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48925B1 - 커터 교체가 용이한 박피기 - Google Patents

커터 교체가 용이한 박피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48925B1
KR101648925B1 KR1020140184860A KR20140184860A KR101648925B1 KR 101648925 B1 KR101648925 B1 KR 101648925B1 KR 1020140184860 A KR1020140184860 A KR 1020140184860A KR 20140184860 A KR20140184860 A KR 20140184860A KR 101648925 B1 KR101648925 B1 KR 1016489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tter
seating jig
seating
jig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848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75187A (ko
Inventor
양희창
Original Assignee
(주)그랜드벨
양희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그랜드벨, 양희창 filed Critical (주)그랜드벨
Priority to KR10201401848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48925B1/ko
Publication of KR201600751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751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89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89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2BUTCHERING; MEAT TREATMENT; PROCESSING POULTRY OR FISH
    • A22CPROCESSING MEAT, POULTRY, OR FISH
    • A22C25/00Processing fish ; Curing of fish; Stunning of fish by electric current; Investigating fish by optical means
    • A22C25/17Skinning fish
    • AHUMAN NECESSITIES
    • A22BUTCHERING; MEAT TREATMENT; PROCESSING POULTRY OR FISH
    • A22CPROCESSING MEAT, POULTRY, OR FISH
    • A22C17/00Other devices for processing meat or bones
    • A22C17/16Cleaning of intestines; Machines for removing fat or slime from intestin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NMACHINES OR APPARATUS FOR TREATING HARVESTED FRUIT, VEGETABLES OR FLOWER BULBS IN BULK, NOT OTHERWISE PROVIDED FOR; PEELING VEGETABLES OR FRUIT IN BULK; APPARATUS FOR PREPARING ANIMAL FEEDING- STUFFS
    • A23N7/00Peeling vegetables or fruit
    • A23N7/02Peeling potatoes, apples or similarly shaped vegetables or fruit

Abstract

본 발명은 가공물의 종류 또는 가공물 껍질의 상태에 따라 커터의 노출길이 조절이 가능함과 동시에, 별도의 작업도구 없이 커터 포함하는 박피유닛의 조립 및 분해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커터 교체가 용이한 박피기에 관한 것으로,
상기 박피유닛은, 상기 톱니롤러의 상측과 일정간격으로 배치되며, 상기 톱니롤러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본체에 설치되고, 상부면이 편평한 면을 갖는 안착지그; 상기 안착지그의 상부면 선단에 길이방향을 따라 안착된 커터; 상기 안착지그의 상부면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커터의 폭방향 후단을 지지하여 상기 안착지그로부터 상기 커터의 노출이 조절되도록 하는 적어도 하나의 조절플레이트; 상기 안착지그의 상부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돌출되게 결합되는 복수개의 고정부재; 상기 안착지그의 상부면에 안착되어 상기 커터를 가압하며, 표면에 상기 복수개의 고정부재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고정단이 형성된 가압커버; 및 상기 안착지그 후방에 결합되며, 상기 고정부재를 중심으로 상기 가압커버의 일단을 승강시켜 상기 가압커버가 상기 커터를 가압하도록 하는 적어도 하나의 가압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커터 교체가 용이한 박피기{Peeling device easily changeable for cutter}
본 발명은 박피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가공물의 종류 또는 가공물 껍질의 상태에 따라 커터의 노출길이 조절이 가능함과 동시에, 별도의 작업도구 없이 커터 포함하는 박피유닛의 조립 및 분해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커터 교체가 용이한 박피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어류의 껍질이나 또는 동물의 내장 표면에 일체로 부착된 피막등을 자동으로 벗기도록 하는 박피기는 종래에도 이미 알려져 실제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박피기는 톱니가 붙어있는 톱니롤러에 의해 재료가 이송되면서 톱니롤러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근접되게 구비되는 박피용 칼에 의해 껍질이 벗겨지게 되는 것이다.
껍질이 벗겨진 재료는 송출가이드 또는 송출콘베이어를 타고 송출되고, 벗겨진 껍질은 롤러 사이를 거쳐 아래에 위치한 배출가이드로 낙하되어 배출된다.
다양한 가공물의 껍질을 벗기기 위한 기술이 국내등록특허 제10-0286062호에 개시되어 있다.
