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43108U - 자동차의 루프개방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루프개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43108U
KR19980043108U KR2019960056220U KR19960056220U KR19980043108U KR 19980043108 U KR19980043108 U KR 19980043108U KR 2019960056220 U KR2019960056220 U KR 2019960056220U KR 19960056220 U KR19960056220 U KR 19960056220U KR 19980043108 U KR19980043108 U KR 19980043108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roof
detection unit
opening
detec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5622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금동교
Original Assignee
김영귀
기아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귀, 기아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영귀
Priority to KR2019960056220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43108U/ko
Publication of KR1998004310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43108U/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7/00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 B60J7/185Locking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1/013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collisions, impending collisions or roll-over
    • B60R21/0136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collisions, impending collisions or roll-over responsive to actual contact with an obstacle, e.g. to vehicle deformation, bumper displacement or bumper velocity relative to the vehicl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77/00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s or purposes
    • E05B77/02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s or purposes for accident situations
    • E05B77/12Automatic locking or unlocking at the moment of collis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400/00Electronic control; Electrical power; Power supply; Power or signal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 E05Y2400/10Electronic control
    • E05Y2400/32Position control, detection or monitoring
    • E05Y2400/322Position control, detection or monitoring by using absolute position sens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Type of wing
    • E05Y2900/542Roof pan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의 루프개방장치에 관한 것으로, 루프에 루프도어(5)가 설치되는 한편, 충격감지부(1)와 도어개폐감지부(2) 및 운전신호감지부(3)로 부터 입력받은 신호에 의해 제어유니트(4)가 현차량상태에 대해 사고이며, 도어가 열리지 않고, 운전자가 자력탈출불가상태라고 판단하면, 상기 루프도어(5)의 잠금장치(6)가 자동으로 해제되어 루프도어(5)를 열 수 있게 됨으로써 부상당한 탑승자의 구조가 용이해지게 된다.

Description

자동차의 루프개방장치
본 고안은 자동차의 루프개방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사고시 도어가 열려지지 않을 때 루프에 설치된 루프도어가 수동 또는 자동으로 열려질 수 있게 됨으로써 탑승자의 구조가 용이하도록 된 자동차의 루프개방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에는 측면에 한쌍의 전방도어와 후방도어가 구비되어 있으며, 차종에 따라서 트렁크리드 대신 백도어가 구비된 것도 있다.
