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24418A - T/r 혼방 및 교직물의 발수, 발유, 방오 및 항균 가공방법 - Google Patents

T/r 혼방 및 교직물의 발수, 발유, 방오 및 항균 가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24418A
KR19990024418A KR1019970045515A KR19970045515A KR19990024418A KR 19990024418 A KR19990024418 A KR 19990024418A KR 1019970045515 A KR1019970045515 A KR 1019970045515A KR 19970045515 A KR19970045515 A KR 19970045515A KR 19990024418 A KR19990024418 A KR 199900244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pellent
antifouling
weight
oil
processing meth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455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27100B1 (ko
Inventor
정운두
장재동
이제환
Original Assignee
한형수
주식회사 새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형수, 주식회사 새한 filed Critical 한형수
Priority to KR10199700455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27100B1/ko
Priority to US09/134,891 priority patent/US5968599A/en
Priority to JP23990198A priority patent/JP4185593B2/ja
Publication of KR199900244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44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271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27100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1/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inorganic substances or complexes thereof;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e.g. mercerising
    • D06M11/73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inorganic substances or complexes thereof;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e.g. mercerising with carbon or compounds thereof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5/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 D06M15/19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with synthetic macromolecular compounds
    • D06M15/37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06M15/39Aldehyde resins; Ketone resins; Polyacetals
    • D06M15/423Amino-aldehyde resi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3/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non-macromolecular organic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 D06M13/322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non-macromolecular organic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with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D06M13/402Amides imides, sulfamic acids
    • D06M13/425Carbamic or thiocarbamic acids or derivatives thereof, e.g. urethanes
    • D06M13/428Carbamic or thiocarbamic acids or derivatives thereof, e.g. urethanes containing fluorine atom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5/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 D06M15/19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with synthetic macromolecular compounds
    • D06M15/21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06M15/263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of unsaturated carboxylic acids; Salts or esters thereof
    • D06M15/277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of unsaturated carboxylic acids; Salts or esters thereof containing fluorin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5/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 D06M15/19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with synthetic macromolecular compounds
    • D06M15/37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06M15/39Aldehyde resins; Ketone resins; Polyacetals
    • D06M15/41Phenol-aldehyde or phenol-ketone resi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5/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 D06M15/19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with synthetic macromolecular compounds
    • D06M15/37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06M15/507Polyest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6/00Biochemical treatment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e.g. enzymatic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2101/00Chemical constitution of the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to be treated
    • D06M2101/16Synthetic fibres, other than mineral fibres
    • D06M2101/30Synthetic polymers consisting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06M2101/32Polyest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2101/00Chemical constitution of the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to be treated
    • D06M2101/16Synthetic fibres, other than mineral fibres
    • D06M2101/30Synthetic polymers consisting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06M2101/34Polyamid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2200/00Functionality of the treatment composition and/or properties imparted to the textile material
    • D06M2200/10Repellency against liquids
    • D06M2200/11Oleophobic properti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2200/00Functionality of the treatment composition and/or properties imparted to the textile material
    • D06M2200/10Repellency against liquids
    • D06M2200/12Hydrophobic propert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icrobiology (AREA)
  • Treatments For Attaching Organic Compounds To Fibrous Goods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 Materials Applied To Surfaces To Minimize Adherence Of Mist Or Wa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폴리에스테르/레이온 혼방 또는 교직물에 발수, 발유성과 방오 및 항균성을 동시에 부여하는 복합기능 가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페놀계의 항균제 및 펜타클로로 페놀(P.C.P) 1∼10중량%, 파-플루오르 알킬기를 측쇄로 갖는 파-플루오르 알킬 아크릴레이트 코폴리머계의 불소화합물(Ⅰ)을 2.5∼5.0중량%, 플루오르알리파틱 에스테르 코폴리머계의 불소화합물(Ⅱ) 3.0∼6.0중량%와 멜라민 수지를 가교제로 하여 0.3∼0.5중량% 첨가한 다음 초산 (CH3COOH)을 버퍼제로 하여 희석시켜 pH을 5∼6로 조절한 처리액 중에서 직물을 침지한 후 50±5%의 픽업을 유지하도록 하고 이를 건조후 열처리하여 섬유에 소수성과 친수성의 균형을 이룰 수 있게 함으로서 발수 및 발유성을 가지며 항균성과 방오성등 복합기능을 부여하는 유익한 직물지 가공방법임.

