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85225B1 - 등간격 이송이 가능한 봉합사용 3차원 미늘 형성 장치 및 위치 결정 유닛 - Google Patents

등간격 이송이 가능한 봉합사용 3차원 미늘 형성 장치 및 위치 결정 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85225B1
KR101585225B1 KR1020140005468A KR20140005468A KR101585225B1 KR 101585225 B1 KR101585225 B1 KR 101585225B1 KR 1020140005468 A KR1020140005468 A KR 1020140005468A KR 20140005468 A KR20140005468 A KR 20140005468A KR 101585225 B1 KR101585225 B1 KR 1015852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ed
fixing
suture
unit
cut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054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85614A (ko
Inventor
조영삼
이승재
이세환
Original Assignee
원광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원광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원광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400054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85225B1/ko
Publication of KR201500856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856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52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52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JFINISHING OR DRESSING OF FILAMENTS, YARNS, THREADS, CORDS, ROPES OR THE LIKE
    • D02J3/00Modifying the surface
    • D02J3/02Modifying the surface by abrading, scraping, scuffing, cutting, or nick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Abstract

등간격 이송이 가능한 봉합사용 3차원 미늘 형성 장치가 제공된다. 봉합사용 3차원 미늘 형성 장치는, 봉합사의 양측을 각각 고정하고, 상기 고정된 봉합사를 제1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송 유닛; 상기 이송 유닛의 일 측에 결합되어, 상기 이송 유닛이 소정의 단위 간격으로 이동되도록 상기 이송 유닛의 이동 거리를 결정하는 위치 결정 유닛; 및 상기 봉합사의 표면에 미늘을 형성하기 위해 커터를 상기 제1 방향과 평행하지 않은 제2 방향으로 왕복 이동시키는 커팅 유닛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등간격 이송이 가능한 봉합사용 3차원 미늘 형성 장치 및 위치 결정 유닛{Three dimentional barbed suture configurating device capable of conveying with equal spacing and position determination unit}
본 발명은 등간격 이송이 가능한 봉합사용 3차원 미늘 형성 장치 및 위치 결정 유닛에 관한 것이다.
봉합사는 인간 또는 동물조직, 예를 들어 피부, 근육, 힘줄, 내부기관, 신경, 혈관 등에서 상처들을 봉합하는데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봉합사는 견, 나일론, 폴리에스터, 폴리프로필렌 또는 면과 같은 물질로 이루어지거나 기타 탄성력이 좋으면서 인체 내부에서 쉽게 끊어지지 않고 인체에 무해한 소재로 이루어진다.
통상적인 봉합사는 튜브형상 또는 실모양의 몸체로부터 일정 부분을 커팅함으로서 몸체로부터 돌출되는 돌기(즉, 미늘)가 형성되도록하여 제작되고 있다. 이러한 돌기는 조직 내부에서의 봉합사의 결속력을 증가시킴으로서 당기는데 필요한 장력을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봉합사는 미국등록특허 5,584,859호(Suture assembly)에 개시된 바와 같이 측면 부재(lateral member)와 측면 부재에 일체로 형성되는 미늘 부재(barb member)로 이루어지되, 미늘 부재는 인체 조직에 걸리고 측면 부재와 함께 인체 조직을 당기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봉합사에 형성된 미늘 부재는 봉합사를 하부 지지 부재의 상면에 올려놓고 그 봉합사를 클램핑하는 클램핑 기구로 고정시킨 상태에서 봉합사의 표면을 소정의 커팅 기구에 의하여 소정 부분 커팅함으로서 제작된다.
그러나 이와 같이 하부 지지 부재에 올려놓은 상태에서 봉합사를 커팅하면 봉합사가 커팅날에 의해 밀려 위치 이동하는 현상이 발생될 수 있다. 특히 커팅날을 반복적으로 사용하는 경우 날끝이 무뎌져서 봉합사의 표면에 커팅날이 바로 삽입되지 못하고 봉합사를 밀게 되는 문제점이 빈번하게 발생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정확한 위치에서 커팅을 수행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도 있다.
또한 종래기술에 따른 미늘이 형성된 봉합사 제조 장치들은 봉합사의 둘레면에 미늘을 형성하기 위한 효과적인 구조를 중심으로 개발되고 있으나, 봉합사의 둘레면에 등간격으로 미늘을 형성하기 위한 방안은 고려되고 있지 않아 이에 대한 개선이 요구된다.
