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69943A - 상지 추출물을 함유하는 미백화장료 - Google Patents

상지 추출물을 함유하는 미백화장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69943A
KR19980069943A KR1019970047258A KR19970047258A KR19980069943A KR 19980069943 A KR19980069943 A KR 19980069943A KR 1019970047258 A KR1019970047258 A KR 1019970047258A KR 19970047258 A KR19970047258 A KR 19970047258A KR 19980069943 A KR19980069943 A KR 199800699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whitening
upper limb
ethanol
extrac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472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30130B1 (ko
Inventor
김정하
이강태
Original Assignee
유상옥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상옥,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filed Critical 유상옥
Priority to KR10199700472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30130B1/ko
Priority to US08/986,840 priority patent/US5872254A/en
Priority to JP35450797A priority patent/JP3549717B2/ja
Publication of KR199800699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699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301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30130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12Face mask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2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for chemically bleaching or whitening the skin

Abstract

본 발명은 상지 추출물을 함유하는 미백 화장료에 관한 것이다. 즉 뽕나무속 식물의 여린가지인 상지에 물, 탄소수 1∼4개의 무수 또는 함수 저급알코올, 아세톤, 에틸아세테이트, 부틸아세테이트, 클로로포름, 1,3-부틸렌글리콜을 가하여 얻은 추출물을 통상적인 기초 화장료, 다시 말하면 유연화장수, 영양화장수, 영양크림, 맛사지크림, 엣센스, 팩 등에 첨가하여 우수한 미백 효과를 갖게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상지 추출물을 함유하는 미백 화장료
본 발명은 뽕나무속 식물의 여린 가지인 상지로부터 추출된 상지 추출물을 함유하는 미백화장료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람의 피부가 검게 변화되는 것은 여러 원인이 있지만, 주된 요인은 자외선에 피부가 노출되면, 피부세포의 일종인 멜라노사이트(Melanocyte)내에서 멜라닌(Melanin)이 합성되고 방출되어 피부 표피가 검게 된다. 멜라노사이트내에서 멜라닌이 합성되는 과정은 세포내의 티로신(Tyrosine)을 기질로 하여 티로시나아제(Tyrosinase)라는 효소가 작용하여 도파퀴논(DOPAquinone)을 생성시키며, 도파퀴논으로부터 자발적인 반응과 효소 반응을 거쳐 공중합체 흑색 색소인 멜라닌이 생성된다. 따라서 피부가 검게되는 것을 막기 위하여 멜라닌 생성과정중의 일부 반응을 저해함으로써 멜라닌의 생성을 감소시켜 주는 방법이 가장 간단하며 일반적이다. 이를 위해 종래에는 아스콜빈산(Ascorbic acid), 코직산(Kojic acid), 알부틴(Arbutin), 히드로퀴논(Hydroquinone) 및 상백피 추출물등 각종 식물 추출물이 사용되고 있다. 이들중에서, 코직산은 티로시나아제의 활성 부위에 존재하는 구리 이온을 킬레이트시켜 효소활동을 저해하는 작용을 하는데, 성능이 우수한 반면 화장품에 배합시 안정성에 문제점이 높아 화장료로서 적당하지 않다. 아스콜빈산은 비교적 낮은 티로시나아제 활성 저해 효과와 분자 자체의 안정성이 낮아 미백원료로 적합하지 않다. 히드로 퀴논은 피부에 대한 자극성이 높아 안전성 문제로 현재 화장료로 사용하지 못하고 있다. 대부분의 식물 추출물의 경우 고농도에서만 비교적 높은 티로시나아제 활성 저해 효과를 나타내며, 저농도에서는 저해 효과가 거의 나타나지 않는다.
본 발명자들은 이러한 현실을 감안하여 종래 알려져 있는 미백물질들이 갖는 문제점을 극복하고 보다 우수한 미백 원료를 찾기 위하여, 오래전부터 한방 또는 민간 요법에 사용되어 안전성이 입증되어 있는 천연 식물을 대상으로 미백 효능이 있는 유효물질을 검색한 결과, 뽕나무속 식물의 여린 가지인 상지의 추출물이 매우 뛰어난 티로시나아제 활성 저해 효과를 나타냄을 발견하게 되었다.
뽕나무속에는 뽕나무(Morus alba,Linne), 처진 뽕나무(Morus albafor. Peldulls DIPPEL), 산 뽕나무(Morus bombycis,Koidzumi), 꼬리 뽕나무(Morus bombycisvar. Caudatifolia), 섬 뽕나무(Morus bombycisvar. maritima KOIDZ), 가새 뽕나무(Morus bombycisfor. Kase VYKEI), 몽고 뽕나무, 왕 뽕나무, 돌 뽕나무(Morus tiliaefolia,Makino)가 있으며, 이들은 낙엽활엽성의 교목으로 한국의 대부분 지역에 걸쳐 표고 500-1,400 m에 수평적으로 분포하며, 산골 마을 부근이나 산 기슭에 자생한다.
