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31754U - 자동차 주차레버의 구조 - Google Patents

자동차 주차레버의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31754U
KR19990031754U KR2019970044499U KR19970044499U KR19990031754U KR 19990031754 U KR19990031754 U KR 19990031754U KR 2019970044499 U KR2019970044499 U KR 2019970044499U KR 19970044499 U KR19970044499 U KR 19970044499U KR 19990031754 U KR19990031754 U KR 19990031754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king lever
window switch
spring
button
planar exten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4449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일진
Original Assignee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양재신
Priority to KR2019970044499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31754U/ko
Publication of KR1999003175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1754U/ko

Links

Landscapes

  • 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Devices For Change-Speed Gear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주차레버(40)의 손잡이부인 선단부 저면에 하향으로 개구되는 수납부가 형성되고, 상기 수납부 내부에 상하방향으로 탄발력이 작용되도록 하는 스프링이 장착되며, 선단부에 전방으로 돌출되는 평면연장부가 형성되어, 상기 수납부의 스프링에 탄지되도록 하는 버튼(41)이 수납부의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고, 상기 평면연장부에 도어의 유리승강장치를 전기적으로 제어하는 윈도우스위치(42)가 장치되도록 구성하여, 주행중에 조작하는 경우 전방을 주시하면서 윈도우스위치(42)를 조작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하므로 사용이 편리하고 안전성이 향상되도록 하며, 주차레버(40)를 콘솔박스의 중앙부에 위치되게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하는 자동차 주차레버의 구조이다.

