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70593A - 디지탈 신호 재생 장치 - Google Patents

디지탈 신호 재생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70593A
KR19980070593A KR1019980001383A KR19980001383A KR19980070593A KR 19980070593 A KR19980070593 A KR 19980070593A KR 1019980001383 A KR1019980001383 A KR 1019980001383A KR 19980001383 A KR19980001383 A KR 19980001383A KR 19980070593 A KR19980070593 A KR 199800705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error
sector
digital signal
fla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013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73727B1 (ko
Inventor
나가이히로시
사가노슈이찌
다께우찌도시후미
호시자와다꾸
가와마에오사무
Original Assignee
가나이쯔도무
가부시끼가이샤히다찌세이사꾸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나이쯔도무, 가부시끼가이샤히다찌세이사꾸쇼 filed Critical 가나이쯔도무
Publication of KR199800705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705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737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73727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8Error detection or correction; Testing, e.g. of drop-outs
    • G11B20/1806Pulse code modulation systems for audio signals
    • G11B20/1813Pulse code modulation systems for audio signals by adding special bits or symbols to the coded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91Television signal processing therefor
    • H04N5/93Regener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or of selected parts thereof
    • H04N5/94Signal drop-out compensation
    • H04N5/945Signal drop-out compensation for signals recorded by pulse code modulation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8Error detection or correction; Testing, e.g. of drop-outs
    • G11B20/1816Testing
    • G11B2020/183Testing wherein at least one additional attempt is made to read or write the data when a first attempt is unsuccessfu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91Television signal processing therefor
    • H04N5/92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 H04N5/926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by pulse code modulation
    • H04N5/9261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by pulse code modulation involving data reduction
    • H04N5/9262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by pulse code modulation involving data reduction using predictive cod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 Signal Processing For Digit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지탈 데이타의 오류 정정 처리 후에 섹터 단위의 오류 플래그를 출력하는 것으로, 급속하게 재실행 처리를 행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블록 정정 불능 생성 수단(119)의 출력이 정정 불능을 지시했을 경우, 판독 수단(116)으로부터 판독한 데이타에 해당하는 섹터가 오류인가 바른가를 제2 플래그 보유 수단(118)의 결과에 기초로 판단하고, 오류라고 판단했을 때, 다시 기록 매체로부터 신호를 다시 한번 읽어 일시 기록 수단(104)에 다시 한번 저장하여, 오류 정정 처리를 다시 실행하고, 블록 정정 불능 생성 수단의 출력이 정정 불능을 지시했을 경우에도, MPEG의 P 픽처나 B 픽처의 데이타와 같이 다소 오류가 있어도 재생할 수 있는 신호이면 판독 수단으로 데이타를 출력한다. 그 때, 오류 플래그를 데이타와 함께 출력하는 것으로, 데이타를 받는 측에서 어느 섹터에 오류가 있는가를 알아 그 후의 오류에 대한 처리를 용이하게 한다.

Description

디지탈 신호 재생 장치
광학식 디스크와, 자기 테잎 등의 기록 매체에 영상 데이타를 기록할 경우의 영상을 고화질 또 장시간 기록하기 위한 하나의 방법으로서는, 영상 데이타에 MPEG의 압축 처리를 행하는 것이 권장된다. MPEG에 대해서는, 「藤原洋 감수, 최신 MPEG 교과서, 1994년 8월 1일 아스키 출판국 발행」에 상세하게 설명되어 있다.
MPEG을 이용해 기록을 행할 경우에는, 먼저 MPEG 엔코더로 영상 신호를 MPEG 신호로 변환한다. 이 MPEG 신호의 데이타는, n바이트(n : 자연수)마다 균등하게 분할하고, m바이트(m : 0 이상의 정수)의 부속 데이타를 부가하여 섹터를 구성하는 한편, p개(p : 자연수)의 섹터와 제1 및 제2 오류 정정 부호로 정정 블록을 구성한다. 이 정정 블록에 변조 처리 등의 디지탈 신호 처리를 행하고, 광학식 디스크와, 자기 테잎 등의 기록 매체에 기록한다.
이와 같이 하여 기록 매체에 기록된 영상 신호를 재생하는데는, 기록시와 반대의 처리를 행하면 된다. 즉, 기록 매체에서 판독한 데이타에 대해, 먼저 복조 처리와, 오류 정정 처리를 행하고, MPEG 신호로 되돌아가서 전송율 제어용 버퍼에 기록한다. 전용율 제어용 버퍼는, MPEG 디코더로의 데이타 출력의 전송율에 맞춰 지정된 기록 데이타를 MPEG 디코더로 출력한다. MPEG 디코더는, MPEG 신호를 영상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오류 정정 처리에서는, 기록시에 미리 데이타와 함께 기록된 오류 정정 부호를 이용하여, 오류 정정 처리용 버퍼에 일단 기록한 재생 데이타에 오류 정정 처리를 행한다. 데이타의 취급은 섹터 단위로 행하지만, 오류 정정 능력의 향상과, 부호 용장도의 저감을 고려하여 부호 길이를 크게 하기 위해 오류 정정 처리는 정정 블록 단위로 행한다.
