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1071Y1 - 가위 - Google Patents

가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1071Y1
KR200401071Y1 KR20-2005-0025074U KR20050025074U KR200401071Y1 KR 200401071 Y1 KR200401071 Y1 KR 200401071Y1 KR 20050025074 U KR20050025074 U KR 20050025074U KR 200401071 Y1 KR200401071 Y1 KR 20040107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issors
main body
blade
fastening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2507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정수
Original Assignee
조정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정수 filed Critical 조정수
Priority to KR20-2005-002507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107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0107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1071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13/00Hand shears; Scissors
    • B26B13/04Hand shears; Scissors with detachable bla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13/00Hand shears; Scissors
    • B26B13/22Hand shears; Scissors combined with auxiliary implements, e.g. with cigar cutter, with manicure instru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13/00Hand shears; Scissors
    • B26B13/12Hand shears; Sciss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handles
    • B26B13/20Hand shears; Sciss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handles with gripping bows in the handl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cissors And Nipp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가위의 본체와 가윗날을 각각 구비하여 별도의 체결수단에 의해 분리 및 결합이 용이하도록 하여 상기 가윗날이 장기간 사용으로 무뎌질 경우 상기 체결수단을 해체하여 신속하기 가윗날의 교체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기 가윗날의 연마 등으로 인한 시간의 소비를 최소화하여 작업의 효율성을 향상시킴은 물론 상기 가윗날만을 교체하여 본체 및 다른 구성부품의 재사용이 가능하므로 가위 전체를 폐기시키지 않게 되어 자원의 낭비를 최소화 할 수 있도록 한 가위를 제공한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가위의 손잡이에 소정의 자력을 갖는 자석의 같은 극이 서로 마주보도록 각각 매몰시켜 상기 자석의 반발력에 의해 상기 손잡이가 서로 이격되어 사용자의 손에 가해지는 피로를 최소화하여 작업의 효율성 및 사용상의 편리성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신체상 재해를 끼칠 수 있는 요인을 해소시킬 수 있는 가위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가위{Scissors}
본 고안은 힌지를 중심으로 서로 크로스되며 소정의 물건을 절단하는 가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가위를 본체와 가윗날로 각각 구비하여 체결수단에 의해 일체로 고정시켜 사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한편 상기 가윗날이 무뎌졌을 경우 상기 체결수단을 해체하여 가윗날 만을 교체함으로써 가위의 수명을 장기간 연장시킬 수 있으므로 자원의 낭비를 방지할 수 있고, 상기 가위의 손잡이 일측면에 같은 극이 서로 마주보도록 자석을 각각 내향되게 매몰시켜 절단 및 재단작업시 상기 자석의 반발력에 의해 작업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가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위는 그 용도에 따라 다양한 형태 및 기능을 제공하며 사용되고 있는 바, 그 일예로 가정에서 주로 사용되는 통상의 가위는 손잡이와 가윗날이 일체로 형성된 본체를 한쌍으로 구비하여 상기 한쌍의 본체를 서로 크로스되게 겹친상태에서 그 겹쳐진 부분을 회동 가능하게 힌지로 견고하게 고정시켜서 된 것이다.
이러한 가위는 장기간 사용시 상기 본체에 형성된 가윗날이 무뎌져 정교한 재단을 실시할 수 없으며, 심지어 재단되는 대상이 파손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함에 따라 사용자는 별도의 작업을 통해 상기 가윗날을 연마하는 번거로움이 발생하므로 작업의 효율성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또한, 상기 가위의 가윗날을 연마하여 사용하는데 있어서도 기간의 한계가 있어 상기 기간이 경과하면 가위를 폐기시켜야 하므로 그에 따른 처리 비용의 부담 및 자원의 낭비를 초래하였음은 물론 폐기되는 가위를 대체하여 새로운 고가의 가위를 구입해야하는 경제적 부담이 동반되는 등의 많은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었다.
