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74101A - 상지추출물과 비타민 c를 포함하는 미백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상지추출물과 비타민 c를 포함하는 미백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74101A
KR20000074101A KR1019990017810A KR19990017810A KR20000074101A KR 20000074101 A KR20000074101 A KR 20000074101A KR 1019990017810 A KR1019990017810 A KR 1019990017810A KR 19990017810 A KR19990017810 A KR 19990017810A KR 20000074101 A KR20000074101 A KR 200000741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tamin
extract
cream
upper limb
morus alb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178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정하
이강태
조병기
Original Assignee
유상옥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상옥,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filed Critical 유상옥
Priority to KR10199900178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74101A/ko
Publication of KR200000741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74101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7Vitamins
    • A61K8/676Ascorbic acid, i.e. vitamin C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2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for chemically bleaching or whitening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2Stabilizers
    • A61K2800/522Antioxidants; Radical scavenge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뽕나무과의 뽕나무(Morus alba Linne)의 어린가지인 상지로부터 추출한 상지 추출물과 항산화 효과가 뛰어난 비타민 C를 동시에 포함하는 미백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미백 화장료 조성물은 화장료 총중량에 대하여 상지 추출물 0.01~5중량% 및 비타민 C 0.01~3.0중량%의 양으로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는 멜라닌 합성 저해효과를 높이기 위하여 상지 추출물과 비타민 C를 동시에 이용하였다.

Description

상지추출물과 비타민 C를 포함하는 미백 화장료 조성물 {Cosmetics containing Ramulus mori extracts and Vitamin C for skin whitening}
본 발명은 상지 추출물과 비타민 C를 동시에 포함하는 미백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사람의 피부색은 크게 멜라닌의 양, 헤모글로빈, 카로틴등에 의해 결정되는데 이중에서 멜라닌이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한다. 멜라닌은 사람의 피부색을 결정할 뿐아니라 피부 보호 작용[자외선 흡수 작용, 자유 라디칼 스카벤져(Free Radical Scavenger)]의 역할을 하지만 자외선의 과량 노출, 대기오염, 스트레스 등 외부의 환경변화에 의해 과다하게 피부내 생성되면 피부내에서 색소침착현상이 일어나게 되어 피부색이 검게되거나 기미 주근깨등의 원인이 된다.
멜라닌 합성 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세포내의 티로신(Tyrosine)을 기질로 하여 티로시나제(Tyrosinase)라는 효소가 도파퀴논(DOPAquinone)을 생성시키며, 도파퀴논으로부터 자동산화 반응과 효소 반응을 거쳐 공중합체인 멜라닌이 생성된다. 이렇게 생성된 멜라닌은 멜라노좀이라는 주머니를 통해 케라티노사이트로 옮겨지게되고 케라티노 사이트에서 28일간의 각화 과정을 거치면서 피부표면으로 나오게 된다. 그러나 이 과정에서 멜라닌 생성을 촉진하는 요인에 의해서 멜라닌이 과량 생성되고 각화에 의해 멜라닌이 완전히 없어지지 않으면 색소침착(Pigmentation) 현상이 나타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색소 침착 현상을 막아주기 위해서는 멜라닌 생성과정에서의 일부 과정을 조절 해 줌으로써 억제할 수가 있다.
