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23481A - 본딩와이어용 스풀케이스 - Google Patents

본딩와이어용 스풀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23481A
KR19990023481A KR1019980032340A KR19980032340A KR19990023481A KR 19990023481 A KR19990023481 A KR 19990023481A KR 1019980032340 A KR1019980032340 A KR 1019980032340A KR 19980032340 A KR19980032340 A KR 19980032340A KR 19990023481 A KR19990023481 A KR 199900234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ool
base
cover
case
fla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323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01092B1 (ko
Inventor
타다오 안조
오사무 사토
토시오 카지
케이이찌 니시무라
Original Assignee
사토 케이지
타나카 덴시 코오교오 카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사토 케이지, 타나카 덴시 코오교오 카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사토 케이지
Publication of KR199900234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34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010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01092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4/00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Methods or apparatus related thereto
    • H01L24/74Apparatus for manufacturing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 H01L24/78Apparatus for connecting with wire connec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CMANUFACTURE OF METAL SHEETS, WIRE, RODS, TUBES OR PROFILES, OTHERWISE THAN BY ROLLING; AUXILIARY OPERATIONS USED IN CONNECTION WITH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 B21C47/00Winding-up, coiling or winding-off metal wire, metal band or other flexible metal material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evant to metal processing only
    • B21C47/28Drums or other coil-hold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0/00Non-electric welding by applying impact or other pressure, with or without the application of heat, e.g. cladding or plating
    • B23K20/002Non-electric welding by applying impact or other pressure, with or without the application of heat, e.g. cladding or plat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work
    • B23K20/004Wire we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0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nnular articles
    • B65D85/04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nnular articles for coils of wire, rope or hos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49/00Unwinding or paying-out filamentary material; Supporting, storing or transporting packages from which filamentary material is to be withdrawn or paid-out
    • B65H49/38Skips, cages, racks, or containers, adapted solely for the transport or storage of bobbins, cop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67/00Replacing or removing cores, receptacles, or completed packages at paying-out, winding, or depositing stations
    • B65H67/06Supplying cores, receptacles, or packages to, or transporting from, winding or depositing stations
    • B65H67/064Supplying or transporting cross-wound packages, also combined with transporting the empty core
    • B65H67/065Manipulators with gripping or holding means for transferring the packages from one station to another, e.g. from a conveyor to a creel trolle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75/00Storing webs, tapes, or filamentary material, e.g. on reels
    • B65H75/02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 B65H75/04Kinds or types
    • B65H75/08Kinds or types of circular or polygonal cross-section
    • B65H75/14Kinds or types of circular or polygonal cross-section with two end flanges
    • B65H75/141Kinds or types of circular or polygonal cross-section with two end flanges covers theref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4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 H01L21/50Assembly of semiconductor devic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 single one of the subgroups H01L21/06 - H01L21/326, e.g. sealing of a cap to a base of a container
    • H01L21/60Attaching or detaching leads or other conductive members, to be used for carrying current to or from the device in ope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2/00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handling apparatus
    • B65H2402/40Details of frames, housings or mountings of the whole handling apparatus
    • B65H2402/41Portable or hand-held apparatus
    • B65H2402/414Manual tools for filamentary material, e.g. for mounting or removing a bobbin, measuring tension or splic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30Handled filamentary material
    • B65H2701/36Wires
    • B65H2701/361Semiconductor bonding wi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01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e.g. chip-to-package, die-attach, "first-level" interconnect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42Wire connector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44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wire connectors prior to the connecting process
    • H01L2224/45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wire connectors prior to the connecting process of an individual wire connector
    • H01L2224/45001Core members of the connector
    • H01L2224/45099Material
    • H01L2224/451Material with a principal constituent of the material being a metal or a metalloid, e.g. boron (B), silicon (Si), germanium (Ge), arsenic (As), antimony (Sb), tellurium (Te) and polonium (Po), and alloys thereof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74Apparatus for manufacturing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for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78Apparatus for connecting with wire connectors
    • H01L2224/786Means for supplying the connector to be connected in the bonding apparatu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80Methods for connecting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bodies using 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 H01L2224/85Methods for connecting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bodies using 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using a wire connector
    • H01L2224/851Methods for connecting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bodies using 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using a wire connector the connector being supplied to the parts to be connected in the bonding apparatu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0001Technical content checked by a classifier
    • H01L2924/00014Technical content checked by a classifier the subject-matter covered by the group, the symbol of which is combined with the symbol of this group, being disclosed without further technical detai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01Chemical elements
    • H01L2924/01004Beryllium [B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01Chemical elements
    • H01L2924/01005Boron [B]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01Chemical elements
    • H01L2924/01006Carbon [C]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01Chemical elements
    • H01L2924/01029Copper [Cu]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01Chemical elements
    • H01L2924/01033Arsenic [A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01Chemical elements
    • H01L2924/01082Lead [Pb]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orage Of Web-Like Or Filamentary Materials (AREA)
  • Wire Bonding (AREA)
  • Packaging Of Annular Or Rod-Shaped Articles, Wearing Apparel, Cassett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과제는 수용된 스풀에 손을 대는 일없이 유지할 수 있고, 본딩장치에 대한 스풀 붙이고 떼기을 홀더의 길고 짧음이나 걸어두기수단의 유무 등에 관계없이 행할 수 있고, 스풀유지의 신뢰성이 높고, 또한 스풀 유지상태를 용이하게 유지할 수 있는 새로운 스풀케이스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 본 발명의 해결수단은 베이스(3)에 설치한 걸어맞춤편(7)에 의하여 스풀이 유지되고 스풀에 직접 손을 대는 일없이 취급된다. 스풀 유지상태는 각 걸어맞춤편(7)의 탄성에 의하여 유지되고, 그들 각 걸어맞춤편(7)을 탄성변형시켜서 플랜지로부터 벗기지 않는한 해제되지 않는다. 그 유지상태는 각 걸어맞춤편(7)을 플랜지 바깥둘레에 걸어맞춤시키는 것으로, 스풀동부에 감아돌린 와이어나 동부내측에 대한 간섭이 생기지 않는 것이다.

Description

본딩와이어용 스풀케이스
본 발명은 반도체용 본딩와이어의 스풀케이스에 관하여, 상세하게는 스풀동부(몸체)에 감아돌린 본딩와이어에 접촉함이 없이 스풀을 취급할 수 있는 스풀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반도체장치의 조립에 사용하는 본딩와이어를 감아돌린 스풀을 수용하는 케이스로서, 각종 구조의 것이 알려지고 있다.
예컨대, 실공소58-41188호에는 스풀을 끼워 맞추는 윗방향으로 팽창하여 나온 형상의 끼워맞춤부를 일체로 구비한 베이스와, 그 베이스의 외주부(外周部)에 끼워맞추는 커버로 이루어지고, 그 커버에 상기한 끼워맞춤부와 대응하여서 스풀과 끼워맞춰지는 오목부를 형성하고, 수용된 스풀을 상기한 끼워맞춤부와 커버로 정치(定置)상으로 눌러서 덜컹거림을 방지하도록 한 스풀케이스가 개시되어 있다.
그런데, 이 종류의 스풀케이스에 수용된 스풀(spool)은 반도체장치의 조립현장에 있어서 케이스로부터 꺼내서 와이어본딩장치의 스풀홀더에 장착되나, 종래에 있어서는 스풀의 플랜지를 손으로 잡고서 취급하고 있고, 와이어 표면에 손이 닿아버리는 등에 의하여 와이어 손상이 생기는 우려가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특개평7-86326호 공보에는 서로 끼워 맞추는 베이스와 커버로 이루어지는 스풀케이스에 있어서, 베이스 및 커버중 적어도 한쪽에 스풀을 유지함과 아울러, 스풀에 직접 손을 댐이 없이 붙이고 뗄 수 있는 스풀유지부를 구비한 본딩와이어용 스풀케이스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한 공개공보기재의 종래의 스풀케이스에 대하여 상세하게 검토하면 이와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즉, 그 스풀케이스의 스풀유지부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의 기재에서 보아서, 스풀의 동부내벽에 접촉하는 장입벽의 내측에, 그 장입벽을 탄성변형시키기 위한 조작부로 되는 오목부를 구비하고, 그 오목부에 찔러넣은 손가락을 외측으로 여는, 혹은 내측으로 닫는 것으로 상기한 장입벽을 탄성변형시킴으로서, 상기한 동부내벽에 대한 장입벽의 접촉압을 조정하는 구성의 것이다.
