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01883U - 의료용 가위 - Google Patents

의료용 가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01883U
KR20170001883U KR2020150007571U KR20150007571U KR20170001883U KR 20170001883 U KR20170001883 U KR 20170001883U KR 2020150007571 U KR2020150007571 U KR 2020150007571U KR 20150007571 U KR20150007571 U KR 20150007571U KR 20170001883 U KR20170001883 U KR 20170001883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issors
guide groove
medical
protrusion
bodi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5000757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85340Y1 (ko
Inventor
유지웅
Original Assignee
유지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지웅 filed Critical 유지웅
Priority to KR202015000757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5340Y1/ko
Publication of KR2017000188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188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534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534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13/00Hand shears; Sciss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2Surgical cutting instruments
    • A61B17/3201Sciss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13/00Hand shears; Scissors
    • B26B13/12Hand shears; Sciss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hand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29/00Guards or sheaths or guides for hand cutting tools; Arrangements for guiding hand cutting tools
    • B26B29/06Arrangements for guiding hand cutting tool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Pathology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 Scissors And Nippers (AREA)

Abstract

하부에 절단부가 형성되고, 상부에 손잡이부가 각각 형성되는 한 쌍의 가위몸체가 힌지부에 의해 회전하면서 물체를 절단하는 가위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는, 힌지부에서 연장되는 것으로서 절단작용시 각 가위몸체의 내면이 서로 접하는 회전접면과; 상기 회전접면에 연장되는 것으로서 지랫대의 기능을 하는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의 단부에 형성되는 손가락 삽입링 및; 회전접면 또는 지지대에 설치되는 절단부 조임수단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절단부 조임수단은, 일측 가위몸체 내면에 돌출 형성되는 돌기부와; 타측 가위몸체의 내면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각 가위몸체의 회전시 상기 돌기부를 안내하는 가이드홈;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의료용 가위{Medical scissors}
본 고안은 물체를 절단하는 가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수술시 봉합사 등의 질긴 물체를 절단하기 위한 의료용 가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위란, 옷감이나 종이 및, 머리털 등을 절단하는 도구를 말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가위는 힌지 또는 나사를 중심으로 상부에는 손잡이부가 형성되고, 하부에는 절단부가 형성되어, 지랫대의 원리를 이용해 손잡이부를 벌렸다 오므렸다 하여 물체를 절단하는 도구이다.
상기 가위는 일상생활에서 물체를 자르거나, 미용실 또는 나무나 꽃 등을 가꾸는 곳에서 많이 사용한다. 또한 의료기기로서 수술시 봉합사 등 불필요한 물체나 부위를 절단하는데 사용하는데, 특히 수술시 사용하는 가위는 정확하고 반듯하게 절단할 수 있는 절단력이 있어야 한다.
그러나 상기 가위는 장시간 사용함에 따라 힌지 또는 사나가 느슨해지면서 밀착되어 있는 절단부와 절단부 사이에 틈이 생기는 문제가 발생되고, 때문에 상기 가위의 절단력은 현저히 떨어진다. 절단력이 떨어진 가위를 사용하게 되면 물체를 절단할 때 정확하고 반듯하게 절단할 수 없을뿐만 아니라, 물체를 절단하는데 상당한 시간과 힘이 소비된다.
따라서 절단력을 향상시키고 장시간 사용으로 인하여 절단부와 절단부 사이에 틈이 생기는 경우에도 절단력을 유지하기 위해, 상기 가위에 관한 연구가 다양하게 지속되고 있으며, 그 예로 등록실용신안 등록번호 20-025679의 '의료용 가위'가 제안된 바 있다.
상기의 의료용 가위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날 부분이 서로 엇갈리게 배치된 상부체(52)와 하부체(51) 및 둘 사이에서 받침점을 형성하고 상기 하부체(51)에 나사결합 되어 상기 상부체(52)와 하부체(51)를 결합시키는 나사(53)와, 상기 나사(53)의 머리 부분과 상기 상부체(52)의 돌출부(52`)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상부체(52)와 하부체(51)를 밀착시키는 탄성수단으로 구성되고, 상기 탄성수단은 상기 상부체(52)의 돌출부(52`)에 의해 일단이 지지되고 타단은 상기 나사(53)의 머리 부분 하측에 위치되어 상기 상부체(52)를 하부체(51)측으로 밀어주는 스프링(54)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의료용 가위는 스프링(54)으로 인하여 상부체(52)와 하부체(51)를 밀착고정시킬 수 있으나,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첫째, 종래의 의료용 가위는, 의료기기로서 언제나 무균상태를 유지해야하므로, 꼼꼼한 세척과 주기적인 관리가 필요하다. 상기 종래의 의료용 가위는, 스프링(54) 사이에 침투한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매번 분해해야 하는 단점이 있다.
