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13230A - 어스단자 - Google Patents

어스단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13230A
KR19990013230A KR1019970052001A KR19970052001A KR19990013230A KR 19990013230 A KR19990013230 A KR 19990013230A KR 1019970052001 A KR1019970052001 A KR 1019970052001A KR 19970052001 A KR19970052001 A KR 19970052001A KR 19990013230 A KR19990013230 A KR 199900132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inted board
earth terminal
screw
earth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520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63638B1 (ko
Inventor
히키타후미히코
Original Assignee
오이카와사카에
교신고교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이카와사카에, 교신고교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오이카와사카에
Publication of KR199900132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132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636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63638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0213Electrical arrang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30Assembling printed circuits with electric components, e.g. with resistor
    • H05K3/306Lead-in-hole components, e.g. affixing or retention before soldering, spacing means
    • H05K3/308Adaptations of leads

Landscapes

  • Multi-Conductor Connections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Connections By Means Of Piercing Elements, Nuts, Or Screw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프린트기판에 실장되고, 나사삽통공이 형성된 접속부의 하단에 일체로 형성된 복수의 리드가 프린트기판의 어스회로에 각각 접속되고, 접속부가 프린트기판의 상면 근방 위치에서 절곡됨으로써, 접속부의 나사삽통공이 프린트기판에 설치된 투시구멍과 연통하고, 이러한 구멍에 나사가 삽통되어 프린트기판과 함께 취부부재에 나사잠금 고정되어, 프린트기판의 어스회로를 취부부재에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어스단자에 관한 것이다. 접속부에, 프린트기판의 소정 위치에 설치된 계합부에 계합하여 어스단자가 나사잠금고정시에 회동(回動)하는 것을 방지하는 회동방지부가 형성되어 있다.

Description

어스단자
본 발명은 프린트기판에 실장되는 어스단자에 관계한다.
전자기기에 있어서는, 본체에 조립되는 프린트기판의 어스를 이러한 프린트기판을 취부하는 광체측(筐體側)의 금속섀시에 접속하여 어스를 고정할 필요가 있다. 종래에는, 프린트기판의 어스를 고정하는 경우,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한 어스단자(2)가 이용되어 왔다.
어스단자(2)는 접속부(2a)와 리드(2b, 2c, 2d)를 갖고 있고, 프린트기판(1)에 전자회로소자를 실장하는 경우에 함께 실장된다. 어스단자(2)는 리드(2b, 2c, 2d)를 프린트기판(1)의 각 취부공(1a)에 삽통하고, 어스용 랜드(어스회로)에 납땜이음함으로써 접속고정된다.
그리고, 어스단자(2)는 리드(2b, 2c, 2d)의 상단부(上端部), 즉, 프린트기판(1)의 상면(1c) 근방 위치에서 접속부(2a)가 프린트기판(1)을 따라서 거의 직각으로 절곡된다. 그 후, 어스단자(2)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면(1c)에 접속부(2a)를 맞닿게하여 나사삽통공(2e)과 투시구멍(1b)를 연통시킨다. 이러한 상태에서, 나사삽통공(2e)에 나사(4)를 삽통하여 섀시(3)의 나사공(3a)에 나사결합하여, 어스단자(2)는 프린트기판(1)과 함께 섀시(3)에 고정된다.
어스단자(2)는 이상과 같은 프린트기판(1)을 나사(4)로 섀시(3)에 기계적으로 고정함과 동시에 어스용 랜드를 나사(4)를 통해 섀시(3)에 전기적으로 접속하여 프린트기판(1)의 어스를 고정하고 있다.
그리고, 프린트기판(1)을 섀시(3)에 기계적으로 접속하는 경우, 프린트기판(1)이 섀시(3)로부터 빠지지 않도록 나사(4)는 소정값 이상의 비교적 높은 체부 토크로 꽉 조일 필요가 있다.
그러나,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나사(4)를 실선 A 방향으로 회전하여 세게 조여 나갈 때, 체부 토크가 높으면, 어스단자(2)가 나사머리에 연동하여 나사(4)를 축으로 하여 회전하는 방향으로 모멘트력이 작용한다. 이 때문에, 리드(2b, 2c, 2d)의 부분에도 실선 B 방향을 따라서 힘이 작용한다.