국내등록특허 제10-0286062호에 개시된 박피기는, 기대의 내부에 구비되고 박피칼날의 위치를 다단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브레이드 캐리어와 교체사용이 가능한 톱니로울러 및 스크레이퍼 로울러를 갖춘 박피부와, 상기 기대의 양측면상에 구비되고 손잡이의 회전작동에 의해 스프링의 인장력으로 브레이드 캐리어의 장력을 조절토록 하는 장력조절부와, 상기 기대의 상면에 착탈가능토록 구비되고 탄성력을 가지는 누름벨트가 다수의 로울러에 의해 무한궤도식으로 체결되어 공급되는 재료를 균일하게 눌러주는 재료누름부와, 상기 기대의 양측면상에 구비되고 모터의 동력을 체인기어 및 체인으로서 박피부와 재료누름부측으로 전달토록하는 동력전달부로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의 박피기는, 가공물의 껍질을 벗기는 과정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고 자동화됨에 따라 생산성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는 반면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다.
첫째, 박피칼의 교체 및 세척을 위한 브레이드 캐리어의 분해 및 조립이 번거로운 문제가 있다. 즉, 박피칼을 고정하기 위해 덮게판과 지지판 사이에 박피칼을 위치시키고 복수개의 체결볼트를 이용하여 일일이 체결하기 때문이고, 이 과정에서 체결볼트를 결합하기 위해 지지판과 덮게판에 형성된 각 너트공을 일치시켜야 하는 문제 또한 번거롭기 때문이다.
더하여, 덮게판과 지지판을 결합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작업도구가 필요하며, 작업도구 없이는 분해 및 조립이 원천적으로 불가능하다.
둘째, 가공물의 종류에 따라 박피칼의 노출 위치를 변경하는 경우, 먼저 덮게판을 제거한 후 지지판 상면의 삽입홈에 체결된 각 돌기를 풀어 다른 위치의 삽입홈에 체결하여 박피칼의 노출 위치를 변경하기 때문에 상당히 번거로운 문제가 있으며, 이 역시 작업도구는 필수적으로 필요하다.
특허문헌 1: 국내등록특허 제10-0286062호(등록일 2001.01.10.) 특허문헌 2: 국내등록실용 제20-0361359호(등록일 2004.08.30)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 및 기술적 편견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가공물의 종류 또는 가공물 껍질의 상태에 따라 외부로 노출되는 커터의 노출길이가 다양하게 조절 가능하기 때문에 함과 동시에, 별도의 작업도구 없이 커터 포함하는 박피유닛의 조립 및 분해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커터 교체가 용이한 박피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커터 교체가 용이한 박피기는, 본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가공물을 이송시키면서 상기 가공물 껍질을 배출하는 톱니롤러와 스크레이퍼롤러로 구성된 롤러부와, 상기 톱니롤러의 상측에 설치되어 이송하는 상기 가공물의 껍질을 탈피시키는 박피유닛,으로 구성된 박피기에 있어서, 상기 박피유닛은, 상기 톱니롤러의 상측과 일정간격으로 배치되며, 상기 톱니롤러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본체에 설치되고, 상부면이 편평한 면을 갖는 안착지그; 상기 안착지그의 상부면 선단에 길이방향을 따라 안착된 커터; 상기 안착지그의 상부면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커터의 폭방향 후단을 지지하여 상기 안착지그로부터 상기 커터의 노출이 조절되도록 하는 적어도 하나의 조절플레이트; 상기 안착지그의 상부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돌출되게 결합되는 복수개의 고정부재; 상기 안착지그의 상부면에 안착되어 상기 커터를 가압하며, 표면에 상기 복수개의 고정부재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고정단이 형성된 가압커버; 및 상기 안착지그 후방에 결합되며, 상기 고정부재를 중심으로 상기 가압커버의 일단을 승강시켜 상기 가압커버가 상기 커터를 가압하도록 하는 적어도 하나의 가압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가압장치는, 상기 안착지그의 후방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둘레면이 상기 가압커버의 저면과 접촉되며, 상기 둘레면에는 회동중심으로부터 서로 다른 높이의 곡률이 형성되고, 상기 둘레면의 어느 일측으로부터 걸림고리가 돌출 형성된 편심캠; 상기 편심캠의 중심에 결합되어 상기 편심캠을 회전시키는 핸들; 및 상기 안착지그의 후방에 돌출되게 구비되어 상기 편심캠의 회동시 상기 걸림고리가 걸리도록 하여 상기 편심캠의 회전을 제어하는 스토퍼;로 구성된 것에 특징이 있다.
