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85616A - 봉합사용 3차원 미늘 형성 장치 - Google Patents

봉합사용 3차원 미늘 형성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85616A
KR20150085616A KR1020140005472A KR20140005472A KR20150085616A KR 20150085616 A KR20150085616 A KR 20150085616A KR 1020140005472 A KR1020140005472 A KR 1020140005472A KR 20140005472 A KR20140005472 A KR 20140005472A KR 20150085616 A KR20150085616 A KR 201500856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suture
coupled
cutter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054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영삼
이승재
이세환
Original Assignee
원광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원광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원광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400054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85616A/ko
Publication of KR201500856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8561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JFINISHING OR DRESSING OF FILAMENTS, YARNS, THREADS, CORDS, ROPES OR THE LIKE
    • D02J3/00Modifying the surface
    • D02J3/02Modifying the surface by abrading, scraping, scuffing, cutting, or nick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Abstract

봉합사용 3차원 미늘 형성 장치가 제공된다. 봉합사용 3차원 미늘 형성 장치는 봉합사의 양측을 각각 고정하고, 상기 고정된 봉합사를 제1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송 유닛; 및 상기 봉합사의 표면에 미늘을 형성하기 위해 커터를 상기 제1 방향과 평행하지 않은 제2 방향으로 왕복 이동시키는 커팅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봉합사용 3차원 미늘 형성 장치{Three dimentional barbed suture configurating device}
본 발명은 봉합사용 3차원 미늘 형성 장치에 관한 것이다.
봉합사는 인간 또는 동물조직, 예를 들어 피부, 근육, 힘줄, 내부기관, 신경, 혈관 등에서 상처들을 봉합하는데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봉합사는 견, 나일론, 폴리에스터, 폴리프로필렌 또는 면과 같은 물질로 이루어지거나 기타 탄성력이 좋으면서 인체 내부에서 쉽게 끊어지지 않고 인체에 무해한 소재로 이루어진다.
통상적인 봉합사는 튜브형상 또는 실모양의 몸체로부터 일정 부분을 커팅함으로서 몸체로부터 돌출되는 돌기(즉, 미늘)가 형성되도록하여 제작되고 있다. 이러한 돌기는 조직 내부에서의 봉합사의 결속력을 증가시킴으로서 당기는데 필요한 장력을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봉합사는 미국등록특허 5,584,859호(Suture assembly)에 개시된 바와 같이 측면 부재(lateral member)와 측면 부재에 일체로 형성되는 미늘 부재(barb member)로 이루어지되, 미늘 부재는 인체 조직에 걸리고 측면 부재와 함께 인체 조직을 당기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봉합사에 형성된 미늘 부재는 봉합사를 하부 지지 부재의 상면에 올려놓고 그 봉합사를 클램핑하는 클램핑 기구로 고정시킨 상태에서 봉합사의 표면을 소정의 커팅 기구에 의하여 소정 부분 커팅함으로서 제작된다.
그러나 이와 같이 하부 지지 부재에 올려놓은 상태에서 봉합사를 커팅하면 봉합사가 커팅날에 의해 밀려 위치 이동하는 현상이 발생될 수 있다. 특히 커팅날을 반복적으로 사용하는 경우 날끝이 무뎌져서 봉합사의 표면에 커팅날이 바로 삽입되지 못하고 봉합사를 밀게 되는 문제점이 빈번하게 발생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정확한 위치에서 커팅을 수행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도 있다.