상지(Ramulus Mori)는 뽕나무속 식물의 여린 가지를 말린 것으로, 모양은 긴 원주형으로 드물게 분지가 있고, 크기가 일정하지 않으며, 직경은 0.5-1.5 cm 이다. 표면은 회황색 혹은 황갈색으로 다수의 황갈색 점상 피공과 미세한 종문이 있으며, 회백색을 띤 반원형 잎 흔적과 황갈색의 액아가 있다. 절편의 두께는 0.2-0.5 cm 로 외피 부위는 비교적 얇고, 목질 부위는 황백색이며, 사선은 방사상이고, 수부는 백색 또는 황백색이다. 상지의 채취 시기는 늦은 봄과 초여름 사이이며, 잎을 제거한 후, 신선할 때 30∼60 cm 크기로 잘라 햇볕에 말린다. 상지는 약간 쓴 맛이 나며, 소염, 이뇨, 강장, 발한 및 풍을 제거하는 등의 효능을 가지고 있어, 오래 전부터 한약재로 쓰이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지 추출물을 함유하는 미백 화장료를 제공하는데 있다.
제1도는 상지 추출물과 상백피 추출물의 티로시나아제 활성 저해 효과의 지속성을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을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상지 추출물을 함유하는 미백 화장료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뽕나무속 식물의 여린가지인 상지에 물, 탄소수 1∼4개의 무수 또는 함수 저급알코올, 아세톤, 에틸아세테이트, 부틸아세테이트, 클로로포름 또는 1,3-부틸렌글리콜을 가하여 얻은 추출물을 통상적인 기초 화장료에 첨가하여 우수한 미백 효과를 갖게 하는 미백화장료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미백 화장료에 함유되는 상지 추출물의 제조방법은 다음과 같다.
상지를 정제수로 세척한 후 건조하고 작은 조각으로 파쇄한 뒤, 여기에 그 건조 중량의 1∼10배의 물, 탄소수 1∼4개의 무수 또는 함수 저급알코올, 아세톤, 에틸아세테이트, 부틸아세테이트, 클로로포름 또는 1,3-부틸렌글리콜 등을 가한다. 그 후 냉각 콘덴서가 장치되어 유효성분이 증발되는 것을 방지한 상태에서 40∼100℃에서 3∼20시간 가열하여 추출하거나, 4∼40℃에서 1∼15일간 추출하고 회전 감압증발기로 완전히 건조시켜 제조한다.
제조된 상지 추출물은 통상적인 기초화장료, 다시 말하면 유연화장수(스킨), 영양화장수(밀크로션), 영양크림, 맛사지크림, 엣센스, 팩 등에 첨가되어 사용되는데 첨가량은 그 건조중량에 대하여 0.00001∼5중량%, 바람직하게는 0.001∼1중량%를 화장료에 첨가한다.
아래의 실시예 및 실험예들은 본 발명의 내용을 설명하나, 본 발명의 내용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정제수로 세척하고 건조한 상지 1kg을 물 5L에 넣고 냉각 콘덴서가 장치된 추출기에서 5시간 동안 70~90℃에서 가열하여 추출한 후 300메쉬 여과포로 여과하고, 5∼10℃에서 7∼10일간 방치하여 숙성시킨 후 와트만 5번 여과지로 여과했다. 이 여액을 65℃에서 회전 감압증발기로 건조하여, 건조 중량 40.4g을 얻었다.
실시예 2
정제수로 세척하고 건조한 상지 1kg을 물 5L에 넣고 15∼35℃에서 5일간 추출한 후 300메쉬 여과포로 여과하고, 다시 와트만 5번 여과지로 여과한 후, 회전 감압증발기로 2배 농축했다. 여기에 100% 에탄올 2.5L를 가하고 5∼10℃에서 7∼10일간 방치하여 숙성시킨 후 와트만 5번 여과지로 여과하였다. 이 여액을 65℃에서 회전 감압증발기로 건조하여, 건조 중량 32.5g을 얻었다.
실시예 3
정제수로 세척하고 건조한 상지 1kg을 정제수 5L에 넣고 4∼40℃에서 5일간 추출한 후 300메쉬 여과포로 여과하고, 5∼10℃에서 7∼10일간 방치하여 숙성시킨 후 와트만 5번 여과지로 여과하였다. 이 여액을 65℃에서 회전 감압증발기로 건조하여 건조중량 33.6g을 얻었다.