한편, 상기한 스풀은 와이어본딩장치의 스풀홀더에 외측으로부터 끼워넣도록 하여 장착되나 스풀홀더의 길이는 본딩장치에 따라서 여러 가지이고, 또 근래에 있어서는 스풀에 감아돌리는 와이어길이의 길어짐화에 따르는 스풀 총중량의 증가에 대응하도록 스풀걸어두기수단을 구비한 스풀홀더도 각종 제공되고, 그 걸어두기수단은 스풀의 동부 내벽에 접촉하도록 스풀홀더에 부착되어 설치된다.
따라서, 스풀의 동부 내벽에 장입벽을 접촉시켜서 스풀을 유지하도록 한 종래의 스풀케이스를 사용한 경우, 그 스풀유지부가 스풀홀더 선단부나 스풀걸어두기수단에 닿아서 스풀의 장착에 지장을 가져올 우려가 있었다.
또, 종래의 스풀케이스는 상술한 바와 같이, 오목부에 찔러넣은 손가락의 개폐조작으로 스풀유지부의 접촉압을 조정하도록 되어 있고, 작업자의 부주의 등에 의하여 손가락의 조작을 잘못하여 버리면 상기한 접촉이 해제되어 스풀이 떼어져서 떨어질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으로 하는 바는, 케이스내에 수용된 스풀을 그 스풀에 손을 댐이 없이 유지할 수 있음과 아울러, 본딩장치에 대한 스풀의 붙이고 떼는 것을 스풀홀더의 길고 짧음이나 스풀걸어두기수단의 유무 등에 관계없이 행할 수 있고, 또한 스풀유지의 신뢰성이 높고, 더욱이 스풀유지상태를 용이하게 유지할 수 있는 새로운 스풀케이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상호 끼워 맞추는 베이스와 커버로 이루어지는 스풀케이스의 내부에 본딩와이어를 감아돌리는 스풀을 수용하는 스풀케이스로서, 베이스와 커버의 적어도 한쪽에 상기한 스풀의 플랜지 바깥둘레에 걸거나 벗김이 가능하게 걸어맞추어져서 그 스풀을 유지하는 걸어맞춤편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한 경우, 베이스, 커버의 적어도 한쪽에 설치한 걸어맞춤편에 의하여 스풀이 베이스 또는 커버에 유지되어, 스풀에 직접 손을 댐이 없이, 그 스풀을 취급할 수 있다. 그 유지상태는 걸어맞춤편을 변형켜서 플랜지로부터 제거하지 않는 한 해제되지 않는다. 또, 상기한 유지상태는 걸어맞춤편을 플랜지 바깥둘레에 걸어맞추어서 유지하므로, 스풀 동부에 감아돌린 와이어나 스풀동부 내측에 대한 간섭이 생기지 않는 것은 말할 것도 없다.
상기한 걸어맞춤편은 탄성체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걸어맞춤편을 스풀의 플랜지에 탄성 걸어맞춤이 가능하도록 형성하나, 예컨대 적당한 탄성을 가지는 합성수지재 또는 스테인레스나 동합금 등의 스프링성을 가지는 금속재료를 사용하여, 탄성변형이 용이한 두께, 치수를 가지고, 대략 판스프링형상, 대략 조(爪)형상, 대략 고리형상 등으로 성형할 수 있다.
걸어맞춤편은 스풀의 플랜지 바깥둘레에 걸거나 벗김이 자유자재하게 걸어맞춰지도록 설치한다. 그 걸어맞춤편은 2개 이상의 복수개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3개 이상의 복수개 설치하는 것이다. 또 걸어맞춤편은 복수개로 분할하는 일없이 연속한 형상으로 하고, 변형할 수 있는 구조로서 사용할 수도 있다.
걸어맞춤편은 베이스 또는 커버의 적어도 한쪽으로서, 그 내측 또는 외측에 설치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예컨대, 베이스에 설치하는 경우는 수용하는 스풀의 플랜지 외측면에 맞닿는 베이스내측면, 또는 그 내측면의 이면으로 되는 베이스 외측면의 적어도 한쪽에, 대략 조형상 또는 대략 고리형상의 걸어맞춤편을 상기한 플랜지의 바깥둘레에 따라서 적당한 간격마다에 복수설치하는 것을 예시할 수 있다.
커버에 설치하는 경우는 그 커버의 내주면에 대략 판스프링형상의 걸어맞춤편을 수용하는 스풀의 플랜지 바깥둘레에 따라서 적당한 간격마다에 복수설치하는 것을 예시할 수 있다.
걸어맞춤편을 베이스의 내면 또는 커버의 내면에 설치하는 경우, 그 베이스 또는 커버에 스풀을 유지시킨 상태에서 스플케이스내에 스풀을 수용할 수가 있고, 케이스를 연 후는, 스풀이 유지된 베이스 또는 커버를 취급함으로서, 스풀에 직접 손을 대는 일없이 그 스풀을 취급할 수가 있다.
걸어맞춤편을 베이스의 외면에 설치한 경우는, 스풀을 커버측에 수용하는 상태에서 케이스를 연 후, 베이스를 뒤집어서 베이스외측의 걸어맞춤편을 플랜지에 탄성 걸어맞추어서 베이스에 스풀을 유지시키는 것으로서 그 베이스를 취급하고, 스풀에 직접 손을 대지 않고 그 스풀을 취급할 수가 있다.
또 걸어맞춤편은 베이스, 커버와는 별개로 탄성변형가능케 하고, 그 걸어맞춤편 자체를 조작하여 탄성변형시키는 것으로서, 플랜지로의 걸어맞춤, 걸어맞춤해제를 행하도록 할 수도 있다.
그러나, 이 경우, 걸어맞춤편의 수가 많아지면 조작이 번거롭게 되므로, 걸어맞춤편을 구비하는 베이스 또는 커버를 탄성변형가능하게 성형하고, 걸어맞춤편을 그 베이스 또는 커버와 일체로 연달아 설치하는 형상으로 형성하여, 베이스 또는 커버와 일체로 걸어맞춤편이 탄성변형하여, 스풀의 붙이고 떼는 것을 행하도록 형성하면 좋다.
수용한 스풀을 그 중심축이 대략 수평으로 되는 가로방향상태에서 유지가능하게 형성한 경우, 스풀에 감아돌린 와이어에는 와이어자신의 하중, 취급이나 운반시 등의 진동, 충격 등이 와이어 전체길이에 걸쳐서 대략 균등하게 분산되는 구조로 되어, 와이어의 감김풀림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스풀의 중심축이 대략 수평으로 되는 가로방향상태로 유지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베이스의 하단면을 평탄하게 하던가, 수평상태를 유지가능한 정치수단을 설치하는 것을 예시할 수 있다.
스풀에 감아돌린 본딩와이어는, 그 양단을 스풀의 플랜지부에 테이프 등으로 접착하여 사용된다. 상기한 플랜지부의 외측에 접착하는 경우는, 그 플랜지부에 와이어를 통과시키기 위한 노치(notch)를 붙여서 사용한다. 그 노치는 스풀의 편측 또는 양측의 플랜지부에 붙여서 사용할 수가 있다.
