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87451A - 자동차의 테일게이트 구조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테일게이트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87451A
KR20010087451A KR1019990068324A KR19990068324A KR20010087451A KR 20010087451 A KR20010087451 A KR 20010087451A KR 1019990068324 A KR1019990068324 A KR 1019990068324A KR 19990068324 A KR19990068324 A KR 19990068324A KR 20010087451 A KR20010087451 A KR 200100874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ilgate
panel
handle portion
vehicle
de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683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호건
Original Assignee
이계안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계안,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계안
Priority to KR10199900683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0087451A/ko
Publication of KR200100874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87451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10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rea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Type of wing
    • E05Y2900/531Doors
    • E05Y2900/532Back doors or end do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Type of wing
    • E05Y2900/546Tailboards, tailgates or sideboards opening upwar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테일게이트 구조에 관한 것으로, 테일게이트의 내부에서 각종 손잡이부와 래치조립체 사이에 설치되어 도어의 잠금상태를 해제시키도록 손잡이부에 가해진 조작력을 래치조립체에 전달하는 작동로드를 충돌시 변형되는 도어패널로부터 보호할 수 있게 함으로써, 후방충돌사고시 원치 않는 래치조립체의 해제작동을 배제할 수 있도록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바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외측패널(10a)과 내측패널(10b)이 형성하는 공간내에 내측 손잡이부(12)와 외측 손잡이부(14) 및 키이조립체(16)를 각각 고정함과 더불어, 상기 내측 손잡이부(12)와 외측 손잡이부(14) 및 키이조립체(16)로부터 각각 래치조립체(18)로의 조작력을 전달하도록 설치된 작동로드(20)를 갖춘 자동차의 테일게이트에 있어서, 상기 작동로드(20)의 근처에는 가장자리부위가 외측패널(10a)상에 접합되어 고정되면서 중앙부위가 내측패널(10b) 내지 트림부재(21)를 향해 돌출되도록 형성된 변형억제용 보강부재(24)가 설치되어, 후방충돌사고시 외측패널(10a)의 변형을 최소화시켜 작동로드(20)의 변형을 줄일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자동차의 테일게이트 구조{tail gate structure for automobile}
본 발명은 자동차의 테일게이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도어손잡이와 래치 사이를 연동시켜 주는 작동로드가 충돌시 테일게이트로 전달되는 충격력에의해 밀림에 따라 발생되는 래치조립체의 해제작동을 배제하여 탑승자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하는 자동차의 테일게이트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차체에는 승객의 승/하차나, 화물의 적재 및 하적을 위해 개폐가 이루어지는 도어를 구비하고 있는 바, 이와 같은 도어중에서 상하방향으로 회동되면서 개폐가 이루어지는 이른 바 리프트-업타입(lift-up type)의 테일게이트(tail gate)는 주로 해치백(hatch back)형태의 차량에서 후방문으로 널리 채택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상기 테일게이트(10)에서 도어의 개폐시 사용되는 잠금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테일게이트(10)의 내/외부에 각각 도어의 개폐시 조작하도록 된 내측 손잡이부(12) 및 외측 손잡이부(14)와, 외부에서 열쇠를 통해 도어를 잠그거나 해제시키도록 된 키이조립체(16)와, 상기 내측 손잡이부(12)와 외측 손잡이부(14) 및 키이조립체(16)의 조작에 따라 상기 테일게이트(10)를 차체측에 잠금상태를 해지상태로 전환시켜 주도록 된 래치조립체(18) 및, 상기 내측 손잡이부(12)와 외측 손잡이부(14) 및 키이조립체(16)로 가해진 조작력을 각각 래치조립체(18)에 전달시키도록 내측 손잡이부(12)와 외측 손잡이부(14) 및 키이조립체(16)로부터 각각 래치조립체(18)에 연결되도록 설치된 작동로드(20)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테일게이트(10)의 잠금장치는 도어글래스(11)의 하단부위로 돌출되어 차실내에서 상기 래치조립체(18)의 잠금상태를 인위적으로 유지시켜 주는 잠금노브(22)를 더 포함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테일게이트(10)의 잠금장치에서 외측 손잡이부(14)와 래치조립체(18) 사이에 배치되는 작동로드(2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테일게이트(10)의 외측패널(10a)상에 고정설치된 외측 손잡이부(14)에 일측 선단이 결합되고, 이 작동로드(20)의 타측 선단은 상기 테일게이트(10)를 형성하는 외측패널(10a)과 내측패널(10b) 사이의 빈공간을 따라 하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테일게이트(10)의 하단부에 설치된 래치조립체(18)에 연결되어 있다.
