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38637B1 - 탈피기 - Google Patents

탈피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38637B1
KR102138637B1 KR1020180092843A KR20180092843A KR102138637B1 KR 102138637 B1 KR102138637 B1 KR 102138637B1 KR 1020180092843 A KR1020180092843 A KR 1020180092843A KR 20180092843 A KR20180092843 A KR 20180092843A KR 102138637 B1 KR102138637 B1 KR 1021386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tting blade
screw
stripping
hole
shelf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928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17671A (ko
Inventor
박동재
Original Assignee
박동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동재 filed Critical 박동재
Priority to KR10201800928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38637B1/ko
Publication of KR202000176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176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86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86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2BUTCHERING; MEAT TREATMENT; PROCESSING POULTRY OR FISH
    • A22CPROCESSING MEAT, POULTRY, OR FISH
    • A22C25/00Processing fish ; Curing of fish; Stunning of fish by electric current; Investigating fish by optical means
    • A22C25/17Skinning fish
    • AHUMAN NECESSITIES
    • A22BUTCHERING; MEAT TREATMENT; PROCESSING POULTRY OR FISH
    • A22CPROCESSING MEAT, POULTRY, OR FISH
    • A22C25/00Processing fish ; Curing of fish; Stunning of fish by electric current; Investigating fish by optical means
    • A22C25/08Holding, guiding, or conveying fish before, during or after its preparation ; Devices for sizing fish; Automatically adapting conveyors or processing machines to the measured size
    • AHUMAN NECESSITIES
    • A22BUTCHERING; MEAT TREATMENT; PROCESSING POULTRY OR FISH
    • A22CPROCESSING MEAT, POULTRY, OR FISH
    • A22C25/00Processing fish ; Curing of fish; Stunning of fish by electric current; Investigating fish by optical means
    • A22C25/16Removing fish-bones; Filleting fish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rocessing Of Meat And F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대상물이 투입되는 가이드판; 상기 가이드판과 일정간격 이격하여 배치되는 선반부; 및 상기 선반부의 일정 영역에 체결되고, 상기 가이드판으로 투입된 대상물의 표피를 제거하기 위한 탈피부를 포함하고, 상기 탈피부는, 탈피 커터부; 상기 탈피 커터부의 하단에 위치하는 고정지지부; 상기 고정지지부와 일정 간격 이격하여 위치하는 이동지지부; 및 상기 고정지지부와 상기 이동지지부의 사이에 배치되는 탄성체부를 포함하는 탈피기에 관한 것으로, 다량의 생선을 간편하게 포를 뜰 수 있는 탈피기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탈피기{A PEELING MACHINE}
본 발명은 탈피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다량의 생선을 간편하게 포를 뜰 수 있는 탈피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생선의 포(이하, 필렛[fillet]이라함)를 뜨는 작업은 뼈와 살을 분리시키는 작업으로, 대부분 수작업에 의존하고 있어 대량의 작업이 어려운 실정이다.
즉, 포를 뜨기 위해서는 숙련된 기술이 필요하며, 작업시간 또한 많은 시간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반복되는 작업에 의해 작업자의 피로도가 가중되었다.
이에 생선회를 뜨기 위한 장치들이 개발되고 있는데, 종래 특허공개 제1998-13643호(공개일자1998.05.15)에 개시된 「생선회용 포뜨기 장치」와 특허공개 제1999-73099호(공개일자 1999.10.05)에 개시된 「생선회 뜨는 장치」를 보면, 손으로 생선회를 잡고 1쌍의 커터날 사이로 투입해야 하므로 생선회의 등뼈가 커터날의 사이에 위치시키기가 용이하지 않았고, 그로 인해 등뼈로부터 살을 최대로 적출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다량의 생선을 가공하기에는 더욱 적합하지 않았다.
한국공개특허 제1999-73099호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다량의 생선을 간편하게 포를 뜰 수 있는 탈피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지적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대상물이 투입되는 가이드판; 상기 가이드판과 일정간격 이격하여 배치되는 선반부; 및 상기 선반부의 일정 영역에 체결되고, 상기 가이드판으로 투입된 대상물의 표피를 제거하기 위한 탈피부를 포함하고, 상기 탈피부는, 탈피 커터부; 상기 탈피 커터부의 하단에 위치하는 고정지지부; 상기 고정지지부와 일정 간격 이격하여 위치하는 이동지지부; 및 상기 고정지지부와 상기 이동지지부의 사이에 배치되는 탄성체부를 포함하는 탈피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탈피부는, 상기 탈피 커터부의 제1영역에 삽입되는 제1나사부; 및 상기 탈피 커터부의 제2영역에 체결되는 제2나사부를 포함하고, 상기 탈피 커터부는, 커팅날 본체부; 상기 커팅날 본체부의 일측 단부에 위치하는 커팅날부; 및 상기 커팅날 본체부의 타측 단부에 위치하는 커팅날 타측 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커팅날 본체부는, 제1영역에 위치하는 제1개구홀; 및 상기 제1영역과 일정 간격 이격하여 배치되고, 제2영역에 위치하는 제1체결홀을 포함하는 탈피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고정지지부는, 제1몸체부; 상기 제1몸체부의 상단부의 제1영역에 위치하는 제2개구홀; 상기 제2개구홀과 