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97191B1 - 마찰내구성이 향상된 방오성 원단 및 그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마찰내구성이 향상된 방오성 원단 및 그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97191B1
KR101597191B1 KR1020090113374A KR20090113374A KR101597191B1 KR 101597191 B1 KR101597191 B1 KR 101597191B1 KR 1020090113374 A KR1020090113374 A KR 1020090113374A KR 20090113374 A KR20090113374 A KR 20090113374A KR 101597191 B1 KR101597191 B1 KR 1015971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bric
antifouling
dewatering
tricot
ag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133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56876A (ko
Inventor
강신혁
박연봉
김형국
김윤미
Original Assignee
코오롱글로텍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오롱글로텍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오롱글로텍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1133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97191B1/ko
Publication of KR201100568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568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71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71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5/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 D06M15/19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with synthetic macromolecular compounds
    • D06M15/21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06M15/244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of halogenated hydrocarbons
    • D06M15/256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of halogenated hydrocarbons containing fluori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58Seat covering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BTREATING TEXTILE MATERIALS USING LIQUIDS, GASES OR VAPOURS
    • D06B15/00Removing liquids, gases or vapours from textile materials in association with treatment of the materials by liquids, gases or vapours
    • D06B15/02Removing liquids, gases or vapours from textile materials in association with treatment of the materials by liquids, gases or vapours by squeezing roll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BTREATING TEXTILE MATERIALS USING LIQUIDS, GASES OR VAPOURS
    • D06B3/00Passing of textile materials through liquids, gases or vapours to effect treatment, e.g. washing, dyeing, bleaching, sizing, impregnating
    • D06B3/10Passing of textile materials through liquids, gases or vapours to effect treatment, e.g. washing, dyeing, bleaching, sizing, impregnating of fabric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CFINISHING, DRESSING, TENTERING OR STRETCHING TEXTILE FABRICS
    • D06C7/00Heating or cooling textile fabric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3/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non-macromolecular organic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 D06M13/322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non-macromolecular organic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with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D06M13/395Isocyanat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2200/00Functionality of the treatment composition and/or properties imparted to the textile material
    • D06M2200/01Stain or soil resistanc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2200/00Functionality of the treatment composition and/or properties imparted to the textile material
    • D06M2200/10Repellency against liquids
    • D06M2200/11Oleophobic properti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2200/00Functionality of the treatment composition and/or properties imparted to the textile material
    • D06M2200/10Repellency against liquids
    • D06M2200/12Hydrophobic properti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2200/00Functionality of the treatment composition and/or properties imparted to the textile material
    • D06M2200/40Reduced friction resistance, lubricant properties; Sizing composition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505/00Industrial
    • D10B2505/12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eatments For Attaching Organic Compounds To Fibrous Goo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원단을 불소수지계 방오제(고형분 20~30중량%) 1.5~5%o.w.s,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고형분 20~30중량%) 0.3~0.5%o.w.s가 함유된 조성물에서 2~10초간 침지하는 딥핑(dipping)공정; 상기 딥핑된 원단을 함수율 35~85%이하로 탈수하는 탈수공정; 상기 탈수된 원단을 120~140℃에서 건조하는 건조공정; 및 상기 건조된 원단을 140~170℃에서 처리하는 열처리공정을 포함하는 마찰내구성이 향상된 방오성 원단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카시트, 방오성, 불소수지, 가교제

Description

마찰내구성이 향상된 방오성 원단 및 그의 제조방법{ANTIFOULING FABRIC ENHANCED RUBBING RESISTANCE AND PRODUC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방오성 원단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불소계수지를 이용하여 원단에 발수, 발유 기능이 뛰어난 내오염성과 오염된 물질이 쉽게 제거할 수 있는 오염제거성이 뛰어난 마찰내구성이 향상된 방오성 원단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의류, 카패트, 카시트등 원단의 오염에 대해서 주된 원인은 인체로부터 발생되는 지질(脂質), 식품에 기인하는 유(油)성분과 공기중의 먼지이다. 한가지 더 오염의 원인으로서는 세탁중에 한번 탈착한 때(오염물)가 섬유에 재부착 하는 현상이 있다.
