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64047B1 - 자동차 도어용 인사이드 핸들 - Google Patents

자동차 도어용 인사이드 핸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64047B1
KR102664047B1 KR1020220158613A KR20220158613A KR102664047B1 KR 102664047 B1 KR102664047 B1 KR 102664047B1 KR 1020220158613 A KR1020220158613 A KR 1020220158613A KR 20220158613 A KR20220158613 A KR 20220158613A KR 102664047 B1 KR102664047 B1 KR 1026640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ide handle
rotated
door
rotation position
la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586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정훈
Original Assignee
유한회사 아이티더블유오토모티브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한회사 아이티더블유오토모티브코리아 filed Critical 유한회사 아이티더블유오토모티브코리아
Priority to KR10202201586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6404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640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640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79/00Mounting or connecting vehicle locks or parts thereof
    • E05B79/10Connections between movable lock parts
    • E05B79/22Operative connections between handles, sill buttons or lock knobs and the lock uni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12Lower door structure
    • B60J5/0415Outer panel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79/00Mounting or connecting vehicle locks or parts thereof
    • E05B79/02Mounting of vehicle locks or parts thereof
    • E05B79/06Mounting of handles, e.g. to the wing or to the lock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79/00Mounting or connecting vehicle locks or parts thereof
    • E05B79/10Connections between movable lock parts
    • E05B79/20Connections between movable lock parts using flexible connections, e.g. Bowden cabl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1/00Power-actuated vehicle locks
    • E05B81/02Power-actuated 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actuators used
    • E05B81/04Electrical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5/00Details of vehicle locks not provided for in groups E05B77/00 - E05B83/00
    • E05B85/10Handles
    • E05B85/12Inner door handl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44Flexible elongated pulling elements
    • E05Y2201/654Cabl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Type of wing
    • E05Y2900/531Do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브라켓; 상기 브라켓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동일한 회전 방향을 따라 제1 각도로 회전된 제1 회전 위치와 상기 제1 각도 보다 큰 제2 각도로 회전된 제2 회전 위치로 회전 조작되도록 형성되는 조작 레버; 도어 래치를 해제시키는 전동 액츄에이터에 연결되고, 상기 조작 레버가 상기 제1 회전 위치로 회전 조작됨에 따라 활성화되어 상기 전동 액츄에이터를 작동시키는 작동 스위치; 및 상기 조작 레버에 연결되고, 상기 조작 레버가 상기 제2 회전 위치로 회전 조작됨에 따라 당겨져서 상기 도어 래치를 해제시키는 래치 케이블을 포함하는, 자동차 도어용 인사이드 핸들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자동차 도어용 인사이드 핸들{INSIDE HANDLE FOR DOOR OF AUTOMOBILE}
본 발명은 자동차의 도어를 개방하기 위해 도어 래치의 잠금 상태를 해제하는데 사용되는 인사이드 핸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는 수많은 부품으로 구성되지만, 크게 보면 겉 구조물인 차체(Body)와 각종 장치들이 유기적으로 연결된 섀시(Chassis)로 나뉠 수 있다.
차체는 크게 엔진실, 승객실, 그리고 트렁크로 구성되어 있다. 자동차의 차체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은 섀시라 한다. 섀시는 주행의 원동력이 되는 자동차 엔진을 비롯하여 동력전달 장치, 조향 장치, 현가 장치, 제동 장치 등 주요 장치를 갖추고 있다.
차체의 엔진실, 승객실, 트렁크에는 각 실내 공간을 개폐하기 위한 도어가 설치된다. 이 중에서, 주로 승객실 도어에는 외측뿐만 아니라 내측에도 도어 개폐를 위한 핸들이 설치된다. 후자는 인사이드 핸들이라 칭해져서, 전자인 아웃사이드 핸들과 구별된다.
인사이드 핸들은 종래 기계식으로 작동하던 것이 주류였으나, 최근에는 전기식으로 작동하는 것도 도어에 적용되고 있다. 전기식 인사이드 핸들이 있다하더라도, 그의 고장을 대비하여 기계식 인사이드 핸들이 또한 갖추어진다.
