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39521A - 상지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균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상지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균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39521A
KR20030039521A KR1020010070463A KR20010070463A KR20030039521A KR 20030039521 A KR20030039521 A KR 20030039521A KR 1020010070463 A KR1020010070463 A KR 1020010070463A KR 20010070463 A KR20010070463 A KR 20010070463A KR 20030039521 A KR20030039521 A KR 200300395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weight
antimicrobial composition
upper limb
antimicrob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704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경찬
박서형
권선방
최영
박선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웰스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웰스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웰스킨
Priority to KR10200100704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39521A/ko
Publication of KR200300395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39521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60Moraceae (Mulberry family), e.g. breadfruit or fig
    • A61K36/605Morus (mulberr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지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균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여드름균, 스타필로코커스 미티스 및 코린박테리움 속 균주에 대하여 항균활성이 우수한 상지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균용 화장료 조성물 및 약제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상지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균용 조성물{ANTIMICROBIAL COMPOSITION CONTAINING EXTRACT ISOLATED FROM RAMULUS MORI}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
본 발명은 상지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균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여드름균, 스타필로코커스 미티스 및 코린박테리움 속 균주에 대하여 항균활성이 우수한 상지 추출물 및 상지 추출물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종래기술]
여드름은 모낭피지선에서 일어나는 염증성 질환으로, 남성호르몬인 안드로젠과 과도한 각질형성, 피지와 세균 등의 상호작용에 의하여 발생된다. 사춘기가 되면서 남녀 모두 남성호르몬인 안드로젠의 분비가 증가하면서 모낭 옆에 붙어있는 피지선을 자극하게 되고, 그 결과 피지선이 커지고 피지생산이 증가된다. 이와 동시에 모공입구의 각질층이 두꺼워지고, 접착력이 높아져 모공이 좁아지거나 막히게 된다. 모공이 막히게 되면 세균의 증식이 쉬워지고 세균의 활동에 의하여 피지에서 만들어진 유리지방산이 주변 피부에 침투하여 염증을 일으키게 된다. 염증성 여드름은 주변조직을 붉게 변화시키면서 조직을 파괴하고 흉터를 남기게 된다.
기존의 여드름 치료제는 항안드로젠제, 항염증작용의 소염제, 항균효과가 있는 테트라싸이클린, 에리스로마이신, 이외에 비타민 A 유도체인 레티노익산 등이 있다. 이러한 치료제는 개개인에 따라 치료효과가 다르며 부작용이 발생되기도 한다. 특히, 호르몬제는 표피의 생장을 억제하고 여성에서만 사용할 수 있는 단점이 있고, 레티노익산과 벤조일퍼록사이드 등은 접촉성 피부염을 야기할 수 있으며, 항생물질은 내성균의 발생을 유도할 수 있으며 또한 과민반응의 원인이 될 수 있다.
여드름 균에 대하여 항균작용을 가지면서도 장기간 사용시에 안전한 화장품 또는 약제학적 조성물의 개발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항균활성을 가지는 식물 추출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여드름 균에 대하여 항균활성을 가지는 식물 추출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항균성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품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항균성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약학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지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균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자들은 미백작용이 우수한 것으로 알려진 상지가 항균활성을 가짐을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상지(Ramulus Mori)는 뽕나무속 식물의 여린 가지를 말린 것이다. 뽕나무속 식물로는 뽕나무(Morus alba, Linne), 처진 뽕나무(Morus alba for. Peldulls DIPPEL), 산 뽕나무(Morus bombycis, Koidzumi), 꼬리 뽕나무(Morus bombycis var. Caudatifolia), 섬 뽕나무(Morus bombycis var. maritima KOIDZ), 가새 뽕나무(Morus bombycis for. Kase VYKEI), 몽고 뽕나무, 왕 뽕나무, 돌 뽕나무(Morus tiliaefolia, Makino)가 있으며, 이들은 낙엽활엽성의 교목으로 한국의 대부분 지역에 걸쳐 표고 500 - 1,400 m에 수평적으로 분포하며, 산골 마을 부근이나 산기슭에 자생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지의 모양은 긴 원주형으로 크기가 일정하지 않으며, 직경은 0.5-1.5 cm 이다. 표면은 회황색 혹은 황갈색으로 다수의 황갈색 점상 피공과 미세한 종문이 있으며, 회백색을 띤 반원형 잎 흔적과 황갈색의 액아가 있다. 절편의 두께는 0.2 - 0.5 cm로 외피 부위는 비교적 얇고, 목질 부위는 황백색이며, 사선은 방사상이고, 수부는 백색 또는 황백색이다. 상지의 채취 시기는 늦은 봄과 초여름 사이가 바람직하며, 잎을 제거한 후, 신선할 때 30~60 cm 크기로 잘라 햇볕에 말린 것이 좋다. 통상적으로 상지는 약간 쓴 맛이 나며, 소염, 이뇨, 강장, 발한 및 풍을 제거하는 등의 효능을 가지고 있어, 오래 전부터 한약재로 쓰이고 있다.