섬유용 방오가공은 오염이 부착되기 어렵게 하는 가공과 부착된 오염을 떨어지기 쉽게 하는 가공으로 나눌 수 있다.
일반적으로 오염이 부착되기 어렵게 하는 가공은 불소계 고분자를 이용하여 섬유표면을 얇은 피막으로 씌우고, 섬유표면의 凹凸을 다소나마 평탄한 상태로 함 과 동시에 표면자유 에너지를 극도로 저하시켜 섬유와 유성오염의 접촉을 작게 한다. 부착된 오염을 떨어지기 쉽게 하는 가공은 친수성 고분자로 섬유표면을 친수화해서 세탁시에 세제액과 쉽게 융합되어 오염물을 쉽게 탈락시킴과 아울러 헹굼시에 유성오염에 의한 재오염을 방지한다.
특히, 자동차에 사용되는 카시트는 한번 설치 후 세탁이 어려운 문제로 오염물이 카시트에 부착되기 어렵고, 부착된 오염물이 쉽게 떨어지는 방오 가공이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어느 정도 규모가 있는 자동차 기업들은 카시트에 대한 각 기업에 적합한 방오 규격을 별도로 규정하여 카시트의 오염 접근성과 오염 제거성능의 방오 성능을 평가하고 있다.
또한, 원단에 방오가공으로 방오성이 강화 되면 그 반대 성질을 갖는 연소성이 떨어지고 나아가 내광견뢰도, 마찰 착색성 등의 다른 물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불소수지계 방오제를 원단에 처리하여 발수성, 발유성이 뛰어나고, 모든 자동차 기업의 방오규격을 만족하는 방오성 원단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방오성이 뛰어나고 연소성, 내광견뢰도, 마찰 착생성 및 다른 물성이 우수한 방오성 원단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방오성 원단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되는 원단을 사용하여 방오성이 뛰어난 카시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원단을 불소수지계 방오제(고형분 20~30중량%) 1.5~5%o.w.s,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고형분 20~30중량%) 0.3~0.5%o.w.s가 함유된 조성물에서 2~10초간 침지하는 딥핑(dipping)공정; 상기 딥핑된 원단을 함수율 35~85%이하로 탈수하는 탈수공정; 상기 탈수된 원단을 120~140℃에서 건조하는 건조공정; 및 상기 건조된 원단을 140~170℃에서 처리하는 열처리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내구성이 향상된 방오성 원단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열처리공정 후 열처리된 방오성 원단의 일면에 난연제를 코팅하는 난연공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내구성이 향상된 방오성 원단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원단은 플랫 우븐(Flat Woven), 플랫 트리코트(Flat Tricot), 더블라셀(Double Raschel), 트리코트 스웨이드(Tricot Suede), 트리코트(Tricot Cut), 써큘라니트(Circular Knit), 메쉬(MESH), 싱커파일(Sinker Pile) 원단 중 선택되는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내구성이 향상된 방오성 원단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딥핑공정의 침지를 2회 이상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내구성이 향상된 방오성 원단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탈수공정은 망글머신(Mangle Machine)을 이용하되 롤러 사이의 압력을 3~6kgf/㎠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내구성이 향상된 방오성 원단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건조 및 열처리공정은 1~2분간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오성 원단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조성물에 대전방지제가 0.3~2%o.w.s 더 첨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내구성이 향상된 방오성 원단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되는 원단으로 제조되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내구성이 향상된 방오성 카시트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되는 원단으로 제조되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송수단용 시트를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동일한 참조부호를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약", "실질적으로" 등은 언급된 의미에 고유한 제조 및 물질 허용오차가 제시될 때 그 수치에서 또는 그 수치에 근접한 의미로 사용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정확하거나 절대적인 수치가 언급된 개시 내용을 비양심적인 침해자가 부당하게 이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본 발명은 방오성 원단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은 제조공정으로 딥핑공정, 탈수공정, 건조공정, 열처리공정으로 방오성 원단에 방오성을 부여하고 난연공정을 더 추가할 수 있다.
상기 딥핑(dipping)공정은 불소수지계 방오제(고형분 20~30중량%) 1.5∼5%o.w.s,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고형분 20~30중량%) 0.3~0.5%o.w.s가 함유된 조성물에서 2~10초간 침지하는 공정이다.