본딩와이어를 감아돌리는 스풀의 양단의 플랜지는, 이 종류 기술분야에 있어서 종래부터 직경 58.5㎜로서 사용되고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그 직경을 크게하여 사용하는 것이 효과적이고, 직경 58.5∼80㎜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스풀을 장착하는 자동본더의 구조상, 편측만을 큰 지름으로 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도 플랜지 직경은 58.5∼80㎜의 범위에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베이스는, 상기한 커버와 끼워 맞추는 외주부의 내측면에, 스풀케이스내에 수용되는 스풀의 플랜지 바깥둘레에 탄성 걸어맞추는 걸어맞춤부를 복수설치하고, 그 베이스와 일체로 각 걸어맞춤부가 탄성변형하여 스풀을 붙이고 떼는 것이 자유자재하게 유지하도록 형성함과 아울러, 상기한 커버에는 스풀의 동부 내측에 장입하는 팽창하여 나온 형상의 안내부를 설치하고, 그 안내부는 스풀케이스 개폐시에 스풀을 안내하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안내부의 구체적 구성으로서는, 안내부의 길이가 커버의 수평방향길이(L)의 1/2 이상이고, 또한 커버의 개구둘레으로부터 1/2(L)분만큼 돌출하는 범위내로 되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 발명에 있어서의 베이스는 스풀을 수용하는 객체로서 기능하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또 커버는 상기한 객체를 닫는 뚜껑체로서 기능하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커버가 객체로서 기능하고 베이스가 뚜껑체로서 기능하는 경우도 포함하는 것이다. 예컨대 상호 끼워 맞추는 베이스와 커버로 형성하는 스풀케이스 내부에 스풀이 수용가능하면 베이스, 커버의 어느쪽이 객체, 뚜껑체로서 기능하여도 상관이 없다.
또 본 발명의 스풀케이스는 스풀케이스의 내부에 본딩와이어를 감아돌린 스풀을 수용하고 있는 모양을 포함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스풀케이스를 사용하면, 스풀에 직접 손을 대지않고 그 스풀을 취급할 수 있는 취급방법으로서 이 종류 기술분야에 있어서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4는 실시형태의 예Ⅰ이다. 더 상세하게는,
도 1은 실시형태의 일례를 표시하는 사시도,
도 2는 도 1의 (Ⅱ)-(Ⅱ)선에 따르는 단면도,
도 3은 도 2의 (Ⅲ)-(Ⅲ)선에 따르는 단면도, 및
도 4는 사용상태를 표시하는 단면도.
도 5 내지 도 10은 실시형태의 예Ⅱ이다. 더 상세하게는,
도 5는 실시형태의 일례를 표시하는 종단면도,
도 6은 도 5의 (Ⅵ)-(Ⅵ)선에 따르는 단면도,
도 7은 베이스의 평면도,
도 8은 사용상태를 표시하는 종단면도,
도 9는 사용상태를 표시하는 종단면도, 및
도 10은 사용상태를 표시하는 종단면도.
도 11 내지 도 17은 실시형태의 예Ⅲ이다. 더 상세하게는,
도 11은 실시의 형태의 일례를 표시하는 분해사시도,
도 12는 사용상태를 표시하는 일부절결(切缺) 정면도,
도 13은 분해종단면도,
도 14는 베이스의 정면도로 일부절결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
도 15는 커버의 평면도로 일부 절결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
도 16은 사용상태를 표시하는 종단면도, 및
도 17은 실시형태의 일례를 표시하는 정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도1~도10)
a, a' … 스풀케이스 1, 1' … 베이스
2, 2' … 커버 5, 11 … 걸어맞춤편
100 … 스풀 101 … 동부(몸체)
102 … 플랜지 110 … 본딩와이어
(도11~도17)
a'' … 스풀케이스 3 … 베이스
4 … 커버 7 … 걸어맞춤편
2 … 스풀 2a … 동부
2b, 2c … 플랜지 1 … 본딩와이어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여러가지 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실시형태의 예Ⅰ : 도 1∼도 4]
도 1 내지 도 4에 있어서, 도면부호(a)는 스풀케이스, 도면부호(100)은 스풀(spool), 도면부호(110)은 본딩와이어(bonding wire), 도면부호(200)은 본딩장치의 스풀홀더, 도면부호(300)은 그 홀더에 부착되어 설치된 스풀걸어두기수단을 표시한다.
스풀(100)은 이 종류 기술분야에 있어서 통상 사용되고 있는 구조의 것이고, 본딩와이어(110)를 감아돌리기 위한 통형상의 동부(101)와, 그 스풀(100)의 양단 개구둘레에 설치한 좌우의 플랜지(102),(102)를 구비하고 있다.
스풀케이스(a)는 상호 끼워 맞추는 베이스(1)와 커버(2)로 이루어지고, 그 베이스(1), 커버(2)는 플라스틱재 등을 사용하여 진공성형법 등으로 성형하는 것으로, 탄성변형가능하게 일체로 성형되고, 베이스(1)의 내부에 본딩와이어(110)를 감아돌린 스풀(100)을 수용하고, 상부로부터 커버(2)를 끼우는 형상으로 씌우는 것이다.
베이스(1)는 그 바깥둘레에 커버(2)와 끼워 맞추는 외주부(3)를 돌출하여 설치하고, 측벽(1a)의 중앙부에는 스풀(100)의 동부(101) 내측에 장입하여 그 스풀을 안내하는 팽창하여 나온 형상의 안내부(4)를 돌출하여 형성한다.
안내부(4)는 동부(101)의 내경과 대략 동일 또는 약간 작은 지름의 평면원형상이고, 또한 약간 끝이 가늘은 테이퍼(taper)를 가지는 완만한 원추형상이고, 그 안내부(4)의 기초끝부분측이 동부(101)에 끼워맞춤이 가능하게 형성한다. 또 안내부(4)의 돌출치수는 외주부(3)와 대략 같은 정도이고, 또한 스풀(100)의 길이의 2/3 정도로 한다.
커버(2)는 베이스(1)의 외주부(3)에 끼워맞추어져서 스풀(100)이 뒤퉁거리지 않도록 끼워지는 것으로, 그 깊이는 스풀(100)의 길이와 대략 같은 위치에 형성하여, 그 측면벽(2a)에 스풀(100)의 한쪽의 플랜지(102)가 맞닿게 되도록 한다.
커버(2)의 내주면(2b)에는, 상기한 한쪽의 플랜지(102) 바깥둘레에 있어서의 마주보는 2개 장소에 탄성 걸어맞추어서 그 플랜지(102)를 유지하는 1쌍의 걸어맞춤편(5),(5)을 형성한다.
이들 걸어맞춤편(5)은 커버(2) 주벽(周壁)에 있어서의 마주보는 2개 장소에 설치되고, 또한 그 부착부(6)에 있어서의 측면벽(2a)측을 산모양으로 구부린 대략 판스프링형상을 나타내고, 상기한 측면벽(2a)과 함께 플랜지(102)를 끼워두어서 스풀(100)을 유지시키도록 형성한 것이다.
또 이들 걸어맞춤편(5)은 커버(2)와 연속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그 커버(2)와 일체로 양 걸어맞춤편(5),(5)이 탄성변형함에 따라, 플랜지(102)에 대한 걸거나 벗김(즉, 스풀(100)의 붙이고 떼는 것)을 행하도록 형성한다.
그리고, 이 예에서는 걸어맞춤편(5)을 상기한 2개 장소에 설치하였으나, 걸어맞춤편(5)의 수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스풀(100)을 유지가능하고, 또한 그 붙이고 떼는 것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적당한 복수장소에 설치할 수가 있다.
커버(2)의 측면벽(2a)에는 스토퍼(stopper)(7)를 복수설치한다. 그 스토퍼(7)는, 측면벽(2a)의 소정장소에 내측으로 서오르도록 형성한 기립편(起立片)으로 이루어지고, 플랜지(102)의 바깥둘레에 있어서의 적당한 복수장소에 맞닿아 걸어맞추어서, 커버(2)에 유지된 스풀(100)의 지름방향으로의 덜렁거림을 방지한다.
또, 커버(2)의 측면벽(2a)의 중앙부에는, 원통형상의 잡는 부분(8)를 바깥 방향으로 팽창하여 나온 형상으로 일체로 형성한다. 그 잡는 부분(8)는 커버(2)를 취급할 때의 잡는 손으로서 기능함과 아울러, 잡는 부분(8) 내측의 오목부(9)를 스풀(100)의 동부(101) 내측에 대응시켜서, 홀더(200)에 부착되어 설치된 걸어두기수단(300) 등의 도피부로서 기능시킨다. (10)은 잡는 부분(8)의 주벽에 설치한 창구멍으로, 그 창구멍(10)도 상기한 걸어두기수단(300) 등의 도피부로서 기능한다.