본 발명의 상지는 건조 분쇄하여 증류수, 알코올 또는 유기용매를 용매로 하여 상지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바람직한 용매는 증류수, 에탄올, 클로로포름, 페트로레움 에테르, 에틸아세테이트 또는 부탄올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지 추출물은 여드름균에 대하여 항균효과가 우수하며, 특히 프로피오네스박테리움 아크네, 스타필로코커스 미티스, 코린박테리움 속(Corynebacterium spp)균주 및 스타필로코커스 에피더미스에 대하여 항균활성을 가진다. 또한 상지 추출물은 약용으로 사용되는 만큼 인체에 무해하며, 장기간 사용에 따른 부작용이 발생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상지 추출물은 항균용 조성물의 유효성분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화장료 조성물 또는 약제학적 조성물로 이용할 수 있다. 항균용 조성물은 상지 추출물을 0.001 내지 20 중량%로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지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균용 조성물은 수액제, 고형제, 분말제, 유액제, 젤형 또는 캅셀제가 바람직하나 사용 용도에 따라 달리 적용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한 화장료 조성물은 유연화장수, 스킨, 영양크림, 마사지크림, 에센스, 팩, 비누, 샴푸, 피부접착용 패취 또는 피부접착용 겔의 제형을 가지는 것이 좋다. 약제학적 조성물은 경고제(硬膏劑), 과립제(顆粒劑), 로션제(lotiones), 리니멘트제(liniments), 리모나데제(limonades), 방향수제(芳香水劑), 산제(散劑), 시럽제(syrups), 안연고제(眼軟膏劑), 액제(液劑), 엑스제(extracts), 엘릭시르제(elixier), 연고제(軟膏劑), 유당제(乳糖劑), 유동(流動)엑스제, 에멀션제, 현탁제(懸濁劑), 점안제(點眼劑), 정제(錠劑) ·좌제(坐劑), 주사제, 주정제(酒精劑), 침제(浸劑), 전제(煎劑), 파스타제(pasta), 카타플라스마제(cataplasma), 캡슐제(capsules), 트로키제(troches), 팅크제(tincture) 또는 환제(丸劑)인 것이 좋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연고제이다.
항균성 조성물은 1일 0.000001 내지 1000 mg으로 1회 내지 3회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사용용도 및 적용부위의 상태에 따라 조절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기재한다.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이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상지 에탄올 추출물의 제조
상지를 정제수로 세척하고 건조시킨 뒤 분쇄하여 상지추출물의 미세분말을 수득하였다. 상지 미세분말 1 Kg을 50 % 에탄올 수용액 5 L에 혼합하고, 실온에서 5일 동안 방치시켰다. 혼합물의 침전물을 와트만 여과지로 여과하고, 여액을 회전감압증발기로 50도에서 에탄올을 제거하고, 냉동건조기로 건조시켜 분말을 얻었다. 분말은 50 % 에탄올에 용해시켜 실험에 사용하였다.
실시예 2: 상지 용매 추출물의 제조
상지는 정제수로 세척하고 건조시킨 뒤 분쇄하여 미세분말로 준비하였다. 미세분말 1 Kg을 70 % 에탄올 수용액 5 L에 혼합하고, 실온에서 5일 동안 방치시켰다. 혼합물의 침전물을 와트만 여과지로 여과하고 여액을 회전감압증발기로 50 ℃에서 농축시켰다.
농축액에 동량의 증류수를 넣고 교반한 후 방치 여과하여 지방성 침전물(A)과 상층액을 얻었다. 상층액에 페트로레움에테르를 가하여 상층과 하층으로 분리시켰다. 상층은 페트로레움에테르 추출물(B)이다.
하층은 클로로포름을 가하여 상층과 하층으로 분리한 다음 상층인 클로로포름 추출물(C)을 수득하였다.
