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71683A - 박형 전지 - Google Patents

박형 전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71683A
KR19980071683A KR1019980005912A KR19980005912A KR19980071683A KR 19980071683 A KR19980071683 A KR 19980071683A KR 1019980005912 A KR1019980005912 A KR 1019980005912A KR 19980005912 A KR19980005912 A KR 19980005912A KR 19980071683 A KR19980071683 A KR 199800716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lyte
lithium
electrode terminal
thin battery
an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059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08052B1 (ko
Inventor
마시오 시부야
히로유끼 아까시
Original Assignee
이데이 노부유끼
소니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데이 노부유끼, 소니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이데이 노부유끼
Publication of KR199800716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716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080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08052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16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28Fixed electrical connections, i.e. not intended for disconnec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13Electrodes for 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e.g. for lithium-accumulators; Processes of manufacture thereof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16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117Inorganic material
    • H01M50/119Met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16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121Organic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16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124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having a layered structure
    • H01M50/126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having a layered structure comprising three or more layers
    • H01M50/129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having a layered structure comprising three or more layers with two or more layers of only organic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31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physical properties, e.g. gas permeability, size or heat resistance
    • H01M50/133Thicknes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4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for protecting against damage caused by external factors
    • H01M50/141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for protecting against damage caused by external factors for protecting against humidit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72Arrangements of electric connectors penetrating the casing
    • H01M50/174Arrangements of electric connectors penetrating the casing adapted for the shape of the cells
    • H01M50/178Arrangements of electric connectors penetrating the casing adapted for the shape of the cells for pouch or flexible bag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31Electrode connections inside a battery ca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01M50/547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 disposition of the terminals on the cells
    • H01M50/55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 disposition of the terminals on the cells on the same side of the cel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01M50/552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553Terminals adapted for prismatic, pouch or rectangular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01M50/562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16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124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having a layered structur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Sealing Battery Cases Or Jackets (AREA)
  • Connection Of Batteries Or Terminals (AREA)
  • Secondary Cells (AREA)
  • Primary Cells (AREA)

Abstract

뛰어난 기밀성 및 기계적 강도를 갖는 박형 전지가 제공된다. 이 박형 전지는 고분자막 및 금속 호일로 형성된 방습성 다층막(4) 내에 싸인 캐쏘드(1), 애노드(2) 및 전해질(3)으로 이루어진다. 전극과 외부 단자를 상호접속하는 한 쌍의 전극 단자(5, 6)는 망상 또는 다공질의 전기 전도체로 형성되어 있다. 전극 단자(5, 6)으로서 망상 또는 다공질의 전기 전도성 물질을 사용함으로써, 전극 단자(5, 6)은 방습성 다층 막(4)에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더욱이, 전극 단자(5, 6)이 통과하는 밀봉부(X)에서 고분자막층의 두께를 증가시킴으로써 단락의 발생을 막을 수 있다.

Description

박형 전지
본 발명은 휴대용 전기 장치의 크기와 중량을 감소시키는데 사용되는 박형 전지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그러한 전지의 전극 단자 구조에 관한 것이다.
최근들어, 전지는 휴대용 전기 장치의 전원으로서 산업적으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게 되었다. 장치의 크기 및 두께를 줄이기 위하여, 장치 내부의 제한된 공간에 하우징될 수 있는 전지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용도로, 고에너지 밀도 및 고출력 밀도를 갖는 리튬 전지가 가장 적합할 것으로 생각된다.
한편, 장치의 크기 및 중량을 줄이기 위해서는, 유연하고, 형태학적 자유도가 높고, 두께가 얇고, 면적이 넓은 전지 또는 두께가 얇고 면적이 좁은 전지가 필요하다. 그러나, 이러한 조건은 종래의 금속 캔을 외장 부재로서 사용할 경우에는 만족될 수 없다. 구체적으로, 열융합형 고분자막층 및 금속 호일층을 포함하는 방습형 다층막을 사용하면, 막 자체도 뛰어난 강도 및 기밀성을 가지면서 고온 밀봉에 의해 기밀된 구조를 실현할 수 있다. 그리하여, 이 방습형 다층막은 형태학적 자유도가 높은 전지 또는 박형 전지의 외장재로서 유망하다.
그러나, 외장재의 밀봉 개구에서 전극 단자를 통해, 방습형 다층막 내의 전극과 전극 단자 사이에 전기 전도성을 부여하는 경우, 얇은 밀봉 개구를 두꺼운 금속 와이어로 밀봉할 수 없으며, 반면에 가는 금속 와이어는 그 자체만으로 충분한 전도성을 보장할 수 없다. 만일 전극 단자로 금속 호일을 사용한다면, 밀봉 개구의 두께를 줄일 수 있고, 동시에 전도성도 또한 부여할 수 있다. 그러나, 열융합성 고분자막 층과 금속 호일(전극 단자) 사이에 충분한 접착 내밀성이 제공되지 못한다. 그 결과, 아주 약한 응력이 가해지기만 하여도 얇은 층으로 갈라져 전지의 기밀성을 유지할 수 없다.
따라서, 금속 와이어 또는 금속 호일로 된 전극 단자를 사용하면, 만족스러운 기밀성 또는 기계적 강도를 획득할 수가 없다. 특히, 고에너지 밀도 및 고출력 밀도로 인해 활발한 연구가 추진 중인 리튬 전지는 있을 수 있는 수분과의 혼합을 거부하는 경향이 있으며, 따라서 높은 기밀성이 요구되고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목적은 뛰어난 기밀성 및 기계적 강도를 갖는 박형 전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자들은 꾸준한 연구의 결과, 망상 또는 다공질의 전기 전도성 물질을 전극 단자로 사용함으로써, 방습성 다층막과 전극 단자 사이의 내밀성 결합을 개선할 수 있음을 발견하기에 이르렀다.
도 1은 본 발명의 박형 전지의 밀봉하기 전을 도시하는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박형 전지의 밀봉하기 전을 도시하는 확대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박형 전지의 밀봉한 후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박형 전지의 밀봉한 후를 위에서 관찰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박형 전지의 방습성 다층막의 단면도.
도 6은 도 1에 도시된 박형 전지의 전극 단자의 밀봉부(X)에 수지 단편이 부착된 박형 전지의 단면도.
도 7은 도 6의 박형 전지의 밀봉하기 전을 도시하는 확대 사시도.
도 8은 도 6의 박형 전지의 밀봉 후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9는 도 6의 박형 전지의 밀봉 후를 위에서 관찰한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변형된 박형 전지의 밀봉 전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변형 박형 전지의 밀봉 후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또다른 변형 박형 전지의 밀봉 전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13은 도 12의 박형 전지의 밀봉 후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14는 저장 기간과 전해질 중의 수분의 양 사이의 관계를 보여주는 그래프.