이와 같이 어스단자(2)의 리드(2b, 2c, 2d)에 힘이 작용하면, 리드 자체에 균열이 생길 우려가 있고, 또 이러한 리드를 통하여 프린트기판(1)의 이면측의 납땜이음부분에 힘이 작용하여, 상술한 어스용랜드가 프린트기판(1)으로부터 박리되어 어스회로가 단선될 우려가 있다.
특히, 프린트기판(2)을 섀시(3)에 단단하게 고정하지 않으면 안되는 경우, 나사(4)가 느슨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이붙이 와셔를 이용할 필요가 있는 경우가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상기 이붙이 와셔의 이와 어스단자(2)의 접속부(2a)가 서로 맞물리고, 어스단자(2)에 체부 토크가 더 많이 전달되어, 리드(2b, 2c, 2d)의 균열과 어스회로의 단선이 더욱더 발생하기 쉽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이, 프린트기판(1)을 어스단자(2)와 함께 섀시(3)에 나사고정하는 경우, 체부 토크를 다소 크게 하면, 리드(2b, 2c, 2d)의 균열이 발생하기도하고, 어스회로를 단선시켜 버릴 우려가 있다. 이 때문에, 프린트기판(1)을 어스단자(2)와 함께 섀시(3)에 나사고정하는 경우는 체부 토크를 그다지 크게 할 수 없어 어스의 확보와 취부성의 면에서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어스단자와 함께 프린트기판을 섀시에 나사고정하는 경우에 비교적 큰 체부 토크를 걸어도 어스단자의 리드 및 리드가 납땜이음된 어스회로에 힘이 작용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어스단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어스단자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어스단자를 프린트기판에 실장한 후, 취부부재에 취부하는 태양을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어스단자를 실장한 도 2의 프린트기판을 취부부재에 나사로 고정하는 태양을 도시한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관계된 어스단자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어스단자를 실장한 프린트기판을 취부부재에 취부하는 태양을 부분적으로 단면으로 하여 도시한 측면도,
도 6은 도 4의 어스단자를 테이핑한 상태의 일부절결정면도; 및
도 7은 본 발명에 관한 어스단자의 다른 태양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프린트 기판 3 : 섀시
4 : 나사 5 : 어스단자
5a : 접속부 5b, 5c, 5d : 리드
5e : 나사삽통공 5f : 원통부
5g : 돌기 5h : 계합부
7 : 어스단자 7a : 접속부
7b, 7c, 7d : 리드 7e : 나사삽통공
7f : 통상부 8 : 두꺼운 종이
9 : 점착테이프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하면, 프린트기판에 실장되고, 나사삽통공이 형성된 접속부의 하단에 일체로 형성된 복수의 리드가 상기 프린트기판의 어스회로에 각각 접속되고, 상기 접속부가 상기 프린트기판의 상면 근방 위치에서 절곡됨으로써, 상기 접속부의 나사삽통공이 상기 프린트기판에 설치된 투시구멍과 연통하여, 이러한 구멍에 나사가 삽통되어 상기 프린트기판과 함께 취부부재에 나사잠금고정되고, 상기 프린트기판의 어스회로를 상기 취부부재에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어스단자에 있어서, 상기 접속부에 상기 프린트기판의 소정 위치에 설치된 계합부에 걸어맞추어 상기 어스단자가 상기 나사잠금고정시에 회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회동방지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스단자가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의 어스단자에 있어서는, 상기 회동방지부가 상기 프린트기판의 투시구멍의 주연부에 설치된 노치에 계합하는 계합돌기인 구성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본 발명의 어스단자에 있어서는, 상기 나사삽통공의 개구부에, 상기 투시구멍에 감합하고, 프린트기판 두께와 거의 동일한 높이를 갖는 통체(筒體)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통체의 개구단면에 상기 취부부재에 박히는 돌기(爪)가 형성되어 있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는 벨트상 두꺼운 종이에 길이방향을 따라서 소정의 간격으로 배치되고, 상기 리드의 하부가 상기 두꺼운 종이에 점착 테이프로 접착되어 테이핑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스단자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어스단자는 그의 접속부에 프린트기판의 소정 위치에 설치된 계합부에 계합하는 회동방지부가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상기 회동방지부를 프린트기판의 계합부에 걸어맞춤으로써 나사잠금고정시에 어스단자가 회동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어스단자와 함께 프린트기판을 취부부재에 나사고정하는 경우에 어스단자에 체부 토크가 걸려도 리드 자체에 힘이 작용하지 않음과 동시에 이러한 리드를 통하여 어스회로에 힘이 작용하지도 않는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태양에 의하면, 어스단자와 함께 프린트기판을 취부부재에 나사고정하는 경우에, 어스단자의 접속부에 형성된 회동방지부가 상기 어스단자가 회동하는 것을 억제하기 때문에, 리드에 힘이 작용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리드 자체가 균열되거나 납땜이음부와 함께 어스용랜드가 기판으로부터 박리하여 어스회로가 단선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나사의 체부 토크를 큰 값으로 설정할 수 있고, 프린트기판을 취부부재에 확실하게 나사잠금고정할 수 있다.
