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72535B1 - 스티어링 칼럼의 충격 흡수구조 - Google Patents

스티어링 칼럼의 충격 흡수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72535B1
KR100472535B1 KR10-2002-0046323A KR20020046323A KR100472535B1 KR 100472535 B1 KR100472535 B1 KR 100472535B1 KR 20020046323 A KR20020046323 A KR 20020046323A KR 100472535 B1 KR100472535 B1 KR 1004725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ring column
bracket
mounting surface
vehicle
stee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463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14600A (ko
Inventor
콘도우신이치
요코타요시노리
아마노타케시
시다토시야스
Original Assignee
미쯔비시 지도샤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미츠비시 지도샤 엔지니어링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쯔비시 지도샤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미츠비시 지도샤 엔지니어링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쯔비시 지도샤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300146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146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725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72535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16Steering columns
    • B62D1/18Steering columns yieldable or adjustable, e.g. tiltable
    • B62D1/19Steering columns yieldable or adjustable, e.g. tiltable incorporating energy-absorbing arrangements, e.g. by being yieldable or collapsible
    • B62D1/192Yieldable or collapsible colum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16Steering columns
    • B62D1/18Steering columns yieldable or adjustable, e.g. tiltable
    • B62D1/184Mechanisms for locking columns at selected pos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10/00Constructional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410/102Shaft arrangements; Shaft supports, e.g. bea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eering Controls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스티어링 칼럼(1)의 충격 흡수구조는, 스티어링 칼럼의 장착면(8a)에, 원웨이 캡슬(6)의 영향으로 돌출된 브래킷(5)의 지지 위치를 주위의 스티어링 칼럼의 장착면(8a)과 동등하게까지 퇴피시키는 제 1 면(26)을 형성하고, 제 1 면(26)으로부터 차량 전방의 스티어링 칼럼의 장착면(8a)에, 이동한 브래킷(5)을 원웨이 캡슬(6)에 맡겨 브래킷 전단을 원래의 높이의 스티어링 칼럼의 장착면(8a)으로 이끄는 제 2 면(25)을 형성함으로써, 이동하는 브래킷(5)가, 원웨이 캡슬(6)의 단차의 영향과 스티어링 칼럼의 장착면(8a)과의 필요없는 접촉을 피하고, 이동하고 나서 원래의 스티어링 칼럼 장착면(8a)까지 같은 자세로 진행하도록 하였다.

Description

스티어링 칼럼의 충격 흡수구조{STRUCTURE OF THE ABSORBING SHOCK OF STEERING COLUMN}
본 발명은 자동차에 장착되어 2차충돌의 충격을 흡수하는 스티어링 칼럼의 충격 흡수구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기술)
자동차에서는, 승무원이 스티어링 휠에 충돌(2차충돌)하였을 때나, 스티어링 휠에 내장되는 에어백이 전개되었을 때 등, 소정치 이상의 충격력이 가해지면 차체에 장착되어 있던 얇은 두께의 파이프 스티어링 칼럼(을 포함하는 스티어링 칼럼 내를 삽통 하는 스티어링 샤프트)을 차량 전방으로 이동시켜서 충격 하중을 완화시키는 것이 행하여지고 있다. 이러한 충격 하중의 완화를 위해 스티어링 칼럼에서는, 지지부재로서 사용되는 원웨이 캡슬에 의해, 스티어링 칼럼을 차체측으로 이동 가능하게 매어달아 장착시키는 것이 행하여지고 있다.
그래서 종래에는 일본 실공평5-31015호 공보에 예시한 바와 같이, 종래 이 구조에는, 도 6(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티어링 칼럼(a)의 주위에, 양 단부가 지름방향 양측으로 뻗어나가도록 브래킷(b)을 장착시키고, 이 브래킷(b)의 양 단부에 형성되어 있는 지지시트(c)에, 원웨이 캡슬(d)을 차량 후방으로 이동 가능하게 조립한다. 그리고 이 원웨이 캡슬(d)을, 차체측에 형성되어 있는 보디측 브래킷(f)의 장착면(g)에 고정시킴으로써, 차체측에 스티어링 칼럼(a)을 이동 가능하게 장착시키고 있다.
이러한 장착구조는, 도 6(a)중의 화살표(P)로 도시한 바와 같이 스티어링 칼럼 끝에 배치되어 있는 스티어링 휠(h)로부터 소정치 이상의 충격력이 가해지면 도 6(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장착면(g)에 원웨이 캡슬(d)의 본체부(i)를 남기고, 원웨이 캡슬(d)로부터 지지시트(c)가 이동하고, 이 이동에 의해 스티어링 칼럼(a)이 브래킷(b)과 함께 축방향으로 변위되도록 하고 있고, 이 때의 변위에 의해 충격 에너지가 흡수된다.