그리고, 도 1, 도 3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한 외주부(3) 및 커버(2)의 주벽은 대략 반원통형상으로 형성함과 아울러, 일부는 평탄면으로 하고, 그 평탄면이 스풀(100)을 수용한 스풀케이스(a)를 작업테이블 등에 놓을 때 등의 정치면(定置面)(정치수단)(40)으로서 기능하도록 한다. 즉, 스풀(100)의 동부(101)에는 그 축방향에 대하여 대략 균등하게 와이어를 감고 있고, 그 상태를 유지하도록 스풀(100)이 가로방향으로 되도록(플랜지(102),(102)가 좌우에 위치하도록) 취급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한 정치면(40)이 하측으로 되도록 스풀케이스(a)를 테이블 등에 놓으면, 상기와 같이 취급이 됨과 아울러, 스풀케이스(a)의 구름방지도 꾀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한 본 예의 스풀케이스(a)에 의하면, 커버(2)에 스풀(100)을 유지시킨 상태에서 그 스풀(100)을 수용할 수가 있고, 베이스(1)와 커버(2)를 분리시켜서 케이스(a)를 연후는 스풀(100)이 유지된 커버(2)를 다루는 것으로서, 스풀(100)에 직접 손을 대는 일없이 그 스풀(100)을 처리할 수 있다.
상기한 유지상태는 걸어맞춤편(5),(5)의 탄성 걸어맞추는 힘에 의하여 유지되고, 그들 걸어맞춤편(5),(5)을 탄성변형시켜서 플랜지(102)로부터 벗기지 않는 한 해제되지 않는다. 또 상기한 유지상태는 각 걸어맞춤편(5),(5)을 플랜지(102) 바깥둘레에 걸어맞추어서 유지하는 것으로, 스풀동부(101)에 감아돌린 와이어(110)나 동부(101) 내측에 대한 간섭이 생기지 않는다.
예컨대, 와이어본딩장치의 스풀홀더(200)에 스풀(100)을 장착하는 경우는, 잡는 부분(8)를 가지고 커버(2)를 홀더(200)에 씌우도록 하여, 그 홀더(200)에 스풀(100)을 바깥에 장치하고(도 4(a) 참조), 이어서 커버(2)를 탄성변형시키면 걸어맞춤부(5),(5)도 일체로 탄성변형하여 플랜지(102)와의 걸어맞춤이 벗겨지고(도 4(b) 참조), 그런 연후에 커버(2)만을 벗기면, 스풀(100)은 홀더(200)에 장착된다.
또, 도 4(a)의 상태에 있어서, 홀더(200)에 부착되어 설치된 스풀걸어두기수단(300)을 오목부(9)안이나 창구멍(10)에 도피시킬 수 있고, 그 걸어두기수단(300)이 스풀장착작업의 방해로 되는 일은 없다.
홀더(200)로부터 스풀(100)을 벗길 때는, 상기의 작업을 거꾸로(도 4(b)∼(a)) 행하여 스풀(100)을 커버(2)에 유지시키면 된다.
[실시형태의 예Ⅱ : 도 5∼도 10]
도 5∼도 10에 표시하는 스풀케이스(a')는 서로 끼워 맞추는 베이스(1')와 커버(2')로 이루어지고, 그 베이스(1'), 커버(2')는 그 대부분에 있어서 상술한 베이스(1), 커버(2)와 동일하게 구성된 것이나, 커버(2')내에 유지한 스풀(100)을 베이스(1')에 대체하여 스풀(100)을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상술한 예Ⅰ과 공통의 구성부분에 대하여는 도면중에 예Ⅰ과 동일의 부호를 붙여서 중복하는 설명을 생략하고 다른점만을 설명한다.
베이스(1')는, 측벽(1a)에 있어서의 케이스외측에 상당하는 면(즉, 외측면)(1b)에, 상기한 플랜지(102) 바깥둘레에 있어서의 적당한 복수개 장소에 탄성 걸어맞추어서 그 플랜지(102)를 유지하는 복수의 걸어맞춤편(11)을 구비한다.
이들 걸어맞춤편(11)은 베이스(1')의 외측면(1b)의 적당한 복수장소에 부착되고, 또한 그 부착부(12)에 있어서의 선단부를 대략 조형상 또는 고리형상으로 반대편으로 접는 것으로, 플랜지(102)의 바깥둘레에 따라서 적당한 간격마다에 대응하고, 도 8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베이스(1')를 뒤집은 상태에 있어서, 상기한 외측면(1b)과 함께 플랜지(102)를 끼워 두어서 베이스(1')에 스풀(100)을 유지시키도록 형성한 것이다.
또 이들 걸어맞춤편(11)은 베이스(1'), 상세하게는 외주부(3)와 일체로 연속하도록 형성함으로서, 외주부(3)와 일체로 각 걸어맞춤편(11)이 탄성변형함에 따라 플랜지(102)에 대한 걸거나 벗김(즉, 스풀(100)의 붙이고 떼기)을 행하도록 형성한다.
그리고, 이 예에서는 걸어맞춤편(11)을 플랜지(102)의 바깥둘레에 따라서 8개장소에 대응하도록 같은 간격마다에 설치하였으나, 걸어맞춤편(11)의 수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스풀(100)을 유지가능하고, 또한 그 붙이고 떼는 것이 가능한 적당한 복수장소에 설치할 수가 있다.
또 이 예에서는 안내부(4)가 베이스(1')를 처리할 때의 쥐는 손으로 기능함과 아울러, 안내부(4) 내측의 오목부(13)를 스풀(100)의 동부(101) 내측에 대응시켜서, 홀더(200)에 부착되어 설치된 걸어두기수단(300) 등의 도피부로서 기능하도록 하고 있다. 도면부호(14)는 상기한 측벽(1a)으로부터 안내부(4)의 주벽에 걸쳐서 개설한 창구멍으로, 그 창구멍(14)도 상기한 걸어두기수단(300) 등의 도피부로서 기능한다.
커버(2')는 상술한 1쌍의 걸어맞춤편(5),(5)을 구비하나, 스토퍼(7), 잡는 부분(8), 오목부(9), 창구멍(10)은 구비하고 있지 않고, 그들에 대신해서 측면벽(2a)에 누름오목부(15)를 오목하게 만들고 있다.
누름오목부(15)는 상기한 안내부(4)와 대응하여 스풀(100)의 동부(101) 내측에 합치하여 끼워 맞추는 것으로, 측면벽(2a)의 중앙부를 내측으로 향해서 대략 반구형상으로 돌출하도록 형성한다. 또, 누름오목부(15)는 외연부(15a)가 동부(101)의 내주 바깥부분에 맞닿아서 끼워 맞추는 지름으로 형성한다.
커버(2')의 측면벽(2a)에는 상기한 외연부(15a)의 외측에 위치시켜서, 안쪽으로 돌출하는 돌출부(16)를 복수개, 적당한 간격을 가지고 오목하게 만들고 있다.
그 돌출부(16)는 그 돌출끝면이 스풀(100)의 플랜지(102) 외측면에 맞닿아서 걸어맞춰지는 깊이로 형성하여, 스풀(100)의 측방향으로의 덜컹거림방지에 기여한다.
이상과 같이 구성한 그 예의 스풀케이스(a')에 의하면, 안내부(4)와 누름오목부(15)로 스풀(100)을 끼워둠과 아울러, 1쌍의 걸어맞춤편(5),(5)을 한쪽의 플랜지(102)에 탄성 걸어맞추어서 커버(2')에 스풀(100)을 끼워 둔 상태에서 그 스풀(100)을 수용할 수가 있다.
베이스(1')와 커버(2')를 분리시켜서 케이스(a')를 연 후는 스풀(100)이 유지된 커버(2')를 처리함으로서, 스풀(100)에 직접 손을 댐이 없이 그 스풀(100)을 처리할 수가 있다.
또, 도 8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베이스(1')를 뒤집어서 각 걸어맞춤편(11)을 스풀(100)의 다른쪽의 플랜지(102)에 탄성 걸어맞추고, 그런 연후, 상기한 걸어맞춤편(5)(5)의 걸어맞춤을 벗기면, 스풀(100)은 베이스(1')에 유지되고, 그 베이스(1')를 처리함으로서 스풀(100)에 직접 손을 대는 일없이 그 스풀(100)을 처리할 수가 있다(도 8∼도 9참조).