상기 도어들은 당연히 차량의 실내로 탑승자가 출입하는 통로를 개폐하는 장치이며, 주행시 및 사고시에는 실내의 탑승자가 차량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막고, 충격으로 부터 보호하는 기능을 하게 된다.
그러나, 사고발생시 상기 도어들은 직접 충격을 받는 일이 많고, 직접 충격을 받지 않을 때에도 추/충돌에 의한 힘이 차체 외곽의 측부에 위치된 도어로 많이 전달되므로 잠금장치가 고정나거나 크게 변형되어 열리지 않게 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경우 차량에 화재가 발생하면 탑승자의 생명이 매우 위험해지며, 또한 화재가 발생하지 않을지라도 부상을 입은 탑승자를 구조하기 위해서 절단기를 사용하여 도어를 뜯어내어야 하므로 작업이 매우 난해하고 구조에 시간이 매우 많이 소모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자동차의 루프에 루프도어가 설치되고, 이 루프도어는 사고발생시 사이드도어가 열리지 않고, 사고후 일정시간동안 주행신호가 발생되지 않으면 수동 또는 자동으로 열려질 수 있게 됨으로써 차내의 탑승자가 신속하게 탈출 또는 구조될 수 있도록 된 자동차의 루프개방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의 루프개방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다이어그램,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의 루프개방장치의 작동순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충격감지부2 : 도어개폐감지부
3 : 운전신호감지부4 : 제어유니트
5 : 루프도어6 : 루프도어잠금장치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차체에 전달되는 충격을 감지하는 충격감지부와, 사이드도어의 개폐를 감지하는 도어개폐감지부와, 운전자의 운전조작여부를 감지하는 운전신호감지부와, 이 운전신호감지부 및 상기 충격감지부와 도어개폐감지부로 부터 신호를 전달받는 제어유니트와, 이 제어유니트에 의한 자동조작 및 실내 탑승자의 수동조작에 의해 해제될 수 있는 루프도어잠금장치를 갖춘 루프도어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충격감지부에서 추돌 및 충돌사고를 감지하고, 이후 도어개폐 감지부와 운전신호감지부에서 도어가 열리지 않으면서 운전자의 운전조작이 없음이 감지되면 상기 제어유니트에 의해 루프도어잠금장치가 자동으로 해제되어 외부에서 탑승자를 쉽게 구조할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의 루프개방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다이어 그램으로서, 본 고안은 자동차의 전방범퍼와 후방범퍼 및 사이드도어에 설치된 충격감지센서들로 이루어져 외부로 부터 차체에 전해지는 충격을 감지하도록 된 충격감지부(1)와, 상기 각 사이드도어의 안착면에 설치된 광센서들로 이루어져 사이드도어가 열려지는지를 감지하는 도어개폐감지부(2)와, 변속레버와 조작패달 및 스티어링휠의 작동 여부를 감지하는 센서들로 이루어져 운전자가 운전조작을 시도하는지를 감지하는 운전신호감지부(3)와, 이 운전신호감지부(3) 및 상기 충격감지부(1)의 도어개폐감지부(2)로 부터 충격량에 관한 정보와 운전자가 운전을 시도하는지에 관한 정보와 도어가 열려지는지에 관한 정보를 입력받는 제어유니트(4)와, 이 제어유니트(4)가 현재상황이 사고이고, 운전자가 부상으로 의식을 잃었으며, 사이드도어잠금장치의 고장이나 사이드도어의 변형으로 사이드도어가 열려질 수 없는 상황이라고 판단할 경우 이 제어유니트(4)의 제어에 의해 잠금상태가 해제되는 루프도어잠금장치(6)를 갖춤과 더불어 루프의 가운데를 중심으로 좌우로 열려지는 구조로된 루프도어(5)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제어유니트(4)에는 충격감지부(1)로 부터 전해지는 충격량의 크기를 기 설정된 충격치와 비교하여 설정충격치 이상의 충격치가 입력되면 차량에 사고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고, 도어개폐감지부(2)로 부터 도어가 열려졌다는 정보가 입력되지 않으면 도어가 열려질 수 없는 상태라고 판단하며, 운전신호감지부(3)로 부터 운전신호가 입력되지 않으면 운전자가 부상을 입고 의식을 잃은 상태라고 판단하는 한편, 이 판단의 결과가 사고이고, 도어열림불가상태이며, 운전자부상 상태일 경우 상기 루프도어잠금장치(6)를 해제하여 루프도어(5)가 열려지도록 하는 프로그램이 입력되어 있다.
따라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행중 충돌이나 추돌사고가 발생되면 충격량을 감지하여 제어유니트(4)가 사고상태임을 인식하고, 이후 일정시간이 지나도 운전자의 운전조작이 감지되지 않고, 또한 사이드도어가 열리지 않으면 상기 루프도어잠금장치(6)가 자동해제되어, 외부에서 루프도어(6)를 열 수 있게 됨으로써 탑승자를 신속하게 구출해낼 수 있게 된다.