도 15는 저장 기간과 전지의 개방 회로 전위 사이의 관계를 보여주는 그래프.
도 16은 10 주 동안 저장한 전지의 충전 용량과 방전 용량 사이의 관계를 보여주는 그래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캐쏘드
2: 애노드
3: 격판
4: 방습성 다층막
4a: 열융합성 고분자막층
4b: 금속 호일층
4c: 고분자막층
5: 캐쏘드 단자
6: 애노드 단자
즉, 본 발명은 전극과 외부 단자를 상호접속하는 전극 단자가 망상 또는 다공질의 전기 전도체로 형성된, 고분자막 및 금속 호일로 형성된 방습성 다층막 내에 싸인 캐쏘드, 애노드 및 전해질을 포함하는, 박형 전지를 제공한다.
망상 또는 다공질의 전기 전도체는 금속망, 망상 금속판, 천공된 금속 및 탄소 섬유의 응집체 중 어느 하나인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망상 또는 다공질의 전기 전도체는 탄소, 니켈, 알루미늄, 구리, 텅스텐, 스테인레스강, 철, 은, 금, 이들의 합금 또는 이들 금속 또는 합금으로 도금된 금속 중 어느 하나인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박형 전지에서는, 전극 단자가 망상 또는 다공질의 전기 전도체로 형성되기 때문에, 열융합성 고분자막 층과 같은 밀봉부의 고분자막들 또는 접착제 수지가 전극 단자의 틈새로 침투되어 전극 단자와 고분자막이 서로 얇은 층으로 갈라지려는 것을 억제함으로써 뛰어난 기밀성 및 기계적 강도를 실현한다.
본 발명의 박형 전지에서는, 방습성 다층막의 개구부가 고분자막으로 밀봉되고 전극 단자가 통과하는 고분자막 부분이 밀봉부의 나머지 영역 보다 더 두꺼운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수지 단편이 밀봉부와 일치하는 전극 단자의 표면에 도포되거나 또는 그 표면을 피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일 전극 단자가 통과하는 밀봉부에 위치한 고분자막 부분이 밀봉부의 다른 영역 보다 더 두껍다면, 전극 단자(캐쏘드 및 애노드)가 금속 호일층과 접촉하기 때문에 단락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전극 단자가 망상 또는 다공질의 전기 전도체로 형성된 본 발명의 박형 전지를 사용하면, 전극 단자와 방습성 다층막 사이의 결합 내밀성을 개선시켜 뛰어난 기밀성 및 기계적 강도를 제공할 수 있다. 더욱이 캐쏘드와 애노드의 단락 발생을 막을 수 있고, 그 결과, 전지의 작업 수명, 장기 저장 특성 및 기계적 강도를 개선하여 전지의 성능 및 신뢰도를 개선할 수 있다.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박형 전지의 바람직한 양태를 상세히 서술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박형 전지는 도 1 내지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캐쏘드(1)와 애노드(2)가 격판(3) 및(또는) 개재된 교질 용액 또는 겔 전해질과 함께 적층되어 있고, 방습성 다층막(4)으로 이루어진 외장재 사이에 끼워져 있다. 고체 전해질을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전지의 내부를 비수성 액체 전해질로 충전시킨다.
방습성 다층막(4)은 순서대로 적층된, 열융합성 고분자막층(4a), 금속 호일층(4b) 및 고분자막층(4c)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열융합성 고분자막층(4a)은 전지의 내면을 향하고 있다.
캐쏘드 단자(5)의 한 말단은 열융합성 고분자막층(4a)을 통과하여 외부에 노출되어 있으며, 맞은편 말단은 캐쏘드(1)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유사하게, 애노드 단자(6)의 한 말단은 열융합성 고분자막층(4a)을 통과하여 외부에 노출되어 있고, 맞은편 말단은 애노드(2)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캐쏘드 단자(5)와 애노드 단자(6)는 전극 물질 또는 전류 집전기에 연결될 수 있다. 연결 방법은 전기 전도성 물질에 의한 가압 결합, 용접 및 접착이 포함된다. 캐쏘드 단자(5)와 애노드 단자(6)가 반대 쪽에서 뻗어 있지만, 단자들(5, 6)이 서로 접촉하여 전지의 단락을 초래하지 않는다면, 다른 어떤 방식으로도 배열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박형 전지의 특징은 캐쏘드 단자(5)와 애노드 단자(6)(총칭하여 전극 단자로 칭함)로서 그물 모양 또는 다공질의 전기 전도성 물질을 사용한다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이들 전극 단자는 가는 와이어를 짜서 얻은 그물 모양 또는 망상 구조, 얇고 가는 다수의 와이어의 평행한 배열 또는 서로 연결된 가는 와이어의 불규칙한 배열을 포함하는 망상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웃한 와이어와의 공간은 가는 와이어의 직경 또는 긴 직경의 0.5 내지 2 배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밖에, 전극 단자는 산재해 있는 구멍 또는 슬릿을 갖는 평평한 판 구조일 수 있다.
위와 같은 망상 또는 다공질 구조를 갖는 전극 단자로는 금속망, 망상 금속판, 천공된 금속 또는 탄소 섬유의 응집체를 들 수 있다.
전극 단자 용 재료의 예로는 강도 및 절삭성의 면에서 탄소, 니켈, 알루미늄, 구리, 텅스텐, 스테인레스강, 철, 은, 금, 이들의 합금 또는 이들 금속 또는 합금으로 도금된 금속이 바람직하게 포함된다.
전극 단자, 즉 캐쏘드 단자(5)와 애노드 단자(6)에 같은 또는 다른 재료를 사용할 수 있다. 전기화학적 또는 화학적 안정성에 비추어볼 때, 알루미늄, 금 및 탄소가 캐쏘드 단자(5)로 바람직하고, 구리가 애노드 단자(6)로 바람직하다. 캐쏘드 및 애노드 모두에 사용가능한 단자 재료에는 니켈 및 스테인레스강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전지는 외장재인 방습성 다층막(4)의 전극과 겹쳐지지 않은 개구 말단을 고온 프레싱하여 밀봉한다. 이 개구 말단이 도 4에 빗금으로 표시되어 있다.
위와 같은 밀봉 중에, 전극 단자는 열융합성 고분자막 층(4a)을 지나 도 3 및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밀봉 말단(X)에서 밀봉된다. 전극 단자가 망상 또는 다공질 구조이기 때문에, 열융합성 고분자막층(4a)의 재료가 전극 단자의 틈새로 침투되어 전극 단자를 상부 및 하부 방습성 다층막의 열융합성 고분자막층(4a) 재료와 결합시킨다.
