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61166U - 차선 규제봉 - Google Patents

차선 규제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61166U
KR19980061166U KR2019970005363U KR19970005363U KR19980061166U KR 19980061166 U KR19980061166 U KR 19980061166U KR 2019970005363 U KR2019970005363 U KR 2019970005363U KR 19970005363 U KR19970005363 U KR 19970005363U KR 19980061166 U KR19980061166 U KR 19980061166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jaw
lane
protruding jaw
reinforc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0536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49321Y1 (ko
Inventor
전순열
Original Assignee
전순열
동우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순열, 동우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전순열
Priority to KR201997000536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49321Y1/ko
Publication of KR1998006116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6116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4932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49321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5/00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 E01F15/003Individual devices arranged in spaced relationship, e.g. buffer bollard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04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 E01F9/608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for guiding, warning or controlling traffic, e.g. delineator posts or mileston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04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 E01F9/619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with reflectors; with means for keeping reflectors clea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도로에 설치되어 차선 유도 및 규제, 보도 및 차도분리표시, 안전지대표시, 횡단보도표시, 분리대 충돌 방지용으로 사용되는 차선 규제봉에 관한 것이다.
기존의 차선 규제봉은 쓰러지는 횟수가 거듭될수록 몸통 또는 보강몸통이 좌대로부터 분리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몸통과 보강몸통의 하부에 외측으로 돌출되는 돌출턱을 형성시키고 몸통이 끼워지는 좌대의 하부에 상기 돌출턱이 걸려지는 걸림턱을 형성시킨 후 몸통의 상부에서 하부로 좌대를 끼워 몸통의 돌출턱을 좌대의 걸림턱이 누르면서 좌대가 고정되게 하므로써 차선 규제봉이 수없이 쓰러졌다 원위치되더라도 몸통 또는 보강몸통이 좌대에서 분리 이탈되지 않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차선 규제봉
본 고안은 도로에 설치되어 차선 유도 및 규제, 보도 및 차도분리표시, 안전지대표시, 횡단보도표시, 분리대 충돌 방지용으로 사용되는 차선 규제봉에 관한 것이다.
기존의 차선 규제봉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반사시트(1a)가 붙여진 몸통(1)과, 몸통(1)상부에 끼워지고 공기 구멍(4a)이 형성된 캡(4)과, 몸통(1)내부에 위치되고 복원력을 제공하는 보강몸통(2)과, 상기 보강몸통(2) 및 몸통(1)이 상부에서 중앙으로 끼워지고 측면에 볼트(5)가 끼워지는 볼트 삽입공(3c)이 형성된 좌대(3)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좌대(3)는 몸통(1)이 중앙에 끼워질 수 있는 삽입홈이 형성되고 몸통(1)내측으로 약간의 거리를 두고 보강몸통(2)이 끼워질 수 있는 삽입홈이 형성되며 보강몸통(2)내측으로 빗물을 배출시키는 배수공(3b)이 형성되며 외주연으로는 도로(7)에서 지지되는 받침살(3a)을 형성시키게 된다.