Description

T/R혼방 및 교직물의 발수, 발유, 방오 및 항균 가공방법
본 발명은 폴리에스테르/레이온 혼방 또는 교직물의 발수, 발유 및 방오(防汚)기능 부여와 항균성을 동시에 부여하는 직물지 가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페놀계 항균제를 사용하고, pH 조절에 의한 불소계 화합물의 여기 상태로 친수성과 소수성의 균형 있는 공존상태를 형성시켜 대기중에서 발수 또는 발유성을 가지며 수중에서 방오성을 나타내도록 하는 복합 기능 가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천연섬유와 화학섬유와의 혼방 또는 교직물의 경우, 구성성분의 섬유 특성이 서로 달라 의류로 사용할 땐 인체에서 발생하는 땀과 외부 오염 물질에 의해 미생물이 번식하게 되며 다량의 암모니아가스가 발생하여 불쾌한 냄새와 인체에 해로운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종전에도 섬유재료에 항균소취성과 방오 및 발수기능을 부여하는 많은 시도가 계속되어 왔다.
그러나 종래의 기술은 단일 기능에 국한되어 왔으며 예를 들면, 발수 및 발유 기능의 부여 또는 방오기능의 부여 및 항균 소취기능을 부여하는 각각의 가공방법이 시도되어 왔다.
섬유에 항균성을 부여하는 방법으로는 현재 유기 실리콘 제4급 암모늄계가 광범위하게 사용되어지고 있으며 최근에 이온교환성 공중합체를 제조하여 동염 및 은염의 수용액으로 처리하여 섬유표면에 금속이온을 표출시켜 항균성을 부여하는 방법이 일본 특개소 54-38951호에 의하여 개시된바 있다.
또한 직물지의 방오가공을 위해서는 변성 실리콘 화합물을 배합한 실리콘계 방오기능 부여제를 섬유표면에 피복시키는 방법(일본 특개평 4-55491)과 함불소화합물과 양이온계 계면활성제를 함유하는 피막을 섬유표면에 피복하는 방법이 일본 특공평1-44837호에 의해 공지된바 있다.
또한 섬유직물의 발수, 발유처리 방법으로는 블록화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과 불소계 발수, 발유제를 함유하는 처리액으로 침지 건조시킨 후 열처리하는 가공방법이 일본 특공평3-35432에 개시된바 있다.
본 발명은 폴리에스테르/레이온 혼방 또는 교직물의 발수, 발유, 방오 및 항균등의 복합기능 발현을 위해 불소계화합물과 페놀계 항균제 및 버퍼제(Buffer)의 미세한 콘트롤을 위하여 pH을 조절함으로써 불소계화합물의 여기상태와 친수성, 소수성의 균형있는 공존을 형성하고 대기중에서 발수, 발유성과 수중에서의 방오성을 동시에 발현도록 하는 복합기능 가공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으며, 종래의 기술은 발수, 발유와 방오 기능이 균형을 이루지 못하여 한쪽 기능에 중점을 두고 개발되었으며, 이 경우 다른 한쪽 기능은 현저히 저하되어 복합기능 발현이 이루어지지 못하였다.
섬유의 발수, 발유성과 방오기능은 서로 상반된 기능이므로 동시에 상기 두 가지 기능을 발현시키기에는 어려움이 따랐다. 일반적으로 레이온 섬유의 표면장력(200mN/m)은 물 또는 기름등 액체의 표면장력(53-72mN/m)보다 훨씬 크기 때문에 섬유에 물 또는 기름을 떨어뜨렸을 때 섬유가 쉽게 젖게 된다.
본 발명은 대기중에서 섬유의 표면장력을 낮추기 위해서 불소계 화합물을 사용하며 표면장력이 10-30mN/m인 불소계 화합물을 섬유표면에 다량 존재케하여 가공섬유의 표면장력을 액체의 표면장력(53-72mN/m) 보다 적게 함으로서 발수성과 발유성을 발현시키게 된다.