연속적으로 위치하고, 상기 제1몸체부의 하단부에 위치하는 탄성부재 제1안착홀; 상기 제1몸체부의 상단부의 제2영역에 위치하는 제2체결홀; 및 상기 제2체결홀에 체결되는 받침부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지지부는, 제2몸체부; 상기 제2몸체부의 상단부의 제1영역에 위치하는 탄성부재 제2안착홀; 및 상기 탄성부재 제2안착홀과 연속적으로 위치하고, 상기 제2몸체부의 하단부에 위치하는 제3체결홀을 포함하며, 상기 탄성체부의 일단은 상기 탄성부재 제1안착홀에 안착되고, 상기 탄성체부의 타단은 상기 탄성부재 제2안착홀에 안착되는 탈피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1나사부는 나사산을 포함하지 않는 제1나사부 제1본체; 상기 제1나사부 제1본체의 하부에 위치하고, 나사산을 포함하는 제1나사부 제2본체; 및 상기 제1나사부 제1본체의 상단에 위치하는 제1나사부 헤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2개구홀은, 상기 제1개구홀과 대응되는 영역에 위치하고, 상기 제3체결홀은, 상기 커팅날 본체부의 상기 제1개구홀과 대응되는 영역에 위치하며, 상기 제1나사부 제1본체는, 상기 제1개구홀 및 상기 제2개구홀에 삽입되어 위치하고, 상기 제1나사부 제2본체는 상기 제3체결홀에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피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2나사부는 나사산을 포함하는 제2나사부 본체를 포함하며, 상기 제2체결홀은, 상기 제1체결홀과 대응되는 영역에 위치하고, 상기 제1체결홀에 체결된 상기 제2나사부 본체가 상기 받침부에 의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피기를 제공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다량의 생선을 간편하게 포를 뜰 수 있는 탈피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다양한 표피의 두께를 갖는 다양한 대상물의 표피의 두께에 따라, 상기 커팅날부와 상기 탈피용 롤러가 이루는 갭이 유동적으로 변화될 수 있는 탈피기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a는 본 발명에 따른 탈피기를 도시하는 개략적인 도면이고, 도 1b는 본 발명에 따른 탈피기의 일부 영역을 확대한 확대도이며, 도 1c는 본 발명에 따른 탈피기의 탈피부를 도시하는 개략적인 분리 도면이고, 도 1d는 본 발명에 따른 탈피기의 선반부를 도시하는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탈피 커터부를 도시하는 실사진이다.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고정지지부가 하우징에 체결된 상태를 도시하는 실사진이고,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고정지지부를 도시하는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4a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지지부를 도시하는 실사진이고,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지지부를 도시하는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지지부에 탄성체부가 안착된 상태를 도시하는 실사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선반부에 탈피커터부가 위치하는 것을 도시하는 실사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커팅날부와 탈피용 롤러가 이루는 제1갭의 변화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아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에 관계없이 동일한 부재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지칭하며, "및/또는"은 언급된 아이템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아래(below)", "아래(beneath)", "하부(lower)", "위(above)", "상부(upper)" 등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구성 요소와 다른 구성 요소들과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에 더하여 사용시 또는 동작시 구성요소들의 서로 다른 방향을 포함하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면,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구성요소를 뒤집을 경우, 다른 구성요소의 "아래(below)" 또는 "아래(beneath)"로 기술된 구성요소는 다른 구성요소의 "위(above)"에 놓여질 수 있다. 따라서, 예시적인 용어인 "아래"는 아래와 위의 방향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구성요소는 다른 방향으로도 배향될 수 있고, 이에 따라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들은 배향에 따라 해석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a는 본 발명에 따른 탈피기를 도시하는 개략적인 도면이고, 도 1b는 본 발명에 따른 탈피기의 일부 영역을 확대한 확대도이며, 도 1c는 본 발명에 따른 탈피기의 탈피부를 도시하는 개략적인 분리 도면이고, 도 1d는 본 발명에 따른 탈피기의 선반부를 도시하는 개략적인 도면이다.
먼저, 도 1a 및 도 1b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탈피기(100)는 어류 등의 대상물이 투입되는 가이드판(110); 상기 가이드판(110)과 일정간격 이격하여 배치되고, 상기 가이드 판(110)으로 투입된 대상물의 표피가 탈피되어 어육이 배출되는 선반부(120); 및 상기 선반부(120)의 일정 영역에 체결되고, 상기 가이드판(110)으로 투입된 대상물의 표피를 제거하기 위한 탈피부(200)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대상물은 어류 또는 육류일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 상기 대상물의 종류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상기 탈피기(100)는 제1하우징 및 상기 제1하우징과 이격하여 배치되는 제2하우징을 포함하는 하우징(10)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다음으로, 도 1c를 참조하면, 상기 탈피부(200)는 탈피 커터부(210); 상기 탈피 커터부(210)의 제1영역에 삽입되는 제1나사부(220); 및 상기 탈피 커터부(210)의 제2영역에 체결되는 제2나사부(230)를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탈피 커터부(210)는, 커팅날 본체부(211); 상기 커팅날 본체부(211)의 일측 단부에 위치하는 커팅날부(213); 및 상기 커팅날 본체부(211)의 타측 단부에 위치하는 커팅날 타측 단부(212)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커팅날 본체부(211)는, 제1영역에 위치하는 제1개구홀(215); 및 상기 제1영역과 일정 간격 이격하여 배치되고, 제2영역에 위치하는 제1체결홀(도 2의 216)을 포함한다.