둘째, 의료용 가위는 높은 절단력을 유지해야 한다. 종래의 의료용 가위는, 장시간 사용함에 따라 스프링(54)에는 피로가 누적되면서 탄성력이 점차 떨어진다. 상기 탄성력이 떨어진 스르링(54)는, 상부체(52)의 돌출부에 의해 타단이 지지되고, 타단은 상기 나사(53)의 머리부분 하측에 위치되어 상기 상부체(52)를 하부체(51)측으로 밀어주어야 하지만, 피로가 누적된 스프링(54)으로는 탄성력이 떨어져 상기 상부체(52)를 하부체(51)측으로 밀어주는 것이 어려워, 상기 스프링(54)을 주기적으로 교체를 해야하는 단점이 있다.
KR 20-0256579 Y1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의료용 가위를 이용해 물체를 자를 때 절단력을 향상시키고 유지하면서, 세척이나 유지관리가 용이한 의료용 가위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하부에 절단부가 형성되고, 상부에 손잡이부가 각각 형성되는 한 쌍의 가위몸체가 힌지부에 의해 회전하면서 물체를 절단하는 가위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는, 힌지부에서 연장되는 것으로서 절단작용시 각 가위몸체의 내면이 서로 접하는 회전접면과; 상기 회전접면에 연장되는 것으로서 지랫대의 기능을 하는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의 단부에 형성되는 손가락 삽입링 및; 회전접면 또는 지지대에 설치되는 절단부 조임수단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절단부 조임수단은, 일측 가위몸체 내면에 돌출 형성되는 돌기부와; 타측 가위몸체의 내면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각 가위몸체의 회전시 상기 돌기부를 안내하는 가이드홈;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가위가 제공된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한 쌍의 가위몸체의 각 지지대에는 손잡이의 가압방향으로 돌출대가 더 구비되고, 상기 돌기부 및, 가이드홈은 상기 돌출대에 각각 설치되고, 상기 돌기부는 회전접면의 폭방향 내측 단부에 위치하며, 상기 가이드홈은 돌기부가 진입하는 방향으로 점차 깊이가 감소하고, 상기 가이드홈의 최대깊이는 돌기부의 돌출높이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가위가 제공된다.
본 고안의 의료용 가위는 돌기부와 가이드홈으로 인하여 물체를 절단할 때, 수직으로 움직이는 힘의 일부를 수평으로 움직이는 힘으로 바꾸어, 상기 의료용 가위의 절단부를 서로 엇갈리게 교차시켜 더욱 강화된 절단력을 갖고, 유지하도록 한다.
도 1은 종래기술의 의료용 가위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의료용 가위의 1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상기 의료용 가위의 2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돌기부와 가이드홈을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상기 의료용 가위의 작용효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상기 의료용 가위의 나사체결을 나타낸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고안의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설명함으로 인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흐리게 하거나 불명료하게 하는 경우에는 위 공지의 구성에 관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본 고안의 의료용 가위(10)는 봉합사 등과 같은 질긴 물체를 정확하고 반듯하게 절단하기 위해 절단력을 높이고 유지하는 것으로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에 절단부(130, 230)가 형성되고, 상부에 손잡이부(110, 210)가 각각 형성되는 한 쌍의 가위몸체(100, 200)가 힌지부(120)에 의해 서로 엇갈린 상태에서 결합되어 이루어진다.
도 2의 (a)는 본 고안의 의료용 가위(10)의 1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의 (b)는 상기 의료용 가위(10)를 분해한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의 (a)는 또 다른 실시예인 의료용 가위(10)의 2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의 (b)는 2실시예의 의료용 가위(10)를 분해한 분해 사시도이다.