또한, 어스단자를 벨트상의 두꺼운 종이에 길이방향을 따라서 소정의 간격으로 점착하여, 테이핑하는 방법으로 함으로써 기판에의 실장의 자동화가 가능하게 되고, 작업성의 향상 및 생산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술한 목적 및 그 밖의 다른 목적,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기초하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 부터 더욱 더 자명해질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태양을 첨부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어스단자(5)는 벨트상의 도전성 금속판으로부터 본을 데고 구멍을 뚫어(타발가공) 형성되고,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접속부(5a)와, 접속부(5a)의 하단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된, 하단의 좌우 양측 및 중앙에 일체로 형성된 3 개의 리드(5b , 5c , 5d)를 갖고 있다. 접속부(5a)는 상하로 긴 장방형 형상에 근접하고, 상단은 반원형의 원호로 되고 그의 거의 중앙에 나사삽통공(5e)이 설치되어 있다. 나사삽통공(5e)은 도시된 바와 같이, 접속부(5a)의 일면측, 즉, 프린트기판(1)에 맞닿는 쪽에 돌출한 거의 원통형상을 한 원통부(5f)를 구비하고 있다. 여기서, 원통부(5f)는 프린트기판(1)의 두께 치수와 거의 같은 치수의 높이를 갖고 있다. 또한 원통부(5f)는 프레스가공의 빠짐 구배를 고려하여 개구단면쪽이 약간 직경이 작게 되어 있다. 원통부(5f)의 개구단면에는 섀시(3)와의 도통성(導通性)을 양호하게 하기 위해 선단이 뾰족한 단면 V자형의 돌기(5g)가 원주 방향으로 동일한 간격으로 복수, 예를 들어 4개 설치되어 있다. 접속부(5a)에 있어서는, 삽통공(5e)의 하방(리드측)의 소정 위치에 접속부(5a)의 일면측(프린트기판에 맞닿는 면쪽)으로 돌출하는 계합돌기(5h)가 절기(切起)하여 형성되어 있다. 계합돌기(5h)는 회동방지부로서 기능하는 것으로, 프린트기판(1)의 투시구멍(1b)의 주연부 계합부로서 설치된 노치(1d)에 계합한다. 이 경우에, 계합돌기(5h)의 폭과 노치(1d)의 폭은 거의 동일한 치수로 한다.
리드(5b, 5c, 5d)는 프린트기판(1)에 형성된 복수개의 단자취부공(1a)에 삽입되기 때문에, 단자취부공(1a)와 동일한 간격으로 형성되고, 구멍 직경과 거의 동일한 폭을 갖고 있다.
이하에 어스단자(5)의 작용을 설명한다.
어스단자(5)는 리드(5b, 5c, 5d)가 프린트기판(1)에 형성된 각 단자취부공(1a)에 상방으로 부터 거의 수직으로 삽입된다. 각 리드(5b, 5c, 5d)는 프린트기판(1)의 이면에 형성되어 있는 랜드(도시하지 않음)에 납땜이음된다.
프린트기판(1)에 어스단자(5)를 실장한 후,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접속부(5a)를 프린트기판(1)의 상면(1c)을 따라서 거의 수직으로 절곡한다. 이것에 의해, 원통부(5f)가 프린트기판(1)의 투시구멍(1b)에 삽입되고, 나사삽통공(5e)과 투시구멍(1b)이 연통함과 동시에 노치(1d)에 계합돌기(5h)가 계합된다.