열융합성 고분자막층(4a)의 물질이 본 발명의 박형 전지의 밀봉 중에 전극 단자의 틈새로 침투되기 때문에, 전극 단자와 열융합성 고분자막층(4a)은 서로 강하게 결합되고 얇은 층으로 갈라지려는 가능성이 낮아져 뛰어난 기밀성 및 기계적 안정성을 실현하게 된다. 따라서, 전지는 뛰어난 전지 성능 및 신뢰도를 보장하는 작업 수명, 장기간 저장 특성 및 기계적 내구성이 크게 개선된다.
전극 단자의 두께는 밀봉부(X)에서 열융합성 고분자막층(4a)의 두께(상부 및 하부 두 개의 두께의 합)와 같거나 작아야 한다.
전극 단자가 지나치게 두꺼우면, 열융합에 의한 밀봉 시에, 전극 단자의 그물형 섬유가 열융합성 고분자막층(4a) 내로 뚫고 들어가 내부 금속 호일층(4b)과 접촉하게 된다. 캐쏘드 단자(5)와 애노드 단자(6)의 두 전극 단자가 모두 실질적으로 내부 금속 호일층(4b)과 접촉하게되면, 전지는 회로가 단락된다.
이러한 회로 단락을 막기 위해, 전극 단자의 두께를 열융합성 고분자막층(4a) 보다 더 얇게 설정할 수 있다. 반대로, 열융합성 고분자막층(4a)의 수지 물질의 두께가 두꺼울 수 있다. 이러한 문제는 수지 물질의 두께, 구체적으로, 전극 단자가 통과하는 열융합성 고분자막층(4a)의 밀봉부(X)의 두께를 증가시켜 해결할 수 있다. 이 때, 밀봉부(X) 이외의 수지 물질 부분의 두께는 불필요하게 증가시킬 필요는 없다.
방습성 다층막(4)에 의한 밀봉을 위해, 밀봉부(X) 내의 수지 물질 두께가 용융 상태의 전극 단자 두께 보다 더 두꺼워야 하기 때문에, 밀봉부(X) 내의 수지 물질의 두께는 전극 단자 두께의 2 내지 3 배인 것이 바람직하다. 만일 수지가 지나치게 두꺼우면, 수분이 두꺼워진 부분에서 확산에 의해 전지 내부로 침투되어 전지 성능을 저해할 수 있다. 또한, 밀봉 구조가 복잡해져 주름진 구역이 발생되며, 이 구역을 통해 수분이 전지내로 침투될 수 있다.
이러한 두께 증가를 위해, 전극 단자가 통과하는 밀봉부(X)의 열융합성 고분자막층(4a)의 수지 물질의 두께를 증가시킬 수 있다. 대안으로는, 열융합성 수지 단편(7)을 전극 단자의 밀봉부(X)와 접촉하고 있는 전극 단자의 표면부에 도포할 수 있다.
이러한 목적에 사용되는 열융합성 수지로는 예를 들면, 방습성 다층막(4)의 내면 상에 사용되는 열융합성 고분자막층(4a)으로 사용되는 것과 유사한 폴리올레핀 수지, 폴리아미드 수지, 비닐 아세테이트 수지, 아크릴 수지 또는 에폭시 수지를 들 수 있다. 만일 전극 단자를 절연 수지로 예비코팅한다면, 열융합성 수지 뿐만 아니라 화학적으로 안정하고 전극 단자와 내부층(열융합성 고분자막층(4a))에 만족스럽게 결합할 수 있는 것이라면, 어떠한 수지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결합 성능 및 화학적 안정성 면에서 에폭시 수지가 있다.
전극 단자의 너비 및 길이는 전지의 모양에 따른다. 너비와 길이는 전지로 사용되는 전극 단자의 양 말단 간에 발생되는 전압이 전지 공칭 전압의 1/100 보다 크지 않도록 선택한다.
외부 포장 물질로서 사용되는 방습성 다층막(4)은 결합을 위한 열융합성 고분자막층(4a), 기밀성 증강을 위한 금속 호일층(4b) 및 강도를 유지하기 위한 고분자막층(4c)을 포함한다. 막층(4c)이 또한 열융합성 고분자막일 수 있다. 금속 호일층은 반드시 고분자막층 사이에 개재해야 한다. 그리하여, 보다 더 많은 수의 고분자막 또는 금속층이 함께 적층될 수 있다.
또한, 밀봉부(X)는 열융합에 의해 최적으로 밀봉되기 때문에, 전지의 내부를 향하고 있는 방습성 다층막(4)의 면은 열융합성 고분자막층(4a)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내열성 고분자층을 열융합성 고분자층(4a) 대신 사용하여 밀봉부(X)를 열융합성 고분자막 대신 접착제 수지로 밀봉할 수 있다. 만일 접착제 수지를 사용한다면, 주변 온도에서 결합을 실시할 수 있다.
이제 방습성 다층막(4)의 재료 유형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결합을 위한 열융합성 고분자막층(4a)의 재료로는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프로필렌과 같은 폴리올레핀 수지, 나일론과 같은 폴리아미드 수지, 비닐 아세테이트 수지, 아크릴 수지 또는 에폭시 수지를 예로 들 수 있다. 접착제 수지로는 금속 또는 수지에 대한 접착 특성과 화학적 안정성 때문에 에폭시 수지를 예로 들 수 있다.
재료가 가볍고, 유연하고, 화학적으로 안정한 경우에는 금속 호일층(4b)에 대해서는 어떠한 제한도 없다. 이러한 물질의 예로는 물리적 특성과 비용 면에서 유리한 알루미늄이 있다.
강도를 유지하기 위한 고분자막층(4c)의 재료로는 나일론과 같은 폴리아미드 수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및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프로필렌 수지와 같은 폴리올레핀 수지를 들 수 있다. 물론, 기계적 강도 면에서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및 나일론 수지가 유리하다.
방습성 다층막(4)으로, 널리 공지된 다목적 적층 수지를 사용하여 최대한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 내지 9에 도시된 박형 전지에서는, 방습성 다층막(4)의 전체 가장자리 부분(4면)이 밀봉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러한 구조에 제한되지 않는다. 박형 전지의 제작 공정 면에서 볼 때, 도 10 및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습성 막(4) 내에 전극 장치(8)를 설치하는 경우에는 방습성 다층막(4)의 3 면을 고온 프레스하여 밀봉할 수 있다. 도 13에서와 같이 전극 장치(8)를 방습성 막(4) 내에 넣을 때는, 방습성 다층막(4)의 양 말단을 링 모양으로 서로 결합시킬 수 있고, 그리고나서 결과된 두 면을 함께 고온 프레싱하여 밀봉할 수 있다. 밀봉 상태는 도 12 및 13에 빗금으로 나타내었다.
도 1 내지 9에 도시된 박형 전지는 예시를 위해 단일 캐쏘드 및 단일 애노드로 이루어져 있다. 예를 들면, 복수의 캐쏘드와 복수의 애노드를 적층하거나 감아 박형 전지로서 사용할 수 있다. 캐쏘드 및 애노드의 수 또는 면적이 서로 같을 필요는 없다.