일반적으로 불소계 수지는 주쇄를 이루는 탄소의 수와 화학적 구조에 따라 발수성, 발유성에 큰 차이가 있다. 불소계 수지가 원단에 밀접하고 균일하게 형성되어야 발수성, 발유성이 뛰어나며, 불소계 수지를 형성하는 탄소가 수가 5~7개인 경우 발수성은 확보할 수 있으나 표면장력이 유지류 보다 커서 발유성은 확보가 거의 불가능하다.
그러므로 불소계 수지가 발유성을 확보하기 위해 표면장력이 유지류보다 작아지기 위해서는 불소계 수지를 형성하는 탄소가 수가 8개 이상인 경우가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사용되는 불소수지계 방오제는 탄소가 수가 8개 이상의 불소수지계 방오제를 사용하여야 한다.
상기 불소수지계 방오제의 사용량은 고형분 20~30중량%의 방오제로 1.5~5% o.w.s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1.5% o.w.s(on the weight of solution) 미만일 경우 내구성 효과가 적고, 5% o.w.s를 초과하면 촉감이 나빠진다.
또한 가교제로는 공지의 멜라민계, 이소시아네이트계 등이 사용할 수 있으나 내마모성을 향상시키는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면 그 사용량은 고형분 20~30중량%의 가교제로 0.3~0.5%o.w.s를 사용한다.
상기 조성물에 대전방지제가 0.3~2%o.w.s를 더 첨가하여 원단의 정전기 방지 및 대전방지성을 높일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불소수지계 방오제와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를 상기 농도에 따라 물에 첨가하여 제조된 조성물에 방오성 원단을 2~10초간 침지하여 딥핑(dipping)공정을 실시한다.
상기 딥핑공정은 원단에 수지액을 균일하게 침투시키기 위해 원단을 조성물에 침지하고 건져올리고 다시 침지하는 공정으로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침지를 2회이상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탈수공정은 상기 딥핑된 원단을 탈수하는 공정으로 두개의 롤러로 원단을 압착하여 탈수하는 망글머신(Mangle Machine)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 원단의 탈수공정 후의 함수율은 함수율이 35%미만으로 수분을 함유시키기 위해서는 여러단계의 탈수공정을 걸쳐야 하므로 탈수공정의 시간이 길어지게 된다. 또한 함수율이 85%를 초과할 경우 원단을 건조하는 건조공정 시간이 장시간을 요하여 생산성이 떨어지게 되므로 원단의 함수율은 35~85%이하로 탈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망글머신(Mangle Machine)을 이용하여 탈수공정을 실시할 때, 상기 두 롤러 사이의 압력이 3kgf/㎠미만일 경우 원단의 함수율이 높아 장시간의 건소시간이 필요할 수 있으며, 6kgf/㎠을 초과하더라도 원단의 함수율에 큰차이가 없어 효과적이지 못하므로 두 롤러 사이의 압력이 3~6kgf/㎠인 것이 가장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 건조공정은 열처리공정에서 방오제가 원단에 견고히 고착될 수 있도록 원단의 함수율을 낮추고 원단을 예열시켜 급속한 온도 변화에 따른 방오제의 화학적, 물리적 변형을 방지하는 공정으로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논 터치 건조기, 루프 건조기, 무장력 로울러형 건조기, 실린더 건조기를 사용할 수있으며 강한 장력이 걸리면 촉감이 불량해 질 수 있으므로 무장력 상태 건조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 건조공정의 건조온도는 120℃ 미만인 경우 건조시간이 길어져서 생산성 이 떨어질 수 있으며, 140℃를 초과할 경우에는 원단의 급격한 온도변화에 의해 방오제가 화학적, 물리적으로 변형되어 방오성이 저하될 수 있으므로 건조온도는 120~140℃인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 열처리공정은 상기 건조된 원단에 고착된 방오제를 더욱 견고히 원단에 고착시키는 공정으로 열처리 기계로서 가장 중요한 것은 온도 분포가 기준치 ±2℃ 이내이고 기계내부에서는 직물에 무장력 상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일반적인 열풍 대류식 열처리장치, 적외선 열처리장치 등을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열처리공정의 온도는 140℃ 미만인 경우 방오제의 고착율이 떨어질수 있고, 170℃를 초과할 경우에는 방오제가 변형되어 방오성이 저하될 수 있고, 고온으로 염색된 원단을 처리할 경우 마찰착생성이 떨어지며 원단에 손상이 될 수 있으므로 열처리온도는 140~170℃인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 건조공정과 열처리공정은 시간이 1분 미만인 경우 불소수지계 방오제의 고착이 불완전하여 원단에서 이탈되어 방오성이 저하될 수 있으며 2분을 초과하면 원단에 손상이 있고, 생산성이 저하되므로 건조 및 열처리공정은 1~2분간 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의 공정으로 방오제는 원단의 표면뿐 아니라 내부 깊숙히 침투하게 되고 표면 및 내부에 견고히 고착되어 표면이 마모되어도 내부에 고착되 방오제에 의해 방오성을 가지게 된다.