멜라닌 합성을 저해하는 기작은 여러 가지 존재한다. 대표적인 합성 저해 과정은 멜라닌 합성의 중요한 효소인 티로시나제를 저해하는 것으로 가장 많이 알려진 것으로는 코직산(kojic acid)과 같은 chelator가 있으며, 알부틴(Arbutin)과 같이 기질 유사물질이 있다. 또한 식물 추출물로는 상백피 추출물, 감초 추출물등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미백 원료들은 안정성이 낮아 효과가 오래 지속되지 못하는 단점을 가지고 있어 제품의 적용 범위가 매우 좁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문제점들을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와 노력을 한 결과, 상지 추출물과 함께 항산화 효과가 뛰어난 비타민 C를 동시에 제품에 적용함으로써 우수한 미백효과를 얻을 수 있음을 알게되어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지 추출물과 비타민 C를 포함하는 미백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뽕나무과의 뽕나무(Morus alba Linne)의 어린가지인 상지로부터 추출한 상지 추출물과 항산화 효과가 뛰어난 비타민 C를 동시에 포함하는 미백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미백 화장료 조성물은 화장료 총중량에 대하여 상지 추출물 0.01~5중량% 및 비타민 C 0.01~3.0중량%의 양으로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는 멜라닌 합성 저해효과를 높이기 위하여 상지 추출물과 비타민 C를 동시에 이용하였다.
상지 추출물은 티로시나제 저해 효과 및 지속성이 뛰어나며, 멜라닌 합성 저해 효과가 뛰어난 식물 추출물로 본 발명자들은 이미 상지 추출물의 미백 효과에 대한 특허 출원(한국특허출원 제97-47258호)을 한 바 있다.
비타민 C는 항산화 효과가 우수하며 티로시나제 저해 효과가 높은 물질로서 미백 제품의 원료로 이용되고 있다.
본 발명의 미백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상지 추출물의 제조 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상지를 정제수로 세척하고 건조한 상지 1kg을 70% 에탄올 5L에 넣고 4∼40℃에서 5일간 추출한 후 300메쉬 여과포로 여과하고, 5∼10℃에서 7∼10일간 방치하여 숙성시킨 후 와트만 여과지로 여과한다. 이 추출물을 60~70℃에서 회전 감압 증발기로 건조하여 상지 파우더를 얻는다.
본 발명의 미백화장료 조성물은 그 제형에 있어서 특별히 한정되는 바는 없으며, 통상적인 화장료, 예를 들면 유연화장수, 수렴화장수, 영양화장수, 아이크림, 영양크림, 맛사지크림, 클렌징크림, 클렌징폼, 클렌징워터, 파우더, 팩, 엣센스 등의 제형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을 하기 실험예 및 처방예를 들어 보다 상세히 설명하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험예 1
이미 제조된 상지추출물과 순수 비타민 C의 티로시나아제 활성 저해 효과를 측정하였다.
티로시나아제는 버섯에서 분리 및 정제된 것으로 시그마사에서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기질인 티로신은 0.05M 인산나트륨 완충용액(pH 6.8)에 녹여 0.1㎎/㎖ 용액으로 만들어 사용하였다.
상지 추출물은 상지 파우더를 1,3-부틸렌 글리콜에 고농도로 용해시키고 다시 완충용액에 희석하여 적당한 농도로 조절하여 추출물 시료액으로 만들어 사용하며 비타민 C도 순수한 비타민으로 완충용액에 적당한 농도로 조절하여 녹인 후 시료액으로 사용한다. 또한 비타민 C와 상지 추출물의 시너지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시료 티로신 용액 0.5㎖을 시험관에 넣고 여기에 추출물 시료액 0.5㎖을 가하고 37℃ 항온기에서 10분간 방치한 후 200U/㎖ 티로시나아제 0.5㎖을 넣고 37℃에서 10분간 반응 시킨다. 이때 대조군은 각 추출물 대신 완충용액을 0.5㎖ 넣은 것이다. 이 반응액이 든 시험관을 얼음위에 놓아 급냉시켜 반응을 중지시키고 분광광도계(spectrophotometer)로 파장 475㎚에서의 흡광도를 측정한다.
각 추출물의 티로시나아제 활성 증가 효과는 하기의 공식으로 구한다.
티로시나아제 활성 저해율(%)=100-(각 추출물의 흡광도/대조군흡광도×100)
실험 결과는 하기 표 1, 2 및 3에 나타낸 바와 같다.
