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33820A - 자동차용 리어 도어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리어 도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33820A
KR19990033820A KR1019970055254A KR19970055254A KR19990033820A KR 19990033820 A KR19990033820 A KR 19990033820A KR 1019970055254 A KR1019970055254 A KR 1019970055254A KR 19970055254 A KR19970055254 A KR 19970055254A KR 19990033820 A KR19990033820 A KR 199900338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door lock
inner panel
present
rear 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552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심재철
Original Assignee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양재신
Priority to KR10199700552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33820A/ko
Publication of KR199900338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3820A/ko

Links

Landscapes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리어 도어의 내측패널에 부착되는 도어록 브라켓에 2개의 비드를 지닌 보강부를 형성하여 충돌이 진행되는 과정에서는 도어의 열림을 막는 한편, 충돌 완료후에는 도어를 열 수 있도록하여 환자의 후송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자동차용 리어 도어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도어 인너패널에 부착되는 보강 브라켓은 도어를 닫은 상태에서 스트라이커와 걸어 맞춤되어 열림을 막는 도어록이 고정되는 도어록 장착부(22)와, 이 도어록 장착부(22)로부터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것으로, 2개의 비드(24A)가 형성된 보강부(24)로 이루어져 있다.

Description

자동차용 리어 도어
본 발명은 자동차용 리어 도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리어 도어의 내측패널에 부착되는 도어록 브라켓에 2개의 비드를 지닌 보강부를 연장하여 형성함으로써, 충돌이 진행되는 과정에서는 도어의 열림을 막고 충돌 완료후에는 도어를 열 수 있도록 구성하여 환자의 후송시간을 단축시켜 인명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자동차용 리어 도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에는 승객이 차를 타고 내리거나 화물을 적재할 때 사용하는 다수의 도어(door)가 장착되어 있다. 도어의 종류에는 앞좌석의 승객이 주로 사용하는 프론트 도어와 뒷좌석의 승객이 주로 사용하는 리어 도어가 있으며, 차량에 따라서는 후방의 트렁크와 차 실내 부분을 동시에 개방하는 백 도어를 설치하거나 측면에 사이드 도어를 설치하여 사용하기도 한다.
또한, 도어는 힌지에 의해 차체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며, 어느 한도 이상으로 열리지 않도록 제한하는 도어 체커(door checker)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각각의 도어에는 도어 글래스가 끼워져 있어, 밖을 내다볼 수 있으며, 신선한 외기를 도입하여 실내를 환기시키기도 한다.
도 1은 도어가 장착된 일반적인 자동차의 외형을 보인 사시도이다. 승용차량의 구성은 개략적으로, 엔진을 비롯하여 운행에 필요한 각종 장비들이 내장되어 있는 엔진룸(2)과, 승객의 탑승공간인 차실내를 제공하는 루프(4)와, 스패어 타이어나 작은 짐들을 보관할 수 있는 트렁크(6)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측면에는 프론트 도어(8)와 리어 도어(9)가 개폐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어, 승객이 타고 내릴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구성을 지닌 종래의 자동차용 리어 도어는 충돌 사고시에 도어록이 장착되는 도어록 브라켓이 심하게 변형되면서 찌그러들어 도어 스트라이커와 걸려 있는 도어록이 분리되지 않게 된다. 그에 따라, 도어를 열기 위해서 공기 튜브로 도어록을 도어 스트라이커로부터 강제로 분리시키거나 전동 톱을 이용하여 도어를 절단한 다음, 환자를 꺼내는 과정에서 많은 시간이 소요되며, 응급처치가 지연됨에 따라 부상이 악화되어 인명피해를 초래하는 문제점을 지니고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도어록 브라켓에 2개의 비드를 지닌 보강부를 연장하여 형성함으로써, 차량의 충돌사고 발생시에, 충돌하는 도중에는 도어가 열리지 않도록 하며, 충돌이 완료된 다음에는 도어 인너패널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는 자동차용 리어 도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도어가 장착된 일반적인 자동차의 외형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리어 도어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서 채용한 보강 브라켓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4는 도 3에서 선 Ⅰ-Ⅰ를 따라 취한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리어 도어 12:인너패널
20:도어록 브라켓 22:도어록 장착부
22A:스트라이커 삽입홈 24:보강부
24A:비드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은 아웃패널과 인너패널로 구성되어 있으며, 창틀에는 도어 글래스가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자동차용 리어 도어에 있어서, 인너패널에 부착되는 것으로, 도어를 닫은 상태에서 스트라이커와 걸어 맞춤되어 열림을 막는 도어록이 고정되는 도어록 장착부와, 이 도어록 장착부로부터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것으로, 2개의 비드가 형성된 보강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리어 도어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리어 도어에 의하면, 도어록 브라켓을 연장하여 형성한 보강부에 형성되어 있는 비드에 의해 강성이 증대되므로, 충돌 사고후에도 도어 인너패널이 변형되지 않기 때문에 도어록과 도어 스트라이커의 걸림상태를 해제하여 도어를 열 수 있게 되어, 부상당한 환자를 신속하게 응급조치하거나 병원으로 후송할 수 있으므로 인명피해를 최소로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리어 도어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리어 도어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서 채용한 보강 브라켓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3에서 선 Ⅰ-Ⅰ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2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차량의 전후방 및 측면 충돌 사고시에 도어 인너패널(12)의 변형을 막아 도어를 열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도어록이 장착되는 도어록 브라켓(20)에 보강부(24)를 일체로 형성하였다. 창틀(14)에는 도어 글래스가 끼워져 신선한 외기를 도입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도어록 브라켓(20)은 도어를 닫은 상태에서 도어록과 걸어 맞춤되어 도어가 열리지 않도록 하는 도어 스트라이커가 삽입되는 삽입홈(22A)을 지닌 도어록 장착부(22)와, 이 도어록 장착부(22)로부터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보강부(24)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에서, 보강부(24)에는 2개의 비드(bead)가 형성되어 있어 강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즉,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강부(24)에는 2개의 비드(24A)가 소정의 간격을 두고 나란히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강성을 증대시키게 된다. 그러므로, 외부에서 전달되는 충격에 의해 인너패널(12)이 손상되는 것을 막게 된다.
이러한 구성을 지닌 도어록 브라켓(20)을 인너패널에 장착한 차량에 있어서, 충돌 사고가 발생되는 경우에는 외부로부터 강한 충격이 차체를 통해 도어의 인너패널(12)로 전달된다. 이 때, 인너패널(12)에는 2개의 비드(24A)를 지닌 보강부(24)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도어록 브라켓(20)이 부착되어 있기 때문에, 인너패널(12)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지금까지 설명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리어 도어의 인너패널에 보강부를 지닌 도어록 브라켓을 예시하였으나, 본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그 밖의 다른 변형도 실시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가령, 본 발명의 도어록 브라켓을 차량의 프론트 도어에 적용하여 강성을 증대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으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르면, 도어록 브라켓을 연장하여 형성한 보강부에 형성되어 있는 비드에 의해 강성이 증대되므로, 충돌 사고후에도 도어 인너패널이 변형되지 않기 때문에 도어록과 도어 스트라이커의 걸림상태를 해제하여 도어를 열 수 있게 되어, 부상당한 환자를 신속하게 응급조치하거나 병원으로 후송할 수 있으므로 인명피해를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1)

