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58889A - 차량용 스티어링 칼럼의 충격흡수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스티어링 칼럼의 충격흡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58889A
KR19980058889A KR1019960078225A KR19960078225A KR19980058889A KR 19980058889 A KR19980058889 A KR 19980058889A KR 1019960078225 A KR1019960078225 A KR 1019960078225A KR 19960078225 A KR19960078225 A KR 19960078225A KR 19980058889 A KR19980058889 A KR 199800588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umn
steering column
friction piece
friction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782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지열
박영문
Original Assignee
오상수
만도기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상수, 만도기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오상수
Priority to KR10199600782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58889A/ko
Priority to JP9333151A priority patent/JPH10258745A/ja
Priority to US08/986,422 priority patent/US6109652A/en
Priority to MYPI97006033A priority patent/MY126416A/en
Publication of KR199800588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58889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16Steering columns
    • B62D1/18Steering columns yieldable or adjustable, e.g. tiltable
    • B62D1/19Steering columns yieldable or adjustable, e.g. tiltable incorporating energy-absorbing arrangements, e.g. by being yieldable or collapsi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16Steering columns
    • B62D1/18Steering columns yieldable or adjustable, e.g. tiltable
    • B62D1/19Steering columns yieldable or adjustable, e.g. tiltable incorporating energy-absorbing arrangements, e.g. by being yieldable or collapsible
    • B62D1/192Yieldable or collapsible colum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6/00Other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306/01Reducing damages in case of crash, e.g. by improving battery prot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10/00Constructional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410/102Shaft arrangements; Shaft supports, e.g. bea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eering Contr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스티어링 칼럼의 충격흡수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부 칼럼(200)의 둘레에 피어싱 가공에 마찰편(220)을 형성하여 그 내주면에 밀착되도록 하고, 하부 칼럼(300)을 상부 칼럼(200)을 통해 압입함과 동시에 하부 칼럼(300)의 외주면이 마찰편(220)에 압착되도록하여, 차량의 충돌사고시 마찰편(220)과 하부 칼럼(300)의 마찰변위에 의해 충돌하중을 초기에 흡수함으로써 운전자의 사상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도록 된 것이다.

Description

차량용 스티어링 칼럼의 충격흡수장치
본 발명은 차량용 스티어링 칼럼의 충격흡수장치(impact absorption device of steering column for vehicles)에 관한 것으로, 특히 차량의 충돌시 발생하는 충격 에너지(impact energy)를 초기에 스티어링 칼럼으로부터 원활하게 흡수하고, 이와 동시에 충격력이 스티어링 휠(steering wheel)에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여 운전자의 사상사고(死傷事故)를 적극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된, 차량용 스티어링 칼럼의 충격흡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스티어링 칼럼의 부분 종단면도이고, 도 2는 일반적인 스티어링 칼럼의 부분 횡단면도이다.
일반적인 스티어링 칼럼은 도 1,2와 같이, 원통체로 된 상부 칼럼(column upper)(500)을 통해 하부 칼럼(column lower)(600)이 압입(indent)되어 있고, 하부 칼럼(600)의 둘레부에 다수의 선형돌기(線形突起)(linear lug)(610)가 등간격으로 형성되어 상부 칼럼(500)의 내면에 그 길이방향으로 압착되어 있으며, 선형돌기(610)는 프레스 가공(press working)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 상,하부 칼럼(500)(600)은 마운팅 브래킷(mounting bracket)을 통해 차체의 상측과 하측에 각각 용접,고정되며, 상부 칼럼(500)의 내면과 하부 칼럼(600)의 선형돌기(610)는 차량의 충돌사고시 상호간 마찰 변위(friction displacement)에 의해 충돌하중(impact load)을 흡수한다.