하층은 다시 에틸아세테이트를 가하여 상층과 하층으로 분리한 다음 상층인 에틸아세테이트 추출물(D)을 수득하였다.
상기 하층은 동일한 방법으로 부탄올을 가하여 부탄올 추출물(E)을 수득하였다.
상기 부탄올에 추출되지 않은 수용성 추출물(F)을 수득하였다.
지방성 침전물(A), 페트로레움에테르 추출물(B), 클로로포름 추출물(C), 에틸아세테이트 추출물(D), 부탄올 추출물(E) 및 수용성 추출물(F)은 동결건조하여 분말화하였다.
실시예 3: 상지추출물의 세포증식 촉진효과
MTT 분석법을 통하여 상지 추출물들의 독성여부를 확인하였다.
섬유아세포(fibroblast)를 96웰 플레이트에 8000개/웰로 접종하고, 200 ㎕의 DMEM 배지에서 24 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건조시킨 지방성 침전물(A), 페트로레움 에테르 추출물(B), 클로로포름 추출물(C), 에틸아세테이트 추출물(D), 부탄올 추출물(E) 및 수용성 추출물(F)을 배지에 혼합하고, 배지가 제거된 웰에 최종 농도 0, 50, 100, 200, 500 ㎍/mL로 각각 넣고 20 시간 동안 두었다. 웰의 혼합액은 0.5 ㎎/mL MTT 용액을 포함한 배지에서 4 시간 둔 후, 배지를 제거하고 200 ㎕의 DMSO용액을 웰에 넣어 반응시켰다. 웰의 반응액은 ELISA 판독기를 사용하여 540 ㎚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고, 대조구(추출물 무처리군)를 100 %으로 두고, 세포증식 및 생존율을 하기의 계산식 1로 계산하였다. 세포생존율은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계산식 1)
세포증식율 = (실험군의 흡광도/대조군의 흡광도) X 100 (%)
구분 50 ㎍/mL 100 ㎍/mL 200 ㎍/mL 500 ㎍/mL
지방성 침전물(A) 119 % 76 % 19 % 39 %
페트로레움 에테르추출물(B) 138 % 96 % 18 % 29 %
클로로포름 추출물(C) 104 % 97 % 65 % 28 %
에틸아세테이트 추출물(D) 121 % 116 % 77 % 36 %
부탄올 추출물(E) 107 % 121 % 130 % 139 %
수용성 추출물(F) 119 % 104 % 103 % 116 %
상기 표 1에서, 지방성 침전물, 페트로레움 에테르추출물, 클로로포름 추출물 및 에틸아세테이트 추출물은 50 내지 100 ㎍/mL의 농도에서 섬유아세포의 증식을 촉진시켰고, 부탄올 추출물 및 수용성 추출물 역시 세포증식을 촉진시켰다.
상기 상지 추출물들은 향균작용에 의해 고 농도에서 다소 세포증식저해효과가 나타났지만 이는 세포독성을 나타내는 것이 아니다. 상지 추출물은 이미 미백효과를 위한 용도로 사용되고 있어 그 무독성이 확인된바 있다.
실시예 4: 상지 추출물의 항균효과
(1) 디스크 검사
상지 추출물들의 항균력을 확인하기 위하여 디스크 검사를 실시하였다. 균주는 임상에서 분리한 것을 사용하였다. 여드름에서 분리한 균은 프로피오니박테리움 아크네-1(propionibacterium acne)및 프로피오니박테리움 아크네-2이다. 스타필로코커스 미티스(S. mitis), 코린박테리움 속 균주(Corynebacterimspp) 및 스타필로코커스 에피더미디스(Staphylococcus epidermidis)는 정상인의 피부에서 분리하였다. 균주들은 Brucella 배지에서 배양하였다.