즉, 상기 제1개구홀(215)은 나사산을 포함하지 않은 홀의 구조로, 상기 제1나사부(220)가 삽입될 수 있으며, 상기 제1체결홀(도 2의 216)은 나사산을 포함하고 있어, 상기 제1나사부(220)가 체결될 수 있다.
한편,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커팅날 본체부(211)는, 상기 커팅날 본체부(211)의 하단에 위치하는 보강부(214)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보강부(214)는 상기 제1개구홀과 상기 제1체결홀이 대응되는 영역에, 각각 개구홀 및 체결홀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보강부(214)는 상기 제1개구홀과 연속적으로 위치하는 개구홀을 포함하며, 또한, 상기 제1체결홀과 연속적으로 위치하는 체결홀을 포함할 수 있으며, 다만, 본 발명에서 상기 보강부(214)의 유무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탈피 커터부를 도시하는 실사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탈피 커터부(210)는, 커팅날 본체부(211); 상기 커팅날 본체부(211)의 일측 단부에 위치하는 커팅날부(213); 및 상기 커팅날 본체부(211)의 타측 단부에 위치하는 커팅날 타측 단부(212)를 포함하고, 상기 커팅날 본체부(211)는, 제1영역에 위치하는 제1개구홀(215); 및 상기 제1영역과 일정 간격 이격하여 배치되고, 제2영역에 위치하는 제1체결홀(216)을 포함한다.
계속해서, 도 1c를 참조하면, 상기 탈피부(200)는, 상기 탈피 커터부(210)의 하단에 위치하고, 일측단부는 상기 하우징(10)의 제1하우징에 고정되며, 타측단부는 상기 하우징(10)의 제2하우징에 고정되는 고정지지부(24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고정지지부가 하우징에 체결된 상태를 도시하는 실사진이고,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고정지지부를 도시하는 개략적인 도면이다.
먼저, 도 3a를 참조하면, 상기 탈피기(100)는 제1하우징(10a) 및 상기 제1하우징(10a)과 이격하여 배치되는 제2하우징(10b)을 포함하는 하우징(10)을 포함한다.
이때,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지지부(240)의 일측단부는 상기 하우징(10)의 상기 제1하우징(10a)에 고정되며, 타측단부는 상기 하우징(10)의 상기 제2하우징(10b)에 고정된다.
다음으로,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면, 상기 고정지지부(240)는, 바 형태의 제1몸체부(241); 상기 제1몸체부(241)의 상단부의 제1영역에 위치하는 제2개구홀(243); 상기 제2개구홀(243)과 연속적으로 위치하고, 상기 제1몸체부(241)의 하단부에 위치하는 탄성부재 제1안착홀(242)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2개구홀(243)은, 상기 커팅날 본체부(211)의 상기 제1개구홀(215)과 대응되는 영역에 위치하며, 또한, 상기 제2개구홀(243)은 나사산을 포함하지 않은 홀의 구조로, 상기 제1나사부(220)는 상기 제1개구홀(215)과 상기 제2개구홀(243)에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지지부(240)는, 상기 제1몸체부(241)의 상단부의 제2영역에 위치하는 제2체결홀(244); 및 상기 제2체결홀(244)에 체결되는 받침부(245)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2체결홀(244)은, 상기 커팅날 본체부(211)의 상기 제1체결홀(216)과 대응되는 영역에 위치하며, 또한, 상기 제2체결홀(244)은 나사산을 포함하고 있어, 상기 받침부(245)가 상기 제2체결홀(244)에 체결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받침부(245)는 공지된 볼트를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제1체결홀(216)에 체결된 상기 제2나사부(230)가 상기 받침부(245)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제1나사부(220)가 상기 받침부(245)에 의해 지지되는 구성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계속해서, 도 1c를 참조하면, 상기 탈피부(200)는, 상기 고정지지부(240)와 일정 간격 이격하여 위치하는 이동지지부(250); 및 상기 고정지지부(240)와 상기 이동지지부(250)의 사이에 배치되는 탄성체부(260)를 포함한다.
도 4a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지지부를 도시하는 실사진이고,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지지부를 도시하는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면, 상기 이동지지부(250)는, 바 형태의 제2몸체부(251); 상기 제2몸체부(251)의 상단부의 제1영역에 위치하는 탄성부재 제2안착홀(252); 상기 탄성부재 제2안착홀(252)과 연속적으로 위치하고, 상기 제2몸체부(251)의 하단부에 위치하는 제3체결홀(253)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3체결홀(253)은, 상기 커팅날 본체부(211)의 상기 제1개구홀(215)과 대응되는 영역에 위치하며, 또한, 상기 제3체결홀(253)은 나사산을 포함하는 구조로, 상기 제1나사부(220)는 상기 제1개구홀(215) 및 상기 제2개구홀(243)에 삽입되어, 상기 제3체결홀(253)에 체결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지지부에 탄성체부가 안착된 상태를 도시하는 실사진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이동지지부(250)는, 상기 제2몸체부(251)의 상단부의 제1영역에 위치하는 탄성부재 제2안착홀(252)을 포함하며, 상기 탄성부재 제2안착홀(252)에 상기 탄성체부(260)가 안착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술한 바와 같이, 도 3b를 참조하면, 상기 고정지지부(240)는, 상기 제1몸체부(241)의 하단부에 위치하는 탄성부재 제1안착홀(242)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탄성체부(260)의 일단은 상기 탄성부재 제1안착홀(242)에 안착될 수 있으며,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탄성체부(260)의 타단은 상기 탄성부재 제2안착홀(252)에 안착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탄성체부(260), 상기 고정지지부(240) 및 이동지지부(250)의 작동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계속해서, 도 1c를 참조하면, 상기 제1나사부(220)는 나사산을 포함하지 않는 제1나사부 제1본체(222); 상기 제1나사부 제1본체(222)의 하부에 위치하고, 나사산을 포함하는 제1나사부 제2본체(221); 및 상기 제1나사부 제1본체(222)의 상단에 위치하는 제1나사부 헤드(223)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2나사부(230)는 나사산을 포함하는 제2나사부 본체(231)를 포함하며, 다만,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상기 제2나사부(230)는 상기 제2나사부 본체(231)의 상단에 위치하는 제2나사부 헤드(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으며, 다만, 본 발명에서 상기 제2나사부 헤드의 유무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제1나사부(220)와 상기 제2나사부(230)의 역할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다음으로, 도 1d를 참조하면, 상기 선반부(120)는, 선반부 상면(121); 및 상기 선반부 상면(121)으로부터 일정 각도로 경사지게 배치되는 선반부 경사면(122)을 포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선반부(120)는 상기 가이드판(110)과 일정간격 이격하여 배치되고, 상기 가이드 판(110)으로 투입된 대상물의 표피가 탈피되어 어육이 배출될 수 있다.
