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53240Y1 - 차량 진입방지대 - Google Patents

차량 진입방지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53240Y1
KR200353240Y1 KR20-2004-0005792U KR20040005792U KR200353240Y1 KR 200353240 Y1 KR200353240 Y1 KR 200353240Y1 KR 20040005792 U KR20040005792 U KR 20040005792U KR 200353240 Y1 KR200353240 Y1 KR 20035324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stening
display rod
fixing plate
vehicle
r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0579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점식
Original Assignee
김점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점식 filed Critical 김점식
Priority to KR20-2004-000579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5324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5324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53240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5/00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 E01F15/003Individual devices arranged in spaced relationship, e.g. buffer bollard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16Signs formed of or incorporating reflecting elements or surfaces, e.g. warning signs having triangular or other geometrical shap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ome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도보상에 차량의 진입을 방지하기 위한 차량진입방지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횡단보도등과 같은 보도에 차량의 진입을 방지하기 위하여 보도상에 고정판과 운전자가 육안으로 식별 가능한 표시봉을 용이하게 결합 고정하여, 표시봉에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충격완화로 파손이 거의 없고 부품의 교체 및 수리가 쉬우며, 또한, 표시봉이 고정판과 탈리되어 분실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하단은 원통형의 봉과 상단은 받침턱이 일체로 구성되고, 받침턱 상단에는 다수의 체결돌기가 형성된 고정판과; 상단은 개구된 상태에서 손잡이를 갖는 덮개가 결합구성되고, 하단은 일정두께를 갖는 받침부가 형성되어, 상기 고정판에 형성된 체결돌기와 대응되게 체결공이 다수개 형성되며, 외부 둘레로의 상단에는 반사지가 형성된 표시봉과; 상기 고정판과 표시봉이 외부의 충격 및 인의적으로 분리, 탈리되어 분실됨을 방지하기 위해 표시봉의 내측에 형성된 체결부재가 구성된 특징을 갖는다.

