대 단면도
도 3c는 본 발명의 박피부 다른 실시예를 보인 확대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재료급송부를 발췌한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배출부를 발췌한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동력전달부를 발췌한 측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작용상태를 설명키 위한 발췌 정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부 다른 작용상태를 설명키 위한 발췌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사용된 부호의 설명 ■
1:박피기 2:박피부
3:재료가압부 4:메인모터
5:동력전달부 6:재료급송부
7:배출부 8:박피로울러
9:박피커터 10:기대
11:블레이드유니트 12:축봉
13:컨베이어벨트 14:투입가이더
15:스크레이퍼 로울러 16,16a,16b:(대소)기어
17:커터고정대 17a:결합공
17b:보조브라켓 17c:간격조절볼트
17d:고정볼트 18:곡면부
19:껍질안내가이더 20:축핀
21:장력조절볼트 22:스프링와셔
23:브라켓 23a:고정볼트
23b:렌치볼트 23c:결합공
24:커터고정판 25:고정볼트
26:원동로울러 27:종동로울러
28:지지브라켓 29:축핀
30:핀볼트 31:지지대
32:지지홈 33:슬라이더
34:조절볼트 35:(상하높이조절용)브라켓
36:승강봉 37:높이조절로울러
38:축핀 39:(시이소형)레버
40:가압로울러 41:스프링
42:배출컨베이어 43:체결볼트
44:결합공 45:배출컨베이어프레임
46:원동로울러 47:종동로울러
48:배출컨베이어벨트 49:배출용 모터
50:슬라이더 51:조절볼트
52:슬라이드공 53:전동수단
57:빗살껍질제거슈트
도 1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박피기(1)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보인 사시도이며, 도 2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각 부위를 발췌한 정면도 및 단면도 등으로서, 이들 도면과 함께 본 발명을 상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박피기(1)는 대분하여 볼 때 박피코자 하는 재료를 박피하는 박피부(2)와, 박피 재료를 적정한 가압력으로 가압시켜 박피를 원활하게 행하도록 보조하는 재료가압부(3), 그리고 상기 박피부(2)와 재료급송부(6) 등을 구동하기 위한 메인모터(4)와 연결된 동력전달부(5) 및 박피코자 하는 재료를 자동으로 공급할 수 있는 재료급송부(6) 및 박피 재료에서 박피된 껍질을 별도로 분리하여 배출할 수 있는 배출부(7)로 크게 나누어진다.
상기와 같이 대분 구성될 수 있는 박피기(1)의 각 부위별 구성을 이하에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키로 한다.
본 발명의 박피부(2)는 박피기(1)에 있어서 다양한 어종에 구애됨이 없이 원활하게 박피를 행할 수 있도록 하는 핵심부분으로서, 상기 박피부(2)는 박피로울러(8)와 커터고정대(17), 박피커터(9)로 이루어져 재료급송부(6)에서 공급되는 재료를 박피하는 부분으로서, 이는 기대(10)상에 각운동 가능하게 설치된 블레이드유니트(11)상에 설치된다.
즉, 블레이드유니트(11)는 축봉(12)에 의해 각운동 가능하게 기대(10)상에 설치되어 약 180° 정도 각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블레이드유니트(11)의 각운동은 재료의 투입방향을 임의로 조절할 수 있는 기능을 수행함과 동시에 박피커터(9)의 교환 및 조정시 180° 뒤집어 박피커터(9)를 상부로 위치토록 하여 쉽게 정확한 조정이 가능하다.
즉, 도 7의 정면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블레이드유니트(11)가 실선의 위치에 있을 시에는 재료급송부(6)를 구성하는 컨베이어벨트(13)를 통하여 재료가 공급되어 박피로울러(8)와 박피커터(9) 상간에서 박피가 이루어지는 것이며, 가상선의 위치에 각도조절을 행하였을 시에는 도 8과 같이 별도의 투입가이더(14)를 통하여 재료가 수작업으로 공급되어 박피작업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블레이드유니트(11)상의 축봉(12)에는 스크레이퍼 로울러(15)가 형성되고, 상기 스크레이퍼 로울러(15)와 박피로울러(8)는 일단에서 상호 대소 기어(16,16a,16b)에 의해 기어물림되어 연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에 대하여는 후술하는 동력전달부(5)의 설명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키로 한다.
