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03634A - 반도체 소자의 플러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반도체 소자의 플러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03634A
KR19990003634A KR1019970027535A KR19970027535A KR19990003634A KR 19990003634 A KR19990003634 A KR 19990003634A KR 1019970027535 A KR1019970027535 A KR 1019970027535A KR 19970027535 A KR19970027535 A KR 19970027535A KR 19990003634 A KR19990003634 A KR 199900036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ming
plug
insulating film
bit line
conductive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275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44261B1 (ko
Inventor
문일영
Original Assignee
문정환
엘지반도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문정환, 엘지반도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문정환
Priority to KR10199700275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44261B1/ko
Publication of KR199900036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036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442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44261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0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or of parts thereof; Manufacture of integrated circuit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1Manufacture of specific parts of devices defined in group H01L21/70
    • H01L21/768Applying interconnections to be used for carrying current between separate components within a device comprising conductors and dielectrics
    • H01L21/76897Formation of self-aligned vias or contact plugs, i.e. involving a lithographically uncritical ste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0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or of parts thereof; Manufacture of integrated circuit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1Manufacture of specific parts of devices defined in group H01L21/70
    • H01L21/768Applying interconnections to be used for carrying current between separate components within a device comprising conductors and dielectrics
    • H01L21/76838Applying interconnections to be used for carrying current between separate components within a device comprising conductors and dielectrics characterised by the formation and the after-treatment of the conductors
    • H01L21/76877Filling of holes, grooves or trenches, e.g. vias, with conductive material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BELECTRONIC MEMORY DEVICES
    • H10B12/00Dynamic random access memory [DRAM] devices
    • H10B12/30DRAM devices comprising one-transistor - one-capacitor [1T-1C] memory cells
    • H10B12/48Data lines or contacts therefor
    • H10B12/482Bit l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Semiconductor Memories (AREA)
  • Internal Circuitry In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트라인 및 메머리 콘택 플러그를 형성하는데 적당한 반도체 소자의 플러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비트라인 및 메모리 콘택 플러그를 형성하는 반도체 소자의 플러그 제조방법에 있어서, 반도체 기판상에 일정한 간격을 갖는 복수개의 게이트 절연막 및 게이트 전극과 텡스텐 실리사이드 및 제 1 절연막을 차례로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 1 절연막상에 반원형태의 질화막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질화막 패턴 및 제 1 절연막과 텅스텐 실리사이드와 게이트 전극 및 게이트 절연막의 양측면에 제 2 절연막 측벽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반도체 기판의 전면에 제 1 도전층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 1 도전층을 선택적으로 제거하여 셀 내의 액티브영역에 비트라인 및 메모리 콘택 부분에 플러그를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비트라인의 플러그의 표면이 노출되도록 제 3 절연막을 형성하는 단계와, 그리고 상기 제 3 절연막이 노출된 비트라인 콘택 플러그와 연결되도록 제 2 도전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형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반도체 소자의 플러그 제조방법
본 발명은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비트라인(Bit-line) 및 메모리 콘택 플러그(Memory Contact Plug)를 형성하는데 적당한 반도체 소자의 플러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종래의 반도체 소자의 플러그 제조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a 내지 도 1f는 종래의 반도체 소자의 플러그 제조방법을 나타낸 공정단면도이다.
먼저, 도 1a에 도시한 바와같이 반도체 기판(11)상에 게이트 절연막(12) 및 제 1 폴리 실리콘(13)과 텅스텐 실리사이드(14) 및 제 1 질화막(15)을 차례로 형성한다.
이어, 상기 제 1 질화막(15)상에 제 1 포토레지스트(16)를 도포한 후, 노광 및 현상공정으로 상기 제 1 포토레지스트(16)를 패터닝한다.
도 1b에 도시한 바와같이 상기 패터닝된 제 1 포토레지스트(16)를 마스크로 이용하여 상기 제 1 질화막(15)을 선택적으로 제거하여 복수개의 제 1 질화막 패턴(15a)들을 형성한다.
이어, 상기 제 1 포토레지스트(16)를 제거하고, 상기 제 1 질화막 패턴(15a)들을 마스크로 이용하여 상기 텅스텐 실리사이드(14)와 제 1 폴리 실리콘(13) 및 게이트 절연막(12)을 선택적으로 제거하여 게이트 전극(13a)을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제 1 질화막 패턴(15a)들을 마스크로 이용하여 상기 반도체 기판(11)의 전면에 소오스/드레인용 불순물 이온을 주입한다(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음).