또한, 수중에서는 친수성을 발현시켜 섬유와 오염물의 탈락을 용이하게 한다. 따라서 수중과 대기중에서 친수성과 소수성의 균형을 이룰 수 있도록 pH을 조절함으로써 불소화합물을 버퍼제에 의한 여기 상태로의 전환이 필요로 되어진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있어서 페놀계 항균제로 사용하는 펜타클로로페놀(P.C.P)의 첨가량은 가공포지 중량에 대하여 1∼10%가 적당하며 가장 좋게는 2∼3%가 바람직하다. 1% 이하인 경우 항균지속성이 떨어져 포지를 세탁하면 항균효과가 급격히 떨어지게 되고, 10%이상인 경우 공정통과성이 어려울 뿐 아니라 경제적으로도 잇점이 없어지게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사용되는 불소계 화합물은 파-플루오드 알킬 아크릴레이트 코폴리머계의 불소화합물(Ⅰ)의 첨가량은 가공포지 중량에 대해서 2.5∼5.0%가 적당하며 가종 좋게는 3.0∼3.2%가 바람직하며 불소화합물(Ⅱ)의 첨가량은 3.0∼6.0%가 적당하며 가장 좋게는 3.2∼3.5%가 바람직하다.
불소화합물(Ⅰ)의 첨가량이 2.5%이하인 경우 또는 불소화합물(Ⅱ)의 첨가량이 6.0%이상인 경우 발수성은 세탁전 100%에 대해 세탁후 80% 이하가 되고, 발유성은 세탁전 5급에 비해 세탁후 5급 이하가 되며, 방오성 역시 세탁전 3급이던것이 세탁후 2급이하가 되어 내구성이 떨어진다.
또 불소화합물(Ⅰ)의 첨가량이 5.0%이상인 경우 또는 불소화합물(Ⅱ)의 첨가량이 3.0%이하인 경우 발수성은 세탁전 80%이며 세탁후 50%가 되고, 발유성은 세탁전 5급에서 세탁후 3급이하가 되며 방오성 역시 세탁전 7급에서 세탁후 5급 이하가 되어 만족스런 발수성, 발유성 및 방오성을 기대할 수 없게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가교제로써 멜라민 수지를 사용하며 그 첨가량은 가공포지의 0.3∼0.5%이고 이를 초산(CH3COOH)을 버퍼제로 하여 pH을 5-6으로 하고 희석시킨 처리액중에 직물을 침지하여 50±5%의 픽업(Pick-up)을 유지하도록 한 다음 130∼150℃의 오븐에서 건조시킨 후 170∼180℃에서 열고정하여 친수성과 소수성의 균형을 이루도록 함으로써 매우 우수한 발수 발유, 방오 및 항균효과를 거둘 수 있는 것이다. 이때에 가교제의 첨가량이 0.3% 이하이거나 0.5%이상인 경우 불소화합물(Ⅰ) 및 (Ⅱ)의 활성화가 가교효과가 급격히 감소하여 내구성이 떨어진다.
이하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실시예1]
통상적으로 염색한 T/R 혼방직물을 펜타클로로 페놀 2.5중량%, 파-플루오르 알킬 아크릴레이트 코폴리머계의 불소화합물(Ⅰ) 3.0중량%, 플루오르 알리파틱 에스테르 코폴리머계의 불소화합물(Ⅱ) 3.2중량% 및 멜라민 수지 0.3중량%를 각각 첨가하고 이를 초산으로 희석시켜 pH5-6로 조절한 처리액중에 침지하여 픽업을 50%를 유지한 다음 처리 욕조에서 건져내어 짠 다음 140℃의 오븐에서 건조시킨 후 180℃에서 열고정 하였다. 이와 같이 하여 얻은 직물지의 발수, 발유, 방오성 및 항균지속성을 평가한 결과는 표 1과 같다.