그리고 박피로울러(8)와 박피커터(9)에서 박피된 껍질은 박피로울러(8)와 박피커터(9)가 설치되는 커터고정대(17) 상간의 곡면부(18)를 따라 이동하여 별도의 배출컨베이어벨트(48) 등으로 이송하여 배출토록 하는바, 상기 박피로울러(8)의 후측으로는 박피된 껍질이 안내될 수 있도록 호형의 단면을 갖는 껍질안내가이더(19)가 커터고정대(17)상에 설치된다.
상기 커터고정대(17)는 도 3a에서 보는 바와 같이 후측에서 축핀(20)에 의해커터고정대(17)의 곡면부(18) 부분이 상하로 이동 가능토록 하고, 장력조절볼트(21)는 스프링와셔(22)의 장력을 조절하고, 이 스프링와셔(22)의 장력은 박피커터(9)에서 분리된 생선 껍질의 두께에 따라 곡면부(18)가 상하로 이동하면서 곡면부(18)와 박피로울러(8)의 간격을 적절히 유지시켜 박피커터(9)가 박피한 껍질을 박피로울러(8)가 잘 끌고 가도록 한다.
즉, 블레이드유니트(11)의 좌우로 스프링와셔(22)를 다수개 사용하여 장력조절볼트(21)를 브라켓(23)을 통하여 커터고정대(17)와 나사결합식으로 고정시켜 곡면부(18)와 박피로울러(8)의 장력이 적절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였으며, 이러한 미세 조절은 스프링와셔(22)에 의해 재료에 따라 어느 정도는 적정한 텐션을 갖도록 하여 박피커터(9)가 박피한 껍질을 박피로울러(8)와 곡면부(18)와의 장력을 유지하여 원활하게 박피를 행할 수 있도록 보조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한 커터고정대(17)의 곡면부(18)와 박피로울러(8)와의 장력조절은 도 3b와 같이 커터고정대(17)상에서 결합공(17a)을 형성하여 브라켓(23)상으로 나사결합될 수 있는 장력조절볼트(21)를 수개의 스프링와셔(22)를 개재시켜 나사결합하고, 이의 미세 장력조절의 기점이 되는 커터고정대(17)의 후측에는 반구형으로 구성되고 브라켓(23) 상에서 고정볼트(23a)로 결합되는 축핀(20)을 커터고정대(17)상에 끼움식으로 결합후 브라켓(23)과 연결고정하여 커터고정대(17)가 조절볼트(21)의 나사조절에 따라 미세 장력조절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한 경우이다. 상기 고정볼트(23a)가 결합되는 브라켓(23)상의 결합공(23c)은 장공으로 형성하여 고정볼트(23a)이 결합된 축핀(20)이 이동할 수 있도록 하고, 이의 조절은고정볼트(23a)에 측방에서 나사결합되는 렌치볼트(23b)의 나사조절에 의하여 행해질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축핀(20)의 간격조절은 박피로울러(8)와 커터고정대(17)의 곡면부(18) 상간의 유격이 장시간 사용시 접촉으로 인한 유격이 넓어져 성능저하될 시에 렌치볼트(23b)의 조절로서 유격을 간단히 조절하여 성능의 저하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기술구성인 것이다.
또한 커터고정대(17)와 박피로울러(8)와의 사이는 박피시 생선 잔재물이 끼이기 쉬우므로 청소가 손쉬워야 한다. 이물질 제거 및 청소는 장력조절볼트(21)만 풀면 쉽게 분해가 되므로 손쉽게 청소가 가능하여 매우 위생적이다.