Description

자동차 주차레버의 구조
본 고안은 자동차 주차레버의 구조에 관한 것으로, 도어의 창문을 개폐하는 윈도우스위치를 주차브레이크의 주차레버 선단부에 장치하여, 주차레버의 위치가 콘솔박스의 중앙에 위치되도록 하고, 주차레버 및 윈도우스위치의 조작이 편리하도록 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는 도 1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기관이 탑재되고 상부에 후드(11)가 개폐 가능하게 덮여지는 기관실이 차체(10) 선단부에 형성되고, 차체(10) 후단부쪽에 소정의 적재공간으로 되고 트렁크리드(12)가 개폐 가능하게 덮여지는 트렁크실이 형성되며, 상기 기관실과 트렁크실 사이에 루프(13)가 덮이고 양측 개구부에 도어(14)가 개폐 가능하게 장치되며 내부에 운전장치와 승원 착좌용 의자들이 설치되는 객실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에서, 도어(14)는 내측판넬과 외측판넬이 소정의 공간을 두고 외곽부에 의해 결합되며, 내부공간에 도어(14)의 상부쪽에 형성되는 창문의 유리(15)가 유리승강장치에 의해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내측판넬의 실내측면에 트림이 취부되어 있다.
한편, 객실 내에는 도 2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후단부에 수납상자가 일체로 형성되는 콘솔박스(20)가 승원이 착좌하는 실내의 양 앞좌석 사이에서 바닥 상면에 취부되고, 상기 앞좌석 앞쪽의 실내 전면부에 각종 계기류 및 조절장치들이 장착되고 콘솔박스(20)의 선단부에 중간 하단부가 연결되는 인스트루먼트판넬(instrument panel)(30)이 취부되어, 각종 장치들의 일부분이 콘솔박스(20) 또는 인스트루먼트판넬(30)에 의해 은폐되므로 실내외관이 미려하도록 하고, 사용자가 콘솔박스(20)와 인스트루먼트판넬(30)에 장치되는 각종 편의시설들을 이용하므로 편리성이 향상되도록 되어 있다.
여기에서, 콘솔박스(20)는 중간부 일측에 관통구멍이 형성되어 주차브레이크장치에 제어 가능하게 연결되는 주차레버(40)가 관통되게 장치되고, 상기 주차레버(40)의 선단 하부쪽에 각 도어(14)의 유리승강장치에 전기적으로 제어 가능하게 연결되는 복수개의 윈도우스위치(21)가 장치되어 있다.
이와같이 구성되는 종래 콘솔박스는, 운전자가 의자에 앉은 상태에서 오른손을 사용하여 윈도우스위치(21)를 조작하면 유리승강장치의 구동모터에 전원이 인가되어 도어(14)의 유리(15)가 상하로 이동되도록 하므로 창문이 개폐되도록 하며, 또한 오른손을 사용하여 주차레버(40)를 조작하면 케이블에 의해 주차브레이크장치가 작동되어 차량의 정지상태가 유지되거나 정지상태가 해제되도록 한다.
한편, 주차레버(40)는 하단부가 객실의 플로어에 취부되는 브라켓에 제한회동이 가능하게 지지되고, 내부에 구멍이 형성되어, 상기 구멍 내부에 로드가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힌지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회전후크가 주차레버(40)와 함께 회전이동되는 래치에 제어 가능하게 접촉되며, 상기 로드의 후단부가 상기 회전후크에 구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또한, 후단부에 브레이크장치에 연결되는 케이블이 연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선단부에 상기 로드에 의해 회동상태를 제어하는 버튼(41)이 스프링에 탄지되어 있다.
이러한 주차레버(40)는 버튼(41)을 누르면 로드에 의해 하단부의 잠김상태가 해제되어 회동이 가능하게 되고, 버튼(41)을 놓으면 하단부가 잠겨져 회동이 제한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자동차는 콘솔박스(20)에 도어(14)의 윈도우스위치(21)가 취부되어 주행중에 조작하는 경우 전방집중이 태만하게 되고, 전방을 주시하면서 조작하는 경우는 더듬어 찾게 되는 불편함이 있었으며, 윈도우스위치(21)로 인해 주차레버(40)가 측부로 치우쳐 설치되므로 인해 설치구조가 다소 복잡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주차레버의 선단부 구조를 개선하여 윈도우스위치가 상기 주차레버의 선단부에 장치되도록 하므로, 주차레버가 콘솔박스의 중앙부에 위치될 수 있도록 하고, 윈도우스위치의 조작이 편리하도록 하는 것이다.
도 1 은 일반적인 자동차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 는 종래 자동차의 콘솔박스 및 윈도우스위치 취부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 은 본 고안 윈도우스위치의 취부구조를 나타내는 주차레버의 측면도
도 4 는 본 고안 윈도우스위치의 취부구조를 나타내는 주차레버의 평면도
*도면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40;주차레버 41;버튼 42;윈도우스위치
본 고안은 도 3과 도 4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주차레버(40)의 일단부가 힌지에 의해 차체에 회전이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주차레버(40) 내부에 구멍이 형성되어, 상기 구멍 내부에 로드가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힌지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회전후크가 주차레버(40)와 함께 회전이동되는 래치에 제어 가능하게 접촉되며, 상기 로드의 후단부가 상기 회전후크에 구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단, 본 고안은 주차레버(40)의 손잡이부인 선단부 저면에 하향으로 개구되는 수납부가 형성되고, 상기 수납부 내부에 상하방향으로 탄발력이 작용되도록 하는 스프링이 장착되며, 선단부에 전방으로 돌출되는 평면연장부가 형성되어, 상기 수납부의 스프링에 탄지되도록 하는 버튼(41)이 수납부의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고, 도어의 유리승강장치에 전기적으로 제어 가능하게 연결되는 윈도우스위치(42)가 상기 평면연장부에 장치됨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기본 특징으로 한다.
이와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은, 주차레버(40)의 손잡이부를 잡으면 버튼(41)이 동시에 잡히게 되어, 버튼(41)을 상부로 가압하면 버튼(41)이 스프링을 가압시키며 후단부가 선단부의 힌지를 중심으로 회동되게 되고, 이로인해 로드가 버튼(41)의 후단부를 따라 연동되어 회전후크를 조작하도록 한다. 또한, 주차레버(40)를 당긴상태에서 손잡이의 저면부에 가해지는 가압력을 저감시키면 버튼(41)이 스프링의 탄발력에 의해 힌지를 중심으로 하향 회동되고 로드가 복원되어, 회전후크가 주차레버(40)의 래치에 체결되므로 회동이 제어되도록 한다.
한편, 이러한 본 고안은 주차레버(40)를 잡은 오른손의 손가락으로 윈도우스위치(42)를 조작하며, 주차레버(40)를 잡은 상태에서 손가락만 움직이면 윈도우스위치(42)의 조작이 가능하도록 하므로, 눈으로 직접 확인하지 않을 지라도 조작이 용이하도록 한다.
즉, 이러한 본 고안은 주차레버(40)에 도어의 윈도우스위치(42)가 취부되어 주행중에 조작하는 경우 전방을 주시하면서 조작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하므로 사용이 편리하고 안전성이 향상되도록 하며, 주차레버(40)를 콘솔박스의 중앙부에 위치되게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한다.
이와같이 구성되고 작동되는 본 고안은, 주차레버의 선단부 구조가 개선되어 윈도우스위치가 상기 주차레버의 선단부에 장치되도록 하므로, 주차레버가 콘솔박스의 중앙부에 위치될 수 있도록 하고, 윈도우스위치의 조작이 편리하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Claims (1)