미국등록특허 5,584,859호(Suture assembly)
본 발명은 미늘을 형성하고자 하는 봉합사를 고정하는 고정부가 등간격으로 이송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등간격의 정확한 위치에 미늘이 형성될 수 있도록 하는 등간격 이송이 가능한 봉합사용 3차원 미늘 형성 장치 및 위치 결정 유닛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의료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메스(mes)를 이용하여 봉합사에 미늘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경제성있고 커터날의 용이한 교체가 가능한 등간격 이송이 가능한 봉합사용 3차원 미늘 형성 장치 및 위치 결정 유닛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봉합사의 고정 및 지지를 위한 고정부를 수직 또는 수평 상태로 자세 조정한 상태에서 미늘 형성을 수행함으로써 봉합사의 둘레면에 걸쳐 미늘이 형성(즉, 3차원 미늘 형성)될 수 있고, 따라서 봉합사의 이용시 안정성이 향상될 수 있는 등간격 이송이 가능한 봉합사용 3차원 미늘 형성 장치 및 위치 결정 유닛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이외의 목적들은 하기의 설명을 통해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봉합사의 양측을 각각 고정하고, 상기 고정된 봉합사를 제1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송 유닛; 상기 이송 유닛의 일 측에 결합되어, 상기 이송 유닛이 소정의 단위 간격으로 이동되도록 상기 이송 유닛의 이동 거리를 결정하는 위치 결정 유닛; 및 상기 봉합사의 표면에 미늘을 형성하기 위해 커터를 상기 제1 방향과 평행하지 않은 제2 방향으로 왕복 이동시키는 커팅 유닛을 포함하는 봉합사용 3차원 미늘 형성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위치 결정 유닛은, 상기 이송 유닛의 일 측에 일 단부가 결합되는 스프링 경첩; 상기 스프링 경첩의 타 단부에 결합되고, 하부 영역의 전체 또는 일부에 제1 톱니가 형성되는 핸들; 상기 핸들이 안착되도록 하기 위해, 상기 제1 톱니가 형성된 영역 폭보다 긴 형성 영역을 가지도록 상부 영역의 전체 또는 일부에 상기 제1 톱니 형상에 치합되는 제2 톱니가 형성되는 제1 걸림부재; 및 상기 제1 걸림부재를 고정하기 위해 상기 제1 걸림부재의 일 측에 결합되고, 하부 영역이 판상 부재의 상부면에 고정되는 제1 지지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 톱니에 치합되는 상기 제1 톱니의 위치를 이동시킴에 의해 상기 스프링 경첩을 개재하여 결합된 상기 이송 유닛이 상기 제1 방향으로 상기 제1 톱니의 위치 이동 거리에 상응하는 거리만큼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위치 결정 유닛은, 상기 이송 유닛의 일 측에 일 단부가 결합되고, 몸체에 하나 이상의 홀(hole)이 형성된 연결부재; 상기 홀에 삽입 결합되는 볼 플런저; 및 상기 연결부재에 결합된 볼 플런저의 수량, 각 볼 플런저에 구비된 볼의 형상 및 위치에 대응되도록 복수의 홈이 형성된 제2 걸림부재를 포함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방향으로 형성된 각각의 홈은 상기 단위 간격을 가지도록 이격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이송 유닛은, 양 단부에 각각 장착되는 고정편을 이용하여 상기 봉합사의 양측을 각각 고정하는 제1 고정부; 수평 상태의 상기 제1 고정부를 지지하기 위해 상기 고정부의 일측에 결합되는 제1 지지부; 및 상기 제1 지지부의 하측에 결합되고, 판상 부재의 상부에 제1 방향으로 설치된 가이드를 따라 단방향 이동 또는 왕복 이동하는 제1 LM 가이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송 유닛은, 상기 제1 지지부의 상측에 결합되어 수직 상태의 상기 제1 고정부를 지지하는 연장부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1 고정부는 수직 상태 또는 수평 상태로 고정되기 위해 상기 제1 지지부 및 상기 연장부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이송 유닛은, 상기 고정편에 의해 고정된 상기 봉합사를 눌러 고정하는 가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팅 유닛은, 상기 판상 부재의 상부에 상기 제1 고정부의 양 단부 사이를 향하는 상기 제2 방향으로 설치된 가이드를 따라 왕복 이동하는 제2 LM 가이드부; 상기 제2 LM 가이드부의 상부면에 결합되는 제2 지지부; 상기 제2 지지부의 일측에 결합되는 제2 고정부; 상기 제2 고정부의 일 측에 결합되는 각도 조절부; 및 상기 제1 고정부에 의해 고정된 상기 봉합사에 대향되는 상기 각도 조절부의 단면에 결합되고, 상기 커터를 고정하는 체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고정부는 상기 체결부에 의해 고정되는 상기 커터가 상기 제2 LM 가이드부의 왕복 이동에 의해 상기 봉합사의 상부 표면을 커팅하는 높이를 가지도록 상기 제2 지지부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각도 조절부는 고정 부재 및 회전 부재의 결합체로 형성되고, 고정 부재측의 일측이 상기 제2 고정부에 결합되고, 상기 회전 부재측의 일측에 상기 체결부가 결합되며, 상기 회전 부재의 회전 조작에 의해 상기 체결부 및 상기 커터의 설치 각도가 조정될 수 있다.