그리고, 이와 같은 가위의 사용은 상기 가위의 손잡이에 사용자의 손가락을 삽입한 다음 상기 손가락을 오므리거나 펴는 일련의 동작들을 반복하여 직물이나 기타 대상물을 절단하게 되는데, 상기한 일련의 동작을 장시간 동안 실시할 경우 사용자의 손에 피로가 누적되어 시간이 경과할 수록 작업의 효율성이 저하됨은 물론 신체상의 재해가 발생할 우려가 항상 내제하고 있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본 고안은 가위의 본체와 가윗날을 각각 구비하여 별도의 체결수단에 의해 분리 및 결합이 용이하도록 하여 상기 가윗날이 장기간 사용으로 무뎌질 경우 상기 체결수단을 해체하여 신속하기 가윗날의 교체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기 가윗날의 연마 등으로 인한 시간의 소비를 최소화하여 작업의 효율성을 향상시킴은 물론 상기 가윗날만을 교체하여 본체 및 다른 구성부품의 재사용이 가능하므로 가위 전체를 폐기시키지 않게 되어 자원의 낭비를 최소화 할 수 있도록 한 가위를 제공하고자 안출된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가위의 손잡이에 소정의 자력을 갖는 자석의 같은 극이 서로 마주보도록 각각 매몰시켜 상기 자석의 반발력에 의해 상기 손잡이가 서로 이격되어 사용자의 손에 가해지는 피로를 최소화하여 작업의 효율성 및 사용상의 편리성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신체상 재해를 끼칠 수 있는 요인을 해소시킬 수 있는 가위를 제공하고자 안출된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힌지에 의해 한쌍의 본체가 회동 가능하게 고정되고, 일단에 형성된 손잡이를 잡고 소정의 물건 등을 절단하는 가위에 있어서, 상기 힌지에 의해 상/하부가 크로스되어 접하는 부분이 회동 가능하게 고정되도록 한쌍으로 구비되며, 일측면이 길이 방향으로 개방된 내부의 타측면에는 결착홈이 형성되고, 상부 중앙에는 소정 길이의 삽입공이 각각 형성되며 그 하부에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는 다수의 체결홈 내주연에는 나사산이 일체로 형성된 단면이 "ㄷ"자 형태의 본체와; 상기 본체에 형성된 결착홈에 각각 삽입.결합될 수 있도록 일측에 결착돌기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걸림턱이 일체로 돌출되어 있으며, 상부 중앙에는 상기 삽입공보다 폭이 좁게 관통공이 형성된 가윗날과; 상기 본체의 상부에 형성된 삽입공 내에 위치되어 상기 가윗날을 압박하여 견고하게 고정시키며, 통공된 중공의 내주연에 나사산이 형성된 사각 형태의 부싱과; 상기 부싱과 결합된 상태로 그 일단이 상기 가윗날의 관통공을 관통하고, 상기 체결홈의 나사산과 체결하여 상기 본체에 가윗날을 견고하게 고정시키는 체결수단인 체결볼트를 포함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힌지에 의해 한쌍의 본체가 회동 가능하게 고정되고, 일단에 형성된 손잡이를 잡고 소정의 물건 등을 절단하는 가위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의 내향된 일측면에 각각 요입홈을 형성시키고, 상기 요입홈에는 소정의 자력을 갖는 자석을 매몰시키되, 상기 자석은 같은 극이 서로 마주보도록 매몰시켜 그 반발력에 의해 절단 및 재단작업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된 도 1은 본 고안의 개략적인 분리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결합 상태를 도시해 보인 평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결합상태를 도시해 보인 확대 단면도, 도 4는 도 2의 A-A선 확대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해 보인 분리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해 보인 분리 사시도 및 도 7은 도 6의 결합 상태를 도시해 보인 확대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가위(1)는 힌지(3)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고정되어 물건 예컨데 직물류 또는 종이류 등을 절단하는 것으로 본체(10)와, 가윗날(20)과, 부싱(30)과, 체결수단인 체결볼트(40)가 한쌍으로 각각 구비되어 상/하 서로 대칭되게 일체로 결합된 것으로 본 고안에서는 대칭된 구성부품을 하나의 명칭과 부호로 기재하였다.
상기 본체(10)는 금속 재질로 사출.성형하거나, 소정 형상의 금속판을 절곡시켜 소정 길이를 갖는 단면이 "ㄷ"자 형태로 구비되는데 그 내부의 공간 일측면은 길이방향으로 개방된 상태가 되고, 내부의 공간 타측면에는 결착홈(12)을 길이방향으로 형성시키며 상부 중앙에는 소정 길이의 삽입공(14)을 통공시키고, 상기 삽입공(14)이 형성된 본체(10)의 하부 중앙에는 내주연에 나사산(N)이 일체로 된 다수의 체결홈(16)을 소정 깊이로 형성시키면 되는 것이다.