또한,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선반부 경사면(122)에는, 상기 탈피 커터부(210)의 상기 커팅날 타측 단부(212)가 접촉하며, 상기 선반부 경사면(122)과 상기 커팅날 타측 단부(212)의 접촉에 의하여, 상기 커팅날 본체부(211)는 일정 각도로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선반부에 탈피커터부가 위치하는 것을 도시하는 실사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선반부(120)는, 선반부 상면(도면부호 미도시); 및 상기 선반부 상면으로부터 일정 각도로 경사지게 배치되는 선반부 경사면(도면부호 미도시)을 포함하며, 상기 선반부 경사면에는, 상기 탈피 커터부(210)의 상기 커팅날 타측 단부(도면부호 미도시)가 접촉하며, 상기 선반부 경사면과 상기 커팅날 타측 단부의 접촉에 의하여, 상기 커팅날 본체부는 일정 각도로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이때,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커팅날부(213)와 상기 탈피용 롤러(111)는 제1갭(d1)을 유지하며 배치되며, 상기 제1갭(d1)을 통해, 상기 대상물로부터 제거된 표피가 배출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도 1a 내지 도 1d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탈피기(100)는, 어류 등의 대상물이 상기 가이드판(110)을 통해 투입되고, 상기 가이드판(110)으로 투입된 대상물의 표피가 상기 탈피부(200)를 통해 제거된 후, 표피가 탈피된 대상물의 어육은 상기 선반부(120)로 배출되게 된다.
또한, 상기 탈피부(200)는 탈피 커터부(210)를 포함하고, 상기 탈피 커터부(210)는, 커팅날 본체부(211); 상기 커팅날 본체부(211)의 일측 단부에 위치하는 커팅날부(213); 및 상기 커팅날 본체부(211)의 타측 단부에 위치하는 커팅날 타측 단부(212)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가이드판(110)으로 투입된 대상물의 표피가 상기 탈피부(200)를 통해 제거된 후, 상기 표피가 탈피된 대상물의 어육은 상기 선반부(120)로 배출되는 것은, 상기 커팅날부(213)에서 표피가 제거되며, 상기 표피가 탈피된 대상물의 어육은 상기 커팅날 본체부(211)의 상면 및 상기 커팅날 타측 단부(212)의 상면을 따라 이동하여, 최종적으로, 상기 선반부(120)의 상기 선반부 상면(121)을 따라 배출되게 된다.
한편, 도 1a를 참조하면,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탈피기(100)는, 상기 탈피 커터부(210)의 상기 커팅날부(213)의 하단에 위치하는 탈피용 롤러(111); 및 상기 탈피용 롤러(111)를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부(130)를 포함한다.
즉, 상기 구동부(130)의 구동에 따라 상기 탈피용 롤러(111)가 회전하며, 상기 탈피용 롤러(111)의 회전에 따라, 상기 대상물이 상기 탈피부(200)로 진입하게 되며, 상기 탈피부(200)로 진입된 상기 대상물은 상기 커팅날부(213)에서 표피가 제거되어, 상기 제거된 표피는 상기 커팅날부(213)와 상기 탈피용 롤러(111)의 사이 공간으로 배출되게 된다.
따라서,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커팅날부(213)와 상기 탈피용 롤러(111)는 제1갭(d1)을 유지하며 배치되며, 상기 제1갭(d1)을 통해, 상기 대상물로부터 제거된 표피가 배출될 수 있다.
한편, 대상물, 예를 들면 어류의 종류에 따라, 제거되어야 할 표피의 두께는 매우 다양하게 된다.
하지만, 상술한 바와 같은 상기 커팅날부(213)와 상기 탈피용 롤러(111)가 이루는 제1갭(d1)이 항상 일정하게 고정된다면, 다양한 표피의 두께를 갖는 다양한 대상물의 표피를 제거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게 된다.
예를 들어, 대상물의 표피가 상기 제1갭(d1)보다 얇은 경우는 상기 대상물의 표피를 제거함에 있어서, 상기 대상물의 표피와 함께, 어육의 일부도 제거되게 된다.
