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04093A - 차량 도어록 해제장치 - Google Patents

차량 도어록 해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04093A
KR19990004093A KR1019970028095A KR19970028095A KR19990004093A KR 19990004093 A KR19990004093 A KR 19990004093A KR 1019970028095 A KR1019970028095 A KR 1019970028095A KR 19970028095 A KR19970028095 A KR 19970028095A KR 19990004093 A KR19990004093 A KR 199900040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lock
vehicle
door
control unit
bum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280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민준호
Original Assignee
김영귀
기아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귀, 기아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영귀
Priority to KR10199700280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04093A/ko
Publication of KR199900040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04093A/ko

Links

Landscapes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 도어록 해제장치에 관한 것으로, 운전자축 도어에 설치되어 각 도어에 설치된 도어록을 제어하는 메인도어록과, 제어부로 구성된 것에 있어서,상기 제어부(5)에 에어백용 충돌센서(10)를 연결하여 에어백용 충돌센서(10)의 작동과 동시에 메인도어록(1)이 해제되도록한 것으로서, 차량의 도어록에 에어백 충돌센서나 범퍼에 부착된 마이크로스위치를 연결하여 차량의 충돌시 일정이상의 충격이 가해지면 도어록이 자동으로 해제되도록 함으로써, 차량의 충돌시 시동이 정지되어도 도어의 개방이 용이하게 되고, 이에따라 차실내의 승객을 신속하고 안전하게 구출할 수 있어 인명피해를 최소로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차량 도어록 해제장치
본 발명은 차량 도어록 해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차량의 도어록을 에어백에서 사용되는 충돌센서나, 범퍼내에 부착된 마이크로 스위치를 연결하여 차량의 충돌시 도어록이 자동으로 해제되도록한 차량 도어록 해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도어(Door)는 전·후방 양측에 각각 설치된 프런트도어와 리어도어로 구분되게 된다.
이러한 도어는 주행시 승객의 안전을 보호하기 위해 각 도어에는 도어록이 설치되게 되는데, 상기 도어록은 각 도어마다 별도로 설치되어 수동으로 작동하는 수동식과, 운전자측 도어에서 전체의 도어록을 록킹 및 해제시켜 어린이가 승차할 경우 도어록의 오조작으로 인한 사고를 방지하는 반자동식 그리고 최근에는 차량의 주행속도가 40km/h 전후가 되면 자동으로 도어록이 록킹되는 자동식이 있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 차량의 도어록은 차량충돌 또는 전복사고시 수동식 도어록의 경우는 문제가 없으나, 자동식 또는 반자동식은 시동이 정지되면 작동되지않아 차실내의 승객이 도어록을 해제하지 못하게 됨에 따라 차실내에서 승객이 탈출하지 못하게 될뿐아니라, 차외부에서 역시 도어를 신속히 열지못하게 되어 승객의 구출이 지체되게 된다.
그러므로 소형사고가 승객의 구출이 지체되어 대형사고로 확대됨에 따라 인명피해가 커지게 되는 등 충돌시 안전성이 저하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차량의 도어록에 에어백 충돌센서나 범퍼내에 부착된 마이크로스위치를 연결하여 차량의 충돌시 일정이상의 충격이 가해지면 도어록이 자동으로 해제되도록한 차량 도어록 해제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예를 나타낸 구성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메인도어록 2, 3, 4 ; 도어록
5 ; 제어부 10 ; 에어백용 충돌센서
20 ; 범퍼 21 ; 마이크로스위치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차량 도어록 해제장치는 운전자축 도어에 설치되어 각 도어에 설치된 도어록을 제어하는 메인도어록과, 제어부로 구성된 것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5)에 에어백용 충돌센서(10)를 연결하여 에어백용 충돌센서(10)의 작동과 동시에 메인도어록(1)이 해제되도록하여 달성된다.
한편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범퍼(20)의 적정위치에 마이크로스위치(21)를 부착하여 상기 제어부(5)에 연결하므로서, 범퍼(20)에 일정이상의 충격이 가해질시 상기 마이크로스위치(21)가 이를 감지하여 메인도어록(1)을 해제되도록 하여 달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범퍼(20)의 마이크로스위치(21)는 전후방 범퍼에 각각 부착시켜 차량의 전후방 충돌 모두 감시하여 메인도어록(1)을 해제되도록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의 충돌시 에어백용 충돌센서(10)가 작동되면 상기 에어백용 충돌센서(10)의 충돌신호를 제어부(5)가 인식하여 판독연산한후, 메인도어록(1)에 해제신호를 보내게 된다.
상기와 같이 제어부(5)로부터 해제신호를 인가한 메인도어록(1)은 다시 각 도어의 도어록(2)(3)(4)에 신호를 보내 각 도어록(2)(3)(4)을 해제시키게 된다.
한편 범퍼(20)의 적정위치에 부착된 마이크로스위치(21)는 범퍼(20)에 충격이 가해지면 이를 감지하여 제어부(5)에 신호를 보내게 되고 상기 제어부(5)는 이를 인식하여 판독연산한후 메인도어록(1)에 해제신호를 보내게 된다.
이와 같이 마이크로스위치(21)의 충돌신호를 받은 제어부(5)로부터 도어록 해제신호를 인가하는 메인도어록(1)은 다시 각 도어의 도어록(2)(3)(4)을 해제시키게 된다.
한편 상기 마이크로스위치(21)는 전후방 범퍼에 각각 부착시켜 전방 충돌시에는 전방범퍼에 부착된 마이크로스위치가 작동되도록 하고 후방충돌시에는 후방범퍼에부착된 마이크로스위치(2)가 작동되어 메인도어록(1)을 해제되도록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차량의 충돌시 일정이상의 충격이 가해져 에어백용 충돌센서(10) 또는 범퍼(20)에 부착된 마이크로스위치(21)가 작동되면 이를 제어부(5)가 인식하여 판독연산한후 메인도어록(1)을 해제시키게 되며, 상기 메인도어록(1)은 다시 메인도어록(1)에 의해 제어되는 각 도어의 도어록(2)(3)(4)을 해제시키게 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차량 도어록 해제장치는 차량의 도어록에 에어백 충돌센서나 범퍼에 부착된 마이크로스위치를 연결하여 차량의 충돌시 일정이상의 충격이 가해지면 도어록이 자동으로 해제되도록 함으로써, 차량의 충돌시 시동이 정지되어도 도어의 개방이 용이하게 되고, 이에따라 차실내의 승객을 신속하고 안전하게 구출할 수 있어 인명피해를 최소로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운전자축 도어에 설치되어 각 도어에 설치된 도어록을 제어하는 메인도어록과, 제어부로 구성된 것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5)에 에어백용 충돌센서(10)를 연결하여 에어백용 충돌센서(10)의 작동과 동시에 메인도어록(1)이 해제되도록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어록 해제장치.
  2. 범퍼(20)의 적정위치에 마이크로스위치(21)를 부착하여 상기 제어부(5)에 연결하되, 상기 범퍼(20)에 일정이상의 충격이 가해지면 상기 마이크로스위치(21)가 이를 감지하여 메인도어록(1)을 해제되도록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어록 해제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범퍼(20)의 마이크로스위치(21)는 전·후방 범퍼에 각각 부착시켜 차량의 전·후방 충돌 모두 감지하여 메인도어록(1)을 해제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어록 해제장치.
KR1019970028095A 1997-06-27 1997-06-27 차량 도어록 해제장치 KR1999000409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28095A KR19990004093A (ko) 1997-06-27 1997-06-27 차량 도어록 해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28095A KR19990004093A (ko) 1997-06-27 1997-06-27 차량 도어록 해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4093A true KR19990004093A (ko) 1999-01-15

