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9746Y1 - 봉합사의 돌기형성용 커팅기구 및 커팅기구 - Google Patents

봉합사의 돌기형성용 커팅기구 및 커팅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9746Y1
KR200479746Y1 KR2020110006700U KR20110006700U KR200479746Y1 KR 200479746 Y1 KR200479746 Y1 KR 200479746Y1 KR 2020110006700 U KR2020110006700 U KR 2020110006700U KR 20110006700 U KR20110006700 U KR 20110006700U KR 200479746 Y1 KR200479746 Y1 KR 20047974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tting
support member
suture
cutting support
sl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0670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00748U (ko
Inventor
양현진
이희영
Original Assignee
양현진
이희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현진, 이희영 filed Critical 양현진
Priority to KR202011000670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9746Y1/ko
Publication of KR2013000074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074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974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974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JFINISHING OR DRESSING OF FILAMENTS, YARNS, THREADS, CORDS, ROPES OR THE LIKE
    • D02J3/00Modifying the surface
    • D02J3/02Modifying the surface by abrading, scraping, scuffing, cutting, or nick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17/00Materials for surgical sutures or for ligaturing blood vessels ; Materials for prostheses or catheters
    • A61L17/14Post-treatment to improve physical properties

Abstract

본 고안은 봉합사의 돌기형성용 커팅기구 및 커팅기구에 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상면과 하면을 가지며 상면과 하면의 사이에 커팅날이 형성되는 커팅부재;
상기 커팅부재와 결합되어 커팅부재를 지지하는 커팅지지부재; 및
상기 커팅부재의 커팅날이 외부로 돌출될 수 있도록 상기 커팅지지부재를 내부에 수용하며, 상기 커팅지지부재가 상기 커팅부재의 상면과 수직인 상측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은 억제하고 상기 커팅지지부재가 그 커팅부재의 면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하는 것은 허용하는 커팅몸체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봉합사의 돌기형성용 커팅기구 및 커팅기구{Cutting tool for suture and cutting tool}
본 발명은 봉합사의 돌기형성용 커팅기구 및 커팅기구에 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커팅몸체 내에서 커팅부재가 슬라이드 이동가능한 봉합사의 돌기형성용 커팅기구 및 커팅기구에 대한 것이다.
봉합사는 인간 또는 동물조직, 예를 들어 피부, 근육, 힘줄, 내부기관, 신경, 혈관 등에서 상처들을 결합시키는데 사용되어 있다. 이러한 봉합사는 견, 나일론, 폴리에스터, 폴리프로필렌 또는 면과 같은 물질로 이루어지거나 기타 탄성력이 좋으면서 인체 내부에서 쉽게 끊어지지 않고 인체에 무해한 소재로 이루어진다. 통상적인 봉합사는 실모양의 몸체로부터 일정부분을 커팅함으로서 몸체로부터 돌출되는 돌기가 형성되도록 하여 제작되고 있다. 이러한 돌기는 조직 내부에서의 봉합사의 결속력을 증가시킴으로서 필요한 당기는 장력을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이러한 봉합사는 미국등록특허 5, 584,859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측면부재 및 상기 측면부재에 일체로 형성되는 미늘부재로 이루어지되, 상기 미늘부재는 인체 조직에 걸리고 측면부재와 함께 인체 조직을 당긴다.
이러한 봉합사에 미늘부재를 형성하기 위해서는 커팅면을 가지는 커팅기구를 이용하여 봉합사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약간 비스듬하게 눕힌 상태로 상기 봉합사의 표면을 커팅하게 된다. 이와 같이 봉합사의 표면에 비스듬하게 커팅되는 경우에는 봉합사의 표면에 미늘형태의 돌기가 형성되고, 이러한 돌기는 신체 내에서 다른 조직에 용이하게 고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사용되는 커팅기구는 다양한 구조로 사용되고 있으나 통상적인 커팅날이 형성된 커팅기구를 소정의 가이드경로를 따라서 이동하면서 상기 봉합사의 표면을 커팅하고 있는 것이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 도 1에 개시된 바와 같이, 봉합사가 하부지지부재에 올려진 상태에서 상부지지부재가 상기 하부지지부재에 형성된 봉합사를 눌러고정하고, 상기 상부지지부재에 형성된 소정의 슬롯을 따라서 커팅기구가 슬라이드 이동하면서 상기 봉합사의 표면을 커팅하는 기구가 알려져 있다.