실시예 4~22
실시예 3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추출하여 그 결과를 표 1에 기재하였다.
실시예 4~22의 실험결과
추출 용매 최종 추출물의 건조중량(단위 : g)
실시예 4 10% 에탄올 43.84
실시예 5 20% 에탄올 46.80
실시예 6 30% 에탄올 39.24
실시예 7 40% 에탄올 39.52
실시예 8 50% 에탄올 48.96
실시예 9 60% 에탄올 48.72
실시예 10 70% 에탄올 50.08
실시예 11 80% 에탄올 41.64
실시예 12 90% 에탄올 35.76
실시예 13 100% 에탄올 28.90
실시예 14 메탄올 46.16
실시예 15 n-프로판올 10.28
실시예 16 이소프로판올 10.45
실시예 17 2-부탄올 16.45
실시예 18 아세톤 6.57
실시예 19 클로로포름 3.31
실시예 20 에틸아세테이트 10.91
실시예 21 부틸아세테이트 6.61
실시예 22 1,3-부틸렌글리콜 12.31
실시예 23
정제수로 세척하고 건조한 상지 1kg을 10% 에탄올 5L에 넣고 냉각 콘덴서가 장치된 추출기에서 5시간 가열하여 추출한 후 300메쉬 여과포로 여과하고, 5∼10℃에서 7∼10일간 방치하여 숙성시킨 후 와트만 5번 여과지로 여과했다. 이 추출물을 65℃에서 회전 감압증발기로 건조하여, 건조 중량 59.40g을 얻었다.
실시예 24~32
실시예 23과 동일한 방법으로 추출하여 그 결과를 표 2에 기재하였다.
실시예 24~32의 실험결과
추출 용매 최종 추출물의 건조중량(단위 : g)
실시예 24 20% 에탄올 63.42
실시예 25 30% 에탄올 58.15
실시예 26 40% 에탄올 59.54
실시예 27 50% 에탄올 66.60
실시예 28 60% 에탄올 67.24
실시예 29 70% 에탄올 68.77
실시예 30 80% 에탄올 58.30
실시예 31 90% 에탄올 50.06
실시예 32 100% 에탄올 44.17
실험예 1
실시예 1∼32에서 제조한 상지 추출물에 대하여 티로시나아제 활성 저해효과를 측정하였다.
티로시나아제는 버섯에서 분리 및 정제된 것으로 SIGMA사에서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기질인 티로신은 0.05M 인산나트륨 완충용액(pH 6.8)에 녹여 0.1mg/ml 용액으로 만들어 사용하였다.
실시예 1∼32의 추출물은 1,3-부틸렌글리콜에 고농도로 용해시키고, 다시 완충용액에 희석하여 적당한 농도로 조절하여 추출물 시료액으로 만들어 사용하였다.
티로신 용액 0.5ml를 시험관에 넣고 여기에 추출물 시료액 0.5ml를 가하고 37℃ 항온기에서 10분간 방치한 후 200U/ml 티로시나아제 0.5ml를 넣고 37℃에서 10분간 반응시킨다. 이때 대조군은 각 추출물 대신 완충용액을 0.5ml 넣은 것이다. 이 반응액이 들어 있는 시험관을 얼음 위에 놓아 급냉시켜 반응을 중지시키고 분광광도계(spectrophotometer)로 파장 475nm에서의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각 추출물의 티로시나아제 활성 저해 효과는 하기의 공식으로 구한다.
실험결과는 하기 표 3에 나타낸 바와 같다.
상지 추출물의 티로시나아제 활성 저해 효과
실험물질 최종 실험 농도(%, W/V) 티로시나아제 활성 저해율(%)
실시예 1 0.00050 66.6
실시예 2 0.00050 91.7
실시예 3 0.00050 42.2
실시예 4 0.00050 25.6
실시예 5 0.00050 29.3
실시예 6 0.00050 54.2
실시예 7 0.00050 69.6
실시예 8 0.00050 89.8
실시예 9 0.00050 96.7
실시예 10 0.00050 99.4
실시예 11 0.00050 96.5
실시예 12 0.00050 90.3
실시예 13 0.00050 89.5
실시예 14 0.00050 95.2
실시예 15 0.00050 83.4
실시예 16 0.00050 95.4
실시예 17 0.00050 92.9
실시예 18 0.00050 97.6
실시예 19 0.00050 68.5
실시예 20 0.00050 96.4
실시예 21 0.00050 93.2
실시예 22 0.00050 71.6
실시예 23 0.00050 42.6
실시예 24 0.00050 68.8
실시예 25 0.00050 89.2
실시예 26 0.00050 92.1
실시예 27 0.00050 96.7
실시예 28 0.00050 98.6
실시예 29 0.00050 99.1
실시예 30 0.00050 99.0
실시예 31 0.00050 97.6
실시예 32 0.00050 95.3
비교예 1~5
정제수로 세척하고 건조한 상백피(비교예 1), 감초(비교예 2), 오배자(비교예 3), 백작약(비교예 4), 괴화(비교예 5) 1kg으로 실시예 10의 방법으로 추출하여 건조물을 얻었다.
