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65645Y1 - 편육기 - Google Patents

편육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65645Y1
KR200365645Y1 KR20-2004-0022920U KR20040022920U KR200365645Y1 KR 200365645 Y1 KR200365645 Y1 KR 200365645Y1 KR 20040022920 U KR20040022920 U KR 20040022920U KR 200365645 Y1 KR200365645 Y1 KR 20036564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nitting
meat
rollers
pair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2292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수권
Original Assignee
김수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수권 filed Critical 김수권
Priority to KR20-2004-002292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6564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6564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65645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2BUTCHERING; MEAT TREATMENT; PROCESSING POULTRY OR FISH
    • A22CPROCESSING MEAT, POULTRY, OR FISH
    • A22C17/00Other devices for processing meat or bones
    • A22C17/0006Cutting or shaping meat
    • A22C17/002Producing portions of meat with predetermined characteristics, e.g. weight or particular dimens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7/00Details of apparatu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7/06Arrangements for feeding or delivering work of other than sheet, web, or filamentary for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2210/00Machines or methods used for cutting special materials
    • B26D2210/02Machines or methods used for cutting special materials for cutting food products, e.g. food slice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at, Egg Or Seafood Produc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돈까스 요리나 스테이크 요리에 주로 사용되는 우육이나 돈육과 같은 식육 고기를 편평하게 펼침하는 편육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고안은, 이를 위하여 소정의 두께로 절단된 고기를 육질이 부드럽게 연육처리 함과 동시에 일정한 두께로 펼쳐지도록 편육 처리하기 위한 편육기를 구성함에 있어서, 틀체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착탈 자재되고 사선 방향으로 서로 교차되게 파여지는 각 골에 의해 고기를 동시에 연육 및 편육 처리하기 위한 마름모꼴형태의 편육면들이 연속 반복적으로 형성된 한쌍의 편육 로울러와, 상기 한쌍의 편육 로울러에 대해 고기를 자동 공급하기 위하여 상기 틀체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착탈 자재되는 투입용 컨베이어와, 상기 한쌍의 편육 로울러를 통과하면서 연육 및 편육 처리가 완료된 고기를 받아 배출시키기 위하여 상기 틀체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착탈자재되는 배출용 컨베이어를 포함한 구성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마름모꼴 형태로 이루어진 한쌍의 편육 로울러를 통한 고기의 연육 및 편육의 동시 처리가 가능함과 동시에 각 부품의 분해 조립성이 양호하게 되는 것이다.

Description

편육기{That spread meat machine}
본 고안은 돈까스 요리나 스테이크 요리에 주로 사용되는 우육이나 돈육과같은 식육 고기를 편평하게 펼침하는 편육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마름모꼴(菱形) 형태의 편육면들을 갖는 한쌍의 편육 로울러에 의한 고기의 연육 및 편육처리가 동시에 이루어짐과 동시에 각 부품의 분해 조립성이 양호하여 기기의 유지 관리가 매우 용이한 편육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돈까스 요리나 스테이크 요리등에 사용되는 우육이나 돈육과 같은 고기의 조리를 위해서는 우선 해당 고기를 일정한 조리 두께를 갖도록 절단한 다음 절단된 고기의 육질을 부드럽게 가공하여 고기의 맛을 좋게하기 위해 고기의 내부 깊숙히 까지 칼집을 내고, 또 이렇게 가공된 고기를 다시 편평하게 골고루 펼침 처리한 다음 