주로 사용되는 전기식 인사이드 핸들은 사용자가 찾기 쉬운 곳에 위치하나, 그렇지 않은 기계식 인사이드 핸들은 사용자가 쉽게 찾기 어려운 곳이 위치하는 경우가 일반적이다. 따라서, 사고 등의 경우에 전기식 인사이드 핸들은 작동하지 않는 상태에서, 당황한 사용자가 기계식 인사이드 핸들을 찾지 못해 승객실을 탈출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본 발명의 일 목적은, 전기식 작동 메커니즘과 기계식 작동 메커니즘을 통합하여, 사용자가 비상시에도 기계식 작동 메커니즘을 쉽게 이용할 수 있게 하는, 자동차 도어용 인사이드 핸들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일 목적은, 전기식 작동 메커니즘과 기계식 작동 메커니즘을 통합하여, 제조 비용을 낮추고 설치 공간도 줄일 수 있게 하는, 자동차 도어용 인사이드 핸들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자동차 도어용 인사이드 핸들은, 브라켓; 상기 브라켓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동일한 회전 방향을 따라 제1 각도로 회전된 제1 회전 위치와 상기 제1 각도 보다 큰 제2 각도로 회전된 제2 회전 위치로 회전 조작되도록 형성되는 조작 레버; 도어 래치를 해제시키는 전동 액츄에이터에 연결되고, 상기 조작 레버가 상기 제1 회전 위치로 회전 조작됨에 따라 활성화되어 상기 전동 액츄에이터를 작동시키는 작동 스위치; 및 상기 조작 레버에 연결되고, 상기 조작 레버가 상기 제2 회전 위치로 회전 조작됨에 따라 당겨져서 상기 도어 래치를 해제시키는 래치 케이블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브라켓은, 상기 조작 레버를 수용하도록 형성되는 몸체; 및 상기 조작 레버를 상기 몸체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축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조작 레버는, 상기 몸체의 외부로 노출되는 파지부; 및 상기 지지축을 중심으로 상기 파지부와 다른 방향으로 연장하는 제1 작용부 및 제2 작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작용부는, 상기 작동 스위치를 가압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2 작용부는, 상기 래치 케이블을 당기는 견인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견인 돌기는, 상기 조작 레버가 상기 제1 회전 위치에서 상기 제2 회전 위치로 회전되는 구간에서 상기 래치 케이블을 당기도록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브라켓은, 상기 몸체에 설치되고, 가압 변형에 따라 소리를 발생시키는 반응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작용부는, 상기 조작 레버가 상기 제1 회전 위치에 도달함에 따라 상기 반응부를 가압하도록 형성되는 누름 돌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견인 돌기와 상기 누름 돌기는, 상기 조작 레버가 상기 제1 회전 위치까지 회전하는 각도만큼 서로 간에 이격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에 따른 자동차의 도어에 설치되는 도어 래치를 해제시키기 위한 자동차 도어용 인사이드 핸들은, 상기 도어의 내측에 설치되도록 형성되는 브라켓; 및 상기 브라켓에 대해 제1 조작 모드와 제2 조작 모드로 조작 가능하게 설치되는 조작 레버를 구비하고, 상기 조작 레버가 상기 제1 조작 모드로 조작됨에 따라 제1 방식으로 상기 도어 래치를 해제시키며, 상기 조작 레버가 상기 제2 조작 모드로 조작됨에 따라서는 제2 방식으로 상기 도어 래치를 해제시키도록 형성되는 해제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조작 모드는, 상기 조작 레버가 제1 각도로 회전 조작되는 것이고, 상기 제2 조작 모드는, 상기 조작 레버가 상기 제1 조작 모드에서의 회전 방향과 동일한 회전 방향을 따라 제1 각도 보다 큰 제2 각도로 회전 조작되는 것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방식은, 상기 도어 래치를 해제시키는 전동 액츄에이터를 작동시키는 것이고, 상기 제2 방식은, 상기 도어 래치에 연결되는 래치 케이블을 당기는 것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도어용 인사이드 핸들에 의하면, 조작 레버가 제1 회전 위치로 회전 조작됨에 따라 전동 액츄에이터를 작동시키는 작동 스위치가 활성화되고 조작 레버가 동일 회전 방향을 따른 추가 회전에 의해 제2 회전 위치로 회전 조작됨에 따라서는 래치 케이블이 당겨지기에, 도어 래치에 대한 해제를 위해 작동 스위치를 이용하는 전기식 메커니즘과 래치 케이블을 이용하는 기계식 메커니즘이 하나의 인사이드 핸들에서 통합적으로 제공될 수 있다.