실험예 2 : 상지 추출물과 상백피등 여러 천연물 추출물의 티로시나아제 저해 효과 비교
상지 추출물은 상기의 실시예 10에서 제조한 것을 사용하였다.
상지 추출물과 상기의 비교예 1∼5에서 제조한 추출물의 농도에 따른 티로시나아제 활성 저해 효과를 실험예 1과 같은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상지 추출물의 티로시나아제 활성 저해효과를 기존 미백 물질로 개발된 상백피, 감초, 오배자, 백작약 및 괴화 추출물의 티로시나아제 활성 저해효과를 비교하였다.
실험결과는 하기의 표 4에 나타낸 바와 같다.
상지 및 여러 추출물의 티로시나아제 활성 저해 효과
추출물 IC50: ㎍/ml(티로시나아제 활성이 50% 저해시 필요한 농도)
실시예 8 12.48
비교예 1 16.62
비교예 2 71.00
비교예 3 28.05
비교예 4 269.24
비교예 5 93.42
상지 추출물이 농도에 따른 티로시나아제 활성 저해 효과와 IC50이 상백피등 다른 천연물의 추출물에 비해 탁월한 미백효능을 나타내었다.
실험예 3 : 상지 추출물과 상백피 추출물의 티로시나아제 활성 저해 효과의 지속성 비교
상지 추출물과 상백피 추출물이 안정적으로 지속적인 미백효능을 발휘하는 지를 관찰하기 위하여 실험예 1의 방법으로 추출한 추출물을 첨가한 반응액을 37℃에서 반응 시간대 별로 티로시나아제 활성 저해 효과를 측정하였다.
상지 추출물은 상기의 실시예 8에서 제조한 것을 사용하였으며, 상백피 추출물은 비교예 1에서 제조한 것을 사용하였다.
실험결과는 제1도에 나타낸 바와 같다.
상지 추출물의 티로시나아제 활성 저해효과의 지속성이 상백피 추출물에 비하여 매우 우수하였으며, 상백피 추출물은 상지 추출물에 비해 10배 이상의 농도에서 티로시나아제 활성 저해 효과의 지속성을 나타내었다.
실험예 4 : 멜라노 사이트에서 멜라닌 생성에 대한 상지 추출물과 상백피 추출물의 비교
멜라노 사이트는 마우스 유래 B-16 멜라노마(ATCC CRL 6323) 세포주를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멜라노마 세포주를 포도당 4.5 g/L, 10% 혈청, 1% 항생제가 함유된 DMEM 배지에 접종하여 50㎖ T-플라스크에 37℃에서 배양하였다. 5% CO2조건하에서 24시간 배양한 후, 0.02% EDTA가 함유된 0.05% 트립신(Trypsin)을 처리하여 세포를 분리한 후 50㎖ T-플라스크에 접종하여 48시간 배양하였다. 이때 세포수는 4.57 × 106세포/플라스크이다. 여기에 적당 농도의 상지 추출물을 DMEM 배지에 희석시켜 배양된 멜라노마 세포에 처리하여 37℃에서 5일간 배양하였다. 배양후 배지를 모두 제거하고, 0.02% EDTA와 0.05%트립신을 함유한 살린-포스페이트 완충용액(PBS)을 1mL 처리하여 세포를 분리시킨 후, 5분간 원심 분리하여 세포만을 수집하였다. 5% 트리클로로아세테이트(TCA)를 처리하여 교반하고 원심 분리하여 침전된 멜라닌을 살린-포스페이트 완충용액으로 세척하였다. 침전된 멜라닌에 1N NaOH를 처리하여 용해 시킨 후 475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멜라닌 농도는 합성 멜라닌(시그마)의 표준 농도 곡선으로부터 결정하였다.
실험 결과는 표 5에 나타낸 바와 같다.