또한,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안착지그에 형성된 결합공에 결합되는 결합편과, 상기 결합편으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며 테이퍼면을 갖는 머리로 구성된 것에 특징이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정단에는 상기 고정부재가 관통할 수 있도록 상기 가압커버를 관통하는 관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관통공의 일측에는 관통된 상기 고정부재의 상기 테이퍼면이 안착되는 안착면이 형성된 것에 특징이 있다.
더하여, 상기 조절플레이트는 상기 소정의 두께를 갖는 판 상으로 형성되며, 회동의 중심으로부터 이격된 둘레면에는 중심으로부터 서로 다른 이격된 거리를 갖는 복수개의 지지면이 형성된 것에 특징이 있다.
또한, 상기 조절플레이트에는 상기 커터의 노출 정도를 가늠할 수 있도록 각 지지면 위치에 문자 또는 숫자를 표기한 것에 특징이 있다.
마지막으로, 상기 안착지그는 상기 본체의 내측에 마주하게 구비된 고정블럭의 저면에 양단부가 각각 배치되며, 상기 안착지그의 양단은 상기 각 고정블럭과 상기 안착지그를 관통하면서 상기 본체를 가로지르는 고정바에 결합되는 고정볼트에 의해 상기 고정블럭에 고정되고, 상기 고정볼트 상측의 파지부와 상기 고정블럭 사이에는 탄성을 부여하는 탄성부재가 구비된 것에 특징이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진 본 발명의 커터 교체가 용이한 박피기에 의하면,
박피유닛으로부터 노출되는 커터의 노출길이가 손쉽게 조절되도록 함으로써 가공물의 종류 또는 가공물의 껍질 상태에 따른 커터의 선택적인 노출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또한, 박피유닛의 칼날교체 또는 세척을 위한 분해 및 조립시 별도의 작업도구가 요구되지 않기 때문에 상시적인 조립 및 분해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장범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박피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요부평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A부를 나타낸 요부확대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박피기의 구성중 박피유닛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며,
도 5는 도 4의 결합된 사시도이고,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에 따른 박피기의 구성중 박피유닛의 록킹장치 작용을 보여주는 참고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 예들은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 나타난 각 요소의 형상은 보다 분명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하여 과장될 수 있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박피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요부평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A부를 나타낸 요부확대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박피기의 구성중 박피유닛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며, 도 5는 도 4의 결합된 사시도이고,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에 따른 박피기의 구성중 박피유닛의 록킹장치 작용을 보여주는 참고도이다.
도 1 내지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박피기(200)는, 본체(1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가공물을 이송시키면서 상기 가공물 껍질을 배출하는 톱니롤러(21)와 스크레이퍼롤러(23)로 구성된 롤러부(20)와, 상기 톱니롤러(21)의 상측에 설치되어 이송하는 상기 가공물의 껍질을 탈피시키는 박피유닛(100),으로 구성된 박피기(200)에 있어서, 상기 박피유닛(100)은, 상기 톱니롤러(21)의 상측과 일정간격으로 배치되며, 상기 톱니롤러(21)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본체(10)에 설치되고, 상부면이 편평한 면을 갖는 안착지그(110); 상기 안착지그(110)의 상부면 선단에 길이방향을 따라 안착된 커터(120); 상기 안착지그(110)의 상부면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커터(120)의 폭방향 후단을 지지하여 상기 안착지그(110)로부터 상기 커터(120)의 노출이 조절되도록 하는 적어도 하나의 조절플레이트(130); 상기 안착지그(110)의 상부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돌출되게 결합되는 복수개의 고정부재(140); 상기 안착지그(110)의 상부면에 안착되어 상기 커터(120)를 가압하며, 표면에 상기 복수개의 고정부재(140)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고정단(153)이 형성된 가압커버(150); 및 상기 안착지그(110) 후방에 결합되며, 상기 고정부재(140)를 중심으로 상기 가압커버(150)의 일단을 승강시켜 상기 가압커버(150)가 상기 커터(120)를 가압하도록 하는 적어도 하나의 가압장치(1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박피기(200)는 도 1과 같이, 본체(10)와 롤러부(20)와 박피유닛(100)으로 구성되어 있다.