두 메커니즘은 동일한 회전 방향을 따른 조작 레버의 회전 각도에 따라 순차적으로 작동한다. 이는 위기 상황시에 조작 레버를 평소보다 많이 회전시킬 가능성이 큰 사용자의 행동에 부합할 수 있다.
사용자는 평상시뿐 아니라 비상시에도 하나의 인사이드 핸들을 조작하여, 도어 래치를 쉽고 확실하게 해제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통합적인 인사이드 핸들로 인하여 그를 제작하는 비용이 저감될 수 있고, 도어의 내면이 보다 깔끔해질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도어용 인사이드 핸들(100)이 적용된 자동차의 일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서 자동차 도어용 인사이드 핸들(100)을 분리하여 보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자동차 도어용 인사이드 핸들(100)이 제1 회전 위치에 위치한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서 제1 작용부(133)가 작동 스위치(150)를 누르는 상태를 보인 부분 확대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2의 자동차 도어용 인사이드 핸들(100)이 제2 회전 위치에 위치한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도어용 인사이드 핸들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서로 다른 실시예라도 동일·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처음 설명으로 갈음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도어용 인사이드 핸들(100)이 적용된 자동차의 일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본 도면을 참조하면, 자동차(C)는 차체와 섀시로 이루어지고, 차체의 승객실에는 도어(D)가 설치된다. 도어(D)는 통상 좌우 한 쌍이 2열을 이루어서 4개로 구비되나, 차량의 용도나 특성에 따라서는 2개 또는 3개 등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도어(D)는 도어 래치(DL)에 의해 차체에 대해 잠겨진다. 도어(D)를 개방하기 위해서는, 도어 래치(DL)를 해제 상태로 전환시켜야 한다. 도어 래치(DL)를 해제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인사이드 핸들(100)이 이용된다.
인사이드 핸들(100)은 도어(D)의 내면에 일부가 노출되도록 장착된다. 그는 구체적으로, 브라켓(110), 조작 레버(130), 작동 스위치(150), 그리고 래치 케이블(170)을 포함할 수 있다.
브라켓(110)은 도어(D)의 내측에 설치되고, 조작 레버(130) 등이 설치되는 베이스가 된다. 브라켓(110)은 사용자의 손가락이 접근 가능하도록, 승객룸의 내부를 향해 개방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조작 레버(130)는 브라켓(110)에 대해 회전 조작 가능하게 설치된다. 구체적으로, 조작 레버(130)는 사용자에 의해 일 방향을 따라 회전 조작될 수 있다. 조작 레버(130)는 또한 스프링에 의해 타 방향으로 회전하여 원 위치로 복귀할 수 있다.
작동 스위치(150)는 조작 레버(130)가 조작됨에 따라 활성화되어, 전동 액츄에이터(EA)가 동작하게 하는 구성이다. 전동 액츄에이터(EA)는 작동 스위치(150)의 작동에 따라 전원 또는 신호를 입력받아, 도어 래치(DL)를 전기적으로 해제한다.
래치 케이블(170)은 조작 레버(130)에 일단이 연결되는 케이블이다. 래치 케이블(170)의 타 단은 도어 래치(DL)에 연결된다. 래치 케이블(170)이 당겨지면, 도어 래치(DL)가 기계적으로 해제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조작 레버(130)는 제1 조작 모드에서 제1 각도로 회전 조작되고, 제2 조작 모드에서 제1 각도 보다 큰 제2 각도로 회전 조작될 수 있다. 제1 조작 모드 및 제2 조작 모드에서 조작 레버(130)는 모두 동일한 회전 방향을 따라 회전 조작된다. 조작 레버(130)의 두 가지 조작 모드에 대응하여, 도어 래치(DL)는 제1 방식{전기적 메커니즘} 혹은 제2 방식{기계적 메커니즘}으로 해제된다.