미국등록특허 5,584,859호(Suture assembly)
본 발명은 미늘을 형성하고자 하는 봉합사가 고정되도록 하여 정확한 위치에서 미늘 형성을 위해 커팅이 수행될 수 있도록 하는 봉합사용 3차원 미늘 형성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의료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메스(mes)를 이용하여 봉합사에 미늘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경제성있고 커터날의 용이한 교체가 가능한 봉합사용 3차원 미늘 형성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봉합사의 고정 및 지지를 위한 고정부를 수직 또는 수평 상태로 자세 조정한 상태에서 미늘 형성을 수행함으로써 봉합사의 둘레면에 걸쳐 미늘이 형성(즉, 3차원 미늘 형성)될 수 있고 따라서 봉합사의 이용시 안정성이 향상될 수 있는 봉합사용 3차원 미늘 형성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이외의 목적들은 하기의 설명을 통해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봉합사의 양측을 각각 고정하고, 상기 고정된 봉합사를 제1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송 유닛; 및 상기 봉합사의 표면에 미늘을 형성하기 위해 커터를 상기 제1 방향과 평행하지 않은 제2 방향으로 왕복 이동시키는 커팅 유닛을 포함하는 봉합사용 3차원 미늘 형성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이송 유닛은, 양 단부에 각각 장착되는 고정편을 이용하여 상기 봉합사의 양측을 각각 고정하는 제1 고정부; 수평 상태의 상기 제1 고정부를 지지하기 위해 상기 고정부의 일측에 결합되는 제1 지지부; 및 상기 제1 지지부의 하측에 결합되고, 판상 부재의 상부에 제1 방향으로 설치된 가이드를 따라 단방향 이동 또는 왕복 이동하는 제1 LM 가이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봉합사용 3차원 미늘 형성 장치는, 상기 제1 지지부의 상측에 결합되어 수직 상태의 상기 제1 고정부를 지지하는 연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고정부는 수직 상태 또는 수평 상태로 고정되기 위해 상기 제1 지지부 및 상기 연장부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이송 유닛은, 상기 고정편에 의해 고정된 상기 봉합사를 눌러 고정하는 가압부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커팅 유닛은, 상기 판상 부재의 상부에 상기 제1 고정부의 양 단부 사이를 향하는 상기 제2 방향으로 설치된 가이드를 따라 왕복 이동하는 제2 LM 가이드부; 상기 제2 LM 가이드부의 상부면에 결합되는 제2 지지부; 상기 제2 지지부의 일측에 결합되는 제2 고정부; 상기 제2 고정부의 일 측에 결합되는 각도 조절부; 및 상기 제1 고정부에 의해 고정된 상기 봉합사에 대향되는 상기 각도 조절부의 단면에 결합되고, 상기 커터를 고정하는 체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고정부는 상기 체결부에 의해 고정되는 상기 커터가 상기 제2 LM 가이드부의 왕복 이동에 의해 상기 봉합사의 상부 표면을 커팅하는 높이를 가지도록 상기 제2 지지부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각도 조절부는 고정 부재 및 회전 부재의 결합체로 형성되고, 고정 부재측의 일측이 상기 제2 고정부에 결합되고, 상기 회전 부재측의 일측에 상기 체결부가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회전 부재의 회전 조작에 의해 상기 체결부 및 상기 커터의 설치 각도가 조정될 수도 있다.
상기 제1 고정부는 수직 상태로 상기 연장부의 일 측에 결합된 경우, 상기 커터가 상기 봉합사의 표면을 커팅하기 위해 왕복 이동하는 공간을 확보하기 위해 말굽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커터는 수술용 메스(mes)일 수 있다.
전술한 것 외의 다른 측면, 특징, 이점이 이하의 도면, 특허청구범위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미늘을 형성하고자 하는 봉합사가 고정되도록 하여 정확한 위치에서 미늘 형성을 위해 커팅이 수행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의료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메스(mes)를 이용하여 봉합사에 미늘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경제성있고 커터날의 용이한 교체가 가능한 효과도 있다.
또한 봉합사의 고정 및 지지를 위한 고정부를 수직 또는 수평 상태로 자세 조정한 상태에서 미늘 형성을 수행함으로써 봉합사의 둘레면에 걸쳐 미늘이 형성(즉, 3차원 미늘 형성)될 수 있고 따라서 봉합사의 이용시 안정성이 향상되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봉합사용 3차원 미늘 형성 장치의 형상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팅날의 설치 각도 조정 상태를 예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늘 형성 과정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봉합사용 3차원 미늘 형성 장치의 형상 변형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또한, 각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는 실시예의 구성 요소가 해당 실시예에만 제한적으로 적용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유지되는 범위 내에서 다른 실시예에 포함되도록 구현될 수 있으며, 또한 별도의 설명이 생략될지라도 복수의 실시예가 통합된 하나의 실시예로 다시 구현될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하거나 관련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봉합사용 3차원 미늘 형성 장치의 형상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팅날의 설치 각도 조정 상태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늘 형성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봉합사용 3차원 미늘 형성 장치의 형상 변형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봉합사용 3차원 미늘 형성 장치는 이송 유닛(102)과 커팅 유닛(104)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송 유닛(102)은 제1 고정부(110), 복수의 고정편(115a, 115b), 가압부(120), 제1 LM 가이드부(130), 제1 지지부(135), 제1 체결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고정부(110)는 예를 들어 내측에 공간이 형성되도록 "ㄷ"자, "U"자 등인 말굽 형상으로 형성되고, 양 단부에는 봉합사(125)를 양측에서 각각 고정하는 고정편들(115a, 115b)이 결합되기 위한 장착 홈이 형성된다. 또한 제1 고정부(110)의 일측에는 각 고정편(115a, 115b)에 의해 고정된 봉합사(125)의 일측을 눌러 보다 견고하게 고정하기 위한 가압부(120)가 배치된다.