상지 추출물의 티로시나아제 활성 저해 효과
상지 추출물의 농도(㎍/㎖) 티로시나아제 활성 저해율(%)
1 6.9
2 13.8
5 25.8
10 43.2
20 65.8
50 74.5
100 85.4
200 91.8
비타민 C의 티로시나아제 활성 저해 효과
비타민 C의 농도(mM) 티로시나아제 활성 저해율(%)
0.1 8.5
0.3 19.8
0.6 65.8
1.0 83.2
1.5 92.8
2 97.5
상지 추출물과 비타민 C의 티로시나아제 활성 저해 효과
상지 추출물 농도(㎍/㎖) 비타민 C 농도(mM) 티로시나아제 활성 저해율(%)
1 0.3 38.7
2 0.3 50.6
5 0.3 91.5
10 0.3 93.2
20 0.3 93.3
상지 추출물과 비타민 C는 자체적으로도 높은 티로시나제 활성 저해 효과를 가지고 있으며 티로시나제 활성이 낮은 농도에서 두 원료를 동시에 사용할 때는 두 원료를 각각 사용할 때보다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두 원료를 동시에 사용함으로써 낮은 농도에서도 높은 티로시나제 저해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실험예 2: 멜라노사이트(Melanocyte)에서 멜라닌 생성에 대한 상지 추출물과 비타민C 의 저해 효과
멜라노 사이트는 마우스 유래 B-16 멜라노마(ATCC CRL 6323) 세포주를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멜라노마 세포주를 포도당 4.5 g/L, 10% 혈청, 1% 항생제가 포함된 DMEM 배지에 접종하여 50㎖ T-플라스크에 37℃에서 배양한다. 5% CO2조건하에서 24시간 배양한 후, 0.02% EDTA가 포함된 0.05% 트립신(Trypsin)을 처리하여 세포를 분리한 후 50㎖ T-플라스크에 접종하여 48시간 배양한다. 이때 세포수는 5.76 × 106세포/플라스크이다. 여기에 적당 농도의 상지 추출물과 비타민 C를 DMEM 배지에 희석시켜 배양된 멜라노마 세포에 처리하여 37℃에서 5일간 배양한다. 배양후 배지를 모두 제거하고, 0.02% EDTA와 0.05%트립신을 포함한 살린-포스페이트 완충용액(PBS)을 1㎖ 처리하여 세포를 분리시킨 후 5분간 원심 분리하여 세포만을 수집한다. 5% 트리클로로아세테이트(TCA)를 처리하여 교반하고, 원심 분리하여 침전된 멜라닌을 살린-포스페이트 완충용액으로 세척한다.
침전된 멜라닌에 1N NaOH를 처리하여 용해 시킨 후, 475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한다. 멜라닌 농도는 합성 멜라닌(시그마사)의 표준 농도 곡선으로부터 결정하였다. 실험 결과는 표 4, 5, 6에 나타낸 바와 같다.
멜라노사이트에서 멜라닌 합성에 대한 상지 추출물의 저해 효과
상지추출물 농도(㎍/㎖) 멜라닌 생성 억제율(%)
무처리 -
1 1.17
2 10.0
5 17.2
10 27.4
20 31.4
50 43.7
100 54.2
멜라노사이트에서 멜라닌 합성에 대한 비타민 C의 저해 효과
비타민 C 농도(mM) 멜라닌 생성 억제율(%)
무처리 -
0.1 1.7
0.2 7.8
0.5 26.8
1.0 31.9
멜라노사이트에서 멜라닌 합성에 대한 상지 추출물+비타민 C의 저해 효과
상지추출물 농도(㎍/㎖) 비타민 C 농도 (mM) 멜라닌 생성 억제율(%)
무첨가 -
1 0.5 21.5
2 0.5 43.3
5 0.5 56.4
10 0.5 80.2
20 0.5 89.9
이상의 결과에서 상지추출물 과 비타민 C를 각각 처리했을 때의 멜라닌 생성 억제 효과 보다 상지 추출물과 비타민 C를 동시에 처리했을때의 멜라닌 합성 억제효과가 높게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다. 결과적으로 상지 추출물과 비타민 C를 동시에 처리해줌으로써 멜라닌 합성 억제 효과를 극대화 시킬 수 있었다.