상기 가윗날(20)은 강도가 우수한 금속 재질로 성형되어 상기 본체(10)의 내부에 소정 길이의 일부분이 삽입되는 것으로 성형시 일측단은 목적하는 대상이 용이하게 절단될 수 있도록 날카롭게 형성하고, 타측단은 상기 본체(10) 내부의 타측면에 형성된 결착홈(12)과 긴밀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결착돌기(22)가 일체로 형성되며 일측의 하부 또는 상부는 단차지게 걸림턱(24)을 형성하여 결합시 상기 본체(10)의 하부면 또는 상부면과 평탄성이 유지될 수 있도록 하면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가윗날(20)의 상부에는 하나의 관통공(26)을 통공시키되, 그 폭은 상기 본체(10)에 형성된 삽입공(14)보다 작게 형성함이 바람직하며, 상기 가윗날(20)의 일측 상부에는 일정 간격으로 다수의 절취홈(28)을 형성하여 가윗날(20)의 선단부가 무뎌졌을 경우 상기 절취홈(28)에 의해 쉽게 그 선단부를 순차적으로 절단할 수 있도록 하여 절단작업이 더욱 편리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하면 되는 것이다.
상기 부싱(30)은 금속 재질의 소정 두께를 갖는 사각형으로 형성되어 구비되는 것으로 상부 중앙에는 내주연에 나사산(N)이 일체로 형성된 중공(32)이 통공되게 된다.
상기 체결볼트(40)는 소정 길이를 갖는 공지의 볼트 상단에 캡을 일체로 형성하여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캡의 외주연을 태핑처리하여 마찰력을 증가시켜 상기 체결볼트(40)를 손으로 용이하게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가위(1)는 상기 본체(10)의 단부에 일체로 형성된 손잡이(5)의 마주보는 일측면에 각각 소정의 직경을 갖는 요입홈(5')을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시켜 구비한 다음 상기 요입홈(5')과 동일한 직경 및 수의 자석(50)을 요입홈(5')에 긴밀하게 삽입시키되, 상기 자석(50)은 서로 마주보는 일측이 같은 극이 되도록 삽입.고정시키거나 접착제를 도포하여 상기 요입홈(5')에 견고하게 부착시키면 되는 것으로 미설명 부호 60은 가위를 보관할 경우 본체가 자석에 의해 펼쳐지지 않도록 하는 고정고리를 도시해 보인 것이다.
이와 같이 다수의 구성 부품으로 이루어지는 본 고안인 가위(1)의 체결구조는 먼저, 손잡이(5)가 단부에 일체로 형성된 본체(10)의 개방된 일측면이 서로 마주보도록 크로스시켜 그 중첩된 부분을 힌지(3)로 회동 가능하게 고정시킨 다음 상기 본체(10)의 내부 공간에 가윗날(20)의 단부를 삽입시키면, 상기 본체(10)의 내부 타측면에 형성된 결착홈(12)과 상기 가윗날(20)의 타측단에 형성된 결착돌기(22)가 결합됨과 동시에 상기 본체(10)의 일측면 하부와 상기 가윗날(20)의 하부 또는 상부에 단차지게 형성된 걸림턱(24)이 밀착되어 상기 가윗날(20)과 본체(10)가 좌/우 유동됨이 없이 긴밀한 결합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이어서, 상기 본체(10)와 가윗날(20)을 결합시키면 상기 본체(10)의 상/하부에 각각 통공된 삽입공(14)과 다수의 체결홈(16) 사이에 상기 가윗날(20)에 통공된 관통공(26)이 일치되는데 이때, 상기 삽입공(14)에 부싱(30)을 삽입하여 상기 부싱(30)의 중공(32)을 체결홈(16)과 일치시킨 다음 별도로 구비되는 체결볼트(40)를 회전시켜 상기 부싱(30)을 결합하고, 계속해서 회전시켜 체결볼트(40)의 일단이 상기 관통공(26)을 관통하여 어느 하나의 체결홈(16)에 형성된 나사산(N)과 체결시키면 상기 부싱(30)의 저면이 가윗날(20)의 상부를 압박하여 상기 본체(10)와의 결합이 더욱 견고하게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한편, 도 5에서와 같이 상기 본체(10)의 상부 임의의 위치에 사각 형태로 통공된 삽입공(14')과 상기 삽입공(14')이 형성된 