그리고 상기 커터고정대(17)를 쉽게 분해 청소를 하기 위하여 도 3c와 같은 구성을 취할 수도 있는바, 이는 도 3b와 같이 커터고정대(17)상에서 결합공(17a)을 형성하여 브라켓(23)상으로 나사결합될 수 있는 조절볼트(21)를 수개의 스프링와셔(22)를 개재시켜 나사결합하고, 커터고정대(17)의 후측은 축핀(20)에 의해 축설치되어 각도 조절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되, 커터고정대(17)의 좌우단 하부에는 보조브라켓(17b)을 고정볼트(17d)로 고정하고 커터고정대(17)의 곡면부(18)와 박피로울러(8)의 미세 간격 조절은 간격조절볼트(17c)의 나사조절에 의하여 보다 미세한 각도 및 간격 조절이 행해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즉, 도 3a, 3b, 3c의 간격조절볼트(17c)는 커터고정대(17) 및 박피커터(9)와 박피로울러(8)와의 미세 간격 조절용 볼트이다.
그리고 상기 커터고정대(17)에 커터고정판(24)과 고정볼트(25)에 의해 고정되는 박피커터(9)는 청소 및 교환 등이 극히 용이하게 결합되어 있는바, 즉, 커터고정대(17)가 각도조절이 가능한 블레이드유니트(11)상에 각도조절이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으므로 블레이드유니트(11)를 상방향으로 각도조절하면 커터고정대(17)의 고정판(24) 부위와 박피커터(9)가 상면부로 향하게 되어 작업자가 상면에 위치한 고정판(24)상의 고정볼트(25)만 나사분리하여 간단히 박피커터(9)를 커터고정대(17)로부터 분리할 수 있어 박피커터(9) 교환 및 입·출의 미세 조정이 쉽고, 박피커터(9) 등이 상하로 위치하고 있어 손으로 생선을 투입시켜 박피상태를 최적의 상태로 조절한 후 블레이드유니트(11)를 원상태 즉, 박피커터(9)가 하부로 가도록 할 수 있어 조정 및 취급이 용이한 것이다.
재료를 상기한 박피부(2)로 공급함과 동시에 껍질이 박피된 재료를 배출하는 재료급송부(6)는 전기한 바와 같이 컨베이어벨트(13)로 구성되는바, 상기 컨베이어벨트(13)는 전후로 각각 원동로울러(26)와 종동로울러(27)에 무한궤도형으로 권설하여 구성하되, 이의 표면부는 미세한 엠보싱 처리가 이루어지며 재질 자체가 플렉시블한 연성을 갖는 재질로 구성하여 항시 이송되는 재료를 박피부(2) 상에서 적정의 가압력으로 가압이송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전방부가 각도조절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이송시의 부피의 최소화와 동시에 재료투입각도를 임의로 조절할 수 있는 메커니즘을 구현하고 있다.
즉, 상기 컨베이어벨트(13)는 박피부(2) 전측에서 각도조절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지지브라켓(28)을 축핀(29)으로 기대(10)상에 축설치하고, 상기 지지브라켓(28)의 길이방향으로 각도조절용 핀볼트(30)를 결합하여 경사형 지지대(31)상에 형성된 지지홈(32)상에 상기 핀볼트(30)가 끼움걸림되어 소정의 경사각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리고 지지브라켓(28)의 단부에는 길이방향으로 컨베이어벨트(13)의 장력을 임의로 조절할 수 있는 종동로울러(27)를 슬라이더(33)상에 축설치하고, 상기 슬라이더(33)를 전후로 위치조절할 수 있는 조절볼트(34)를 지지브라켓(28)상에 나사결합토록 하였다.
또한 상기한 컨베이어벨트(13)의 높이를 미세조절할 수 있도록 지지브라켓(28)에는 상하 높이조절용 브라켓(35)을 설치하여 상기 브라켓(35)상에 나사조절되는 승강봉(36)을 결합시켜 상기 승강봉(36)의 상단에 높이조절로울러(37)를 축설치토록 한다.