조리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에는 고기를 연육 처리하는 연육기는 많이 개발되고 있는 실정이나, 연육 상태의 고기를 편평하게 펼쳐주기 위한 편육기의 개발은 전무한 상태이기 때문에 종래 연육된 상태의 고기는 통상 조리자가 별도의 도구를 이용하여 고기의 전면을 골고루 두드려 가면서 일정한 두께가 되도록 펼침 처리하였기 때문에 수작업에 의한 고기의 편육 작업에 따른 많은 시간과 인력이 낭비될 수 밖에 없었던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종래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고안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마름모꼴 형태의 편육면들을 갖는 한쌍의 편육 로울러를 통한 고기의 연육 및 편육 처리가 동시에 가능하여 하나의 제품으로서 두가지의 기능 수행이 가능하고, 또 고기의 연육 및 편육 처리에 따른 구성 부품을 하나의 조립체로구성함으로서 분해 조립이 간편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여 유지관리보수가 매우 용이할 뿐 아니라 각 부품의 물 세척이 용이하여 기기의 위생적인 관리 사용이 가능하도록 한 편육기를 제공함에 있다.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편육기의 외관 구조를 보인 사시도;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주요 구성부품의 분리 사시도;
도3은 본 고안에 따른 고기의 편육 처리 상태를 보인 작동 상태 측면도;
도4는 본 고안에 따른 각 구성부품의 동력전달 구조도;
도5는 본 고안에 따른 편육 로울러 구조를 보인 발췌 평면도;
도6은 도5에 있어서, 편육 로울러의 일부 발췌 단면도;
도7은 본 고안에 따른 편육 로울러의 외주면으로 코팅층이 구비된 구조를 보인 발췌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 틀체 20,30: 편육 로울러
24,34: 마름모꼴 형태의 편육면들 26,36: 골
40, 50: 투입 및 배출용 컨베이어 60: 코팅층
이러한 본 고안의 목적은, 소정의 두께로 절단된 고기를 육질이 부드럽게 연육처리 함과 동시에 일정한 두께로 펼쳐지도록 편육 처리하기 위한 편육기를 구성함에 있어서, 틀체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착탈 자재되고 사선 방향으로 서로 교차되게 파여지는 각 골에 의해 고기를 동시에 연육 및 편육 처리하기 위한 마름모꼴 형태의 편육면들이 연속 반복적으로 형성된 한쌍의 편육 로울러와, 상기 한쌍의 편육 로울러에 대해 고기를 자동 공급하기 위하여 상기 틀체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착탈 자재되는 투입용 컨베이어와, 상기 한쌍의 편육 로울러를 통과하면서 연육 및 편육 처리가 완료된 고기를 받아 배출시키기 위하여 상기 틀체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착탈자재되는 배출용 컨베이어를 포함하는 편육기에 의해 충분히 달성된다.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한쌍의 편육 로울러의 외주면으로는 고기의 연육 및 편육 처리 과정에서 고기가 표면에 달라 붙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코팅층이 형성되어 짐이 바람직하고, 이 때 코팅층은 테프론으로 코팅 처리됨이 가장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한쌍의 편육 로울러에 대하여 마름모꼴 형태의 편육면들을 형성하기 위한 골은 그 깊이(D)가 약2㎜정도이고, 또 폭(W)은 약4㎜정도이며, 또 각 골과의 사이 간격(I)은 약 10㎜정도로 가공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편육기의 외관을 보인 사시도이고,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주요 구성부품의 분리 사시도를 보인 것이다.
먼저, 도1 및 도2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편육기(1)는 틀체(10)와, 상기 틀체(10)의 내부로 회전 가능하게 착탈 자재되고 공급되는 고기를 연육 및 편육 처리하기 위한 한쌍의 편육 로울러(20)(30)와, 상기 편육 로울러(20)(30)에 대하여 연육 및 편육 처리되기 전의 고기를 자동적으로 진입 이송시켜주기 위하여 상기 틀체(10)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착탈자재되는 투입용 컨베이어(40)와, 상기 편육 로울러(20)(30)를 통해 연육 및 편육 처리가 완료된 고기를 받아 배출 이송시키기 위하여 상기 틀체(10)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착탈자재되는 배출용 컨베이어(50)로 구성된다.
그리고, 배출용 컨베이어(50)로는 연육 및 편육 과정에서 편육 로울로(30)에 달라 붙는 고기 찌꺼기를 제거하기 위한 고기 찌꺼기 제거편(51)이 구비되어 있다.
도3을 참조하면, 한쌍의 편육 로울러(20)(30)는 공급용 컨베이어(40)를 통해 이송되는 고기가 자연스럽게 맞물려 들어가도록 틀체(10)에 대하여 소정의 경사각으로 대향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투입용 컨베이어(40)를 통해 공급되는 고기는 한쌍의 편육 로울러(20)(30) 사이를 통과하면서 육질이 부드럽게 연육처리 됨과 동시에 일정한 두께로 편평하게 펼쳐지게 되고, 그 하부의 배출용 컨베이어(50)를 통해 외부로 배출 이송되어지는 과정을 통해 고기의 연육 및 편육 처리가 신속하게 완료되는 것이다.