본체(10)의 하부에 체결홈(16)을 형성하여 구비하고, 상기 가윗날(20)의 상부에는 소정 길이와 폭으로 통공된 관통공(26')을 형성하여 각각 구비하면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비된 상기 본체(10)의 결착홈(12)과 가윗날의 결착돌기(22)를 결합시켜 상기 삽입공(14')과 관통공(26') 및 체결홈(16)을 일치시키되, 상기 가윗날(20)의 삽입 정도에 따라 그 길이를 조절한 다음 상기 부싱(30)을 삽입공(14')에 삽입하여 그 중공(32)에 형성된 나사산(N)과 상기 체결홈(16)에 형성된 나사산(N)에 상기 체결볼트(40)를 회전시켜 견고하게 체결하면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다수의 구성 부품이 견고하게 체결되어 형성된 가위(1)의 장기간 사용으로 인해 상기 가윗날(20)이 마모 또는 무뎌져 절단작업이 곤란할 경우에는 상기 체결볼트(40)를 역으로 회전.해체시켜 상기 가윗날(20)을 견고하게 압박하고 있던 부싱(30)을 분리시키고, 상기 본체(10)의 결착홈(12)에 긴밀하게 삽입되어 있는 결착돌기(22)가 형성된 가윗날(20)을 본체(10)로부터 빼내어 분리시킨 다음 새로운 가윗날(20)을 상술한 바와 같이 각각 결합시키면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가윗날(20)의 길이는 상기 삽입공(14)과 체결홈(16) 사이에 위치되는 관통공(26)의 위치에 따라 그 조절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며, 상기 관통공(26)이 적정하게 위치되면 상기 삽입공(14)에 부싱(30)을 삽입한 후 일치된 상기 부싱(30)의 중공(32)과 관통공(26) 및 체결홈(16)을 상기 체결볼트(40)에 의해 일체로 체결하면 되는 것이다.
한편, 본 고안의 가위(1)는 상기 본체(10)와 연결된 손잡이(5)의 일측면에 서로 대응되게 형성된 요입홈(5')에 각각 긴밀하게 매몰되는 자석(50)에 의해 그 절단 작업이 원활하게 되는데, 이는 상기 가위(1)의 손잡이(5)에 삽입된 사용자의 손가락을 오므리면 동시에 상기 대칭되는 손잡이(5)의 간격이 가까워지게 되며 서로 같은 극으로 매몰된 자석(50)의 반발력에 의해 상기 손잡이(5)를 서로 밀고 있는 상태가 되어 사용자가 손가락에 힘을 주지않고 자연스럽게 펴면 상기 자석(50)의 반발력이 작용하던 손잡이(5)가 힌지(3)를 중심으로 원활하게 펼쳐져 손가락을 오므리는 다음 동작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어 생산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술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가위를 제공함으로써, 가위의 가윗날이 무뎌지게 되면 체결볼트를 해체하여 간편하게 가윗날만을 교체할 수 있어 종래의 가위 전체가 폐기되는 문제점을 해소하여 자원의 낭비를 최소화함은 물론 가윗날을 연마해야하는 번거로움이 없도록 하여 작업의 효율성 및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가위의 손잡이에 매몰된 자석의 반발력에 의해 가위를 펼치는데 큰 힘이 필요치 않게되어 장시간 반복되는 절단 작업으로 인해 신체 특정부위의 재해발생 요인을 억제할 수 있으므로 제품에 대한 신뢰성 및 경쟁력을 아울러 향상시킬 수 있는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개략적인 분리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결합 상태를 도시해 보인 평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결합상태를 도시해 보인 확대 단면도.
도 4는 도 2의 A-A선 확대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해 보인 분리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해 보인 분리 사시도.