멜라노 사이트에서 멜라닌 생성에 대한 상지 추출물과 상백피 추출물과의 비교
추출물 농도 (㎍/㎖) 멜라닌 생성 저해율 (%)
상지 추출물 상백피 추출물
50 73.1 1.1
100 85.2 3.8
150 89.7 20.1
200 90.2 29.4
상기의 결과 상지 추출물이 상백피 추출물에 비하여 매우 강력한 미백효과를
나타냈다.
실험예 5 : 상지 추출물과 상백피 추출물의 성분 비교
상지와 상백피는 동일한 뽕나무 유래의 천연물로서 이들 두 천연물이 동시에 티로시나아제 활성 저해 효과를 나타내어 두 천연물 사이에 성분을 박막 크로마토그래피(Thin Layer Chromatography)로 분석하였다.
상기의 실시예 8과 비교예 1에서 제조한 추출물 2㎕를 실리카 젤 박막 플레이트(Silica Gel 60 F 254, Merck 사)에서 점적한 후 박막 크로마토그래피를 전개하였다. 이때 사용한 용리액은 n-부탄올 : 3N-암모니아수 : 에탄올(5:2:1)혼합액이다.
각 추출물의 성분 구성은 하기의 공식으로 구하였다.
Rf값=시료의 이동거리/용매의 이동거리
실험결과는 하기의 표 6에 나타낸 바와 같다.
상지 추출물과 상백피 추출물의 박막 크로마토그래피
상지 추출물 상백피 추출물
Rf 0.070.160.250.280.290.380.540.730.83 0.070.150.250.270.280.39
상지 추출물과 상백피 추출물의 성분에는 상당한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처방예 1
상지 추출물을 함유한 화장료 중 유연화장수(스킨)의 처방예는 다음과 같다. 여기서 상지 추출물은 실시예 10의 것을 말한다.
성분 함량(중량%)
상지 추출물1,3-부틸렌글리콜글리세린올레일알코올폴리솔베이트 20에탄올방부제벤조페논-9향정제수 0.16.04.00.10.515.0미량0.05미량잔량
100
처방예 2
상지 추출물을 함유한 화장료 중 밀크로션의 처방예는 다음과 같다. 여기서 상지 추출물은 실시예 10의 것을 말한다.
성분 함량(중량%)
상지 추출물프로필렌글리콜글리세린트리에탄올아민토코페릴 아세테이트유동파라핀스쿠알란마카다미아너트 오일폴리솔베이트 60솔비탄세스퀴올레이트카르복실비닐폴리머방부제향정제수 0.16.04.01.23.05.03.02.01.51.01.0미량미량잔량
100
처방예 3
상지 추출물을 함유한 화장료 중 영양크림의 처방예는 다음과 같다. 여기서 상지 추출물은 실시예 10의 것을 말한다.
성분 함량(중량%)
상지 추출물바셀린유동파라핀밀납폴리솔베이트 60솔비탄세스퀴올레이트스쿠알란프로필렌글리콜글리세린트리에탄올아민카르복시비닐폴리머토코페릴아세테이트방부제향정제수 0.17.010.02.02.02.53.06.04.00.50.50.1미량미량잔량
100
처방예 4
상지 추출물을 함유한 화장료 중 맛사지 크림의 처방예는 다음과 같다. 여기서 상지 추출물은 실시예 10의 것을 말한다.
성분 함량(중량%)
상지 추출물프로필렌글리콜글리세린트리에탄올아민밀납토코페롤아세테이트폴리솔베이트 60솔비탄세스퀴올레이트세테아릴알코올유동파라핀카르복시비닐폴리머방부제향정제수 0.16.04.00.52.00.13.02.52.030.00.5미량미량잔량
100
처방예 5
상지 추출물을 함유한 화장료 중 팩 처방예는 다음과 같다. 여기서 상지 추출물은 실시예 10의 것을 말한다.
성분 함량(중량%)
상지 추출물프로필렌글리콜글리세린카르복시비닐폴리머에탄올필름이지-40 히드로게네이티드캐스터오일트리에탄올아민방부제향정제수 0.12.04.00.37.00.80.3미량미량잔량
100
실험예 6 : 본 발명 화장료의 미백 효과 평가
본 발명의 화장료의 미백 효과를 실제 사용 테스트를 통하여 평가 하였다. 처방예 3의 상지 추출물 0.1%를 함유하고 있는 영양크림과 처방예 3에서 상지추출물을 정제수로 대체한 크림을 사용하였다. 80명의 30∼40세 여성을 무작위로 2개군으로 나누어 처방에 3과 비교예의 크림을 매일 아침 저녁 2회씩 세안 후 크림 적당량을 안면에 2 개월간 연속적으로 바르게 하였다. 미백효과는 실사용 시험 종료후 안면의 개선 효과를 관찰하여 평가하였다. 실험 결과는 하기의 표 7에 나타낸 바와 같다.
