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79566A - 사출성형금형과 그 성형품 - Google Patents

사출성형금형과 그 성형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79566A
KR19980079566A KR1019970078880A KR19970078880A KR19980079566A KR 19980079566 A KR19980079566 A KR 19980079566A KR 1019970078880 A KR1019970078880 A KR 1019970078880A KR 19970078880 A KR19970078880 A KR 19970078880A KR 19980079566 A KR19980079566 A KR 199800795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d
groove
molten resin
microgrooves
g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788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82697B1 (ko
Inventor
다이조 고다키
Original Assignee
다이조 고다키
유겐가이샤 다이산 가네가타 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이조 고다키, 유겐가이샤 다이산 가네가타 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다이조 고다키
Publication of KR199800795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795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826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82697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26Moulds
    • B29C45/27Sprue channels ; Runner channels or runner nozzles
    • B29C45/2701Details not specific to hot or cold runner chann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26Moul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26Moulds
    • B29C45/263Moulds with mould wall parts provided with fine grooves or impressions, e.g. for record disc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26Moulds
    • B29C45/2628Moulds with mould parts forming holes in or through the moulded article, e.g. for bearing ca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14Fil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사출성형에 의한 좁은 피치의 그물코 구조의 제품, 예를들면 에어컨용 필터나 오일필터의 일체성형에는 다음의 과제가 있다,
(1) 금형내에 가스 또는 에어를 그다지 발생하지 않는 금형 구조가 필요하다.
(2) 금형 전체에 용융(熔融)수지를 균일하게 골고루 퍼지게 할 수 있는 금형구조가 필요하다.
(3) 용융수지의 유동성을 높이는 금형구조가 필요하다.
(4) 용융수지의 유동성을 높이는 동시에, 용융수지가 골고루 돌기 어려운 부분에서의 리브(rib)의 이탈이나 두께가 두꺼운 부분에서의 성형결함이 생기지 않는 금형구조가 필요하다.
상형(上型)(1)에는 세로방향만의 미세(微細)홈(5)과 그것을 에워싸는 형상의 테두리몸체홈(4)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미세홈(5)의 중간에는 용융(熔融)수지의 유동을 촉진하기 위한 지름이 큰 유동로(流動路)홈(3)이 미세홈(5)에 직교하도록 형성되고, 그 중심에는 용융수지를 금형 내에 주입하는 게이트(11)가 만들어져 있다. 도시하지 않지만, 하형(下型)에도 유동로홈(3)을 제외하고는 상형과 마찬가지로 세로방향만의 미세홈(5)과 그것을 에워싸는 형상의 테두리몸체홈(4)이 형성되어 있다. 게이트(11)에서 유동로홈(3)에 유입된 용융수지는 테두리몸체홈(4)을 향하여 흐르는 동시에 좌우의 미세홈(5)에도 흘러서, 발(簾)모양의 테두리가 있는 그물코 필터를 이루는 것을 주된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사출성형 금형과 그 성형품
본 발명은 자동차, 전자기기용 오일 또는 에어필터, 주방용품이나 욕실과 화장실 등에 쓰이는 물품을 포함한 일용잡화용품의 필터, 예를들면 뜰채, 채로 밭여 거르는 기구 및 배수용 물받이 망 등의 각종 필터나, 박형(薄型)의 케이스 따위의 커버나 칸막이 판 등에 이용할 수 있는 플라스틱 성형품을 성형하기 위한 금형 및 그 성형품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이 종류의 테두리몸체부를 가진 그물코 모양의 플라스틱 필터나 얇은 판형 플라스틱 성형품은 성형의 어려움 때문에 일체성형이 아니고 인서트성형을 하는 것이 상식이었다. 그러나, 인서트성형에서는 공정수가 많아지므로 코스트가 높아지고, 또한 테두리몸체부분과 그물코와의 접합이 중요하며, 그러기 위해서는 숙련공이나 고가의 위치결정장치나 용착(溶着)장치가 필요하였다.
그 중에서, 일체성형을 시도한 것이 있으나 다음과 같은 결점이 있었다.
(1) 주입압력을 저압으로 하여 용융 플라스틱재료를 주입하면 재료가 말단까지 도달하지 않고, 게이트에서 먼 부분에서는 그물코리브(rib)나 박판(薄板)의 일부가 이탈하거나 이지러지거나 한다.
(2) 주입압력을 고압으로 하면, 그물코리브가 이탈하거나 박판의 일부가 이지러지는 것은 개선되지만, 그러기 위해서는 장치를 대형화하지 않으면 안되고, 또 그물코리브의 경우는 리브 사이가 폐색(閉塞)되는 흠집(burr)이 생겨, 필터 또는 네트로서의 기능을 다하지 못하고 제조공정에서의 압력조정도 번잡하다.
(3) 그리고 치명적인 것은 그물코리브를 격자형의 미세한 홈으로 밖에 실현할 수 없다는 발상 밖에 없었으므로, 매우 간격이 좁은 미세한 홈에 무리하게 용융수지를 유입시키려고 한 것이다. 그로인해, 고온의 용융수지에서 발생하는 가스 또는 에어가 금형 내에 체류함으로써, 아무리 주입압력을 높여도 용융수지가 미세한 홈 의 말단까지 골고루 미치지 않다는 결점이 있었다.
(4) 또, 미세한 홈이 격자형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용융수지가 금형 내에서 서로 충돌하므로 아무리 주입압력을 높여도 용융수지가 미세한 홈의 말단까지 골고루 미치지 못한다는 결점도 있었다.
이들 (1) ~ (3)의 결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출원인은 유도대(誘導帶)를 가진 플라스틱 필터 또는 유도대홈을 가진 금형 등의 개량수단을 하기 출원에서 이미 제안한 바 있다.
일본국 특공평 7(1995)- 20677호, 동 특개평 6(1994)-126784호, 동 특개평 6(1994)- 155531호, 동 특개평 7(1995)-52164호, 동 특개평 7(1995)-137166호, 동 특개평 7(1995)-284617호 등이 있다.
그러나, 더욱 성형성이나 수율이 양호하고, 흠집(burr)이나 웰드(weld)도 없는 완전한 성형품을 얻기 위해서는 더 한층 궁리고안이 필요하다.
그것은 도 66 내지 도 6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용융수지의 주입이 이루어지는 게이트에서 멀리 떨어진 곳에서는 용융수지의 유동력(流動力)이 저하하는 동시에 금형 내에서 발생하는 가스나 에어의 영향으로 반드시 쇼트(short)부(26)가 발생하였다. 본 출원인의 발명인 유도대의 원리를 이용하여도, 그 유도대의 효과가 골고루 미치지 않는 부분에서는 쇼트부(26)가 발생하기 쉬웠다.
그래서 본 발명은 용융수지의 유동을 매우 원활하게 하기 위해, 이제까지의 상식인 미세한 홈을 격자형으로 하여 그물코를 구성하려고 하지 않고, 용융수지의 유동을 최우선으로 하는 금형 구조에 착안한 것이다. 그것은 미세한 홈이 교차하지 않는 한 방향만의 미세한 홈으로서, 다시 그 미세한 홈을 상형과 하형으로 형성하여 눌러 맞추는 구성으로 하여, 미세한 그물코필터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선행기술로서는 플라스틱성의 소쿠리, 주방용 배수구의 쓰레기받이 그물 기구 등의 제품이 있으나, 모두 편형(片型)에만 홈을 형성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작용효과는 거둘 수 없는 것이다. 또, 그 어느 제품이건 홈도 크고 폭이 넓으며, 홈의 간격이나 홈의 폭이 1mm 미만의 미세한 그물코 제품에는 적용할 수 없는 정도의 것이다.
사출성형에 의한 좁은 피치의 그물코구조의 제품, 예를들면 에어컨용 필터나 오일 필터의 일체성형에는 다음과 같은 과제가 있다.
(1) 금형 내에 가스나 에어를 그다지 발생시키지 않는 금형구조가 필요하다.
(2) 금형 전체에 용융수지를 균일하게 골고루 미칠 수 있게 하는 금형구조가 필요하다.
(3) 용융수지의 유동성을 높이는 동시에 금형구조가 필요하다.
(4) 용융수지의 유동성을 높이는 동시에, 용융수지가 골고루 돌지 않는 부분에서의 리브의 이탈이나 두께가 두꺼운 부분에서의 성형결함이 잘 생기지 않는 금형구조가 필요하다.
그래서 본 발명은 아래에 기술하는 수단에 의해 종래의 사출성형의 결점을 해결하고자 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사출성형 금형의 평면도와 단면도.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사출성형 금형의 부분확대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사출성형 금형의 부분확대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사출성형 금형의 부분확대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사출성형 금형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상형(上型)의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사출성형 금형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하형(下型)의 평면도.
도 9는 도 8과 도9의 금형을 맞대어 맞춘 단면도.
도 10 내지 도 17은 본 발명에 의한 사출성형 금형으로 성형된 성형품의 평면도.
도 18 내지 도 40는 본 발명에 의한 사출성형 금형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상형의 평면도.
도 41 내지 도 42는 본 발명에 의한 사출성형 금형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상형의 평면도와 단면도.
도 43 및 도 44는 본 발명에 의한 사출성형 금형으로 성형된 성형품의 평면도.
도 45 내지 도 47는 본 발명에 의한 사출성형 금형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상형의 평면도.
도 48은 도 47의 용융수지의 유동상태를 나타낸 보충설명도.
도 49 내지 도 54는 본 발명에 의한 사출성형 금형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상형의 평면도.
도 55는 본 발명에 의한 사출성형 금형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상형과 하형의 평면도.
도 56은 본 발명에 의한 사출성형 금형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상형의 평면도.
도 57은 도 56의 단면도.
도 58 내지 도 65는 본 발명에 의한 사출성형 금형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상형의 평면도.
도 66은 본 발명에 의한 사출성형 금형의 용융수지의 유동상태를 나타낸 보충 설명도.
도 67은 종래 예의 사출성형 금형의 용융 수지의 유동상태를 나타낸 보충 설명도.
도 68은 종래 예의 사출성형 금형으로 성형된 성형품(成形品)의 평면도.