이어, 상기 반도체 기판(11)의 전면에 제 2 질화막을 형성한 후, 에치백 공정을 실시하여 상기 제 1 질화막 패턴(15a) 및 텅스텐 실리사이드(14)과 게이트 전극(13a) 및 게이트 절연막(12)의 양측면에 질화막 측벽(17)을 형성한다.
도 1c에 도시한 바와같이 상기 질화막 측벽(17)을 포함한 반도체 기판(11)의 전면에 제 3 질화막(18) 및 제 1 HLD(High temperature Low Deposition)(19)를 차례로 형성하고, 상기 제 1 HLD(19)상에 제 2 포토레지스트(20)를 도포한 후, 노광 및 현성공정으로 제 2 포토레지스트(20)를 패터닝한다.
여기서 상기 제 3 질화막(18)은 이후 포토공정에서 미스얼라인이 발생할 경우 얼라인 마진을 향상시키기 위해 형성한다.
도 1d에 도시한 바와같이 상기 패터닝된 제 2 포토레지스트(20)를 마스크로 이용하여 상기 반도체 기판(11)의 표면이 일정부분 노출되도록 상기 제 1 HLD(19) 및 제 3 질화막(18)을 선택적으로 제거하여 메모리 콘택용 제 1 콘택홀(21)을 형성한다.
도 1e에 도시한 바와같이 상기 제 2 포토레지스트(20)를 제거하고, 상기 제 1 콘택홀(21)을 포함한 반도체 기판(11)의 전면에 제 2 폴리 실리콘을 형성한 후, 에치백 공정을 실시하여 상기 제 1 콘택홀(21)내부에 제 1 실리콘 플러그(22)를 형성한다.
이어, 상기 제 1 실리콘 플러그(22)를 포함한 반도체 기판(21)의 전면에 제 2 HLD(23)를 형성하고, 상기 제 2 HLD(23)상에 제 3 포토레지스트(24)를 도포한 후, 노광 및 현상공정으로 제 3 포토레지스트(24)를 패터닝한다.
그리고 상기 패터닝된 제 3 포토레지스트(24)를 마스크로 이용하여 상기 반도체 기판(11)의 표면이 일정부분 노출되도록 상기 제 2 HLD(23) 및 제 1 HLD(19) 및 제 3 질화막(18)을 선택적으로 제거하여 비트 라인 콘택용 제 2 콘택홀(25)을 형성한다.
도 1f에 도시한 바와같이 상기 제 3 포토레지스트(24)를 제거하고, 상기 제 2 콘택홀(25)을 포함한 반도체 기판(11)의 전면에 제 3 폴리 실리콘을 형성하고, 사진석판술 및 식각공정으로 상기 2 콘택홀(25) 내부 및 그에 인접한 제 2 HLD(23)상에만 남도록 상기 제 3 폴리 실리콘을 선택적으로 제거하여 제 2 실리콘 플러그(26)를 형성한다.
그러나 이와같은 종래의 반도체 소자의 플러그 제조방법에 있어서 비트 라인과 메모리 콘택 플러그를 각각의 포토공정에 의하여 형성함으로써 각 포토공정에서 미스얼라인(Misalign)이 발생하고, 각각의 포토공정으로 인한 공정수가 증가하여 비용이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비트라인과 메모리 콘택 플러그를 한 번의 포토공정으로 형성함으로써 미스얼라인을 최소로하고 공정수를 줄이도록 한 반도체 소자의 플러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a 내지 도 1f는 종래의 반도체 소자의 플러그 제조방법을 나타낸 공정단면도
도 2a 내지 도 2f는 본 발명에 의한 반도체 소자의 플러그 제조방법을 나타낸 공정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1 : 반도체 기판 32 : 게이트 절연막
33 : 제 1 폴리 실리콘 33a : 게이트 전극
34 : 텅스텐 실리사이드 35 : 제 1 HLD
36 : 질화막 36a : 질화막 패턴
37 : 제 1 포토레지스트 38 : HLD 측벽
39 : 제 2 폴리 실리콘 39a : 실리콘 플러그
40 : 제 2 포토레지스트 41 : ILD
42 : 제 3 폴리 실리콘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반도체 소자의 플러그 제조방법은 비트라인 및 메모리 콘택 플러그를 형성하는 반도체 소자의 플러그 제조방법에 있어서, 반도체 기판상에 일정한 간격을 갖는 복수개의 게이트 절연막 및 게이트 전극과 텡스텐 실리사이드 및 제 1 절연막을 차례로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 1 절연막상에 반원형태의 질화막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질화막 패턴 및 제 1 절연막과 텅스텐 실리사이드와 게이트 전극 및 게이트 절연막의 양측면에 제 2 절연막 측벽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반도체 기판의 전면에 제 1 도전층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 1 도전층을 선택적으로 제거하여 셀 내의 액티브영역에 비트라인 및 메모리 콘택 부분에 플러그를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비트라인의 플러그의 표면이 노출되도록 제 3 절연막을 형성하는 단계와, 그리고 상기 제 3 절연막이 노출된 비트라인 콘택 플러그와 연결되도록 제 2 도전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형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의한 반도체 소자의 플러그 제조방법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a 내지 도 2f는 본 발명에 의한 반도체 소자의 플러그 제조방법을 나타낸 공정단면도이다.
