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62988B1 - 복합기능성 원단의 가공방법 - Google Patents

복합기능성 원단의 가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62988B1
KR101062988B1 KR1020090046888A KR20090046888A KR101062988B1 KR 101062988 B1 KR101062988 B1 KR 101062988B1 KR 1020090046888 A KR1020090046888 A KR 1020090046888A KR 20090046888 A KR20090046888 A KR 20090046888A KR 101062988 B1 KR101062988 B1 KR 1010629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bric
flame retardant
yarn
layer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468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28480A (ko
Inventor
윤석한
김주안
권윤정
홍진표
최우혁
Original Assignee
한국염색기술연구소
코오롱글로텍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염색기술연구소, 코오롱글로텍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염색기술연구소
Priority to KR10200900468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62988B1/ko
Publication of KR201001284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284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629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629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1/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inorganic substances or complexes thereof;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e.g. mercerising
    • D06M11/83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inorganic substances or complexes thereof;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e.g. mercerising with metals; with metal-generat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Reduction of metal compounds on textile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5/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 D03D15/5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yarns or threads
    • D03D15/513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yarns or threads heat-resistant or fireproof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1/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inorganic substances or complexes thereof;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e.g. mercerising
    • D06M11/58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inorganic substances or complexes thereof;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e.g. mercerising with nitrogen or compounds thereof, e.g. with nitrides
    • D06M11/59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inorganic substances or complexes thereof;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e.g. mercerising with nitrogen or compounds thereof, e.g. with nitrides with ammonia; with complexes of organic amines with inorganic substances
    • D06M11/62Complexes of metal oxides or complexes of metal salts with ammonia or with organic amin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5/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 D06M15/19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with synthetic macromolecular compounds
    • D06M15/21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06M15/263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of unsaturated carboxylic acids; Salts or esters thereof
    • D06M15/267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of unsaturated carboxylic acids; Salts or esters thereof of unsaturated carboxylic esters having amino or quaternary ammonium group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2200/00Functionality of the treatment composition and/or properties imparted to the textile material
    • D06M2200/10Repellency against liquids
    • D06M2200/11Oleophobic properti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2200/00Functionality of the treatment composition and/or properties imparted to the textile material
    • D06M2200/30Flame or heat resistance, fire retardancy propertie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1/00Physical properties
    • D10B2401/02Moisture-responsive characteristics
    • D10B2401/021Moisture-responsive characteristics hydrophobic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1/00Physical properties
    • D10B2401/13Physical properties anti-allergenic or anti-bacterial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1/00Physical properties
    • D10B2401/14Dyeabil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Treatments For Attaching Organic Compounds To Fibrous Good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복합기능성 원단의 가공방법에 있어서, 난연사 20~70중량%와 일반사를 30~80중량%로 혼합하여 원단을 제조하는 원단제조단계; 무기금속계, 유기금속계, 아닐리드계, 4차암모늄염계, 양성 및 비이온 계면활성제계, 구아니딘계, 글리콜계, 페놀계, 이미다졸 및 티아졸계, 이소티아졸론계, 니트릴계, 요오드계, 플루오르계, 당질계 및 이들의 복합체로 이루어진 군에서 1이상 선택된 항균방취제를 0.1 내지 0.5 o.w.f로 원단에 부착하는 항균방취단계; 및 플루오르계 발수발유제로 농도가 4 내지 40g/L, 픽업율이 70 내지 100%로 원단에 도포하고 160 내지 190℃에서 3 내지 10분간 경화하는 발수발유단계를 포함하는 복합기능성 원단의 가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복합기능원단, 방염, 발수, 발유, 항균, 난연사

Description

복합기능성 원단의 가공방법{Manufacturing method of multi-functional fabric}
본 발명은 복합기능성 원단의 가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염색성, 방염성, 흡음항균성 등과 같은 기능이 복합적으로 발현될 수 있는 원단의 가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원단의 기능을 개선하거나 부여하기 위하여 다양한 기능성 물질과 이를 원단에 가공하는 방법들이 제안되어 있다. 예를 들어 항균성, 방취성, 소취성, 방염성, 난연성, 방수성, 발수성, 발유성 등등이다.