정정 블록 단위의 데이타는 2차원 배열로 하고, 먼저 수직 방향으로 연산하여 제2 오류 정정 부호(C2)를 얻는다. 이 제2 오류 정정 부호(C2)는, 수직 방향으로 연산한 열에 부가한다. 다음에 수평 방향으로 연산하여 제1 정정 부호(C1)를 얻는다. 이 제1 오류 정정 부호(C1)는, 수평 방향으로 연산한 행에 부가한다. 재생시는, 먼저 제1 오류 정정 부호(C1)에 의해 정정 처리를 행한다. 다음에, 제2 정정 부호(C2)를 이용해 제2 정정 처리를 행한다.
MPEG의 압축 처리에서는, 복잡한 영상과 단순한 영상에서는 압축율이 다르기 때문에, 디지탈 신호 처리 회로에서 MPEG 디코더로의 데이타 출력은 가변 전송율로 된다(MPEG 디코더에서의 출력이 일정한 전송율이기 때문임). 한편, 광학식 디스크와, 자기 테잎 등의 기록 매체에서 디지탈 신호 처리로의 데이타 판독은 일정한 전송율 출력쪽이 용이하여, MPEG 디코더로의 데이타 출력의 전송율에 맞춰 판독 전송율을 맞추는 것은 어렵다.
그래서, 광학식 디스크로부터의 판독 전송율은 일정하게 하고, 정정 처리 후의 데이타를 MPEG 디코더로 출력하기 전 단계에서, 전송율 제어용 버퍼를 이용해 전송율을 조종한다.
또, 오류 정정 처리용 버퍼와 전송율 제어용 버퍼는 하나의 공통 버퍼로 실현하면, 버퍼 용량을 절약하고, 오류 정정 처리용 버퍼에서 전송율 제어용 버퍼로 데이타를 전송할 필요가 없게 되는 등 유익한 일이 많다.
기록 매체에서 판독된 데이타가 제1 정정 부호로 정정 가능한 상한을 넘는 오류를 포함할 경우는, 그 제1 부호에 오류가 있는 것만을 나타내는 플래그를 발생시킨다. 다음에, 이 플래그와 제2 정정 부호를 이용해 제2 정정 처리를 행한다.
제2 오류 정정 처리를 행하여도, 제2 오류 정정 처리의 정정 능력을 넘은 오류가 제1 정정 처리 후의 데이타에 발생하고 있으면, 정정 불능으로 되고, 복수 섹터로 이루어지는 정정 블록에 오류가 존재한 상태로 정정 처리 동작이 종료한다. 정정 불능이 검출된 정정 블록 중, 어느 일부의 섹터만이 영상 재생에 필요할 경우, 종래, 예를 들어 필요한 섹터에는 오류가 생겼어도 정정 블록 단위로 처리를 행함으로써, 정정 불능으로 된 정정 블록의 모든 섹터에 대해서도 또 한번 데이타를 기록 매체에서 읽고, 오류 정정 처리를 행할(이하, 재실행 동작이라 칭함) 필요가 있다.
또한, 오류 플래그를 데이타 출력 처리시에 출력했을 경우에는, 오류 플래그의 결과에 의해 재실행 동작을 행하면, 재실행 개시에서 재실행 후 데이타 출력까지의 시간이 길게 되면, 출력 데이타의 실질적인 전송율이 저하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재실행 동작을 신속하게 행하는 것이 가능한 디지탈 신호 재생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디지탈 신호의 데이타를 n 바이트(n은 자연수)마다 분할하고, 그 각 n 바이트의 데이타에 m 바이트(m은 자연수)의 부속 데이타를 부가하여 섹터를 구성하는 한편, p개(p는 자연수)의 상기 섹터의 데이타에 대해서, 제1 및 제2 오류 정정 부호를 부가하여 정정 블록을 구성한 데이타가 기록되는 기록 매체의 기록 데이타에서, 상기 디지탈 신호를 재생하는 디지탈 신호 재생 장치에 있어서, 상기 기록 매체로부터, 상기 기록 데이타를 읽어 들이는 독해 수단과, 상기 읽어 들인 데이타 및 오류 정정 처리를 실시한 데이타를 일시적으로 저장하기 위한 일시 기록 수단과, 읽어 들여 상기 일시 기록 수단에 저장한 정정 블록의 데이타에 대해, 제1 오류 정정 부호를 이용해 제1 오류 정정 처리를 행하는 한편, 제2 오류 정정 부호를 이용해 제2 오류 정정 처리를 행하는 오류 정정 수단과, 오류 정정 처리를 실시하여 상기 일시 기록 수단에 저장하고 있는 데이타를 판독하는 판독 수단과, 상기 제1 및 제2 오류 정정 처리의 결과에 기초하여 오류 정정을할 수 없었던 섹터를 나타내는 섹터 오류 플래그를 생성하는 생성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탈 신호 재생 장치를 제공한다.
오류 정정 처리를 실시하여 상기 일시 기록 수단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타의 모든 섹터에 대해서, 상기 생성 수단에서 생성된 섹터 오류 플래그를 보유하는 제1 플래그 보유 수단을 더 구비하도록 해도 된다.
상기 출력 처리 수단이 디지탈 신호를 출력할 때에, 그 디지탈 신호의 기초로 되는 데이타에 대응하여 상기 제1 플래그 보유 수단에 보유되어 있는 오류 플래그를 출력하는 수단을 더 구비하도록 해도 된다.