이 상태에서, 이붙이 와셔(6)가 끼워넣어져 있는 나사(4)를 나사삽통공(5e)에 삽통하여 섀시(3)의 나사구멍(3a)에 나사결합하여, 어스단자(5)를 프린트기판(1)과 함께 섀시(3)에 고정한다. 이 때, 나사(4)를 조여나가면, 어스단자(5)의 접속부(5a)에 나사(4)를 축으로 하여 회전하는 방향으로 힘이 작용하지만, 접속부(5a)는 계합돌기(5h)가 프린트기판(1)의 노치(1d)에 계합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회전방향으로의 회동이 규제된다. 따라서, 접속부(5a)가 나사머리에 연동하여 회동하지 않고, 리드(5b, 5c, 5d)에 힘이 작용하지 않는다. 이 때문에, 이붙이 와셔(6)를 이용하여, 비교적 높은 체부 토크로 나사(4)를 조여도 납땜이음부(1e)에 힘이 작용하여 어스회로가 기판(1)으로부터 박리되어 단선하는 것이 방지된다.
이와 같이 하여, 프린트기판(1)은 섀시(3)에 기계적으로 취부되고, 그와 동시에 어스단자(5)가 나사(4)를 통해 섀시(3)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어스가 고정된다.
더욱이, 어스단자(5)의 원통부(5f)의 각 돌기(5g)는 각각의 선단이 섀시(3)측에 맞닿아 있어, 접속부(5a)가 나사(4)에 의해 체부되지 않아도, 뾰족한 선단이 섀시(3)의 표면에 박힌다. 이것에 의해 어스단자(5)의 접속부(5a)가 섀시(3)에 전기적으로 양호하게 접속되어 더욱 확실하게 어스를 고정할 수 있다.
또한, 어스단자(5)에 있어서는 계합돌기(5h)를 나사삽통공(5e)의 하방(나사삽통공과 리드의 중간)에 설치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지만, 계합돌기(5h)는 접속부(5a)를 나사(4)에 의해 체부하는 경우에, 어스단자(5)가 회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라면 나사삽통공(5e)의 주변 어느 위치에 설치하여도 좋다. 이 때, 프린트기판(1)쪽의 계합부, 즉 노치(1d)도 계합돌기(5h)에 대응한 위치에 설치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어스단자(5)는 실제로는 프린트기판(1)에 실장하는 경우의 취급의 용이성을 고려하여 소위 테이핑 어스단자로 된다. 여기서 복수의 어스단자(5)들을 테이핑한 경우의 태양에 관해서 도 6을 기초하여 설명한다.
어스단자(5)는 두꺼운 종이(8)에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 배설되어 점착 테이프(9)에 의해 고정되고, 테이핑된 연속체로서의 테이핑 어스단자로 된다.
어스단자(5)는 상술한 바와 같은 벨트상의 도전성 금속판으로 부터 타발가공에 의해 형성되지만, 처음에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리드(5b, 5c, 5d)의 하단이 연결부(5i)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이와 같은 어스단자(5)는 두꺼운 종이(8)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일측(도면 중 위쪽)에 직교하여 각 송공(送孔)(8a)의 사이에 동일한 간격으로 배치되고, 리드(5b, 5c, 5d)의 하단의 연결부(5i)가 두꺼운 종이(8)의 거의 중심선상에 위치하여 리드의 대략 아래 반쪽부분이 두꺼운 종이(8)상에 얹어놓여 점착 테이프(9)에 의해 고정된다. 이와 같이 하여 1개의 긴 두꺼운 종이(8)에 다수(수백 내지 수천)의 어스단자(5)가 고정된다.