이때, 커팅기구는 도 2에 개시된 바와 같이, 커팅몸체와, 상기 커팅몸체에 탈부착되며 커팅날이 형성되어 있는 커팅부재 및 상기 커팅부재를 상기 커팅몸체에 눌러고정시키는 캡을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커팅몸체와 상기 캡을 결합시키기 위한 볼트가 구비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커팅기구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먼저, 커팅몸체에 커팅날이 고정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가이드 경로를 따라서 이동하는 커팅날은 항상 동일한 지점에서 봉합사에 접촉하게 된다. 이와 같이 커팅날이 항상 동일한 위치에서 커팅동작이 이루어지게 되면, 해당부분이 쉽게 마모되고 이에 따라서 커팅부재를 빈번하게 교체해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커팅기구는 항상 봉합사의 길이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만 이동하여 커팅을 수행하고 봉합사의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예컨데 좌우방향)으로의 커팅이 어려우므로 봉합사가 질긴 소재로 이루어진 경우에 쉽게 봉합사의 표면을 커팅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게 된다.
미국등록특허 5,584,859
본 고안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봉합사의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의 슬라이드 이동이 가능하도록 커팅부재가 커팅몸체에 설치되어 있어, 전체적인 커팅부재의 수명을 향상시키고 피커팅물을 용이하게 커팅할 수 있는 봉합사의 돌기형성용 커팅기구 및 커팅기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봉합사의 돌기형성용 커팅기구는, 상면과 하면을 가지며 상면과 하면의 사이에 커팅날이 형성되는 커팅부재;
상기 커팅부재와 결합되어 커팅부재를 지지하는 커팅지지부재; 및
상기 커팅부재의 커팅날이 외부로 돌출될 수 있도록 상기 커팅지지부재를 내부에 수용하며, 상기 커팅지지부재가 상기 커팅부재의 상면과 수직인 상측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은 억제하고 상기 커팅지지부재가 그 커팅부재의 면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하는 것은 허용하는 커팅몸체를 포함한다.
상기 커팅기구에서,
상기 커팅지지부재는 슬라이드 안내수단에 의하여 상기 커팅몸체에 대하여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커팅기구에서,
상기 슬라이드 안내수단은, 상기 커팅몸체에 형성되며 하측으로 패여진 홈이 슬라이드 방향을 따라서 길게 연장되어 있는 홈부를 포함하되,
상기 커팅지지부재에는 상기 홈부와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며 상기 홈부에 걸어맞추어지는 돌출부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커팅기구에서,
상기 커팅지지부재는 이동제한 수단에 의하여 슬라이드 이동폭이 제한될 수 있다.
상기 커팅기구에서,
상기 커팅지지부재는, 일정한 두께를 가지되 슬라이드 방향을 따라서 길게 연장되는 안내부 및 상기 안내부의 양측으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되는 턱부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제한 수단은, 상기 커팅몸체에 고정되되 하면이 상기 안내부와 면접촉되는 것으로서, 한 쌍의 턱부 사이에 배치되고, 슬라이드 방향의 폭이 상기 한 쌍의 턱부 사이의 거리보다 짧은 고정부재일 수 있다.
상기 커팅기구에서,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커팅몸체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커팅기구에서,
상기 이동제한 수단은, 커팅지지부재의 슬라이드 경로 상에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각각의 커팅지지부재의 양측면에 접촉할 수 있고 그 사이에 상기 커팅지지부재가 배치될 수 있는 한 쌍의 측벽일 수 있다.