상기 일시 기록 수단에 저장되어 있는 정정 블록의 데이타에 대해 상기 제1 및 제2 오류 정정 처리가 종료할 때마다, 그 정정 블록의 p개의 섹터에 대해서 상기 생성 수단에서 생성된 섹터 오류 플래그를 보유하는 제2 플래그 보유 수단을 더 구비하도록 해도 된다.
상기 제2 플래그 보유 수단에서 섹터 오류 플래그가 보유되었을 경우, 오류 정정정을 할 수 없었던 섹터가 있다는 것을 통지하는 통지 신호를 출력하는 블록 정정 불능 생성 수단을 더 구비하도록 해도 된다.
상기 통지 신호가 지정하는 정정 블록의 데이타가 상기 기록 매체로부터 다시 읽어 들여지고, 오류 정정 처리를 실시하여 상기 일시 기록 수단에 다시 한번 저장되도록 하는 재실행 기능을 갖는 제어 수단을 더 구비하도록 해도 된다.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통지 신호가 지정하는 정정 블록의 데이타가 그대로 상기 판독 수단에 의해 판독되도록 하는 비 재실행 기능과, 재실행의 실시의 유무를 판단하는 판단 기능을 더 갖고, 그 판단 기능의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재실행 기능 및 비 재실행 기능 중 한쪽을 선택적으로 유효하게 하는 것이어도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디지탈 신호 재생 장치 중, 디지탈 신호 처리를 행하는 부분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인 기록 방법에 의한 포맷도 중, 섹터의 포맷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인 기록 방법에 의한 포맷도 중, 정정 블록의 포맷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인 기록 방법에 의한 포맷도 중, 메모리 맵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데이타의 재생 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디지탈 신호 처리 회로
101 : 디지탈 신호 입력 단자
102 : 복조 처리 회로
103 : 메모리 컨트롤러
104 : 오류 정정용 버퍼 또 데이타 전송율 제어용 버퍼에 상당하는 메모리
105 : 오류 정정 처리 회로
106 : C1 정정 수단
107 : C1 플래그 생성 수단
108 : C2 정정 수단
110 : 섹터 오류 플래그 생성 수단
111 : 마이크로 컴퓨터 인터패이스
112 : 시스템 컨트롤러
113 : 출력 처리 회로
114 : 디지탈 신호 출력 단자
115 : 섹터 오류 플래그용 셀렉터
116 : 섹터 오류 플래그 레지스터 A
117 : 섹터 오류 플래그 출력 단자
118 : 섹터 오류 플래그 레지스터 B
119 : 정정 블록 단위의 오류 검출 플래그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대해서 이하 설명한다. 여기서 채택하고 있는 것은, 디스크에서 판독된 데이타를 거둬 들이고, 오류 정정 처리를 행하여 MPEG 디코더 혹은 컴퓨터로 출력하는 디지탈 신호 처리를 행하는 부분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인 디지탈 신호 재생 장치 중, 디지탈 신호 처리를 행하는 부분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에 있어서, 참조 번호 100은, 디지탈 신호 처리 회로이고, 참조 번호 101은 디지탈 신호 입력 단자이며, 참조 번호 102는 복조 처리 회로이고, 참조 번호 103은 메모리 컨트롤러이며, 참조 번호 104는 오류 정정용 버퍼 또 데이타 전송율 제어용 버퍼에 상당하는 메모리이고, 참조 번호 105는 오류 정정 처리 회로이며, 참조 번호 106은 C1 정정 수단이고, 참조 번호 107은 C1 플래그 생성 수단이며, 참조 번호 108은 C2 정정 수단이고, 참조 번호 109는 C2 플래그 생성 수단이며, 참조 번호 110은 섹터 오류 플래그 생성 수단이다.
한편, 참조 번호 111은 마이크로 컴퓨터 인터패이스이고, 참조 번호 112는 시스템 컨트롤러에 상당하는 마이크로 컴퓨터이며, 참조 번호 113은 출력 처리 회로이고, 참조 번호 114는 디지탈 신호 출력 단자이며, 참조 번호 115는 섹터 오류 플래그용 셀렉터이고, 참조 번호 116은 섹터 오류 플래그 레지스터 A이며, 참조 번호 117은 섹터 오류 플래그 출력 단자이고, 참조 번호 118은 섹터 오류 플래그 레지스터 B이며, 참조 번호 119는 정정 블록 단위의 오류 검출 플래그이다.
도 2는 데이타 출력의 단위인 섹터의 포맷을 나타내고 있다. 참조 번호 201은 데이타를 2048 바이트 단위로 분할된 메인 데이타이고, 참조 번호 202는 메인 데이타에 대해 각 섹터를 식별하기 위한 4바이트의 고유 번호인 ID이며, 참조 번호 203은 ID의 오류 정정 부호인 IEC이고, 참조 번호 204는 메인 데이타의 부속 정보인 서브 데이타이며, 참조 번호 205는 1섹터의 오류 검출 부호인 EDC이다. 참조 번호 201, 202, 203, 204, 205를 합하여 1섹터로 한다.