그 유지상태는 각 걸어맞춤편(11)의 탄성 걸어맞추는 힘에 의하여 유지되고, 그들 걸어맞춤편(11)을 탄성변형시켜서 플랜지(100)로부터 벗기지 않는 한 해제되지 않는다. 또 그 유지상태는 각 걸어맞춤편(11)을 플랜지(102) 바깥둘레에 걸어맞춤시켜서 유지하는 것으로, 스풀동부(101)에 감아돌린 와이어(110)나 동부(101) 내측에 대한 간섭이 생기지 않는다.
예컨대, 스풀홀더(200)에 스풀(100)을 장착하는 경우는 외주부(3)를 가지고 베이스(1')를 홀더(200)에 씌우도록 해서, 그 홀더(200)에 스풀(100)을 외장하고(도 10(a)참조), 다음에 각 걸어맞춤편(11)이 일체로 탄성변형하여 플랜지(102)와의 걸어맞춤이 벗겨지도록 외주부(3)를 외측으로 탄성변형시키고(도 10(b)참조), 그런 후 베이스(1')만을 벗기면 스풀(100)은 홀더(200)에 장착된다.
또, 도 10의 상태에 있어서, 홀더(200)에 부착되어 설치된 스풀걸어두기수단(300)을 오목부(13)내나 창구멍(14)에 도피시킬 수 있고, 그 걸어두기수단(300)이 스풀장착작업의 방해로 되는 일이 없다.
홀더(200)로부터 스풀(100)을 벗길 때는 상기의 작업을 꺼꾸로(도 10(b)∼(a)) 행하여 스풀(100)을 베이스(1')에 유지시키면 된다.
[실시형태의 예Ⅲ: 도 11∼도 19]
도 11∼도 17에 표시하는 스풀케이스(a)는, 도 11∼도 13에 표시하듯이 서로 끼워 맞추는 베이스(3)와 커버(4)로 이루어지고, 본딩와이어(1)를 감아돌린 스풀(2)을 내부에 수용하고 있다.
스풀(2)는 그 양단에 플랜지(2b)(2c)를 구비한다. 이들 플랜지(2b)(2c)는 직경이 58.5∼80㎜의 범위로 되도록 형성된다.
스풀케이스(a)는 서로 끼워 맞추는 베이스(3)와 커버(4)로 이루어지고, 그 베이스(3), 커버(4)는 플라스틱재 등을 사용하여 진공성형법 등으로 성형함으로서 탄성변형가능하게 일체로 성형되고, 베이스(3)에 본딩와이어(1)를 감아돌린 스풀(2)을 유지하고, 측방향으로부터 커버(4)를 끼워지게 하는 상태로 씌우는 것이다.
베이스(3)은 그 외주부분에 커버(4)의 개구둘레(4a)과 끼워 맞추는 외주융기부(5)를 구비하고, 이 외주융기부(5)로 둘러싸인 중앙부분에는 스풀케이스(a)의 외측으로 돌출하는 팽창하여 나온 형상의 잡는 부분(6)을 외주융기부(5)와 일체로 연달아 설치한다.
또, 베이스(3)은 스풀(2)을 붙이고 떼는 것이 자유자재하게 유지하기 위한 걸어맞춤부(7)을 복수개 구비하고 있다.
걸어맞춤부(7)은 상기한 외주융기부(5)의 꼭지면으로 되는 내측면(5a), 즉, 베이스(3)에 유지되는 스풀(2)의 플랜지(2b)의 외측면(2b')와 맞닿는 내측면(5a)에, 그 플랜지(2b)의 바깥둘레에 따라서 적당한 간격마다에 대응하도록 복수설치되고, 그 선단부는 플랜지(2b)의 바깥둘레에 탄성 걸어맞추도록 대략 조형상 또는 고리형상으로 형성하고, 각 걸어맞춤부(7)를 플랜지(2b)의 바깥둘레에 걸어맞춤으로서 그 플랜지(2b)를 걸거나 벗김이 자유자재하게 유지하고, 이에 의하여 스풀(2)은 조각(片)상태로 베이스(3)에 붙이고 떼는 것이 자유자재하게 유지된다.
각각의 걸어맞춤부(7)는 외주융기부(5)의 내측면(5a)과 일체로 연달아 설치하여, 외주융기부(5)와 일체로 각 걸어맞춤부(7)가 탄성변형하고, 플랜지(2b)에 대한 걸거나 벗김(즉, 스풀(2)의 붙이고 떼기)을 행하도록 형성한다.
그리고, 본 예에서는 좌우 두개의 걸어맞춤부(7)를 플랜지(2b)의 바깥둘레의 좌우 2개장소에 대응하도록 설치함과 아울러, 상기한 조형상 또는 고리형상부분을 구비하지 않는 걸어맞춤부(7')를, 플랜지(2b)의 바깥둘레의 하단측에 맞닿아서 플랜지(2b)를 지지가능하게 마련하고, 이들 3개의 걸어맞춤부에서 플랜지(2b)를 붙이고 떼는 것을 자유자재하게 유지하도록 하였으나, 걸어맞춤부의 수나 형상, 설치하는 위치 등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플랜지(2b)에 걸거나 벗김이 자유자재하게 걸어맞추어서 스풀(2)를 유지가능하고, 또한 그 붙이고 떼는 것이 가능한 적당한 수를 적당한 장소에 설치할 수가 있다.
상기한 내측면(5a)의 이면으로 되는 외주융기부의 외측면에는 상기한 각 걸어맞춤부(7)에 대응시켜서 리브(8)을 일체로 연달아 설치하고, 외주융기부의 외단면(5b)을 내측에 탄성변형시킨 때, 이 리브(rib)(8)을 지점(支点)으로하여, 각 걸어맞춤부(7)가 열림방향으로 탄성변형하고, 플랜지(2b)에 대한 걸거나 벗김이 용이하게 되도록 형성한다.
외주융기부(5)의 내측면(5a)에는, 스풀홀더(200)의 돌출부(예컨대 걸어두기수단(300) 등)에 대응하는 도피용 오목부(9)를, 상기한 걸어맞춤부(7)의 형성에 지장이 없고, 또한, 베이스(3)에 필요한 강도, 내구성, 탄성이 유지되는 범위에서 적당한 복수개 장소에 설치한다.
이에 의하여, 베이스(3)에 유지된 스풀(2)를 스풀홀더(200)에 장착할 때, 걸어두기수단(300)을 오목부(9)에 도피시키는 것으로 취급이 용이하게 되고, 범용성이 향상하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또, 오목부(9)는 넓은 쪽이 바람직하다. 넓은 오목부이면 스풀홀더(200)의 돌출부(걸어두기수단(300) 등)의 위치맞춤이 용이하게 되고, 스풀홀더(200)에의 스풀(2)의 장착이 보다 용이하게 됨과 아울러 범용성이 더욱 향상한다. 또 오목부(9)는 간소한 형상의 쪽이 먼지의 부착을 방지할 수 있고 세정하기 쉽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외주융기부(5)의 하면에는 평탄형상의 정치면(10a)를 형성하고, 커버(4)의 후술하는 정치면(10b)와 함께, 스풀케이스(a) 내부에 수용한 스풀(2)을 그 중심축이 대략 수평으로 되는 가로방향상태로 유지가능한 정치수단을 형성한다.
상기한 잡는 부분(6)는, 외주융기부(5)의 내측면(5a)의 안쪽부분둘레로부터 스풀케이스(a)의 바깥쪽으로 향해서 통형상의 면부분를 일체로 연달아 설치하여 이루어지고, 베이스(3)을 처리할 때의 쥐는 손으로 기능하고, 걸어맞춤부(7)의 부주의한 변형을 방지한다. 즉, 잡는 부분(6)을 설치하지 않는 경우는, 외주융기부(5)가 잡는 부분으로서 기능하도록 되나, 이 경우 부주의하게 외주융기부(5)를 변형시킴에 따라 걸어맞춤부(7)가 변형하여, 스풀(2)이 떼어져서 떨어질 우려가 없다고는 할 수 없다. 그래서, 본예와 같이 잡는 부분(6)를 설치함으로서, 베이스(3)을 처리할 때, 잡는 부분(6)을 잡는 손으로 하면, 걸어맞춤부(7)의 부주의한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잡는 부분(6)의 표면은 미끄럼방지처리를 실시하는 것으로 미끄럼방지부(6')를 형성하고, 그 잡는 것을 확실하게 한다.