상기 열처리공정 후에 방오성 원단에 난연성을 더 부여하기 위해 난연공정을 더 추가적으로 실시할 수 있다.
상기 난연공정은 상기 불소수지계 방오제에 의한 방오공정으로 약화될 수 있는 난연성을 원단 일면에 난연제를 코팅하여 원단의 난연성을 향상시킨다.
상기 난연제는 원단의 재질에 따라 판매되는 난연제를 사용할 수 있으며, 원단의 재질이 폴리에스테르일 경우 아크릴계 난연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 아크릴계 난연제를 사용할 경우 원단의 일면에 아크릴계 난연제를 45~100g/㎡ 코팅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상기 마찰내구성이 향상된 방오성 원단에 문양을 넣는 엠보싱 공정을 실시할 수 있으며, 엠보싱 공정을 실시할 경우 열처리공정 후에 실시하여야 하며, 난연공정이 더 추가될 경우 난연공정 보다 먼저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의 마찰내구성이 향상된 방오성 원단의 제조방법에 사용되는 원단은 일반적인 직물, 편물, 부직포 등의 원단은 모두 사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자카드, 도비로 제직되는 플랫 우븐(Flat Woven), 트리코트 편직기를 이용하여 편직한 제품으로 표면이 직물처럼 평평하며 장파일이나 단파일이 없는 플랫 트리코트(Flat Tricot), 더블라셀(Double Raschel) 편직기를 이용하여 편직한 제품으로 중앙을 Slit(절단)하여 파일을 형성한 제품으로 표면에 파일이 형성된 더블라셀(Double Raschel), 트리코트 편직기를 이용하여 편직한 제품이지만 표면에 가능 원사를 사용하여 만든 제품으로 기모공정이나 Buffing 공정을 추가하여 표면은 세무처럼 인조가죽느낌의 단파일이 있는 트리코트 스웨이드(Tricot Suede), 트리코트 편직기를 이용하여 편직한 제품으로 기모공정을 통하여 파일을 세운후 SH (Shearing) 공정을 통하여 표면을 가지런하게 잘라준 트리코트(Tricot Cut), 원통형 편기를 사용하여 편직한 써큘라니트(Circular Knit), 더블라셀(Double Raschel) 기계로 짠 제품으로 SPACE FABRIC인 메쉬(MESH), 위편형 기계로 싱커라는 부품을 통하여 파일이 있는 싱커파일(Sinker Pile) 등의 원단을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원단의 재질은 천연섬유, 인조섬유, 합성섬유로 제조되는 원단을 사용할 수 있으며, 또는 상기의 섬유들을 혼방한 섬유로 제조되는 원단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에서 설명된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방오성 원단에 염색공정이나 다른 후가공을 실시할 경우 방오성이 약화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제조방법은 염색공정이나 다른 후가공이 끝나 후에 실시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마찰내구성이 향상된 방오성 원단은 발수성, 발유성이 뛰어나고 연소성, 마찰착색성 등의 다른 물성이 약화되지 않으며, 특히 마모 후의 방오성이 저하되지 않는 특성으로 자동차 및 배나 비행기 등의 모든 운송수단용 시트에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불소수지계 방오제를 사용하여 딥핑공정, 탈수공정, 건조공정, 열처리공정, 난연공정으로 발수성, 발유성이 뛰어난 마찰내구성이 향상된 방오성 원 단을 제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되는 방오성 원단은 방오성이 뛰어날 뿐만 아니라 방오성과 반대 속성이라 할 수 있는 연소성도 우수하며 내광견뢰도, 마찰 착생성 및 다른 물성이 우수한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하기 실시예로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 방오성 원단의 제조
폴리에스테르의 75~300D 실을 이용하여 메쉬, 더블라셀, 트리코트 스웨이드, 플랫 우븐, 플랫 트리코트의 원단을 각각 제조하여 방오성 원단을 제조하였다.