데이타 출력은 섹터 단위로 행하지만, 오류 정정 능력의 향상과 부호 용장도의 저감을 고려해 부호 길이를 크게 하기 위해, 16섹터분을 1단위로 하여 정정 블록을 구성한다. 도 3은 오류 정정 블록의 포맷을 나타내고 있다. 참조 번호 301은 1개의 섹터이다. 이것을 16개 모아 2차원 배열로 하고, 먼저 수직 방향으로 연산하여 제2 오류 정정 부호(C2)를 얻는다. 참조 번호 303은 제2 오류 정정 부호이다. 다음에, 수평 방향으로 연산하여 제1 오류 정정 부호(C1)를 얻는다. 참조 번호 302는 제1 오류 정정 부호이다. 이들 C1, C2를 16개의 섹터에 부가한 것을 1 정정 블록으로 한다.
MPEG의 압축 처리에서는, 표시 내용이 복잡한 영상과 단순한 영상에서는 압축율이 다르기 때문에, 디지탈 신호 처리 회로에서 MPEG 디코더로의 데이타 출력은 가변 전송율로 된다. 한편, 광학식 디스크와, 자기 테잎 등의 기록 매체에서 디지탈 신호 처리로의 데이타 판독은 일정한 전송율 출력쪽이 용이하고, MPEG 디코더로의 데이타 출력의 전송율에 맞춰 판독 전송율을 합치는 것은 어렵다.
그래서, 본 실시 형태에서는, 광학식 디스크에서의 판독 전송율은 일정하게 하고, 또한 오류 정정한 데이타를 MPEG 디코더로 출력하기 전 단계에서, 전송율 제어용 버퍼를 이용해 전송율을 조종하도록 하고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오류 정정 처리용 버퍼와 전송율 제어용 버퍼를 하나의 공통 버퍼로 실현함으로써, 버퍼 용량의 절약이나, 데이타 전송 처리의 경감 등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도 4에 오류 정정 처리용 버퍼 및 가변 전송율 제어용 버퍼가 형성되어 있는 메모리(104)의 메모리 맵을 나타낸다. 참조 번호 401은 1개의 정정 블록의 저장 영역이다. 가변 변동율에 대응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메모리(104)에는 전송율 제어용 버퍼 및 오류 정정 처리용 버퍼로서 14개의 정정 블록 저장 영역(401)를 두고 있다. 이로써, 디스크로의 액세스 중에서도 데이타를 도중에 끊는 일 없이 출력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또한, 메모리(104)에는 MPEG 데이타의 제어 신호용 버퍼로서 작업 영역(402)을 마련하고 있다. 또, 정정 블록 저장 영역(401)의 수는 14 이외의 수로서도 된다.
도 1에 있어서, 디지탈 신호 입력 단자(101)로부터 입력된 디지탈 신호는 복조 처리 회로(102)로 공급된다. 복조 처리 회로(102)는 공급된 디지탈 신호에 대해 복조 처리를 행한다. 복조 처리된 신호는, 메모리 컨트롤러(103)를 통해 메모리(104)에 기록된다. 메모리(104)에 기록된 디지탈 신호는 메모리 컨트롤러(103)를 통해 오류 정정 처리 회로(105)로 전송되어 오류 정정 처리를 실시한다.
오류 정정 처리는, 이하의 순서로 실시된다. 먼저, C1 정정 수단(106)이 제1 오류 정정 부호(C1)를 이용해, 제1 정정 처리를 행하고, 제1 오류 플래그 생성 수단(107)은 오류 정정을 할 수 있던 섹터에 대해 제1 오류 플래그를 세운다. 다음에, C2 정정 수단(108)이 제2 정정 부호(C2)를 이용해, 제2 정정 처리를 행하고, 제2 오류 플래그 생성 수단(109)은, 오류 정정할 수 있게 된 열이 있을 경우, 제2 오류 플래그를 세운다. 제1 오류 플래그 및 제2 오류 플래그의 지정 상태를 기초로, 섹터 오류 플래그 발생 수단(110)은, 섹터 단위의 오류 플래그, 즉 섹터 오류 플래그를 생성한다. 구체적으로는, 수직 방향 208 바이트 단위의 제2 정정 처리로 정정할 수 있는 열이 발생했을 경우, 수평 방향 182 바이트 단위의 제1 정정 처리로 정정할 수 있었고, 제1 오류 플래그가 설정되어 있는 행을 포함하는 섹터에 대해서 섹터 오류 플래그를 설정한다.
정정 후의 데이타가 전송율용 버퍼에서 보유되고 있는 사이, 그들 데이타에 대응하는 섹터 오류 플래그는, 섹터 오류 플래그 레지스터(A116)에 모두 저장되어 있다. 전송율 제어용 버퍼에 있는 모든 데이타에 대해 오류 플래그를 보유하게 해도 이 플래그는 섹터 단위이기 때문에, 오류 플래그 보유용 버퍼는 적은 용량이어도 된다.
또한, 오류 정정 직후의 정정 블록에 대응하는 섹터 오류 플래그는, 마이크로 컴퓨터 인터패이스(111) 내의 섹터 오류 플래그 레지스터(B118)에도 공급된다. 오류 플래그 섹터가 세워졌을 경우, 정정 블록 단위의 오류 검출 플래그(119)는, 오류 정정 불능인 플래그를 마이크로 컴퓨터(112)로 출력한다. 또, 마이크로 컴퓨터(112)는 대응하는 플래그에 관한 정보를 받는 대신, 마이크로 컴퓨터(112)가 오류 검출 플래그부(119)에 액세스하여 플래그의 상태를 검토하도록 해도 된다.