잡는 부분(6)의 내측의 공간(11)은 베이스(3)에 유지된 스풀(2)의 동부(2a) 내측에 대응시키고, 스풀홀더(200)의 돌출부(걸어두기수단(300) 등)의 도피부로서 기능시킨다.
또, 잡는 부분(6)의 팽창하는 부분은 닫아서 막지 않고 개구부(12)로 하고, 그 개구부(12)는 스풀홀더(200)의 걸어두기수단(300) 등에 대응하는 도피용의 구멍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한 잡는 부분(6)은 돌출기초끝부분측으로부터 선단측에 향해서, 그 외경이 점차 작은 지름으로 되는 대략 원추받침대형상으로 형성하고, 베이스(3)끼리를 밀접상태로 쌓아 올리도록하여, 베이스(3)의 보관, 운반시 등의 비용절감을 꾀하도록 한다.
커버(4)는 베이스(3)의 외주융기부(5)에 감합하여 스풀(2)를 끼워지게하는 것으로, 그 깊이는 스풀(2)의 길이와 대략 같은 위치로 형성하여, 그 측면벽(4b)에 스풀(2)의 플랜지(2c)가 맞닿게 되도록 한다.
커버(4)의 주벽은 상기한 외주융기부(5)에 끼워맞춤이 가능한 대략 반원통형상으로 함과 아울러, 하부에는 평탄형상의 정치면(10b)를 형성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정치수단을 형성한다.
그 정치수단은, 스풀(2)을 수용한 스풀케이스(a)를 작업테이블상이나 운반케이스내 등에 놓을 때에 그 스풀(2)의 중심축이 대략 수평으로 되는 가로방향상태로 스풀(2)를 유지가능하게 하고, 이에 의하여, 동부(2a)에 감아돌린 와이어(1)에는 와이어(1)자신의 하중, 취급이나 운반시 등의 진동, 충격 등이 와이어(1) 전체길이에 걸처서 대략 균등하게 분산되는 구조로 되고, 와이어(1)의 감김풀림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고, 또한 스풀케이스(a)의 구름방지도 도모된다.
커버(4)의 내부에는, 베이스(3)에 유지된 스풀(2)의 동부(2a)의 내측에 장입하는 팽창하여 나온 형상의 안내융기부(13)을 설치하고, 스풀케이스(a)에 있어서는 스풀(2)를, 베이스(3)에 한쪽 쥐는 형상으로 유지함과 동시에, 안내융기부(13)에 의하여 커버(4)에 유지하여 스풀(2)의 유지를 보다 확실하게 한다.
또, 안내융기부(13)의 돌출끝부분은 커버(4)의 개구둘레(4a)로부터 돌출시키고, 베이스(3)와 커버(4)를 상호 끼워맞출 때에 베이스(3)에 유지된 스풀(2)에 감겨돌린 본딩와이어(1)가 커버(4)의 개구둘레(4a)에 닿는 일이 없도록, 안내융기부(13)가 가이드로 되어서 스풀(2)을 커버(4) 중심방향으로 인도하도록 한다.
안내융기부(13)은 그 길이(L')를 커버(4)의 수평방향길이(L)의 ½ 이상이고, 또한 커버의 개구둘레보다 ½(L)분만큼 돌출하는 범위내로 되도록 형성함으로서, 스풀케이스(a)의 개폐시에 스풀(2)에 감겨돌린 본딩와이어(1)가 커버(4)의 개구둘레(4a)에 닿는 일이 없도록 안내된다.
또, 안내융기부(13)은 커버개구둘레(4a)으로부터 돌출하는 부분이 잡는 부분(6)의 내측공간(11)에 헐겁게 끼워지고, 또한, 그 돌출끝부분(13a)은 잡는 부분(6)의 끝부분의 개구부(12)에 끼워 맞춰져서 그 개구부(12)를 닫아서 막는 것이 가능하게 형성한다.
또한 안내융기부(13)은 기초끝부분측으로부터 선단측으로 향해서 그 외경이 점차 작은 지름으로 되는 대략 원추받침대형상으로 형성하고, 커버(4) 끼리를 밀접형상으로 쌓아 올리도록하여, 커버(4)의 보관, 운반시 등의 비용절감을 도모하도록 한다.
스풀(2)의 동부(2a)에 감겨진 와이어(1)는 그 감김끝부분을 플랜지(2b)에 테이프고정되나, 본 예에서는 베이스(3)의 외주융기부(5)에 이 테이프고정끝부분(1a)를 나타나게 하는 오목부(14)를 설치하고 있다.
오목부(14)는 상기한 정치수단으로 되는 정치면(10a)에 대향시켜서 외주융기부(5)의 상면측에 설치하고, 테이프고정끝부분(1a)가 그 오목부(14)의 개구범위 내에 위치하도록 스풀(2)을 베이스(3)에 유지시켜서 나타나게 하는 것으로, 베이스(3)에 유지한 스풀(2)의 테이프고정끝부분(1a)을 핀셋트 등의 도구를 사용하여 벗길 수 있다.
또, 테이프고정끝부분(1a)는 베이스(3)의 상측에 나타나게 되므로, 상기한 테이프벗김작업이 오른손, 왼손의 쌍방으로 대응가능하다.
도면부호(15)는 안내융기부(13)에 장입한 스풀(2)의 플랜지(2c)의 외측면에 맞닿게 되도록 커버(4)의 측면벽(4b)에 오목하게 만들어진 누름부이고, 도면부호(16)은 동일한 스풀(2)의 동부(2a) 내주에 맞닿게 되도록 안내융기부(13)의 외주에 돌출설치된 누름부이다. 누름부(15)는 스풀(2)의 축방향에의 뒤퉁거림방지를 꾀하고, 압압부(16)은 스풀(2)의 지름방향에의 뒤퉁거림방지를 도모한다.
그런데, 이 종류 스풀케이스는 사용후에 회수되어, 검사, 세정, 건조작업을 거처서 반복사용되나, 본 예에서는 상술한 베이스(3), 커버(4)에 있어서의 구석부로 되는 장소, 예컨대 도피용 오목부(9), 오목부(14), 누름부(15)(16) 등의 오목부부위의 각 구석부나, 외주융기부(5)에 있어서의 내측면(5a)과 잡는 부분(6)과의 연달아 설치된 귀퉁이부분 등을 모두, 1아루(R) 이상의 만곡면으로 하며, 세정 후의 건조공정에 있어서의 물기뺌이 신속, 확실하게 되도록 고려하고 있다.
또한 본 예에서는, 스풀케이스(a)의 적당한 장소에 내부에 수용된 스풀(2)을 꺼집어낼 때의 순서를 표시하고 있다.
즉, 베이스(3)에 있어서의 잡는 부분(6)과, 커버(4)의 각 외단부분부위에는 상호 끼워 맞추는 베이스(3)와 커버(4)를 분리시키는 것을 인식시키기 위한 바깥방향의 화살표(17)(18)를 표시하고, 또한 외주융기부(5)의 걸어맞춤부(7) 근방에는 외단연(5b)를 내측으로 탄성변형시켜서 걸어맞춤부(7)을 변형시켜, 스풀(2)의 꺼냄을 행하기 위한 누름장소를 인식시키는 3각형의 기호(19)를 표기한다. 또 상기한 화살표(17)(18)과 기호(19)에는, 조작순서를 표시하는 숫자(20)(21)(22)를 표기한다.
이상과 같이 구성한 본 예의 스풀케이스는, 본딩와이어(1)을 감아돌린 스풀(2)의 플랜지(2b)의 바깥둘레(가장자리)에, 베이스(3)에 있어서의 외주융기부(5)의 내측면(5a)의 각 걸어맞춤부(7)을 탄성 걸어맞추어서, 베이스(3)에 스풀(2)을 유지시키고, 그 스풀(2)의 동부(2a)에 안내융기부(13)을 삽입하면서 베이스(3)와 커버(4)를 끼워 맞추어서, 스풀케이스(a)의 내부에 상기한 스풀(2)을 수용할 수가 있다.