본발명의 화장료의 미백효과
유효 약간유효 무효 유효율
처방예 3의 크림 33 4 3 92.5%
비교예의 크림 2 3 35 12.5%
실험 결과에 의하면 상지추출물을 함유한 본 발명품은 비교예에 비하여 분명한 미백 효과를 나타냄을 증명하였다. 또한 본 발명품을 도포한 부위에서 피부자극등이 전혀 관찰되지 않았다.
본 발명의 상지 추출물의 미백효과를 기존의 미백물질로 개발된 상백피, 감초, 오배자, 백작약 및 괴화 추출물과 비교한 결과 본 발명의 상지 추출물이 가장 뛰어난 티로시나아제 활성 저해효과를 보임으로써 우수한 미백물질임이 증명되었다. 상지와 상백피는 동일한 뽕나무 유래의 천연물이며 두 추출물 모두 티로시나아제 활성 저해 효과를 나타내지만 두 추출물을 성분 분석해 본 결과 추출물의 성분에 큰 차이를 보였고, 티로시나아제 활성 저해 효과 실험에서와 멜라노사이트에서 멜라닌 생성에 대한 비교실험 결과 상지 추출물이 상백피 추출물보다 미백효과도 훨씬 뛰어났다. 특히 상지 추출물은 티로시나아제 활성 저해 효과의 지속성이 뛰어나 상백피 추출물과 차별화 되는데, 상지 추출물은 상백피 추출물에 비해 1/10의 농도에서도 상백피 추출물과 유사한 정도의 티로시나아제 활성 저해 효과의 지속성을 나타낸다.

Claims (7)

  1. 상지(Ramulus Mori)의 추출물을 함유하는 미백 화장료.
  2. 제1항에 있어서, 상지는 뽕나무속 식물의 여린 가지임을 특징으로 하는 미백화장료.
  3. 제1항에 있어서, 상지의 추출물은 상지를 물, 탄소수 1∼4개의 무수 또는 함수 저급알코올, 아세톤, 에틸아세테이트, 부틸아세테이트, 클로로포름 또는 1,3-부틸렌글리콜을 용매로하여 냉각콘덴서가 부착된 추출기에서 40∼100℃로 3∼20시간 가열하는 추출방법에 의해 얻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미백화장료.
  4. 제1항에 있어서, 상지의 추출물은 상지를 물, 탄소수 1∼4개의 무수 또는 함수 저급알코올, 아세톤, 에틸아세테이트, 부틸아세테이트, 클로로포름 또는 1,3-부틸렌글리콜을 용매로하여 4∼40℃로 1∼15일간 침적시켜 추출하는 방법에 의해 얻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미백화장료.
  5. 제1항에 있어서, 상지의 추출물이 화장료의 건조중량에 대하여 0.0001∼5%(w/w)의 양으로 포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백화장료.
  6. 제1항에 있어서, 상지의 추출물이 화장료의 건조중량에 대하여 0.001~1%(w/w)의 양으로 포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백화장료.
  7. 제1항에 있어서, 유연화장수, 영양화장수, 영양크림, 맛사지크림, 엣센스, 팩 의 제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백화장료.
KR1019970047258A 1997-02-18 1997-09-12 상지 추출물을 함유하는 미백화장료 KR1002301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47258A KR100230130B1 (ko) 1997-02-18 1997-09-12 상지 추출물을 함유하는 미백화장료
US08/986,840 US5872254A (en) 1997-02-18 1997-12-08 Whitening cosmetics containing ramulus mori extracts
JP35450797A JP3549717B2 (ja) 1997-02-18 1997-12-24 桑枝抽出物を含有する美白化粧料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4913 1997-02-18
KR19970004913 1997-02-18
KR1019970047258A KR100230130B1 (ko) 1997-02-18 1997-09-12 상지 추출물을 함유하는 미백화장료
KR97-4913 1997-09-1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9943A true KR19980069943A (ko) 1998-10-26
KR100230130B1 KR100230130B1 (ko) 1999-11-15

Family

ID=266325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47258A KR100230130B1 (ko) 1997-02-18 1997-09-12 상지 추출물을 함유하는 미백화장료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5872254A (ko)
JP (1) JP3549717B2 (ko)
KR (1) KR100230130B1 (ko)

Cited B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38401A (ko) * 1997-11-05 1999-06-05 성재갑 피부노화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KR20020094349A (ko) * 2001-06-11 2002-12-18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모란뿌리, 상지 및 호이초 추출물의 혼합물을 포함하는미백 화장료
KR20030039521A (ko) * 2001-11-13 2003-05-22 주식회사 웰스킨 상지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균용 조성물
KR100449345B1 (ko) * 2002-07-03 2004-09-18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엠블리카 추출물 및 상지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화장료 조성물
KR100471685B1 (ko) * 2002-02-06 2005-03-08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락테이트 및 상지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백 화장료 조성물
KR100488493B1 (ko) * 2002-04-22 2005-05-11 한국생명공학연구원 궁궁이로부터 분리한 멜라닌 생합성 저해활성을 가지는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피부미백제
KR100495956B1 (ko) * 2002-07-12 2005-06-16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상지 추출물 및 송이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화장료 조성물
KR100570097B1 (ko) * 2004-11-17 2006-04-11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상지 추출물, 천궁 추출물 및 알파 히드록시산을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0676074B1 (ko) * 2001-01-15 2007-01-31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상지추출물과 δ-토코페롤을 함유하는 미백 화장료