본 발명에 따른 박형 전지는 일차 전지 구조 또는 이차 전지 구조일 수 있다.
만일 전지가 일차 구조를 갖는다면, 애노드가 금속 리튬으로 형성되고 캐쏘드가 리튬 이온을 흡장할 수 있는 물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해질은 비수성 액체 전해질, 고체 전해질 또는 겔 전해질이 바람직하다. 공지된 구조의 전해질을 사용할 수 있다.
전지가 이차 전지 구조를 갖는 경우에는 애노드가 금속 리튬, 리튬 합금 또는 리튬을 가역적으로 도입시키거나 제거할 수 있는 물질로 형성되고, 캐쏘드가 리튬을 가역적으로 도입하거나 제거할 수 있는 물질로 형성되고 전해질이 비수성 액체 전해질, 고체 전해질 또는 겔 전해질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공지된 구조의 전해질을 사용할 수 있다.
실시예
본 발명은 구체적으로 명시된 실험 결과를 참고로 하여 이후 서술될 것이다.
실험 A
실험 A에서는, 망상 또는 다공질의 전기 전도체를 사용하여 전극 단자의 효과를 검사하였다.
실시예 1
도 3에 도시된 박형 전지를 하기와 같이 제조하였다.
먼저, 두께 12 ㎛의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막(고분자막층(4c))과 두께 70 ㎛의 폴리프로필렌 막(열융합성 고분자막층(4a))을 알루미늄 호일(금속 호일층(4b))의 양면에 각각 열융합시켜 두께 89 ㎛의 방습성 다층막(4)을 생성하였다. 이 방습성 다층막(4)을 외부 포장으로 사용하기 위해 8 ㎝ × 10 ㎝의 두 구간으로 분할하였다.
그리고나서 이산화 망간 분말 90 중량%,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 2 중량% 및 흑연 분말 7 중량%를 용매 디메틸 포름아미드에 분산시켜 캐쏘드(1)를 제조하였다. 얻어진 분산액을 전류 집전기로서 알루미늄 네트 상에 코팅하고 진공 하에 100℃에서 24 시간 동안 건조시켰다. 얻어진 생성물을 롤 프레스를 사용하여 두께 130 ㎛로 적당히 프레싱하였다. 얻어진 생성물을 + 전극(1)으로 사용하기 위해 4 ㎝ × 8 ㎝ 크기로 절단하였다.
두께 300 ㎛의 금속 리튬 판을 4 ㎝ × 8 ㎝ 크기로 절단하여 애노드(2)를 제조하였다.
캐쏘드 단자(5)와 애노드 단자(6)는 직경 50 ㎛의 스테인레스강 와이어를 75 ㎛의 간격을 두고 전체 두께 110 ㎛로 짠 금속망을 5 ㎜ × 3 ㎝ 크기로 절단하여 제조하였다. 캐쏘드 단자(5) 및 애노드 단자(6)를 각각 캐쏘드(1)와 애노드(2)에 프레스 결합시켰다.
전극은 다음과 같이 제조하였다.
에틸렌 카르보네이트(EC) 및 프로필렌 카르보네이트(PC)를 혼합하여 용해시킨 후, 폴리 아크릴로니트릴(PAN)을 여기에 혼합하고 교반하여 점성 용액을 얻었다. 이 용액에 리튬 포스페이트 헥사플루오라이드(LiPF6)를 첨가하여 겔화된 전해질을 얻었다. PAN, EC, PC 및 LiPF6의 충전 몰비는 PAN:EC:PC:LiPF6가 12:53:27:8이도록 조정하였다.
격판(3)으로는 폴리프로필렌 부직물을 사용하였다.
겔화된 전해질을 캐쏘드(1)와 애노드(2) 상에 코팅하고 방습성 다층막(4), 애노드(2), 격판(3), 캐쏘드(1) 및 방습성 다층막(4)을 순서대로 적층하였다. 방습성 다층막(4)은 열융합성 고분자막층(4a)이 전지의 내부를 향하도록 적층하였다.
캐쏘드 단자(5)와 애노드 단자(6)를 밀봉부(X) 내에 삽입하고 전극 물질과 겹치지 않은 방습성 다층막(4)의 가장자리를 가열하고 서로 융합시켜 전체 조립체를 밀봉하여 리튬 일차 전지를 생성하였다.
실시예 2
캐쏘드(1)와 애노드(2)로서 각각 아황산철(FeS2) 및 금속 리튬을 사용하여 실시예 1과 같은 순서에 따라 리튬 일차 전지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3
캐쏘드(1)와 애노드(2)로서 각각 코발트산 리튬(LiCoO2) 및 금속 리튬을 사용하여 실시예 1과 같은 순서에 따라 리튬 이차 전지를 제조하였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코발트산 리튬(LiCoO2) 91 중량%, 비닐리덴 폴리플루오라이드 분말 3 중량% 및 흑연 분말 9 중량%를 사용하였다.
실시예 4
캐쏘드(1)와 애노드(2)로서 각각 코발트산 리튬(LiCoO2) 및 흑연화하기 어려운 탄소를 사용하여 실시예 1과 같은 순서에 따라 리튬 이차 전지를 제조하였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코발트산 리튬(LiCoO2) 91 중량%, 비닐리덴 폴리플루오라이드 분말 3 중량% 및 흑연 분말 9 중량%를 사용하였고, 실시예 1에 사용한 절차와 동일한 절차를 사용하여 제조하였다.
애노드(2)는 다음과 같이 제조하였다. 흑연화하기 어려운 탄소 91 중량% 및 비닐리덴 폴리플루오라이드 분말 9 중량%를 용매 N-메틸 피롤리돈 내에 분산시키고, 결과된 분산액을 구리 호일 상에 코팅시키고, 진공 중에 120℃에서 24 시간 동안 건조시켰다. 얻어진 생성물을 롤 프레스를 사용하여 두께 200 ㎛로 적당히 프레싱하여 (-) 전극(2)으로 사용하였다.
실시예 5
캐쏘드(1)와 애노드(2)로서 각각 코발트산 리튬(LiCoO2) 및 흑연을 사용하여 실시예 1과 같은 순서에 따라 리튬 이차 전지를 제조하였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코발트산 리튬(LiCoO2) 91 중량%, 비닐리덴 폴리플루오라이드 분말 3 중량% 및 흑연 분말 9 중량%를 사용하고, 실시예 1에 사용한 절차와 동일한 절차를 사용하여 제조하였다.
애노드(2)는 다음과 같이 제조하였다. 흑연화하기 어려운 탄소 91 중량% 및 비닐리덴 폴리플루오라이드 분말 9 중량%를 용매 N-메틸 피롤리돈 내에 분산시키고, 결과된 분산액을 구리 호일 상에 코팅시키고, 진공 중에 120℃에서 24 시간 동안 건조시켰다. 얻어진 생성물을 롤 프레스를 사용하여 두께 170 ㎛로 적당히 프레싱하여 (-) 전극(2)으로 사용하였다.