구체적으로, 조작 레버(130)가 제1 각도만큼 회전 조작되면, 그에 대응하여 활성화된 작동 스위치(150)가 전동 액츄에이터(EA)를 작동시킨다. 전동 액츄에이터(EA)는 최종적으로 도어 래치(DL)를 해제시킨다. 그에 반하여, 조작 레버(130)가 제2 각도만큼 회전 조작되면, 그 회전에 연동하여 래치 케이블(170)이 당겨진다. 래치 케이블(170)이 당겨지면, 도어 래치(DL)는 해제된다. 그 경우, 도어 래치(DL)는 전기적으로 해제되지 않았더라도, 최종적으로는 기계적으로 해제될 수 있다.
이상에서, 조작 레버(130), 작동 스위치(150), 및 래치 케이블(170)은 두 가지 모드로 도어 래치(DL)를 해제하기 위한 주요 구성으로서, 해제 모듈이라고 통칭될 수도 있다.
이상의 인사이드 핸들(100)에 대해서는 도 2를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인 구성을 설명한다. 도 2는 도 1의 자동차 도어용 인사이드 핸들(100)만을 분리하여 보인 사시도이다.
본 도면을 참조하면, 브라켓(110)은 몸체(111), 지지축(115), 가이드 슬롯(117), 그리고 반응부(119)를 가질 수 있다.
몸체(111)는 대체로 중공체의 형태를 가진다. 몸체(111)에는 승객룸을 향하는 면이 개방된 수용 공간(112)이 형성된다. 수용 공간(112)에는 조작 레버(130)가 배치되고, 사용자는 수용 공간(112)으로 손가락을 넣어 조작 레버(130)를 조작할 수 있게 된다. 지지축(115)은 조작 레버(130)의 측방에서 조작 레버(130)를 관통하여, 그를 몸체(111)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다. 가이드 슬롯(117)은 래치 케이블(170)의 일 단부(171)를 수용하는 슬롯이다. 반응부(119)는 가이드 슬롯(117)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부재로서, 탄성력을 갖는 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조작 레버(130)는 파지부(131)와 작용부(133,135)를 가질 수 있다.
파지부(131)는 지지축(115)을 기준으로 일 측으로 연장되는 부분으로서, 몸체(111)에서 외부로 노출되는 부분이다. 파지부(131)는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조작 레버(130)를 당길 때 파지하는 부분이 된다.
작용부(133,135)는 지지축(115)을 기준으로 파지부(131)와 다른 방향으로 연장하도록 형성된다. 작용부(133,135)는 구체적으로, 제1 작용부(133)와 제2 작용부(135)를 가질 수 있다. 제1 작용부(133)는 작동 스위치(150)를 가압하도록 형성된다. 제2 작용부(135)는 래치 케이블(170)을 당기기 위한 견인 돌기(136)를 가진다.
제2 작용부(135)는 또한 누름 돌기(137)를 가질 수 있다. 누름 돌기(137)는 조작 레버(130)가 제1 회전 위치까지 회전하는 각도 구간만큼 견인 돌기(136)와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제1 작용부(133)와 제2 작용부(135)는 지지축(115)의 양 측방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작동 스위치(150)는 제1 작용부(133)에 대응하도록 몸체(111)에 설치될 수 있다. 작동 스위치(150)는 제1 작용부(133)에 의해 가압됨에 의해 활성화되어, 전동 액츄에이터(EA)에 공급된 전원 회로가 연결되게 하거나, 전동 액츄에이터(EA)의 작동이 필요하다는 신호를 그를 제어하는 제어부(미도시)에 입력할 수 있다.
래치 케이블(170)은 견인 돌기(136)에 대응하는 일 단부(171)를 갖는다. 일 단부(171)는 견인 돌기(136)와 누름 돌기(137) 사이에 위치하게 된다. 일 단부(171)는 또한 몸체(111)의 가이드 슬롯(117)에 삽입될 수 있다. 가이드 슬롯(117)은 원호형 경로를 형성하여, 회전하는 견인 돌기(136)에 의해 견인되는 일 단부(171)의 이동을 가이드할 수 있다. 래치 케이블(170)은 몸체(111)를 관통하여 도어 래치(DL)와 연결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자동차 도어용 인사이드 핸들(100)의 구체적 작동에 대해서는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도 2의 자동차 도어용 인사이드 핸들(100)이 제1 회전 위치에 위치한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서 제1 작용부(133)가 작동 스위치(150)를 누르는 상태를 보인 부분 확대 사시도이다.