도 69는 다른 종래 예의 사출성형 금형으로 성형된 성형품의 평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상형(上型) 2 : 하형(下型)
3 : 유동로(流動路)홈 3′ : 유동로
4 : 테두리몸체홈 4′ : 테두리몸체부
5 : 미세(微細)홈 6 : 유도대(誘導帶)홈
6′ : 유도대(誘導帶) 7 : 그물홈
7′ : 그물리브 8 : 공간부
9 : 배큠(vacuum) 10 : 우회벽(迂回壁)
10′ : 우회벽부 11 : 게이트
11′ : 게이트적(跡) 12 : 대체(帶體)홈
12′ : 대체부(帶體部) 13 : 형맞춤벽
13′ : 형맞춤벽부 14 : 가스빼기통로
15 : 피아노선홈 15′ : 피아노선 리브
16 : 잘룩한 부분 17 : 링형 유동로홈
18 : 보조 유동로홈 19 : 테두리몸체부 상형
20 : 테두리몸체부 하형 21 : 본체부 상형
22 : 본체부 하형 23 : 걸림홈
24 : 걸림돌기 25 : 힌지홈
26 : 쇼트부 27 : 압력 축적홈
28 : 베이스 금형
본 발명은 다음의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청구항 1에 있어서는, 상형(上型)과 하형(下型)을 눌러 맞추는 동시에 게이트를 통하여 용융수지를 주입함으로써 테두리가 딸린 플라스틱 제품을 성형하는 금형장치에 있어서, 하기 구성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a) 상형 및 하형의 각각에 한 방향의 길이방향으로만 복수의 미세(微細)홈에 의해 발(簾) 모양으로 형성되고, 또한 상형 및 하형의 각각의 미세홈이 대향하도록 형성된 그물홈.
(b) 상형 및/또는 하형의 미세홈 위에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고, 또한 미세홈에 대하여 직교하여 형성되는 용융수지의 유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직경이 큰 또는 폭이 넓은 유동로(流動路)홈.
(c) 유동로홈 위에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는, 용융수지를 금형내에 주입하기 위한 게이트.
(d) 상형 및/또는 하형에 미세홈을 에워싸도록 형성되는 테두리몸체홈.
청구항 2에 있어서는 청구항 1에 더하여, 용융수지가 유동로홈을 통하여 테두리몸체홈에 장애 없이 유입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테두리몸체홈에 연통하는 유동로홈의 선단을 뾰족하게 하여 접속한다.
청구항 3에 있어서는 청구항 1에 더하여, 용융수지가 유동로홈을 통하여 테두리몸체홈에 장애없이 유입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테두리몸체홈에 연통하는 유동로홈의 선단 부근을 잘록하게 하고, 테두리몸체홈과 접속되는 유동로홈의 선단은 큰 직경으로 또는 넓은 폭으로 하여 접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4에 있어서는 청구항 1에 더하여, 용융수지가 유동로홈을 통하여 테두리몸체홈에 장애없이 유입하는 것을 방지하는 동시에 미세홈으로의 용융수지의 유입을 촉진하기 위해, 유동로홈에 복수의 잘록한 부분을 형성하고, 그 각각의 구획된 형상의 유동로홈 위에, 용융수지를 금형내에 주입하기 위한 게이트를 각각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5에 있어서는 청구항 1에 더하여 유동로홈을, 게이트로부터 금형내에 주입되는 용융수지를 일단 압력 축적하고 나서 미세홈으로 유입시키기 위해, 그 양단이 테두리몸체홈에 직접 접속되지 않는 직경이 큰 또는 폭이 넓은 유도대홈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6에 있어서는 청구항 5에 더하여, 게이트로부터에서 금형내에 주입되는 용융수지를 일단 압력 축적하고 나서 넓은 범위에서 미세홈으로 유입시키기 위해, 유도대홈의 선단에 유도대홈에 직교하는 지름이 큰 또는 폭이 넓은 대체(帶體)홈을 형성하고, 유도대홈의 선단을 대략 T자형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7에 있어서는 청구항 1 내지 6에 더하여, 게이트로부터 금형내에 주입되는 용융수지를 일단 압력 축적하고나서 넓은 범위에서 미세홈으로 유입시키기 위해, 유동로홈에 직교하는 직경이 큰 또는 폭이 넓은 대체홈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8에 있어서는 청구항 6에 더하여, 게이트로부터 금형내에 주입되는 용융수지를 일단 압력 축적하고 나서 넓은 범위에서, 또한 골고루 고르게 없게 미세홈에 유입시키기 위해, 유동로홈에 직교하는 직경이 큰 또는 폭이 넓은 대체홈을 S자형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9에 있어서는 청구항 7 내지 8에 더하여, 게이트로부터 금형내에 주입되는 용융수지를 일단 압력 축적하고 나서 넓은 범위에서, 또한 골고루 고르게 미세홈에 유입시키기 위해, 유동로홈에 직교하는 직경이 큰 또는 폭이 넓은 대체홈을 게이트를 중심으로 하여 대칭형으로 복수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10에 있어서는 청구항 9에 더하여, 게이트로부터 금형내에 주입되는 용융수지를 일단 압력 축적하고 나서 넓은 범위에서, 또한 골고루 고르게 미세홈에 유입시키기 위해, 게이트를 중심으로 하여 대칭형으로 복수개 형성된 유동로홈에 직교하는 지름이 큰 또는 폭이 넓은 대체홈을 게이트에서 바깥쪽을 향하여 서서히 길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11에 있어서는, 상형과 하형을 눌러 맞추는 동시에 게이트를 통하여 용융수지를 주입함으로써 테두리가 딸린 플라스틱 제품을 성형하는 금형장치에 있어서, 다음과 같은 구성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a) 상형 및 하형의 각각에 한 방향의 길이방향으로만 복수의 미세홈에 의해 발(簾) 모양으로 형성되고, 또한 상형 및 하형의 각각의 미세홈이 대향하도록 형성된 그물홈.
(b) 상형 및/또는 하형의 미세홈 위에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고, 또한 미세홈에 대하여 직교 및 평행하여 형성되는 용융수지의 유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十자형의 직경이 큰 또는 폭이 넓은 유동로(流動路)홈.
(c) 十자형 유동로홈의 교차점 위에 형성되는, 용융수지를 금형내에 주입하기 위한 게이트.
(d) 상형 및/또는 하형에 미세홈을 에워싸도록 형성되는 테두리몸체홈.
청구항 12에 있어서는, 상형과 하형을 눌러 맞추는 동시에 게이트를 통하여 용융수지를 주입함으로써 테두리가 딸린 플라스틱 제품을 성형하는 금형장치에 있어서, 다음과 같은 구성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a) 상형 및 하형의 각각에 한 방향의 길이방향으로만 복수의 미세홈에 의해 발(簾) 모양으로 형성되고, 또한 상형 및 하형의 각각의 미세홈이 대향하도록 형성된 그물홈.
(b) 상형 및/또는 하형에 미세홈을 에워싸도록 형성되는 타원형을 포함한 원형 형상의 테두리몸체홈.
(c) 상형 및/또는 하형의 미세홈 위에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고, 미세홈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이며 또한 테두리몸체홈과 대략 상사형(相似形)이 되도록 만곡(彎曲)하여 형성되는, 용융수지의 유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직경이 큰 또는 폭이 넓은 유동로홈.
(d) 유동로홈 위에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는, 용융수지를 금형내에 주입하기 위한 게이트.
청구항 13에 있어서는, 상형과 하형을 눌러 맞추는 동시에 게이트를 통하여 용융수지를 주입함으로써 테두리가 딸린 플라스틱제품을 성형하는 금형장치에 있어서, 다음과 같은 구성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a) 상형 및 하형의 각각에 한 방향의 길이방향으로만 복수의 미세홈에 의해 발(簾) 모양으로 형성되고, 또한 상형 및 하형의 각각의 미세홈이 대향하도록 형성된 그물홈.
(b) 상형 및/또는 하형의 미세홈 위에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고, 또한 미세홈에 대하여 직교하여 형성되는, 용융수지의 유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직경이 큰 또는 폭이 넓은 유동로홈.
(c) 유동로홈 위에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는, 용융수지를 금형내에 주입하기 위한 게이트.
(d) 상형 및/또는 하형에 미세홈을 에워싸도록 형성되는 테두리몸체홈.
(e) 상형 및 하형의 테두리몸체홈의 안 또는 그 외주에 각각 서로 맞걸리기 위해 형성되는 걸림홈.
청구항 14에 있어서는 상형과 하형을 눌러 맞추는 동시에 게이트를 통하여 용융수지를 주입함으로써 테두리가 딸린 플라스틱 제품을 형성하는 금형장치에 있어서, 하기 구성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a) 상형 및 하형의 각각에 한 방향의 길이방향으로만 복수의 미세홈에 의해 발(簾) 모양으로 형성되고, 또한 상형 및 하형의 각각의 미세홈이 대향하도록 형성된 그물홈.
(b) 상형 및/또는 하형의 미세홈 위에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고, 또한 미세홈에 대하여 직교하여 형성되는 용융수지의 유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직경이 큰 또는 폭이 넓은 유동로홈.
(c) 유동로홈 위에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는, 용융수지를 금형내에 주입하기 위한 게이트.
(d) 상형 및/또는 하형에 미세홈을 에워싸도록 형성되는 테두리몸체홈.
(e) 상기 (a) ~ (d)로 구성되는 금형의 한 면을 그 동일 평면상에 2면 이상 형성하고, 또한 각각의 미세홈의 길이방향이 90도 달라지도록 형성되는 상형.
(f) 상기 (e)의 구성과 완전히 대칭으로 구성되는 하형.
(g) 동일 평면상에 2면 이상 형성되는 금형면(金型面) 사이에 절곡이 자유로운 힌지부로 하기 위해 형성되는 힌지홈.
청구항 15에 있어서는, 상형과 하형을 눌러 맞추는 동시에 게이트를 통하여 용융수지를 주입함으로써 테두리가 딸린 플라스틱 제품을 형성하는 금형장치에 있어서, 다음과 같은 구성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a) 상형 및 하형의 각각에 한 방향의 길이방향으로만 복수의 미세홈에 의해 발(簾) 모양으로 형성되고, 또한 상형 및 하형의 각각의 미세홈이 대향하도록 형성된 그물홈.
(b) 상형 및/또는 하형에 미세홈을 에워싸도록 형성되는 테두리몸체홈.
(c) 상형 및/또는 하형의 테두리몸체홈 위에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고, 또한 용융수지를 금형내에 주입하기 위한 게이트를 가진 용융수지의 압력 축적홈.
(d) 상형 및/또는 하형의 테두리몸체홈 위에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고 또한 압력 축적홈을 에워싸도록 형성되어 압력 축적홈으로부터의 용융수지의 유동을 우회시키는 우회벽홈.
청구항 16에 있어서는, 상형과 하형을 눌러 맞추는 동시에 게이트를 통하여 용융수지를 주입함으로써 테두리가 딸린 플라스틱제품을 성형하는 금형장치에 있어서, 다음과 같은 구성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a) 상형 및 하형의 각각에 한 방향의 길이방향으로만 복수의 미세홈에 의해 발(簾) 모양으로 형성되고, 또한 상형 및 하형의 각각의 미세홈이 대향하도록 형성된 그물홈.
(b) 상형 및/또는 하형의 미세홈 위에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고, 또한 미세홈에 대하여 직교하여 형성되는 용융수지의 유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직경이 큰 또는 폭이 넓은 유동로홈.
(c) 유동로홈 위에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는, 용융수지를 금형내에 주입하기 위한 게이트.
(d) 상형 및/또는 하형에 미세홈을 에워싸도록 형성되는 테두리몸체홈.