그리고 박피부(2)를 경유하는 컨베이어벨트(13)의 가압을 위하여 컨베이어벨트(13)의 저부에는 재료가압부(3)가 설치되는바, 상기 재료가압부(3)는 축핀(38)에 의해 축설치되어 시이소형으로 승강작동될 수 있는 시이소형 레버(39)를 기대(10)의 좌우로 각각 별도 설치하여 상기 레버(39)의 일단에는 가압로울러(40)를 축설치하고, 반대측에는 적정의 스프링계수를 가지며 일단이 기대(10)에 고정된 스프링(41)의 타단을 연결하여 가압로울러(40)가 컨베이어벨트(13)의 저부측 좌우를 별도로 가압하여 이의 상면을 따라 박피부(2) 상으로 진입되는 재료를 소정 압력으로 적절히 가압하여 재료의 두께에 따른 박피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한편, 박피부(2)의 전측에는 박피된 껍질을 자동으로 배출하기 위한 배출컨베이어(42)가 도 5와 같이 설치되는바, 이는 조립식으로 결합 및 분리할 수 있도록기대(10) 일측에 체결볼트(43)를 고정시켜 상기 체결볼트(43) 상으로 결합될 수 있는 결합공(44)을 일측단에 가진 배출컨베이어프레임(45)을 결합하고, 배출컨베이어프레임(45)의 타측은 기대(10)의 상부에 지지안치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배출컨베이어프레임(45)에는 원동로울러(46) 및 종동로울러(47)가 각각 설치되어 배출컨베이어벨트(48)를 무한궤도형으로 권설하고, 원동로울러(46)는 배출컨베이어프레임(45) 일측으로 설치된 배출용 모터(49)와 연결구동토록 한다.
상기 배출용 모터(49)와 연결된 원동로울러(46)는 배출컨베이어벨트(48)의 장력조절을 위하여 간격조절이 될 수 있도록 슬라이더(50)상에 축설치되고, 상기 슬라이더(50)는 배출컨베이어프레임(45)에 나사결합된 조절볼트(51)와 연결시켜 슬라이드공(52)을 따라 간격조절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 컨베이어벨트(13)의 구동 및 박피로울러(8)의 구동을 위한 동력전달부(5)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박스형으로 구성된 기대(10)의 내부에 메인모터(4)를 설치하고, 상기 메인모터(4)에서 통상의 벨트전동수단 내지는 체인전동수단과 같은 전동수단(53)을 통하여 컨베이어벨트(13)와 연결구동토록 하였으며, 상기 메인모터(4)는 또한 전동수단(53)을 사용하여 스크레이퍼 로울러(15)를 회전구동시키게 되며, 상기 스크레이퍼 로울러(15)에는 기어(16)는 도 2에서 상세히 도시한 바와 같이 박피로울러(8)의 기어(16a)와 중간에 연결용 기어(16b)와 기어물림되어 박피로울러(8)에 비하여 스크레이퍼 로울러(15)가 증속된 회전비로 회전구동함과 동시에 동일 회전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되어있다. 이러한 스크레이퍼 로울러(15)의 회전속도를 박피로울러(8)에 비하여 고속으로 함은 껍질제거 효율을 향상시키고자 함에 있는 것이다.
도면중에서 부호 54는 블레이드유니트(11)의 각도조절폭을 조절할 수 있는 조절볼트를 도시한 것이며, 55는 용수공급노즐, 56은 콘트롤박스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박피기(1)는 각종 어류의 껍질 등을 아주 효율적으로 박피할 수 있는 것으로서, 본 발명이 갖는 특유의 작용효과에 대하여 이하에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 보기로 한다.
동력전달부(5)의 메인모터(4) 및 배출부(7) 상의 배출용 모터(49)를 ON한 후 재료급송부(6), 즉 컨베이어벨트(13)상에 박피를 행하고자 하는 재료를 적재하면 컨베이어벨트(13)가 구동하면서 재료를 박피부(2) 상으로 공급하게 되고, 이때 재료가 박피부(2)로 진입하면 하부에서 재료를 컨베이어벨트(13)가 지지하고, 상기 컨베이어벨트(13)의 저부에는 좌우로 각각 스프링(39)에 탄력지지된 시이소형 레버(39) 타단에 축설치된 재료가압부(3)를 구성하는 가압로울러(40)가 컨베이어벨트(13)를 소정의 텐션으로 상부로 좌우 별도로 각각 밀어주게 되어 재료는 적정 압력을 받게 되고 조절볼트(34)의 장력조절로 재료는 좌우 두께가 균일하지 않은 상태라도 좌우 균등한 압력으로 상부로 텐션이 작용하게 되고, 재료의 상부측에 설치된 박피로울러(8)는 박피커터(9)가 위치한 시계방향으로 회전 구동하게 되어 재료를 소정의 압력으로 박피로울러(8)에 연접, 압착된 상태에서 박피커터(9)측으로 진입시키게 되어 재료의 상부에 부착되어 있던 껍질이 박피커터(9)에 의해 박피가 이루어지게 된다.
