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12409Y1 - 어스용 단자 결합장치 - Google Patents

어스용 단자 결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12409Y1
KR0112409Y1 KR2019940016306U KR19940016306U KR0112409Y1 KR 0112409 Y1 KR0112409 Y1 KR 0112409Y1 KR 2019940016306 U KR2019940016306 U KR 2019940016306U KR 19940016306 U KR19940016306 U KR 19940016306U KR 0112409 Y1 KR0112409 Y1 KR 011240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nd terminal
earth
terminal
space
circuit bo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4001630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03182U (ko
Inventor
김선균
Original Assignee
김주용
현대전자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주용, 현대전자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주용
Priority to KR2019940016306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12409Y1/ko
Publication of KR96000318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318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1240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12409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1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operating with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or with a coupling device exclusively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 H01R12/714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operating with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or with a coupling device exclusively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with contacts abutting directly the printed circuit; Button contacts therefore provided on the printed circui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9/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e.g. terminal strips or terminal blocks; Terminals or binding posts mounted upon a base or in a case; Bases therefor
    • H01R9/22Bases, e.g. strip, block, panel
    • H01R9/24Terminal blocks
    • H01R9/2483Terminal blocks specially adapted for ground connection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고안이 속한 기술분야 : 단자 결합장치
2. 고안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 인쇄회로기판에 단자를 결합하려는 장치.
3. 고안의 해결방법의 요지 : 원통의 형상으로 그 내부에 상기 접지단자(3)를 수용하는 공간(211)과 양측상단부에서 하향으로 형성되는 고정홈(212)이 형성되는 몸체(21)와, 상기 몸체(21)의 저면에서 하향으로 돌출되어 그 내부에 상기 접지단자(3)를 수용하는 공간(221)을 가지고 수용편(22)으로 구성되는 그라운드단자(2)에, 양측 하단부 소정위치에 돌출되어 상기 그라운드단자(2)의 고정홈(212)에 고정되는 고정돌기(311)와 상단부 양측 소정위치에 돌출되는 손잡이(312)가 구성되는 몸체(31)와, 상기 몸체(31)의 저면에서 하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그라운드단자(2)의 수용편(22) 공간(221)에 삽입되는 삽입편(32)으로 구성되는 것임.

Description

어스용 단자 결합장치
제1도는 본 고안의 분해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결합상태의 과정을 보인 사시도.
제3도는 본 고안의 결합상태를 보인 정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그라운드단자 3 : 접지단자
21 : 몸체 22 : 수용편
31 : 몸체 32 : 삽입편
211 : 공간 212 : 고정홈
311 : 고정돌기 312 : 손잡이
본 고안은 어스용 단자 결합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인쇄회로기판에 와이어가 연결되는 단자를 끼워맞춤식으로 결합하여 결합과 분리가 용이하게 하는 어스용 단자 결합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자제품에서 어떤 부분의 도체를 제로전위의 안정된 상태로 유지하기 위해 접지단자가 부착된 와이어를 인쇄회로기판에서 연결하여 대지 또는 대지의 접속된 도체에 연결하거나, 장치의 케이스를 기준전위로 하여 이것에 접속하게 되는 어스용 단자 결합장치를 구성하게 된다.
이러한 종래의 어스용 단자 결합장치는 인쇄회로기판에 와이어 일측단부에 연결되어 있는 접지단자를 납땜으로 연결하거나, 인쇄회로기판에 삽입하여 연결하였다.
그런데 이러한 어스용 단자 결합장치는 납땜으로 연결하는 결합하는 경우에 작업 공정이 불편하여 공수증가의 원인이 되었고, 삽입으로 연결하는 경우에는 제품의 낙하시험이나 충격시험시 단자의 연결부분이 인쇄회로기판에서 분리되는 결함이 발생되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결함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인쇄회로기판에 와이어가 연결되는 단자를 끼워맞춤식으로 결합하여 결합과 분리가 용이하게 하는 어스용 단자 결합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어스용 단자 결합장치는 인쇄회로기판에 삽입고정되는 그라운드단자와, 상단부에 와이어가 연결되고 하단부가 상기 그라운드단자의 내부에 삽입결합되는 접지단자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고안의 일 실시에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고안의 분해 사시도이고, 제2도는 본 고안의 결합상태의 고정을 보인 사시도이며, 제3도는 본 고안의 결합상태를 보인 정단면도이다.
본 고안의 어스용 단자 결합장치는 인쇄회로기판(1)에 삽입고정되는 그라운드단자(2)와, 상단부에 와이어(W)가 연결되고 하단부가 상기 그라운드단자(2)의 내부에 삽입되는 접지단자(3)로 구성된다.
상기 그라운드단자(2)는 원통형상의 몸체(21)와, 상기 몸체(21)의 저면에서 하향으로 돌출되어 그 내부에 상기 접지단자(3)를 수용하는 공간(221)을 가지는 수용편(22)으로 구성된다.
상기 그라운드단자(2)는 원통형 몸체(21)는 원통의 형상으로 그 내부에 상기 접지단자(3)를 수용하는 공간(221)과, 원통의 수직축을 중심으로 도일선상의 양측상단부에서 소정폭과 깊이를 가지고 하향으로 절개되고, 상기 절개되는 단부가 서로 반대방향으로 수평으로 절개되는 고정홈(212)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접지단자(3)는 그라운드단자(2)의 공간(211)에 삽입되는 원통형상의 몸체(31)와, 상기 몸체(31)의 저면에서 하향으로 돌출되어 그라운드단자(2)의 수용편(22) 공간(221)에 삽입되는 삽입편(32)으로 구성된다.
상기 접지단자(3)의 몸체(31)는 하부 소정위치 양측에 돌출되어 상기 그라운드단자(2)의 고정홈(212)에 고정되는 고정돌기(311)와, 상단부 양측 소정 위치에 돌출되어 사용자가 회전시킬 수 있도록 손잡이(312)가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결합과정과 그에 따르는 작용효과를 상세히 설명한다.
인쇄회로기판(1)에 상기 그라운드단자(2)의 수용편(22)을 고정시킨 후, 상기 접지단자(3)의 고정돌기(311)를 상기 그라운드단자(2)의 고정홈(212)에 끼워넣어 하단부까지 누른 다음 상기 접지단자(3)의 손잡이(312)를 잡고 상기 고정홈(212)을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시켜 와이어(W)가 부착되는 접지단자(3)를 그라운드단자(2)에 결합하게 되고, 이를 분리할 때에는 상기와 같이 그라운드단자(2)에 접지단자(3)가 고정되는 상태에서 상기 접지단자(3)의 손잡이(312)를 화살표 반대방향으로 회전시켜 접지단자(3) 들어올려 간단히 분리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어스용 단자 결합장치는 다른 도구를 사용하지 않고 간단히 수 동작만으로 인쇄회로기판에 접지단자를 탈착이 가능하게 결합하게 되므로 조립공정을 단순화하여 생산성 향상을 기대할 수 있다.