처방예 1
상지추출물, 비타민 C를 포함한 화장료중 유연화장수의 처방예는 다음과 같다.
성분 함량(단위:중량%)
상지추출물비타민 C글리세린1.3-부틸렌글리콜피이지1500알란토인DL-판테놀이.디.티.에이-2NA벤조페논-9소듐 히아루로네이트에탄올옥틱도데세스-16폴리솔베이트 20방부제, 향, 색소증류수 1.00.55.03.01.00.10.30.020.045.010.00.20.2미량잔량
합계 100
처방예 2
상지추출물, 비타민 C를 포함한 화장료중 수렴화장수의 처방예는 다음과 같다.
성분 함량(단위:중량%)
상지추출물비타민 C글리세린1.3-부틸렌글리콜알란토인DL-판테놀이.디.티.에이-2NA벤조페논-9소듐 히아루로네이트에탄올폴리솔베이트 20위치하젤 추출물구연산방부제, 향, 색소증류수 1.00.52.02.00.20.20.020.043.015.00.32.0미량미량잔량
합계 100
처방예 3
상지추출물, 비타민 C를 포함한 화장료중 영양화장수의 처방예는 다음과 같다
성분 함량(단위:중량%)
상지추출물비타민 C글리세릴 스테아레이트SE스테아릴 알콜라놀린폴리솔베이트 60솔비탄스테아레이트경화식물유광물유스쿠알란트리옥타노인디메치콘초산토코페롤카르복시비닐폴리머글리세린1.3-부틸렌글리콜소듐히아루로네이트트리 에탄올아민방부제, 향, 색소증류수 3.01.01.51.51.51.30.51.05.03.02.00.80.50.125.03.05.00.12미량잔량
합계 100
처방예 4
상지추출물, 비타민 C를 포함한 화장료중 영양크림의 처방예는 다음과 같다.
성분 함량(단위:중량%)
상지추출물비타민 C친유형 모노스테아린산글리세린세테아릴알콜스테아린산밀납폴리솔베이트 60솔비탄스테아레이트경화식물유스쿠알란광물유트리옥타노인디메치콘소듐마그네슘실리케이트글리세린베타인트리에타올아민소듐히아루로네이트방부제, 향, 색소증류수 3.01.02.02.21.51.01.50.61.03.05.05.01.00.15.03.01.04.0미량잔량
합계 100
처방예 5
상지추출물, 비타민 C를 포함한 화장료중 맛사지크림의 처방예는 다음과 같다.
성분 함량(단위:중량%)
상지추출물비타민 C친유형 모노스케아린산 글리세린스테아릴알콜스테아린산폴리솔베이트 60솔비탄스테아레이트이소스테아릴이소스테레이트스쿠알란광물유디메치콘히드록시에칠셀룰로오스글리세린트리에타올아민방부제, 향, 색소증류수 3.01.01.51.51.01.50.65.05.035.00.50.126.00.7미량잔량
합계 100
처방예 6
상지추출물, 비타민 C를 포함한 화장료중 에센스의 처방예는 다음과 같다.
성분 함량(단위:중량%)
상지추출물비타민 C글리세린베타인피이지 1500알란토인DL-판테놀이.디.티.에이-2Na벤조페논-9히드록시에칠 셀룰로오스소듐히아루로네이트카르복시비닐폴리머트리에탄올아민옥틸도데칸올옥틸도데세스-16에탄올방부제, 향, 색소증류수 3.01.010.05.02.00.10.30.020.040.18.00.20.180.30.46.0미량잔량
합계 100
처방예 7
상지추출물, 비타민 C을 포함한 화장료중 팩의 처방예는 다음과 같다.