프로피오니박테리움 아크네-1, 프로피오니박테리움 아크네-2, 스타필로코커스 미티스, 코린박테리움 속 균주, 스타필로코커스 에피더미디스-1, 스타필로코커스 에피더미디스-2 및 스타필로코커스 에피더미디스-3을 각각 배양하고, 0.5 맥파랜드 단위로 균 현탁액을 준비하였다. 면봉에 균 현탁액을 묻혀 5 % sheep blood를 포함하는 TSA배지에 도말하였다. 직경 6 mm의 종이 디스크에 상지 추출물을 각각 5 mg으로 점적한 후 건조시켜 균을 도말한 고체배지위에 올려놓았다. 프로피오니박테리움 아크네는 37도 혐기성 배양조 (Unaerobic jar)에서 3일간, 이외의 균주는 37도에서 호기적으로 24 시간 배양한 후 종이 디스크 주위에 생긴 억제환의 크기를 측정하였다. 실시예 1에 의한 억제환의 크기는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균주명 억제환의 크기(cm)
P. acnes-1 0.6
P. acnes-2 0.6
S. mitis 0.7
Corynebacterimspp 0.65
S. epidermidis-1 0.6
S. epidermidis-2 -
S. epidermidis-3 0.65
실시예 1의 상지 추출물은 스타필로코커스 에피더미디스-3을 제외한 모든 균주에 대하여 증식억제효과를 나타내었다.
(2) MIC(mi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 측정
프로피오니박테리움 아크네-1, 프로피오니박테리움 아크네-2, 스타필로코커스 미티스, 코린박테리움 속 균주, 스타필로코커스 에피더미디스-1, 스타필로코커스 에피더미디스-2 및 스타필로코커스 에피더미디스-3을 배양하고, 액체배지(broth)에 탁도가 맥파랜드 단위 0.5로 균 현탁액을 준비하였다. 이를 1/5 희석하여 96 웰 플레이트에 10 ul/웰(2 X 105cells/well)로 접종하고, 각 웰에 상지 추출물들을 각각 순차적인 농도로 투입하였다. 프로피오니박테리움 아크네는 37도 혐기성 배양조 (Unaerobic jar)에서 3일간 배양한 후 균의 성장여부를 관찰하였으며, 이외의 균주는 37도에서 호기적으로 24 시간 배양한 후 균의 성장여부를 관찰하였다. 상지 추출물의 농도에 따른 균의 성장여부를 확인하여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MIC (ug/ml)
실시예 1 지방성 침전물 페트로레움 에테르추출물 클로로포름 추출물 에틸아세테이트 추출물 부탄올 추출물 수용성 추출물
P. acnes-1 320 >640 >640 80 80 >640 >640
P. acnes-2 320 >640 >640 40 80 >640 >640
S. mitis 160 20 20 40 160 >640 >640
Corynebacterimspp 320 40 160 40 80 >640 >640
S. epidermidis-1 >640 >640 >640 640 160 >640 >640
S. epidermidis-2 >640 >640 >640 160 160 >640 >640
S. epidermidis-3 >640 >640 >640 >640 320 >640 >640
상지 추출물들은 항균효과가 있었으며, 그중 클로로포름 추출물 및 에틸아세테이트 추출물이 강한 항균효과를 나타내었고 특히 여드름 균, 스타필로코커스 미티스 및 코린박테리움 속 균주에 대하여 강한 성장억제효과를 나타내었다. 실시예 1의 50 % 에탄올 추출물, 지방성 침전물 및 페트로레움 에테르 추출물은 스타필로코커스 미티스 및 코린박테리움 속 균주에 대하여 성장억제효과가 우수하였다.
실시예 5: 상지 추출물을 함유하는 유연화장수(스킨)의 제조
클로로포름 추출물 건조분말 1.0 중량%, 글리세린 5.0 중량%, 1,3-부칠렌글리콜 3.0 중량%, 피이지 1500 1.0 중량%, 알란토인 0.1 중량%, DL-판테놀 0.3 중량%, EDTA-2NA 0.02 중량%, 벤조페논-9 0.04 중량%, 소듐히아루로네이트 5.0 중량%, 에탄올 10.0 중량%, 옥틸도데세스-16 중량%, 폴리솔베이트 20 중량%, 및 미량의 방부제, 향, 색소와 잔량의 정제수를 혼합하여 유연화장수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6: 상지 추출물을 함유하는 수렴화장수의 제조
에틸아세테이트 추출물 건조분말 1.0 중량%, 글리세린 2.0 중량%, 1,3-부칠렌글리콜 2.0 중량%, 피이지 1500 1.0 중량%, 알란토인 0.2 중량%, DL-판테놀 0.2 중량%, 소듐히아루로네이트 3.0 중량%, 에탄올 15.0 중량%, 옥틸도데세스-16 0.2 중량%, 폴리솔베이트 20 0.3 중량%, 위치하젤추출물 2.0 중량%, 및 미량의 구연산, 방부제, 향, 색소와 잔량의 정제수를 혼합하여 수렴화장수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7: 상지추출물을 함유하는 영양크림의 제조