(e) 유동로홈으로부터의 용융수지의 유입을 우회시키기 위해, 유동로홈의 길이방향의 선단에 대향하는 테두리몸체홈 내에 형성되는 우회벽.
청구항 17에 있어서는, 상형과 하형을 눌러 맞추는 동시에 게이트를 통하여 용융수지를 주입함으로써 테두리가 딸린 플라스틱 제품을 성형하는 금형장치에 있어서, 다음과 같은 구성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a) 상형 및 하형의 각각에 한 방향의 길이방향으로만 복수의 미세홈에 의해 발(簾) 모양으로 형성되고, 또한 상형 및 하형의 각각의 미세홈이 대향하도록 형성된 그물홈.
(b) 상형 및/또는 하형에 미세홈을 에워싸도록 형성되는 테두리몸체홈.
(c) 상형 및/또는 하형의 미세홈 위에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고, 또한 미세홈에 대하여 직교하여 형성되고, 또한 게이트에서 금형내에 주입되는 용융수지를 일단 압력 축적하고 나서 미세홈으로 유입시키기 위해, 그 양단이 테두리몸체홈에 직접 접속되지 않는 직경이 큰 또는 폭이 넓은 유도대홈.
(d) 유도대홈 위에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는, 용융수지를 금형내에 주입하기 위한 게이트.
(e) 유도대홈으로부터의 용융수지의 유입을 우회시키기 위해, 유도대홈의 길이방향의 선단에 대향하는 테두리몸체홈내에 형성되는 우회벽.
청구항 18에 있어서는, 상형과 하형을 눌러 맞추는 동시에 게이트를 통하여 용융수지를 주입함으로써 테두리가 딸린 플라스틱 제품을 성형하는 금형장치에 있어서, 다음과 같은 구성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a) 상형 및 하형의 각각에 한 방향의 길이방향으로만 복수의 미세홈에 의해 발(簾) 모양으로 형성되고, 또한 상형 및 하형의 각각의 미세홈이 대향하도록 형성된 그물홈.
(b) 상형 및/또는 하형의 미세홈 위에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고, 또한 미세홈에 대하여 직교하여 형성되는 용융수지의 유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직경이 큰 또는 폭이 넓은 유동로홈.
(c) 유동로홈 위에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는, 용융수지를 금형내에 주입하기 위한 게이트.
(d) 상형 및/또는 하형에 미세홈을 에워싸도록 형성되는 테두리몸체홈.
(e) 유동로홈으로부터 테두리몸체홈에의 용융수지의 유입을 우회시키기 위해, 유동로홈의 길이방향의 선단에 대향하는 테두리몸체홈 내에 형성되고, 또한 상형과 하형에서 거의 눌러서 자르도록 형성된 형맞춤벽.
청구항 19에 있어서는 상형과 하형을 눌러 맞추는 동시에 게이트를 통하여 용융수지를 주입함으로써 테두리가 딸린 플라스틱제품을 성형하는 금형장치에 있어서, 다음과 같은 구성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a) 상형 및 하형의 각각에 한 방향의 길이방향으로만 복수의 미세홈에 의해 발(簾) 모양으로 형성되고, 또한 상형 및 하형의 각각의 미세홈이 대향하도록 형성된 그물홈.
(b) 상형 및/또는 하형에 미세홈을 에워싸도록 형성되는 테두리몸체홈.
(c) 상형 및/또는 하형의 미세홈 위에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고, 또한 미세홈에 대하여 직교하여 형성되고, 또한 게이트로부터 금형내에 주입되는 용융수지를 일단 압력 축적하고 나서 미세홈으로 유입시키기 위해 그 양단이 테두리몸체홈에 직접 접속되지 않는 직경이 큰 또는 폭이 넓은 유도대홈.
(d) 유도대홈 위에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는, 용융수지를 금형내에 주입하기 위한 게이트.
(e) 유도대홈으로부터 테두리몸체홈에의 용융수지의 유입을 우회시키기 위해, 유도대홈의 길이방향의 선단에 대향하는 테두리몸체홈내에 형성되고, 또한 상형과 하형에서 대략 눌러서 자르도록 형성된 형맞춤벽.
청구항 20에 있어서는 청구항16 내지 19에 더하여, 유도대홈의 길이방향의 선단에 대향하는 테두리몸체홈 내에 형성되는 우회벽, 또는 유도대홈의 길이방향의 선단에 대향하는 테두리몸체홈 내에 형성되고, 또한 상형과 하형에서 대략 눌러서 자르도록 형성된 형맞춤벽을 ㄷ자형으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21에 있어서는 청구항 1 내지 20에 더하여, 테두리몸체홈에 유입된 용융수지를 다시 미세홈에 유입시켜서 완전한 그물코를 형성하기 위해, 테두리몸체홈에서 게이트방향으로 향하고, 또한 테두리몸체홈에 연통하여 돌출된 대채홈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22에 있어서는 청구항 1 내지 21에 더하여, 미세홈으로 형성되는 세선(細線)의 휘어짐 또는 변형을 방지하기 위해, 복수의 미세홈을 횡단하도록 형성된 매우 가느다란 또는 얕은 피아노선홈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23에 있어서는 청구항 1 내지 22에 더하여, 미세홈의 형상을 상형과 하형에서 동일한 홈 폭, 동일한 홈 깊이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24에 있어서는 청구 항 1 내지 22에 더하여, 미세홈의 형상을 상형에서는 하형의 홈 깊이보다 깊게 또는 얕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25에 있어서는 청구항 1 내지 22에 더하여, 미세홈의 형상을 상형에서는 하형의 홈 폭보다 넓게 또는 좁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26에 있어서는, 상형과 하형을 눌러 맞추는 동시에 게이트를 통하여 용융수지를 주입함으로써 테두리가 딸린 플라스틱 제품을 형성하는 금형장치에 있어서, 하기 구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성형 금형.
(a) 상형 및 하형의 각각에 한 방향의 길이방향으로만 복수의 미세홈에 의해 발(簾) 모양으로 형성되고, 또한 상형 및 하형의 각각의 미세홈이 대향하도록 형성된 그물홈.
(b) 상형 및/또는 하형의 미세홈 위에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고, 또한 미세홈에 대하여 직교하여 형성되는 용융수지의 유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직경이 큰 또는 폭이 넓은 유동로홈.
(c) 유동로홈 위에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는, 용융수지를 금형내에 주입하기 위한 게이트.
(d) 상형 및/또는 하형에 미세홈을 에워싸도록 형성되는 테두리몸체홈.
(e) 상기 (a)에서 (b)까지의 구성을 복수 면에서 연속적으로 형성하는 동시에, 복수 면의 상하 또는 좌우에서 배열피치를 다르게 한 미세홈.
청구항 27에 있어서는 청구항 1 내지 26에 기재한 사출성형 금형에 의해 사출성형되는 필터를 포함하는 플라스틱 성형품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발명의 실시형태)
(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의 그물코구조를 가진 성형품으로서, 특히 본 발명을 적용하는 것이 가장 적당하다고 생각되는 플라스틱 필터를 한 예로 들어 보이는 것이다.
도 1a 는 본 발명의 플라스틱 필터용 금형의 평면도를 나타낸 것으로, 상형(1)에는 세로방향만의 미세홈(5)과 그것을 에워싼 형상의 테두리몸체홈(4)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미세홈(5)의 중간에는 용융수지의 유동을 촉진하기 위한 지름이 큰 유동로홈(3)이 미세홈(5)에 직교하도록 형성되고, 그 중심에는 용융수지를 금형 내에 주입하는 게이트(11)가 형성되어 있다. 도시하지 않았지만, 하형에도 유동로홈(3)을 제외하고는 상형과 마찬가지로 세로방향만의 미세홈(5)과 그것을 에워싼 형상의 테두리몸체홈(4)이 형성되어 있다. 단, 성형품의 형상에 따라서는 하형에도 유동로홈(3)을 배치해도 된다.
게이트(11)에서 유동로홈(3)에 유입된 용융수지는, 테두리몸체홈(4)을 향하여 흐르는 동시에 그 좌우의 미세홈(5)에도 흘러 들어가서, 발(簾)모양의 테두리가 딸린 그물코필터가 된다.
미세홈(5)은 한 방향으로밖에 형성되어 있지 않으므로, 금형내의 용융수지의 유동이 가느다란 홈 사이에서 서로 부딪치는 일이 없고 유동성이 매우 좋아지는 동시에, 상형(1)과 하형(2)의 미세홈(5)에서 마름모꼴의 그물홈(7)을 형성하므로, 그 용적은 매우 크고 특히 그물홈(7)의 중심부는 팽만하게 되어 용융수지가 유동 중 또는 유동 후에 생기는 원형 형상의 내층 스킨(skin)으로서는 적합한 홈 형상으로 되어 있다. 종래의 격자형 홈에서는 상형에 세로홈, 하형에 가로홈을 형성하는 것이 보통이었으므로, 본 발명에 비해 용적이 절반인 사다리꼴의 미세홈(5) 안을 용융수지가 유동하므로, 스킨(skin)층의 형성이 잘 이루어지지 않으므로 성형기에 대한 부하가 컸으며, 그로인해 용융수지의 온도를 고온으로 하거나 사출압력을 높였으므로, 금형내에 가스가 발생하거나 그물코에 흠집이 생기는 결점이 있었다.
도 1b 는 상형(1)과 하형(2)을 눌러 맞추었을 때의 101 - 101′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유동로홈(3)이 서로 대향하여 눌려 맞추어져 있으나, 성형품의 종류에 따라서는 상형(1) 또는 하형(2)의 어느 하나에 만들어도 된다.
도 1c 는 상형(1)과 하형(2)을 눌러 맞추었을 때의 102 - 102′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상형(1)의 한 방향만의 미세홈(5)과 하형(2)의 한 방향만의 미세홈(5)이 서로 대향하여 눌려 맞추어져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즉, 상형(1)과 하형(2)에 한 방향의 미세홈(5)을 각각 대칭으로 형성하여 눌러 맞추는 구성으로 하였으므로, 금형내의 용융수지의 유동이 미세홈 사이에서 서로 부딪치는 일이 없고, 유동이 각별히 원활하게 된다. 그 결과 낮은 사출압력이면서도 대면적의 성형품이나 미세한 그물코의 성형품이 양호한 수율(收率)로 대량으로 성형이 가능하게 된다.
본 출원인의 실험에서도 통상 200각이나 110각의 격자형의 그물코필터를 만들고자 했을 경우에 사출압력이 100㎏ 이상 필요했던 것이, 80㎏ 전후에서도 간단히 할 수 있었고, 또, 통상 200톤 전후의 형의 맞춤력이 필요했던 것이 100톤 미만의 작은 형의 맞춤력으로도 간단하게 할 수 있다. 또한 한 방향만의 홈의 눌러 맞추기이므로 격자형의 홈과는 달리 틀의 분리성도 매우 좋고, 쇼트 수를 올리는 것이 가능해져 짧은 성형시간에도 미세한 그물코의 성형품이 가능하다.