도 3은 일반적인 스티어링 칼럼에 의한 충격흡수특성을 보인 그래프로서, 충돌직후 200kgf의 하중값을 약간 벗어나면서 초기에 급격한 하중 피크값(peak value)이 존재하고 있으며, 이 피크값을 지나면서 하중값은 일정해진다.
또한 그래프에서와 같이 피크 하중이 존재하는 시점에서 상,하부 칼럼(500)(600)의 상호 변위량은 극히 적게 나타나고 있으며, 이처럼 상,하부 칼럼(500)(600)의 변위량이 적다는 것은 곧 충돌하중이 스티어링 칼럼을 통해 스티어링 휠에 그대로 전달되는 것을 의미한다.
충돌초기에 하부 칼럼(600)과 상부 칼럼(500)의 변위량이 극소한 것은 하부 칼럼(600)의 선형돌기(610)와 상부 칼럼(500)의 내면 사이에 응력집중이 나타나기 때문이다.
따라서 피크 하중값은 충돌사고와 동시에 충격력을 신속히 흡수하지 못함과 아울러 초기 충격력이 하부 칼럼과 상부 칼럼을 통해 스티어링 휠에 대부분 전달됨으로써 운전자의 상해사고를 초래할 위험성이 있다.
뿐만 아니라 하중은 피크값을 지나면서 일정해지나 대부분의 충돌사고시 충격력은 순간적으로 발생하고 또한 순간적으로 소멸되므로 충돌초기에 칼럼의 신속한 변위와 함께 충격력을 흡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일반적인 스티어링 칼럼은 선형돌기(610)의 정확한 가공이 용이하지 않으며, 선형돌기(610)가 정밀하게 가공되지 못하였을 경우는 상부 칼럼(500)에 대한 접촉면적과 마찰력을 감소시켜 충돌하중의 흡수효과를 보다 저하시킨다.
본 발명의 목적은, 차량의 충돌사고시 스티어링 칼럼을 통해 전달되는 충격력을 초기에 대부분 흡수,완화시킴으로써 운전자의 사상사고를 적극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차량용 스티어링 칼럼의 충격흡수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상부 칼럼의 방사상으로 등간격의 마찰편을 절곡,성형하고, 마찰편은 상부 칼럼의 내주면에 밀착시켜 마찰면적을 증가시키며, 또한 상부 칼럼을 통해 하부 칼럼을 삽입함과 동시에 마찰편이 하부 칼럼의 외주면에 탄력적으로 압착되도록하여, 충돌하중에 대한 상,하부 칼럼의 마찰변위와 함께 충격하중을 초기에 흡수,완화시키도록 구성한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스티어링 칼럼의 부분 종단면도
도 2는 일반적인 스티어링 칼럼의 부분 횡단면도
도 3은 일반적인 스티어링 칼럼에 의한 충격흡수특성을 보인 그래프
도 4는 본 발명 스티어링 칼럼의 전체구성을 보인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 스티어링 칼럼의 부분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 스티어링 칼럼의 부분 종단면도
도 7은 본 발명 스티어링 칼럼의 측면도
도 8은 본 발명 스티어링 칼럼의 충격흡수특성을 보인 그래프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스티어링 칼럼의 부분 종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차체 110,120 : 마운팅 브래킷
200,500 : 상부 칼럼 210 : 성형홀
220 : 마찰편 221 : 홈
300,600 : 하부 칼럼 400 : 스티어링 휠
610 : 선형돌기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 스티어링 칼럼의 전체구성을 보인 측면도로서, 차체(100)의 상,하측에 마운팅 브래킷(110)(120)이 각기 용접에 의해 고정되어 있고, 마운팅 브래킷(110)(120)의 하측에 상호 압입된 상,하부 칼럼(200)(300)이 각기 용접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또한 상부 칼럼(200)에는 스티어링 휠(400)이 연결되어 있다.