그런데 원웨이 캡슬(d)은, 예를 들면 브래킷(b)의 지지시트(c)에 본체부(i)를 차량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맞물리게 하고, 해당 맞물리게 한 부분의 서로를 수지 핀(도시생략)으로 고정시키는 구조를 이용하고, 소정치 이상의 충격력이 가해지면 수지 핀이 전단(剪斷)를 일으켜, 브래킷(b)의 지지시트(c)가 원웨이 캡슬(d)로부터 슬라이드하면서 떨어진다는 작용을 가져오는 부품이다. 이 원웨이 캡슬(d)에서는, 마찰 등에 좌우되지 않고서, 가하여지는 충격력만으로 브래킷(b)을 이동시키는 것이 요구된다.
그 때문에 도 6(a),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 원웨이 캡슬(d)에서는, 브래킷(b)으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되는 대(台)형상의 부분을 가지며, 이 돌출된 윗부분만이 보디측 브래킷(f)과 접하도록 하고 있다,
즉, 원웨이 캡슬(d)의 본체부(i)만이 보디측 브래킷(f)에 접하고, 그 이외의 부분에서는 보디측 브래킷(f)에 접하지 않도록 하여, 충격 흡수성능의 편차의 요인이 되는 보디측 브래킷(f)과 지지시트(c)와의 접촉을 피하고 있다.
그런데 스티어링 칼럼(a)의 이동으로, 충격 에너지 흡수가 효과적으로 행해지기 위해서는, 스티어링 칼럼은 충격력을 받으면, 그대로 축방향에 따라 이동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스티어링 칼럼(a)의 주변에는, 스티어링 칼럼(a)과 인접한 지점에 각종의 기기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동 기기의 간섭을 받지 않고서 스티어링 칼럼(a)이 이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런데 지지시트(c)는, 본체부(i)를 보디측 브래킷(f)에 남기고 이동되기 때문에 본체부(i)와 보디측 브래킷(f)의 장착면 위치와의 사이에는, 돌출된 대(台)형상의 부분이 가져오는 단차(α)[도 6(b)]가 남는다. 이 때문에 도 6(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시트(c)가 본체부(i)를 지나갈 때까지, 스티어링 칼럼(a)의 이동이 진행하면, 스티어링 칼럼(a)에 작용하는 상향의 힘에 의해, 지지시트(c)가 보디측 브래킷(f)과 본체부(i)와의 사이에 생겨 있는 단차(α)로 들어가, 스티어링 칼럼(a)을 도 6(b)중의 2점쇄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경사되는 일이 있었다.
이러한 경사가 생기면, 스티어링 칼럼(a)은 의도하는 이동방향(축방향을 직선형상으로 진행하는 방향)과는 다른 방향으로 이동하여 버리고, 이동의 과정에서, 주변의 기기와 간섭을 일으켜 이동이 손상될 우려가 있다. 이 때문에 각 주변기기의 설계상의 자유도가 낮아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이동방향의 변경 없이 스티어링 칼럼의 이동이 가능한 스티어링 칼럼의 충격 흡수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스티어링 칼럼의 충격 흡수구조는, 스티어링 칼럼에 차량 전방방향을 향하는 충격력이 작용하였을 때에 동 스티어링 칼럼을 차체 전방으로 이동 가능하게 되도록 지지하는 스티어링 칼럼의 충격 흡수구조로서, 차체측에 형성되고, 차량 전후방향에 따라 연장된 스티어링 칼럼 장착면과, 스티어링 칼럼에 형성된 브래킷과, 스티어링 칼럼 장착면에 장착되는 동시에 브래킷을 지지하고, 충격 입력시에 브래킷이 스티어링 칼럼 장착면에 대하여 간격을 유지하면서 브래킷이 스티어링 칼럼 장착면에 대하여 차량 전방으로 이동하는 것을 허용하는 지지부재를 구비하고, 스티어링 칼럼 장착면은, 지지부재가 장착되는 제 1 면과, 제 1 면의 차체 전방측에 형성되고, 충격 입력에 의해 브래킷이 차량 전방으로 이동하여 지지부재와의 결합이 벗겨진 후에도 브래킷에 접촉하는 제 2 면을 가지며, 제 2 면은 제 1 면보다 돌출되어 있다. 