본 도면들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도어 래치(DL, 도 1)를 전기적 메커니즘에 의해 해제하고자 하는 경우에, 조작 레버(130)를 제1 회전 위치에 이르게 해야 한다. 이는 조작 레버(130)가 도면상 반시계 방향을 따라 제1 각도로 회전된 경우이다.
조작 레버(130)의 회전에 따라 제1 작용부(133)는 작동 스위치(150)를 가압한다. 이는 제1 작용부(133)가 지지축(115)을 기준으로 반경이 증가하는 형상을 갖기에 가능하다. 가압된 작동 스위치(150)가 활성화되면서, 작동 스위치(150)와 회로를 구성하고 있는 전동 액츄에이터(EA, 도 1)가 작동하게 된다. 전동 액츄에이터(EA)가 작동함에 의해, 도어 래치(DL)는 잠금 상태에서 해제 상태로 전환된다. 이는 전기적 메커니즘에 의해 도어 래치(DL)를 해제하는 것으로서, 주로 평상시에 사용될 수 있다.
조작 레버(130)가 제1 회전 위치에 이르도록 회전한 경우에, 견인 돌기(136)는 그제서야 일 단부(171)와 접촉(또는 근접)한 상태가 된다. 이는 래치 케이블(170)이 아직은 당겨지지 않게 한다.
조작 레버(130)가 제1 회전 위치에 도달함에 따라, 누름 돌기(137)는 반응부(119)를 누르게 된다. 반응부(119)는 가압 변형되면서 소리를 발생시킨다. 사용자는 해당 소리를 통해 작동 스위치(150)가 눌려졌음을 인식하여, 조작 레버(130)를 추가적으로 회전시키지는 않을 수 있다.
도 5는 도 2의 자동차 도어용 인사이드 핸들(100)이 제2 회전 위치에 위치한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본 도면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도어 래치(DL, 도 1)를 기계적 메커니즘에 의해 해제하고자 하는 경우에, 조작 레버(130)를 제2 회전 위치에 놓이게 할 수 있다. 이는 조작 레버(130)가 도면상 반시계 방향을 따라 추가로 회전되어 제2 각도로 회전된 경우이다.
조작 레버(130)의 회전에 의해, 제2 작용부(135)의 견인 돌기(136)에 의해 래치 케이블(170), 구체적으로 일 단부(171)가 도면상 우측으로 당겨진다. 다시 말해, 견인 돌기(136)는 조작 레버(130)가 제1 회전 위치에서 제2 회전 위치로 회전되는 구간에서 래치 케이블(170)을 당기도록 형성된 것이다. 래치 케이블(170)이 당겨짐에 의해, 도어 래치(DL)는 잠금 상태에서 해제 상태로 전환된다.
이는 기계적 메커니즘에 의해 도어 래치(DL)를 해제하는 것으로서, 주로 비상 상황에서 사용될 수 있다. 사용자는 제1 회전 위치에서 전기적 메커니즘이 정상 작동하지 않은 경우에 무의식적으로 조작 레버(130)를 더 회전시키려 할 것이고, 그에 대응하여 기계적 메커니즘이 최종적으로 작동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자동차 도어용 인사이드 핸들은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작동 방식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상기 실시예들은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100: 자동차 도어용 인사이드 핸들
110: 브라켓 111: 몸체
115: 지지축 130: 조작 레버
131: 파지부 133,135: 작용부
136: 견인 돌기 137: 누름 돌기
150: 작동 스위치 170: 래치 케이블

Claims (8)

  1. 가압 변형에 따라 소리를 발생시키는 반응부를 구비하는 브라켓;
    상기 브라켓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동일한 회전 방향을 따라 제1 각도로 회전된 제1 회전 위치와 상기 제1 각도 보다 큰 제2 각도로 회전된 제2 회전 위치로 회전 조작되도록 형성되는 조작 레버;
    도어 래치를 해제시키는 전동 액츄에이터에 연결되고, 상기 조작 레버가 상기 제1 회전 위치로 회전 조작됨에 따라 활성화되어 상기 전동 액츄에이터를 작동시키는 작동 스위치; 및
    상기 조작 레버에 연결되고, 상기 조작 레버가 상기 제2 회전 위치로 회전 조작됨에 따라 당겨져서 상기 도어 래치를 해제시키는 래치 케이블을 포함하고,
    상기 조작 레버는, 상기 제1 회전 위치에 도달함에 따라 상기 반응부를 가압하도록 형성되는 누름 돌기를 포함하는, 자동차 도어용 인사이드 핸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은,
    상기 조작 레버를 수용하도록 형성되는 몸체; 및
    상기 조작 레버를 상기 몸체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축을 포함하는, 자동차 도어용 인사이드 핸들.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레버는,