상기 제1 고정부는 수직 상태로 상기 연장부의 일 측에 결합된 경우, 상기 커터가 상기 봉합사의 표면을 커팅하기 위해 왕복 이동하는 공간을 확보하기 위해 말굽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커터는 수술용 메스(mes)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이송 대상물의 이송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위치 결정 유닛에 있어서, 상기 이송 대상물의 일 측에 일 단부가 결합되고, 몸체에 복수의 홀(hole)이 형성된 연결부재; 몸체, 상기 몸체의 단부에 배치되는 볼 및 상기 볼을 탄성적으로 지지하기 위해 상기 몸체 내부에 수용되는 스프링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홀 각각에 삽입 결합되는 복수의 볼 플런저; 및 상부 면에 접촉되어 이동되는 상기 연결부재에 삽입된 볼 플런저의 이동을 정지시키기 위해, 상기 상부면에 상기 볼 플런저 각각에 구비된 상기 볼의 형상 및 위치에 대응되는 복수의 고정 홈이 형성된 걸림 부재를 포함하는 위치 결정 유닛이 제공된다.
상기 볼 플런저의 이동이 정지된 시점에서 복수의 볼 플런저들 중 일부의 볼 플런저에 포함된 볼만이 고정 홈에 수용되도록 스프링에 의해 탄성적으로 지지되는 위치에 고정 홈들이 배치될 수 있다.
전술한 것 외의 다른 측면, 특징, 이점이 이하의 도면, 특허청구범위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미늘을 형성하고자 하는 봉합사를 고정하는 고정부가 등간격으로 이송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등간격의 정확한 위치에 미늘이 형성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의료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메스(mes)를 이용하여 봉합사에 미늘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경제성있고 커터날의 용이한 교체가 가능한 효과도 있다.
또한 봉합사의 고정 및 지지를 위한 고정부를 수직 또는 수평 상태로 자세 조정한 상태에서 미늘 형성을 수행함으로써 봉합사의 둘레면에 걸쳐 미늘이 형성(즉, 3차원 미늘 형성)될 수 있고 따라서 봉합사의 이용시 안정성이 향상되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봉합사용 3차원 미늘 형성 장치의 형상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팅날의 설치 각도 조정 상태를 예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늘 형성 과정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위치 결정 유닛의 일 구성예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위치 결정 유닛의 다른 구성예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봉합사용 3차원 미늘 형성 장치의 형상 변형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볼 플런저 고정 홈의 배치 예를 나타낸 도면.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또한, 각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는 실시예의 구성 요소가 해당 실시예에만 제한적으로 적용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유지되는 범위 내에서 다른 실시예에 포함되도록 구현될 수 있으며, 또한 별도의 설명이 생략될지라도 복수의 실시예가 통합된 하나의 실시예로 다시 구현될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하거나 관련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봉합사용 3차원 미늘 형성 장치의 형상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팅날의 설치 각도 조정 상태를 예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늘 형성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위치 결정 유닛(106)의 일 구성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위치 결정 유닛(106)의 다른 구성예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봉합사용 3차원 미늘 형성 장치의 형상 변형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볼 플런저 고정 홈의 배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봉합사용 3차원 미늘 형성 장치는 이송 유닛(102), 커팅 유닛(104) 및 위치 결정 유닛(106)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송 유닛(102)은 미늘이 형성될 봉합사(125)를 고정하는 역할을 수행하고, 이송 유닛(102)의 일 측에 결합된 위치 결정 유닛(106)은 이송 유닛(102)의 이동 거리를 미리 지정된 단위 간격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이송 유닛(102)에 고정된 봉합사(125)의 표면에 단위 간격마다 미늘이 형성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커팅 유닛(104)은 이송 유닛(102)의 단위 간격으로 이동에 따라 변경되는 봉합사(125)의 각 작업 영역에 표면을 미리 지정된 깊이로 커팅하여 미늘을 형성한다.
이하, 봉합사용 3차원 미늘 형성 장치에 포함되는 이송 유닛(102), 커팅 유닛(104) 및 위치 결정 유닛(106) 각각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이송 유닛(102)은 제1 고정부(110), 복수의 고정편(115a, 115b), 가압부(120), 제1 LM 가이드부(130), 제1 지지부(135), 제1 체결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고정부(110)는 예를 들어 내측에 공간이 형성되도록 "ㄷ"자, "U"자 등인 말굽 형상으로 형성되고, 양 단부에는 봉합사(125)를 봉합사(125)의 길이 방향 양측에서 각각 고정하는 고정편들(115a, 115b)이 결합되기 위한 장착 홈이 형성된다. 또한 제1 고정부(110)의 일측에는 각 고정편(115a, 115b)에 의해 고정된 봉합사(125)의 일측을 눌러 보다 견고하게 고정하기 위한 가압부(120)가 배치될 수 있다.
제1 고정부(110)는 제1 체결부(140)를 이용하여 제1 지지부(135)의 일측에 결합되어 지지되며, 제1 지지부(135)는 판상 부재(108) 상부에 장착된 가이드가 형성하는 제1 직선 경로를 따라 단방향 또는 지정된 횟수 만큼 왕복 이동되도록 하는 제1 LM 가이드부(130)의 상부에 장착된다. 물론 가이드가 형성하는 경로가 곡선 경로 등으로 다양할 수 있다.