오류 정정 처리에 의해 오류 정정된 메모리(104)상의 데이타는, 메모리 컨트롤러(103)를 통해 출력 처리 회로(113)로 전송되어 처리된 후, 외부로 출력된다. 이 출력 데이타는 마이크로 컴퓨터(112)에 의해 지정된 데이타이다. 이 데이타 출력과 병행하여, 섹터 오류 플래그용 섹터(115)는, 섹터 오류 플래그 레지스터(A116)의 내용 안의 데이타에 대응한 섹터 오류 플래그를 선택하고, 그 플래그를 섹터 오류 플래그 레지스터(A116)에서 외부로 출력한다.
또, 플래그를 출력하는 대신, 플래그에 관한 정보를 섹터 오류 플래그 레지스터(A116)에서 출력하거나 혹은 플래그의 상태를 조절하기 위해 외부의 장치가 섹터 오류 플래그 레지스터(A116)에 액세스하도록 해도 된다.
이상의 복조 처리와, 오류 정정 처리와, 출력 처리는 각각 시간적으로 병행하여 행하여진다. 오류 정정 처리는 정정 블록 단위로 행한다. 가변 전송율을 실현하기 위한 디지탈 신호 처리 회로(100)에서는, 전송율 제어용 버퍼 내에 정정 블록 영역(401)을 다수 두고, 이들 영역(401)에 정정 후의 데이타가 충분히 저장된 후에 출력 처리를 행하도록 하고 있다. 이로써, 중단되는 일 없이 가변 전송율로 데이타 출력을 행할 수 있다.
디지탈 신호 처리 회로(100)에서는, 데이타의 오류 정정 처리 후에 정정 처리된 데이타를 메모리(104)에 저장하는데 병행하여 섹터 오류 플래그 레지스터(B118)로부터의 출력 신호에 기초하여 마이크로 컴퓨터(112)가 신속하게 재실행 처리를 행함으로써, 데이타 출력까지의 시간이 길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 이것을 설명한다.
제1 및 제2 정정 처리가 행하여질 때, 정정 블록 단위의 오류 검출 플래그(119)에서 오류 정정 불능의 플래그가 서게 한다. 마이크로 컴퓨터(112)는, 이 오류 검출 플래그(119)를 받으면, 섹터 오류 플래그 레지스터(B118)를 조절하는 것으로, 어느 섹터에 오류가 있는가를 검출한다. 여기서, 출력한 섹터에 오류가 없을 경우는 그 섹터의 데이타를 그대로 출력하면 된다. 출력하려는 섹터에 오류가 있을 경우는 재실행을 행한다. 재실행 대신, 반복 정정 처리를 행하도록 해도 된다.
또, 오류 정정용 버퍼 및 전송율 제어용 버퍼를 14 정정 블록분도 준비하고 있기 때문에, 오류 정정 처리 후부터 그 정정 블록이 출력 처리를 이루기까지에는, 선행하는 외의 오류 정정이 끝난 정정 블록이 미출력인 상태로 충분히 메모리(104)상에 있다. 이 때문에, 한번도 재실행을 행하지 않는 한 데이타의 출력이 지연되는 것은 아니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대해서 이하에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의 신호 처리 회로는, 하드웨어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및 명칭 등이 제1 실시 형태(도 1)와 마찬가지이다. 또한, 일련의 정보 신호의 흐름과, 기록 포맷과, 메모리 맵에 대해서도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이다. 이하, 제1 실시 형태와 다른 처리에 대해서 서술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C1을 이용한 제1 오류 정정 처리 후 및 C2를 이용한 제2 오류 정정 처리 후에 오류가 검출되고, 오류가 있던 섹터가 필요한 섹터였을 경우, 통상 재실행 혹은 반복 정정 처리를 행한다. 다만, 출력의 전송율의 저하를 막는 것이 대전제이고, 출력 데이타의 내용이 MPEG 신호의 P 픽처나 B 픽처의 모양으로 다소 오류가 있어도 재생할 수 있는 신호였을 경우에는, 재실행을 하지 않고 오류가 있는 데이타를 그대로 출력한다.
마이크로 컴퓨터(112)는, 오류 검출 플래그(119)가 정정 불능을 지시했을 경우, 판독할 데이타에 상당하는 섹터가 정정 불능인지의 여부를 섹터 오류 플래그 레지스터(113)의 보유 정보를 기초로 판단하고, 정정 불능이였을 경우, 다시 기록 매체로부터 신호를 다시 한번 읽어내 메모리(104)에 다시 한번 저장하고, 오류 정정 처리(105)를 다시 실행하는 제1 기능과, 오류 검출 플래그(119)가 정정 불능을 지시했을 경우에도 출력 처리 회로(113)로부터 데이타를 출력하는 제2 기능과, 제1과 제2 기능을 선택할 수 있는 제3 기능을 갖는 것이다.