본체(10)는 대략적으로 상측방향으로 소정의 높이를 갖는 사각형상을 유지하고 있으며, 하측에는 이동의 편리성을 위해 복수개의 캐스터(13)가 구비되어 있다.
본체(10)의 상측에는 박피의 대상이 되는 가공물이 공급되는 판 상의 이송슈트(30)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이송슈트(30)와 소정간격 이격된 마주하는 위치에는 껍질이 벗겨진 가공물이 후 가공으로 송출되도록 하는 송출슈트(40)가 구비되어 있다.
여기서 송출슈트(40)는 가공물의 이송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컨베이어(미 도시)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것은 작업환경에 따른 선택 사항이다.
한편, 이송슈트(30)와 송출슈트(40) 사이의 하부에는 톱니롤러(21)와 스크레이퍼롤러(23)로 구성된 롤러부(20)가 배치되어 있다.
톱니롤러(21)는 본체(10)의 내측으로 이송슈트(30)와 송출슈트(40) 사이의 하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으며, 외주면에는 공급된 가공물을 이송시킬 수 있도록 톱니(미 부호)가 형성되어 있다.
스크레이퍼롤러(23)는 톱니롤러(21)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회전하면서 가공물로부터 박피된 껍질을 안내하여 낙하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하, 톱니롤러(21)와 스크레이퍼롤러(23)는 통상적으로 박피기에서 사용되는 롤러임에 따라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롤러부(20)의 하측에는 롤러부(20)로부터 낙하하는 가공물의 껍질이 낙하되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경사지게 형성된 배출슈트(50)가 구비되어 있다.
한편, 롤러부(20)는 본체(10)에 구비된 구동부(60)와 체인(미 부호) 또는 벨트(미 부호)를 통해 연결되어 구동력을 전달받는다.
또한, 본체(10)에는 상기 롤러부(20) 및 구동부(60)를 제어하기 위한 별도의 제어장치(70)가 구비되어 있다.
1 내지 도 6과 같이 박피유닛(100)은, 이송슈트(30)로부터 공급되는 가공물의 껍질을 탈피시키는 것으로, 톱니유닛의 상측으로 톱니유닛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송출슈트(40)의 상부 표면에 안착되게 설치되어 있다.
박피유닛(100)은 안착지그(110)와, 커터(120)와, 조절플레이트(130)와, 고정부재(140)와, 가압커버(150) 및 가압장치(160)로 구성되어 있다.
안착지그(110)는 톱니롤러(21)의 상측과 일정간격 배치되어 톱니롤러(21)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송출슈트(40)의 전방측으로 배치되어 있다.
안착지그(110)는 상.하 폭방향으로 소정의 폭을 유지하고 있으며, 상부면은 후술하게되는 커터(120)와 조절플레이트(130) 및 가압커버(150)가 완전한 밀착상태로 결합될 수 있도록 편평한 면을 형성하고 있다.
이때, 안착지그(110)가 송출슈트(40)의 전방측으로 배치될 수 있도록, 안착지그(110)는 본체(10)의 내측에 마주하게 구비된 고정블럭(15)의 저면에 양단부가 각각 배치되며, 안착지그(110)의 양단은 각 고정블럭(15)과 안착지그(110)를 관통하면서 본체(10)를 가로지르는 고정바(80)에 결합되는 고정볼트(B)에 의해 고정블럭(15)에 고정된다(도 3 참조).
상기 안착지그(110)의 양단에는 고정볼트(B)가 관통하는 연결공(113)이 형성됨은 물론이다.
만일, 안착지그(110)를 본체(10)로부터 분리하고자 하는 경우, 고정블럭(15)에 결합된 각 고정볼트(B)의 해제를 통해 분리되는 것은 이해 가능할 것이다. 안착유닛(110)의 분리는 결국 박피유닛(100)이 본체(10)로부터 분리되는 것과 동일할 것이다.
한편, 고정블럭(15)에 설치된 안착지그(110)가 가공물의 껍질 박피시 소정의 텐션을 유지할 수 있도록, 고정볼트(B) 상측의 파지부(B1)와 고정블럭(15) 사이에는 탄성을 부여하는 탄성부재(S)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탄성부재(S)는 와셔 또는 압축스프링 일수도 있기 때문에 종류를 반드시 한정하지는 않는다.