제1 고정부(110)는 제1 체결부(140)를 이용하여 제1 지지부(135)의 일측에 결합되어 지지되며, 제1 지지부(135)는 제1 LM 가이드부(130)의 상부에 장착된다. 제1 LM 가이드부(130)는 판상 부재(106) 상부에 장착된 가이드가 형성하는 제1 직선 경로를 따라 단방향 또는 지정된 횟수 만큼 왕복 이동된다.
제1 LM 가이드부(130)가 제1 직선 경로를 따라 이동되면, 제1 LM 가이드부(130)에 결합된 제1 지지부(135) 및 제1 고정부(110) 등이 이에 상응하도록 이동됨은 당연하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LM 가이드부(130), 제1 지지부(135) 및 제1 고정부(110)는 상호 결합된 상태에서 제1 고정부(110)에 고정된 봉합사(125)가 판상 부재(106)에 장착된 작업대의 상부면인 작업면(145)에 위치하도록 하는 높이가 되는 크기로 각각 형성된다.
즉, 복수의 고정편(115a, 115b) 및 가압부(120)를 이용하여 봉합사(125)를 고정하는 제1 고정부(110)가 제1 LM 가이드부(130)가 제1 직선 경로를 따른 이동에 상응하도록 이동되며, 따라서 작업면(145)에 위치하는 봉합사(125)의 작업 영역(즉, 후술될 커팅 유닛(104)에 의해 미늘 형성될 영역)의 위치도 달라지게 된다.
이때, 본 실시예에 따른 3차원 미늘 형성 장치는 후술될 커터(175)의 커팅 동작에 의해 봉합사(125)의 둘레면에 3차원 미늘이 형성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1 고정부(110)를 다양한 형태로 결합할 수 있는 특징을 가진다.
즉, 제1 고정부(110)는 도 1에 예시된 바와 같이 수평 상태로 제1 지지부(135)의 일측에 결합(제1 결합 상태)되어 지지될 수도 있고, 도 4에 예시된 바와 같이 수직 상태로 연장부(410)의 일측에 결합(제2 결합 상태)되어 지지될 수도 있다. 이때, 제1 고정부(110)는 도 1 및 도 4에 예시된 바와 달리 뒤집혀진 상태로 제1 지지부(135) 또는 연장부(410)에 결합(제3 및 제4 결합 상태)되어 지지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제1 고정부(110)에 대한 다양한 결합 상태가 가능하기 때문에, 각 결합 상태에서 커터(175)가 봉합사(125)의 표면을 커팅하는 과정을 통해 봉합사(125)의 표면에는 3차원 미늘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수평 결합 상태인 제1 결합 상태에서 봉합사(125)의 작업 영역(즉, 상부 표면)에 미늘을 형성하고, 제3 결합 상태(즉, 제1 결합 상태가 뒤집혀진 결합 상태)로 전환하여 봉합사(125)의 작업 영역(즉, 제1 결합 상태에서의 하부 표면)에 미늘을 형성하며, 수직 결합 상태인 제2 결합 상태로 전환하여 봉합사(125)의 작업 영역(즉, 제1 결합 상태에서의 좌측 표면)에 미늘을 형성하고, 제4 결합 상태(즉, 제2 결합 상태가 뒤집혀진 결합 상태)로 전환하여 봉합사(125)의 작업 영역(즉, 제1 결합 상태에서의 우측 표면)에 미늘을 형성함으로써 봉합사(125)의 둘레면 다양한 위치 각각에 미늘이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도 3의 (c) 참조). 이때, 각 미늘간의 형성 간격은 미리 지정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커팅 유닛(104)은 제2 LM 가이드부(150), 제2 지지부(155), 제2 고정부(160), 각도 조절부(165), 제2 체결부(170) 및 커터(175)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LM 가이드부(150)는 판상 부재(106)의 상부면에 장착된 가이드가 형성하는 제2 경로를 따라 왕복 이동된다. 제2 경로는 작업대의 상부면인 작업면(145)을 지나는 가상의 직선상의 일 구간으로 결정되며, 제1 LM 가이드부(130)의 이동 경로인 제1 직선 경로와 평행하지 않은 방향으로 설정된다. 예를 들어 제2 직선 경로는 제1 직선 경로에 수직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제2 경로를 따라 왕복 이동되는 제2 LM 가이드부(150)의 상부에는 제2 지지부(155)가 장착되고, 제2 지지부(155)의 일측에는 각도 조절부(165)를 설치하기 위한 제2 고정부(160)가 결합되며, 작업면(145)에 대향되는 각도 조절부(165)의 일 단면에는 커터(175)를 고정하는 제2 체결부(170)가 결합된다.