또한 제1 지지부(135)에 결합된 제1 고정부(110)가 제1 LM 가이드부(130)에 의해 제1 직선 경로를 따라 이동될 때 소정의 단위 간격만큼 순차적으로 이동되도록 이동 거리를 한정하거나 사용자가 이동 거리를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위치 결정 유닛(106)이 제1 지지부(135)의 일 측에 결합된다.
즉, 후술되는 바와 같이, 이송 유닛(102)은 위치 결정 유닛(106)에 의해 한정되는 단위 간격만큼 이동된 후 작업면(145)에 위치된 봉합사(125)의 표면이 커팅 유닛(104)에 의해 커팅 처리(즉, 미늘 형성)될 동안 대기하고, 커팅 유닛(104)에 의한 커팅 처리가 완료되면 소정의 단위 간격만큼 다시 이동된다. 이송 유닛(102)의 이동은 사용자에 의해 수동 조작되거나 모터 등을 이용하여 자동화 조작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LM 가이드부(130), 제1 지지부(135) 및 제1 고정부(110)는 상호 결합된 상태에서 제1 고정부(110)에 고정된 봉합사(125)가 판상 부재(108)에 장착된 작업대의 상부면인 작업면(145)에 위치하도록 하는 높이가 되는 크기로 각각 형성된다.
위치 결정 유닛(106)에 의해 지정되는 단위 간격만큼 제1 LM 가이드부(130)가 제1 직선 경로를 따라 이동되면, 제1 LM 가이드부(130)에 결합된 제1 지지부(135) 및 제1 고정부(110) 등이 이에 상응하도록 이동된다.
즉, 복수의 고정편(115a, 115b) 및 가압부(120)를 이용하여 봉합사(125)를 고정하는 제1 고정부(110)가 제1 LM 가이드부(130)의 제1 직선 경로를 따른 이동에 상응하도록 이동되며, 따라서 작업면(145)에 위치하는 봉합사(125)의 작업 영역(즉, 후술될 커팅 유닛(104)에 의해 미늘 형성될 영역)의 위치도 달라지게 된다.
이때, 본 실시예에 따른 3차원 미늘 형성 장치는 후술될 커터(175)의 커팅 동작에 의해 봉합사(125)의 둘레면에 3차원 미늘이 형성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1 고정부(110)를 다양한 형태로 결합할 수 있는 특징을 가진다.
즉, 제1 고정부(110)는 도 1에 예시된 바와 같이 수평 상태로 제1 지지부(135)의 일측에 결합(제1 결합 상태)되어 지지될 수도 있고, 도 4에 예시된 바와 같이 수직 상태로 연장부(610)의 일측에 결합(제2 결합 상태)되어 지지될 수도 있다. 이때, 제1 고정부(110)는 도 1 및 도 6에 예시된 바와 달리 뒤집혀진 상태로 제1 지지부(135) 또는 연장부(610)에 결합(제3 및 제4 결합 상태)되어 지지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제1 고정부(110)에 대한 다양한 결합 상태가 가능하기 때문에, 각 결합 상태에서 커터(175)가 봉합사(125)의 표면을 커팅하는 과정을 통해 봉합사(125)의 표면에는 3차원 미늘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수평 결합 상태인 제1 결합 상태에서 봉합사(125)의 작업 영역(즉, 상부 표면)에 미늘을 형성하고, 제3 결합 상태(즉, 제1 결합 상태가 뒤집혀진 결합 상태)로 전환하여 봉합사(125)의 작업 영역(즉, 제1 결합 상태에서의 하부 표면)에 미늘을 형성하며, 수직 결합 상태인 제2 결합 상태로 전환하여 봉합사(125)의 작업 영역(즉, 제1 결합 상태에서의 좌측 표면)에 미늘을 형성하고, 제4 결합 상태(즉, 제2 결합 상태가 뒤집혀진 결합 상태)로 전환하여 봉합사(125)의 작업 영역(즉, 제1 결합 상태에서의 우측 표면)에 미늘을 형성함으로써 봉합사(125)의 둘레면 다양한 위치 각각에 미늘이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도 3의 (c) 참조). 이때, 각 미늘간의 형성 간격은 예를 들어 위치 결정 유닛(106)에 의해 지정된 단위 간격 등으로 미리 지정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이송 유닛(102)이 미리 지정된 단위 간격만큼씩 이동되도록 조절하는 위치 결정 유닛(106)은 도 4에 예시된 바와 같이 톱니 치합 구조로 형성되거나, 도 5에 예시된 바와 같이 볼 플런저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물론 소정의 단위 간격만큼씩 이송 유닛(102)이 순차 이동되도록 하는 위치 결정 유닛(106)의 구조가 이에 제한되지 않음은 당연하다.
우선, 톱니 치합 구조로 형성된 위치 결정 유닛(106)의 구조가 예시된 도 4를 참조하면, 위치 결정 유닛(106)은 스프링 경첩(410), 핸들(415), 제1 걸림부재(420), 제1 지지부재(425)를 포함할 수 있다.