비교예 1
캐쏘드 단자(5)와 애노드 단자(6)로 두께 100 ㎛의 니켈 호일을 5 ㎜ × 3 ㎝로 절단하여 사용하였다. 실시예 1의 절차와 동일한 절차를 사용하여, 애노드 단자들을 전극에 연결하고 클린치 방식으로 방습성 다층막(4)의 밀봉부(X)에서 밀봉하여 리튬 일차 전지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2
비교예 1에서와 같이 두께 100 ㎛의 니켈 호일을 5 ㎜ × 3 ㎝로 절단하여 전극 단자로 사용하였다. 실시예 3의 절차와 동일한 절차를 사용하여, 전극 단자들을 전극에 연결하고 클린치 방식으로 방습성 다층막(4)의 밀봉부(X)에서 밀봉하여 리튬 이차 전지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3
비교예 1에서와 같이 두께 100 ㎛의 니켈 호일을 5 ㎜ × 3 ㎝로 절단하여 전극 단자로 사용하였다. 실시예 4의 절차와 동일한 절차를 사용하여, 전극 단자들을 전극에 연결하고 클린치 방식으로 방습성 다층막(4)의 밀봉부(X)에서 밀봉하여 리튬 이차 전지를 제조하였다.
특성 평가
전지 내의 수분 양을 측정하는 저장 검사를 실시하여 실시예 및 비교예를 평가하였다.
즉, 실시예 1 내지 5와 비교예 1 내지 3의 전지들을 정상 온도 및 습도의 대기 중에 예정된 시간 동안 방치한 후 분해하여 칼-피셔(Karl-Fischer) 수분계로 전해 질 내의 수분을 측정하였다. 결과를 도 14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1 내지 5와 비교예 1 내지 3의 전지를 예정된 시간 동안 저장한 후 제작 직후 초기 개방 회로 전압에 대한 시간 변화에 따른 개방 회로 전압을 측정하였다. 결과를 도 15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3과 비교예 2의 리튬 이차 전지를 0.25 ㎃/㎠ 방전 조건 하에 온도 23℃에서 10 주 동안 저장했을 때의 방전 특성에 대해 검사하였다. 결과를 도 16에 나타내었다.
이차 전지를 용량의 80% 까지 충전하고 저장 검사를 실시하였다.
도 14 내지 16의 결과로부터 실시예 1 내지 5의 전지가 고기밀성 및 고성능을 보임을 알 수 있다. 반대로, 비교예 1 내지 3의 전지는 아주 약한 응력을 가하여도 밀봉부(X)에서 열융합성 고분자막층(4a)과 전극 단자(니켈 호일)가 얇은 층으로 갈라져 수분이 침투되고 성능이 저하된다.
실시예 1 내지 3과 비교예 1의 애노드(2)(금속 리튬)를 비교하면, 실시예 1 내지 3에서는 금속 리튬이 그의 금속 광택을 유지하였지만, 비교예 1에서는 수산화리튬으로 인해 회색 내지 백색의 분말이 다량 남아있다.
실험 B
실험 B에서는 밀봉부(X)에서 수지층 두께를 증가시킴으로써 얻게 되는 가능한 효과를 검사하였다.
실시예 6
단자 부분을 밀봉하기 위해, 열융합성 고분자막층(4a)과 같은 재료인 폴리에틸렌 단편(7)을 전극 단자의 밀봉부(X)의 정면 및 후면에 각각 미리 도포하였다. 폴리에틸렌 단편(7)은 두께가 100 ㎛이었다.
폴리에틸렌 코팅의 너비는 전극 단자(1) 너비에 좌측과 우측에서 1 ㎜ 씩 더하여 합친 너비가 전극 단자 너비 + 2 ㎜였다. 폴리에틸렌 코팅의 길이는 밀봉부(X)의 양 측면에서 1 ㎜ 씩 더하여 합친 길이가 밀봉부(X)의 길이 + 2 ㎜이었다.
실시예 1과 동일한 방식으로 리튬 일차 전지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7
열융합성 고분자막층(4a)의 밀봉부(X)에서 수지 두께를 200 ㎛으로 설정하였다.
열융합성 고분자막층(4a)의 두꺼워진 수지 부분의 너비는 전극 단자(1) 너비에 좌측과 우측에서 1 ㎜ 씩 더하여 합친 너비가 전극 단자 너비 + 2 ㎜였으며, 두꺼워진 수지부의 길이는 밀봉부(X)의 길이에 양 측면에서 1 ㎜ 씩 더하여 합친 길이가 밀봉부(X)의 길이 + 2 ㎜이었다.
실시예 1과 동일한 방식으로 리튬 일차 전지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8
전극 단자의 밀봉부(X)의 정면 및 배면을 열융합성 고분자막층(4a)에 사용한 것과 같은 재료인 폴리에틸렌으로 사전에 코팅하였다. 폴리에틸렌 코팅의 두께는 양 면에서 100 ㎛이었다.
전극 단자 코팅은 전극 단자의 너비에 좌측과 우측에서 1 ㎜ 씩 더하여 합친 너비가 전극 단자 너비 + 2 ㎜였다. 또한 전극 단자 코팅의 길이는 밀봉부(X)의 길이에 양 측면에서 1 ㎜ 씩 더하여 합친 길이가 밀봉부(X)의 길이 + 2 ㎜이었다.
실시예 1과 동일한 방식으로 리튬 일차 전지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9
방습성 다층막(4)의 열융합성 고분자막층(4a)의 수지 두께는 200 ㎛로 설정하였다.
실시예 1과 동일한 방식으로 리튬 일차 전지를 제조하였다.
특성 평가
조립을 마친 후 단락으로 인한 불합격 발생율을 실시예 1 및 실시예 6 내지 9의 전지에 대해 검사하였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합격 단락으로 인한 불합격
실시예 1 3 7
실시예 6 20 0
실시예 7 10 0
실시예 8 10 0
실시예 9 10 0
표 1의 결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전지 단락으로 인한 불합격 발생율은 실시예 6 내지 9의 전지에서 현저하게 감소된다. 이와 대조적으로 실시예 1의 전지에서는 캐쏘드 단자(5)와 애노드 단자(6)가 알루미늄 호일(금속 호일층(4b))과 접촉하고 있는 밀봉부에서 박리되어 단락을 초래함으로써 불합격될 가능성이 높다.