박피된 껍질은 박피로울러(8)와 커터고정대(17)상의 곡면부(18) 상간을 경유하여 껍질안내가이더(19)의 안내를 받으면서 박피로울러(8)의 상부로 이동하여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는 스크레이퍼 로울러(15)에 클램핑되어 상부로 이송되면서 빗살껍질제거슈트(57)에 의하여 껍질이 제거되어 배출컨베이어(42)의 상부에 낙하되어 배출컨베이어(42)를 구성하는 배출컨베이어벨트(48)의 구동으로 기대(10)의 밖으로 이송되어 별도의 껍질수거함(미도시) 등에 자동으로 수거되는 것이다.
그리고 껍질이 박피된 재료는 박피부(2)의 박피커터(9)의 저부측을 경유하여 컨베이어벨트(13)의 종착부에서 별도로 수거, 이송하거나 연속라인으로 설치되는 별도의 컨베이어벨트를 통하여 차기의 공정으로 공급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각종 박피 재료를 박피하는 과정에서 본 발명은 재료급송부(6)를 구성하는 컨베이어벨트(13)가 투입되는 재료에 따라 다양한 각도로 각도조절이 이루어지므로 재료의 공급이 원활하고 별도 작업자의 공급작업 없이도 자동으로 박피부(2) 상으로 공급이 이루어지는 것이며,
박피부(2)를 구성하는 박피커터(9)는 도 3a 내지 도 3c와 같이 스프링와셔(22)를 개재한 장력조절볼트(21)에 의해 장력조절되는 커터고정대(17)에 지지고정되거나, 상기 커터고정대(17)에 선택적으로 부가될 수 있는 보조브라켓(17b)상의 고정볼트(17d)에 의해 미세 나사조절함으로서 장력이 조절되어 재료의 껍질 두께에 따라 자동으로 승강하면서 박피하는 두께를 자동으로 미세 조절하여 박피할 수 있는 것이고, 박피 재료의 좌우 두께가 상이한 두 개의 재료를 동시에 투입하더라도 시이소형 레버(39)에 설치된 좌우의 가압로울러(40)에 의해좌우 균일하게 가압을 행하면서 박피를 행하게 되어 박피작업의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재료급송부(6)를 구성하는 컨베이어벨트(13)는 박피기(1)를 이송이나 작업종료 후 보관코자 할 시에는 축핀(29)을 기점으로 도 4와 같이 상부로 약 90°이상 접어서 이동 및 보관할 경우 최소부피로 공간점유를 줄일 수 있어 이송 및 보관상의 편익을 극대화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박피부(2)를 구성하는 블레이드유니트(11)는 축봉(12)을 기점으로 하여 약 180°정도 전측으로 각도조절하면 박피커터(9)가 상측으로 위치하게 되어 박피커터(9)의 간격조절이나 교환, 또는 청소 등을 할 시에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것이며, 이러한 상태에서 별도의 투입가이더(14)를 블레이드유니트(11)상에 도 8과 같이 결합시켜 박피 재료를 수작업으로 투입하면서 전기와 같은 박피로울러(8)와 박피커터(9)에 의해 박피작업을 호환성있게 진행시킬 수도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상세히 살펴 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박피기(1)는 기존의 박피기와는 개념을 달리하는 신규한 박피기(1)를 제공하게 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은 박피코자 하는 재료의 투입에서부터 박피된 껍질과 박피된 재료를 자동으로 공급 및 배출할 수 있으며, 박피되는 재료의 좌우 두께가 상이한 두 개의 재료를 동시에 투입시켜도 그에 따른 좌우 균일한 가압력으로 재료를 박피부(2)상으로 가압하여 박피를 좌우 균일하게 수행할 수 있어 박피작업의 정밀도를 높일 수 있고,박피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다양한 박피 재료에 따른 부분적인 장치의 조절이 극히 용이하고 이송 및 보관 등을 행할 시에는 최소부피로 축소할 수 있어 이동상의 용이성 및 공간점유률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세척상의 효율도 동시에 제공하여 위생성을 보장받을 수 있는 등 그 기대되는 효과가 극히 우수한 매우 획기적인 발명이다.