도4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각 주요 구성 부품인 한쌍의 편육 로울러(20)(30)와 투입 및 배출용 컨베이어(40)(50)는 하나의 기어드모터(M)에 의해 연동 조작된다. 즉 기어드모터(M)로부터 발생된 동력은 제1동력전달부재(C1)에 의해 배출용 컨베이어(50)로 전달됨과 동시에 상기 배출용 컨베이어(50)로 전달된 동력은 다시 제2동력전달부재(C2)를 통해 공급용 컨베이어(40) 및 일 방의 편육 로울러(30)로 각각 전달 된다. 그리고 타방의 편육 로울러(20)는 이에 구비된 기어(22)가 일방의 편육 로울러(30)에 구비된 기어(32)와 맞물려 회전되어 진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한쌍의 편육 로울러(20)(30)와 투입 및 배출용 컨베이어(40)(50)는 하나의 기어드모터(M)에 의해 소정의 속도로 고기의 진입 및 배출 방향으로 각각 회전 가능하게 연동 조작된다.
본 고안에 따른 동력전달부재(C1,C2)는 동력 전달힘이 강한 체인을 이용하고 이를 가이드하기 위한 스프로켓을 사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나, 이는 반드시 이에 한정될 필요는 없고, 타이밍벨트로의 대체 사용도 얼마든지 가능하다 할 것이다.
도2, 도5 및 도6을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편육 로울러(20)(30)는 고기를 연육 및 편육 하기 위한 각 편육면들(24)(34)이 마름모꼴 형태를 갖도록 각 골(26)(36)이 사선방향으로 서로 교차되게 파여있다. 그리고 각 편육 로울러(20)(30)로는 대각선의 골(26)(36)에 의해 무수한 편육면들(24)(34)이 구비되고, 각 편육면들(24)(34)은 골(26)(36)과 골 사이의 깊이에 의해 4개의 모서리가 형성되어진다.
따라서, 상기 도3과 같이 편육 로울러(20)(30)를 통과하는 고기의 양 표면은도3에 이점쇄선으로 표시된 고기와 같이 양 편육 로울러(20)(30)사이를 통과하면서 이에 형성된 각 편육면들(24)(34)의 모서리, 특히 원주 방향으로 형성된 두개의 모서리에 의해 마치 칼집 자국을 낸 것과 같이 찍히게 되면서 육질이 부드럽게 연육처리 되어지고, 또 고기는 이렇게 연육처리 됨과 동시에 일정한 두께로 편평하게 펼쳐지게되는 것이므로, 결국 본 고안에 따르면 한쌍의 편육 로울러(20)(30)를 통과하면서 고기는 연육 및 편육 처리가 동시에 완료되어지는 것이다.
한편, 한쌍의 편육 로울러(20)(30) 사이를 통과하면서 고기가 연육 및 편육 처리되는 과정에서 본 고안의 경우 다수의 편육면들(24)(34)을 형성하기 위한 골(26)(36)이 사선 방향으로 상호 교차되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단순한 원통체의 로울러를 이용하는 것에 비하여 고기의 육즙 손실이 현저하게 방지되고, 또 고기의 밀림 현상이 방지되는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르면, 최적의 연육 및 편육 상태를 제공하기 위하여 한쌍의 편육 로울러(20)(30)에 형성되는 각 편육면들(24)(34)을 형성하기 위한 각 골(26)(36)의 그 깊이(D)가 약 2㎜정도이고, 또 폭(W)은 약 4㎜정도이며, 또 각 골과의 사이 간격(I)은 약 10㎜정도로 가공 형성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편육 로울러(20)(30)의 직경이나 길이에 따라 다양한 수치로의 설계변경도 얼마든지 가능하다.
도7을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편육 로울러(20)(30)의 각 외주면으로는 고기의 연육 및 편육 처리 과정에서 고기가 각 로울러(20)(30)면에 달라 붙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코팅층(60)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코팅층(60)은 반드시 특정의 소재에 한정될 필요는 없으나, 이미 각종 조리기구나 밥솥 등에 적용되고 있는 테프론(Tefion)으로 코팅처리 함이 가장 바람직하다.
한편, 도2를 다시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르면, 틀체(10)에 대하여 한쌍의 편육 로울러(20)(30)와, 투입용 컨베이어(40) 및 배출용 컨베이어(50)는 모두 하나의 단위별 조립체로 구성함으로서 상기 틀체(10)에 대하여 간편하게 분해 조립 가능하게 구성함으로서, 각종 부품의 유지보수가 매우 용이하고, 또 작업 후 물 세척이 매우 편리함에 따라 편육기의 위생적인 관리가 가능하게되는 것이다.