그래서, 두꺼운 종이(8)는 적당한 길이로 교호로 되집어 꺽여 지그재그 형태로 접힌다. 어스단자(5)가 테이핑된 두꺼운 종이(8)는 자동공급장치에 장착된다. 어스단자(5)를 프린트기판(1)에 실장하는 경우에는 이러한 자동공급장치로부터 인서터에 의해 1개 1개의 어스단자(5)가 두꺼운 종이(8)로 부터 순차적으로 취출되고, 리드(5b, 5c, 5d)가 적당한 길이로 절단되어 프린트기판(1)에 자동장착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인 어스단자(7)에 관해서 도 7을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어스단자(7)는 도 4에 도시한 어스단자와 마찬가지로, 접속부(7a)의 하단에 3개의 리드(7b, 7c, 7d)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접속부(7a)의 대략 중앙에는 평면형상이 정방형인 나사삽통공(7e)이 설치되어 있다. 나사삽통공(7e)은 도시한 바와 같이, 접속부(7a)의 일면측, 즉 프린트기판(1)에 맞닿는 쪽으로 돌출한 평면상으로 거의 정방형을 한 통상부(7f)를 구비하고 있다. 통상부(7f)는 어스단자(7)의 회동방지부로서 기능하는 것으로, 프린트기판(1)의 각진 형태의 투시구멍(1f)에 계합한다. 여기서 통상부(7f)는 프린트기판(1)의 두께 치수와 거의 동일한 치수의 높이를 갖고 있다. 또한 나사삽통공(7e) 및 통상부(7f)의 내부의 크기는 나사가 삽통할 수 있도록 나사의 외경 보다 약간 크게 한다.
그리고, 통상부(7f)의 개구단면에는 선단이 뾰족한 단면 V자형의 돌기(7g)가 설치되어 있다. 돌기(7g)는 어스단자(5)에 있는 돌기(5g)와 마찬가지로, 접속부(7a)가 나사에 의해 체부되지 않고도, 뾰족한 선단이 섀시에 박혀, 섀시와의 도통성을 양호하게 하여 확실하게 어스를 고정하는 기능을 한다.
어스단자(7)는 어스단자(5)와 동일하게 하여 프린트기판(1)에 실장된 후, 접속부(7a)를 프린트기판(1)의 상면(1c)을 따라서 거의 직각으로 절곡함으로써 통상부(7f)가 프린트기판(1)의 투시구멍(1f)에 계합된다.
이 상태에서, 나사를 나사삽통공(7e)에 삽통하여 섀시의 나사공에 나사결합하고, 어스단자(7)를 인쇄기판과 함께 고정한다. 그 경우에, 통상부(7f)는 계합부인 각진 형태의 투시구멍(1f)에 계합하고 있기 때문에, 어스단자(7)가 나사고정의 경우에 회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러므로, 비교적 높은 체부 토크로 나사(4)를 체부하여도 접속부(7a)가 나사머리에 연동하는 일은 없고 리드(7b, 7c, 7d)에 힘은 작용하지 않는다. 이 때문에, 어스단자(7)는 납땜이음부에 힘이 작용하여 어스용 랜드가 기판으로부터 박리하여 어스회로가 단선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더욱이, 통상부(7f)의 평면 형상은 정방형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장방형으로 해도 좋다. 이 때, 프린트기판(1)의 투시구멍(1f)의 평면형상도 통상부(7f)에 대응하도록 장방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어스단자와 함께 프린트기판을 섀시에 나사고정하는 경우에 어스단자의 접속부에 형성된 회동방지부가 상기 어스단자가 회동하는 것을 억제하기 때문에, 리드에 힘이 작용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리드 자체가 균열되거나 납땜이음부와 함께 어스용랜드가 기판으로부터 박리하여 어스회로가 단선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체부 토크를 큰 값으로 설정할 수 있고, 프린트기판을 섀시에 확실하게 나사잠금고정할 수 있다.

Claims (5)

  1. 프린트기판에 실장되고, 나사삽통공이 형성된 접속부의 하단에 일체로 형성된 복수의 리드가 상기 프린트기판의 어스회로에 각각 접속되고, 상기 접속부가 상기 프린트기판의 상면 근방 위치에서 절곡됨으로써, 상기 접속부의 나사삽통공이 상기 프린트기판에 설치된 투시구멍과 연통하여, 이러한 구멍에 나사가 삽통되어 상기 프린트기판과 함께 취부부재에 나사잠금고정되고, 상기 프린트기판의 어스회로를 상기 취부부재에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어스단자에 있어서,
    상기 접속부에 상기 프린트기판의 소정 위치에 설치된 계합부에 걸어맞추어 상기 어스단자가 상기 나사잠금고정시에 회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회동방지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스단자.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방지부가 상기 프린트기판의 투시구멍의 주연부에 설치된 노치에 계합하는 계합돌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스단자.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나사삽통공의 개구부에, 상기 투시구멍에 감합하고, 상기 프린트기판의 두께와 거의 동일한 높이를 갖는 통체(筒體)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통체의 개구단면에 상기 취부부재에 박히는 돌기(爪)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스단자.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나사삽통공의 개구부에, 상기 투시구멍에 감합하고, 상기 프린트기판의 두께와 거의 동일한 높이를 갖는 통체(筒體)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통체의 개구단면에 상기 취부부재에 박히는 돌기(爪)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스단자.