딥핑공정에 사용되는 조성물은 물에 불소수지계 방오제(고형분 24중량%) 3%o.w.s,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고형분 26중량%) 0.3%o.w.s 을 첨가하여 조성물을 제조하였으며, 상기 조성물에 원단들을 3초간격으로 2회 침지하여 딥핑(dipping)공정을 실시하였다.
상기 딥핑공정 후의 원단들을 망글머신(Mangle Machin)을 이용하여 두 롤러 사이의 압력이 4kgf/㎠으로 함수율 50~70%로 탈수공정하고 130℃에서 90초간 건조하고 150℃에서 2분간 열처리공정 후, 아크릴계 난연제를 원단 일면에 55g/㎡로 코팅하여 방오성 원단들을 제조하였다.
상기에서 제조된 메쉬, 더불라셀, 트리코트 스웨이드, 플랫 우븐, 플랫 트리코트의 마찰내구성이 향상된 방오성 원단들을 하기의 방오성 실험 및 연소성 등의 물성을 측정하였다.
1. 방오성 실험
1-1. 방오성 실험
⊙ DROP TEST
* 사용시약 : 물 (증류수), 커피 (커피 1.8 g, 프림 4.4 g, 설탕 5.8 g, 더운물 100 ㎖), 우유
* 시험 방법 : 200×200 mm크기의 시편을 수평면에 놓고 (1)항의 시약을 페펫으로 30 cm 높이에서 시편 위에 약 5 mm크기로 떨어뜨린다. 여러위치에서 3 방울의 시약을 떨어 뜨리고 30초후 시약의 상태를 관찰한다.
⊙ 발유성 실험
* 사용시약 : n-TETRADECANE (표면장력 : 26 Dyne/cm)
* 시험방법 : 200×200 mm크기의 시편을 수평면에 놓고 (1)항의 시약을 피펫으로 시편 위에 5 mm크기의 액적을 놓는다
이때 피펫과 시편이 닿지 않도록 하고 시약을 똑똑 떨어뜨리지 않는다.여러위치에서 3 방울의 시약을 떨어 뜨리고 30초후 시약의 상태를 관찰한다
⊙ 발수성
* 사용시약 : 물/이소프로필알콜(60/40) (표면장력 26.6 Dyne/cm)
* 시험방법 : 상기 발유성 실험과 동일하다.
1-2. DROP TEST, 발유성, 발수성 판정방법
등급
A
Figure 112009071827211-pat00001
젖지 않고 명확한 액적의 경계를 가지는 것.
B
Figure 112009071827211-pat00002
경계선에 약간의 젖음이 있는 것.
C
Figure 112009071827211-pat00003
명확한 젖음이 있거나, 1/3 이상 젖음이 있는 것.
D
Figure 112009071827211-pat00004
완전히 젖음.
1-3. 방오성 실험결과
-시약 3 방울을 각각 측정하여 등급을 측정하였다.(예: 2방울이 A이고 한방울이 B경우 A2B1으로 표기)
항목
시험조건
규격
Drop Test 발유성
발수성
우유 커피
메쉬
마모 전 A2B1 A3 A3 A3 A3 A3
마모 후 B3 A3 A3 A3 A3 A3
더블라셀
마모 전 A2B1 A3 A3 A3 A3 A3
마모 후 B3 A3 A3 A3 A3 A3
트리코트 스웨이드 마모 전 A2B1 A3 A3 A3 A3 A3
마모 후 B3 A3 A3 A3 A3 A3
플랫 우븐
마모 전 A2B1 A3 A3 A3 A3 A3
마모 후 B3 A3 A3 A3 A3 A3
플랫 트리코트 마모 전 A2B1 A3 A3 A3 A3 A3
마모 후 B3 A3 A3 A3 B3 A3
상기의 표 2에서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되는 방오성 원단은 마모전, 후의 방오성이 거의 차이거 없으며 발유성, 발수성이 매우 뛰어난 것을 알 수 있다.