한편, 사고가 발생하였으나 운전자가 입은 부상정도가 크지 않아 자력으로 탈출할 수 있는 경우임에도 불구하고 사이드도어가 열리지 않은 경우를 대비하여, 상기 루프도어잠금장치(6)는 차내에서 수동으로 조작할 수 있도록 되어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사고시의 충격으로 사이드도어가 열려지지 않을 경우 탑승자가 자력탈출가능상태이면 굳이 구조를 기다리지 않고 수동으로 루프도어를 열고 탈출할 수 있으며, 탑승자가 자력탈출불가상태라도 자동으로 루프도어의 잠금상태가 해제됨으로써 구조자가 사이드도어를 열려는 수고 없이 루프도어를 열어 용이하고 신속하게 부상자를 구조해낼 수 있게 됨으로써, 탑승자가 차내에 갇히거나 구조가 늦어짐으로써 유발되는 제2의 사고나 치료시기를 놓치는 등의 불행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차체에 전달되는 충격을 감지하는 충격감지부(1)와, 사이드도어의 개폐를 감지하는 도어개폐감지부(2)와, 운전자의 운전조작여부를 감지하는 운전신호감지부(3)와, 이 운전신호감지부(3) 및 상기 충격감지부(1)와 도어개폐감지부(2)로 부터 신호를 전달받는 제어유니트(4)와, 이 제어유니트(4)의 판단에 의한 자동조작 및 실내 탑승자의 수동조작에 의해 해제 되는 루프도어잠금장치(6)를 갖춘 루프도어(6)로 구성된 자동차의 루프개방장치.
KR2019960056220U 1996-12-24 1996-12-24 자동차의 루프개방장치 KR19980043108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56220U KR19980043108U (ko) 1996-12-24 1996-12-24 자동차의 루프개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56220U KR19980043108U (ko) 1996-12-24 1996-12-24 자동차의 루프개방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43108U true KR19980043108U (ko) 1998-09-25

Family

ID=539957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56220U KR19980043108U (ko) 1996-12-24 1996-12-24 자동차의 루프개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43108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29369A (ko) * 2017-05-26 2018-12-05 이준석 비상 탈출용 의자를 구비하는 자동차 및 그에 적용되는 비상 탈출용 의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29369A (ko) * 2017-05-26 2018-12-05 이준석 비상 탈출용 의자를 구비하는 자동차 및 그에 적용되는 비상 탈출용 의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15277B1 (ko) 탑승객 탈출지원장치
EP3196062B1 (en)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opening and closing of a car sunroof
JPH07269208A (ja) 車両のドアロック制御装置
KR19980043108U (ko) 자동차의 루프개방장치
JP2009062679A (ja) 車両用ドアロック制御装置及び車両用ドアロックの制御方法
US20040150513A1 (en) Vehicle with alighting passenger signaling capability
JP2985543B2 (ja) 自動車用エアバッグ装置
KR100196373B1 (ko) 자동차의 충돌에 따른 도어락및 안전벨트의 해제장치
KR19990004093A (ko) 차량 도어록 해제장치
KR100214705B1 (ko) 차량의 사고시 창문을 자동으로 개방하는 장치
JP3156564B2 (ja) エアバッグ装着車のパワーウィンドウ制御装置
KR20020052271A (ko) 차량의 자동 브레이크시스템
KR100270884B1 (ko) 차량 충돌시 엔진및 도어 제어시스템
KR200149125Y1 (ko) 자동차 도어 글래스 개방장치
JPH06286572A (ja) エアバッグ作動時の車内圧力上昇防止装置
KR100190319B1 (ko) 차량 도어열림에 의한 승객탈출방지용 사이드 벨트의 스톱퍼 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9990084460A (ko) 자동차용 도어잠김방지장치.
KR100202114B1 (ko) 자동차의 에어백 제어방법
CN114320038A (zh) 车辆应急开门装置、方法和车辆
KR19980054134U (ko) 자동차 충돌사고발생시 선루프의 열림장치
KR19980026416A (ko) 자동차의 탑승구속 해제장치
KR19990026979A (ko) 충돌시 자동차 도어의 자동열림장치
KR19980045838A (ko) 차량용 도어의 언록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KR19980084019A (ko) 차량의 도어록 제어장치
KR20040016260A (ko) 택시의 자동 도어 로크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