  1. 주차브레이크장치를 제어하는 레버에 있어서,
    손잡이부인 선단부 저면에 하향으로 개구되는 수납부가 형성되고, 상기 수납부 내부에 상하방향으로 탄발력이 작용되도록 하는 스프링이 장착되며, 선단부에 전방으로 돌출되는 평면연장부가 형성되어, 상기 수납부의 스프링에 탄지되도록 하는 버튼(41)이 수납부의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고, 도어의 유리승강장치에 전기적으로 제어 가능하게 연결되는 윈도우스위치(42)가 상기 평면연장부에 장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주차레버의 구조.
KR2019970044499U 1997-12-31 1997-12-31 자동차 주차레버의 구조 KR19990031754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44499U KR19990031754U (ko) 1997-12-31 1997-12-31 자동차 주차레버의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44499U KR19990031754U (ko) 1997-12-31 1997-12-31 자동차 주차레버의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1754U true KR19990031754U (ko) 1999-07-26

Family

ID=696964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44499U KR19990031754U (ko) 1997-12-31 1997-12-31 자동차 주차레버의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31754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454693A (zh) * 2022-02-24 2022-05-10 浙江吉利控股集团有限公司 前排中央扶手、汽车及车窗控制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454693A (zh) * 2022-02-24 2022-05-10 浙江吉利控股集团有限公司 前排中央扶手、汽车及车窗控制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04888B1 (ko) 차량용 오토 플러쉬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 조립체
US20050146159A1 (en) Sliding door and safety device thereof
KR19990031754U (ko) 자동차 주차레버의 구조
KR100738305B1 (ko) 자동차의 콘솔박스 덮개 개폐장치
JP7328249B2 (ja) 開放パネルを開けるための装置およびこのような装置を備える車両
KR100350527B1 (ko) 차량의 키보드 설치 구조
KR100526896B1 (ko) 자동차용 프론트 컵홀더
US7159928B2 (en) Vehicle door insert
KR200150172Y1 (ko) 자동차용 도어 장치
KR100457674B1 (ko) 자동 개폐식 시크리트 커버
KR102664047B1 (ko) 자동차 도어용 인사이드 핸들
KR100526895B1 (ko) 자동차용 센터 컵홀더
JPS5915737Y2 (ja) 後方視界用小窓をそなえた車体構造
KR100534319B1 (ko) 자동차의 플로워콘솔용 메모패드장치
KR940006740Y1 (ko) 승용차 뒷좌석 아암레스트 내부공간을 이용한 리모트콘트롤 안착장치
KR100381223B1 (ko) 자동차용 암 레스트
KR20040051755A (ko) 자동차용 테일 게이트 트림의 자동 열림 장치
KR100219367B1 (ko) 자동차 윈도우 작동 핸들의 구조
JPH0687329A (ja) 車両用ドアのプルハンドル出入れ装置
KR200157666Y1 (ko) 파워 윈도우 스위치와 인너핸들 겸용레버
KR100251356B1 (ko) 자동차의 도어 록크 노브의 안전장치
KR19980054299A (ko) 암레스트의 전동지압기
JPH0817292A (ja) 自動車用スイッチ
KR19990030392U (ko) 궤적형 도어아웃사이드핸들
JP2000326729A (ja) パワードア操作部およびパワードア開閉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C193 Request for withdrawal (abandon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