도 7은 도 6의 결합 상태를 도시해 보인 확대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 : 손잡이 5' : 요입홈
10 : 본체 12 : 결착홈
14, 14' : 삽입공 16 : 체결홈
20 : 가윗날 22 : 결착돌기
24 : 걸림턱 26, 26' : 관통공
28 : 절취홈 30 : 부싱
32 : 중공 40 : 체결볼트
50 : 자석

Claims (4)

  1. 힌지에 의해 한쌍의 본체가 회동 가능하게 고정되고, 일단에 형성된 손잡이를 잡고 소정의 물건 등을 절단하는 가위에 있어서,
    상기 힌지(3)에 의해 상/하부가 크로스되어 접하는 부분이 회동 가능하게 고정되도록 한쌍으로 구비되며, 일측면이 길이 방향으로 개방된 내부의 타측면에는 결착홈(12)이 형성되고, 상부 중앙에는 소정 길이의 삽입공(14)이 각각 형성되며 그 하부에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는 다수의 체결홈(16) 내주연에는 나사산(N)이 일체로 형성된 단면이 "ㄷ"자 형태의 본체(10)와;
    상기 본체(10)에 형성된 결착홈(12)에 각각 삽입.결합될 수 있도록 일측에 결착돌기(22)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걸림턱(24)이 일체로 돌출되어 있으며, 상부 중앙에는 상기 삽입공(14)보다 폭이 좁게 관통공(26)이 형성된 소정 길이의 가윗날(20)과;
    상기 본체(10)의 상부에 형성된 삽입공(14) 내에 위치되어 상기 가윗날(20)을 압박하여 고정시키며, 통공된 중공(32)의 내주연에 나사산(N)이 형성된 사각 형태의 부싱(30)과;
    상기 부싱(30)과 결합된 상태로 그 일단이 상기 가윗날(20)의 관통공(26)을 관통하고, 상기 체결홈(16)의 나사산(N)과 체결하여 상기 본체(10)에 가윗날(20)을 견고하게 고정시키는 체결수단인 체결볼트(40)를 포함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위.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0)의 상부 임의의 위치에 사각 형태로 통공된 삽입공(14')과 상기 삽입공(14')이 형성된 본체(10)의 하부에 체결홈(16)을 형성하여 구비하고, 상기 가윗날(20)의 상부에는 소정 길이와 폭으로 통공된 관통공(26')을 형성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위.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윗날(20)의 상부에는 다수의 절취홈(28)을 일정 간격으로 형성하여 가윗날(20)의 선단부가 무뎌질 경우 순차적으로 절단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위.
  4. 힌지에 의해 한쌍의 본체가 회동 가능하게 고정되고, 일단에 형성된 손잡이를 잡고 소정의 물건 등을 절단하는 가위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5)의 내향된 일측면에 각각 요입홈(5')을 형성시키고, 상기 요입홈(5')에는 소정의 자력을 갖는 자석(50)을 매몰시키되, 상기 자석(50)은 같은 극이 서로 마주보도록 매몰시켜 그 반발력에 의해 절단 및 재단작업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위.
KR20-2005-0025074U 2005-08-31 2005-08-31 가위 KR20040107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5074U KR200401071Y1 (ko) 2005-08-31 2005-08-31 가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5074U KR200401071Y1 (ko) 2005-08-31 2005-08-31 가위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80506 Division 2005-08-3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1071Y1 true KR200401071Y1 (ko) 2005-11-25

Family

ID=437020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25074U KR200401071Y1 (ko) 2005-08-31 2005-08-31 가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1071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678655A (zh) * 2015-03-19 2015-06-03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取样剪刀
CN108436983A (zh) * 2018-04-23 2018-08-24 佛山市高明区高级技工学校 一种伸缩剪刀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678655A (zh) * 2015-03-19 2015-06-03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取样剪刀
US10245738B2 (en) 2015-03-19 2019-04-02 Boe Technology Group Co., Ltd. Sampling scissors and method for using the same
CN108436983A (zh) * 2018-04-23 2018-08-24 佛山市高明区高级技工学校 一种伸缩剪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37583B1 (en) Razor device and method of using same
US20150128427A1 (en) Scissors with replacement blades and ball bearings
US9333570B2 (en) Reversible bolt-on piercing tip
EP2103386B1 (en) Two step abrasive sharpener
US8806758B2 (en) Straight edge razor with alternate blade positions
US9039494B1 (en) Hand-held sharpener with multiple abrasive rods to sharpen a cutting edge of a tool
CN105473263B (zh) 带有弹性夹紧的可拆卸切削刀具段及用于其的切削刀具
KR101974444B1 (ko) 보어 가장자리 디버링용 디버링 공구
KR200401071Y1 (ko) 가위
US5501016A (en) Scissors
EP3486011A1 (en) Hole saw and component thereof
US9821449B2 (en) File handle
US20030047043A1 (en) Rotary torsion cutting apparatus
KR101265242B1 (ko) 칼날절단장치가 일체화된 커터칼
CN205702700U (zh) 夹式锉刀手柄
CN204818223U (zh) 铝用开粗铣刀
US20150343542A1 (en) Device and method for sharpening dulled saw blades
US1924015A (en) Compound tool
KR20100133299A (ko) 고강도 연마용 휠
JP4436385B2 (ja) 刃物研磨用ホルダ
KR200485340Y1 (ko) 의료용 가위
CN105903860B (zh) 易铰铰钳刃片组件
JP2009172739A (ja) 研磨具およびそれを用いた研磨ホイール
CN103111989B (zh) 一种多功能手持动力工具
KR200308671Y1 (ko) 숫돌 받침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