제2 고정부(160)는 커터(175)가 지정된 깊이로 봉합사(125)의 작업 영역 상부 표면을 커팅하도록 하는 높이로 제2 지지부(155)에 결합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제2 체결부(170)에 결합되는 커터(175)는 예를 들어 의료 분야에서 흔히 사용되는 메스(mes)일 수 있다. 미늘 형성 장치에서 소모성 재료인 커터(175)를 메스로 이용함으로써 커터(175)의 교체시 비용이 절감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커터(175)는 제2 경로를 따라 제2 LM 가이드부(150)가 왕복 이동됨에 따라 작업면(145) 방향으로 또는 작업면(145)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왕복 이동하게 된다. 이 과정에서 커터(175)는 작업면(145) 상부에 위치된 봉합사(125)의 작업 영역 상부 표면을 커팅함으로써 봉합사 표면에 미늘을 형성하게 된다(도 3의 (a), (b) 참조). 커터(175)가 봉합사(125) 표면에 미늘을 형성하기 위해 제2 LM 가이드부(150)의 왕복 이동 거리 및/또는 이동 한계 거리는 미리 설정될 수 있다.
그리고 커터(175)를 고정하는 제2 체결부(170)에 결합되는 각도 조절부(165)는 고정 부재와 회전 부재의 결합체로 형성되고, 고정 부재측 단부가 제2 고정부(160)에 결합되고, 회전 부재측 단부에는 커터(175)를 고정하는 제2 체결부(170)가 결합된다.
따라서 도 2의 (a) 내지 (d)에 각각 예시된 바와 같이, 회전 부재의 회전 조작에 의해 회전 부재측 단부에 결합된 제2 체결부(170)(즉, 제2 체결부(170)에 고정된 커터(175))의 설치 각도(도 3의 θ)가 다양하게 조정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커터(175)의 봉합사(125) 상부 표면에 대한 커팅 각도가 다양하게 조정될 수 있고, 따라서 다양한 목적에 부합되는 다양한 형상의 미늘이 봉합사(125) 표면에 형성될 수 있다.
도 4에는 봉합사(125)의 미늘 형성면을 변경하기 위해 제1 고정부(110)가 수직 형태로 결합된 봉합사용 3차원 미늘 형성 장치의 구성이 예시되어 있다.
즉, 제1 지지부(135)의 상측에 연장부(410)를 장착하고, 제1 체결부(140)를 이용하여 연장부(410)의 일측에 수직 형태의 제1 고정부(110)가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제1 고정부(110)에 의해 고정된 봉합사(125)의 작업 영역이 작업면(145) 상에 위치되어 커터(175)에 의해 봉합사(125)의 작업 영역 상부 표면이 커팅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연장부(410)의 높이(H)는 제1 고정부(110)의 너비(W)에 대응되도록 결정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또한 예를 들어 "ㄱ"자 형상으로 형성된 연장부(410)의 가로 길이(L)가 제1 고정부(135)에 의해 고정된 봉합사(125)의 작업 영역이 작업면(145) 상에 위치되도록 하는 길이로 결정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2 : 이송 유닛 104 : 커팅 유닛
106 : 판상 부재 110 : 제1 고정부
115a, 115b : 고정편 120 : 가압부
125 : 봉합사 130 : 제1 LM 가이드부
135 : 제1 지지부 140 : 제1 체결부
145 : 작업면 150 : 제2 LM 가이드부
155 : 제2 지지부 160 : 제2 고정부
165 : 각도 조절부 170 : 제2 체결부
175 : 커터

Claims (9)

  1. 봉합사의 양측을 각각 고정하고, 상기 고정된 봉합사를 제1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송 유닛; 및
    상기 봉합사의 표면에 미늘을 형성하기 위해 커터를 상기 제1 방향과 평행하지 않은 제2 방향으로 왕복 이동시키는 커팅 유닛을 포함하는 봉합사용 3차원 미늘 형성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 유닛은,
    양 단부에 각각 장착되는 고정편을 이용하여 상기 봉합사의 양측을 각각 고정하는 제1 고정부;
    수평 상태의 상기 제1 고정부를 지지하기 위해 상기 고정부의 일측에 결합되는 제1 지지부; 및
    상기 제1 지지부의 하측에 결합되고, 판상 부재의 상부에 제1 방향으로 설치된 가이드를 따라 단방향 이동 또는 왕복 이동하는 제1 LM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합사용 3차원 미늘 형성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부의 상측에 결합되어 수직 상태의 상기 제1 고정부를 지지하는 연장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1 고정부는 수직 상태 또는 수평 상태로 고정되기 위해 상기 제1 지지부 및 상기 연장부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합사용 3차원 미늘 형성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 유닛은,
    상기 고정편에 의해 고정된 상기 봉합사를 눌러 고정하는 가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합사용 3차원 미늘 형성 장치.