데이타의 출력일 때, 섹터 오류 플래그용 셀랙터(115)에 의해, 출력할 데이타에 대응한 섹터 오류 플래그를 선택하고, 섹터 오류 플래그 레지스터(A116)를 이용하여, 출력할 데이타에 대응하는 섹터 오류 플래그를 데이타와 함께 출력하는 것으로, 후단의 장치, 즉 MPEG 디코더측에서 어느 섹터에 오류가 있는가를 알아 그 후의 오류에 대한 처리를 용이하게 한다.
그러나, 컴퓨터의 데이타나 MPEG 신호의 I 픽처의 모양과 1비트의 오류가 큰 영향을 주는 데이타로 되면, 재실행 혹은 반복 정정을 행한다.
이와 같이, 재생 데이타의 내용에 재생 처리를 바꿀 수 있는 것은, 오류 정정 처리 후로부터 그 정정 블록이 출력 처리를 행하기까지 충분한 시간이 있음으로써 가능하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서 데이타의 재생 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를 도 5에 도시하고 있다.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는, 먼저 기록 매체로부터 데이타가 판독되고(S1), 판독된 데이타에, 상술의 오류 정정 처리가 실시된다. 정정 블록 단위의 오류 플래그가 조절되고(S4), 오류 플래그가 있을 경우는, 섹터 오류 플래그가 조절되어 어느 섹터가 오류인가가 검출된다(S5). 그리고, 오류의 어느 섹터가, 출력 대상의 섹터인지의 여부가 조절되어(S6) 출력 대상의 섹터에 오류가 있을 경우는, 재실행을 행하는 시간이 없을 만큼 고속 전송율에서의 출력이 요구되어 있는지의 여부가 조절된다. 시간이 없을 경우는, 이 데이타가 내용에 오류가 있어도 재생 가능한 것인지 여부가 조절된다. 그리고, 내용에 오류가 있어서도 재생 가능한 데이타 데이타일 경우, 그 데이타는 전송율 제어용 버퍼로 전송되고, 출력된다. 그리고, 상기 S1 이후의 처리가 반복된다.
판독된 정정 블록에 오류가 없을 경우(S4, 아니오)와, 오류가 있는 섹터가 출력 대상이 아닐 경우(S6, 아니오)는, 이 정정 블록의 데이타는 전송율 제어용 버퍼로 전송되고, 지시된 부분을 출력시킨다(S10). 그리고, 상기 S1 이후의 처리가 반복된다.
판독된 정정 블록에 대해, 재실행을 행하는 시간적인 여유가 있을 경우(S7, 아니오)와, 내용에 오류가 있기 때문에 그 정정 블록이 재생 가능하지 않을 경우(S8, 아니오)에는, 다시 같은 정정 블록의 데이타 판독이 행하여지고(S9), 상기 S2 이후의 처리가 반복된다(재실행).
또, 이상의 제어 처리의 관리 및 재실행 실시의 판단은 마이크로 컴퓨터(112)에 의해 행해진다. 마이크로 컴퓨터(112)는, 각 섹터의 데이타로 이루어져 있는 부호화의 종별(I, P, B)과, 재실행에 걸리는 시간을 인식하고 있다. 또한, 마이크로 컴퓨터(112)는, 고속성 중시 또는 신뢰성 중시를 지정하는 지정 정보를 사용자로부터 받는다. 고속성 중시일 경우, 상기 S7에서는 대상의 정정 블록에 대해서의 출력 처리가 개시되기까지의 시간이 재실행에 걸리는 시간보다도 길 경우에 한해, 재실행을 행한다. 단순히, 같은 정정 블록에 대해 행한 재실행의 횟수나, 정정 블록에 1회째의 오류 정정 처리를 실시한 시점에서의 경과 시간을 기초로, 재실행의 실시의 유무를 판단하도록 해도 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의하면, 오류 정정 처리에서의 오류 플래그를, 섹터 단위로 생성 및 출력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섹터 단위로 오류 플래그를 생성하면, 오류가 있는 섹터가 출력 대상의 데이타인지의 여부나 오류가 허용된 데이타인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로써, 예를 들어 오류가 있는 섹터가 출력 대상의 데이타가 아닐 경우나, 출력 대상의 데이타이지만 MPEG 신호의 P 픽처나 B 픽처와 같이 다소 오류가 있어도 재생이 가능한 데이타일 경우에는, 재실행을 행하지 않고 그 데이타에 출력 처리를 행한다는 동작이 가능하게 된다. 요컨대, 출력 처리를 신속하게 실시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오류가 존재하는 섹터에 기초하여 디지탈 신호를 출력할 경우, 그 섹터에 대응하는 오류 플래그를 병행하여 출력하는 것으로, 후단의 장치에, 오류가 있는 섹터를 알리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오류가 있는 섹터를 알림으로써, 후단의 장치에서의 데이타 오류에 대한 처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Claims (8)

  1. 디지탈 신호의 데이타를 n바이트(n은 자연수)마다 분할하고, 상기 각 n바이트의 데이타에 m바이트(m은 자연수)의 부속 데이타를 부가하여 섹터를 구성하는 한편, p개(p는 자연수)의 상기 섹터의 데이타에 대해, 제1 및 제2 오류 정정 부호를 부가하여 정정 블록을 구성한 데이타가 기록되는 기록 매체의 기록 데이타에서, 상기 디지탈 신호를 재생하는 디지탈 신호 재생 장치에 있어서,
    상기 기록 매체로부터, 상기 기록 데이타를 읽어 들이는 독해 수단과;
    상기 읽어 들인 데이타 및 오류 정정 처리를 실시한 데이타를 일시적으로 저장하기 위한 일시 기록 수단과;
    읽어 들여 상기 일시 기록 수단에 저장된 정정 블록의 데이타에 대해서, 제1 오류 정정 부호를 이용해 제1 오류 정정 처리를 행하고, 또 제2 오류 정정 부호를 이용해 제2 오류 정정 처리를 행하는 오류 정정 수단과;
    오류 정정 처리를 실시하여 상기 일시 기록 수단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타를 판독하는 판독 수단; 및
    상기 제1 및 제2 오류 정정 처리의 결과에 기초하여 오류 정정을 할 수 없었던 섹터를 나타내는 섹터 오류 플래그를 생성하는 생성 수단