도 5는 본 발명 스티어링 칼럼의 부분 사시도로서, 원통체로 된 상부 칼럼(200)의 원주방향(peripheral direction)에 ㄷ형의 성형홀(forming hole)(210)이 등간격으로 형성되도록 피어싱 가공(pierce working)을 행함과 동시에 장방형으로 된 다수의 마찰편(friction plate)(220)을 등간격(等間隔)으로 형성하고, 마찰편(220)을 내측으로 약 180°의 각도로 절곡하면서 그 상부 칼럼(200)의 내면에 밀착시켜 구성한다.
상기 마찰편(220)은 상부 칼럼(200)의 선단부와, 그로부터 길이방향으로 일정 간격의 위치에 동일하게 배열한다.
마찰편(220)의 절곡부 양측에는 곡선형의 홈(groove)(221)을 형성하여 그 마찰편(220)이 원활하게 절곡되도록 하고, 절곡에 따른 크랙(crack) 및 응력집중(stress concentration)을 방지케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부 칼럼(200)을 통해 하부 칼럼(300)을 압입함과 동시에 하부 칼럼(300)의 외주면이 각 마찰편(220)과 압착되도록 구성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 차량용 스티어링 칼럼의 충격흡수장치는, 상부 칼럼(200)의 마찰편(220)은 절곡시의 반력에 의해 상시 탄성을 보유하고 있는 상태로 하부 칼럼(300)의 외주면에 탄력적으로 면접촉되어 있으며, 이 마찰편(220)의 탄성은 곧 정상적인 상태에서 하부 칼럼(300)에 대하여 안정된 밀착력을 갖도록 한다.
차량의 충돌하중 발생시는 상부 칼럼(200)의 마찰편(220)과 하부 칼럼(300) 사이의 마찰변위에 의해 초기 충격력을 원활하게 흡수함으로써 충돌하중이 상부 칼럼(200)을 통해 스티어링 휠에 전달되는 것을 차단한다.
상부 칼럼(200) 및 하부 칼럼(300)의 상호간의 마찰변위는 그 길이방향으로 컬랩스(collapse) 형태로 이루어지며, 마찰편(220)과 하부 칼럼(300)의 마찰면적이 대폭 증가됨에 따라 보다 큰 충돌하중의 흡수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충돌하중의 크기와 형태에 따라 마찰편(220)의 절곡부에 형성된 홈(221)의 여유만큼 마찰편(220)이 길이방향으로 변위되어 2차적인 충돌하중을 흡수,완화한다.
도 8은 본 발명 스티어링 칼럼의 충격흡수특성을 보인 그래프로서, 충돌하중값에 대한 스티어링 칼럼의 스트로크 변화율을 나타낸 것이다.
그래프에서와 같이 하중값은 200kgf을 벗어나는 시점에서 초기에 흡수,완화되었으며, 따라서 초기 피크 하중값은 존재하지 않는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스티어링 칼럼의 부분 종단면도이다.
여기서는 상부 칼럼(200)에 마찰편(220)과 돌기(230)를 복합적으로 형성하여 하중값 및 충돌하중의 형태에 따라 충돌하중의 흡수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된 것으로, 마찰편(220)으로부터 1차적인 충격을 흡수하고 돌기(230)로부터 2차적인 충격을 흡수하도록 한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 차량용 스티어링 칼럼의 충격흡수장치는, 상부 칼럼에 형성된 마찰편을 통해 하부 칼럼을 압착시켜 마찰면적을 증가시키고, 충격하중을 균일하게 분포시킴과 동시에 응력집중을 해소함으로써, 차량의 충돌시 충격하중을 초기에 흡수,완화시킴과 동시에 칼럼으로부터 스티어링 휠을 통한 충격력의 전달을 차단하여 운전자의 사상사고를 적극적으로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상부 칼럼의 둘레에 피어싱 가공에 의해 다수의 마찰편을 일체로 형성하여 그 내주면에 절곡,밀착하고, 하부 칼럼을 마찰편에 탄력적으로 압착시켜 충돌하중을 초기에 흡수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티어링 칼럼의 충격흡수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마찰편은 등간격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티어링 칼럼의 충격흡수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마찰편은 장방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틴어링 칼럼의 충격흡수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칼럼과 마찰편의 절곡부 사이에 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티어링 칼럼의 충격흡수장치.