  5.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벨트상 두꺼운 종이에 길이방향을 따라서 소정의 간격으로 배치되고, 상기 리드의 하부가 상기 두꺼운 종이에 점착 테이프로 접착되어 테이핑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스단자.
KR1019970052001A 1997-07-01 1997-10-10 어스단자 KR10046363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7608797A JP3729606B2 (ja) 1997-07-01 1997-07-01 アース端子
JP9-176087 1997-07-0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3230A true KR19990013230A (ko) 1999-02-25
KR100463638B1 KR100463638B1 (ko) 2005-05-27

Family

ID=160074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52001A KR100463638B1 (ko) 1997-07-01 1997-10-10 어스단자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3729606B2 (ko)
KR (1) KR100463638B1 (ko)
TW (1) TW35824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19381A (ja) 2003-04-18 2004-11-11 Kyoshin Kogyo Co Ltd アース端子
JP2007172922A (ja) * 2005-12-20 2007-07-05 Kyoshin Kogyo Co Ltd アース端子
JP4556214B2 (ja) 2006-07-07 2010-10-06 Smk株式会社 表面実装用ラグ端子のプリント基板への取り付け構造及びその取り付け方法
JP5083869B2 (ja) * 2007-03-28 2012-11-28 サミー株式会社 遊技機のアース線固定構造
JP5530510B1 (ja) * 2012-12-25 2014-06-25 タキゲン製造株式会社 接地用端子台
CN104981041A (zh) * 2014-04-10 2015-10-14 宁波高新区赛尔富电子有限公司 一种具有接地保护的led电源
JP7152160B2 (ja) * 2018-01-26 2022-10-12 矢崎総業株式会社 バスバー及びバスバー固定構造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83871A (ja) * 1993-03-29 1994-10-07 Nec Kansai Ltd プリント基板の固定構造
KR0112409Y1 (ko) * 1994-06-30 1998-04-15 김주용 어스용 단자 결합장치
JP3674056B2 (ja) * 1994-09-07 2005-07-20 オンキヨー株式会社 電気機器における基板固定金具
JPH0955594A (ja) * 1995-08-16 1997-02-25 Mitsubishi Electric Corp プリント基板のアース構造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3729606B2 (ja) 2005-12-21
TW358249B (en) 1999-05-11
KR100463638B1 (ko) 2005-05-27
JPH1126040A (ja) 1999-0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6152077A (ja) フレキシブル回路基板
US5603620A (en) Integrated printed circuit connector and ground clip assembly
EP0764351B1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self-retained boardlock
KR100463638B1 (ko) 어스단자
JPH05502341A (ja) 部分のウェーブソルダリングおよび圧入に適応するプリント回路基板の製造方法
US6428354B1 (en) Coaxial connector fastening system
US6280248B1 (en) Hold-down element for electrical and/or electronic components
US6024586A (en) Ground terminal
JP3019184B2 (ja) 回路基板接地装置及びその組立方法
JP2900102B2 (ja) 電気コネクタに於けるガイド部材
KR940002898B1 (ko) 전기 콘넥터
JPS6038320Y2 (ja) 電子機器における回路基板のア−ス構造
EP1033787A1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terminal pins
US5885115A (en) Formed round pin
JP4098713B2 (ja) 基板用コネクタの組付構造
KR200324629Y1 (ko) 전자 제어 장비의 탑재용 인쇄회로기판 연결 구조
JP3092319B2 (ja) 光送受信モジュールのパッケージ
JPH075260U (ja) 端子板の固定構造
JPH04308676A (ja) コネクタ
JP2000150026A (ja) コネクタ及びその取付構造
JPH05174910A (ja) カードエッジ型表面実装コネクタ
JPH0644141Y2 (ja) 基板接続装置
EP0547616A1 (en) Circular connector to mass terminated connector adaptor
JPH05206672A (ja) プリント配線板のシールド板取付構造
JP2000068622A (ja) プリント基板への端子取付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1127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