예컨대, 투입 및 배출용 컨베이어(40)(50)는 틀체(10)에 대하여 구동축(42)(52)을 각각 잡아 빼거나 집어 넣는 것에 의해 간단한 분래 조립이 완료되고, 또 일방의 편육 로울러(20)는 틀체(10)의 후방으로 형성된 가이드홈(12)에 대하여 다수의 손잡이 나사(S)들을 풀거나 조이는 것에 의해 간단한 분해 조립이 완료되고, 또 타방의 편육 로울러(30) 역시 틀체(10)로 형성된 구멍(14)에 대하여 집어 넣거나 빼내고 손잡이 나사(S)들을 풀고 조임하는 것에 의해 간단한 분해 조립이 완료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본 고안의 경우 각 주요 구성 부품들을 단위별로 세트화함에 따라 기계의 전체 부피를 현저하게 줄일 수 있어 운반 취급이 매우 용이하고, 또 설치 장소에 크게 구애받지 않으며, 간단한 분해 조립 구조를 통한 제품의 생산성 향상과 코스트를 현저히 낮출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본 고안에 따르면, 일방의 편육 로울러(20)는 지지틀(27)에 대하여 후방으로 형성된 손잡이 볼트(28)를 조이거나 풀어주는 것에 의해 진퇴 조작되도록구성되어 있고, 이러한 조작에 의해 도4에서와 같이 타방의 편육 로울러(30)에 대한 편육 간격 조절이 상호 조정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도면상 미 설명부호 11은 투입용 컨베이어(40)가 구비된 틀체(10)의 전면을 커버하기 위하여 투명 또는 반투명재질로서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는 전면커버이며, 70은 온/오프 스위치 등이 구비된 스위치박스를 각각 나타 낸다. 상기 전면커버(11)는 도면에는 비록 도시하지 않았으나 마이크로스위치를 구비하여 이를 열고 닫을시 기기의 동작이 일시 정지 또는 운전 가능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상태를 설명하면, 우선 전원을 인가한 상태에서 전원 스위치박스(70)에 구비된 온 스위치를 조작한다. 그러면, 기어드모터(M)가 구동되고, 이 기어드모터(M)로부터 발생된 동력의 전달을 통해 한쌍의 편육 로울러(20)(30)와, 투입 및 배출용 컨베이어(40)(50)는 각각 고기의 편육 이송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각각 연동 조작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도3과 같이 고기를 투입용 컨베이어(40) 상에 올려주면 고기는 자동적으로 한쌍의 편육 로울러(20)(30)에 물려 들어가면서 통과하게 되고, 이 과정에서 고기는 각 편육 로울러(20)(30)에 형성된 마름모꼴 형태의 편육면들(24)(34)의 모서리에 의해 양 표면이 소정의 깊이로 찍히면서 고기의 육질이 부드럽게 연육 처리됨과 동시에 일정한 두께로 편평하게 펼쳐져 편육 처리되는 것이다.
그리고, 한쌍의 편육 로울러(20)(30) 사이를 통과하면서 연육 및 편육 처리되는 고기는 그 외주면으로 형성된 코팅층(60)에 의해 전혀 달라 붙지 않고 그 하부로 위치된 배출용 컨베이어(50)로 낙하 배출 이송되어지게 된다. 또한, 고기의연육 및 편육 과정에서 발생될 수도 있는 고기 찌꺼기는 일방의 편육 로울러(30) 외주면에 접촉되도록 배출용 컨베이어(50)에 구비된 고기 찌꺼기 제거편(51)에 의해 깨끗하게 제거 처리되어 진다.
따라서 상기한 연속적인 동작을 통해 고기의 연육 및 편육이 자동적으로 동시에 이루어지게 되어 고기의 신속한 연육 및 편육처리 작업이 가능하게 되어 그 만큼 인력의 낭비 및 조리 고기를 신속하게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고기의 연육 및 편육 작업이 완료 된후 기기의 동작을 정지시킨 후 각 주요 구성부품이나 틀체(10)의 내부를 물로 세척하거나 또는 유지보수를 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단위별로 조립 구성된 각 부품을 도2와 같이 틀체(10)로부터 각각 분리하거나 또는 조립함으로서 용이한 세척 및 부품 교환 등의 유지 관리가 매우 용이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다이아 몬드 형태를 갖는 한쌍의 편육 로울러 형성된 편육면들을 통한 고기의 연육 및 편육 처리가 동시에 가능하여 그 만큼 작업의 효율성 및 신속성의 추구가 가능하고, 또 주요 구성 부품이 하나의 조립체로 구성되어 분해 조립이 용이하기 때문에 관련 구성 부품의 교환 보수 등 유지관리 및 세척작업이 매우 간편 용이하여 기계의 효율적인 관리가 가능하며, 또 편육 구조가 매우 간단하고 분해 조립 구조를 채용하고 있기 때문에 제품의 생산성 향상이 가능하고, 또 편육기의 전체 부피를 현저하게 줄일 수 있기 때문에 제품의 코스트를 현저히 낮출 수 있을 뿐 아니라 운반 취급이 용이하고, 또 협소한 장소에서도간편하게 설치 사용할 수 있는 등의 여러 이점을 갖는 것이다.