Description

차량 진입방지대{ENTRY PREVENTION}
본 고안은 도보상에 차량의 진입을 방지하기 위한 차량 진입 방지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도보상에 고정되는 고정판과 운전자가 육안으로 식별 가능한 표시봉을 용이하게 결합 고정하여, 표시봉에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충격완화로 파손이 거의 없고 부품의 교체 및 수리가 쉬우며, 또한, 표시봉이 고정판과 탈리되어 분실및 도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차량진입방지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 진입 방지대라 함은 교차로나 횡단보도등 차량의 진입 및 차량의 통행을 통제하는 것으로 일정한 폭을 가지도록 구획하여서 통제하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방지대는 차량이 진입하는 것은 방지할 수 있으나, 그 면적이 넓고 무거워 설치시 많은 인력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으며, 또한, 횡단보도와 도보상에 는 많은 사람들이 통행하기때는에 설치하기가 곤란한 문제가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로 최근에는 차량의 진입은 방지하기 위한 횡단보도나 도로의 중앙선및 안전지대 등과 같이 차량의 통제가 필요한 장소에 일정간격을 두고 고정판과 고정판 중심에 상방으로 표시봉을 수직상으로 세워서 고정하고, 표시봉의 외주면에는 멀리서도 운전자가 쉽게 식별할 수 있는 반사지를 등간격으로 접합되도록 구성한 차량진입방지대가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의 차량진입방지대는 자동차의 충돌에 의해 표시봉이 쉽게 고정판에서 이탈되어 분실되거나 파손되는 문제가있으며, 또한, 인의적으로 방지대가 분실되는 문제가 있었으며, 분실된 방재대를 제 설치할 경우 많은 비용및 시간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제반 문제점들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다음과 같은 목적을 갖는다.
본 고안은 방지대가 설치되는 면상에 고정판을 고정하고, 표시봉이 용이하게 끼워져 고정될 수 있도록 하여 시설공사에 따른 작업시간을 최소화하는 동시에, 고정판과 표시봉을 체결부재에 의해 이중으로 고정함으로써, 자동차의 충격에 의해 표시봉이 고정판에서 분리되는 것과 인의적으로 분실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차선분리대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하단은 원통형의 봉과 상단은 받침턱이 일체로 구성되고, 받침턱 상단에는 다수의 체결돌기가 형성된 고정판과; 상단은 개구된 상태에서 손잡이를 갖는 덮개가 결합구성되고, 하단은 일정두께를 갖는 받침부가 형성되어, 상기 고정판에 형성된 체결돌기와 대응되게 체결공이 다수개 형성되며, 외부 둘레로의 상단에는 반사지가 형성된 표시봉과; 상기 고정판과 표시봉이 외부의 충격 및 인의적으로 분리, 탈리되어 분실됨을 방지하기 위해 표시봉의 내측에 형성된 체결부재가 구성된 특징을 갖는다.
또한, 상기 체결부재는 전방에 통공이 형성되고 상단에 가이드홈이 형성된 몸체부를 구성하고, 상기 몸체부 내부에는 가이드홈을 따라 이동되게 가이드핀이 형성된 체결핀이 삽입되어지며, 체결핀 전방에는 스프링이 구성되어 체결핀이 후방으로 밀착되게 이루어진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진입방지대의 구성을 보여주는 결합 단면도이고,
도 2 및 도 3은 표시봉과 고정판의 결합과정을 보여주는 평면도이며,
도 4은 본 고안의 방지대가 도보에 설치된 것을 보여주는 사용상태도 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표시봉 11:받침부
11:체결공 20:고정판
21:받침턱 23:체결돌기
30:체결부재 34:체결핀
이하, 상기한 본 고안에 대하여 실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인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하기에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고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설정된 용어들로서 이는 제품을 생산하는 생산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고안의 차량 진입방지대는 크게 차량의 진입을 방지하기 위해 도보상에 일정간격으로 고정되는 고정판(20)과, 상기 고정판 상단에 안착 결합되어 운전자의 육안으로 쉽게 식별할 수 있는 표시봉(10)으로 구성된다.
첨부도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판(20)은 일정크기의 봉(22)이 하단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며, 일단부에는 보조돌기(22a)가 형성되고, 봉(22)의 상단으로는 받침턱(21)이 형서되게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받침턱(21) 상단에는 상단이 크고 하단은 작은 체결돌기(23)가 다수개 형성되어 진다.
그리고, 상기 표시봉(10)은 상단이 개구되고, 하단은 일정두께를 갖게 받침부(11)가 형성되고, 상기 받침부(11)에는 다수의 체결공(11a)이 고정판(20)의 체결돌기(23)와 대응되게 형성되며, 또한, 상기 표시봉(10) 외부둘레에는 운전자에게 더욱 상세히 표시봉(10)을 식별 가능하게 반사지(15)가 형성된다.
또한, 받침부(11)의 일측에는 표시봉(10)이 고정판(20)에 결합 체결되어 쉽게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체결부재(30)가 안착 구성된다.
상기 체결부재(30)는 상단에는 가이드공(32)이 형성되고 전단에는 통공(37)을 갖는 몸체부(31)가 형성되며, 그 내부에는 선단에 스프링(36)이 삽입되어 지며, 그 후단은 체결핀(34)이 끼워져 구성되고, 체결핀(34)후단 일단부에는가이드공(32)를 따라 전,후진되게 가이드핀(35)가 형성된다.
한편, 표시봉(10)의 상단에는 손잡이(12)를 갖는 덮개(14)가 표시봉(10)에 결합 구성된다.
상기의 구성으로 이루어진 차량 진입방지대의 작용 및 사용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횡단보도나 중안선, 안전지대와 같이 차량의 진입을 방지하기위한 장소에 방지대를 설치하기 위해서는 방지대가 위치할 부위를 고정판(20)의 봉(22) 너비보다 크게 통공(H)을 내며, 형성된 통공(H)에 고정판(20)을 견고히 안착시키 후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고정판(20)을 도로면상에 고정한다.
그리고, 도로면상에 고정된 고정판(20) 상단에 표시봉(10)을 안착시키되, 받침부(11)에 형성된 체결공(11a)이 고정판(20)의 체결돌기(23)와 일치하도록 안착시키고, 표시봉(10)을 일측으로 회전시키면 표시봉(10)이 고정판(20) 상단에 고정된다.
상기와 같이 고정한 후 별도의 부재를 이용하여 체결부재(30)의 내부에 형성된 체결핀(34)을 전방으로 밀착시키 후 일측으로 회전시켜면 된다.
여기서, 체결핀(34)을 앞으로 전진시켜면 체결핀(34)의 상측에 형성된 가이드핀(35)이 체결부재(30) 몸체부(11)에 형성된 가이드홈(32)을 따라 앞으로 전진하며, 또한, 체결핀(34)을 밀착시킨 후 이를 회전시키면 가이드홈(32)의 끝단에 가이드핀(35)이 걸치게 되어 체결핀(34)이 후단으로 밀려나오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전진된 체결핀(34)은 고정판(20)의 체결돌기(23) 일측에 위치하게 됨으로써, 표시봉(10)이 고정판(20)에서 회전되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한편, 차량의 충돌로 인하여 표시봉(10)이 파손되어 교체를 할 경우에는 상기의 설치 역순으로 체결핀(34)을 일측으로 회전시키면 스프링(36)의 탄성에 의해 체결핀(34)이 후단으로 밀려 나오게 되고, 표시봉(10)을 일측으로 회전시켜 고정판(20)에서 제거한 후 새로운 표시봉(10)을 결합시키면 된다.
상기의 구성으로 이루어진 차량진입방지대는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취할 수도 있다.
하지만 본 고안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특별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고안의 정신과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상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차량 진입방지대는 고정판 및 표시봉을 체결하기 위해 각각 체결돌기와 체결공을 구성하여 표시봉을 고정판에 용이하게 안착 고정할 수 있는 효과와, 체결부재를 이용하여 이중으로 고정함으로써, 쉽게 표시봉이 고정판에서 분리, 이탈되어, 분실 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 등 여러 효과를 거둘 수 있는 매우 유용한 고안임이 명백하다.