이들 결과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금속망을 전극 단자로 사용하면, 전극 단자와 열융합성 고분자막층 사이의 내밀성 결합이 개선되어 전극 단자와 열융합성 고분자막층의 얇은 층으로 갈라지려는 것이 방지되고 전지 성능에 크게 영향을 주는 수분의 침투를 막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망상 또는 다공질의 전기 전도체를 전극 단자로 사용하여 전지의 기밀성 및 기계적 강도를 개선할 수 있다.
전극 단자가 통과하는 밀봉부에서 수지 물질의 두께를 증가시키기위해 전극 단자의 밀봉부에 수지 단편을 도포하거나, 코팅하거나, 미리 밀봉부의 수지 물질의 두께를 증가시켜, 캐소드와 애노드의 단락과 전지의 초기 문제점 발생을 막을 수 있다.

Claims (7)

  1. 전극과 외부 단자를 상호접속하는 전극 단자가 망상 또는 다공질의 전기 전도체로 형성된, 고분자막과 금속 호일로 형성된 방습성 다층막으로 싸인 캐쏘드, 애노드 및 전해질을 포함하는 박형 전지.
  2. 제 1 항에 있어서, 망상 또는 다공질의 전기 전도체가 금속망, 망상 금속판, 천공된 금속 및 탄소 섬유의 응집체 중 1종 이상인 박형 전지.
  3. 제 1 항에 있어서, 망상 또는 다공질의 전기 전도체가 탄소, 니켈, 알루미늄, 구리, 텅스텐, 스테인레스강, 철, 은, 금, 이들의 합금 또는 이들 금속 또는 합금으로 도금된 금속 중 1종 이상인 박형 전지.
  4. 제 1 항에 있어서, 애노드가 금속 리튬으로 형성되고, 캐쏘드가 리튬 이온을 흡장할 수 있는 물질로 형성되고, 전해질이 비수성 액체 전해질, 고체 전해질 및 겔 전해질 중 하나인 박형 전지.
  5. 제 1 항에 있어서, 애노드가 금속 리튬, 리튬 합금 및 리튬을 가역적으로 도입하거나 제거할 수 있는 물질 중 하나로 형성되고, 캐쏘드가 리튬을 가역적으로 도입하거나 제거할 수 있는 물질로 형성되고, 전해질이 비수성 액체 전해질, 고체 전해질 및 겔 전해질 중 하나인 박형 전지.
  6. 제 1 항에 있어서, 방습성 다층막의 개구부가 고분자막으로 밀봉되고, 전극 단자가 통과하는 밀봉부의 고분자막의 두께가 밀봉부의 나머지 영역 보다 더 두꺼운 박형 전지.
  7. 제 6 항에 있어서, 수지 단편을 밀봉부와 접하는 전극 단자의 표면에 도포하거나 수지 단편으로 밀봉부와 접하는 전극 단자의 표면을 피복하는 박형 전지.
KR10-1998-0005912A 1997-02-26 1998-02-25 박형전지 KR10050805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4251797 1997-02-26
JP97-042517 1997-02-26
JP98-016908 1998-01-29
JP01690898A JP3767151B2 (ja) 1997-02-26 1998-01-29 薄型電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71683A true KR19980071683A (ko) 1998-10-26
KR100508052B1 KR100508052B1 (ko) 2005-11-11

Family

ID=263533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05912A KR100508052B1 (ko) 1997-02-26 1998-02-25 박형전지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6291098B1 (ko)
EP (1) EP0862227B1 (ko)
JP (1) JP3767151B2 (ko)
KR (1) KR100508052B1 (ko)
CN (1) CN1183614C (ko)
ID (1) ID19961A (ko)
MY (1) MY118823A (ko)
SG (1) SG63814A1 (ko)
TW (1) TW384552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753763B2 (en) 2010-11-16 2014-06-17 Samsung Electronics Co., Ltd. Flexible battery and flexible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14606A (ja) * 1996-11-28 1998-08-11 Sanyo Electric Co Ltd ラミネート外装体の薄型電池
JPH11288698A (ja) 1998-03-10 1999-10-19 Samsung Display Devices Co Ltd 2次電池
US7297441B2 (en) * 1998-10-23 2007-11-20 Sony Corporation Nonaqueous-electrolyte secondary battery
JP4168498B2 (ja) 1998-10-23 2008-10-22 ソニー株式会社 非水電解質二次電池
JP4126711B2 (ja) * 1998-10-23 2008-07-30 ソニー株式会社 非水電解質電池
EP2804233A1 (en) * 1998-10-23 2014-11-19 Sony Corporation Nonaqueous-electrolyte secondary battery
JP3830008B2 (ja) 1998-10-30 2006-10-04 ソニー株式会社 非水電解質電池
JP4433506B2 (ja) * 1998-11-06 2010-03-17 株式会社ジーエス・ユアサコーポレーション 電池
US6797429B1 (en) 1998-11-06 2004-09-28 Japan Storage Battery Co, Ltd. Non-aqueous electrolytic secondary cell
JP4265014B2 (ja) * 1998-12-22 2009-05-20 ソニー株式会社 薄型電池
JP4526617B2 (ja) * 1998-12-25 2010-08-18 アオイ電子株式会社 二次電池
JP2000215877A (ja) * 1999-01-20 2000-08-0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扁平電池
TW439309B (en) * 1999-01-22 2001-06-07 Toshiba Corp Nonaquous electrolyte secondary battery
DE19910433A1 (de) * 1999-03-10 2000-09-14 Hoefliger Harro Verpackung Elektrochemische Zellen enthaltende Batterie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derselben
JP4193271B2 (ja) * 1999-03-12 2008-12-10 ソニー株式会社 固体電解質電池
JP4154633B2 (ja) 1999-03-12 2008-09-24 ソニー株式会社 非水電解質電池
WO2000059063A1 (en) * 1999-03-26 2000-10-05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Laminate sheath type battery
CN100380710C (zh) * 1999-03-26 2008-04-09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叠合片封装型电池
CN1196215C (zh) * 1999-05-14 2005-04-06 三菱电机株式会社 板状电池和电子仪器
CN1160821C (zh) 1999-07-23 2004-08-04 三菱电机株式会社 电池和电池检查方法
KR100615153B1 (ko) * 1999-08-09 2006-08-25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리튬 2차 전지
GB9929698D0 (en) * 1999-12-15 2000-02-09 Danionics As Non-aqueous electrochemical cell
EP1120849A3 (en) 2000-01-27 2004-07-21 Sony Corporation Gel electrolyte battery
JP4604306B2 (ja) * 2000-03-10 2011-01-05 ソニー株式会社 固体電解質電池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1266952A (ja) * 2000-03-23 2001-09-28 Sony Corp リチウムイオン電池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0647570B1 (ko) * 2000-03-28 2006-11-1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리튬 이온 2 차 전지 및 그것의 제조 방법
JP4761610B2 (ja) * 2000-07-07 2011-08-31 株式会社東芝 電池
KR20030008513A (ko) * 2001-07-18 2003-01-29 성남전자공업주식회사 리튬 폴리머 전지
DE10151240A1 (de) * 2001-10-17 2003-05-08 Dilo Trading Ag Zug Elektrochemisches Element mit einem Polymerzellenverbund und Verfahren zur Ausbildung eines Verbundkörpers zur Einhausung
JP4428905B2 (ja) * 2002-02-01 2010-03-10 日本電気株式会社 扁平型電池およびそれを用いた組電池
KR20040082422A (ko) * 2002-02-12 2004-09-24 에버레디 배터리 컴퍼니, 인크. 가요성의 얇은 인쇄 전지 및 장치와 그것의 제조 방법
US20060105244A1 (en) * 2002-06-08 2006-05-18 Kejha Joseph B Lithium based electrochemical devices having a ceramic separator glued therein by an ion conductive adhesive