도면중 미설명부호 10c는 내측패널(10b)상에 접합되는 보강패널이고, 21은 테일게이트(10)의 내장재인 트림부재이며, 22는 후미차체측에 고정설치되어 래치조립체(18)의 래치(18a)와 체결되는 스트라이커인 한편, 23은 테일게이트(10)의 외측패널(10a)상에 접합되는 가니쉬이다.
이에 따라, 상기 외측 손잡이부(14)를 당기게 되면, 이에 일측 선단이 연결된 작동로드(20)가 하방향으로 밀리게 되고, 이 작동로드(20)에 의해 조작력을 전달받은 래치조립체(18)의 래치(18a)는 스트라이커(22)로부터 이탈되어 테일게이트(10)의 개방이 이루어지게 된다.
그런데, 종래 테일게이트(10)상에 설치된 잠금장치는 차량이 일정속도이상으로 주행시 차속을 감지하여 자동적으로 래치조립체(18)를 작동되게 하는 속도감지형의 자동잠금장치나, 운전자가 운전석에서 버튼을 조작하여 차량에 구비된 각 도어의 래치조립체(18)를 각각 동시에 잠그게 되는 운전석 도어집중잠금장치가 아닌 경우에는, 후방충돌사고시 상기 테일게이트(10)로 가해지는 충격력에 의해 외측패널(10a)이 차실내로 밀리게 되고, 이 외측패널(10a)의 변형에 따라 상기 외측패널(10a)과 내측패널(10b) 사이의 공간으로 배치된 작동로드(20)도 변형되어래치조립체(18)를 해제되도록 작동시키게 되므로, 후방충돌사고시 잠금상태가 해제된 테일게이트(10)를 통해 차실내에서 후방좌석으로 탑승한 승객이 차량의 외부로 튕겨져 나가게 되는 2차 사고의 유발을 초래하게 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상기 테일게이트(10)의 내측패널(10b)은 외측패널(10a)과는 달리 상기 내측 손잡이부(12)와 외측 손잡이부(14) 및 키이조립체(16)로부터 래치조립체(18) 사이에 연결되도록 배치되는 작동로드(20)와의 간섭 내지 테일게이트(10)내 설치되는 각종 부품류와의 간섭을 배제하기 위해 부분적으로 절개된 형태로 형성되는 데, 이에 따라 상기 테일게이트(10)의 개폐시 상대적으로 강성이 취약한 절개부위가 떨리게 되어 소음을 유발하게 되는 단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단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테일게이트의 내부에서 각종 손잡이부와 래치조립체 사이에 설치되어 도어의 잠금상태를 해제시키도록 손잡이부에 가해진 조작력을 래치조립체에 전달하는 작동로드를 충돌시 변형되는 도어패널로부터 보호할 수 있게 함으로써, 후방충돌사고시 원치 않는 래치조립체의 해제작동을 배제할 수 있도록 하는 자동차의 테일게이트 구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외측패널과 내측패널이 형성하는 공간내에 내측 손잡이부와 외측 손잡이부 및 키이조립체를 각각 고정함과 더불어, 상기 내측 손잡이부와 외측 손잡이부 및 키이조립체로부터 각각 래치조립체로의 조작력을 전달하도록 설치된 작동로드를 갖춘 자동차의 테일게이트에 있어서,상기 작동로드의 근처에는 일측이 외측패널상에 접합되어 고정되면서 타측이 내측패널 내지 트림부재를 향해 돌출되도록 형성된 변형억제용 보강부재가 설치되어, 후방충돌사고시 외측패널의 변형을 최소화시켜 작동로드의 변형을 줄일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종래 자동차의 테일게이트에 구비된 잠금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상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테일게이트의 종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테일게이트의 종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테일게이트 10a-외측패널