상지에 대한 50 % 에탄올 추출물 건조분말 1.0 중량%, 스테아릴알콜 6.0 중량%, 스테아린산 2.0 중량%, 농글리세린 1.0 중량%, 스쿠알란 9.0 중량%, 1,3-부틸렌글리콜 6.0 중량%, 폴리솔베이트 60 1.5 중량%, 폴리에틸렌글리콜 1000 4.0 중량%, 경화 라놀린 4.0 중량%, 옥틸 도데카놀 10.0 중량%, 솔비탄 스테아레이트 0.8 중량%, 트리에탄올아민 0.5 중량%, 및 적량의 파라옥시안시향산에스테르, 향료, 색소와 잔량의 정제수를 혼합하여 상지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영양크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8: 상지 추출물을 함유하는 마사지크림의 제조
클로로포름 추출물 건조분말 1.0 중량%, 바셀린 7 중량%, 유동파라핀 10 중량%, 밀랍 2 중량%, 폴리솔베이트 2.5 중량%, 스쿠알렌 3 중량%, 글리세린 4 중량%, 프로필렌글리콜 6 중량%, 및 적량의 방부제와 잔량의 정제수를 혼합하여 마사지 크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9: 상지 추출물을 함유하는 에센스의 제조
에틸아세테이트 추출물 건조분말 1.0 중량%, 사이클로메티콘 15.0 중량%, 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 3.0 중량%, 미네랄오일 3.0 중량%, 밀납 1.0 중량%, 토코페롤 1.0 중량%, 세틸디메티콘코폴리올 3.0 중량%, 글리세린 5.0 중량%, 황산마그네슘 3.0 중량%, 및 적량의 파라옥시안식향산에스테르와 잔량의 정제수를 혼합하여 에센스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10: 상지 추출물을 함유하는 팩의 제조
상지의 50 % 에탄올 추출물 건조분말 1.0 중량%, 글리세린 5.0 중량%, 프로필렌글리콜 4.0 중량%, 폴리비닐알콜 15.0 중량%, 에탄올 8.0 중량%, 폴리옥시에틸렌올레일에칠 1.0 중량%, 파라옥시안식향산메칠 0.2 중량%, 및 적량의 향과 잔량의 정제수를 혼합하여 상지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팩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1: 상지 추출물을 함유하는 비누의 제조
상지 클로로포름 추출물 1.0 중량%, 팜유 66 중량%, 팜핵유 32 중량%, 기타 향료 등을 혼합하여 상지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누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12: 상지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외용제의 제조
상지 에틸아세테이트 추출물 1.0 중량%, 디에틸세바케이트 8.0 중량%, 경납 5.0 중량%, 폴리옥시에틸렌올레일-에테르 포스페이트(EO4) 6.0 중량%, 및 적량의 파라옥시안식향산에스테르와 잔량의 바세린을 혼합하여 상지의 수용성 추출물 (D)을 포함하는 피부외용연고를 제조하였다.
본 발명의 상지 추출물은 여드름균, 스타필로코커스 미티스 및 코린박테리움 속 균주에 대하여 항균작용을 나타내었으며, 특히 상지 클로로포름 추출물 및 상지 에틸아세테이트 추출물의 항균효과가 우수하였다. 상지 추출물은 화장품 또는 약학적 조성물의 유효한 성분으로 사용하여 균에 의한 질병을 예방 및 치료할 수 있다.

Claims (7)

  1. 상지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균용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항균용 조성물은 상지 추출물을 0.001 내지 20 중량%로 포함하는 것인 항균용 조성물.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지 추출물은 에탄올, 증류수, 페트로레움 에테르, 클로로포름, 에틸아세테이트 및 부탄올로 이루어진 군으로 부터 1종 이상 선택되는 용매로 추출된 것인 항균용 조성물.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항균용 조성물은 여드름균, 스타필로코커스 미티스, 코린박테리움 속 균주 및 스타필로코커스 에피더미디스에 대하여 항균작용을 하는 것인 항균용 조성물.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항균용 조성물은 화장료 조성물 또는 약학적 조성물인 것인 항균용 조성물.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은 유연화장수, 스킨, 영양크림, 마사지크림, 에센스, 팩, 비누, 샴푸, 피부접착용 패취, 또는 피부접착용 겔인것인 항균용 조성물.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약제학적 조성물의 제형이 연고제인 것인 항균용 약제학적 조성물.