이로써, 제 1 면과 제 2 면으로 행하여지는 가이드에 의해, 지지부재와 장착면과의 단차에 영향받거나, 필요없는 마찰로 이동이 영향받거나 하지 않고서, 지지부재로부터 이동하였을 때로부터 원래의 평탄한 장착면까지 같은 자세로 진행하기 때문에 스티어링 칼럼은 이동방향이 변하지 않고서 그대로 축방향을 향한다. 이로써, 스티어링 칼럼의 이동은, 주변기기에 의해 방해받지 않고서 행하여지게 되고, 이동이 가져오는 충격 흡수성능이 충분히 발휘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스티어링 칼럼의 충격 흡수구조는, 스티어링 장착면은, 제 1 면과 제 2 면을 접속하는 테이퍼면을 갖고 있기 때문에, 지지부재로부터 이동된 브래킷이 테이퍼면에 의해 가이드되면서 장착면에 따라 전방으로 진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스티어링 칼럼의 충격 흡수구조는, 제 2면이 간격(T)에 동등한 분만큼 제 1면 보다도 돌출되어 있기 때문에 지지시트가 이동방향을 바꾸지 않고 축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스티어링 칼럼의 충격 흡수구조는, 띠형상 부재의 양 단측에는 지름방향에서 측방으로 뻗어나가도록 판형상의 한 쌍의 지지시트가 형성되고, 스티어링 칼럼 장착면은, 각 지지시트에 대응하여 한 쌍이 마련되어 있고, 각 지지시트가 각각 지지부재를 사이에 두고 각 장착면에 지지되어 있기 때문에, 스티어링 칼럼을 그 상세를 바꾸는 일 없이 이동할 수 있는 동시에, 부품 개수가 적게 끝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도 1 내지 도 4에 도시한 제 1 실시형태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자동차에 탑재된 스티어링 칼럼충격 흡수구조의 개략을 도시하고 있고, 도면중 부호 1은 스티어링 칼럼이다. 이 스티어링 칼럼(1)은, 비스듬한 자세로 배치, 구체적으로는 차량 후방의 단부가 상측을 향하고, 차량 전방의 단부가 하측을 향하는 자세로, 운전석(도시생략)의 전방에 배치되어 있다. 이 스티어링 칼럼(1) 내에는, 스티어링 샤프트(2)가 회전이 자유롭게 조립되어 있다. 그리고 스티어링 칼럼(1) 상단으로부터 돌출된 스티어링 샤프트(2)의 단부에 스티어링 휠(3)이 장착되고, 스티어링 칼럼(1) 하단으로부터 돌출된 스티어링 샤프트(2)의 단부(도시생략)에, 스티어링 기어(도시생략)에 달하는 유니버설 조인트(4)(일부만 도시)가 접속되어 있다.
이 스티어링 칼럼(1)의 상단측에는, 상측 브래킷(5) 및 지지부재로서의 원웨이 캡슬(6)을 사용한 상측의 장착부(7)를 이용하여, 차체(도시생략)에 설치되어 있는 보디측의 설치부, 예를 들면 차폭방향에 병행으로 배치되어 있는 한 쌍의 보디측 브래킷(8)으로부터 매달리도록 장착되어 있다. 또한 스티어링 칼럼(1)의 하단측은, 1개의 볼트(도시생략) 및 차체측 브래킷(12)을 사용한 하측의 장착부(13)를 사용하여, 차체(도시생략)에 설치되어 있는 보디측의 설치부, 예를 들면 차폭방향에 병행으로 배치되는 한 쌍의 보디측 브래킷(14)에 껴안도록 장착되어 있다. 또한, 각 보디측 브래킷(8, 14)은, 어느것이나 하면에 차량 전후방향에 따라 늘어나는 장착면(8A, 14a)(스티어링 칼럼 장착면에 상당)이 형성되어 있다.
상측의 장착부(7)에는, 스티어링 휠(3)로부터 소정치 이상의 충격력이 가해지면 보디측 브래킷(8)으로부터, 상측 브래킷(5)이 붙은채로 스티어링 칼럼(1)을 이동시키는 구조가 이용되고 있다. 또한 하측의 장착부(13)에는, 마찬가지로 스티어링 휠(3)로부터 소정치 이상의 충격력이 가해지면 차체측 브래킷(12)의 슬릿(도시생략)으로부터, 볼트(도시생략)가 붙은채로 스티어링 칼럼(1)을 이동시키는 구조가 이용되고 있다.