먼저, 도 2a에 도시한 바와같이 반도체 기판(31)상에 게이트 절연막(32) 및 제 1 폴리 실리콘(33)과 텅스텐 실리사이드(34)및 제 1 HLD(35)와 질화막(36)을 차례로 형성한다.
이어, 상기 질화막(36)상에 제 1 포토레지스트(37)를 도포한 후, 노광 및 현상공정으로 상기 제 1 포토레지스트(37)를 패터닝(Patterning)한다.
도 2b에 도시한 바와같이 상기 패터닝된 제 1 포토레지스트(37)를 마스크로 이용하여 상기 텡스텐 실리사이드(34)의 표면이 일정부분 노출되도록 상기 질화막(36) 및 제 1 HLD(35)를 선택적으로 제거한다.
이어, 상기 제 1 포토레지스트(37)를 마스크로 이용하여 등방성 식각공정으로 표면이 반원형태를 갖는 질화 패턴(36a)을 형성한다.
도 2c에 도시한 바와같이 상기 질화막 패턴(36a)과 제 1 HLD(35)를 마스크로 이용하여 상기 텅스텐 실리사이드(34)와 제 1 폴리 실리콘(33) 및 게이트 절연막(32)을 선택적으로 제거하여 게이트 전극(33a)을 형성한다.
이어, 상기 질화막 패턴(36a) 및 제 1 HLD(35)를 마스크로 이용하여 상기 반도체 기판(31)의 전면에 소오스/드레인용 불순물 이온을 주입한다(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
도 2d에 도시한 바와같이 상기 반도체 기판(31)의 전면에 제 2 HLD를 형성한 후, 에치백 공정을 실시하여 상기 질화막 패턴(36a) 및 제 1 HLD(35)와 텅스텐 실리사이드(34) 및 게이트 전극(33a) 및 게이트 절연막(32)의 양측면에 HLD 측벽(38)을 형성한다.
이어, 상기 HLD 측벽(38)을 포함한 반도체 기판(31)의 전면에 제 2 폴리 실리콘(39)을 형성한다.
도 2e에 도시한 바와같이 상기 제 1 폴리 실리콘(39)의 표면에 에치백(Etch Back) 공정 또는 CMP(Chemical Mechanical Polishing) 공정을 실시하여 상기 질화막 패턴(36a)의 표면보다 낮게 실리콘 플러그(39a)를 형성한다.
이어, 상기 반도체 기판(31)의 전면에 제 3 포토레지스트(40)를 도포한 후, 노광 및 현상공정으로 상기 제 3 포토레지스트(40)를 패터닝한다.
도 2f에 도시한 바와같이 상기 패터닝된 제 3 포토레지스트(40)를 마스크로 이용하여 상기 실리콘 플러그(39a)를 셀 내의 액티브 부분에만 남도록 선택적으로 제거하여 메모리 및 비트라인 콘택을 형성한다.
이어, 상기 제 3 포토레지스트(40)를 제거하고, 상기 반도체 기판(31)의 전면에 ILD(Inter Layer Directic)(41)를 형성하고, 상기 비트라인의 실리콘 플러그(39a)의 표면이 노출되도록 상기 ILD(41)를 선택적으로 제거한다.