10b-내측패널 12-내측 손잡이부
14-외측 손잡이부 16-키이조립체
18-래치조립체 20-작동로드
24-변형억제용 보강부재 26-강성보강용 연결부재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테일게이트의 종단면도인 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상세한 기술을 위해 종래 테일게이트의 잠금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 1 내지 도 2에서와 동일한 참조부위에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병기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의 후미에서 차체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테일게이트(10)는 잠금장치의 작동을 통해 차체에 잠금상태 내지 해제상태로 각각 전환되는 바, 이 잠금장치는 차실내 또는 차실외에서 각각 도어의 개폐시 조작하도록 된 내측 손잡이부(12) 및 외측 손잡이부(14)와, 외부에서 열쇠를 통해 도어를 잠그거나 해제시키도록 된 키이조립체(16)와, 상기 내측 손잡이부(12)와 외측 손잡이부(14) 및 키이조립체(16)의 조작에 따라 상기 테일게이트(10)를 차체측에 잠금상태를 해지상태로 전환시켜 주도록 된 래치조립체(18) 및, 상기 내측 손잡이부(12)와 외측 손잡이부(14) 및 키이조립체(16)로 가해진 조작력을 각각 래치조립체(18)에 전달시키도록 내측 손잡이부(12)와 외측 손잡이부(14) 및 키이조립체(16)로부터 각각 래치조립체(18)에 연결되도록 설치된 작동로드(20)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테일게이트(10)의 외측패널(10a)과 내측패널(10b) 사이의 빈공간내에는 가장자리부위가 외측패널(10a)상에 접합되어 고정되면서 중앙부위가 트림부재(21)를 향해 돌출되도록 형성된 변형억제용 보강부재(24)가 설치되어 있는 바, 이 변형억제용 보강부재(24)는 외측 손잡이부(14)로부터의 조작력을 래치조립체(18)에 전달하도록 설치되는 작동로드(20)의 근방에서 이와의 간섭을 회피한 상태로 고정되어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변형억제용 보강부재(24)가 테일게이트(10)의 외측패널(10a)상에 설치되면, 후방충돌사고시 테일게이트(10)의 외측패널(10a)을 통해 전달되는 충격력에 의해 외측패널(10a)이 차실내측으로 밀리도록 변형되면서 작동로드(20)에 충격력을 가하게 될 때, 상기 변형억제용 보강부재(24)가 외측패널(10a)의 변형에 대한 억제력을 부여하게 된다.
그 결과, 상기 작동로드(20)는 후방충돌사고시 발생되는 충격력에 의해서도 변형되는 양이 최소화될 수 있어, 상기 작동로드(20)의 변형에 따라 래치조립체(18)의 원치 않는 해제작동으로 인한 테일게이트(10)의 개방을 방지할 수 있게 되고, 이에 따라 후방충돌사고시 상기 테일게이트(10)의 원치 않는 개방으로 인해 후방좌석에 탑승한 승객의 차량의 외부로 튕겨져 나가면서 발생하는 2차사고의 위험이 줄어들게 된다.