도 2a, 2b 내지 도 4a, 4b 는 본 발명의 확대 금형 단면도와 확대 성형품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2a 는 상형(1)과 하형(2)의 각각의 미세홈(5)을 동일한 홈 폭, 동일한 홈 깊이로 한 부분단면도를 나타낸 것으로, 미세홈(5)의 개구부에서 저부(底部)에 걸쳐 약 10도 전후의 테이퍼를 만들었으므로 사다리꼴로 되어 있다. 상형(1)과 하형(2)의 각각의 미세홈(5)에서 그물홈(7)이 형성된다.
도 2b 는 도 2a 의 금형으로 성형된 성형품의 부분단면도를 나타낸 것으로, 테두리몸체부(4′)와 유동로(3′)와 마름모꼴의 그물리브(7′)로 구성되어 있다. 상형(1)과 하형(2)을 동일한 홈 폭, 동일한 홈깊이로 하므로서 화살표로 표시한 바와 같이 어느 면으로도 사용할 수 있는 양면 필터를 간단한 금형구조로 실현할 수 있다.
도 3a 는 상형(1)의 미세홈(5)의 홈 깊이를 하형(2)의 미세홈(5)의 홈 깊이보다 얕게 한 경우의 부분단면도를 나타낸 것으로, 상형(1)의 미세홈(5)의 홈 깊이가 하형(2)의 미세홈(5)보다 얕게 되어 있으므로, 상형(1)과 하형(2)의 각각의 미세홈(5)에서 형성되는 그물홈(7)은 편평한 사다리꼴로 된다.
도 3b 는 도3a 의 금형으로 성형된 성형품의 부분단면도를 나타낸 것으로, 테두리몸체부(4′)와 유동로(3′)와 편평한 사다리꼴의 그물리브(7′)로 구성되어 있다. 필터의 그물코부분이 되는 그물리브(7′)는 한쪽 선단은 비교적 끝이 뾰족하고 다른쪽 선단은 평탄하게 되고, 파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각각의 개구율(開口率)이 다르게 구성된다. 따라서 한쪽 면으로부터는 공기 등이 유입되기 쉽고 다른쪽 면으로부터는 공기 등이 유입되기 어려운 편면(片面) 필터를 간단한 금형구조로 실현할 수 있다.
도 4a 는 상형(1)의 미세홈(5)의 개구부를 하형(2)의 미세홈(5)의 개구부보다 넓게 한 경우의 부분단면도를 나타낸 것으로, 상형(1)의 미세홈(5)과 하형(2)의 미세홈(5)으로 형성되는 그물홈(7)은 쐐기꼴이 된다.
도 4b 는 도 4a 의 금형으로 성형된 성형품의 부분단면도를 나타낸 것으로, 테두리몸체부(4′)와 유동로(3′)와 쐐기꼴의 그물리브(7′)로 구성되어 있다. 필터의 그물코부분이 되는 그물리브(7′)는 리브 중앙부가 플랜지 형상으로 넓어져 있으므로, 파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실질적으로는 개구율이 다르게 구성된 것과 같아서, 한쪽 면으로부터는 공기 등이 유입되기 쉽고, 다른쪽 면으로부터는 공기 등이 유입되기 어려운 편면 필터를 간단한 금형구조로 실현할 수 있다.
도 5와 도 6은 용융수지가 유입되기 쉬운 테두리몸체홈으로 유입되는 것을 일단 저지하기 위한 벽을 설치함으로써 미세홈에의 유입이 우선되고, 그물코가 빠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테두리몸체홈(4)과 미세홈(5)을 별개의 삽입물로 구성한 경우의 사시도를 나타낸 것으로, 가스 또는 에어를 배출하기 위한 배큠(9)이 접속되는 가스빼기통로(14)가 형성된 베이스 금형(28) 위와, 테두리몸체홈(4)이 형성된 테두리몸체부 상형(19)과, 우회벽(10)을 가진 테두리몸체홈(4)이 형성된 테두리몸체 하형(20)과, 1방향의 미세홈(5)이 형성된 미세홈 상형(21)과, 한 방향의 미세홈(5)이 형성된 미세홈 하형(22)으로 구성되는 금형을 나타낸 것이다. 미세홈(5)으로부터 테두리몸체홈(4)으로 유입하려고 하는 용융수지는 우회벽(10)에서 일단 저지되므로 그물리브의 형성이 우선되어 있으므로 확실하게 그물코 필터를 만들 수 있는 것이다.
또, 우회벽(10)에 테이퍼를 만들어 경사지게 함으로써, 우회벽(10)의 후방의 테두리몸체홈(4)에 유입되는 용융수지나 가스 등의 유입을 돕는 기능을 부가하는 것도 효과적이다. 테두리몸체홈(4)의 후부에는 충분한 용융수지가 유입되지 않으면, 우회벽(10)의 후부의 양 사이드에서 다른 부분의 테두리몸체홈(4)으로부터의 용융수지가 돌아 들어와서 웰드가 발생하기 쉬워져, 그곳이 파손되기 쉬워지는 결점이 생긴다.
도 6은 도 5의 금형을 눌러 맞추었을 때의 단면도를 나타낸 것으로, 미세홈(5)과 대향하도록 우회벽(10)이 만들어져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파선으로 도시한 형맞춤벽(13)을 사용해도 된다. 형맞춤벽(13)은 테두리몸체홈(4)의 상면에서 0.01 내지 0.05mm 정도의 약간의 공간밖에 갖지 않거나, 또는 전혀 공간이 없고 테두리몸체홈(4)의 상면과 밀착된 상태로 한다. 이로 인해, 용융수지는 벽을 타넘어서는 후부의 테두리몸체부에는 유입할 수 없고 금형내에서 발생하는 가스 또는 에어만이 후부의 테두리몸체홈에 몰아넣어진다. 그리고, 벽에 부딪친 용융수지는 가스 또는 에어가 감소된 상태에서 벽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우회로를 경유하여 테두리몸체홈이나 미세홈(5)에 유입되므로, 그물코가 테두리몸체부에 우선하여 성형되는 작용이 있다.
이 우회로는 도면에서는 편의상 매우 폭 넓게 도시되어 있지만 실제로는 미세홈(5)과 동등한 0.13mm 에서 0.5mm 정도의 폭이라도 된다. 너무 폭이 넓으면 우회벽(10)이나 형맞춤벽(13)에 의한 용융수지의 저지력에 효과가 없어져 용융수지의 가로방향에의 유동력이 약화되어 버린다.
이 종류의 용융수지를 저지하기 위한 둔턱이나 작은 유로(流路)를 사용하는 원리적인 기술사상은 이미 공지로 되어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한 방향만의 미세홈(5)이 매우 유동성이 좋고 아무리해도 테두리몸체홈(4)에 용융수지가 우선적으로 흘러버리므로, 종래의 턱이나 작은 유로를 사용하는 금형과는 비교가 되지 않을 만큼의 효과가 있으며, 도리어 본 발명이야말로 유용하다고도 할 수 있다.
도 7 내지 도 9는 상형(1) 및 하형(2)의 평면도, 상형(1) 및 하형(2)을 눌러 맞추었을 때의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특징은 유동로홈(3) 위에 복수의 게이트(11)를 형성하였다는 것이고, 이것에 의해 금형내에 용융수지의 유입이 빨리 이루어지는 동시에 용융수지의 유동력을 높일 수 있다. 또, 하형(2)에는 우회벽(10)이 유동로홈(3)에 대향하여 만들어져 있고, 전술한 미세홈(5)과 대향하는 우회벽(10)이나 형맞춤벽(13)과 마찬가지로, 유동로홈(3)에서 테두리몸체홈(4)에 유입하려고 하는 용융수지는 우회벽(10)에서 일단 저지되어 그물리브의 형성이 우선되어 있으므로 확실하게 그물코필터가 만들어지는 것이다.
우회벽(10)의 변형예를 도 24 내지 도 27에 나타낸다. 어느 것이건 모두 우회벽(10)의 형상을 ㄷ자형으로 한 것이고, 유도대홈(6)으로부터의 용융수지를 될 수 있는 한 테두리몸체홈(4)에 유입시키지 않도록 하는 구조이다. 용융수지의 유동이 방해되므로, 그것을 이겨내기 위해 도 25와 도 2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복수의 게이트(11)를 형성하는 것도 유효하다.
도 12 내지 도 17은 본 발명의 금형을 사용하여 만들 수 있는 비교적 대형 성형품의 각종 유례를 보이는 것이며, 또, 다른 특징은 유동로홈을 직접 테두리몸체홈에 접속시키지 않는 유도대홈을 사용한 금형으로 성형된 성형품이라는 것이다.
유도대홈을 사용한 금형 기술에 대해서는 본 출원인이 이미 출원한 바 있는 일본국 특공평 7(1995)-20677호, 동 특개평 6(1994)-126784호나 동 특개평 6(1994)-155531호 등에 상술되어 있으나, 그 원리를 간단히 설명한다. 게이트에서 유입된 용융수지는 지름이 큰 유도대홈으로 나와, 그것이 테두리몸체홈과는 직접 접속되지 않고 막다른 길이 되므로, 그곳에서 일정 압력을 저장하고 나서 연통하는 가느다란 미세홈에 압입(壓入)되어 용융수지는 미세홈의 말단까지 유입되도록 작용하여, 저압성형으로 미세한 그물코필터 등의 성형이 가능하게 된다. 도 12 내지 도 17에는 그 유도체홈을 사용하여 만들어진 유도대(6′)를 가진 성형품을 예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과 같이 발(簾)모양의 그물코필터인 경우는 유도대(6′)의 길이는 테두리몸체부(4′)에 가능한 한 가까운 쪽이 좋다. 왜냐하면, 종래의 격자형 그물코이면 유도대와 테두리몸체부는 괴리되어 있어도, 그물코에서의 접속으로 용융수지가 필터 전체에 유동되지만, 본 발명의 발(簾)모양 그물코필터에서는 그물코 사이의 직접적인 접속이 없으므로, 유도대가 테두리몸체부와 너무 떨어져 있으면 그물코가 형성되지 않기 때문이다. 실험에 있어서는 유도대와 테두리몸체부와의 간격은 미세홈 1개 분 정도가 가장 효과가 있었다.
도 12는 4각형의 테두리몸체부(4′)를 양분하는 테두리몸체부(4′)를 만들어, 2면의 그물리브(7′) 위에 각각 2개의 유도대(6′)를 형성한 것이다. 도 13은 4각형의 테두리몸체부(4′)를 4분하는 十자형 테두리몸체부(4′)를 만들어, 4면의 그물리브(7′) 위에 각각 1개의 유도대(6′)를 형성한 것이다. 도 14는 도 13의 것에 유동로(3′)에 대향한 위치에 우회벽(10)을 만든 것이다. 도 15는 도 12의 것에 그물리브(7′)의 휨변형을 방지하기 위해 보강용 피아노선리브(15′)를 댄 것이다. 미세홈에 직교하여 미세홈보다 가느다란 피아노선홈을 형성하여 성형함으로써, 그물리브(7′)의 직선성을 유지하는 동시에 그물코의 보강도 겸하여 강도 높은 그물코 성형품이 되는 효과가 있다. 도 16은 피아노선리브(15′)를 성형품의 모양이나 각종 표시로서 이용하는 한 예를 보인 것이다.