커터(120)는 도 3 및 도 4와 같이 안착지그(110)의 상부면 선단에 안착지그(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안착되며, 이때 커터(120)의 날이 안착지그(110)의 선단 외측(도면상 좌측)으로 노출되게 안착된다.
커터(120)는 통상적인 금속재질로 형성됨은 물론이다.
조절플레이트(130)는 도 3 및 도 4와 같이 안착지그(110)의 상부면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커터(120)의 폭 방향 후단을 지지하여 안착지그(110)로부터 커터(120)의 노출이 조절되도록 커터(120)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설치되어 있다.
이때, 조절플레이트(130)는 소정의 두께를 갖는 판 상으로 형성되며, 회동의 중심으로부터 이격된 둘레면에는 중심으로부터 서로 다른 이격된 거리를 갖는 복수개의 지지면(133)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의 지지면(133)이 서로 다른 높이를 갖도록 함으로써 칼날의 노출 또한 다르게 설정되도록 하여 박피 대상이 되는 가공물의 종류 또는 껍질의 두께에 따른 신속한 대처가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 경우, 조절플레이트(130)에는 도 4와 같이 커터(120)의 노출 정도를 가늠할 수 있도록 각 지지면(133) 위치에 문자 또는 숫자(135)를 표기할 수도 있다.
이는, 작업자가 칼날의 후단을 지지하는 조절플레이트(130)의 지지면(133)에 해당하는 문자 또는 숫자(135)를 인식하여 칼날의 노출정도를 가늠토록 함으로써 이에 해당하는 가공물 종류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즉, 가공물의 종류에 따라 박피하기 위한 칼날의 노출도 달라지기 때문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조절플레이트(130)의 형상은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음에 따라 그 형상을 한정하지는 않는다.
고정부재(140)는 도 3 내지 도 5와 같이 후술하는 가압커버(150)와 록킹장치를 통해 상기 커터(120)가 가압된 상태로 설정된 위치에 노출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안착지그(110)의 상부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돌출된 상태로 복수개가 결합된다.
이때, 고정부재(140)는 안착지그(110)에 형성된 결합공(115)에 결합되는 결합편(141)과, 결합편(141)으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며 테이퍼면(145)을 갖는 머리(143)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3 참조).
즉, 고정부재(140)는 결합편(141)이 결합공(115)에 결합된 상태로 안착지그(110)의 상부면으로부터 4개가 돌출되어, 후술하는 가압장치(160)에 의해 가압커버(150)의 일단이 승강될 때 이 승강이 고정부재(140)를 중심으로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가압커버(150)가 커터(120)를 가압하도록 하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고정부재(140)의 개수 및 형상은 반드시 한정하지는 않는다.
가압커버(150)는 도 3 내지 도 5와 같이 안착지그(110)의 상부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안착되어 안착된 커터(120)를 가압하여 커터(120)의 유동이 방지되도록 하는 것으로, 길이방향의 표면에는 상기 복수개의 고정부재(140)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고정부재(140)의 개수와 대응하는 고정단(153)이 형성되어 있다.
이때, 각 고정단(153)에는 고정부재(140)가 관통할 수 있도록 가압커버(150)를 관통하는 관통공(153a)이 형성되며, 관통공(153a)의 일측에는 관통된 고정부재(140)의 테이퍼면(145)이 안착되도록 테이퍼면(145)과 대응하는 경사를 갖는 안착면(153b)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가압커버(150)가 안착지그(110)의 상부측으로 안착될 때 안착지그(110)에 체결된 고정부재(140)의 머리(143)가 고정단(153)을 관통하고, 이 상태에서 가압커버(150)의 이동에 의해 고정부재(140) 머리(143)의 테이퍼면(145)이 고정단(153)에 형성된 안착면(153b)에 안착되도록 함으로써 안착지그(110)에 안정적으로 안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정확하게는, 가압커버(150)의 고정단(153)에 고정부재(140)를 수용시킴으로써 가압커버(150)가 설정된 위치에 정확하게 위치될 수 있도록 가이드하는 것이다.
한편, 가압커버(150)의 양측 단부에는 가압커버(150)의 파지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손잡이가 구비되어 있다.