  1. 아웃패널과 인너패널로 구성되어 있으며, 창틀에는 도어 글래스가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자동차용 리어 도어에 있어서,
    상기 인너패널에 부착되는 것으로, 도어를 닫은 상태에서 스트라이커와 걸어 맞춤되어 열림을 막는 도어록이 고정되는 도어록 장착부(22)와, 이 도어록 장착부(22)로부터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것으로, 2개의 비드(24A)가 형성된 보강부(24)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리어 도어.
KR1019970055254A 1997-10-27 1997-10-27 자동차용 리어 도어 KR1999003382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55254A KR19990033820A (ko) 1997-10-27 1997-10-27 자동차용 리어 도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55254A KR19990033820A (ko) 1997-10-27 1997-10-27 자동차용 리어 도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3820A true KR19990033820A (ko) 1999-05-15

Family

ID=660486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55254A KR19990033820A (ko) 1997-10-27 1997-10-27 자동차용 리어 도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33820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50848B2 (en) Sliding door for a motor vehicle
KR19990033820A (ko) 자동차용 리어 도어
KR200154256Y1 (ko) 자동차의 도어 보강구조
KR0124483Y1 (ko) 차량의 프론트 필러패널 보강구조
KR20010087451A (ko) 자동차의 테일게이트 구조
KR0162153B1 (ko) 차량의 센터 필러 보강구조
JP4058944B2 (ja) 側部車体構造
KR19980043203U (ko) 자동차용 도어 장착구조
KR200146031Y1 (ko) 자동차용 도어어셈블리의 임펙트구조
KR0139027Y1 (ko) 자동차용 도어의 보강구조
KR200224292Y1 (ko) 자동차용 보강 스트라이커
KR0147738B1 (ko) 자동차용 리어도어의 보강구조
KR19980029829A (ko) 차량의 도어글래스 취부보강구조
KR200148456Y1 (ko) 자동차용 도어 센터 가니쉬 조립체
KR20040042455A (ko) 차량의 에이필러 하부 보강구조
KR100219086B1 (ko) 자동차용 후드 밀림 방지구조
JPH0825964A (ja) 自動車のサイドドア構造
KR19980055705A (ko) 자동차의 리어 사이드도어
KR19980043202U (ko) 자동차용 도어의 장착구조
KR19990028337U (ko) 컨버터블 차량의 센터 필러 보강구조
JPH0365432A (ja) 車両のドアウエスト構造
KR19980039805U (ko) 자동차 도어와 센터필러구조
JPH06286462A (ja) 自動車のサイドシル補強構造
JPH0858371A (ja) 自動車ドアー補強装置
KR20010005171A (ko) 자동차용 도어의 보강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SUBM Submission of document of abandonment before or after decis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