Claims (2)

  1. 각종 어류의 껍질을 박피할 수 있도록 재료를 공급하는 재료급송부(6)와, 공급된 재료를 재료가압부(3)에서 가압하며 박피하는 박피부(2), 상기 박피부(2)에서 박피된 껍질을 배출하는 배출부(7), 상기 박피부(2)와 재료급송부(6)에 메인모터(4)의 구동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부(5)로 구성되는 박피기(1)에 있어서;
    상기 박피부(2)는 기대(10)상에 축봉(12)에 의해 각도조절 가능하게 설치된 블레이드유니트(11)상에 박피로울러(8)와 스크레이퍼 로울러(15)를 축설치하고, 상기 축봉(12)에는 기어(16b)를 축고정하여 이와 대응하여 기어물림되는 기어(16,16a)를 각각 박피로울러(8)와 스크레이퍼 로울러(15)상에 축고정하여 상호 연동토록하며,
    상기 박피로울러(8)의 일측에는 곡면부(18)를 가지며 껍질안내가이더(19)가 고정된 커터고정대(17)를 블레이드유니트(11)상에 축핀(20)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설치하고, 상기 커터고정대(17)에는 박피커터(9)를 고정볼트(25)와 커터고정판(24)을 사용하여 고정하며,
    상기 커터고정대(17)는 블레이드유니트(11)상에 스프링와셔(22)를 개재시켜 나사결합되는 장력조절볼트(21)와 나사연결토록하고;
    상기 재료급송부(6)는 전후 간격조절수단을 구비한 컨베이어벨트(13)를 기대(10)의 상면부에 설치하여 박피부(2) 상으로 재료를 공급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컨베이어벨트(13)의 전측에는 축핀(29)에 의해 각도조절되는 지지브라켓(28)을 설치하고, 이의 전측에 종동로울러(27)를 설치하여 컨베이어벨트(13)가 축핀(29)을 기점으로 하여 각도조절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재료가압부(3)는 박피부(2) 하부측 컨베이어벨트(13)의 저면부를 가압할 수 있도록 가압로울러(40)가 일측에 설치된 시이소형 레버(39)를 기대(10)의 좌우로 각각 설치하고, 상기 시오소형 레버(39)의 타단은 기대(10)에 일단이 고정된 스프링(41)과 탄성연결토록 하며,
    상기 배출부(7)는 배출용 모터(49)에 의해 구동하는 배출컨베이어벨트(48)가 설치된 배출컨베이어프레임(45)을 기대(10)상에 설치된 컨베이어벨트(13)를 가로지르며 조립설치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동력전달부(5)는 기대(10)의 내부에 설치된 메인모터(4)와 전동수단(53)을 사용하여 재료급송부(6)의 컨베이어벨트(13)와 박피부(2)의 스크레이퍼 로울러(15)와 연결구동토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피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박피커터(9)가 고정된 커터고정대(17)상에 결합공(17a)을 형성하여 브라켓(23)상으로 나사결합될 수 있는 장력조절볼트(21)를 수개의 스프링와셔(22)를 개재시켜 나사결합하고, 상기 커터고정대(17)의 후측에는 반구형으로 구성되고 브라켓(23) 상에서 고정볼트(23a)로 결합되는 축핀(20)을 커터고정대(17)상에 끼움식으로 결합후 브라켓(23)과 연결고정하여 커터고정대(17)가 장력조절볼트(21)의 나사조절에 따라 미세 장력조절이 이루어지고, 간격조절볼트(17c)에 의하여 박피로울러(8)와 커터고정대(17)의 곡면부(18)와의 미세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피기.