KR100676076B1 (ko) * 2001-01-15 2007-01-31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상지추출물과 락토카인을 함유하는 피부 항상성 유지용화장료
KR100678865B1 (ko) * 2005-08-30 2007-02-05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상지 추출물 및 카르니틴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0713557B1 (ko) * 2005-12-26 2007-05-04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상지 추출물 및 헥사노일트리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0744948B1 (ko) * 2005-12-30 2007-08-02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상지 추출물 및 테트라하이드로커큐민을 유효성분으로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0845731B1 (ko) * 2001-12-14 2008-07-11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미백 활성물질을 함유하는 분말형 화장료 조성물
KR101028238B1 (ko) * 2008-12-05 2011-04-11 장문식 자작나무, 상지 및 설강화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백 화장료 조성물
KR20160001131A (ko) * 2014-06-26 2016-01-06 한국콜마주식회사 싱아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백 화장료 조성물
KR20200009196A (ko) * 2018-07-18 2020-01-30 주식회사 아미코스메틱 지각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200009194A (ko) * 2018-07-18 2020-01-30 주식회사 아미코스메틱 가새뽕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210016099A (ko) * 2019-07-17 2021-02-15 재단법인 경기도경제과학진흥원 개싱아 추출물을 이용한 피부 미백용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60510B1 (ko) * 1997-09-12 2000-07-01 유상옥 상지추출물의 분배추출물을 함유하는 미백 화장료
KR20000074101A (ko) * 1999-05-18 2000-12-05 유상옥 상지추출물과 비타민 c를 포함하는 미백 화장료 조성물
JP3708036B2 (ja) * 2001-08-27 2005-10-19 オリザ油化株式会社 美肌用組成物
KR20030031697A (ko) * 2001-10-15 2003-04-23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도화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백 화장료 조성물
EP1736142A1 (en) * 2005-02-03 2006-12-27 Omboon Luanratana Anti-photoaging composition comprising mulberry extract
US20060216253A1 (en) * 2005-03-23 2006-09-28 Time And Cross, Inc. Whitening cosmetics containing morus alba extracts
JP4982052B2 (ja) * 2005-06-07 2012-07-25 オリザ油化株式会社 美肌用組成物
US8268295B2 (en) 2009-11-25 2012-09-18 Coreana Cosmetics Co., Ltd. Cosmetic composition for skin whitening comprising the extract of Magnolia sieboldii as active ingredient
KR20120068148A (ko) * 2010-12-17 2012-06-27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회화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백반증 또는 백모 개선용 조성물
KR101534557B1 (ko) * 2014-04-15 2015-07-09 한국콜마주식회사 마키아신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JP6606353B2 (ja) * 2014-06-06 2019-11-13 御木本製薬株式会社 Pmel17遺伝子発現抑制剤
US11090351B2 (en) 2016-02-24 2021-08-17 Kao Corporation Whitening agent
CN110615821A (zh) * 2019-09-17 2019-12-27 西北大学 一种桑葚提取物、提取分离方法及其应用
KR102566131B1 (ko) * 2021-09-10 2023-08-11 한국 한의학 연구원 인삼 및 뽕나무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102641379B1 (ko) 2023-10-13 2024-02-28 주식회사 미산 미백효과를 갖는 식물추출물을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82710A (en) * 1975-12-29 1977-07-11 Nippon Shinyaku Co Ltd Extraction of effective drug component from mulberry

Cited B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38401A (ko) * 1997-11-05 1999-06-05 성재갑 피부노화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KR100676074B1 (ko) * 2001-01-15 2007-01-31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상지추출물과 δ-토코페롤을 함유하는 미백 화장료
KR100676076B1 (ko) * 2001-01-15 2007-01-31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상지추출물과 락토카인을 함유하는 피부 항상성 유지용화장료
KR20020094349A (ko) * 2001-06-11 2002-12-18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모란뿌리, 상지 및 호이초 추출물의 혼합물을 포함하는미백 화장료
KR20030039521A (ko) * 2001-11-13 2003-05-22 주식회사 웰스킨 상지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균용 조성물
KR100845731B1 (ko) * 2001-12-14 2008-07-11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미백 활성물질을 함유하는 분말형 화장료 조성물