    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탈 신호 재생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오류 정정 처리를 실시해 상기 일시 기록 수단에 저장하고 있는 데이타의 모든 섹터에 대해서, 상기 생성 수단에서 생성된 섹터 오류 플래그를 보유하는 제1 플래그 보유 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탈 신호 재생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처리 수단이 디지탈 신호를 출력할 때, 상기 디지탈 신호의 기초가 되는 데이타에 대응하여 상기 제1 플래그 보유 수단에 보유되어 있는 오류 플래그를 출력하는 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탈 신호 재생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일시 기록 수단에 저장되어 있는 정정 블록의 데이타에 대해서, 상기 제1 및 제2 오류 정정 처리가 종료할 때마다, 상기 정정 블록의 p개 섹터에 대해서 상기 재생 수단에서 생성된 섹터 오류 플래그를 보유하는 제2 플래그 보유 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탈 신호 재생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플래그 보유 수단에서 섹터 오류 플래그가 보유되었을 경우, 오류 정정 처리를 행한 정정 블록에 오류 정정을 할 수 없었던 섹터가 존재하는 것을 통지하는 통지 신호를 출력하는 블록 정정 불능 생성 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탈 신호 재생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오류 정정 처리를 실시하여 상기 일시 기록 수단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타의 모든 섹터에 대해서, 상기 생성 수단에서 생성된 섹터 오류 플래그를 보유하는 제1 플래그 보유 수단; 및
    상기 출력 처리 수단이 디지탈 신호를 출력할 때, 상기 디지탈 신호의 기초가 되는 데이타에 대응하여 상기 제1 플래그 보유 수단에 보유되어 있는 오류 플래그를 출력하는 수단
    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탈 신호 재생 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통지 신호가 지정하는 정정 블록의 데이타가 상기 기록 매체로부터 다시 읽어 들여지고, 오류 정정 처리를 실시하여 상기 일시 기록 수단에 다시 한번 저장되도록 하는 재실행 기능을 갖는 제어 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탈 신호 재생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통지 신호가 지정하는 정정 블록의 데이타가 그대로 상기 판독 수단에 의해 판독되도록 하는 비 재실행 기능과, 재실행의 필요성을 판단하는 판단 기능을 더 갖고,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재실행 기능 및 비 재실행 기능 중 한쪽을 선택적으로 유효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탈 신호 재생 장치.
KR1019980001383A 1997-01-20 1998-01-19 디지탈 신호 재생 장치 KR10027372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00778097A JP3430193B2 (ja) 1997-01-20 1997-01-20 ディジタル信号再生装置及びディジタル信号再生方法
JP97-007780 1997-01-2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70593A true KR19980070593A (ko) 1998-10-26
KR100273727B1 KR100273727B1 (ko) 2000-12-15

Family

ID=116751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01383A KR100273727B1 (ko) 1997-01-20 1998-01-19 디지탈 신호 재생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2) US5920579A (ko)
EP (1) EP0854483B1 (ko)
JP (1) JP3430193B2 (ko)
KR (1) KR100273727B1 (ko)
DE (1) DE69838740T2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4230B1 (ko) * 2000-03-28 2004-03-24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Cd-rom 디코더
KR100426549B1 (ko) * 2000-03-28 2004-04-08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Cd-rom 디코더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957637A1 (de) * 1999-11-30 2002-02-14 Thomson Brandt Gmbh Projektionsfernsehgerät mit Paritätsfehlerüberprüfung
US6662329B1 (en) 2000-03-23 2003-12-09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Processing errors in MPEG data as it is sent to a fixed storage device
JP2001291344A (ja) * 2000-04-04 2001-10-19 Hitachi Ltd 光ディスク装置およびそのデータ再生方法
GB2377511B (en) * 2001-07-03 2005-05-11 Macrovision Europ Ltd The copy protection of digital data
EP1315148A1 (en) * 2001-11-17 2003-05-28 Deutsche Thomson-Brandt Gmbh Determination of the presence of ancillary data in an audio bitstream
ATE355704T1 (de) * 2002-01-24 2006-03-15 Koninkl Philips Electronics Nv Fehler-korrektur in einem datenstrom
JP4236636B2 (ja) * 2002-05-17 2009-03-11 豊和株式会社 繊維製品の脱色加工装置及び脱色加工方法
JP2006004560A (ja) * 2004-06-18 2006-01-05 Elpida Memory Inc 半導体記憶装置及びその誤り訂正方法
KR20050120491A (ko) * 2004-06-19 2005-12-22 삼성전자주식회사 멀티미디어 방송 시스템에서의 전송 에러 처리방법 및장치
ITTO20060668A1 (it) * 2006-09-19 2008-03-20 Rai Radiotelevisione Italiana Spa Metodo per riprodurre una sequenza audio e/o video, dispositivo di riproduzione ed apparecchio riproduttore che lo utilizzano
JP2008269746A (ja) * 2007-04-25 2008-11-06 Hitachi Ltd データ再生装置