KR10-2001-0053586A 2001-08-31 2001-08-31 박피기 KR1004029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53586A KR100402968B1 (ko) 2001-08-31 2001-08-31 박피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53586A KR100402968B1 (ko) 2001-08-31 2001-08-31 박피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18964A KR20030018964A (ko) 2003-03-06
KR100402968B1 true KR100402968B1 (ko) 2003-10-22

Family

ID=277220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53586A KR100402968B1 (ko) 2001-08-31 2001-08-31 박피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02968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75187A (ko) * 2014-12-19 2016-06-29 (주)그랜드벨 커터 교체가 용이한 박피기
KR20200005786A (ko) * 2018-07-09 2020-01-17 박동재 탈피기
KR20200005787A (ko) * 2018-07-09 2020-01-17 박동재 탈피기
KR20200005788A (ko) * 2018-07-09 2020-01-17 박동재 탈피기
KR20200017671A (ko) * 2018-08-09 2020-02-19 박동재 탈피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4720B1 (ko) * 2007-01-12 2008-07-07 진명일 오징어 탈피장치
KR101443103B1 (ko) * 2013-02-27 2014-09-22 현대제철 주식회사 코크스오븐의 배기밸브용 개폐장치
CN115669706B (zh) * 2022-11-18 2023-09-15 南宁双胞胎饲料有限公司 一种猪肉加工设备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75187A (ko) * 2014-12-19 2016-06-29 (주)그랜드벨 커터 교체가 용이한 박피기
KR101648925B1 (ko) * 2014-12-19 2016-08-17 (주)그랜드벨 커터 교체가 용이한 박피기
KR20200005786A (ko) * 2018-07-09 2020-01-17 박동재 탈피기
KR20200005787A (ko) * 2018-07-09 2020-01-17 박동재 탈피기
KR20200005788A (ko) * 2018-07-09 2020-01-17 박동재 탈피기
KR102107243B1 (ko) 2018-07-09 2020-05-07 박동재 탈피기
KR102107241B1 (ko) 2018-07-09 2020-05-07 박동재 탈피기
KR102107242B1 (ko) 2018-07-09 2020-05-07 박동재 탈피기
KR20200017671A (ko) * 2018-08-09 2020-02-19 박동재 탈피기
KR102138637B1 (ko) 2018-08-09 2020-07-28 박동재 탈피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18964A (ko) 2003-03-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82435B1 (ko) 식육슬라이서
KR100402968B1 (ko) 박피기
CN211064970U (zh) 全自动山药清理去皮清洗一体机
KR100286062B1 (ko) 박피기
KR100781078B1 (ko) 육류 칼집 자동 세절기
US4534085A (en) Fish filleting system
KR101640396B1 (ko) 새우껍질 박리장치
NO318073B1 (no) Apparat for rekeskrelling
CN216135144U (zh) 一种柚子清洗剥皮一体机
CN212831163U (zh) 一种剁刀式切药机的清洁装置
CN101245826B (zh) 输送带剥胶机
US2605495A (en) Fish skinning machine
JP3002410B2 (ja) 棒状野菜の皮むき装置
CN113681619A (zh) 一种水果加工用切片设备
KR100585969B1 (ko) 편육기
CN110101094A (zh) 一种榨汁后浆果的去皮机
CN219556231U (zh) 一种小笋剥壳给料机
CN2249552Y (zh) 多用水果削皮器
KR100719616B1 (ko) 슬라이서
JP3457625B2 (ja) 皮剥機
CN219813068U (zh) 一种小龙虾的自动开背装置
CN113942059A (zh) 一种中药材切片与刮皮一体化加工设备
CN113304987B (zh) 螺钉外表面螺纹切制用机械的导料机构
KR100289068B1 (ko) 박피기
CN214802195U (zh) 一种有核水果快速削皮去核机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912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