이들 장착부(7, 13)에 의해, 소정치 이상의 충격력이 가해지면 스티어링 칼럼(1)의 전체가, 축방향을 따라 이동하여 변위되도록 하고 있다. 이 중에서, 상측의 장착부(7)에 본 발명이 적용되어 있다. 이 상측의 장착부(7)의 각 부의 구조가 도 2 및 도 3에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 상측의 장착부(7)에 관해 상술하면, 상측 브래킷(5)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티어링 칼럼(1)의 하부에 스티어링 칼럼(1)을 지름방향에서 껴안도록 장착된 띠형상 부재로 구성된다. 이 띠형상 부재의 양 단측에는, 지름방향 양측에서 측방으로 뻘어나와 있고 지름방향 양측에 판형상의 한 쌍의 지지시트(5a, 5a)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각 지지시트(5a, 5a)에는, 차량 후방을 개방시킨 사각형의 노치(16)(한 쪽만 도시생략)가 형성되고, 동 부분에 원웨이 캡슬 장착부가 형성되어 있다,
원웨이 캡슬(6)의 본체부(17)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각형의 플레이트형상을 하고 있다. 이 본체부(17)의 각 단면에는, 전주위에 연속하는 홈부(18)가 형성되어 있다. 이 본체부(17)가, 홈부(18)와 각 노치(16)의 연부와의 조합을 이용하여, 차량 후방으로부터 노치(16)에 슬라이드가 자유롭게 끼워져 있다. 이 조합에 의해, 본체부(17)의 상부측이 지지시트(5a)로부터 대(台)형상으로 돌출된다. 그리고 서로겹치는 홈부(18)의 양측의 각 플랜지부와 노치(16)의 연부와는, 3자를 관통하는 복수의 전단 가능한 핀부재, 예를 들면 수지 핀(19)으로 결합되고, 원웨이 캡슬(6)이 각 지지시트(5a, 5a)에 대하여 후방으로 이동 가능하게 조립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수지 핀(19)은, 지지시트(5a)로부터 차량 전방으로 향하는 충격력이 소정치 이상 가해지면 전단이 생겨서, 지지시트(5a)와 원웨이 캡슬(6)과의 결합이 풀리는 설정으로 하고 있고, 원웨이 캡슬(6)의 상부가 고정된 상태에서 스티어링 칼럼(1)에 소정치 이상의 충격력이 가해지면 원웨이 캡슬(6)이 지지시트(5a)로부터 슬라이드하면서 빠져나오는 구조로 하고 있다.
그리고 각 본체부(17)는, 하방으로부터 조여 넣는 볼트부재, 상세하게는 본체부(17)의 중앙에 형성되어 있는 통과구멍(20), 스티어링 칼럼 장착면(8a, 8a)에 형성되어 있는 볼트구멍(21)을 통해서, 볼트구멍(21)의 이면에 장착되어 있는 너트(22)(조여 넣는 부: 도 3에만 도시)에 조여 넣는 볼트(23)에 의해, 각 스티어링 칼럼 장착면(8a, 8a)에 고정하고 있다. 즉, 상측 브래킷(5)은, 중간에 본체부(17), 상세하게는 본체부(17)의 윗부분을 개재시키고, 스티어링 칼럼 장착면(8a)에 지지된다.
이 지지에 의해, 스티어링 칼럼(1)으로부터 차량 전방으로 향하는 소정치 이상의 충격력이 가해지면 원웨이 캡슬(6)을 스티어링 칼럼 장착면(8a)에 남기고, 해당 원웨이 캡슬(6)로부터, 상측 브래킷(5)이 이동함으로써, 스티어링 칼럼(1)이 축방향으로 이동된다.
또한 원웨이 캡슬(6)이 장착되는 부위를 포함하는 해당 부위로부터 스티어링 칼럼 장착면(8a)에는, 스티어링 칼럼(1)을 원활히 이동시키는 고안이 시행되어 있다. 동 고안에 관해 설명하면, 각 스티어링 칼럼 장착면(8a)에는,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티어링 칼럼 장착면(8a)에는, 원웨이 캡슬(6)이 장착되는 제 1 면(26)과, 해당 제 1 면(26)의 차체 전방측에 형성되고, 충격 입력에 의해 상측 브래킷(5)이 차량 전방으로 이동하여 원웨이 캡슬(6)과의 결합이 벗겨진 후에도 상측 브래킷(5)에 접촉하는 제 2 면(25)이 형성되고, 해당 제 2 면(25)은, 스티어링 칼럼 장착면(8a)과 지지시트(5a)와의 사이에 끼워져 있는 본체부(17)의 두께 T분만큼, 제 1 면(26)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다. 이 제 1 면(26)에 의해, 스티어링 칼럼 장착면(8a)과 동등하게 되는 높이로부터, 지지시트(5a)가 이동되도록 하고 있다.