상기 가위몸체(100, 200)의 손잡이부(110, 210)는 도 2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힌지부(120)에서 연장되는 것으로서, 절단작용시 한 쌍의 가위몸체(100, 200)가 면접하여 회전하는 회전접면(111, 211)과, 상기 회전접면(111, 211)에 연장되는 것으로서 지랫대의 기능을 하는 지지대(112, 212)와, 상기 지지대(112, 212)의 단부에 형성되어 손가락을 끼워 넣는 손가락 삽입링(113, 213) 및, 지지대(112, 212)에 설치되는 절단부 조임수단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절단부 조임수단은, 한 쌍의 가위몸체(100, 200)의 각 지지대(112, 212)에는 손잡이 가압방향으로 돌출대(116, 216)가 구비되는데, 상기 손잡이 가압방향은 본 고안의 의료용 가위(10)를 오므릴 때 진행되는 방향을 말한다.
상기 돌출대(116, 216)에는 돌기부(114)와 가이드홈(215)이 서로 대응되도록 형성된다. 도 4의 (a)와,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기부(114)는 일측 가위몸체(100)의 돌출대(116)에 형성되고, 가이드홈(215)은 본 고안의 의료용 가위(10)를 완전히 오므렸을 때, 일측 가위몸체(100)의 돌기부(114)가 타측 가위몸체(200)의 돌출대(216)에 접하는 지점에서부터, 상기 의료용 가위(10)를 벌렸을 때, 돌기부(114)가 회전하는 경로와 동일한 경로에 형성된다.
또한 상기 본 고안의 의료용 가위(10)의 돌기부(114)와 가이드홈(215)은 회전접면(111, 211)의 폭방향 내측 단부에 형성될 수 있다.
도 3의 (a)와 같이, 2실시예의 의료용 가위(10)는, 힌지부(120)에서 연장되는 것으로서, 절단작용시 한 쌍의 가위몸체(100, 200)가 면접하여 회전하는 회전접면(111, 211)과, 상기 회전접면(111, 211)에 연장되는 것으로서 지랫대의 기능을 하는 지지대(112, 212)와, 상기 지지대(112, 212)의 단부에 형성되어 손가락을 끼워 넣는 손가락 삽입링(113, 213) 및, 지지대(112, 212)에 설치되는 절단부 조임수단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절단부 조임수단은, 일측 가위몸체(100)의 내면에 형성되는 돌기부(114)와, 타측 가위몸체(200)의 내면에 상기 돌기부(114)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가이드홈(215)으로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 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돌기부(114)는 일측 가위몸체(100)의 회전접면(111) 폭방향으로, 상기 의료용 가위(10)를 오므릴 때 한 쌍의 가위몸체(100, 200)에 형성된 회전접면(111, 211)이 만나는 내측 단부에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홈(215)은 타측 가위몸체(200)의 회전접면(211) 폭방향으로 위치한다. 상기 2실시예의 의료용 가위(10)를 완전히 오므렸을 때 일측 가위몸체(100)의 돌기부(114)가 타측 가위몸체(200)의 회전접면(211)에 접하는 지점부터, 상기 의료용 가위(10)를 벌렸을 때 상기 돌기부(114)가 회전하는 경로와 동일한 경로에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홈(215)은 돌기부(114)가 진입하는 방향으로 점차 깊이가 감소하는 경사면(215a)이 구비된다. 도 4의 (a)는 1실시예의 가이드홈(215)의 사시도 및, 단면도이고, 도 4의 (b)는 상기 1실시예의 돌기부(114)의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본 고안의 의료용 가위(10)를 오므릴 때, 돌기부(114)가 회전하면서 진행하는 방향을 따라 타측 가이드홈(215)의 경사면(215a)과 접하고, 상기 타측 가이드홈(215)의 경사면(215a)은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돌기부(114)가 회전하는 경로를 따라 내측으로 상향하는 경사면(215a)이 구비된다. 상기 돌기부(114)와 경사면(215a)은 하는 절단력을 강화시키 위한 구성으로서, 뒤에서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가이드홈(215)의 최대 깊이(ℓ1)는 돌기부(114)의 돌출높이(ℓ2) 이상으로 구성된다. 상기 가이드홈(215)은, 일측 가위몸체(100)의 돌기부(114)가 회전하면서 상기 가이드홈(215)에 진입할 때, 타측 가위몸체(200)의 돌출대(216) 측면에 걸리지 않고, 원활하게 회전하면서 가이드홈(215)에 진입하는데 용이하다.