Family

ID=659872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28095A KR19990004093A (ko) 1997-06-27 1997-06-27 차량 도어록 해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04093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81758A (en) System for automatically unlocking an automotive child safety door lock
KR100215277B1 (ko) 탑승객 탈출지원장치
JPH05208647A (ja) 自動車の前席乗員用保護装置
US20070095595A1 (en) Anti-squeeze method utilizing airbag information
KR19990004093A (ko) 차량 도어록 해제장치
JPS633772B2 (ko)
KR100187336B1 (ko) 차량용 에어백 제어방법
KR100202114B1 (ko) 자동차의 에어백 제어방법
KR0165784B1 (ko) 자동차 도어 해제장치
KR100270884B1 (ko) 차량 충돌시 엔진및 도어 제어시스템
JP3156564B2 (ja) エアバッグ装着車のパワーウィンドウ制御装置
KR19980043108U (ko) 자동차의 루프개방장치
KR200152894Y1 (ko) 자동차의 조수석측 에어백
KR100214705B1 (ko) 차량의 사고시 창문을 자동으로 개방하는 장치
KR100196373B1 (ko) 자동차의 충돌에 따른 도어락및 안전벨트의 해제장치
KR200149125Y1 (ko) 자동차 도어 글래스 개방장치
KR200146217Y1 (ko) 자동차의 차일드록 자동해제장치
JPH0732958A (ja) 車両用安全装置の作動制御装置
KR0135214Y1 (ko) 에어 백 작동시 창문 개방 장치
KR19980026416A (ko) 자동차의 탑승구속 해제장치
KR19980046868A (ko) 자동차의 에어백장치
KR20020052271A (ko) 차량의 자동 브레이크시스템
JPH08333932A (ja) 対衝撃ドアロック自動解錠機構
JPH061201A (ja) 自動車のエアバッグ装置
JPH0110284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