상기의 기능성을 원단에 부여하기 위해 역시 다양한 물질과 처리방법들이 제안되어 왔으나 이들의 조건들은 각각의 개별적 기능성을 원단에 부여하기 위한 개별적인 방법들이다.
따라서 상기 기능성을 원단에 부여함에 있어 복합화된 기능을 부여하기 위해서는 다수의 공정이 반복되어야 한다. 이러한 공정의 반복은 생산성 저하는 논외로 하더라도 각각의 처방조건의 상충으로 인해 과도한 제재의 사용을 강요하고 서로간에 역효과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방염가공과 발수가공은 서로 다른 화학 적 작용이 상충하여 두 가공이 동시에 사용될 경우 방염성과 발수성을 모두 발휘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다수의 기능을 하나의 원단에 부여함에 있어서 단일공정 또는 복합공정의 필요성이 요청되었고 이 경우 서로의 기능을 저해하지 않는 적절한 가공방법의 필요성이 요구되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목적은 복합화된 기능 부여할 수 있는 원단의 가공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복합기능들이 서로의 기능성을 저감시키지 않는 적합한 가공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은 복복합기능성 원단의 가공방법에 있어서, 난연사 20~70중량%와 일반사를 30~80중량%로 혼합하여 원단을 제조하는 원단제조단계; 무기금속계, 유기금속계, 아닐리드계, 4차암모늄염계, 양성 및 비이온 계면활성제계, 구아니딘계, 글리콜계, 페놀계, 이미다졸 및 티아졸계, 이소티아졸론계, 니트릴계, 요오드계, 플루오르계, 당질계 및 이들의 복합체로 이루어진 군에서 1이상 선택된 항균방취제를 0.1 내지 0.5 o.w.f로 원단에 부착하는 항균방취단계; 및 플루오르계 발수발유제로 농도가 44 내지 40g/L, 픽업율이 70 내지 100%로 원단에 도포하고 160 내지 190℃에서 3 내지 10분간 경화하는 발수발유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기능성 원단의 가공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원단은 상부원단층과 저융점사로 형성되는 하부원단층으로 형성되고 상기 하부원단층의 상부에 파일로 형성된 중간파일사층이 형성되되, 상기 원단의 두께는 1 내지 50mm이며, 상기 중간파일사층의 파일의 밀도는 20 내지 80 CPI 여서 상기 중간파일사층과 하부원단층이 흡음성을 향상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기능성 원단의 가공방법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동일한 참조부호를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약", "실질적으로" 등은 언급된 의미에 고유한 제조 및 물질 허용오차가 제시될 때 그 수치에서 또는 그 수치에 근접한 의미로 사용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정확하거나 절대적인 수치가 언급된 개시 내용을 비양심적인 침해자가 부당하게 이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원단"이라 함은 제직 또는 편직에 의해 제조되는 물품, 부직포 및 섬유상 웹 등을 모두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한다.
본 발명은 난연사와 일반사로 제조되는 원단에 항균방취가공, 발수발유가공으로 복합기능을 가지는 원단에 관한 것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단제조단계, 방염단계, 항균방취단계, 발수발유단계를 포함하는 가공방법에 의해 기능성이 복합화될 수 있다.
상기 난연사는 난연섬유로 제조되는 실로 섬유가 불꽃에 접촉하고 있을 때는 타지만 불꽃을 제거하면 스스로 불꽃을 내면서 연소하는 것을 방지 또는 억제하도록 하는 실을 말한다. 즉, 실 자체가 타지 않도록 하는 것이 아니라 화재의 전파 능력을 상실하게 하는 섬유를 말하며 난연 대신 방염(防炎), 방화(放火), 방연(防燃) 등의 용어를 사용하기도 한다. 난연사는 일반적으로 한계산소지수(LOI) 값이 27 이상인 것을 말한다.