도 17은 도 13의 것에 유동로(3′)에 대향하는 위치에 형맞춤벽부(13′)를 만든 것이다. 형맞춤벽에서는 용융수지가 흐르지 않으므로, 성형 후에는 공간부를 형성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형맞춤벽부(13′)의 공간을 손잡이로서 이용하는 예를 보인 것이다.
또, 도 10과 같이, 장방형의 테두리몸체부(4′)를 양분하는 테두리몸체부 (4′)를 외측의 테두리몸체홈(4)보다 가늘게 하여 필터로서 이용하는 경우를 위해 개구율을 높이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도 18은 용융수지가 유동로홈을 통해 테두리몸체에 장애 없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금형구조를 나타낸 것으로, 테두리몸체홈(4)에 연통하는 유동로홈(3)의 선단 부근을 잘룩한 부분(16)에서 잘록하게 하여, 테두리몸체홈(4)과 접속되는 유동로홈(3)의 선단을 다시 큰 직경 또는 넓은 폭으로 하여 접속하는 것이다. 테두리몸체홈(4)과 유동로홈(3)이 완전히 접속되어 있으므로 테두리몸체부와 그물리브는 확실하게 형성된다.
도 19는 용융수지가 유동로홈을 통해 테두리몸체홈에 장애 없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테두리몸체홈에 연통되는 유동로홈의 선단을 뾰족하게 하여 접속하기 위한 금형구조를 나타낸 것으로, 테두리몸체홈에 접속되는 유동로홈의 선단을 뾰족하게 하였으므로, 유동로홈 위의 게이트에서 주입된 용융수지는 본래는 흐르기 쉬운 폭이 넓은 테두리몸체 홈에는 바로 흘러 들어가지는 못하고, 미세홈쪽으로 먼저 흐른다. 이것은 그물코리브의 성형을 우선한 예이고 그물코부분에서의 리브가 빠지는 현상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도 20은 유도대홈(6)의 선단을 T자형으로 함으로써, 더욱 강력한 일정 압력을 저장하려고 하는 다른 실시예이다. 선단이 T자형으로 된 유동로홈(3)에서 강력한 일정 압력을 저장하고 나서 연통하는 미세홈(5)에 압입되므로, 용융수지는 확실하게 미세홈의 말단까지 유입하도록 작용하여, 저압성형으로 미세한 그물코를 필요로 하는 성형품의 성형이 가능하게 된다.
도 21은 선단이 T자형으로 된 유동로홈(3)의 길이를 짧게 한 것으로, 그물코의 개구율을 높이려고 할 경우나 성형품의 그물코 형상 여하에 따라 임의로 변화시킬 수 있다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도 22는 유동로홈(3)을 S자형으로 한 예를 나타낸 것으로, 미세홈(5)에 대하여 지그재그로 가게하면서 용융수지를 유입시키므로, 대면적의 성형품이라도 그물코를 구성하는 미세홈(5)에 구석구석까지 용융수지를 골고루 미치게 할 수 있다. 단, S자형이므로 테두리몸체홈(4)과 먼 곳과 가까운 곳이 생기므로 먼 곳을 보충하기 위해 테두리몸체홈(4)에서 직접 연장되는 직경이 큰 대체홈(12)을 형성해도 된다.
도23은 유동로홈(3)에 직교하는 S자형의 대체홈(12)을 형성한 예를 나타낸 것으로, 유동로홈 위의 게이트에서 주입되는 용융수지는 대량으로 되어 그물코의 성형이 신속히 이루어지는 동시에 미세홈에 대하여 지그재그로 가면서 용융수지를 유입시키므로, 대면적의 성형품이라도 그물코를 구성하는 미세홈에 구석구석까지 용융수지를 골고루 미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대체홈(12)은 두가지 종류가 있고, 하나는 유동로홈에 직교하는 대체홈이고, 다른 하나는 직접 연장되는 대체홈이다.
대체홈의 효용에 대해서는 본 출원인이 이미 출원한 바 있는 일본국 특원평 8(1996)-303430호에 상술되어 있으나, 그 원리를 다음과 같이 간단히 설명한다.
먼저, 테두리몸체홈(4)의 대체홈(12)은 테두리몸체홈(4)에서 미세홈(5)으로 용융수지가 유입되는 것을 촉진하기 위한 것이다. 유동로홈(3)이나 유도대홈(6)이 테두리몸체홈(4)이나 미세홈(5)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관련되어 있는 이상, 용융수지는 폭이 넓은 테두리몸체홈(4)으로 먼저 흘러버리는 경향이 있다. 그래서, 먼저 테두리몸체홈(4)에 흘러간 용융수지를 재차 용융수지가 돌기 어려운 미세홈(5)의 어떤 특정부분, 예를들면 도 67이나 도 68에 나타낸 쇼트부(26)에 대채홈(12)을 만들어 완전한 그물코를 형성하는 것이다. 이 실시예로서는 도 11, 도51, 도 52, 도 53에 나타낸 것이 있다. 도 52와 같이 반원 링형으로 하거나, 도 53과 같이 3각형으로 하는 등, 여러가지 변형을 생각할 수 있다.
다음에, 유동로홈(3)의 대체홈(12)은 어디까지나 유동로홈(3)의 보조적 구성으로서, 유동로홈(3)에서 미세홈(5)으로 용융수지가 유입되는 것을 촉진하기 위한 것이다. 한번에 대량의 용융수지를 흐르게 하는 것이 그물코의 성형을 빨리 하는 것과 관련되어 용융수지의 수지온도가 저하되기 전에 성형이 완료된다. 따라서, 대면적의 성형품이라도 그물코를 구성하는 미세홈에 구석구석가지 확실하게 용융수지를 골고루 미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 대체홈의 변형사용례는 도 35 내지 도40나 도 49에 도시되어 있다. 여러 가지 성형품의 형상에 따라 유동로홈(3), 유도대홈(6), 대체홈(12), 우회벽(10), 보조 유동로홈(18)의 조합을 변화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 다른 변형사용례로서, 도 50과 같이 복수의 대체홈(12)을 외측을 향해 서서히 길게 함으로써, 그물코가 잘 형성되지 않는 게이트에서 먼 곳의 미세홈(5)에도 용융수지가 충분히 미치도록 해도 된다.
도 30 내지 도 34는 본 발명을 원형 형상의 성형품에 이용하는 경우의 사용예를 나타낸다. 도 31이나 도 32와 같이 미세홈(5)의 중앙부에 직선형의 유동로홈(3)이나 유도대홈(6)을 형성하는 것이 일반적인 사용법이 된다고 생각되지만, 도 30과 같이 링형으로 하여 2점의 게이트(11)를 180도 반대 위치에 형성해도 된다. 또한, 가장 높은 개구율이어야 할 필터의 중앙부를 실현하기 위해서는 도 33이나 도 34와 같이 테두리몸체홈(4)의 근방에 만곡된 유동로홈(3)을 대향해서 형성한다. 유동로홈(3) 위의 게이트(11)는 복수 있어도 된다. 이 변형례로서는, 도 61의 타원형상의 것이나 도 58 내지 도 60과 같이 3각형상의 것도 있다. 3각형상인 경우에는 미세홈(5)의 1변의 저변이 다른 변보다 길어지므로 용융수지의 유동효율을 고려하여, 도 59와 같이 게이트(11)를 미세홈(5)이 긴 거리가 되는 저변 근처에 형성해도 된다.
도 64 내지 도 65는 테두리몸체홈(4) 안에 유동로홈이나 유도대홈과 동등한 작용을 하는 압력 축적홈(27)을 형성하고, 그 위에 게이트(11)를 형성하는 동시에 압력 축적홈(27)을 에워싸도록 우회벽(10)이나 형맞춤벽을 형성한 것이다. 그물코의 개구율을 대폭 높이려고 할 때에 유효한 구조이다.
도 54는 十자형의 지름이 큰 또는 폭이 넓은 유동로홈(3)으로 한 것으로, 유동로홈(3) 위의 게이트(11)에서 주입되는 용융수지는 대량으로 되어 그물코의 성형이 신속히 이루어지는 동시에, 더욱 유동면적이 커짐으로써 대면적의 성형품이라도 그물코를 구성하는 미세홈에 구석구석까지 용융수지를 골고루 미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도 41 내지 도 44는 미세홈(5)의 보강과 변형방지를 도모하기 위해, 홈 폭이이나 홈 깊이가 원칙적으로는 매우 좁고 얕은 피아노선홈(15)과의 조합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도 41a 는 미세홈(5), 테두리몸체홈(4), 유도대홈(6)을 가진 상형(1)이고, 도 41b 는 그 부분단면도이다. 도 42a 는 미세홈(5), 테두리몸체홈(4), 유도대홈(6) 및 피아노선홈(15)을 가진 하형(2)이고, 도 41b 는 그 부분단면도이다. 피아노선홈(15)은 미세홈(5)의 변형을 방지하는 것이 주목적이므로 0.03 ~ 0.1mm 정도의 홈 깊이라도 실용상 지장이 없다. 도 41a 와 도 42b 에 도시한 것을 눌러 맞춘 결과의 성형품이 도 43에 도시되어 있다. 피아노선홈(15)은 원칙적으로 매우 좁고 얕은 홈 폭이나 홈 깊이이므로, 종래의 격자형 그물코와는 달리 용융수지의 유동에 악영향을 미치지 않고, 그물리브(7′)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도 44는 또 다른 변형예를 나타낸 것으로, 피아노선리브(15′)를 경사지게 형성한 것이다.
도 45는 구획용 테두리몸체홈(4)에서 미세홈(5)을 복수 부분으로 구획하고, 그 구획마다의 미세홈(5)의 피치를 유도대홈(6)의 부분에서 절반씩 비키어 놓은 것으로, 허니콤형의 필터와 동등한 기능을 가진 필터를 간단한 금형구조로 실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46은 구획용 테두리몸체홈(4)에서 미세홈(5)을 복수부분으로 구획하고, 그 구획마다의 미세홈(5)의 피치를 구획용 테두리몸체홈(4)의 부분에서 절반씩 비키어 놓은 것으로, 허니콤형의 필터와 동등한 기능을 가진 필터를 간단한 금형구조로 실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47은 유도대홈(6)에서의 용융수지의 압력 축적력을 더욱 높이기 위한 구성이고, 유도대홈(6)을 그 일부를 잘룩한 부분(16)에서 잘록하게 함으로써 3분할의 작은 유도대홈으로 한 것이다. 도 48의 용융수지의 방출력(放出力)을 나타낸 화살표와 같이, 게이트(11)에서 주입된 용융수지는 게이트(11)의 중심에서 멀어짐에 따라 유동력이 떨어져버린다. 그래서 짧은 유도대홈(6)을 등가적(等價的)으로 복수 만들어, 각기 게이트(11)를 형성함으로써 용융수지의 유동력이 떨어지지 않도록 하려는 것이다.