2. 연소성 및 기타 물성 실험
⊙ 연소성 실험
1) 시험방법
(1)시험편의 채취 : 폭 100 mm, 길이 350 mm, 두께는 시트의 두께로 한다.
단, 시트의 두께가 12mm이상인 경우에는 12 mm로 균일하게 절단한다
(2) 시험장치 및 시험조건
* 연소시험장치 : 시험장치는 KS B 9152-1978[자동차 실내용 유기자재의 연소성 시험방법]의 규정에 적합한 것. 또는 동등한 성능을 가진 장치로 할 것.
2) 시험조건
(1) 시험편은
상태 : 온도 16 ∼ 21 ℃, 상대습도 55±5 %로 유지된 조건에서 적어도 24시간 이상 방치할 것.
고온조건 : 온도 80±3 ℃의 건조로에서 168시간 동안 방치.
(2) 시험실
온도 16 ∼ 21 ℃, 상대습도 55±5 %의 조건하에서 행한다.
항목 요구사항(1)
연소속도
mm/min
(최대치)
상태 80 이하 단, 계측시부터 60초 이내에 꺼지거나, 계측점으로 부터 50 mm 이상 연소하지 않을 경우는 요구를 만족한다.
고온방치
(80 ℃×168 h)
⊙ 내광견뢰도
폭 60 mm, 길이 200 mm의 시험 편 1매를 취하여, 그위에 이것과 동일한 치수로 두께 10 mm의 연질 POLYURETHANE FOAM(밀도가 0.035±0.004의 연속SLAB폼)을 시험 편의 뒷면에 겹친 후, 소정의 보지구(保持具)에 표면이 조사되도록 넣어, 내광시험기내(ISO 105 또는 JIS L 0843에 규정하는 시험장비로 표4 의 조건으로 조사) 에 걸어 84 MJ/㎡(300~400 nm) 및 42 MJ/㎡(300~400 nm) 조사한 후, 동일시료의 미조사품과 비교하여 육안에 의해 그 변퇴색의 차를 GRAY SCALE(JIS L 0804(일광에 대한 염색 견뢰도 시험방법)로 판정하여 등급을 구한다.
광원 LACK PNL 온도 조내습도 조사조도(320 nm 이하의 조사조도를 300∼400 nm 조사조도 총량의 1.5% 미만으로 한다.)
Xenon 89±3 ℃ 50±5 %RH 60~100 W/㎡(300∼400 nm)
⊙ 내마모성 실험
직경이 약 150 mm의 시험 편을 취하여 그 중앙부에 직경 약 6 mm의 구멍을 뚫고, JIS L 1096(일반직물 시험방법)으로 규정한 TABER 형 마모시험기에 설치하여 CS-10의 마모륜, 500g의 하중으로 1000회 마모하여 시험을 행한다. 시험을 행한 후의 표면마모 상태를 표 5의 등급으로 나타낸다.
등급 마모의 정도
5 마모의 흔적이 전혀 확인되지 않는 것.
4 표면이 약간 보플이 일거나, 마모흔적이 확인되는 것.
3 마모부에 보플이 일어남이 두드러지거나, 표면은 보플이 일어나나 속은 보플 발생이 없다.
2 마모부에 실 끊어짐이 있고 심하게 보플이 발생한 것.
1 표면의 마모가 심하여 뒷면이 보이는 것.
⊙ 마찰 착색성
(1)건포 마찰 착색성
폭 25 mm, 길이 220 mm의 시험 편을 세로방향에 평행으로 2매 취하여 마찰시험기( JIS L 0823의 염색 견뢰도용 마찰시험기 Ⅱ형))의 시험대에 고정하고, 세로, 가로 각각 50 mm의 백면포주16) 로 시험기의 마찰자를 덮어 고정한다. 마찰자에는 4.9 N(500 gf)의 하중을 건후, 왕복속도 30회/분 이행 거리 100 mm로 시험 편의 표면을 100회 왕복시킨 후 백면포를 벗겨 백면포의 오염 정도를 오염용 GRAY SCALE(JIS L 0805의 오염용 GRAY SCALE)로 판정하여 등급을 구한다.