JP3687632B2 (ja) * 2002-06-26 2005-08-24 日産自動車株式会社 薄型電池
JP3729164B2 (ja) 2002-08-05 2005-12-21 日産自動車株式会社 自動車用電池
US7993773B2 (en) 2002-08-09 2011-08-09 Infinite Power Solutions, Inc. Electrochemical apparatus with barrier layer protected substrate
US8431264B2 (en) 2002-08-09 2013-04-30 Infinite Power Solutions, Inc. Hybrid thin-film battery
US8021778B2 (en) 2002-08-09 2011-09-20 Infinite Power Solutions, Inc. Electrochemical apparatus with barrier layer protected substrate
US8404376B2 (en) 2002-08-09 2013-03-26 Infinite Power Solutions, Inc. Metal film encapsulation
US8236443B2 (en) 2002-08-09 2012-08-07 Infinite Power Solutions, Inc. Metal film encapsulation
US8445130B2 (en) 2002-08-09 2013-05-21 Infinite Power Solutions, Inc. Hybrid thin-film battery
US20070264564A1 (en) 2006-03-16 2007-11-15 Infinite Power Solutions, Inc. Thin film battery on an integrated circuit or circuit board and method thereof
US8394522B2 (en) 2002-08-09 2013-03-12 Infinite Power Solutions, Inc. Robust metal film encapsulation
JP4483162B2 (ja) * 2002-08-22 2010-06-16 日産自動車株式会社 積層型電池、組電池、電池モジュール並びに電気自動車
US7033698B2 (en) * 2002-11-08 2006-04-25 The Gillette Company Flexible cathodes
KR20040054128A (ko) * 2002-12-17 2004-06-25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파우치형 리튬 이차 전지
JP2004281278A (ja) 2003-03-17 2004-10-07 Sony Corp 電池
US8728285B2 (en) 2003-05-23 2014-05-20 Demaray, Llc Transparent conductive oxides
JP4175215B2 (ja) 2003-08-08 2008-11-05 日産自動車株式会社 バイポーラ電池、組電池、複合組電池、および組電池または複合組電池を用いた車両
JP4704669B2 (ja) * 2003-08-28 2011-06-15 セイコーインスツル株式会社 平板型電気化学セル及びその製造法
JP5013666B2 (ja) * 2003-10-17 2012-08-29 ソニー株式会社 外装フィルムを使用した電池パック及び電池パックの製造方法
US8722235B2 (en) 2004-04-21 2014-05-13 Blue Spark Technologies, Inc. Thin printable flexible electrochemical cell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DE112005000085T5 (de) * 2004-06-01 2013-10-10 Panasonic Corporation Dünner Film für eine Baugruppe einer Alkalibatterie und dünne Luftbatterie, welche diesen einsetzt
JP2006015884A (ja) * 2004-07-02 2006-01-19 Yokohama Rubber Co Ltd:The タイヤ情報送信装置、タイヤ情報取得システムおよびタイヤ・ホイール組立体
CN101931097B (zh) 2004-12-08 2012-11-21 希莫菲克斯公司 LiCoO2的沉积
US7959769B2 (en) 2004-12-08 2011-06-14 Infinite Power Solutions, Inc. Deposition of LiCoO2
US8029927B2 (en) 2005-03-22 2011-10-04 Blue Spark Technologies, Inc. Thin printable electrochemical cell utilizing a “picture frame” and methods of making the same
US8722233B2 (en) 2005-05-06 2014-05-13 Blue Spark Technologies, Inc. RFID antenna-battery assembly and the method to make the same
KR100846074B1 (ko) * 2005-05-09 2008-07-14 주식회사 엘지화학 파우치형 전지의 입체형 전극단자
CN100397700C (zh) * 2005-11-18 2008-06-25 中国科学院上海微系统与信息技术研究所 薄型锂离子电池及制备方法
US8062708B2 (en) 2006-09-29 2011-11-22 Infinite Power Solutions, Inc. Masking of and material constraint for depositing battery layers on flexible substrates
US8197781B2 (en) 2006-11-07 2012-06-12 Infinite Power Solutions, Inc. Sputtering target of Li3PO4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JP4735556B2 (ja) * 2007-01-30 2011-07-27 ソニー株式会社 固体電解質電池の製造方法
KR100884474B1 (ko) 2007-04-02 2009-02-20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파우치형 이차 전지 및 그 제조 방법
CN101802848A (zh) 2007-07-18 2010-08-11 蓝色火花科技有限公司 集成电子器件及其制造方法
KR20100097217A (ko) 2007-12-19 2010-09-02 블루 스파크 테크놀러지스, 인크. 고전류의 박형 전기화학적 셀 및 이의 제조 방법
US8268488B2 (en) 2007-12-21 2012-09-18 Infinite Power Solutions, Inc. Thin film electrolyte for thin film batteries
KR20100102180A (ko) 2007-12-21 2010-09-20 인피니트 파워 솔루션스, 인크. 전해질 막을 위한 표적을 스퍼터링하는 방법
JP5705549B2 (ja) 2008-01-11 2015-04-22 インフィニット パワー ソリューションズ,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薄膜電池および他のデバイスのための薄膜カプセル化
US8350519B2 (en) 2008-04-02 2013-01-08 Infinite Power Solutions, Inc Passive over/under voltage control and protection for energy storage devices associated with energy harvesting
JP5056558B2 (ja) * 2008-04-16 2012-10-24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全固体リチウム二次電池
US8906523B2 (en) 2008-08-11 2014-12-09 Infinite Power Solutions, Inc. Energy device with integral collector surface for electromagnetic energy harvesting and method thereof
EP2332127A4 (en) 2008-09-12 2011-11-09 Infinite Power Solutions Inc ENERGY DEVICE HAVING AN INTEGRATED CONDUCTIVE SURFACE FOR DATA COMMUNICATION VIA ELECTROMAGNETIC ENERGY AND ASSOCIATED METHOD
WO2010042594A1 (en) 2008-10-08 2010-04-15 Infinite Power Solutions, Inc. Environmentally-powered wireless sensor module
TW201019357A (en) * 2008-11-06 2010-05-16 Chien-Chiang Chan Energy cell package
JP5457040B2 (ja) 2009-01-13 2014-04-02 昭和電工パッケージング株式会社 電気化学デバイスおよびその製造方法
EP2474056B1 (en) 2009-09-01 2016-05-04 Sapurast Research LLC Printed circuit board with integrated thin film battery
JP5006477B2 (ja) * 2010-01-19 2012-08-22 エナックス株式会社 シート状二次電池及びその製造方法
JP5369050B2 (ja) * 2010-05-20 2013-12-18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高耐食性を有する金属多孔体
JP2013528912A (ja) 2010-06-07 2013-07-11 インフィニット パワー ソリューションズ,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再充電可能高密度電気化学素子