  5. 제 1 항 또는 제 4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칼럼에 하부 칼럼에 압착되는 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티어링 칼럼의 충격흡수장치.
KR1019960078225A 1996-12-30 1996-12-30 차량용 스티어링 칼럼의 충격흡수장치 KR19980058889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78225A KR19980058889A (ko) 1996-12-30 1996-12-30 차량용 스티어링 칼럼의 충격흡수장치
JP9333151A JPH10258745A (ja) 1996-12-30 1997-12-03 車輌用ステアリングコラムの衝撃吸収装置
US08/986,422 US6109652A (en) 1996-12-30 1997-12-08 Shock absorbing device for steering column
MYPI97006033A MY126416A (en) 1996-12-30 1997-12-13 Shock absorbing device for steering colum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78225A KR19980058889A (ko) 1996-12-30 1996-12-30 차량용 스티어링 칼럼의 충격흡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8889A true KR19980058889A (ko) 1998-10-07

Family

ID=194928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78225A KR19980058889A (ko) 1996-12-30 1996-12-30 차량용 스티어링 칼럼의 충격흡수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6109652A (ko)
JP (1) JPH10258745A (ko)
KR (1) KR19980058889A (ko)
MY (1) MY126416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47817A (ko) * 1999-11-23 2001-06-15 밍 루 자동차용 스티어링 칼럼의 충격흡수장치
KR100842316B1 (ko) * 2006-09-11 2008-07-01 주식회사 만도 키-셋 홈이 형성된 내측 튜브를 구비한 조향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039792A1 (de) * 2000-08-16 2002-02-28 Daimler Chrysler Ag Lenksäule für ein Kraftfahrzeug
JP2002337701A (ja) * 2001-05-22 2002-11-27 Koyo Seiko Co Ltd 衝撃吸収式ステアリング装置
JP3738200B2 (ja) * 2001-06-27 2006-01-25 光洋精工株式会社 衝撃吸収ステアリング装置
KR20030018554A (ko) * 2001-08-30 2003-03-0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충격흡수기능을 갖는 차량용 조향장치
KR100507137B1 (ko) * 2001-12-24 2005-08-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스티어링시스템의 모델링방법
US6729648B2 (en) 2002-06-07 2004-05-04 Sealy Technology Llc Non-linear energy absorbing column assembly
JP4096686B2 (ja) * 2002-10-08 2008-06-04 株式会社ジェイテクト 衝撃吸収式ステアリング装置とその製造方法
JP2004175298A (ja) * 2002-11-28 2004-06-24 Koyo Seiko Co Ltd 舵取装置
US7784830B2 (en) * 2003-10-23 2010-08-31 Chrysler Group Llc Axially adjustable steering column assembly with flexible bearing sleeve
WO2005120930A1 (ja) * 2004-06-11 2005-12-22 Nsk Ltd. 衝撃吸収式ステアリングコラム装置と電動式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KR100991992B1 (ko) 2005-03-21 2010-11-04 주식회사 만도 차량용 스티어링컬럼의 텔레스코픽부시
JP4868213B2 (ja) * 2005-12-21 2012-02-01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エネルギー吸収ステアリングコラム
US7798526B2 (en) * 2007-05-04 2010-09-21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Inc. Steering column assembly