상기 커팅기구에서,
상기 한 쌍의 측벽 사이의 거리는 상기 커팅지지부재의 폭보다 클 수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봉합사의 돌기형성용 커팅기구는, 상면과 하면을 가지며 상면과 하면의 사이에 커팅날이 형성되는 커팅부재;
상기 커팅부재와 결합되어 커팅부재를 지지하는 커팅지지부재;
상기 커팅부재의 커팅날이 외부로 돌출될 수 있도록 상기 커팅지지부재를 내부에 수용하며, 상기 커팅지지부재가 상기 커팅부재의 상면과 수직인 상측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은 억제하고 상기 커팅지지부재가 그 커팅부재의 면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하는 것은 허용하는 커팅몸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커팅기구는, 커팅몸체 내에 마련된 커팅부재가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되어 있으므로, 커팅시 동일한 커팅날만이 마모되는 일이 없어 장기간에 걸쳐서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커팅부재가 슬라이드 이동하면서 피커팅물인 봉합사를 커팅할 수 있어 커팅작업이 용이하고 커팅효율이 증가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커팅기구가 설치된 봉합사용 커팅장치.
도 2는 도 1의 커팅기구의 상세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커팅기구의 분리사시도.
도 4는 도 4의 일부 결합사시도.
도 5는 도 3의 결합사시도.
도 6은 도 5의 동작도.
도 7은 도 5의 Ⅶ-Ⅶ 단면도.
도 8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팅기구의 단면도.
이하,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커팅기구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커팅기구(10)는, 커팅부재(20), 커팅지지부재(30), 커팅몸체(40)를 포함한다.
상기 커팅부재(20)는, 상면과 하면을 가지며 상면과 하면의 사이에 커팅날(21)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이러한 커팅날(21)은 면방향을 따라서 형성되어 있으며 단부가 날카롭게 구성된다. 상기 커팅부재(20)의 대략 중앙영역에는 커팅지지부재(30)에 결합될 수 있는 한 쌍의 통공(22)이 마련되어 있다. 상기 커팅부재(20)는 통상의 면도날과 유사한 형태를 가지고 있으며 대략 직사각형의 단면형태를 가지고 있게 된다.
상기 커팅지지부재(30)는, 상기 커팅부재(20)와 결합되어 상기 커팅부재(20)를 지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커팅지지부재(30)는, 상기 커팅부재(20)를 사이에 두고 한 쌍이 결합되는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상부커팅지지부재(31) 및 하부커팅지지부재(32)로 이루어진다. 상부커팅지지부재(31) 및 하부커팅지지부재(32)는 대략 대칭의 형태로 이루어진다. 상부커팅지지부재(31)는, 일정한 두께를 가지되 커팅지지부재(30)의 슬라이드 방향을 따라서 길게 연장되는 안내부(311) 및 상기 안내부(311)의 양측으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되는 턱부(312)를 포함한다. 상기 턱부(312)에는 상측으로 돌출되며 후술하는 커팅몸체(40)의 홈부(421)와 대응되는 형태를 가지는 돌출부(313)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돌출부(313)의 폭은 상기 턱부(312)보다 작은 폭을 가지도록 구성되어 있게 된다.
상기 상부커팅지지부재(31)의 턱부(312) 중 어느 하나의 턱부(312)에는 하면으로부터 상면까지 연장되는 삽입공(312a)이 형성되고, 다른 턱부(312)에는 하측으로 돌출되는 고정핀(312b)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하부커팅지지부재(32)는 상기 상부커팅지지부재(31)와 대응되는 형상을 가진다. 예컨데, 안내부(321), 턱부(322), 돌출부(323), 삽입공(322a), 고정핀(322b)이 각각 마련된다. 하부커팅지지부재(32)의 삽입공(322a)에는 상기 상부커팅지지부재(31)의 고정핀(312b)이 삽입되어 억지끼움되고, 하부커팅지지부재(32)의 고정핀(322b)은 상기 상부커팅지지부재(31)의 삽입공(312a)에 삽입되어 억지끼움됨에 따라서 그 상부커팅지지부재(31)와 하부커팅지지부재(32)의 사이에 마련된 커팅부재(20)를 고정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한편, 상기 상부커팅지지부재(31)의 고정핀(312b)과 하부커팅지지부재(32)의 고정핀(322b)은 커팅부재(20)의 통공(22)에 각각 끼워져 통과하여 상기 커팅부재(20)가 상부커팅지지부재(31) 및 하부커팅지지부재(32)의 사이에서 위치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커팅몸체(40)는, 상기 커팅부재(20)의 커팅날(21)이 외부로 돌출될 수 있도록 상기 커팅지지부재(30)를 내부에 수용하며, 상기 커팅지지부재(30)가 상기 커팅부재(20)의 상면과 수직인 상측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억제하고, 상기 커팅지지부재(30)가 그 커팅부재(20)의 면방향(상측방향과 수직인 수평방향 또는 상면, 하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하는 것을 허용하는 것이다.