가압장치(160)는 도 3 내지 도 6과 같이 안착지그(110) 후방에 결합되어 가압커버(150)의 일단(커터(120)의 반대방향)을 승강시켜 가압커버(150)가 커터(120)를 가압하도록 하는 것으로, 3 개가 설치되어 있다.
가압장치(160)는 편심캠(161)과, 핸들(163) 및 스토퍼(165)로 구성되어 있다.
편심캠(161)은 안착지그(110)의 후방(도 3의 도면상 우측)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가압커버(150)의 후방 저면과 접촉되며, 둘레면에는 회동중심으로부터 서로 다른 높이의 곡률이 형성되고, 둘레면의 어느 일측에는 둘레면으로부터 돌출된 걸림고리(161a)가 형성되어 있다.
이때, 편심캠(161) 둘레면의 서로 다른 곡률은 회전중심을 기준으로 90도 등분 상에 서로 각각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90도 등분이 편심캠(161)의 회전이 가장 이상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최적의 등분이기 때문이며, 예를 들어 작업자가 90도 각도로 편심캠(161)을 회전시킴으로써 편심캠(161)의 회전 상태를 쉽게 인식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핸들(163)은 편심캠(161)의 회전중심에 결합되어 있으며, 편심캠(161)을 원활하게 회전시키는 역할을 한다.
스토퍼(165)는 안착지그(110)의 후방에 돌출되게 구비되어 편심캠(161)의 회동시 걸림고리(161a)가 걸리도록 하여 편심캠(161)의 회전을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와 같은 가압장치(160)는, 편심캠(161)이 회전을 통한 둘레면의 높은 측 곡률 또는 낮은 측의 곡률이 가압커버(150)의 후방 저면과 접촉되도록 함으로써, 곡률의 높.낮이에 따라 가압커버(150) 후방의 선택적 승강에 의해 커터(120)로 가해지는 가압력이 발생 또는 해제 되도록 한다.
즉 도 6a와 같이, 편심캠(161)의 회전에 의해 둘레면의 높은 측 곡률이 가압커버(150)의 후방을 승강시키면, 고정단(153)의 안착면(153b)은 가압커버(150)와 함께 승강하면서 고정부재(140)의 테이퍼면(145)과 긴밀한 접촉을 이루게 된다.
이렇게 되면, 가압커버(150)는 고정부재(140)에 의해 승강이 제한되고, 이때 계속적인 승강이 이루어지게 되면서 결국 고정부재(140)와 고정단(153)이 지렛대 역할을 하게 됨으로써 후방에 가해지는 승강 압력 방향이 바뀌어 가압커버(150)의 선단(커터(120) 방향)으로 작용함으로써 가압커버(150)의 선단을 통해 커터(120)를 가압하게 된다.
상기의 상태에서 도 6b와 같이, 핸들(163)을 이용하여 편심캠(161)의 걸림고리(161a)가 스토퍼(165)에 걸릴 때까지 회동시키면, 편심캠(161) 둘레면의 높은 측 곡률이 이동하면서 낮은 측 곡률이 위치함에 따라 결국 가압커버(150)의 후방에 가해졌던 승강 압력이 해제되어 가압커버(150)는 자유로운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 가압커버(150)는 안착지그(110)로부터 분리되기 때문에, 커터(120)의 교체 또는 박피유닛(100)의 세척이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편심캠(161) 둘레면에 형성된 곡률의 서로 다른 높이는 가압커버(150)가 안착지그(110)의 상부면으로부터 미세하게 승강될 수 있는 높이를 의미하기 때문에 각 곡률의 높이를 한정하지 않는다.
지금까지 서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박피기는, 박피유닛으로부터 노출되는 커터의 노출길이가 손쉽게 조절되도록 함으로써 가공물의 종류 또는 가공물의 껍질 상태에 따른 커터의 선택적인 노출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또한, 박피유닛의 칼날교체 또는 세척을 위한 분해 및 조립시 별도의 작업도구가 요구되지 않기 때문에 상시적인 조립 및 분해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장범이 있다.
이상, 본 발명의 박피기를 바람직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설명하였으나, 이는 발명의 이해를 돕고자 하는 것일 뿐 발명의 기술적 범위를 이에 한정하고자 함이 아님은 물론이다.
