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70884B1 - 차량 충돌시 엔진및 도어 제어시스템 - Google Patents

차량 충돌시 엔진및 도어 제어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70884B1
KR100270884B1 KR1019980050651A KR19980050651A KR100270884B1 KR 100270884 B1 KR100270884 B1 KR 100270884B1 KR 1019980050651 A KR1019980050651 A KR 1019980050651A KR 19980050651 A KR19980050651 A KR 19980050651A KR 100270884 B1 KR100270884 B1 KR 1002708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gine
collision
unit
vehicle
control sy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506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33682A (ko
Inventor
강진구
홍성기
Original Assignee
소진관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진관,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소진관
Priority to KR10199800506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70884B1/ko
Publication of KR200000336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336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708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70884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1/013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collisions, impending collisions or roll-over
    • B60R21/0136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collisions, impending collisions or roll-over responsive to actual contact with an obstacle, e.g. to vehicle deformation, bumper displacement or bumper velocity relative to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8/00Safety devices for propulsion-unit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in, vehicles, e.g. preventing fuel supply or ignition in the event of potentially dangerous conditions
    • B60K28/10Safety devices for propulsion-unit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in, vehicles, e.g. preventing fuel supply or ignition in the event of potentially dangerous conditions responsive to conditions relating to the vehicle 
    • B60K28/14Safety devices for propulsion-unit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in, vehicles, e.g. preventing fuel supply or ignition in the event of potentially dangerous conditions responsive to conditions relating to the vehicle  responsive to accident or emergency, e.g. deceleration, tilt of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021/0027Post collision measures, e.g. notifying emergency ser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 B60Y2400/304Acceleration sens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00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F1/002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controlled by automatically acting means
    • E05F1/006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controlled by automatically acting means by emergency conditions, e.g. fi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Air Bags (AREA)
  • Output Control And Ontrol Of Special Type Engin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 충돌시 엔진 및 도어 제어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종래에는 차량 충돌시 이를 감지하면 에어백이 전개되도록 하여 승객을 보호하고자 하였으나 에어백이 전개된 이후에 엔진이 계속 작동하여 차량이 구르는 경우가 발생하고, 중앙 도어록 시스템이 장착된 경우에는 도어가 록되어 문이 열리지 않으므로 충돌 후 승객 구조에 많은 불편함이 따르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차량 충돌시 에어백이 구동하면 자동으로 엔진의 작동을 정지시키고 중앙 도어록 시스템을 구동하여 도어를 오픈하므로써 충돌 이후 승객을 보호하고 신속하게 구조할 수 있도록 한 유용한 발명이다.