한편, 상기 변형억제용 보강부재(24)는 외측 손잡이부(14)와 래치조립체(18) 사이에 설치된 작동로드(20)의 부근에는 물론, 상기 내측 손잡이부(12)와 키이조립체(16)로부터 각각 조작력을 래치조립체(18)에 전달하도록 설치되는 작동로드(20)의 근방에서 이와의 간섭을 회피한 상태로 설치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테일게이트(10)의 내측패널(10b)에서 내측 손잡이부(12)와 외측 손잡이부(14) 및 키이조립체(16)로부터 래치조립체(18) 사이에 연결되도록 배치되는 작동로드(20)와의 간섭 내지 테일게이트(10)내 설치되는 각종 부품류와의 간섭을 배제하기 위해 부분적으로 절개된 형태로 형성되는 내측패널(10b)의 절개된 부위에는 작동로드(20) 내지 각종 부품류와의 간섭을 회피한 상태로 절개된 부위 사이를 연결시켜 주는 강성보강용 연결부재(26)가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강성보강용 연결부재(26)는 부분적으로 절개된 형태의 내측패널(10b)의 절개부위에 따라 적절하게 절곡되어 절개된 부위를 효과적으로 연결시키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상기 테일게이트(10)의 내측패널(10b)에 절개된 부위 사이를 연결시키도록 강성보강용 연결부재(26)가 설치되면, 상기 테일게이트(10)의 개폐시 외측패널(10a)에 비해 상대적으로 강성이 취약한 내측패널(10b)의 절개부위에서 떨림에 의해 발생되던 소음의 정도가 줄어들 수 있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테일게이트 구조에 의하면, 상기 테일게이트(10)의 내측 손잡이부(12)와 외측 손잡이부(14) 및 키이조립체(16)로부터 각각 조작력을 래치조립체(18)에 전달하도록 설치된 작동로드(20)의 부근에 후방충돌사고시 외측패널(10a)의 변형을 억제시킬 수 있는 변형억제용 보강부재(24)가 설치됨으로써, 충돌시 작동로드(20)의 변형을 최소화시킴과 더불어, 상기 래치조립체(18)의 원치않는 해제작용을 방지할 수 있어, 상기 테일게이트(10)의 개방으로 인해 후방좌석에 탑승한 승객이 차량의 외부로 튕겨져 나가면서 입게 되는 2차 상해를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된다.

Claims (2)

  1. 외측패널(10a)과 내측패널(10b)이 형성하는 공간내에 내측 손잡이부(12)와 외측 손잡이부(14) 및 키이조립체(16)를 각각 고정함과 더불어, 상기 내측 손잡이부(12)와 외측 손잡이부(14) 및 키이조립체(16)로부터 각각 래치조립체(18)로의 조작력을 전달하도록 설치된 작동로드(20)를 갖춘 자동차의 테일게이트에 있어서,
    상기 작동로드(20)의 근처에는 가장자리부위가 외측패널(10a)상에 접합되어 고정되면서 중앙부위가 내측패널(10b) 내지 트림부재(21)를 향해 돌출되도록 형성된 변형억제용 보강부재(24)가 설치되어, 후방충돌사고시 외측패널(10a)의 변형을 최소화시켜 작동로드(20)의 변형을 줄일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테일게이트 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패널(10b)의 절개된 부위 사이에는 강성보강용 연결부재(26)가 주변부품들과의 간섭없이 고정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테일게이트 구조.