즉,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고도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다양한 변형이나 개조가 가능함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이나 개조는 청구범위의 해석상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 내에 있음은 말할 나위가 없다.
10 : 본체 13 : 캐스터
15 : 고정블럭 20 : 롤러부
21 : 톱니롤러 23 : 스크레이퍼롤러
30 : 이송슈트 40 : 송출슈트
50 : 배출슈트 60 : 구동부
70 : 제어장치 80 : 고정바
100 : 박피유닛 110 : 안착지그
113 : 연결공 115 : 결합공
120 : 커터 130 : 조절플레이트
133 : 지지면 135 : 문자 또는 숫자
140 : 고정부재 141 : 결합편
143 : 머리 145 : 테이퍼면
150 : 가압커버 153 : 고정단
153a : 관통공 153b : 안착면
155 : 손잡이 160 : 가압장치
161 : 편심캠 161a : 걸림고리
163 : 핸들 165 : 스토퍼
200 : 박피기 B : 고정볼트
B1 : 파지부 S : 탄성부재

Claims (7)

  1. 본체(1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가공물을 이송시키면서 상기 가공물 껍질을 배출하는 톱니롤러(21)와 스크레이퍼롤러(23)로 구성된 롤러부(20)와, 상기 톱니롤러(21)의 상측에 설치되어 이송하는 상기 가공물의 껍질을 탈피시키는 박피유닛(100),으로 구성된 박피기(200)에 있어서,
    상기 박피유닛(100)은,
    상기 톱니롤러(21)의 상측과 일정간격으로 배치되며, 상기 톱니롤러(21)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본체(10)에 설치되고, 상부면이 편평한 면을 갖는 안착지그(110);
    상기 안착지그(110)의 상부면 선단에 길이방향을 따라 안착된 커터(120);
    상기 안착지그(110)의 상부면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커터(120)의 폭방향 후단을 지지하여 상기 안착지그(110)로부터 상기 커터(120)의 노출이 조절되도록 하는 적어도 하나의 조절플레이트(130);
    상기 안착지그(110)의 상부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돌출되게 결합되는 복수개의 고정부재(140);
    상기 안착지그(110)의 상부면에 안착되어 상기 커터(120)를 가압하며, 표면에 상기 복수개의 고정부재(140)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고정단(153)이 형성된 가압커버(150); 및
    상기 안착지그(110) 후방에 결합되며, 상기 고정부재(140)를 중심으로 상기 가압커버(150)의 일단을 승강시켜 상기 가압커버(150)가 상기 커터(120)를 가압하도록 하는 적어도 하나의 가압장치(160);를 포함하며,
    상기 조절플레이트(130)는, 소정의 두께를 갖는 판 상으로 형성되며, 회동의 중심으로부터 이격된 둘레면에는 중심으로부터 서로 다른 이격된 거리를 갖는 복수개의 지지면(133)이 형성되고,
    상기 가압장치(160)는, 상기 안착지그(110)의 후방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둘레면이 상기 가압커버(150)의 저면과 접촉되며, 상기 둘레면에는 회동중심으로부터 서로 다른 높이의 곡률이 형성되고, 상기 둘레면의 어느 일측으로부터 걸림고리(161a)가 돌출 형성된 편심캠(161); 상기 편심캠(161)의 중심에 결합되어 상기 편심캠(161)을 회전시키는 핸들(163); 및 상기 안착지그(110)의 후방에 돌출되게 구비되어 상기 편심캠(161)의 회동시 상기 걸림고리(161a)가 걸리도록 하여 상기 편심캠(161)의 회전을 제어하는 스토퍼(165);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터 교체가 용이한 박피기(200).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140)는 상기 안착지그(110)에 형성된 결합공(115)에 결합되는 결합편(141)과, 상기 결합편(141)으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며 테이퍼면(145)을 갖는 머리(143)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터 교체가 용이한 박피기(200).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단(153)에는 상기 고정부재(140)가 관통할 수 있도록 상기 가압커버(150)를 관통하는 관통공(153a)이 형성되며, 상기 관통공(153a)의 일측에는 관통된 상기 고정부재(140)의 상기 테이퍼면(145)이 안착되는 안착면(153b)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터 교체가 용이한 박피기(200).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플레이트(130)에는 상기 커터(120)의 노출 정도를 가늠할 수 있도록 각 지지면(133) 위치에 문자 또는 숫자(135)를 표기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터 교체가 용이한 박피기(200).