도 49 내지 도 53은 약간 굵은 피아노선홈(15) 또는 약간 가는 테두리몸체홈(4)을 미세홈(5)에 직교하도록 배치한 것으로, 그물코를 강화하는 작용과 용융수지의 유동성을 높이는 효과를 가져오기 위한 것이다.
도 55는 테두리몸체홈의 안 또는 그 외주에 서로 맞걸리는 맞걸림홈을 형성함으로써, 복수의 별개의 필터를 자유로이 조합하여, 여러가지 용도에 적용하려고 하는 것이다.
각각의 상형(1)에 90도 방향이 다른 미세홈(5)과 유도대홈(6)과 테두리몸체홈(4)을 형성하고, 한쪽의 상형(1)의 양 사이드에는 걸림홈(23)을 형성하고, 다른 쪽 상형(1)의 양 사이드에는 걸림홈(23)에 맞걸리도록 걸림돌기(24)를 형성한 것이다.
특히, 60에서 100메시 상당의 미세한 그물코필터에 있어서는 본 발명의 발(簾)모양의 성형품의 조합은 유효하다. 왜냐하면, 한 방향만의 그물코리브이므로 격자형의 그물코리브보다 개구율이 2배 높게 된다. 그것을 각도를 90도 바꾸고, 또한 성형품 사이에 1mm 정도의 공간을 두어 조합하여 사용하므로, 그 개구율은 나빠도 종래의 격자형 그물리브보다 1.5배는 높다고 생각해도 된다. 즉, 1매의 성형품으로 100메시를 만들기보다는 2매의 성형품의 조합으로 2배씩의 개구율을 부여한 쪽이 유리하다고 할 수 있는 것이다.
도 56과 도 57은 상기 별체의 성형품에서의 조합이 아니고, 힌지를 통하여 일체로 하기 위한 금형구조를 나타내는 것이다. 동일 평면상에 2면의 금형을 병설(倂設)하여 그 사이에 힌지홈(25)을 형성하고, 또한 걸림홈(23)과 걸림돌기(24)를 형성함으로써, 접어서 사용할 수 있는 필터를 매우 간단한 금형구조로 실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이, 상형과 하형에 한 방향의 미세홈을 각각 대칭으로 형성하여 눌러 맞추는 구성으로 하였으므로 종래의 가로홈과 세로홈으로 이루어지는 격자형의 미세홈과 비교하여 금형 내의 용융수지의 유동이 각별히 원활하게 된다.
이하 청구항에 대응하여 효과를 기술한다.
청구항 1은 상형과 하형에 한 방향의 미세홈을 각각 대칭으로 형성하여 눌러 맞추는 구성으로 하였으므로, 금형내의 용융수지의 유동이 미세한 홈 사이에서 서로 부딪치는 일이 없고, 유동이 각별히 원활하게 된다. 그 결과, 낮은 사출압력, 작은 형의 맞춤력, 짧은 성형시간이면서, 대면적의 성형품이나 미세한 그물코의 성형품이 수율 좋게 대량으로 성형이 가능하게 되는 매우 큰 효과를 거둔다.
청구항 2, 청구항 3 및 청구항 4은 청구항 1의 효과에 더하여, 유동로홈의 선단을 뾰족하게 하였으므로, 유동로홈 위의 게이트에서 주입된 용융수지는 본래는 흐르기 쉬운 폭이 넓은 테두리몸체홈으로 바로 흘러 들어갈 수는 없고 미세홈쪽으로 먼저 흐르므로, 그물코부분에서의 리브가 빠져나가는 현상을 방지하는 효과를 가지고 있다.
청구항 5은 청구항 1의 효과에 더하여, 테두리몸체홈에 직접 접속되지 않는 지름이 큰 또는 폭이 넓은 유도대홈을 형성하였으므로, 그것이 테두리몸체홈과는 직접 접속되지 않고 막다르게 되므로, 그곳에서 일정 압력을 저장하고 나서 연통하는 미세홈에 압입되어 용융플라스틱재료는 미세홈의 말단까지 유입하도록 작용하여, 저압성형으로 미세한 그물코를 필요로 하는 성형품의 성형이 가능하게 되는 우수한 효과를 거둔다.
청구항 6은 청구항 5의 효과에 더하여, 유도대홈의 선단을 T자형으로 함으로써, 더욱 강력한 일정압력을 저장하고 나서 연통하는 미세홈에 압입되는 용융플라스틱재료는 화실하게 미세홈의 말단까지 유입하도록 작용하고, 저압성형으로 미세한 그물코를 필요로 하는 성형품의 성형이 가능하게 되는 우수한 효과를 거둔다.
청구항 7은 청구항 1의 효과에 더하여, 유동로홈에 직교하는 지름이 큰 또는 폭이 넓은 대체홈을 형성하였으므로, 유동로홈 위의 게이트에서 주입되는 용융수지는 대량으로 되어 그물코의 성형이 신속히 이루어지고, 대면적의 성형품이라도 용이하게 성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청구항 8은 청구항 7의 효과에 더하여, 유동로홈에 직교하는 S자형의 대체홈으로 함으로써, 유동로홈 위의 게이트에서 주입되는 용융수지는 대량으로 되어 그물코의 성형이 신속히 이루어지는 동시에 미세홈에 대하여 지그재그로 가면서 용융수지를 유입시키므로, 대면적의 성형품이라도 그물코를 구성하는 미세홈에 구석구석까지 용융수지를 골고루 미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청구항 9은 청구항 7의 효과에 더하여, 유동로홈에 직교하는 복수의 대체홈으로 함으로써. 유동로홈 위의 게이트에서 주입되는 용융수지는 대량으로 되어 그물코의 성형이 신속히 이루어지는 동시에, 다시 더 유동면적이 커짐으로써 대면적의 성형품이라도 그물코를 구성하는 미세홈에 구석구석까지 확실하개 용융수지를 골고루 미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청구항 10은 청구항 9의 효과에 더하여, 복수의 대체홈을 외측을 향하여 서서히 길게 함으로써, 그물코가 형성되기 어려운 게이트에서 먼 곳의 그물코도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청구항 11은 청구항 1의 효과에 더하여, 十 자형의 지름이 큰 또는 폭이 넓은 유동로홈으로 함으로써, 유동로홈 위의 게이트에서 주입되는 용융수지는 대량으로 되어 그물코의 성형이 신속히 이루어지는 동시에, 더욱 더 유동면적이 커짐으로써 대면적의 성형품이라도 그물코를 구성하는 미세홈에 구석구석까지 용융수지를 골고루 미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청구항 12은 청구항 1 및 청구항 5의 효과에 더하여, 원형 형상의 테두리몸체홈에 대하여 테두리몸체홈과 상사형(相似形)의 만곡(彎曲) 유동로홈을 형성함으로써, 원형의 그물코 성형품을 간단한 금형구조로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는 동시에, 직경이 큰 또는 폭이 넓은 유동로홈이 필터의 중심부분에 없으므로 필터 중심부분의 개구율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청구항 13은 테두리몸체홈의 안 또는 그 외주에 서로 맞걸리는 맞걸림홈을 형성함으로써, 복수의 별체의 필터를 자유로이 조합할 수 있게 하여 여러가지 용도에 적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청구항 14는 동일 평면상에 2면의 금형을 병설하여 그 사이에 힌지홈을 형성함으로써, 접어서 사용할 수 있는 필터를 매우 간단한 금형구조로 실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청구항 15 내지 청구항 20은 청구항 1 및 청구항 5의 효과에 더하여, 용융수지가 유입되기 쉬운 테두리몸체홈으로 흘러 들어가는 것을 일단 저지하기 위한 벽을 형성함으로써, 미세홈으로의 유입이 우선되고, 그물코의 빠짐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는 우수한 효과를 거둔다.
청구항 21은 청구항 1 및 청구항 5의 효과에 더하여, 테두리몸체홈에서 연통하여 대체홈을 형성함으로써, 유동로홈 또는 유도대홈에서도 그물코도 형성하기 어려운 부분을 보조하여 그물코를 구성하는 미세홈에 구석구석까지 용융수지를 골고루 미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청구항 22은 청구항 1 및 청구항 5의 효과에 더하여, 미세홈에 직교하여 미세홈보다 가는 피아노선홈을 형성함으로써, 미세홈의 직선성을 유지하는 동시에 그물코의 보강도 겸하여 강도 높은 그물코 성형품을 성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청구항 23은 청구항 1 및 청구항 5의 효과에 더하여, 동일한 홈 폭, 동일한 홈 깊이로 함으로써, 어느 면으로부터도 사용할 수 있는 양면 필터를 간단한 금형구조로 실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청구항 24 및 청구항 26은 청구항 1 및 청구항 5의 효과에 더하여, 하형의 홈 깊이보다 깊게 또는 얕게 또는 하형의 홈 폭보다 넓게 또는 좁게 함으로써, 한쪽 면에서는 공기 등이 유입하기 쉽고 다른 면에서는 공기 등이 유입하기 어려운 편면(片面) 필터를 간단한 금형구조로 실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잇다.
청구항 26은 청구항 1 및 청구항 5의 효과에 더하여, 구획 테두리몸체홈에서 미세홈을 복수부분으로 구획하고, 그 구획마다의 미세홈의 피치를 비키어 놓음으로써, 허니컴형의 필터와 동등한 기능을 가진 필터를 간단한 금형구조로 실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 여러가지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원리를 이용한 다른 실시예에 대해서도 본 발명의 대상이 된다는 것은 물론이다.

Claims (27)

  1. 상형(上型)과 하형(下型)을 눌러 맞추는 동시에 게이트를 통하여 용융수지를 주입함으로써 테두리가 딸린 플라스틱 제품을 성형하는 금형장치에 있어서, (a) 상형 및 하형의 각각에 한 방향의 길이방향으로만 복수의 미세(微細)홈에 의해 발(簾) 모양으로 형성되고, 또한 상형 및 하형의 각각의 미세홈이 대향하도록 형성된 그물홈, (b) 상형 및/또는 하형의 미세홈 위에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고, 또한 미세홈에 대하여 직교하여 형성되는 용융수지의 유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직경이 큰 또는 폭이 넓은 유동로(流動路)홈, (c) 유동로홈 위에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는, 용융수지를 금형내에 주입하기 위한 게이트, (d) 상형 및/또는 하형에 미세홈을 에워싸도록 형성되는 테두리몸체홈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성형 금형.