섬유에 난연성을 부여하는 원리는 섬유의 열분해 경로를 변경하여 가연성 기체의 양을 감소시키고 잔존 탄화물의 양을 증가시켜 난연성을 부여하는 방법(즉, 가연성 물질의 감소와 탄화물의 증가에 의한 난연성 부여법)과 연소 방법을 변화시켜 난연성을 부여하는 방법(즉, 열분해 과정은 난연제의 첨가 유무와 관계없이 일정하나 불꽃의 연소 방법을 변화시켜 난연작용을 한다)이 있다.
섬유에 난연성을 부여하는 시기를 기준으로 보면 섬유가 만들어진 후의 후처리에 의한 방법, 섬유화하는 방사단계에서의 난연제를 첨가하는 방법, 섬유용 고분자를 제조하는 단계(주로 중합단계)에서 난연성을 갖는 성분을 포함하는 단량체로 공중합시키는 방법 등이 있다. 일반적으로 천연섬유인 경우 방사단계나 중합과정에서 난연성을 부여할 수 없기 때문에 후처리법에 의해서 난연성을 부여하는 반면, 합성 섬유의 경우에는 방사 단계에서 난연성을 부여하는 경우가 일반적이다.
첨가 물질에 의한 섬유 제품의 난연화는 무기물질을 충진시키는 방법, 유기물질인 난연제를 첨가하는 방법 등이 있는데 산업용 섬유소재인 경우 일반적으로 난연제 첨가에 의한 방법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
유기물질 난연제는 붕소(B), 질소(N), 인(P), 안티몬(Sb) 및 염소(Cl)와 브롬(Br)과 같은 할로겐 원자를 포함하는 화합물이다. 이들 난연성 부여 원자들 사이에는 서로 상승효과가 존재하는데 질소와 인 원자의 상승효과, 할로겐(염소, 브롬)과 안티몬 원자의 상승효과가 알려져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난연사는 천연섬유, 재생섬유, 합성섬유일 수 있으며, 천연섬유의 경우에는 난연제를 후처리법에 의해 난연성을 부여하여 제조할 수 있으며, 재생섬유나 합성섬유는 섬유가 만들어진 후의 후처리에 의한 방법, 방사단계에서의 난연제를 첨가하는 방법, 중합단계에서 난연성을 갖는 성분을 포함하는 단량체로 공중합시키는 방법 등을 사용할 수 있으나 영구적인 난연성능을 위해 방사단계나 중합과정에서 난연제를 첨가하는 방법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 난연사와 혼합되는 일반사는 원단의 이용목적이나 이용방법에 따라 천연섬유, 재생섬유, 합성섬유 등을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난연사와 일반사의 혼용율은 난연사 20~70중량%, 일반사를 30~80중량%로 혼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난연사의 사용량은 이용목적이나 사용처에 따라 난연성의 중요도에 따라 그 사용량이 변화할 수 있으나 70중량%이 초과할 경우 하기에서 설명되는 항균방취가공, 발수발유가공의 효과가 저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복합기능원단의 방염성을 더욱 증가시키기 위해 원단제조 후에 방염제로 원단을 처리하는 방염단계를 실시하여 방염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방염제는 질소계 인화합물 또는 유기인계 화합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 직 하며, 질소계 인화합물의 방염제의 경우 FLOVAN® CGN(Huntsman 제조)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반적으로 방염가공과 발수발유가공이 같은 원단에 처리되면 두 가공의 효과가 떨어지게 되나 상기 FLOVAN® CGN는 다른 방염제는 달리 하기의 발수발유단계에서 사용되는 발수발유제의 효능을 크게 저하시키지 않는다.
본 발명의 원단의 방염단계는 상기 방염제의 농도가 20 내지 250g/L가 되도록 하여 픽업율이 80 내지 100%이고 도포방법은 패딩법, 스프레이법 등일 수 있다. 상기 도포 후 약 120 내지 150℃에서 10 내지 20분간 건조한 후 150 내지 170℃에서 1 내지 5분간 경화시켜 방염제가 원단에 견고하게 부착되어 방염단계로 인한 방염 내구성을 증가시킨다.