(2)땀포 마찰 착색성
건포 마찰 착색성과 동일하게 행한다. 단, 백면포를 인공 땀액에 10분간 침적한 후, 가볍게 짜서 마찰자를 덮어 고정한 후 신속히 마찰 시험을 행하여 판정한다.
상기 인공 땀액은 JIS K 9019 {인산나트륨(12수염)}의 1급 이상 8 g, JIS K 8150 (염화나트륨)의 1급 이상 8g, JIS K 8355 {초산(99 ~ 100%)(빙초산)}의 1급 이상 5 g을 순수한 물에 녹여서 1ℓ로 한다.(pH: 4.5)
2-2. 연소성 및 기타 물성 실험결과
항목 규격 메쉬 더블라셀 트리코트 스웨이드 플랫 우븐 플랫 트리코트
연소성 80㎜/min 이하 합격 합격 합격 합격 합격
내광견뢰도 3급이상 3급 3급 3급 3급 3급
내마모성 3급이상 3급 3급 3급 3급 3급
마찰착색성
4급이상(건포) 4급 4급 4급 4급 4급
4급이상(땀포) 4급 4급 4급 4급 4급
상기의 표 6에서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되는 방오성 원단은 방오성 가공으로 물성이 약화되지 않고 연소성, 내광견뢰도, 내마모성, 마찰착색성 등의 모든 규격에 합격기준에 만족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명백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방오성 카시트의 제조공정을 나타낸 공정도 이다.

Claims (9)

  1. 원단을 고형분 20~30중량%인 불소수지계 방오제 1.5~5% o.w.s, 고형분 20~30중량%인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 0.3~0.5%o.w.s, 대전방지제가 0.3~2%o.w.s가 함유된 조성물에서 2~10초간 침지하는 딥핑(dipping)공정;
    상기 딥핑된 원단을 함수율 35~85%이하로 탈수하는 탈수공정;
    상기 탈수된 원단을 120~140℃에서 건조하는 건조공정;
    상기 건조된 원단을 140~170℃에서 처리하는 열처리공정; 및
    상기 열처리공정 후 열처리된 방오성 원단의 일면에 난연제를 코팅하는 난연공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내구성이 향상된 방오성 원단 제조방법.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단은 플랫 우븐(Flat Woven), 플랫 트리코트(Flat Tricot), 더블라셀(Double Raschel), 트리코트 스웨이드(Tricot Suede), 트리코트(Tricot Cut), 써큘라니트(Circular Knit), 메쉬(MESH), 싱커파일(Sinker Pile) 원단 중 선택되는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내구성이 향상된 방오성 원단 제조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딥핑공정의 침지를 2회 이상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내구성이 향상된 방오성 원단 제조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탈수공정은 망글머신(Mangle Machine)을 이용하되 롤러 사이의 압력을 3~6kgf/㎠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내구성이 향상된 방오성 원단 제조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 및 열처리공정은 1~2분간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오성 원단 제조방법.
  7. 삭제
  8. 제1, 3-6항 중 어느 한 항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되는 원단으로 제조되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내구성이 향상된 방오성 카시트.
  9. 제1, 3-6항 중 어느 한 항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되는 원단으로 제조되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송수단용 시트.