또한 제 1 면(26)으로부터 스티어링 칼럼 장착면(8a)의 전방을 향하여 가이드로가 형성되어 있다. 가이드로는, 상측 브래킷(5), 즉 지지시트(5a)가 원웨이 캡슬(6)을 완전히 이동할 때까지는, 원웨이 캡슬(6)만의 지지에 맡기기 위한 부분이다. 이 가이드로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1 면(26)과, 제 2 면(25)과, 사면(25a)으로 구성되어 있다. 사면(25a)은, 예를 들면 스티어링 칼럼 장착면(8a)의 전방을 향함에 따라 테이퍼형상으로 경사되어 있다. 그리고 이 선단은, 도 3중의 2점쇄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원웨이 캡슬(6)의 본체부(17)의 끝으로부터 이동한 직후의 지지시트(5a)의 전단부 부근, 즉 전단 가까이에 상당하는 위치에서, 원래의 높이의 스티어링 칼럼 장착면(8a)의 부위에 이어져 있다. 이 제 2 면(25)의 형성에 의해, 원웨이 캡슬(6)로부터 완전히 이동할 때까지는, 지지시트(5a)는, 원웨이 캡슬(6) 이외가 접하지 않고서 진행할 수 있다.
즉, 제 1 면(26)과 제 2 면(25)에 의해, 원웨이 캡슬(6)로부터 이동한 지지시트(5a)가 필요없는 마찰을 받지 않고서 스티어링 칼럼 장착면(8a)까지, 일정한 자세대로 변위, 즉 스티어링 칼럼(1)이 그대로 축방향에 따라 이동되도록 하고 있다.
동 작용을 설명하면, 지금, 도 1중의 화살표(P)로 도시한 바와 같이 2차충돌에 의해, 소정치를 넘는 충격력이 스티어링 휠(3)에 가해졌다고 한다. 이 때, 상측의 장착부(7)는, 스티어링 칼럼(1)에 전하여지는 충격력에 의해, 원웨이 캡슬(6)과 상측 브래킷(5)과의 사이를 결합하고 있었던 수지 핀(19)이 전단된다. 하측의 장착부(13)는, 볼트(도시생략)로부터 차체측 브래킷(12)의 슬릿(도시생략)으로부터 빠져나온다. 그러면 스티어링 칼럼(1)은, 상측 브래킷(5)이나 볼트(도시생략)가 붙은채로, 보디측 브래킷(8), 차체측 브래킷(12)으로부터 이동하고, 차량 전방을 따라 변위된다. 이 때, 상측의 장착부(7)에 있어서의 거동이 도 4(a) 내지 (c)에 도시되어 있다.
동 거동을 설명하면, 상측의 장착부(7)는, 도 4(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브래킷(5)의 지지시트(5a)의 지지 위치가 주위의 스티어링 칼럼 장착면(8a)과 개략 같은 높이로 되어 있는데다, 지지시트(5a)의 전방의 장착면 부분이 오목한 상태에 있다. 그 때문에 수지 핀(19)의 전단 후, 상측 브래킷(5)의 지지시트(5a)는, 도 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차가 없는 채로, 또한 필요없게 스티어링 칼럼 장착면(8a)과 접하는 것이 억제되며, 보디측 브래킷(8)에 남겨지는 원웨이 캡슬(6)로부터 빠져나온다. 그리고 지지시트(5a)는, 원웨이 캡슬(6)로부터 완전히 빠져나올 때까지는, 해당 원웨이 캡슬(6)의 슬라이드접촉이 가져오는 가이드만으로, 그 외에 접하지 않고서, 이동하였을 때의 자세를 유지한 채로 변위가 진행한다.
도 4(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시트(5a)가 원웨이 캡슬(6)로부터 빠져나오면, 지지시트(5a)의 진행방향 전측의 단부가, 제 2 면(25)의 사면(25a)의 선단부에 가장 접근하고, 사면(25a)으로 가이드되는 상태로 들어간다. 즉, 지지시트(5a)는, 이동할 때까지는 원웨이 캡슬(6)만으로 가이드, 완전히 절리된 후는 사면(25a)만으로 가이드라는, 가이드의 계승을 거쳐서, 원래의 평탄한 스티어링 칼럼 장착면(8a)이 있는 지점으로 이끌어지고, 스티어링 칼럼 장착면(8a)의 평면을 따라 차량 전방을 향하여 변위된다.