성분 함량(단위:중량%)
상지추출물비타민 C폴리비닐알콜셀룰로오스 검글리세린피이지1500사이크로데스트린DL - 판테놀알란토인글리시리진산모노암모늄니코틴아미드에탄올피이지 40 경화피마자유향, 색소, 방부제증류수 3.01.015.00.153.02.00.150.40.10.30.56.00.3미량잔량
합계 100
실험 예 3: 본 발명 화장료 조성물의 미백 효과 평가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의 미백 효과를 실제 사용 테스트를 통하여 평가 하였다. 처방예 4의 상지 추출물과 비타민 C를 각각 3%, 1%를 포함하고 있는 영양 크림과 처방예 4에서 상지추출물과 비타민 C를 정제수로 대체한 크림을 사용하였다. 100명의 30∼40세 여성을 무작위로 2개군으로 나누어 처방예 3과 비교예의 크림을 매일 아침 저녁 2회씩 세안 후 크림 적당량을 안면에 2개월간 연속적으로 바르게 하였다. 미백효과는 식사용 시험 종료 후 안면의 개선 효과를 관찰하여 평가하였다. 실험 결과는 하기의 표7에 나타낸 바와 같다.
본 발명 화장료의 미백 효과
유효 약간 유효 무효 유효율(%)
처방예 3의 크림 45 3 2 96.0
비교예의 크림 1 7 42 16.0
실험 결과에 의하면 상지추출물과 비타민 C를 포함한 본 발명품은 비교예에 비하여 높은 미백 효과를 보여주었으며, 본 발명품을 피부에 도포한 부분의 피검자들에게서 피부 자극을 관찰할 수 없었다.
상기 기재한 바와 같이 상지 추출물과 함께 항산화 효과가 뛰어난 비타민 C를 동시에 제품에 적용한 본 발명의 미백 화장료 조성물은 뛰어난 미백효과를 갖는다.

Claims (4)

  1. 상지 추출물 및 비타민 C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백 화장료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지 추출물을 화장료 총중량에 대하여 0.01~5중량%의 양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백 화장료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비타민 C를 화장료 총중량에 대하여 0.01~3중량%의 양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백 화장료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유연화장수, 수렴화장수, 영양화장수, 아이크림, 영양크림, 맛사지크림, 클렌징크림, 클렌징폼, 클렌징워터의 제형을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미백 화장료 조성물.
KR1019990017810A 1999-05-18 1999-05-18 상지추출물과 비타민 c를 포함하는 미백 화장료 조성물 KR2000007410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17810A KR20000074101A (ko) 1999-05-18 1999-05-18 상지추출물과 비타민 c를 포함하는 미백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17810A KR20000074101A (ko) 1999-05-18 1999-05-18 상지추출물과 비타민 c를 포함하는 미백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74101A true KR20000074101A (ko) 2000-12-05

Family

ID=195861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17810A KR20000074101A (ko) 1999-05-18 1999-05-18 상지추출물과 비타민 c를 포함하는 미백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74101A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94349A (ko) * 2001-06-11 2002-12-18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모란뿌리, 상지 및 호이초 추출물의 혼합물을 포함하는미백 화장료
KR20030031697A (ko) * 2001-10-15 2003-04-23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도화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백 화장료 조성물
KR20030091461A (ko) * 2002-05-28 2003-12-03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아스코르브산 2-글루코시드 및 상지 추출물을 포함하는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0449345B1 (ko) * 2002-07-03 2004-09-18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엠블리카 추출물 및 상지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화장료 조성물
KR100471685B1 (ko) * 2002-02-06 2005-03-08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락테이트 및 상지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백 화장료 조성물
KR100495956B1 (ko) * 2002-07-12 2005-06-16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상지 추출물 및 송이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화장료 조성물
CN108261346A (zh) * 2018-03-01 2018-07-10 森知(上海)国际贸易有限公司 一种美白组合物及其制备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92056A (ja) * 1994-09-22 1996-04-09 Kao Corp 美白化粧料
KR100230130B1 (ko) * 1997-02-18 1999-11-15 유상옥 상지 추출물을 함유하는 미백화장료
KR100253842B1 (ko) * 1997-09-12 2000-07-01 유상옥 멀베린을 함유하는 미백화장료