KR1020090113374A 2009-11-23 2009-11-23 마찰내구성이 향상된 방오성 원단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5971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3374A KR101597191B1 (ko) 2009-11-23 2009-11-23 마찰내구성이 향상된 방오성 원단 및 그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3374A KR101597191B1 (ko) 2009-11-23 2009-11-23 마찰내구성이 향상된 방오성 원단 및 그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6876A KR20110056876A (ko) 2011-05-31
KR101597191B1 true KR101597191B1 (ko) 2016-03-08

Family

ID=443651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13374A KR101597191B1 (ko) 2009-11-23 2009-11-23 마찰내구성이 향상된 방오성 원단 및 그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9719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10501A (ko) * 2020-02-29 2021-09-08 주식회사 윈텍스 오염제거가 용이한 발수방오성 원단 및 그 제조방법
KR20220093704A (ko) * 2020-12-28 2022-07-05 티케이지에코머티리얼 주식회사 슬림성과 고탄성을 가지는 자동차 시트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26189B1 (ko) * 2011-12-16 2019-03-07 코오롱글로텍주식회사 정전기 방지 성능을 갖는 방오성 카시트 원단 코팅제, 카시트 원단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308982B1 (ko) * 2012-04-12 2013-09-16 남택욱 준 불연 더블 라셀 편지
KR20140028965A (ko) * 2012-08-31 2014-03-10 코오롱글로텍주식회사 부분적인 방오성능을 부여한 원단
KR20210046436A (ko) * 2019-10-18 2021-04-2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 내장재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27100B1 (ko) 1997-09-02 1999-10-15 한형수 T/r 혼방 및 교직물의 발수, 발유, 방오 및 항균 가공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95778A (ja) * 1996-12-26 1998-07-28 Kanebo Ltd 耐久防汚加工方法
KR20090104531A (ko) * 2008-03-31 2009-10-06 코오롱글로텍주식회사 복합기능성 원단의 가공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27100B1 (ko) 1997-09-02 1999-10-15 한형수 T/r 혼방 및 교직물의 발수, 발유, 방오 및 항균 가공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10501A (ko) * 2020-02-29 2021-09-08 주식회사 윈텍스 오염제거가 용이한 발수방오성 원단 및 그 제조방법
KR102359633B1 (ko) 2020-02-29 2022-02-08 주식회사 윈텍스 오염제거가 용이한 발수방오성 원단 및 그 제조방법
KR20220093704A (ko) * 2020-12-28 2022-07-05 티케이지에코머티리얼 주식회사 슬림성과 고탄성을 가지는 자동차 시트 제조방법
KR102469094B1 (ko) * 2020-12-28 2022-11-22 티케이지에코머티리얼 주식회사 슬림성과 고탄성을 가지는 자동차 시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6876A (ko) 2011-05-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97191B1 (ko) 마찰내구성이 향상된 방오성 원단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235778B1 (ko) 난연성이 우수한 스웨이드조 인공 피혁 및 그 제조 방법
DE60225945T2 (de) Textilausrüstungszusammensetzung und deren anwendung
KR20080059111A (ko) 내구성 오염 방지 및 오염 제거 피니쉬로 처리된 직물 및피니쉬의 내구성을 유지하기 위한 산업용 세탁 방법
Eryuruk The effects of elastane and finishing processes on the performance properties of denim fabrics
CA3095565C (en) Flame resistant textile
MX2008012586A (es) Tela textil retardadora de flama.
US8877289B2 (en) Stainproofing method of fabric
JPWO2017126358A1 (ja) 繊維構造物
KR100855913B1 (ko) 폴리페닐렌술피드 부재 및 그 제조방법
KR101926189B1 (ko) 정전기 방지 성능을 갖는 방오성 카시트 원단 코팅제, 카시트 원단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830729B1 (ko) 정전기 방지 성능을 갖는 방오성 카시트 원단 및 이의 제조방법
Erayman Yüksel et al. Investigation of sewing and water repellent performance of outdoor clothing
US20030154553A1 (en) Chemically modified nonwoven articles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CN103154358A (zh) 人造革及其制造方法
KR20120023871A (ko) 엠보가 형성된 방오성 원단 및 이의 제조방법
CN1763300B (zh) 表面平滑的棉纤维制品及由棉和再生纤维素纤维形成的复合纤维制品的制造方法
KR101185061B1 (ko) 오염방지 원단
Yoa et al. A Study on the properties of silk and nylon 6 fabrics by tannic acid treatment
KR20140028965A (ko) 부분적인 방오성능을 부여한 원단
KR20170049004A (ko) 방오 및 발수 그리고, 난연 성능 개선을 위한 원단의 코팅 방법 및 방오 및 발수 그리고 난연 성능 개선을 위한 코팅이 된 원단 제품
Rahman et al. Improvement of Tensile Strength of Viscose Woven Fabric by Applying Chemical Finishes
JP2009249783A (ja) 車両用シートの表皮材
CN114875597B (zh) 具有凉爽且厚实手感的针织棉面料的染整工艺及其制品
KR20200080488A (ko) Pfpe 방오제를 적용한 친환경 카시트 원단 개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