  5.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커팅 유닛은,
    상기 판상 부재의 상부에 상기 제1 고정부의 양 단부 사이를 향하는 상기 제2 방향으로 설치된 가이드를 따라 왕복 이동하는 제2 LM 가이드부;
    상기 제2 LM 가이드부의 상부면에 결합되는 제2 지지부;
    상기 제2 지지부의 일측에 결합되는 제2 고정부;
    상기 제2 고정부의 일 측에 결합되는 각도 조절부; 및
    상기 제1 고정부에 의해 고정된 상기 봉합사에 대향되는 상기 각도 조절부의 단면에 결합되고, 상기 커터를 고정하는 체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합사용 3차원 미늘 형성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고정부는 상기 체결부에 의해 고정되는 상기 커터가 상기 제2 LM 가이드부의 왕복 이동에 의해 상기 봉합사의 상부 표면을 미리 지정된 깊이로 커팅하는 높이를 가지도록 상기 제2 지지부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합사용 3차원 미늘 형성 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각도 조절부는 고정 부재 및 회전 부재의 결합체로 형성되고, 상기 고정 부재측의 일측이 상기 제2 고정부에 결합되고, 상기 회전 부재측의 일측에 상기 체결부가 결합되며,
    상기 회전 부재의 회전 조작에 의해 상기 체결부 및 상기 커터의 설치 각도가 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합사용 3차원 미늘 형성 장치.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고정부는 수직 상태로 상기 연장부의 일 측에 결합된 경우, 상기 커터가 상기 봉합사의 표면을 미리 지정된 깊이로 커팅하기 위해 왕복 이동하는 공간을 확보하기 위해 말굽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합사용 3차원 미늘 형성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터는 수술용 메스(mes)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합사용 3차원 미늘 형성 장치.
KR1020140005472A 2014-01-16 2014-01-16 봉합사용 3차원 미늘 형성 장치 KR2015008561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5472A KR20150085616A (ko) 2014-01-16 2014-01-16 봉합사용 3차원 미늘 형성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5472A KR20150085616A (ko) 2014-01-16 2014-01-16 봉합사용 3차원 미늘 형성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5616A true KR20150085616A (ko) 2015-07-24

Family

ID=538758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05472A KR20150085616A (ko) 2014-01-16 2014-01-16 봉합사용 3차원 미늘 형성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8561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1032B1 (ko) * 2018-05-10 2019-10-21 중부대학교 산학협력단 봉합사 미늘 형성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1032B1 (ko) * 2018-05-10 2019-10-21 중부대학교 산학협력단 봉합사 미늘 형성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95338B2 (en) Surgical staple insertion device
US8002779B2 (en) Dermatome blade assembly
US10342528B2 (en) Surgical suturing instrument
RU2015145727A (ru) Компенсатор толщины ткани, содержащий паз режущего элемента
JP2018520769A5 (ko)
NZ526233A (en) Surgical methods using one-way suture
AU2008335246B2 (en) Dermatome with orientation guides
RU2728627C2 (ru) Перфорированный тканевый матрикс
EP3132754A3 (en) Tilting anvil for annular surgical stapler
KR101585225B1 (ko) 등간격 이송이 가능한 봉합사용 3차원 미늘 형성 장치 및 위치 결정 유닛
US20210259726A1 (en) Puncture guider and puncture guiding system
KR200479746Y1 (ko) 봉합사의 돌기형성용 커팅기구 및 커팅기구
CN206303930U (zh) 用于外科器械的钉仓及外科器械
US20150297361A1 (en) Orthopaedic instrument for securing a bone
KR20150085616A (ko) 봉합사용 3차원 미늘 형성 장치
CN104248458A (zh) 直线吻合器缝合钉仓结构
CN105997172A (zh) 用于外科器械的钉仓及外科器械
EP2545869A1 (en) Dermatome blade assembly
US20080243180A1 (en) Surgery fixation forceps
KR101609315B1 (ko) 수술용 봉합사 코그성형장치
JP3136851U (ja) 骨切断用ブレード
US9398912B1 (en) Suture removal tool
CN218832809U (zh) 可调式缝合钉间距指示组件及使用其的皮肤缝合器
KR20180031490A (ko) 매몰 봉합유닛
KR20160130567A (ko) 세절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