다음 항균방취단계에서 항균방취제는 무기금속계, 유기금속계, 아닐리드계, 4차암모늄염계, 양성 및 비이온 계면활성제계, 구아니딘계, 글리콜계, 페놀계, 이미다졸 및 티아졸계, 이소티아졸론계, 니트릴계, 요오드계, 플루오르계, 당질계 및 이들의 복합체로 이루어진 군에서 1이상 선택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무기은계일 수 있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벤젠술폰아미드 실버염(benzenesulfonamide silver salt)일 수 있다.
상기 항균방취단계는 상기의 선택되는 항균방취제는 0.1 내지 0.5 o.w.f(On the Weight of Fiber)를 원단에 부착하는 것으로 단독으로 실시할 수 있고, 염색공정과 같이 실시할 수 있다. 상기 항균방취제의 사용량은 사용되는 항균방취제에 따라 사용량이 달라지나 대체적으로 사용량이 높을 수록 효과가 증가되나 일정 사용 량을 초과하면 사용량의 증가에 따른 항균방취 효과의 증가가 미약하므로 0.5 o.w.f을 초과하여도 효과가 크게 증가하지 않는다. 0.1 o.w.f미만의 사용량에서는 항균방취제의 효과는 있으나 효과가 미약하므로 항균방취제의 사용량은 0.1 내지 0.5 o.w.f인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다음 발수발유단계에서 발수발유제는 플루오르계, 특히 탄화 플루오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발수발유제는 플루오르 측쇄를 갖는 폴리실록산의 Nuva 3049(Hoechst 제조)이나 Oleophobol SLA-new(Huntsman 제조)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발수발유제는 농도가 4 내지 40g/L, 픽업율이 70 내지 100%로 도포하고 160 내지 190℃에서 3 내지 10분간 경화하여 원단에 발수발유성을 부여한다. 상기 발수발유제의 농도는 본 발명의 원단의 난연사의 함량, 일반사의 종류, 원단의 이용목적이나 이용방법에 따라 조절되어야할 것이다.
상기와 같이 제조되는 복합기능원단의 형태는 다양한 원단의 형태가 적용될 수 있으며, 하기 설명될 원단의 구조와 같이 흡음기능을 가지는 원단으로 제조될 수 있다. 하기의 원단 구조는 비제한적인 예로서 이해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의한 원단의 사시단면도로서 상기 원단은 하부원단층 100, 중간파일사층 200, 상부원단층 300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부원단층 100은 평직 또는 벌집모양 등 다양한 디자인 패턴을 부여할 수 있으며, 면, 모, 견, 마 등의 천연섬유나 기타 합성섬유 단독, 또는 2 이상의 섬유를 혼사할여 제조될 수 있다. 또 원사의 형태로는 고수축사, 다공질사(흡한속 건사)를 이용할 수 있다.
특히, 하부원단층 100은 건축 흡음보드(도 3 참조, 400)와 결합시키는 방음모듈에 적용할 경우, 흡음보드와의 접착성을 높이기 위해 하단 원단층에 저융점 원사(LM사)를 사용함으로써 흡음보드층과 상기 구조체를 결합할 때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고 열본딩시켜, 접착제 사용에 의한 VOC 문제를 개선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하부원단층 100과 상부원단층 300을 연결해 주는 중간파일사층 200은 직립한 파일사 기둥과 공기층을 함유하고 있으며, 모노필라멘트, 멀티필라멘트, 멀티필라멘트 가공사, 방적사, 잠재권축사, 다공질사, 중공사 등에서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고, 중간 파일사층의 길이(1 ~ 50mm)와 파일사 밀도를 다양하게 조절할 수 있다. 파일사의 종류와 섬도, 밀도, 길이는 충격흡수기능(쿠션성)과 흡음성능에 큰 영향을 주며, 이들을 다양하게 변화시킴으로써 충격흡수성과 흡음성을 원하는 수준으로 조절 가능함은 물론이다.