KR100471685B1 (ko) * 2002-02-06 2005-03-08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락테이트 및 상지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백 화장료 조성물
KR100488493B1 (ko) * 2002-04-22 2005-05-11 한국생명공학연구원 궁궁이로부터 분리한 멜라닌 생합성 저해활성을 가지는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피부미백제
KR100449345B1 (ko) * 2002-07-03 2004-09-18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엠블리카 추출물 및 상지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화장료 조성물
KR100495956B1 (ko) * 2002-07-12 2005-06-16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상지 추출물 및 송이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화장료 조성물
KR100570097B1 (ko) * 2004-11-17 2006-04-11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상지 추출물, 천궁 추출물 및 알파 히드록시산을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0678865B1 (ko) * 2005-08-30 2007-02-05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상지 추출물 및 카르니틴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0713557B1 (ko) * 2005-12-26 2007-05-04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상지 추출물 및 헥사노일트리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0744948B1 (ko) * 2005-12-30 2007-08-02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상지 추출물 및 테트라하이드로커큐민을 유효성분으로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1028238B1 (ko) * 2008-12-05 2011-04-11 장문식 자작나무, 상지 및 설강화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백 화장료 조성물
KR20160001131A (ko) * 2014-06-26 2016-01-06 한국콜마주식회사 싱아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백 화장료 조성물
KR20200009196A (ko) * 2018-07-18 2020-01-30 주식회사 아미코스메틱 지각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200009194A (ko) * 2018-07-18 2020-01-30 주식회사 아미코스메틱 가새뽕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210016099A (ko) * 2019-07-17 2021-02-15 재단법인 경기도경제과학진흥원 개싱아 추출물을 이용한 피부 미백용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3549717B2 (ja) 2004-08-04
JPH10226620A (ja) 1998-08-25
KR100230130B1 (ko) 1999-11-15
US5872254A (en) 1999-0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9980069943A (ko) 상지 추출물을 함유하는 미백화장료
US6274123B1 (en) Use of an extract of the genus Adansonia
US6071525A (en) Whitening cosmetics containing mulberrin
KR100260510B1 (ko) 상지추출물의 분배추출물을 함유하는 미백 화장료
KR100359996B1 (ko) 감태 추출물을 함유하는 미백 화장료
KR20050039327A (ko) 예덕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주름 개선 화장료 조성물
KR100190993B1 (ko) 흑화 성분을 제거하여 개선된 미백효과를 갖는 천문동 수용성 분획 추출물 및 이를 함유하는 기미,주근깨 개선 및 피부미백용 조성물
KR100190992B1 (ko) 천문동추출물과 티로시나아제 저해제를 함유한 피부미백용조성물
KR100496850B1 (ko) 치자 추출물을 함유하고 있는 미백화장료
KR20020035656A (ko) 삼백초추출물로 이루어진 티로시나제 저해제 및 이를함유하는 미백화장료
KR100564227B1 (ko)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0466379B1 (ko) 피부미백용 조성물
KR100416400B1 (ko) 천화분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외용제 조성물
KR100789632B1 (ko) 멜라닌 생성 억제 활성을 갖는 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피부미백용 화장료
KR20050092313A (ko) 멜라닌 생성 억제 활성을 갖는 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피부미백용 화장료
KR100453217B1 (ko) 피부미백재
KR100789634B1 (ko) 멜라닌 생성 억제 활성을 갖는 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피부미백용 화장료
KR20000074101A (ko) 상지추출물과 비타민 c를 포함하는 미백 화장료 조성물
EP0820761A2 (en) Tanning cosmetics containing caesapinia sappan L. extract
KR100495454B1 (ko) 피토라이트를 포함하는 미백 화장료 조성물
KR20030090188A (ko) 락테이트 및 감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조성물
KR20100088463A (ko) 아로니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0190989B1 (ko) 흑화 성분을 제거하여 개선된 미백효과를 갖는반하수용성분획추출물및이를함유하는기미,주근깨개선및피부미백용조성물
KR100724168B1 (ko) 멜라닌 생성 억제 활성을 갖는 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피부미백용 화장료
KR20030005721A (ko) 천화분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81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