그리고, 정치면(10a)(10b)가 하측으로 되도록 스풀케이스(a)를 취급함으로서, 수용된 스풀(2)을 그 중심축이 대략 수평으로 되도록 유지하여, 감겨돌린 본딩와이어(1)의 감김풀림을 방지한다.
또, 베이스(3)와 커버(4)를 분리시켜서 스풀케이스(a)를 연 후는, 스풀(2)이 유지된 베이스(3)을 취급함으로서, 스풀(2)에 직접 손을 대는 일없이 그 스풀(2)의 붙이고 떼는 것을 행할 수 있다.
즉, 스풀(2)의 유지는 각 걸어맞춤부(7)의 탄성 걸어맞추는 힘에 의하여 유지되고, 그들 걸어맞춤부(7)을 탄성변형시켜서 플랜지(2b)로부터 벗기지 않는 한 해제되지 않는다. 또 그 유지상태는 각 걸어맞춤부(7)을 플랜지(2b) 바깥둘레에 걸어 맞추어서 유지하는 것으로, 스풀동부(2a)에 감아돌린 와이어(1)나, 동부(2a) 내측에 대한 간섭은 생기지 않는다.
예컨대, 스풀홀더(200)에 스풀(2)를 장착하는 경우는, 잡는 부분(6)을 가지고 베이스(3)을 홀더(200)에 씌우도록하여, 그 홀더(200)에 스풀(2)를 외장하고, 이어서 외주융기부(5)의 외단연(5b)을 내측에 변형시키면, 각 걸어맞춤부(7)가 일체로 탄성변형하여 플랜지(2b)와의 계합이 풀리고, 그런 연후 베이스(3)만을 벗기면 스풀(2)은 홀더(200)에 장착된다.(도 16참조)
또 그때, 홀더(200)에 부착되어 설치된 스풀걸어두기수단(300)을 오목부(9), 공간(11), 개구부(12) 등에 도피시킬 수 있고, 그 걸어두기수단(300)이 스풀장착작업의 방해로 되는 일은 없다.
홀더(200)로부터 스풀(2)을 벗길 때는 상기한의 작업을 거꾸로 행하여 스풀(2)을 베이스(3)에 유지시키면 된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여러 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본원의 특허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기술적사상의 범위내라면 다른 상이한 실시형태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컨대, 도 17는 상기한 정치면(10a)(10b)를 형성하지 않고 스풀케이스(a)의 하단면을 경사면으로 하는 한편, 동일한 하단면에는 중심축이 수평으로 되도록 스풀(2)을 유지하기 위한 다리부분(23)을 설치하여, 상기한 정치수단을 형성하고 있다.
또한 이 다리부분(23)를 접어개는 것을 자유자재하게 형성하면, 베이스(3), 커버(4)끼리를 밀접형상으로 쌓아 올릴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또한 베이스, 커버의 어느 한쪽 또는 쌍방을 투명체로 하면, 스풀(2)에 감겨진 와이어(1)의 종별, 규격 등을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그리고, 도면 표시의 형편상, 본딩와이어(1)는 실제보다 큰 지름이고, 또한 스풀(2)에 대하여 단층형상으로 감기도록 표시하였으나, 그 와이어(1)는 직경 1㎜ 이하의 가는 선으로서 스풀(2)에 다층형상으로 감겨있고, 또한 걸어맞춤부(7)의 선단부는 그 다층형상으로 감아돌린 와이어(1)의 표층부분에 접촉하지 않는 정도의 치수를 가지고 형성되는 것은 말할 것도 없다.
본 발명이 나타내는 효과는 청구항마다에 정리하면 이하와 같은 것을 들 수가 있다.
(청구항 1)
베이스 또는 커버에 설치한 걸어맞춤편을 플랜지 바깥둘레에 걸어맞추는 것으로 그 베이스 또는 커버에 스풀을 유지시킬 수 있다.
따라서, 와이어의 표면에 손이 닿게 되어 버리는 것에 의하여 와이어손상 등이 생기는 일없이 스풀을 취급할 수 있음과 아울러, 스풀홀더의 길고 짧음이나 스풀걸어두기수단의 존재 등에 좌우되지 않고, 각종 본딩장치에의 대응이 가능한 범용성을 구비한다.
또, 걸어맞춤편에 의하여 플랜지 유지상태가 유지되므로, 만일 작업자가 손을 놓아도 스풀이 떼어져서 떨어질 우려가 없는 신뢰성이 높은 취급작업을 실현할 수 있는 등의 효과를 가진다.
(청구항 2)
상술한 스풀유지의 확실성 및 그 유지를 해제하도록 걸어맞춤편을 변형시키기 위한 조작성이 향상하는 등의 효과가 기대된다.
(청구항 3)
걸어맞춤편을 베이스 또는 커버의 내면에 설치한 경우, 그 베이스 또는 커버에 스풀을 유지시킨 상태에서 스풀케이스 내에 스풀을 수용할 수 있고, 스풀의 뒤퉁거림방지 향상에도 기여할 수 있다.
(청구항 4)
걸어맞춤편이 베이스 또는 커버와 일체로 탄성변형하도록 구성한 경우, 베이스 또는 커버를 조작하면, 이것과 일체로 각 걸어맞춤편이 탄성변형하여 스풀의 붙이고 떼는 것을 행할 수 있고, 작업성을 보다 향상할 수 있다.
(청구항 5)
스풀을 그 중심축이 대략 수평으로 되도록 가로방향상태로 유지한 경우, 스풀에 감겨진 와이어에는 와이어 자신의 하중, 취급이나 운반시 등의 진동, 충격이 와이어 전체길이에 걸처서 대략 균등하게 분산되게 되어, 와이어의 감김풀어짐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청구항 6)
양단 플랜지의 한쪽 또는 쌍방의 직경이 58.5∼80㎜의 범위내인 스풀을 대상으로 하고, 걸어맞춤편을 그 플랜지의 바깥둘레에 탄성 걸어맞추도록 형성함으로서, 예컨대 양 플랜지가 동일의 직경인 스풀이나, 한쪽의 플랜지가 다른쪽의 플랜지보다 큰 지름인 스풀과 같이 각종 스풀에의 대응이 가능하다. 특히, 한쪽의 플랜지가 다른쪽의 플랜지보다 큰 지름인 스풀을 대상으로 하는 경우, 그 스풀자체가 가지는 이점, 즉, 큰 지름측의 플랜지를 유지하여 스풀을 취급하는 것에 의하여, 감김량을 증대시킨 굵게 감긴상태라더라도, 스풀에 감겨진 본딩와이어에 접촉하는 것을 절감할 수 있다고 하는 이점과의 상승작용에 의하여, 보다 우위한 효과를 얻을 수가 있다.
(청구항 7)
커버에 설치한 안내융기부에 의하여 스풀케이스 개폐시에 스풀을 안내(가이드)함으로, 스풀에 감아돌린 본딩와이어가 커버의 개구둘레에 닿는 일없이 스풀을 처리할 수 있다.
(청구항 9)
본 발명의 스풀케이스를 사용하면, 스풀에 직접손을 대는 일없이 그 스풀을 처리할 수 있는 취급방법으로서, 이 기술분야에 있어서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가 있다.

Claims (9)

  1. 상호 걸어맞추는 베이스와 커버로 이루어지는 스풀케이스의 내부에 본딩와이어를 감아돌린 스풀을 수용하는 스풀케이스에 있어서, 베이스와 커버의 적어도 한쪽에, 상기한 스풀의 플랜지 바깥둘레에 걸거나 벗김이 가능하게 걸어맞추어져서 그 스풀을 유지하는 걸어맞춤편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본딩와이어용 스풀케이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걸어맞춤편이 복수개 설치되어 있는 본딩와이어용 스풀케이스.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걸어맞춤편이 베이스 또는 커버의 내측 또는 외측에 설치되어 있는 본딩와이어용 스풀케이스.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걸어맞춤편을 구비하는 베이스 또는 커버를 탄성변형가능하게 성형하고, 그 베이스 또는 커버와 일체로 걸어맞춤편이 탄성변형하여 스풀의 붙이고 떼는 것을 행하도록 형성한 본딩와이어용 스풀케이스.