상기 상부원단층 300은 하부원단층과 같이 평직 또는 벌집모양 등 다양한 디자인 패턴을 부여할 수 있으며, 면, 모, 견, 마 등의 천연섬유나 기타 합성섬유 단독, 또는 2 이상의 섬유를 혼사할여 제조될 수 있다. 또한 상부원단층은 에칭가공, 프린팅가공, 코팅가공 등을 통하여 벽지 용도에 부합하는 다양한 디자인처리 및 기능성 가공을 추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항균방취가공, 난연가공, 방오가공 등을 통하여 기능성 부여가 가능한 것이다. 또한 원사를 상기 기능성 물질이 함유된 원사혼입형(복합섬유) 원사를 사용함으로써 기능발현도 가능하다.
한편 상기 상부원단층의 표면은 다양한 형태의 입체적 형상(500)을 구현할 수 있 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원단층의 표면 형태는 라운드형, 직교형, 허니컴, 빗살무늬, 엠보스형 등 다양한 입체감을 표현 가능한데 상부원단층의 표면이 요철구조로 형성될 경우 회절거리를 더 길게하여 흡음성능이 향상되는 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상부원단층의 표면변형은 별도의 추가적인 공정없이 제직이나 제편시 원단층의 형성과 동시에 형성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전체 구조체의 두께는 1 내지 50mm 정도임이 바람직한데, 상기 범위 미만인 경우 흡음성능이 현저히 저하되고, 상기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흡음성능이 향상되는 장점은 있으나 중간파일사층의 자중과 상부 및 하부원단층을 지지하는 하중이 과다해져 형태안정성에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한편 중간파일사층의 밀도는 CPI(Course Per Inch)로 표현할 수 있는데 20 내지 80 CPI가 적절하고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50 정도이다. 상기 범위 미만인 경우 파일사의 밀도가 작아 흡음성능이 저하되고 형태안정성에도 문제가 생기며, 상기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파일사 간 회절현상이 오히려 저하되는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
본 발명에 의한 원단은 각종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다. 편직법에서는 싱글 환편지, 양면 환편지, 트리코트 경편지, 라셀 편지, 더블라셀 편지, 다중직물, 적층부직포 등을 사용할 수 있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원단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원단을 나타낸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부원단층 300이 없이 하부원단층 100의 상부에 중간파일사층 200이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하부원단층과 중간파일사층은 상기 실시예와 동일한 재질과 방식으로 직조될 수 있으며, 기타 터프팅법 등에 의해서도 제조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원단의 두께는 1.2 내지 4mm 정도가 바람직한데, 이는 상기 실시예와 동일한 이유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복합화된 기능을 발현하는 원단에서 각각의 기능들이 구현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복합화된 기능들이 처리공정에서 서로 저감되지 않으며 일반적으로 단독으로 처방되는 경우보다 소량으로도 목적하는 기능을 발현하는 특성이 있다.
1. 난연사를 통한 방염효과와 방염제 도포에 따른 방염효과의 비교
1) Test 1 시료- 100% Polyester 적용
- 염색시 욕중 난연제 3% 처리(Br계 난연제)
2) Test 2 시료- Polyester (78.09%) + 난연사(21.91%)
3) Test 3 시료 - Polyester (74.43%) + 난연사(25.57%)
* 상기 Test 2, 3의 시료에 사용되는 난연사는 Polyester로 고분자 중합시 인계 난연제를 투입하여 EG와 반응시켜 축중합하여 고분자 주쇄에 난연 화합물을 결합된 난연 폴리에스테르이다.
* 시험방법 : DIN 4102 Part 1 (B2)
* 시료크기 90mm * 230mm (경사방향)
상기의 시험방법에 따른 결과는 표 1에 도시하였다.
탄화거리(cm) 비 고
Test 1 시료 Test 2 시료 Test 3 시료
10.5 5.5 5.1 15cm 이하
통과
상기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방염제를 도포한 원단의 방염성 보다 난연사를 포함하는 원단의 방염성이 효과가 뛰어남을 알 수 있다.