KR101142682B1 (ko) * 2010-06-16 2012-05-03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배터리 팩
WO2013044224A2 (en) 2011-09-22 2013-03-28 Blue Spark Technologies, Inc. Cell attachment method
JP2013134818A (ja) 2011-12-26 2013-07-08 Showa Denko Kk 端子リード
CN102709581A (zh) * 2012-04-19 2012-10-03 珠海格力新能源科技有限公司 一种提高超薄电池抗褶皱能力的方法
WO2013177202A1 (en) 2012-05-21 2013-11-28 Blue Spark Technologies, Inc. Multi-cell battery
CN104936513B (zh) 2012-11-01 2018-01-12 蓝色火花科技有限公司 体温记录贴片
US9444078B2 (en) 2012-11-27 2016-09-13 Blue Spark Technologies, Inc. Battery cell construction
JP5969368B2 (ja) * 2012-11-30 2016-08-17 昭和電工パッケージング株式会社 電気化学素子用外装体
US9693689B2 (en) 2014-12-31 2017-07-04 Blue Spark Technologies, Inc. Body temperature logging patch
CN104779402B (zh) * 2015-04-24 2018-04-17 惠州市豪鹏科技有限公司 一种新型超薄电池及其制备方法
CN107615030B (zh) * 2015-05-29 2020-05-01 株式会社村田制作所 压电膜传感器以及保持状态检测装置
JP6649026B2 (ja) 2015-10-02 2020-02-19 昭和電工パッケージング株式会社 蓄電デバイス
JP2017073209A (ja) 2015-10-05 2017-04-13 昭和電工株式会社 蓄電デバイス
CN106972189A (zh) * 2017-03-07 2017-07-21 惠州亿纬锂能股份有限公司 一种超薄电池的制备方法及超薄电池
US10849501B2 (en) 2017-08-09 2020-12-01 Blue Spark Technologies, Inc. Body temperature logging patch
US10481215B2 (en) * 2017-08-31 2019-11-19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evaluating a battery cell
CN113871809A (zh) * 2021-09-27 2021-12-31 珠海冠宇电池股份有限公司 胶纸、极耳及电池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607401A (en) * 1968-05-15 1971-09-21 Nasa Frangible electrochemical cell
US4092464A (en) * 1976-07-19 1978-05-30 P. R. Mallory & Co. Inc. Flexible cells and batteries formed therefrom
JPS63133452A (ja) * 1986-11-21 1988-06-06 Japan Storage Battery Co Ltd 鉛電池用格子体
DE3732037A1 (de) * 1986-12-19 1988-06-23 Shin Kobe Electric Machinery Dichte bleibatterie und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GB8630857D0 (en) 1986-12-24 1987-02-04 Sylva Ind Ltd Electrical contact tab
CA2011720C (en) * 1989-03-30 1999-11-30 Robert A. Austin Battery in a vacuum sealed enveloping material and a process for making the same
US4997732A (en) * 1989-03-30 1991-03-05 Mhb Joint Venture Battery in a vacuum sealed enveloping material and a process for making the same
FR2652450B1 (fr) 1989-09-22 1991-11-29 Accumulateurs Fixes Procede de fabrication d'une electrode a support de type mousse pour generateur electrochimique et electrode obtenue par ce procede.
US5456813A (en) 1993-01-26 1995-10-10 Societe Anonyme: Saft Method of joining a metal connection tab to an electro-chemical cell electrode having a foam-type support, and an electrode obtained by the method
US5591540A (en) * 1995-06-26 1997-01-07 Motorola, Inc. Packaging for an electrochemical device and device using same
KR970077783A (ko) * 1996-05-14 1997-12-12 손욱 축전지용 양극판 및 그 제조방법
US5837397A (en) * 1996-11-08 1998-11-17 Gould Electronics Inc. Laminar (flat or paper-type) lithium-ion battery with slurry anodes and slurry cathode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753763B2 (en) 2010-11-16 2014-06-17 Samsung Electronics Co., Ltd. Flexible battery and flexible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862227A1 (en) 1998-09-02
MY118823A (en) 2005-01-31
CN1183614C (zh) 2005-01-05
ID19961A (id) 1998-08-27
KR100508052B1 (ko) 2005-11-11
CN1192058A (zh) 1998-09-02
EP0862227B1 (en) 2012-07-18
JPH10302756A (ja) 1998-11-13
TW384552B (en) 2000-03-11
JP3767151B2 (ja) 2006-04-19
US6291098B1 (en) 2001-09-18
SG63814A1 (en) 1999-03-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08052B1 (ko) 박형전지
US7566515B2 (en) Flat non-aqueous electrolyte secondary cell
US6908711B2 (en) Rechargeable high power electrochemical device
KR100985365B1 (ko) 전기화학적 전지
US6376128B1 (en) Solid electrolyte battery having reduced sized electrodes
US20130177787A1 (en) Current collector and nonaqueous secondary battery
KR19990087037A (ko) 작은 내부 저항 리튬 이온 배터리용 재료 및 방법
CA1165384A (en) Contact arrangement for a galvanic battery
US6338920B1 (en) Electrode for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and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using the same
JP2001297795A (ja) 電 池
JP4366775B2 (ja) 固体電解質電池
JP3863135B2 (ja) 電池
US20160028048A1 (en) Lithium battery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JP3588264B2 (ja) 二次電池
JP4075234B2 (ja) 固体電解質電池及びその製造方法
US9640834B2 (en) Lithium battery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JP3579227B2 (ja) 薄形二次電池
JP2005149882A (ja) 電気化学セル及びその製造方法
JPH10302828A (ja) 角型電池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4283518B2 (ja) 電気化学デバイス
JP2004319097A (ja) 電気化学セル
JP4363558B2 (ja) 扁平形非水電解質二次電池
JP4565530B2 (ja) 扁平形非水電解質二次電池
KR200244307Y1 (ko) 고체 전해질 전지
JP2001143763A (ja) 扁平形非水電解質二次電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2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5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2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8

Year of fee payment: 13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