스프링 경첩(410)은 중앙의 힌지를 중심으로 일측을 들어올리기 위해 힘을 가하는 경우 반발력을 발생시키고, 일측을 들어올리기 위해 가해진 힘이 제거되면 초기 위치로 복귀하도록 하는 스프링이 내장된 경첩으로, 스프링 경첩의 일 단부는 제1 지지부(135)의 일측에 결합되고, 타 단부는 핸들(415)의 일 측에 결합된다. 사용자가 핸들(415)을 들어올려 제1 직선 경로의 방향으로 핸들(415)을 이동시키면, 스프링 경첩(410)을 개재하여 핸들(415)에 결합된 제1 지지부(135)(즉, 이송 유닛(102))도 핸들(415)의 이동에 상응하도록 해당 방향 및 거리만큼 이동된다.
핸들(415)의 하부면 전체 또는 일부에는 톱니 형상이 형성되어 있으며, 해당 톱니 형상은 제1 걸림부재(420)의 상부면 전체 또는 일부에 형성된 톱니 형상과 치합되도록 구성된다. 핸들(415) 및 제1 걸림부재(420)에 각각 치합되도록 형성된 톱니 형상의 간격은 단위 간격으로 균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핸들(415)에 결합된 이송 유닛(102)의 이동을 위해 제1 걸림부재(420)에 형성된 톱니 형상의 형성 영역이 핸들(415)의 하부면에 형성된 톱니 형상의 형성 영역 길이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이송 유닛(102)을 소정의 거리(예를 들어, 단위 간격)만큼 이동시키고자 할 때 사용자는 핸들(415)을 파지(把指)하여 들어올린 후 이동하고자 하는 거리만큼 핸들(415)을 이동시킨 후 핸들(415)과 하부의 제1 걸림부재(420)에 각각 형성된 톱니 형상이 치합되도록 핸들(415)을 내려 둠으로써 이송 유닛(102)의 제1 고정부(110)에 의해 고정된 봉합사(125)의 미늘 형성을 위한 작업 영역의 위치를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만일 봉합사(125)의 표면에 단위 간격마다 미늘이 형성되도록 하고자 하는 경우라면, 사용자는 핸들(415)과 제1 걸림부재(420)가 치합되는 톱니 위치가 제1 직선 방향에서 한 칸씩 이동되도록 핸들(415)을 이동시키게 될 것이다.
구비된 스프링 경첩(410)을 이용하여 사용자는 핸들(415)을 수직 상방으로 들어올린 후 제1 LM 가이드부(130)가 이동되도록 제한되는 제1 직선 경로의 방향으로 소정의 거리만큼 이동시킨 후 핸들(415)을 내려 제1 걸림부재(420)에 안착시키면 핸들(415)은 스프링 경첩(410)이 가하는 힘에 의해 그 위치에서 고정된다.
상부면의 전체 또는 일부 영역에 톱니 형상이 형성된 제1 걸림부재(420)는 판상 부재(108)의 상부면에 고정된 제1 지지부재(425)와 고정 결합된다. 제1 지지부재(425)는 도 4에 예시된 바와 같이 지지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ㄴ"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으나, 그 형상이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당연하다.
다음으로, 볼 플런저 구조로 형성된 위치 결정 유닛(106)의 구조가 예시된 도 5를 참조하면, 위치 결정 유닛(106)은 연결부재(510), 하나 이상의 볼 플런저(515), 제2 걸림부재(520), 제2 지지부재(525)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부재(510)의 일 측은 제1 지지부(135)에 결합되고, 연결부재(510)의 몸체에는 하나 이상의 홀(hole)이 형성되며, 각 홀에 볼 플런저(515)가 삽입 결합된다. 볼 플런저(515)가 삽입 결합되기 위한 하나 이상의 홀은 도 5에 예시된 바와 같이, 이송 유닛(102)이 이동되는 제1 직선 방향에 수직한 가상의 직선 상에 배치될 수 있으나 홀의 배치 형상이 이에 제한되지 않음은 당연하다.
볼 플런저(515)는 원통형의 몸체를 가지고 일 단부에 볼이 배치되고, 몸체 내부에는 볼을 탄성적으로 지지하기 위한 스프링이 수용된다. 즉, 외부에서 볼에 힘이 작용되면, 볼은 몸체 내부로 수용되었다가 외부의 힘이 제거되면 스프링의 탄성에 의해 원 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볼 플런저(515)를 구성하는 몸체의 둘레면에는 연결부재(510)에 형성된 홀에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도록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제2 걸림부재(520)의 상부 면에는 볼 플런저(515)의 볼의 형상 및 위치에 각각 대응되도록 복수의 걸림 홈(710, 도 7 참조)이 형성되며, 각 걸림 홈(710)은 이송 유닛(102)이 이동될 단위 간격마다 형성된다.