KR100260510B1 (ko) * 1997-09-12 2000-07-01 유상옥 상지추출물의 분배추출물을 함유하는 미백 화장료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92056A (ja) * 1994-09-22 1996-04-09 Kao Corp 美白化粧料
KR100230130B1 (ko) * 1997-02-18 1999-11-15 유상옥 상지 추출물을 함유하는 미백화장료
KR100253842B1 (ko) * 1997-09-12 2000-07-01 유상옥 멀베린을 함유하는 미백화장료
KR100260510B1 (ko) * 1997-09-12 2000-07-01 유상옥 상지추출물의 분배추출물을 함유하는 미백 화장료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94349A (ko) * 2001-06-11 2002-12-18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모란뿌리, 상지 및 호이초 추출물의 혼합물을 포함하는미백 화장료
KR20030031697A (ko) * 2001-10-15 2003-04-23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도화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백 화장료 조성물
KR100471685B1 (ko) * 2002-02-06 2005-03-08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락테이트 및 상지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백 화장료 조성물
KR20030091461A (ko) * 2002-05-28 2003-12-03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아스코르브산 2-글루코시드 및 상지 추출물을 포함하는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0449345B1 (ko) * 2002-07-03 2004-09-18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엠블리카 추출물 및 상지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화장료 조성물
KR100495956B1 (ko) * 2002-07-12 2005-06-16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상지 추출물 및 송이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화장료 조성물
CN108261346A (zh) * 2018-03-01 2018-07-10 森知(上海)国际贸易有限公司 一种美白组合物及其制备方法
CN108261346B (zh) * 2018-03-01 2020-12-29 上海科颜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美白组合物及其制备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9980069943A (ko) 상지 추출물을 함유하는 미백화장료
KR101971837B1 (ko) 병풀 부정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 및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0504408B1 (ko) 생큐노라이드 a를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0253842B1 (ko) 멀베린을 함유하는 미백화장료
KR101071414B1 (ko) 과나바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미백용 조성물
KR100860604B1 (ko) 스트로브 잣나무피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000074101A (ko) 상지추출물과 비타민 c를 포함하는 미백 화장료 조성물
KR100602684B1 (ko) 망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미백용 화장료조성물
KR100789632B1 (ko) 멜라닌 생성 억제 활성을 갖는 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피부미백용 화장료
KR100681700B1 (ko) 생큐노라이드 a 및 글루콘산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20090117364A (ko) 아담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미백용 화장료조성물
KR100829718B1 (ko) 먼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화장료 조성물
KR100604085B1 (ko) 상지 추출물과 글루타치온을 함유하는 미백 화장료 조성물
KR20090039008A (ko) 생약재 추출물을 함유하는 미백 화장료 조성물
KR20100088463A (ko) 아로니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20000038844A (ko) 녹두추출물을 함유하는 미백화장료 조성물
KR102435602B1 (ko) 알로에 베라 부정근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0190989B1 (ko) 흑화 성분을 제거하여 개선된 미백효과를 갖는반하수용성분획추출물및이를함유하는기미,주근깨개선및피부미백용조성물
KR100676074B1 (ko) 상지추출물과 δ-토코페롤을 함유하는 미백 화장료
KR20020090544A (ko) 빈랑자 추출물과 알부틴을 함유하는 미백 및 주름개선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KR101079713B1 (ko) 탈리늄 크랏시톨리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미백용 조성물
KR101068808B1 (ko) 봉황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미백용 조성물
KR20040060157A (ko) 트라넥사믹산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20020044194A (ko) 어성초 추출물로 이루어진 티로시나제 저해제 및 이를함유하는 미백화장료
KR100495956B1 (ko) 상지 추출물 및 송이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