본 고안의 의료용 가위(10)는 힌지부(120)를 기준으로 하여 한 쌍의 가위몸체(100, 200)가 엇갈리게 형성되어 밀착고정된 상태에서 물체를 절단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의료용 가위(10)는 각 손가락 삽입링(113, 213)에 손가락을 끼워 넣고, 손가락을 벌렸다 오므렸다를 반복해 수직으로 움직이는 힘을 이용하여 각 절단부(130, 230)가 교차하는 지점에 물체를 넣고 절단한다. 이때, 돌기부(114)와 가이드홈(215)을 이용하여 수직으로 움직이는 힘의 일부를 수평으로 움직이는 힘으로 전환하여, 상기 의료용 가위(10)의 절단력을 강화시킨다.
도 5의 (a)는 본 의료용 가위(10)의 작동관계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의 (b)는 상기 의료용 가위(10)의 작용효과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의료용 가위(10)는 한 쌍의 가위몸체(100, 200)에 구비된 손잡이부(110, 210)를 이용해 오므리면, 일측 가위몸체(100)의 돌출대(116)에 구비된 돌기부(114)는 힌지부(120)를 기준으로 회전하면서 타측 가위몸체(200)의 돌출대(216)에 구비된 가이드홈(215)의 경사면(215a)과 접하게 된다. 상기 경사면(215a)과 접한 돌기부(114)는 가이드홈(215)을 따라 회전하고,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힌지부(120)를 기준으로 하여 각 손잡이부(110, 210)는 서로 엇갈리게 되고, 상기 힌지부(120)를 기준으로 하여 한 쌍의 가위몸체(100, 200)의 절단부(130, 230)는 상기 손잡이부(110, 210)와 반대로 엇갈려 교차하게 된다. 서로 엇갈려 교차된 절단부(130, 230)는 절단력이 강화되는 효과가 있으며, 상기 강화된 절단력은 힌지부(120)가 완전히 풀리지 않는 한 유지하게 된다.
본 고안의 의료용 가위(10)의 힌지부(120)는 탈착이 가능한 나사체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6은 상기 의료용 가위(10)의 나사체결을 위한 조립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힌지부(120)는 한 쌍의 가위몸체(100, 200)에 관통공(121, 221)이 구비되고, 상기 한 쌍의 관통공(121, 221)을 힌지로 체결하여 이루어진다. 그러나 나사체결은 일측 가위몸체(100)의 관통공(121) 일면에 형성되는 걸림턱(122)과, 타측 가위몸체(200)의 관통공(221)에 형성되는 암나사부(222)와, 일측 가위몸체(100)의 관통공(121)을 통화하여 타측 가위몸체(200)의 암나사부(222)와 체결되는 나사(140)로 이루어진다.
상기 나사체결은 오랫동안 사용함에 따라 느슨해지는 나사(140)를 주기적으로 조여 보다 유지관리가 용이하고, 힌지와 같이 고정체결되는 부품을 교체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경제성을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의료용 가위(10)는 종래기술의 의료용 가위와 달리, 구성이 단순하여 세척시 분해해야 하는 불편함이 없다.
이상에서 본 고안은 구체적인 실시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상기 실시예는 본 고안을 이해하기 쉽도록 하기 위한 예시에 불과한 것이므로,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이를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을 것임은 자명한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 예들은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 ; 의료용 가위 100, 200 ; 가위몸체
110, 210 ; 손자이부 111, 211 ; 회전접면
112, 212 ; 지지대 113, 213 ; 손가락 삽입링
114 ; 돌기부 215 ; 가이드홈
215a ; 경사면 116, 216 ; 돌출대
120 ; 힌지부 130, 230 ; 절단부
140 ; 나사

Claims (5)

  1. 하부에 절단부(130, 230)가 형성되고, 상부에 손잡이부(110, 210)가 각각 형성되는 한 쌍의 가위몸체(100, 200)가 힌지부(120)에 의해 회전하면서 물체를 절단하는 가위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110, 210)는, 힌지부(120)에서 연장되는 것으로서 절단작용시 각 가위몸체(100, 200)의 내면이 서로 접하는 회전접면(111, 211)과; 상기 회전접면(111, 211)에서 연장되는 것으로서 지랫대의 기능을 하는 지지대(112, 212)와; 상기 지지대(112, 212)의 단부에 형성되는 손가락 삽입링(113, 213) 및; 회전접면(111, 211) 또는 지지대에(122, 212) 설치되는 절단부 조임수단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절단부 조임수단은, 일측 가위몸체(100) 내면에 돌출 형성되는 돌기부(114)와; 타측 가위몸체(200)의 내면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각 가위몸체(100, 200)의 회전시 상기 돌기부(114)를 안내하는 가이드홈(215);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가위.