기존의 차선 규제봉은 먼저 도로(7)에 매설용 너트(6)를 박고 좌대(3)의 볼트 삽입공(3c)에 볼트(5)를 끼운 후 볼트(5)를 매설용 너트(6)와 조여주므로 좌대(3)를 도로(7)에 고정시킨다.
그리고 보강몸통(2)의 하부에 접착제를 도포하여 좌대(3)의 삽입홈에 끼워주고 다시 몸통(1)의 하부에도 접착제를 도포하여 좌대(3)의 삽입홈에 끼워준 후 몸통(1)상부에는 공기구멍(4a)이 형성된 캡(4)을 접착제를 도포하여 끼워주므로써 차선 규제봉을 설치하게 된다.
이때 몸통(1)의 외측에는 반사시트(1a)를 붙여 야간에 시인성을 높여주도록 한다.
상기된 차선 규제봉은 차량의 유도를 목적으로 하고 있으나 잘못하여 차량이 차선 규제봉을 넘어뜨리는 경우가 자주 발생된다.
차량에 의해 넘어진 차선 규제봉은 고탄력 폴리에칠렌 합성수지로 제작되고 몸통(1)내부에 보강몸통(2)까지 구성되어 있어 쉽게 원위치되어지나 넘어지는 과정이 반복될 때 캡(4)이 몸통(1)에서 분리되거나 몸통(1) 또는 보강몸통(2)이 좌대(3)와 분리되는 경우가 발생되어 장시간 사용이 어려운 것이었다.
즉 자동차 바퀴가 차선 규제봉을 타고 넘는 횟수가 증가될수록 접착제를 도포하여 끼워준 캡(4)이 몸통(1)에서 분리되거나 또는 몸통(1)과 보강몸통(2)이 좌대(3)에 분리되는 경우가 발생된다.
이는 몸통(1)과 보강몸통(2)을 좌대(3)의 상부에서 끼워주는 방식으로 결합되기 때문에 발생되는 현상으로 접착제를 도포하여 접착시키더라도 횟수를 거듭하여 차선 규제봉이 넘어질 경우 몸통(1) 또는 보강몸통(2)이 분리되는 경우는 피할 수 없게 된다.
본 고안은 차선 규제봉이 수없이 쓰러졌다 원위치되더라도 몸통 또는 보강몸통이 좌대에서 분리 이탈되지 않도록 한 것으로 몸통과 보강몸통의 하부에 외측으로 돌출되는 돌출턱을 형성시키고 몸통이 끼워지는 좌대의 하부에 사기 돌출턱이 걸려지는 걸림턱을 형성시킨 후 몸통의 상부로부터 좌대를 끼워 몸통의 돌출턱을 좌대의 걸림턱이 누르면서 좌대가 고정되게 하므로써 이루어진다.
이러한 본 고안은 몸통이 끼워지는 최대의 삽입공간이 몸통하부의 돌출턱 보다 좁아 좌대가 도로에서 뽑히지 않는 한 자동차가 몸통을 지나가더라도 좌대로부터 몸통
도 1은 기존의 차선 규제봉 사시도
도 2는 기존의 차선 규제봉 설치상태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차선 규제봉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차선 규제봉 설치상태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몸통10a: 공기구멍
10b: 돌출턱20: 보강몸통
20a: 돌출턱30: 보강구
30a: 배수공40: 좌대
40a: 걸림턱
본 고안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에 돌출턱(10b)이 형성되고 상부게 공기구멍(10a)이 형성된 몸통(10)과, 하부에 돌출턱(20a)이 형성되고 몸통(10) 내부에 끼워져 돌출턱(20a)이 몸통(10) 의 돌출턱(10b)내부에 끼워지는 보강몸통(20)과, 보강몸통(20)의 돌출턱(20a)하부에 끼워지고 배수공(30a)이 뚫린 보강구(30)와, 상기 몸통(10) 의 상부에서 하부로 끼워지고 몸통(10)의 돌출턱(10b)을 눌러주는 걸림턱(40a)이 형성된 좌대(40)를 구비하여 된 것이다.
여기서 몸통(10) 외부에는 야간에 시인성을 높이기 위한 반사시트(10c)가 붙여진다.
이러한 구성의 본 고안은 먼저 몸통(10) 의 내부에 보강몸통(20)을 끼워 몸통(10) 의 돌출턱(10b)내부에 보강몸통(20)의 돌출턱(20a)이 걸리도록 한다.
그리고 보강몸통(20)의 하부에 배구공(30a)이 뚫린 보강구(30)를 끼워준다.
여기서 보강구(30)는 충격에 의해 몸통(10)의 돌출턱(10b)과 보강몸통(20)의 돌출턱(20a)이 내측으로 밀려들어오지 않고 돌출턱(10b)(20a)의 형상을 그대로 유지할 수 있도록 잡아주게 된다.
이때 공기구멍(10a)은 몸통(10)에 일체로 형성시킴으로써 기존과 같이 캡(4)를 씌워줄 필요가 없다.
몸통(10) 내부에 보강몸통(20)을 끼우고 보강몸통(20)의 하부내측으로 보강구(30)를 끼운 후에는 몸통(10)의 상부로부터 좌대(40)를 끼워 좌대(40)의 걸림턱(40a)이 몸통(10) 의 돌출턱(10b)을 위에서 아래로 눌러주도록 한 후 좌대(40)를 기존방식과 같이 볼트(5)로 도로(7)에 고정시키면 설치작업이 완료된다.
이같은 방식에 의해 차선 규제봉이 설치되면 몸통(10) 의 돌출턱(10b)이 좌대(40)의 걸림턱(40a)에 걸려진 상태가 되고 보강구(30)에 의해 몸통(10) 과 보강몸통(20)이 돌출턱(10b)(20a)이 찌그러들지 않게 되므로 몸통(10) 은 좌대(40)로부터 분리 이탈되는 경우가 없어지게 된다.
본 고안은 차선 규제봉이 수없이 쓰러졌다 원위치 되더라도 몸통의 돌출턱이 좌대의 걸림턱에 걸려있어 몸통 또는 보강몸통이 좌대로부터 분리 이탈되는 경우를 없앨 수 있으므로 장기간 수리없이 사용 가능한 것이다.