[실시예 2]
T/R 교직물을 펜타클로로 페놀 3.0중량%, 파-플루오르 알킬 아크릴레이트 코폴리머계의 불소화합물(Ⅰ) 3.2중량%, 플루오르 알리파틱 에스테르 코폴리머계의 불소화합물(Ⅱ) 3.5중량% 및 멜라민 수지 0.5중량%를 각각 첨가하고 이를 초산으로 희석시켜 pH5-6로 조절한 처리액중에 침지하여 픽업을 55%를 유지한 다음 처리욕조에서 건져내어 짜고 130℃의 오븐에서 건조시킨 후 170℃에서 열고정한 후 발수, 발유, 방오성 및 항균지속성을 평가한 결과는 표 1과 같다.
[비교실시예 1]
T/R 혼방직물을 페놀게항균제인 P.C.P 0.5wt%, 파-플루오르 알킬 아크릴레이트 코폴리머계의 불소화합물(Ⅰ) 3.0중량%와 멜라민수지 0.2wt%를 첨가하고 초산으로 희석시킨 처리액중에 침지하여 픽업율 60%를 유지하고 건조시킨 후 180℃에서 열고정하였다. 그 결과는 표 1과 같다.
[비교실시예 2]
T/R 혼방직물을 페놀게 항균제인 P.C.P 0.5중량%, 파-플루오르 알킬 아크릴레이트 코폴리머계의 불소화합물(Ⅰ) 7.0중량%, 플루오르 알리파틱 에스테르 코폴리머계 불소화합물(Ⅱ) 7.0중량%를 초산으로 희석시킨 처리액중에 침지하여 픽업율 70%를 유지하여 건조시킨 후 170℃에서 열고정 하였다. 그 결과는 표 1과 같다.
[표 1]
본 발명은 페놀계 항균제인 펜타클로로 페놀(P.C.P)과 파-플루오르 알킬기를 촉쇄로 갖는 함불소중합체로서 하이드로 카본을 갖는 파-플루오르 알킬 아크릴레이트 코폴리머계의 불소화합물(Ⅰ) 및 플루오르 알리파틱 에스테르 코폴리머계의 불소화합물(Ⅱ)과 멜라민수지로 가교제로 하여 이를 초산으로 희석시켜 얻은 처리제로 처리한 다음 건조 열처리하여 섬유에 소수성과 친수성의 균형을 이룰 수 있게 함으로서 발수 및 발유성을 가지며 항균성과 방오성등 복합기능을 갖는 가공방법으로 유익한 적을 가공방법이다.

Claims (5)

  1. 페놀계 항균제 1∼10중량%, 불소계화합물(Ⅰ) 2.5∼5.0중량%, 불소계화합물(Ⅱ) 3.0∼6.0중량%와 가교제로서 멜라민수지 0.3∼0.5중량%를 버퍼제로 희석시 처리액중에 직물을 침지하여 피업율 50±5%를 유지하고 건조 및 열처리함을 특징으로 하는 T/R 혼방 또는 교직물의 발수, 발유, 방오 및 항균가공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페놀계 항균제로 펜타클로로 페놀(pentachloro phenol)을 사용함을 특징으로 하는 T/R 혼방 또는 교직물의 발수, 발유, 방오 및 항균가공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불소계 화합물(Ⅰ)은 파-플루오르 알킬기를 측쇄로 갖는 파-플루오르 알킬아크릴레이트 코폴리머계의 불소화합물임을 특징으로 하는 T/R 혼방 또는 교직물의 발수, 발유, 방오 및 항균가공방법.
  4. 청구항 1에 있어서,
    불소계 화합물(Ⅱ)는 플루오르 알리파틱 에스테르 코폴리머계의 불소화합물임을 특징으로 하는 T/R 혼방 또는 교직물의 발수, 발유, 방오 및 항균가공방법.
  5. 청구항 1에 있어서,
    버퍼제로 초산(CH3COOH)을 사용함을 특징으로 하는 T/R 혼방 또는 교직물의 발수, 발유, 방오 및 항균가공방법.