따라서, 연결부재(510)에 삽입 고정된 볼 플런저(515)가 연결부재(510)의 상부면을 따라 이동되다가 볼 플런저(515)에 대응되는 홈의 위치에 도달되면 볼 플런저(515)의 몸체 내부로 수용된 볼이 원위치로 복귀하게 되고, 따라서 연결부재(510)에 결합된 이송 유닛(102)의 추가 이동시에는 약간의 저항력(즉, 볼이 몸체 내부로 수용되도록 하는 힘)이 걸리게 된다. 이를 통해 이송 유닛(102)이 단위 간격만큼 이동되었음을 사용자는 인식할 수 있다.
걸림 홈(710)의 배치 형태에 의해 결정되는 단위 간격은, 예를 들어 복수의 볼 플런저(515)가 일직선 위치에 각각 배치된 경우 각 걸림 홈(710)들도 볼 플런저(515)의 배치에 각각 대응되도록 일직선 형태로 배치될 수도 있고(도 7의 (a) 참조), 이송 유닛(102)이 이동되는 단위 간격을 보다 세밀화하기 위해 각 걸림 홈(710)들이 볼 플런저(515)들의 배치 형태와 대응되지 않는 형태로 배치될 수도 있다(도 7의 (b) 참조).
도 7의 (a)에 예시된 바와 같이 구비된 모든 볼 플런저(515)들이 동시에 대응되는 걸림 홈(710)에 의해 고정되도록 걸림 홈(710)을 배치하는 경우에 비해, 도 7의 (b)에 예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볼 플런저(515)들 중 일부만이 동시에 걸림 홈(710)에 의해 고정되도록 배치되는 경우에는 보다 세밀한 단위 간격 설정이 가능해지는 장점이 있다.
제2 지지부재(525)는 제2 걸림부재(520)가 안정적으로 지지되도록 고정하며, 제2 지지부재(525)의 일측은 판상 부재(108)의 상부면에 고정될 수 있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커팅 유닛(104)은 제2 LM 가이드부(150), 제2 지지부(155), 제2 고정부(160), 각도 조절부(165), 제2 체결부(170) 및 커터(175)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LM 가이드부(150)는 판상 부재(108)의 상부면에 장착된 가이드가 형성하는 제2 경로를 따라 왕복 이동된다. 제2 경로는 작업대의 상부면인 작업면(145)을 지나는 가상의 직선상의 일 구간으로 결정되며, 제1 LM 가이드부(130)의 이동 경로인 제1 직선 경로와 평행하지 않은 방향으로 설정된다. 예를 들어 제2 직선 경로는 제1 직선 경로에 수직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제2 경로를 따라 왕복 이동되는 제2 LM 가이드부(150)의 상부에는 제2 지지부(155)가 장착되고, 제2 지지부(155)의 일측에는 각도 조절부(165)를 설치하기 위한 제2 고정부(160)가 결합되며, 작업면(145)에 대향되는 각도 조절부(165)의 일 단면에는 커터(175)를 고정하는 제2 체결부(170)가 결합된다.
제2 고정부(160)는 커터(175)가 지정된 깊이로 봉합사(125)의 작업 영역 상부 표면을 커팅하도록 하는 높이로 제2 지지부(155)에 결합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제2 체결부(170)에 결합되는 커터(175)는 예를 들어 의료 분야에서 흔히 사용되는 메스(mes)일 수 있다. 미늘 형성 장치에서 소모성 재료인 커터(175)를 메스로 이용함으로써 커터(175)의 교체시 비용이 절감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커터(175)는 제2 경로를 따라 제2 LM 가이드부(150)가 왕복 이동됨에 따라 작업면(145) 방향으로 또는 작업면(145)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왕복 이동하게 된다. 이 과정에서 커터(175)는 작업면(145) 상부에 위치된 봉합사(125)의 작업 영역 상부 표면을 커팅함으로써 봉합사 표면에 미늘을 형성하게 된다(도 3의 (a), (b) 참조). 커터(175)가 봉합사(125) 표면에 미늘을 형성하기 위해 제2 LM 가이드부(150)의 왕복 이동 거리 및/또는 이동 한계 거리는 미리 설정될 수 있다.
그리고 커터(175)를 고정하는 제2 체결부(170)에 결합되는 각도 조절부(165)는 고정 부재와 회전 부재의 결합체로 형성되고, 고정 부재측 단부가 제2 고정부(160)에 결합되며, 회전 부재측 단부에는 커터(175)를 고정하는 제2 체결부(170)가 결합된다.
따라서 도 2의 (a) 내지 (d)에 각각 예시된 바와 같이, 회전 부재의 회전 조작에 의해 회전 부재측 단부에 결합된 제2 체결부(170)(즉, 제2 체결부(170)에 고정된 커터(175))의 설치 각도(도 3의 θ)가 다양하게 조정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커터(175)의 봉합사(125) 상부 표면에 대한 커팅 각도가 다양하게 조정될 수 있고, 따라서 다양한 목적에 부합되는 다양한 형상의 미늘이 봉합사(125) 표면에 형성될 수 있다.
도 6에는 봉합사(125)의 미늘 형성면을 변경하기 위해 제1 고정부(110)가 수직 형태로 결합된 봉합사용 3차원 미늘 형성 장치의 구성이 예시되어 있다.