이러한 커팅몸체(40)는, 상부몸체부(40) 및 하부몸체부(42)로 이루어진다.
상기 하부몸체부(42)는 대략 직사각형의 단면을 가지는 판형태로 이루어지되, 상면측에는 홈부(421)가 마련되어 있다. 이러한 홈부(421)는 하측으로 단턱의 형태로 패여진 홈으로서 슬라이드 방향을 따라서 길게 연장되어 있게 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홈부(421)의 단면은 대략 돌출부(323)의 단면과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고 있어 상기 돌출부(323)가 상기 홈부(421)에 안착된 상태로 상기 홈부(421)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홈부(421)는 커팅지지부재(30)를 슬라이드 안내하는 슬라이드 안내수단으로 사용된다.
상부몸체부(41)는 상기 하부몸체부(42)에 결합되는 것으로서, 바형태의 연장부(411) 및 상기 연장부(411)의 양측으로부터 수평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는 한 쌍의 측벽(412)이 마련된다. 상기 연장부(411)에는 그 하면의 중앙에 상측으로 패여진 관통홈(411a)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관통홈(411a)에는 고정부재(43)가 삽입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재(43)는, 상기 관통홈(411a)을 따라서 삽입되는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상기 커팅몸체(40)에 고정되며 그 하면이 상기 안내부(311)와 면접촉되는 것이다. 이러한 고정부재(43)는 한 쌍의 턱부(312) 사이에 배치되고, 슬라이드 방향의 폭이 상기 한 쌍의 턱부(312) 사이의 거리보다 짧을 수 있다. 이와 같이 고정부재(43)가 마련됨에 따라서, 상기 커팅지지부재(30)는 상기 고정부재(43)에 의하여 상측으로 들어올려지는 것이 방지될 뿐만 아니라, 고정부재(43)의 폭이 상기 턱부(312) 보다 짧음에 따라 그 거리차이만큼 커팅지지부재(30)를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이러한 고정부재(43)는 본 고안에서 이동제한 수단으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측벽(412)은 상기 연장부(411)의 양측으로부터 연장되는 것으로서, 커팅지지부재(30)의 슬라이드 경로 상에 마련되어 있다. 이러한 측벽(412)은 상기 커팅지지부재(30)의 양측면에 접촉할 수 있고 그 사이에 커팅지지부재(30)가 배치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한 쌍의 측벽(412)은 그 사이의 거리가 상기 커팅지지부재(30)의 대응되는 폭보다 커서 상기 커팅지지부재(30)가 그 사이에 슬라이드 이동하는 것을 허용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측벽(412)도 이동제한 수단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봉합사용 돌기형성용 커팅기구(10)는, 다음과 같이 작용한다.
먼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리되어 있는 커팅기구(10)를 마련한다. 이후에, 커팅지지부재(30)의 내부에 커팅부재(20)를 결합한 상태에서 상기 커팅지지부재(30)를 커팅몸체(40)의 홈부(421)에 올려놓는다. 이때,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팅지지부재(30)의 돌출부(323)가 상기 커팅몸체(40)의 홈부(421)에 안착되도록 배치한다. 이후에, 고정부재(43)를 관통홈(411a)을 통하여 삽입함으로서 상기 고정부재(43)의 하면이 상기 커팅지지부재(30)의 상면에 안착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고정부재(43)는 한 쌍의 턱부(312) 사이에 놓이도록 배치한다. 이와 같이 결합된 커팅기구(1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다. 한편, 이러한 커팅기구(10)를 이용하여 봉합사를 커팅하는 과정에서 특정한 커팅날(21)이 마모되는 경우에는 상기 커팅지지부재(30)를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함으로서 마모되지 않은 커팅날(21)의 부위로 봉합사를 커팅할 수 있게 한다.