  2. 제1항에 있어서, 용융수지가 유동로홈을 통하여 테두리몸체홈에 장애없이 유입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테두리몸체홈에 연통하는 유동로홈의 선단을 뾰족하게 하여 접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성형금형.
  3. 제1항에 있어서, 용융수지가 유동로홈을 통하여 테두리몸체홈에 장애없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테두리몸체홈에 연통하는 유동로홈의 선단 부근을 잘록하게 하고, 테두리몸체홈과 접속되는 유동로홈의 선단은 큰 직경으로 또는 넓은 폭으로 하여 접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사출성형금형.
  4. 제1항에 있어서, 용융수지가 유동로홈을 통하여 테두리몸체홈에 장애없이 유입하는 것을 방지하는 동시에 미세홈으로의 용융수지의 유입을 촉진하기 위해, 유동로홈에 복수의 잘록한 부분을 형성하고, 그 각각의 구획된 형상의 유동로홈 위에, 용융수지를 금형내에 주입하기 위한 게이트를 각각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성형금형.
  5. 제1항에 있어서, 유동로홈을, 게이트로부터 금형내에 주입되는 용융수지를 일단 압력 축적하고나서 미세홈으로 유입시키기 위해 그 양단이 테두리몸체홈에 직접 접속되지 않는 직경이 큰 또는 폭이 넓은 유도대홈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성형금형.
  6. 제5항에 있어서, 게이트로부터 금형내에 주입되는 용융수지를 일단 압력 축적하고 나서 넓은 범위에서 미세홈으로 유입시키기 위해, 유도대홈의 선단에 유도대홈에 직교하는 직경이 큰 또는 폭이 넓은 대체(帶體)홈을 형성하고, 유도대홈의 선단을 대략 T자형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사출성형금형.
  7. 제5항에 있어서, 게이트로부터 금형내에 주입되는 용융수지를 일단 압력 축적하고 나서 넓은 범위에서 미세홈으로 유입시키기 위해, 유동로홈에 직교하는 직경이 큰 또는 폭이 넓은 대체홈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사출성형금형.
  8. 제7항에 있어서, 게이트로부터 금형내에 주입되는 용융수지를 일단 압력 축적하고 나서 넓은 범위에서, 또한 골고루 고르게 미세홈에 유입시키기 위해, 유동로홈에 직교하는 직경이 큰 또는 폭이 넓은 대체홈을 S자형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성형금형.
  9.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게이트로부터 금형내에 주입되는 용융수지를 일단 압력 축적하고 나서 넓은 범위에서, 또한 골고루 고르게 미세홈에 유입시키기 위해, 유동로홈에 직교하는 직경이 큰 또는 폭이 넓은 대체홈을 게이트를 중심으로 하여 대칭형으로 복수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사출성형금형.
  10. 제9항에 있어서, 게이트로부터 금형내에 주입되는 용융수지를 일단 압력 축적하고 나서 넓은 범위에서, 또한 골고루 고르게 미세홈에 유입시키기 위해, 게이트를 중심으로 하여 대칭형으로 복수개 형성된 유동로홈에 직교하는 직경이 큰 또는 폭이 넓은 대체홈을 게이트에서 바깥쪽을 향하여 서서히 길게 한 것을 특징으로 사출성형금형.
  11. 상형과 하형을 눌러 맞추는 동시에 게이트를 통하여 용융수지를 주입함으로써 테두리가 딸린 플라스틱 제품을 성형하는 금형장치에 있어서, (a) 상형 및 하형의 각각에 한 방향의 길이방향으로만 복수의 미세홈에 의해 발(簾) 모양으로 형성되고, 또한 상형 및 하형의 각각의 미세홈이 대향하도록 형성된 그물홈, (b) 상형 및/또는 하형의 미세홈 위에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고, 또한 미세홈에 대하여 직교 및 평행하여 형성되는 용융수지의 유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十자형의 직경이 큰 또는 폭이 넓은 유동로(流動路)홈, (c) 十자형의 유동로홈의 교차점 위에 형성되는, 용융수지를 금형내에 주입하기 위한 게이트, (d) 상형 및/또는 하형에 미세홈을 에워싸도록 형성되는 테두리몸체홈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성금형.
  12. 상형과 하형을 눌러 맞추는 동시에 게이트를 통하여 용융수지를 주입함으로써 테두리가 딸린 플라스틱 제품을 성형하는 금형장치에 있어서, (a) 상형 및 하형의 각각에 항 방향의 길이방향으로만 복수의 미세홈에 의해 발(簾) 모양으로 형성되고, 또한 상형 및 하형의 각각의 미세홈이 대향하도록 형성된 그물홈, (b) 상형 및/또는 하형에 미세홈을 에워싸도록 형성되는 타원형을 포함한 원형 형상의 테두리몸체홈, (c) 상형 및/또는 하형의 미세홈 위에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고, 미세홈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이며 또한 테두리몸체홈과 대략 상사형(相似形)이 되도록 만곡(彎曲)되어 형성되는, 용융수지의 유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직경이 큰 또는 폭이 넓은 유동로홈, (d) 유동로홈 위에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는, 용융수지를 금형내에 주입하기 위한 게이트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성형 금형.
  13. 상형과 하형을 눌러 맞추는 동시에 게이트를 통하여 용융수지를 주입함으로써 테두리가 딸린 플라스틱제품을 성형하는 금형장치에 있어서, (a) 상형 및 하형의 각각에 한 방향의 길이방향으로만 복수의 미세홈에 의해 발(簾) 모양으로 형성되고, 또한 상형 및 하형의 각각의 미세홈이 대향하도록 형성된 그물홈, (b) 상형 및/또는 하형의 미세홈 위에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고, 또한 미세홈에 대하여 직교하여 형성되는, 용융수지의 유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지름이 큰 또는 폭이 넓은 유동로홈, (c) 유동로홈 위에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는, 용융수지를 금형내에 주입하기 위한 게이트, (d) 상형 및/또는 하형에 미세홈을 에워싸도록 형성되는 테두리몸체홈, (e) 상형 및 하형의 테두리몸체홈의 안 또는 그 외주에 각각 서로 맞걸리기 위해 형성되는 맞걸림홈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성형 금형.
  14. 상형과 하형을 눌러 맞추는 동시에 게이트를 통하여 용융수지를 주입함으로써 테두리가 딸린 플라스틱 제품을 형성하는 금형장치에 있어서, (a) 상형 및 하형의 각각에 한 방향의 길이방향으로만 복수의 미세홈에 의해 발(簾) 모양으로 형성되고, 또한 상형 및 하형의 각각의 미세홈이 대향하도록 형성된 그물홈, (b) 상형 및/또는 하형의 미세홈 위에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고, 또한 미세홈에 대하여 직교하여 형성되는 용융수지의 유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직경이 큰 또는 폭이 넓은 유동로홈, (c) 유동로홈 위에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는, 용융수지를 금형내에 주입하기 위한 게이트, (d) 상형 및/또는 하형에 미세홈을 에워싸도록 형성되는 테두리몸체홈, (e) 상기 (a) ~ (d)로 구성되는 금형의 한 면을 그 동일 평면상에 2면 이상 형성하고, 또한 각각의 미세홈의 길이방향이 90도 달라지도록 형성되는 상형, (f) 상기 (e)의 구성과 완전히 대칭으로 구성되는 하형, (g) 동일 평면상에 2면 이상 형성되는 금형면(金型面) 사이에 자유로이 절곡이 가능한 힌지부로 하기 위해 형성되는 힌지홈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성형 금형.
  15. 상형과 하형을 눌러 맞추는 동시에 게이트를 통하여 용융수지를 주입함으로써 테두리가 딸린 플라스틱 제품을 형성하는 금형장치에 있어서, (a) 상형 및 하형의 각각에 한 방향의 길이방향으로만 복수의 미세홈에 의해 발(簾) 모양으로 형성되고, 또한 상형 및 하형의 각각의 미세홈이 대향하도록 형성된 그물홈, (b) 상형 및/또는 하형에 미세홈을 에워싸도록 형성되는 테두리몸체홈.
    (c) 상형 및/또는 하형의 테두리몸체홈 위에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고, 또한 용융수지를 금형 내에 주입하기 위한 게이트를 가진 용융수지의 압력 축적홈, (d) 상형 및/또는 하형의 테두리몸체홈 위에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고 또한 압력 축적홈을 에워싸도록 형성되어 압력 축적홈으로부터의 용융수지의 유동을 우회시키는 우회벽홈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성형 금형.
  16. 상형과 하형을 눌러 맞추는 동시에 게이트를 통하여 용융수지를 주입함으로써 테두리가 딸린 플라스틱 제품을 형성하는 금형장치에 있어서, (a) 상형 및 하형의 각각에 한 방향의 길이방향으로만 복수의 미세홈에 의해 발(簾) 모양으로 형성되고, 또한 상형 및 하형의 각각의 미세홈이 대향하도록 형성된 그물홈, (b) 상형 및/또는 하형의 미세홈 위에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고, 또한 미세홈에 대하여 직교하여 형성되는 용융수지의 유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직경이 큰 또는 폭이 넓은 유동로홈, (c) 유동로홈 위에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는, 용융수지를 금형내에 주입하기 위한 게이트, (d) 상형 및/또는 하형에 미세홈을 에워싸도록 형성되는 테두리몸체홈, (e) 유동로홈으로부터의 용융수지의 유입을 우회시키기 위해, 유동로홈의 길이방향의 선단에 대향하는 테두리몸체홈 내에 형성되는 우회벽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성형 금형.
  17. 상형과 하형을 눌러 맞추는 동시에 게이트를 통하여 용융수지를 주입함으로써 테두리가 딸린 플라스틱 제품을 형성하는 금형장치에 있어서, (a) 상형 및 하형의 각각에 한 방향의 길이방향으로만 복수의 미세홈에 의해 발(簾) 모양으로 형성되고, 또한 상형 및 하형의 각각의 미세홈이 대향하도록 형성된 그물, (b) 상형 및/또는 하형에 미세홈을 에워싸도록 형성되는 테두리몸체홈, (c) 상형 및/또는 하형의 미세홈 위에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고, 또한 미세홈에 대하여 직교하여 형성되고, 또한 게이트로부터 금형내에 주입되는 용융수지를 일단 압력 축적하고 나서 미세홈으로 유입시키기 위해, 그 양단이 테두리몸체홈에 직접 접속되지 않는 직경이 큰 또는 폭이 넓은 유도대홈, (d) 유도대홈 위에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는, 용융수지를 금형내에 주입하기 위한 게이트, (e) 유도대홈으로부터의 용융수지의 유입을 우회시키기 위해, 유도대홈의 길이방향의 선단에 대향하는 테두리몸체홈 내에 형성되는 우회벽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성형 금형.