  5. 제1항에 있어서, 수용한 스풀을 그 중심축이 대략 수평으로 되는 가로방향상태로 유지가능하게 형성한 본딩와이어용 스풀케이스.
  6. 제1항에 있어서, 본딩와이어를 감아돌리는 스풀의 양단 플랜지의 한쪽 또는 쌍방이, 직경 58.5∼80㎜의 범위내에서 형성되어 있는 스풀을 내부에 수용하는 스풀케이스로서, 상기한 걸어맞춤편이 상기한 한쪽의 플랜지의 바깥둘레에 탄성 걸어맞추도록 형성되어 있는 본딩와이어용 스풀케이스.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베이스는 상기한 커버와 끼워 맞추는 외주융기부의 내측면에, 스풀케이스 내에 수용되는 스풀의 플랜지 바깥둘레에 탄성 걸어맞추는 걸어맞춤부를 복수개 구비하고, 그 베이스와 일체로 각 걸어맞춤부가 탄성변형하여 스풀을 붙이고 떼는 것이 자유자재하게 유지하도록 형성함과 아울러, 상기한 커버에는 스풀의 동부내측에 장입하는 팽창하여 나온 형상의 안내융기부를 설치하고, 그 안내융기부는 스풀케이스의 개폐시에 스풀을 가이드(안내)하도록 형성한 본딩와이어용 스풀케이스.
  8. 제1항에 있어서, 스풀케이스의 내부에 본딩와이어를 감아돌린 스풀을 수용하고 있는 본딩와이어용 스풀케이스.
  9. 청구항1에 기재된 스풀케이스를 사용한 스풀의 취급방법에 있어서, 상기한 걸어맞춤편에 의하여 스풀을 베이스 또는 커버에 유지하고, 스풀에 직접 손을 대는 일없이 그 스풀을 취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풀의 취급방법.
KR1019980032340A 1997-08-08 1998-08-08 본딩와이어용스풀케이스 KR10030109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1478397A JP2826307B1 (ja) 1997-08-08 1997-08-08 ボンディングワイヤ用スプールケース
JP97-214783 1997-08-0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3481A true KR19990023481A (ko) 1999-03-25
KR100301092B1 KR100301092B1 (ko) 2001-11-30

Family

ID=166614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32340A KR100301092B1 (ko) 1997-08-08 1998-08-08 본딩와이어용스풀케이스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6241094B1 (ko)
JP (1) JP2826307B1 (ko)
KR (1) KR100301092B1 (ko)
CN (1) CN1185699C (ko)
DE (1) DE69826941T2 (ko)
MY (1) MY124645A (ko)
SG (1) SG73542A1 (ko)
TW (1) TW411542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8831B1 (ko) * 2001-10-12 2003-09-19 헤라우스오리엔탈하이텍 주식회사 본딩 와이어용 스풀 케이스 및 이 케이스를 사용한 스풀취급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8832B1 (ko) * 2001-10-31 2003-09-19 헤라우스오리엔탈하이텍 주식회사 본딩 와이어용 스풀 케이스 및 이 케이스를 사용한 스풀취급 방법
KR100431472B1 (ko) * 2001-11-27 2004-05-22 헤라우스오리엔탈하이텍 주식회사 스풀용 그립퍼, 이 그립퍼를 갖는 스풀 취급 수단 및 이를 이용한 스풀 취급 방법
CA2435015A1 (en) * 2003-07-11 2005-01-11 Keith Thiessen Storage device for coiled articles
US7275708B2 (en) * 2004-06-30 2007-10-02 Richard Paul Lewis Dispenser for rolled sheet material
US10541160B2 (en) * 2009-12-29 2020-01-21 Nikon Corporation Substrate case and substrate accommodation apparatus
CN105314261B (zh) * 2015-11-17 2018-10-02 武汉汉麻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纱线筒包装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640368A (en) * 1926-12-13 1927-08-30 Us Asbestos Company Asbestos rope or wick package
US2867319A (en) * 1955-10-06 1959-01-06 Continental Can Co Strand packaging method and means
US3552551A (en) * 1969-03-05 1971-01-05 Goldberg Brothers Inc Film reel shipping case
US3612233A (en) * 1969-07-24 1971-10-12 Memorex Corp Injection-molded one-piece plastic carrying case with integral hinge and dust seal
US3693905A (en) * 1971-07-26 1972-09-26 Berkley & Co Inc Display for filamentary product with mutually adjacent segments having contrasting colors
JPS6043519B2 (ja) 1981-09-02 1985-09-28 発研株式会社 トンネル内壁の如き曲面を做い切削する方法と、做い案内装置
US4903833A (en) * 1988-10-17 1990-02-27 The Mead Corporation Cartridge for web-type media material
DE4038011A1 (de) * 1990-11-29 1992-06-04 Du Pont Deutschland Verpackung fuer einzelne gegenstaende
US5205412A (en) * 1992-04-08 1993-04-27 Aurex, S.A. De C.V. Recyclable package for a stack of rolls of magnetic tape
JP2985598B2 (ja) 1993-09-10 1999-12-06 住友金属鉱山株式会社 半導体ボンディングワイヤー用スプールケース
JPH07161754A (ja) 1993-12-06 1995-06-23 Mitsubishi Materials Corp 半導体ボンディングワイヤーのスプール収納ケース
JP2679697B2 (ja) 1995-11-29 1997-11-19 株式会社日鉄マイクロメタル スプールケース
JPH10142743A (ja) * 1996-11-11 1998-05-29 Fuji Photo Film Co Ltd 写真フイルムパトローネ
JPH10326804A (ja) 1997-05-26 1998-12-08 Mitsubishi Materials Corp 半導体装置用ボンディングワイヤーのスプールケース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8831B1 (ko) * 2001-10-12 2003-09-19 헤라우스오리엔탈하이텍 주식회사 본딩 와이어용 스풀 케이스 및 이 케이스를 사용한 스풀취급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MY124645A (en) 2006-06-30
TW411542B (en) 2000-11-11
JPH1167814A (ja) 1999-03-09
KR100301092B1 (ko) 2001-11-30
SG73542A1 (en) 2000-06-20
JP2826307B1 (ja) 1998-11-18
CN1208320A (zh) 1999-02-17
DE69826941T2 (de) 2005-07-21
US6241094B1 (en) 2001-06-05
DE69826941D1 (de) 2004-11-18
CN1185699C (zh) 2005-0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9990023481A (ko) 본딩와이어용 스풀케이스
JPH1040895A (ja) 蓄電池の取手
JP3794601B2 (ja) ボンディングワイヤ用スプールケース
KR0122491B1 (ko) 벨트클립의 이중잠금장치
EP0896363B1 (en) Spool case of bonding wire
US20030098253A1 (en) Spool case for bonding wire, and method of handling spool using same
KR100431472B1 (ko) 스풀용 그립퍼, 이 그립퍼를 갖는 스풀 취급 수단 및 이를 이용한 스풀 취급 방법
JP2000012599A (ja) ボンディングワイヤ用スプールケース並びにそのスプールケースを用いたスプール取り扱い方法
JPS634804Y2 (ko)
JP2001210670A (ja) 半導体ボンディングワイヤ用スプールケース
US6604959B2 (en) Electrical connector termination tool
KR100201620B1 (ko) 클립
KR200234776Y1 (ko) 권취 와이어 고정수단을 구비한 스풀
JP3077060U (ja) 滑走板のエッジ保護具
JPH07285585A (ja) アタッチメント用長尺ノズルおよび内容物吐出用容器
KR200152648Y1 (ko) 반도체 디바이스 트래이
KR200265550Y1 (ko) 스풀용 그립퍼 및 이 그립퍼를 갖는 스풀 케이스
KR200155020Y1 (ko) 패널-마스크조립 용접보호패드
KR890008003Y1 (ko) 채 칼
KR19980013834U (ko) 전자동 세탁기의 파워 코드 고정장치
JPH02223323A (ja) 床用アウトレット
KR830002699Y1 (ko) 열쇠 보관함의 열쇠걸이 장치
JP3570502B2 (ja) スプールケース
KR200155061Y1 (ko) 열쇠 출몰장치
JPH1123861A (ja) 電子機器のケーブル収納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611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