이 때, 스티어링 칼럼(1)에는, 가하여지는 충격력(P)의 방향에 의해, 상향으로 경사시키는 힘이 작용하고 있지만, 원웨이 캡슬(6)로부터 이동하는 지지시트(5a)는, 제 1 면(26)과 제 2 면(25)으로 행하여지는 가이드에 의해, 원웨이 캡슬(6)과 스티어링 칼럼 장착면(8a)과의 단차에 영향받거나, 또는 필요없는 마찰로 이동이 영향받거나 하지 않고서, 원웨이 캡슬(6)로부터 이동하였을 때부터 원래의 평탄한 스티어링 칼럼 장착면(8a)까지 같은 자세로 진행하기 때문에 스티어링 칼럼(1)은, 이동방향이 변하지 않고서 그대로 축방향을 향하여 변위되고, 충격 에너지를 흡수한다. 이로써, 스티어링 칼럼(1)은, 예를 들면 스티어링 칼럼(1)과 인접하여 주변기기가 배치되어 있는 때에도, 이동방향이 변경되지 않고서 이동이 진행하기 때문에 주변기기와 간섭하지 않고서 끝난다.
그러므로, 항상 소망의 이동 작용이 확보될 수 있고, 이동이 가져오는 충격 흡수성능을 충분히 발휘시킬 수 있다. 특히 제 2 면(25)에 의해 충격력은, 원웨이 캡슬(6)밖에 작용하지 않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소망의 충격치로 이동을 행하게 할 수 있어, 높은 신뢰성을 갖는 충격 흡수를 약속할 수 있다. 더구나, 제 2 면(25)은, 원웨이 캡슬(6)이 있는 지점으로부터 이동 직후의 브래킷 단부 부근까지의 구간에 형성할 뿐이기 때문에 간단하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를 나타낸다. 본 실시예는, 제 2 면(25)을 제1 의 실시형태와 같이 개략 전체에 걸쳐서 테이퍼형상으로 한 것은 아니고, 일부, 예를 들면, 원래의 스티어링 칼럼 장착면(8a)과 교차하는 선단부만을 테이퍼면 부분(25a)으로 하고, 타를 제 1 면(26)으로 규정되는 원웨이 캡슬(6)의 장착 위치와 같은 높이의 평탄면(25b)으로 형성하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제 2 면(25)을 이용한 구조에서도 제 1 실시형태와 같은 효과를 이룬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주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가지 변경하여 실시하더라도 상관없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형태에서는, 스티어링 칼럼의 상측을 지지하는 장착구조를 들었지만, 이에 한하지 않고 스티어링 칼럼의 하측을 지지하는 구조나 스티어링 칼럼의 상측과 하측을 지지하는 구조에 적용하여도 좋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제 1항에 기재된 본 발명의 스티어링 칼럼의 충격 흡수구조는, 스티어링 칼럼에 차량 전방으로 향하는 충격력이 작용하였을 때에 동 스티어링 칼럼을 차체 전방으로 이동 가능하게 되도록 지지하는 스티어링 칼럼의 충격 흡수구조로서, 차체측에 형성되고, 차량 전후방향에 따라 연장된 스티어링 칼럼 장착면과, 스티어링 칼럼에 형성된 브래킷과, 스티어링 칼럼 장착면에 장착되는 동시에 브래킷을 지지하고, 충격 입력시에 브래킷이 스티어링 칼럼 장착면에 대하여 간격을 유지하면서 브래킷이 스티어링 칼럼 장착면에 대하여 차량 전방으로 이동하는 것을 허용하는 지지부재를 구비하고, 스티어링 칼럼 장착면은, 지지부재가 장착되는 제 1 면과, 제 1 면의 차체 전방측에 형성되고, 충격 입력에 의해 브래킷이 차량 전방으로 이동하여 지지부재와의 결합이 벗겨진 후에도 브래킷에 접촉하는 제 2 면을 가지며, 제 2 면은, 제 1 면보다 돌출되어 있기 때문에, 2차충돌에 의해, 브래킷으로부터 이동한 스티어링 칼럼은, 제 1 면과 제 2 면과 테이퍼면이 가져오는 가이드에 의해, 원웨이 캡슬의 단차의 영향과 스티어링 장착면과의 필요없는 접촉을 피하고, 스티어링 칼럼 장착면으로부터 이동하고 나서 원래의 장착면에 달할 때까지, 같은 자세로 가이드된 채로 축방향을 향하게 되고, 스티어링 칼럼의 이동방향이 변하지 않고서 끝난다. 따라서, 스티어링 칼럼은 주변기기에 의해 방해받지 않고서 이동시킬 수 있어, 이동이 가져오는 충격 흡수성능을 충분히 발휘시킬 수 있다.