또한, 편육 로울러의 외주면으로 형성된 코팅층에 의해 연육 및 편육 처리되는 과정에서 고기가 전혀 달라 붙지않게 되어 고기의 안정된 편육 작업이 항상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비록, 본 고안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술되었을지라도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하기의 청구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많은 수정 및 변경이 있을 수 있음은 물론이다.

Claims (4)

  1. 소정의 두께로 절단된 고기를 육질이 부드럽게 연육처리 함과 동시에 일정한 두께로 펼쳐지도록 편육 처리하기 위한 편육기를 구성함에 있어서,
    틀체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착탈 자재되고 사선 방향으로 서로 교차되게 파여지는 각 골에 의해 고기를 동시에 연육 및 편육 처리하기 위한 마름모꼴 형태의 편육면들이 연속 반복적으로 형성된 한쌍의 편육 로울러와,
    상기 한쌍의 편육 로울러에 대해 고기를 자동 공급하기 위하여 상기 틀체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착탈 자재되는 투입용 컨베이어와,
    상기 한쌍의 편육 로울러를 통과하면서 연육 및 편육 처리가 완료된 고기를 받아 배출시키기 위하여 상기 틀체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착탈자재되는 배출용 컨베이어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편육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편육 로울러의 외주면으로는 고기의 연육 및 편육 처리 과정에서 고기가 표면에 달라 붙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코팅층이 형성되어 짐을 특징으로 하는 편육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층은 테프론 코팅층임을 특징으로 하는 편육기.
  4.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편육 로울러에대하여 마름모꼴 형태의 편육면들을 형성하기 위한 골은 그 깊이(D)가 약2㎜정도이고, 또 폭(W)은 약4㎜정도이며, 또 각 골과의 사이 간격(I)은 약 10㎜정도로 가공 형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편육기.
KR20-2004-0022920U 2004-08-11 2004-08-11 편육기 KR20036564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2920U KR200365645Y1 (ko) 2004-08-11 2004-08-11 편육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2920U KR200365645Y1 (ko) 2004-08-11 2004-08-11 편육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63111A Division KR100585969B1 (ko) 2004-08-11 2004-08-11 편육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65645Y1 true KR200365645Y1 (ko) 2004-10-25

Family

ID=494397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22920U KR200365645Y1 (ko) 2004-08-11 2004-08-11 편육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65645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00108426A1 (en) Glassware cleaning and drying equipment for medical experiments
CN110624878A (zh) 一种茯苓切片式去皮装置
KR100585969B1 (ko) 편육기
KR100286062B1 (ko) 박피기
KR200365645Y1 (ko) 편육기
JP5995391B1 (ja) 根菜類などの皮むき装置
KR101628745B1 (ko) 생육 세절 또는 연육 가공기
KR20100066257A (ko) 떡 절단장치
KR101465883B1 (ko) 양파 자동절단장치
KR100402968B1 (ko) 박피기
CN112656015A (zh) 一种烧烤用面筋串自动串签机
KR101980667B1 (ko) 구이도구 세척기
KR200316203Y1 (ko) 닭고기 절단기
JP5231966B2 (ja) ニーダー
JP3002410B2 (ja) 棒状野菜の皮むき装置
CN211298238U (zh) 一种面皮加工装置
CN208542326U (zh) 一种卡扣连接的绞肉机绞肉装置
CN105639675A (zh) 具有清洗、脱毛、去皮功能的果蔬加工机器
US6533652B2 (en) Continuous roe separating apparatus
KR100289068B1 (ko) 박피기
CN219479069U (zh) 一种牛排嫩化装置
KR102354676B1 (ko) 무 탈피장치
CN211721803U (zh) 一种新型薯类脱皮机
ITPR990032A1 (it) Prodotto atto alla valorizzazione alimentare delle ali dei calamari eprocedimento ed attrezzatura per l&#39;ottenimento di detto prodotto.
JP3756384B2 (ja) 練製品の成形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1013

Year of fee payment: 3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