Claims (4)

  1. 인쇄회로기판(1)에 와이어(W)를 연결함에 있어서, 상기 인쇄회로기판(1)에 고정되는 그라운드단자(2)와; 상단부에 와이어(W)가 연결되고 하단부가 상기 그라운드단자(2)의 내부에 삽입되는 접지단자(3)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스용 단자 결합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그라운드단자(2)는 원통의 형상으로 그 내부에 상기 접지단자(3)를 수용하는 공간(211)과, 양측 상단부에서 소정폭과 깊이를 가지고 하향으로 절개되고 상기 절개되는 단부에서 서로 반대방향으로 수평으로 절개되는 고정홈(212)이 형성되는 몸체(21)와 상기 몸체(21)의 저면에서 하향으로 돌출되어 그 내부에 상기 접지단자(3)를 수용하는 공간(221)을 가지는 수용편(22)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스용 단자 결합장치.
  3. 제1에 있어서, 접지단자(3)는 하부 소정위치 양측에 돌출되어 상기 그라운드단자(2)의 고정홈(212)에 고정되는 고정돌기(311)와, 상단부 양측 소정위치에 돌출되어 사용자가 회전시킬 수 있도록 손잡이(312)가 구성되는 몸체(31)와 상기 몸체(31)의 저면에서 하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그라운드단자(2)의 수용편(22) 공간(221)에 삽입되는 삽입편(32)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스용 단자 결합장치.
  4. 고안의 중요한 용도.
    어스장치가 부착되는 제품.
KR2019940016306U 1994-06-30 1994-06-30 어스용 단자 결합장치 KR011240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16306U KR0112409Y1 (ko) 1994-06-30 1994-06-30 어스용 단자 결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16306U KR0112409Y1 (ko) 1994-06-30 1994-06-30 어스용 단자 결합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3182U KR960003182U (ko) 1996-01-22
KR0112409Y1 true KR0112409Y1 (ko) 1998-04-15

Family

ID=193874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40016306U KR0112409Y1 (ko) 1994-06-30 1994-06-30 어스용 단자 결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12409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3638B1 (ko) * 1997-07-01 2005-05-27 교신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어스단자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2856B1 (ko) * 2006-09-06 2007-04-04 서문원 핀잭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3638B1 (ko) * 1997-07-01 2005-05-27 교신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어스단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3182U (ko) 1996-0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70002791Y1 (ko) 헤더(header)장치
US5324213A (en) Ballast connector
US4556264A (en) Telephone connector
US5692912A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terminal tail aligning device
US6007381A (en) Circuit board connector with improved mounting characteristics
EP0800232B1 (en) Audio/power jack for PCMCIA card
KR101019267B1 (ko) 교체 가능한 메인 플러그 유닛이 있는 플러그―인 전력공급 장치
US5046237A (en) Extractor tool
US6106304A (en) Cable connecting head for connecting to an integral circuit board
KR960028721A (ko) 카드수납 커넥터용 만능 접지 클립
JPH0546227Y2 (ko)
KR0138832B1 (ko) 모서리 장착식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
NO972201L (no) Koaksial kontakt, samt fremgangsmåte for å feste denne kontakten på et kretskort
KR19990087378A (ko) 직각 커넥터를 회로 기판에 보유하기 위한 장치
JP2001307789A (ja) 電気コネクタ
KR0112409Y1 (ko) 어스용 단자 결합장치
GB2316550A (en) PCB-mounted SMT connector
JPH09245861A (ja) 電気コネクタ
GB2093641A (en)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electrical contacts
ATE179285T1 (de) Leiterplattenklemme
EP0380337B1 (en) Connector
JP3412837B2 (ja) 電気コネクタを回路基板へ実装する方法及び回路基板へ実装するための電気コネクタ並びにその実装に用いる支持部材
US5538448A (en) Gang modular jack
US5984722A (en) Printed board connector
KR930009164A (ko) 개량된 정전기 방지 커넥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