즉, 제1 지지부(135)의 상측에 연장부(610)를 장착하고, 제1 체결부(140)를 이용하여 연장부(610)의 일측에 수직 형태의 제1 고정부(110)가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제1 고정부(110)에 의해 고정된 봉합사(125)의 작업 영역이 작업면(145) 상에 위치되어 커터(175)에 의해 봉합사(125)의 작업 영역 상부 표면이 커팅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연장부(610)의 높이(H)는 제1 고정부(110)의 너비(W)에 대응되도록 결정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또한 예를 들어 "ㄱ"자 형상으로 형성된 연장부(610)의 가로 길이(L)가 제1 고정부(135)에 의해 고정된 봉합사(125)의 작업 영역이 작업면(145) 상에 위치되도록 하는 길이로 결정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2 : 이송 유닛 104 : 커팅 유닛
106 : 위치 결정 유닛 108 :판상 부재
110 : 제1 고정부 115a, 115b : 고정편
120 : 가압부 125 : 봉합사
130 : 제1 LM 가이드부 135 : 제1 지지부
140 : 제1 체결부 145 : 작업면
150 : 제2 LM 가이드부 155 : 제2 지지부
160 : 제2 고정부 165 : 각도 조절부
170 : 제2 체결부 175 : 커터
410 : 스프링 경첩 415 : 핸들
420 : 제1 걸림부재 425 : 제1 지지부재
510 : 연결부재 515 : 볼 플런저
520 : 제2 걸림부재 525 : 제2 지지부재
610 : 연장부

Claims (13)

  1. 삭제
  2. 봉합사의 양측을 각각 고정하고, 상기 고정된 봉합사를 제1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송 유닛;
    상기 이송 유닛의 일 측에 결합되어, 상기 이송 유닛이 소정의 단위 간격으로 이동되도록 상기 이송 유닛의 이동 거리를 결정하는 위치 결정 유닛; 및
    상기 봉합사의 표면에 미늘을 형성하기 위해 커터와 결합되어, 상기 커터를 상기 제1 방향과 평행하지 않은 제2 방향으로 왕복 이동시키는 커팅 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위치 결정 유닛은,
    상기 이송 유닛의 일 측에 일 단부가 결합되는 스프링 경첩;
    상기 스프링 경첩의 타 단부에 결합되고, 하부 영역의 전체 또는 일부에 제1 톱니가 형성되는 핸들;
    상기 핸들이 안착되도록 하기 위해, 상기 제1 톱니가 형성된 영역 폭보다 긴 형성 영역을 가지도록 상부 영역의 전체 또는 일부에 상기 제1 톱니 형상에 치합되는 제2 톱니가 형성되는 제1 걸림부재; 및
    상기 제1 걸림부재를 고정하기 위해 상기 제1 걸림부재의 일 측에 결합되고, 하부 영역이 판상 부재의 상부면에 고정되는 제1 지지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톱니에 치합되는 상기 제1 톱니의 위치를 이동시킴에 의해 상기 스프링 경첩을 개재하여 결합된 상기 이송 유닛이 상기 제1 방향으로 상기 제1 톱니의 위치 이동 거리에 상응하는 거리만큼 이동되되,
    상기 위치 이동 거리는 상기 제1 톱니 형상의 간격의 정수배에 상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합사용 3차원 미늘 형성 장치.
  3. 삭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 유닛은,
    판상 부재의 상부에 제1 방향으로 설치된 가이드를 따라 단방향 이동 또는 왕복 이동하는 제1 LM 가이드부;
    상기 제1 LM 가이드부의 상측에 결합되는 제1 지지부;
    상기 제1 지지부의 상측에 결합되는 연장부; 및
    양 단부에 각각 장착되는 고정편을 이용하여 상기 봉합사의 양측을 각각 고정하고, 일측이 상기 제1 지지부 또는 상기 연장부에 의해 지지되도록 결합되는 판 형상의 제1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봉합사의 둘레면 표면에 복수의 미늘을 각각 형성하기 위해, 상기 제1 고정부는 수평 형상으로 상기 제1 지지부에 결합되는 제1 결합 상태, 뒤집혀진 수평 형상으로 상기 제1 지지부에 결합되는 제2 결합 상태, 수직 형상으로 상기 연장부에 결합되는 제3 결합 상태 및 뒤집혀진 수직 형상으로 상기 연장부에 결합되는 제4 결합 상태로 순차적으로 각각 상기 제1 지지부에 결합되며,
    상기 커터는 수술용 메스(mes)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합사용 3차원 미늘 형성 장치.