KR1019970045515A 1997-09-02 1997-09-02 T/r 혼방 및 교직물의 발수, 발유, 방오 및 항균 가공방법 KR1002271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45515A KR100227100B1 (ko) 1997-09-02 1997-09-02 T/r 혼방 및 교직물의 발수, 발유, 방오 및 항균 가공방법
US09/134,891 US5968599A (en) 1997-09-02 1998-08-17 Treating method for imparting water-and oil-repellent, soil-releasing and antibacterial properties to polyester/rayon mixed or blended fabric
JP23990198A JP4185593B2 (ja) 1997-09-02 1998-08-26 ポリエステル/レイヨン混紡又は交織物の撥水、撥油、防汚及び抗菌加工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45515A KR100227100B1 (ko) 1997-09-02 1997-09-02 T/r 혼방 및 교직물의 발수, 발유, 방오 및 항균 가공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4418A true KR19990024418A (ko) 1999-04-06
KR100227100B1 KR100227100B1 (ko) 1999-10-15

Family

ID=195207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45515A KR100227100B1 (ko) 1997-09-02 1997-09-02 T/r 혼방 및 교직물의 발수, 발유, 방오 및 항균 가공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5968599A (ko)
JP (1) JP4185593B2 (ko)
KR (1) KR10022710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84309A (ko) * 1998-05-04 1999-12-06 한형수 섬유직물의 항균 방취성 위생 가공제 및 이를 이용한 가공방법
KR100443462B1 (ko) * 2002-02-28 2004-08-09 성광물산(주) 티셔츠의 에리 형태안정화 가공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540792B1 (en) * 1999-04-14 2003-04-01 Toray Industries, Inc. Cellulose fiber-containing structure
US6548054B2 (en) 2001-09-06 2003-04-15 Auburn University Biocidal polystyrene hydantoin particles
US20030207629A1 (en) * 2002-05-01 2003-11-06 Sobieski Robert T. Highly durable, coated fabrics exhibiting hydrophobicity, oleophobicity and stain resistance and related methods
US20040074010A1 (en) * 2002-10-16 2004-04-22 Mountain Road Textiles, Inc., A Pennsylvania Corporation Method of processing cloth for water and alcohol resistance
US7687072B2 (en) 2002-10-31 2010-03-30 Auburn University Biocidal particles of methylated polystyrene
US20040109947A1 (en) * 2002-12-09 2004-06-10 Weinert Raymond J. Stain resistant coatings for flexible substrates, substrates coated therewith and related methods
BE1017425A3 (nl) * 2006-12-20 2008-09-02 Utexbel Nv Insectenwerende water en olieafstotende behandeling van textiel.
EP2162575B1 (en) 2007-07-03 2013-03-13 Aditya Birla Science & Technology CO. LTD. A lyocell fiber with modified property and a process for making therefor
CN101503855B (zh) * 2008-02-04 2012-04-18 上海德桑精细化工有限公司 织物抗菌防螨整理剂
KR101062988B1 (ko) 2009-05-28 2011-09-07 한국염색기술연구소 복합기능성 원단의 가공방법
KR101597191B1 (ko) * 2009-11-23 2016-03-08 코오롱글로텍주식회사 마찰내구성이 향상된 방오성 원단 및 그의 제조방법
KR20120040609A (ko) 2010-10-19 2012-04-2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고내구성을 가지는 시트 원단의 방오처리 방법
KR101149584B1 (ko) 2010-10-29 2012-06-01 코오롱글로텍주식회사 고 내구성 오염 방지 효과가 있는 원단 및 이의 방오 코팅방법
KR101149588B1 (ko) 2010-10-29 2012-06-01 코오롱글로텍주식회사 Pu 폼 라미네이션 공정을 생략한 고 내구성 오염방지 원단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149585B1 (ko) 2010-10-29 2012-06-01 코오롱글로텍주식회사 정전기 방지 기능을 갖는 고 내구성 오염방지 원단 및 이의 제조방법
US8747709B2 (en) 2012-05-03 2014-06-10 Empire Technology Development Llc Phosphonate-substituted lignin as a flame retardant
ITCO20130033A1 (it) * 2013-07-24 2015-01-25 Ambrogio Pessina S R L Tintoria Fi Lati Metodo e composizioni di finissaggio di substrati tessili