US8096036B2 (en) * 2007-08-29 2012-01-17 Nexteer (Beijing) Technology Co., Ltd. Method of manufacturing a steering column
DE102008005256B4 (de) * 2008-01-18 2009-10-22 Thyssenkrupp Presta Ag Lenksäule mit Kunststoffgleithülse
JP6003395B2 (ja) * 2012-08-23 2016-10-05 日本精工株式会社 テレスコピックステアリング装置
CN104108415A (zh) * 2013-04-22 2014-10-22 上海航天汽车机电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汽车转向管柱的柱管溃缩机构
JP6796255B2 (ja) * 2017-02-10 2020-12-09 株式会社ジェイテクト ステアリング装置
KR102053531B1 (ko) * 2018-05-28 2019-12-11 경일대학교산학협력단 예압 구조 텔레스코핑 튜브
CN110254499A (zh) * 2019-07-22 2019-09-20 北京汽车集团越野车有限公司 一种转向管柱组件和车辆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487710A (en) * 1967-02-17 1970-01-06 Eaton Yale & Towne Steering columns
US3877319A (en) * 1973-11-19 1975-04-15 Gen Motors Corp Steering column assembly
US5088768A (en) * 1989-06-27 1992-02-18 Fuji Kiko Company, Limited Structure of impact absorbing steering apparatus
JPH0840287A (ja) * 1994-07-29 1996-02-13 Suzuki Motor Corp 衝撃吸収ステアリング装置
DE19503124A1 (de) * 1995-02-01 1996-08-08 Supervis Ets Lenkspindel für Lenkvorrichtungen bei Kraftfahrzeug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47817A (ko) * 1999-11-23 2001-06-15 밍 루 자동차용 스티어링 칼럼의 충격흡수장치
KR100842316B1 (ko) * 2006-09-11 2008-07-01 주식회사 만도 키-셋 홈이 형성된 내측 튜브를 구비한 조향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MY126416A (en) 2006-09-29
US6109652A (en) 2000-08-29
JPH10258745A (ja) 1998-09-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9980058889A (ko) 차량용 스티어링 칼럼의 충격흡수장치
JP3612971B2 (ja) 衝撃吸収式ステアリングコラム装置
US3769851A (en) Energy absorbing device and safety steering column for a vehicle equipped with the device
US5378021A (en) Collapsible steering column apparatus
CN108137081B (zh) 用于机动车辆转向柱的能量吸收元件和机动车辆转向柱
KR100205854B1 (ko) 차량용 스티어링 샤프트 에너지 흡수장치
US5575501A (en) Shaft for collapsible steering apparatus
US5209135A (en) Impact absorbing type steering column device
JPH07329796A (ja) 衝撃吸収式ステアリング装置用エネルギ吸収プレート
KR100837993B1 (ko) 자동차용 스티어링 칼럼의 충격흡수 구조
KR100472535B1 (ko) 스티어링 칼럼의 충격 흡수구조
JPH0723099B2 (ja) エネルギ吸収形ステアリング装置
KR200301922Y1 (ko) 자동차용 스티어링 칼럼의 충격흡수장치
KR19990005339U (ko) 차량용 스티어링 컬럼의 충격 흡수구조
KR100247335B1 (ko) 자동차 스티어링 칼럼의 로워 마운팅 브라켓의 충격 흡수구조
JP2014177267A (ja) 衝撃吸収式ステアリング装置
KR200160764Y1 (ko) 차량용 스티어링 컬럼의 충격흡수 구조
KR200153016Y1 (ko) 차량용 스티어링 컬럼의 충격에너지 흡수구조
KR200148307Y1 (ko) 충격흡수용 조향컬럼 구조
JPH0442215Y2 (ko)
KR970004595Y1 (ko) 자동차용 조향핸들 컬럼의 구조
CN110091909B (zh) 用于车辆的转向装置及车辆
KR970004335Y1 (ko) 자동차용 조향핸들 칼럼의 충격에너지 흡수장치
KR200158238Y1 (ko) 차량용 좌굴플레이트에 의한 충격에너지 흡수장치
JPS6027725Y2 (ja) 車両用ステアリング装置における衝撃吸収ステアリングホイ−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