또한, 제 2항에 기재된 본 발명의 스티어링 칼럼의 충격 흡수구조는, 제 2면의 간격이 동등한 분만큼 제 1면보다도 돌출되어 있기 때문에 지지시트가 이동방향을 바꾸지 않고 이동 할 수 있다.
또한, 제 3항에 기재된 본 발명의 스티어링 칼럼의 충격 흡수구조는, 스티어링 장착면이, 제 1 면과 상기 제 2 면을 접속하는 테이퍼면을 갖고 있기 때문에, 간단한 구조로 지지부재로부터 이동한 브래킷이 테이퍼면에 의해 가이드되면서 장착면에 따라 전방으로 진행할 수 있다.
또한, 제 4항에 기재된 본 발명의 스티어링 칼럼의 충격 흡수구조는, 띠형상 부재의 양 단측에는 지름방향에서 측방으로 뻗어나가도록 판형상의 한 쌍의 지지시트가 형성되고, 스티어링 칼럼 장착면은 각 지지시트에 대응하여 한 쌍이 마련되어 있고, 각 지지시트가 각각 지지부재를 사이에 두고 각 장착면에 지지되어 있기 때문에, 스티어링 칼럼의 축방향에의 이동을 스무스하게 할 수 있는 동시에, 부품 개수가 적게 끝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형태를 나타낸 스티어링 칼럼의 충격 흡수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스티어링 칼럼의 상측을 지지하는 장착부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2의 A-A선에 따른 상측의 장착부의 단면도.
도 4는 2차충격을 받았을 때의 동 상측을 지지하는 장착부의 거동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 제 2 실시형태를 나타낸 주요부의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종래의 원웨이 캡슬을 사용하여 스티어링 칼럼을 차체측에 장착시키는 장착구조를 충격을 흡수할 때의 거동과 함께 도시한 측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스티어링 칼럼 5 : 상측 브래킷
5a : 지지시트 6 : 원웨이 캡슬
8 : 상측의 보디 브래킷 8a : 스티어링 칼럼 장착면
17 : 본체부 19 : 수지 핀
23 : 볼트 25 : 제 2 면
25a : 사면 26 : 제 1 면

Claims (4)

  1. 스티어링 칼럼에 차량 전방으로 향하는 충격력이 작용하였을 때에 동 스티어링 칼럼을 차체 전방으로 이동 가능하게 되도록 지지하는 스티어링 칼럼의 충격 흡수구조에 있어서,
    상기 차체측에 형성되고, 차량 전후방향을 따라 연장된 스티어링 칼럼 장착면과,
    상기 스티어링 칼럼에 형성된 브래킷과,
    상기 스티어링 칼럼 장착면에 장착되는 동시에 상기 브래킷을 지지하고, 충격 입력시에 상기 브래킷이 상기 스티어링 칼럼 장착면에 대하여 간격을 유지하면서 상기 브래킷이 상기 스티어링 칼럼 장착면에 대하여 차량 전방으로 이동하는 것을 허용하는 지지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스티어링 칼럼 장착면은, 상기 지지부재가 장착되는 제 1 면과, 상기 제 1 면의 차체 전방측에 형성되고, 충격 입력에 의해 상기 브래킷이 차량 전방으로 이동하여 상기 지지부재와의 결합이 벗겨진 후에도 상기 브래킷에 접촉하는 제 2 면을 가지며,
    상기 제 2 면은, 상기 제 1 면보다 돌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티어링 칼럼의 충격 흡수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면의 돌출은,
    상기 제 1면보다 본체부의 두께만큼 더 돌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티어링 칼럼의 충격 흡수구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티어링 장착면은,
    상기 제 1 면과 상기 제 2 면을 접속하는 테이퍼면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티어링 칼럼의 충격 흡수구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띠형상 부재의 양 단측에는 지름방향에서 측방으로 뻗어나가도록 판형상의 한 쌍의 지지시트가 형성되고, 상기 스티어링 칼럼 장착면은 상기 각 지지시트에 대응하여 한 쌍이 마련되어 있고,
    상기 각 지지시트가 각각 상기 지지부재를 사이에 두고 상기 각 장착면에 지지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티어링 칼럼의 충격 흡수구조.