KR101505776B1 (ko) 2014-04-25 2015-03-25 이관섭 추진장약용 직물 및 그 제조방법
EP3805448A1 (en) * 2015-02-27 2021-04-14 Livinguard AG Textiles having antimicrobial properties
US9630088B2 (en) * 2015-04-02 2017-04-25 Wilmer David Walker, Jr. Game system
DK3187654T3 (da) * 2015-12-30 2021-05-31 Livinguard Ag Vaskebestandigt antimikrobielt tekstilmateriale med pletfrigørelseskapaciteter, navnlig til genanvendelige hygiejnebind
EP3287009A1 (en) * 2016-08-26 2018-02-28 Green Impact Holding AG Non-leaching surface sanitizer and wipe with improved washability and/or absorbency
KR101858611B1 (ko) * 2017-04-12 2018-05-17 주식회사 새한산업 자동차용 도어 임팩트 빔 제조장치
CN107245883A (zh) * 2017-06-20 2017-10-13 苏州联胜化学有限公司 一种硬水用三防整理剂及其制备方法
CN110528132A (zh) * 2019-08-20 2019-12-03 浙江仁派服饰有限公司 一种抗菌自发热纱线的加工方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38951A (en) * 1977-08-29 1979-03-24 Toray Industries Fiber article with excellent sterilizing and water absorbing property
KR880003061A (ko) * 1986-08-07 1988-05-13 황무영 천의 발수(撥水) 가공방법
GB8718515D0 (en) * 1987-08-05 1987-09-09 Nat Res Dev Obtaining images
JPH0335432A (ja) * 1989-06-30 1991-02-15 Nippon Columbia Co Ltd フォーカスサーボ回路
JPH0455491A (ja) * 1990-06-22 1992-02-24 Goyo Paper Working Co Ltd 防汚機能付与剤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84309A (ko) * 1998-05-04 1999-12-06 한형수 섬유직물의 항균 방취성 위생 가공제 및 이를 이용한 가공방법
KR100443462B1 (ko) * 2002-02-28 2004-08-09 성광물산(주) 티셔츠의 에리 형태안정화 가공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185593B2 (ja) 2008-11-26
JPH11152679A (ja) 1999-06-08
KR100227100B1 (ko) 1999-10-15
US5968599A (en) 1999-10-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27100B1 (ko) T/r 혼방 및 교직물의 발수, 발유, 방오 및 항균 가공방법
US7446145B2 (en) Water and oil repellent aqueous composition
US6855772B2 (en) Water-repellent and soil-resistant finish for textiles
EP0609456B1 (en) Soil remover for dry cleaning
DK171182B1 (da) Hydrofoberings- og oleofoberingsmiddel og dettes anvendelse til behandling af tekstiler
JP3744035B2 (ja) 安定性に優れる水分散型撥水撥油剤組成物
WO2001018304A1 (en) Abrasion- and wrinkle-resistant finish for textiles
JPS581232B2 (ja) 染色摩擦堅牢度の改良された繊維布の撥水撥油加工法
KR20180022647A (ko) 방오성 섬유 구조물
JPH0450381A (ja) 羽毛の高品質加工方法
JP4837996B2 (ja) 撥水撥油性セルロース系繊維構造物
DE60027951T2 (de) Cellulosefasern enthaltendes Flächengebilde
KR100322937B1 (ko) 섬유제품처리방법
JP3126319B2 (ja) 抄紙用ドライヤーカンバス及びその製造方法
CN117265882B (zh) 一种棉用无氟易去污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JP2010013771A (ja) 繊維処理剤および染色繊維の製法
El-Sayed et al. Multi-Functional Finishing of WoolenFabric
WO2021014620A1 (ja) 防縮性獣毛繊維の製造方法
KR100476538B1 (ko) 발수내구성과 대전방지성이 우수한 폴리에스터직물의 제조방법
JPH08134780A (ja) 羊毛繊維の撥水撥油加工方法
KR100573865B1 (ko) 발수성 및 제전성이 우수한 폴리에스테르 직물의 제조방법
JP2023058707A (ja) 防汚性繊維構造物
KR19990084309A (ko) 섬유직물의 항균 방취성 위생 가공제 및 이를 이용한 가공방법
JP2002302878A (ja) 易汚れ除去繊維素材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3247170A (ja) 繊維構造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19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03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5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8

Year of fee payment: 1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4

Year of fee payment: 1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6

Year of fee payment: 19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