Claims (2)

  1. 횡단보도나 도로의 중앙선 또는 안전지대 등과 같이 차량의 진입을 통제하기 위해 설치되는 차량진입방지대에 있어서,
    하단은 원통형의 봉(22)과 상단은 받침턱(21)이 일체로 구성되고, 받침턱(21) 상단에는 다수의 체결돌기(23)가 형성된 고정판(20)과;
    상단은 개구된 상태에서 손잡이(12)를 갖는 덮개(14)가 결합구성되고, 하단은 일정두께를 갖는 받침부(11)가 형성되어, 상기 고정판(20)에 형성된 체결돌기(23)와 대응되게 체결공(11a)이 다수개 형성되며, 외부 둘레로의 상단에는 반사지(15)가 형성된 표시봉(10)과;
    상기 고정판(20)과 표시봉(10)이 외부의 충격 및 인의적으로 분리, 탈리되어 분실됨을 방지하기 위해 표시봉(10)의 내측에 형성된 체결부재(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진입방지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재(30)는 전방에 통공(37)이 형성되고 상단에 가이드홈(32)이 형성된 몸체부(31)를 구성하고, 상기 몸체부(31) 내부에는 가이드홈(32)을 따라 이동되게 가이드핀(35)이 형성된 체결핀(34)이 삽입되어지며, 체결핀(34) 전방에는 스프링(36)이 구성되어 체결핀(34)이 후방으로 밀착되게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진입방지대.
KR20-2004-0005792U 2004-03-04 2004-03-04 차량 진입방지대 KR20035324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5792U KR200353240Y1 (ko) 2004-03-04 2004-03-04 차량 진입방지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5792U KR200353240Y1 (ko) 2004-03-04 2004-03-04 차량 진입방지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53240Y1 true KR200353240Y1 (ko) 2004-06-22

Family

ID=494319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05792U KR200353240Y1 (ko) 2004-03-04 2004-03-04 차량 진입방지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53240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59983Y1 (ko) 교체가 용이한 차선규제봉
KR101259520B1 (ko) 주·정차 금지구역 안내장치
KR100619807B1 (ko) 교통시설물 보호용 전기시설
KR200434710Y1 (ko) 차선규제봉
KR200353240Y1 (ko) 차량 진입방지대
US11619015B2 (en) Reflective traffic control marker
EP0784124B1 (en) Additional flag-type marker
US11459713B2 (en) Roadside delineator device
KR102151974B1 (ko) 무신호등 횡단보도 보행자 알림장치
KR200422066Y1 (ko) 차량 이탈 방지턱
KR200394458Y1 (ko) 차로표시체
KR101948308B1 (ko) 차선분리기능이 구비된 시선유도봉
KR100657561B1 (ko) 차량 이탈 방지턱
KR100648890B1 (ko) 완충식 도로 표지병
KR100372977B1 (ko) 조립식 가드레일
KR200343192Y1 (ko) 완충식 도로 표지병
KR100660046B1 (ko) 차선규제봉
KR200215182Y1 (ko) 조립식 가드레일
KR200313311Y1 (ko) 반사밴드링체 교체형 차선규제봉
KR200360002Y1 (ko) 라이트와 엘이디 전구가 장착된 횡단 보도용 교통 안전표지판
KR200347859Y1 (ko) 완충식 도로 표지병
KR20110085169A (ko) 보행자의 안전성을 향상시킨 led 볼라드
KR102088142B1 (ko) 출몰식 차선표시용 도로표지병
KR200293152Y1 (ko) 가드레일장치
KR200196486Y1 (ko) 주차 및 도로 경계 표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607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