2. 본 발명에 따른 복합기능원단의 방염성, 항균발취성, 발수발유성 시험
실시예 1
고분자 중합시 인계 난연제를 투입하여 축중합으로 고분자 주쇄에 난연 화합물을 결합된 난연 폴리에스테르를 난연사로 사용하고 일반적인 폴리에스테르를 일반사로 사용하여 난연사 22중량%, 일반사 78중량%로 혼합하여 원단을 제조하고, 항균방취제로 벤젠술폰아미드 실버염을 사용하여 150℃욕조에서 0.3o.w.f으로 항균방취단계를 실시하였다.
또한, 발수발유단계에서는 발수발유제로 플루오르계의 Oleophobol SLA-new를 사용하였으며, 발수제의 농도를 10g/L로 하여 복합기능원단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내지 4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되 난연사와 일반사의 혼용율을 30중량%:70중량%, 50중량%:50중량%, 70중량%:30중량%로 하였다.
실시예 5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되 항균방취단계전 FLOVAN® CGN를 방염제로 사용하여 방염단계를 실시하였다. 방염제의 농도가 50g/L로 픽업율이 80%이고 도포하였다.
실시예 6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되 발수발유단계에서 발수발유제를 Nuva 3049(Hoechst 제조)을 사용하고 농도는 15g/L로 하였다.
1) 방염성 시험
방염성능의 시험은 DIN 4102 Part 1 (B2) 따라 탄화길이로 평가되었다.(기준은 표 3과 같다)
구분 탄화거리
실시예 1 6.7㎝
실시예 2 6.6㎝
실시예 3 5.9㎝
실시예 4 6.0㎝
실시예 5 8㎝
실시예 6 9.1㎝
2) 항균방취 시험
항균성은 KS K 0693방법으로 시험하여 그 결과를 표 3에 나타내었다.
표 3에서 보듯이 매우 낮은 농도인 0.3% o.w.f.에서도 매우 우수한 항균효과를 볼 수 있었다.
균주 감소율 (%)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실시예 6
Staphylococcus
aureus
99.9
99.9
99.9 99.9 99.9 99.9
Klebsiella
pneumoniae
99.9
99.9
99.9 99.9 99.9 99.9
3) 발수발유 시험
발수성은 AATCC 22, spray test법에 의해 측정되며, 발유성은 AATCC 118, oil repellency test 방법에 의해 측정되었다. 시험결과 각각의 실시예의 원단의 발수도, 발유도 테스트 결과는 표 4과 같다.
구분 발수도 발유도
(AATCC 22) (AATCC 118)
실시예 1 100 2
실시예 2 100 3
실시예 3 100 3
실시예 4 100 2
실시예 5 100 4
실시예 6 100 3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명백할 것이다.
도 1 및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원단의 사시단면도.
도 3 내지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원단과 흡음보드가 결합된 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복합기능원단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조공정도.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100 : 하부원단층 200 : 중간파일사층
300 : 상부원단층 400 : 흡음보드
500 : 요철

Claims (2)

  1. 복합기능성 원단의 가공방법에 있어서,
    난연사 20~70중량%와 일반사를 30~80중량%로 혼합하여 원단을 제조하는 원단제조단계;
    무기금속계, 유기금속계, 아닐리드계, 4차암모늄염계, 양성 및 비이온 계면활성제계, 구아니딘계, 글리콜계, 페놀계, 이미다졸 및 티아졸계, 이소티아졸론계, 니트릴계, 요오드계, 플루오르계, 당질계 및 이들의 복합체로 이루어진 군에서 1이상 선택된 항균방취제는 0.1 내지 0.5 o.w.f, 픽업율이 80 내지 100%로 원단에 도포하고 160 내지 190℃에서 3 내지 10분간 경화하는 항균방취단계; 및
    플루오르계 발수발유제로 농도가 4 내지 40g/L, 픽업율이 70 내지 100%로 원단에 도포하고 160 내지 190℃에서 3 내지 10분간 경화하는 발수발유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기능성 원단의 가공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단은 상부원단층과 저융점사로 형성되는 하부원단층으로 형성되고 상기 하부원단층의 상부에 파일로 형성된 중간파일사층이 형성되되,
    상기 원단의 두께는 1 내지 50mm이며, 상기 중간파일사층의 파일의 밀도는 20 내지 80 CPI여서 상기 중간파일사층과 하부원단층이 흡음성을 향상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기능성 원단의 가공방법.