  2. 제 1항에 있어서, 한 쌍의 가위몸체(100, 200)의 각 지지대(112, 212)에는 손잡이 삽입링(113, 213)의 가압방향으로 돌출대(116, 216)가 더 구비되고, 상기 돌기부(114) 및, 가이드홈(215)은 상기 돌출대(116, 216)에 서로 대응되도록 각각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가위.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114)는 회전접면(111)의 폭방향 내측 단부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가위.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홈(215)은 돌기부(114)가 진입하는 방향으로 점차 깊이가 감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가위.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홈(215)의 최대깊이(ℓ1)는 돌기부(114)의 돌출높(ℓ2)이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가위.
KR2020150007571U 2015-11-20 2015-11-20 의료용 가위 KR20048534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7571U KR200485340Y1 (ko) 2015-11-20 2015-11-20 의료용 가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7571U KR200485340Y1 (ko) 2015-11-20 2015-11-20 의료용 가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1883U true KR20170001883U (ko) 2017-05-30
KR200485340Y1 KR200485340Y1 (ko) 2017-12-26

Family

ID=590218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50007571U KR200485340Y1 (ko) 2015-11-20 2015-11-20 의료용 가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5340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8674B1 (ko) * 2018-12-17 2019-05-15 의료법인 명지의료재단 다기능 수술용 다이섹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6579Y1 (ko) 2001-08-24 2001-12-24 에이원메디칼(주) 의료용 가위
KR200344635Y1 (ko) * 2003-12-12 2004-03-16 김세웅 수동 절단기
CN2614866Y (zh) * 2003-04-09 2004-05-12 李敬文 剪刀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6579Y1 (ko) 2001-08-24 2001-12-24 에이원메디칼(주) 의료용 가위
CN2614866Y (zh) * 2003-04-09 2004-05-12 李敬文 剪刀
KR200344635Y1 (ko) * 2003-12-12 2004-03-16 김세웅 수동 절단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5340Y1 (ko) 2017-1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735122B2 (en) Device for chopping garlic
KR100358661B1 (ko) 홀더블레이드와이를구비하는절삭공구조립체
JP2016182341A (ja) ヘアトリマーのブレードセット
DE4317530A1 (de) Haarschneidegerät
CN107536634B (zh) 在耦接区域中具有点接触部的外科器械
RU2015144407A (ru) Складной ручной инструмент
KR200485340Y1 (ko) 의료용 가위
KR20160004238U (ko) 큐티클 니퍼
KR200479746Y1 (ko) 봉합사의 돌기형성용 커팅기구 및 커팅기구
DE202005015883U1 (de) Haarschneidemaschine
RU2250161C2 (ru) Кухонное приспособление для нарезания продуктов (варианты)
KR200401071Y1 (ko) 가위
CN109965955B (zh) 带切削刃的老茧去除器
JP5276495B2 (ja) バリカンの櫛アタッチメント
KR200405022Y1 (ko) 푸드쵸퍼 조립구조
CN110315574A (zh) 切割器
CN210304658U (zh) 一种刮刀
KR200276592Y1 (ko) 원형 와이어 절단용 가위
KR102253232B1 (ko) 손발톱 큐티클 제거용 가위
KR200445368Y1 (ko) 다중날 미용가위
KR200246897Y1 (ko) 전선 피박기
RU2307023C1 (ru) Прореживающие ножницы с одним зазубренным лезвием
CN220699678U (zh) 一种带限位结构的剃须刀
RU2040380C1 (ru) Нож
KR100914668B1 (ko) 날 교환 기능을 가지는 가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