KR1019990068324A 1999-12-31 1999-12-31 자동차의 테일게이트 구조 KR2001008745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68324A KR20010087451A (ko) 1999-12-31 1999-12-31 자동차의 테일게이트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68324A KR20010087451A (ko) 1999-12-31 1999-12-31 자동차의 테일게이트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87451A true KR20010087451A (ko) 2001-09-21

Family

ID=196354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68324A KR20010087451A (ko) 1999-12-31 1999-12-31 자동차의 테일게이트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0087451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6945B1 (ko) * 2002-06-11 2004-11-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화물용 승합차량의 테일 게이트 열림구조
US8079631B2 (en) * 2009-11-18 2011-12-20 Toyota Motor Engineering & Manufacturing North America, Inc. Method and system for guiding a drive rod in a door after an impact to the door
US8128151B2 (en) * 2009-09-11 2012-03-06 Toyota Motor Engineering & Manufacturing North America, Inc. Method and system for disengaging a drive rod in a door after an impact to the door
US8235451B2 (en) 2009-11-16 2012-08-07 Toyota Motor Engineering & Manufacturing North America, Inc. Method and system for deforming a drive rod in a door after an impact to the door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3817U (ja) * 1991-08-06 1993-02-23 ダイハツ工業株式会社 自動車のバツクドア補強構造
JPH06211049A (ja) * 1993-01-19 1994-08-02 Toyota Motor Corp 自動車のバックドアの補強構造
KR970021776U (ko) * 1995-11-27 1997-06-18 차량의 테일게이트 보강구조
KR19980031341A (ko) * 1996-10-31 1998-07-25 김영귀 차량의 백도어 보강구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3817U (ja) * 1991-08-06 1993-02-23 ダイハツ工業株式会社 自動車のバツクドア補強構造
JPH06211049A (ja) * 1993-01-19 1994-08-02 Toyota Motor Corp 自動車のバックドアの補強構造
KR970021776U (ko) * 1995-11-27 1997-06-18 차량의 테일게이트 보강구조
KR19980031341A (ko) * 1996-10-31 1998-07-25 김영귀 차량의 백도어 보강구조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6945B1 (ko) * 2002-06-11 2004-11-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화물용 승합차량의 테일 게이트 열림구조
US8128151B2 (en) * 2009-09-11 2012-03-06 Toyota Motor Engineering & Manufacturing North America, Inc. Method and system for disengaging a drive rod in a door after an impact to the door
US8398148B2 (en) 2009-09-11 2013-03-19 Toyota Motor Engineering & Manufacturing North America, Inc. Method and system for disengaging a drive rod in a door after an impact to the door
US8235451B2 (en) 2009-11-16 2012-08-07 Toyota Motor Engineering & Manufacturing North America, Inc. Method and system for deforming a drive rod in a door after an impact to the door
US8079631B2 (en) * 2009-11-18 2011-12-20 Toyota Motor Engineering & Manufacturing North America, Inc. Method and system for guiding a drive rod in a door after an impact to the doo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275539B1 (en) Door structure for vehicle
JP3975606B2 (ja) 自動車の側部構造
US7360808B2 (en) Handle apparatus for vehicle door
KR200266242Y1 (ko) 자동차의 도어구조
KR20200107613A (ko) B-필라리스 대향형 슬라이딩 도어
JP3925008B2 (ja) 自動車のシートベルト装置
US20020036415A1 (en) Sliding door for a motor vehicle
KR20010087451A (ko) 자동차의 테일게이트 구조
JP4807566B2 (ja) 自動車のドア構造
JP4724969B2 (ja) 車両のドア構造
JP4724968B2 (ja) 車両のドア構造
JP3967827B2 (ja) 車両用ドアの補強構造
JP7145410B2 (ja) 車両用ドア構造
KR100372417B1 (ko) 잠금 해제 방지기능을 갖는 차량용 도어
JP4237858B2 (ja) サイドドアのドア構造
JP4747832B2 (ja) 車両のスマートキーレス装置
JP3244805B2 (ja) 車両のインパネ形成方法
JP4706139B2 (ja) 車両のドア構造
JP4058944B2 (ja) 側部車体構造
KR200224292Y1 (ko) 자동차용 보강 스트라이커
JPH0825964A (ja) 自動車のサイドドア構造
KR200146703Y1 (ko) 자동차 도어구조
EP1094182A2 (en) A vehicle door latching assembly
KR200154256Y1 (ko) 자동차의 도어 보강구조
KR100239321B1 (ko) 도어 암레스트의 보강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