또한, 이와는 반대로, 대상물의 표피가 상기 제1갭(d1)보다 두꺼운 경우는 상기 대상물의 표피를 제거함에 있어서, 상기 제1갭(d1)이 너무 작아서, 표피를 제거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상기 커팅날부(213)와 상기 탈피용 롤러(111)가 이루는 제1갭(d1)이 항상 일정하게 고정되어 있으므로, 두꺼운 표피에 따른 갭의 확보를 할 수 없으므로, 상기 커팅날부(213)에 부하가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커팅날부(213)와 상기 탈피용 롤러(111)가 이루는 제1갭(d1)을 고정시키는 것이 아닌, 다양한 표피의 두께를 갖는 다양한 대상물의 표피의 두께에 따라, 상기 커팅날부(213)와 상기 탈피용 롤러(111)가 이루는 제1갭(d1)이 유동적으로 변화될 수 있는 탈피기(100)를 제공하고자 한다.
즉,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탈피기를 통해, 상술한 효과, 즉, 다양한 표피의 두께를 갖는 다양한 대상물의 표피의 두께에 따라, 상기 커팅날부(213)와 상기 탈피용 롤러(111)가 이루는 제1갭(d1)이 유동적으로 변화될 수 있는 탈피기를 제공할 수 있으며,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탈피기의 상기 커팅날부(213)와 상기 탈피용 롤러(111)가 이루는 제1갭(d1)이 유동적인 변화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제1방법에 의해, 상기 커팅날부(213)와 상기 탈피용 롤러(111)가 이루는 제1갭(d1)을 변화시키는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커팅날부와 탈피용 롤러가 이루는 제1갭의 변화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이때, 도 7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표피가 탈피된 대상물의 어육의 구성은 제외하고 도시하였다.
먼저,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탈피 커터부(210)는, 커팅날 본체부(211); 상기 커팅날 본체부(211)의 일측 단부에 위치하는 커팅날부(213); 및 상기 커팅날 본체부(211)의 타측 단부에 위치하는 커팅날 타측 단부(212)를 포함하고, 상기 커팅날 본체부(211)는, 제1영역에 위치하는 제1개구홀(215); 및 상기 제1영역과 일정 간격 이격하여 배치되고, 제2영역에 위치하는 제1체결홀(216)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탈피부(200)는, 상기 탈피 커터부(210)의 하단에 위치하고, 일측단부는 상기 하우징(10)의 제1하우징에 고정되며, 타측단부는 상기 하우징(10)의 제2하우징에 고정되는 고정지지부(240)를 포함하며, 또한, 상기 탈피부(200)는, 상기 고정지지부(240)와 일정 간격 이격하여 위치하는 이동지지부(250); 및 상기 고정지지부(240)와 상기 이동지지부(250)의 사이에 배치되는 탄성체부(260)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고정지지부(240)는, 바 형태의 제1몸체부(241); 상기 제1몸체부(241)의 상단부의 제1영역에 위치하는 제2개구홀(243); 상기 제2개구홀(243)과 연속적으로 위치하고, 상기 제1몸체부(241)의 하단부에 위치하는 탄성부재 제1안착홀(242)을 포함하며, 또한, 상기 이동지지부(250)는, 바 형태의 제2몸체부(251); 상기 제2몸체부(251)의 상단부의 제1영역에 위치하는 탄성부재 제2안착홀(252); 상기 탄성부재 제2안착홀(252)과 연속적으로 위치하고, 상기 제2몸체부(251)의 하단부에 위치하는 제3체결홀(253)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3체결홀(253)은, 상기 커팅날 본체부(211)의 상기 제1개구홀(215)과 대응되는 영역에 위치하며, 또한, 상기 제3체결홀(253)은 나사산을 포함하는 구조로, 상기 제1나사부(220)는 상기 제1개구홀(215) 및 상기 제2개구홀(243)에 삽입되어, 상기 제3체결홀(253)에 체결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나사부(220)는 나사산을 포함하지 않는 제1나사부 제1본체(222); 상기 제1나사부 제1본체(222)의 하부에 위치하고, 나사산을 포함하는 제1나사부 제2본체(221); 및 상기 제1나사부 제1본체(222)의 상단에 위치하는 제1나사부 헤드(223)를 포함한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제1나사부(220)의 상기 제1나사부 제1본체(222)는, 상기 제1개구홀(215) 및 상기 제2개구홀(243)에 삽입되어 위치하며, 나사산을 포함하는 상기 제1나사부 제2본체(221)는 상기 제3체결홀(253)에 체결된다.
이러한 상황에서, 상기 제1나사부 제1본체(222)는 나사산을 포함하지 않고, 또한, 상기 제1개구홀(215) 및 상기 제2개구홀(243)도 나사산을 포함하고 있지 않으므로, 상기 제1나사부 제1본체(222)와 상기 제1개구홀(215) 및 상기 제2개구홀(243)는 상호 체결된 상태가 아니며, 따라서, 상기 커팅날 본체부(211)는 상기 제1나사부 제1본체(222) 영역에서 상하로 유동이 가능하게 된다.
결국, 상기 커팅날 본체부(211) 및 상기 커팅날 본체부(211)의 일측 단부에 위치하는 커팅날부(213)는 어느 지점에 고정된 상태가 아닌, 상하로 유동이 가능한 형태에 해당하며, 따라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께가 두꺼운 표피(10)가 상기 커팅날부(213)와 상기 탈피용 롤러(111)가 이루는 갭의 사이로 배출되는 경우, 상기 커팅날부(213)와 상기 탈피용 롤러(111)가 이루는 제1갭(d1)(도 1b 참조)이 제2갭(d2)(도 7 참조)으로 넓어진 상태로 변화하게 된다.