    상기 제1 회전 위치에서 상기 작동 스위치를 가압하도록 형성되는 제1 작용부; 및
    상기 래치 케이블을 당기는 견인 돌기를 더 포함하는, 자동차 도어용 인사이드 핸들.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견인 돌기는,
    상기 조작 레버가 상기 제1 회전 위치에서 상기 제2 회전 위치로 회전되는 구간에서 상기 래치 케이블을 당기도록 배치되는, 자동차 도어용 인사이드 핸들.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반응부는,
    상기 몸체에 설치되는, 자동차 도어용 인사이드 핸들.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견인 돌기와 상기 누름 돌기는,
    상기 조작 레버가 상기 제1 회전 위치까지 회전하는 각도만큼 서로 간에 이격 배치되는, 자동차 도어용 인사이드 핸들.
  7. 삭제
  8. 삭제
KR1020220158613A 2022-11-23 2022-11-23 자동차 도어용 인사이드 핸들 KR1026640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58613A KR102664047B1 (ko) 2022-11-23 2022-11-23 자동차 도어용 인사이드 핸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58613A KR102664047B1 (ko) 2022-11-23 2022-11-23 자동차 도어용 인사이드 핸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64047B1 true KR102664047B1 (ko) 2024-05-10

Family

ID=910721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58613A KR102664047B1 (ko) 2022-11-23 2022-11-23 자동차 도어용 인사이드 핸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64047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82142A1 (ja) * 2020-03-13 2021-09-16 アルプスアルパイン株式会社 車両用のドアオープナ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82142A1 (ja) * 2020-03-13 2021-09-16 アルプスアルパイン株式会社 車両用のドアオープナ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399758B2 (ja) フラップ、ドア等のように、車両における閉鎖可能な可動の部分のための開き補助装置及び/又は閉鎖補助装置を有効にセットする装置
US7757823B2 (en) Electric parking brake
US6655179B2 (en) Automotive door lock assembly
US11802425B2 (en) Electric door latch apparatus for vehicle
JP3064801B2 (ja) 自動車用ドアロックスイッチ
KR102664047B1 (ko) 자동차 도어용 인사이드 핸들
US20200332575A1 (en) Door handle assembly of a motor vehicle
KR102391242B1 (ko) 자동차 도어용 인사이드 핸들
JP2017133210A (ja) 車両用ドアオープナー装置
JP4382473B2 (ja) 自動車用ドアラッチのラッチ解除装置
GB2580393A (en) Vehicle door latch assembly
JP3951884B2 (ja) 自動車用ドアおよびドアトリム
EP1666685B1 (en) Vehicle body and a door latch apparatus
JP2002188328A (ja) ドアロック装置のロック解除操作装置
KR100475741B1 (ko) 전기식과 기계식이 일체화된 트렁크 리드 래치
GB2580395A (en) Vehicle door latch assembly
KR102461728B1 (ko) 자동차 도어용 인사이드 핸들
US20230111658A1 (en) Button assembly for a release system comprising a rack gear and a pinion gear
JP2020183667A (ja) 車両ドア構造
JP2002180722A (ja) 自動車のテールゲートラッチ
KR200150172Y1 (ko) 자동차용 도어 장치
JP4306310B2 (ja) ドアハンドルグリップおよびドアハンドル装置
CN116263064A (zh) 用于解锁车门的解锁组件
JP3777266B2 (ja) パワードア操作部およびパワードア開閉装置
US20200328033A1 (en) Multifunctional switch manipula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