  5. 삭제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 유닛은,
    상기 고정편에 의해 고정된 상기 봉합사를 눌러 고정하는 가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합사용 3차원 미늘 형성 장치.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커팅 유닛은,
    상기 판상 부재의 상부에 상기 제1 고정부의 양 단부 사이를 향하는 상기 제2 방향으로 설치된 가이드를 따라 왕복 이동하는 제2 LM 가이드부;
    상기 제2 LM 가이드부의 상부면에 결합되는 제2 지지부;
    상기 제2 지지부의 일측에 결합되는 제2 고정부;
    상기 제2 고정부의 일 측에 결합되는 각도 조절부; 및
    상기 제1 고정부에 의해 고정된 상기 봉합사에 대향되는 상기 각도 조절부의 단면에 결합되고, 상기 커터를 고정하는 체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합사용 3차원 미늘 형성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고정부는 상기 체결부에 의해 고정되는 상기 커터가 상기 제2 LM 가이드부의 왕복 이동에 의해 상기 봉합사의 상부 표면을 미리 지정된 깊이로 커팅하는 높이를 가지도록 상기 제2 지지부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합사용 3차원 미늘 형성 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각도 조절부는 고정 부재 및 회전 부재의 결합체로 형성되고, 고정 부재측의 일 측이 상기 제2 고정부에 결합되고, 상기 회전 부재측의 일 측에 상기 체결부가 결합되며,
    상기 회전 부재의 회전 조작에 의해 상기 체결부 및 상기 커터의 설치 각도가 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합사용 3차원 미늘 형성 장치.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고정부는 수직 상태로 상기 연장부의 일 측에 결합된 경우, 상기 커터가 상기 봉합사의 표면을 미리 지정된 깊이로 커팅하기 위해 왕복 이동하는 공간을 확보하기 위해 말굽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합사용 3차원 미늘 형성 장치.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KR1020140005468A 2014-01-16 2014-01-16 등간격 이송이 가능한 봉합사용 3차원 미늘 형성 장치 및 위치 결정 유닛 KR1015852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5468A KR101585225B1 (ko) 2014-01-16 2014-01-16 등간격 이송이 가능한 봉합사용 3차원 미늘 형성 장치 및 위치 결정 유닛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5468A KR101585225B1 (ko) 2014-01-16 2014-01-16 등간격 이송이 가능한 봉합사용 3차원 미늘 형성 장치 및 위치 결정 유닛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5614A KR20150085614A (ko) 2015-07-24
KR101585225B1 true KR101585225B1 (ko) 2016-01-14

Family

ID=538758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05468A KR101585225B1 (ko) 2014-01-16 2014-01-16 등간격 이송이 가능한 봉합사용 3차원 미늘 형성 장치 및 위치 결정 유닛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8522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198551A (zh) * 2017-06-27 2017-09-26 江苏新科达滤袋有限公司 一种自动缝合装置
KR102167098B1 (ko) * 2018-06-25 2020-10-16 삼일테크(주) 봉합사용 프레스 성형장치
CN113069161B (zh) * 2021-03-18 2022-10-04 南京普立蒙医疗科技有限公司 一种提高良品率的倒刺缝合线切割设备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49751A (ja) * 2008-04-03 2009-10-29 Toyota Industries Corp ドローイングマシン
JP2012130716A (ja) * 2001-08-31 2012-07-12 Quill Medical Inc 縫合糸上にあごを形成する方法およびそれを実施するための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130716A (ja) * 2001-08-31 2012-07-12 Quill Medical Inc 縫合糸上にあごを形成する方法およびそれを実施するための装置
JP2009249751A (ja) * 2008-04-03 2009-10-29 Toyota Industries Corp ドローイングマシン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5614A (ko) 2015-07-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85225B1 (ko) 등간격 이송이 가능한 봉합사용 3차원 미늘 형성 장치 및 위치 결정 유닛
CA3077544C (en) Hair clipper apparatus with blade assembly
JP2018520769A5 (ko)
US20120041443A1 (en) Saw blade
EP3132754A3 (en) Tilting anvil for annular surgical stapler
US20200329635A1 (en) Apparatus for cutting agricultural product
US11066768B2 (en) Fly edgestitching apparatus
US20140005689A1 (en) Suture cutter
KR200479746Y1 (ko) 봉합사의 돌기형성용 커팅기구 및 커팅기구
JP6945748B2 (ja) 毛切断装置のための櫛
JP2011045732A (ja) 配置方向ガイド付きのダーマトーム
KR101391812B1 (ko) 봉합사용 돌기 형성장치, 봉합사용 돌기 형성방법 및 봉합사
CN206303930U (zh) 用于外科器械的钉仓及外科器械
US10016906B2 (en) Sheet cutter
JP2005261275A (ja) ヘッジトリマ。
US10493647B2 (en) Wedger
KR20150085616A (ko) 봉합사용 3차원 미늘 형성 장치
US7007583B1 (en) Bagel cutter
JP2020058327A (ja) 釣餌取付具
US5581892A (en) Filleting and skinning knife
WO2017106093A1 (en) Surgical sagittal saw blade with stop teeth that are interleaved with the blade cutting teeth
KR101149575B1 (ko) 주방용 식품 절단기
US20160330936A1 (en) Animal Claw Shearing Apparatuses and Methods of Using the Same
US20140014042A1 (en) Animal Claw Shearing Apparatuses and Methods of Using the Same
KR101609315B1 (ko) 수술용 봉합사 코그성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4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