Description

차량 충돌시 엔진 및 도어 제어시스템
본 발명은 차량 충돌시 엔진 및 도어 제어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차량 충돌시 에어백이 구동하면 자동으로 엔진의 작동을 정지시키고 중앙 도어록 시스템을 구동하여 도어를 오픈하므로써 충돌 이후 승객을 보호하고 신속하게 구조할 수 있도록 한 차량 충돌시 엔진 및 도어 제어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에 있어서 운전자와 승객을 보호하기 위한 여러가지 장치가 설치되고 있으며, 특히 충돌 사고 발생시 운전자와 탑승자를 보호하기 위하여 에어백을 설치하여 충돌 사고 발생시 효과적으로 전개되어 운전자 및 탑승자를 보호 하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에어백은 각 좌적 즉, 운전석 에어백은 운전자를 향하도록 고정설치되고, 조수석 에어백은 조수석을 향하도록 고정설치되고 충돌이 감지되면 에어백 구동부가 구동하여 에어백이 전개되므로써 승객과 운전자를 보호하게 되는 것이다.
즉, 도 1 은 일반적인 차량 충돌시 제어시스템을 나타낸 개략도로서 도면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차량의 충돌이 감지되면 가속도 감지부(10)로부터 상기 제어부(20)에 충돌신호를 인가하면 상기 제어부(20)는 에어백 스위칭부에 전원을 인가하고 상기 전원이 설정값이상인 경우 에어백 구동부(30)를 구동시켜 에어백이 전개되도록 하는 것이다.
따라서, 차량 충돌시 이를 감지하면 에어백이 전개되도록 하여 승객을 보호하고자 하였으나 에어백이 전개된 이후에 엔진이 계속 작동하여 차량이 구르는 경우가 발생하고, 중앙 도어록 시스템이 장착된 경우에는 도어가 록되어 문이 열리지 않으므로 충돌 후 승객 구조에 많은 불편함이 따르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차량 충돌시 에어백이 구동하면 자동으로 엔진의 작동을 정지시키고 중앙 도어록 시스템을 구동하여 도어를 오픈하므로써 충돌 이후 승객을 보호하고 신속하게 구조할 수 있도록 한 차량 충돌시 엔진 및 도어 제어시스템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차량의 충돌시 이를 감지하는 가속도 감지부에서 출력되는 감지신호에 따라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로부터 충돌신호를 인가받는 엔진 제어 시스템과, 차량 충돌시 상기 엔진 제어 시스템에 의해 전원을 인가받아 엔진으로의 연료공급을 차단하는 연료 공급부, 상기 제어부로 부터 충돌신호를 인가받는 중앙 도어 록 유니트 및, 차량 충돌시 상기 중앙 도어 록 유니트로부터 전원을 인가받아 도어를 오픈상태로 전환하는 도어록 구동부로 구성하므로서 달성되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에어백을 구동시키기 위한 신호를 출력하는 가속도 센서와 제어부에서 발신되는 충돌신호를 에어백 스위칭부 뿐만 아니라 엔진제어시스템과 중앙 도어 록 유니트에 인가하여 충돌시 엔진으로 연료가 공급되지 않도록 하므로써 차량이 충돌후에도 구동하여 더 큰 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고, 도어 록 장치를 모두 언록시키므로써 승객을 보다 효과적이고 빠르게 구조할 수 있게되어 상기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 은 일반적인 차량 충돌시 에어백 구동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
도 2 는 본 발명에 의한 차량 충돌시 엔진 및 도어 제어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가속도 감지부 200 : 제어부
300 : 에어백 구동부 400 : 엔진 제어 시스템
410 : 연료 공급부 500 : 중앙 도어록 유니트
510 : 도어록 구동부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을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 예로서 그 기술 구성 및 작용 효과를 첨부한 별첨의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 는 본 발명에 의한 차량 충돌시 엔진 및 도어 제어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로서, 도면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발명은 차량의 충돌을 감지하는 가속도 감지부(100)와, 가속도 감지신호에 의해 차량의 충돌로 판단되면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200)와, 상기 제어신호에 따라 구동되어 에어백을 전개 시키는 에어백 구동부(300)로 구성된 차량 충돌시 제어 시스템에 적용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상기 가속도 감지부(100)의 감지신호에 따라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200)로부터 충돌신호를 인가받는 엔진 제어 시스템(400)과, 차량 충돌시 상기 엔진 제어 시스템(400)에 의해 전원을 인가받아 엔진으로의 연료공급을 차단하는 연료 공급부(), 상기 제어부(200)로 부터 충돌신호를 인가받는 중앙 도어 록 유니트(500) 및, 차량 충돌시 상기 중앙 도어 록 유니트(500)로부터 전원을 인가받아 도어를 오픈상태로 전환하는 도어록 구동부(510)로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 가속도 감지부(100)는 차량의 충돌시 충돌에 의한 충돌 펄스가 입력되면 이를 필터링하고 증폭하여 제어부(200)에 입력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200)는 입력된 신호에 따라 차량 충돌로 판단되면 충돌신호를 에어백 스위칭 부와 함께 엔진 제어 시스템(400)과, 중앙 도어 록 유니트(500)로 출력한다.
상기 엔진 제어 시스템(400)은 충돌신호가 입력되면 엔진으로 연료공급을 중단하도록 연료 공급부(410)를 구동하여 공급되는 연료를 중단시키므로써 엔진의 구동을 정지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중앙 도어 록 유니트(500)는 제어부(200)로부터 충돌신호가 입력되면 도어 록 구동부(510)를 구동시켜 록되어 있는 도어의 도어록 스위치를 턴오프시켜 모두 언록(UNLOCK)으로 전환되도록 하게 된다.
그리고, 에어백 스위칭 부로 충돌신호가 인가되면 에어백 구동부(300)에 전원이 인가되어 에어백이 전개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의 작동상태는 다음과 같다.
즉, 차량이 다른 차량이나 장애물과 충돌하게 되면 충돌 펄스가 가속도 감지부(100)에 인가되고, 상기 가속도 감지부(100)에서 필터링 및 증폭되어 출력된 충돌 펄스는 제어부(200)에 입력되며, 제어부는 상기 입력 신호에 의해 충돌로 판단하면 엔진 제어 시스템(400)과, 중앙 도어록 유니트(500) 및 에어백 스위칭부에 충돌 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이와같이 충돌 신호를 인가받은 엔진 제어 시스템(400)은 연료 공급부(410)에 전원을 인가하여 엔진으로 연료가 공급되지 않도록 하므로서 엔진을 정지시켜 충돌 후 엔진이 게속 구동하여 차량이 앞으로 구르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충돌 신호를 입력 받은 중앙 도어 록 유니트(500)는 도어록 구동부()에 전원을 인가하여 록되어 있는 도어를 모두 언록되도록 하므로서 충돌후 도어가 록되어 승객 구조시 시간을 지체하는 것을 방지한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차량이 다른 차량이나 장애물과 충돌하면 에어백을 구동시키기 위한 신호를 출력하는 가속도 센서와 제어부에서 발신되는 충돌신호를 에어백 스위칭부 뿐만 아니라 엔진제어시스템과 중앙 도어 록 유니트에 인가하여 충돌시 엔진으로 연료가 공급되지 않도록 하므로써 차량이 충돌후에도 구동하여 더 큰 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고, 도어 록 장치를 모두 언록시키므로써 승객을 보다 효과적이고 빠르게 구조할 수 있게된 유용한 발명이다.