  7. 제1항, 제3항 및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지그(110)는 상기 본체(10)의 내측에 마주하게 구비된 고정블럭(15)의 저면에 양단부가 각각 배치되며, 상기 안착지그(110)의 양단은 상기 각 고정블럭(15)과 상기 안착지그(110)를 관통하면서 상기 본체(10)를 가로지르는 고정바(80)에 결합되는 고정볼트(B)에 의해 상기 고정블럭(15)에 고정되고, 상기 고정볼트(B) 상측의 파지부(B1)와 상기 고정블럭(15) 사이에는 탄성을 부여하는 탄성부재(S)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터 교체가 용이한 박피기(200).
KR1020140184860A 2014-12-19 2014-12-19 커터 교체가 용이한 박피기 KR1016489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4860A KR101648925B1 (ko) 2014-12-19 2014-12-19 커터 교체가 용이한 박피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4860A KR101648925B1 (ko) 2014-12-19 2014-12-19 커터 교체가 용이한 박피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75187A KR20160075187A (ko) 2016-06-29
KR101648925B1 true KR101648925B1 (ko) 2016-08-17

Family

ID=563657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84860A KR101648925B1 (ko) 2014-12-19 2014-12-19 커터 교체가 용이한 박피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4892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577969A (zh) * 2016-12-30 2017-04-26 广东雨嘉水产食品有限公司 一种罗非鱼用磨皮机
CN110587016A (zh) * 2019-10-08 2019-12-20 中冶赛迪技术研究中心有限公司 一种热纵切剪刃装置及剪刃高度调整方法
CN112042974B (zh) * 2020-08-14 2021-12-17 农业农村部南京农业机械化研究所 一种利用滚筒导入的浮动式大蒜切根装置
KR200495574Y1 (ko) 2022-01-24 2022-06-29 손일식 육류의 표피 제거용 박피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86062B1 (ko) * 1998-12-26 2001-04-16 정석봉 박피기
KR100402968B1 (ko) * 2001-08-31 2003-10-22 주식회사 청하기계 박피기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16064Y1 (ko) * 1995-12-29 1998-04-18 석강봉 자동차 앞유리 접합필름 절단용 칼 고정장치
KR19990041667U (ko) * 1998-05-18 1999-12-27 김광식 생선탈피장치.
KR200361359Y1 (ko) 2004-06-19 2004-09-08 최기호 생선 박피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86062B1 (ko) * 1998-12-26 2001-04-16 정석봉 박피기
KR100402968B1 (ko) * 2001-08-31 2003-10-22 주식회사 청하기계 박피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75187A (ko) 2016-06-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48925B1 (ko) 커터 교체가 용이한 박피기
KR20110119613A (ko) 시트 절단 장치 및 벨트 가공 공구
US8607698B2 (en) Fruit press
KR200417726Y1 (ko) 자동 이송장치를 갖는 리벳팅 머시인
KR200402072Y1 (ko) 견과류 박피장치
JP2017164830A (ja) チェーン分解機
KR200439542Y1 (ko) 동결 생선 절단기
EP1903879B1 (en) Tool-less blade change shoe for a skinning machine
KR101914647B1 (ko) 금속판 절단 장치
KR101595761B1 (ko) 마늘 꼭지 제거 장치
KR101488977B1 (ko) 양파 가공기
KR20200045127A (ko) 깍두기용 무 가공장치
JP2018069351A (ja) 鋸歯チップ取付用スリットの形成方法及び装置
KR102219190B1 (ko) 생선절단장치
US20110056358A1 (en) Quick-Release Apparatus for Knife Plate of Saw Grinding Machine
KR100922680B1 (ko) 마늘줄기 절단장치
KR20160071182A (ko) 양파 꼭지 및 뿌리 절단장치
KR101026866B1 (ko) 종이 절단장치
KR102105964B1 (ko) 야채절단장치
KR20030018964A (ko) 박피기
KR101068812B1 (ko) 비트로터를 갖는 브이홈 가공기
US2691267A (en) Tool for separating chain links
US3556185A (en) Meat slicing machine
KR102147471B1 (ko) 로링기용 소재 공급장치
KR200481818Y1 (ko) 벨트견인용 지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