Claims (1)

  1. 하부에 돌출턱(10b)이 형성되고 상부에 공기구멍(10a)이 형성된 몸통(10)과, 하부에 돌출턱(20a)이 형성되고 몸통(10) 내부에 끼워져 돌출턱(20a)이 몸통(10) 의 돌출턱(10b)내부에 끼워지는 보강몸통(20)과, 보강몸통(20)의 돌출턱(20a)하부에 끼워지고 배수공(30a)이 뚫린 보강구(30)와, 상기 몸통(10) 의 상부에서 하부로 끼워지고 몸통(10)의 돌출턱(10b)을 눌러주는 걸림턱(40a)이 형성된 좌대(40)를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선 규제봉.
KR2019970005363U 1997-03-17 1997-03-17 차선 규제봉 KR20014932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05363U KR200149321Y1 (ko) 1997-03-17 1997-03-17 차선 규제봉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05363U KR200149321Y1 (ko) 1997-03-17 1997-03-17 차선 규제봉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1166U true KR19980061166U (ko) 1998-11-05
KR200149321Y1 KR200149321Y1 (ko) 1999-06-15

Family

ID=194976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05363U KR200149321Y1 (ko) 1997-03-17 1997-03-17 차선 규제봉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49321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2344B1 (ko) * 2014-12-30 2015-04-15 채상원 무단횡단 방지용 차선 분리시설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34916B1 (ko) * 1999-06-18 2002-05-04 동 규 김 형광 및 야광기능을 갖는 차선규제봉의 제조방법
KR101170976B1 (ko) 2010-04-14 2012-08-03 (주)에덴공사 차선규제봉 및 그 설치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2344B1 (ko) * 2014-12-30 2015-04-15 채상원 무단횡단 방지용 차선 분리시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49321Y1 (ko) 1999-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39375B1 (ko) 시선유도봉
KR100756544B1 (ko) 차선 규제봉
KR200149321Y1 (ko) 차선 규제봉
JP2005299121A (ja) 侵入規制装置
JPH11140832A (ja) 道路標識柱
JP3119944U (ja) 道路用車線規制棒
KR102102118B1 (ko) 지주 분리형 차선분리대
KR100810574B1 (ko) 시선 유도봉
KR100889869B1 (ko) 잠금장치를 구비한 전선 접속배선용 맨홀
KR102214487B1 (ko) 시선 유도봉 및 그 시공방법
KR200195894Y1 (ko) 차선 규제봉
KR102163410B1 (ko) 도로안전시설물용 지주 설치 구조
KR200330045Y1 (ko) 차선표지장치
KR20060083460A (ko) 차선규제봉덮개
KR100809657B1 (ko) 차선규제 봉
KR200234520Y1 (ko) 지주형 도로표지판의 충격흡수장치
KR100536773B1 (ko) 차량진입 방지용 도로경계석
KR200222498Y1 (ko) 차선 규제봉
KR100648890B1 (ko) 완충식 도로 표지병
KR200163798Y1 (ko) 교차로진입방지장치
KR200343192Y1 (ko) 완충식 도로 표지병
KR100236776B1 (ko) 도로표지병
KR100874495B1 (ko) 차선 규제봉 및 이의 시공방법
KR200353240Y1 (ko) 차량 진입방지대
KR200297991Y1 (ko) 중앙선 분리 반사 표시구를 일체로 한 중앙선 분리 차선규제 표시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324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