KR10-2002-0046323A 2001-08-09 2002-08-06 스티어링 칼럼의 충격 흡수구조 KR10047253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1242399A JP4543595B2 (ja) 2001-08-09 2001-08-09 ステアリングコラムの取付構造
JPJP-P-2001-00242399 2001-08-0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14600A KR20030014600A (ko) 2003-02-19
KR100472535B1 true KR100472535B1 (ko) 2005-03-08

Family

ID=190726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46323A KR100472535B1 (ko) 2001-08-09 2002-08-06 스티어링 칼럼의 충격 흡수구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4543595B2 (ko)
KR (1) KR100472535B1 (ko)
CN (1) CN1256257C (ko)
MY (1) MY135308A (ko)
TW (1) TW546214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6251B1 (ko) 2005-11-25 2012-03-1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스티어링 컬럼용 마운팅 유닛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6626B1 (ko) * 2005-11-15 2006-12-11 (주) 후프코리아 스티어링칼럼 록킹장치의 장착구조
JP5499995B2 (ja) * 2010-08-26 2014-05-21 日本精工株式会社 電動式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を備えた衝撃吸収式ステアリング装置
CN102958781B (zh) * 2010-11-15 2015-04-08 日本精工株式会社 转向柱用支承装置
EP2778016B1 (en) * 2011-11-07 2018-04-18 NSK Ltd. Steering apparatus
JP2015020623A (ja) * 2013-07-19 2015-02-02 株式会社ジェイテクト ステアリング装置
DE102016220140A1 (de) * 2016-10-14 2018-04-19 Thyssenkrupp Ag Lenksäule für ein Kraftfahrzeug und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r Lenksäule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22470U (ja) * 1983-07-22 1985-02-15 富士機工株式会社 車両用操向装置の取付構造
JP2556510B2 (ja) * 1987-04-30 1996-11-20 富士機工株式会社 ステアリングコラムの取付構造
JPH03279085A (ja) * 1990-03-28 1991-12-10 Suzuki Motor Corp ステアリングコラム支持装置
JP3783429B2 (ja) * 1998-09-25 2006-06-07 スズキ株式会社 自動車のステアリング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6251B1 (ko) 2005-11-25 2012-03-1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스티어링 컬럼용 마운팅 유닛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3054425A (ja) 2003-02-26
JP4543595B2 (ja) 2010-09-15
TW546214B (en) 2003-08-11
CN1256257C (zh) 2006-05-17
CN1401528A (zh) 2003-03-12
MY135308A (en) 2008-03-31
KR20030014600A (ko) 2003-0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897541B2 (ja) 衝撃吸収式操舵装置
US10093341B2 (en) Steering device
US5738377A (en) Shock absorbing plate for a vehicle steering wheel
US3769851A (en) Energy absorbing device and safety steering column for a vehicle equipped with the device
US5375881A (en) Energy absorption system including a U-shaped deformable member and a deforming member
US7648168B2 (en) Collision energy absorbable steering column of vehicle equipped with wire block assembly
US5755461A (en) Energy absorbing device for a steering column
US10661821B2 (en) Steering column assembly
CN110525509B (zh) 转向柱
JP2004351990A (ja) 伸縮構造及び車両用ステアリングコラム装置
KR100472535B1 (ko) 스티어링 칼럼의 충격 흡수구조
EP1449741B1 (en) Adaptative energy absorbing device for a steering column
EP0764108A1 (en) Separable connecting device for a steering column
GB2563000A (en) A motor vehicle steering column assembly
JP6080007B2 (ja) ステアリングコラム装置
JP2587294Y2 (ja) エネルギ吸収式ステアリング装置
JP3560434B2 (ja) 車両用ステアリングコラム装置
JP2838351B2 (ja) ステアリング装置
KR970039248A (ko) 차량용 범퍼 지지장치
JP3169467B2 (ja) ステアリングコラムの支持装置
KR200160764Y1 (ko) 차량용 스티어링 컬럼의 충격흡수 구조
KR970002725Y1 (ko) 자동차의 가변형 번호판 브라켓
JP2002019622A (ja) 衝撃吸収式ステアリング装置
KR100357820B1 (ko) 자동차의 카울크로스멤버 장착구조
KR970004595Y1 (ko) 자동차용 조향핸들 컬럼의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1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9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9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8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6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5

Year of fee payment: 16