KR1020090046888A 2009-05-28 2009-05-28 복합기능성 원단의 가공방법 KR1010629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6888A KR101062988B1 (ko) 2009-05-28 2009-05-28 복합기능성 원단의 가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6888A KR101062988B1 (ko) 2009-05-28 2009-05-28 복합기능성 원단의 가공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8480A KR20100128480A (ko) 2010-12-08
KR101062988B1 true KR101062988B1 (ko) 2011-09-07

Family

ID=435053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46888A KR101062988B1 (ko) 2009-05-28 2009-05-28 복합기능성 원단의 가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6298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7704B1 (ko) 2013-02-14 2013-07-24 (주)에브리데이해피인터내셔널 항균 및 소취 원단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637589A (zh) * 2022-09-16 2023-01-24 张晓明 一种防臭自清洁面料及其制备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27100B1 (ko) 1997-09-02 1999-10-15 한형수 T/r 혼방 및 교직물의 발수, 발유, 방오 및 항균 가공방법
KR100736925B1 (ko) 2006-09-22 2007-07-10 주식회사 새 한 창가리개용 스크린 원단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27100B1 (ko) 1997-09-02 1999-10-15 한형수 T/r 혼방 및 교직물의 발수, 발유, 방오 및 항균 가공방법
KR100736925B1 (ko) 2006-09-22 2007-07-10 주식회사 새 한 창가리개용 스크린 원단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7704B1 (ko) 2013-02-14 2013-07-24 (주)에브리데이해피인터내셔널 항균 및 소취 원단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8480A (ko) 2010-1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711249B2 (ja) テキスタイル複合材製品
CN102471992B (zh) 具有涂层的微纤维网及其制造方法
EP2878723B1 (en) Fire resistant panel including vertically oriented fire retardant treated fibers and an adaptive covering material
WO2011143077A1 (en) Flame resistant textile materials providing protection from near infrared radiation
KR101062988B1 (ko) 복합기능성 원단의 가공방법
Shaid et al. Textiles for firefighting protective clothing
KR101254114B1 (ko) 고 기능성의 3차원 스페이서 패브릭의 제조 방법
KR20200107244A (ko) 복합적 기능을 부여하기 위한 원단 가공방법
WO2007095010A1 (en) Fire resistant fabric formed from treated fibers
KR20090104531A (ko) 복합기능성 원단의 가공방법
EP3036369B1 (en) Treated textile material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Karakan Günaydın et al. A research on effect of surface treatment conditions on flammability and water repellency properties of drapery fabrics produced from micro polyester yarns
JP2006233339A (ja) 繊維構造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1072914B1 (ko) 자외선 경화형 인계 단량체를 이용한 직물의 방염가공
Youn et al. Comparison of mechanical properties of electrospun nanofiber web layered systems and conventional breathable waterproof fabrics
JPH101868A (ja) 建築工事用メッシュシー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170127705A (ko) 기능성원단의 가공방법
KR101707732B1 (ko) 반응성 난연제를 첨가한 난연성 폴리푸로피렌섬유사
KR20100003817A (ko) 방진마스크
JP5054393B2 (ja) 撥水性下衣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1460939B1 (ko) 면/폴리에스테르 혼방사를 포함하는 방염원단 및 그 제조방법
JP3040842B2 (ja) ポリエステル系難燃性スパンボンド不織布
JP7234472B2 (ja) カーテン地
Bhat Flame resistant nonwoven fabrics
ES2962248T3 (es) Materiales de aislamiento térmic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