이때, 상술한 바와 같이, 나사산을 포함하는 상기 제1나사부 제2본체(221)는 상기 이동지지부(250)의 상기 제3체결홀(253)에 체결되며, 따라서, 상기 커팅날 본체부(211)가 상기 제1나사부 제1본체(222) 영역에서 상측으로 이동하는 경우, 상기 제1나사부(220)도 이와 함께 상측으로 이동하게 되며, 이때, 상기 제1나사부 제2본체(221)가 상기 이동지지부(250)의 상기 제3체결홀(253)에 체결되어 있으므로, 상기 제1나사부(220)의 상측으로의 이동에 따라, 상기 이동지지부(250)도 상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고정지지부(240)는 하우징에 고정되어 있는 상태이기 때문에, 상기 고정지지부(240)가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이동지지부(250)가 상측으로 이동함에 의하여, 상기 고정지지부(240)와 상기 이동지지부(250)의 사이에 배치되는 탄성체부(260)가 압축이 되게 된다.
즉, 도 2에서와 같이, 고정지지부(240)와 이동지지부(250)가 이루는 간격이 d3의 상태에서, 도 7에서와 같이, 고정지지부(240)와 이동지지부(250)가 이루는 간격이 d4의 상태로 좁혀지게 되며, 상기 고정지지부(240)와 상기 이동지지부(250)가 이루는 간격이 d4의 상태로 좁혀짐에 따라, 상기 탄성체부(260)가 압축이 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탄성체부(260)의 압축을 통해, 상기 도 7에서와 같이, 두께가 두꺼운 표피(10)가 상기 커팅날부(213)와 상기 탈피용 롤러(111)가 이루는 갭의 사이로 배출되는 경우, 제2갭(d2) 만큼 간격이 넓어진 상태가 되었다가, 두께가 두꺼운 표피(10)가 상기 커팅날부(213)와 상기 탈피용 롤러(111)가 이루는 갭을 통해 완전히 배출되는 경우, 상기 커팅날부(213)와 상기 탈피용 롤러(111)가 이루는 갭은, 상기 탄성체부(260)의 탄성 회복을 통해, 다시 최초의 제1갭(d1)으로 원상복구되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상기 커팅날 본체부(211)가 상기 제1나사부 제1본체(222) 영역에서 상하로 유동이 가능하므로, 두께가 두꺼운 표피(10)가 상기 커팅날부(213)와 상기 탈피용 롤러(111)가 이루는 갭의 사이로 배출되는 경우, 상기 커팅날부(213)와 상기 탈피용 롤러(111)가 이루는 제1갭(d1)(도 1b 참조)이 제2갭(d2)(도 7 참조)으로 넓어진 상태로 변화하게 되므로, 다양한 표피의 두께를 갖는 다양한 대상물의 표피의 두께에 따라, 상기 커팅날부(213)와 상기 탈피용 롤러(111)가 이루는 제1갭(d1)이 유동적으로 변화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갭(d1)이 상기 제2갭(d2)으로 변화됨에 있어서, 그 변화되는 크기가 과도해짐을 방지할 필요가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1나사부(220)를 통해, 상기 제1갭(d1)이 상기 제2갭(d2)로 변화됨에 있어서의 상한치를 제어할 수 있다.
즉,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1나사부(220)는, 상기 제1나사부 제1본체(222)의 상단에 위치하는 제1나사부 헤드(223)를 포함하며, 이때, 상기 커팅날 본체부(211)는 상기 제1나사부 제1본체(222) 영역에서 상하로 유동이 가능하다.
이러한 상황에서, 상기 커팅날 본체부(211)의 상면이, 상기 제1나사부 헤드(223)의 하면과 접촉하게 되면, 상기 커팅날 본체부(211)는 더이상 상부 방향으로 유동이 불가하며, 따라서, 상기 커팅날 본체부(211)의 상면이, 상기 제1나사부 헤드(223)의 하면과 접촉하는 상태가, 상기 제1갭(d1)이 상기 제2갭(d2)로 변화됨에 있어서의 상한치로 정의될 수 있다.
즉, 상기 커팅날 본체부(211)의 상면이, 상기 제1나사부 헤드(223)의 하면과 접촉하는 상태까지의 간격으로만, 상기 제1갭(d1)이 상기 제2갭(d2)로 변화될 수 있다.
다음으로, 제2방법에 의해, 상기 커팅날부(213)와 상기 탈피용 롤러(111)가 이루는 제1갭(d1)을 변화시키는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2나사부(230)는 나사산을 포함하는 제2나사부 본체(231)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고정지지부(240)는, 상기 제1몸체부(241)의 상단부의 제2영역에 위치하는 제2체결홀(244); 및 상기 제2체결홀(244)에 체결되는 받침부(245)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2체결홀(244)은, 상기 커팅날 본체부(211)의 상기 제1체결홀(216)과 대응되는 영역에 위치하며, 또한, 상기 제2체결홀(244)은 나사산을 포함하고 있어, 상기 받침부(245)가 상기 제2체결홀(244)에 체결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받침부(245)는 공지된 볼트를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제1체결홀(216)에 체결된 상기 제2나사부(230)가 상기 받침부(245)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상기 제2나사부(230)의 상기 받침부(245)에 의한 지지에 의하여, 상기 커팅날부(213)와 상기 탈피용 롤러(111)가 이루는 제1갭(d1)을 변화시킬 수 있다.