그리고 상기 노출된 비티라인의 실리콘 플러그(39a)를 포함한 반도체 기판(31)의 전면에 제 3 폴리 실리콘(42)을 형성한후, 상기 ILD(41)가 제거된 부분의 상기 비트라인의 실리콘 플러그(39a)와 연결되도록 선택적으로 제거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본 발명에 의한 반도체 소자의 플러그 제조방법에 있어서 비트라인 및 메모리 콘택 플러그를 동시에 형성함으로써 메모리 콘택 플러그와 비트라인 콘택 플러그간의 오버레이(Overlay)를 항상 일정한 간격(Pitch)을 유지시키며, 1회의 포토공정 진행에 따른 공정단순화를 기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비트라인 및 메모리 콘택 플러그를 형성하는 반도체 소자의 플러그 제조방법에 있어서, 반도체 기판상에 일정한 간격을 갖는 복수개의 게이트 절연막 및 게이트 전극과 텡스텐 실리사이드 및 제 1 절연막을 차례로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 1 절연막상에 반원형태의 질화막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질화막 패턴 및 제 1 절연막과 텅스텐 실리사이드와 게이트 전극 및 게이트 절연막의 양측면에 제 2 절연막 측벽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반도체 기판의 전면에 제 1 도전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 1 도전층을 선택적으로 제거하여 셀 내의 액티브영역에 비트라인 및 메모리 콘택 부분에 플러그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비트라인의 플러그의 표면이 노출되도록 제 3 절연막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 3 절연막이 노출된 비트라인 콘택 플러그와 연결되도록 제 2 도전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의 플러그 제조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도전층을 선택적으로 제거할 때 에치백 이나 CMP 공정 등을 사용함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의 플러그 제조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제 2 절연막은 HLD로 형성하고 제 2 절연막 측벽을 형성할 때 상기 제 1 절연막도 표면으로부터 소정부분이 제거됨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의 플러그 제조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절연막 측벽을 형성할 때 상기 질화막 패턴 하부의 제 1 절연막은는 제거되지 않고 잔존함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의 플러그 제조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 전극상에 텅스텐 실리사이드 및 제 1 절연막으로 더블 캡을 형성함으로써 제 2 절연막측벽을 형성할 때 식각선택비의 차이를 이용하여 이후공정에서 상기 플러그 상부의 폭을 확장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의 플러그 제조방법.
KR1019970027535A 1997-06-26 1997-06-26 반도체 소자의 플러그 제조방법 KR1002442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27535A KR100244261B1 (ko) 1997-06-26 1997-06-26 반도체 소자의 플러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27535A KR100244261B1 (ko) 1997-06-26 1997-06-26 반도체 소자의 플러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3634A true KR19990003634A (ko) 1999-01-15
KR100244261B1 KR100244261B1 (ko) 2000-02-01

Family

ID=195113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27535A KR100244261B1 (ko) 1997-06-26 1997-06-26 반도체 소자의 플러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44261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44261B1 (ko) 2000-0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23832B1 (ko) 반도체 소자 및 그 제조방법
KR100192521B1 (ko) 반도체장치의 제조방법
KR20000042460A (ko) 반도체소자의 비트라인 콘택 형성방법
KR100244261B1 (ko) 반도체 소자의 플러그 제조방법
KR100396686B1 (ko) 반도체소자의콘택홀형성방법
KR100226778B1 (ko)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
KR100379531B1 (ko)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
KR100365755B1 (ko)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
KR100226753B1 (ko) 반도체 소자의 금속배선 형성방법
KR100215871B1 (ko)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
KR100218735B1 (ko) 반도체 소자의 콘택홀 형성방법
KR100396685B1 (ko) 반도체소자의배선및그제조방법
KR100317333B1 (ko) 반도체 소자 제조방법
KR100252892B1 (ko) 반도체소자의 배선 형성방법
KR100314738B1 (ko) 반도체소자의게이트전극형성방법
KR100277883B1 (ko)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
KR20040008600A (ko) 반도체 메모리 소자의 콘택홀 형성방법
KR100258368B1 (ko) 반도체 소자의 콘택 형성방법
KR0139575B1 (ko) 반도체 소자 제조방법
KR100386625B1 (ko)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
KR19980077340A (ko) 반도체소자의 저장전극 형성방법
KR19990074636A (ko) 반도체소자의 콘택 형성방법
KR20000021000A (ko) 반도체장치의 콘택홀 형성방법
KR19980017256A (ko)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
KR19990057080A (ko) 반도체소자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1027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