이외에, 봉합사가 비교적 경질의 소재로 이루어진 경우에 상기 커팅지지부재를 좌우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 커팅동작을 수행함으로서 봉합사의 길이방향으로만 커팅하는 것보다 더욱 확실한 커팅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예컨데,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팅동작을 수행함에 있어서 봉합사(50)의 길이방향으로 커팅동작을 수행할 뿐 아니라, 봉합사(50)의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커팅동작을 수행함으로서 보다 커팅동작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이동제한 수단이 마련되어 있음에 따라서 과도한 슬라이드 이동이 방지되어 안정적인 슬라이드 이동이 가능할 수 있다.
이러한 본 실시예에 따른 커팅기구는 다음과 같이 변형되는 것도 가능하다. 예컨데,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슬라이드 안내수단으로서, 커팅몸체에 홈부를 마련하는 것을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커팅몸체(40)에 돌출되는 상부돌출부(44)를 마련하고, 상기 커팅지지부재(30)에는 상기 상부돌출부와 대응되는 형태의 하부홈(324)을 마련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상기 커팅지지부재(는 상기 상부돌출부에 상기 하부홈이 걸린 상태에서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이동제한 수단도 상술한 실시예이외에 다양한 형태로서 변형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커팅기구는 봉합사의 돌기형성용으로 사용되는 것을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의료용 내지 다양한 산업용 분야에서 커팅을 수행하는 분야에서 다양하게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에서 실시예를 들어 본 고안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 및 변형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고안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10...커팅기구 20...커팅부재
21...커팅날 22..통공
30...커팅지지부재 31...상부커팅지지부재
311...안내부 312...턱부
312a...삽입공 312b...고정핀
32...하부커팅지지부재 321...안내부
322...턱부 322a...삽입공
322b...고정핀 40...커팅몸체
41...상부몸체부 411...연장부
411a...관통홈 412...측벽
42...하부몸체부 421...홈부
43...고정부재

Claims (9)

  1. 봉합사의 돌기형성용 커팅기구로서,
    상면과 하면을 가지며 상면과 하면의 사이에 커팅날이 형성되는 커팅부재;
    상기 커팅부재와 결합되어 커팅부재를 지지하는 커팅지지부재; 및
    상기 커팅부재의 커팅날이 외부로 돌출될 수 있도록 상기 커팅지지부재를 내부에 수용하며, 상기 커팅지지부재가 상기 커팅부재의 상면과 수직인 상측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은 억제하고 상기 커팅지지부재가 그 커팅부재의 면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하는 것은 허용하는 커팅몸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합사의 돌기형성용 커팅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팅지지부재는 슬라이드 안내수단에 의하여 상기 커팅몸체에 대하여 슬라이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합사의 돌기형성용 커팅기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안내수단은, 상기 커팅몸체에 형성되며 하측으로 패여진 홈이 슬라이드 방향을 따라서 길게 연장되어 있는 홈부를 포함하되,
    상기 커팅지지부재에는 상기 홈부와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며 상기 홈부에 걸어맞추어지는 돌출부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합사의 돌기형성용 커팅기구.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커팅지지부재는 이동제한 수단에 의하여 슬라이드 이동폭이 제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합사의 돌기형성용 커팅기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커팅지지부재는, 일정한 두께를 가지되 슬라이드 방향을 따라서 길게 연장되는 안내부 및 상기 안내부의 양측으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되는 턱부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제한 수단은, 상기 커팅몸체에 고정되되 하면이 상기 안내부와 면접촉되는 것으로서, 한 쌍의 턱부 사이에 배치되고, 슬라이드 방향의 폭이 상기 한 쌍의 턱부 사이의 거리보다 짧은 고정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합사의 돌기형성용 커팅기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커팅몸체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합사의 돌기형성용 커팅기구.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제한 수단은, 커팅지지부재의 슬라이드 경로 상에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커팅지지부재의 양측면에 접촉할 수 있고 그 사이에 상기 커팅지지부재가 배치될 수 있는 한 쌍의 측벽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합사의 돌기형성용 커팅기구.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측벽 사이의 거리는 상기 커팅지지부재의 폭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합사의 돌기형성용 커팅기구.