TW200947450A (en) * 2008-05-09 2009-11-16 A Data Technology Co Ltd Storage system capable of data recovery and method thereof
JP5540697B2 (ja) * 2009-12-25 2014-07-02 富士通株式会社 演算処理装置、情報処理装置および演算処理装置の制御方法
KR101648531B1 (ko) * 2010-02-12 2016-08-17 삼성전자주식회사 불휘발성 메모리 시스템과 이의 동작 방법
US8954819B2 (en) * 2012-01-04 2015-02-10 Marvell World Trade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reading a disc
CN104424127A (zh) 2013-08-23 2015-03-18 慧荣科技股份有限公司 存取快闪存储器中储存单元的方法以及使用该方法的装置
CN108447516B (zh) 2013-08-23 2020-04-24 慧荣科技股份有限公司 存取快闪存储器中存储单元的方法以及使用该方法的装置
CN104425018B (zh) 2013-08-23 2019-07-23 慧荣科技股份有限公司 存取快闪存储器中储存单元的方法以及使用该方法的装置
CN107193684B (zh) * 2013-08-23 2020-10-16 慧荣科技股份有限公司 存取快闪存储器中储存单元的方法以及使用该方法的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53051A (en) * 1983-09-14 1987-03-24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Apparatus for detecting and correcting errors on product codes
GB2156555B (en) * 1984-03-24 1988-03-09 Philips Nv Error correction of data symbols
CA1258134A (en) * 1985-04-13 1989-08-01 Yoichiro Sako Error correction method
JP2569478B2 (ja) * 1986-02-19 1997-01-08 ソニー株式会社 デ−タ記録装置
US4949342A (en) * 1987-04-14 1990-08-14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Code error detecting method
JPH02165473A (ja) * 1988-12-20 1990-06-26 Canon Inc 情報記録媒体の管理システム
US5638386A (en) * 1991-09-20 1997-06-10 Hitachi, Ltd. Recording apparatus
JP3290728B2 (ja) * 1992-12-28 2002-06-10 パイオニア株式会社 記録情報再生装置
JP3154607B2 (ja) * 1993-12-28 2001-04-09 三菱電機株式会社 誤り訂正復号装置及び誤り訂正復号方法
JP2882302B2 (ja) * 1995-02-24 1999-04-12 株式会社日立製作所 情報の記録方法及び再生方法
US5793724A (en) * 1996-01-22 1998-08-11 Sony Corporation Optical disk error-correcting code system correlating error correction with sector addres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4230B1 (ko) * 2000-03-28 2004-03-24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Cd-rom 디코더
KR100426549B1 (ko) * 2000-03-28 2004-04-08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Cd-rom 디코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10208407A (ja) 1998-08-07
US5920579A (en) 1999-07-06
DE69838740D1 (de) 2008-01-03
EP0854483A2 (en) 1998-07-22
JP3430193B2 (ja) 2003-07-28
EP0854483A3 (en) 1998-12-16
KR100273727B1 (ko) 2000-12-15
DE69838740T2 (de) 2008-10-30
EP0854483B1 (en) 2007-11-21
US6014766A (en) 2000-0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73727B1 (ko) 디지탈 신호 재생 장치
JPS6276825A (ja) 符号誤り訂正方法
JPH06111495A (ja) データ再生装置
US4849956A (en) Information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JPH02306476A (ja) 再生のための誤り訂正装置
JPS62217468A (ja) デイジタル情報の記録/再生方法及び装置
JPS62119773A (ja) 誤り訂正方法
US5325364A (en) Method for error correction and circuit for realizing same
JP3520156B2 (ja) ディジタル信号再生方法及びディジタル信号再生装置
US5805618A (en) Reproducing apparatus for reproducing video information recorded together with error correction codes
JPS6035376A (ja) デ−タ記録検査方式
JP2539417B2 (ja) 情報記録方式
JPH0740410B2 (ja) 光デイスク装置
JP2751415B2 (ja) 誤り検出訂正回路
JP3637604B2 (ja) 情報再生装置及び方法
JP2607366B2 (ja) デイスク装置
JP2517222B2 (ja) 情報デイスクの記録再生方式
JP3710232B2 (ja) 信号処理回路
JPH0650870Y2 (ja) 情報記録再生装置
KR100232957B1 (ko) 디지털 비디오 디스크의 오류정정시간 단축방법
JP3246926B2 (ja) 誤り訂正処理装置
JPS6313171A (ja) 光デイスク装置
JPH1186464A (ja) 信号処理装置
JP3860998B2 (ja) データ処理装置
JP3880401B2 (ja) 光ディスクコントロー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1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19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6

Year of fee payment: 1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