즉, 상기 탈피 커터부(210)의 상기 커팅날 본체부(211)와 상기 고정지지체(240)가 이루는 간격의 변화를 설명하고자 하며, 상기 탈피 커터부(210)의 상기 커팅날 본체부(211)와 상기 고정지지체(240)가 이루는 간격이 변화된다고 함은, 결국, 커팅날부와 탈피용 롤러가 이루는 제1갭의 변화에 해당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고정지지부(240)는, 상기 제1몸체부(241)의 상단부의 제2영역에 위치하는 제2체결홀(244); 및 상기 제2체결홀(244)에 체결되는 받침부(245)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커팅날 본체부(211)는, 제2영역에 위치하는 제1체결홀(216)을 포함하며, 상기 제1체결홀(216)에 나사산을 포함하는 제2나사부 본체(231)가 체결된다.
이러한 상황에서, 상기 제2나사부 본체(231)를, 예를 들어, 시계방향으로 계속 회전시키는 경우, 상기 제2나사부 본체(231)가 상기 제1체결홀(216)과 체결된 상태로, 상기 제1나사부 본체(221)의 저면이 상기 받침부(245)의 상면과 접촉하는 시점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시점에서 상기 탈피 커터부(210)의 상기 커팅날 본체부(211)와 상기 고정지지부(240)가 이루는 A 간격이라고 정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나사부 본체(231)의 저면이 상기 받침부(245)의 상면과 접촉한 상태에서, 예를 들어, 시계방향으로 더욱 회전시키는 경우, 상기 탈피 커터부(210)의 상기 커팅날 본체부(211)와 상기 고정지지부(240)가 이루는 A 간격은 B 간격으로 넓어지게 된다.
결국, 상기 커팅날 본체부(211)와 상기 고정지지부(240)가 이루는 간격이 넓어짐에 의하여, 상기 커팅날 본체부(211)의 일측 단부에 위치하는 커팅날부(213)와 상기 고정지지부(240)가 이루는 간격이 넓어지게 되고, 이는 상기 커팅날부(213)와 상기 탈피용 롤러(111)가 이루는 제1갭도 그만큼 넓어짐을 의미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2나사부 본체(231)의 저면이 상기 받침부(245)의 상면의 상면과 접촉한 상태에서, 예를 들어, 상기 제2나사부(230)를 시계방향 회전시키거나,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킴에 의하여, 상기 탈피 커터부(210)의 상기 커팅날 본체부(211)와 상기 고정지지부(240)이 이루는 간격을 조절함으로써, 다양한 표피의 두께를 갖는 다양한 대상물의 표피의 두께에 따라, 상기 커팅날부(213)와 상기 탈피용 롤러(111)가 이루는 제1갭(d1)이 유동적으로 변화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팅날부(213)와 상기 탈피용 롤러(111)가 이루는 제1갭(d1)은, 상기 제2나사부 본체(231)의 저면이 상기 받침부(245)의 상면의 상면과 접촉한 상태가 최소치가 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2나사부(230)를 통하여, 상기 커팅날부(213)와 상기 탈피용 롤러(111)가 이루는 간격의 하한치를 제어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다량의 생선을 간편하게 포를 뜰 수 있는 탈피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다양한 표피의 두께를 갖는 다양한 대상물의 표피의 두께에 따라, 상기 커팅날부(213)와 상기 탈피용 롤러(111)가 이루는 제1갭(d1)이 유동적으로 변화될 수 있는 탈피기를 제공할 수 있다.
이상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Claims (5)

  1. 대상물이 투입되는 가이드판;
    상기 가이드판과 일정간격 이격하여 배치되는 선반부; 및
    상기 선반부의 일정 영역에 체결되고, 상기 가이드판으로 투입된 대상물의 표피를 제거하기 위한 탈피부를 포함하고,
    상기 탈피부는, 탈피 커터부; 상기 탈피 커터부의 하단에 위치하는 고정지지부; 상기 고정지지부와 일정 간격 이격하여 위치하는 이동지지부; 및 상기 고정지지부와 상기 이동지지부의 사이에 배치되는 탄성체부를 포함하고,
    상기 탈피 커터부는, 커팅날 본체부; 상기 커팅날 본체부의 일측 단부에 위치하는 커팅날부; 및 상기 커팅날 본체부의 타측 단부에 위치하는 커팅날 타측 단부를 포함하며,
    상기 선반부는, 선반부 상면; 및 상기 선반부 상면으로부터 일정 각도로 경사지게 배치되는 선반부 경사면을 포함하고,
    상기 선반부 경사면에는, 상기 탈피 커터부의 상기 커팅날 타측 단부가 접촉하며,
    상기 가이드판으로 투입된 대상물의 표피는 상기 탈피부를 통해 제거되고, 상기 표피가 탈피된 대상물의 어육은, 상기 커팅날 본체부의 상면 및 상기 커팅날 타측 단부의 상면을 따라 이동하여, 상기 선반부의 상기 선반부 상면을 따라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피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탈피부는, 상기 탈피 커터부의 제1영역에 삽입되는 제1나사부; 및 상기 탈피 커터부의 제2영역에 체결되는 제2나사부를 포함하고,
    상기 커팅날 본체부는, 제1영역에 위치하는 제1개구홀; 및 상기 제1영역과 일정 간격 이격하여 배치되고, 제2영역에 위치하는 제1체결홀을 포함하는 탈피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지지부는, 제1몸체부; 상기 제1몸체부의 상단부의 제1영역에 위치하는 제2개구홀; 상기 제2개구홀과 연속적으로 위치하고, 상기 제1몸체부의 하단부에 위치하는 탄성부재 제1안착홀; 상기 제1몸체부의 상단부의 제2영역에 위치하는 제2체결홀; 및 상기 제2체결홀에 체결되는 받침부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지지부는, 제2몸체부; 상기 제2몸체부의 상단부의 제1영역에 위치하는 탄성부재 제2안착홀; 및 상기 탄성부재 제2안착홀과 연속적으로 위치하고, 상기 제2몸체부의 하단부에 위치하는 제3체결홀을 포함하며,