Claims (1)

  1. 차량 충돌이 감지되면 에어백을 구동시키는 차량 충돌시 제어장치에 있어서,
    가속도 감지부(100)의 감지신호에 따라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200)로부터 충돌신호를 인가받는 엔진 제어 시스템(400);
    차량 충돌시 상기 엔진 제어 시스템(400)에 의해 전원을 인가받아 엔진으로의 연료공급을 차단하는 연료 공급부(410);
    상기 제어부(200)로 부터 충돌신호를 인가받는 중앙 도어 록 유니트(500);
    차량 충돌시 상기 중앙 도어 록 유니트(500)로부터 전원을 인가받아 도어를 오픈상태로 전환하는 도어록 구동부(510);
    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충돌시 엔진 및 도어 제어시스템.
KR1019980050651A 1998-11-25 1998-11-25 차량 충돌시 엔진및 도어 제어시스템 KR1002708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50651A KR100270884B1 (ko) 1998-11-25 1998-11-25 차량 충돌시 엔진및 도어 제어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50651A KR100270884B1 (ko) 1998-11-25 1998-11-25 차량 충돌시 엔진및 도어 제어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33682A KR20000033682A (ko) 2000-06-15
KR100270884B1 true KR100270884B1 (ko) 2001-04-02

Family

ID=195596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50651A KR100270884B1 (ko) 1998-11-25 1998-11-25 차량 충돌시 엔진및 도어 제어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7088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59231B1 (ko) * 2017-11-14 2022-10-2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및 그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33682A (ko) 2000-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986316A (ja) 乗員脱出支援装置
JPH07269208A (ja) 車両のドアロック制御装置
US20070095595A1 (en) Anti-squeeze method utilizing airbag information
KR100270884B1 (ko) 차량 충돌시 엔진및 도어 제어시스템
JP4465767B2 (ja) エアバッグ装置の展開制御装置
JP3849291B2 (ja) パワーウインド制御装置
JPH05254386A (ja) 自動車の乗員保護装置の駆動電源回路
KR200147175Y1 (ko) 조수석 에어백 작동시스템
KR0165784B1 (ko) 자동차 도어 해제장치
KR0164346B1 (ko) 초전형 적외선 센서를 이용한 에어백 작동 제어장치
KR100226976B1 (ko) 자동차의 도어잠금 및 풀림장치
JP2001278003A (ja) 乗員保護装置の起動制御装置
JP3156564B2 (ja) エアバッグ装着車のパワーウィンドウ制御装置
KR100187336B1 (ko) 차량용 에어백 제어방법
KR200149125Y1 (ko) 자동차 도어 글래스 개방장치
KR0174019B1 (ko) 충격유형에 따라 동작하는 에어백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3209025B2 (ja) ドアロック制御装置
KR19980026416A (ko) 자동차의 탑승구속 해제장치
KR100196182B1 (ko) 승객 감지식의 에어백 장치
KR100227908B1 (ko) 상하 충격에 의한 에어백 오동작 방지장치 및 그 방법
KR19980035488A (ko) 물체의 접근시 록킹되는 도어록 장치
KR19980046100U (ko) 조수석 에어백 제어장치
KR19980035381A (ko) 자동차 도어록 록킹 해제 시스템 및 해제 방법
JPH08199880A (ja) ドアロック強制解除システム作動・非作動制御装置
KR19980039868U (ko) 자동차의 에어-백 제어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16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19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4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17

Year of fee payment: 1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