  9. 삭제
KR2020110006700U 2011-07-22 2011-07-22 봉합사의 돌기형성용 커팅기구 및 커팅기구 KR20047974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6700U KR200479746Y1 (ko) 2011-07-22 2011-07-22 봉합사의 돌기형성용 커팅기구 및 커팅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6700U KR200479746Y1 (ko) 2011-07-22 2011-07-22 봉합사의 돌기형성용 커팅기구 및 커팅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0748U KR20130000748U (ko) 2013-01-30
KR200479746Y1 true KR200479746Y1 (ko) 2016-03-03

Family

ID=524246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06700U KR200479746Y1 (ko) 2011-07-22 2011-07-22 봉합사의 돌기형성용 커팅기구 및 커팅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9746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87058A (ko) 2017-01-24 2018-08-01 박은희 미늘 봉합사의 제조방법
KR101950232B1 (ko) 2017-10-23 2019-02-20 박은희 미늘 봉합사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53066B1 (ko) * 2019-05-10 2019-12-09 (주)리젠케어 칼날이 휘는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괴사조직제거 장치
KR102353491B1 (ko) * 2020-01-31 2022-01-19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봉합사 제거기
KR102501068B1 (ko) * 2022-07-25 2023-02-17 주식회사 베누스메드 의료용 봉합사 및 이의 제조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3295Y1 (ko) * 2003-02-06 2003-05-16 종 진 김 절사 된 주행실의 잔실절단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3295Y1 (ko) * 2003-02-06 2003-05-16 종 진 김 절사 된 주행실의 잔실절단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87058A (ko) 2017-01-24 2018-08-01 박은희 미늘 봉합사의 제조방법
KR101950232B1 (ko) 2017-10-23 2019-02-20 박은희 미늘 봉합사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0748U (ko) 2013-0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79746Y1 (ko) 봉합사의 돌기형성용 커팅기구 및 커팅기구
JP3213928U (ja) ステープリングヘッドアセンブリ及び内視鏡外科手術縫合切断装置
US11717287B2 (en) Surgical stapling apparatus
WO2018176414A1 (en) Staple cartridge assembly and surgical instrument with the same
CN201949071U (zh) 直线型切割缝合器
US20060212045A1 (en) Surgical suture cutter
US20190059894A1 (en) Medical stapler
US3054182A (en) Suture cutter
US3576072A (en) Surgical instrument
KR102288467B1 (ko) 절단 장치에 사용하기 위한 개선된 클램프
CN103169513B (zh) 外科线形切割吻合器的夹紧厚度调节机构
JP2008529700A (ja) 鋏の或いは鋏に関する改良
JP2015513978A (ja) 屈曲自在な先端部を有する外科用ステープルカートリッジ
KR20060048362A (ko) 건식 면도기용 면도 헤드
JP2015533311A5 (ko)
CN107520862B (zh) 电动剃刀以及该电动剃刀所使用的外刀
US20170281158A1 (en) Surgical staples
JP2015107222A (ja) 医療用ステープラ
KR20060107301A (ko) 컷팅 니들
CN209863934U (zh) 一种直线吻合器钉仓结构
JP2004147702A (ja) 縫合器
KR101585225B1 (ko) 등간격 이송이 가능한 봉합사용 3차원 미늘 형성 장치 및 위치 결정 유닛
US10265070B2 (en) Linear cutting stapler
US20140243853A1 (en) Suture cutting and removal tool
CN102138815B (zh) 外科手术用缝切器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3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