    상기 탄성체부의 일단은 상기 탄성부재 제1안착홀에 안착되고, 상기 탄성체부의 타단은 상기 탄성부재 제2안착홀에 안착되는 탈피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나사부는 나사산을 포함하지 않는 제1나사부 제1본체; 상기 제1나사부 제1본체의 하부에 위치하고, 나사산을 포함하는 제1나사부 제2본체; 및 상기 제1나사부 제1본체의 상단에 위치하는 제1나사부 헤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2개구홀은, 상기 제1개구홀과 대응되는 영역에 위치하고, 상기 제3체결홀은, 상기 커팅날 본체부의 상기 제1개구홀과 대응되는 영역에 위치하며,
    상기 제1나사부 제1본체는, 상기 제1개구홀 및 상기 제2개구홀에 삽입되어 위치하고, 상기 제1나사부 제2본체는 상기 제3체결홀에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피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2나사부는 나사산을 포함하는 제2나사부 본체를 포함하며,
    상기 제2체결홀은, 상기 제1체결홀과 대응되는 영역에 위치하고,
    상기 제1체결홀에 체결된 상기 제2나사부 본체가 상기 받침부에 의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피기.
KR1020180092843A 2018-08-09 2018-08-09 탈피기 KR1021386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2843A KR102138637B1 (ko) 2018-08-09 2018-08-09 탈피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2843A KR102138637B1 (ko) 2018-08-09 2018-08-09 탈피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7671A KR20200017671A (ko) 2020-02-19
KR102138637B1 true KR102138637B1 (ko) 2020-07-28

Family

ID=696701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2843A KR102138637B1 (ko) 2018-08-09 2018-08-09 탈피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38637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86062B1 (ko) 1998-12-26 2001-04-16 정석봉 박피기
KR200235345Y1 (ko) * 1999-03-02 2001-09-13 박종덕 탈피기용 커터의 텐션유지장치
KR200309822Y1 (ko) 2003-01-08 2003-04-11 권영 어류 및 육류 표피제거기
KR100402968B1 (ko) 2001-08-31 2003-10-22 주식회사 청하기계 박피기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15501B1 (ko) 1999-05-06 2002-02-06 박남영 생선회 뜨는 장치
KR20120008985U (ko) * 2011-06-20 2012-12-28 애니텍 주식회사 생선 표피 자동 제거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86062B1 (ko) 1998-12-26 2001-04-16 정석봉 박피기
KR200235345Y1 (ko) * 1999-03-02 2001-09-13 박종덕 탈피기용 커터의 텐션유지장치
KR100402968B1 (ko) 2001-08-31 2003-10-22 주식회사 청하기계 박피기
KR200309822Y1 (ko) 2003-01-08 2003-04-11 권영 어류 및 육류 표피제거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7671A (ko) 2020-0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40018B2 (en) Food-product slicers having cammed slicing-cleaving actions
WO2018224868A1 (de) Verfahren zur steuerung einer strahlschneidvorrichtung mit einem schneidwerkzeug, ein computerimplementiertes verfahren zum automatischen bestimmen und erzeugen von bewegungsbefehlen zum steuern eines schneidwerkzeugs einer strahlschneidvorrichtung, sowie strahlschneidvorrichtung zum ausführen der verfahren
KR102138637B1 (ko) 탈피기
KR102107242B1 (ko) 탈피기
KR102107241B1 (ko) 탈피기
EP3885085A3 (de) Stanzwerkzeug
KR102107243B1 (ko) 탈피기
US5468100A (en) Adjustable gap two-member rotary tool
KR20140124310A (ko) 플래어 제거가 용이하도록 한 병마개
JP6268525B2 (ja) ヤスリ付き鉋
CN105773671B (zh) 一种剃须刀网罩
US10035277B2 (en) Apparatus and system for cutting a pattern in a sheet material
JP2006289552A (ja) 用紙加工器および用紙加工方法
JP2015189112A (ja)
DE10344481A1 (de) Vorrichtung zur Formgebung und/oder zum mechanischen Entfernen von Ablagerungen, insbesondere von Ablagerungen an Schweißelektroden für das Widerstandsschweißen
CN111906184A (zh) 去除披锋的模具
KR20210111518A (ko) 연골 획득 장치
KR200401071Y1 (ko) 가위
US4504003A (en) Apparatus for cutting ceramic tile
CN113194756A (zh) 简化洋葱剥皮的装置
DE202019003557U1 (de) Modul zur Umrüstung von Klappmessern mit Zweihandbedienung zur Einhandbedienung
KR100616110B1 (ko) 유압 공작 기계
US1360797A (en) Cutting implement
US2071931A (en) Banana peeler
KR20170001883U (ko) 의료용 가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