  18. 상형과 하형을 눌러 맞추는 동시에 게이트를 통하여 용융수지를 주입함으로써 테두리가 딸린 플라스틱 제품을 형성하는 금형장치에 있어서, (a) 상형 및 하형의 각각에 한 방향의 길이방향으로만 복수의 미세홈에 의해 발(簾) 모양으로 형성되고, 또한 상형 및 하형의 각각의 미세홈이 대향하도록 형성된 그물홈, (b) 상형 및/또는 하형의 미세홈 위에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고, 또한 미세홈에 대하여 직교하여 형성되는 용융수지의 유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직경이 큰 또는 폭이 넓은 유동로홈, (c) 유동로홈 위에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는, 용융수지를 금형내에 주입하기 위한 게이트, (d) 상형 및/또는 하형에 미세홈을 에워싸도록 형성되는 테두리몸체홈.
    (e) 유동로홈으로부터 테두리몸체홈에의 용융수지의 유입을 우회시키기 위해, 유동로홈의 길이방향의 선단에 대향하는 테두리몸체홈 내에 형성되고, 또한 상형과 하형에서 대략 눌러서 자르도록 형성된 형맞춤벽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성형 금형.
  19. 상형과 하형을 눌러 맞추는 동시에 게이트를 통하여 용융수지를 주입함으로써 테두리가 딸린 플라스틱 제품을 형성하는 금형장치에 있어서, (a) 상형 및 하형의 각각에 한 방향의 길이방향으로만 복수의 미세홈에 의해 발(簾) 모양으로 형성되고, 또한 상형 및 하형의 각각의 미세홈이 대향하도록 형성된 그물홈, (b) 상형 및/또는 하형에 미세홈을 에워싸도록 형성되는 테두리몸체홈, (c) 상형 및/또는 하형의 미세홈 위에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고, 또한 미세홈에 대하여 직교하여 형성되고, 또한 게이트로부터 금형내에 주입되는 용융수지를 일단 압력 축적하고 나서 미세홈으로 유입시키기 위해 그 양단이 테두리몸체홈에 직접 접속되지 않는 직경이 큰 또는 폭이 넓은 유도대홈, (d) 유도대홈 위에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는, 용융수지를 금형내에 주입하기 위한 게이트, (e) 유도대홈으로부터 테두리몸체홈에의 용융수지의 유입을 우회시키기 위해, 유도대홈의 길이방향의 선단에 대향하는 테두리몸체홈 내에 형성되고, 또한 상형과 하형에서 대략 눌러서 자르도록 형성된 형맞춤벽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성형 금형.
  20. 제16항 내지 제19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유도대홈의 길이방향의 선단에 대향하는 테두리몸체홈 내에 형성되는 우회벽 또는 유도대홈의 길이방향의 선단에 대향하는 테두리몸체홈 내에 형성되고, 또한 상형과 하형에서 대략 눌러서 자르도록 형성된 형맞춤벽을 ㄷ자형으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성형 금형.
  21. 제1항 내지 제20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테두리몸체홈에 유입된 용융수지를 다시 미세홈에 유입시켜서 완전한 그물코를 형성하기 위해, 테두리몸체홈에서 게이트방향으로 향하고, 또한 테두리몸체홈에 연통하여 돌출된 대체홈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성형 금형.
  22. 제1항 내지 제21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미세홈으로 성형되는 세선(細線)의 휘어짐 또는 변형을 방지하기 위해, 복수의 미세홈을 횡단하도록 형성된 매우 가느다란 또는 얕은 피아노선홈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성형 금형.
  23. 제1항 내지 제22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미세홈의 형상을 상형과 하형에서 동일한 홈 폭, 동일한 홈 깊이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24. 제1항 내지 제22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미세홈의 형상을 상형에서는 하형의 홈 깊이보다 깊게 또는 얕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성형 금형.
  25. 제1항 내지 제22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미세홈의 형상을 상형에서는 하형의 홈 폭보다 넓게 또는 좁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성형 금형.
  26. 상형과 하형을 눌러 맞추는 동시에 게이트를 통하여 용융수지를 주입함으로써 테두리가 딸린 플라스틱 제품을 형성하는 금형장치에 있어서, (a) 상형 및 하형의 각각에 한 방향의 길이방향으로만 복수의 미세홈에 의해 발(簾) 모양으로 형성되고, 또한 상형 및 하형의 각각의 미세홈이 대향하도록 형성된 그물홈, (b) 상형 및/또는 하형의 미세홈 위에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고, 또한 미세홈에 대하여 직교하여 형성되는 용융수지의 유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직경이 큰 또는 폭이 넓은 유동로홈, (c) 유동로홈 위에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는, 용융수지를 금형 내에 주입하기 위한 게이트, (d) 상형 및/또는 하형에 미세홈을 에워싸도록 형성되는 테두리몸체홈, (e) 상기 (a)에서 (d)까지의 구성을 복수 면에서 연속적으로 형성하는 동시에, 복수 면의 상하 또는 좌우에서 배열피치를 다르게 한 미세홈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성형 금형.
  27. 제1항 내지 제26항에 기재한 사출성형 금형에 의해 사출성형되는 필터를 포함하는 플라스틱 성형품.
KR1019970078880A 1997-04-07 1997-12-30 사출성형금형과그성형품 KR10028269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2463897A JP4258787B2 (ja) 1997-04-07 1997-04-07 射出成形金型とその成形品
JP1997-124638 1997-04-07
JP124638 1997-04-0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79566A true KR19980079566A (ko) 1998-11-25
KR100282697B1 KR100282697B1 (ko) 2001-04-02

Family

ID=148903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78880A KR100282697B1 (ko) 1997-04-07 1997-12-30 사출성형금형과그성형품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6379143B1 (ko)
JP (1) JP4258787B2 (ko)
KR (1) KR10028269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536407C (en) * 2003-08-29 2012-07-17 Aspenware Inc. Process of production of disposable wooden cutlery and product thereof
US7261534B2 (en) * 2004-01-31 2007-08-28 International Automotive Components Group North America, Inc. Dual use molding tool
WO2005077492A1 (ja) 2004-02-17 2005-08-25 Nippon Muki Co., Ltd. エアフィルタ
CA2481143A1 (en) * 2004-09-10 2006-03-10 Axiom Group Inc. Plastic filter
US7661947B2 (en) * 2005-11-21 2010-02-16 Epoch Composite Product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molding roofing products with back gating
US20070151920A1 (en) * 2005-12-06 2007-07-05 Kay Ronald J System and method of micromolded filtration microstructure and devices
US7832459B2 (en) * 2007-08-30 2010-11-16 Phillips Plastics Corporation Methods, tools, and products for molded ordered porous structures
JP5837400B2 (ja) * 2011-11-15 2015-12-24 日本特殊陶業株式会社 セラミックヒータの製造方法及びグロープラグの製造方法
JP5837401B2 (ja) * 2011-11-15 2015-12-24 日本特殊陶業株式会社 セラミックヒータの製造方法及びグロープラグの製造方法
DE102012021749A1 (de) * 2012-11-06 2014-05-08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Kunststoff-Formteil
JP6095052B2 (ja) * 2012-12-12 2017-03-15 株式会社 ダイサン 樹脂フィルタ
JP6305116B2 (ja) * 2013-12-13 2018-04-04 株式会社エンプラス メッシュフィルタ
JP6453667B2 (ja) * 2015-02-23 2019-01-16 株式会社エンプラス メッシュフィルタの射出成形金型及びメッシュフィルタの射出成形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4513A (en) * 1899-05-09 lloyd
US770139A (en) * 1902-02-20 1904-09-13 Albert Carroll Wood Battery-plate mold.
US2349977A (en) * 1940-03-19 1944-05-30 Mazzoni Lucien Comb mold
US2457440A (en) * 1947-06-05 1948-12-28 Herbert L Booth Method for producing tufted plastic combs
US4218038A (en) * 1977-10-25 1980-08-19 Garneau Norman M Sr Mold for comb
JPS61274910A (ja) * 1985-05-31 1986-12-05 Mitsubishi Electric Corp 半導体樹脂封止用金型
JP3550567B2 (ja) 1992-10-21 2004-08-04 有限会社大三金型製作所 フィルターの製造装置
US5423893A (en) 1992-06-18 1995-06-13 Kotaki; Daizo Plastic filter, its injection molding die and producing method
JPH06155531A (ja) 1992-11-18 1994-06-03 Daisan Kanagata Seisakusho:Yugen プラスチック成型体及びその金型
US5650181A (en) 1993-06-17 1997-07-22 Kotaki; Daizo Injection molding die for producing plastic filter
JPH0720677A (ja) 1993-06-30 1995-01-24 Canon Inc 帯電装置
JPH0752164A (ja) 1993-08-09 1995-02-28 Daisan Kanagata Seisakusho:Kk プラスチック成型体の金型及び製法
JPH07137166A (ja) 1993-11-16 1995-05-30 Daisan Kanagata Seisakusho:Kk プラスチックフィルターとその金型
JPH07284617A (ja) 1994-04-16 1995-10-31 Daizo Kotaki プラスチックフィルター及びプラスチック材料の供給路構造
JP4025883B2 (ja) * 1997-10-29 2007-12-26 株式会社 ダイサン 射出成形金型及びその成形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258787B2 (ja) 2009-04-30
KR100282697B1 (ko) 2001-04-02
JPH10278075A (ja) 1998-10-20
US6379143B1 (en) 2002-04-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82697B1 (ko) 사출성형금형과그성형품
DE10015062B4 (de) Bürstenkopf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solchen Bürstenkopfs
EP1484997B1 (de) Borste
JP6749314B2 (ja) メッシュフィルタ
EP3478975B1 (de) Clip mit einem kopf und einem sich entlang einer längsachse von dem kopf erstreckenden schaft
US5423893A (en) Plastic filter, its injection molding die and producing method
WO1988003376A1 (en) Process for the manufacture of bristled articles and bristled articles produced by said process
DE3934419C2 (de) Schubladen-Seitenwandprofil aus Metall
KR100571970B1 (ko) 슬라이드 파스너의 정지부
EP1909557B1 (de) Kunststoffbehälter
JPH07284617A (ja) プラスチックフィルター及びプラスチック材料の供給路構造
JPS63287521A (ja) エア−クリ−ナ−用ダストネツトとその製造方法
KR100268075B1 (ko) 사출성형금형및그성형품
EP2757148A1 (de) Kulturflasche
EP0932010B1 (de) Wärmeübertrager
JPH07137166A (ja) プラスチックフィルターとその金型
KR19980042850A (ko) 분리가능한 슬라이드 파스너
DE60027780T2 (de) Verbesserter behälter und verfahren sowie vorrichtung zum herstellen des behälters
DE60107898T2 (de) Saugrohranlage mit mehreren Leitungen
EP0038955B1 (de) Geblasene Zier- oder Schutzleiste
EP1587707B1 (de)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s befestigungsteils
JP4013214B2 (ja) 柵状パネル
JP2538962Y2 (ja) 連結具
CN212107267U (zh) 大口径frpp加筋管材
CN215550468U (zh) 混炼过滤射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827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