KR1020010070463A 2001-11-13 2001-11-13 상지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균용 조성물 KR2003003952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70463A KR20030039521A (ko) 2001-11-13 2001-11-13 상지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균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70463A KR20030039521A (ko) 2001-11-13 2001-11-13 상지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균용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39521A true KR20030039521A (ko) 2003-05-22

Family

ID=295692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70463A KR20030039521A (ko) 2001-11-13 2001-11-13 상지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균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39521A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11499A (ko) * 1990-12-13 1992-07-24 김만경 여드름 치료용 조성물
JPH05271085A (ja) * 1992-03-30 1993-10-19 Sunstar Inc 歯周病予防剤
KR970007366A (ko) * 1995-07-31 1997-02-21 고제섭 압축단자 접촉저항 측정장치 및 그 방법
KR19980069943A (ko) * 1997-02-18 1998-10-26 유상옥 상지 추출물을 함유하는 미백화장료
KR19980076652A (ko) * 1997-04-11 1998-11-16 이덕림 식품에 항균활성효과가 있는 상피추출물
KR19990010707A (ko) * 1997-07-18 1999-02-18 서경배 정제 상백피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품 및 의약품 조성물
KR20000058474A (ko) * 2000-05-31 2000-10-05 이승열 건강증진약초입욕제의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11499A (ko) * 1990-12-13 1992-07-24 김만경 여드름 치료용 조성물
JPH05271085A (ja) * 1992-03-30 1993-10-19 Sunstar Inc 歯周病予防剤
KR970007366A (ko) * 1995-07-31 1997-02-21 고제섭 압축단자 접촉저항 측정장치 및 그 방법
KR19980069943A (ko) * 1997-02-18 1998-10-26 유상옥 상지 추출물을 함유하는 미백화장료
KR19980076652A (ko) * 1997-04-11 1998-11-16 이덕림 식품에 항균활성효과가 있는 상피추출물
KR19990010707A (ko) * 1997-07-18 1999-02-18 서경배 정제 상백피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품 및 의약품 조성물
KR20000058474A (ko) * 2000-05-31 2000-10-05 이승열 건강증진약초입욕제의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35172B1 (ko) 황백, 어성초, 선학초, 작약 및 감초의 혼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여드름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171133B1 (ko) 병풀 추출물 및 개양귀비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20070079497A (ko) 생약성분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US11484559B2 (en) Kapok tree flower extract, and cosmetic, pharmaceutical or dermatological compositions containing same
KR100633380B1 (ko) 특정 생약추출 혼합물을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용 한방화장료 조성물
KR101100678B1 (ko) 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0776346B1 (ko) 한련초, 숙지황, 하수오 및 반하 혼합 생약 추출물을함유하는 항비듬, 항염 활성을 갖는 조성물
KR102144568B1 (ko) 상백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외용제 조성물
JP2006137690A (ja) 皮膚外用剤およびヒアルロン酸産生促進剤
KR102300581B1 (ko) 식물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KR20180082177A (ko) 사카로미세스 효모발효여과물, 아스파라거스줄기 추출물 및 관동꽃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214985B1 (ko) 식물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KR101071414B1 (ko) 과나바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미백용 조성물
KR101039532B1 (ko) 연잎, 지부자, 지골피 추출물로 구성되는 천연항균복합체를 함유하는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110130184A (ko) 항 여드름 효능을 갖는 꾸지뽕나무 추출물과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0523842B1 (ko) 천연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트러블 개선용 화장료
KR20040041912A (ko) 동충하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염 조성물
KR20030073441A (ko) 탄닌을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
KR20030083794A (ko) 히노키티올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
JP4716497B2 (ja) 皮膚外用剤およびヒアルロニダーゼ阻害剤
KR102006661B1 (ko) 실버위드, 히더, 홉, 멀레인의 허브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 항염, 항주름 및 보습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30090071A (ko) 초임계유체를 이용한 생강으로부터 여드름성 피부 항균성분의 선택추출법
KR102127771B1 (ko) 한방복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항산화, 항염증, 항노화 또는 피부진정을 위한 조성물
KR20180017974A (ko) 복합생약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여드름 예방 또는 치료용 화장료 조성물
KR101214344B1 (ko) 쌀겨와 감초발효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